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스트라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스트라주는 크로아티아의 주(州)로, 이스트라 반도를 포함하며, 석기 시대부터 다양한 문명의 흔적이 발견되는 유서 깊은 지역이다. 기원전 18세기부터 일리리아계 히스트리족이 거주했으며, 로마 시대에는 테라 마지카로 불렸다.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고트족, 비잔틴 제국, 롬바르드족, 프랑크 왕국 등의 지배를 거쳐 베네치아 공화국, 합스부르크 왕가의 통치를 받았다. 1920년 이탈리아에 귀속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었다가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크로아티아에 속하게 되었다.

이스트라주는 해안선이 길고,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했으며, 농업, 어업, 관광이 주요 산업이다. 주요 도시로는 풀라, 포레치, 로빈 등이 있으며, 크로아티아어와 이탈리아어가 공용어로 사용된다. 이탈리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유럽 지역 의회의 회원으로 유럽과의 유대 관계가 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트라반도 - 이졸라
    슬로베니아 해안 도시 이졸라는 과거 섬이었으나 본토와 연결되었고, 아퀼레이아 피난민들이 건설하여 여러 국가의 통치를 거쳤으며, 온천 발견 후 관광 산업이 발전했다.
  • 이스트라반도 - 이스트라 햄
    이스트라 햄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위키백과 스타일의 한 문장 요약을 할 수 없다.
  • 크로아티아의 주 - 바라주딘주
    크로아티아 북서부에 위치한 바라주딘 주는 다양한 지형과 수자원을 보유하고 선사 시대부터 이어진 역사를 가지며 제조업 중심의 경제를 이루고 있고 크로아티아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 크로아티아의 주 - 벨로바르빌로고라주
    벨로바르빌로고라주는 크로아티아 북부의 농업이 발달한 평탄한 지형에 위치한 주로,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역사를 거쳐 현재 크로아티아 공화국에 속하고 파푸크 자연 공원과 같은 보호 구역이 존재한다.
이스트라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
기본 정보
공식 명칭(크로아티아어)
(이탈리아어)
현지 이름(크로아티아어)
(이탈리아어)
슬로건Krasna zemljo(크라스나 젬료) (아름다운 땅)
위치이스트라 주, 크로아티아
이스트라 주 깃발
이스트라 주 깃발
이스트라 주 문장
이스트라 주 문장
면적2813km²
인구 (2021년)195,794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공식 언어크로아티아어, 이탈리아어
HDI (2022년)0.896 (매우 높음, 크로아티아 내 3위)
지역 번호052
ISO 코드HR-18
웹사이트이스트라 주 공식 웹사이트
행정
주도파진
최대 도시풀라
주지사보리스 밀레티치(무소속)
의회41석
의회 구성IDS, ISU, ZS (22석)
SDP (7석)
HDZ (5석)
Možemo!, ORaH (4석)
무소속 (3석)
기타
지역 코드052
사진 모음

2. 역사

이스트라 반도는 선사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고대 로마인들은 이 지역을 terra magica|테라 마지카la("마법의 땅")라 불렀다. 당시 이곳에 살던 일리리아 부족인 히스트리족의 이름에서 '이스트리아'라는 지명이 유래했으며, 로마는 기원전 177년에 군사 작전을 통해 이들을 정복하고 이 지역을 지배했다.

476년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이스트리아는 고트족, 비잔틴 제국, 롬바르드족, 아바르족, 프랑크 왕국 등 여러 세력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다. 중세 후기인 1267년부터는 베네치아 공화국이 반도의 서부와 남부 해안 지역을 장악하여 경제적, 문화적 번영을 이끌었으며, 동부 내륙 지역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통치 아래 있었다.

1797년 캄포포르미오 조약으로 베네치아 공화국이 해체되면서 반도 전체가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넘어갔으나,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는 잠시 프랑스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1815년 빈 회의 이후 다시 오스트리아 제국의 영토가 되었고,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1920년 라팔로 조약에 따라 이스트리아는 이탈리아 왕국의 영토가 되었다. 그러나 이탈리아의 파시즘 통치와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의 점령은 지역 내 민족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쟁이 끝난 후 이스트리아는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많은 수의 이스트리아 이탈리아인들이 이주하는 이스트리아-달마티아 엑소더스가 발생했다.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이스트리아는 독립 크로아티아의 일부가 되었으며,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의 직접적인 피해는 피했다. 오늘날 이스트리아는 크로아티아 내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발전된 지역 중 하나이며, 고유한 이스트리아 정체성을 바탕으로 더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역사적으로 이스트리아는 다양한 인물들과 인연을 맺어왔다. 세균학자 로베르트 코흐와 작가 제임스 조이스가 이곳에서 활동했으며, 쥘 베른은 이 지역의 지형에서 영감을 받아 소설 ''마티아스 산도르프''를 집필했다. 시인 단테 알리기에리도 이스트리아를 방문한 기록이 있으며, 유명 레이싱 드라이버인 마리오 안드레티와 알도 안드레티 형제가 이곳 몬토나에서 태어났다.

2. 1. 선사 시대

이스트라 지역에서는 오래전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이는 여러 선사 시대 유적을 통해 확인된다. 석기 시대의 고고학적 유물은 풀라( Pietas Juliala ) 근처의 동굴, Lim bay영어, Šandalja|샨달랴hr, Romuald's cave영어 등에서 발견되었다. 기원전 6000년에서 2000년 사이에 해당하는 후기 석기 시대 유적 또한 이 지역에서 발견된다. 청동기 시대(기원전 1800년–1000년) 유물은 400개 이상의 장소에서 확인되었으며, 초기 철기 시대(서기 초기)에 해당하는 무기, 도구, 보석 등 수많은 유물도 발견되었다.

2. 2. 고대

풀라( Pietas Iulia|피에타스 율리아la ) 근처의 동굴, "림 만", "Šandalja", "Roumald's 동굴" 등에서 석기 시대의 고고학적 유물이 발견되었다. 기원전 6000년에서 2000년 사이의 비교적 덜 오래된 석기 시대 유적도 이 지역에서 발견된다. 400개 이상의 장소가 청동기 시대 (기원전 1800–1000년) 유물로 분류되며, 철기 시대 초기, 즉 서력기원 초기에 해당하는 시대의 무기, 도구, 보석을 포함한 수많은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스트라 반도는 고대 로마인들에게 terra magica|테라 마지카la("마법의 땅")로 알려졌다. 이스트리아라는 이름은 지리학자 스트라보의 기록에 따르면 이 지역에 살았던 일리리아 부족인 히스트리족에서 유래되었다. 로마인들은 히스트리족을 그들의 영토가 항해하기 어려워 정복하기 힘든 해적으로 묘사했다. 로마 공화정은 두 차례의 군사 작전 끝에 기원전 177년에 마침내 히스트리족을 제압하고 이 지역을 정복했다.

2. 3. 중세

476년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이스트리아는 고트족에게 정복되었고, 그 뒤를 이어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비잔틴 통치 기간 중에는 잠시 아바르족이 통치하기도 했다. 이후 이스트리아는 751년 롬바르드족, 774년 판노니아의 아바르족, 그리고 789년 샤를마뉴가 이끄는 프랑크 왕국에 차례로 병합되었다. 프랑크 왕국의 지배 이후에는 케른텐 공국, 메라노 공국, 바이에른 공국 등 여러 공작령의 통치를 받았다. 그 후에는 아퀼레이아 총대주교령의 지배하에 놓였다.

1267년, 베네치아 공화국은 이 지역에 거주하던 이탈리아인 공동체의 영향력을 바탕으로 이스트리아 반도의 서부와 남부 해안 지역을 병합했다. 베네치아의 통치 아래 이 지역은 번영을 누렸으며, 주요 도시들이 새롭게 발전하고 건축과 문화가 꽃피웠다. 한편, 이스트리아의 동쪽 절반은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파진(Mitterburg|미터부르크de)을 수도로 하는 "제국 이스트리아"로 불렸다.

2. 4. 근세

1267년 베네치아 공화국은 이스트리아 반도의 서부와 남부 해안을 병합했다. 이는 해당 지역에 이탈리아인 공동체가 강하게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베네치아 공화국의 통치 아래 이스트리아 지역은 번영을 누렸으며, 주요 도시들은 베네치아의 영향을 받아 새롭게 발전하고 건축과 문화가 크게 꽃피웠다. 한편, 이스트리아 동쪽 내륙 지역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며, 파진(독일어: Mitterburg)을 수도로 하는 '제국 이스트리아'로 불렸다.

1797년, 나폴레옹 주도로 체결된 캄포포르미오 조약에 따라 베네치아 공화국이 해체되면서 이스트리아 반도 전체는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가로 넘어갔다. 이후 나폴레옹 전쟁 기간 동안 이스트리아의 소속은 여러 차례 바뀌었다. 1805년 프레스부르크 조약으로 나폴레옹의 이탈리아 왕국에 속하게 되었고, 1809년 쇤브룬 조약으로 프랑스에 직접 양도되기도 했다.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후 1815년 빈 회의에서는 이스트리아를 포함한 북부 아드리아해 지역이 다시 오스트리아 제국의 영토임을 확인했다.

2. 5. 근대

1861년부터 1918년까지 이스트리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부였으며, 지역 의회는 파렌초(현재의 포레치)에 설치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1920년 라팔로 조약에 따라 이스트리아는 이탈리아에 넘겨졌다. 이탈리아의 파시즘 통치와 이후 나치즘 점령기를 거치면서, 이 지역의 민족 간 관계는 크게 악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이스트리아는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수의 이스트리아 이탈리아인들이 고향을 떠나는 이스트리아-달마티아 엑소더스가 발생했다.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이스트리아는 독립한 크로아티아의 영토가 되었다. 다행히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의 직접적인 피해는 겪지 않았다. 오늘날 이스트리아는 크로아티아 내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발전된 지역 중 하나로 꼽히며, 지역 고유의 이스트리아 정체성을 바탕으로 더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2. 6. 현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라팔로 조약에 따라 1920년 이스트리아는 이탈리아에 속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 등장한 파시즘제2차 세계 대전 중의 나치즘 점령은 이 지역의 관용적인 민족 관계를 해쳤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스트리아는 유고슬라비아에 할당되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이탈리아인(특히 이스트리아 이탈리아인)들이 고향을 떠나는 이스트리아-달마티아 엑소더스가 발생했다.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에서 이스트리아는 독립한 크로아티아의 일부가 되었으며, 이 지역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에서 직접적인 전투를 겪지는 않았다. 오늘날 이스트리아는 크로아티아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발전된 지역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현재 일부 주민들은 이스트리아주에 더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이스트리아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을 이룬다.

3. 지리

이스트라주는 아드리아 해 북동부에 위치한 이스트리아 반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반도는 베네치아 만과 콰르나로 만 사이에 자리 잡고 있으며, 줄리안 알프스와도 가깝다. 해안선은 복잡하며 많은 섬을 포함하고 있다.

지형은 석회암 고원이 특징적이며, 이로 인해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했다. 북동쪽으로는 디나르 알프스 산맥이 이어지며, 가장 높은 산은 우츠카 산이다. 자세한 지형, 수자원, 기후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3. 1. 지형

이스트라 지도


이스트라 반도의 해안선 길이는 445km이며, 섬까지 포함하면 539.9km에 달한다. 지리적으로는 아드리아 해의 베네치아 만과 콰르나로 만 사이에 위치하며, 줄리안 알프스와도 가깝다. 반도의 서쪽 끝은 사부드리야이고, 남쪽 끝은 프레만투라 인근의 카메냐크 이다. 이스트라 반도의 일부는 크로아티아의 프리모르예-고르스키 코타르 주에도 속한다.

지형의 상당 부분은 물이 부족한 석회암 고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로 인해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했다. 북동쪽 지역은 디나르 알프스 산맥의 일부로, 가장 높은 지점은 우츠카 산의 보야크 봉(해발 1401m)이다. 치치아리아 산맥 또한 이 지역에 자리 잡고 있다.

이스트라는 토양의 특성에 따라 흔히 '비엘라 이스트라'(하얀 이스트라), '시바 이스트라'(회색 이스트라), '크르베나 이스트라'(붉은 이스트라) 세 지역으로 나뉜다. '하얀 이스트라'는 우츠카 산과 치치아리아 산맥 등 높은 산봉우리 주변 지역을 가리킨다. '회색 이스트라'는 비옥한 토양을 가진 내륙 평야 지대이며, '붉은 이스트라'는 테라 로사( crljenica|츠르례니차hr, 붉은 흙) 토양으로 이루어진 해안가 지역을 의미한다.

포레치 근처의 바레디네 동굴, 지하 강인 파진치차, 파진 근처의 카르스트 지형인 파진 구덩이( Pazinska jama|파진스카 야마hr) 등은 독특한 지질학적 명소로 꼽힌다. 림스키 카날은 스칸디나비아 반도를 제외한 유럽 대륙에서 피오르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유일한 지형이지만, 실제로는 강 하구가 침수되어 형성된 리아 지형이다. 로빈 근처의 채석장은 지질학 연구 장소로 활용된다. 이스트라에서 가장 긴 강은 미르나 강으로, 길이는 32km이며 노비그라드 근처에서 아드리아 해로 흘러든다. 그 외에도 드라곤자 강, 라샤 강 등이 이스트라를 흐른다.

내륙의 평원과 계곡은 주로 곡물 및 채소 재배에 이용되며, 해안가의 붉은 땅에서는 포도, 올리브, 무화과 등이 주로 재배된다. 농업, 특히 친환경 식품 생산, 올리브 정원 가꾸기, 고품질 와인 생산은 이스트라 농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해안선과 인근 섬에는 관목지가 풍부하며, 주로 홀름 오크와 스트로베리 트리가 자란다. 이스트라 전체 면적의 약 3분의 1은 참나무와 소나무를 중심으로 한 숲으로 덮여 있다.

브리유니 국립공원과 우츠카 자연 공원은 잘 알려진 자연 보호 구역이다. 우츠카 산맥은 이스트라 동부 라빈슈티나 반도의 라샤 강까지 이어지는 강과 호수의 중요한 수원 역할을 한다. 이 외에도 림 만, 모토분 근처 숲, 풀라 근처의 공원 숲인 즈라트니 르트와 시야나, 이스트라 최남단의 보호 경관 지역인 카메냐크, 로빈 근처 조류 보호 구역인 팔루드 등이 중요한 자연 지역으로 보호받고 있다. 특히 브리유니 군도는 약 680종의 식물이 서식하는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곳이며, 다양한 식물과 오래된 올리브 나무로 유명하다.

3. 2. 수자원

이스트라반도의 지형은 카르스트 지형의 영향으로 물이 부족한 석회암 고원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주요 하천으로는 미르나 강, 드라곤자 강, 라샤 강 등이 있다. 미르나 강은 이스트라에서 가장 긴 강으로 길이는 32km이며, 노비그라드 근처에서 아드리아 해로 흘러 들어간다. 북동쪽의 디나르 알프스 산맥은 이들 강과 호수의 중요한 수원 역할을 한다.

림스키 카날은 피오르와 유사한 지형으로 유명하지만, 실제로는 리아 지형에 해당한다. 이는 스칸디나비아를 제외한 유럽 대륙에서는 보기 드문 지형이다. 또한, 지하 강인 파진치차와 파진 근처의 카르스트 파진 구덩이(Pazinska jama)는 이 지역의 독특한 수자원 관련 지질학적 명소이다.

3. 3. 기후

알프스 산맥과 내륙 고지대의 영향으로 북쪽이 보호되어, 이스트라의 기후지중해성 기후와 습윤 아열대 기후의 경계에 해당한다. 겨울은 비교적 습하고 여름은 건조한 편이지만, 연중 완전히 건조하지는 않다. 전반적으로 매우 쾌적한 기후를 보이며, 8월 평균 최고 기온은 24°C이고 1월 평균 최저 기온은 5°C이다.

여름 낮은 대체로 따뜻하고 저녁은 선선하지만, 이상 고온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날씨는 습하거나 건조한 날이 번갈아 나타나며, 하루 평균 일조 시간은 10시간 이상이다. 특히 포레치, 브르사르, 로빈, 풀라 등 해안 도시에서는 공기 중 습도가 높게 나타난다. 연중 10°C 이상의 기온을 보이는 날이 240일 이상 지속되며, 30°C 이상의 더위는 최대 3주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달마티아 지역보다 기온은 낮지만, 아드리아 해의 수온은 더 따뜻하여 8월에는 최고 26°C까지 오르고, 가장 추운 3월에도 9°C에서 11°C 사이를 유지한다. 얕은 만에서도 바다가 어는 경우는 드물다. 해수의 염도는 평균 0.37%이다.

주요 바람으로는 겨울철 북쪽에서 불어와 차고 맑은 날씨를 만드는 보라(Bora)와 여름철 남쪽에서 불어와 비를 몰고 오는 유고(Jugo)가 있다. 또한 여름에는 내륙에서 바다를 향해 마에스트랄(Maestral)이라는 산들바람이 분다.

4. 인구

2021년 크로아티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스트라 주의 총 인구는 195,794명으로, 이는 크로아티아 전체 인구의 약 4.8%에 해당한다.[5] 이 주의 인구 밀도는 km2당 약 70명이며, 평균 연령은 45세이다.

'''이스트라 주의 역대 인구'''
연도인구
1857117,719
1869133,518
1880160,000
1890176,196
1900194,455
1910236,981
1921215,167
1931223,949
1948183,344
1953175,094
1961176,838
1971175,199
1981188,332
1991204,346
2001206,344
2011208,055
2021195,794



출처: ''Naselja i stanovništvo Republike Hrvatske 1857–2001'', Croatian Bureau of Statistics, 자그레브, 2005 및 2021년 인구 조사 결과[5]

이스트라 주는 행정적으로 41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나뉘며, 이 중 10개는 공식적으로 도시(grad)로 지정되어 있고 31개는 자치 단체(općina)이다. 주 인구의 70% 이상이 10개의 도시 지역에 거주한다.

'''도시별 인구 (2021년 기준)'''

도시인구
풀라 / Pola57,460
포레치 / Parenzo16,696
로빈 / Rovigno14,294
우마그 / Umago13,467
라빈 / Albona11,642
파진 / Pisino8,638
부제트 / Pinguente6,133
보드냔 / Dignano6,119
부에 / Buie5,182
노비그라드 / Cittanova4,345



'''자치 단체별 인구 (2021년 기준)'''

자치 단체인구
메둘린 / Medolino6,481
마르차나 / Marzana4,253
리ž냔 / Lisignano3,965
ž민지 / Gimino3,483
파자나 / Fasana3,635
라샤 / Arsia3,183
스베타 네델랴 / Santa Domenica d'Albona2,987
크르샨 / Chersano2,951
바르반 / Barbana2,721
비슈냔 / Visignano2,274
스베트빈체나트 / Sanvincenti2,202
브르사르 / Orsera2,162
타르-바브리가 / Torre-Abrega1,990
피치안 / Pedena1,827
틴얀 / Antignana1,684
체로블례 / Cerreto1,677
브르토니글라 / Verteneglio1,626
칸파나르 / Canfanaro1,543
카슈텔리르-라빈치 / Castellier-Santa Domenica1,463
카로이바 / Caroiba1,438
그라치슈체 / Gallignana1,419
비ž이나다 / Visinada1,158
발레 / Valle1,127
스베티 페타르 우 슈미 / San Pietro in Selve1,065
스베티 로브레치 / San Lorenzo del Pasenatico1,015
모토분 / Montona1,004
루포글라브 / Lupogliano924
푼타나 / Fontane907
오프르탈 / Portole850
그로즈냔 / Grisignana736
라니슈체 / Lanischie329


4. 1. 민족 구성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스트라 주의 총 인구는 195,794명으로, 이는 크로아티아 전체 인구의 약 4.8%에 해당한다.[5] 주요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민족인구 (명)비율 (%)
크로아티아인149,15276.40
지역적 소속 (이스트리아 정체성)10,0255.13
이탈리아인9,7845.01
세르비아인5,7782.98
보스니아인4,8382.48
알바니아인2,0551.05



크로아티아어가 공식 언어이며,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차카비아 방언이 널리 사용된다. 또한 이탈리아어도 주 공용어로 인정받고 있어, 많은 공공장소에서 크로아티아 국기와 이스트라 주기와 함께 이탈리아 삼색기가 게양된 것을 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이전과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이스트라 지역에는 베네치아어 방언, 이스트리오트어, 이스트로-루마니아어와 같은 로망스어군 언어를 사용하는 원주민 공동체가 상당수 존재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면서 많은 이스트라 이탈리아인들이 이스트리아-달마티아 엑소더스로 이주하는 변화를 겪었다. 오늘날에도 이스트로-루마니아어를 사용하는 소규모 이스트로-루마니아인 공동체가 존재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베네치아어 방언과 이스트리오트어가 사용되고 있다.

4. 2. 언어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언어'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행정 구역

이스트라 주는 총 41개의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며, 이는 10개의 (크로아티아어: gradhrv, 이탈리아어: cittàita)와 31개의 지방 자치체(크로아티아어: općinahrv, 이탈리아어: comuneita)로 나뉜다.[1] 주 전체 인구의 약 70% 이상이 10개의 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2]

5. 1. 주요 도시

이스트라 주는 행정적으로 41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나뉘며, 이 중 10곳이 공식적인 도시(Town) 지위를 가지고 있다. 주 전체 인구의 70% 이상이 이 10개 도시에 거주한다. 주요 도시는 다음과 같다.

도시명 (크로아티아어 / 이탈리아어)인구 (2021년)비고
풀라 Pula|폴라ita57,460이스트라 주 최대 도시
포레치 Poreč|파렌조ita16,696
로빈 Rovinj|로비뇨ita14,294
우마그 Umag|우마고ita13,467
라빈 Labin|알보나ita11,642
파진 Pazin|피시노ita8,638행정 중심지
부제트 Buzet|핑구엔테ita6,133
보드냔 Vodnjan|디냐노ita6,119
부에 Buje|부이에ita5,182
노비그라드 Novigrad|치타노바ita4,345


6. 경제

이스트라주는 가공 산업, 농업, 관광업 등 다양한 산업이 균형 있게 발달하여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주요 경제 활동으로는 조선업, 금속 가공, 식품 가공 등을 포함하는 제조업과 함께, 와인 및 올리브 오일 생산과 같은 특화된 농업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아름다운 해안선과 풍부한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한 관광업 역시 지역 경제의 핵심 동력 중 하나이다.

6. 1. 주요 산업

이스트라주의 가공 산업은 잘 발달되어 있으며, 전통적인 농업, 어업, 건설업 및 건축 자재 생산(석회, 시멘트, 벽돌, 돌), 무역 및 운송업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산업 분야로는 조선업이 특히 발달했는데, 1970년대 초반 울랴니크 조선소에서는 Berge Adria영어와 같은 세계 최대 규모의 선박을 건조하기도 했다. 그 외에도 금속 가공, 목재 산업, 가구 산업, 자동차 부품 산업, 전기 기계 및 가전제품 산업, 유리, 플라스틱, 섬유, 담배 산업 등이 발달했다. 경제 지표에 따르면 주요 활동은 가공 산업, 관광, 무역이다.

농업 분야에서는 친환경 식품 생산과 함께 와인 및 올리브 재배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역사적으로 이 지역에서 재배된 와인 품종으로는 말바시아 (화이트 와인)와 테란 (레드 와인)이 있다. 이스트라의 올리브 재배자들은 2000년대부터 최초의 국제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가이드인 Flos Olei|플로스 올레이it에 이름을 올리기 시작했으며, 이스트라는 8년 동안 이 가이드에 포함된 올리브 재배자 수에서 세계 2위와 1위를 번갈아 기록했다.[8] 또한 이스트라는 Flos Olei|플로스 올레이it에 의해 8년 연속(2017년~2024년) 세계 최고의 올리브 오일 생산 지역으로 선정되었다.[9]

관광 산업은 이스트라 경제의 핵심 동력이다. 이 지역의 조직적인 관광은 로마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오락을 위해 풀라 아레나를 건설한 것이 시초이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1866년 이후)에는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왕족 및 귀족들이 지역 휴양지를 방문하기 시작하면서 포레치가 관광지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관광 기반 시설을 개발하고 관광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노력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아름다운 자연 환경, 풍부한 역사 및 문화유산과 결합된 노력은 포레치, 풀라, 로빈, 우마그, 노비그라드, 브르사르 등 서부 해안 전역에서 경쟁력 있는 관광 서비스 개발로 이어졌다.

중앙 지역, 특히 칸파나르에서는 농가 관광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1994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이후 문을 연 La Casa di Matikiit를 시작으로, 중앙 이스트라 지역에는 여러 독특한 농가 관광 B&B(숙박 및 아침 식사 제공)가 생겨나 방문객들에게 이스트라의 농업 생활 방식을 체험하며 진정한 이스트라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한다.

동부 지역은 다른 주에 속하지만, 라바크, 오파티야와 같은 유명 리조트가 있다. 이스트라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중요한 관광지 중 하나이며, 주로 독일, 슬로베니아,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등 서유럽 및 중부 유럽 방문객들이 많이 찾는다.[10] 이 지역은 크로아티아 전체 방문객의 27%와 전체 체류 시간의 35%를 차지하는 가장 인기 있는 관광 지역이다.

6. 2. 농업

이스트라주에서는 전통적인 농업과 더불어 친환경 식품 생산, 와인 및 올리브 재배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역사적으로 이 지역에서는 말바시아(화이트 와인 품종)와 테란(레드 와인 품종) 포도를 재배해 왔다.

특히 올리브 재배와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생산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이스트라의 올리브 재배자들은 2000년대부터 국제적인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가이드인 Flos Olei|플로스 올레이it에 꾸준히 이름을 올렸다. 이스트라는 이 가이드에서 8년 동안 세계에서 가장 많은 올리브 재배자가 포함된 지역 1위 또는 2위를 기록했으며,[8] 2017년부터 2024년까지 8년 연속 세계 최고의 올리브 오일 생산 지역으로 선정되는 등 높은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9]

7. 교통

이스트라주는 도로, 철도, 항공 교통망을 통해 크로아티아유럽의 다른 지역과 잘 연결되어 있다. 잘 발달된 도로망은 해안 지역과 이스트라 내륙의 균형 잡힌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주요 고속도로를 통해 크로아티아 다른 지역 및 인접 국가인 슬로베니아, 이탈리아와 이어진다. 철도는 주로 슬로베니아를 통해 유럽 철도망과 연결되며, 풀라에는 국제공항이 있어 항공 교통 이용도 가능하다.

7. 1. 도로

이스트라주는 크로아티아 및 유럽의 다른 지역과 도로망으로 잘 연결되어 있다. 더 넓은 유럽 지역과의 연결 덕분에 도로는 잘 개발되어 있으며, 이는 해안 지역과 이스트라 내륙의 균형 잡힌 발전에 기여한다.

크로아티아 이스트라주의 고속도로 시스템은 "이스트라 Y"라고 불린다. A8 고속도로는 마툴리 (A7/A6 연결) 인터체인지에서 우치카 터널을 거쳐 칸파나르 인터체인지까지 이어지며, 이스트라주를 크로아티아의 나머지 지역과 연결한다. A9 고속도로는 칸파나르에서 풀라를 지나 우마그까지 연결되어, 이스트라주를 슬로베니아 이스트라 및 이탈리아와 연결한다.

7. 2. 철도

이스트라 지역의 초기 철도 건설 필요성은 조선, 건축 자재, 기계 및 전기 산업 등 산업 활동의 급속한 발전과 오스트리아의 군사적 이해관계에 따라 제기되었다. 1876년 트리에스테가 철도로 연결된 이후, 같은 해 슬로베니아디바차풀라를 잇는 122km 길이의 철도가 개통되었다. 이 노선에는 칸파나르에서 로비니까지 이어지는 21km 길이의 지선도 포함되었다. 이후 1902년에는 이스트라 서부 지역을 연결하는 123.1km 길이의 파렌자나 협궤 철도가 건설되었으나, 1935년에 해체되었다.

현재 이스트라주의 철도 연결은 슬로베니아 방향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유럽 철도망과는 슬로베니아를 통해 연결된다. 우치카 산을 통과하는 철도 터널 건설 계획이 수십 년 전부터 논의되어 왔지만, 구체적인 자금 조달 계획이나 착공 일정은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7] 크로아티아의 다른 철도망과의 연결은 루포글라브 분기점에서 리예카 역까지 우치카 도로 터널을 경유하는 크로아티아 철도(HŽ)의 버스 노선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7. 3. 항공

정기 상업 운송이 이루어지는 유일한 중요한 공항풀라 공항이다. 대부분의 항공편은 계절적이다.

8. 관광

이스트라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중요한 관광지 중 하나로 꼽힌다. 주로 독일, 슬로베니아,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등 서유럽 및 중부 유럽 방문객들이 많이 찾으며,[10] 크로아티아 전체 관광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8. 1. 주요 관광지

이스트라 지역의 관광 역사는 로마 제국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베스파시아누스 황제는 지역 주민들의 오락을 위해 풀라 아레나를 건설했다.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인 1866년에는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귀족들이 포레치를 비롯한 지역 휴양지를 방문하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관광 기반 시설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아름다운 자연 환경과 풍부한 역사 및 문화 유산을 바탕으로 포레치, 풀라, 로빈, 우마그, 노비그라드, 브르사르 등 서부 해안 도시들을 중심으로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최근에는 칸파나르와 같은 중앙 지역 도시를 중심으로 농가 관광이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1994년 문을 연 'La Casa di Matiki'를 시작으로 여러 농가 관광 형태의 숙박 시설이 생겨나, 방문객들은 이스트라의 농촌 생활을 체험하며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이스트라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중요한 관광지 중 하나로, 주로 독일, 슬로베니아,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등 서유럽 및 중부 유럽에서 온 방문객들이 많이 찾는다.[10] 이 지역은 크로아티아 전체 방문객의 27%와 전체 체류 시간의 35%를 차지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

9. 문화

세균학의 선구자 로베르트 코흐와 아일랜드 작가 제임스 조이스와 같은 인물들이 이스트리아에서 살고 일했다. 작가 쥘 베른파진채석장동굴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소설 ''마티아스 산도르프''를 쓰도록 영감을 받았다. 시인 단테 알리기에리는 이스트리아를 방문하여 작품에 그 경험을 담기도 했다. 또한, 유명 레이싱 드라이버 마리오 안드레티와 그의 쌍둥이 형제 알도 안드레티는 이스트리아의 몬토나에서 태어났다.

10. 지방 정부

현재 이스트라 주의 지사는 보리스 밀레티치(무소속)이다.[11]

주의회는 총 41명의 대표로 구성되며, 정당별 의석 분포는 다음과 같다.

정당획득 의석정부/야당
IDS - ISU - ZS23석정부
SDP7석야당
HDZ6석야당
우리는 할 수 있다! - ORaH5석야당


11. 소수 민족

이스트라주에서는 직접 선출된 소수 민족 위원회와 대표들이 활동한다. 이들은 소수 민족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고, 이들이 공적인 삶에 참여하며 지역 문제를 관리하는 데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지역 및 광역 당국에 자문하는 역할도 수행한다.[12]

2023년 크로아티아 소수 민족 위원회 및 대표 선거 결과, 이스트라주에서는 여러 소수 민족이 자신들의 대표 기구를 구성했다. 알바니아인, 보스니아인, 몬테네그로인(22명 위원 선출), 로마인, 슬로베니아인(24명 위원 선출), 세르비아인, 이탈리아인은 각각 소수 민족 위원회를 구성할 법적 요건을 충족하여 총 25명의 위원을 선출했다. 체코인, 헝가리인, 마케도니아인, 우크라이나인은 개별 대표를 선출했다. 반면, 독일인, 러시아인, 슬로바키아인은 후보자 부족으로 인해 대표를 선출하지 못했다.[13] 이스트라주 내의 많은 지방 자치 단체, 도시, 시에서도 자체적인 지역 소수 민족 위원회를 선출하여 운영하고 있다.[13]

참조

[1] 간행물 Croatia Yearbook 2015
[2] 간행물 Croatian Census 2021
[3]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24-10-10
[4] 웹사이트 Regione Istriana: Struttura organizzativa http://www.istra-ist[...] 2018-11-11
[5] 웹사이트 Population by Age and Sex, by Settlements https://podaci.dzs.h[...] Croatian Bureau of Statistics
[6] 웹사이트 Skupština europskih regija (SER) http://www.istra-ist[...] Istria County 2012-07-19
[7] 웹사이트 Raška pruga http://istra.lzmk.hr[...] 2018-04-07
[8] 웹사이트 Istria declared world's best olive oil region for 8th year https://www.croatiaw[...] Croatia Week 2023-09-06
[9] 웹사이트 Istra osmu godinu zaredom najjača maslinarska regija u svijetu https://www.glasistr[...] Glas Istre 2023-10-04
[10] 웹사이트 DOLASCI I NOĆENJA TURISTA U ISTRI PO ZEMLJAMA PORIJEKLA http://www.istra.hr/[...] 2015-07-19
[11] 웹사이트 Župan i zamjenici župana https://www.istra-is[...]
[12] 웹사이트 Manjinski izbori prve nedjelje u svibnju, kreću i edukacije https://www.tportal.[...] T-portal 2023-03-13
[13] 웹사이트 Informacija o konačnim rezultatima izbora članova vijeća i izbora predstavnika nacionalnih manjina 2023. XVIII. ISTARSKA ŽUPANIJA https://www.izbori.h[...] Državno izborno povjerenstvo Republike Hrvatske 2023
[14] 서적 Statistički ljetopis Republike Hrvatske 2015 http://www.dzs.hr/Hr[...] Croatian Bureau of Statistics 2015-12-01
[15] 웹사이트 Državni zavod za statistiku - Objavljeni konačni rezultati Popisa 2021. https://dzs.gov.hr/v[...] 2024-06-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