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는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뇌 내 신경 전달을 증가시키는 항우울제 계열이다. 벤라팍신이 1993년 최초로 개발되었으며, 주요 우울 장애, 섬유근육통, 범불안 장애, 신경병성 통증 등 다양한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SNRI는 SSRI와 유사한 부작용을 공유하며, 세로토닌 증후군, 출혈, 시각 문제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갑작스러운 중단 시에는 금단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어, 전문가의 감독 하에 용량을 점진적으로 줄여나가야 한다. SNRI는 SSRI보다 더 최근에 개발되었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SSRI보다 약간 더 높은 항우울 효과를 보였다. 임신 중에는 SNRI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며, 소아 및 노인 환자에게도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부작용 및 약물 상호 작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 밀나시프란
밀나시프란은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로서, 뇌 내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 농도를 증가시켜 우울증 치료 및 섬유근육통 환자의 통증 완화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 둘록세틴
둘록세틴은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계열 약물로, 주요 우울 장애, 범불안 장애, 신경병성 통증, 만성 근골격 통증, 섬유근육통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미국 임상 종양학회에서는 화학요법으로 유발된 신경병증 치료를 위한 1차 약제로 권고하고,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에서 개발되어 2004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아 시판되었다.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 |
---|---|
약물 분류 | |
종류 | 항우울제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선택적 세로토닌-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 SNaRI |
![]() | |
약리학적 정보 | |
사용 | 우울증 불안 통증 비만 폐경기 증상 |
작용 방식 | 세로토닌 수송체; 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 |
2. 약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받은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는 8가지가 있다.[6] 벤라팍신이 1993년에 최초로 개발되었고, 레보밀나시프란이 2013년에 가장 마지막으로 개발되었다. 이 약물들은 의학적 용도, 화학 구조, 부작용, 효능이 각기 다르다.
한국에서 승인된 SNRI 약물은 다음과 같다.
2. 1. 약물 정보
약물 | 상품명 | FDA 적응증 | 승인 연도 | 화학 구조 | 비고 |
---|---|---|---|---|---|
데스벤라팍신[7] | 프리스틱(Pristiq) | 2007 | 벤라팍신의 활성 대사체이다. 유사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일부 증거에 따르면 벤라팍신 및 둘록세틴에 비해 반응률이 낮다. 2008년 5월 와이어스(Wyeth)에서 출시되었으며, 세 번째로 승인된 SNRI였다.[8] | ||
둘록세틴[9] | 심발타(Cymbalta) | 2004 | 2004년 8월 우울증 및 신경병성 통증 치료제로 승인되었다. 둘록세틴은 과도한 알코올 섭취 또는 만성 간 질환 환자에게 금기이며, 급성 간염 또는 기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특정 간 효소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간 손상 위험은 이미 위험에 처한 환자에게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며, 드물지만 건강한 환자에게서 자발적으로 간부전을 일으킬 수 있는 항우울제 네파조돈과는 다르다.[12] 주요 우울 장애 (MDD), 범불안 장애 (GAD), 당뇨병성 신경병증, 만성 근골격 통증(만성 골관절염 통증 및 만성 요통 포함)에도 승인되었다.[10] 간 대사를 거치며 간 시토크롬 P450 효소 CYP 2D6의 억제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CYP 2D6에 의해 대사되는 다른 약물과 함께 복용할 때는 잠재적인 약물 상호 작용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3] | ||
레보밀나시프란 | 페트지마(Fetzima) | 2013 | 밀나시프란의 좌선 회전 이성질체이다. 미국과 캐나다에서 우울증 치료를 위해 개발 중이며, 2013년 7월 MDD 치료를 위해 FDA의 승인을 받았다. | ||
밀나시프란 | 익셀(Ixel) 사벨라(Savella) 임펄서(Impulsor) | 1996 | 우울증 및 섬유근육통 치료에 유의하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14] 식품의약국 (FDA)은 2009년 1월 미국에서 섬유근육통 치료를 위해 밀나시프란을 승인했지만, 해당 국가에서는 우울증 치료를 위해 승인되지 않았다. 수년 동안 유럽과 아시아에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했다. 1996년 프랑스에서 처음 출시되었다. | ||
시부트라민 | 메리디아(Meridia) | 1997 | 우울증 치료를 위해 개발된 대신, 식욕 억제제로 체중 감량 목적으로 널리 판매된 SNRI이다. 30년 만에 비만 치료제로 승인된 최초의 약물이었다.[16] 심혈관 질환 및 뇌졸중의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2010년 미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 및 지역에서 시장에서 철수되었다.[17] | ||
트라마돌 | 울트람(Ultram) | 1977 | 이중 약한 아편유사제이자 SNRI이다. 1995년 FDA의 승인을 받았지만, 1977년부터 독일에서 판매되었다. 급성 및 만성 통증 치료에 사용된다. 섬유근육통 치료에 효과를 보였지만, 이 목적을 위해 특별히 승인되지는 않았다. 항우울제 및 신경병성 통증 치료제로 연구되고 있다. 벤라팍신과 화학 구조가 관련되어 있다. 아편유사제이므로 남용 및 중독의 위험이 있지만, 다른 아편유사제(하이드로코돈, 옥시코돈 등)에 비해 남용 가능성, 호흡 억제, 변비가 적다.[18] | ||
벤라팍신 | 에펙서(Effexor) | 1994 | 최초이자 가장 널리 사용되는 SNRI이다. 1994년 와이어스에 의해 소개되었다. 재흡수 효과는 용량 의존적이다. 낮은 용량(<150 mg/day)에서는 세로토닌성 전송에만 작용한다. 중간 용량(>150 mg/day)에서는 세로토닌성 및 노르아드레날린성 시스템에 작용하며, 고용량(>300 mg/day)에서는 도파민성 신경전달에도 영향을 미친다.[20] 소량의 벤라팍신은 폐경의 혈관 운동 증상 (열감 및 야간 발한) 치료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19] |
다음은 일본에서 승인된 SNRI이다.
3. 역사
1952년, 아이프로니아지드가 정신 작용 특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자들은 아이프로니아지드를 투여받은 환자들이 더 쾌활해지고, 낙관적으로 변하며, 신체 활동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했다. 아이프로니아지드 및 관련 물질들은 효소 모노아민 산화 효소의 억제를 통해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의 효소 분해를 늦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로 이 계열의 약물은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MAOI)로 알려지게 되었다.[21] 이 시기에, 뚜렷하게 다른 항우울제 개발도 연구되었다. 이미프라민은 임상적으로 유용한 최초의 삼환계 항우울제(TCA)가 되었다. 이미프라민은 여러 신경 전달 물질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며, 시냅스에서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차단하여 이러한 신경 전달 물질의 수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MAOI와 TCA의 사용은 우울증 치료에 큰 발전을 가져왔지만, 불쾌한 부작용과 심각한 안전 및 독성 문제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었다.[21]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정동의 카테콜아민 가설과 우울증과의 관계가 큰 관심을 받았으며,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도파민과 같은 특정 신경 전달 물질의 감소된 수치가 우울증의 발병 기전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었다. 이는 최초의 SSRI인 플루옥세틴의 개발로 이어졌다. TCA 및 MAOI와 비교하여 주요 우울 장애(MDD) 환자에서 SSRI의 개선된 안전성과 내약성은 우울증 치료에서 또 다른 중요한 진전을 나타냈다.[21]
1980년대 후반 이후, SSRI는 항우울제 시장을 지배해 왔다. 오늘날, 효능과 내약성 측면에서 개선을 제공할 수 있는 더 광범위한 작용 기전을 가진 항우울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1993년, 벤라팍신이라는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가 미국 시장에 출시되었다.[22] 벤라팍신은 페닐에틸아민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종류의 항우울 물질에서 처음으로 설명된 화합물이다. 이러한 물질들은 TCA 및 다른 SSRI와 관련이 없다. 벤라팍신은 중추 신경계에서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및 (덜하지만) 도파민의 신경 재흡수를 차단한다. 다른 몇몇 항우울제와는 대조적으로, 벤라팍신은 주로 이후의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로 인해 빠른 작용 발현을 유도할 수 있다.[23]
4. 작용 기전
모노아민은 우울증의 병태생리학과 관련이 있다. 우울증 증상은 노르에피네프린 및 세로토닌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농도가 불충분하여 일어날 수 있으며, 이는 하위 변화를 초래한다.[24][25] 항우울제는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의 전달에 영향을 미친다.[24] 삼환계 항우울제(TCA) 및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MAOI)와 같이 오래되고 덜 선택적인 항우울제는 뇌에서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의 재흡수 또는 대사를 억제하여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높인다.[25] 이중 작용 기전을 가진 항우울제는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모두 억제하며, 어떤 경우에는 약한 효과로 도파민의 재흡수를 억제한다.[24]
항우울제는 무스카린성 콜린성, α1- 및 α2-아드레날린성, H1-히스타민성, 그리고 심근의 나트륨 채널과 같은 다양한 신경 수용체에 영향을 미쳐 심장 전도 감소 및 심장 독성을 유발하는데, 이는 특히 TCA와 관련이 있으며,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와는 덜 관련이 있다.[26] 항우울제의 선택성은 우울증 증상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신경전달물질에 기반한다.[27]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약물은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며 TCA보다 내약성이 더 좋다. TCA는 다양한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쳐 내약성이 떨어지고 독성 위험이 증가한다.[2]
4. 1. 삼환계 항우울제 (TCA)
삼환계 항우울제(TCA)는 최초로 개발된 이중 작용 기전 약물이다. TCA는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수송체와 세로토닌 재흡수 수송체에 이중 억제 효과를 가져, 이 두 수송 단백질을 모두 억제하여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의 농도를 증가시킨다.[28][29] 그러나 TCA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보다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단백질에 대한 친화력이 훨씬 더 높다.[28][29]TCA는 아드레날린 수용체와 상호 작용하여 시냅스 틈새에서 노르에피네프린 가용성을 증가시킨다.[29] 또한 시냅스 전 수용체에 영향을 주어 음성 피드백 메커니즘을 활성화한다.[29] TCA는 도파민 수송을 직접 차단하지 않지만, 대뇌 피질의 노르아드레날린 말단으로 도파민 수송을 억제하여 간접적으로 도파민성 효과를 촉진할 수 있다.[29]
TCA는 다양한 수용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부작용, 내약성 부족, 독성 위험이 증가한다.[2]
4. 2.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SSRI)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는 세로토닌 재흡수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널리 사용되는 항우울제 그룹이다.[31] 삼환계 항우울제(TCA)에 비해 수용체 선택성이 높아 내약성이 떨어지는 등의 원치 않는 부작용을 피할 수 있다.[29] 세로토닌은 L-트립토판이라는 아미노산으로부터 합성된다. 능동 수송 시스템은 트립토판이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는 것을 조절한다. 뇌 내 세로토닌 경로는 크게 내측 및 등쪽 솔기핵에서 시작되는 상행 투사 경로와 미측 솔기핵에서 척수로 이어지는 하행 투사 경로 두 가지로 분류된다.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약물은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며 TCA보다 내약성이 더 좋다.[2] TCA는 다양한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쳐 내약성이 떨어지고 독성 위험이 증가한다.[2]
일본 우울증 학회의 우울증 진료 가이드라인은 유효성과 내약성 면에서 SSRI, SNRI, 미르타자핀을 포함한 새로운 항우울제에 우열을 가릴 수 없다고 보고한다.[104]
2013년 일본 후생노동성은 주요 우울 장애에 대해 18세 미만에 투여해도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며 첨부 문서를 개정하고 의사에게 신중한 투여를 요청하도록 일본 제약 단체 연합회에 요청했다. 대상은 "트레도민", "심발타" 외에 SSRI가 4개 제품, NaSSA가 2개 제품으로 총 8개 제품이다.[105][106]
4. 3.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NRI)
SNRI 투여는 시냅스 틈새의 노르에피네프린 농도를 증가시켜 청반 뉴런 활동을 유도한다. SNRI는 mACh, α1 및 α2 아드레날린 수용체, H1 수용체에 대한 결합 경향성은 미미하다.[2][24][25][26][27]4. 4. 이중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SNRI)
비-삼환계 SNRI는 약동학, 활성 대사 물질로의 대사, CYP 이성질체 억제, 약물 상호 작용, 반감기 등에서 차이점을 보인다.[24][25][26][27] 단일 활성 제제에서 작용 기전 조합은 정신약리학에서 중요한 발전이다.[24]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약물은 TCA보다 내약성이 더 좋으며,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한다. TCA는 다양한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쳐 내약성이 떨어지고 독성 위험이 증가한다.[2]
여러 재흡수 억제제는 아릴옥시프로판아민 골격을 포함하고 있다. 이 구조는 생체 아민 수송체에 대한 높은 친화력 결합 가능성이 있다.[35] 아릴옥시프로판아민 골격을 포함하는 약물은 아릴옥시 고리의 치환 패턴에 따라 노르에피네프린 및 세로토닌 수송체에 대한 선택성을 나타낸다. 둘록세틴은 2' 및 3' 위치에 페닐기가 융합되어 있어, 이중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및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 효과를 가지며 두 수송체에 대한 효능이 유사하다.[36]
다음은 미국 FDA에서 여러 의학적 사용에 대한 승인을 받은 SNRI이다.
- 데스벤라팍신 (Pristiq): 주요우울장애
- 둘록세틴 (Cymbalta): 주요우울장애, 섬유근통, 범불안장애, 당뇨신경병증, 만성 근골격통, 스트레스성 요실금
- 레보밀나시프란 (Fetzima): 주요우울장애
- 밀나시프란 (Ixel): 섬유근통, 주요우울장애
- 시부트라민 (Meridia): 비만증
- 트라마돌 (Ultram): 급성 및 만성 통증
- 벤라팍신 (Effexor): 주요우울장애, 범불안장애, 사회불안장애, 공황장애, 만성 통증 증후군, 폐경기 혈관운동성 증상 (열감)
일본에서 사용되는 SNRI는 다음과 같다.
일본 우울증 학회의 진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SSRI, SNRI, 미르타자핀을 포함한 새로운 항우울제는 유효성과 내약성 면에서 큰 차이가 없다.[104]
2013년 일본 후생노동성은 주요 우울 장애에 대해 18세 미만에 투여해도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며 첨부 문서를 개정하고 의사에게 신중한 투여를 요청했다.[105][106]
5. 구조 활성 관계 (SAR)
여러 재흡수 억제제는 아릴옥시프로판아민 골격을 포함한다.[40] 벤라팍신과 데스벤라팍신은 사이클로알칸올 에틸아민 스캐폴드를 포함한다.[36] 방향족 고리의 전자 끌기 성질을 증가시키면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에 대한 억제 효과가 더 강력해지고, 세로토닌 수송체보다 노르에피네프린에 대한 선택성이 향상된다.[36] 사이클로알칸올 에틸아민 스캐폴드의 방향족 고리에 클로로, 메톡시 및 트리플루오로메틸 치환체의 효과가 시험되었다. 그 결과 가장 강력한 전자 끌기 ''m''-트리플루오로메틸 유사체가 노르에피네프린에 대한 가장 강력한 억제 효과와 세로토닌 재흡수에 대한 가장 높은 선택성을 나타냈다.[36]
둘록세틴 개발 전에, 아릴옥시프로판아민 구조 활성 관계 탐구를 통해 플루옥세틴과 아토목세틴이 확인되었다. 동일한 모티프는 모르폴린 고리 시스템에 제한된 레복세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레복세틴의 산소를 황으로 대체하여 아릴티오메틸 모르폴린을 만드는 연구도 이루어졌다. 일부 아릴티오메틸 모르폴린 유도체는 강력한 수준의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 효과를 유지한다. 이중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는 아릴티오메틸 모르폴린 골격의 서로 다른 거울상 이성질체에 존재한다.[41]
6. 임상 시험
밀나시프란은 다른 SNRI와 구조적으로 다르다.[28] 밀나시프란 유도체의 수송체 수준에서의 구조 활성 관계는 여전히 불분명하며, 1987년에 보고된 생체 내 효능에 기반한다. 연구에 따르면 치환기 R3에 2-메틸기를 도입하면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 수송체에서의 효능이 거의 사라진다. 치환기 R1과 R2의 메틸기도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 수송체에서의 효능을 없앤다. 연구자들은 밀나시프란의 에틸기 중 하나를 알릴 모이어티로 대체하면 노르에피네프린 효능이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했다.[39] 밀나시프란 유도체의 약효 구조는 여전히 불분명하다.[38]
밀나시프란의 컨포메이션은 약효 구조의 중요한 부분이다. 입체화학을 변경하면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 농도에 영향을 미친다. 밀나시프란은 라세미 혼합물로 판매된다. 밀나시프란의 효과는 ((1''S'',2''R'')-이성질체에 있으며, (1''S'',2''R'')-이성질체에서 페닐기의 치환은 노르에피네프린 농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39] 밀나시프란은 낮은 분자량과 낮은 친유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밀나시프란은 높은 생체 이용률, 낮은 개체 간 변동성, 제한적인 간 효소 상호 작용, 적당한 조직 분포 및 적절한 긴 제거 반감기와 같은 거의 이상적인 약동학을 인간에게 나타낸다. 밀나시프란이 사이토크롬 P450 효소를 통한 약물-약물 상호 작용이 없다는 점은 많은 중추 신경계 약물이 고도로 친유성이며 주로 간 효소에 의해 제거되기 때문에 매력적인 특징으로 여겨진다.[39]
6. 1. 우울증
여러 연구에서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활성을 결합한 항우울제가 세로토닌 재흡수에만 작용하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보다 일반적으로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항우울제는 주요 우울 장애(MDD) 치료에 있어 SSRI에 비해 약간 효능이 더 좋을 수 있지만,[43] 내약성은 약간 떨어진다.[44] 이러한 종류의 항우울제 간의 특정 MDD 하위 집단 또는 특정 MDD 증상에 대한 효능 차이를 조사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일본 우울증 학회의 우울증 진료 가이드라인은 유효성과 내약성 면에서 SSRI, SNRI, 미르타자핀을 포함한 새로운 항우울제에 우열을 가릴 수 없다고 한다.[104]
2013년 일본 후생노동성은 주요 우울 장애에 대해 18세 미만에 투여해도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며 첨부 문서를 개정하고 의사에게 신중한 투여를 요청하도록 일본 제약 단체 연합회에 요청했다. 대상은 "트레도민", "심발타" 외에 SSRI가 4개 제품, NaSSA가 2개 제품으로 총 8개 제품이다.[105][106]
6. 2. 진통 효과
SNRI는 중추성 및 신경병성 통증 질환의 통증과 기능 장애 감소에 도움을 준다. 범불안 장애(GAD) 환자에서 SNRI인 둘록세틴은 단기 및 장기 치료 후 GAD 관련 통증 증상을 줄이는 데 위약보다 효과적이다.[43][44]7. 적응증
SNRI는 다음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약물 | 적응증 |
---|---|
데스벤라팍신 | 주요우울장애 |
둘록세틴 | 주요우울장애, 섬유근통, 범불안장애, 당뇨신경병증, 만성 근골격통, 스트레스성 요실금 |
레보밀나시프란 | 주요우울장애 |
밀나시프란 | 섬유근통, 주요우울장애 |
시부트라민 | 비만증 |
트라마돌 | 급성 및 만성 통증 |
벤라팍신 | 주요우울장애, 범불안장애, 사회불안장애, 공황장애, 만성 통증 증후군, 폐경기 혈관운동성 증상 (열감) |
여러 연구에서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활성을 결합한 항우울제가 세로토닌 재흡수에만 작용하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보다 일반적으로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항우울제는 주요 우울 장애(MDD) 치료에 있어 SSRI에 비해 약간의 효능상의 이점을 가질 수 있지만,[43] 내약성은 약간 떨어진다.[44]
임상 시험 데이터를 통해 SNRI가 진통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이 나타났다. 중추 신경계에서 통증 자극의 인식과 전달 과정이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이 통증 조절에 관여한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광범위한 데이터가 존재한다. SNRI의 이러한 특성은 다른 진통제의 복용량을 줄이고 안전성, 효능 제한, 내약성 문제의 빈도를 낮추는 데 사용될 수 있다.[45]
임상 연구 데이터에 따르면, 범불안 장애(GAD) 환자에서 SNRI인 둘록세틴이 단기 및 장기 치료 후 GAD와 관련된 통증 증상을 줄이는 데 위약보다 유의하게 더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신체적 통증 증상은 재발 상황에서 다시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GAD 환자 중 신체적 통증 증상을 동반하는 환자의 지속적인 치료의 필요성을 시사한다.[46]
SNRI는 주요 우울 장애(MDD),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범불안 장애(GAD), 사회 불안 장애(SAD), 강박 장애,[47] 공황 장애, 신경병성 통증, 섬유 근육통, 만성 근골격계 통증의 치료를 위해 시험되었다.
8. 약리학
SNRI는 보통 캡슐이나 정제 형태로 경구 투여된다. SNRI는 아침 식사와 함께 복용하는 것이 권장되는데, 이는 약물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특정 부작용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48] 노르에피네프린은 신체 내에서 활성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취침 시간에 복용하면 일부 환자에게 불면증을 유발할 수 있다.[49]
8. 1. 작용 방식
SNRI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작용한다. 이로 인해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세포외 농도가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신경 전달이 증가한다.[53] 벤라팍신, 데스벤라팍신, 둘록세틴을 포함한 대부분의 SNRI는 노르에피네프린보다 세로토닌에 대해 몇 배 더 선택적이며, 밀나시프란은 세로토닌보다 노르에피네프린에 대해 세 배 더 선택적이다.[53] 노르에피네프린 수치의 증가는 신경병성 통증에 효과적인 항우울제가 되기 위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53]최근 연구에 따르면 우울증은 염증 반응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54] SNRI는 미세아교세포에 상당한 항염증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5]
8. 2. 약력학
대부분의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는 주요 대사체 및 2차 대사체와 함께 작용하여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및 미량의 도파민 재흡수를 억제한다. 예를 들어, 벤라팍신은 주요 대사체인 ''O''-데스메틸벤라팍신과 함께 뇌에서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강력하게 억제한다.[56] 또한, 도파민 수송체가 거의 없는 뇌의 전두엽 피질에서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에 의해 도파민이 비활성화되기 때문에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은 공동 수송 방식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SNRI의 효과는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 활성 증가와 더불어 도파민 신경전달을 증가시킨다.[56] SNRI는 매우 선택적이므로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와 달리 의도하지 않은 다른 수용체에 측정 가능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57] 제약 테스트에 따르면 SNRI 또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를 사용하면 미세 아교 세포에도 상당한 항염증 작용이 생성될 수 있다.[55][15][58][59][10][60]8. 3. 약동학
벤라팍신의 반감기는 약 5시간이며, 활성 대사체인 데스벤라팍신은 더 오래 지속된다.[59] 데스벤라팍신의 반감기는 약 11시간이다.[58] 둘록세틴의 반감기는 약 12시간(범위: 8~17시간)이다.[10] 밀나시프란의 반감기는 약 6~8시간이다.[60]9. 금기
SNRI는 세로토닌 증후군의 위험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최근 2주 이내에 MAOI를 복용한 환자에게는 투여하면 안 된다.[64] SNRI와 함께 복용하면 세로토닌 증후군의 위험이 커지는 약물이나 물질에는 항우울제, 항경련제, 진통제, 항구토제, 편두통 치료제, 메틸렌 블루, 리네졸리드, 리튬, 세인트존스워트, 엑스터시, LSD 등이 있다.[64] 세로토닌 증후군의 증상으로는 고열, 경직, 근간대성 경련, 불안정한 자율 신경계, 심한 흥분에서 섬망 및 혼수로 이어지는 정신 상태 변화 등이 있다.[10]
SNRI는 노르에피네프린 수치를 높여 노르아드레날린성 활성을 증가시키므로, 치료 전에 고혈압을 조절하고 치료 중에는 혈압을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한다.[65] 둘록세틴은 간부전과 관련이 있으므로, 만성 알코올 섭취나 간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처방해서는 안 된다.[66] 관상 동맥 질환 환자는 SNRI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67] 또한, 신경성 식욕 부진증이나 신경성 폭식증과 같은 심각한 섭식 장애 환자에게는 SNRI 처방을 피해야 한다.[15] 둘록세틴과 밀나시프란은 조절되지 않는 좁은 각 녹내장 환자에게는 산동 발생률을 높이므로 투여하면 안 된다.[10][60]
SNRI는 양극성 장애 I형의 우울 삽화 치료에는 사용해서는 안 되며, 조증을 피하기 위해 기분 안정제와 함께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양극성 장애 II형의 우울증 치료에만 사용해야 한다.[68]
10. 부작용
SNRI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와 유사하게 작용하여 세로토닌 수치를 높이기 때문에, 많은 부작용을 공유한다. 흔한 부작용으로는 메스꺼움/구토, 발한, 식욕 부진, 어지럼증, 두통, 자살 생각 증가 등이 있다.[69] 노르에피네프린 수치 상승은 때때로 불안, 약간의 맥박 상승, 혈압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레복세틴 및 데시프라민과 같은 노르에피네프린 선택적 항우울제는 불안 장애 치료에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70] 고혈압 및 심장 질환의 위험이 있는 사람은 혈압을 모니터링해야 한다.[15][58][59][60]
10. 1. 성 기능 장애
SNRI는 SSRI와 유사하게 발기 부전, 성욕 감퇴, 성적 무쾌감증과 같은 여러 유형의 성 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10][59][71] 흔한 두 가지 성적 부작용은 성적 관심(성욕) 감소와 절정에 도달하기 어려움(무쾌감증)인데, 이는 일반적으로 SSRI에 비해 SNRI에서 다소 덜 심각하다.[72] 성 기능 장애를 관리하기 위해, 부프로피온으로 전환하거나 보조 요법으로 사용하거나, PDE5 억제제를 추가하면 성 기능 장애 증상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3] 실데나필(비아그라), 타다라필(시알리스), 바데나필(레비트라), 아바나필(스텐드라)과 같은 PDE5 억제제가 발기 부전을 포함한 성 기능 장애를 줄이는 데 때때로 도움이 되었지만,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73]10. 2. 세로토닌 증후군
SNRI의 심각하지만 드문 부작용은 세로토닌 증후군인데, 이는 체내 세로토닌 과잉으로 인해 발생한다. 세로토닌 증후군은 SSRI나 SNRI와 같은 여러 세로토닌성 약물을 복용하여 발생할 수 있다. 세로토닌 증후군을 유발하는 다른 약물에는 MAO 억제제, 리네졸리드, 테디졸리드, 메틸렌 블루, 프로카바진, 암페타민, 클로미프라민 등이 있다.[74] 세로토닌 증후군의 초기 증상으로는 메스꺼움, 구토, 설사, 발한, 흥분, 혼란, 근육 경직, 동공 확장, 고체온증, 경직, 소름 등이 있다. 더 심각한 증상으로는 발열, 발작, 불규칙한 심박수, 헛소리, 혼수가 있다.[75][76][10] 징후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세로토닌성 약물 치료를 중단해야 한다.[75] MAO 억제제를 사용하기 전에 세로토닌성 약물의 반감기를 4~5회 씻어내는 것이 권장된다.[77]10. 3. 출혈
일부 연구에서는 SNRI, 특히 벤라팍신이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고 혈소판 세로토닌 수치를 고갈시켜 상부 위장관 출혈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보고한다.[78][79] SNRI는 항응고제인 와파린과 상호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SSRI가 SNRI보다 출혈 위험이 더 높다는 증거가 더 많다.[78] 이부프로펜이나 나프록센과 같은 고용량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를 SNRI 또는 SSRI와 함께 사용할 때 상부 위장관 출혈 위험이 증가하므로 주의해야 한다.[34]10. 4. 시각 문제

SNRI는 시각 눈 증후군(VSS)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시각적인 정적 현상, 잔상증, 야맹증, 광과민증과 같은 증상으로 나타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SNRI 복용자의 8.9%가 시각 눈을, 10.5%가 잔상증을, 15.3%가 광과민증을, 17.7%가 야맹증을 경험했다.[80] 아미트리프틸린과 시탈로프람 또한 VSS 증상을 악화시키거나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80]
11. 주의 사항
SNRI 요법을 시작하는 환자에게는 일반적으로 약물의 효과에 신체가 적응할 수 있도록 낮은 용량을 처방하고, 부작용이 없으면 점진적으로 증량한다.[81]
11. 1. 중단 증후군
SNRI의 갑작스러운 중단은 금단 또는 "중단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불안 등의 증상이 포함될 수 있다.[82] 따라서 SNRI 중단을 원하는 경우 전문가의 감독 하에 용량을 점진적으로 줄여나가는 것이 좋다. 중단 증후군은 다른 SNRI에 비해 벤라팍신에서 특히 더 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82] 트라마돌 역시 벤라팍신과 관련이 있으므로 동일한 주의가 필요하다.[82]벤라팍신의 경우, 비교적 짧은 반감기로 인해 중단 시 약물이 빠르게 제거되기 때문에 중단 증상이 더 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벤라팍신에서 장시간 작용하는 SSRI인 플루옥세틴으로 전환한 후, 플루옥세틴의 용량을 점차 줄여 중단 증상을 완화하는 방법이 권장될 수 있다.[83][84]
SNRI를 갑자기 중단했을 때 나타나는 금단 증상으로는 현기증, 불안, 불면증, 메스꺼움, 발한, 무기력 및 권태감과 같은 독감 유사 증상 등이 있다.[84]
12. 과다 복용
SNRI의 과다 복용은 약물 조합 또는 과도한 양의 약물 자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벤라팍신은 과다 복용 시 SSRI나 둘록세틴보다 독성이 약간 더 높다.[15][58][59][10][60][85]
SNRI 과다 복용 증상은 약물 상호 작용 여부와 관계없이 복용한 약의 양과 SNRI 치료에 대한 개인의 민감도에 따라 강도와 발생 빈도가 다르다. 가능한 증상은 다음과 같다:[10]
과량 복용은 일반적으로 증상에 따라 치료하며, 특히 세로토닌 증후군의 경우 시프로헵타딘과 세로토닌 독성의 진행 정도에 따른 체온 조절이 필요하다.[86] 환자는 종종 활력 징후를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수준의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기도 확보를 한다. 또 다른 방법은 과도한 신경 전달 물질을 흡수하기 위해 위장관에 활성탄을 사용하는 것이다.[10]
13. SSRI와의 비교
SNRI는 SSRI보다 더 최근에 개발되었으며, 따라서 종류가 비교적 적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NRI는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항우울제 중 하나이다. 2009년, 둘록세틴(심발타)와 벤라팍신(에펙서)는 미국에서 각각 11번째와 12번째로 많이 처방된 브랜드 의약품이었으며, 이는 SSRI인 에스시탈로프람(렉사프로)에 이어 두 번째와 세 번째로 흔한 항우울제였다.[87]
일부 연구에서는 SNRI가 SSRI보다 항우울 효과가 약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률 63.6% 대 59.3%).[43] 그러나 다른 연구에서는 에스시탈로프람이 벤라팍신보다 더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88]
일본 우울증 학회의 우울증 진료 가이드라인에서는 SSRI, SNRI, 미르타자핀을 포함한 새로운 항우울제 간의 효능 및 내약성에 대해 뚜렷한 우열을 가릴 수 없다고 언급하고 있다.[104]
2013년 일본 후생노동성은 주요 우울 장애에 대해 18세 미만에 투여해도 효과를 확인할 수 없다는 이유로 첨부 문서를 개정하고, 의사에게 신중한 투여를 요청하도록 일본 제약 단체 연합회에 요청했다. 대상 의약품은 SNRI인 "트레도민", "심발타" 외에 SSRI 4개 제품, NaSSA 2개 제품으로 총 8개 제품이다.[105][106]
14. 특수 집단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는 특정 집단에서 사용될 때 주의가 필요하다.
임신임신 중에는 어떠한 항우울제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89] 임신 중 항우울제 사용은 태아에게 기형을 유발할 수 있으며,[89] 산모에게는 고혈압,[90] 자간전증,[91] 유산,[92] 소아 발작[93] 등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소아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와 SNRI는 소아 우울 장애 및 불안 치료에 효과적이지만,[94] 벤라팍신과 같은 일부 SNRI는 자살 충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94] 플루옥세틴과 에스시탈로프람은 소아/청소년 주요 우울 장애에 대해 승인된 항우울제이다.[95] 둘록세틴은 소아 GAD에 대해 FDA 승인을 받은 유일한 SNRI이다.[95][96] 이러한 약물은 심리 치료와 병행하는 것이 좋다.[97][95] 2013년 일본 후생노동성은 주요 우울 장애에 대해 18세 미만에 투여해도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며 첨부 문서를 개정하고 의사에게 신중한 투여를 요청했다.[105][106]
노인대부분의 항우울제는 노인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이지만,[98] 약물 상호 작용의 위험이 더 크다.[98] 시작 용량은 젊은 성인보다 절반으로 줄이는 것이 일반적이다.[99]
14. 1. 임신
임신 중에는 어떠한 항우울제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89] 임신 중 항우울제 사용은 태아의 뇌 및 행동 기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기형을 초래할 수 있다.[89] 연구에 따르면, SNRI로 치료받은 임산부는 고혈압[90], 자간전증[91], 유산[92], 소아 발작[93] 및 기타 여러 가지 부작용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4. 2. 소아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와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는 소아 주요 우울 장애 및 불안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94] 그러나 청소년은 성인과 비교하여 대사, 신장 기능, 총 체수분 및 체지방 비율의 차이가 있어 약물의 약동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95] 또한, 주요 우울 장애 치료를 위해 소아에게 투여 시 자살 충동이 증가할 위험이 있으며, 특히 벤라팍신을 사용할 경우 더욱 그렇다.[94]플루옥세틴과 에스시탈로프람은 소아/청소년 주요 우울 장애에 대해 승인된 유일한 항우울제이다.[95] 2023년 문헌 검토 결과에 따르면 소아 범불안장애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SNRI인 둘록세틴은 SSRI가 일반적으로 1차 치료제임에도 불구하고 소아 GAD에 대해 FDA 승인을 받은 유일한 약물이다.[95][96] 이러한 약물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심리 치료와 병행하는 것이 권장된다.[97][95]
2013년 일본 후생노동성은 주요 우울 장애에 대해 18세 미만에 투여해도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며 첨부 문서를 개정하고 의사에게 신중한 투여를 요청하도록 일본 제약 단체 연합회에 요청했다. 대상은 "트레도민", "심발타" 외에 SSRI가 4개 제품, NaSSA가 2개 제품으로 총 8개 제품이다.[105][106]
14. 3. 노인
대부분의 항우울제는, SNRI를 포함하여, 노인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이다. 노인은 여러 약제를 동시에 복용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약물 상호 작용과 관련된 부작용의 위험이 더 크다.[98] (약물) 결정은 종종 함께 앓고 있는 질환, 약물 상호 작용 및 환자 내성을 기반으로 한다. 신체 구성과 신진대사의 차이로 인해, 시작 용량은 종종 젊은 성인에게 권장되는 용량의 절반이다.[99]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요인들이 노인에게 SNRI로 치료할 때 부작용의 위험을 증가시키지만, SSRI로 치료할 때는 그렇지 않다.[100][101]참조
[1]
웹사이트
SNRIs
https://my.cleveland[...]
2023-03-05
[2]
논문
SNRIs: their pharmacology, clinical efficacy, and tolerability in comparison with other classes of antidepressants
2005-09
[3]
논문
Inhibition of serotonin and norepinephrine reuptake and inhibition of phosphodiesterase by multi-target inhibitors as potential agents for depression
2009-10
[4]
논문
An update on the pharmacologic management and treatment of neuropathic pain
2017-03
[5]
논문
Clinically relevant pharmacokinetic drug interactions with second-generation antidepressants: an update
2008-07
[6]
논문
A brief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antidepressant drugs: from monoamines to glutamate
2015-02
[7]
논문
Desvenlafaxine succinate: A new serotonin and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2006-08
[8]
논문
Desvenlafaxine: a new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adul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2009-06
[9]
논문
Efficacy of duloxetine, a potent and balanced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in persistent pain models in rats
2004-11
[10]
웹사이트
Cymbalta- duloxetine hydrochloride capsule, delayed release
https://dailymed.nlm[...]
2021-09-20
[11]
웹사이트
Yentreve (duloxetine hydrochloride) Hard Gastro-Resistant Capsules.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http://www.ema.europ[...]
European Medicines Agency
2016-08-29
[12]
웹사이트
Nefazodone hydrochloride tablet
https://dailymed.nlm[...]
2021-11-16
[13]
논문
Duloxetine: a review of its use in the treat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2007
[14]
논문
The clinical use of milnacipran for depression
2003-02
[15]
웹사이트
Meridia (sibutramine hydrochloride monohydrate) Capsules C-IV. Full Prescribing Information (archived label)
https://dailymed.nlm[...]
Abbott Laboratories, North Chicago, IL 60064, USA
2016-09-02
[16]
논문
The discovery and status of sibutramine as an anti-obesity drug
2002-04
[17]
뉴스
Abbott Pulls Diet Drug Meridia Off US Shelves
https://online.wsj.c[...]
2010-10-08
[18]
논문
Tramadol sustained-release capsules
2006
[19]
논문
Low-dose estradiol and the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venlafaxine for vasomotor symptom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2014-07
[20]
논문
Dose-dependent noradrenergic and serotonergic properties of venlafaxine in animal models indicative of antidepressant activity
1998-07
[21]
논문
History of the Use of Antidepressants in Primary Care
http://www.psychiatr[...]
2014-03-05
[22]
논문
Venlafaxine: a 2003 update
2003-08
[23]
논문
An open assessment of the acceptability, efficacy, and tolerance of venlafaxine in usual care settings
[24]
논문
Duloxetine hydrochloride: a new dual-acting medication for the treat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2005-08
[25]
논문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desipramine and reboxetine on locus coeruleus neurons in rat brain slices
2004-05
[26]
논문
Cardiovascular side effects of new antidepressants and antipsychotics: new drugs, old concerns?
[27]
논문
The role of noradrenaline and selective noradrenaline reuptake inhibition in depression
2002-10
[28]
서적
Foye's principles of medicinal chemistr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9]
서적
Goodman &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McGraw-Hill
[30]
서적
Human Physiology
Pearson
[31]
논문
Mechanisms of action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in the treatment of psychiatric disorders
1999-07
[32]
논문
Antidepressant efficacy and side-effect burden: a quick guide for clinicians
2015
[33]
논문
The role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in preventing relaps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2018-01
[34]
서적
Applied Therapeutics: The Clinical Use of Drugs, 11e
Wolters Kluwer
[35]
논문
Discovery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of novel selective norepinephrine and dual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2005-02
[36]
논문
Synthesis and activity of a new class of dual acting norepinephrine and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3-(1H-indol-1-yl)-3-arylpropan-1-amines
2006-12
[37]
논문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of the cycloalkanol ethylamine scaffold: discovery of selective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2008-07
[38]
논문
Studies on the SAR and pharmacophore of milnacipran derivatives as monoamine transporter inhibitors
2008-02
[39]
논문
Identification of 1S,2R-milnacipran analogs as potent norepinephrine and serotonin transporter inhibitors
2008-06
[40]
논문
3-(Arylamino)-3-phenylpropan-2-olamines as a new series of dual norepinephrine and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2009-05
[41]
논문
Benzothienyloxy phenylpropanamines, novel dual inhibitors of serotonin and norepinephrine reuptake
2004-11
[42]
논문
Design and synthesis of morpholine derivatives. SAR for dual serotonin & noradrenaline reuptake inhibition
2008-04
[43]
논문
Are antidepressant drugs that combine serotonergic and noradrenergic mechanisms of action more effective than the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in treating major depressive disorder? A meta-analysis of studies of newer agents
2007-12
[44]
논문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omparison of venlafaxine and fluoxetine treatment in depressed outpatients
[45]
논문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for pain control: premise and promise
2009-12
[46]
논문
The short- and long-term effect of duloxetine on painful physical symptoms in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results from three clinical trials
http://nbn-resolving[...]
2009-12
[47]
논문
SNRIs pharmacological alternatives for the treatment of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2011-06
[48]
논문
Pharmacokinetics and effect of food on the bioavailability of orally administered venlafaxine
1997-10
[49]
논문
Effects of Antidepressants on Sleep
2017-08
[50]
웹사이트
Helpful for chronic pain in addition to depression
https://www.mayoclin[...]
2019-10-24
[51]
논문
The serotonin theory of depression: a systematic umbrella review of the evidence
2023-08
[52]
논문
Relationship of neurotransmitters to the symptom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53]
논문
Antidepressants in the treatment of neuropathic pain
2005-06
[54]
논문
Inflammation in depression: is adiposity a cause?
[55]
논문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SRI and SNRI antidepressants on LPS stimulated microglia
2012-03
[56]
웹사이트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ervice Announcement
http://stahlonline.c[...]
[57]
논문
SNRIs: mechanism of action and clinical features
2002-11
[58]
웹사이트
Pristiq Extended-Release- desvenlafaxine succinate tablet, extended release
https://dailymed.nlm[...]
2022-03-25
[59]
웹사이트
Effexor XR- venlafaxine hydrochloride capsule, extended release
https://dailymed.nlm[...]
2022-08-29
[60]
웹사이트
Savella- milnacipran hydrochloride tablet, film coated Savella- milnacipran hydrochloride kit
https://dailymed.nlm[...]
2022-12-23
[61]
논문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and the influence of binding affinity (Ki) on analgesia
2017-08
[62]
논문
A review of the abuse potential assessment of atomoxetine: a nonstimulant medication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Springer Nature
2013-03
[63]
웹사이트
PDSP Ki Database
https://pdsp.unc.edu[...]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and the United States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12-12
[64]
논문
The serotonin syndrome
2005-03
[65]
논문
A meta-analysis of effects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on blood pressure in depression treatment: outcomes from placebo and serotonin and noradrenaline reuptake inhibitor controlled trials
2017-11
[66]
간행물
The hepatic safety profile of duloxetine: a review
[67]
논문
Comprehensive review of cardiovascular toxicity of drugs and related agents
2018-07
[68]
웹사이트
Antidepressants in Bipolar II Disorder
https://www.psychiat[...]
2019-05-14
[69]
웹사이트
SNRI Antidepressants
https://poison.org/a[...]
2019-10-21
[70]
논문
Reboxetine, a selective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is an effective and well-tolerated treatment for panic disorder
2002-01
[71]
논문
Antidepressants and Sexual Dysfunctions: a Translational Perspective
2019-09-01
[72]
논문
Major depressive disorder, antidepressants, and sexual dysfunction
2006
[73]
논문
Sexual dysfunction in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and potential solutions: A narrative literature review
2016-07
[74]
웹사이트
Serotonin syndrome: Preventing, recognizing, and treating it
https://www.mdedge.c[...]
2019-11-21
[75]
논문
Recognition and treatment of serotonin syndrome
2008-07
[76]
웹사이트
SNRI Antidepressants
https://poison.org/a[...]
2019-10-23
[77]
논문
The effect of rate of antidepressant tapering on the incidence of discontinuation symptoms: a randomised study
2008-05
[78]
논문
Bleeding incidence with concomitant use of antidepressants and warfarin
2011-08
[79]
논문
Use of SSRI, But Not SNRI, Increased Upper and Lower Gastrointestinal Bleeding: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in Taiwan
2015-11
[80]
논문
Visual Snow: Updates on Pathology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2
[81]
웹사이트
Duloxetine: Drug Information
http://www.uptodate.[...]
UpToDate
2012-06-28
[82]
논문
A randomized, double-blind comparison of duloxetine and venlafaxin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2008-01
[83]
논문
A review of the management of antidepressant discontinuation symptoms
2015-12
[84]
논문
Withdrawal Symptoms after Serotonin-Noradrenaline Reuptake Inhibitor Discontinuation: Systematic Review
https://flore.unifi.[...]
2018
[85]
논문
A review of the suitability of duloxetine and venlafaxine for use in patients with depression in primary care with a focus on cardiovascular safety, suicide and mortality due to antidepressant overdose
2013-06
[86]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19-11-21
[87]
웹사이트
2009 Top 200 branded drugs by total prescriptions
http://drugtopics.mo[...]
www.drugtopics.com
2011-04-06
[88]
논문
Escitalopram in the treat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clinical efficacy, tolerability and cost-effectiveness vs. venlafaxine extended-release formulation
2007-04
[89]
논문
Risks of using SSRI / SNRI antidepressants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2017-09
[90]
논문
Risk of Hypertensive Disorders of Pregnancy in Women Treated With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A Comparative Study Using the EFEMERIS Database
2023-07
[91]
논문
Antidepressant use during pregnancy and development of preeclampsia: A focus on classes of action and specific transporters/receptors targeted by antidepressants
2022-02
[92]
논문
Association between antidepressant use during pregnancy and miscarriag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4-01
[93]
논문
Maternal Serotonergic Antidepressant Use in Pregnancy and Risk of Seizures in Children
2022-06
[94]
논문
The Impact of Antidepressant Dose and Class on Treatment Response in Pediatric Anxiety Disorders: A Meta-Analysis
2018-04
[95]
논문
Pediatric Psychopharmacology for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2022-04
[96]
논문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of duloxetine for the treat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2015-04
[97]
논문
The current state-of-the-art in pharmacotherapy for pediatric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2023-05
[98]
논문
An update on antidepressant pharmacotherapy in late-life depression
2021-10
[99]
논문
A systematic approach to pharmacotherapy for geriatric major depression
2014-08
[100]
논문
Review: In older adults with acute major depression, SNRIs, but not SSRIs, increase adverse events vs placebo
2019-10
[101]
논문
More adverse events with SNRIs than placebo in older patients
https://onlinelibrar[...]
2019-10
[102]
논문
Efficacy, safety, and tolerability of antidepressants for pain in adults: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2023-02
[103]
문서
日本語における「[[ノルアドレナリン]]」(またはドイツ語の"Noradrenalin")と英語における"norepinephrine"(ノルエピネフリン)の名称の相違については、[[アドレナリン]]を参照のこと。
[104]
간행물
日本うつ病学会治療ガイドライン
http://www.secretari[...]
2012-07-26
[105]
뉴스
18歳未満「効果確認できず」=抗うつ剤の注意改訂要請—厚労省
http://jp.wsj.com/ar[...]
The Wall Street Journal 日本語版(時事通信社配信)
2013-03-29
[106]
뉴스
SSRIなど抗うつ薬6種類の「使用上の注意」改訂を要請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3-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