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컨트리 하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컨트리 하우스는 지난 500년 동안 진화해 온 영국의 대저택을 지칭한다. 튜더 시대에 요새화되지 않은 대저택이 처음 건설되었으며, 잉글랜드의 헨리 8세의 수도원 해산 이후 많은 옛 교회 재산이 개인 컨트리 하우스로 전환되었다. 엘리자베스 1세 시대에는 건축가가 설계한 저택이 등장하기 시작했고, 팔라디안 양식과 신고전주의 양식이 주택 건축에 영향을 미쳤다. 컨트리 하우스는 소유주의 권력과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는 수단이자, 지역 사회의 중심, 사교와 문화의 장으로 기능했다. 20세기 이후 세계 대전과 사회경제적 변화로 쇠퇴했지만, 역사적, 문화적 가치에 대한 인식 증가로 보존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컨트리 하우스는 문학 작품의 배경으로도 자주 등장하며, 소설 《오만과 편견》, 《제인 에어》 등이 대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컨트리 하우스 - 샌드링엄 하우스
    샌드링엄 하우스는 잉글랜드 노퍽에 위치한 왕실 저택으로, 1771년 시작되어 1862년 왕세자 에드워드 7세가 매입하여 왕실 별장으로 사용되었으며, 2022년 찰스 3세에게 상속되었고, 1977년부터 대중에게 개방되어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 잉글랜드의 주택 - 홀컴 홀
    홀컴 홀은 토머스 코크가 1734년부터 1764년까지 지은 팔라디오 양식의 저택으로, 그랜드 투어에서 얻은 영감을 바탕으로 이탈리아풍으로 건설되었으며 현재 레스터 백작 가문의 저택이자 문화유산으로 공개되고 있다.
  • 잉글랜드의 주택 - 켄우드 하우스
    켄우드 하우스는 런던에 위치한 저택으로, 17세기에 건축되어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개조되었으며, 미술 컬렉션을 소장하고 1927년 국가에 기증되어 일반에 공개되었다.
컨트리 하우스
개요
스투어헤드 하우스와 정원
스투어헤드 하우스와 정원
유형대형 주택 또는 저택 사유지
위치잉글랜드, 영국
역사적 배경
기원16세기
(귀족과 젠트리 계층의 권력, 위상, 야망의 상징)
목적거주
사교
농촌 지역에서의 권력 과시
건축적 특징
스타일다양한 건축 양식 (튜더, 바로크, 팔라디오 양식 등)
시대에 따라 변화
특징넓은 토지
정원
부속 건물 (마구간, 농장 등)
사회적 의미
계층사회 계층 구조 반영 (상류층의 생활 방식)
경제지역 경제에 영향 (고용, 토지 관리)
문화예술 후원
문화 중심지 역할
현대적 중요성
보존국가 유산으로 보호
국립 신탁 등 기관에서 관리
관광관광 명소
역사, 건축, 정원 감상의 장소
문화영화, 드라마 촬영 장소로 활용

2. 역사적 배경



Exterior of a large English Baroque palace fronted by lawns and gardens
블레넘 궁전


'웅장한 저택'이라는 의미의 "Stately home"이라는 용어는 논쟁의 여지가 있어 역사가나 학자들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이 용어는 펠리시아 히만스(Felicia Hemans)가 1827년 ''블랙우드 매거진(Blackwood's Magazine)''에 발표한 시 "잉글랜드의 집들(The Homes of England)"에서 컨트리 하우스를 묘사하며 처음 사용되었다. 20세기에는 노엘 코워드(Noël Coward)의 노래를 통해 대중화되었으며,[4] 현대에는 종종 일정 기간 동안 방문객에게 개방되는 컨트리 하우스를 의미하기도 한다.

잉글랜드에서 "컨트리 하우스"와 "stately home"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명확한 구분 없이 혼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버킹엄셔의 애스콧 하우스(Ascott House)처럼 주변 풍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의도적으로 설계되어 웅장함과는 거리가 먼 컨트리 하우스도 많다. 반면, 케들스턴 홀(Kedleston Hall)이나 홀컴 홀(Holkham Hall)과 같은 일부 대저택은 주변 경관을 압도하도록 '권력의 집'으로 지어져 명백히 "stately"하고 인상적인 모습을 의도했다.[5] 작가이자 언론인인 로버트 할링(Robert Harling)은 그의 저서 ''역사적인 집들: 웅장한 저택에서의 대화(Historic Houses: Conversations in Stately Homes)''에서 19곳의 "stately home"을 소개했는데, 여기에는 거대한 블레넘 궁전(Blenheim Palace)과 캐슬 하워드(Castle Howard)부터 아담한 에버스턴 홀(Ebberston Hall)까지 다양한 규모의 저택이 포함된다. 건축 양식 또한 해트필드 하우스(Hatfield House)의 자코뱅 르네상스 양식부터 세진코트(Sezincote)의 이국적인 양식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다. 이 책에는 심지어 조지 4세(King George IV of the United Kingdom)가 브라이턴에 지은 도시 궁전인 로열 파빌리온(Royal Pavilion)도 "stately home"으로 포함되어 있다.[6]

2. 1. 컨트리 하우스의 성립 (16세기)

도싯의 포드 수도원. 수도원 해산 이후 개인 저택으로 전환된 대표적인 예이다.


영국의 컨트리 하우스는 지난 500년 동안 점진적으로 발전해 왔다. 튜더 시대에 이르러 국가가 안정되면서, 이전 시대의 요새화된 성과 달리 방어 목적보다는 거주와 과시를 위한 요새화되지 않은 대저택이 처음으로 건설되기 시작했다.

컨트리 하우스 발전의 중요한 전환점은 잉글랜드의 헨리 8세가 단행한 수도원 해산이었다. 헨리 8세는 가톨릭 교회와의 갈등 끝에 1534년 수장법을 공포하여 잉글랜드 국교회를 설립하고 가톨릭으로부터 독립했다. 이후 1536년 소 수도원 해산법과 1539년 대 수도원 해산법을 통해 잉글랜드 내 수백 개 수도원의 막대한 토지와 재산을 몰수했다. 이렇게 몰수된 수도원 부지와 건물들은 국왕의 총애를 받는 귀족이나 신하들에게 하사되었고, 이들은 기존 건물을 허물거나 개조하여 개인적인 컨트리 하우스로 만들었다. 워번 수도원, 포드 수도원처럼 이름에 '수도원(Abbey)'이나 '수도원 부속 건물(Priory)'이 포함된 많은 저택들이 이 시기에 개인 소유의 주택으로 전환되었다.

엘리자베스 1세1558년 왕위에 오르면서 컨트리 하우스 건축은 더욱 활기를 띠었다. 엘리자베스 1세는 윌리엄 세실, 프랜시스 월싱엄과 같은 중산층 출신의 유능한 인재들을 적극적으로 등용하여 국정을 운영했고, 이 시기 잉글랜드는 국력이 신장되고 해외 교류도 활발해졌다. 여왕은 여름철 휴가나 지방 순시 때 신하들의 저택에 머무는 것을 즐겼는데, 이는 신하들 사이에서 여왕의 환심을 사기 위해 경쟁적으로 자신의 저택을 더욱 크고 화려하게 짓거나 장식하는 유행을 불러일으켰다. 이 시기에는 건축가가 전문적으로 설계한, 오늘날 우리가 아는 컨트리 하우스의 초기 형태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특히 버클리 하우스, 롱릿 하우스, 해트필드 하우스와 같이 규모가 크고 화려한 프로디지 하우스들이 이 시대를 대표하는 건축물로 지어졌는데, 이는 종종 여왕의 방문을 유도하고 가문의 위세를 과시할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등장한 새로운 형태의 대저택들은 비록 중세의 매너 하우스처럼 여전히 장원을 중심으로 한 농업 사회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지만, 건축 양식, 내부 장식, 공간 구성 등에서 이전 시대의 건물들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기 때문에 '''컨트리 하우스'''라는 고유한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2. 2. 발전과 변화 (17세기 ~ 19세기)



잉글랜드의 찰스 1세 통치 시대에 이르러서는 이리고 존스와 그의 팔라디안 양식이 영국 주택 건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로 인해 초기 성이나 요새화된 집의 특징이었던 포탑과 타워의 사용은 점차 사라졌다. 팔라디안 양식은 잠시 바로크 양식의 유행으로 중단되기도 했으나, 18세기 후반까지 주된 건축 양식으로 자리를 잡았다. 이후 고대 그리스 양식의 영향을 받아 로버트 아담과 같은 건축가들이 주도한 신고전주의로 점차 발전하였다.

더비셔의 케들스턴 홀. 매튜 브레팅엄과 로버트 애덤이 설계한 18세기 대저택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영국에서 잘 알려진 컨트리 하우스 중 일부는 특정 시기에 한 명의 건축가나 디자이너에 의해 설계되었다. 몬태큐 하우스, 채스워스 하우스, 블레넘 궁전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특히 캐슬 하워드, 케들스턴 홀, 홀컴 홀과 같이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중반에 걸쳐 지어진 대저택(stately home)들은 국가 권력자들이 자신의 힘을 과시하기 위해 당대 유행하는 건축 양식에 따라 웅장하게 건설되었다. 이러한 대저택들은 손님 접대를 중요하게 여겨, 앙필라드 구조로 이루어진 일련의 공식적인 응접실을 갖추는 경우가 많았다. 동시에 가족들이 사적인 생활을 누릴 수 있는 작은 방들도 마련되어 있었다. 이 시기 컨트리 하우스는 종종 런던의 타운하우스와 함께 소유주의 주요 거주지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컨트리 하우스는 한 가지 양식으로 통일되기보다는 여러 시대에 걸쳐 다양한 건축 양식이 혼합되어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지역 건축가나 측량사가 당대의 고급 건축 양식을 해석하여 적용하거나, 실용적인 필요에 따라 증축 및 개축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서머싯의 브림프턴 데버시는 여러 시대의 건축 양식이 혼재하지만, 지역 햄스톤을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건축적 통일성을 유지하고 있다. 캐넌스 애시비 하우스 역시 중세 농가에서 시작하여 튜더 시대, 스튜어트 시대, 조지아 시대를 거치며 확장되고 개조되어 다양한 스타일이 조화를 이루는 모습을 보여준다. 심지어 윌턴 하우스처럼 당대 최고의 건축가들(한스 홀바인 더 영거, 이리고 존스, 와이어트, 챔버스 등)이 참여했음에도 불구하고 각기 다른 양식으로 증축되어 다양한 건축적 특징을 동시에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양식의 혼합은 오늘날 영국 컨트리 하우스를 특징짓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18세기와 19세기 동안 컨트리 하우스는 영국 사회 최상류층에게 중요한 사교 및 여가의 장소였다. 주말 휴식, 사냥, 동료들과의 교류 및 국가 운영 논의 등이 이루어졌으며, 일부 저택에는 자체 극장이 마련되어 공연이 열리기도 했다. 또한 컨트리 하우스는 단순히 소유주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주변 영지에 거주하는 수백 명의 사람들에게 고용을 제공하는 지역 사회의 중심지 역할도 수행했다. 당시 사회 복지 개념이 미비했던 상황에서 영지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비교적 안정적인 고용과 주거를 보장받았다. 특히 저택 내부에서 일하는 직원들은 당시 기준으로 좋은 환경에서 생활하며 임금을 받았다. 귀족들은 상속 등을 통해 여러 채의 컨트리 하우스를 소유하고 계절에 따라 옮겨 다니며 생활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생활 방식은 20세기 초까지 이어졌으나 점차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2. 3. 쇠퇴와 보존 (20세기 이후)

트렌섬, 스터퍼드셔. 20세기 동안 수백 채의 컨트리 하우스가 철거되었고, 그들의 석재와 비품이 팔려나갔다. 이 시대에 많은 훌륭한 건축적 특징들이 미국으로 옮겨졌다.


잉글랜드 컨트리 하우스의 쇠퇴는 1870년대 농업 불황과 현대 산업의 부상이 맞물리면서 시작되었다. 1880년대에 이르러 일부 소유주들은 영지 수입만으로는 막대한 유지비를 감당하기 어려워 재정적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이들은 은행업이나 무역 같은 부수입에 의존하거나, 심각한 재정난에 처한 말버러 공작처럼 미국의 부유한 상속녀와 결혼하여 컨트리 하우스와 생활 방식을 유지하려 하기도 했다.[17]

제1차 세계 대전은 컨트리 하우스의 쇠퇴를 더욱 가속화했다. 대저택 운영에 필수적이던 수많은 사용인들이 전쟁에 참전하여 돌아오지 않거나, 군수 공장 등 다른 일자리를 찾아 떠났다. 전쟁 후 돌아온 이들 중 다수도 더 나은 임금을 찾아 도시로 이주했다. 설상가상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많은 컨트리 하우스가 정부에 징발되었다가 전쟁 후 매우 열악한 상태로 소유주에게 반환되었다. 두 차례의 세계 대전으로 상속자를 잃은 가문이 많았고, 전후 급증한 세율과 농업 소득 감소는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결국 많은 소유주들은 내용물 경매를 열어 가구와 미술품 등을 처분하고, 집을 철거하여 석재, 벽난로, 패널 등을 판매하는 길을 선택했다. 이로 인해 영국 최고의 저택 중 상당수가 철거되었다.

이러한 점진적인 쇠퇴에도 불구하고, 컨트리 하우스는 여전히 접대와 위신의 상징으로 중요하게 여겨졌다. 1917년 페럼의 리 자작은 자신의 컨트리 하우스인 체커스를 개인 저택이 없는 총리를 위해 국가에 기증했다. 체커스는 오늘날에도 총리 관저로 사용되고 있으며, 체브닝 하우스와 도르니우드 역시 고위 장관들을 위해 기증되었다.

20세기 초부터 1970년대 초까지 수백 채의 컨트리 하우스가 철거되었지만, 1974년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박물관에서 열린 '컨트리 하우스의 붕괴'(''The Destruction of the Country House'') 전시는 큰 사회적 반향을 일으키며 보존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마거릿 대처 정부의 부유층 감세 정책 등에 힘입어 컨트리 하우스의 감소세는 안정을 찾았고, 심지어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기도 했다.

  • -영화 《해리 포터》 시리즈의 호그와트 마법학교 촬영지로 사용되는 등 현대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오늘날 파괴를 면한 많은 컨트리 하우스는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1등급 또는 2등급 지정 건물로 보호받고 있다. 이들 중 상당수는 호텔[18](클리브든, 하트웰 하우스 등), 학교, 병원, 박물관 등으로 용도가 변경되었으며, 일부는 보존된 폐허 상태로 남아있다. 소유권이나 관리가 내셔널 트러스트잉글리시 헤리티지와 같은 공공 기관으로 넘어가 박물관으로 일반에 공개되는 경우(몽테규트 하우스, 웨스트 와이콤 파크, 라임 파크 등)가 많다. 채츠워스 하우스처럼 사적 신탁에 의해 관리되거나, 호튼 홀의 태피스트리와 가구처럼 '대체 수용' 제도를 통해 세금을 대신하여 미술품과 가구를 국립 박물관(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박물관 등) 소유로 넘기되 원래 자리에 계속 전시하는 사례도 있다.

여전히 귀족이나 젠트리의 후손이 소유하고 있는 경우도 많으며(윌튼 하우스, 채츠워스 하우스, 펜카로, 로우셤 하우스, 컴프턴 위니에츠, 배드민턴 하우스 등), 이들은 유지비 마련을 위해 여름 등 특정 기간에만 일반에 공개하기도 한다. 결혼식이나 기업 행사 장소[19], 영화 촬영지 등으로 활용하여 수입을 얻는 경우도 늘고 있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이스트 네스톤은 오랫동안 비공개 상태를 유지하다 2005년 제3대 헤스케스 남작이 러시아 출신 사업가 레온 막스에게 매각하기도 했다.

지정 건물로 등재된 컨트리 하우스는 수리 및 개조 시 정부 기관의 엄격한 감독을 받아야 하며, 요구되는 공사 방식이 매우 비싸 경제적 부담이 크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 덕분에 건물의 미적, 역사적 가치가 잘 보존되고 있다는 평가도 받는다. 복원 작업은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코프드 홀의 복원은 1995년에 시작되어 현재까지 진행 중이다.

한편, 1945년 이후에도 약 200채 이상의 컨트리 하우스가 새로 지어졌다. 이 중에는 체셔의 이튼 홀(1971-1973, 웨스트민스터 공작 저택), 요크셔의 갈로비 홀(1982, 핼리팩스 백작 저택), 애스콧의 서닝데일 파크(1988-1990, 요크 공작 저택) 등 주목할 만한 사례도 있다.

20세기 초 컨트리 하우스에서의 생활 방식은 스코틀랜드의 만더스턴 하우스에서 촬영된 BBC 텔레비전 프로그램 ''에드워드 시대의 컨트리 하우스''나 ITV의 인기 시리즈 ''다운튼 애비''[20] 등을 통해 재현되기도 했다. 과거와 같은 대규모 사용인을 고용하는 것은 불가능해졌지만(예를 들어 과거 20명 이상의 실내 사용인이 있던 저택에 현재는 소수의 정원사와 가사 노동자만 있는 경우도 있다), 컨트리 하우스를 소유하는 것은 여전히 높은 사회적 지위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3. 사회적 역할

>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사람들은 종종 형식적인 의무에 지루함을 느껴 런던, 세계에서 가장 추하고 불편한 도시를 벗어나기 위해 시골로 간다. 그들은 가능한 한 오래 머물기 위해 긴 주말을 발명했다. 그들의 métier|메티에프랑스어는 정치이며, 그들은 정치를 이야기하고, 아주 자발적으로 정치를 한다.

> -- 존 건터, 1940[8]

컨트리 하우스는 단순히 부유한 지주 계급의 거주지를 넘어, 영국 사회에서 다층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공간이었다. 이곳은 소유주의 권력과 부를 과시하는 상징이자, 상류 사회의 정치적, 사교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중심 무대였다. 많은 컨트리 하우스 소유주들은 총독이나 치안 판사와 같은 공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때로는 컨트리 하우스 자체가 지방 재판 장소로 활용되기도 했다.

또한 컨트리 하우스는 귀족젠트리의 사교 생활과 여가 활동의 중심지였다. 계절에 따라 스코틀랜드에서 뇌조 사냥을 하거나 잉글랜드에서 사냥 및 여우 사냥을 즐기는 등, 사교와 여가를 위해 여러 지역에 컨트리 하우스를 소유하고 이동하는 경우도 흔했다. 예를 들어, 로즈베리 백작은 스코틀랜드의 달메니와 버킹엄셔의 멘트모어 타워에 컨트리 하우스를 두었으며, 경마 시즌에는 엡섬 경마장 근처에도 별장을 이용했다.

경제적으로 컨트리 하우스는 주변 지역 사회에 상당한 고용을 창출하는 역할을 했다. 영지 내 농업 노동자뿐만 아니라, 집안일을 돌보는 수많은 가사 사용인들에게 안정적인 일자리와 생활 기반을 제공하며 지역 경제의 한 축을 담당했다.

그러나 19세기 산업 혁명과 1832년의 선거법 개정 이후 사회 구조가 변화하면서 컨트리 하우스의 역할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새롭게 부상한 산업 자본가와 은행가들이 사회적 지위를 얻기 위해 컨트리 하우스를 매입하거나 새로 지으면서, 전통적으로 컨트리 하우스를 소유했던 귀족젠트리 계층의 영향력은 점차 약화되었고, 컨트리 하우스와 대규모 토지 소유 사이의 필연적인 관계도 희미해졌다.[16]

3. 1. 권력과 위신의 상징



건축 역사가 마크 질리아드는 컨트리 하우스를 "권력의 집"(power house)으로 규정하고, 소유주의 권력과 영향력을 지역 사회는 물론 다른 귀족이나 젠트리에게 과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존재했다고 설명했다.[5][9] 케들스턴 홀(Kedleston Hall)이나 홀컴 홀(Holkham Hall)과 같은 대저택들은 방문객에게 강한 인상을 주고 소유주의 지위를 드러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웅장하게 설계된 대표적인 "파워 하우스"이다.[5][10] 이러한 저택들은 주변 풍경을 압도하도록 지어져 그 자체로 권위와 위엄을 상징했다.[5]

모든 지주가 정치에 직접적으로 깊이 관여했던 것은 아니지만, 컨트리 하우스는 종종 상류 계급의 정치적, 사교적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의회 의원 선거와 관련된 논의나 중요한 회담이 이곳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컨트리 하우스 소유주 중 다수는 총독이나 치안 판사와 같은 지역 사회의 중요한 직책을 맡았으며, 19세기까지는 컨트리 하우스 내부에서 지방 재판이 열리기도 했다. 이는 컨트리 하우스가 단순한 주거 공간을 넘어 지역 사회의 행정 및 사법 기능 일부를 수행하는 권력의 중심지였음을 보여준다.

컨트리 하우스는 소유주의 사회적 위신을 유지하고 과시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에, 그 기능과 상징성은 시대가 변한 뒤에도 일정 부분 유지되었다. 예를 들어, 20세기 초 아서 리, 페럼 자작 1세는 자신의 컨트리 하우스인 체커스를 개인 저택이 없을 수도 있는 총리를 위한 공간으로 국가에 기증했다. 체커스는 오늘날까지도 총리의 공식 별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체브닝 하우스나 도르니우드 같은 저택들이 국가의 고위 관료들을 위해 기증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컨트리 하우스가 지닌 권력과 위신의 상징성이 현대까지도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3. 2. 지역 사회의 중심

컨트리 하우스는 단순히 부유한 지주들의 거주지를 넘어, 주변 시골 사회의 중심축 역할을 담당했다. 영지 내에서는 수백 명의 사람들이 농업이나 관련 업무에 종사하며 생활을 유지했다. 이들 영지 노동자들은 일반 농민과 비교하여 무료 숙소와 함께 안정적인 고용을 보장받는 경우가 많았다.

컨트리 하우스 내부에서 일하는 가사 사용인들은 더욱 안정된 환경에서 생활했다. 비록 임금은 적었지만, 당시 하층민들에게는 보장되기 어려웠던 규칙적인 식사와 잠자리, 의복 등을 제공받았다. 이는 영양실조가 흔했던 시대에 상당한 이점이었으나, 장시간 노동은 불가피했다. 2001년 영화 《고스포드 파크》는 이러한 엄격한 계급 사회 속에서도 안정적이었던 컨트리 하우스의 생활상을 보여준다. 사용인 사회는 하우스 스튜어드(가사 책임자), 집사, 발렛(시중인) 등 상층부와 가사 관리인(여성 총괄), 레이디스 메이드(안주인 시녀), 쿡(요리사), 풋맨, 하우스메이드, 기타 메이드 등 다양한 직책으로 나뉜 엄격한 신분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집 밖에서는 마부, 정원사, 사냥터 관리인 등이 일했다. 특히 나니(유모)는 주인의 자녀 양육을 책임지며 가족과 같은 특별한 대우를 받기도 했다. 많은 마을 주민들이 여러 세대에 걸쳐 한 가문의 컨트리 하우스에서 일했으며, 오랫동안 충실히 봉사한 사용인에게는 은퇴 후 연금이나 거주할 집이 제공되기도 했다.[21]

컨트리 하우스의 소유주들은 지역 사회의 '지배 계급'으로 간주되었다. 이들은 단순히 부를 소유한 것을 넘어, 중앙 정부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지역 사회의 운영에 직접 관여했다. 부지사나 치안 판사, 때로는 성직자와 같은 공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의 행정과 사법에 관여했다.[15] 19세기까지는 컨트리 하우스 내에서 지방 재판이 열리기도 했다. 건축 역사가 마크 질리아드는 컨트리 하우스를 소유주의 권력을 과시하는 "권력의 집"(power house)으로 묘사하기도 했다. 이러한 영향력은 20세기까지 이어져, 보수당 정치인으로 외무 장관과 NATO 사무총장을 지낸 캐링턴 경과 같은 인물들이 그 마지막 세대로 평가받는다.

3. 3. 사교와 문화의 장

컨트리 하우스는 단순히 귀족이나 젠트리 계층의 거주지를 넘어, 그들의 사회적 지위와 권력을 과시하고 유지하는 중요한 장소였다. 이곳은 상류 사회의 사교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정치적인 논의나 의원 선거와 관련된 상담 등 중요한 회담이 컨트리 하우스에서 빈번하게 열렸으며,[21] 이는 당시 상류층의 네트워크 형성과 유지에 기여했다.

또한, 컨트리 하우스는 다양한 여가 활동의 장이기도 했다. 스코틀랜드에서는 뇌조 사냥을, 잉글랜드에서는 사냥이나 여우 사냥 등을 즐겼다. 일부 부유한 귀족들은 여러 지역에 컨트리 하우스를 소유하고 계절이나 목적에 따라 옮겨 다니며 생활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로즈베리 백작은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에 각각 컨트리 하우스를 두었으며, 경마 시즌에는 엡섬 경마장 근처에 별장을 마련하여 머물렀다.

컨트리 하우스는 소유주의 부와 취향, 그리고 세력을 드러내는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의미도 가졌다. 건축 역사가 마크 질리아드가 지적했듯이, 컨트리 하우스는 본질적으로 '권력의 집'(power house)이었으며,[21] 케들스턴 홀이나 호컴 홀과 같은 저택들은 방문객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주어 소유주의 위상을 높이려는 의도로 설계되었다. 컨트리 하우스 내부에 귀중한 미술품이나 가구를 소장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호튼 홀의 태피스트리와 가구가 현재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를 통해 컨트리 하우스는 예술과 문화를 후원하고 향유하는 장소로서의 역할도 수행했음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컨트리 하우스는 지역 사회에서 공적인 기능을 담당하기도 했다. 소유주 중 상당수가 총독이나 치안 판사와 같은 직책을 맡았으며, 19세기까지는 지방 재판이 컨트리 하우스 내에서 열리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컨트리 하우스가 단순한 사적 공간을 넘어 지역 사회의 행정 및 사법 기능의 일부를 담당했음을 보여준다.

19세기 산업 혁명 이후에는 새로운 사회 계층이 부상하면서 컨트리 하우스의 성격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산업 자본가나 은행가 등 신흥 부유층이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기존의 컨트리 하우스를 매입하거나 새롭게 건설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전통적으로 컨트리 하우스와 대규모 토지 소유 사이에 존재했던 밀접한 관계는 점차 약화되었다.

오늘날 많은 컨트리 하우스는 결혼식, 영화 촬영지, 기업 행사 등의 장소로 활용되면서 과거의 사교 및 문화적 기능이 현대적인 형태로 변모하여 이어지고 있다.[19]

4. 건축 양식

잉글랜드귀족젠트리 계층이 소유했던 컨트리 하우스는 단순한 거주 공간 이상의 의미를 지녔다. 19세기 이전 기준으로 최소 4km2 (1,000 에이커) 이상의 토지를 소유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일부 귀족은 이보다 훨씬 넓은 영지를 소유했기에 컨트리 하우스의 규모는 매우 다양했다.

컨트리 하우스의 건축은 대부분 건설 또는 개축 당시 유행했던 건축 양식을 따랐으나, 지역적 특색을 반영한 예외적인 경우도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컨트리 하우스는 25개 이상의 방과 740m2 (8,000 sq ft) 이상의 바닥 면적을 갖추었다. 건물 명칭으로는 하우스(house), (hall), 캐슬(castle), 파크(park), 팰리스(palace), 코트(court), 애비(abbey), Priory|프라이어리eng, 그레인지(grange) 등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각 건물의 역사적 배경이나 유래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1800년 이후에 지어진 컨트리 하우스 중에는 주인의 취향에 따라 명명된 경우도 있으며, 예를 들어 이 시기에 '캐슬'이라는 이름이 붙었더라도 실제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된 사례는 없다.

대부분의 컨트리 하우스는 주 건물에 인접한 정원(garden)과 그 바깥쪽의 넓은 공원(park)을 포함했다. 이 공원은 가축 방목과 아름다운 경관 조성을 목적으로 관리되었으며, 오늘날 '영국식 정원'으로 알려진 조경 양식의 상당수가 이러한 컨트리 하우스의 정원에서 유래했다.

컨트리 하우스는 보통 마을이나 다른 건물로부터 수백 미터 이상 떨어진 한적한 언덕 위에 세워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애닉 성처럼 마을 중심부 가까이에 위치한 예외도 존재한다. 근대 이후 인구가 증가하고 도시가 확장되면서, 일부 컨트리 하우스는 주변 지역이 도시 교외로 편입되기도 했다. 런던 외곽의 Syon House|사이언 하우스eng가 대표적인 예이다.

컨트리 하우스보다 규모가 작은 시골 주택은 팜하우스(farmhouse), 코티지(cottage), 렉터리(rectory), 오스트 하우스(oast house) 등으로 불렸다. 이러한 작은 주택을 컨트리 하우스라고 부르는 것은 일반적으로 과시적인 표현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스테이틀리 홈(stately home)'이라는 용어는 컨트리 하우스와 유사한 건물을 지칭하지만, 사용 맥락에 차이가 있다. '컨트리 하우스'가 주로 시골이나 교외에 위치하며 건축사학자나 소유주들이 사용하는 용어인 반면, '스테이틀리 홈'은 런던의 하이드 파크 코너에 있는 앱슬리 하우스처럼 도시 중심부에 위치한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주로 언론 매체나 관광업계에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대중에게 공개된 컨트리 하우스를 스테이틀리 홈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4. 1. 초기 양식 (16세기)



영국의 컨트리 하우스는 지난 500년 동안 진화해 왔다. 이 시기 이전에는 더 큰 집들이 일반적으로 요새화되었는데, 이는 소유주들이 봉건주의의 봉건 영주로서, 즉 장원제의 사실상의 지배자임을 반영했다. 국가의 안정기를 맞이한 튜더 시대에는 요새화되지 않은 대저택이 처음으로 건설되었다. 잉글랜드의 헨리 8세의 수도원 해산으로 인해 많은 옛 교회 재산이 국왕의 총애를 받는 사람들에게 양도되었고, 그들은 이를 개인 컨트리 하우스로 전환했다. 워번 수도원, 포드 수도원과 이름을 ''수도원'' 또는 ''수도원 부속 건물''로 시작하는 많은 저택들은 이 시대에 개인 주택이 되었다.

유럽 대륙에서 본격적인 건축 양식이 도래하기 이전의 컨트리 하우스의 예로는, Compton Wynyates|컴프턴 위니에츠영어, 서튼 플레이스, Hengrave Hall|헨그레이브 홀영어 등이 있다. 체셔의 리틀 모턴 홀은 흑백의 판벽이 인상적인 하프 팀버의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건축을 통칭하여 튜더 양식이라고 부르지만, 후대의 건축 양식에서 보이는 통일성이나 신규성은 그다지 관찰되지 않는다.

튜더 왕조 시대에 이탈리아에서 꽃피운 르네상스는 건축에도 도입되었다. 건축 서적의 번역을 통해 이러한 르네상스 양식이 브리튼 섬으로 전해져 많은 건축물에 영향을 미쳤다. 르네상스 건축이 중시한 것은 건물의 외관에서의 대칭성과 고전 양식에 기초한 장식이다. Barrington Court|바링턴 코트영어나 몬태큐트 하우스는 엘리자베스 여왕의 이니셜인 E자 모양의 대칭성이 채용되었다. 내부 구조에 대해서도 홀의 중요성이 낮아지고, 기존의 저택은 2층 건물로 개축되었다. 유리를 이용한 창문이 늘어나 돌출 창에서 볼 수 있듯이 장식성도 향상되었다. 벽은 판재가 사용되었고, 그 위나 가구태피스트리로 덮이는 등 거주성 향상이 꾀해졌다.

오늘날 영국 컨트리 하우스를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건축가가 설계한 최초의 저택이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세 통치 후반부와 그녀의 후계자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 시대였다. 버클리 하우스, 롱릿, 해트필드 하우스는 화려한 프로디지 하우스의 가장 잘 알려진 예로, 종종 군주가 방문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지어졌다.

'''로버트 스미스슨이 설계한 주요 프로디지 하우스'''
건축물완공 연도
롱릿1572년
Wollaton Hall|월라턴 홀영어1588년
Hardwick Hall|하드위크 홀영어1597년



이러한 저택에 인접하여 설치된 정원은 기하학적 구조, 토피어리 (동물 등의 형상을 한 나무 깎기)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대부분은 후대에 풍경식 정원으로 개수되어 현존하지 않는다.

4. 2. 고전 양식 (17세기 ~ 18세기)

17세기 초, 스튜어트 왕조 시대에 이니고 존스는 이탈리아 건축가 안드레아 팔라디오의 영향을 받은 팔라디오 양식을 영국에 본격적으로 도입했다. 이는 이전 시대의 요새화된 모습이나 튜더 양식의 복잡함에서 벗어나, 대칭고전주의적 비례를 강조하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이로 인해 중세적인 포탑이나 타워 대신 고전적 요소들이 주택 외관을 장식하게 되었다.

왕정복고 이후에는 잠시 바로크 건축이 유행했는데, 크리스토퍼 렌은 유럽 대륙의 영향을 받아 '영국 바로크' 양식을 보급했다. 렌의 제자인 William Talman|윌리엄 톨먼eng은 챗츠워스 하우스 개축과 Drayton House|드레이턴 하우스eng 설계 등에 참여했으며, 이후 세대인 존 밴브루는 니콜라스 호크스무어와 협력하여 캐슬 하워드, Easton Neston House|이스턴 네스턴 하우스eng, 블레넘 궁전, 시턴 델러벌 홀과 같은 웅장한 바로크 양식의 컨트리 하우스를 설계했다. 이러한 대저택들은 종종 앙필라드 구조의 화려한 공식 응접실을 갖추어 주인의 권력을 과시하는 공간으로 사용되었다.[9]

18세기 초 조지 왕조 시대에 들어서면서 팔라디오 양식이 다시 부활했다(팔라디오 양식 부활). 제3대 벌링턴 백작 리처드 보일과 그가 후원한 건축가들은 포르티코 등을 특징으로 하는 팔라디오 양식 건축물을 설계했다. 벌링턴 백작과 함께 활동한 윌리엄 켄트는 건축뿐 아니라 정원 설계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18세기 후반에는 팔라디오주의가 발전하여 고대 그리스로마 양식에 더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신고전주의 양식이 등장했다. 대표적인 건축가인 로버트 애덤은 케들스턴 홀, Luton Hoo|루턴 후eng, 켄우드 하우스 등을 설계했으며, 건축물 외관뿐 아니라 내부 장식과 가구 디자인까지 총괄하여 통일된 양식을 추구했다. 케들스턴 홀은 매튜 브레팅엄과 로버트 애덤이 함께 설계한 대표적인 신고전주의 저택이다. 또한 홀컴 홀 역시 이 시기에 지어진 중요한 컨트리 하우스이다.[10] 헨리 홀랜드는 Berrington Hall|베링턴 홀eng, Claremont House|클레어몬트 하우스eng 등을 설계하며 신고전주의 양식 발전에 기여했다. 이 시기 저택들은 내부에 복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응접실, 식당, 서재 등 기능적인 공간 분화가 이루어졌다.

4. 3. 다양한 양식의 혼재 (19세기)

18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산업 혁명농업 혁명으로 번영한 영국은 1837년 즉위한 빅토리아 여왕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했다. 이 시기 산업 혁명으로 부를 축적한 새로운 산업가와 은행가 계층이 등장했으며, 이들은 자신들의 부와 취향을 과시하기 위해 컨트리 하우스를 건설했다.[16] 특히 1850년대 영국 경제가 호황을 누리면서 새로운 저택 건설이 활발해졌다. 유럽 대륙의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오래된 건축 자재를 재활용하기 쉬워진 점도 이러한 경향을 촉진했다.[16]

워번스던 매너, 버킹엄셔. 빅토리아 시대에는 부유한 산업가와 은행가들이 다양한 스타일의 대저택을 지었다.


이 시대 유럽 건축계 전반에는 과거 양식을 재평가하는 부흥주의(Revivalism)와 여러 양식을 혼합하는 절충주의(Eclecticism)가 유행했다. 영국에서는 특히 중세 고딕 양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는데, 이는 고딕 양식이 영국 고유의 것이며 영국 국교회에도 적합하다는 민족주의적 인식과 맞물려 고딕 리바이벌 양식의 유행으로 이어졌다. 고딕 리바이벌은 찰스 배리 경과 오거스터스 퓨진이 설계한 웨스트민스터 궁전을 비롯한 국가 건축물에도 적극적으로 채택되었다. 18세기 후반 제임스 와이어트가 설계에 참여한 스트로베리 힐이나 Fonthill Abbey|폰트힐 애비영어 등은 이러한 고딕 리바이벌 양식에 기반한 초기 컨트리 하우스의 예이다.

고딕 리바이벌 외에도 다양한 부흥주의 양식이 컨트리 하우스 건축에 적용되었다. 대표적인 양식과 건축물은 다음과 같다.

양식대표 건축물 (완공 연도)
버내큘러 리바이벌할랙스턴 홀 (1834년-1855년)
Scotney Castle|스코트니 캐슬영어 (1835년-1843년)
베테스행어 하우스 (1861년)
올드 잉글리시 스타일Leyswood|리즈우드영어 (1866년-1869년)
크래그사이드 (1869년-1885년)
애드코트 (1876년-1881년)



이 시기에 새로 지어진 컨트리 하우스의 대표적인 예로는 홈 카운티의 로스차일드 가문 저택이나 블레츨리 파크 (여러 양식으로 재건축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암호 해독 기지로 유명) 등이 있다.

19세기 컨트리 하우스는 내부 구조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공간이 더욱 세분화되어 사용인들이 사용하는 공간에는 식기실, 와인 저장실, 칼 보관실, 린넨실, 식료품 보관실, 스틸 룸(증류주나 약초 음료를 만들던 방), 세탁실, 건조실 등 다양한 목적의 방들이 마련되었다. 또한, 1885년에 완공된 크래그사이드에서는 전기 조명이 처음으로 도입되기도 했다.

정원에도 변화가 있었는데, 조경가 험프리 렙톤 등에 의해 온실이 도입되어 열대 지방의 희귀한 식물을 재배하는 것이 유행했다. 채스워스 하우스나 수정궁의 온실이 대표적인 예이다.

5. 내부 구조

컨트리 하우스의 내부는 시대와 건축 양식의 유행에 따라 변화해왔다. 초기 매너 하우스나 컨트리 하우스에서는 Great chambereng라 불리는 큰 방이 생활의 중심이었으나, 점차 기능에 따라 공간이 분화되었다. 석공 기술의 발달과 난로의 보급으로 건축 구조가 변화하면서 16세기 후반부터는 여러 개의 방을 가진 형태로 발전했다.

일반적으로 컨트리 하우스는 다음과 같은 주요 공간들을 포함했다.


  • 대연회장(Great Hall): 초기 생활의 중심 공간에서 점차 의례적인 행사장이나 현관 홀로 변화했다.
  • 응접실(Drawing Room): 식사 후 담소를 나누거나 가족들이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었다.
  • 살롱(Salon): 손님 접대, 정찬, 무도회 등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 화랑(Gallery): 방들을 연결하는 복도에서 발전하여 예술품 전시, 사교, 휴식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 서재(Library): 18세기 이후 유행한 공간으로, 독서, 집무, 사교의 장소였다.
  • 식당(Dining Room): 가족들의 일상적인 식사를 위한 공간이었다.
  • 침실(Bedroom): 17세기 이후 개인적인 취침 공간으로 분리되었다.


이 외에도 욕실, 주방, 세탁실 등 생활에 필요한 공간과 당구실, 흡연실과 같이 특정 목적을 위한 방들이 있었다. 주방, 세탁실, 하인들의 거주 공간 등은 본채와 떨어진 별채나 반지하에 두는 경우가 많았다.

5. 1. 주요 공간

'''대연회장''' (Great Hall)

초기 매너 하우스와 컨트리 하우스에서 생활의 중심은 Great chamber영어였다. 이곳에서 가족과 하인들이 함께 식사하고, 이야기를 나누며 잠을 잤다. 방 중앙에는 벽난로가 있었고, 연기는 천장의 격자문을 통해 배출되었다. 석공 기술이 발달하고 난로가 널리 사용되면서 천장을 높게 만들 필요가 없어졌고, 16세기 후반부터는 2층 구조가 일반화되었다. 이로 인해 그레이트 챔버는 홀로 바뀌어 주로 만찬회 같은 행사에 사용되었으며, 18세기 이후에는 현관 홀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응접실''' (Drawing Room)

식사를 마친 후 담소를 나누기 위해 사용된 Withdrawing chamber영어(홀에서 "물러나다"는 의미의 'withdraw'에서 유래)가 발전한 공간이다. 가족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며 휴식을 취하고 손님을 맞이하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살롱''' (Salon)

살롱은 홀로부터 정찬 기능을 이어받은 방이다. 손님을 초대하여 공식적인 식사를 하거나 무도회장 등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18세기 이후에는 그 중요성이 다소 줄어들었다.

'''화랑''' (Gallery)

16세기 초, 여러 개의 방이 생겨나면서 이들을 기능적으로 연결하는 복도가 설치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 복도에 그림이나 조각품을 전시하게 되었고, 점차 통로로서의 기능보다는 자유롭게 거닐며 운동을 하거나 거실 및 응접실의 기능을 겸하는 공간으로 발전했다.

'''서재''' (Library)

18세기 플라톤주의의 유행으로 서적 수집이 활발해지면서 서재가 유행처럼 설치되었다. 벽면을 서가로 둘러싸 책을 보관하고 독서나 집무를 위한 공간이었으며, 동시에 소파 등을 놓고 담소를 나누는 사교의 장으로도 활용되었다.

'''식당''' (Dining Room)

그레이트 챔버의 기능이 분화되면서 생긴 공간이다. 주로 가족끼리 평소 식사를 하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침실''' (Bedroom)

17세기 이후 개인적인 공간으로서 잠을 자기 위한 침실이 마련되기 시작했다.

'''기타 공간'''

이 외에도 욕실, 주방, 세탁실, 당구실, 흡연실 등이 있었다. 주방, 세탁실 및 하인들의 거주 공간 등은 본채와 떨어진 별채나 반지하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았다. 당구실이나 흡연실처럼 남성 전용 공간으로 여겨지는 방들도 있었다.

5. 2. 기타 공간

주요 공간 외에도 다양한 목적의 방들이 있었다. 욕실, 주방, 세탁실 등이 대표적이며, 남성들만을 위한 공간으로 당구실, 흡연실, 서재 등이 마련되기도 했다. 주방이나 세탁실, 그리고 하인들의 생활 공간은 주 건물과는 분리된 별도의 건물이나 반지하 공간에 두는 경우가 흔했다.

6. 정원

일반적으로 컨트리 하우스에는 주 건물에 인접하여 정원(garden)이 있으며, 그 바깥쪽으로는 공원(park)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공원은 가축의 사료를 공급하고 아름다운 경관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오늘날 우리가 영국 정원이라고 부르는 것의 대부분은 바로 이 컨트리 하우스에 속한 정원에서 유래한 것이다.

초기 컨트리 하우스의 정원은 기하학적인 형태를 강조하는 바로크 양식이 주를 이루었다고 알려져 있다. 18세기 후반에는 케이퍼빌리티 브라운과 같은 조경가들이 주도하여 자연스러운 경관을 중시하는 풍경식 정원이 등장했다. 이는 영국 특유의 정원 문화를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런던 교외의 사이언 하우스는 18세기에 로버트 아담과 케이퍼빌리티 브라운에 의해 개수되기도 했다.

7. 컨트리 하우스와 문학

컨트리 하우스는 16세기부터 20세기까지 영국 문화의 중요한 일부였으며, 많은 소설과 영화의 배경으로 등장한다. 이를 통해 당시 영국의 사회와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으며, 영국 문학의 고전으로 꼽히는 제인 오스틴이나 브론테 자매의 작품에서도 중요한 무대로 그려진다.


  •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 (1813년)'''은 컨트리 하우스를 그린 가장 유명한 소설 작품 중 하나이다. 소설 속에는 여러 컨트리 하우스가 등장하는데, 주인공 엘리자베스 베넷 가족이 사는 소규모 저택(팜하우스 수준)부터, 새로 이사 온 부유한 상인의 아들 빙리가 빌린 네더필드 저택, 그리고 더 높은 지위와 막대한 재산을 가진 다아시의 펨벌리 저택까지 다양하다. 네더필드에서는 지역 주민들을 초대하는 무도회가 열리는 등 사교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펨벌리는 광대한 풍경식 정원과 함께 묘사된다. 특히 주인공 일행이 펨벌리를 관광 목적으로 방문하여 하우스키퍼의 안내를 받는 장면은 당시 일부 컨트리 하우스가 제한적으로나마 대중에게 개방되었음을 보여준다. 작품 속에서 베넷, 빙리, 다아시의 연 수입은 각각 2000GBP, 5000GBP, 1만파운드로 묘사되어 컨트리 하우스 소유주들의 경제적 규모를 짐작하게 한다. 이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실제 컨트리 하우스가 촬영 장소로 사용되곤 했는데, 예를 들어 콜린 퍼스 주연의 1995년 BBC 드라마에서는 펨벌리 외관으로 라임 파크를, 내부 촬영에는 서드버리 홀을 활용했다.

  • '''샬롯 브론테의 『제인 에어』 (1847년)''' 역시 컨트리 하우스를 주요 배경으로 한다. 고아인 주인공 제인 에어는 손필드 홀이라는 컨트리 하우스에서 가정교사로 일하게 된다. 당시 가정교사는 양갓집 자녀가 맡는 경우가 많았지만, 저택 내에서는 사용인도 아니고 손님도 아닌 어중간한 위치에 놓이는 경우가 많았다. 제인은 저택 주인인 로체스터와 신분을 뛰어넘는 사랑에 빠지지만, 여러 역경을 겪는다. 이 소설은 출간 당시 신분 차이를 극복하는 연애뿐만 아니라, 어려움 속에서도 자신의 삶을 개척하려는 제인의 주체적인 모습 때문에 일부 보수적인 독자들로부터 비판받기도 했다.

  • '''아서 코난 도일의 '셜록 홈즈 시리즈' 중 『수도원 저택』 (1904년)'''에서는 애비 그레인지(Abbey Grange)라는 이름의 컨트리 하우스가 사건의 중심 무대로 등장한다.

  • '''가즈오 이시구로의 『남아있는 나날』 (1989년)'''은 달링턴 홀이라는 컨트리 하우스에서 오랫동안 집사로 일했던 주인공 스티븐스의 회상을 통해 이야기를 전개한다. 그의 옛 주인 달링턴 경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에 동조했다는 의혹으로 전쟁 후 명예가 실추되고, 그의 사후 저택은 미국인 사업가에게 팔린다. 소설은 1950년대 영국의 사회 구조 변화와 귀족 계급의 몰락을 충실한 집사의 시선을 통해 그려내며, 부커상을 수상하는 등 높은 평가를 받았다.

  • 텔레비전 드라마다운튼 애비』는 20세기 초 영국의 귀족 가문과 그들의 컨트리 하우스 생활을 상세하게 묘사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드라마의 주요 촬영지는 실제 컨트리 하우스인 하이클레어 성이다.

참조

[1] 서적 The Purefoy Letters, 1735–53
[2] 웹사이트 The lions and loins of Longleat http://www.timesonli[...] The Sunday Times 2011-02-18
[3] 간행물 New Scientist https://books.google[...] 1982-12-02
[4] 문서 The Stately Homes of England 1938
[5] 문서 Girouard, p.
[6] 문서 Harling, p 1–16.
[7] 문서 Country Life 1927-05-07
[8] 서적 Inside Europe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9] 문서 Girouard, p2-12.
[10] 문서 Girouard, p. 2-12.
[11] 웹사이트 Rise and Fall of the English Stately Home https://www.historic[...] 2022-10-20
[12] 문서 Robinson, 72-79, 83-85, 166-167, 181-187
[13] 문서 Worsley, p. 10.
[14] 문서 McKinstrey, p181.
[15] 문서 Girouard, p2, describes a squire as "like a little king in his village.
[16] 문서 Hall, p25.
[17] 문서 Stuart, p. 135.
[18] 뉴스 Staying at an English Manor House https://www.aglaiama[...] 2018-11-06
[19] 뉴스 Large Houses to Rent for Parties https://www.landedho[...] 2012-06-09
[20] 웹사이트 Downton Abbey on MASTERPIECE on PBS https://www.pbs.org/[...] 2019-10-29
[21] 서적 英国貴族の歴史 河出書房新社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