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다 파이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다 파이퍼는 1797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난 19세기 여행가이자 탐험가이다. 어린 시절부터 여행에 대한 열망을 품고 1820년 결혼 후, 두 아들을 낳아 기르며 1842년부터 본격적인 탐험을 시작했다. 성지 순례와 아이슬란드, 스칸디나비아를 여행한 후, 1846년부터 1848년까지 브라질, 칠레, 타히티, 중국, 인도 등지를 거쳐 세계 일주를 했다. 1851년부터 1855년까지 두 번째 세계 일주를 하며 남아프리카, 말레이 제도, 캘리포니아 등을 탐험했다. 1857년 마다가스카르 탐험 중 쿠데타 음모에 연루되어 추방당한 후 말라리아로 건강이 악화되어 1858년 빈에서 사망했다. 파이퍼는 다양한 자연 표본을 수집하여 대영 박물관 등에 기증했으며,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 찰스 다윈 등에게 언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이다 파이퍼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이다 로라 파이퍼 |
출생 | 1797년 10월 14일 |
출생지 | 오스트리아 빈 |
사망 | 1858년 10월 27일 (향년 61세) |
사망지 | 오스트리아 빈 |
국적 | 오스트리아 |
직업 | 탐험가 작가 편집자 |
활동 | |
탐험 거리 | 약 32,000 km |
여행 거리 | 약 240,000 km |
2. 생애 초반
이다 라이어는 1797년 10월 14일 빈에서 부유한 직물 제조업자인 알로이스 라이어의 딸로 태어났으며, 5명의 형제와 여동생이 있었다.[27][2] 어린 시절 남자 아이들의 옷을 선호했고 체육 활동과 운동을 좋아했으며 아버지의 격려로 오빠들과 같은 교육을 받았다. 그는 자서전에서 "나는 부끄러움을 타지 않았지만 소년처럼 거칠었고 형들보다 더 대담하고 앞으로 나아갔다."고 썼다.[28][3] 5세 시절에 가진 팔레스타인과 이집트 여행은 그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1806년에 아버지가 사망한 이후에 어머니 안나는 그가 이전에 파격적인 양육을 받은 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드레스를 입고 피아노 연습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1809년에 프랑스의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빈을 정복한 이후에 프랑스 군대 일부가 라이어의 집에 주둔했다. 쇤브룬궁에서 열린 대평의회에서 그는 장군들이 말을 타고 지나갈 때 등을 돌려 외국의 점령에 항의했다.[3]
가정교사인 프란츠 요제프 트리멜은 그에게 현대 탐험가들을 소개했고, 《로빈슨 크루소》와 알렉산더 폰 훔볼트의 글에 특히 관심을 갖게 되었다.[29][4]
1820년 5월 1일에 렘베르크(현재의 우크라이나 르비우)에서 변호사로 근무하던 마르크 안톤 파이퍼와 결혼했다. 파이퍼는 라이어보다 24세 연상이었고 장성한 아들을 둔 홀아비였다. 결혼식 1주일 뒤에 렘베르크로 떠났다. 파이퍼는 갈리치아 지방의 고위 정부 관리들의 부패를 폭로한 이후에 곧바로 사임할 수밖에 없었고 나중에 일자리를 회복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다는 자신의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빈와 렘베르크 사이를 오갔다. 그는 그림과 음악 수업을 하면서 형제들한테 돈을 빌렸다.
1821년과 1824년에 빈에서 두 아들 알프레트와 오스카르를 출산했다. 1831년에 어머니가 사망한 이후에 가족의 재정 상태는 약간 개선되었다. 그는 적은 유산으로 아들들의 교육을 계속할 수 있었다. 1833년에는 소년들과 함께 빈에 머무른 반면에 파이퍼는 그의 첫째 아들 근처인 렘베르크에 남았다.[30][5]
2. 1. 출생과 성장
이다 라이어는 1797년 10월 14일 빈에서 부유한 직물 제조업자인 알로이스 라이어의 딸로 태어났으며, 5명의 형제와 여동생이 있었다.[27] 어린 시절 남자 아이들의 옷을 선호했고 체육 활동과 운동을 좋아했으며 아버지의 격려로 오빠들과 같은 교육을 받았다. 그는 자서전에서 "나는 부끄러움을 타지 않았지만 소년처럼 거칠었고 형들보다 더 대담하고 앞으로 나아갔다."고 썼다.[28] 5세 시절에 가진 팔레스타인과 이집트 여행은 그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1806년에 아버지가 사망한 이후에 어머니 안나는 그가 이전에 파격적인 양육을 받은 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드레스를 입고 피아노 연습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2] 1809년에 프랑스의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빈을 정복한 이후에 프랑스 군대 일부가 라이어의 집에 주둔했다. 쇤브룬궁에서 열린 대평의회에서 그는 장군들이 말을 타고 지나갈 때 등을 돌려 외국의 점령에 항의했다.[3]가정교사인 프란츠 요제프 트리멜은 그에게 현대 탐험가들을 소개했고, 《로빈슨 크루소》와 알렉산더 폰 훔볼트의 글에 특히 관심을 갖게 되었다.[29]
1820년 5월 1일에 렘베르크(현재의 우크라이나 르비우)에서 변호사로 근무하던 마르크 안톤 파이퍼와 결혼했다. 파이퍼는 라이어보다 24세 연상이었고 장성한 아들을 둔 홀아비였다. 결혼식 1주일 뒤에 렘베르크로 떠났다. 파이퍼는 갈리치아 지방의 고위 정부 관리들의 부패를 폭로한 이후에 곧바로 사임할 수밖에 없었고 나중에 일자리를 회복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다는 자신의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빈와 렘베르크 사이를 오갔다. 그는 그림과 음악 수업을 하면서 형제들한테 돈을 빌렸다.
1821년과 1824년에 빈에서 두 아들 알프레트와 오스카르를 출산했다. 1831년에 어머니가 사망한 이후에 가족의 재정 상태는 약간 개선되었다. 그는 적은 유산으로 아들들의 교육을 계속할 수 있었다. 1833년에는 소년들과 함께 빈에 머무른 반면에 파이퍼는 그의 첫째 아들 근처인 렘베르크에 남았다.[30]
2. 2. 아버지의 죽음과 어머니의 교육 방식
이다 라이어는 1797년 10월 14일 빈에서 부유한 직물 제조업자인 알로이스 라이어의 딸로 태어났다. 그에게는 5명의 형제와 여동생이 있었다.[27] 어린 시절에는 남자 아이들의 옷을 선호했고 체육 활동과 운동을 좋아했으며 아버지의 격려로 오빠들과 같은 교육을 받았다. 그는 자서전에서 "나는 부끄러움을 타지 않았지만 소년처럼 거칠었고 형들보다 더 대담하고 앞으로 나아갔다."고 썼다.[28] 5세 시절에 가진 팔레스타인과 이집트 여행은 그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1806년에 아버지가 사망한 이후에 어머니 안나는 그가 이전에 파격적인 양육을 받은 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드레스를 입고 피아노 연습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1809년에 프랑스의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빈을 정복한 이후에 프랑스 군대 일부가 라이어의 집에 주둔했다. 쇤브룬궁에서 열린 대평의회에서 그는 장군들이 말을 타고 지나갈 때 등을 돌려 외국의 점령에 항의했다.[2][3]
가정교사인 프란츠 요제프 트리멜은 이다에게 현대 탐험가들을 소개했고, 《로빈슨 크루소》와 알렉산더 폰 훔볼트의 글에 특히 관심을 갖게 했다.[29]
2. 3. 나폴레옹 전쟁 시기의 경험
이다 파이퍼는 1797년 10월 14일 빈에서 태어났다.[27] 어린 시절부터 여행에 대한 열망을 보였으며, 5세 때 팔레스타인과 이집트로 첫 장거리 여행을 했다.[3] 1809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빈을 점령했을 때, 쇤브룬 궁전에서 열린 대규모 사열식에서 장군들이 지나갈 때 등을 돌려 항의했다.[28]가정교사였던 프란츠 요제프 트리멜은 이다에게 현대 탐험가들을 소개했고, 특히 《로빈슨 크루소》와 알렉산더 폰 훔볼트의 저술에 관심을 갖게 했다.[29]
1820년 5월 1일, 렘베르크(현재의 우크라이나 르비우)에서 변호사로 근무하던 마르크 안톤 파이퍼와 결혼했다.[4] 파이퍼는 갈리치아 지방의 고위 정부 관리들의 부패를 폭로한 이후에 곧바로 사임할 수밖에 없었고, 이후 재취업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다는 자신의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빈과 렘베르크 사이를 오가며 그림과 음악 수업을 하고 형제들한테 돈을 빌렸다.[5]
2. 4. 결혼과 가정생활
이다 파이퍼는 1820년 5월 1일에 렘베르크(현재의 우크라이나 르비우)에서 변호사로 근무하던 마르크 안톤 파이퍼와 결혼했다.[29][4] 파이퍼는 이다보다 24세 연상이었고 장성한 아들을 둔 홀아비였다.[29] 결혼식 1주일 뒤에 렘베르크로 떠났다.[29][4] 파이퍼는 갈리치아 지방의 고위 정부 관리들의 부패를 폭로한 이후에 곧바로 사임할 수밖에 없었고 나중에 일자리를 회복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29][4] 이다는 자신의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빈와 렘베르크 사이를 오갔으며, 그림과 음악 수업을 하면서 형제들한테 돈을 빌렸다.[29][4]이다는 빈에서 아들 2명(1821년에 태어난 알프레트, 1824년에 태어난 오스카르)을 출산했다. 또한 그에게는 태어난 지 며칠 밖에 살지 못한 딸이 있었다.[30][5] 1831년에 어머니가 사망한 이후에 가족의 재정 상태는 약간 개선되었다. 그는 적은 유산으로 아들들의 교육을 계속할 수 있었다.[30][5] 1833년에는 소년들과 함께 빈에 머무른 반면에 파이퍼는 그의 첫째 아들 근처인 렘베르크에 남았다. 파이퍼는 가끔 빈에 있는 그의 가족을 방문했다.[30][5]
3. 탐험 여행
3. 1. 첫 번째 여행: 성지 순례와 아이슬란드 탐험 (1842년 ~ 1845년)
이다 파이퍼는 자신의 아들들이 안정된 직장에 정착하면서 어린 시절부터 꿈꿔왔던 외국 여행을 할 수 있게 되었다. 1845년에 라이프치히에서 출간된 《1845년 아이슬란드와 스칸디나비아 북부 방문》(Reise nach dem skandinavischen Norden und der Insel Island im Jahre 1845)에서 파이퍼는 "어린 아이였을 때에 이미 세상을 보고 싶은 강한 열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라고 술회했다.[31]1842년, 파이퍼는 다뉴브강을 따라 이스탄불로 여행했다. 그곳에서 예루살렘으로 향했으며, 스미르나(현재의 튀르키예 이즈미르), 로도스섬, 키프로스, 베이루트, 카이사레아 마리티마(현재의 이스라엘 카이사레아), 야파에 들렀다. 1842년 7월 10일에 베이루트로 돌아와 이집트로 항해했고, 알렉산드리아, 카이로, 홍해를 방문한 후 로마를 거쳐 집으로 돌아왔다. 이 여행에서 오스트리아의 풍경화가 후베르트 자틀러,[32] 영국의 화가 윌리엄 헨리 바틀렛,[33] 보헤미아의 식물학자 베르흐톨트 백작을 만났다.[6][7][8]
파이퍼는 1844년에 빈에서 《빈에 사는 한 여자의 성지 여행》(Reise einer Wienerin in das Heilige Land)을 익명으로 출판하고, 다음 여행 자금으로 700굴덴을 받았다.[34] 이 책은 3번의 판본을 거쳐 1846년 체코어로, 1852년 영어로 번역될 정도로 성공을 거두었다.[9]
1845년, 파이퍼는 스칸디나비아와 아이슬란드로 떠나기 전, 영어와 덴마크어를 공부하고 자연 표본 보존 및 다게레오타이프 촬영법을 익혔다. 1845년 4월 10일 빈을 출발하여 코펜하겐을 거쳐 5월 4일 요한호에 승선, 11일 후 아이슬란드 남서부 해안의 하프나르피외르뒤르에 도착했다. 레이캬비크에서 크리수빅 화산 지열 지대를 둘러보고 굴포스를 방문했으며, 헤클라산을 등반했다. 덴마크를 거쳐 스웨덴 예테보리에서 북쪽으로 이동하여 노르웨이를 여행했다.[35][10]
1845년 10월 4일 빈으로 귀환한 파이퍼는 1846년에 페스트에서 《스칸디나비아 북부와 아이슬란드섬 여행》(Reise nach dem skandinavischen Norden und der Insel Island)을 집필했다. 이 책은 1852년 영국과 미국에서 영어 번역본으로 출간되었다.[36][11]

3. 2. 첫 번째 세계 일주 (1846년 ~ 1848년)
이다 파이퍼는 1846년에 브라질, 칠레를 비롯한 남아메리카, 타히티섬, 중국, 인도, 페르시아 제국, 소아시아, 그리스 등을 여행하고 1848년에 빈으로 돌아왔다.[38][39] 1850년에는 여행의 결과를 담은 《한 여자의 세계 일주》(Eine Frauenfahrt um die Welt, 3권)를 빈에서 출간했다.[38][39]1846년 9월 16일, 파이퍼는 덴마크의 카롤리네호를 타고 함부르크에서 대서양으로 항해하여 적도를 넘어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항에 도착했다. 프리드리히 폰 베르흐톨트와 함께 마카쿠강을 거슬러 올라가 브라질 남동부 노바프리부르구로 가서 하인 1명과 함께 숲 속 깊은 곳으로 모험을 떠났다. 리우데자네이루로 돌아온 후, 영국의 바크인 존 렌윅호에 자리를 예약하고 1847년 3월 2일에 칠레 발파라이소에 도착했다. 7월 9일에는 타히티섬으로 항해한 다음, 중국 해안에 위치한 마카오에 상륙했다.
이후 두 달 동안 홍콩의 사원과 마을을 방문하고 싱가포르로 사냥 여행을 떠났다. 그 다음에 스리랑카 콜롬보와 캔디를 둘러보고 캘커타에서 벵골인의 전통에 대해 문의했으며 힌두교의 성지 가운데 하나인 바라나시를 방문했다. 델리에서 오스트리아의 학자인 알로이스 슈렝거의 조언에 따라 뭄바이로 가는 황소 수레를 준비했고 하이데라바드와 다울라타바드 요새와 아우랑가바드의 엘로라 석굴을 통과했다.
1848년 4월 23일에 파이퍼는 봄베이를 떠나 당시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던 이라크 바그다드로 향했다. 고대 도시 크테시폰의 유적을 탐험하던 도중에 카자르 왕조의 에맘 쿨리 미르자 왕자를 만났다. 모술 주재 영국 부영사로 근무하고 있던 헨리 크레스윅 롤린슨과 호르무즈드 라삼의 도움을 받아 바빌론, 보르시파, 니네베의 고고학 유적지를 둘러보았다. 이슬람교에서 신성히 여기는 금식 기간인 라마단 한 달 동안에 페르시아 타브리즈에 있는 지역 가정을 방문했고 바흐만 미르자 왕자에게 선물을 받았다.
1848년 8월에는 아르메니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아제르바이잔 나흐츠반으로 출발했고 곧 조지아 트빌리시로 향하는 캐러밴에 합류했다. 그리고 나서 흑해를 건너 러시아 제국으로 들어갔다.
1850년에 파이퍼는 빈으로 돌아와서 《한 여자의 세계 일주》를 출간했다. 이 책의 영어 번역본은 1851년에 영국에서 출간되었고 네덜란드어(1852년), 프랑스어(1858년), 러시아어(1867년)가 그 뒤를 이었다. 이 책은 《르 콩스티튀시오넬》, 《아테나이움》, 《웨스트민스터 리뷰》, 《리터러리 가제트》, 《스트레이츠 타임스》, 《캘커타 리뷰》와 같은 주요 국제 저널에서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

3. 3. 두 번째 세계 일주 (1851년 ~ 1855년)
이다 파이퍼는 1851년부터 1855년까지 두 번째 세계 일주를 떠났다. 이 탐험을 위해 파이퍼는 300굴덴 상당의 표본을 빈 왕립 박물관에 판매했고, 빈 자연사 컬렉션의 책임자인 카를 프란츠 안톤 리터 폰 슈라이버와 오스트리아의 고고학자인 요제프 칼라산자 폰 아르네트의 도움을 받아 정부 지원금 1,500굴덴을 받았다.[40]파이퍼는 1851년에 베를린으로 출발하여 어린 시절 영웅인 알렉산더 폰 훔볼트와 카를 리터를 만났으며, 베를린 지리학회의 명예 회원이 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40] 이후 런던으로 이동하여 리처드 오언, 아우구스투스 하인리히 페테르만 등을 만났다.
1851년 5월 27일, 파이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타운으로 출발하여 8월 11일에 도착했다.[41] 아프리카 내륙으로 더 깊이 들어가려 했으나 비용 문제로 좌절되었다.
파이퍼는 인도양을 건너 말레이 제도로 향했고, 싱가포르에서 2주 동안 머물며 새로운 종의 땅강아지를 포함한 다양한 표본을 수집했다.[41] 순다 열도에서 18개월을 보내며 보르네오섬의 다약족, 수마트라섬의 바탁족 등을 방문했고, 신탕 공국의 술탄, 피터 블리커 박사 등을 만났다. 이 과정에서 춤 공연을 관람하고, 정교하게 조각된 퉁갈 파날루안을 획득했으며, ''호말롭테룰라 김노가스터''와 ''푼티우스 올리고레피스''를 포함한 귀중한 표본을 수집했다.
1853년 7월 6일, 북아메리카로 항해하여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 기간 동안에 미국 서부 해안을 방문했다.[42] 새크라멘토, 메리즈빌, 크레센트시티, 샌타클래라, 산호세를 방문했고, 이후 중앙아메리카를 거쳐 누에바그라나다 공화국, 페루, 에콰도르의 과야킬을 방문했다. 파이퍼는 에콰도르에서의 불쾌한 경험을 기록했지만, 프리드리히 하사우레크는 그의 저서 ''스페인계 미국인들과의 4년''에서 파이퍼의 기록에 오해와 부정확함이 있다고 비판했다.
1854년 5월 31일, 뉴올리언스행 기선을 타고 오대호 지역을 여행했다. 워싱턴 어빙, 존 콜린스 워렌, 루이 아가시와의 만남과 미국 서커스, 극장, 맨해튼 구치소 방문 등을 기록했다.
1855년 7월 말 비엔나로 돌아온 파이퍼는 《나의 2번째 세계 여행》을 완성하여 1856년에 출간했다.[42] 이 책은 영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말레이어로 번역되었으며, 여러 신문과 잡지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42]
3. 4. 마다가스카르 탐험과 죽음 (1856년 ~ 1858년)

파이퍼는 1857년 5월에 마다가스카르를 탐험하기 시작했다. 그의 첫 방문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타운이었는데 그곳에서 프랑스의 토목 기사이자 노예 무역업자인 조제프 프랑수아 람베르를 만났다. 람베르는 장 라보르드와 몇몇 유럽인들과 함께 마다가스카르의 여왕이었던 라나발로나 1세를 폐위시키고 보다 온건한 왕세자였던 라코토(훗날의 라다마 2세)로 교체하려는 음모에 동참했다. 파이퍼는 자신도 모르게 쿠데타 음모에 가담했다가 라나발로나 1세 여왕에게 발각당했고 1857년 7월에 마다가스카르에서 추방되었다.
파이퍼는 마다가스카르의 수도인 안타나나리보에서 출발 항구로 가는 도중에 불행히도 말라리아에 걸려 완전히 회복되지 못했다. 모리셔스에서 열병을 앓은 파이퍼는 1858년 3월 10일에 런던으로 떠났고 함부르크로 자리를 옮겼으나 구토와 설사가 재발했다. 이다 파이퍼는 1858년 10월 27일에 빈에서 자신의 형인 카를 라이어의 집에서 사망했다. 그의 마지막 항해인 마다가스카르 여행을 묘사한 기행문은 1861년에 빈에서 2권으로 출간되었는데 이다 파이퍼의 아들인 오스카르 파이퍼가 쓴 전기를 포함했다.
4. 자연사 연구
이다 파이퍼는 세계 각지를 여행하는 동안에 식물, 곤충, 연체동물, 해양 생물, 광물 표본을 수집했다. 파이퍼가 수집한 많은 작품들은 독일 베를린의 박물관과 영국 런던의 대영박물관에 전시되었다.[43][17]
파이퍼가 발견하거나 채집한 생물은 다음과 같다.
- 왕거미과 (''Poltys idea'')
- 롱코데스 프페이페라이 (''Lonchodes pfeifferae'', 긴수염대벌레과에 속하는 곤충)
- 민물새우 (''Palaemon idae'')
- 달팽이 (''Vaginula idae'', ''Pupina superba'')
- 말루쿠 제도 암본섬, 스람섬에 서식하는 부드러운 껍데기를 가진 거북이
빈 자연사 박물관은 마다가스카르와 모리셔스에 있는 파이퍼의 소장품 가운데 9종의 포유류, 14종의 조류, 23종의 파충류, 3종의 갑각류, 15종의 연체동물, 10종의 거미, 185종의 곤충을 포함한 721종의 표본을 구입했다.[43][17]
5. 유산과 영향
이다 파이퍼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저서 《월든》에서 "파이퍼 부인"으로 언급된다. 소로는 파이퍼가 고향에 가까워질수록 더 문명화된 옷을 입었다고 묘사한다.[44] 앨프리드 월리스는 여동생, 동료인 헨리 월터 베이츠, 파이퍼의 아메리카 대륙 탐험을 지원했던 런던의 자연사 에이전트인 새뮤얼 스티븐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파이퍼를 자주 언급했다. 월리스는 파이퍼가 방문했던 말레이 제도를 비롯한 여러 장소를 방문했다.[44]
찰스 다윈은 1871년에 출간된 저서 《인간의 유래와 성선택》에서 파이퍼를 인용하며 "자바섬에서는 백인이 아닌 금발의 소녀가 미인으로 간주된다."고 평가했다."[44] 1867년 오스트리아의 파충류학자 프란츠 슈타인다흐너는 마다가스카르 원산의 개구리 종인 ''Boophis idae''를 이다 파이퍼를 기려 명명했다.[19]
1892년에는 오스트리아의 빈 여성 교육 협회가 이다 파이퍼의 유해를 빈 중앙 묘지에 안치했다. 그는 명예로운 죽음의 줄에 서 있는 1번째 여성이었다.[45] 2000년에는 독일 뮌헨에 위치한 한 거리가 이다 파이퍼가(Ida-Pfeiffer-Straße)로 이름을 바꿨다.[45]
2018년에는 오스트리아의 빈 대학교가 지구과학, 지리학, 천문학과에 이다 파이퍼 교수직을 신설했다.[46] 파이퍼는 여행 역사가들의 관심사였으며, 그의 삶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 힐트군트 옐레의 저서 《이다 파이퍼: 19세기 세계 여행자》(Ida Pfeiffer: Weltreisende im 19. Jahrhundert, 1989년)[47]
- 가브리엘레 하빙거의 현존하는 이다 파이퍼의 서신 출판물 모음[48]
- 존 밴 와이허의 2019년 전기 《방랑》(Wanderlust)[49]
- 《[https://northsouth.com/books/ida-and-the-world-beyond-mount-kaiserzipf/ 이다와 카이저지프산 너머의 세계]》(Ida and the World Beyond Mount Kaiserzipf): 이다 파이퍼의 삶과 업적을 강조하는 그림책[50]
- 샤비에르 시스타크의 2023년 전기 《이다 파이퍼의 모험》(Les aventures d'Ida Pfeiffer)[28][30]
참조
[1]
서적
Wanderlust: The Amazing Ida Pfeiffer, the First Female Tourist
NUS Press
[2]
서적
The Story of Ida Pfeiffer and Her Travels in Many Lands
https://archive.org/[...]
London: Thomas Nelson and Sons.
1879
[3]
서적
The Last Travels of Ida Pfeiffer, inclusive a visit to Madagaskar
https://archive.org/[...]
Routledge, Warne and Routledge.
1861
[4]
서적
Ida Pfeiffer: Weltreisende im 19. Jahrhundert: Zur Kulturgeschichte reisender Frauen.
Waxman
1989
[5]
서적
The Last Travels of Ida Pfeiffer: Inclusive of a Visit to Madagascar: with an Autobiographical Memoir of the Author
Harper & Brothers
[6]
서적
Visit to Iceland and the Scandinavian North
http://www.gutenberg[...]
Ingram
1852
[7]
저널
Hubert Sattler und Ida Pfeiffer (1797–1858)
2009
[8]
서적
Footsteps of our Lord and his Apostles in Syria, Greece and Italy
A. Hall, Virtue & Co.
1851
[9]
서적
Ida Pfeiffer: Weltreisende im 19. Jahrhundert: Zur Kulturgeschichte reisender Frauen.
Waxman
1989
[10]
서적
Wanderlust: The Amazing Ida Pfeiffer, the First Female Tourist
NUS Press
[11]
서적
A Journey to Iceland and Travels in Sweden and Norway
https://archive.org/[...]
R. Bentley
1852
[12]
문서
[13]
서적
Eine Frau fährt um die Welt: Reise von Wien nach Brasilien, Chili, Otahaiti, China, Ost-Indien, Persien und Kleinasien
https://books.google[...]
Gerold
1850
[14]
문서
"Pfeiffer, Ida" in: Neue Deutsche Biographie 20 (2001), S. 320-321
https://www.deutsche[...]
[15]
웹사이트
Animal Detail – Gryllotalpa fulvipes
https://florafaunawe[...]
2019-10-10
[16]
저널
Woman on the Road: Ida Pfeiffer in the Indies
https://www.persee.f[...]
2004
[17]
서적
Über Ida Pfeiffer's Sendungen von Naturalien aus Mauritius und Madagascar
https://books.google[...]
Hof- & St. Druckerei
1858
[18]
서적
The Descent of Man, and Selection in Relation to Sex
https://en.wikisourc[...]
John Murray
1871
[19]
문서
The Eponym Dictionary of Amphibians
Pelagic Publishing
2013
[20]
웹사이트
Ida-Pfeiffer-Straße, 81929 München, Germany
https://www.google.c[...]
2019-10-10
[21]
웹사이트
Ida Pfeiffer Professorship
https://fgga.univie.[...]
2019-10-10
[22]
서적
Ida Pfeiffer: Weltreisende im 19. Jahrhundert: Zur Kulturgeschichte reisender Frauen.
Waxman
1989
[23]
서적
Ida Pfeiffer – "Wir leben nach Matrosenweise"
Promedia
2008
[24]
서적
Wanderlust: The Amazing Ida Pfeiffer, the First Female Tourist
NUS Press
[25]
서적
Ida and the World Beyond Mount Kaiserzipf
https://northsouth.c[...]
Simon and Schuster
2020-09
[26]
서적
[27]
서적
https://archive.org/[...]
[28]
서적
https://archive.org/[...]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http://www.gutenberg[...]
[32]
저널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A Journey to Iceland and Travels in Sweden and Norway
https://archive.org/[...]
R. Bentley
2019-10-09
[37]
서적
The Story of Ida Pfeiffer and Her Travels in Many Lands
https://archive.org/[...]
London: Thomas Nelson and Sons.
2019-10-08
[38]
문서
Pfeiffer, Ida Laura
https://en.wikisourc[...]
[39]
서적
Eine Frau fährt um die Welt: Reise von Wien nach Brasilien, Chili, Otahaiti, China, Ost-Indien, Persien und Kleinasien
https://books.google[...]
Gerold
2019-10-09
[40]
웹인용
Pfeiffer (Pfeifer), Ida Laura, geborene Reyer
[41]
웹인용
Snakes, Tigers and Cannibals: Ida Pfeiffer’s Travels in Southeast Asia
https://biblioasia.n[...]
2023-04-19
[42]
간행물
Woman on the Road: Ida Pfeiffer in the Indies
https://www.persee.f[...]
2019-10-10
[43]
서적
Über Ida Pfeiffer's Sendungen von Naturalien aus Mauritius und Madagascar
https://books.google[...]
2019-10-10
[44]
서적
The Descent of Man, and Selection in Relation to Sex
https://en.wikisourc[...]
John Murray
1871
[45]
웹인용
Ida-Pfeiffer-Straße, 81929 München, Germany
https://www.google.c[...]
2019-10-10
[46]
웹인용
Ida Pfeiffer Professorship
https://fgga.univie.[...]
2019-10-10
[47]
서적
Ida Pfeiffer: Weltreisende im 19. Jahrhundert: Zur Kulturgeschichte reisender Frauen.
Waxman
1989
[48]
서적
Ida Pfeiffer – "Wir leben nach Matrosenweise"
Promedia
2008
[49]
서적
Wanderlust: The Amazing Ida Pfeiffer, the First Female Tourist
NUS Press
[50]
웹인용
Ida and the World Beyond Mount Kaiserzipf
https://northsouth.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