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 (성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洪)은 중국에서 기원한 성씨로, "홍수"를 의미하며 염제의 후손인 공공씨(共工氏)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한국에서는 2015년 인구 조사에서 558,853명이 홍씨를 사용하며, 남양 홍씨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주요 본관으로는 남양, 홍주, 의성, 풍산, 부계, 회인 등이 있으며, 각 본관은 고려 시대 및 조선 시대의 인물들을 배출했다. 또한, 중국 및 기타 지역에서도 다양한 인물들이 홍씨 성을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씨 - 다나 (가수)
    다나는 2001년 솔로 가수로 데뷔하여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멤버 및 유닛 활동을 했으며, 2010년 뮤지컬 배우로 데뷔하여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대한민국의 가수, 뮤지컬 배우, 방송인이다.
홍 (성씨)
성씨 정보
한자





로마자 표기Hong (홍)
종류성씨
사용 국가대한민국
중국
베트남
싱가포르
기타 국가
기원 및 역사 (洪)
기원중국
한국의 역사고려 시대부터 존재
본관남양 홍씨
부계 홍씨
홍주 홍씨
주요 인물홍언필
홍가신
홍경래
홍진경
인구 통계 (洪)
2015년 대한민국 통계562,872명
기원 및 역사 (弘)
기원중국
한국의 역사고려 시대부터 존재
본관남양 홍씨
주요 인물홍지상
인구 통계 (弘)
2015년 대한민국 통계4,955명
기원 및 역사 (閎)
기원중국
한국의 역사조선 시대부터 존재
본관풍산 홍씨
인구 통계 (閎)
2015년 대한민국 통계152명
기원 및 역사 (闳)
기원중국
한국의 역사조선 시대부터 존재
본관의령 홍씨
인구 통계 (闳)
2015년 대한민국 통계54명
기타 성씨 (熊, 汪, 宏)
熊 (웅)드문 성씨, 일부 기록 존재
汪 (왕)드문 성씨, 일부 기록 존재
宏 (굉)드문 성씨, 일부 기록 존재

2. 기원

홍씨의 기원은 주로 중국 고대의 공공씨(共工氏)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7] 공공씨는 염제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2. 1. 한국 홍씨의 기원

한국 홍씨는 중국 감숙성 돈황(敦煌)에서 기원한 공공씨(共工氏)의 후예라는 전승이 있다. 이 전승에 따르면, 공공씨의 후손이 기존 성씨인 공(共)에 물 수(水) 변을 더해 홍(洪)씨 성을 만들었다고 한다.[7] 홍(洪)이라는 글자는 그 의미 그대로 '홍수'를 뜻한다.

전설에 따르면 공공씨는 염제의 후손으로, 본래 성씨는 강(姜)씨였으며 씨족명으로 공공(共工)을 사용했다. 이들은 황하 유역에서 관개 사업과 홍수 통제를 담당했다고 전해진다. 이후 황제와의 세력 다툼에서 밀려나고, 전욱 시대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고신에게 패배했으며, 요임금 시대에도 명령에 불복하고 홍수를 일으켰다가 다시 패배하여 강남 지역으로 추방되었다고 한다.

중국에서 성씨와 씨족명을 구분 없이 사용하게 되면서, 공공씨의 일부 후손들이 '공'(共) 자에 물을 뜻하는 부수(氵)를 결합하여 새로운 성씨인 홍(洪)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2. 중국 및 기타 지역 홍씨의 기원

중국 감숙성 돈황(敦煌)의 공공씨(共工氏) 후손이 공(共)자에 수(水) 부수를 더하여 홍(洪)이라는 성씨를 만들었다는 설이 있다.[7] 홍(洪)이라는 글자는 문자 그대로 "홍수"를 의미한다.

홍씨의 전설적인 기원은 고대 중국의 염제 후손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들은 원래 (姓)인 강(姜)씨와 씨족명인 "공공"(共工)을 함께 사용했다. 공공씨는 관개 사업을 지휘하고 황하 서쪽 지역(위수 상류 오르도스 만곡부 동남쪽 모퉁이)의 홍수 통제를 담당했다.

황제가 염제의 영토를 정복한 후, 그의 친척과 후손들은 어려움을 겪었으며, 공공씨는 전욱 시대에 반란을 일으켰다. 훗날 고신 황제가 되는 인물이 이끄는 군대는 북주산 전투에서 공공씨를 격파했다. 이 전투에는 불의 발명으로 알려진 수인가의 후손들이 참여했다고 전해져, 중국 문헌에서는 이를 불과 물의 싸움으로 묘사하기도 한다. 이후 공공씨는 예전 지위를 회복했으나, 요임금의 명령에 반대하며 큰 홍수를 일으켰다. 결국 다시 패배하여 요임금에 의해 강남 지역으로 추방당했다.

시간이 흘러 중국인들이 성(姓)과 씨(氏)를 구분 없이 사용하게 되면서, 많은 공공씨 후손들은 원래 성씨인 강(姜)씨의 수(水) 부수와 씨족명 '공'(共)을 결합하여 홍(洪)씨를 성으로 삼게 되었다.

한편, 장쑤성 전장시 등 일부 지역에서는 원래 홍(弘)씨였던 가문이 피휘를 위해 홍(洪)으로 성씨를 바꾼 사례도 존재한다. 이는 나라 효경황제 이홍, 남당 태자 이홍기, 북송 초대 황제 조광윤의 아버지 조홍은 등의 이름을 피하기 위한 조치였고, 이후 홍(洪)씨로 정착되었다.[3]

푸젠성, 광둥성, 타이완 일대에서는 홍(洪), (姜), 옹(翁), (方), (龔), 왕(汪) 여섯 성씨가 같은 조상에서 갈라져 나왔다는 전설이 전해진다.[4][5]

3. 본관

'''홍'''(洪)씨는 한국인의 성씨 중 하나이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총 558,853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19위를 차지한다.[6] 홍씨는 다양한 본관으로 나뉘며, 주요 본관으로는 남양 홍씨, 풍산 홍씨, 홍주 홍씨, 부계 홍씨, 회인 홍씨, 의성 홍씨 등이 있다. 이들 주요 본관 외에도 여러 본관이 존재하며, 2015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확인된 홍씨 본관과 인구는 다음과 같다.

본관인구 (2015년)
강남 홍씨10
강릉 홍씨12
개성 홍씨13
경주 홍씨88
고양 홍씨37
곡산 홍씨18
공주 홍씨6
관림 홍씨14
광산 홍씨15
광주 홍씨15
구림 홍씨9
금림 홍씨6
금천 홍씨10
기림 홍씨48
김해 홍씨123
나양 홍씨15
나주 홍씨15
남경 홍씨17
남녕 홍씨37
남령 홍씨11
남양 홍씨487,488
남영 홍씨27
남원 홍씨1,833
남파 홍씨12
남평 홍씨364
남해 홍씨229
남향 홍씨49
남홍 홍씨20
남흥 홍씨31
내명 홍씨25
내원 홍씨5
냠양 홍씨9
단양 홍씨13
달성 홍씨18
담양 홍씨86
당성 홍씨1,122
당진 홍씨5
대구 홍씨14
대원 홍씨6
대전 홍씨25
덕원 홍씨16
동래 홍씨10
래명 홍씨6
령산 홍씨5
마산 홍씨7
무림 홍씨16
밀양 홍씨349
반남 홍씨29
보림 홍씨5
부계 홍씨71
부령 홍씨7
부리 홍씨21
부림 홍씨15,230
부산 홍씨9
부임 홍씨71
삼척 홍씨27
상주 홍씨23
성남 홍씨12
성산 홍씨6
성주 홍씨18
수원 홍씨15
순천 홍씨23
순흥 홍씨24
신안 홍씨7
악계 홍씨11
악림 홍씨697
악임 홍씨54
안동 홍씨10
안산 홍씨15
안양 홍씨7
양구 홍씨8
양천 홍씨6
양홍 홍씨32
여산 홍씨13
여주 홍씨40
연안 홍씨7
영등포 홍씨9
영산 홍씨10
영양 홍씨35
영월 홍씨39
영천 홍씨29
예산 홍씨22
옥천 홍씨8
울산 홍씨9
원양 홍씨9
원주 홍씨10
위성 홍씨6
은진 홍씨6
의령 홍씨33
의성 홍씨17
의정부 홍씨5
의흥 홍씨38
익산 홍씨6
인동 홍씨14
인천 홍씨20
장흥 홍씨19
전의 홍씨6
전주 홍씨121
정림 홍씨112
제주 홍씨6
진양 홍씨14
진주 홍씨51
창녕 홍씨20
창원 홍씨7
천안 홍씨9
철산 홍씨6
철원 홍씨8
청주 홍씨61
춘산 홍씨7
춘천 홍씨6
충주 홍씨7
파주 홍씨6
파평 홍씨9
평산 홍씨21
평창 홍씨11
풍산 홍씨44,594
풍악 홍씨9
풍주 홍씨19
풍천 홍씨130
한림 홍씨7
한양 홍씨158
함안 홍씨45
함양 홍씨34
해남 홍씨15
해주 홍씨43
행주 홍씨15
홍성 홍씨24
홍주 홍씨924
홍천 홍씨95
화성 홍씨10
환성 홍씨6
흥주 홍씨7
흥해 홍씨27


3. 1. 주요 본관

홍씨의 주요 본관은 다음과 같다.

  • '''남양 홍씨'''(南陽 洪氏):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일대를 본관으로 한다. 2015년 인구 조사 기준 487,488명으로 홍씨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당홍계(唐洪系)와 토홍계(土洪系)로 나뉜다.
  • '''풍산 홍씨'''(豊山 洪氏): 시조는 고려 고종 때 문과에 장원 급제한 '''홍지경'''(洪之慶)이다.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면을 본관으로 한다. 2015년 인구는 44,594명이다.
  • '''홍주 홍씨'''(洪州 洪氏): 시조는 고려 개국공신 '''홍규'''(洪規)이다. 충청남도 홍성군을 본관으로 한다. 2000년 인구는 935명이다.
  • '''부계 홍씨'''(缶溪 洪氏): 부림 홍씨(缶林 洪氏)라고도 한다. 시조는 '''홍란'''(洪鸞)이며, 고려 중엽의 '''홍좌'''(洪佐)를 기세조로 한다. 2015년 인구는 15,301명이다.
  • '''회인 홍씨'''(懷仁 洪氏): 시조는 '''홍연보'''(洪延甫)이다.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을 본관으로 한다.
  • '''의성 홍씨'''(義城 洪氏): 시조는 고려 개국공신 '''홍유'''(洪儒)이다. 경상북도 의성군을 본관으로 한다. 2000년 인구는 206명이다.

3. 1. 1. 남양 홍씨 (南陽 洪氏)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일대(남양군)를 본관으로 한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487,488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홍씨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남양 홍씨는 당홍계(唐洪系)와 토홍계(土洪系)로 나뉜다.

=== 당홍계(唐洪系) ===

시조 홍천하(洪天河)는 당나라 8학사의 일원으로 고구려 영류왕 때 동래하여 유학(儒學)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 이후 연개소문의 난이 일어나자 신라로 피신하여 선덕여왕 때 유학 발전에 공을 세워 당성백(唐城伯)에 봉해졌다고 하나, 선계를 고증할 수는 없다. 따라서 고려 개국공신으로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를 지낸 홍은열(洪殷悅)을 1세조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 당홍계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293명, 상신(相臣) 8명, 문형(文衡) 2명, 청백리 3명, 왕비 1명, 부마 4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통계청 인구 조사 기준 117,638가구, 379,708명이다.

=== 토홍계(土洪系) ===

시조 홍선행(洪先幸)은 고려 고종 때 금오위별장(金吾衛別將)을 지냈다. 토홍계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42명, 상신 2명, 문형 1명, 청백리 3명, 부마 1명, 공신 3명을 배출하였다. 주요 인물로는 중종 때 영의정을 지낸 홍언필(洪彦弼)과 그의 아들로 선조 때 영의정을 지낸 홍섬(洪暹)이 있다. 2000년 통계청 인구 조사 기준 9,250가구, 30,662명이다.

3. 1. 2. 풍산 홍씨 (豊山 洪氏)

고려 고종 29년(1242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국학직학(國學直學)을 지낸 '''홍지경'''(洪之慶)을 시조로 한다. 시조의 묘소는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면 신성포 오산당에 있다.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30명, 상신 5명을 배출하였다.

홍주원(洪柱元)은 선조의 부마가 되었다. 홍주원의 아들 홍만용(洪萬容)은 숙종 때 예조판서를 지냈으며, 홍만용의 손자 홍현보(洪鉉輔)도 영조 때 예조판서를 지냈다. 홍현보의 아들 홍봉한(洪鳳漢)은 사도세자의 비인 혜경궁 홍씨의 아버지로, 영조 때 영의정에 올랐다. 홍봉한의 동생 홍인한(洪麟漢)은 좌의정에 올랐으며, 홍봉한의 5촌인 홍낙성(洪樂性)은 정조 때 영의정에 올랐다. 홍주원의 6대손인 홍국영(洪國榮)은 정조의 총애를 받아 세도정치로 강력한 권세를 누렸으나, 권력 남용 등으로 인해 비판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2015년 인구는 44,594명이다.

3. 1. 3. 홍주 홍씨 (洪州 洪氏)

홍주 홍씨(洪州 洪氏)의 시조 '''홍규'''(洪規)는 홍주(洪州) 사람이다. 그는 왕건이 후백제를 정벌할 때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웠으며, 삼중대광(三重大匡)을 역임하였다. 홍규의 딸은 고려 태조의 제12비인 흥복원부인(興福院夫人) 홍씨(洪氏)이다. 흥복원부인은 태자(太子) 왕직(王稷)과 공주(公主) 한 명을 낳았다.[8]

사학계에서는 927년(태조 10년) 왕건이 후백제의 운주(運州)를 격파했을 당시 운주의 성주(城主)였던 긍준(兢俊)을 홍규와 동일 인물로 보기도 한다.[9] 운주(運州)는 1012년(현종 3) 홍주(洪州)로 이름이 바뀌었다. 홍주 홍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통계에 따르면 302가구, 935명이다.

3. 1. 4. 부계 홍씨 (缶溪 洪氏)

부계 홍씨(缶溪 洪氏)는 부림 홍씨(缶林 洪氏)라고도 불린다. 시조는 '''홍란'''(洪鸞)이며, 고려 중엽에 직장(直長) 벼슬을 지낸 '''홍좌'''(洪佐)를 기세조로 삼는다.

홍좌의 10세손인 홍귀달(洪貴達)은 조선 시대에 좌참찬의 지위에 올랐으며, 홍귀달의 현손인 홍호(洪鎬)는 대사간을 역임했다.

대한민국 통계청의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부계 홍씨와 부림 홍씨를 합한 인구는 15,301명이다.

3. 1. 5. 회인 홍씨 (懷仁 洪氏)

회인 홍씨(懷仁 洪氏)의 시조는 '''홍연보'''(洪延甫)이다. 그의 증손자인 홍윤성(洪允成)은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을 도와 정난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 이후 예종 때에는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의 자리에 올랐으며, 인산부원군(仁山府院君)으로 봉해졌다.[10]

3. 1. 6. 의성 홍씨 (義城 洪氏)

'''의성 홍씨'''(義城 洪氏)의 시조는 '''홍유'''(洪儒)이다. 그의 원래 이름은 홍술(弘述)이었으나,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워 고려 태조 왕건으로부터 홍(洪)이라는 성과 유(儒)라는 이름을 하사받았다. 고려개국공신으로 태사(太師) 벼슬을 지냈으며, 사후에는 태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고려 태조의 제26비인 의성부원부인(義城府院夫人) 홍씨(洪氏)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68가구, 206명으로 조사되었다.

3. 2. 기타 본관

개령 홍씨를 비롯하여 나주 홍씨, 남원 홍씨, 전주 홍씨, 풍천 홍씨 등 다양한 본관이 존재한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나주 홍씨는 15명, 남원 홍씨는 1,833명, 전주 홍씨는 121명, 풍천 홍씨는 130명으로 집계되었다.[6] 이 외에도 강릉 홍씨(12명), 경주 홍씨(88명), 김해 홍씨(123명), 밀양 홍씨(349명), 부계 홍씨(71명), 악림 홍씨(697명), 한양 홍씨(158명), 홍주 홍씨(924명), 홍천 홍씨(95명) 등 여러 본관이 확인되었다.[6]

4. 인물

홍(洪)씨 성을 가진 인물은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 대만, 홍콩 등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각 지역별 주요 인물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4. 1. 한국

'''홍'''(洪)은 한국인의 성씨 중 하나이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558,853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18위를 차지한다.[6] 로마자 표기는 Hong이 가장 일반적이지만, Go, Ko, Koh, Goh, Kho, Gho, Kor 등 다양하게 사용된다.

4. 1. 1. 역사 속 인물

4. 1. 2. 현대 인물

4. 2. 중국 및 기타 지역

'''역사 속 인물'''

  • 홍승주 (洪承疇, 1593–1665): 중국 명나라 말기, 청나라 초기의 관료.
  • 홍량기 (洪亮吉, 1746–1809): 청나라의 학자, 정치가, 정치 이론가, 철학자.
  • 홍수전 (洪秀全, 1814–1862): 청나라 말기 태평천국 운동의 난을 일으킨 종교 지도자이자 혁명가.
  • 홍인간 (洪仁玕, 1822–1864): 태평천국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홍수전의 친척.
  • 훙헤이군 (洪熙官|홍희관중국어, Hung Hei-gun, 1745–1825): 청나라 시기 활동한 무술가. 남파 홍가권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 훙싱 (洪聖|홍성중국어, Hung Shing): 중국 남부, 특히 광둥성 지역에서 숭배되는 민간 신앙의 신. 바다와 날씨를 관장한다고 여겨진다.
  • 홍등운: 청나라 시기 대만의 실업가.


'''현대 인물'''

'''중국'''

  • 윌리엄 훙 (洪業|홍업중국어, William Hung, 1893–1980): 중국의 역사가이자 중국학자. 하버드-옌칭 연구소 설립에 기여했다.
  • 홍원삭 (洪元碩|홍원삭중국어, 1948–2015): 중국의 축구 선수 출신 감독.
  • 홍패운 (洪佩雲|홍패운중국어, 2001년 출생): 중국의 가수.


'''대만'''

  • 훙이샹 (洪懿祥|홍의상중국어, Hung I-Hsiang, 1925–1993): 대만의 무술가.
  • 훙둥 (洪通|홍통중국어, Hung Tung, 1920–1987): 대만의 화가.
  • 훙멍치 (洪孟啟|홍맹계중국어, Hung Meng-chi, 1947년 출생): 대만의 정치인. 문화부 장관을 역임했다.
  • 홍수주 (洪秀柱|홍수주중국어, Hung Hsiu-chu, 1948년 출생): 대만의 정치인. 국민당 주석을 역임했다.
  • 훙치창 (洪奇昌|홍기창중국어, Hung Chi-chang, 1951년 출생): 대만의 정치인.
  • 크리스 훙 (洪榮宏|홍영굉중국어, Chris Hung, 1963년 출생): 대만의 가수이자 텔레비전 진행자.
  • 에이미 훙 (洪沁慧|홍심혜중국어, Amy Hung, 1980년 출생): 대만의 프로 골프 선수.
  • 스팅 훙 (洪詩婷|홍시정중국어, Shih-Ting Hung, 1980년 출생): 대만의 영화 감독.
  • 홍자용 (洪慈庸|홍자용중국어, Hung Tzu-yung, 1982년 출생): 대만의 정치인. 시대역량 소속으로 활동했다.
  • 에밀리 훙 (洪子涵|홍자함중국어, Emily Hung, 1987년 출생): 대만의 배우.
  • 브루스 훙 (洪奇翰|홍기한중국어, Bruce Hung, 1990년 출생): 대만의 배우.
  • 훙루이천 (洪叡宸|홍예신중국어, Hung Jui-chen, 1990년 출생): 대만의 테니스 선수.
  • 훙스한 (洪詩涵|홍시함중국어, Hung Shih-han, 1990년 출생): 대만의 배드민턴 선수.
  • 홍지원: 대만의 철도 저술가, 학자.
  • 훙이중 (洪一中|홍일중중국어): 중화 직업봉구의 전 야구 선수.
  • 홍임유: 대만의 프로그래머.
  • 홍시: 대만의 연예인.


'''홍콩'''

  • 존 훙 (John Hung, 1938년 출생): 홍콩의 사업가.
  • 홍금보 (洪金寶|홍금보중국어, Sammo Hung, 1952년 출생): 홍콩의 배우, 무술가, 영화 감독, 제작자.
  • 스티븐 훙 (Stephen Hung, 1959년 출생): 홍콩의 사업가.
  • 훙충얌 (洪松蔭|홍송음중국어, Hung Chung Yam, 1967년 출생): 홍콩의 전 사이클 선수.
  • 훙치케이 (洪芷琪|홍지기중국어, Hung Cee Kay, 1972년 출생): 홍콩의 수영 선수.
  • 타이미 훙 (洪天明|홍천명중국어, Timmy Hung, 1974년 출생): 홍콩의 배우. 홍금보의 아들이다.
  • 킷 훙 (洪榮傑|홍영걸중국어, Kit Hung, 1977년 출생): 홍콩의 영화 제작자.
  • 오스만 훙 (洪卓立|홍탁립중국어, Osman Hung, 1979년 출생): 홍콩의 싱어송라이터이자 배우.
  • 토니 훙 (洪永城|홍영성중국어, Tony Hung, 1983년 출생): 홍콩의 배우이자 텔레비전 진행자.
  • 켄 훙 (洪卓立|홍탁립중국어, Ken Hung, 1987년 출생): 홍콩의 가수.


'''미국'''

  • 제임스 홍 (James Hong, 1929년 출생): 미국의 배우 및 성우. 중국계 미국인으로 할리우드에서 오랫동안 활동했다.
  • 미엔치 훙 (洪明奇|홍명기중국어, Mien-Chie Hung, 1950년 출생): 대만계 미국인 분자 생물학자이자 암 연구자.
  • 훙황 (洪晃|홍황중국어, Hung Huang, 1961년 출생): 미국계 중국인 미디어 인물, 블로거, 출판인.
  • 케네스 틴킨 훙 (Kenneth Tin-Kin Hung, 1976년 출생): 중국계 미국인 뉴미디어 아티스트.


'''싱가포르'''

  • 애플 홍 (洪乙心|홍을심중국어, Apple Hong, 1978년 출생): 말레이시아 출신 싱가포르 배우.


'''뉴질랜드'''

  • 제스 홍 (Jess Hong): 뉴질랜드의 배우.


'''오스트레일리아'''

  • 레이 지안팡 (洪劍芳|홍검방중국어, Jian Fang Lay, 1973년 출생): 중국 출신 오스트레일리아 탁구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二〇二〇年全国姓名报告》发布_部门政务_中国政府网 http://www.gov.cn/xi[...] 2021-02-08
[2] 웹사이트 全國姓名統計分析 https://www.ris.gov.[...] 中華民国内政部 2018-10-01
[3] 웹사이트 三次避讳改姓的丹阳洪姓_中国镇江金山网 国家一类新闻网站 http://www.jsw.com.c[...] 2017-03-27
[4] 웹사이트 海内外六桂宗亲聚福清共叙亲情宗谊 -侨乡 - 东南网福清频道 http://fq.fjsen.com/[...] 2018-12-14
[5] 웹사이트 六桂流芳-翁氏源流 https://www.wengshi.[...] 2013-01-10
[6]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8
[7] 뉴스 中 공공씨 후손이 원수 피해 ‘공’자에 ‘수’자 붙여 홍씨 탄생 https://www.segye.co[...] 세계일보 2014-07-15
[8] 문서 《고려사》 권88 열전 권제1 태조 후비(后妃) 흥복원부인 홍씨 http://db.history.go[...]
[9] 문서 《고려사》 세가 권제1 태조(太祖) 10년 3월 http://db.history.go[...]
[10] 문서 성종실록 59권, 성종 6년 9월 8일 갑인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