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 동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소 동물은 죽은 동물의 사체를 먹고 사는 동물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절대적 청소 동물은 사체만을 먹는 반면, 선택적 청소 동물은 사체 외에도 다른 먹이를 섭취한다. 청소 동물은 생태계에서 썩은 유기체를 제거하여 자연적인 위생 서비스를 제공하며, 에너지와 영양소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양한 조류, 포유류, 곤충 등이 청소 동물로 활동하며, 청소 동물의 감소는 질병 전파 및 생태계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인간은 사체 섭취를 통해 고기를 얻거나, 장례 의식 및 식인 풍습과 같은 문화적 행위로 청소 동물과 연관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까마귀, 까치 등이 청소 동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소 동물 - 회색늑대
회색늑대(Canis lupus)는 북반구에 널리 분포하는 개과 포유류로, 1758년 린네에 의해 처음 개와 구별되었으며 무리 생활, 의사소통, 뛰어난 사냥 능력을 특징으로 한다. - 청소 동물 - 독수리류
독수리류는 죽은 동물을 먹는 조류로,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에 서식하는 수리과의 구세계 독수리와 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하는 콘도르과의 신세계 독수리로 나뉘며, 생태계 청소 동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있고 문화적으로 다양한 상징성을 지닌다. - 섭식 - 먹방
먹방은 방송 출연자가 음식을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콘텐츠로, 대한민국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산되며 인기를 얻었지만, 과식 조장, 섭식 장애 유발 등의 논란도 있는 문화 현상이다. - 섭식 - 칼로리 제한
칼로리 제한은 비만, 당뇨병 환자에게 체중 감량 및 질병 예방을 위해 권장되는 식단 관리 방법이며, 수명 연장과 노화 관련 질병 예방에도 효과가 있을 수 있다. - 생태계 - 광합성
광합성은 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으로, 엽록체 내 틸라코이드 막에서 일어나는 명반응과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암반응으로 구성되며, 환경에 따라 탄소 농축 메커니즘을 통해 효율을 높이기도 하고, 지구 대기의 산소를 생성하는 주요 원천이다. - 생태계 - 생태 피라미드
생태 피라미드는 생태계의 각 영양 단계에 있는 생물의 양을 나타내는 도구이며, 에너지, 생물량, 개체 수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어 생태계의 건강과 먹이 사슬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청소 동물 | |
---|---|
생태학적 역할 | |
정의 | 죽은 동물이나 식물 물질을 먹는 생물 |
상세 정보 | |
식성 | 죽은 무척추동물 죽은 동물 죽은 식물 |
역할 | 도시 환경에서 죽은 무척추동물 제거 생물량 변환 웹에서 중요 역할 |
행동 | 일부 초식 도마뱀에서 관찰되는 부육 섭취 행동 |
영향 요인 | 생물적 요인 비생물적 요인 썩은 고기 운명과 척추동물 청소 군집에 영향 |
2. 어원
청소 동물(Scavenger영어)은 중세 영어 ''skawager''에서 변형된 단어로, 이는 '관세 징수원'을 의미한다. ''skawager''는 '관세'를 뜻하는 ''skawage'', '검사'를 뜻하는 구 북프랑스어 ''escauwage'', '검사하다'를 뜻하는 ''schauwer''를 거쳐 게르만어에 기원을 둔다. 이는 고대 영어 ''scēawian'', '보다'를 의미하는 독일어 schauende, 그리고 현대 영어 ''show''(의미 변화)와 유사하다.
3. 청소 동물의 유형 (동물)
청소 동물은 먹이를 얻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절대적 청소 동물과 선택적 청소 동물이다.
절대적 청소 동물은 먹이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죽은 동물의 사체에 의존하는 동물을 말한다.[1] 하지만 척추동물 중에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살아가는 동물이 드문 편인데, 이는 생존에 필요한 만큼의 사체를 꾸준히, 그리고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지 않고 찾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1]
반면, 선택적 청소 동물은 평소에는 주로 다른 방법, 특히 포식을 통해 먹이를 얻지만, 기회가 주어지면 사체도 먹는 동물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청소 동물은 이 유형에 속한다. 예를 들어 하이에나나 자칼처럼 사냥을 주로 하는 동물들도 기회가 되면 사체를 마다하지 않는다.[1] 심지어 사자나 늑대처럼 일반적으로 청소 동물로 잘 생각되지 않는 포식자들도 상황에 따라 사체를 먹는다. 곤충 크기 이상의 거의 모든 청소 동물은 포식자이기도 하며, 충분한 사체가 없을 경우 직접 사냥을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죽은 식물성 물질을 먹는 흰개미, 배설물을 먹는 분식동물, 죽은 유기물의 작은 입자를 먹는 부식자 등 다양한 방식으로 청소 행동을 보이는 동물들이 있다.
3. 1. 절대적 청소 동물
절대적 청소 동물은 죽은 동물의 사체를 완전히 또는 주로 먹고 사는 동물을 의미한다.[1] 척추동물 중에서는 절대적 청소 동물을 찾아보기 힘든데, 이는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많이 쓰지 않으면서 충분한 양의 사체를 꾸준히 찾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1]
반면, 무척추동물 중에서는 절대적 청소 동물을 비교적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송장벌레와 검정파리, 말벌 등이 있다.[1] 물속 환경에서는 파리 유충이 담수 바닥의 유기물을 먹는 흔한 청소 동물이다. 예를 들어, 일본의 호수 등지에 서식하는 깔따구의 일종인 Tokunagayusurika akamusi|아카무시 유스리카일본어는 유충 시기에는 호수 바닥에서 절대적 청소 동물로 살아가지만, 성충이 되면 거의 먹이를 먹지 않고 몇 주 동안만 생존한다.[1]
3. 2. 선택적 청소 동물
대부분의 청소 동물은 다른 방법, 특히 포식을 통해 먹이를 얻는 선택적 청소동물이다. 이들은 기회가 주어지면 사체를 먹는다. 대표적인 예로는 하이에나와 자칼이 있으며, 이들은 정기적으로 사냥을 하기도 한다. 아프리카 사자, 표범, 늑대와 같이 흔히 청소동물로 여겨지지 않는 동물들도 기회가 생기면 사체를 먹는다. 이들은 자신의 힘을 이용해 치타와 같은 다른 포식자가 사냥한 먹이를 빼앗기도 한다. 예를 들어, 점박이하이에나는 치타의 먹이를 강탈하는 경우가 있으며, 반대로 하이에나가 먹다 남긴 것을 자칼이나 독수리 등이 먹기도 한다.
곤충 크기 이상의 거의 모든 청소동물은 포식자이기도 해서, 먹을 만한 사체가 부족하면 직접 사냥에 나선다. 생태계에서 청소동물만을 먹여 살릴 만큼 충분한 사체가 꾸준히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야생 개나 까마귀는 로드킬로 생긴 사체를 먹기도 한다. 다만 까마귀는 잡식성이 강해 시체만 먹는 것은 아니다.
인간 거주지 근처에서는 주머니쥐, 족제비, 너구리 등이 쓰레기통을 뒤지며 청소 행동을 보이기도 하고, 일부 아프리카 마을에서는 하이에나가 마을 주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찾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이에나, 특히 점박이하이에나는 청소 동물의 대명사처럼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무리 지어 사냥하는 유능한 포식자이다. 완전한 부육식 동물은 아니며, 오히려 자신이 사냥한 먹이를 사자에게 빼앗기는 경우도 있다. 줄무늬하이에나는 점박이하이에나보다 청소 성향이 더 강하다. 자칼은 사자나 하이에나 같은 강력한 포식자가 남긴 먹이를 주로 먹는, 선택적 청소 동물의 전형적인 예시이다.
3. 3. 기타
죽은 식물성 물질을 먹는 청소동물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흰개미는 초원에 둥지를 짓고 죽은 식물성 물질을 수집하여 둥지 안에서 소비한다.
청소 동물과 유사한 개념으로, 분뇨와 같은 배설물을 소비하는 동물은 분식동물(coprovore)이라고 불린다. 또한 동물과 식물 모두의 죽은 유기물질의 작은 입자를 수집하는 동물은 부식자(detritivore)라고 한다. 이들은 넓은 의미에서 청소 동물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오늘날 청소 동물과 인간의 상호 작용은 교외 환경에서 주머니쥐, 족제비, 너구리와 같은 동물에게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일부 아프리카 마을에서도 하이에나의 청소가 일반적이다.
4. 생태학적 기능
청소 동물은 썩은 유기체를 제거하여 자연적인 위생 서비스를 제공하며, 환경에서 기본적인 역할을 한다.[10] 이들은 동물 사체의 분해에 관여하여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의 활동을 통해 환경이 건전하게 유지되고 먹이 그물(먹이 사슬)이 기능한다. 청소 동물이 영양 단계에서 차지하는 위치나 생태계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 등은 하위 문단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4. 1. 영양 단계에서의 역할
썩은 유기체를 제거하여 자연적인 위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청소 동물은 환경에서 기본적인 역할을 한다.[10] 미생물과 무척추 분해자는 죽은 유기체를 인근 자가영양생물이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유기물로 분해하는 반면, 청소 동물은 영양 단계 상위에서 썩은 고기로부터 얻은 에너지와 영양소를 보존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분해자보다 썩은 고기에서 더 멀리 떨어진 곳으로 에너지와 영양소를 분산시킬 수 있다.[11]청소 활동은 일반적으로 서로 접촉하지 않는 동물들을 연결시키며,[12] 비무작위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고도로 구조화되고 복잡한 공동체를 형성하게 한다.[13] 이러한 청소 공동체는 사체에서 얻은 에너지의 재분배와 부패와 관련된 질병의 확산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그러나 청소 공동체는 사체의 크기나 유형, 계절에 따른 무척추 동물 및 미생물 활동의 차이 등으로 인해 그 구성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4]
사체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은 특정 청소 동물이 사체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가능하게 함으로써 청소 공동체의 구성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서늘한 계절에는 사체가 더 느리게 분해되면서 청소 동물 간의 경쟁이 줄어들고, 더 다양한 종류의 청소 동물이 모여들 수 있다.[4]
청소 공동체의 변화는 생태계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공동체 구성의 급격한 변화는 생태계 서비스를 감소시키고, 다른 동물이나 인간에게 해로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13] 예를 들어, 미국 옐로스톤 국립공원에 회색 늑대(''Canis lupus'')를 재도입하자 기존 청소 공동체에 큰 변화가 생겼고, 결과적으로 많은 포유류와 조류에게 먹이가 되는 사체가 더 많이 공급되었다.[4] 반대로, 인도에서는 독수리 개체 수가 감소하자 길들여지지 않은 개나 쥐와 같은 기회주의적 청소 동물들이 증가했다. 이들 종은 광견병이나 페스트와 같은 질병의 매개체이기 때문에, 사체 주변에 이들이 늘어나면서 야생 동물과 가축에서의 질병 발생률이 증가했다. 또한, 독수리 감소는 감염된 가축 사체를 인간이 처리하거나 섭취하게 되면서 인간의 탄저병 발병률 증가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케냐에서도 독수리 개체 수 감소로 인해 포유류 청소 동물 간의 질병 전염이 증가했는데, 이는 독수리가 줄어들면서 하나의 사체에 더 많은 포유류 청소 동물이 모여 더 오래 머물게 되었기 때문이다.[10]
청소 동물은 때때로 "쓰레기 줍는 동물" 또는 "사체 사냥꾼"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들은 동물의 사체를 분해하는 과정에 참여하여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여러 단계의 청소 동물들이 순차적으로 사체를 소비하면서 동물을 구성했던 유기 물질은 분자 수준으로 분해되어 환경으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활동 덕분에 환경이 건강하게 유지되고 먹이 그물(먹이 사슬)이 원활하게 기능할 수 있다.
4. 2. 생태계에서의 중요성
청소 동물은 썩은 유기체를 제거하여 자연적인 위생 서비스를 제공하며 환경에서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한다.[10] 미생물과 무척추 분해자가 죽은 유기체를 인근 자가영양생물이 사용하는 간단한 유기물로 분해하는 반면, 청소 동물은 영양 단계 상위에서 썩은 고기로부터 얻은 에너지와 영양소를 보존하고, 분해자보다 더 넓은 범위로 이를 분산시키는 데 기여한다.[11]청소 활동은 평소에는 잘 만나지 않는 동물들을 연결시키며,[12] 비무작위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고도로 구조화되고 복잡한 공동체를 형성하게 한다.[13] 이러한 청소 공동체는 사체에서 얻은 에너지를 재분배하고 부패와 관련된 질병의 확산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청소 공동체의 구성은 사체의 크기와 종류, 계절에 따른 무척추 동물 및 미생물 활동의 차이 등으로 인해 달라질 수 있다.[4] 예를 들어, 서늘한 계절에는 사체가 느리게 분해되면서 청소 동물 간의 경쟁이 줄어들고, 더 다양한 종류의 청소 동물이 모여들 수 있다.[4]
사체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은 특정 청소 동물의 접근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며 청소 공동체의 구성을 결정한다.[4]
청소 공동체의 변화는 생태계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때로는 생태계 서비스가 감소하고, 동물과 인간에게 해로운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13] 예를 들어, 미국 옐로스톤 국립공원에 회색 늑대 (''Canis lupus'')를 재도입하자 기존 청소 공동체에 큰 변화가 생겼고, 결과적으로 많은 포유류와 조류에게 먹이(사체)를 제공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4] 반면, 인도에서는 독수리 종들이 감소하자 들개나 쥐와 같은 기회주의적 청소 동물들이 늘어났다. 이들은 광견병이나 페스트 같은 질병의 매개체이기 때문에, 이들이 사체에 모여들면서 야생 동물과 가축에게 질병이 확산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독수리 감소는 감염된 가축 사체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게 되면서 인간의 탄저병 발병률 증가와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케냐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했는데, 독수리 감소로 인해 사체 하나에 모이는 포유류 청소 동물의 수가 늘어나고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이들 사이의 질병 전염이 증가했다.[10]
어떤 이유로든 죽은 동물의 사체가 포식자에게 먹히지 않고 남아 있을 때 이를 "동물 사체"라고 하며, 이를 주로 먹는 동물이 부육식 동물(사체식 동물)이다. 동물은 재해, 사고, 질병, 포식자(인간 포함) 등으로 죽게 되는데, 부육식 동물은 이렇게 환경 속에 남겨진 사체를 찾아 먹이로 삼는다. 때로는 사체를 죽인 포식자가 주변에 있더라도 힘이 더 강하면 빼앗기도 하며(예: 치타로부터 사체를 빼앗는 점박이하이에나), 힘이 약한 경우에는 상위 포식자가 먹는 동안 틈을 보아 가로채거나 남은 것을 얻기도 한다(예: 하이에나 주변의 자칼이나 독수리).
이처럼 청소 동물은 "쓰레기 줍는 동물" 또는 "사체 사냥꾼" 등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동물 사체의 분해 과정에 참여하여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러 단계의 청소 동물들이 순차적으로 사체를 소비함으로써 동물을 구성했던 유기 물질이 분해되어 환경으로 되돌아가기 때문이다. 이들의 활동 덕분에 환경이 건강하게 유지되고 먹이 그물(먹이 사슬)이 원활하게 기능할 수 있다.[10]
5. 질병 전파
청소는 동물 간 질병을 전파하는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14] 감염된 사체를 먹는 청소 동물은 특정 병원체의 숙주가 되어 질병을 퍼뜨리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14] 예를 들어, 청소 동물이 결핵에 감염된 사체를 먹을 경우 결핵 전파가 증가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15] 유사하게, 줄무늬 스컹크가 광견병에 걸린 박쥐 사체를 먹은 결과, 스컹크의 바이러스 감염률이 높아졌다.
다양한 조류 종들이 주요 질병 전파 매개체 역할을 하며, 질병 발생은 이러한 매개 조류와 그들의 서식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캐나다 뉴펀들랜드 해안에서는 조류 콜레라가 발생하여 많은 바닷새들이 죽었다. 이 발병의 전파, 지속, 확산은 주로 해당 지역에서 먹이를 찾아 청소하던 갈매기 종들에 의해 이루어졌다.[16] 또한, 2007년 인도네시아에서는 농장의 집오리가 주변 지역, 특히 논에서 청소하도록 허용되면서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닭에게 전파되는 사례가 증가했다. 논에서 오리가 청소하는 과정에서 남은 쌀을 먹는 다른 조류들과의 접촉이 늘어나면서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과 전파가 촉진되었을 수 있다. 집오리 자체는 감염 증상을 보이지 않았지만, 고농도의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배설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7]
6. 위협
많은 청소 동물 종들이 전 세계적으로 박해에 직면해 있다. 특히 독수리는 인간에 의해 심각한 박해와 위협을 받아왔다. 아시아에서는 2006년 지역 정부에 의해 금지되기 전까지 수의학 약품인 디클로페낙 사용으로 인해 참수리속( Gypsla ) 독수리의 수가 최소 95%나 감소했다. 서아프리카에서는 인구 증가, 독수리 먹이원의 과도한 사냥, 가축 사육 방식의 변화 등이 원인이 되어 서식지 손실과 식량 부족이 발생했고, 이는 독수리 종 감소로 이어졌다. 유럽에서는 사냥감의 수를 늘리기 위해 특정 포식자를 독살하는 행위가 여전히 흔한데, 독수리가 이렇게 독살된 포식자의 사체를 먹으면서 2차적으로 중독되는 문제가 발생한다.[10]
7. 인간과의 관계
청소 동물은 인간과 다양한 방식으로 관계를 맺어왔다. 일부 청소 동물은 해충이나 질병 매개체를 줄여 인간에게 이점을 제공하기도 한다. 한편, 인류의 역사 속에서는 사체 섭취가 생존 전략의 일부였으며, 특정 문화권에서는 장례 의식의 일환으로 청소 동물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다.
7. 1. 이점
매우 효율적인 청소동물, 즉 우점 청소동물 또는 최상위 청소동물은 인간에게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독수리와 같은 우점 청소동물 개체수의 증가는 쥐와 같은 작은 기회주의적 청소동물 개체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18] 이러한 작은 청소동물은 종종 해충이자 질병 매개체이다.7. 2. 인간의 청소 행위

1980년대 루이스 빈포드는 초기 인류가 사냥보다는 주로 사체 섭취를 통해 고기를 얻었다고 주장했다.[19] 2010년 데니스 브램블과 다니엘 리버만은 초기 인류가 사체 섭취 장소에 더 빨리 도달하고, 지구력 사냥 방식으로 동물을 추적하여 지치게 만든 후 안전하게 사냥하기 위해 장거리 달리기 능력을 발달시켰다고 제안했다. 이는 사체 섭취와 사냥 능력을 함께 향상시키는 적응이었을 수 있다.[20]
티베트 불교에서는 육탈이라는 장례 관행이 있는데, 이는 시신을 해체하여 독수리 등 사체 섭취 동물에게 먹이로 주는 조장(鳥葬)의 한 형태이다. 이는 전통적으로 화장과 함께 주요 시신 처리 방식 중 하나였다.[21] 조로아스터교에서도 유사한 장례 관행을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부패하는 시신이 불, 흙, 물과 같은 신성한 요소를 오염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 침묵의 탑이라는 곳에 시신을 두어 독수리나 들개가 먹도록 했다.[22]
행동 생태학 및 생태학적 역학 연구에 따르면, 식인 사체 섭취는 드물지만 해부학적으로 현대적인 인간을 포함한 여러 사회적 종에서 생존 전략으로 관찰되었다.[14] 대부분의 인간 사회에서 인간 식인 풍습은 흔하지 않지만[14], 인류 역사 속에서 특히 전쟁이나 기근 시기에 생존을 위한 행동으로 나타난 사례가 많다. 또한 인류학자들은 일부 부족 사회에서 의례적 식인 풍습이 장례 관행이나 선호되는 시신 처리 방식으로 행해졌음을 보고하기도 한다.[23][24][25]
8. 한국의 청소 동물
까마귀는 조강 참새목에 속하는 새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만큼 시체를 많이 먹지는 않으며 잡식성이 강한 특징을 보인다.
9. 갤러리
참조
[1]
논문
Scavenging of dead invertebrates along an urbanisation gradient in Singapore
2011-03-30
[2]
논문
Biomass transformation webs provide a unified approach to consumer–resource modelling
[3]
논문
First evidence of scavenging behaviour in the herbivorous lizard Uromastyx aegyptia microlepis
2011-07
[4]
논문
Abiotic and biotic factors modulate carrion fate and vertebrate scavenging communities
2017-09
[5]
논문
When Tyrannosaurus Chomped Sauropods
http://blogs.smithso[...]
2012-04-13
[6]
웹사이트
Tyrannosaurus rex: predator or media hype?
http://whatsinjohnsf[...]
What's in John's Freezer?
2013-07-15
[7]
논문
Body Size as a Driver of Scavenging in Theropod Dinosaurs
https://healyke.gith[...]
2016
[8]
논문
Carnosaurs as Apex Scavengers: Agent-based simulations reveal possible vulture analogues in late Jurassic Dinosaurs
https://www.scienced[...]
2021
[9]
논문
Big boned: How fat storage and other adaptations influenced large theropod foraging ecology
2023-11-01
[10]
논문
Dropping dead: causes and consequences of vulture population declines worldwide
2011-12-16
[11]
논문
Carcass Type Affects Local Scavenger Guilds More than Habitat Connectivity
2016-02-17
[12]
논문
Direct evidence of an efficient energy transfer pathway from jellyfish carcasses to a commercially important deep-water species
2017-12
[13]
논문
Scavenger community response to the removal of a dominant scavenger
https://digitalcommo[...]
2011-05-31
[14]
논문
Behaviours indicating cannibalistic necrophagy in ants are modulated by the perception of pathogen infection level
Nature Research
2020-10
[15]
논문
Consumption of Big Game Remains by Scavengers: A Potential Risk as Regards Disease Transmission in Central Spain
2018-03-02
[16]
논문
A Pelagic Outbreak of Avian Cholera in North American Gulls: Scavenging as a Primary Mechanism for Transmission?
2016-10
[17]
논문
Scavenging Ducks and Transmission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Java, Indonesia
2010-08
[18]
논문
The mesoscavenger release hypothesis and implications for ecosystem and human well-being
[19]
논문
Human Ancestors: Changing Views of Their Behavior
Elsevier
1985-12
[20]
간행물
The Evolution of Marathon Running: Capabilities in Humans
http://nrs.harvard.e[...]
Adis Data Information BV
[21]
서적
Tibetan Buddh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2]
서적
Zoroastrian Rituals in Context
Brill Publishers
[23]
논문
"Thus Are Our Bodies, Thus Was Our Custom": Mortuary Cannibalism in an Amazonian Society
https://lauer.sdsu.e[...]
Wiley
1995-02
[24]
논문
Relations between Funerary Cannibalism and Warfare Cannibalism: The Question of Predation
Taylor & Francis
2000-01
[25]
논문
Feasting on People: Eating Animals and Humans in Amazoni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7-08
[26]
문서
Carcass size shapes the structure and functioning of an African scavenging assemblage
Marcos Moleón
[27]
논문
Scavenging of dead invertebrates along an urbanisation gradient in Singapore
2011-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