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재세례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세례파는 16세기 급진 종교 개혁 시기에 등장한 기독교 분파로, 유아 세례를 거부하고 신앙 고백에 따른 성인 세례를 강조한다. 비폭력주의, 종교와 국가의 분리, 평등을 추구하며, 메노나이트, 아미쉬, 후터라이트 등의 교파를 포함한다. 16세기 가톨릭과 개신교 양측으로부터 이단으로 탄압받았으며,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200만 명 이상의 신자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에도 한국아나뱁티스트펠로우쉽과 한국메노나이트교회연합 소속 교회들이 존재하며, 종교의 자유, 양심의 자유 등 서구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세례파 - 후터파
    후터파는 16세기 재세례파에서 시작되어 공동체 생활과 공유 재산을 실천하며 종교적 박해를 피해 이주하다 19세기 북미에 정착, 현재는 3개의 주요 분파를 중심으로 농업과 제조업에 종사하는 기독교 공동체이다.
  • 재세례파 - 라베른 대학교
    라베른 대학교는 1891년 로즈버그 칼리지로 설립되어 1917년 라번 칼리지를 거쳐 1977년 현재의 명칭으로 재편성된 캘리포니아주의 사립 종합대학교로서, 다양한 단과대학과 캘리포니아 지역 캠퍼스를 운영하며 선택적인 입학 요건과 다양한 학생 활동을 제공한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재세례파
재세례파 개요
1685년 얀 루이켄의 삽화. [[순교자의 거울]]에 실린 [[디르크 빌럼스]]가 추격자를 구하는 모습. 그의 자비로운 행동으로 인해 재포획되었고, 현재의 [[네덜란드]] [[아스페렌]] 근처에서 화형에 처해짐.
1685년 얀 루이켄의 삽화. 순교자의 거울에 실린 디르크 빌럼스가 추격자를 구하는 모습. 그의 자비로운 행동으로 인해 재포획되었고, 현재의 네덜란드 아스페렌 근처에서 화형에 처해짐.
기원
시작16세기 종교개혁 시기
발상지스위스 취리히
신학적 특징
핵심 교리신자의 침례 (신앙 고백 후 침례)
교회와 국가의 분리
비폭력주의
제자도
성인 신앙 공동체
주요 인물
종교개혁 관련 인물풀드리히 츠빙글리
토마스 뮌처
메노 시몬스
얀 마티아스
야코프 후터
얀 판 라이덴
존 스미스
J.M. 캐롤
역사
초기 박해16세기 유럽에서 극심한 박해를 받음
박해의 이유유아세례 거부
국가 교회 거부
병역 거부
피의 길수많은 재세례파 신자들이 순교함
주요 교파
현대 교파아미시
후터파
형제교회
메노나이트
랜드마크 침례교
관련 단체
한국한국 그리스도 형제회
기독교한국침례회
메노나이트 교회
메노나이트 중앙위원회
한국 메노나이트 중앙위원회
일본 메노나이트 브레드렌 교단
관련 개념
신학종교 개혁
신앙의 자유
급진적 종교 개혁
침례
만인제사장설
유아세례 부정
침례교의 계승
혈흔이 묻은 길
기타복음주의
독일 농민 전쟁
뮌스터 반란
역사적 평화 교회
발도파
모라비아 형제단

2. 발생 배경

재세례파의 역사는 그 사상을 반대하는 사람들과 옹호하는 사람들에 의해 왜곡되어 온 측면이 있다. 그 기원에 대해서도 단일한 시작점을 가정하는 견해와 여러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는 견해 등 다양한 학설이 존재하며, 소수 의견으로는 초대교회의 사도적 전통을 계승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지역적으로는 크게 세 흐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스위스의 콘라트 그레벨, 펠릭스 만츠 등을 중심으로 한 '스위스 형제단', 둘째는 네덜란드프리슬란트 지역의 메노 시몬스, 디르크 필립스 등이 이끈 흐름, 셋째는 남부 독일의 발타자르 후프마이어, 필그림 마르펙 등을 중심으로 한 흐름이다.

사상적으로 재세례파는 크게 두 갈래로 나뉜다. 역사학자와 사회학자들은 지상에 "새 예루살렘"을 건설하기 위해 폭력 사용까지 인정한 급진적 재세례파와, 신약성서에 근거하여 비폭력주의를 주장한 평화주의 재세례파로 구분한다. 급진파의 대표적인 사건으로는 뮌스터 반란이 있다. 반면 평화주의 흐름은 이후 메노나이트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네덜란드의 로마 가톨릭 사제였던 메노 시몬스는 평화주의적인 오비파(Obbenites)와 급진적인 호프만파(멜키오르 호프만) 사이에서 고민하다가, "그리스도인이라 자부하는 자가 영적인 무기는 내려두고 세속적인 것을 취하는 것에 하나님의 말씀이 부합하겠는가?"라는 신념에 따라 평화주의 노선을 택했다. 이후 그는 이 그룹의 지도자가 되었고, 그의 추종자들은 그의 이름을 따 메노나이트라 불리게 되었다.[79] 메노 시몬스는 신약성서의 가르침에 따라 폭력에 반대하는 비폭력주의를 강조했다.[80]

재세례파 운동의 주요 인물로는 토마스 뮌처, 콘라트 그레벨, 발타자르 후프마이어, 메노 시몬스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천년왕국주의를 주장한 한스 후트, 한스 뎅크, 얀 마티스 등 다양한 인물들이 초기 재세례파 운동과 관련되어 있다.

2. 1. 중세의 선구자

재세례파는 16세기의 급진 종교 개혁과 함께 시작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역사가들은 성경의 해석과 적용에 대한 유사한 접근 방식으로 인해 특정 인물과 집단을 그들의 선구자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15세기 보헤미아의 개혁가인 페트르 첼치키는 재세례파 신학의 필수적인 요소로 여겨지는 대부분의 신념을 가르쳤다.[17] 중세의 선구자에는 공동생활 형제단, 후스파, 네덜란드 성찬주의자[18][19], 그리고 일부 형태의 수도원주의가 포함될 수 있다. 왈도파 또한 재세례파와 유사한 신앙을 대표한다.

산상수훈을 문자적으로 해석한 중세 반대자들과 재세례파는 다음과 같은 주장을 공유한다.

  • 신자는 맹세해서는 안 되며, 신자들 간의 분쟁 해결을 위해 법원에 의뢰해서도 안 된다. (고린도전서 6:1–11 참조)
  • 신자는 무기를 소지하거나, 악의에 찬 자들에게 강제적으로 저항해서는 안 되며, 칼을 휘둘러서도 안 된다. 어떤 기독교인도 ''jus gladii''(검의 권리)를 갖지 않는다. (마태오 5:39)
  • 시민 정부(예: "가이사르")는 세상에 속한다. 신자는 하느님의 왕국에 속하므로 어떤 공직도 맡거나 정부 내에서 어떤 직책도 가져서는 안 되며, 수동적으로 복종해야 한다. (요한 18:36, 로마서 13:1–7)
  • 죄인이나 불신자는 고린도전서 5:9–13과 마태오 18:15 이하에 따라 회개하지 않는 한, 파문당하고 성례전에서 제외되며 신자와의 교제를 끊어야 하지만, 그들에게 어떠한 강제력도 사용해서는 안 된다.

2. 2. 츠비카우 예언자들과 독일 농민 전쟁

1525년 농민들의 팜플렛 12개 조항


1521년 12월 27일, 토마스 뮌처의 영향을 주고받았던 츠비카우 출신의 세 명의 "예언자"가 비텐베르크에 나타났다. 이들은 토마스 드레셸, 니콜라스 슈토르흐, 마르크 토마스 슈튜브너였다. 그들은 루터교에 대한 종말론적이고 급진적인 대안을 설교했으며, 이러한 주장은 당시 사회적 위기에 대한 불만을 고조시키는 데 영향을 주었다. 이는 1525년 남부 독일에서 봉건적 압제에 대한 반란으로 시작된 독일 농민 전쟁의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

뮌처의 지도 아래, 농민 전쟁은 모든 기존 권위에 맞서는 투쟁으로 확대되었고, 개인 간의 완전한 평등과 재산 공유를 통해 이상적인 기독교 공동체를 혁명적으로 건설하려는 시도였다. 츠비카우 예언자들은 직접 "재세례"를 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재세례파로 분류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만연했던 사회적 불평등과 이들의 설교는 재세례파 운동의 기초를 놓은 것으로 여겨진다. 실제로 재세례파 운동이 추구했던 사회적 이상은 독일 농민 전쟁 지도자들의 주장과 많은 부분에서 일치했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이후 재세례파 신자들 중에서 농민 봉기에 직접 참여한 비율은 매우 낮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 3. 기원에 대한 견해

재세례파의 역사는 그 사상을 반대하는 사람들과 옹호하는 사람들에 의해 왜곡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오랫동안 모든 재세례파를 뮌스터파나 츠비카우 예언자들, 얀 마티스, 요한 레이덴, 토마스 뮌처와 같은 급진주의자들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이러한 오류를 바로잡으려는 시도 속에서 때로는 재세례파 운동과 급진적 요소 사이의 연관성을 전면 부인하는 과도한 수정주의가 나타나기도 했다. 소수 의견이지만, 재세례파가 초대교회의 사도적 전통을 계승했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존재한다.

현대 재세례파 역사 연구는 1855년 로마 가톨릭 학자 카를 아돌프 코르넬리우스(Karl Adolf Cornelius)가 Die Geschichte des Münsterischen Aufruhrs|뮌스터 봉기의 역사de를 출판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평가받는다. 침례교 역사학자 앨버트 헨리 뉴먼(Albert Henry Newman) 역시 그의 저서 ''반유아세례의 역사''(1897)를 통해 중요한 기여를 했다.

재세례파의 기원에 대해서는 크게 세 가지 주요 이론이 있다.

1. 단일 기원설 (Monogenesis): 이 견해는 재세례파 운동이 스위스 취리히에서 스위스 형제단(Swiss Brethren)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었다고 본다. 해럴드 S. 벤더(Harold S. Bender), 윌리엄 에스테프(William Estep), 로버트 프리드먼(Robert Friedmann) 등이 이 입장을 지지한다.[20] 이들은 일반적으로 1525년 1월 21일, 콘라트 그레벨(Conrad Grebel)이 게오르크 블라우록(George Blaurock)에게 세례를 베풀고, 블라우록이 다시 다른 사람들에게 세례를 준 사건을 재세례파 운동의 공식적인 시작으로 간주한다. 이 관점에서는 뮌스터 반란과 관련된 급진주의자들을 본래의 재세례파 범주에서 제외하는 경향이 있다.

2. 다원 기원설 (Polygenesis): 제임스 M. 스테이어(James M. Stayer), 베르너 O. 파쿨(Werner O. Packull), 클라우스 데퍼만(Klaus Deppermann) 등은 1975년 에세이 "단일 기원에서 다중 기원으로"를 통해 단일 기원설에 이의를 제기했다. 이들은 재세례파 운동이 특정 시점, 특정 장소에서 시작된 것이 아니라 여러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발생했다고 주장하며, 1527년 2월 24일 스위스 형제단이 슈라이트하임 신조(Schleitheim Confession)를 작성한 시점을 중요한 기점으로 본다.[21] 이 에세이의 저자들은 단일 시작점에 대한 날짜에 이의를 제기하면서도 이전 재세례파 역사가들 사이의 다중 기원에 대한 합의를 언급한다. "힐러브랜드와 벤더(홀 및 트뢸취와 마찬가지로)는 재세례파가 단일하게 확산되었다는 데 동의했으며, 이는 확실히 취리히를 거쳤다. 유일한 문제는 그것이 작센까지 거슬러 올라가는지 여부였다."[3] 이들은 초기 재세례파 운동에서 최소 세 개의 주요 흐름, 즉 남부 독일-오스트리아 재세례파(희석된 라인란트 신비주의 영향), 스위스 형제단(개혁주의 회중주의에서 발생), 그리고 네덜란드 재세례파(멜키오르 호프만(Melchior Hoffman)의 종말론적 비전과 사회적 불안 속 형성)가 독립적으로 발전했다고 분석한다. 그들의 다중 기원 이론에 따르면, 남부 독일-오스트리아 재세례파는 "라인란트 신비주의의 희석된 형태"였고, 스위스 재세례파는 "개혁파 회중주의에서 발생"했으며, 네덜란드 재세례파는 "사회적 불안과 멜키오르 호프만의 묵시론적 비전"에 의해 형성되었다. 스위스 형제단 운동 이외의 출처에서 재세례파 운동이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한 예시로, 필그림 마르펙의 1542년 Vermanungde이 뮌스터 신학자 베른하르트 로트만의 1533년 Bekenntnissede에 의해 깊이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 언급되었다. 호프만은 그가 묵시록에 대한 주석을 쓰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이를 사용했을 때 후터파에게 영향을 미쳤다. 다중 기원을 지지하는 다른 저자로는 그레테 메첸세피(Grete Mecenseffy)와, 뮌처와 한스 후트(Hans Hut) 사이의 연관성을 확립한 발터 클라센(Walter Klaassen)이 있다. 다른 저서에서 고트프리트 제바스(Gottfried Seebass)와 베르너 파쿨은 뮌처가 남부 독일 재세례파 형성에 미친 영향을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저자 스티븐 오즈먼트(Steven Ozment)는 후트와 한스 뎅크(Hans Denck)를 뮌처, 제바스티안 프랑크(Sebastian Franck) 등과 연결한다. 저자 캘빈 파터(Calvin Pater)는 안드레아스 칼슈타트(Andreas Karlstadt)가 성경관, 교회 교리, 세례관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스위스 재세례파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보여준다.

3. 사도 계승설 (Apostolic Succession) 또는 교회 영속성 (Church Perpetuity): 토르 홀(Thor Hall),[22] 케네스 데이비스(Kenneth Davis),[23] 그리고 로버트 크레이더(Robert Kreider)를 포함한 여러 역사가들은 르네상스 인문주의가 세 개의 기원적 출발점에서 급진적 개혁가들에게 미친 영향에 주목하여, 이러한 유형의 개혁이 서로 독립적으로 어떻게 발전할 수 있었는지 설명했다. 앤드루 P. 클라거(Andrew P. Klager)에 의해 보다 진보적이고 신중한 방식으로 시작된 비교적 최근의 연구는 또한 교부에 대한 영향과 특정 해석이 16세기 초 유럽의 여러 지역에서 특히 재세례파적 신념과 관행의 발전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탐구한다. 여기에는 네덜란드의 메노 시몬스, 스위스의 그레벨, 중부 독일의 뮌처, 티롤의 마르펙, 모라비아의 페터 발포트, 그리고 특히 남부 독일, 스위스 및 모라비아의 발타자르 후브마이어(Balthasar Hubmaier)가 포함된다. 침례교 계승주의(Baptist successionism)자들은 때때로 16세기 재세례파를 그리스도 시대부터 이어진 교회의 사도 계승("교회 영속성")의 일부로 지목해 왔다.[25] 이러한 견해는 일부 침례교, 일부 메노나이트, 일부 "진정한 교회" 운동에서 지지된다.[26] 침례교 계승주의 이론의 반대론자들은 이러한 비(非)가톨릭 집단들이 서로 뚜렷이 달랐고, 일부 이단적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며,[27] 집단들이 서로 아무런 연관성이 없었고 시간과 장소 모두에서 별개의 기원을 가지고 있었다고 강조한다. 또 다른 계승주의 흐름은 재세례파가 발도파(Waldensians)에서 기원했다는 이론이다. 일부는 발도파가 사도 계승의 일부라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이들은 발도파가 재세례파가 발생한 독립적인 집단이었다고 믿는다. 루드비히 켈러(Ludwig Keller), 토마스 M. 린지(Thomas M. Lindsay), 헨리 클레이 베더(Henry Clay Vedder), 델버트 그래츠(Delbert Grätz), 존 T. 크리스찬(John T. Christian) 그리고 틸레만 J. 반 브라흐트(Thieleman J. van Braght, ''순교자 거울''의 저자)는 모두 재세례파가 발도파에서 기원했다는 입장을 다양한 정도로 지지했다.

3. 역사

재세례파의 역사는 그 사상을 반대하는 사람들과 옹호하는 사람들에 의해 다소 왜곡되어 온 측면이 있다. 재세례파의 기원이 단일한지, 혹은 여러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는지에 대해서도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갈린다. 일부에서는 재세례파가 초대교회의 사도적 전통을 직접 계승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지역적으로 재세례파는 크게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그레벨, 만츠 등이 중심이 된 '스위스 형제단', 메노 시몬스, 디르크 필립스 등이 활동한 네덜란드 및 프리시안 재세례파, 그리고 후브마이어, 마르펙 등이 속한 남부 독일 재세례파가 그것이다.

역사학자와 사회학자들은 재세례파를 이념적으로 급진파와 평화주의파로 구분하기도 한다. 급진적 재세례파는 지상에 "새 예루살렘"을 건설하기 위해 폭력 사용을 용인했으며, 이는 뮌스터 반란과 같은 사건으로 이어졌다. 반면, 신약성서에 근거하여 비폭력주의를 강조한 평화주의 재세례파는 오늘날 메노나이트(Mennonites)의 직접적인 기원이 되었다.

메노나이트의 형성은 네덜란드 출신의 로마 가톨릭 사제였던 메노 시몬스(Menno Simons)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 그는 당시 재세례파 내의 두 흐름, 즉 평화주의적인 오비파(Obbenites)와 급진적인 호프만파(Melchio Hoffman) 사이에서 고민했다. 시몬스는 "어떻게 그리스도인이라 자부하는 자가 영적인 무기는 내려두고 세속적인 것을 취하는 것에 하나님의 말씀이 부합하겠는가?"라고 반문하며, 평화주의 노선을 따르는 오비파에 합류했다. 이후 그는 이 그룹의 지도자가 되었고, 그의 추종자들은 그의 이름을 따 '메노나이트'라 불리게 되었다.[79] 메노 시몬스는 신약성서의 가르침에 따라 폭력에 반대하는 비폭력주의를 일관되게 주장했다.[80]

재세례파의 주요 인물로는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 있다.


  • 토마스 뮌처 (Thomas Müntzer)
  • 콘라트 그레벨 (Conrad Grebel)
  • 발타자르 후브마이어 (Balthasar Hubmaier)
  • 메노 시몬스 (Menno Simons)
  • 한스 후트 (Hans Hut) - 천년왕국주의 주장
  • 한스 뎅크 (Hans Denck)
  • 얀 마티스 (Jan Matthys) - 천년왕국주의 주장
  • 카스파르 폰 슈벵크펠트 (Kaspar von Schwenkfeld) - 합리적 자유주의
  • 파우스토 소치니 (Fausto Sozzini) - 합리적 자유주의

3. 1. 스위스

일부 학자들(해럴드 S. 벤더, 윌리엄 에스테프, 로버트 프리드먼 등)[20]은 재세례파 운동이 스위스 형제단 운동에서 발전했다고 본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재세례파가 취리히에서 시작되었으며, 스위스 형제단의 재세례파가 남부 독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북부 독일 등으로 전파되어 다양한 분파로 발전했다고 주장한다. 이 단일 기원설에 따르면, 재세례파의 시작은 1525년 1월 21일, 콘라트 그레벨이 게오르크 블라우록에게 세례를 베풀었고, 블라우록이 즉시 다른 여러 사람에게 세례를 베푼 때이다. 이 세례는 이 운동에서 알려진 최초의 "재세례"였으며, 이 날짜는 재세례파의 시작으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제임스 M. 스테이어, 베르너 O. 파쿨, 그리고 클라우스 데퍼만과 같은 학자들은 1975년 에세이 "단일 기원에서 다중 기원으로"에서 재세례파의 단일 기원 개념에 이의를 제기했다. 이들은 스위스 형제단이 슈라이트하임 신조라는 신앙 고백을 작성한 1527년 2월 24일을 재세례파의 기원 시점으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21][3]

다중 기원론을 지지하는 학자들은 초기 재세례파를 여러 그룹으로 나누어 보는데, 이 관점에서 스위스 형제단은 "개혁파 회중주의에서 발생"한 독자적인 흐름으로 파악된다. 또한 안드레아스 칼슈타트가 성경관, 교회 교리, 세례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스위스 재세례파에게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도 있다. 더불어 르네상스 인문주의[22][23]교부 연구[24]가 콘라트 그레벨을 포함한 스위스의 초기 재세례파 지도자들에게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편, 재세례파의 기원을 발도파에서 찾는 이론도 존재한다. 루드비히 켈러, 토마스 M. 린지, 헨리 클레이 베더, 델버트 그래츠, 존 T. 크리스찬, 그리고 ''순교자 거울''의 저자 틸레만 J. 반 브라흐트 등 일부 학자들은 재세례파가 발도파에서 기원했다는 입장을 다양한 정도로 지지했다.

3. 2. 티롤

비교적 최근의 연구는 교부의 저작과 그 해석이 16세기 초 유럽 여러 지역에서 재세례파의 신념과 관행 발전에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는 특히 티롤 출신의 필그림 마르펙과 같은 인물들에게 교부 사상이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21][3][22][23]

3. 3. 저지대 국가와 북부 독일

재세례파의 기원을 설명하는 다중 기원설에 따르면, 여러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재세례파 운동이 시작되었다고 본다. 이 관점에서 네덜란드 재세례파는 당시의 사회적 불안과 멜키오르 호프만의 종말론적 가르침 속에서 형성된 것으로 이해된다.[3] 멜키오르 호프만은 묵시록에 대한 그의 해석을 통해 후터파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스위스 형제단 운동 외의 다른 흐름이 재세례파 운동에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사례도 있다. 예를 들어, 남부 독일의 필그림 마르펙이 1542년에 작성한 Vermanung|페어마눙de뮌스터의 신학자 베른하르트 로트만이 1533년에 쓴 Bekenntnisse|베켄트니세de의 영향을 깊이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역사가들은 르네상스 인문주의가 네덜란드의 메노 시몬스를 포함한 여러 지역의 급진적 개혁가들에게 미친 영향에 주목하여, 이러한 유형의 개혁이 서로 독립적으로 어떻게 발전할 수 있었는지 설명했다.

3. 4. 모라비아, 보헤미아, 실레지아

초기 재세례파의 중앙 유럽 확산. 보라색: 네덜란드 메노나이트 (엠덴 중심), 파란색: 남부/중부 독일 재세례파 (프랑켄의 쾨니히스베르크 중심), 녹색: 스위스 형제파 (취리히 중심), 노란색: 모라비아 재세례파 (니콜스부르크 중심)


모라비아는 재세례파 박해를 피해 다른 지역, 특히 티롤에서 이주한 사람들에게 중요한 활동 중심지가 되었다. 티롤에서는 미하엘 가이스마이어의 농민 봉기가 실패한 후 사회 정의에 대한 열망이 높아진 배경 속에서 재세례파 사상이 퍼져나갔다. 그러나 페르디난트 1세의 극심한 박해로 인해 많은 티롤의 재세례파 신도들이 모라비아로 피신했다.

야콥 후터는 이러한 티롤 재세례파 공동체를 이끌었던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그와 그의 추종자들은 박해를 피해 모라비아로 이주하여 훗날 후터파 공동체의 기반을 마련했다. 후터 자신은 티롤과 모라비아를 오가며 활동하다 1535년 체포되어 1536년 인스브루크에서 화형에 처해졌다. 티롤에서의 지속적인 박해로 인해 1540년경에는 사실상 대부분의 재세례파 신자들이 모라비아로 이주를 완료하게 되었다.

모라비아의 재세례파 운동에는 르네상스 인문주의의 영향도 있었으며, 발타자르 후브마이어와 페터 발포트(Peter Walpot)와 같은 인물들이 이 지역 재세례파 사상 형성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니콜스부르크(현 체코미쿨로프)는 모라비아 재세례파 확산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였다.

3. 5. 남부 및 중부 독일, 오스트리아, 알자스

남부 독일과 오스트리아 지역의 재세례파는 스위스 형제단이나 네덜란드 재세례파와는 구별되는 독자적인 기원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일부 학자들은 이 지역 재세례파가 라인란트 신비주의 또는 넓게는 독일 신비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본다.[3]

초기 남부 독일 재세례파 형성에 영향을 미친 인물로는 토마스 뮌처가 자주 언급된다. 한스 뎅크와 한스 후트는 뮌처와 관련된 신비주의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으며, 재세례를 받아들인 주요 인물들이다. 여러 연구자들은 이들과 뮌처, 제바스티안 프랑크 등과의 연관성을 지적하며 남부 독일 재세례파 형성에 미친 영향을 강조한다. 특히 후트는 천년왕국주의를 주장하기도 했다. 안드레아스 카를슈타트 역시 성경관, 교회 교리, 세례관 등에서 재세례파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가 있다.

남부 독일 재세례파의 대표적인 지도자로는 발타자르 후브마이어와 필그램 마르펙이 있다. 후브마이어는 남부 독일뿐 아니라 모라비아에서도 활동했으며, 교부 연구에서도 중요한 인물로 다뤄진다. 마르펙 역시 저명한 지도자였으며, 그의 1542년 저작 Vermanung|페르마눙de은 뮌스터의 신학자 베른하르트 로트만의 1533년 저작 Bekenntnisse|베켄트니세de의 영향을 받았다.

오스트리아의 티롤 지역에는 블라우록의 활동을 통해 재세례파 사상이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독일 농민 전쟁과 가이스마이어 봉기는 사회 정의에 대한 열망을 확산시키며 재세례파 수용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봉기 실패 후 재세례파의 평화적 대안 사회 비전이 일부 농민들에게 호소력을 가졌을 수 있다. 블라우록은 1527년경 푸스터 계곡에서 설교했으나, 1529년 클라우젠에서 체포되어 화형에 처해졌다. 티롤 출신의 야콥 후터는 이후 후터파의 지도자가 되었는데, 페르디난트 1세의 극심한 박해를 피해 많은 티롤의 재세례파 신도들을 모라비아로 이주시켰다. 후터 자신도 1536년 인스브루크에서 화형당했다. 계속되는 박해로 인해 1540년경에는 티롤 지역의 재세례파 공동체는 크게 위축되었다.

제임스 M. 스테이어, 베르너 O. 파쿨, 클라우스 데퍼만과 같은 학자들은 재세례파의 다원적 기원을 주장하며 남부 독일-오스트리아 재세례파를 스위스 형제단, 멜키오르파 등과 구분한다.[3] 또한 토르 홀,[22] 케네스 데이비스,[23] 로버트 크레이더 등은 르네상스 인문주의가 재세례파 형성에 미친 영향을 지적하기도 했다. 앤드루 P. 클라거는 교부 연구가 후브마이어, 마르펙 등 남부 독일 재세례파 지도자들에게 미친 영향을 탐구했다. 알자스 지역의 재세례파에 대한 구체적인 활동 기록은 부족하지만, 스트라스부르는 멜키오르 호프만과 같은 인물들이 활동했던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다.

4. 탄압

펠릭스 만츠는 재세례를 받은 지 2년 만에 익사형에 처해졌다.






재세례파는 한 번 받은 세례, 특히 유아세례를 무효라고 주장하는 교리로 인해 서방 교회 내 종교개혁 반대 세력인 가톨릭교회와 개혁 찬성 세력인 개신교 양측으로부터 이단으로 배척받아 수많은 순교자가 발생했다. 1525년 스위스의 가톨릭 지역과 이듬해 개신교 지역인 취리히의 의회 정부는 재세례파를 이단과 반역죄로 규정하고 사형에 처하기 시작했다.

로마 가톨릭교회개신교는 재세례파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고문과 처형을 동원하여 박해했다. 울리히 츠빙글리가 이끄는 개신교도들이 재세례파를 박해한 첫 세력이었으며, 펠릭스 만츠는 1527년 개신교도에 의해 처형된 최초의 재세례파 순교자가 되었다. 같은 해 5월 20일 또는 21일에는 로마 가톨릭 당국이 미카엘 사틀러를 처형했다.[35] 페르디난트 1세는 익사형(소위 '세 번째 세례')을 "재세례파에 대한 최선의 해독제"라고 선언하기도 했다. 튜더 왕조의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6세나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세와 같은 개신교 군주들조차 재세례파를 지나치게 급진적이고 종교적 안정에 위협이 된다고 여겨 박해했다.

재세례파에 대한 박해는 테오도시우스 1세유스티니아누스 1세도나투스파에 대항하여 제정한 고대 로마법에 근거하였는데, 이 법은 재세례를 행하는 모든 사람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이에 따라 수천 명에 달하는 순교자가 발생했으며, 처형 방법 또한 잔인했다. 재세례파의 침례를 조롱하며 산 채로 물에 빠뜨리거나, 화형에 처하거나 사지를 절단하는 경우도 흔했다. 1523년~1566년 사이 네덜란드에서만 1만 3천여 명이 희생되었다는 조사도 있다. 이러한 극심한 박해 속에서 일부 재세례파 신도들 사이에서는 극단적인 종말론이 나타나고 종교적 극단주의가 확산되기도 했다.[81] 틸레만 J. 반 브라흐트의 ''순교자의 거울''은 1525년부터 1660년 사이에 유럽 각지에서 벌어진 수천 명의 재세례파에 대한 박해와 처형을 기록하고 있다.

유럽에서의 지속적인 박해는 아미시파, 후터파, 메노파 등 재세례파 공동체들이 대규모로 북아메리카로 이주하는 결과를 낳았다. 칼뱅주의와 달리 재세례파는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에서 공식적인 종교로 인정받지 못했고, 그 결과 조약 체결 이후에도 오랫동안 유럽에서 박해를 받았다. 1930년대에는 나치의 탄압을 피해 후터라이트 공동체인 부르더호프 공동체가 영국으로 건너가기도 했다.

재세례파 순교 기록에서는 다른 순교자 집단에 비해 여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다른 기록에서는 여성이 5~10%를 차지하는 데 비해, 재세례파 순교 이야기에서는 여성이 30%를 차지한다.[36]

5. 교리

재세례파는 가톨릭교회, 개신교, 오리엔트 정교회, 동방 정교회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별도의 기독교 분파로 스스로를 여긴다.[37][38][39] 주요 교리는 1527년 슐라이트하임 신앙고백에 잘 나타나 있으며[2], 이는 메노나이트, 아미쉬, 후터라이트, 브루더호프, 슈바르체나우 형제단, 리버 형제단, 사도 기독교인 등 여러 재세례파 교파 신앙의 기초를 이룬다.

재세례파의 핵심 교리는 다음과 같다.


  • 신자의 세례: 유아세례를 인정하지 않고, 개인의 신앙 고백에 따른 성인 세례(신자의 세례)만을 인정한다. 이는 유아세례 자체가 무효라는 인식에 기반하므로, 이미 유아세례를 받은 사람에게 다시 세례를 주는 것을 '재세례'로 보지 않는다.[40] 세례 방식으로는 주로 온몸을 물에 담그는 침례를 선호한다.
  • 비폭력주의와 기독교 평화주의: 전쟁, 다툼, 폭력을 거부한다. 산상수훈의 가르침을 문자적으로 따라, 신자는 무기를 소지하거나 악의에 찬 자들에게 폭력으로 저항해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 (마태오 5:39 참조)
  • 정교분리: 종교와 국가의 분리를 강조한다.[71][72] 세상 정부("가이사르")는 세상에 속하며, 신자는 하느님의 왕국에 속하므로 공직을 맡거나 정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아야 한다고 본다. 다만, 정부의 권위에 수동적으로 복종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요한 18:36, 로마서 13:1–7 참조)
  • 제자도: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평등과 사랑, 거룩한 삶과 형제애를 실천하는 삶을 강조한다. 이는 세족례, 거룩한 입맞춤, 성찬례, 기독교 여성의 머리 수건 착용, 세상과의 불화합, 용서, 소유 나눔(때로는 공동 생활 형태로 나타남) 등의 실천으로 이어진다.[42]
  • 믿음과 순종을 통한 구원: 구원은 단순히 '오직 믿음'에 의한 법적인 칭의가 아니라, 회개, 자기 부인, 거듭남, 믿음, 그리고 순종의 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본다.[40][41] 참된 믿음은 하나님의 은혜와 능력으로 말미암은 영적 중생을 수반하며, 이를 통해 신자는 하나님의 자녀가 된다고 가르친다.[40]
  • 성경 해석: 산상수훈을 문자적으로 해석하고 적용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이에 따라 신자는 맹세하거나 신자 간의 분쟁 해결을 위해 세상 법정에 호소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고린도전서 6:1–11 참조)
  • 교회: 칼빈이 주장한 비가시적 교회의 존재를 부정한다. 죄를 짓고 회개하지 않는 신자는 파문하고 성례 참여와 교제를 금해야 하지만, 어떠한 물리적 강제력도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가르친다. (고린도전서 5:9–13, 마태오 18:15 참조)
  • 예정론: 칼뱅주의의 절대적 예정론에 반대한다.
  • 독자 노선: 루터교나 칼뱅주의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고, 지상대명령에 순종하는 것을 강조한다.[82]

6. 현대의 재세례파

알트키르히의 복음주의 메노나이트 교회, 프랑스 복음주의 메노나이트 교회 연합.


위니펙의 The Meeting Place에서 열린 예배, 캐나다 메노나이트 형제 교회 연합.


학교에 가는 길의 아미쉬 아이들


인디애나주 고센에 있는 고센 칼리지, 메노나이트 교회 미국.


2022년 기준으로 전 세계 85개국에 212만 명이 넘는 침례를 받은 재세례파 신자가 있다.[46] 이들 중 36% 이상은 아프리카, 30%는 북미, 20%는 아시아 및 태평양, 9%는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에 분포하며, 유럽에는 3% 미만이 거주한다.[47]

오늘날 재세례파 기독교의 주요 분파로는 아미쉬, 슈바르제나우 형제단, 리버 형제단, 후터라이트, 메노나이트, 사도 기독교 교회, 브루더호프 등이 있다.[48][49]

이러한 주요 전통(아미쉬, 메노나이트, 슈바르제나우 형제단, 리버 형제단) 내에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

# 구 질서 재세례파 (Old Order Anabaptists)

# 보수 재세례파 (Conservative Anabaptists)

# 주류 재세례파 (Mainline Anabaptists)

예를 들어, 슈바르제나우 형제단 내에서도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구 질서 독일 침례 형제단: 교통수단으로 말과 마차를 사용하고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등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고수한다.
  • 덩커 형제단: 전통적인 신학적 신념을 유지하고 소박한 옷차림을 하지만 현대적인 편의 시설을 사용한다.
  • 형제 교회: 구성원의 옷차림이 일반 대중과 크게 구별되지 않는 주류 그룹이다.[50]


아미쉬, 후터라이트, 메노나이트 등 잘 알려진 재세례파 그룹들을 종종 특정 민족 집단으로 여기기도 하지만, 현대에는 아미쉬와 후터라이트만이 주로 유럽 재세례파의 후손으로 구성된다. 메노나이트의 경우 다양한 민족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민족 메노나이트로 분류되는 경우는 소수에 불과하다. 형제단 그룹은 대부분 민족적 특성을 잃었다.

브루더호프 공동체는 1920년 에버하르트 아놀드에 의해 독일에서 설립되었으며,[51] 1930년에는 후터라이트와 조직적으로 합류했다. 이 공동체는 1933년 나치 정권게슈타포에 의해 재산을 압수당한 후 영국으로 이주했고, 이후 징병을 피하기 위해 파라과이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미국으로 이주했다.[52]

슈바르제나우 형제단에서 파생된 그룹들은 종종 '독일 침례교회'(German Baptists)라고도 불린다. 이들은 16세기 급진 종교개혁에서 직접적으로 유래한 것은 아니지만, 재세례파의 핵심 교리를 따르기 때문에 재세례파의 일부로 간주된다. 현대의 형제단 운동은 재세례파 전통과 급진적 경건주의가 결합된 형태이다.[53]

신재세례파(Neo-Anabaptism)는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 미국 복음주의 기독교 내에서 나타난 신학 운동이다. 이들은 재세례파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반드시 특정 교단에 속하지는 않는 신학자들에게서 영향을 받았다. 신재세례파는 로우 처치(Low church) 지향, 반문화적 태도,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예언자적 입장과 더불어 평화주의, 사회 정의, 빈곤 문제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알려져 있다.[54][55] 메노나이트 신학자인 론 사이더와 존 하워드 요더의 저작이 이 운동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받는다.[56]

7. 재세례파와 침례교의 관계

침례교와 재세례파 사이에는 신자만의 세례, 종교의 자유, 자유 의지, 예정원죄에 대한 유사한 관점, 그리고 회중주의 등 몇 가지 유사점이 존재한다.[57][58] 이러한 유사성 때문에 일부 역사학자들은 일반 침례교도가 재세례파의 영향을 받았다는 견해를 지지했다. 존 스미스와 토마스 헬위스가 이끈 최초의 침례교회는 메노나이트와 교류했으며, 스미스가 재세례파의 사상을 일부 받아들였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이 영국 일반 침례교도 전체에게까지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거리이다.

존 스미스


재세례파의 견해에 더 동조했던 이들은 스미스와 함께 메노나이트 운동에 합류했으며, 침례교도로 남은 이들은 스미스 및 메노나이트와 여러 문제에서 의견 차이를 보인 헬위스의 지도 아래 있었다. 헬위스는 멜키오르주의 그리스도론과 시민 치안 판사에 대한 재세례파의 견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러한 영국 일반 침례교도들이 재세례파로부터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을 수는 있지만, 이는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59] 두 집단 간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1624년 런던의 다섯 개 침례교회가 재세례파를 공식적으로 비난하면서 관계는 악화되었다.[60] 재세례파가 침례교 신학에 영향을 미쳤다는 이론은 필립 샤프,[61] A.C. 언더우드, 윌리엄 R. 에스테프 등에 의해 지지되었다. 구얼리는 영혼의 자유보다 공동체의 신앙을 강조하는 일부 현대 침례교 학자들 사이에서 재세례파 영향 이론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고 언급했다.[62]

청교도와 그들로부터 갈라져 나온 침례교 분파는 독립적으로 발생했으며, 재세례파 신학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은 있지만, 1644년 런던 신앙 고백에서 "일반적으로 (비록 잘못 불리지만) 재세례파라고 불리는 교회들"과 스스로를 구분했듯이, 명확히 거리를 두었다.[63] 침례교 역사가 크리스 트래팬스테드는 재세례파가 "초기 일반 침례교도와 약간의 유사점을 공유하지만, 전반적으로 이러한 유사점은 미미하며 항상 관계적인 것은 아니다. 결국, 우리는 이 기독교 집단이 침례교의 역사적 가르침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64]

재세례파 신학이 특수 침례교도에게 제한적으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논의도 있다. 이 이론은 당대 잉글랜드에 존재했던 토착 재세례파가 특수 침례교 신학자들이 주장한 사상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고 본다. 이 시기 영국에 토착 재세례파가 있었다는 증거는 있지만, 많은 역사학자들은 재세례파의 영향이 특수 침례교도를 형성했다는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으며, 구체적인 증거는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65] 배링턴 레이몬드 화이트에 따르면, 영국 분리주의자와 급진적 개혁가들의 관계는 유사한 상황에서 성경을 읽고 비슷한 결론에 도달한 사람들의 관계에 가까웠다.[65][66]

실제로 재세례파는 산상수훈에 대한 더 문자적인 순종을 강조하며 비폭력, 맹세 거부, 합법적인 배우자가 살아있는 동안의 재혼 금지 등을 실천해 왔다. 전통적인 재세례파는 또한 여성의 머리 수건 착용, 단정한 옷차림, 세상과의 실질적인 분리 등을 요구하지만, 대부분의 침례교는 더 이상 이러한 규정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재세례파와 일반 침례교는 관계를 개선하고 때로는 함께 협력하기도 한다.[67]

8. 사회에 미친 영향

16세기의 일반적인 재세례파의 믿음과 관습은 현대 기독교와 서구 사회에 계속해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재세례파가 남긴 주요 유산은 다음과 같다.



재세례파는 자유 교회종교의 자유를 초기에 옹호한 그룹 중 하나였다. 미국의 종교의 자유 기원을 재세례파에서 찾는 시각도 있다.[68] 재세례파가 활동하던 15세기와 16세기 당시, 국가 권력과 분리된 종교의 자유라는 개념은 기성 종교 지도자들이나 정부 관료들에게는 매우 생소하고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었다. 이러한 급진적인 주장은 때로 무정부주의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아나키스트 사상가 표트르 크로포트킨[69]은 유럽 아나키즘 사상의 기원 중 하나를 초기 재세례파 공동체에서 찾기도 했다. 또한 재세례파는 세상과 교회의 분리, 즉 정교분리를 강하게 주장했다.[71][72]

역사가 에스텝(Estep)은 재세례파의 유산에 대해 "사람들이 종교의 자유를 믿고, 교회와 국가의 분리 보장을 지지하는 곳에서 그들은 그 유산을 받았다. 사람들이 제자도의 재세례파적 비전을 파악한 곳에서 그들은 그 유산에 합당하게 되었다. 집단적인 제자도가 교회의 신약 성경적 패턴에 복종하는 곳에서 상속자는 자신의 유산을 완전히 소유하게 된다."라고 평가했다.

재세례파의 영향은 대중문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지프 헬러의 소설 ''캐치-22''의 채플린 탭먼, 볼테르의 소설 ''캉디드''의 제임스(자크), 자코모 마이어베어의 오페라 Le prophète|르 프로페트프랑스어(예언자, 1849), 그리고 '루터 블리셋'이라는 필명으로 발표된 소설 ''Q''의 주인공 등이 재세례파적 인물로 묘사된다.

캐나다의 후터 교도

9. 한국에서의 재세례파

한국 내 재세례파 관련 단체 및 활동은 다음과 같다.


  • 단체
  • 한국아나뱁티스트펠로우쉽 (Korean Anabaptist Fellowship)
  • 한국메노나이트교회연합 (Mennonite Church South Korea) 소속 교회
  • 논산평화누림교회
  • 제주하늘가족교회
  • 진해주빌리교회
  • 춘천예수마음교회
  • 출판 활동
  • 도서출판 대장간: 재세례파 관련 서적을 100여 권 출판하고 있다.

참조

[1] 백과사전 Täufer Walter de Gruyter 2001
[2] 서적 A Reformation Sourcebook: Documents from an Age of Debat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3] 서적 The Recovery of the Anabaptist Vision Wipf & Stock Publishers 2001
[4] 웹사이트 Outsider's Guide to America's Anabaptists https://www.christia[...] 2021-05-20
[5] 웹사이트 What about Old Orders, Hutterites, Conservatives, River Brethren and Others? http://thirdwaycafe.[...] 2021
[6] 서적 History of the Mennonite Brethren in Christ Church Bethel Publishing Co. 1920
[7] 서적 God Revised: How Religion Must Evolve in a Scientific Age St. Martin's Publishing Group 2013
[8] 서적 Introduction to Old Order and Conservative Mennonite Groups Good Books 1996
[9] 서적 Service, The Path To Justice FriesenPress 2019
[10]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Amish, Brethren, Hutterites, and Mennonites JHU Press 2010
[11] 서적 Amish Society JHU Press 1993
[12] 웹사이트 Anabaptist http://www.etymonlin[...] 2011-04-25
[13] 서적 Balthasar Hübmaier: the Leader of the Anabaptists G. P. Putnam's Sons
[14] 서적 Dictionary of Scripture and Ethics Baker Books 2011
[15] 문서 Münster Rebellion and Balthasar Hubmaier
[16] 서적
[17] 서적 Petr Chelčický: A Radical Separatist in Hussite Bohemia Herald Press
[18] 웹사이트 Sacramentists http://www.gameo.org[...] Global Anabaptist Mennonite Encyclopedia Online 2007-04-12
[19] 서적 The Light and the Dark: A Cultural History of Dualism http://home.wanadoo.[...] Gopher Publishers
[20] 웹사이트 On the Theological Uses of Anabaptist History: A Conversation https://anabaptisthi[...] 2017-11-16
[21] 간행물 From Monogenesis to Polygenesis: the historical discussion of Anabaptist origins 1975-04
[22] 간행물 Possibilities of Erasmian Influence on Denck and Hubmaier in Their Views of Freedom of the Will
[23] 간행물 Erasmus as a Progenitor of Anabaptist Theology and Piety
[24] 간행물 Anabaptism and Humanism: an Inquiry Into the Relationship of Humanism to the Evangelical Anabaptists
[25] 서적 The Trail of Blood http://www.trailofbl[...] Ashland Avenue Baptist Church
[26] 문서 A "true church" movement
[27] 문서 Adoptionism of the Paulicians
[28] 서적 Conrad Grebel, Son of Zurich Herald Press
[29] 서적 The Chronicle of the Hutterian Brethren, Known as Das grosse Geschichtbuch der Hutterischen Brüder Plough Pub. House 1987
[30] 웹사이트 1525, The Anabaptist Movement Begins http://www.christian[...] 2017-12-27
[31] 웹사이트 A Fire That Spread Anabaptist Beginnings https://christianhis[...] Christian History Institute 2017-12-27
[32] 서적 Utopias in American History ABC-CLIO 2008
[33] 서적 Through Fire & Water Herald Press 1996
[34] 웹사이트 Ursel (d. 1570) https://gameo.org/in[...] 2018-01-10
[35] 백과사전 Mennonite Encyclopedia Herald Press
[36] 논문 Anabaptist Women as Martyrs, Models of Courage, and Tools of the Devil https://historicalpa[...] 2009
[37] 문서 The Anabaptists: Neither Catholic nor Protestant https://web.archive.[...] The Fellowship Messenger
[38] 문서 Renaissance and Reformation University of Kansas 1998
[39] 문서 Martyrs Mirror에 따른 재세례파 운동
[40] 서적 The New Westminster Dictionary of Christian Spiritualit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41] 서적 Mormonism in Dialogue with Contemporary Christian Theologies Mercer University Press 2007
[42] 서적 The Routledge International Handbook to Veils and Veiling Taylor & Francis 2017
[43] 문서 The Origins of Sectarian Protestantism Beacons
[44] 문서 Lutheran Reformers Against Anabaptists M Nijhoff
[45] 논문 Answer of Some Who Are Called (Ana-)Baptists – Why They Do Not Attend the Churches
[46] 웹사이트 MWC World Map 2022 https://mwc-cmm.org/[...] 2024-08-12
[47] 웹사이트 Membership, map and statistics https://mwc-cmm.org/[...] 2024-08-12
[48]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Amish, Brethren, Hutterites, and Mennonites JHU Press
[49] 서적 Historical Foundations of Worship: Catholic, Orthodox, and Protestant Perspectives Baker Academic 2022
[50] 서적 Encyclopedia of American Folklife Routledge 2015
[51]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plough.co[...] 2017-05-23
[52] 웹사이트 Church Community is a Gift of the Holy Spirit – The Spirituality of the Bruderhof https://www.scribd.c[...] 2017-09-27
[53]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in the United States Rowman & Littlefield 2016
[54] 웹사이트 The Neo-Anabaptists https://blogs.thegos[...] 2009-06-03
[55] 논문 New Calvinists and Neo-Anabaptists: A Tale of Two Tribes http://www.direction[...] 2013-09-00
[56] 웹사이트 Mennonite Takeover? https://web.archive.[...]
[57] 웹사이트 The Baptist Church and its contributions to religion https://st.network/r[...] 2023-01-09
[58] 웹사이트 Do Baptists spring from Anabaptist seed? Baptist Press https://www.baptistp[...] 2017-07-03
[59] 웹사이트 Origins of the Particular Baptists https://www.thegospe[...] 2023-11-26
[60] 문서 Encyclopedia of American Religions
[61] 웹사이트 Creeds of Christendom, with a History and Critical notes https://www.ccel.org[...] 2023-11-26
[62] 간행물 A Very Brief Introduction to Baptist History, Then and Now
[63] 웹사이트 London Baptist Confession of 1644 https://web.archive.[...]
[64] 웹사이트 A Primer on Baptist History: The True Baptist Trail https://web.archive.[...]
[65] 웹사이트 Origins of the Particular Baptists https://www.thegospe[...] 2023-11-26
[66] 서적 The English Separatist Tradition: from the Marian Martyrs to the Pilgrim Father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71
[67] 웹사이트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Anabaptists and Baptists? https://historyofchr[...] 2023-01-09
[68] 문서 That First Amendment and The Remnant The Christian Hymnary
[69] 백과사전
[70] 서적 血まみれの道
[71] 문서 マクグラス(2000)
[72] 문서 ホワイト(1992)
[73] 웹사이트 第4講ラディカリズムの離反と教会形成の意識1996・05・27 http://www.imcj.org/[...]
[74] 문서 re-baptizers
[75] 뉴스 자생적인 재세례파(재침례파) 교회인 춘천 예수촌 교회 기사 http://www.hani.co.k[...] 한겨레 2005-11-16
[76] 성경 사도행전 2:38
[77] 성경 마가복음 16:16
[78] 서적 Dictionary of Scripture and Ethics Baker Books 2011-11-01
[79]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 Abingdon Press 1975
[80] 서적 5시간만에 읽는 쉽고 재미있는 교회사 작은행복
[81] 논문 박해의 역사 속에서 형성된 재세례파 신앙의 본질 영남신학대 신학대학원
[82] 서적 Puritan papers https://www.worldcat[...] P & R Pub 2005
[83] 서적 캉디드 한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