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디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타디움은 고대 그리스어 '스타디온'에서 유래된 말로, 육상 경기, 축구, 야구 등 다양한 스포츠 경기를 위해 설계된 대규모 시설을 의미한다. 고대 올림픽 경기가 열린 올림피아 경기장이 가장 오래된 스타디움으로 알려져 있으며, 로마의 치르쿠스 막시무스 등 고대 도시에도 많은 스타디움이 존재했다. 현대에는 1896년 파나티나이코 경기장에서 근대 올림픽이 개최되면서 스타디움의 역사가 이어졌으며, 돔형, 다목적, 전용 경기장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스타디움 설계는 스포츠 종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관람석, 조명, 안전 및 보안 시설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며, 최근에는 환경 문제와 재정 문제, 특히 명명권 판매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스타디움은 대규모 콘서트 장소로도 활용되며, 1960년대 비틀즈 공연 이후 "스타디움 록"이라는 용어가 생겨나는 등 대중음악 공연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장 - 키르쿠스
키르쿠스는 고대 로마 시대에 전차 경주 등을 위해 건설된 장방형 형태의 대규모 경기장 건축물이며, 중앙 분리대와 회전 지점을 갖추고 신분에 따라 좌석이 배정되었다. - 경기장 - 종합운동장
종합운동장은 다양한 스포츠 활동과 행사를 위해 설계된 시설로, 전 세계에 위치하며 국제적인 스포츠 행사 개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스포츠 시설 - 경기장
경기장은 스포츠 및 이벤트를 위한 시설로, 종목별 전용 경기장과 다목적 경기장이 있으며, 관중석 유무에 따라 스타디움이나 돔으로 불리기도 하고, 다양한 종목에 특화된 형태로 존재하며 다른 종목 경기에 활용되기도 한다. - 스포츠 시설 - 헬스클럽
헬스클럽은 개인의 건강 증진을 위해 다양한 운동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웨이트 트레이닝 공간 외에도 수영장, 그룹 운동 수업, 사우나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유럽에서 시작되어 한국에서 사업화된 대중적인 운동 공간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스타디움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스포츠, 콘서트 및 기타 이벤트를 위한 장소 |
용도 | 주로 야외 활동 |
역사 | |
초기 형태 | 고대 그리스의 스타디온에서 유래 |
현대적 발전 |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에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시설로 발전 |
구조 및 디자인 | |
주요 특징 | 경기장 또는 무대 관중석 부대시설 (탈의실, 매점 등) |
설계 요소 | 가시성 접근성 안전 수용 인원 |
활용 | |
스포츠 | 축구 야구 육상 미식축구 크리켓 기타 스포츠 경기 |
기타 행사 | 콘서트 축제 박람회 대규모 모임 |
현대 스타디움의 특징 | |
기술 발전 | 첨단 조명 및 음향 시스템 대형 스크린 실시간 중계 시설 |
다목적 활용 | 여러 종류의 이벤트를 수용하도록 설계됨 |
관람 환경 | 편안한 좌석 다양한 편의 시설 |
관련 용어 | |
경기장 | 스타디움 내부의 경기 또는 공연이 열리는 장소 |
관중석 | 관람객이 앉는 계단식 좌석 |
스탠드 | 관중석의 다른 명칭 |
관중 | 스포츠 경기나 공연을 관람하는 사람들 |
스포츠 시설 | 스포츠 경기를 위해 필요한 모든 시설물 |
관련 정보 | |
세계 최대 규모 | 루지 으네토르 |
스포츠 시설 유형 | 실내 경기장 경기장 스포츠 회관 |
2. 어원
"스타디움(Stadium)"은 그리스어 "스타디온"(''στάδιον'')의 라틴어 형태이며, 600개의 사람 발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 단위이다.[5] 발의 길이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스타디온의 정확한 길이는 특정 장소와 시간에 채택된 1피트의 정확한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현대적 용어로는 1 스타디온 = 약 182.88m이지만, 특정 역사적 맥락에서는 실제로 최대 15% 더 크거나 작은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4]
스타디움(Stadium)이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의 "경기장"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스타디온 (στάδιον)"에서 유래했으며, 일본어로 직역하면 "(사람들이)선 곳"이다. 관객석을 "스탠드(stand)"라고 부르는 것도 여기에서 유래한다.
이와 동등한 로마식 단위인 ''stadium''은 비슷한 길이(약 185m)를 가졌지만, 피트로 정의되는 대신 로마 표준 passus를 사용하여 125 ''passūs''(이중 보폭)의 거리로 정의되었다.
영어에서 ''stadium''의 용법은 그러한 길이의 로마 경주로 주변의 계단식 구조물에서 유래한다.
대부분의 사전에서는 ''stadiums''와 ''stadia'' 모두를 유효한 영어 복수형으로 제공한다.
스타디움(Stadium)이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의 "경기장"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스타디온 (στάδιον)"에서 유래했다. 일본어로 직역하면 "(사람들이)선 곳"이며, 관객석을 "스탠드(stand)"라고 부르는 것도 여기에서 유래한다.
기원전 776년 이후 고대 올림픽이 개최되었던, 현재 알려진 가장 오래된 스타디움은 그리스 펠로폰네소스 반도 서부의 올림피아에 있는 것이다. 처음에는 스타디움의 끝에서 끝까지 달리는 단거리 경주만이 경기로 치러졌다. 따라서 경쟁에서 달리는 거리로 올림피아 스타디움의 길이(약 190m)가 다소 표준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이 길이는 로마에도 계승되어 180m~200m라는 트랙 길이가 표준으로 여겨졌다. 길이의 단위인 스타디온은 이것에서 유래하며, 미터법에서는 177.6m이다.
3. 역사
가장 오래된 스타디움은 기원전 776년부터 고대 올림픽 경기가 열렸던 그리스의 올림피아 경기장이다. 초기 올림픽 경기는 스타디움 길이를 따라 달리는 단거리 경주 하나로만 구성되었다. 올림피아 스타디움의 길이(약 190m)는 표준적인 거리로 여겨졌으며, 로마에도 계승되었다. 길이의 단위인 스타디온은 여기에서 유래하며, 미터법에서는 177.6m이다.
그리스와 로마의 경기장은 여러 고대 도시에서 발견되었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로마의 도미티아누스 경기장이다. 달리는 거리가 약 200m를 넘으면 인간의 신체가 최고 속도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근현대 육상 경기의 기록도 이를 뒷받침한다.
파나티나이코 경기장은 발굴 및 보수된 고대 경기장으로, 1870년[6]과 1875년에 올림픽 경기 부활 시도를 개최했다. 이후 1896년 최초의 근대 올림픽, 1906년 중간 올림픽, 2004년 하계 올림픽의 일부 경기를 개최하며 현대에 사용된 최초의 고대 경기장이 되었다. 이 경기장의 발굴과 보수는 그리스의 국민 후원자 에반겔로스 자파스의 유산으로 이루어졌다.
3. 1. 고대
가장 오래된 스타디움은 기원전 776년부터 고대 올림픽 경기가 열렸던 그리스의 올림피아 경기장이다. 초기 올림픽 경기는 스타디움 길이를 따라 달리는 단거리 경주 하나로만 구성되었다.[6]
그리스와 로마의 스타디움은 여러 고대 도시에서 발견되었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로마의 도미티아누스 경기장이다.[6]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스타디움은 목적이 달랐다. 처음에는 그리스인들만 "스타디움"이라 불리는 건축물을 건설했고, 로마인들은 "서커스"라 불리는 건축물을 건설했다. 그리스 스타디움은 육상 경주를 위해 사용되었던 반면, 로마 서커스는 경마를 위해 사용되었다. 두 건축물 모두 비슷한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관중석은 그릇 모양으로 주변에 배치되어 있었다.[7][8] 그리스인들은 또한 극장을 개발했는데, 그 좌석 배치는 현대 스타디움의 좌석 배치를 예고하는 것이었다. 로마인들은 극장을 모방한 다음, 더 많은 관중을 수용하고 더 정교한 무대를 설치하기 위해 확장했다. 로마인들은 또한 원형극장이라 불리는 두 배 크기의 원형 극장을 개발하여, 검투사 시합과 야수 쇼를 위해 수만 명의 관중을 수용했다. 그리스 스타디움과 극장, 그리고 로마 서커스와 원형극장은 모두 현대 스타디움의 조상이다.[7][8]
이름 | 국가 | 최초 건설 시기 | 트랙 길이 | 트랙 너비 |
---|---|---|---|---|
올림피아 경기장 | 그리스 | 기원전 776년 | 212.54m | 28.5m |
델포이 경기장 | 그리스 | 기원전 500년 | 177m | 25.5m |
도미티아누스 경기장 | 이탈리아 | 서기 80년 | 200m~250m (추정) | |
필리포폴리스 경기장 | 불가리아 | 2세기 (서기 117~138년)[9] | 250m | 32m |
아프로디시아스 경기장 | 튀르키예 | 기원전 1세기 | 225m (약) | 30m (약) |
스타디움(Stadium)이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의 "경기장"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스타디온 (στάδιον)"에서 유래했다. 현재 알려진 가장 오래된 스타디움은 그리스 펠로폰네소스반도 서부의 올림피아에 있는 것이다. 여기서는 기원전 776년 이후 고대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처음에는 스타디움의 끝에서 끝까지 달리는 단거리 경주만이 경기로 치러졌다.
3. 2. 근대
1896년 제1회 근대 올림픽은 그리스 아테네의 파나티나이코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는데, 이 경기장은 고대 경기장을 발굴하고 보수하여 현대에 다시 사용한 최초의 사례이다.[6] 19세기 후반, 영국에서는 축구, 미국에서는 야구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현대적인 스타디움 건설이 시작되었다.[10]영국의 랜즈다운 로드 경기장은 헨리 던롭이 1872년에 건설한 초기 경기장 중 하나이다. 던롭은 자신의 공학 지식을 활용하여 아일랜드 전역에서 부러워할 만한 경기장을 만들었다. 이 외에도 스탬퍼드 브리지 경기장(1877년 개장), 앤필드 경기장(1884년 개장) 등이 이 시기에 건설된 초기 경기장이다.[10] 굿디슨 파크는 세계 최초의 축구 전용 경기장으로, 1892년 8월 24일에 개장했다. 1만 2천 명의 관중이 모여 육상 경기 행사와 음악, 불꽃놀이를 관람했다.[11]
미국에서는 1871년 보스턴에 사우스 엔드 그라운드가 개장하여 초기 야구장 시대를 열었다. 그러나 이 당시의 목조 경기장들은 화재에 취약하여, 대부분 콘크리트와 강철 구조로 교체되었다. 베이커 볼은 1895년에 재건축되면서 캔틸레버식 2층 구조와 강철, 벽돌을 사용한 최초의 야구장이 되었다. 1903년에는 하버드 대학교가 하버드 스타디움을 건설했는데, 이는 콘크리트와 강철 구조를 사용한 세계 최초의 경기장이었다. 1909년에는 시브 파크와 포브스 필드가 개장하면서 콘크리트와 강철 구조가 야구에 본격적으로 도입되었고, 포브스 필드는 세계 최초의 3층 스포츠 경기장이었다.
건축가 아치볼드 리치는 산업 건물 건설 경험을 바탕으로 기능적인 경기장 설계에 기여했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올드 트래퍼드는 10만 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연속적인 좌석을 갖춘 최초의 경기장이었다.[14]
1908년 하계 올림픽을 위해 건설된 화이트 시티 경기장은 영국 최초의 현대식 좌석 경기장으로, 6만 8천 명의 수용 인원을 자랑했다.[16] 런던 하이베리 경기장은 1936년 재설계되면서 2층 좌석 배치를 갖춘 영국 최초의 경기장이 되었다.[10]
역대 최대 경기장 관중 기록은 1950년 7월 16일 리우데자네이루의 마라카낭 경기장에서 열린 1950년 FIFA 월드컵 결승전 우루과이 대 브라질 경기를 관람한 19만 9,854명이다.[17]
4. 종류
스타디움은 다양한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크게 지붕 유무에 따라 돔형과 일반형으로 나뉜다. 돔형 경기장은 지붕이 있어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지만, 일반 경기장은 야외에서 경기가 진행된다.
돔형은 지붕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하는 축구, 미식축구 와 같은 경기를 할 수 있을 정도의 넓이를 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경기에 맞춰 설계되었기 때문에 "스타디움"이라고 불린다. 반면, 피겨스케이팅과 같은 실내 경기용 시설은 "경기장"이라고 불린다. 지붕은 일부만을 덮는 유형도 있고, 많지는 않지만, 필드가 이동식인 것도 있다.
또한, 경기장의 좌석 형태에 따라서도 종류를 나눌 수 있다. 관객석 전체가 의자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서서 관람하는 입석을 전제로 하는 경우도 있다.
건폐율을 최대한 활용한 결과, 내외부 모두 상부로 넓어지는 스리바치조(すり鉢状) 형태를 띤 스타디움도 있다.[38]
1923년의 양키 스타디움 이후로, 야구장을 "스타디움"이라고 부르는 예가 증가했다. 양키 스타디움에는 처음에 육상 경기용 트랙이 있었고, 미식축구에도 사용되었다. 수십 년이 지나면서, 주로 야구장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야외 경기장이라면 "스타디움"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4. 1. 돔형 스타디움
돔형 경기장은 지붕으로 덮여 있어 날씨와 관계없이 경기를 진행할 수 있는 경기장을 말한다. 이러한 돔형 경기장은 육상, 미식축구, 축구, 럭비, 야구 등 일반적으로 야외 스포츠로 간주되는 스포츠를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스타디움"이라고 불린다.[18] 반면, 농구, 아이스하키, 배구와 같이 일반적으로 실내 스포츠를 위해 설계된 경기장은 "경기장"이라고 불린다.세계 최초의 돔형 스타디움은 미국의 휴스턴 애스트로돔으로, 실제 돔 모양의 지붕으로 지어졌다.[18] 세이서스 슈퍼돔(뉴올리언스)은 층상 다중 환형 프레임으로 만들어진 진정한 돔 구조이며, 지름이 210m로 세계에서 가장 큰 고정 돔 구조물이다.[19]
일부 돔형 경기장에는 부분적인 지붕이 있으며, 몇몇 경기장은 인프라의 일부로 이동식 경기장을 갖도록 설계되기도 했다.
다음은 일본의 돔형 스타디움 예시이다.
경기장 | 수용 인원 | 주요 용도 | 위치 |
---|---|---|---|
삿포로 돔 | 약 41,000 | 축구 | 홋카이도삿포로시토요히라구 |
에스콘필드 홋카이도 | 약 35,000 | 야구 | 홋카이도키타히로시마시 |
세이부 돔 | 약 31,500 | 야구 | 사이타마현토코로자와시 |
도쿄 돔 | 약 43,500 | 야구 | 도쿄도분쿄구 |
나고야 돔 | 약 36,400 | 야구 | 아이치현나고야시동구 |
오사카 돔 | 약 36,200 | 야구 | 오사카부오사카시서구 |
후쿠오카 돔 | 약 40,000 | 야구 | 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중앙구 |
4. 2. 다목적 스타디움
다목적 스타디움은 축구, 야구, 육상 등 다양한 스포츠 경기를 개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잠실종합운동장 서울올림픽주경기장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관객석은 전석 의자석인 경우도 있고, 입석을 전제로 한 경우도 있다.
건폐율을 최대한 활용한 결과, 내외부 모두 상부로 넓어지는 스리바치조(すり鉢状) 형태를 띤 스타디움도 있다.[38]
4. 3. 전용 경기장
특정 스포츠 종목만을 위해 설계된 경기장을 전용 경기장이라고 한다. 축구 전용 경기장, 야구 전용 경기장 등이 이에 해당한다.대한민국의 축구 전용 경기장으로는 서울월드컵경기장, 수원월드컵경기장 등이 있다. 일본의 경우, 축구 전용 경기장이 일반적이다. 일본의 주요 축구 전용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5. 설계 문제
스타디움 설계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경기장 설계가 잘못되면 힐즈버러 참사(1989년 4월 15일, 잉글랜드 셰필드 힐즈버러 스타디움에서 발생한 관중 압사 사고로 96명 사망)나 헤이젤 참사(1985년 5월 29일, 벨기에 브뤼셀 에이젤 경기장에서 발생한 사고로, 리버풀 팬들과 유벤투스 팬들의 충돌로 39명 사망)와 같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5. 1. 경기장 크기와 모양
경기 종류에 따라 필요한 경기장의 크기와 모양이 다르다. 특정 경기에만 사용하는 경기장도 있고, 여러 경기에 사용할 수 있는 경기장도 있다. 다목적 경기장에서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축구 경기장과 육상 트랙을 결합한 유형인데, 관중석이 멀어지는 문제점이 있지만 대체로 잘 사용된다.[39] 특히 미국 대학 축구 경기장에서는 관람석이 경기장 전체를 둘러싸는 타원형, 한쪽 끝이 열려 있는 말굽형 경기장이 일반적이다.미국에서는 1960년대에 미식축구와 야구 겸용 경기장이 많이 건설되었다. 그러나 두 경기가 요구하는 것이 명확히 달라, 1990년대부터는 전용 경기장을 건설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었다. 최근에는 미식축구 및 야구 겸용 경기장에 딸린 넓은 주차장에 미식축구 및 야구 전용 경기장을 각각 건설하여, 두 경기장이 인접하거나 같은 부지에 함께 배치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시애틀, 필라델피아, 피츠버그, 신시내티 등).
오래된 야구장은 이미 있는 토지나 도시의 한 구석에 건설되었기 때문에, 경기장의 모양이 비대칭인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양키 스타디움은 뉴욕 브롱크스의 삼각형 토지에 건설되어 좌익수 쪽은 넓지만 우익수 쪽은 좁다.
잉글랜드에서는 '테라스'가 관람석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원래는 입석을 의미했지만 현재는 의자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테라스'가 외야 쪽 경사면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으며, 크로슬리 필드의 것이 유명하다.
경기장 설계가 잘못되면, 힐즈버러 참사(1989년)나 헤이젤 참사(1985년)와 같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축구 경기장의 경우, FIFA(국제축구연맹) 규정에서는 스탠드 최전열에서 터치라인까지의 거리가 8.5m가 기준이지만, 그보다 짧은 경기장도 있다.[39]
경기장 | 수용 인원 | 주요 용도 | 위치 |
---|---|---|---|
삿포로 돔* | 약 41,000 | 축구 | 홋카이도 삿포로시 토요히라구 |
에스콘필드 홋카이도* | 약 35,000 | 야구 | 홋카이도 키타히로시마시 |
미야기 구장 | 약 31,200 | 야구 | 미야기현 센다이시 미야기노구 |
미야기 스타디움 | 약 49,000 | 육상 경기 | 미야기현 미야기군 리후정 |
니가타 스타디움 | 약 42,300 | 육상 경기 | 니가타현 니가타시 중앙구 |
니가타현 야구장 | 약 30,000 | 야구 | 니가타현 니가타시 중앙구 |
이바라키현 카시마 삭커 스타디움 | 약 40,700 | 축구 | 이바라키현 카시마시 |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약 63,700 | 축구 |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중앙구 |
세이부 돔* | 약 31,500 | 야구 | 사이타마현 토코로자와시 |
지바 마린 스타디움 | 약 30,000 | 야구 | 지바현 지바시 미하마구 |
국립경기장 | 약 68,000 | 육상 경기 | 도쿄도 신주쿠구 |
메이지 신궁 야구장 | 약 31,000 | 야구 | 도쿄도 신주쿠구 |
도쿄 돔* | 약 43,500 | 야구 | 도쿄도 분쿄구 |
도쿄 스타디움 | 약 50,000 | 축구 | 도쿄도 조후시 |
요코하마 스타디움 | 약 35,200 | 야구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중구 |
요코하마 국제종합경기장 | 약 72,300 | 육상 경기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코호쿠구 |
시즈오카현 오가사야마 종합운동공원 스타디움 | 약 50,800 | 육상 경기 | 시즈오카현 후쿠이시 |
나고야 돔* | 약 36,400 | 야구 | 아이치현 나고야시 동구 |
토요타 스타디움 | 약 44,300 | 축구 | 아이치현 토요타시 |
오사카 돔* | 약 36,200 | 야구 | 오사카부 오사카시 서구 |
나가이 육상 경기장 | 약 47,800 | 육상 경기 | 오사카부 오사카시 히가시스미요시구 |
시립 스이타 삭커 스타디움 | 약 39,600 | 축구 | 오사카부 스이타시 |
미사키 공원 구기장 | 약 30,100 | 축구 | 효고현 고베시 효고구 |
고베 종합운동공원 유니버 기념 경기장 | 약 45,000 | 육상 경기 | 효고현 고베시 스마구 |
고베 종합운동공원 야구장 | 약 35,000 | 야구 | 효고현 고베시 스마구 |
한신 고시엔 구장 | 약 42,600 | 야구 | 효고현 니시노미야시 |
오카야마현 쿠라시키 스포츠 공원 야구장 | 약 30,400 | 야구 | 오카야마현 쿠라시키시 |
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 약 33,000 | 야구 |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남구 |
히로시마 광역공원 육상경기장 | 약 50,000 | 육상 경기 |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아사나미구 |
히가시히라오 공원 하카타노모리 육상경기장 | 약 30,000 | 육상 경기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하카타구 |
후쿠오카 돔* | 약 40,000 | 야구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중앙구 |
쿠마모토현민 종합운동공원 육상경기장 | 약 32,000 | 육상 경기 | 쿠마모토현 쿠마모토시 동구 |
오이타 스포츠 공원 종합경기장 | 약 40,000 | 육상 경기 | 오이타현 오이타시 |
미야자키현 종합운동공원 경식야구장 | 약 30,000 | 야구 | 미야자키현 미야자키시 |
5. 2. 관람석

전석 좌석 경기장은 모든 관중을 위한 좌석을 갖추고 있다. 잉글랜드에서는 관람석을 '테라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열악한 경기장 설계는 힐스버러 참사와 헤이절 스타디움 참사와 같은 재난의 원인이 되었다.[1] 이러한 참사 이후 모든 프리미어 리그,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및 FIFA 월드컵 예선 경기에서는 모든 관중이 착석해야 한다.[1]
원래 입석으로만 설계되었지만, 현재는 일반적으로 좌석을 갖추고 있다. 미국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용어는 블리처인데, 이는 개별 좌석이 아닌 벤치 좌석이 있는 좌석 구역에 주로 사용되며, 종종 지붕이 없다.
많은 경기장에서는 고가의 럭셔리 스위트룸이나 박스석을 관중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스위트룸은 장소에 따라 10명에서 30명까지 수용할 수 있다. 슈퍼볼과 같은 행사의 럭셔리 스위트룸은 수십만 달러의 비용이 들 수 있다.[1]
5. 3. 조명
야간 경기나 실내 경기장에서는 조명이 필수적이다. 조명은 선수들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균일하고 충분한 밝기를 제공해야 한다.조명탑이 등장하기 전, 대규모 경기장은 대부분 자연광에 의존해야 했다. 브래멀 레인(Bramall Lane)은 최초로 조명 시설을 갖춘 경기장으로 알려져 있다. 1878년 겨울, 셰필드(Sheffield)의 브래멀 레인에서 조명을 사용한 실험 경기가 열렸다. 당시에는 국가 전력망이 없어 전지와 발전기(dynamo)를 사용했기 때문에 조명이 불안정했다.
전력망이 개발되면서 조명은 경기장 설계의 핵심 요소가 되었다. 조명 덕분에 해가 진 후에도 경기를 할 수 있게 되었고, 자연광이 부족하지만 관중에게 더 나은 보호 시설을 제공하는 지붕이 있는 경기장이나 부분적으로 지붕이 있는 경기장에서도 경기를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6. 안전 및 보안
경기장은 많은 사람이 모이고 행사가 빈번하게 열리는 곳이기 때문에 안전 및 보안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1989년 4월 15일 잉글랜드 셰필드의 힐즈버러 경기장에서 발생한 힐즈버러 참사는 인파 압사로 인해 97명이 사망하고 765명이 부상을 입은 영국 스포츠 역사상 최악의 참사였다.[1]
이러한 참사를 예방하기 위해 설계와 법률 등 다방면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테러리즘이나 폭력의 위험을 방지하고, 경기장을 가족들이 함께 공공 행사를 즐길 수 있는 장소로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20세기 유럽과 남미에서는 폭력적인 서포터스들이 축구 경기장 안이나 근처에서 싸우는 일이 흔했다. 영국에서는 이들을 후리건이라고 불렀다.[2]
안전을 위한 구조적 특징으로는 각 관람객 구역의 별도 출입구 설치, 홈팀과 원정팀 서포터스 출입구 분리, 분리벽, 유리 난간, 진동 감쇠 및 스프링클러 시스템 등이 있다.[3]
보안을 위해 채택된 기능에는 무장 감시, 신분증 확인, 영상 감시, 금속 탐지기 및 보안 검색 등이 있으며, 관람객이 위험하거나 잠재적으로 위험한 물품을 소지하는 것을 금지하는 규칙을 시행하고 있다.[4]
7. 정치 및 경제적 문제
현대 스타디움 건설은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메가 프로젝트이다. 특히 대규모 경기장은 대기업, 억만장자 또는 정부만이 감당할 수 있다. 스포츠 팬들은 자신이 응원하는 팀에 깊은 정서적 애착을 가지고 있다. 북미의 경우 폐쇄적인 리그의 "프랜차이즈" 시스템으로 인해 도시 수보다 팀 수가 적어, 팀 구단주들은 엄청난 교섭력을 갖게 된다. 구단주들은 정부가 새로운 시설 건설에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다른 도시로 팀을 이전하겠다고 위협할 수 있다.[22] 유럽과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한 도시에 여러 축구 클럽이 있고 각국에 여러 리그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러한 독점력이 존재하지 않으며, 경기장은 주로 사적으로 건설된다. 프로 스포츠 외에도 정부는 하계 올림픽과 FIFA 월드컵(축구) 개최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과정에서 개입하는데, 도시들은 종종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또는 FIFA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새로운 경기장 건설을 약속한다.
과거에는 클럽 오너의 이름을 따서 경기장 이름을 짓는 경우가 있었는데, 리글리 필드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오너가 경영하는 기업의 이름과 경기장 이름이 일치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업 이름을 사용하는 새로운 흐름이 생겨났다.
1970년대부터 미국 스포츠 경기장 소유주들은 기업 스폰서를 통해 경기장 이름을 판매하는 것이 비용 절감에 유리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990년대에 이 움직임은 크게 가속화되어 신구 경기장 모두에 기업 이름이 붙게 되었다. 샌디에이고의 퀄컴 스타디움처럼 기존의 이름을 없애고 기업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기업 스폰서를 맞이하는 움직임은 이미 전 세계로 확산되어 밀워키의 아메리칸 패밀리 필드 등 새로 지어진 경기장의 경우 처음부터 기업 이름이 붙는 경우가 많다. 일부 지방 자치 단체 소유 경기장은 현지의 유명한 인물의 이름을 따서 지어지기도 했는데, 미니애폴리스의 허버트 H. 험프리 메트로돔이 그러한 예이다.
기업 네이밍의 결과, 계약 기간 만료 또는 기업의 변경에 따라 경기장 이름이 자주 변경되었다. 미국의 체이스 필드는 이전에 뱅크 원 볼파크였으나, Bank One의 인수와 함께 이름이 변경되었다. 샌프란시스코의 3Com Park는 캔들스틱 파크에서 3Com Park로 이름이 바뀐 후 몇 년 뒤 계약이 만료되었고, 2년 후 몬스터 파크라는 새로운 이름이 붙었다. 로스앤젤레스의 더 포럼은 이름의 근원이 된 은행이 사라진 후에도 여러 해 동안 같은 이름을 유지했다. 휴스턴의 미닛 메이드 파크는 원래 엔론 필드였지만, 스폰서 기업 엔론의 스캔들 때문에 곧바로 이름이 사라졌다. 그 후 애스트로스 필드라는 이름을 1년 사용한 후 새로운 스폰서 기업이 붙었다. 이러한 이름 변경은 미국 등에서 성행하지만, 경기장 명명권 매매를 좋게 생각하지 않는 나라도 많다. 그들은 기업의 자본 참여보다 스포츠가 더 고귀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7. 1. 재정 문제
현대 스포츠 경기장, 특히 대규모 경기장은 메가 프로젝트로, 대기업, 억만장자 또는 정부만이 건설 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 스포츠 팬들은 자신이 응원하는 팀에 깊은 정서적 애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팀 구단주들은 이를 이용하여 정부에 새로운 시설 건설에 대한 보조금을 요구하기도 한다. 만약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다른 도시로 팀을 이전하겠다고 위협할 수 있을 정도의 교섭력을 갖는다.[22]북미의 경우 폐쇄적인 리그의 "프랜차이즈" 시스템으로 인해 도시 수보다 팀 수가 적어 구단주들의 이러한 교섭력이 매우 크다.[22] 반면, 유럽과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한 도시에 여러 축구 클럽이 존재하고 각국에 여러 리그가 있어 이러한 독점력이 존재하지 않으며, 경기장은 주로 사적으로 건설된다.
프로 스포츠 외에도, 정부는 하계 올림픽이나 FIFA 월드컵(축구)과 같은 국제 스포츠 대회를 유치하기 위해 경쟁하는 과정에서 경기장 건설에 개입하기도 한다. 도시들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나 FIFA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경기장 건설을 약속하는 경우가 많다. 더불어민주당은 스포츠 시설 건립에 대한 공공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효과를 기대한다.
7. 2. 명명권 (Naming Rights)
최근 수십 년 동안, 스포츠 팀들은 경기장 건설 및 유지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경기장 명칭에 대한 권리를 판매해왔다. 1970년대에 시작되어 1990년대에 가속화된 이 추세로 인해, 기존 경기장과 신축 경기장 모두에 스폰서의 이름이 붙게 되었다. 기업 이름이 수년 동안 알려진 경기장 이름을 대체하기도 한다.기업 명명으로 인해 명칭을 딴 기업의 이름이 바뀌거나 명명 계약이 만료되면 경기장 이름이 바뀌는 경우가 많아졌다. 예를 들어, 피닉스의 체이스 필드는 이전에 뱅크 원 볼파크로 알려졌으나, 뱅크 원의 인수를 반영하여 이름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FIFA 월드컵과 같은 국제 대회에서는 기업 명칭 사용이 제한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06년 FIFA 월드컵 기간 동안 뮌헨의 알리안츠 아레나는 "FIFA 월드컵 스타디움, 뮌헨"으로 불렸다.[22]
한국에서도 기업 명칭을 사용하는 경기장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8. 환경 문제
현대식 경기장 건설은 여러 가지 부정적인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건설에는 수천 톤의 자재가 필요하며, 경기장 유지 관리에도 많은 자원이 소모된다.[23] 경기장 주변 지역의 교통량 증가 역시 문제인데, 건강영향연구소(Health Effect Institute)에 따르면 경기장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30~40%가 건강 문제에 노출될 위험성이 증가한다고 한다.[24]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경기장에서는 자체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거나 고효율 조명을 설치하는 것이다.
9. 음악 공연장으로서의 활용
클래식 음악과 같은 콘서트가 수십 년 동안 경기장에서 열렸지만, 1960년대부터 경기장이 대중음악 공연장으로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특히 하드 록과 프로그레시브 록과 같은 음악 장르에서 "스타디움 록"이라는 용어가 생겨났다. 스타디움 록의 기원은 때때로 비틀즈가 1965년 뉴욕의 셰이 스타디움에서 공연한 것(공연)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5] 1960년대 후반 롤링 스톤스, 그랜드 펑크 레일로드, 레드 제플린과 같은 밴드의 미국 투어에서 대형 경기장을 사용한 것도 중요하다. 이러한 경향은 1970년대 중반 증폭기와 사운드 시스템의 성능 향상으로 더욱 크고 규모가 큰 공연장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발전했다.[25] 연기, 불꽃놀이, 정교한 조명 쇼는 아레나 록 공연의 주요 요소가 되었다.[26] 이 시대의 주요 아티스트로는 저니, REO 스피드웨건, 보스턴, 포리너, 스타이克斯,[27] 키스, 피터 프램프턴[28], 퀸[29] 등이 있다.
1980년대에는 에어로스미스[30]를 비롯해 모틀리 크루, 콰이어트 라이엇, W.A.S.P., 랫 등의 글램 메탈 밴드가 아레나 록을 지배하게 되었다.[31] 1980년대 이후로 그레이트풀 데드, 마돈나, 마이클 잭슨, 비욘세, 레이디 가가, 테일러 스위프트를 포함한 록, 팝, 포크 스타들이 대규모 경기장 기반 콘서트 투어를 진행했다.[32][33][34][35]
콘서트에서 사용하는 경우, 잔디밭이 있는 경기장에서는 잔디 손상도 문제가 된다(보호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41]
10. 한국의 주요 스타디움
\* 표시는 돔구장을 가리킨다.
경기장 | 수용 인원 | 주요 용도 | 위치 |
---|---|---|---|
서울월드컵경기장 | 약 66,704 | 축구 | 서울특별시마포구 |
서울종합운동장 주경기장 | 약 69,950 | 육상 경기, 축구 | 서울특별시송파구 |
고척 스카이돔\* | 약 16,744 | 야구 | 서울특별시구로구 |
잠실 야구장 | 약 23,750 | 야구 | 서울특별시송파구 |
목동종합운동장 주경기장 | 약 15,511 | 육상 경기, 축구 | 서울특별시양천구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약 53,769 | 육상 경기, 축구 | 부산광역시연제구 |
부산 구덕운동장 | 약 12,349 | 육상 경기, 축구 | 부산광역시서구 |
사직 야구장 | 약 22,990 | 야구 | 부산광역시동래구 |
대구월드컵경기장 | 약 66,422 | 육상 경기, 축구 | 대구광역시수성구 |
대구시민운동장 주경기장 | 약 19,467 | 육상 경기, 축구 | 대구광역시북구 |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 약 24,000 | 야구 | 대구광역시수성구 |
인천문학경기장 | 약 49,000 | 육상 경기, 축구 | 인천광역시미추홀구 |
인천SSG랜더스필드 | 약 23,000 | 야구 | 인천광역시미추홀구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약 20,891 | 축구 | 인천광역시중구 |
광주월드컵경기장 | 약 40,245 | 육상 경기, 축구 | 광주광역시서구 |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 약 20,500 | 야구 | 광주광역시북구 |
무등경기장 야구장 | 약 12,500 | 야구 | 광주광역시북구 |
대전월드컵경기장 | 약 40,535 | 축구 | 대전광역시유성구 |
대전한밭종합운동장 주경기장 | 약 20,618 | 육상 경기, 축구 | 대전광역시중구 |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 약 13,000 | 야구 | 대전광역시중구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 약 44,102 | 축구 | 울산광역시남구 |
울산종합운동장 | 약 19,471 | 육상 경기, 축구 | 울산광역시중구 |
수원월드컵경기장 | 약 44,031 | 축구 | 경기도수원시팔달구 |
수원종합운동장 | 약 11,808 | 육상 경기, 축구 | 경기도수원시장안구 |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 | 약 20,000 | 야구 | 경기도수원시장안구 |
창원NC파크 | 약 22,011 | 야구 | 경상남도창원시마산회원구 |
제주월드컵경기장 | 약 29,346 | 축구 |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
참조
[1]
웹사이트
stadium
http://dictionary.re[...]
[2]
웹사이트
Stadium Construction Projects
https://archive.toda[...]
[3]
논문
The Spatial Development of the Modern Stadium
https://journals.sag[...]
SAGE Journals
1993-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제공됨.
[4]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Olympic Games
John Wiley & Sons
2008-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제공됨.
[5]
웹사이트
Στάδιον
https://www.perseus.[...]
[6]
서적
The Modern Olympic Games, A Struggle for Revival
[7]
서적
Circus Factions: Blues and Greens at Rome and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1976-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제공됨.
[8]
서적
The Roman Stage: A Short History of Latin Drama in the Time of the Republic
Methuen
1950-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제공됨.
[9]
웹사이트
Ancient Stadium of Philippopolis
http://ancient-stadi[...]
[10]
웹사이트
World Stadiums – Architecture :: Stadium history
http://www.worldstad[...]
2019-12-31
[11]
서적
School of Science
Macmillan
2003-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제공됨.
[12]
웹사이트
The Move to Goodison
http://www.evertonco[...]
Everton Collection
2010-04-05
[13]
웹사이트
History of Goodison Park
http://www.toffeeweb[...]
ToffeeWeb
2010-04-03
[14]
서적
Football Grounds of Britain
CollinsWillow
1996-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제공됨.
[15]
서적
Wimpey: The first hundred years
George Wimpey
1980-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제공됨.
[16]
논문
A Look at Olympic Costs
http://www.la84found[...]
1992-06-01 # 날짜 정보가 계절만 제공됨. 년, 월 추정
[17]
서적
Guinness World Records Book
https://archive.org/[...]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2013-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제공됨.
[18]
웹사이트
Dome
http://www.merriam-w[...]
[19]
뉴스
Super Bowl XLVII: New Orleans' pride restored after Katrina
https://www.bbc.com/[...]
BBC
2013-02-01 # 날짜 정보가 월만 제공됨. 년, 일 추정
[20]
뉴스
Taiwan's solar stadium 100% powered by the sun
https://www.theguard[...]
2009-05-20
[21]
뉴스
How do you give stadiums atmosphere?
https://www.bbc.co.u[...]
2013-04-13
[22]
잡지
The Dow of Professional Sports
[23]
웹사이트
Big Sports Events Have Big Environmental Footprints. Could Social Licenses to Operate Help?
http://www.forbes.co[...]
[24]
논문
Green Monsters: Examin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Sports Stadiums
http://digitalcommon[...]
2018-08-09
[25]
서적
This Ain't the Summer of Love: Conflict and Crossover in Heavy Metal and Punk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9-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제공됨.
[26]
서적
Popular Music: the Key Concepts
Routledge
2002-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제공됨.
[27]
웹사이트
Arena rock
http://www.allmusic.[...]
2011-01-20
[28]
서적
Continuum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f the World, Volume 1
Continuum
2003-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제공됨.
[29]
서적
The Rough Guide to Rock
Rough Guides
2003-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제공됨.
[30]
서적
American Popular Music
McGraw-Hill
2008-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제공됨.
[31]
웹사이트
Hair metal
https://www.allmusic[...]
2010-07-06
[32]
서적
Secrets from the Masters
https://books.google[...]
Hal Leonard
1992-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제공됨.
[33]
서적
Grateful Dead Gear: The Band's Instruments, Sound Systems, and Recording Sessions from 1965 to 1995
https://books.google[...]
Backbeat Books
2006-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제공됨.
[34]
뉴스
Lady Gaga's Born This Way Ball Tour starts in the UK
http://www.bbc.co.uk[...]
BBC
2012-09-09
[35]
웹사이트
Taylor Swift
http://gillettestadi[...]
Gillette Stadium
[36]
IPA
[37]
IPA
[38]
웹사이트
横浜スタジアムのスタンドが急勾配なのはどうして?
http://hamarepo.com/[...]
[39]
뉴스
G大阪新スタジアムはド迫力日本一近いピッチと客席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5-07-10
[40]
웹사이트
03_New National Stadium Report_August 2015.pdf
http://94.185.143.13[...]
[41]
뉴스
コンサート 芝に負担
http://www.tokyo-np.[...]
東京新聞
2014-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