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르브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르브어는 고지 소르브어와 저지 소르브어로 나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이다. 과거 동독 지역에 정착한 슬라브족의 언어에서 유래했으며, 현재 독일 루사티아 지역에서 사용되며 국가적 지원을 받는다. 소르브어는 독일어의 영향으로 사용이 감소했으며, 갈탄 채굴, 학교 축소, 재정 지원 감소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소르브어는 로마자를 사용하며, 문법적으로 이중수를 가지고, 체코어, 폴란드어와 어휘적 유사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작센주의 문화 - 작센 공국
    작센 공국은 현재 독일의 니더작센, 작센안할트, 작센 자유주에 걸쳐 있던 줄기 공작령으로, 리우돌핑 가문에서 시작되어 여러 가문을 거쳐 분리되었으며, 작센-비텐베르크 공이 선제후 자격을 얻고 유럽사의 주요 사건들을 겪으며 작센 왕국으로 발전했다.
  • 작센주의 문화 - 고지 소르브어
    고지 소르브어는 6세기에 슬라브족의 이주로 시작되어, 현재 약 18,000명의 사용자가 독일 작센주 바우첸 지역에서 사용하며, 독일어의 영향을 받았지만 슬라브어의 특징을 유지하는 라틴 문자 기반의 언어이다.
  • 서슬라브어군 - 체코슬로바키아어
    체코슬로바키아어는 서슬라브어군에 속하며 체코와 슬로바키아에서 사용되었고,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로 분리되었다.
  • 서슬라브어군 - 실레시아어
    실레시아어는 폴란드 남서부와 체코 북동부의 상실레시아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로, 폴란드어의 방언인지 독립된 언어인지 논쟁이 있으며 약 46만 명이 모국어로 사용하고 다양한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 독일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독일의 언어 - 쿠르드어
    쿠르드어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에 속하며 쿠르드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쿠르만지어, 소라니어, 남부 쿠르드어 등의 방언이 있고 터키, 이라크, 이란, 시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다양한 문자로 표기된다.
소르브어
언어 정보
이름솔브어
고유 이름Sorb (체스브어)
다른 이름루사티아어, 벤드어
사용 민족소르브인
사용 지역루사티아
사용 국가독일
언어 분류인도유럽어족 - 발트슬라브어파 - 슬라브어파 - 서슬라브어군
하위 언어고지 소르브어
저지 소르브어
독일 지도에서 소르브어 사용 지역
독일 내 소르브어 사용 지역
유네스코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됨
유네스코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됨 (2010년)
문자로마자
언어 코드 (ISO 639-2/5)wen
글롯톨로그sorb1249
화자 수약 20,000명
언어별 명칭
고지 소르브어hornjoserbsce
저지 소르브어dolnoserbski
루사티아

언어 상태
위협 정도분명히 위기
참고2010년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아틀라스 기준

2. 분류

3. 역사

''리메스 소라비쿠스'': 중세 독일 지도(''Germanische und slavische Volksstämme zwischen Elbe und Weichsel'', 1869)에 나타난 소르브족 정착 지역, 동프랑크 왕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과거 게르만족이 살았던 영토(현재의 독일 동부, 구 동독 지역과 대체로 일치)에 5~6세기경 소르브인슬라브족 조상들이 정착했다.[3][2] 이후 소르브어(또는 그 조상 언어)는 수 세기 동안 이 지역, 특히 동독 남부 절반에 해당하는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현재 소르브어는 독일 정부의 보호와 지원을 받는 루사티아(상·하 루사티아) 지역을 중심으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2]

중세 북부 신성 로마 제국 시대, 특히 작센족을 비롯한 게르만계 민족들은 자신들의 정착지 근처에 살았던 슬라브계 부족들을 통칭하여 '벤드족(''Wende'')'이라고 불렀다. 이들은 오데르강 서쪽, 훗날 ''게르마니아 슬라비카''로 불리게 되는 지역에 거주했다. 이 지역 북부에는 폴라브 슬라브족이, 남부에는 소르브족과 밀체니족 등이 자리 잡았다(소르브 변경주 참조).

소르브어의 정확한 기원에 대해서는 언어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린다. 일부는 소르브어를 레치틱어와 다른 비(非) 레치틱 서슬라브어 사이의 과도기적 언어로 보지만, 하인츠 슈스터-셰브와 같은 학자들은 소르브어가 프로토-레치틱어와 남슬라브어의 요소가 혼합된 원시 슬라브어의 독자적인 방언 그룹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6] 슈스터-셰브에 따르면, "오늘날 상·하 루사티아에서 사용되는 소르브어는 서쪽의 엘베강/잘레강과 동쪽의 보버강/퀘이스강 사이의 광대한 고대 소르브어 방언 지역 중 일부가 남은 것"이다.[6]

또한, 소르브어를 상 소르브어와 하 소르브어라는 두 개의 주요 방언으로 나뉜 단일 언어로 볼 것인지, 아니면 서로 다른 두 개의 언어로 간주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학자들 간의 견해가 다르다. 두 방언 사이에는 음운론, 형태론, 어휘 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 특히 상 소르브어는 체코어와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는 여러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하 소르브어에는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지 않는다.[7] 일부에서는 상 소르브어가 더 오래된 형태의 "소르브어"를 대표하며, 하 소르브어는 레치틱어에 더 가까운 과도기적 혼합 언어의 성격을 띤다고 보기도 한다.[6] 고고학적 연구에 따르면, 현재까지 단일 언어 집단의 존재를 명확히 뒷받침하는 증거는 부족하며, 오히려 서로 다른 기원을 가진 두 개의 분리된 문화 집단, 즉 토르노우형 도자기 문화(하 소르브어와 연관)와 라이프치히형 도자기 문화(상 소르브어와 연관)의 존재를 시사하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 두 도자기 문화는 모두 프라하 문화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진다.[7][8]

시간이 흐르면서 루사티아 지역 밖에서는 소르브어가 점차 독일어에 의해 대체되었다. 특히 13세기 이후로는 공식적인 차별을 겪기도 했다.[4]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소르브어로 번역된 성경은 소르브어의 문자 체계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기초를 제공했다.

4. 지리적 분포

고지 소르브어(Upper Sorbian)와 저지 소르브어(Lower Sorbian)의 분포와 주요 사용 지역


판슈비츠-쿠카우에서 소르브어로 된 표지판


독일에서 고지 소르브어저지 소르브어소수 언어로서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보호받고 있다.[9] 공식적으로 지정된 소르브 정착 지역에서는 두 언어 모두 독일어와 함께 두 번째 공용어로 인정된다.[10]

상부 루사티아의 바우첸시는 고지 소르브 문화의 중심지이다. 도시 주변에서는 "바우첸/Budyšin|부디신hsb"과 같이 이중 언어 표지판을 볼 수 있다.

북쪽으로는 코트부스/Chóśebuz 시가 저지 소르브 문화의 중심지로 여겨지며, 이곳에서도 이중 언어 표지판을 찾아볼 수 있다.

소르브어는 또한 미국 텍사스주 리 카운티의 작은 소르브인("벤디시") 정착지인 서빈에서도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화자가 남아 있지 않다. 1949년까지 소르브어로 신문이 발행되었다. 지역 방언은 주변의 독일어 및 영어 사용자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독일어 용어 "벤즈"(''Wenden'')와 "벤디시"(''wendisch/Wendisch'')는 한때 일반적으로 슬라브(어)를 지칭했지만, 오늘날에는 독일의 소르브 공동체를 지칭하는 "소르브인"(''Sorben'')과 "소르브어"(''sorbisch/Sorbisch'')로 대체되었다.

5. 언어적 특징

상소르브어와 하소르브어 모두 명사, 대명사, 형용사, 동사에서 이중수를 가지며, 이는 문법의 생산적인 특징으로 유지한다. 이러한 특징은 현존하는 인도유럽어족 언어 중에서는 매우 드문 경우이다. 예를 들어, ruka|루카dsb는 한 손을, ruce|루체dsb는 두 손을, ruki|루키dsb는 두 손 이상을 나타낸다. 또한 대부분의 슬라브어파 언어와 마찬가지로 관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소르브어는 격변화를 하며 6개 또는 7개의 격을 가진다. 또한 미완료상과 아오리스트 동사 활용을 유지하는 등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하위 문법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어휘 면에서는 다른 서슬라브어군 언어들과 많은 어휘를 공유하지만, 고유한 단어도 존재한다.

5. 1. 문법

소르브어는 명사가 격변화를 하며, 고지 소르브어에는 7개의 격, 저지 소르브어에는 6개의 격이 있다.[13][14] 격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주격 (Nominative)
  • 생격 (Genitive, 소유격)
  • 여격 (Dative)
  • 대격 (Accusative)
  • 조격 (Instrumental, 도구격)
  • 처격 (Locative, 위격)
  • 호격 (Vocative, 고지 소르브어의 남성 명사만 해당)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는 격과는 별도로 소유 형용사라는 형태[15]도 존재한다.[16]

다음은 명사의 격변화 예시이다.

nan
아버지
štom / bom
나무
wokno
창문
고지 소르브어저지 소르브어고지 소르브어저지 소르브어고지 소르브어저지 소르브어
단수주격nannanštombomwoknowokno
생격nanananaštomabomawoknawokna
여격nanejnanojuštomejbomojuwoknuwoknoju, woknu
대격nanananaštombomwoknowokno
조격z nanomz nanomze štomomz bomomz woknomz woknom
위격wo nanjewó nanjena štomjena bomjena woknjena woknje
호격nanoštomo
쌍수주격nanajnanaštomajbomawoknjewoknje
생격nanownanowuštomowbomowuwoknowwoknowu
여격nanomajnanomaštomomajbomomawoknomajwoknoma
대격nanownanowuštomajbomawoknjewoknje
조격z nanomajz nanomajze štomomajz bomomaz woknomajz woknoma
위격wo nanomajwó nanomajna štomomajna bomomana woknomajna woknoma
호격nanajštomaj
복수주격nanojonanyštomybomywoknawokna
생격nanownanowštomowbomowwoknowwoknow
여격nanamnanamštomambomamwoknamwoknam
대격nanownanowštomybomywoknawokna
조격z nanamiz nanamize štomamiz bomamiz woknamiz woknami
위격wo nanachwó nanachna štomachna bomachna woknachna woknach
호격nanojoštomy



ramjo / ramje
어깨, 겨드랑이
žona / žeńska
여성, 아내
ruka
고지 소르브어저지 소르브어고지 소르브어저지 소르브어고지 소르브어저지 소르브어
단수주격ramjoramježonažeńskarukaruka
생격ramjenjaramjenjažonyžeńskejerukiruki
여격ramjenjuramjenjeju, ramjenjužonježeńskejruceruce
대격ramjoramježonužeńskurukuruku
조격z ramjenjomz ramjenimze žonuze žeńskejuz rukuz ruku
위격wo ramjenjuwó ramjenjuwo žonjewó žeńskejw rucew ruce
쌍수주격ramjiramjenižonježeńskejruceruce
생격ramjowramjenjowužonowžeńskowurukowrukowu
여격ramjomajramjenjomažonomajžeńskomarukomajrukoma
대격ramjiramjenižonježeńskejruceruce
조격z ramjomajz ramjenjomaze žonomajze žeńskomaz rukomajz rukoma
위격na ramjomajna ramjenjomawo žonomajwó žeńskomawo rukomajwó rukoma
복수주격ramjaramjenjažonyžeńskerukiruki
생격ramjowramjenjowžonowžeńskichrukowrukow
여격ramjamramjenjamžonamžeńskimrukamrukam
대격ramjaramjenjažonyžeńskerukiruki
조격z ramjamiz ramjenjamize žonamize žeńskimiz rukamiz rukami
위격na ramjachna ramjenjachwo žonachwó žeńskichwo rukachwó rukach



형용사의 활용은 다음과 같다. (예: '''zły''' ''나쁜'')

형용사 'zły' (나쁜) 활용
단수쌍수복수
남성여성중성남성 인간그 외남성 인간그 외
주격złyzłazłezłajzłejzlizłe
생격złehozłejezłehozłejuzłych
여격złemuzłejzłemuzłymajzłym
대격zły/złehozłuzłezłejuzłejzłychzłe
조격(ze) złym(ze) złej(ze) złym(ze) złymaj(ze) złymi
위격(w) złym(w) złej(w) złym(w) złymaj(w) złych



소르브어 동사는 미완료상과 아오리스트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남슬라브어의 일부 언어를 제외하고는 사라진 특징이다. 폴란드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과거완료 시제도 사용된다.

다음은 동사 활용의 예시이다.

동사 'pisać' (쓰다, 미완료상) 활용
인칭현재형단순 과거(미완료 과거)완료형(현재완료)과거완료
단수쌍수복수단수쌍수복수단수쌍수복수단수쌍수복수
1인칭pisampisamojpisamypisachpisachmojpisachmysym pisał
sym pisała
sym pisało
smój pisałojsmy pisałi
smy pisałe
běch pisał
běch pisała
běch pisało
běchmój pisałojběchmy pisałi
běchmy pisałe
2인칭pisašpisatej
pisataj[17]
pisaćepisašepisaštej
pisaštaj[17][18]
pisašćesy pisał
sy pisała
sy pisało
stej pisałoj
staj pisałoj[17]
sće pisałi
sće pisałe
běše pisał
běše pisała
běše pisało
běštej pisałoj
běštaj pisałoj[17][18]
běšće pisałi
běšće pisałe
3인칭pisapisatej
pisataj[17]
pisajapisašepisaštej
pisaštaj[17][18]
pisachuje pisał
je pisała
je pisało
stej pisałoj
staj pisałoj[17]
su pisałi
su pisałe
běše pisał
běše pisała
běše pisało
běštej pisałoj
běštaj pisałoj[17][18]
běchu pisałi
běchu pisałe
인칭미래형가정법/반복 과거[19]명령법colspan="3" |
단수쌍수복수단수쌍수복수단수쌍수복수
1인칭budu pisaćbudźemoj pisaćbudźemy pisaćbych pisał
bych pisała
bych pisało
bychmój pisałojbychmy pisałi
bychmy pisałe
pisajmojpisajmy
2인칭budźeš pisaćbudźetej pisać
budźetaj pisać[17][18]
budźeće pisaćbyše pisał
byše pisała
byše pisało
byštej pisałoj
byštaj pisałoj[17][18]
byšće pisałi
byšće pisałe
pisajpisajtej
pisajtaj[17]
pisajće
3인칭budźe pisaćbudźetej pisać
budźetaj pisać[17][18]
budu pisać
budźeja[20] pisać
byše pisał
byše pisała
byše pisało
byštej pisałoj
byštaj pisałoj[17][18]
bychu pisałi
bychu pisałe



동사 'napisać' (쓰다, 완료상) 활용
인칭미래형 (완료상 현재형)단순 과거(아오리스트)완료형(현재완료)과거완료
단수쌍수복수단수쌍수복수단수쌍수복수단수쌍수복수
1인칭napisamnapisamojnapisamynapisachnapisachmojnapisachmysym napisał
sym napisała
sym napisało
smój napisałojsmy napisałi
smy napisałe
běch napisał
běch napisała
běch napisało
běchmój napisałojběchmy napisałi
běchmy napisałe
2인칭napisašnapisatej
napisataj[17]
napisaćenapisanapisaštej
napisaštaj[17][18]
napisašćesy napisał
sy napisała
sy napisało
stej napisałoj
staj napisałoj[17]
sće napisałi
sće napisałe
bě napisał
bě napisała
bě napisało
běštej napisałoj
běštaj napisałoj[17][18]
běšće napisałi
běšće napisałe
3인칭napisanapisatej
napisataj[17]
napisajanapisanapisaštej
napisaštaj[17][18]
napisachuje napisał
je napisała
je napisało
stej napisałoj
staj napisałoj[17]
su napisałi
su napisałe
bě napisał
bě napisała
bě napisało
běštej napisałoj
běštaj napisałoj[17][18]
běchu napisałi
běchu napisałe
인칭미래형(구어에서만)[20]가정법/반복 과거[19]명령법colspan="3" |
단수쌍수복수단수쌍수복수단수쌍수복수
1인칭budu napisaćbudźemoj napisaćbudźemy napisaćbych napisał
bych napisała
bych napisało
bychmój napisałojbychmy napisałi
bychmy napisałe
napisajmojnapisajmy
2인칭budźeš napisaćbudźetej napisać
budźetaj napisać[17][18]
budźeće napisaćby napisał
by napisała
by napisało
byštej napisałoj
byštaj napisałoj[17][18]
byšće napisałi
byšće napisałe
napisajnapisajtej
napisajtaj[17]
napisajće
3인칭budźe napisaćbudźetej napisać
budźetaj napisać[17][18]
budu napisać
budźeja[20] napisać
by napisał
by napisała
by napisało
byštej napisałoj
byštaj napisałoj[17][18]
bychu napisałi
bychu napisałe


5. 2. 문자

로마자를 사용한다.

'''소르브어 알파벳'''
ABCČĆDEĚFGHChIJKŁLMNŃOÓPRŘŔSŠŚTUWYZŽŹ
abcčćdeěfghchijkłlmnńoóprřŕsšśtuwyzžź


5. 3. 어휘

다음은 저지 소르브어와 고지 소르브어의 어휘를 다른 슬라브어와 비교한 표이다.

우크라이나어폴란드어저지 소르브어고지 소르브어체코어러시아어한국어 의미
вечір|베치르ukrwieczórpolwjacordsbwječorhsbvečercesвечер|베체르rus저녁
брат|브라트ukrbratpolbratšdsbbratrhsbbratrcesбрат|브라트rus형제, 형, (남)동생
день|덴ukrdzieńpolźeńdsbdźeńhsbdencesдень|덴rus날, 낮
рука|루카ukrrękapolrukadsbrukahsbrukacesрука|루카rus
осінь|오신ukrjesieńpolnazymjedsbnazymahsbpodzimcesосень|오센rus가을
сніг|스니흐ukrśniegpolsněgdsbsnehhsbsníhcesснег|스네크rus
літо|리토ukrlatopollěśedsblěćohsblétocesлето|레토rus여름
сестра|세스트라ukrsiostrapolsotšadsbsotrahsbsestracesсестра|세스트라rus자매, 언니, (여)동생
риба|리바ukrrybapolrybadsbrybahsbrybacesрыба|리바rus생선
вогонь|보혼ukrogieńpolwogeńdsbwoheńhsboheňcesогонь|아곤rus
вода|보다ukrwodapolwodadsbwodahsbvodacesвода|보다rus
вітер|비테르ukrwiatrpolwětšdsbwětřik, wětrhsbvítrcesветер|베테르rus바람
зима|지마ukrzimapolzymjedsbzymahsbzimacesзима|지마rus겨울



다음은 소르브어 어휘를 더 많은 슬라브어와 비교한 표이다.

한국어 의미저지 소르브어고지 소르브어세르보크로아트어마케도니아어불가리아어슬로베니아어체코어폴란드어폴라브어카슈브어실레지아어슬로바키아어러시아어우크라이나어벨라루스어
사람clowekdsb/luźdsbčłowjekhsbчовек / човјек|초베크 / 초비예크hbsчовек|초베크mkdчовек|초베크bulčlovekslvčlověkcesczłowiekpolclawakpoxczłowiekcsbczowiekszlčlovekslkчеловек|첼로베크rusлюдина|류디나ukrчалавек|찰라볘크bel
저녁wjacordsbwječorhsbвече / вечер|베체 / 베체르hbsвечер|베체르mkdвечер|베체르bulvečerslvvečerceswieczórpolvicerpoxwieczórcsbwieczōrszlvečerslkвечер|베체르rusвечір|베치르ukrвечар|볘차르bel
형제bratšdsbbratrhsbбрат|브라트hbsбрат|브라트mkdбрат|브라트bulbratslvbratrcesbratpolbrotpoxbratcsbbratszlbratslkбрат|브라트rusбрат|브라트ukrбрат|브라트bel
źeńdsbdźeńhsbдан|단hbsден|덴mkdден|덴buldanslvdencesdzieńpoldônpoxdzéńcsbdziyńszldeňslkдень|덴rusдень|덴ukrдзень|젠bel
rukadsbrukahsbрука|루카hbsрака|라카mkdръка|러카bulrokaslvrukacesrękapolrękapoxrãkacsbrynkaszlrukaslkрука|루카rusрука|루카ukrрука|루카bel
sněgdsbsněhhsbснег / снијег|스네그 / 스니예그hbsснег|스네그mkdсняг|스냐크bulsnegslvsníhcesśniegpolsnegpoxsniégcsbśniygszlsnehslkснег|스네크rusсніг|스니흐ukrснег|스녜흐bel
여름lěśedsblěćohsbлето / љето|레토 / 례토hbsлето|레토mkdлято / лето|랴토 / 레토bulpoletjeslvlétoceslatopolljutüpoxlatocsblatoszlletoslkлето|레토rusліто|리토ukrлета|례타bel
자매sotšadsbsotrahsbсестра|세스트라hbsсестра|세스트라mkdсестра|세스트라bulsestraslvsestracessiostrapolsestrapoxsostracsbszwestraszlsestraslkсестра|세스트라rusсестра|세스트라ukrсястра|샤스트라bel
물고기rybadsbrybahsbриба|리바hbsриба|리바mkdриба|리바bulribaslvrybacesrybapolraibopoxrëbacsbrybaszlrybaslkрыба|리바rusриба|리바ukrрыба|리바bel
wogeńdsbwoheńhsbогањ|오간hbsоган|오간mkdогън|오건bulogenjslvoheňcesogieńpolwidinpoxòdżincsbôgyńszloheňslkогонь|아곤rusвогонь|보혼ukrагонь|아혼bel
wódadsbwodahsbвода|보다hbsвода|보다mkdвода|보다bulvodaslvvodaceswodapolwôdapoxwòdacsbwodaszlvodaslkвода|보다rusвода|보다ukrвада|바다bel
바람wětšdsbwětrhsbветар / вјетар|베타르 / 비예타르hbsветер|베테르mkdвятър / ветер|뱌터르 / 베테르bulveterslvvítrceswiatrpolwjôterpoxwiatercsbwiaterszlvietorslkветер|베테르rusвітер|비테르ukrвецер|볘체르bel
겨울zymadsbzymahsbзима|지마hbsзима|지마mkdзима|지마bulzimaslvzimaceszimapolzaimapoxzëmacsbzimaszlzimaslkзима|지마rusзима|지마ukrзіма|지마bel


6. 보존 노력과 현황

소르브어 사용은 수년 동안 감소해 왔다. 텍사스의 서빈과 같은 이민 공동체에서 소르브어 사용이 줄어드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지만, 소르브인의 고향에서조차 소르브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언어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2008년, 소르브인들은 자신들이 겪는 세 가지 주요 압박에 대해 항의했다. 여기에는 "(1.) 갈탄 채굴로 인한 소르브어 및 독일-소르브어 마을의 파괴; (2.) 작센주 내 소르브어 학교 네트워크의 축소; (3.) 중앙 정부의 소르브어 관련 기관에 대한 재정 지원 감소"가 포함된다.[11]

상 소르브어에 대한 연구는 언어 활력을 저해하는 여러 경향을 지적한다. 특정 정책들은 "불안정한 디글로시아" 상태를 초래했으며, 화자가 두 언어 중 하나를 자유롭게 선택해 사용할 수 있는 언어 영역이 점차 사라졌다. 또한, 소르브어가 다음 세대로 자연스럽게 전달되는 전통적인 방식이 무너지고 있다. 강력한 문어(文語) 전통이 부족하고 널리 받아들여지는 표준화된 언어 형태가 없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와 더불어 언어 사용 권리가 침해당하고 있다는 인식과 함께, 소르브어 및 그 사용자들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도 존재한다.[12]

7. 문학


  • 베르너, 에두아르트. 희소 데이터를 고려한 소르브어의 언어적 변이 평가. 맷 콜러와 앤드류 네빈스 편집, ''유럽의 소수 언어 및 디아스포라 언어에 관한 현대 연구'' (2022): 281–302. 온라인 공개 접근.

참조

[1] encyclopedia Sorbian language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3-11-21
[2] 간행물 Les Sorabes: Une minorité invisible? National Fund for Scientific Research and the Fondation Universitaire/Universitaire Stichting 2013
[3] 간행물 Les Sorabes de l'ex-R.D.A. après la fin du communisme: La recomposition territoriale du plus petit des Peuples Slaves https://www.persee.f[...] Institut d'Études Slaves 1996
[4] 웹사이트 About Sorbian Language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Leipzig
[5] 뉴스 Seltenes Studienfach: Entschuldigung, sprechen Sie Sorbisch? https://www.zeit.de/[...]
[6] 간행물 Das Sorbische – Genese und sprachlicher Status https://www.ceeol.co[...] 2013
[7] 서적 Славяне в раннем Средневековье https://books.google[...] Akademska knjiga 2013
[8] 서적 The Early Slavs: Culture and Society in Early Medieval Eastern Europ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1
[9] 웹사이트 Full list https://www.coe.int/[...] 2019-02-06
[10] 웹사이트 Sorbs: The ethnic minority inside Germany https://www.bbc.com/[...] 2022-01-14
[11] 간행물 "Protestdemonstrationen der Sorben–eine Form der politischen Kommunikation." LĚTOPIS. Zeitschrift für sorbische Sprache, Geschichte und Kultur. Časopis za rěč, stawizny a kulturu Łužiskich 2009
[12] 간행물 Comparing Minority Languages-a Case Study of Flemish Sign Language and Upper Sorbian 2017
[13] 웹사이트 Upper Sorbian Grammar https://baltoslav.eu[...] BALTOSLAV 2024-01-06
[14] 서적 ソルブ語辞典 大学書林 2003-03-20
[15] 문서 男性形は-owy 女性形は-iny
[16] 서적 ソルブ語辞典 大学書林 2003-03-20
[17] 문서 男性人間のみ
[18] 서적 ソルブ語辞典 大学書林 2003-03-20
[19] 서적 ソルブ語辞典 大学書林 2003-03-20
[20] 서적 ソルブ語辞典 大学書林 2003-03-20
[21] 문서 男性人間の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