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공학기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명공학기술은 생물체와 그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인간의 목적을 달성하는 광범위한 기술로, 가축화, 육종, 세포 배양 등을 포함한다. 유럽 생명공학 연맹은 생명공학을 생물체, 세포, 분자 유사체의 통합으로 정의한다. 기초 생물학을 기반으로 하며, 연구 개발, 생명 의학, 농업, 약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1983년 한국에서 생명공학육성법이 제정되었으며, 정부는 바이오헬스를 신산업으로 선정하여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생명공학은 의료, 농업, 환경,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유전자 조작, 생물 다양성, 윤리적 문제와 관련된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생명공학기술 | |
---|---|
정의 | |
설명 | 생물학적 시스템, 생물체, 또는 그 파생물을 사용하여 제품을 만들거나 수정하는 기술 |
관련 분야 | 유전 공학 생물 공학 바이오닉스 |
응용 분야 | |
주요 분야 | 농업 의학 산업 |
역사 | |
최초 사용 | 1919년 칼 에레키가 "Biotechnologie der Fleisch-, Fett- und Milcherzeugung im landwirtschaftlichen Grossbetriebe"에서 처음 사용 |
윤리적 고려 사항 | |
주요 논점 | 생명 윤리 유전자 조작 생물학적 안전 |
2. 정의
생명공학은 인간의 목적을 위해 살아있는 유전자 조작 생물을 변경하는 광범위한 절차를 포괄하며, 동물의 가축화, 식물 재배, 인공 선택, 잡종을 사용한 육종 프로그램 등을 통해 "개선"하는 것을 포함한다. 현대에는 유전자 조작뿐만 아니라 세포 배양 및 조직 배양 기술도 포함된다.[6] 유럽 생명공학 연맹(European Federation of Biotechnology)에 따르면 생명공학은 자연 과학과 생물체, 세포, 그 일부, 그리고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분자 유사체의 통합이다.[7]
인류는 신석기 혁명 이후 농업을 통해 식량을 생산하면서 생명공학을 활용해 왔다. 초기 농부들은 가장 적합한 작물을 선택하고 육종하여 수확량을 늘렸다.[13] 발효 기술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중국, 인도 등에서 맥주, 발효 빵, 간장 등 다양한 식품 생산에 활용되었다.
생명공학은 인간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제품을 생산하고자 생물학적 과정, 생물 또는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11]
3. 역사
찰스 다윈이 활동하기 전부터 동식물 학자들은 이미 선택적 육종을 사용했고, 다윈은 과학이 종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자신의 과학적 관찰을 통해 그러한 연구에 기여했다. 이것은 다윈의 자연 선택 이론에 기여했다.[14]
19세기 후반, 루이 파스퇴르의 연구를 통해 발효 과정이 과학적으로 규명되었다. 20세기 초, 하임 바이츠만은 클로스트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을 이용하여 옥수수 전분으로 아세톤을 생산하는 산업 공정을 개발했는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이 폭발물을 제조하는 데 절실히 필요했다.[16] 1928년 알렉산더 플레밍이 페니실리움을 발견하면서 페니실린 개발의 길이 열렸다.[15]
1953년 DNA 이중 나선 구조 발견, 1967년 DNA 리가아제 발견, 1968년 제한 효소 발견, 1970년 대장균에 DNA 도입, 1973년 인공적인 유전자 재조합 기술 개발 등 분자 생물학의 발전은 생명공학의 획기적인 발전을 이끌었다. 1975년 단클론 항체 생산, 1977년 DNA 염기 서열 결정법 개발, 1985년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발명 등은 생명공학 연구에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았다.
1982년 유전자 재조합 인슐린이 최초로 상업화되면서 바이오 의약품 시대가 열렸다. 1990년 인간 유전자 치료가 시작되었고, 1994년에는 유전자 변형 토마토가 최초로 시판되었다. 1996년 복제 양 돌리가 탄생하면서 복제 기술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1998년 인간 ES 세포 제작, 2000년 인간 게놈 초안 해독 등은 생명공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3. 1. 한국 생명공학의 역사
1983년 생명공학육성법이 제정되어 한국 생명공학 분야 육성을 위한 법률적 기반이 마련되었다.[103] 이 법은 바이오 분야 최상위 법률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2020년에는 생명공학육성법 개정을 통해 생명공학 분야 정책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통계 조사 및 기술영향평가 등을 시행할 수 있게 되었다.[102]
한국 정부는 바이오헬스를 3대 신산업 중 하나로 선정하고, 2019년 5월 '바이오헬스 국가비전'을 선포하는 등[101] 생명공학 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2017년 12월에는 13대 혁신성장동력으로 맞춤형 헬스케어, 혁신신약을 선정하고,[99] 2018년 8월에는 혁신성장 8대 선도 사업 중 하나로 바이오헬스를 포함시키는 등[100] 주요 정책 방향에 바이오 분야를 지속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4. 분야 및 응용
생명공학기술은 의료, 농업, 환경,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생명공학기술은 미생물을 이용한 맥주 및 유제품 생산, 생물 침출을 이용한 채광 산업, 재활용, 폐기물 처리, 산업 활동으로 오염된 부지 정화(생물 정화), 생물학적 무기 생산 등에 활용된다.[32]
생명공학기술의 여러 분야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생물 정보학(금색 생명공학기술): 계산 기술을 사용하여 생물학적 문제를 해결하고, 생물학적 데이터의 신속한 구성 및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학제간 분야이다. 계산 생물학이라고도 하며, 기능 유전체학, 구조 유전체학, 단백질체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33][34]
- 청색 생명공학기술: 해양 자원을 활용하여 제품과 산업 응용 프로그램을 만든다.[36] 주로 광합성 미세 조류를 이용한 바이오 오일 생산에 사용된다.[36][35]
- 녹색 생명공학기술: 농업 공정에 적용되는 생명공학기술이다.
- 적색 생명공학기술: 의료 및 제약 산업, 건강 보존에 생명공학기술을 사용한다.[36]
- 백색 생명공학기술(산업 생명공학기술): 제조 공정에 생명공학기술을 적용한다.[38]
- 황색 생명공학기술: 음식 생산(식품 산업)에 생명공학기술을 사용하며, 발효를 통해 와인(와인 제조), 치즈(치즈 제조), 맥주(양조)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36]
- 회색 생명공학기술: 환경 응용 분야에 전념하며, 생물 다양성 유지 및 오염 물질 제거에 중점을 둔다.[36]
- 갈색 생명공학기술: 건조지 및 사막 관리에 관련된다.
- 자색 생명공학기술: 생명공학기술과 관련된 법률, 윤리 및 철학적 문제를 다룬다.[36]
- 미생물 생명공학기술: 우주 및 미세 중력 환경에서 생명공학기술 응용 분야의 급성장하는 분야(우주 바이오 경제)에 대해 제안되었다.[41]
- 흑색 생명공학기술: 생물 테러 또는 생물학적 무기 및 미생물과 독소를 사용하여 인간, 가축 및 작물에 질병과 죽음을 유발하는 생물전과 관련된다.[42][36]
생명공학기술은 양조, 발효, 재생 의학, 신약 개발, 농작물 품종 개량 등 다양한 기술을 포괄하며, 농학, 약학, 의학, 치의학, 이학, 수의학, 공학, 위생, 복지, 영양학, 간호, 간병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분자 생물학이나 생물 화학 등 기초 생물학의 발전과 함께 응용 생물학으로서의 생명공학도 최근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복제 생물 등 사이언스 픽션에 등장했던 다양한 공상이 현실이 되고 있다.
복제 기술이나 유전자 변형 작물 등은 윤리적 측면이나 자연 환경과의 관계에서 많은 논의가 필요한 분야이며, 유전자 조작이나 세포 융합 등의 기술에 관해 다양한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4. 1. 의료 (레드바이오)
생명공학기술은 의료 및 제약 산업, 건강 보존에 응용되며, 이를 적색 생명공학기술이라고 한다.[36] 이 분야는 백신 및 항생제 생산, 재생 치료법, 인공 장기 생성, 질병의 새로운 진단법 개발과 관련이 있다.[36] 또한, 호르몬, 줄기 세포, 항체, siRNA 및 진단 검사 개발도 포함한다.[36]현대 생명공학기술은 제약 발견 및 생산, 약물유전체학, 유전자 검사(또는 유전자 선별검사)와 같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된다. 2021년, 전 세계 제약 생명공학 회사 가치의 약 40%가 종양학 분야에서 나왔으며, 신경학 및 희귀 질환이 그 뒤를 이었다.[43]
약물유전체학은 약리학과 유전체학을 결합한 기술로, 유전적 구성이 개인의 약물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44] 연구자들은 유전적 변이가 환자의 약물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유전자 발현 또는 단일 염기 다형성과 약물의 효능 또는 독성을 연관시킨다.[45] 약물유전체학의 목표는 환자의 유전자형에 따라 약물 치료를 최적화하여 최소한의 부작용으로 최대의 효능을 보장하는 것이다.[46] 이는 각 개인의 유전적 구성에 맞춰 약물과 약물 조합을 최적화하는 "맞춤 의학"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된다.[47][48]

생명공학기술은 전통적인 저분자 제약뿐만 아니라 생명공학의 산물인 바이오 의약품의 발견과 제조에도 기여했다. 현대 생명공학기술은 기존 의약품을 비교적 쉽고 저렴하게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최초의 유전자 조작 제품은 인간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설계된 의약품이었다. 1978년 제넨테크(Genentech)는 대장균에 삽입된 플라스미드 벡터와 결합하여 합성 인간화 인슐린을 개발했다. 당뇨병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인슐린은 이전에는 도살장 동물의 췌장(소 또는 돼지)에서 추출되었다. 유전자 조작된 세균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의 합성 인간 인슐린을 생산할 수 있다.[49][50]

생명공학기술은 유전자 치료와 같은 새로운 치료법을 가능하게 했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를 통해 생명공학기술을 기초 과학에 적용함으로써 생물학에 대한 이해가 크게 향상되었으며, 정상 및 질병 생물학에 대한 과학적 지식이 증가함에 따라 이전에는 치료할 수 없었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의약품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50]
유전자 검사는 유전 질환에 대한 취약성을 유전적으로 의료 진단할 수 있게 해주며, 자녀의 친자 관계(유전적 어머니와 아버지)를 확인하거나 개인의 조상을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개별 유전자 수준의 염색체 연구 외에도, 넓은 의미에서 유전자 검사는 유전 질환의 존재 가능성 또는 유전 질환 발병 위험 증가와 관련된 유전자의 돌연변이 형태에 대한 생화학적 검사를 포함한다. 유전자 검사는 염색체,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변화를 식별한다.[51] 대부분의 경우, 검사는 유전 질환과 관련된 변화를 찾기 위해 사용된다. 유전자 검사 결과는 의심되는 유전 상태를 확인하거나 배제하거나, 유전 질환을 앓거나 전달할 가능성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2011년 현재 수백 건의 유전자 검사가 사용되었다.[52][53] 유전자 검사는 윤리적 또는 심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유전자 검사에는 종종 유전 상담이 동반된다.
생명공학은 의료, 그중에서도 재생 의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된다. 재생 의학의 예로 조혈 줄기 세포를 이용한 세포 이식이 있다. 혈액의 근원이 되는 조혈 줄기 세포를 백혈병과 같은 난치성 혈액 질환에 이식하여 혈액을 완전히 제공자 유래의 세포로 교체하는 치료법이다. 재생 의학은 뼈, 피부, 폐와 같이 단순한 구조를 가진 장기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며, 실용화가 가까워지고 있다. 그러나 간이나 신장과 같이 복잡한 기능을 담당하는 장기의 재생은 아직 실용화까지 갈 길이 멀다. 재생 의학은 조직 공학이라는 분야의 접근 방식으로 성립되며, 환자와 완전히 유전적으로 일치하는 조직이나 장기를 교환할 수 있어 면역 거부 반응의 위험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해 상업 생산된 최초의 의약품은 1982년에 출시된 인슐린이다. 이후 다양한 의약품이 생명공학을 이용하여 대량 생산되고 있다.[89] 2021년에는 호르몬 제제, 항체 의약품, 유전자 치료제, 백신 등 모든 종류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4. 2. 농업 (그린바이오)
유전자 변형 작물은 1984년에 탄생하여 1996년 이후 주로 미국에서 재배가 시작되어 급속히 보급되었다. 유전자 변형을 통해 제초제나 살충제에 대한 내성을 갖춘 작물이 재배되고 있으며, 비타민 A를 부여한 황금쌀과 같이 유전공학을 통해 영양을 강화한 작물도 존재한다.[90] 유전자 변형이 널리 이용되는 작물은 주로 콩, 면화, 옥수수, 유료 작물 등이다.[91] 산토리 플라워즈와 플로리진이 2004년에 개발한 파란 장미와 같이 원예 작물의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92] 이 외에도 식물의 생장점에는 바이러스가 침입할 수 없기 때문에, 줄기의 선단을 잘라내어 배양하는 경정 배양을 실시하면 바이러스에 오염되지 않은 묘목을 대량 생산할 수 있어 농업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한, 약 배양에 의한 순계의 제작이나 배 배양에 의한 잡종의 창출도 이루어지고 있다.[93]4. 3. 환경 (회색바이오)
미생물이나 식물을 이용하여 토양이나 지하수 등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여 오염을 정화하는 기술은 생물 정화라고 불리며, 주로 유조선 사고 등으로 인한 석유 유출이나, 용제 및 중금속에 의한 지하수·토양 오염 등에 사용된다.[94]환경 변화에 따른 멸종으로부터 유전자원을 보호하는 것도 중요하며, 스발바르 세계 종자 저장소에 대표되는 종자 은행이나 유전자 은행도 세계 각지에 설립되어 있다. 멸종 위기종이나 멸종종의 복제를 생성하여 종의 부활을 목표로 하는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다.
4. 4. 산업 (화이트바이오)
생명공학기술은 미생물, 효소 등을 이용하여 화학 물질, 바이오 연료, 바이오 플라스틱 등 다양한 산업 제품을 생산하는 데 활용된다.[32] 특히, 바이오 플라스틱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32] 바이오 에탄올, 바이오 디젤 등 바이오 연료는 화석 연료 고갈, 환경 오염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32]4. 5. 기타
생물정보학은 생명공학 연구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데 활용된다.[1] 청색 생명공학은 해양 생물 자원을 활용하여 의약품, 화장품, 식품 등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는 분야이다.[1] 황색 생명공학은 곤충을 이용하여 의약품, 식품, 사료 등을 개발하는 분야이다.[1] 자색 생명공학은 생명공학 기술의 윤리적, 법적, 사회적 문제를 다루는 분야이다.[1]5. 규제
유전자 조작 기술, 특히 유전자 변형 작물 및 유전자 변형 어류를 포함한 유전자 변형 유기체(GMO)의 개발과 방출에는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각국 정부는 이를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국가별로 GMO 규제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특히 미국과 유럽 간의 차이가 크다.[85] 유전자 조작 제품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도 규제가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식품용이 아닌 작물은 식품 안전 당국의 검토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85] 유럽 연합(EU)은 GMO의 재배 승인과 수입 및 가공 승인을 구분하여, EU 내 재배 승인 GMO는 적지만 수입 및 가공 승인 GMO는 많다.[86]
유전자 재조합 기술은 안전성 및 생물 다양성에 대한 우려로 인해 국제 협약 및 국내 법률에 따라 규제된다.[95] 2003년 생물 다양성 협약의 바이오안전성에 관한 카르타헤나 의정서가 체결되었고, 한국은 이를 바탕으로 '유전자재조합생물 등의 사용 등의 규제에 의한 생물 다양성의 확보에 관한 법률'(유전자재조합생물 등 규제법)을 시행하여 유전자 재조합 생물 등의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96]
6. 생명공학 육성 정책 (한국)
바이오 기술은 경제 성장과 함께 질병 극복(레드바이오), 풍요로운 먹거리 제공(그린바이오), 쾌적한 환경 조성(화이트바이오)을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까지 달성 가능한 미래 유망 분야이다.[104] 정부는 2017년 12월 '13대 혁신성장동력[99]'에 맞춤형 헬스케어, 혁신 신약을 선정하고, 2018년 8월 '혁신성장 8대 선도 사업[100]' 중 하나로 '바이오헬스'를 포함하였으며, 2019년 3월 '3대 신산업'에 시스템반도체, 미래 자동차와 함께 바이오헬스를 선정하여 '바이오헬스 국가비전(2019.5.)[101]'을 선포하는 등 주요 정책 방향에 바이오 분야를 지속적으로 포함하고 중점적으로 지원·육성하고 있다.
2020년 생명공학육성법이 개정되어 생명공학 분야 정책 수립을 뒷받침할 수 있는 통계 조사와 기술영향평가 등을 시행할 수 있게 되었다.[102]
생명공학육성법[103]은 바이오 분야의 최상위 법률로, 1983년 제정된 이후 생명공학 분야 육성을 위한 법률적 바탕을 제공해 왔다.
7. 산업 현황 (한국)
2017년 기준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 규모는 10조 원을 돌파했으며, 바이오 기업 수는 984개사로 조사되었다.[105]
8. 윤리적 문제
분자 생물학이나 생물 화학 등 기초 생물학의 발전과 함께 응용 생물학으로서의 생명 공학도 최근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복제 생물 등 종래의 사이언스 픽션에 등장했던 다양한 공상이 현실이 되고 있다.[1]
복제 기술이나 유전자 변형 작물 등은 윤리적인 측면이나 자연 환경과의 관계에서 많은 논의가 필요한 분야이기도 하며, 유전자 조작이나 세포 융합 등의 기술에 관해 다양한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1]
참조
[1]
학술지
Biotechnology
https://goldbook.iup[...]
2022-02-14
[2]
서적
Biotechnologie der Fleisch-, Fett-, und Milcherzeugung im landwirtschaftlichen Grossbetriebe: für naturwissenschaftlich gebildete Landwirte verfasst
https://catalog.hath[...]
P. Parey
1919-06-08
[3]
웹사이트
Genetic Engineering
https://www.genome.g[...]
National Human Genome Research Institute,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3-12-15
[4]
서적
Basic and Applied Aspects of Biotechnology
2016-10-23
[5]
학술지
Bioethics and biotechnology
2007-04-01
[6]
웹사이트
Biotechnology
https://portal.acs.o[...]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3-03-20
[7]
웹사이트
BIOTECHNOLOGY-PRINCIPLES & PROCESSES
http://nvsrochd.gov.[...]
2014-12-29
[8]
웹사이트
What is biotechnology?
https://archive.toda[...]
[9]
웹사이트
Key Biotechnology Indicators (December 2011)
http://www.oecd.org/[...]
oecd.org
2012-11-08
[10]
웹사이트
"Biotechnology policies" –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ttp://www.oecd.org/[...]
2012-08-31
[11]
서적
History, scope and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IOPscience
2018-05
[12]
웹사이트
What Is Bioengineering?
http://www.bionewson[...]
Bionewsonline.com
2013-01-23
[13]
서적
Origin and History of Beer and Brewing: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Beginning of Brewing Science and Technology
BeerBooks
[14]
학술지
Biotechnology
http://www.encyclope[...]
2014-12-07
[15]
서적
Introduction to Biotechnology
Pearson/Benjamin Cummings
[16]
서적
Biotechnology: The Science and the Business
https://books.google[...]
CRC Press
[17]
법률
Diamond v. Chakrabarty, 447 U.S. 303 (1980). No. 79-139
http://caselaw.lp.fi[...]
United States Supreme Court
1980-06-16
[18]
특허
Oxidation of semiconductive surfaces for controlled diffusion
https://patents.goog[...]
[19]
학술지
Frosch and Derick: Fifty Years Later (Foreword)
https://iopscience.i[...]
2007-09-01
[20]
학술지
Surface Protection and Selective Masking during Diffusion in Silicon
https://iopscience.i[...]
1957
[21]
학술지
Silicon-Silicon Dioxide Surface Device
https://doi.org/10.1[...]
1961
[22]
서적
History of Semiconductor Engineering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2007
[23]
서적
History of Semiconductor Engineerin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7
[24]
학술지
Applications of Field-Effect Transistor (FET){{ndash}}Type Biosensors
2014
[25]
학술지
Electrode Systems for Continuous Monitoring in Cardiovascular Surgery
1962
[26]
학술지
The impact of MOSFET-based sensors
https://core.ac.uk/d[...]
1985-10
[27]
학술지
40 years of ISFET technology:From neuronal sensing to DNA sequencing
https://www.research[...]
2016-05-13
[28]
학술지
Development of an Ion-Sensitive Solid-State Device for Neurophysiological Measurements
1970-01
[29]
학술지
Recent advances in biologically sensitive field-effect transistors (BioFETs)
http://juser.fz-juel[...]
2002-09-10
[30]
웹사이트
VoIP Providers And Corn Farmers Can Expect To Have Bumper Years In 2008 And Beyond, According To The Latest Research Released By Business Information Analysts At IBISWorld
https://web.archive.[...]
Los Angeles
2008-03-19
[31]
웹사이트
The Recession List - Top 10 Industries to Fly and Flop in 2008
http://www.bio-medic[...]
Bio-Medicine.org
2008-03-19
[32]
학술지
Biotechnolog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https://www.scienced[...]
2023-10-20
[33]
웹사이트
Bioinformatics Introduction
http://www.primate.o[...]
Yale University
2007-06-16
[34]
간행물
Bio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in Academia: providing the foundation for Egypt's Biotechnology spectrum of colors
2009
[35]
간행물
Biotech: true colours
2009
[36]
간행물
Rainbow Code of Biotechnology
http://www.chemikint[...]
CHEMIK. Wroclaw University
2012
[37]
간행물
The four colours of biotechnology: the biotechnology sector is occasionally described as a rainbow, with each sub sector having its own colour. But what do the different colours of biotechnology have to offer the pharmaceutical industry
Pharmaceutical Technology Europe
2009
[38]
논문
White biotechnology
2003-09
[39]
간행물
White biotechnology
http://embor.embopre[...]
EMBOpress Sitio
2003
[40]
서적
Advances in Biochemical Engineering/Biotechnology
https://link.springe[...]
2013
[41]
논문
Toward sustainable space exploration: a roadmap for harnessing the power of microorganisms
2023-03
[42]
간행물
The Colours of Biotechnology: Science, Development and Humankind
Electronic Journal of Biotechnology
2004
[43]
웹사이트
Top Global Pharmaceutical Company Report
https://torreya.com/[...]
2021-11
[44]
서적
Modern Science & Future Medicine
2013
[45]
논문
Pharmacogenomics: a systems approach
2010
[46]
논문
Pharmacogenomics of adverse drug reactions: practical applications and perspectives
2009-06
[47]
웹사이트
Guidance for Industry Pharmacogenomic Data Submissions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5-03
[48]
논문
Realities and expectations of pharmacogenomics and personalized medicine: impact of translating genetic knowledge into clinical practice
2010-08
[49]
서적
Genetic Engineering For Almost Everybody: What Does It Do? What Will It Do?
https://archive.org/[...]
Penguin
[50]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Biotechnology
http://usinfo.state.[...]
U.S. Department of State International Information Programs
null
[51]
웹사이트
What is genetic testing? – Genetics Home Reference
http://www.ghr.nlm.n[...]
Ghr.nlm.nih.gov
2011-05-30
[52]
웹사이트
Genetic Testing: MedlinePlus
https://www.nlm.nih.[...]
Nlm.nih.gov
null
[53]
웹사이트
Definitions of Genetic Testing
http://www.eurogente[...]
EuroGentest Network of Excellence Project
2008-09-11
[54]
뉴스
Genetically Altered Potato Ok'd For Crops
https://news.google.[...]
Lawrence Journal-World
1995-05-06
[55]
서적
Transgenic Plants and World Agriculture
National Academy Press
[56]
웹사이트
Drought Tolerant GMO Maize in Africa, Anticipating Regulatory Hurdles
http://www.ilsi.org/[...]
International Life Sciences Institute
2011-01
[57]
간행물
Herbicide tolerant soybeans: Why growers are adopting Roundup Ready varieties
http://agbioforum.or[...]
AgBioForum
1999
[58]
논문
Research and adoption of biotechnology strategies could improve California fruit and nut crops
http://calag.ucanr.e[...]
2012
[59]
웹사이트
About Golden Rice
http://www.irri.org/[...]
Irri.org
null
[60]
뉴스
FDA approves Protalix Gaucher treatment
http://www.globes.co[...]
Globes
2012-05-02
[61]
뉴스
GM microbe breakthrough paves way for large-scale seaweed farming for biofuel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2-01-19
[62]
논문
Production of renewable polymers from crop plants
2008-05
[63]
뉴스
Scientists engineer plants to eat toxic pollution
http://www.irishtime[...]
The Irish Times
2011-09-20
[64]
서적
Microbial Biodegradation: Genomics and Molecular Biology
https://archive.org/[...]
Caister Academic Press
[65]
웹사이트
ISAAA Brief 43,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GM Crops: 2011
http://www.isaaa.org[...]
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 (ISAAA)
[66]
간행물
GM Science Review First Report
http://www.bis.gov.u[...]
2003
[67]
웹사이트
Global Review of the Field Testing and Commercialization of Transgenic Plants: 1986 to 1995
http://www.isaaa.org[...]
The 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
[68]
웹사이트
Consumer Q&A
https://www.fda.gov/[...]
Fda.gov
2009-03-06
[69]
웹사이트
AquAdvantage Salmon
https://www.fda.gov/[...]
FDA
[70]
뉴스
Study Says Overuse Threatens Gains From Modified Crops
https://www.nytimes.[...]
2010-04-13
[71]
논문
Farm income and production impacts of using GM crop technology 1996–2015
2017-05-08
[72]
논문
Agricultural biotechnology for sustainable food security
2023-01
[73]
논문
OBPC Symposium: maize 2004 & beyond—Can agricultural biotechnology contribute to global food security?
2005-07
[74]
서적
Recent Progress in Cereals Biofortification to Alleviate Malnutrition in India: An Overview
Springer Nature Singapore
2021
[75]
간행물
Industrial Biotechnology and Biomass Utilisation
http://www.unido.org[...]
2013-04-05
[76]
웹사이트
Industrial biotechnology, A powerful, innovative technology to mitigate climate change
http://www.innovatio[...]
2014-01-01
[77]
논문
Developing synthetic biology for industrial biotechnology applications
2020-02-28
[78]
논문
Synthetic Biology Tools to Engineer Microbial Communities for Biotechnology
2019-02
[79]
논문
Distributing a metabolic pathway among a microbial consortium enhances production of natural products
2015-04
[80]
논문
Combining CRISPR and CRISPRi Systems for Metabolic Engineering of E. coli and 1,4-BDO Biosynthesis
2017-12-15
[81]
논문
Biotechnology in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pollution abatement
2014
[82]
논문
Plastics: Environmental and Biotechnological Perspectives on Microbial Degradation
2019-10-01
[83]
서적
Environmental Biotechnology: A Biosystems Approach
Academic Press
2010
[84]
뉴스
Debate on robot trees looks to clear the air: What are other countries doing?
https://www.echolive[...]
2024-01-17
[85]
웹사이트
The History and Future of GM Potatoes
http://www.potatopro[...]
2014-01-01
[86]
서적
EU Policy for Agriculture, Food and Rural Areas
Wageningen Academic Publishers
[87]
서적
Genetically modified food and global welfare
Emerald Group Publishing
[88]
웹사이트
Biotechnology Predoctoral Training Program
http://www.nigms.nih[...]
2014-10-28
[89]
서적
「改訂第2版 年表付き バイオテクノロジーの流れ」
化学工業日報社
2002-03-25
[90]
서적
「食料の世界地図」
丸善
2005-10-30
[91]
서적
「食 90億人が食べていくために」(サイエンス・パレット025)
丸善出版
2015-06-25
[92]
웹사이트
「開発ストーリー」
https://www.suntory.[...]
サントリー
2021-08-25
[93]
서적
「食物科学概論 改訂版」(生活環境学ライブラリー4)
朝倉書店
2014-03-25
[94]
웹사이트
バイオレメディエーション - 環境技術解説
https://tenbou.nies.[...]
国立環境研究所
2021-08-24
[95]
서적
「地球環境論 緑の地球と共に生きる」
電気書院
2014-04-10
[96]
웹사이트
「カルタヘナ法とは」
https://www.maff.go.[...]
日本国農林水産省
2022-07-22
[97]
서적
「新訂 食用作物」
養賢堂
2010-08-10
[98]
웹인용
바이오기술의 사업화 전략 : 미국 리서치트라이앵글 지역을 중심으로
https://www.bioin.or[...]
2020-08-20
[99]
웹인용
13개 혁신성장동력에 8조 투자 일자리 55만개 만든다
http://news.kmib.co.[...]
2020-08-19
[100]
웹인용
김동연, 혁신성장 전략투자분야와 8대선도사업에 내년 5조 투입
http://www.businessp[...]
2020-08-19
[101]
웹인용
文대통령 '바이오헬스, 2025년까지 정부 R&D 4조원으로 확대'
https://www.news1.kr[...]
2020-08-19
[102]
웹인용
생명공학 통계·기술평가 시행된다…생명공학법 개정안 의결
https://www.yna.co.k[...]
2020-08-18
[103]
웹인용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2020-08-18
[104]
웹인용
생명공학백서
https://www.data.go.[...]
2020-08-18
[105]
웹인용
한국바이오협회
http://www.koreabio.[...]
2020-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