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아 개발 은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 개발 은행(ADB)은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의 경제 성장과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1966년에 설립된 국제 금융 기구이다. 필리핀 마닐라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68개 회원국(역내 49개국, 역외 19개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ADB는 개발을 위한 자금 지원, 경제 개발 정책 지원, 기술 지원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최근에는 개도국의 정책 개혁, 지역 협력 강화 및 사회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일본이 초대 총재를 배출한 이후 줄곧 일본인이 총재를 맡아왔으며, 현재는 아사카와 마사츠구가 총재직을 수행하고 있다. ADB는 교육, 환경, 기후 변화, 인프라, 금융 부문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투자를 진행하며, 민간 부문에도 자금 지원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경제 -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은 아세안 10개국과 FTA를 체결한 5개국이 참여하는 다자간 무역 협정으로, 관세 인하, 투자 증대, 역내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목표로 하며, 2020년 15개국이 서명하고 2022년부터 순차적으로 발효되었다.
  • 아시아의 경제 - 게이레쓰
    게이레쓰는 전후 일본 경제 부흥기에 자이바쓰 해체 과정에서 생겨난 독특한 기업 집단으로, 은행 중심의 수평적 게이레쓰와 산업 내 공급망을 잇는 수직적 게이레쓰로 나뉘며, 6대 그룹은 사장회 등을 통해 협력한다.
  • 다자개발은행 - 신개발은행
    신개발은행은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서방 주도 금융 시스템의 대안으로 2014년 설립한 다자간 개발 은행으로, 인프라 및 지속 가능한 개발 프로젝트 자금 지원을 목표로 하며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 다자개발은행 - 유럽 부흥 개발 은행
    유럽 부흥 개발 은행(EBRD)은 중앙 계획 경제에서 시장 경제로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1991년에 설립된 국제 금융 기구이다.
  • 유엔 총회 옵서버 - 아프리카 연합
    아프리카 연합은 아프리카 대륙의 거의 모든 독립국가를 회원국으로 하는 정부간 국제기구이며, 경제 통합과 정치적 안정을 증진시키고 아프리카 대륙의 통합을 목표로 하며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 유엔 총회 옵서버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은 1967년 반공주의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5개국이 설립한 국제기구로, 냉전 종식 후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가 가입하여 현재 10개국 체제를 유지하며 경제 통합 및 동아시아 지역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나, 역내외 안보 및 인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아시아 개발 은행
개요
명칭아시아 개발 은행 (Asian Development Bank, ADB)
슬로건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빈곤 퇴치 (Fighting Poverty in Asia and the Pacific)
설립
설립일1966년 12월 19일
유형다자간 개발 은행
상태조약
목적사회 및 경제 개발
조직
본부필리핀, 메트로 마닐라 만달루용
서비스 제공 지역인도-태평양
회원국69개국
주요 임원총재: 마사츠구 아사카와 (2025년 2월 23일까지), 칸다 마사토
주요 기구이사회
모기관아시아 개발 은행 연구소
관련 기관국제 통화 기금 (국제)
직원 수3,769명
재정
예산알 수 없음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아시아 개발 은행 공식 웹사이트

2. 설립 목적 및 역사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제 성장과 협력을 촉진하고 역내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설립 초기에는 식량 생산과 농촌 개발 지원에 중점을 두었으나, 최근에는 정책 개혁, 성장 능력 개발, 지역 협력 강화 및 사회 문제 해결 지원 등으로 활동 범위를 넓히고 있다.

2. 1. 설립 배경 및 목적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창설 논의는 1963년 3월 제19차 UN 아시아·극동 경제위원회(ECAFE) 총회에서 처음 공식화되었다. 이후 1966년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ESCAP, ECAFE의 후신)의 발안으로[75] 같은 해 11월 도쿄에서 32개국 대표가 참가한 가운데 창립총회를 열었으며, 12월부터 업무를 시작했다. 본부는 필리핀 마닐라 수도권 만달루용 시에 위치한다.

설립 과정에는 일본 대장성(현 재무성)이 깊이 관여했다. 초대 총재를 지낸 대장성 출신 와타나베 타케시가 초안을 마련했고, 당시 대장대신이었던 후쿠다 다케오와 금융계 유력 인사였던 오하시 카오루 등이 설립에 참여하여 대장성의 의향이 강하게 반영되었다.

현재 회원국은 67개 국가 및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대 출자국은 일본미국으로 각각 15.7%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 ADB는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이 '중국 타이베이'라는 명칭으로[76] 함께 가입해 있는 드문 국제기구 중 하나이다. 중화민국은 이 명칭 문제에 항의하여 1986년1987년 ADB 총회를 보이콧하기도 했다.[77] 2016년에는 중국 주도로 설립된 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AIIB)과 협조 융자 실시를 위한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

ADB의 설립 목적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제 성장과 경제 협력을 촉진하고, 역내 개발도상국(DMCs)의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협정문 제1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협정문 제2조).

  • 개발을 위한 공공 및 민간 자본의 투자 촉진
  • 역내 개발도상국의 개발 사업에 대한 자금 지원
  • 역내 개발도상국의 경제 개발 계획 및 정책 조정 지원
  • 개발 사업 계획의 작성, 재원 조달, 집행에 대한 기술적 지원
  • UN 및 산하 기관, 역내 투자에 관심 있는 정부, 민간 기구, 기타 국제기구와의 협력
  • 역내 경제 발전과 협력 증진을 위해 필요한 기타 조치 수행


최근 ADB는 전통적인 개발 사업 융자 외에도 역내 개발도상국의 정책 개혁과 성장 능력 개발, 지역 협력 강화 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경제 개발 사업 지원을 지속하면서도, 개발도상국들이 직면한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지원에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2. 2. 연혁

1956년, 일본 재무 장관 이치마다 히사토는 미국 국무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에게 동남아시아 개발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새로운 금융 기관 설립을 제안했다. 1957년 기시 노부스케 일본 총리는 일본과 다른 산업 국가의 자원을 활용한 지역 개발 기금 설립 지원 의사를 밝혔으나, 미국의 비협조로 계획은 보류되었다.

1962년 말, 도쿄 연구소의 경제학자 오하시 가오루가 금융 컨설턴트였던 와타나베 다케시에게 아시아 지역 개발 은행 설립 연구 그룹을 제안하며 아이디어가 다시 부상했다. 이 그룹은 1963년 정기적으로 모여 세계 은행에 대한 와타나베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했지만, 세계 은행의 냉담한 반응에 부딪혔다.

같은 해, 유엔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ECAFE, 현 ESCAP)가 주최한 무역 회의에서 태국 경제학자 폴 시티-아무아이(Paul Sithi-Amnuai)가 이 개념을 공식적으로 제안했다. 초기 반응은 엇갈렸으나 점차 지지가 확산되었다. 전문가 그룹이 구성되었고, 와타나베가 추천되면서 ECAFE와 일본 내 논의가 통합되었다. 미국은 처음에는 중립적이었으나, 린든 B. 존슨 대통령의 아시아 지원 확대 계획(특히 남베트남 군사 지원 확대와 연관)에 부합한다고 판단하여 입장을 바꾸었다.

ADB 본부 유치를 두고 일본 도쿄를 비롯해 방콕, 콜롬보, 카불, 쿠알라룸푸르, 마닐라, 프놈펜, 싱가포르, 테헤란 등 8개 도시가 경쟁했다. 1965년 11월/12월 마닐라에서 열린 각료 회의에서 18개 잠재 회원국이 세 차례 투표를 진행했다. 11월 30일 1차 투표와 다음 날 2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 도시가 나오지 않았다. 최종 3차 투표에서 마닐라가 9표, 도쿄가 8표, 기권 1표로 마닐라가 본부 유치 도시로 결정되었다. 와타나베는 당시 심정을 "내가 그렇게 정성껏 키운 아이가 먼 나라로 빼앗긴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고 회고했다.

1965년 12월 3일,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필리핀 대통령이 아시아 개발 은행의 주춧돌을 놓았다.

1966년 마닐라에서 은행 개장 준비가 진행되었고, 초대 총재 선출이 주요 의제였다. 사토 에이사쿠 일본 총리의 요청과 다른 국가들의 압력으로 와타나베 다케시가 후보로 나서 단독으로 출마, 1966년 11월 24일 창립 총회에서 초대 총재로 선출되었다.

1972년 말까지 일본은 보통 자본금에 1.7369999999999999억달러(총 22.6%), 특별 기금에 1.226억달러(총 59.6%)를 기여하며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반면, 미국은 특별 기금에 125만달러만 기여했다. 일본은 특별 기금 기여를 특정 부문, 지역, 자국 상품 및 서비스 조달과 연계하기도 했다(예: 1968년 4월 농업 특별 기금에 1억달러 기부).

1960년대 설립 초기 ADB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지역 중 하나였던 아시아의 식량 생산과 농촌 개발에 지원을 집중했다. 초기 대출은 주로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대한민국, 필리핀에 집중되었으며, 이들 5개국이 1967년부터 1972년까지 ADB 총 대출의 78.48%를 차지했다. 또한, 1967년부터 1976년까지 일본은 총 조달액의 41.67%를 차지하며 실질적인 이익을 얻었다.

와타나베 다케시는 1972년까지 초대 총재로 재임했다.

본부는 필리핀 마닐라 수도권 만달루용 시에 위치한다.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ESCAP)의 발안으로 1966년에 발족했다.[75] 현재 67개 국가/지역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최대 출자국은 일본미국(각각 출자 비율 15.7%)이다.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중국 타이베이 명칭 사용[76])이 함께 가입한 드문 국제기구 중 하나이다.[77] (중화민국은 이에 항의하여 1986년1987년 ADB 총회를 보이콧하기도 했다.) 2016년에는 중국 주도로 설립된 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AIIB)과 협조 융자 실시를 위한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

설립 과정에는 일본 대장성(현 재무성)이 깊이 관여했다. 대장성 출신으로 초대 총재를 맡은 와타나베 다케시가 초안을 작성했고, 당시 대장대신이었던 후쿠다 다케오와 금융계 거물 오하시 카오루 등 대장성 인사들이 설립에 참여하며 기관 설립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 1965년 12월 4일: 마닐라에서 개최된 은행 설립 전권 대표 회의에서 아시아 개발 은행 설립 협정 채택.
  • 1966년 8월 24일: 아시아 개발 은행 설립 협정 발효 및 은행 발족.
  • 1974년: 아시아 개발 기금 설립.
  • 1983년: 주식 투자를 통한 민간 부문 지원 개시.
  • 1992년: 지역 협력 추진 개시.
  • 1996년: 도쿄에 주일 대표 사무소 설치.
  • 1997년: 도쿄에 아시아 개발 은행 연구소 설치.

3. 조직

아시아 개발 은행 가입국 분포 (파란색: 역외 가맹국, 초록색: 역내 가맹국)


아시아 개발 은행(ADB)은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ESCAP)의 제안으로 1966년에 발족했다.[75] 설립 과정에는 당시 일본 대장성(현 재무성)이 깊이 관여했으며, 초대 총재를 지낸 와타나베 타케시 등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현재 ADB는 아시아 태평양 역내 및 역외 67개 국가 및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본미국이 각각 약 15.7%의 지분을 보유한 최대 출자국이다.[77] ADB는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이 '중국 타이베이'라는 명칭으로 함께 가입해 있는 것이 특징이며,[76] 이 명칭 문제로 중화민국은 1986년1987년 ADB 총회를 보이콧하기도 했다.[77] 은행의 운영은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총회와 이사회를 통해 이루어지며, 은행을 대표하는 총재는 전통적으로 일본인이 맡아왔다.

본부는 필리핀 마닐라 수도권의 만달루용 시에 위치하고 있다.[15][16] 2016년에는 중국 주도로 설립된 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AIIB)과 협조 융자 실시를 위한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77]

3. 1. 의사 결정 구조

필리핀 만달루용에 위치한 ADB 본부


아시아 개발 은행(ADB)의 최고 정책 결정 기구는 총회(Board of Governors)이다. 총회는 각 회원국에서 파견된 대표(총무) 한 명으로 구성된다. 일본의 경우 재무대신이 총무를 맡는다.

총회는 12명의 이사와 그 대리인으로 구성된 이사회(Board of Directors)를 선출한다. 이사 12명 중 8명은 아시아 태평양 역내 회원국에서, 나머지 4명은 역외 회원국에서 선출된다. 이사회는 마닐라에 상주하며 융자 승인 등 일상적인 업무에 대한 의사 결정을 담당하고, 이사는 격년으로 선출된다.

또한 총회는 이사회의 의장이자 ADB의 운영 및 관리를 책임지는 총재를 선출한다. 총재의 임기는 5년이며 연임할 수 있다. 일본은 은행의 가장 큰 주주 중 하나이며, 전통적으로 총재는 항상 일본인이 맡아왔다.

현임 총재는 2020년 1월 17일에 취임한 아사카와 마사쓰구이다.[12] 그는 2013년부터 총재직을 수행한 나카오 타케히코의 뒤를 이었으며,[13][85] 나카오 타케히코는 구로다 하루히코의 후임이었다. 아사카와 총재는 2025년 2월 23일에 사임할 예정이라고 2024년에 발표했다.[14]

ADB의 본부는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만달루용 시에 있는 ADB 애비뉴 6번지에 위치하고 있다.[15][16][86][87] 또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42개의 현장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워싱턴, 프랑크푸르트, 도쿄, 시드니에 대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ADB는 68개 회원국 중 60개국 출신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2019년 말 기준 직원 수는 3,548명이다.[88]

3. 2. 역대 총재

은행의 최고 정책 결정 기구인 총회는 이사회의 의장이자 ADB를 관리하는 은행 총재를 선출한다. 총재의 임기는 5년이며 연임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일본이 은행의 가장 큰 주주 중 하나이기 때문에, 총재는 항상 일본인이 맡아왔다.

현재 총재는 아사카와 마사츠구로, 2020년 1월 17일에 나카오 타케히코의 뒤를 이어 취임했다.[12] 나카오 타케히코는 2013년에 구로다 하루히코의 후임으로 총재가 되었다.[13] 2024년 아사카와 총재는 2025년 2월 23일에 사임할 예정임을 발표했으며,[14] 후임으로는 간다 마사토가 2025년 2월 24일부터 총재로 취임할 예정이다.

이름임기국적
와타나베 타케시1966년–1972년일본
이노우에 시로1972년 11월–1976년 11월일본
요시다 타로이치1976년 11월–1981년 11월일본
후지오카 마사오1981년 11월–1989년 11월일본
타루미 코세이1989년 11월–1993년 11월일본
사토 미츠오1993년 11월–1999년 1월일본
치노 타다오1999년 1월–2005년 2월일본
구로다 하루히코2005년 2월–2013년 3월[13]일본
나카오 타케히코2013년 4월–2020년 1월 16일[12]일본
아사카와 마사츠구2020년 1월 17일[12]–2025년 2월 23일 (사임 예정)[14]일본
간다 마사토2025년 2월 24일– (취임 예정)일본



와타나베 타케시 (Takeshi Watanabe), 초대 총재


간다 마사토 (Masato Kanda), 제11대 총재 (취임 예정)

4. 회원국 및 출자

아시아 개발 은행(ADB)의 회원국은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ESCAP) 회원국 및 준회원국, 기타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역내국)와 유엔(UN) 또는 UN 전문기구에 가입한 역외 선진국으로 구성된다. ADB는 설립 당시부터 역외 선진국에 문호를 개방했다는 특징이 있다. 회원국 가입은 총회의 승인을 얻어 배정된 주식을 인수하고 해당 금액을 출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대한민국1966년 창립 당시 원회원국으로 참여했다.

각 회원국은 투표권을 가지며, 이는 모든 회원국에 동일하게 배분되는 기본표(총 투표권의 20%)와 각국의 출자액에 비례하는 비례표의 합으로 결정된다. 회원국들은 출자 규모와 투표권 비중 등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나뉘어 활동한다.

ADB는 인프라, 의료 서비스, 금융 및 공공 행정 시스템 등에 대한 투자(대출, 보조금, 정보 공유)를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빈곤 감소와 포용적 경제 성장,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 지역 통합 달성을 목표로 한다. 2017년에는 아시아 개발 기금(ADF)의 대출 사업을 일반 자본 자원(OCR)과 통합하여 연간 대출 및 보조금 지원 규모를 확대했다.[18]

4. 1. 회원국

아시아 개발 은행(ADB)의 가입 자격은 UN ESCAP의 회원국과 준회원국, 그리고 기타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에게 주어진다. 역외국의 경우, UN 또는 UN 전문기구에 가입한 선진국이어야 한다. ADB는 설립 당시부터 역외 선진국에게 문호를 개방했다는 점에서 아프리카개발은행이나 미주개발은행과 차이가 있다. ADB 가입을 원하는 국가는 총회의 찬성을 얻어 배정된 주식을 인수하고 해당 금액을 출자해야 정식 회원국이 된다.[67] 대한민국은 1966년 창립 회원국으로 가입했다.

2019년 3월 23일 기준으로 ADB는 총 68개 회원국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49개국은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 회원국이고 19개국은 기타 지역 회원국이다.[66] 회원국이 탈퇴할 경우, 은행은 해당 국가의 주식을 재매입하여 계정을 정산한다.[67]

각 회원국은 투표권을 가지며, 이는 모든 회원국에게 동일하게 배분되는 기본표(총 투표권의 20%)와 각국의 출자액에 비례하여 배분되는 비례표의 합으로 결정된다. 1995년 말 기준으로 주요국의 투표권 비중은 일본이 15.60%로 가장 높았고, 미국 7.98%, 중화인민공화국 6.65%, 인도 6.54%, 오스트레일리아 6.01%, 캐나다 5.47%, 대한민국 5.28% 순이었다. 당시 역내 회원국의 총 투표권 비중은 68.3%였다.

회원국들은 각국의 투표권 비중이나 경제적 특성 등에 따라 특정 그룹에 소속되어 활동한다. 현재 총 12개 그룹(역내 8개, 역외 4개)으로 나뉘어 운영된다. 미국, 일본, 중국은 각각 단독으로 그룹을 형성하며, 다른 국가들은 몇몇 나라가 모여 하나의 그룹을 이룬다. 대한민국은 중화민국(중국 타이베이 명칭 사용)[69][70], 파푸아뉴기니, 스리랑카, 바누아투와 함께 같은 그룹에 속해 있으며, 이 그룹의 이사직을 맡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가입 이후 중화민국은 '중국 타이베이'라는 명칭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이에 항의하여 1986년과 1987년 ADB 총회를 보이콧하기도 했다.[77]

아래는 ADB 회원국 목록과 가입 연도이다.



'''기타 지역 회원국 (20개국)'''
국가가입 연도국가가입 연도국가가입 연도
오스트리아1966네덜란드1966프랑스1970
벨기에1966노르웨이1966스페인1986
캐나다1966스웨덴1966튀르키예1991
덴마크1966영국1966포르투갈2002
핀란드1966미국1966룩셈부르크2003
독일[73]1966스위스1967아일랜드2006
이탈리아1966이스라엘2024


4. 2. 출자 및 의결권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ESCAP)의 회원국, 준회원국, 기타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이 아시아 개발 은행(ADB)에 가입할 자격을 가진다. 역외국의 경우, 유엔(UN) 또는 UN 전문기구에 가입한 선진국이어야 한다. ADB는 설립 초기부터 역외 선진국에게 문호를 개방했다는 점에서 아프리카 개발 은행이나 미주 개발 은행과 차이가 있다. ADB 가입을 희망하는 국가는 총회의 승인을 받고 배정된 주식을 인수하여 해당 금액을 출자해야 정식 회원국이 된다. 1996년 말 기준으로 회원국은 역내국 40개국과 역외국 16개국, 총 56개국이었다. 대한민국1966년 창립 당시 원회원국으로 참여했다.

ADB 회원국은 각각 투표권을 가지며, 이는 모든 회원국에게 동일하게 배분되는 기본표(총 투표권의 20%)와 각국의 출자액에 비례하여 배분되는 비례표를 합산하여 결정된다. 1995년 말 기준 주요국의 총 투표권 비중은 일본 15.60%, 미국 7.98%, 중화인민공화국 6.65%, 인도 6.54%, 오스트레일리아 6.01%, 캐나다 5.47%, 대한민국 5.28% 순이었다. 당시 역내 회원국의 총 투표권 비중은 68.3%였다.

ADB 회원국들은 국제 통화 기금(IMF)이나 국제 부흥 개발 은행(IBRD)처럼 각국의 투표권 비중이나 경제적 특성에 따라 특정 그룹에 소속되어 활동한다. 현재 총 12개의 그룹(역내국 8개, 역외국 4개)으로 나뉘어 있다. 미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은 각각 단독으로 그룹을 형성하며, 나머지 국가들은 여러 나라가 모여 하나의 그룹을 이룬다. 대한민국대만, 파푸아뉴기니, 스리랑카, 바누아투와 함께 같은 그룹에 속해 있으며, 이 그룹의 이사직은 대한민국이 맡고 있다.

아래 표는 2021년 12월 기준으로 아시아 개발 은행(ADB)의 출자 자본과 의결권 상위 20개국을 보여준다.[64]

아시아 개발 은행의 출자 규모 및 의결권 기준 상위 20개국
순위국가출자 자본
(총액 대비 %)
의결권
(총액 대비 %)
'전 세계'100.000100.000
1일본15.57112.751
1미국15.57112.751
3중화인민공화국6.4295.437
4인도6.3175.347
5오스트레일리아5.7734.913
6인도네시아5.4344.641
7캐나다5.2194.469
8대한민국5.0264.315
9독일4.3163.747
10말레이시아2.7172.468
11필리핀2.3772.196
12프랑스2.3222.152
13파키스탄2.1742.033
14영국2.0381.924
15이탈리아1.8031.737
16뉴질랜드1.5321.520
17태국1.3581.381
18중화 타이베이1.0871.164
19align=left|1.0231.113
20align=left|1.0191.109
기타 회원국 전체10.89422.832


5. 주요 사업 및 활동

1990년대에 들어 아시아 개발 은행(ADB)은 메콩강 유역 국가들의 무역과 협력을 지원하며 지역 협력 증진에 힘쓰기 시작했다. 또한 이 시기에는 냉전 종식 후 여러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새롭게 가입하면서 회원국 규모가 확대되었다.[18]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가 발생하자 ADB는 역내 금융 부문을 강화하고 빈곤층을 위한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는 사업을 통해 위기 대응에 나섰다. 특히 위기 상황에서 한국에 대해 단일 대출로는 역대 최대 규모인 40억달러의 긴급 자금을 지원하기도 했다. 1999년에는 빈곤 감소를 ADB의 최우선 목표로 공식 채택하였으며[18], 이후 교육, 환경, 금융, 인프라, 지역 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공 및 민간 부문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왔다.[23]

ADB는 사업 수행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다른 개발 기구들과의 공동 자금 조달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39] 2014년의 경우, ADB 사업 규모 229억달러 중 약 40%에 해당하는 92억달러가 협력 기관들의 공동 지원으로 이루어졌다.[39]

최근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부터의 회복 지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영향 대응, 심화되는 기후 변화와 식량 안보 문제 해결 등 복합적인 위기 상황에 처한 개발도상 회원국들을 지원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42]

5. 1. 주요 사업 분야

아시아 개발 은행(ADB)은 사회 변화를 위한 조직으로, 포괄적인 경제 성장,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 그리고 지역 통합을 통해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의 빈곤 감소에 전념한다. 이는 인프라, 의료 서비스, 금융 및 공공 행정 시스템에 대한 투자(대출, 보조금 및 정보 공유 형태)를 통해 수행되며, 국가들이 기후 변화의 영향에 대비하거나 더 나은 자연 자원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1999년, ADB는 빈곤 감소를 최우선 목표로 공식 채택했다.[18]

ADB 대출의 약 80%는 다음 5개의 공공 부문 운영 분야에 집중된다.[23]

  • 교육: 아시아 태평양 개발도상국의 초등 교육 접근성 향상 및 교육 질 개선을 지원하여 지속적인 경제 및 사회 성장의 기반을 마련한다.[24]
  • 환경, 기후 변화 및 재해 위험 관리: 지역의 경제 성장과 빈곤 감소에 필수적인 환경 지속 가능성 확보를 목표로 관련 사업을 추진한다.[25]
  • 금융 부문 개발: 마이크로파이낸스, 중소기업 지원, 규제 개혁 등을 포함한 금융 시스템 및 자본 시장 개발을 통해 포용적 성장을 촉진한다. 특히 민간 부문 운영 부서(PSOD)는 2002년부터 이 분야를 주요 우선순위로 다루고 있으며, 무역 금융 지원 등을 통해 활발히 기여하고 있다.[26]
  • 인프라: 운송[27], 통신[28], 에너지[29], 수자원 공급 및 위생[30], 도시 개발[31] 등 필수적인 사회 기반 시설 구축 및 개선을 지원한다.
  • 지역 협력 및 통합 (RCI): 1990년대 메콩 강 유역 국가 협력 지원을 시작으로[18], 2004년 이후 RCI를 핵심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는 회원국 간 경제적 연계를 강화하여 성장 가속화, 빈곤 및 격차 완화, 생산성 향상, 제도 강화를 목표로 한다.[32]


민간 부문 대출은 초기에는 미국의 제안으로 시작되었으나, Tadeo Chino 총재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강화되었다. 이후 민간 부문 운영 부서(PSOD)는 빠르게 성장하여 ADB의 주요 자금 지원 부서 중 하나가 되었다. PSOD는 상업 대출 외에도 보증, 지분 투자, 메자닌 금융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을 제공하며, 재무적 수익률과 더불어 명확한 사회적 편익을 창출하는 민간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ADB의 참여는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지분의 25%를 넘지 않도록 하여 상업적 자금 유치를 촉진한다.[38] 2017년 ADB의 총 대출액 191억달러 중 32억달러가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 한 비주권(non-sovereign) 운영의 일환으로 집행되었다.[34]

ADB는 전통적으로 중소득 국가에는 상업적 조건의 경성 대출을, 빈곤 국가에는 저금리의 연성 대출을 제공했으나, 2017년부터는 두 종류의 대출 모두 보통 자본 자원(OCR)에서 조달하는 방식으로 변경했다.[33] ADB의 재원은 주로 세계 자본 시장에서의 채권 발행, 회원국 기여금, 대출 이익금, 대출 상환금을 통해 마련된다.[35]

2022년 연차 보고서에 따르면, ADB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식량 위기 등 복합적인 위기에 직면한 개발도상 회원국 지원에 집중했다. 총 205억달러 규모의 지원을 약속했으며, 이 중 기후 변화 대응에 67억달러, 식량 안보 강화에 140억달러를 배정하는 등 주요 과제 해결에 힘썼다. 또한 민간 부문 금융을 포함하여 성 평등, 교육, 의료 분야를 지원하고, 혁신적 금융 기법을 활용하여 재원을 확보하며 지역 협력을 강화했다.[42]

주요 사업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78]

  • 개발도상 회원국 대상 자금 대출 및 주식 투자
  • 개발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 준비·실행을 위한 기술 지원 및 자문
  • 개발 목적의 공적·민간 자금 동원 촉진
  • 회원국의 개발 정책 조정 지원


이러한 지원은 주로 사회 기반 시설(교육, 의료), 운송·통신, 에너지, 농업·천연자원, 광공업, 금융 등의 분야에 집중된다. 2005년 기준 연간 약 60억달러의 융자와 1.8억달러의 기술 지원이 이루어졌다.[78]

국가별 주요 프로젝트 예시
국가프로젝트명
아프가니스탄하이라탄-마자르-이-샤리프 철도 사업[45]
아르메니아급수 및 위생 부문 사업[46]
부탄친환경 전력 개발 사업[47]
인도농촌 도로 부문 II 투자 프로그램[48], 아가르탈라 시립 기반 시설 개발 사업[49]
인도네시아직업 교육 강화 사업[50]
라오스북부 및 중부 지역 급수 및 위생 부문 사업[51]
몽골식량 및 영양 사회 복지 프로그램 및 사업[52]
필리핀남북 통근 철도 연장 사업 (말롤로스-클라크 철도 사업 및 남부 통근 철도 사업, 일본 국제 협력 기구 공동 자금 지원)[53][54], 바탄-카비테 연결 다리 (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 공동 자금 지원)[55], 라구나 호반 도로 네트워크 (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 한국수출입은행-경제 개발 협력 기금 공동 자금 지원)[56]
솔로몬 제도태평양 민간 부문 개발 계획[57]



연도별 주요 대출 국가 (단위: 백만 달러)[36][37]
국가2018년2017년2016년2015년
금액비중 (%)금액비중 (%)금액비중 (%)금액비중 (%)
중국17,01516.616,28416.915,61524.814,64625.2
인도16,11515.714,72015.213,33121.212,91622.2
파키스탄10,81810.610,97511.44,5707.34,3197.4
인도네시아10,35610.19,3939.78,70013.88,21414.1
방글라데시9,1698.98,6859.0----
필리핀----5,9359.45,5259.5
기타38,99838.136,51937.814,83123.512,48621.6
총계102,470100.096,577100.062,983100.058,106100.0


5. 2. 포괄적 접근 방식

아시아 개발 은행(ADB)은 스스로를 사회 변화를 위한 조직으로 정의하며, 포괄적인 경제 성장,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 그리고 지역 통합을 통해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의 빈곤 감소에 전념한다. 이러한 목표는 인프라, 의료 서비스, 금융 및 공공 행정 시스템에 대한 투자(대출, 보조금 및 정보 공유 형태)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국가들이 기후 변화의 영향에 대비하거나 더 나은 자연 자원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1999년 ADB는 빈곤 감축을 최우선 목표로 삼는 새로운 전략을 채택했다.[18] 이 전략은 "빈곤층을 배려한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 "사회 개발", 그리고 "굿 거버넌스"를 세 가지 핵심 기둥으로 설정했다. 이를 뒷받침하는 지표로는 "환경 보호", "젠더와 개발의 촉진", "민간 부문의 발전", 그리고 "지역 내 협력"이 제시되었다.

ADB 대출의 약 80%는 다음의 주요 운영 분야에 집중된다.[23]

ADB 주요 운영 분야[23]
분야주요 내용
아시아 태평양 지역 개발도상국의 초등 교육 등록률 향상을 지원하고, 지속적인 경제 및 사회 성장을 저해하는 교육 관련 문제 해결에 힘쓴다.[24]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경제 성장과 빈곤 감소에 필수적인 환경 지속 가능성 확보를 지원한다.[25]
국가 경제의 기반이 되는 금융 시스템 강화를 목표로 한다. 마이크로파이낸스, 중소기업 지원, 규제 개혁, 자본 시장 개발 등을 통해 빈곤 감소에 기여하며, 특히 민간 부문 운영 부서(PSOD)의 무역 금융 지원은 활발한 활동 분야 중 하나이다.[26]
인프라 | 운송[27], 통신[28], 에너지[29], 수자원 공급 및 위생[30], 도시 개발[31] 등 필수적인 기반 시설 구축 및 개선을 지원한다.
2004년 도입된 개념으로, 국가 간 경제적 연계를 강화하여 경제 성장 가속화, 빈곤 및 경제 격차 감소, 생산성 및 고용 증대, 관련 기관 강화를 목표로 한다.[32]



이 외에도 민간 부문 대출은 ADB 활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는 미국 레이건 행정부의 영향으로 도입되었으나, 타데오 치노 총재 시기에 본격적으로 우선순위가 되었고, 이후 민간 부문 운영 부서(PSOD)는 ADB 내에서 자금 지원 규모가 가장 큰 부서 중 하나로 성장했다. 이러한 경향은 2008년 3월 이사회에서 채택된 장기 전략 프레임워크(LTSF)로 이어졌다.

2022년 연차 보고서에 따르면, ADB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 극복,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및 심각한 기아 문제와 같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한 개발도상 회원국들을 지원하는 데 주력했다. 총 205억달러 규모의 지원을 약속했으며, 이 중 67억달러는 기후 이니셔티브에, 140억달러는 식량 안보 강화에 할당되었다. 또한 민간 부문 금융을 포함하여 성 평등 증진, 교육 및 의료 개선, 혁신적인 금융 메커니즘을 통한 추가 자원 확보, 지역 협력 증진 등에 중점을 두었다. 보고서는 효율성 증대를 위한 조직 개혁과 본부의 완전한 재개방에 따른 하이브리드 근무 모델 채택에 대해서도 언급했다.[42]

5. 3. 한국과의 협력

아시아 개발 은행(ADB)은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다른 개발 기구들과 협력하여 자금 규모를 늘리고 있다.[39] 이러한 협력의 일환으로 필리핀의 라구나 호반 도로 네트워크 사업에서는 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AIIB) 및 한국수출입은행의 경제 개발 협력 기금(EDCF)과 공동으로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56]

6. 비판 및 논란

아시아 개발 은행(ADB) 초기부터 비판가들은 주요 기부국인 일본미국이 대출, 정책, 인력 채용 결정에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고 비난했다.[58]

국제 구호 개발 기구인 옥스팜 호주는 아시아 개발 은행이 지역 사회에 무관심하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ADB와 같은 국제 금융 기구가 가난하고 소외된 지역 사회에 해로운 결과를 초래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사람들의 인권을 침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59] 또한 유엔 환경 계획은 ADB 주도의 "성장의 상당 부분이 농촌 인구의 70% 이상을 지나쳐 갔으며, 이들 중 많은 수가 생계와 소득을 천연 자원에 직접 의존하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통해 비판했다.[60]

ADB의 대규모 프로젝트가 감독 부족으로 인해 사회적, 환경적 피해를 일으킨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가장 논란이 많은 ADB 관련 프로젝트 중 하나는 태국의 매모 석탄 화력 발전소이다. 환경 및 인권 운동가들은 ADB의 환경 보호 정책, 토착민 및 강제 이주에 대한 정책이 국제 기준에 부합한다고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무시되거나 너무 모호하여 효과가 없거나 은행 관계자들이 이를 제대로 시행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61][62]

은행은 식량 위기와 관련해서도 비판을 받았다. 시민 사회는 ADB가 위기 발생 전 관련 경고를 무시했으며, 많은 개발도상국 정부에 농업 부문의 규제 완화민영화를 압박하는 대출 조건을 밀어붙여 동남아시아의 쌀 공급 부족과 같은 문제를 야기함으로써 위기에 기여했다고 비난했다.[63]

내부 운영과 관련하여, 민간 부문 운영 부서(PSOD)는 한때 연간 24억달러의 자금 조달을 마감했으나, 이후 몇 년 동안 그 수준에 훨씬 못 미쳤다. 이로 인해 2020년까지 민간 부문에 대한 자금 조달 비중을 50%로 늘리겠다는 목표 달성이 어려워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비평가들은 PSOD가 ADB 내에서 사실상 유일하게 수익을 창출하는 부서임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대출이 공공 부문에 대한 특혜성(시장 금리 이하) 대출로 이루어지면서 ADB가 상당한 재정적 어려움과 지속적인 영업 손실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한다.

경제 발전을 목적으로 하는 아시아 개발 은행이 개발도상국에서 융자하는 대형 개발 프로젝트가 현지에 환경적, 사회적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주장과 함께, 의사 결정 과정에 현지 주민의 참여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했다는 비판이 개발도상국뿐만 아니라 일부 NGO에서도 제기되고 있다.

매년 개최되는 ADB 총회에서는 문제가 있는 프로젝트를 다루는 정책 제언형 NGO들의 로비 활동이 이루어지기도 하며, 아시아 개발 은행이 취하는 정책 자체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는 그룹들이 대항 포럼을 개최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인도 하이데라바드에서 개최된 제39회 총회에서는 'ADB에 반대하는 인민 포럼'(Peoples Forum against ADB)이 열렸고, 2007년 5월 교토에서 개최된 제40회 총회에서는 'ADB 교토 총회 시민 네트워크 포럼'이 개최되어 ADB가 융자하는 프로젝트의 문제점 등이 논의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About: Management http://www.adb.org/a[...] 2020-06-23
[2] 서적 ADB Annual Report 2022 https://www.adb.org/[...] Asian Development Bank 2024-04-01
[3] 웹사이트 ADB History http://www.adb.org/a[...] Asian Development Bank 2015-11-26
[4] 웹사이트 Departments and Offices http://www.adb.org/a[...] Asian Development Bank 2015-11-26
[5] 논문 Japan and the Asian Development Bank http://hir.harvard.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1996
[6] 웹사이트 ADB Annual Reports http://www.adb.org/d[...] Asian Development Bank 2015-11-26
[7] 웹사이트 Scholarship Program: List of Academic Institutions https://www.adb.org/[...] Asian Development Bank 2017-10-12
[8] 웹사이트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17-04-28
[9] 웹사이트 Shareholders https://www.adb.org/[...] Asian Development Bank 2015-11-26
[10] 웹사이트 Board of Directors http://www.adb.org/a[...] Asian Development Bank 2015-11-26
[11] 웹사이트 ADB https://www.trade.go[...] 2024-12-10
[12] 웹사이트 New ADB President Masatsugu Asakawa Assumes Office https://www.adb.org/[...] Asian Development Bank 2020-01-17
[13] 웹사이트 New ADB President Takehiko Nakao Assumes Office http://www.adb.org/n[...] Asian Development Bank 2013-04-28
[14] 뉴스 ADB president announces resignation https://business.inq[...] 2024-09-09
[15] 웹사이트 Contacts http://www.adb.org/c[...] 2015-04-21
[16] 웹사이트 Contacts: How to Visit ADB http://www.adb.org/c[...] 2015-04-21
[17] 웹사이트 Key Facts http://www.adb.org/a[...] Asian Development Bank 2015-11-26
[18] 웹사이트 ADB History http://www.adb.org/a[...] Asian Development Bank 2015-12-21
[19] 서적 The World Bank: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10-12-01
[20] 서적 Chron 20c Hist Bus Com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4-23
[21] 서적 The dragon roars back : transformational leaders and dynamics of Chinese foreign policy https://www.worldcat[...]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3
[22] 웹사이트 Asian Development Bank https://www.adb.org/[...] Asian Development Bank
[23] 웹사이트 Core Operational Areas http://www.adb.org/a[...] Asian Development Bank 2014-03-30
[24] 웹사이트 Education http://www.adb.org/s[...] Asian Development Bank 2015-12-14
[25] 웹사이트 Environment, Climate Change, and Disaster Risk Management http://www.adb.org/t[...] Asian Development Bank 2015-12-14
[26] 웹사이트 Finance Sector Development http://www.adb.org/s[...] Asian Development Bank 2015-12-14
[27] 웹사이트 Sustainable Transport for All http://www.adb.org/s[...] Asian Development Bank 2015-12-14
[28] 웹사이트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http://www.adb.org/s[...] Asian Development Bank 2015-12-14
[29] 웹사이트 Energy http://www.adb.org/s[...] Asian Development Bank 2015-12-14
[30] 웹사이트 Water for All http://www.adb.org/s[...] Asian Development Bank 2015-12-14
[31] 웹사이트 Urban Development http://www.adb.org/t[...] Asian Development Bank 2015-12-14
[32] 웹사이트 Regional Cooperation and Integration http://www.adb.org/t[...] Asian Development Bank 2015-12-14
[33] 웹사이트 ADF-OCR Merger to Boost Support for Region's Poor http://www.adb.org/n[...] Asian Development Bank 2015-05-02
[34] 웹사이트 ADB news release https://www.adb.org/[...] Asian Development Bank 2018-01-12
[35] 웹사이트 FAQs http://www.adb.org/a[...] Asian Development Bank 2015-11-27
[36] 웹사이트 Management's Discussion and Analysis and Annual Financial Statements https://www.adb.org/[...] Asian Development Bank 2016-12-31
[37] 웹사이트 2018 FINANCIAL REPORT https://www.adb.org/[...] Asian Development Bank 2018-12-31
[38] 웹사이트 Private Sector (Nonsovereign) Financing http://www.adb.org/s[...] Asian Development Bank 2015-12-14
[39] 웹사이트 Official Cofinancing http://www.adb.org/s[...] Asian Development Bank 2015-12-14
[40] 웹사이트 Funds http://www.adb.org/s[...] Asian Development Bank 2015-12-14
[41] 뉴스 ADB raises $118 million from rupee-linked bonds https://economictime[...] The Economic Times 2020-02-26
[42] 웹사이트 ADB Annual Report 2022 https://www.adb.org/[...] Asian Development Bank 2024-04-01
[43] 웹사이트 Overview http://www.adb.org/s[...] Asian Development Bank 2015-12-14
[44] 웹사이트 Exceptions to Disclosure http://www.adb.org/s[...] Asian Development Bank 2015-12-14
[45] 웹사이트 Hairatan to Mazar-i-Sharif railway Railways of Afghanistan http://www.andrewgra[...] 2015-11-27
[46] 웹사이트 Water Supply and Sanitation Sector Project – Additional Financing in Armenia: General Procurement Notice https://www.devex.co[...] Devex 2015-11-27
[47] 웹사이트 Proposed Green Power Development Project in Bhutan https://www.devex.co[...] Devex 2015-11-27
[48] 웹사이트 Government signs loan agreement with ADB for Rural Roads Sector II Investment Program–Project 4, Special Content – Association Releases – ConstructionBiz360 https://web.archive.[...] 2015-11-27
[49] 웹사이트 India Project Notice https://www.biddetai[...] 2023-01-21
[50] 뉴스 ADB supports vocational education in Indonesia http://www.antaranew[...] Antara 2012-09-28
[51] 웹사이트 Oudomxay hosts belated opening ceremony for water treatment plant https://laospdrnews.[...] 2012-06-01
[52] 웹사이트 Food and Nutrition Social Welfare Programme and Project (Capacity Development Project – M&E) http://www.opml.co.u[...] 2015-11-27
[53] 웹사이트 Malolos–Clark Railway Project: North-South Commuter Railway, PNR Clark – Phase 2 https://www.adb.org/[...] Asian Development Bank 2019-07-10
[54] 웹사이트 Philippines: South Commuter Railway Project https://www.adb.org/[...] Asian Development Bank
[55] 웹사이트 Philippines : Bataan–Cavite Interlink Bridge Project https://www.adb.org/[...] Asian Development Bank 2023-12-12
[56] 웹사이트 Philippines : Laguna Lakeshore Road Network Project https://www.adb.org/[...] 2024-11-11
[57] 웹사이트 Pacific banks go branchless to reach the unbanked http://www.scoop.co.[...] Scoop News 2015-11-27
[58] 논문 Donor Influence in MDBs: The Case of the Asian Development Bank http://www.williams.[...] 2010-09-16
[59] 웹사이트 The Asian Development Bank and Food Security http://www.oxfam.org[...] 2008-02-23
[60] 웹사이트 Inter Press Service – News and Views from the Global South https://web.archive.[...]
[61] 웹사이트 Large-scale ADB projects draw criticism http://search.japant[...]
[62] 웹사이트 RFI – NGO criticises ADB and questions its ability to reduce poverty http://www.rfi.fr/ac[...] rfi.fr
[63] 웹사이트 ADB to meet amid food crisis, growing poverty https://web.archive.[...]
[64] 서적 Members, Capital Stock, and Voting Power https://www.adb.org/[...] Asian Development Bank 2021-05-01
[65] 서적 A Graduation Policy for the Bank's DMCs http://www.adb.org/d[...] Asian Development Bank 1998-11-26
[66] 웹사이트 Members http://www.adb.org/a[...] Asian Development Bank 2012-03-28
[67] 서적 Agreement Establishing the Asian Development Bank http://www.adb.org/d[...] Asian Development Bank 1965-12-04
[68] 문서 Joined as Kingdom of Laos, succeeded by Lao PDR in 1975
[69] 서적 Asian Development Bank and Taipei,China: Fact Sheet http://www.adb.org/p[...] Asian Development Bank 2021-04-26
[70] 문서 Joined as Republic of China representing not only Taiwan Area, but also nominally Mainland China until 1986. However, its share of Bank capital was based on the size of Taiwan's capital, unlike the World Bank and IMF where the government in Taiwan had had a share. The representation was succeeded by China in 1986. However, the ROC was allowed to retain its membership, but under the name of "Taipei,China" a name it protests. Uniquely, this allows both sides of the Taiwan Straits to be represented at the institution.
[71] 문서
[72] 문서
[73] 문서
[74]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adb.org/A[...]
[75] 서적 21世紀 地政学入門 文藝春秋
[76] 뉴스 中国が台湾の「AIIB参加」を拒んだ理由 http://www.huffingto[...] 2015-04-16
[77] 뉴스 ザ・コラム ADB50年 アジアを代表するのは誰? 2017-04-27
[78] 웹사이트 외무성 홈페이지 https://www.mofa.go.[...]
[79] 웹사이트 ADB 웹사이트
[80] 웹사이트 ADB総裁寄稿・関連記事 アジア開発銀行の概要と新型コロナウィルス 危機への対応 浅川雅嗣ADB総裁プレゼン資料 「日経SDGs/ESG会議」 2020年5月11日 https://www.adb.org/[...] アジア開発銀行駐日代表事務所
[81] 문서
[82] 문서
[83] 웹사이트 About: Management http://www.adb.org/a[...]
[84] 웹사이트 Asian Development Bank Annual Report (December 2013) http://www.adb.org/a[...]
[85] 웹사이트 New ADB President Takehiko Nakao Assumes Office http://www.adb.org/n[...]
[86] 웹사이트 Contacts http://www.adb.org/c[...] 2012-02-19
[87] 웹사이트 How to Visit ADB http://www.adb.org/s[...] 2012-02-19
[88] 웹인용 ADB Annual Report 2014 http://www.adb.org/d[...]
[89] 문서
[90] 문서
[9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