사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바스는 유대교의 안식일을 의미하며, 금요일 일몰부터 토요일 밤하늘에 별 세 개가 나타날 때까지 지켜진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안식일 또는 유사한 개념을 찾아볼 수 있으며, 각 종교는 안식일의 의미와 준수 방식에 차이를 보인다. 유대교는 안식일을 십계명의 일부로 여기며, 39가지 금지된 행위를 규정하고 있다. 기독교는 토요일 또는 일요일을 안식일로 지키며, 이슬람교는 금요일의 주무아 예배를 통해 안식일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세속적인 의미에서 휴식일이나 안식년과 같은 개념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동 시간 - 안식일
안식일은 유대교의 중요한 성일로, 창조 7일째의 하나님의 쉼을 기념하고 이집트 탈출과 미래 메시아 시대를 예표하며, 토라 낭독, 기도, 가족 교류를 통해 지켜지고 39가지 멜라카가 금지되나 생명이 위급한 경우 예외가 허용되며, 기독교의 주일, 이슬람교의 금요일과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 - 노동 시간 - 초과근무
초과근무는 정상 근무시간을 넘어서는 노동에 대해 수당, 대체휴가, 보상휴가 등으로 보상받을 수 있으며, 각국 법률에 따라 허용 여부와 보상 방식이 다르지만, 한국에서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대체휴가가 가능하고, 가산임금 지급 의무가 존재하며, 장시간 노동 문화와 은폐된 초과근무 등의 문제점이 있다.
사바스 | |
---|---|
기본 정보 | |
유형 | 날짜, 종교적 준수 |
관련 종교 |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
준수 | 휴식, 숭배 |
시작 | 금요일 해 질 녘 |
종료 | 토요일 해 질 녘 |
기독교 사바스 | |
교파별 사바스 날짜 | 안식교]: 토요일 일부 [[침례교: 토요일 메시아닉 유대교: 토요일 기독교: 일요일 |
유대교 사바스 | |
시작 | 금요일 해 질 녘 |
종료 | 토요일 해 질 녘 |
중요성 | 창조의 기억, 출애굽기, 시나이 산 계시 |
이슬람 사바스 | |
날짜 | 금요일 |
명칭 | 주무아 |
다른 종교 | |
종교 | 바하이 신앙 |
날짜 | 일요일 |
용어 | |
로마자 표기 | Shabbat |
2. 유대교의 안식일 (샤바트)
유대교의 샤바트는 한 주 중의 하루 안식일을 가리키며, 금요일 일몰 때부터 토요일 밤하늘에 3개의 별이 등장할 때까지를 말한다.[3] 메시아닉 유대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등 소수 기독교에서도 지켜진다.
안식일(동사 שָׁבַת֙ ''shabbat'')은 창세기 창조 이야기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일곱째 날은 휴식의 날(shabbat|샤바트he)로 정해져 하나님에 의해 거룩하게 되었다. 안식일(שַׁבָּת|샤바트he)의 준수와 기억은 십계명 중 하나이다.[4]
안식일을 지키는 대부분의 유대인들은 안식일이 영원한 언약으로 이스라엘 백성을 위해 제정된 것으로 간주하며, 하나님이 엿새 만에 창조를 마치신 후 쉬신 날과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에서 구원받은 것을 기념한다.
히브리 성경에서의 안식일 준수는 보편적으로 여섯째 날 해질녘부터 일곱째 날 해질녘까지 이루어졌다.[3] 안식일은 기쁨의 날로 여겨졌으며,[4] 예언자들과 상의하는 기회였다.[5] 신전에서의 안식일 활동은 원래 신성한 제물을 바치기 위한 제사장들의 모임이었고, 가정 예배와 휴식이 가정에 중심을 두었다.[6][7] 원래, 안식일 훼손자는 공식적으로 회중에서 끊어지거나 죽임을 당할 수도 있었다.
2. 1. 샤바트의 의미와 기원
샤바트(히브리어: שַׁבָּת|샤바트he)는 창세기 창조 이야기에서 처음 언급되었는데, 하느님이 6일 동안 세상을 창조하고 7일째 되는 날 안식한 것에서 유래한다.[3] 이는 십계명 중 하나로, 하느님이 엿새 만에 창조를 마치고 쉬신 날과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에서 구원받은 것을 기념하는 의미를 지닌다.2. 2. 샤바트 준수
유대교의 샤바트는 매주 금요일 해질녘부터 토요일 밤하늘에 별 세 개가 나타날 때까지 지켜지는 휴식일이다.[3] 이 날은 안식일 (탈무드)에 기록된 39가지 금지된 행위(멜라카)를 지키며, 노동을 멈추고 휴식과 예배에 집중하는 날이다.샤바트는 해가 지기 직전에 양초를 켜는 것으로 시작되며,[4] 이는 매주 바뀌고 지역에 따라 계산되는 할라카에 따른 시간이다. 샤바트에는 기도, 식사, 토라 읽기 등 다양한 의식이 행해진다.
샤바트는 유대 민족의 널리 알려진 특징이며,[5] 출애굽기 31장 13-17절에 따르면, 샤바트는 이스라엘 백성을 위해 제정된 영원한 언약의 징표이다.[6] 이는 하나님이 엿새 만에 창조를 마치신 후 쉬신 날과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에서 구원받은 것을 기념한다.
한국의 유대인 공동체는 주한 이스라엘 대사관 내 회당을 중심으로 샤바트를 지키고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인 유대교 개종자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2. 3. 특별 안식일
유대 민족에게 널리 알려진 안식일 중에는 1년에 여러 번 특별 안식일로 지정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페사흐 직전의 샤밧 하가돌(문자 그대로 "큰 안식일"이지만, 다른 높은 안식일과는 혼동하지 않아야 함)과 욤 키푸르 전의 샤밧 테슈바(회개 안식일)가 있다.[8]3. 기독교의 안식일
기독교에서 안식일은 창세기 창조 이야기에서 처음 언급되며, 일곱째 날은 하나님에 의해 거룩하게 된 휴식의 날이다. 안식일 준수는 십계명 중 하나이며, 하나님이 엿새 동안 창조를 마치고 쉬신 날과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에서 구원받은 것을 기념한다.[3]
안식일은 기쁨의 날로 여겨졌으며,[4] 예언자들과 상의하는 기회였다.[5] 원래 안식일을 어기면 회중에서 추방되거나 사형을 당할 수도 있었다.
말일성도 운동에서는 안식일에 기도하는 집에 가서 성찬을 드리고, 노동을 멈추고, 주의 날에 헌신하라는 계시가 발표되었다. 말일성도들은 영적인 일에 집중하기 위해 쇼핑, 사냥, 스포츠 경기 관람 등과 같은 활동을 하지 않아야 한다고 믿는다.
3. 1. 안식일 논쟁
초대교회부터 안식일을 토요일에 지켜야 하는지, 아니면 일요일에 지켜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동방 기독교에서는 사바스(안식일)를 여전히 토요일로 간주한다.[3] 반면 가톨릭교회와 대부분의 개신교에서는 주일을 일요일로 간주한다.히브리 성경에서 안식일 준수는 여섯째 날 해질녘부터 일곱째 날 해질녘까지 이루어졌다.[3] 유대교,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사마리아교 신자들에게 안식일은 금요일 해질녘에 시작하여 토요일 해질녘에 끝난다.
동방 기독교에서는 안식일이 히브리 안식일을 기념하여 여전히 일곱째 날인 일요일로 여겨진다. 가톨릭교회와 대부분의 개신교 분파에서는 "주의 날"(그리스어: Κυριακή)이 첫째 날(그리고 "여덟째 날")인 일요일로 여겨진다. 서방 기독교는 때때로 주의 날을 히브리 안식일과는 구별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관련된 "기독교 안식일"이라고 부른다.
역사적으로 321년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는 일요일 준수에 관한 최초의 민법을 제정했다. 그 법은 안식일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존경받는 태양의 날"에 휴식을 취하도록 했다.[10]
3. 2. 다양한 교파의 안식일 준수
동방 기독교에서는 사바스가 여전히 토요일로 간주된다. 가톨릭교회와 대부분의 개신교에서는 주일을 일요일로 간주한다.[3]대부분의 안식일을 지키는 기독교인들은 안식일이 창조 주간의 마지막에 하나님에 의해 제정되었으며, 그 당시 온 세상이 일곱째 날을 안식일로 지켜야 할 의무가 있었고, 지금도 그 의무가 있다고 본다.
동방 기독교에서는 안식일이 히브리 안식일을 기념하여 여전히 일곱째 날인 토요일로 여겨진다. 가톨릭교회와 대부분의 개신교 분파에서는 "주의 날"(그리스어: Κυριακή)이 첫째 날(그리고 "여덟째 날")인 일요일로 여겨진다. 서방 기독교는 때때로 주의 날을 히브리 안식일과는 구별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관련된 "기독교 안식일"이라고 부른다.
수보트니크는 유대교로 개종한 기독교인으로 분류되는 러시아 종파로, 엄격한 ''샤밧'' 준수로 특히 특징지어진다.
청교도 시대 이후, 대부분의 영어권 개신교 신자들은 "주의 날"(즉, 일요일)을 "기독교 안식일"로 여기며, 이 용어는 해당 지역의 로마 가톨릭 신자들도 성찬례와 함께 기념할 수 있다. 이는 7일의 주에서 첫째 날이자 "여덟째 날"로 여겨진다. 통가에서는 통가 헌법이 안식일을 영원히 신성하게 선포함에 따라, 자정부터 다음 날 자정까지 일요일에는 모든 상업 및 오락 활동이 중단된다.[9] 오리엔트 정교회에서는 에티오피아 정교회가 수세기 동안 일요일 부활일과 토요일 안식일을 다른 방식으로 지켜왔으며, 다른 동방 정교회 전통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청교도 안식일주의 또는 개혁파 안식일주의는 기독교의 안식일에 대한 엄격한 준수이며, 일반적으로 여가 활동의 회피로 특징지어진다.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에 표현된 "청교도 안식일"은 종종 "대륙 안식일"과 대조된다. 후자는 하이델베르크 요리 문답과 같은 대륙 개혁파 신앙 고백을 따르며, 주의 날에 휴식과 예배를 강조하지만 여가 활동을 금지하지는 않는다.
몇몇 기독교 교파들은 유대교와 유사한 방식으로 안식일을 지키지만, 토요일 일몰에 안식일 준수를 시작하여 토요일 밤에 종료한다. 초기 교회 역사가인 소조멘과 소크라테스는 로마와 알렉산드리아의 기독교인을 제외하고는 일곱째 날을 기독교 예배일로 언급했다. 중세 시대에는 많은 안식일을 지키는 유대-기독교 그룹들이 증명되었다. 12세기에 창립된 종교 단체인 왈도파는 콘스탄티누스 시대 이후에 일곱째 날 안식일을 준수한 최초의 기독교 그룹 중 하나로 여겨진다. 세클러 안식일 준수자는 트란실바니아 유니테리언 교회에서 1588년에 창립되었으며, 1870년대에 유대교로 개종할 때까지 그들의 신앙을 유지했다. 제칠일 재림교는 17세기 중반부터 (일몰 또는 자정부터) 토요일에 안식일을 지켜왔으며, 19세기 중반에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가 이 관행을 시작하도록 영향을 미쳤다. 메시아닉 유대교 신자들도 일반적으로 토요일에 안식일을 지킨다.
일부 현대 기독교인들은 안식일 원칙을 지지하지만, 안식일 준수를 토요일이나 일요일로 제한하지 않고, 안식일의 정신을 따르는 것으로서 일주일 중 선택한 하루를 쉬도록 권장하거나, 안식일을 그리스도 안에서의 안식에 대한 상징적인 은유로 옹호한다.
통일교는 일요일에 정기적인 예배를 드리지만, 8일마다 안시일(Ahn Shi Il)을 기념한다. 안시일은 안식일로 간주되지만, 그레고리력의 요일에 따라 순환한다. 가정맹세는 이전에는 일요일 오전 5시에 암송되었지만, 1994년에 안시일로 옮겨졌으며, "참사랑을 중심하고"라는 구절을 포함하는 8개의 구절로 구성되어 있다.
4. 이슬람교의 안식일 (주무아)
이슬람교에서는 금요일을 '주무아'라고 부르며, 이날 집단 예배를 드린다. '금요 예배'라고도 불리는 주무아는 매주 금요일 정오 직후에 열리는 집단 기도(salat|살라트ar)이다. 주무아 참석은 지역에 거주하며 여행 중이 아닌 모든 자유로운 성인 남성에게 엄격하게 의무적으로 부과된다.[2]
4. 1. 주무아의 의미
꾸란은 6부분으로 구성된 아브라함 창조 이야기(32:4, 50:38)와 안식일을 일곱째 날로 공유하지만(yaum as-Sabt|욤 아스-삽트ar: 2:65, 4:47, 154, 7:163, 16:124), 알라가 창조 후 보좌에 오른 것은 엘로힘이 수고를 마치고 안식하는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2] 꾸란은 안식일은 유대인만을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무슬림은 안식일 휴식을 jumu'ah|주무아ar(جمعةar)로 대체한다고 말한다.[2] "금요 예배"라고도 알려진 jumu'ah|주무아ar는 매주 금요일(집회의 날) 정오 직후에 열리는 집단 기도(salat|살라트ar)로, 그렇지 않으면 매일 드리는 dhuhr|두흐르ar 기도를 대체한다.[2]꾸란은 "금요일에 예배를 드리라는 부름이 있을 때, 알라를 기억하기 위해 서둘러라. 그리고 사업을 그만두어라. 너희가 안다면 그것이 너희에게 가장 좋다"(62:9)라고 말한다.[2] 다음 구절("예배가 끝나면 땅으로 흩어져라...")은 많은 무슬림이 금요일을 휴식일로 여기지 않도록 한다.[2]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는 7일째 안식일을 변경 없이 간주한다.[2] 그러나 사우디 아라비아와 방글라데시와 같은 많은 무슬림 국가에서는 금요일을 비근무일, 공휴일 또는 주말로 간주한다.[2] 그리고 파키스탄과 아랍 에미리트와 같은 다른 무슬림 국가에서는 금요일 기도가 끝난 후를 반 휴식일로 간주한다.[2] Jumu'ah|주무아ar 참석은 지역 거주자(여행하지 않는)인 모든 자유로운 성인 남성에게 엄격하게 의무적으로 부과된다.[2]
4. 2. 주무아와 안식일의 차이
꾸란은 6부분으로 구성된 아브라함 창조 이야기(32:4, 50:38)와 안식일을 일곱째 날로 공유하지만(yaum as-Sabt|야움 아스-삽트ar: 2:65, 4:47, 154, 7:163, 16:124), 알라가 창조 후 보좌에 오른 것은 엘로힘이 수고를 마치고 안식하는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2] 꾸란은 안식일은 유대인만을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무슬림은 안식일 휴식을 jumu'ah|주무아ar()로 대체한다고 말한다.[2] "금요 예배"라고도 알려진 jumu'ah|주무아ar는 매주 금요일(집회의 날) 정오 직후에 열리는 집단 기도(salat|살라트ar)로, 그렇지 않으면 매일 드리는 dhuhr|두흐르ar 기도를 대체한다.[2]꾸란은 "금요일에 예배를 드리라는 부름이 있을 때, 알라를 기억하기 위해 서둘러라. 그리고 사업을 그만두어라. 너희가 안다면 그것이 너희에게 가장 좋다"(62:9)라고 말한다.[2] 다음 구절("예배가 끝나면 땅으로 흩어져라...")은 많은 무슬림이 금요일을 휴식일로 여기지 않도록 한다.[2]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는 7일째 안식일을 변경 없이 간주한다.[2] 그러나 사우디 아라비아와 방글라데시와 같은 많은 무슬림 국가에서는 금요일을 비근무일, 공휴일 또는 주말로 간주한다.[2] 그리고 파키스탄과 아랍 에미리트와 같은 다른 무슬림 국가에서는 금요일 기도가 끝난 후를 반 휴식일로 간주한다.[2] Jumu'ah|주무아ar 참석은 지역 거주자(여행하지 않는)인 모든 자유로운 성인 남성에게 엄격하게 의무적으로 부과된다.[2]
5. 기타 종교 및 전통의 안식일
유대교의 안식일과 비슷한 개념은 다른 여러 종교 및 문화 전통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고타마 붓다 시대(기원전 500년)부터 우포사타가 지켜져 왔으며, 오늘날에도 테라바다 불교 국가에서 계속 지켜지고 있다. 우포사타는 달의 네 단계를 따라 7일 또는 8일마다 한 번씩 이루어진다. 붓다는 우포사타가 "오염된 마음을 정화"하여 내면의 평온함과 기쁨을 얻는 날이라고 가르쳤다. 이 날, 제자들과 승려들은 수행을 강화하고, 지식을 심화하며, 수천 년 동안 이어져 온 재가 신자와 승려 간의 상호 의무를 통해 공동의 헌신을 표현한다.[11]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은 초승달부터 계산하여 7일, 14일, 21일, 28일을 "성일" 또는 "악한 날"로 기념했다.[21] 이 날들에는 관리들의 특정 활동이 금지되었고, 일반 백성들은 소원을 빌 수 없었으며, 28일은 "휴식의 날"로 알려졌다. 각 날에는 다른 신에게 제물을 바쳤다. 기원전 6세기 키루스 2세와 캄비세스 2세 통치 시기의 점토판 기록에 따르면, 이 날짜는 때때로 정확하지 않았다. 29일 또는 30일의 삭망 주기는 세 개의 7일과 마지막 주(9일 또는 10일)로 구성되어 7일 주기가 연속되지 않았다. 또한, 바빌로니아인들은 19일을 이전 달의 49일째 되는 "분노의 날"로 기념하여 희생과 금지를 행했다.[21]
체로키족은 초승달이 뜨는 첫날부터 최대 4일간 단식을 하며, 해 뜰 때 조용히 성찰하고 기도하는 공휴일을 가졌다. '무시간' 또는 '무일'이라고 불리는 기간에는 일, 요리, 성관계, 출산이 금지되었고, 이 기간에 출산하는 것은 불운으로 여겨졌다. 체로키족의 새해는 가을에 뜨는 첫 번째 초승달인 '위대한 초승달' 또는 '사냥 달'이었다.
5. 1. 사마리아교
유대교,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사마리아교 신자들에게 안식일은 금요일 해질녘에 시작하여 토요일 해질녘에 끝난다.[3] 사마리아 공동체는 매주 금요일 해질녘부터 토요일 해질녘까지 24시간 동안 안식일을 지키는데,[18] 가족들이 모여 휴일을 기념한다. 집 안의 최소한의 조명(하루 종일 켜두는)을 제외한 모든 전기는 차단되며, 일, 요리, 운전은 금지된다. 이 시간은 예배에 할애되며, 일곱 번의 기도 서비스(안식일 전야에 2번, 아침에 2번, 오후에 1번, 결론 전야에 1번)로 구성되어 있다. 사마리아인의 연간 토라 주기에 따라 주간 토라 부분을 읽고,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식사를 하고, 휴식을 취하며, 잠을 자고, 공동체 내에서 서로 방문하는 것이 권장된다.[18] 안식일 촛불은 사마리아 관습에서는 사용되지 않으며 "불을 피우지 말라"는 성경의 계명을 위반하는 것으로 간주된다.[19][20]5. 2. 불교의 우포사타
고타마 붓다 시대(기원전 500년)부터 우포사타가 지켜져 왔으며, 오늘날에도 테라바다 불교 국가에서 계속 지켜지고 있다. 우포사타는 달의 네 단계를 따라 7일 또는 8일마다 한 번씩 이루어진다. 붓다는 우포사타가 "오염된 마음을 정화"하여 내면의 평온함과 기쁨을 얻는 날이라고 가르쳤다. 이 날, 제자들과 승려들은 수행을 강화하고, 지식을 심화하며, 수천 년 동안 이어져 온 재가 신자와 승려 간의 상호 의무를 통해 공동의 헌신을 표현한다.[11]5. 3. 바빌로니아, 체로키족 등의 전통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은 초승달부터 계산하여 7일, 14일, 21일, 28일을 "성일" 또는 "악한 날"로 기념했다.[21] 이 날들에는 관리들의 특정 활동이 금지되었고, 일반 백성들은 소원을 빌 수 없었으며, 28일은 "휴식의 날"로 알려졌다.[21] 각 날에는 다른 신에게 제물을 바쳤다.[21] 기원전 6세기 키루스 2세와 캄비세스 2세 통치 시기의 점토판 기록에 따르면, 이 날짜는 때때로 정확하지 않았다.[21] 29일 또는 30일의 삭망 주기는 세 개의 7일과 마지막 주(9일 또는 10일)로 구성되어 7일 주기가 연속되지 않았다.[21] 또한, 바빌로니아인들은 19일을 이전 달의 49일째 되는 "분노의 날"로 기념하여 희생과 금지를 행했다.[21]바빌로니아의 ''Shappatum''은 오십진법 달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아모리인 기원으로 추정되는 오십진법 달력은 1년을 50일씩 7기간(7주와 7일, 매주 안식일, 추가 50일인 ''atzeret'' 포함)과 연말에 15일 또는 16일의 ''Shappatum''으로 나누었다. 이 달력은 서부 메소포타미아와 주변 지역에서 기원전 3천 년부터 사용되었으며, 가나안 부족과 쿰란의 에세네파의 전례 달력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체로키족은 초승달이 뜨는 첫날부터 최대 4일간 단식을 하며, 해 뜰 때 조용히 성찰하고 기도하는 공휴일을 가졌다. '무시간' 또는 '무일'이라고 불리는 기간에는 일, 요리, 성관계, 출산이 금지되었고, 이 기간에 출산하는 것은 불운으로 여겨졌다. 체로키족의 새해는 가을에 뜨는 첫 번째 초승달인 '위대한 초승달' 또는 '사냥 달'이었다.
6. 세속적인 안식일 개념
안식일은 종교적인 의미를 넘어 세속적인 개념에도 영향을 주었다. 특히, 현대 사회의 휴일, 주말 개념은 안식일에서 유래되었다고 볼 수 있다.
7일제 주간은 70인역 성경 시기 유대교에서 "사바스" (그리스어: ''사바톤'')라는 용어가 전체 주간을 의미하게 되면서 나타났다. 예수의 바리새인과 세리의 비유에서는 바리새인이 "일주일에 두 번" 금식한다는 내용이 나오는데, 이는 안식일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그리스어: ''디스 투 사바투'', 문자적으로 "안식일의 두 번"). 알렉산드리아의 필로는 십계명에서 네 번째 계명이 거룩한 일곱째 날과 관련이 있다고 말하며, 유대 민족은 매 6일 간격으로 매 7일째 날을 규칙적으로 지킨다고 설명한다.
6. 1. 주말 및 휴일
주말은 관습 또는 법에 의해 노동으로부터 휴식을 위해 정해진 주의 기간이다. 많은 국가에서 비근무일은 토요일과 일요일이며, 이 경우 "주말"은 금요일 업무가 끝날 때 시작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 이 주 5일 근무제는 미국에서 노동 조합이 유대교 안식일을 수용하려 하면서 생겨났으며, 뉴잉글랜드의 면 방직 공장에서 시작되었고 1926년 헨리 포드에 의해 시행되었다.[23][24] 이 제도는 1940년경 미국에서 표준이 되었고, 영어 사용 국가 및 유럽 국가로 확산되어 국제적인 근무일이 되었다. 중국은 1995년에, 홍콩은 2006년에 이 제도를 채택했다.인도 및 일부 다른 국가의 기업은 국제 근무일 또는 토요일에 반나절 근무를 포함하는 더 전통적인 계획을 따를 수 있다. 인도네시아와 레바논은 국제 근무일을 채택했지만, 대부분의 무슬림 국가에서는 금요일이 주말이며, 단독으로 또는 목요일(전체 또는 반나절) 또는 토요일과 함께 주말이다. 일부 대학교에서는 금요일부터 일요일까지 3일 연휴를 허용한다. 이스라엘, 네팔 및 말레이시아 일부 지역의 주말은 금요일(전체 또는 반나절)과 토요일이다.
국가가 지정한 휴식일은 널리 퍼져 있다. 한나라 (기원전 206년 ~ 서기 220년) 법에 따르면 황실 관리들은 열흘짜리 중국 주간 내에서 매 "무"(5일에 한 번)마다 휴식을 취해야 했다. 휴식일은 당나라 (618~907) 시대에 "환" 또는 "순"(10일에 한 번)으로 변경되었다.
6. 2. 안식년 (Sabbatical)
성경의 안식년에서 유래된 현대적 개념의 안식년은 개인의 경력에서 장기간, 종종 1년 동안의 휴지기를 의미한다(일반적으로 7년 주기와 관련이 없음). 이러한 기간은 책을 쓰거나 연구를 위해 광범위하게 여행하는 등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종종 사용된다. 일부 대학 및 과학자, 의사 또는 학자를 고용하는 기타 기관은 "안식 휴가"라고 불리는 유급 안식년을 직원 혜택으로 제공하며, 일부 회사는 경력 단절을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무급 안식년을 제공한다.7. 한국 사회와 안식일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유교 문화의 영향으로 조상 제사와 같은 의례를 중시해 왔다. 근대화 과정에서 기독교, 불교 등 다양한 종교가 유입되면서 종교적 휴일이 공존하게 되었다. 1990년대 이후 주 5일 근무제가 확산되면서, 주말은 종교적인 의미를 넘어 여가, 가족과의 시간, 개인적인 휴식 등 다양한 가치를 추구하는 시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노동조합이 유대교 안식일을 수용하려 하면서 주 5일 근무제가 생겨났으며, 뉴잉글랜드의 면 방직 공장에서 시작되었고 1926년 헨리 포드에 의해 시행되었다.[23] 이 제도는 1940년경 미국에서 표준이 되었고, 영어 사용 국가 및 유럽 국가로 확산되어 국제적인 근무일이 되었다.[24] 중국은 1995년에, 홍콩은 2006년에 이 제도를 채택했다.[24]
참조
[1]
웹사이트
Sabbath Definition & Meaning
http://www.dictionar[...]
Dictionary.com
null
[2]
간행물
World Book Encyclopedia
2018
[3]
성경
[4]
성경
[5]
성경
Jewish Encyclopedia: Sabbath
https://www.jewishen[...]
[6]
서적
Israelology: the missing link in systematic theology
Ariel Ministries
2001
[7]
서적
Leviticus: A Study Guide Commentary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80
[8]
웹사이트
The Sunday-Sabbath Movement in American Reform Judaism: Strategy or Evolution
http://americanjewis[...]
2023-12-09
[9]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onga
https://www.parliame[...]
2018-08-20
[10]
문서
Schaff’s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11]
웹사이트
The WLC Sabbath Challenge
https://www.worldsla[...]
2018-09-04
[12]
웹사이트
The Church of Jesus Christ of Latter-day Saints
https://www.churchof[...]
[13]
문서
The Miracle of Forgiveness
[14]
웹사이트
churchofjesuschrist.org D&C 59:13
https://www.churchof[...]
[15]
웹사이트
– Attending church on Friday
https://www.ldslivin[...]
[16]
웹사이트
churchofjesuschrist.org – Study by Topic – Sabbath
https://www.churchof[...]
[17]
문서
True to the Faith
https://www.churchof[...]
[18]
웹사이트
Sabbath Observance: How Israelite Samaritans Keep the Sabbath
https://www.israelit[...]
2023-05-02
[19]
인용구
[20]
웹사이트
The Samaritan Sabbath
https://biblicalstud[...]
[21]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Ethics
Charles Scribner's Sons
[22]
서적
Lights of Guidance: A Baháʼí Reference File
http://bahai-library[...]
Baháʼí Publishing Trust
2009-03-15
[23]
웹사이트
Where the Five-Day Workweek Came from
https://www.theatlan[...]
2014-08-21
[24]
웹사이트
How the Five Day Work Week Became Popular
http://www.todayifou[...]
2016-09-05
[25]
웹사이트
http://www.biblestud[...]
[26]
웹사이트
http://www.diction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