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큐 고베 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큐 고베 본선은 오사카 우메다역에서 고베 산노미야역까지 32.3km를 잇는 한큐 전철의 간선 노선이다. 교토선, 다카라즈카선과 오사카 우메다역, 주소역에서 환승 가능하며, 이타미선, 이마즈선, 고요선과도 연결된다. 특급, 통근 특급, 준특급, 급행, 통근 급행, 준급, 보통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며, 2022년에는 무코가와 신역 건설이 결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큐 전철의 철도 노선 - 한큐 교토 본선
    한큐 교토 본선은 오사카 우메다역에서 교토 가와라마치역까지 운행하는 한큐 전철 노선으로, 1921년 개통 이후 다양한 열차 등급으로 운행되며 한큐 센리선과 직결된다.
  • 한큐 전철의 철도 노선 - 한큐 미노오선
    한큐 미노오선은 한큐 전철의 노선으로, 1910년에 다카라즈카 본선과 함께 개통되었으며, 이시바시한다이마에역과 미노오역을 연결하는 총 4.0km의 복선 전철화 노선이다.
  • 193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전라선
    전라선은 익산역에서 여수엑스포역까지 연결되는 간선 철도 노선으로, 1914년 개통되어 국유화와 개량을 거쳐 현재 전철화되었으며, KTX가 운행되고, 노선 번호는 309번이며 총 길이는 180.4km이다.
  • 193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남북선 (베트남 철도)
    남북선은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건설되어 하노이와 호치민시를 연결하는 베트남의 주요 간선 철도로, 베트남 철도청에서 운영하며 여객 및 화물 서비스를 제공한다.
  • 한큐 한신 도호 그룹 - 한신 난바선
    한신 난바선은 아마가사키역과 오사카난바역을 잇는 한신 전기철도의 노선으로, 덴포선으로 개통하여 니시오사카선을 거쳐 2009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킨테쓰 난바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광역적인 운행을 실시하는 총 연장 10.1km의 복선 전철 노선이다.
  • 한큐 한신 도호 그룹 - 한신 타이거스
    한신 타이거스는 1935년 창단된 일본 프로야구 센트럴리그 소속 구단으로, 센트럴 리그 6회, 일본 시리즈 2회 우승에 빛나며, 간사이 지역의 인기, 독특한 구단 디자인,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라이벌리, '롯코오로시' 응원가 등으로 유명하다.
한큐 고베 본선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노선 이름한큐 고베 본선
로마자 표기Hankyu Kōbe Honsen
일본어 표기阪急神戸本線
운영 기관한큐 전철
노선 색상"#0000FF" (파랑색)
노선 기호HK
기점오사카우메다역
종점고베산노미야역
역 수19
소재지간사이
차량 기지니시노미야 차량기지
개업일1920년 7월 16일
전 구간 개통일1936년 4월 1일
노선 정보
노선 길이32.3km
궤간1,435mm (표준궤)
선로 수복선
전철화 방식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
최대 속도115km/h
신호 방식자동 폐색식
보안 장치한큐형 ATS (패턴식)
사용 차량
사용 차량1000계
3000계
6000계
7000계
8000계
8200계
9000계
이미지
8000계 전동차
8000계 전동차가 완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 노선 정보

오사카와 고베를 고속으로 연결하기 위해 건설되었기 때문에, 대부분 직선 형태의 선로로 두 도시를 잇는다. 초창기 계획에는 이타미 부근 개발을 위해 이타미 역과 몬도야쿠진 역을 통과하는 북쪽 경로로 허가를 요청했다. 그러나 오사카와 고베 간 단시간 연결을 위해 현재의 경로로 변경되었고, 원래 노선은 연장되어 이타미 선이 건설되었다. 한신 전기 철도 본선과 JR 고베 선(도카이도 본선)보다 산지에 가깝게 주행한다.

직선 구간이 많고 대도시권 내 사철노선으로는 역간 거리가 비교적 길어, 낮 시간대에는 보통열차를 포함해 대부분 구간에서 100km/h 전후(영업최고속도는 115km/h)로 운행한다.[5]

미카게 역 직전(오사카 방면)에는 S자 커브가 있어[84] 이 구간 최고속도는 90km/h로 제한된다. 과거 65km/h 제한이었으나, 선형 개량 공사(완화곡선 연장, 장선화, 캔트 수정)로 1993년 70km/h, 2006년 90km/h로 향상되었다.

간자키가와 역 서측 간자키가와 교량에는 방조문이 설치되어 태풍 접근에 의한 고조(높은 조수)나 지진 후 쓰나미 등에 대한 대책으로 폐쇄 조치가 이루어진다. 이때 우메다 - 소노다 구간은 운휴(소노다 - 주소 구간은 고베 본선만 운휴)하나, 과거 주소 - 간자키가와 구간 상행선만 이용한 왕복 운전이나 소노다 역 왕복선을 이용해 소노다 - 산노미야 구간 보통열차만 왕복 운행하기도 한다. 우메다 - 니시노미야키타구치 구간 대체 노선은 다카라즈카 본선(우메다 - 다카라즈카), 이마즈 (북)선(다카라즈카 - 니시노미야키타구치) 경유 안내가 이루어진다.

이 노선은 보통 '''고베 선'''이라고 불리지만, 넓은 의미로는 간선인 고베 본선과 이타미, 이마즈, 고요 선의 연결 지선 전체 네트워크를 가리킨다.

고베 노선 종착역인 고베에서는 일부 열차가 지하 노선인 고베 급행 전철로 계속 운행하여 고베 지역 여러 통근 열차 회사 노선 간 환승이 가능하다.

고베 본선은 여러 역에서 한큐 전철의 다른 노선과 환승 가능하다. 교토와 다카라즈카로 향하는 한큐 본선은 우메다와 주소 역에서 고베선과 환승역을 공유한다. 고베선과 연결되는 다른 노선은 지역 열차만 운행하는 소규모 노선이다. 이타미선은 쓰쿠구치에서, 이마즈선은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에서, 고요선은 슈쿠가와에서 연결된다.


  • 노선 거리(영업 거리): 오사카우메다역 - 고베산노미야역 간 32.3km
  • 궤간: 1435mm
  • 역 수: 16역 (기종점역 포함)
  • 복선 구간: 전선
  • 전철화 구간: 전선 전철화 (직류 1500V)
  • 폐색 방식: 자동폐색식
  • 최고 속도: 115 km/h[5]
  • 차량기지: 니시노미야 차고
  • 2022년도 혼잡률: 134% (간자키가와 → 주소 7:33-8:33)[13]

3. 노선 특징



한큐 고베 본선은 오사카고베를 고속으로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대부분 직선 형태의 선로를 가지고 있다. 한신 전기 철도 본선과 JR 고베 선(도카이도 본선)보다 산지에 가까운 쪽으로 주행하며, 연선은 한신 모더니즘 문화권에 속한다. 특히 고베시 히가시나다구아시야시, 니시노미야시의 산쪽을 중심으로 간사이 최고의 고급 주택가가 펼쳐져 있다.[8]

직선 구간이 많고, 대도시권 내의 사철 노선으로서는 역간 거리가 비교적 길어, 낮 시간대에는 보통열차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구간에서 100km/h 전후의 속도(영업 최고 속도는 115km/h)로 운행된다.[5] 다만, 미카게 역 직전(오사카 방면)에는 S자 커브가 존재[84]하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는 최고 속도가 90km/h로 제한된다. 이 구간은 과거에는 최고 속도가 65km/h로 제한되어 감속을 강하게 하고 있었는데, 선형 개량 공사(완화곡선 연장·장선화(長線化)·캔트 수정)에 의해 1993년 7월에 최고 속도 70km/h로, 2006년 10월에 최고 속도 90km/h로 향상되었다.

간자키가와 역 서쪽의 간자키가와 교량에는 태풍 접근에 의한 고조(高潮)나 지진 후의 쓰나미 등에 대한 대책으로서 방조문(防潮門)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경우 폐쇄 조치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우메다 - 소노다 구간은 운휴(소노다 - 주소 구간은 고베 본선만 운휴)하나, 과거에는 주소 - 간자키가와 구간에서 상행선만을 이용해 왕복 운전을 하거나, 소노다 역의 회차선을 이용하여 소노다 - 산노미야 구간에 보통열차만 왕복 운행하는 경우도 있었다. 우메다 - 니시노미야키타구치 구간의 대체 노선으로서는, 다카라즈카 본선(우메다 - 다카라즈카)·이마즈 (북)선(다카라즈카 - 니시노미야키타구치)를 경유하라는 안내가 이루어진다.

3. 1. 건설 배경 및 초기 계획

오사카고베를 고속으로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대부분 직선 형태의 선로로 오사카와 고베를 잇는다. 초창기 계획에서는 이타미 부근 개발을 명목으로 부설 허가를 요청하여, 현재보다 북쪽의 이타미역몬도야쿠진역을 통과하는 노선으로 되어 있었다. 이후 오사카와 고베 구간의 단시간 연결을 목적으로 현재의 노선으로 변경되었고, 원래 노선은 연장되어 이타미선이 되었다.[34]

1907년, 무라노 산진 등에 의해 고베에서 아시야, 니시노미야, 미케를 거쳐 고베로 돌아오는 순환 노선인 '''나다 순환 전기 궤도'''가 출원되었다. 그러나 면허가 발급된 구간은 고베시 후쿠아이 - 시바무라(니시노미야역) 간에 불과했다. 1910년다카라즈카 본선미노오선을 개업한 미노오 아리마 전기궤도는 나다 순환 전기 궤도와 연결하여 한신간(오사카와 고베 사이) 연락을 목적으로 1913년주소에서 이타미를 거쳐 몬도에 이르는 노선의 특허를 신청했다. 불황 등으로 나다 순환 전기 궤도의 건설이 중단되자, 미노오 아리마 전기 궤도는 나다 순환 전기 궤도의 궤도 부설권을 양수받아 한신 간 궤도 부설권을 확보했다.

미노오 아리마 전기 궤도는 이를 계기로 노선 단축을 추구하여, 아마가사키 시내에서 현재보다 약간 남쪽의 노선을 구상했으나, 이타미시의 반대에 부딪혀 타협안으로 쓰카구치를 경유하는 현재 노선에 정착했다. 건설 당시에는 오사카에서 해운업을 경영하던 기시모토 겐타로에게 자금 지원을 받았다.[34] 1918년에 미노오 아리마 전기 궤도는 '''한신 급행 전철'''로 사명을 변경하고, 1920년에는 주소 - 고베(후의 가미쓰쓰이) 간을 개업하여 한신 간 수송에 참여했다.

고베 본선은 먼저 개업한 다카라즈카 본선과 마찬가지로 궤도법에 준거하여 부설되었지만, 전 구간에 걸쳐 직선 중심의 선형을 채택하여, 궤도법 본래의 제한 속도였던 시속 25마일(약 40 km/h)보다 높은 시속 35마일(약 56 km/h)의 운행이 인가되었다. 이후 궤도법에 준거하여 시속 110 km/h까지 속도 향상을 실시했다. 건설 당시에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철강 등 자재 가격이 급등하여, 간자키가와역 -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 간에서는 철 사용을 절약하기 위해 일본 최초의 콘크리트전주를 채용했다.

3. 2. 선형 및 속도

오사카와 고베를 빠르게 연결하기 위해 건설되었기 때문에, 대부분 직선 형태의 선로로 이루어져 있다. 초기 계획에는 이타미 부근 개발을 명목으로 이타미 역과 몬도야쿠진 역을 지나는 경로로 허가를 요청했지만, 이후 오사카와 고베 구간의 빠른 연결을 위해 현재의 경로로 변경되었다. 이 때문에 원래 노선은 연장되어 이타미 선이 되었다. 또한, 한신 전기 철도 본선과 JR 고베 선(도카이도 본선)보다 산지에 가까운 쪽으로 지나간다.

직선 구간이 많고, 대도시권 내의 사철 노선으로는 역간 거리가 비교적 길어, 낮 시간대에는 보통열차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구간에서 100km/h 전후의 속도(영업 최고 속도는 115km/h)로 운행된다.[5]

하지만, 미카게 역 직전(오사카 방면)에는 S자 커브가 있어[84] 이 구간에서는 최고 속도가 90km/h로 제한된다. 과거에는 65km/h로 제한되었으나, 선형 개량 공사(완화곡선 연장·장선화(長線化)·캔트 수정)를 통해 1993년 7월에 70km/h, 2006년 10월에 90km/h로 향상되었다.

간자키가와 역 서쪽의 간자키가와 교량에는 방조문(防潮門)이 설치되어 태풍으로 인한 고조(高潮)나 지진 후의 쓰나미 등에 대비하고 있다. 이 경우 폐쇄 조치가 이루어지면, 우메다 - 소노다 구간은 운휴(소노다 - 주소 구간은 고베 본선만 운휴)한다. 과거에는 주소 - 간자키가와 구간에서 상행선만으로 왕복 운행하거나, 소노다 역의 회차선을 이용하여 소노다 - 산노미야 구간에 보통열차만 왕복 운행하기도 했다. 우메다 - 니시노미야키타구치 구간의 대체 노선으로는 다카라즈카 본선(우메다 - 다카라즈카)·이마즈 (북)선(다카라즈카 - 니시노미야키타구치) 경유가 안내된다.

3. 3. 방조문

간자키가와역 서쪽에 있는 간자키가와 교량에는 방조문(防潮門)이 설치되어 있다. 이는 태풍 접근으로 인한 고조(높은 해일)나 지진 발생 후의 쓰나미(지진 해일) 등에 대한 대책으로, 필요시 폐쇄 조치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우메다 - 소노다 구간은 운행이 중단된다 (소노다 - 주소 구간은 고베 본선만 운휴). 과거에는 주소 - 간자키가와 구간에서 상행선만을 이용해 왕복 운전을 하거나, 소노다 역의 회차선을 이용하여 소노다 - 산노미야 구간에 보통열차만 왕복 운행하는 경우도 있었다. 우메다 - 니시노미야키타구치 구간의 대체 노선으로는 다카라즈카 본선(우메다 - 다카라즈카) 및 이마즈 (북)선(다카라즈카 - 니시노미야키타구치) 경유가 안내된다.

3. 4. 연선 지역

오사카와 고베를 빠르게 연결하기 위해 건설되었기 때문에, 대부분 직선 형태의 선로로 오사카와 고베를 잇는다. 초기 계획에는 이타미 부근 개발을 명목으로 이타미 역과 몬도야쿠진 역을 지나는 노선으로 허가를 요청했다. 그러나 오사카와 고베 구간을 단시간에 잇기 위해 현재의 노선으로 변경되었고, 원래 노선은 연장되어 이타미 선이 되었다. 또한 한신 전기 철도 본선과 JR 고베 선(도카이도 본선)보다 산지에 가까운 쪽으로 주행한다.[8]

직선 구간이 많고, 대도시권 내의 사철 노선으로서는 역 간 거리가 비교적 길어, 낮 시간대에는 대부분의 구간에서 100km/h 전후의 속도(영업 최고 속도는 115km/h)로 운전된다.

미카게 역 직전(오사카 방면)에는 S자 커브가 있어[84], 이 구간에서는 최고 속도가 90km/h로 제한된다. 과거에는 최고 속도가 65km/h로 제한되었으나, 선형 개량 공사(완화 곡선 연장·장선화(長線化)·캔트 수정)로 1993년 7월에 70km/h, 2006년 10월에 90km/h로 향상되었다.

간자키가와 역 서쪽의 간자키가와 교량에는 방조문(防潮門)이 설치되어 태풍으로 인한 고조(高潮)나 지진 후의 쓰나미 등에 대비한다. 이 경우 폐쇄 조치가 이루어지면, 우메다-소노다 구간은 운휴(소노다-주소 구간은 고베 본선만 운휴)한다. 과거에는 주소-간자키가와 구간에서 상행선만 이용해 왕복 운전을 하거나, 소노다 역의 회차선을 이용해 소노다-산노미야 구간에 보통 열차만 왕복 운행하기도 했다. 우메다-니시노미야키타구치 구간의 대체 노선으로는 다카라즈카 본선(우메다-다카라즈카)·이마즈 (북)선(다카라즈카-니시노미야키타구치) 경유가 안내된다.

연선은 한신 모더니즘 문화권에 위치하며, 특히 고베시 히가시나다구, 아시야시, 니시노미야시의 산쪽을 중심으로 간사이 최고의 고급 주택가가 펼쳐져 있다.

4. 운행 형태

평일, 토요일과 공휴일에는 5시부터 22시경까지 특급과 보통 열차의 배차 간격을 대부분 10분으로 조정한 다이어가 기본이다. 22시 이후에는 특급 대신 쾌속급행(준특급)이 운행된다.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통근특급과 오사카우메다 방면으로만 운행하는 통근급행이 추가 운행되며, 평일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고베산노미야 방면으로만 운행되는 통근급행이 운행된다.

토요일에는 휴일 다이어가 적용된다. 이전에는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평일 다이어, 일요일과 공휴일에는 휴일 다이어가 적용되었으나, 1992년 12월에 다카라즈카 선, 1993년 2월에 교토 선에서 휴일 다이어가 적용되었다. 당시 상호 직통 운전을 하던 산요 전기 철도 본선, 고베 고속 철도 도자이 선에 입선하던 한신 전기 철도에서 같은 날부터 토요 다이어가 도입되었다. 이 토요 다이어는 2006년 10월 28일 다이어 개정[85] 이후 폐지된 휴일 다이어와 통합되었다.

한큐 전철은 고베 고속 철도 도자이 선 고베산노미야 - 신카이치 구간의 제2종 철도사업자로, 고베산노미야부터 신카이치까지 직통 운전을 하고 있다.

한큐 고베 본선 열차 종류별 정차역
역명준급통근급행급행쾌속급행
(준특급)
통근특급특급비고
오사카우메다
나카쓰
주소
간자키가와
소노다
쓰카구치
무코노소
니시노미야키타구치
슈쿠가와이마즈 선에서 직통
아시야가와이마즈 선에서 직통
오카모토이마즈 선에서 직통
미카게이마즈 선에서 직통
롯코이마즈 선에서 직통
오지코엔이마즈 선에서 직통
가스가노미치이마즈 선에서 직통
고베산노미야이마즈 선에서 직통
colspan="8" |


4. 1. 열차 종류

한큐 고베 본선에는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각 열차는 정차역과 운행 시간대에 차이가 있다.

열차 종류운행 시간주요 특징 및 정차역
특급이른 아침, 심야 제외 종일오사카우메다-신카이치 구간 운행. 고베 본선의 대표적인 종별. 1930년 운행 개시 이래 전시 상황과 한신·아와지 대지진 직후를 제외하고는 계속 운행. 니시노미야키타구치 이서 구간은 115km로 운행(A특급).[85]
통근특급평일 아침이타미 선 접속역인 쓰카구치 추가 정차. 10량 편성 운행.[85] 쾌속급행과 다른 점은 롯코 통과.
직통특급봄·가을 행락 기간2008년 가을부터 운행 개시. 아라시야마까지 직통. 6량 편성. 한큐 전철 7000계 전동차 특정 편성 사용. 주소 역에서 스위치 백 운전.
쾌속급행이른 아침, 22시 이후심야 속달형 우등열차. 1987년 12월 운행 개시. 통근특급과 달리 롯코에 정차.[85]
급행이른 아침, 평일 아침·심야쓰카구치 - 고베산노미야 구간 각역 정차.
통근급행평일 아침·저녁무코노소 역 이용객 증가로 오사카우메다 - 소노다 구간 혼잡 완화 목적. 1995년 6월 운행 개시.
보통종일모든 역 정차.
준급평일 아침다카라즈카에서 이마즈 선 경유, 오사카우메다까지 운행.



낮 시간에는 모든 역에 정차하는 보통열차와 주요 역에만 정차하는 특급열차만 운행된다.[4] 그 외의 통근열차와 급행열차는 이른 아침, 출퇴근 시간, 그리고 늦은 밤에만 운행된다.[4]

승무원은 모든 열차에서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에서 교대하며, 교대하는 승무원은 경적을 울리는 경우가 있다.

4. 2. 다이어

한큐 고베 본선의 열차 운행 등급(다이어)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9000계 열차가 운행하는 신카이치행 특급


낮에는 모든 역에 정차하는 보통(普通)열차와 주요 역에만 정차하는 특급(特急)열차만 운행된다. 그 외의 통근열차와 급행열차는 이른 아침, 출퇴근 시간, 그리고 늦은 밤에만 운행된다.[4]

  • 보통(普通): 하루 종일 모든 역에 정차한다. 대부분 오사카우메다역과 고베산노미야역을 운행하지만,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에서 출발하거나 종착하는 열차도 있다.
  • 준급(準急): 평일 아침에 다카라즈카역에서 이마즈 선과 고베 선을 경유하여 오사카우메다역까지 운행된다.
  • 통근급행(通勤急行): 평일 아침에 고베산노미야역에서 오사카우메다역으로, 저녁 러시아워에는 오사카우메다역에서 고베산노미야역으로 운행된다.
  • 급행(急行): 늦은 밤에 오사카우메다역에서 고베산노미야역 또는 신카이치역까지 운행되며, 주말 아침에는 동쪽으로 향하는 열차가 1편 운행된다.
  • 준특급(準特急): 저녁에 오사카우메다역에서 고속 고베 또는 신카이치역까지 운행되며, 오사카우메다역 방향으로 향하는 열차가 이른 아침에 1편 운행된다.
  • 통근특급(通勤特急): 평일 아침에 양방향으로 운행된다. 일부 열차는 10량으로 구성되며, 마지막 칸(오사카우메다 방향) 또는 첫 칸(고베산노미야 방향)은 여성 전용이다.
  • 특급(特急): 이른 아침과 늦은 밤을 제외하고 하루 종일 양방향으로 운행된다.


한큐 고베 본선 열차 종류별 정차역
역명준급통근급행급행쾌속급행
(준특급)
통근특급특급비고
오사카우메다
나카쓰
주소
간자키가와
소노다
쓰카구치
무코노소
니시노미야키타구치
슈쿠가와이마즈 선에서 직통
아시야가와이마즈 선에서 직통
오카모토이마즈 선에서 직통
미카게이마즈 선에서 직통
롯코이마즈 선에서 직통
오지코엔이마즈 선에서 직통
가스가노미치이마즈 선에서 직통
고베산노미야이마즈 선에서 직통
colspan="8" |



각 열차 종류별 상세는 다음과 같다.

=== 특급 ===

8000계 전동차로 운행하는 통근 급행


고베 본선에서 가장 빠른 열차로, 심야를 제외하고 거의 하루 종일 운행된다. 기본적으로 오사카우메다역 - 신카이치역 구간을 운행하지만, 새벽에는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 출발 신카이치행이 있으며, 아침 저녁에는 오사카우메다역 - 고속고베역 구간 운행도 있다. 2022년 12월 17일 시각표 개정 이후, 주고역 -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 구간에서 최고 115km/h, 그 외 구간에서는 최고 110km/h로 운행하고 있으며, 오사카우메다역 - 고베산노미야역 구간을 상하행 열차 모두 최고 27분 20초(정차 시간 포함 속도: 70.9km/h, 평균 속도: 76.8km/h)만에 주파하고 있다.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에서 보통 열차와 접속하며, 오사카우메다 방면 열차는 고베산노미야역에서 보통 열차와 접속한다. 고속고베역에서는 한신의 보통 열차와 접속한다.

1930년 운행 개시 이후, 전시 중과 한신·아와지 대지진 직후를 제외하고, 거의 계속 설정되어 있다. 1930년 운행 개시 당시의 중간 정차역은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뿐이었고, 1937년에 주고역을 추가[18]한 이후로는 오랫동안 주고역과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뿐이었다.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인 1995년 6월 12일 시각표 개정으로 오카모토역에, 2006년 10월 28일 시각표 개정으로 스카와역에 각각 새롭게 정차하게 되었다.[15][16]

=== 준특급 ===

새벽과 심야에 운행되는 준특급 열차이다. 오사카우메다역과 신카이치역 간을 운행하며, 중간역인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에서 보통 열차와 접속한다. 신카이치역 출발 오사카우메다역 행 열차는 새벽에 1편이 운행될 뿐, 대부분은 야간에 운행된다.

2022년 12월 17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쾌속급행"(快速急行)의 정차역 등 운행 형태는 그대로 유지하고, 열차 종별명만 변경하는 형태로 설정되었다.

=== 급행 ===

이타미 선과 연결되는 역인 쓰카구치역과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 - 고베산노미야역 사이 각 역에 정차하는 준급행(急行) 열차는 평일 심야 및 토·공휴일 새벽, 심야에 운행된다.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전에는 평일 아침·저녁 러시아워와 심야, 휴일 오전·오후·심야에 운행되었다. 휴일 오전과 오후의 준급행은 우메다역 -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 구간 운행이었으며, 한신 경마장에서 경마가 개최되는 날에는 우메다역 - 니가와 구간의 임시 준급행이 되고,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 발착 준급행은 운행을 중지했다.

=== 통근급행 ===

평일 아침과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 모든 열차가 8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아침 러시아워에는 고베산노미야역에서 오사카우메다 방면으로, 저녁 러시아워에는 오사카우메다 방면에서 고베산노미야 방면으로 운행된다. 이타미선과의 환승역인 쓰카구치역 외에, 다른 우등열차가 통과하는 무코노소역에도 정차한다. 쓰카구치역~고베산노미야역 구간은 각역정차하며, 이 시간대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 발착의 보통열차를 보완하는 역할도 한다.

1995년 6월 다이어 개정으로 운행을 개시했다. 당초에는 평일 아침 상행 급행을 대체하는 형태로 산노미야발 우메다행이 설정되었다. 2001년 3월 다이어 개정에서는 평일 저녁 하행에도 급행을 대체하는 형태로 운행되기 시작했다.

4. 3. 접속

한큐 전철은 고베 고속 철도 도자이 선 고베산노미야~신카이치 구간의 제2종 철도사업자로, 고베산노미야부터 신카이치까지 직통 운전을 하고 있다. 고베 노선의 종착역인 고베에서는 일부 열차가 지하 노선인 고베 급행 전철로 계속 운행하여 고베 지역에서 운영되는 여러 통근 열차 회사의 노선 간 환승이 가능하다.

고베 본선은 우메다와 주소 역에서 교토와 다카라즈카로 향하는 한큐 본선과 환승역을 공유한다. 또한, 쓰카구치에서 이타미선,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에서 이마즈선, 슈쿠가와에서 고요선과 같이 지역 열차만 운행하는 소규모 노선과도 연결된다.

5. 사용 차량

2020년 3월 14일 열차 운행 개정 이후 모든 열차는 원핸들 마스콘 차량으로 운행되고 있다.[33] 기본적으로 (토요일, 휴일은 모든 열차) 8량 편성으로 운행되지만,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오사카우메다역 쪽에 2량을 증결하여 10량으로 운행하는 열차가 몇 편 있다. 교토 본선과의 직통특급은 6량으로 운행된다. 니시노미야 차고에서의 입출고로 본 노선을 경유하는 이타미 선, 코요 선의 차량은 각각 "阪急伊丹線#運行形態・車両", "阪急甲陽線#現在の車両" 문서를 참조한다.

5. 1. 현재 사용 차량

2021년 9월 현재, 한큐 고베 본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7000계


1000계


2020년 3월 14일 열차 운행 개정 이후 모든 열차는 원핸들 마스콘(ワンハンドルマスコン) 차량으로 운행되고 있다.[33] 기본적으로 (토요일, 휴일은 모든 열차) 8량 편성으로 운행되지만,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오사카우메다역 쪽에 2량을 증결하여 10량으로 운행하는 열차가 몇 편 있다. 교토 본선과의 직통특급은 6량으로 운행된다. 니시노미야 차고에서의 입출고로 본 노선을 경유하는 이타미 선, 코요 선의 차량은 각각 "阪急伊丹線#運行形態・車両", "阪急甲陽線#現在の車両" 문서를 참조한다.

5. 2. 과거 사용 차량


  • 5000계
  • 3000계[33]
  • 5100계
  • 5200계
  • 2200계 - 형식으로서는 소멸.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폐차 차량을 제외하고는 전장 해제 후 6000계에 편입되었고, 2019년에 7000계에 편입되었다.
  • 2300계(초대) - 교토선용 차량으로, 3300계의 대량 투입에 맞춰 1969년부터 2년 정도 고베선으로 전속되어 산요 전철선에도 직통 운행했다.
  • 2800계 - 교토선용 차량으로, 편성으로서의 운용은 없고, 5000계나 5200계의 편성 내에 짜넣어 운용된 것 외에 고별 운전에서도 고베 본선을 주행했다.
  • 2021계
  • 2000계
  • 1200계
  • 1100계
  • 1010계
  • 1000형(초대)
  • 810계
  • 800계
  • 610계
  • 920계
  • 900형
  • 600형
  • 300형
  • 98형
  • 96형
  • 51형
  • 1형


1998년 2월까지 산요 전기 철도에서 롯코역까지 직통 운행을 실시했을 때 사용된 차량은 다음과 같다.

  • 5030계
  • 5000계
  • 3050계
  • 3000계
  • 2700계 - 산요에서 직통 운행한 유일한 궤도 전동차
  • 2000계

6. 역 목록

영업
킬로미터누계
영업
킬로미터준급통근 급행급행준특급통근 특급특급접속 노선소재지HK-01오사카우메다역-0.0●●●●●●한신 전기철도 한신 본선 (오사카우메다역: HS 01)
오사카 시영 지하철 미도스지선 (우메다역: M16), 다니마치선 (히가시우메다역: T20), 요쓰바시선 (니시우메다역: Y11)
서일본 여객철도 JR 교토선JR 고베선, JR 다카라즈카선, 오사카 동선, 오사카 환상선 (오사카역: JR-A47・JR-G47・JR-F01・JR-O11), JR 도자이선 (키타신치역: JR-H44)오사카부 오사카시기타구HK-02나카쓰역0.90.9↑|||||HK-03주소역1.52.4●●●●●●한큐 전철 다카라즈카 본선교토 본선요도가와구HK-04간자키가와역1.74.1↑|||||HK-05소노다역3.17.2↑|||||효고현아마가사키시HK-06쓰카구치역3.010.2●●●●●|한큐 전철 이타미선HK-07무코노소역2.112.3↑●||||HK-08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
(한큐 니시노미야 가든즈 앞)3.315.6↑●◆●●●한큐 전철 이마즈선 (오사카우메다 방면과 일부 직통 운행)니시노미야시HK-09슈쿠가와역2.718.3rowspan="8"|●●●●●한큐 전철 고요선HK-10아시야가와역2.721.0●●|||아시야시HK-11오카모토역2.423.4●●●●●고베시히가시나다구HK-12미카게역2.225.6●●|||HK-13록코역1.827.4●●●||나다구HK-14오지코엔역
(오지동물원・오지 스타디움 앞)1.829.2●●|||HK-15카스가노미치역1.530.7●●|||주오구HK-16고베산노미야역1.632.3●●●●●한큐 전철 고베 고속선 (일부 직통 운행)
한신 전기철도 본선 (HS 32)
고베 시영 지하철 세이신·야마테선 (산노미야역:S03), 가이간선 (산노미야·하나토케이마에역:K01)
고베 신교통 포트 아일랜드선 (산노미야역:P01)
서일본 여객철도 JR 고베선 (산노미야역:JR-A61)직통 운행 구간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에서
○준급…이마즈선 다카라즈카까지
○임시 급행…이마즈선 니가와역까지
고베산노미야역에서
○보통·급행·준특급·통근 특급·특급…고베 고속선 신카이치역까지


::●:정차, ◆:이마즈선 직통 열차만 통과, |↑:통과, ↑:편도 운행만

7. 역사

한큐 고베 본선은 1920년 한신 급행 전철에 의해 주소역 - 고베역(후의 가미쓰쓰이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역사가 시작되었다. 1926년에는 우메다 - 주소역 구간이 고가화되어 다카라즈카 본선과 분리되었고, 1930년에는 특급 운행이 시작되어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에만 정차하며 전 구간을 30분에 연결했다. 1934년에는 특급 소요시간이 25분으로 단축되어 '한신 간 25분'이라는 문구는 '쾌속 한큐'를 상징하는 표현이 되었다.

1936년에는 니시나다(현재의 오지코엔역) - 고베(현재의 고베산노미야역) 구간이 개통되었고, 기존 고베역가미쓰쓰이역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니시나다 - 가미쓰쓰이역 구간은 가미쓰쓰이선이 되었다. 특급은 노선 연장에도 불구하고 25분 운행을 유지했다. 같은 해 소노다역이, 1937년에는 무코노소역이 개업했다. 1940년에는 가미쓰쓰이선이 폐지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으나, 1947년 급행이, 1949년에는 특급이 부활했다. 특급은 소요시간 30분에 낮 시간대 12분 간격으로 운행되었으며, 주소역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에 정차했다. 같은 해 최고 속도 110km/h가 인가되었고, 고베역 - 게이한신쿄토역(현재의 오미야) 구간 직통 특급 운행이 시작되었다. 1950년에는 특급 소요시간이 28분으로 단축되었고, 1951년에는 고베역 - 게이한신쿄토역 구간 직통 특급이 폐지되었다. 1953년에는 평일 낮 시간대 운행 간격이 10분으로 단축되어 특급과 보통 열차가 10분 간격으로 운행되는 체제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1957년에는 평일 아침 이마즈선 직통 준급 운행이 시작되었다.

1967년에는 가선 전압이 600V에서 1500V로 승압되었다. 1968년에는 고베 고속 철도 방면으로 직통 운행이 시작되었고(산노미야역 이서 구간은 회송 취급), 고베 고속 철도 및 산요 전기 철도와 상호 직통 운행이 개시되면서 고베역산노미야역으로 변경되었다. 1970년에는 평일 아침저녁으로 산노미야역에서 스마우라코엔역 발착 특급의 증결·해방 운용이 시작되었다. 1978년에는 전 구간이 궤도법에서 지방철도법에 따른 철도로 변경되었고, 1979년에는 소노다역 부근이 고가화되었다.

1984년에는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의 평면교차가 해소되었고, 휴일의 스마우라코엔역 직통 열차는 모두 보통열차가 되었다. 같은 해 롯코역 구내에서 산요 전기 철도 회송열차와의 충돌사고가 발생했으며, 니시나다역오지코엔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85년에는 평일 아침 특급이 10량 1편성으로 운행되기 시작했다. 1987년 다이어 개정에서는 주소역, 쓰카구치역,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 슈쿠가와역, 롯코역에 정차하는 쾌속급행이 운행을 시작했고, 특급은 한신 간 26-27분으로 더욱 빨라졌다. 휴일 낮 시간대에도 10분 간격 운행이 이루어졌으며, 평일 아침저녁을 제외한 스마우라코엔역 직통열차는 보통열차로 변경되었다. 1993년에는 우메다 - 산노미야역 구간 특급이 25분 운행으로 다시 단축되었다.

1995년에는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전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순차적으로 복구되었다. 6월 12일 전 구간 운전이 재개되면서 다이어 개정이 이루어져 특급 정차역에 쓰카구치역을 추가한 통근특급, 급행 정차역에 무코노소역을 추가한 통근급행이 운행을 시작했고, 오카모토역이 모든 특급 열차의 정차역이 되었다. 이마즈 (북)선을 경유하는 저녁 준급 운행도 시작되었다. 8월에는 고베 고속 철도 도자이선 신카이치역 - 고소쿠나가타역 구간 복구에 따라 산요 전기 철도 스마우라코엔역까지 직통 운전이 재개되었고, 스마우라코엔역 직통은 평일과 공휴일 모두 종일 특급이 주체가 되었다.

1998년에는 산요 전기 철도와의 상호 직통 운행이 중지되고 고베 고속 철도 신카이치역까지 직통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2001년에는 이마즈 (북)선을 경유하는 저녁 준급이 폐지되고 모든 열차가 8량 1편성화되었다. 2006년에는 낮 시간대 간자키가와역 -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 구간 최고 속도가 115km/h로 인상(한큐 전철 내 최고 속도이자 일본 사철 중 4위)되었고, 특급과 통근특급이 슈쿠가와역에 새롭게 정차하게 되었다. 2010년에는 노선도 상의 '고베 선' 표기가 '고베 본선'으로 통일되었으며, 2013년에는 산노미야역이 고베산노미야역으로, 2019년에는 우메다 역이 오사카우메다역으로 변경되었다.

7. 1. 연표

7. 2. 향후 사업 계획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과 쓰카구치역 사이 무코가와 부근에 새 역이 건설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에는 자전거 주차장 건설과 주변 도로 재정비에 약 600억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3] 2022년 10월 철도 회사와 국고 간 역 건설 협약이 체결되었다.

오봉 기간과 연말 평일 아침에는 혼잡 완화를 위해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 출발 오사카우메다역 도착 보통열차가 임시 증편된다. 나니와 요도가와 불꽃놀이 대회 당일에도 시작 직전 저녁부터 야간까지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 출발 오사카우메다역 도착 보통열차, 종료 후 야간에는 오사카우메다역 출발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 도착 보통열차가 각각 증편된다(모두 소노다역에서 특급을 피한다).

7. 2. 1. 고베 시영 지하철 세이신·야마테 선과 상호 직통 운전 구상

2004년 10월 근기지방교통심의회 답신 제8호에서 "기존 시설 개량에 관해 검토해야 할 주요 사업" 중 "환승 편리성 향상에 기여하는 사업"으로 세이신·야마테 선과의 상호 직통운전이 포함되었다.[67]

가스가노미치 역 이서를 지하화하여 직통한다는 것으로, 실현될 경우 현재의 고베산노미야역이나 고베 고속철도와의 상호 직통운전은 폐지될 가능성도 있다.[68][69] 다만, 2004년 당시에는 고베 시 측이 난색을 표하고 있다는 보도도 있었고,[68][69][70][71] 그 후 진전이 없었다. 2013년 12월에는 구모토 기조 고베 시장이 한큐 고베 본선과 고베 시영 지하철 세이신·야마테 선의 직통 운전안 검토에 들어갈 생각을 밝혔다는 보도가 있었다.[72]

2017년 11월, 고베 신문의 취재에 의해, 종래의 고베산노미야 역에서 접속하는 노선 이외에, 오지코엔역에서 지하선을 건설하여 신고베역에서 접속하는 노선, 고베 고속철도 동서선(한신 고베 고속선) 고속나가타역 또는 산요 전기철도 본선 이타야도역에서 접속하는 노선이 후보로 되어 있다고 보도되었다.[73]

그러나 고베 시내는 JR, 한큐, 한신, 산요 전기철도 등이 운행하여 동서 교통의 편리성이 높다는 등의 이유로, 많은 투자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제한적이라고 추계되어, 고베 시는 직통 운전 구상을 철회하지는 않지만 사업화는 당분간 보류하기로 결정했다.[74]

7. 2. 2. 오사카 시영 지하철 요쓰바시 선과 상호 직통 운전 구상

킨키 지방 교통 심의회 건의 제8호에서는 한큐·오사카시의 제안에 따라 오사카 메트로 센바시선 니시우메다역 - 키타우메다역(가칭) - 주소역 간 2.9km를 연장하는 안이 '중장기적으로 바람직한 철도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새로운 노선'에 포함되었다.[67] 2004년 8월에는 "2015년경을 목표로 센바시선을 주소역까지 연장하여 한큐 고베 본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실시한다"는 보도도 있었다. 그러나 이 건의는 한큐와의 직통 운전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고, 현실적으로는 집전 방식의 차이와 한신 본선 터널이 연장의 장애가 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실현 가능성이 의문시되었다. 2006년 12월 센바시선의 주소역 연장 구상과 한큐 신오사카 연락선 정비 구상이 함께 보도되면서,[75] 한큐 고베 본선과 센바시선의 상호 직통 운전 관련 내용은 수렴하는 경향을 보인다.

참고로, 이 건의 제8호에서는 교토 본선과 고베 본선의 상호 직통 운전이 "기존 시설의 개량에 관해 검토해야 할 주요 사업"으로 제기되었다.[67]

7. 2. 3. 신역 설치 계획

무코가와 교량 위에 신역(가칭 '''무코가와 신역''')을 설치하는 구상이 있다.[76] 1942년 구 가와라무라가 니시노미야시와 합병할 당시 주고받은 각서에 구 가와라무라 근처에 신역을 설치하는 것을 조건으로 요구했던 내용이 있었으며,[76]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무코가와 교량 교체 공사를 할 때 상하선 사이에 섬식 승강장을 설치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확보되면서 신역 설치 움직임이 나타났다.

2000년에는 '한큐 무코가와역 유치 추진 협의회'가 결성되어 1만 명이 넘는 서명을 첨부한 진정이 니시노미야 시의회에서 채택되었고, 당시 야마다 토모지 니시노미야 시장도 의욕을 보였다.[77] 한큐 전철 스미 요시오 사장도 긍정적인 의향을 보였으나, 시장 교체 등으로 움직임이 중단되었다. 아마가사키시 측은 시 재정난을 이유로 설치에 소극적이었다.[78]

2012년 니시노미야시가 신역 설치를 위한 조사비를 계상하면서 다시 움직임이 시작되었고,[79][82] 2013년에는 니시노미야시와 현, 한큐 전철이 만드는 검토회에 아마가사키시가 참가하게 되었지만, 여전히 신중한 태도였다.[78]

2021년 9월 3일, 한큐 전철·효고현·니시노미야시·아마가사키시로 구성된 검토회에서 사업 구체화를 위한 검토에 들어가기로 합의했다.[80][78] 구상에 따르면, 신설되는 승강장은 현재의 교각을 활용하여 선로 사이 안쪽에 단면 승강장을 각각 설치하는 2면 2선으로 하고, 가동식 승강장 스크린도어,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도 설치된다. 개찰구는 니시노미야시 측과 아마가사키시 측에 각각 1곳씩 설치된다.[81]

건설 비용은 역 공사에 500억, 자전거 주차장 및 주변 공사에 100억 등 약 600억으로 예상된다.[78] 승하차 승객 수는 인근 역 등으로부터의 전이로 2만 2623명으로 산출되었으며, 양 시 측 모두 도보 또는 자전거로의 교통 접근을 상정하고 있다.[78]

2022년 11월 1일, 니시노미야시, 아마가사키시, 한큐 전철 3자가 신역 설치를 위한 합의서에 조인함으로써 신역 설치가 공식적으로 결정되었다. 개업 시기는 미정이다.[76]

7. 2. 4. 연속 입체 교차 사업

서궁시는 시도 나카쓰하마선에서 병목 현상을 일으키고 있는 차고 옆 건널목(서궁차고 동쪽) 등 3곳의 건널목 폐지를 목적으로 무코가와 교량 - 서궁북구역 구간에서 연속 입체 교차 사업(철도 고가화)을 검토하고 있다.[82]

참조

[1] 논문 週刊 歴史でめぐる鉄道全路線 大手私鉄 2010-10
[2] 웹사이트 「西山天王山」駅開業にあわせて、「三宮」「服部」「中山」「松尾」4駅の駅名を変更し、全駅で駅ナンバリングを導入します https://megalodon.jp[...] 2013-04-30
[3] 웹사이트 阪急神戸線「武庫川新駅」2市と阪急電鉄が基本合意 開業時期や負担割合は? {{!}} 鉄道ニュース【鉄道プレスネット】 https://news.railway[...] 2022-11-01
[4] 웹사이트 2022年12月17日(土)初発より阪急全線(神戸線・宝塚線・京都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 https://www.hankyu-h[...] Hankyu Corporation 2022-10-12
[5] 서적 阪急電鉄のひみつ PHP研究所
[6] 웹사이트 神戸線 https://www.hankyu.c[...] 阪急電鉄 2023-04-01
[7] 웹사이트 旅客営業規則 https://www.hankyu.c[...] 阪急電鉄 2023-04-01
[8] 기타
[9] 웹사이트 阪急・阪神の“100年戦争” 現実の統合劇にもテレビさながらのドラマ https://www.sankeibi[...] 産経新聞社 2015-10-25
[10] 웹사이트 2020年7月16日、阪急神戸線が開通100周年を迎えます https://www.hankyu-h[...] 阪急電鉄 2020-07-01
[11] 뉴스 阪急神戸線が開業100年 「綺麗で早うて。ガラアキで…」 当時、広告も話題に https://mainichi.jp/[...] 2020-07-16
[12] 뉴스 阪急神戸線開通100年 時代駆け抜け1世紀 写真で回顧 https://www.kobe-np.[...] 2020-07-17
[13] 웹사이트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4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3-07-14
[14] 뉴스 阪急神戸線で人身事故、一時運転見合わせ 25日深夜に再開 https://www.kobe-np.[...] 神戸新聞社 2021-12-25
[15] 웹사이트 神戸線におけるATS(自動列車停止装置)の改良と、神戸線・宝塚線の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holdings.hank[...] 阪急電鉄プレスリリース 2006-06-22
[16] 웹사이트 阪急電鉄・能勢電鉄のダイヤ改正の実施日について http://www.hankyu-ha[...] 阪急電鉄プレスリリース 2006-08-03
[17] 기타
[18] 기타
[19] 보도자료 2022年12月17日(土)初発より 阪急全線(神戸線・宝塚線・京都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 ~2024年に京都線で座席指定サービスを開始します~ https://www.hankyu-h[...] 阪急電鉄 2022-10-12
[20] 보도자료 2025年2月22日(土)初発より阪急神戸線・宝塚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https://www.hankyu-h[...] 阪急電鉄 2025-02-22
[21] 웹사이트 秋の嵐山へは便利な直通列車で! https://www.hankyu.c[...] 阪急電鉄 2019-11
[22] 웹사이트 阪急神戸線・宝塚線のラッピング列車の愛称が決定 https://railf.jp/new[...] 2016-03-28
[23] 웹사이트 春の臨時列車運転のご案内 http://tokk.hankyu-a[...] 阪急電鉄 2016-03-29
[24] 웹사이트 阪急で嵐山への臨時直通列車運転 http://railf.jp/news[...] 2016-05-01
[25] 웹사이트 阪急神戸線・宝塚線・京都線のラッピング列車デザインをリニューアル https://railf.jp/new[...] 2018-11-18
[26] 웹사이트 春の臨時直通列車情報 http://www.hankyu.co[...] 阪急電鉄 2018
[27] 웹사이트 神戸ルミナリエ開催にあわせて運転の臨時列車ご案内 http://www.hankyu.co[...] 2015-12-08
[28] 기타
[29] 간행물 POST 交友社 1993-11
[30] 기타
[31] 기타
[32] 간행물 関西の鉄道 関西鉄道研究会 2007
[33] 웹사이트 阪急3000系3054編成が正雀へ http://railf.jp/news[...] 2012-12-05
[34] 논문 電気車研究会 2016-04
[35] 논문 交通のあゆみ(上) https://www.graphkob[...] 神戸市 1979-12
[36] 서적 ひょうご 懐かしの鉄道 神戸新聞総合出版センター
[37] 서적 レイル No.47 プレス・アイゼンバーン
[38] 일반
[39] 서적 レイル No.47 プレス・アイゼンバーン
[40] 일반
[41] 웹사이트 阪神電鉄との梅田・三宮間通勤定期券の相互利用について http://rail.hankyu.c[...]
[42] 뉴스 梅田-三宮間通勤定期 阪急、阪神どちらもOK 新サービスで定期客増狙う 交通新聞社 1996-09-24
[43] 서적 レイル No.47 プレス・アイゼンバーン
[44] 일반
[45] 일반
[46] 일반
[47] 일반
[48] 서적 100年のあゆみ 部門史
[49] 서적 100年のあゆみ 部門史
[50] 뉴스 関西五私鉄 保安度向上へ急ピッチ 各社がATS設置へ 交通協力会 1968-02-21
[51] 서적 平成6年度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52] 서적 平成7年度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53] 뉴스 阪神間の鉄道分断状態 交通新聞社 1995-01-19
[54] 학술지 阪神大震災から1年 鉄道ジャーナル社 1996-04
[55] 학술지 交友社 1995-08
[56] 학술지 電気車研究会 1998-04
[57] 일반
[58] 서적 平成16年度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59] 서적 平成17年度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60] 뉴스 阪急電鉄、節電運行スタート 8両を6両へ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1-07-25
[61] PDF 〜すべてのお客様に、よりわかりやすく〜「西山天王山」駅開業にあわせて、「三宮」「服部」「中山」「松尾」4駅の駅名を変更し、全駅で駅ナンバリングを導入します http://holdings.hank[...] 阪急阪神ホールディングス 2013-04-30
[62] PDF 阪急京都線 大山崎駅〜長岡天神駅間で建設中の『西山天王山駅』を2013年12月21日に開業します! http://holdings.hank[...] 阪急阪神ホールディングス 2013-06-05
[63] 학술지 電気車研究会 2016-04
[64] 보도자료 「梅田」「河原町」「石橋」の駅名を10月1日に変更します https://www.hankyu.c[...] 阪急電鉄 2019-07-30
[65] 보도자료 阪急電鉄神戸市内線高架橋が「土木学会選奨土木遺産」に認定されました https://www.hankyu-h[...] 阪急電鉄 2020-10-05
[66] 뉴스 踏切に無人の車が進入か 阪急神戸線で脱線事故 https://www.kobe-np.[...] 2020-11-24
[67] PDF 第8回近畿地方交通審議会資料 https://wwwtb.mlit.g[...] 近畿地方交通審議会
[68] 웹사이트 阪急、神戸地下鉄と直結検討 三宮駅を地下化 https://web.archive.[...] 2004-07-22
[69] 웹사이트 新開地乗り入れ廃止も 阪急電鉄 https://web.archive.[...] 2004-07-29
[70] 웹사이트 阪急、神戸地下鉄乗り入れ「望ましい」 近畿交通審 https://web.archive.[...] 2004-10-09
[71] 웹사이트 市長定例会見 http://www.city.kobe[...] 2004-08-30
[72] 뉴스 阪急神戸線と神戸市営地下鉄、相互直通運転を検討へ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3-12-09
[73] 뉴스 神戸地下鉄と阪急乗り入れ 新神戸、長田駅など候補 https://www.kobe-np.[...] 神戸新聞社 2017-11-24
[74] 뉴스 相互乗り入れ「投資見合わず」神戸地下鉄と阪急電鉄の協議仕切り直し https://www.kobe-np.[...] 神戸新聞NEXT ひょうご経済プラス 2020-03-06
[75] 뉴스 北ヤード新線、大筋合意 大阪市地下鉄四つ橋線乗り入れ http://www.asahi.com[...] 2006-12-09
[76] 웹사이트 【速報】阪急神戸線「西宮北口」~「武庫之荘」間に新駅設置を発表 地元住民らが悲願 https://www.mbs.jp/n[...] 毎日放送 2022-11-01
[77] 웹사이트 「武庫川新駅」に意欲 阪急電鉄 https://web.archive.[...] 神戸新聞 2008-12-17
[78] 뉴스 阪急「武庫川新駅」実現へ 80年来の悲願、4者合意 西宮、尼崎両市で具体化へ検討 https://www.kobe-np.[...] 神戸新聞社 2021-09-04
[79] 웹사이트 阪急「武庫川新駅」を検討へ 西宮市が調査費計上 http://www.kobe-np.c[...] 神戸新聞 2012-02-17
[80] 뉴스 武庫川新駅、4者合意 西宮、尼崎市など検討入り 阪急神戸線 https://www.kobe-np.[...] 神戸新聞社 2021-09-03
[81] 보고서 (仮)武庫川周辺阪急新駅に関する検討について https://www.nishi.or[...] 西宮市交通政策課 2021-09
[82] 웹사이트 平成31年度 主要な事業等の概要 https://www.nishi.or[...] 西宮市 2019-03-25
[83] 웹사이트 駅別乗降人員|阪急電鉄 https://www.hankyu.c[...]
[84] 서적 고베 본선 건설시, 루트에 아사히 신문 창업자중 한 명인 무라야마 료헤이의 저택이 있었는데, 무라야마가 근처의 카네보우의 사장 무토 야마하루, 스미토모 재벌 총이사인 스즈키 마사야나 근처 주민들이 반대 운동을 벌여, 용지 매수에 난항을 겪었기 때문이었다.
[85] 웹사이트 고베 선의 ATS(자동 열차 정지 장치)의 개량과 고베 선·다카라즈카 선의 다이어 개정에 관해 http://holdings.hank[...] 한큐 전철 프레스 릴리즈
[86] 간행물 간사이의 철도 간사이 철도 연구회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