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도마뱀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도마뱀류는 도마뱀과에 속하는 파충류로,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등지에 분포하며 다양한 종을 포함한다. 이들은 육식성이며 곤충, 갑각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 다양한 먹이를 섭취한다. 왕도마뱀류는 지능이 높고, 혀를 이용한 후각, 잘 발달된 심실 중격, 난생 등의 특징을 보인다. 일부 종은 독을 가지고 있으며, 멸종 위기에 처한 종도 존재한다. 인간과의 관계에서는 애완동물, 전통 의학, 가죽, 식용 등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왕도마뱀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학명 | Varanus |
명명자 | Merrem, 1820 |
모식종 | Lacerta varia |
모식종 명명자 | Shaw, 1790 |
아속 | Empagusia Euprepiosaurus Hapturosaurus Odatria Papusaurus Philippinosaurus Polydaedalus Psammosaurus Solomonsaurus Soterosaurus Varanus |
![]() | |
몸길이 | 20 cm |
최대 몸길이 | 3 m |
최대 추정 몸길이 | 7 m |
특징 | |
설명 | 왕도마뱀속(Varanus)은 파충강 뱀목 도마뱀아목 무족도마뱀류 왕도마뱀과에 속하는 파충류 속이다. |
2. 어원
''바라누스''속(屬)의 속명 ''Varanus''는 아랍어 단어 ورل|waralar (표준 아랍어) / ورر|wararar (구어) / ورن|waranar (구어)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도마뱀 짐승"을 의미하는 공통적인 셈어 어근 ''ouran'', ''waran'', ''warar'' 또는 ''waral''에서 유래되었다.[3]
왕도마뱀류는 다양한 종들이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아프리카, 인도 아대륙을 거쳐 중국, 일본 남부의 류큐 열도, 동남아시아의 태국,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필리핀, 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 인도양 및 남중국해의 섬에 이른다. 원래 서식지 외에 도입된 지역도 있는데, 예를 들어 서아프리카 나일 왕도마뱀은 현재 남부 플로리다에서도 발견된다.[12] 왕도마뱀류는 신생대 유럽에도 널리 분포했으며, 해당 지역에서 발견된 마지막 유해는 중기 플라이스토세로 거슬러 올라간다.[13]
대부분의 왕도마뱀류는 거의 전적으로 육식성이며,[14] 곤충, 갑각류, 거미류, 다족류, 연체동물, 물고기,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 다양한 먹이를 섭취한다. 대부분의 종은 어린 시절에는 무척추동물을 먹고 성체가 되면 척추동물을 먹는 것으로 식성을 바꾼다. 가장 큰 왕도마뱀 종인 코모도왕도마뱀 성체의 식단 중 약 50%를 사슴이 차지한다.[15] 반면, 필리핀에서 서식하는 세 종의 수목성 왕도마뱀인 ''Varanus bitatawa'', ''mabitang'', ''olivaceus''는 주로 과일을 먹는다.[16][17][18]
왕도마뱀류는 형태는 비슷하지만 크기가 매우 다양한 동물이다.[19] 두개골, 사지 형태 등 미세한 부분은 종에 따라 다르며, 이는 각 종의 생태와 관련이 있다.[20][21]
영어에서는 "모니터" 또는 "모니터 도마뱀"으로 알려져 있다. 이전 용어인 "모니터리 도마뱀"은 1920년경에 드물게 사용되었다.[4] 이 이름은 왕도마뱀류가 두 뒷다리로 서서 "감시"하는 모습을 보이는 습성에서 유래되었거나,[3] 또는 "독성 동물의 접근을 사람들에게 경고"하는 습성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다.[5] 그러나 "모니터"라는 이름에 대한 이러한 모든 설명은 1758년 린네가 나일모니터에게 학명 ''Lacerta monitor''를 부여한 후에 나온 것으로, 이는 독일어 단어 ''Waran'' (아랍어에서 차용)이 ''warnen'' (경고하다)과 관련이 있다는 린네의 잘못된 생각에 기초했을 수 있으며, 이는 그가 이를 잘못 라틴어화하여 ''monitor'' ('경고하는 자', '조언자')로 이끌었다.[6]
왕도마뱀류가 흔한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에는 이들을 지칭하는 여러 개의 약간 관련된 현지 이름이 있다. 일반적으로 ''biawak''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표준어 포함), ''bayawak'' (필리핀어), ''binjawak'' 또는 ''minjawak'' (자바어) 또는 그 변형으로 알려져 있다.[7] 다른 이름으로는 ''hokai'' (솔로몬 제도), ''bwo'', ''puo'', 또는 ''soa'' (말루쿠), ''halo'' (세부), ''galuf'' 또는 ''kaluf'' (미크로네시아 및 캐롤라인 제도), ''batua'' 또는 ''butaan'' (루손), ''alu'' (발리), ''hora'' 또는 ''ghora'' (코모도) 군도, ''phut'' (버마어), ''guibang'' (마노보어)이 있다.[8][9]
남아시아에서는 메이테이어로 , 보로어로 mwpou, 마라티어로 , 타밀어로 , 말라얄람어로 ''udumbu'', 보즈푸리어로 , 마이틸리어로 ''gohi'', 싱할라어로 / (싱할라어 주석:), 텔루구어로 ''uḍumu'', 칸나다어로 , 펀자브어 및 마가히어로 ''goh'', 아삼어로 ''gui xaap'', 오리야어로 , 벵골어로 또는 , 힌디어로 ''goh'' 및 산스크리트어로 ''godhā''로 알려져 있다.[10]
서아프리카 나일모니터는 요루바어로 , , 를 포함한 여러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월로프어로는 ''mbossé'' 또는 ''bar''로 알려져 있으며, 카올라크시의 전통적인 토템이다.[11]
이구아나과에 속하는 큰 신세계 도마뱀과의 혼동으로 인해, 이 도마뱀은 호주에서 "고안나"로 알려지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남아프리카 영어에서는 이구아나과에 대한 네덜란드어 용어인 ''leguanen''에서 유래된 ''leguaans'' 또는 ''likkewaans''로 불린다.
3. 분포
4. 생태 및 습성
5. 생물학적 특징
왕도마뱀류는 넓은 영역을 가지고, 비슷한 크기의 포유류처럼 능동적으로 사냥한다.[22] 활동적인 특성 때문에 신진대사 능력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왕도마뱀류는 현존하는 파충류 중 가장 높은 표준 대사율을 보인다.[23]
뱀처럼 왕도마뱀류는 혀가 매우 갈라져 있는데, 이는 "냄새" 감각의 일부로 작용한다. 혀끝은 환경의 분자를 두개골의 감각 기관으로 전달한다. 갈라진 혀는 "입체"로 냄새를 맡는 것처럼 분자의 경계를 감지하게 해준다.[24]
왕도마뱀류는 높은 호흡 능력을[23][25] 가지는데, 이는 심장 구조 덕분이다. 대부분의 파충류는 심장이 세 개의 방으로 되어 있지만, 왕도마뱀류의 심장은 보아와 비단뱀처럼 잘 발달된 심실 중격을 가지고 있어 심장 수축 동안 폐와 전신 순환을 완전히 분리한다.[26] 이는 왕도마뱀류가 폐 순환과 전신 순환 사이에 포유류와 동등한 압력 차이를 만들 수 있게 해주며,[26] 산소가 풍부한 혈액이 폐를 거치지 않고 신체에 빠르게 분배되도록 돕는다.
5. 1. 독
해부학적 및 분자 연구에 따르면 모든 왕도마뱀류(그리고 아마도 모든 도마뱀류)는 독(venom)을 가지고 있다.[29][30] 뱀과 달리 왕도마뱀의 독샘은 아래턱에 위치해 있다.[31] 왕도마뱀의 독은 왕도마뱀이 차지하는 다양한 생태적 지위의 결과로 다양하고 복잡하다.[32]
예를 들어, 많은 종들은 항응고제 독을 가지고 있으며, 피브리노겐 분해와 혈소판 응집 차단을 결합하여 응고를 방해한다. 그 중에서도 나무 왕도마뱀과 줄무늬 왕도마뱀과 같은 수목형 종들이 훨씬 강력한 피브리노겐 분해 독을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왕도마뱀에게 물린 상처는 단순히 찢어진 상처보다 더 많이 출혈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독은 또한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33]
코모도왕도마뱀과 사막왕도마뱀과 같은 일부 종에서는 독이 강력한 신경 독성 효과도 유발한다. 예를 들어 후자의 종에서는 독에 중독되면 설치류(새는 제외)에게 즉각적인 마비가 발생하고, 인간에게는 이와 유사한 정도의 효과가 나타난다.[34]
5. 2. 지능
왕도마뱀류는 수를 셀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위왕도마뱀에게 다양한 수의 달팽이를 먹이는 연구를 통해 최대 6까지의 수를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35][36] 나일왕도마뱀은 먹이를 구할 때 협력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한 마리는 암컷 악어를 둥지에서 유인하고, 다른 한 마리는 둥지를 열어 알을 먹는다. 그 후 유인한 개체도 돌아와 알을 먹는다.[35] 워싱턴 D.C. 국립 동물원에 있는 코모도왕도마뱀은 사육사를 알아보고 뚜렷한 개성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영국 동물원에 있는 푸른나무왕도마뱀과 에메랄드나무왕도마뱀은 놀이의 일종으로 보이는 잎을 찢는 행동이 관찰되었다.[37]
5. 3. 번식
왕도마뱀류는 난생으로,[23] 7개에서 38개의 알을 낳으며,[27] 종종 흙으로 덮거나 속이 빈 나무 그루터기 속에 보호한다. 코모도왕도마뱀을 포함한 일부 종은 처녀생식이 가능하다.[28]
6. 인간과의 관계
왕도마뱀류는 파충류 애완동물 거래에서 주요 품종이 되었으며, 전통 의학에서도 사용된다. 또한 가죽 산업에서도 널리 활용되며, 일부 지역에서는 식용으로도 섭취된다.
사바나왕도마뱀과 애키 드워프 왕도마뱀을 비롯한 여러 종이 애완동물로 사육된다.[3]
일부 전통 의학에서는 왕도마뱀류의 내장과 지방이 사용되지만, 과학적 증거는 부족하다.[38][39] 인도와 말레이시아 일부 지역에서는 왕도마뱀 고기, 특히 혀와 간을 최음제로 여기기도 한다.[40][41] 파키스탄, 남부 인도 등지에서는 류마티스 통증, 피부 감염, 치질 치료에 사용하며, 오일은 최음제 윤활제로 사용된다.[42] 그러나 왕도마뱀의 생피와 생육을 섭취하면 ''Angiostrongylus cantonensis'' 기생충 감염으로 호산구 수막뇌염을 유발할 수 있다.[40]
파푸아뉴기니에서는 왕도마뱀 가죽을 전통 드럼(쿤두)의 막으로 사용하며, 톡 피신에서는 ''쿤두 팔라이'' (드럼 도마뱀)라고 불린다. 왕도마뱀 가죽은 세르자와 도타라의 공명 부분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며, ''칸지라''라는 카르나틱 음악 타악기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된다.[42]
인도,[43] 네팔,[44]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서아프리카의 일부 부족들은 왕도마뱀류의 고기를 섭취하며, 베트남, 태국과 같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는 고기와 알을 별미로 먹기도 한다.[45]
6. 1. 애완동물
왕도마뱀류는 파충류 애완동물 거래에서 주요 품종이 되었다.[3] 가장 흔하게 사육되는 왕도마뱀은 사바나왕도마뱀과 애키 드워프 왕도마뱀인데, 이는 비교적 작은 크기, 저렴한 가격, 그리고 규칙적으로 다룰 경우 비교적 온순한 성격 때문이다.[3] 그 외에도 검은목, 티모르, 아시아 물, 나일, 맹그로브, 에메랄드 나무, 검은 나무, 러프넥, 뒤메릴, 복숭아목, 악어, 아르구스 왕도마뱀이 사육되고 있다.[3]
6. 2. 전통 의학
왕도마뱀류는 일부 전통 의학에서 내장과 지방이 사용되는데, 과학적 증거는 없지만 일부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밀렵되고 있다.[38][39]왕도마뱀 고기, 특히 혀와 간은 인도와 말레이시아 일부 지역에서 식용으로 사용되며 최음제로 여겨진다.[40][41]
파키스탄, 남부 인도, 특히 아삼을 포함한 북동부 인도 일부 지역에서는 왕도마뱀의 다양한 부위가 전통적으로 류마티스 통증, 피부 감염 및 치질 치료에 사용되며, 오일은 최음제 윤활제로 사용된다.[42]
왕도마뱀의 생피와 생육을 섭취하면 기생충인 ''Angiostrongylus cantonensis''의 숙주가 될 수 있어 호산구 수막뇌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0]
6. 3. 가죽
왕도마뱀류는 가죽 산업에서 "상당한 유용성"이 있다고 묘사되는 가죽을 얻기 위해 "대규모로 착취"된다.[42] 파푸아뉴기니에서는 왕도마뱀 가죽을 전통 드럼(쿤두)의 막으로 사용하며, 이 도마뱀들은 주요 파푸아 상업 언어인 톡 피신에서 ''쿤두 팔라이'' 또는 "드럼 도마뱀"이라고 불린다. 왕도마뱀 가죽은 세르자(보도 민속 사란기)와 도타라(아삼, 벵골 및 기타 동부 주에서 사용되는 현악기)의 공명 부분을 만드는 데 귀하게 여겨진다. 이 가죽은 또한 ''칸지라''라는 카르나틱 음악 타악기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된다.6. 4. 식용
왕도마뱀류의 고기는 인도,[43] 네팔,[44]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서아프리카의 일부 부족들에게 부가적인 육류 공급원으로 섭취된다. 고기와 알은 또한 베트남, 태국과 같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별미로 섭취된다.[45]7. 보존
IUCN 적색 목록에 따르면 대부분의 왕도마뱀류 종은 최소 관심사 범주에 속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5종을 제외한 모든 왕도마뱀류는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 부록 II에 따라 분류되어, 야생에서 해당 종의 생존과 양립할 수 없는 사용을 피하기 위해 엄격한 규제를 받지 않으면 멸종될 수 있는 종으로 느슨하게 정의된다.[46] 벵골, 황색, 사막, 구름 왕도마뱀, 코모도왕도마뱀 5종은 CITES 부록 I에 따라 분류되어 해당 종의 국제 상업 거래가 금지된다.[46]
황색 왕도마뱀은 부탄, 네팔, 인도, 파키스탄 및 방글라데시를 제외한 모든 서식 국가에서 보호받고 있다.[47]
케랄라, 안드라프라데시, 카르나타카, 텔랑가나 및 남인도의 다른 모든 지역에서는 보호종 법에 따라 왕도마뱀의 포획 또는 살해가 금지되어 있다.
8. 진화
- Varanus*는 왕도마뱀과(Varanidae)의 유일한 현존 속이다. 왕도마뱀과는 현존하는 가장 가까운 친척인 귀없는 도마뱀과 백악기 후기에 공통 조상을 공유했다. 알려진 가장 오래된 왕도마뱀과는 몽골의 백악기 후기에서 발견되었다. 에오세 동안에는 왕도마뱀과의 일종인 *Saniwa*가 북아메리카에서 서식했다. *Varanus*의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는 중국의 에오세에서 발견된 *Archaeovaranus*가 있으며, 이는 *Varanus* 속이 아시아 기원임을 시사한다.[48] *Varanus*의 가장 오래된 화석은 미오세 초기로 거슬러 올라간다.[48]
다양한 아속 내의 많은 종들은 서로 종 복합체를 형성하기도 한다.
- ''Euprepriosaurus''
- *V. indicus* 종 복합체 (*V. indicus*, *V. cerambonensis*, *V. caerulivirens*, *V. colei*, *V. obor*, *V. lirugensis*, *V. rainerguentheri*, *V. zugorum*)[49][50]
- *V. doreanus* 종 복합체 (*V. doreanus*, *V. finschi*, *V. semotus*, *V. yuwonoi*)[55]
- *V. jobiensis* 종 복합체 (*V. jobiensis*)[55]
- ''Odatria''
- *V. acanthurus* 종 복합체 (*V. acanthurus*, *V. baritji*, *V. primordius*, *V. storri*)
- *V. timorensis* 종 복합체 (*V. timorensis*, *V. auffenbergi*, *V. scalaris*, *V. similis*, *V. tristis)''
- ''Varanus''
- *V. gouldii* 종 복합체 (*V. gouldii*, *V. rosenbergi*, *V. panoptes*)
- ''Polydaedalus''
- *V. exanthematicus* 종 복합체 (*V. exanthematicus*, *V. albigularis*, *V. yemenensis*)
- *V. niloticus* 종 복합체 (*V. niloticus*, *V. stellatus*)
- ''Empagusia''
- *V. bengalensis* 종 복합체 (*V. bengalensis*, *V. nebulosus*)
- ''Soterosaurus''
- *V. salvator* 종 복합체 (*V. salvator*, *V. cumingi*, *V. nuchalis*, *V. togianus*, *V. marmoratus*)[51][49][52][53][54]
- ''Hapturosaurus''
- *V. prasinus* 종 복합체 (*V. prasinus*, *V. beccarii*, *V. boehmei*, *V. bogerti*, *V. keithhornei*, *V. kordensis*, *V. macraei*, *V. reisingeri*, *V. telenesetes*)[55]
9. 분류
2013년 피론(Pyron, R.A.) 등의 연구에 기초한 왕도마뱀류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76]
{| class="wikitable"
|-
! 무족도마뱀류
|-
|
{| class="wikitable"
|-
! 악어도마뱀과
|-
|
{| class="wikitable"
|-
! 독도마뱀과
|-
|
|}
|}
|-
|
{| class="wikitable"
|-
! 중국악어도마뱀과
|-
|
|}
|}
|}
왕도마뱀속(Varanus)에는 멸종된 종을 포함하여 여러 종이 속한다. 멸종된 종은 다음과 같다.
- ''V. bolkayi''[57]
- ''V. darevskii''[58][59]
- ''V. emeritus'' (=''V. salvadorii''?)[57]
- ''V. hooijeri''[57]
- ''V. hofmanni''[57]
- ''V. lungui''[57]
- ''V. marathonensis''
- ''V. mokrensis''[60]
- ''V. pronini''[57]
- ''V. rusingensis''[57][60]
- ''V. semjonovi''[57]
- ''V. sivalensis''
- ''V. tyrasiensis'' (=''V. hofmanni''?)[57]
9. 1. 하위 종 (일부)
Varanus영어속에는 다음 종들이 속한다.[57]아속 | 학명 및 일반명 | 이미지 |
---|---|---|
rowspan=14 | | V. bolkayi (볼케이왕도마뱀) | |
V. darevskii (다레브스키왕도마뱀)[58][59] | ||
V. emeritus (에메리투스왕도마뱀) (=V. salvadorii?)[57] | ||
V. hooijeri (후이예리왕도마뱀)[57] | ||
V. hofmanni (호프만왕도마뱀)[57] | ||
V. lungui (룽귀왕도마뱀)[57] | ||
V. marathonensis (마라토넨시스왕도마뱀) | ||
V. mokrensis (모크렌시스왕도마뱀)[60] | ||
V. pronini (프로니니왕도마뱀)[57] | ||
V. rusingensis (루싱겐시스왕도마뱀)[57][60] | ||
V. semjonovi (세묜노비왕도마뱀)[57] | ||
V. sivalensis (시발렌시스왕도마뱀) | ||
V. tyrasiensis (티라시엔시스왕도마뱀) (=V. hofmanni?)[57] | ||
V. priscus (메갈라니아) | ||
Empagusia | ![]() | |
Euprepiosaurus[61] | ||
Hapturosaurus[55] | ![]() | |
Odatria | ![]() | |
Papusaurus | V. salvadorii (악어왕도마뱀) | ![]() |
Philippinosaurus | ![]() | |
Polydaedalus | ||
Psammosaurus | ![]() | |
Solomonsaurus[70] | V. spinulosus (가시목맹그로브왕도마뱀, 솔로몬 제도 가시왕도마뱀) | |
Soterosaurus | ![]() | |
Varanus | ![]() |
9. 2. 계통 분류
다음은 2013년 피론(Pyron, R.A.)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76]{| class="wikitable"
|-
! 무족도마뱀류
|-
|
{| class="wikitable"
|-
! 악어도마뱀과
|-
|
{| class="wikitable"
|-
! 독도마뱀과
|-
|
|}
|}
|-
|
{| class="wikitable"
|-
! 중국악어도마뱀과
|-
|
|}
|}
|}
참조
[1]
웹사이트
Monitor ! lizard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5-23
[2]
서적
Encyclopedia of Reptiles and Amphibians
Academic Press
[3]
서적
Giant lizards
T.F.H. Publications
[4]
Google ngrams
Google ngrams
https://books.google[...]
[5]
문서
'Horatio Nelson, Matthew Henry Barker, ''The Life of Nelson Revised and Illustrated. With Original Anecdotes, Notes, Etc. By the Old Sailor'', 1836'
https://books.google[...]
[6]
Thesis
Akkadische Fremdwörter als Beweis für babylonischen Kultureinfluss
Universität Leipzig
[7]
웹사이트
"*''bayawak'': monitor lizard, ''Varanus'' spp. (esp. ''V. salvator'')"
https://acd.clld.org[...]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10
[8]
간행물
The local names of Pacific monitor lizards (Sauria: Varanidae) of Oceania & Indo-Malaysia, excluding Australia
http://www.uog.edu/u[...]
[9]
간행물
Taxonomy and biology of Philippine water monitors (''Varanus salvator'')
http://scinet.dost.g[...]
[10]
서적
A comparative dictionary of the Indo-Aryan languages
https://dsal.uchicag[...]
Oxford university press
1966
[11]
서적
Histoire d'Afrique : les enjeux de mémoire
Karthala
1999
[12]
간행물
Florida's Dragon Problem
https://www.theatlan[...]
2016-04-20
[13]
간행물
The last European varanid: demise and extinction of monitor lizards (Squamata, Varanidae) from Europe
https://doi.org/10.1[...]
2017-03-04
[14]
서적
Varanoid Lizards of the World
Indiana University Press
2004
[15]
서적
The Behavioral Ecology of the Komodo Monitor
University Press of Florida
1981
[16]
서적
Diet and Arboreality in the Emerald Monitor, Varanus Prasinus, with Comments on the Study of Adaptation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1986
[17]
간행물
A spectacular new Philippine monitor lizard reveals a hidden biogeographic boundary and a novel flagship species for conservation
[18]
간행물
Tracing the diet of the monitor lizard Varanus mabitang by stable isotope analyses (d15N, d13C)
2002
[19]
간행물
Evolution of Body Size: Varanid Lizards as a Model System
http://www.zo.utexas[...]
[20]
간행물
The Relationship between Cranial Structure, Biomechanical Performance and Ecological Diversity in Varanoid Lizards
[21]
간행물
Evolutionary relationships of sprint speed in Australian varanid lizards
[22]
문서
King, D., Green, B., Knight, F. (1999). Monitors: The Biology of Varanid Lizards. Florida. Krieger Publishing Company.
[23]
문서
Pianka, E.R., Vitt, L.J. (2003). Lizards: Windows to the Evolution of Diversity.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4]
간행물
True Facts: Snake and Lizard Tongues
https://online.ucpre[...]
2022-08-01
[25]
간행물
Aerobic Metabolism of the Lizard ''Varanus exanthematicus'': Effects of Activity, Temperature, and Size
[26]
간행물
Ventricular Haemodynamics in ''Python molurus'': Separation of Pulmonary and Systemic Pressures
[27]
문서
https://indonesiaind[...]
[28]
간행물
Dragon virgin births startle zoo keepers
http://www.nature.co[...]
2006-12-20
[29]
간행물
A central role for venom in predation by ''Varanus komodoensis'' (Komodo dragon) and the extinct giant ''Varanus (Megalania) priscus''.
2009-06
[30]
간행물
Early evolution of the venom system in lizards and snakes
2006-02
[31]
간행물
A central role for venom in predation by Varanus komodoensis (Komodo Dragon) and the extinct giant Varanus ( Megalania ) priscus
2009-06-02
[32]
간행물
Varanid Lizard Venoms Disrupt the Clotting Ability of Human Fibrinogen through Destructive Cleavage
2019-05
[33]
간행물
Varanid Lizard Venoms Disrupt the Clotting Ability of Human Fibrinogen through Destructive Cleavage
2019-05-07
[34]
간행물
On the Toxicity of the Bite of the Caspian Gray Monitor Lizard (Varanus griseus caspius)
2019-12
[35]
문서
'King, Dennis & Green, Brian. 1999. ''Goannas: The Biology of Varanid Lizards''.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Press. '
[36]
서적
Varanoid Lizards of the World.
Indiana University Press
[37]
논문
Play behaviour by captive tree monitors, Varanus macraei and Varanus prasinus
[38]
웹사이트
How Lizard Genitalia Became a Black Market Craze
https://www.national[...]
2017-07-07
[39]
웹사이트
Visakhapatnam: Monsoon activates monitor lizard poaching
https://www.deccanch[...]
2017-07-04
[40]
논문
Case series of eosinophilic meningoencephalitis from South India
[41]
블로그
Eating Biawak
http://themalaysianl[...]
The Malaysian Life
2009-04
[42]
논문
Current Status, Distribution and Threats of Varanus Species (Varanus bengalensis & Varanus griseus) in Karachi & Thatta of Sindh
http://www.faunajour[...]
AkiNik Publications
2013-12-12
[43]
뉴스
Meats We Also Eat
https://www.telegrap[...]
2018-08-12
[44]
논문
Protected species outside the protected areas: People's attitude, threats and conservation of the Yellow Monitor (Varanus flavescens) in the Far-western Lowlands of Nepal
[45]
Youtube
Eating a DINOSAUR in Asia!!! RARE Mekong Delta Food you will only find here!
https://www.youtube.[...]
2019-06-05
[46]
웹사이트
Identification Guides for Wildlife Traded in Southeast Asia
http://www.asean-wen[...]
ASEAN-WEN
[47]
논문
Status and habitat ecology of the Yellow Monitor, Varanus flavescen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anchanpur District, Nepal
http://www.herpconbi[...]
[48]
논문
A new stem-varanid lizard (Reptilia, Squamata) from the early Eocene of China
2022-03-28
[49]
웹사이트
Recommendations of the Nomenclature Committee
http://www.cites.org[...]
1997-03-07
[50]
논문
The Kei Islands Monitor Lizard (Squamata: Varanidae: Varanus: Euprepiosaurus) as a Distinct Morphological, Taxonomic, and Conservation Unit
2019-11-23
[51]
논문
Checklist of the living lizards of the world (family Varanidae)
http://www.repositor[...]
2003
[52]
논문
Updated checklist of the living monitor lizards of the world (Squamata: Varanidae)
2010
[53]
논문
Unravelling The Underestimated Diversity Of Philippine Water Monitor Lizards (Squamata: Varanus Salvator Complex), With The Description Of Two New Species And A New Subspecies
2010-05-06
[54]
논문
An Annotated Bibliography of Captive Reproduction in Monitor Lizards (Varanidae: Varanus). Part III. Soterosaurus
2018
[55]
논문
A molecular phylogeny for the Pacific monitor lizards (Varanus subgenus Euprepiosaurus) reveals a recent and rapid radiation with high levels of cryptic diversity
2019-03-14
[56]
논문
Phylogenomics of monitor lizards and the role of competition in dictating body size disparity
https://www.biorxiv.[...]
2020-02-03
[57]
서적
Varanoid Lizards of the World
Indiana University Press
[58]
서적
Varanoid Lizard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4
[59]
논문
Revision of Varanus marathonensis (Squamata, Varanidae) based on historical and new material: morphology, systematics, and paleobiogeography of the European monitor lizards
2018-12-05
[60]
논문
A new species of Varanus (Anguimorpha: Varanidae) from the early Miocene of the Czech Republic, and its relationships and palaeoecology
http://eprints.linco[...]
2018-07-15
[61]
논문
A review of the subgenus Euprepiosaurus of Varanus (Squamata: Varanida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phylogeny, distribution and zoogeography, with an identification key for the members of the V. indicus and the V. prasimus species groups
[62]
논문
Taxonomy of Micronesian monitors (Reptilia: Squamata: Varanus): endemic status of new species argues for caution in pursuing eradication plans
[63]
논문
Two new species of monitor lizards (Squamata: Varanus) endemic to the Louisiade and Tanimbar archipelagos
[64]
논문
A new melanistic species of monitor lizard (Reptilia: Squamata: Varanidae) from Sanana Island, Indonesia
http://www.mapress.c[...]
[65]
논문
A new blue-tailed Monitor lizard (Reptilia, Squamata, Varanus) of the Varanus indicus group from Mussau Island, Papua New Guinea
[66]
웹사이트
Varanus keithhornei
http://reptile-datab[...]
The Reptile Database
[67]
웹사이트
Varanus prasinus
http://reptile-datab[...]
The Reptile Database
[68]
논문
"Eine weitere neue Waranart aus dem" Varanus prasinus-"Komplex von den Insel Misol, Indonesian"
[69]
논문
Between a rock and a dry place: phylogenomics, biogeography, and systematics of ridge-tailed monitors (Squamata: Varanidae: Varanus acanthurus complex)
https://www.scienced[...]
2022-08-01
[70]
논문
Scale Morphology and Micro-Structure of Monitor Lizards (Squamata: Varanidae: Varanus spp.) and their Allies: Implications for Systematics, Ecology, and Conservation
2016-08-17
[71]
웹사이트
Undercover researchers expose two new species of lizard for sale on Philippine black market
https://news.ku.edu/[...]
KU {{!}} The University of Kansas
2015-01-12
[72]
논문
"Unravelling the underestimated diversity of Philippine water monitor Lizards (Squamata: ''Varanus salvator'' complex), with description of two new species and a new subspecies"
2010
[73]
웹사이트
Varanus rasmusseni
http://reptile-datab[...]
[74]
서적
爬虫・両生類ビジュアルガイド オオトカゲ&ドクトカゲ
誠文堂新光社
2006년
[75]
서적
動物大百科12 両生・爬虫類
平凡社
1986년
[76]
저널
A phylogeny and revised classification of Squamata, including 4161 species of lizards and snakes.
http://www.biomedcen[...]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