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매 (상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매업은 생산자나 도매상으로부터 상품을 구매하여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상업 활동을 의미하며, 상품의 유통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매업은 최종 소비자에게 상품 구매의 편의를 제공하고, 도매상에게는 상품 수요를 환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매업은 소규모 소매상, 대규모 소매상, 집단 형태 소매상, 무점포 소매상 등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며, 소비자의 구매 습관 변화, 기술 발전 등에 따라 구조가 변화해왔다. 최근에는 전자상거래의 발전과 함께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개인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 공급망을 최적화하는 등 새로운 방법론이 도입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매 - 온라인 쇼핑
    온라인 쇼핑은 인터넷을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행위로, 24시간 이용 가능하고 상품 선택의 폭이 넓지만, 상품을 직접 확인할 수 없고 사기 위험이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 소매 - 쇼핑
    쇼핑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행위로, 역사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소비자와 판매자가 참여하여 경제적, 사회문화적 역할을 수행하고 가격 결정 및 협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 마케팅 전략 - 시장 점유율
    시장 점유율은 특정 기업이나 브랜드가 특정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매출액이나 판매량을 기준으로 측정되며 기업의 경쟁력과 시장 내 위치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마케팅 전략 - 경쟁 우위
    경쟁 우위는 기업이 경쟁사보다 뛰어난 가치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능력으로, 원가 우위나 제품 차별화 우위를 통해 확보되며, 기업 아이덴티티, 핵심 역량, 외부 환경 변화, 그리고 공정한 경쟁 환경 또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소매 (상업)

2. 소매업의 정의 및 설명

소매상(小賣商)은 생산자나 도매상으로부터 상품을 구입하여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상업 기관이다. 상품의 사회적 유통은 소매 과정을 거쳐 완성되므로 소매상의 기능은 중요하다.

소매상은 소비자와 도매상 양쪽에 다음과 같은 편의를 제공한다.[2]


  • 소비자에 대한 편의
  • 시간적, 장소적 편의 제공: 상품 구입에 있어서 소비자가 겪을 수 있는 시간적, 장소적 제약을 줄여준다.
  • 추가 서비스 제공: 배달, 외상, 상품 정보 제공 등의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를 돕는다.
  • 도매상에 대한 편의
  • 수요 환기: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를 자극한다.
  • 판매 비용 절약: 도매상의 판매 비용을 절감하는 데 기여한다.


최근 소매업은 '소매 혁명'이라고 불릴 정도로 큰 구조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다음과 같다.

  • 소비 수요 및 구매 습관의 변화
  • 가격 할인 및 셀프 서비스 확대
  • 자동 판매 및 임대 판매 등장
  • 소매 기관의 조직화, 대형화, 종합화, 전문화


소매상은 그 형태가 다양하며, 발전에 따라 더욱 복잡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경영 규모와 방법에도 큰 변화가 있었는데,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소규모 소매상: 보통 소매점을 중심으로 하는 소매상 (예: 주택가의 구멍가게)
  • 대규모 소매상: 백화점, 연쇄점, 슈퍼마켓, 할인점 등
  • 집단 형태 소매상: 시내 또는 변두리에 형성되는 일용품 시장 및 상점가


소매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소비자 또는 최종 사용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활동을 의미한다.[3] 일부 소매업체는 기업 고객에게 판매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판매는 '비소매 활동'으로 간주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소매에 대한 법적 정의를 통해 판매 활동의 최소 80%가 최종 사용자에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명시하기도 한다.[4]

소매는 종종 소매점이나 서비스 시설에서 이루어지지만, 자동판매기, 방문 판매 또는 전자 채널과 같은 직접 판매를 통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4]

소매라는 개념은 상품 구매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서비스 제공업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소매 서비스 제공업체에는 소매 은행업, 관광, 보험, 사립 의료, 사립 교육, 사립 보안 회사, 법률 회사, 출판사, 대중 교통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관광 제공업체는 소비자를 위해 여행 및 숙박을 예약하는 소매 부서와 숙박, 환대, 교통 및 관광 블록을 구매하여 소매 여행사에 판매할 휴가 투어로 패키징하는 도매 부서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소매업체는 매장을 "도매 판매점"으로 표시하고 "도매 가격"을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엄격한 법적 의미에서 상품의 대다수를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매장은 도매업체가 아닌 소매업체로 정의된다.

소매업태는 고객이 요구하는 물품을 취급하고, 쇼핑을 위해 방문한 고객에게 편의를 제공하며, 상품의 성질과 품질을 알리기 위한 정보 제공(정보 발신 거점)도 수행한다. 이러한 서비스의 대가는 물품의 판매 가격에 더해진다. 저렴하게 판매하는 업태에서는 셀프 서비스 도입으로 가격을 낮추는 한편, 품질 유지나 애프터 서비스 등 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별화 전략을 전개하는 업체도 있다. 이들은 모두 상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유통의 마지막 단계를 담당한다.

소매라는 표현은 각 소비자에게 최소 단위(단품)로 "소분"하여 판매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로 소매를 나타내는 retail(리테일)도 re(다시)+tail(자르다)(끝에서 잘라서 판매하다·잘라 팔다)에서 유래된 단어이며, 판매자의 규모가 작다는 의미는 없다.

산업 혁명 이후의 제조업체는 대량 생산으로 저렴하고 안정적인 품질의 상품을 널리 대중에게 공급하고 있지만, 직접적으로 상품이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것은 소매업자의 점포 등이다. 통신 판매에서는 상점과 고객을 중개하는 택배우편을 이용하지만, 어쨌든 직접 소비자와 접촉하는 것은 소매업자이다.

3. 소매업의 어원

'리테일(retail)'이라는 단어는 '잘라 모양을 만들다'를 의미하는 고대 프랑스어 동사 retaillier|fro에서 유래되었다. 1433년에 '소량 판매'라는 의미의 명사로 처음 기록되었으며, 이는 '잘라낸 조각, 조각, 깎아낸 것'을 의미하는 중세 프랑스어 동사 'retailler'에서 유래되었다.[1] 현재 '리테일(retail)'이라는 단어는 영어,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독일어 및 스페인어에서 도매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소비자에게 소량의 품목을 판매하는 것을 의미한다.

4. 소매업의 역사

트라야누스 포럼의 시장, 영구적인 소매 상점의 가장 초기의 알려진 예


이스탄불의 그랜드 바자르 (내부). 1455년에 설립되었으며, 지속적으로 운영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덮인 시장으로 여겨진다.


소매 시장은 고대부터 존재해 왔으며, 물물 교환을 포함한 무역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는 10,00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간다. 문명이 성장하면서 물물 교환은 화폐를 사용하는 소매 거래로 대체되었다. 판매와 구매는 기원전 7천 년경 소아시아(현 터키)에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5] 고대 그리스에서는 시장이 열리는 날 물건을 매트나 임시 가판대에 전시하는 열린 공간인 아고라에서 시장이 운영되었다.[6] 고대 로마에서는 포럼에서 거래가 이루어졌으며,[7] 로마 포럼은 영구적인 소매 상점의 가장 초기의 예라고 할 수 있다.[8]

2008년 7월의 연구에 따르면 중국은 초기 소매 시스템의 풍부한 역사를 보여주었다.[9] 기원전 200년경부터 중국의 포장 및 브랜드는 가문, 지명 및 제품 품질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으며, 정부가 부과한 제품 브랜드 사용은 서기 600년에서 900년 사이에 사용되었다.[10] 송나라(960–1127) 동안 중국 사회는 소비주의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엘리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평범한 소비자들도 높은 수준의 소비를 할 수 있게 되었다.[11]

중세 잉글랜드와 유럽에서는 비교적 적은 수의 영구적인 상점을 찾을 수 있었다. 대신 고객들은 상인과 직접 구매 옵션을 논의하기 위해 상인의 작업장에 들어갔다.[12] 인구가 많은 도시에서는 13세기까지 소수의 상점이 생겨나기 시작했다.[13] 주요 도시 외에서는 대부분의 소비재 구매가 시장이나 박람회를 통해 이루어졌다.[14] 시장은 유럽 밖에서 독립적으로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이스탄불의 그랜드 바자르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지속적으로 운영되는 시장으로 자주 인용되며, 1455년에 건설이 시작되었다. 15세기에 멕시카 (아즈텍)의 틀라텔롤코 시장은 모든 아메리카에서 가장 컸다.[15]

소매 서비스 카운터는 18세기의 혁신이었다.


17세기까지는 더 규칙적인 영업 시간을 가진 영구적인 상점이 주요 소매점으로 시장과 박람회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지방 상인들은 거의 모든 잉글랜드 시장 마을에서 활동했다.[16] 상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점은 변화를 겪었다. 16세기와 17세기 초의 상점에는 현대적인 상점의 장치들이 전혀 없었지만, 점차 현대 쇼핑객에게 더 익숙한 상점 내부와 상점으로 자리를 잡았다. 18세기 이전의 일반적인 소매점에는 카운터, 진열장, 의자, 거울, 탈의실 등이 없었다. 그러나 17세기 후반과 18세기 초의 소매 혁신으로 인해 고객이 상품을 둘러보고, 만져보고, 느낄 수 있는 기회가 생겨나기 시작했다.[17]

파리의 오 팔레 루아얄에 있는 갈레리 드 부아, 유럽 최초의 쇼핑 아케이드 중 하나


18세기 후반에는 유럽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대규모 상점가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쇼핑 아케이드는 지붕이 덮인 여러 판매자가 있는 공간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지붕은 자연 채광을 허용하고 촛불이나 전등의 필요성을 줄이기 위해 유리로 건설되었다. 쇼핑 아케이드의 가장 초기의 예 중 일부는 보행자용 포장 도로가 부족했기 때문에 파리에서 나타났다.[18] 아케이드는 부르주아 계층의 소유였지만, 빈곤한 노동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협동조합 소매점과 같은 새로운 유형의 소매 벤처가 등장했다. 존 스튜어트 밀은 19세기 중반에 직접 목격한 협동조합 소매점의 부상에 대해 글을 썼다.[19]

프랑스의 르 봉 마르셰와 같은 백화점은 19세기 중반부터 등장했다.


소매업의 현대 시대는 산업 혁명에서 21세기까지의 기간으로 정의된다.[20] 주요 도시에서는 백화점이 19세기 중반에서 후반에 등장하여 쇼핑 습관을 영구적으로 재형성하고 서비스와 고급의 개념을 재정의했다.[21] 초기 백화점의 상당수는 단순한 소매 판매점 이상이었으며 쇼핑객이 여가 시간을 보내고 즐거움을 얻을 수 있는 장소였다.[22] 통신 판매를 이용한 소매업은 19세기 중반에 성숙해졌다. 카탈로그 판매는 15세기부터 사용되었지만, 이 소매 방법은 서적 및 종자 판매와 같은 소수의 산업에 국한되었다. 그러나 운송 및 우편 서비스의 개선으로 인해 대서양 양쪽의 여러 기업가들이 카탈로그 판매를 실험하게 되었다.[23]

전후 시대에 미국의 건축가 빅터 그루엔은 쇼핑 센터(쇼핑몰)에 대한 개념을 개발했다. 실내 광장, 조각상, 조경 계획, 배경 음악 및 주차 시설을 갖춘 계획된 자급식 쇼핑 단지였다. 그루엔의 비전은 사람들이 편안함을 느끼도록 쇼핑 분위기를 조성하여 더 많은 시간을 환경에서 보내도록 하여 구매 기회를 향상시키는 것이었다. 이러한 쇼핑몰 중 최초의 쇼핑몰은 1954년 디트로이트 근처 노스랜드 몰에서 문을 열었다.[24] 20세기 내내 더 큰 상점 부지로의 추세가 감지되었다. 미국의 슈퍼마켓 평균 크기는 1991년 약 2879.99m2에서 2000년 약 4087.73m2으로 증가했다.[25] 20세기 말까지 상점들은 증가하는 규모를 반영하기 위해 "메가 스토어" 및 "창고" 상점과 같은 라벨을 사용했다.[26] 소매 공간 증가의 상승 추세는 국가에 따라 일관되지 않았으며 21세기 초에는 미국과 유럽 사이에 1인당 면적에서 2배의 차이를 보였다.[27]

21세기가 형성됨에 따라 일부 지표는 대형 소매점이 온라인 판매 모델로부터 점점 더 압력을 받고 있으며 상점 규모가 감소하고 있음을 시사한다.[28] 이러한 경쟁과 사업 부채와 같은 다른 문제로 인해, 최근 몇 년 동안 특히 북미 지역에서 많은 소매 업체들이 매장 수를 급격히 줄이거나 완전히 폐업하는 등 소매 붕괴라는 주목할 만한 사업 혼란이 발생했다.[29]

5. 소매 전략

소매업에서 전략 계획은 비전을 설정하고 소매 의사 결정자에게 지침을 제공하며, 제품 및 서비스 조합이 고객 만족도를 최적화하는 방법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전략 기획자는 경쟁 환경, 시장 환경, 경제 환경 및 법적-정치적 환경의 추세와 기회를 파악하기 위해 상세한 환경 스캔을 수행한다. 소매 전략은 보통 최고 경영자에 의해 3~5년마다 수립되거나 검토된다.[31]

소매업체는 전반적인 전략적 포지셔닝과 소매 이미지를 고려한다.


요소세부 내용
시장 분석시장 규모, 시장 단계, 시장 경쟁력, 시장 매력도, 시장 동향
고객 분석시장 세분화, 인구 통계, 지리, 심리 프로필, 가치 및 태도, 쇼핑 습관, 브랜드 선호도, 요구 사항 및 필요 사항 분석, 미디어 습관
내부 분석인적 자원 능력, 기술 능력, 재무 능력, 규모 경제 또는 범위 경제 창출 능력, 무역 관계, 평판, 포지셔닝 및 과거 성과를 포함한 기타 능력
경쟁 분석대체품의 가용성, 경쟁업체의 강점과 약점, 지각 매핑, 경쟁 동향
제품 조합 검토평방 피트당 판매량, 재고 회전율, 제품 라인별 수익성
유통 채널 검토주문에서 배송까지의 리드 타임, 유통 비용, 중개인의 비용 효율성
전략의 경제성 평가계획된 활동의 비용 편익 분석



소매 분석이 완료되면, 소매 마케터는 마케팅 활동의 대상이 될 고객 그룹에 대한 명확한 아이디어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모든 요소가 동일한 것은 아니며, 종종 인구 통계, 쇼핑 동기 및 지출이 소비자 활동을 지시한다.[32] 소매 연구에 따르면 매장의 포지셔닝과 고객의 사회 경제적 지위 사이에는 강한 관계가 있다.[33] 또한 서비스 품질을 포함한 소매 전략은 고객 충성도와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연관성을 갖는다.[34] 마케팅 전략은 기업의 타겟 고객, 인구 통계, 선호도의 모든 주요 측면을 효과적으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경쟁이 치열한 시장에서 소매 전략은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구축한다. 이는 고객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부가가치, 고객 만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매장의 시장 포지셔닝이 타겟 고객 그룹에 어떻게 어필하는지 강조한다.[35]

6. 소매 마케팅

소매 마케팅 믹스 또는 소매업의 6P


소매 믹스는 일상적인 전술적 의사 결정을 조정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소매 마케팅 믹스는 일반적으로 제품, 장소, 프로모션, 가격, 인력 및 프레젠테이션(물리적 증거)을 포함하는 6개의 광범위한 의사 결정 계층으로 구성된다.[36][37][38] 소매 믹스는 마케팅 믹스를 기반으로 하지만 소매 환경의 고유한 요구 사항에 따라 확장 및 수정되었다. 많은 학자들은 고객의 독특한 소매 경험에 기여하고 소매 차별화의 주요 기반이 되는 '인력' 및 '프레젠테이션'이라는 두 개의 새로운 P를 포함하여 확장된 마케팅 믹스를 주장한다.

전형적인 슈퍼마켓은 30,000개에서 60,000개 사이의 다양한 제품을 취급한다.
소매업체가 직면한 주요 제품 관련 결정은 제품 구색(어떤 제품 라인, 얼마나 많은 라인, 어떤 브랜드를 취급할지), 고객 서비스 유형(고객 접촉에서 셀프 서비스까지) 및 지원 서비스 가용성(예: 신용 조건, 배송 서비스, A/S)이다. 이러한 결정은 시장, 수요, 경쟁, 소매업체의 기술 및 전문 지식에 대한 신중한 분석에 달려 있다.

고객 서비스는 "소비자가 소매업체에서 필요하거나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행위와 요소의 합"이다. 소매업체는 자동판매기의 경우와 같이 전체 서비스 아울렛을 제공할지, 아니면 최소 서비스 아울렛을 제공할지 결정해야 한다. 기본 판매 지원만 있는 셀프 서비스 또는 많은 부티크 및 전문점에서와 같은 전체 서비스 운영을 결정해야 한다. 또한 소매업체는 고객 배송 및 A/S와 같은 판매 지원에 대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기념품 판매상은 일반적으로 복잡한 거리 모퉁이의 기차역 근처에 위치한 런던 기념품 판매대와 같이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 위치해 있다.
장소 결정은 주로 소비자 접근성과 관련이 있으며 위치, 공간 활용 및 운영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소매업체는 고려 중인 잠재적 입지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질적 및 양적 요인을 고려할 수 있다. 거시적 요인에는 시장 특성(인구 통계학적, 경제적 및 사회 문화적), 수요, 경쟁 및 인프라(예: 전력, 도로, 대중 교통 시스템의 가용성)가 포함된다. 미시적 요인에는 부지 크기(예: 주차 공간), 배송 차량 접근성이 포함된다. 주요 소매 트렌드는 멀티 채널 소매로의 전환이었다. 온라인 소매로 인한 혼란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오프라인 소매업체는 온라인 카탈로그 판매 및 전자 상거래 웹사이트를 설정하여 온라인 소매 공간에 진출했다. 그러나 많은 소매업체는 소비자가 온라인 쇼핑을 할 때 다르게 행동한다는 것을 알았다. 예를 들어, 온라인 마케팅 플랫폼 선택 측면에서 쇼핑객은 처음에 선호하는 소매업체의 온라인 사이트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지만, 온라인 쇼핑 경험이 더 많아짐에 따라 충성도가 낮아지고 다른 소매 사이트로 전환할 가능성이 더 커진다.[39] 온라인 상점은 일반적으로 하루 24시간 이용 가능하며, 전 세계의 많은 소비자가 직장과 가정에서 모두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터미널 숫자인 '9'의 광범위한 사용은 심리적 가격 책정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광범위한 가격 책정 전략은 일반적으로 회사의 전반적인 전략 계획에서 수립된다. 체인점의 경우 가격 책정 전략은 본사에서 설정한다. 마케팅 문헌에서 가격 책정 전략에는 크게 여섯 가지 접근 방식이 언급되어 있다. 운영 지향,[40] 수익 지향,[40] 고객 지향,[40] 가치 기반,[41][42] 관계 지향,[43] 및 사회 지향.[44] 의사 결정자가 가격 책정에 대한 광범위한 접근 방식(즉, 가격 책정 전략)을 결정하면 가격 책정 전술에 집중한다. 전술적 가격 책정 결정은 특정 단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고안된 단기 가격이다. 소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격 책정 전술에는 할인 가격 책정,[45] 매일 낮은 가격,[46] 하이-로우 가격 책정,[46][47] 손실 유도 상품, 제품 번들링,[48] 프로모션 가격 책정 및 심리적 가격 책정이 있다.[49] 구매자를 유인하는 두 가지 전략인 환불 보장과 1+1는 18세기 소매 기업가인 조시아 웨지우드에 의해 고안되었다.[50][51] 소매업체는 또한 고객이 선호하는 결제 방식, 즉 현금, 신용, 할부 구매, 판매 시점의 전자 자금 이체(EFTPOS)에 대해 계획해야 한다. 모든 결제 옵션에는 일종의 처리가 필요하며 비용이 발생한다.[52] 일반적인 오해와 달리, 가격은 제품 구매를 결정할 때 소비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가 아니다.[53]

가장 잘 알려진 교차 판매 판매 스크립트 중 하나는 McDonald's에서 제공되는 "감자튀김도 같이 드릴까요?"이다.


소매점의 이용률은 다르기 때문에 일정의 유연성이 바람직하다. 직원 일정 소프트웨어는 알려진 고객 이용 패턴을 사용하여 연중, 월별 또는 주별, 시간별 다양한 기능에 대한 인력 요구 사항을 다소 안정적으로 예측하여 판매된다. 일반적으로 요구 사항은 매우 다양하다. 인력 활용을 인력 요구 사항에 맞추려면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급여를 지급할 필요가 없는 유연한 인력, 파트 타임 인력이 필요하다. 2012년 현재 미국의 소매업 종사자의 70%가 파트 타임이었다. 이는 직원의 재정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즉, 근무 시간을 최대화하려면 항상 근무할 수 있어야 하지만 가족 및 기타 의무를 충족하기에 충분한 수입이 없을 수 있다.[54] 소매업체는 판매량을 늘리고 고객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애드온, 업셀 또는 교차 판매와 같은 다양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가치 판매,[55] 그리고 판매를 종료해야 할 시기를 아는 것이다.[56]

최신 기술은 종종 많은 빈 공간과 함께 깨끗한 환경에 표시된다.


소매 서비스 환경에는 소매점의 외관, 장비, 디스플레이 공간, 소매 카운터, 간판, 레이아웃 및 기능이 포함된다. 사진: 해로즈 푸드 코트


프레젠테이션은 소매 이미지를 나타내는 물리적 증거를 나타낸다. 물리적 증거에는 매장 자체(구내, 사무실, 외부 외관 및 내부 레이아웃 포함), 웹사이트, 배송 차량, 창고, 직원 유니폼 등 다양한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소매 서비스 인카운터가 발생하는 환경을 때때로 '소매 서비스 환경'이라고 한다.[58] 매장 환경은 향기, 물리적 환경(가구, 레이아웃 및 기능), 주변 조건(조명, 기온 및 음악)뿐만 아니라 간판, 기호 및 인공물(예: 판촉, 선반 공간, 샘플 스테이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많은 요소로 구성된다. 소매 디자이너는 '감압 구역'이라고 하는 매장 정면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 판매 기회를 최대화하기 위해 소매업체는 일반적으로 고객이 소매점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를 원한다. 그러나 이는 편리성, 접근성 및 현실적인 대기 시간에 대한 고객의 기대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59] 브랜드가 표시되는 방식도 전반적인 소매 디자인의 일부이다. 제품이 선반에 배치되는 위치는 가시성과 접근성으로 인해 구매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60] 조명, 온도 및 음악과 같은 주변 조건도 전반적인 소매 환경의 일부이다.[61] 소매점에서 타겟 시장과 관련된 음악을 재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62]

7. 소매업의 분류 방법

소매상은 그 형태가 도매상과 같이 다양하며, 발전에 따라 더욱 복잡한 형태로 변화해 경영 규모와 방법에도 큰 변화를 겪었다. 소매업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소규모 소매상: 일반적인 소매점을 중심으로 하며, 주택가의 구멍가게 등이 해당한다.
  • 대규모 소매상: 백화점, 연쇄점(체인점), 슈퍼마켓, 할인점 등이 있다.
  • 집단 형태 소매상: 시내 또는 변두리에 형성되는 일용품 시장 및 상점가를 말한다.
  • 무점포 소매상: 점포 없이 이루어지는 소매 형태이다.


소매 형식은 소비자의 상점 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소비자의 기대를 충족시킨다. 가장 기본적인 소매 형식은 상품과 서비스가 교환되는 시장이다. 세계 일부 지역에서는 소규모 가족 운영 상점이 여전히 소매 부문을 지배하고 있지만, 대규모 소매 체인이 큰 구매력을 바탕으로 가격을 인하하여 소비자에게 혜택을 제공하면서 점차 소매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71]

소매점은 취급하는 제품의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소매업태는 고객이 필요로 하는 물품을 취급하고, 쇼핑하는 고객에게 편의를 제공하며, 상품의 특징과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정보 발신 거점)도 수행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상품 판매 가격에 포함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소매는 각 소비자에게 최소 단위(단품)로 나누어 판매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 단어 'retail(리테일)'은 're(다시)'와 'tail(자르다)'의 결합으로, '끝에서 잘라서 판매하다' 또는 '잘라 팔다'라는 뜻을 가지며, 판매자 규모와는 관련이 없다.

산업 혁명 이후 제조업체들은 대량 생산을 통해 저렴하고 안정적인 품질의 상품을 대중에게 공급했지만, 상품이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되는 곳은 주로 소매업자의 점포이다.

1951년 4월 21일, 일본 상업 학회가 게이오기주쿠 대학 교수 무카이 시카마츠를 초대 회장으로 하여 설립되었다.[96]

소매업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도 있다.

  • 업종: 취급하는 상품이나 납품하는 도매업자에 따라 분류한다.
  • 업태: 고객의 연령, 성별, 직업, 방문 빈도 등에 따라 분류한다.


상업 통계나 증권 코드 협의회에서는 일반적인 물품 소매업(물판업) 외에도 레스토랑, 선술집 등의 음식점, 패스트푸드 체인과 같은 외식 산업도 소매업으로 분류한다.

8. 소매업의 입지

소매업은 다양한 장소에 입점한다.

9. 소매업의 업태 및 판매 품목 (외식 산업 제외)

소매업은 다양한 형태와 판매 품목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외식 산업을 제외한 소매업의 업태 및 판매 품목을 다룬다.
유점포 판매


  • 편의점: 접근성이 좋은 위치에서 식품, 음료, 잡화 등 다양한 상품을 판매한다.
  • 각종 종합 소매:
  • 백화점: 다양한 브랜드의 의류, 잡화, 가정용품 등을 판매하는 대규모 소매점이다.
  • 슈퍼마켓:
  • 종합 슈퍼: 식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상품을 취급한다.
  • 식품 슈퍼: 주로 식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한다.
  • 홈 센터: 가정용품, 인테리어 용품, 원예용품 등을 판매한다.
  • 원프라이스 숍·100엔 숍: 균일가 상품을 주로 판매한다.
  • 할인점: 다양한 상품을 저렴한 가격에 판매한다.
  • 매점: 키오스크 등 특정 장소(역, 학교 등)에서 간편한 상품을 판매한다.
  • 각종 전문점:
  • 만물상(제너럴 스토어):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취급하는 소규모 상점이다.
  • 의류·신발·장신구 소매점:
  • 의류점 (실용 의류, 신사복, 부인복, 캐주얼)
  • 기모노·옷감: 기모노 가게, 옷감 가게 등
  • 침구 판매: 이불 가게
  • 남자 옷 소매:
  • 신사복 소매: 재단 숍, 신사복 전문점 (맞춤복은 별도)
  • 작업복 가게 등 (백의는 별도)
  • 학생복 전문점
  • 부인·아동복 소매: 부티크, 재단점 등
  • 신발·신발 소매: 신발 가게, 나막신 가게 등
  • 기타 직물·의류·장신구 소매: 가방 가게, 속옷 가게·란제리 숍, 양품 잡화·고만물 (넥타이, 모자, 부채 등), 일본식·서양식 우산 가게, 가발점, 지팡이류, 패션용 수영복 외
  • 음식료품 관련 소매:
  • 음식료품: 우유 가게, 생수 판매, 제차점 (차 잎 가게)·커피 (원두) 전문점 등
  • 주류 소매점: 술 가게 등
  • 각종 식료품 소매: 식료 잡화, 식자재점 (한·양·에스닉) 등
  • 얼음 가게, 면 전문, 유제품, 냉동식품 전문, 레토르트 식품, 냉장 식품, 건강 식자재점, 조미료점 등
  • 육류 소매: 정육점, 달걀 가게 등
  • 선어 소매: 생선 가게 등
  • 건어물 소매: 건어물 가게
  • 야채·과일 소매: 채소 가게, 과일 가게 등
  • 미곡류 소매: 쌀 가게 등
  • 두부 어묵 등 가공 식품 소매업: 두부 가게, 어묵 가게 등
  • 요리품 소매: 반찬 가게, 테이크아웃 도시락, 피자 가게 등
  • 과자·빵 소매: 과자점, 빵 가게·베이커리
  • 자동차·자전거 관련 소매:
  • 자동차·자동차 용품 소매: 카 (자동차 관련) 용품점
  • 자동차·오토바이 판매점·자동차 대리점 (신차, 중고차)
  • 트럭 등, 산업 차량 판매
  • 자전거 판매점·사이클링 숍
  • 기계 이동 기구 소매: 휴대폰 숍 등
  • 가구·가전·가정 용품 관련 소매:
  • 가정 전기 기계 기구 소매: 전기 가게 - 가전 양판점 (백색 가전 제품, AV 기기, 전기 기구, 컴퓨터 등)
  • 중고 전기 제품 소매: 중고 컴퓨터 숍, 중고 가전 판매
  • 미싱, 편직기 전문점
  • 가스 기구점, 수도 기구점, 금고 가게, 태양 전지 패널점 등
  • 가구·인테리어 소매: 가구점·가구 등 홈 센터, 카펫 가게, 건구 가게, 다다미 가게, 불단 가게 등
  • 금속·거친 물건 소매: 금속 가게, 거친 물건 가게
  • 도자기·유리 그릇 소매: 식기점 등
  • 가정 용품 소매: 조리 기구점 등
  • 기타 집기 소매
  • 일용품·서적·스포츠 용품·중고품 등 소매:
  • 의약품·화장품 소매: 약국, 약국, 드럭스토어, 화장품 전문점
  • 농경 용품 소매: 농기구점, 묘목 가게·씨앗 가게, 비료·사료점
  • 주유소·연료 소매
  • 서적·신문·문구 소매: 책방, 신문 판매점, 문구점, 패키지 숍, 화방점, 서도 용품점 등
  • 서점 (전문 서적, 동인지 전문점, 지도·달력 전문점, 악보 전문점 등)
  • 스포츠 용품점·장난감점 (장난감 가게) 오락 용품·악기 소매
  • 인형 가게, 캐릭터 상품 전문점
  • 필름 카메라·사진 재료 소매: 카메라 가게
  • 시계·안경·광학 기계 (쌍안경 등) 소매
  • 리사이클 숍·중고품 소매: 고물상 (헌책, 헌 옷, 고물, 중고 레코드 등)
  • 골동품점
  • 미술품 판매점
  • 담배 가게, 흡연 기구 가게
  • 꽃집 (생화점)·정원사·귀금속점·기타 분류되지 않는 소매
  • 건재 가게, 시멘트 가게, 목재 가게, 유리 가게, 건재용 석점·석재상 등
  • 애완동물 가게, 관상어점 등
  • 낚시 용품
  • 건강 식품 판매
  • 세제 전문점: 비누 가게 등
  • 상품권 숍
  • 선물 숍·토산품 가게
  • 소프트웨어 판매: CD, DVD, 게임 소프트 등
  • 비석·묘석점

무점포 판매

  • 통신 판매:
  • 전자 상가
  • 소프트웨어다운로드 판매
  • TV 홈쇼핑, 라디오 쇼핑
  • 카탈로그 판매
  • 신문, 잡지 등의 쇼핑 광고
  • 신문의 끼워 넣기 광고
  • 다이렉트 메일
  • 이동 판매
  • 방문 판매
  • 자동 판매기
  • 차내 판매, 기내 판매 (탈것 내 판매)


소매업체는 고객에게 상품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쇼핑 편의를 제공하고 상품 정보 발신 거점 역할을 수행한다. 저가 판매 업태는 셀프 서비스를 도입하여 가격을 낮추는 반면, 품질 유지나 애프터 서비스 등 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별화 전략을 전개하는 업체도 있다.

10. 소매업의 경영 및 운영 형태

소매상은 생산자나 도매상으로부터 상품을 구입하여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상업 기관이다. 상품의 사회적 유통은 소매 과정을 거쳐 완성되므로 소매상의 기능은 중요하다.

소매상은 소비자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다.


  • 상품 구입에 따른 시간적, 장소적인 편의를 제공한다.
  • 때로는 배달 및 외상을 허용하거나 합리적인 광고로 상품 지식을 보급시킨다.


또한, 도매상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다.

  • 상품의 수요를 환기시킨다.
  • 판매 비용을 절약한다.


최근 소매업은 그 구조 변화가 현저하여 '소매 혁명'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이는 다음과 같은 변화를 의미한다.

  • 소비 수요 및 구매 관습의 변화
  • 가격 할인과 셀프서비스
  • 자동 판매와 임대 판매의 출현


이러한 변화로 인해 소매 기관의 조직화, 대형화, 종합화 및 전문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소매상은 그 형태가 다양하며, 발전에 따라 더욱 복잡한 형태로 진전되고, 경영 규모와 경영 방법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소매상은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소규모 소매상: 보통 소매점을 중심으로 하는 소매상 (주택가의 구멍가게 등)
  • 대규모 소매상: 백화점, 체인 스토어, 슈퍼마켓, 할인점 등
  • 집단 형태 소매상: 시내 또는 변두리에 형성되는 일용품 시장 및 상점가
  • 무점포 소매상


소매상의 종류에는 다음이 있다.

11. 쇼핑객 프로필

소비자 행동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소비자의 동기를, 다른 하나는 공통된 특성에 따라 소비자를 분류하는 것이다. 이 두 연구는 서로 관련되어 있지만, 소비자 행동에 대해 서로 다른 통찰력을 제공한다.[63]

레크리에이션 쇼핑객은 쇼핑을 즐거움으로 여긴다. 이러한 쇼핑객은 유럽의 대형 쇼핑 아케이드에서 유래되었다. (그림: 17세기 네덜란드 레이스 상점)


Babin 등의 초기 연구는 소비자 동기를 "실용적" 동기와 "쾌락적" 동기로 구분했다. 실용적 동기는 과제 관련적이고 합리적이어서, 구매를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처리해야 할 과제로 여긴다. 반면 쾌락적 동기는 즐거움을 추구하며, 쇼핑을 환상과 자유를 누리는 탈출구로 생각한다. 쾌락적 쇼핑객은 쇼핑 경험에 더 많이 관여한다.[63]

소매업체는 각 매장에 맞는 세분화 분석을 개발하지만, 여러 가지 광범위한 소비자 프로필을 식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1980년대 중반 Sproles와 Kendal이 개발한 소비자 유형은 시간과 문화를 넘어 비교적 일관성을 보여준다.[64][65][66][67][68] 이들의 유형은 소비자의 구매 결정 접근 방식에 기반한다.[69]

Sproles와 Kendal의 소비자 유형은 다음과 같다.

  • 품질 중시/완벽주의자: 제품의 최고 품질을 찾으며, 체계적으로 비교하고 쇼핑한다.
  • 브랜드 중시: 비싸고 잘 알려진 브랜드나 디자이너 라벨을 선호하며, 높은 가격이 품질을 의미한다고 믿고 백화점이나 최고급 소매점을 선호한다.
  • 레크리에이션 중시/쾌락주의자: 쇼핑 자체를 즐거움으로 여긴다.
  • 가격 중시: 낮은 가격, 세일, 할인을 꼼꼼히 찾아 돈에 대한 최고의 가치를 얻고자 한다.
  • 참신함/패션 중시: 흥미를 위해 새로운 제품이나 경험을 찾고, 패션과 트렌드를 따르며 다양성을 추구한다.
  • 충동적: 즉흥적으로 구매하며, 지출이나 가치에 크게 신경 쓰지 않고, 대상에 깊이 관여하지 않는다.
  • 혼란(과잉선택에 의해): 너무 많은 제품, 상점, 정보로 인해 혼란을 느끼고 정보 과부하를 경험한다.
  • 습관적/브랜드 충성도: 좋아하는 브랜드나 상점에서 반복 구매하며, 구매 결정에 많은 고민을 하지 않는다.


일부 연구자들은 Sproles와 Kendall의 방법론을 특정 국가나 문화 집단에 적용하기도 했다.[70] 소비자 의사 결정 스타일은 시간이 지나도 비교적 안정적인 행동을 설명하므로 시장 세분화에 유용하여 소매업체와 마케터에게 중요하다.

12. 소매업의 당면 과제

근래에 소매업은 구조 변화가 현저하여 '소매혁명'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인데, 이는 소비 수요와 구매 관습의 변화, 가격 할인과 셀프서비스, 자동 판매와 임대 판매의 등장 등으로 소매 기관이 조직화, 대형화, 종합화 및 전문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75]

기존 시장에서 입지를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해 잠재적인 소매업체는 다음과 같은 장애물을 극복해야 한다.[75]


  • 규제 장벽:
  • 부동산 구매에 대한 제한, 특히 지방 정부가 "대형 매장" 체인 소매업체에 대해 부과하는 제한
  • 소매업체에 대한 외국인 투자 제한 (제공되는 자금의 절대 금액과 구매한 의결권 주식(예: 보통주)의 지분율 측면)
  • 불리한 세법 구조, 특히 "대형 매장" 소매업체를 처벌하거나 배제하도록 설계된 구조
  • 개발되지 않은 공급망 및 통합된 IT 관리의 부재
  • 기존 시장 참여자 간의 높은 경쟁력과 그로 인한 낮은 이윤
  • 제품 디자인의 끊임없는 발전으로 인해 기존 재고의 제품 노후화 및 가격 하락의 지속적인 위협 발생
  • 부분적으로 사업 손실로 인한 적절한 교육과 훈련을 받은 인력(관리자 포함)의 부족
  • 위의 과제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 인프라의 부족
  • 전자 상거래(인터넷을 통한) 및 제조업체 및 공급업체로부터 소비자에게 직접 배송, 소매 중간상을 배제.[75]

13. 소매업의 새로운 방법론

근래에 와서 소매업은 그 구조 변화가 현저하여 '소매혁명'이라는 말을 낳게 되었는데, 이것은 소비 수요·구매 관습의 변화, 가격 할인과 셀프서비스, 자동판매와 임대 판매의 출현 등으로 소매 기관의 조직화·대형화·종합화 및 전문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말한다.[76]

전자 상거래는 쇼핑 및 소매에 대한 기술의 영향을 논의할 때 소매업체에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다. 그러나 빅데이터, 인공지능, 컴퓨터 비전 및 사물 인터넷과 같은 기술은 데이터를 사용하여 검색에서 결제에 이르기까지 쇼핑 경험의 모든 부분을 변화시켰다.[76]

조직이 경쟁 우위를 확보하려면 디지털 파괴를 수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산업이 디지털 파괴를 경험할 때, 이는 일반적으로 소비자 요구가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소매업체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컴퓨터 비전 및 사물 인터넷 덕분에 분석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더 나은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 결정을 내린다.[77][78] 소매업체의 데이터 사용은 위에 언급된 새로운 기술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주로 나타난다.[77][78]


  • 개인화된 고객 경험을 통해 마케팅 강화
  • 공급망 관리 최적화
  • 이익 극대화를 위한 가격 조정


많은 선도 브랜드가 쇼핑을 하거나 휴가 중에 돈을 쓰기 위해 특별히 여행하는 관광객을 타겟팅하는 것을 선택한다. Global Retail Tourism Market Report 2019–2023에 따르면,[79] 2018년 전 세계 쇼핑 관광 시장의 가치는 약 1.2조달러로 추산되었다. 또한 이 보고서는 시장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6.7%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한다. 2023년에 Kogan Page는 호평을 받은[80] "[https://www.amazon.co.uk/Leading-Travel-Tourism-Retail-Sustainably/dp/1398609501/ref=sr_1_1?crid=26IRSF5THA0ZK&keywords=Sacha+zackariya&qid=1681085236&sprefix=sacha+zackariya%2Caps%2C91&sr=8-1 Leading Travel and Tourism Retail]"이라는 책을 출판했으며, 이 책은 COVID 이후의 여행 소매 부문을 심층적으로 연구했다.

14. 소매 관광

많은 선도 브랜드가 쇼핑을 하거나 휴가 중에 돈을 쓰기 위해 특별히 여행하는 관광객을 타겟팅하는 것을 선택한다. Global Retail Tourism Market Report 2019–2023에 따르면,[79] 2018년 전 세계 쇼핑 관광 시장의 가치는 약 1.2조달러로 추산되었다. 또한 이 보고서는 시장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6.7%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한다. 2023년에 Kogan Page는 "[https://www.amazon.co.uk/Leading-Travel-Tourism-Retail-Sustainably/dp/1398609501/ref=sr_1_1?crid=26IRSF5THA0ZK&keywords=Sacha+zackariya&qid=1681085236&sprefix=sacha+zackariya%2Caps%2C91&sr=8-1 Leading Travel and Tourism Retail]"이라는 책을 출판했으며,[80] 이 책은 COVID 이후의 여행 소매 부문을 심층적으로 연구했다.

15. 소매업의 통합

지난 수십 년 동안 소매업체 및 소매 체인 사이에는 많은 통합이 있었다. 1988년에서 2010년 사이에 전 세계적으로 총 2.255조달러 규모의 40,788건의 합병 및 인수가 발표되었다.[81] 미국의 소매업체가 관여한 가장 큰 거래는 2006년 Albertson's Inc.를 170억달러에 인수한 것이었고,[82] 2005년 페더레이티드 백화점(Federated Department Stores Inc)과 May Department Stores의 합병으로 165억달러 규모였으며,[83] 현재 Macy's이다. 2004년 Kmart Holding Corp와 Sears Roebuck & Co의 합병은 109억달러 규모였다.[84]

1985년에서 2018년 사이에 소매 부문에서 전 세계적으로 46,755건의 합병 또는 인수가 이루어졌다(인수자 또는 대상이 소매 산업). 이 거래는 총 2.561조달러 규모로 누적된다. 세 번의 주요 소매 M&A 물결은 2000년, 2007년, 그리고 최근 2017년에 발생했다. 그러나 거래 건수 측면에서 역대 최고치는 2016년으로 2,700건이 넘었다. 추가 가치 측면에서 2007년은 2250억달러로 기록을 세웠다.[85]

다음은 소매 산업에서 가장 큰 10대 거래 목록(규모별)이다.

발표일인수자 이름인수자 중간 산업인수자 국가대상 이름대상 중간 산업대상 국가거래 가치(백만 달러)
2006년 1월 11일CVS Corp기타 소매업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Caremark Rx Inc헬스케어 제공업체 및 서비스(HMO)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26,293.58
2007년 9월 3일AB Acquisitions Ltd기타 금융United Kingdom|영국영어Alliance Boots PLC기타 소매업United Kingdom|영국영어19,604.19
2000년 12월 18일주주기타 금융United Kingdom|영국영어Granada Compass-Hospitality식음료 소매업United Kingdom|영국영어17,914.68
2006년 1월 20일AB Acquisition LLC기타 금융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Albertsons Inc식음료 소매업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17,543.85
2013년 2월 26일Home Depot Inc주택 개량 소매업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Home Depot Inc주택 개량 소매업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17,000.00
2005년 2월 28일Federated Department Stores할인 및 백화점 소매업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May Department Stores Co비주거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16,465.87
1999년 8월 30일Carrefour SA식음료 소매업France|프랑스프랑스어Promodes식음료 소매업France|프랑스프랑스어15,837.48
2012년 6월 19일Walgreen Co기타 소매업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Alliance Boots GmbH기타 소매업Schweiz|스위스de15,292.48
2007년 2월 7일Wesfarmers Ltd식음료 소매업Australia|호주영어Coles Group Ltd식음료 소매업Australia|호주영어15,287.79
2011년 3월 6일Wal-Mart Stores Inc할인 및 백화점 소매업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Wal-Mart Stores Inc할인 및 백화점 소매업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14,288.00


16. 소매업 통계

2016년 기준으로 중국은 세계 최대의 소매 시장이었다.[86]

세계 10대 소매업체[87]
순위회사본사2020년 총 매출(10억달러)사업 기반2020년 운영 국가 수
1월마트(Walmart)519.93대형 할인점/슈퍼센터/슈퍼마켓27
2아마존(Amazon.com)280.52전자상거래18
3코스트코(Costco)163.22현금 판매/창고형 클럽12
4슈바르츠 그룹(Schwarz Gruppe)(리들, Lidl)133.89할인 식료품점33
5알디(Aldi)116.06할인 식료품점18
6JD.com82.86전자상거래
7까르푸(Carrefour)82.60대형 할인점/슈퍼마켓32
8아홀드 델하이즈(Ahold Delhaize)78.17식료품점10
9알리바바 그룹(Alibaba Group)71.99전자상거래7
10이케아(IKEA)45.18가구60



미국 월별 소매 판매, 1992–2010


1951년 이후, 미국 인구 조사국은 매달 소매 판매 보고서를 발표해 왔다. 이는 미국의 소비 지출을 측정하는 지표이며, 미국 국내 총생산의 중요한 지표이다. 소매 기업들은 소매 판매 및 재고의 달러 가치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최종 통계 조사에는 12,000개 기업의 표본 추출이 포함되며, 사전 조사에는 5,000개 기업이 포함된다. 사전 추정 데이터는 미국 인구 조사국의 전체 소매 및 식품 서비스 표본의 하위 표본을 기반으로 한다.[91]

소매업은 미국에서 가장 큰 민간 부문 고용주로, 5,200만 명의 미국인 근로자를 지원한다.[92]

2011년, 중앙 유럽 6개국의 식료품 시장 규모는 현지 통화 기준 1070억유로에 육박하며, 이는 전년 대비 2.8% 증가한 수치이다. 이러한 증가는 주로 할인점과 슈퍼마켓 부문에서 발생했으며, 식료품 가격 급등이 주요 원인이었다. 이 정보는 최신 PMR 보고서인 '중앙 유럽의 식료품 소매 2012'를 기반으로 한다.[93]

일본은 1인당 자동판매기 수가 가장 많다.


국가 계정은 소매 및 도매 무역의 총합을 호텔 및 레스토랑과 함께 보여준다. 2012년에는 이 부문이 관광 중심의 섬 경제뿐만 아니라 브라질, 파키스탄, 러시아, 스페인과 같은 다른 주요 국가에서도 GDP의 5분의 1 이상을 제공했다. 후자의 네 국가 모두에서 이 비율은 1970년 이후 증가했지만, 1970년 이후 이 부문이 감소한 다른 국가도 있으며, 때로는 절대적인 측면에서 다른 부문이 경제에서 그 역할을 대체했다. 미국에서는 이 부문이 GDP의 19%에서 14%로 감소했지만, 1인당 연간 4500USD에서 7400USD로 절대적인 측면에서 증가했다. 중국에서는 이 부문이 7.3%에서 11.5%로 성장했으며, 인도에서는 8.4%에서 18.7%로 더 많이 성장했다. 이마케터(Emarketer)는 중국이 2016년에 세계 최대의 소매 시장을 갖게 될 것으로 예측한다.[94]

2016년, 중국은 세계 최대의 소매 시장이 되었다.[86]

아르메니아 공화국에서는 최근 소매 무역이 증가하고 있다. 2022년 10월에는 전년 대비 23.1% 증가했는데, 이는 2021년 4월 이후 가장 큰 증가폭이었으며, 한 달 전에 기록된 20.7% 증가보다 더 빨랐다. 소매 판매는 전 달에 2.1% 누적된 후 1.9% 감소했다. 2022년 처음 10개월 동안 소매 판매는 2021년의 정확한 시간을 측정하여 15.5% 증가했다. 주변 국가 중 GDP 대비 소매 무역 비율에서 아르메니아는 터키보다 더 많이 증가했지만, 여전히 조지아보다 낮다.[95]

참조

[1] 문서 retail 2008-03-16
[2] 웹사이트 retail https://www.thefreed[...] 2018-01-17
[3] 서적 Marketing Principles Cengage
[4] 서적 Marketing Principles Cengage
[5] 서적 Handbook of Marketing Sage
[6] 서적 An Ancient Shopping Center: The Athenian Agora ASCSA
[7] 서적 The Romans: New Perspectives ABC-CLIO
[8] 서적 Shopping Environments Elsevier, Oxford
[9] 학술지 The Birth of Brand: 4000 Years of Branding History https://mpra.ub.uni-[...] 2008
[10] 학술지 A Brief History of Branding in China
[11] 학술지 A Brief History of Branding in China
[12] 서적 The Merchant Class of Medieval London, 1300–1500
[13] 서적 The Buildings of England: Cheshire Penguin
[14] 학술지 Gazetteer of Markets and Fairs in England and Wales to 1516 https://archives.his[...] 2003
[15] 서적 Conflict in the Early Americas: An Encyclopedia of the Spanish Empire's ... https://books.google[...] Abc-Clio
[16] 서적 Perceptions of Retailing in Early Modern England Ashgate, Aldershot, Hampshire
[17] 서적 Perceptions of Retailing in Early Modern England Ashgate, Aldershot, Hampshire
[18] 서적 Tales of Two Cities: Paris, London and the Birth of the Modern City Atlantic Books
[19] 서적 Principles of a Political Economy with some of their Applications to Social Philosophy Longman, London
[20] 문서 Reshaping Retail: Why Technology is Transforming the Industry and How to Win in the New Consumer Dr
[21] 웹사이트 Shops and Shopping in Britain: from market stalls to chain stores https://www1.umassd.[...] University of Massachusetts, Dartmouth 2017-05-29
[22] 서적 Shopping as an Entertainment Experience Lexington Books, Plymouth
[23] 서적 101 Amazing Facts about Wales Andrews, UK
[24] 잡지 The Terrazzo Jungle https://www.newyorke[...] 2024-06-19
[25] 서적 The Urge to Splurge: A Social History of Shopping ECW Press, Toronto, Canada
[26] 웹사이트 Bunnings Shifts Focus as it Upsizes Store Network https://www.theage.c[...] 2018-12-19
[27] 뉴스 The Death of Retail is Greatly Exaggerated 2017-06-15
[28] 뉴스 The Shopping Mall's Socialist Pre-History https://jacobin.com/[...] 2024-06-19
[29] 뉴스 America's 'Retail Apocalypse' Is Really Just Beginning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8-01-15
[30] 학술지 Old and new approaches to marketing. The quest of their epistemological roots https://mpra.ub.uni-[...] 2009
[31] 서적 The Art Of Retailing McGraw-Hill
[32] 학술지 What influences Chinese fashion retail? Shopping motivations, demographics and spending https://figshare.com[...] 2020-09-03
[33] 서적 Marketing Communications: Framework, Theories and Application Prentice Hall, London
[34] 학술지 "The Moderating Effect of Brand Equ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arketing Mix Strateg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Loyalty"
[35] 학술지 Competitive Strategies in Retailing: An Investig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Porter's Framework for Food Retailers
[36] 간행물 "The Marketing Mix Revisited: Towards the 21st Century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2006
[37] 간행물 "The Marketing Mix, the Retailing Mix and the Use of Retail Strategy Continua" Proceedings of the 1983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AMS)
[38] 서적 MKTG 2010 Cengage 2010
[39] 간행물 "From Multi-channel Retailing to Omni-channel Retailing: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on Multi-channel Retailing" Journal of Retailing
[40] 서적 Marketing: Concepts and Strategies Cengage 2013
[41] 서적 "The Strategy and Tactics of Pricing: A Guide to Growing More Profitably" Routledge 2016
[42] 서적 Business-to-Business Marketing Sage 2011
[43] 서적 The Brand Flip: Why customers now run companies and how to profit from it (Voices That Matter) Voices That Matter 2008
[44] 서적 Modern Cost-Benefit Methods Macmillan 1978
[45] 서적 "Pricing Strategies and Objectives: A Cross-cultural Survey" Edward Elgar 2009
[46] 논문 EDLP, Hi-Lo, and Margin Arithmetic http://www.davidreil[...] 2018-12-19
[47] 간행물 "Deception in retailer high-low pricing: A 'rule of reason' approach" Journal of Retailing 1994
[48] 간행물 "The Price Bundling of Services" Journal of Marketing 1987-04
[49] 서적 Priceless: The Myth of Fair Value (and How to Take Advantage of It) Hill and Wang 2011
[50] 뉴스 They Broke It https://www.nytimes.[...] 2009-01-09
[51] 뉴스 Josiah Wedgwood, an Industrial Revolution pioneer https://www.adamsmit[...] Adam Smith Institute 2024-06-08
[52] 뉴스 "PayPal Deepens Retail Drive in Discover Payments Deal" Technology News 2012-08-22
[53] 웹사이트 Council Post: Three Ways To Crush E-Commerce: Busting Common Misconceptions https://www.forbes.c[...] 2019-02-06
[54] 뉴스 A Part-Time Life, as Hours Shrink and Shift https://www.nytimes.[...] 2012-10-28
[55] 간행물 "Stand-alone Sale of a Free Gift: Is it effective to accentuate promotion value?" Social Behavior & Personality 2015
[56] 서적 Personal Selling https://books.google[...] Juta Academic 2008
[57] 웹사이트 Retail Mix https://www.monash.e[...] 2024-06-19
[58] 간행물 "The Impact of Retail Servicescape on Buying Behaviour" BVIMSR's Journal of Management Research 2014
[59] 간행물 "The Effect of the Servicescape on Customers' Behavioral Intentions in Leisure Service Settings" The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60] 서적 Wine Marketing: A Practical Guide
[61] 간행물 Marketing to the senses: A multisensory strategy to align the brand touchpoints Admap 2015-04
[62] 논문 The impact of music on consumers' reactions to waiting for services 1997-03-01
[63] 논문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https://www.research[...]
[64] 간행물 "Cross-cultural generalizability of a scale for profiling consumers' decision-making styles" The Journal of Consumer Affairs 1993
[65] 간행물 "From perfectionism to faddism: measuring consumers' decision-making styles" 1985
[66] 간행물 "Conceptualisation and measurement of optimal consum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nsumer Affairs 1983
[67] 논문 Consumer innovativeness and consumer decision styles: A confirmatory and segmentation analysis
[68] 간행물 "A Review on Sproles & Kendall's Consumer Style Inventory (CSI) for Analyzing Decision Making Styles of Consumers" Indian Journal of Marketing 2013
[69] 간행물 "A methodology for profiling consumers' decision-marking styles" Journal of Consumer Affairs 1986
[70] 간행물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involvement and consumer decision-making styles" Journal of Consumer Behaviour 2006
[71] 간행물 "The Marketing Mix Revisited: Towards the 21st Century Marketing" 2006
[72] 웹사이트 The World of Retail: Hardlines vs. Softlines http://www.valueline[...] Value Line 2014-05-22
[73] 뉴스 What is Soft Merchandising? http://smallbusiness[...] 2014-05-22
[74] 웹사이트 hard goods http://www.investorw[...] Investor Words 2014-05-22
[75] 서적 Intermediate Microeconomics and Its Application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4
[76] 논문 Analyzing the Effects of Cross-Border E-Commerce Industry Transfer Using Big Data 2021-06-17
[77] 웹사이트 Retail Inventory Method: Definition, Calculation, and Example https://www.investop[...] 2024-06-19
[78] 웹사이트 Retail Method of Inventory Estimation https://xplaind.com/[...] 2024-06-19
[79] 웹사이트 My publications - Global Travel Retail Market Research Report and Forecast to 2019-2023 - Page 1 - Created with Publitas.com https://view.publita[...] 2023-04-11
[80] 웹사이트 MoodieDavitt Report https://www.moodieda[...] 2023-04-05
[81] 웹사이트 Statistics on Mergers & Acquisitions (M&A) – M&A Courses {{!}} Company Valuation Courses {{!}} Mergers & Acquisitions Courses https://web.archive.[...] 2012-11-02
[82] 뉴스 SuperValu-CVS group buys Albertson's for $17B http://www.bizjourna[...] 2014-07-09
[83] 웹사이트 Federated and May Announce Merger; $17 billion transaction to create value for customers, shareholders http://phx.corporate[...] Phx.corporate-ir.net 2012-11-02
[84] 웹사이트 Kmart Finalizes Transaction With Sears http://searsholdings[...] Searsholdings.com 2012-11-02
[85] 뉴스 M&A by Industries https://web.archive.[...] 2018-02-28
[86] 뉴스 China Eclipses the US to Become the World's Largest Retail Market – eMarketer https://www.emarkete[...] 2017-04-25
[87] 웹사이트 Top 50 Global Retailers 2021 https://nrf.com/reso[...] 2021-04-13
[88] 웹사이트 Top 100 Retailers 2020 List https://nrf.com/reso[...] 2021-04-13
[89] 웹사이트 Hot 100 Retailers 2020 List https://nrf.com/reso[...] 2021-04-13
[90] 웹사이트 2020 Top 100 Retailers Chart https://nrf.com/reso[...] 2021-04-13
[91] 웹사이트 US Census Bureau Monthly & Annual Retail Trade https://www.census.g[...] 2017-12-11
[92] 웹사이트 Estimated March imports at major U.S. retail container ports hit five-year low, declines expected to continue amid pandemic https://portnews.ru/[...] 2020-04-10
[93] 웹사이트 Grocery retail in Central Europe 2012 https://web.archive.[...] 2024-06-19
[94] 웹사이트 Asia's ecommerce spending to hit record $1 trillion this year – but most of that is China https://www.techinas[...] 2016-08-18
[95] 웹사이트 Fast Moving Consumer Goods https://www.trade.go[...] 2022-12-07
[96] 웹사이트 학회HP http://jsmd.jp/ 일본상업학회 2022-01-23
[97] 문서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1828100 http://krdic.naver.c[...]
[98] 문서 http://hanja.naver.com/word?q=%E5%B0%8F%E8%B3%A3 http://hanja.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