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 하계 올림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0년 하계 올림픽은 이탈리아 로마에서 개최된 올림픽으로, 1955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 총회에서 로마가 개최 도시로 선정되었다. 83개국이 참가하여 17개 종목에서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소련이 미국을 제치고 금메달 획득 수 1위를 차지했다. 주요 경기에서는 에티오피아의 아베베 비킬라가 맨발로 마라톤에서 우승하고, 18세의 카시우스 클레이(무하마드 알리)가 복싱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덴마크 사이클 선수의 약물 복용 사망 사건으로 인해 도핑 방지 대책이 논의되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인해 참가가 제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 8월 -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선거는 4·19 혁명 후 내각책임제 헌법에 따라 양원합동회의에서 실시되었으며, 민주당 구파와 신파의 분열 속에서 윤보선이 대통령에 당선되고 장면이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제2공화국이 출범했다. - 1960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60년 하계 올림픽 육상
1960년 로마 올림픽 육상 경기에서 미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고, 윌마 루돌프는 여자 100m와 200m에서 2관왕을 차지하며 인종차별에 저항하는 상징이 되었다. - 1960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60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1960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은 이탈리아 로마에서 남자 3m 스프링보드, 10m 플랫폼과 여자 3m 스프링보드, 10m 플랫폼 경기로 진행되었으며, 미국과 통일 독일이 메달을 획득하였다. - 1960년 하계 올림픽 - 스타디오 올림피코
스타디오 올림피코는 이탈리아 로마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1960년 하계 올림픽 주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 AS 로마와 SS 라치오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고, 주요 국제 스포츠 이벤트와 문화 행사가 개최되는 장소이다. - 1960년 하계 올림픽 - 1960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1960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는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올림픽에서 각 국가별 메달 획득 수를 나타낸 표로, 국제 올림픽 위원회 자료를 기준으로 소련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고, 체조와 복싱 종목에서 특이 사항이 있었다.
1960년 하계 올림픽 | |
---|---|
기본 정보 | |
![]() | |
개최 도시 | 로마, 이탈리아 |
참가 국가 | 83개국 |
참가 선수 | 5,347명 (남자 4,734명, 여자 613명) |
경기 종목 | 17개 스포츠, 150개 세부 종목 |
개막일 | 1960년 8월 25일 |
폐막일 | 1960년 9월 11일 |
개막 선언 | 조반니 그론키 (이탈리아 대통령) |
폐막 선언 | 에이버리 브런디지 (국제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 |
성화 점화자 | 잔카를로 페리스 |
주 경기장 | 스타디오 올림피코 |
이전 하계 올림픽 | 멜버른 1956 |
다음 하계 올림픽 | 도쿄 1964 |
이전 동계 올림픽 | 스쿼밸리 1960 |
다음 동계 올림픽 | 인스브루크 1964 |
대회 명칭 | |
이탈리아어 | Giochi Olimpici estivi del 1960 (1960년 하계 올림픽) |
이탈리아어 (다른 명칭) | Giochi della XVII Olimpiade (제17회 올림픽 경기 대회) |
이탈리아어 (도시) | Roma 1960 (로마 1960) |
영어 | Games of the XVII Olympiad (제17회 올림픽 경기 대회) |
프랑스어 | Jeux de la XVIIe olympiade (제17회 올림픽 경기 대회) |
2. 개최 도시 선정
1955년 6월 15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로마가 1960년 하계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되었다.[9] 1960년 하계 올림픽 유치에는 로마 외에도 로잔(스위스), 브뤼셀(벨기에), 부다페스트(헝가리), 디트로이트(미국), 멕시코시티(멕시코), 도쿄(일본) 등 7개 도시가 경쟁을 벌였다.[9]
2. 1. 투표 결과
1955년 6월 15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1960년 하계 올림픽 개최지가 결정되었다.[9]도시 | 국가 | 1차 투표 | 2차 투표 | 3차 투표 |
---|---|---|---|---|
로마 | 이탈리아 | 15 | 26 | 35 |
로잔 | 스위스 | 14 | 21 | 24 |
디트로이트 | 미국 | 6 | 11 | — |
부다페스트 | 헝가리 | 8 | 1 | — |
브뤼셀 | 벨기에 | 6 | — | — |
멕시코시티 | 멕시코 | 6 | — | — |
도쿄 | 일본 | 4 | — | — |
1960년 하계 올림픽의 공식 마스코트는 지정되지 않았다.
로마는 3차 투표 끝에 35표를 얻어 24표를 얻은 로잔을 제치고 개최지로 선정되었다.[9] 브뤼셀, 멕시코시티, 도쿄, 디트로이트, 부다페스트 등이 입후보했지만, 로마가 최종 승리했다. 특히 도쿄는 1차 투표에서 4표를 얻는 데 그쳤다.[9]
로마는 1908년 대회 개최지로 결정되었으나 재정 문제로 개최권을 반납했고, 베니토 무솔리니 시대에 1940년 대회 유치에 나섰지만 도쿄에 양보한 이력이 있다. 이후 다시 도전하여 1960년 하계 올림픽을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9] 한편, 토론토는 유치 의사를 밝혔으나 서류 제출 마감일을 지키지 못해 자동 탈락했다. 이는 로버트 후드 손더스 토론토 유치 위원회 책임자의 사망으로 인한 혼란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9]
3. 대회 상징
=== 엠블럼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1960년 하계 올림픽 엠블럼에 대한 정보가 없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3. 1. 마스코트
1960년 하계 올림픽의 공식 마스코트는 지정되지 않았다.
3. 2. 엠블럼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1960년 하계 올림픽 엠블럼에 대한 정보가 없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4. 경기 종목
196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17개 종목, 23개 세부 종목, 총 150개 세부 종목에서 메달을 수여하였다.
5. 참가국
1960년 로마 올림픽에는 모로코, 산마리노, 수단, 튀니지 4개국이 처음으로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동독과 서독은 연합 선수단을 결성하여 대회에 참가했으며,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토바고, 바베이도스 출신 선수들은 서인도 연방 선수단을 결성하여 대회에 참가했다.
수리남은 개막식에 참가하였으나, 유일하게 참가한 육상 선수가 일정 착오로 인해 경기 도중 기권하였다.
순위 | 국가/지역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소련 | 43 | 29 | 31 | 103 |
2 | 미국 | 34 | 21 | 16 | 71 |
3 | 이탈리아 (개최국) | 13 | 10 | 13 | 36 |
4 | 독일 연합 선수단 | 12 | 19 | 11 | 42 |
5 | 오스트레일리아 | 8 | 8 | 6 | 22 |
6 | 튀르키예 | 7 | 2 | 0 | 9 |
7 | 헝가리 | 6 | 8 | 7 | 21 |
8 | 일본 | 4 | 7 | 7 | 18 |
9 | 폴란드 | 4 | 6 | 11 | 21 |
10 | 체코슬로바키아 | 3 | 2 | 3 | 8 |
5. 1. 참가국 및 인원 목록
모로코, 산마리노, 수단, 튀니지 4개국이 처음으로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동독과 서독은 연합 선수단을 결성하여 대회에 참가했으며,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토바고, 바베이도스 출신 선수들은 서인도 연방 선수단을 결성하여 대회에 참가했다.
총 83개국이 1960년 로마 올림픽에 참가했다. 모로코, 산마리노, 수단, 튀니지는 처음으로 올림픽에 참가했다.
바베이도스,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토바고 선수들은 영국령 서인도 연방을 대표하여 "안틸레스"로 출전했지만, 이 국가는 이 올림픽에서만 존재했다. 북로디지아와 남로디지아 선수들은 로디지아라는 이름으로 로디지아 니아살랜드 연방을 대표하여 출전했다. 동독과 서독 선수들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독일 연합 선수단으로 출전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들은 1952년 하계 올림픽에 마지막으로 출전했지만, 중화민국과의 중국 대표권 분쟁으로 인해 이후 올림픽에서 철수했다.[13] 괄호 안의 숫자는 각 국가가 파견한 참가자 수를 나타낸다.
참가국 | 선수 수 |
---|---|
아프가니스탄 | 12 |
서인도 연방 | 13 |
아르헨티나 | 91 |
오스트레일리아 | 189 |
오스트리아 | 103 |
바하마 | 13 |
벨기에 | 101 |
버뮤다 | 9 |
브라질 | 72 |
불가리아 | 98 |
미얀마 | 10 |
캐나다 | 85 |
스리랑카 | 5 |
칠레 | 9 |
콜롬비아 | 16 |
쿠바 | 12 |
체코슬로바키아 | 116 |
덴마크 | 100 |
에티오피아 | 10 |
피지 | 2 |
핀란드 | 117 |
중화민국 | 27 |
프랑스 | 238 |
독일 연합 선수단 | 293 |
가나 | 13 |
영국 | 253 |
그리스 | 48 |
가이아나 | 5 |
아이티 | 1 |
홍콩 | 4 |
헝가리 | 184 |
아이슬란드 | 9 |
인도 | 45 |
인도네시아 | 22 |
이란 | 23 |
이라크 | 21 |
아일랜드 | 49 |
이스라엘 | 23 |
이탈리아 (개최국) | 280 |
일본 | 162 |
케냐 | 27 |
대한민국 | 35 |
레바논 | 19 |
라이베리아 | 4 |
리히텐슈타인 | 5 |
룩셈부르크 | 52 |
말레이시아 | 9 |
몰타 | 10 |
멕시코 | 69 |
모나코 | 11 |
모로코 | 47 |
네덜란드 | 110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 5 |
뉴질랜드 | 37 |
나이지리아 | 12 |
노르웨이 | 40 |
파키스탄 | 44 |
파나마 | 6 |
페루 | 31 |
필리핀 | 40 |
폴란드 | 185 |
포르투갈 | 65 |
푸에르토리코 | 27 |
로디지아 | 14 |
루마니아 | 98 |
산마리노 | 9 |
싱가포르 | 5 |
남아프리카 공화국 | 55 |
소련 | 283 |
스페인 | 144 |
수단 | 10 |
스웨덴 | 134 |
스위스 | 149 |
태국 | 20 |
튀니지 | 42 |
튀르키예 | 49 |
우간다 | 10 |
이집트 | 74 |
미국 | 292 |
우루과이 | 34 |
베네수엘라 | 36 |
베트남 | 3 |
유고슬라비아 | 116 |
- 수리남도 개막식에 참가하였으나, 유일하게 참가한 육상 선수 Wim Esajas는 일정 착오로 인해 경기 도중 기권하였다.[14]
6. 주요 경기
- 소비에트 연방 여자 체조 선수들은 16개의 메달 중 15개를 휩쓸었다.[5]
- IOC의 결정에 의해, 중화민국은 '''포르모사'''(Formosa)라는 이름으로 참가해야 했다. 중화민국은 이에 항의하여 개회식 때 '''Under Protest'''(항의한다)라는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입장하였다. 경기마다 중화민국 선수단의 유니폼 검사를 하여 '''포르모사'''라는 이름으로 출전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논란이 되었다.[5]
- 대회 4일째인 8월 28일은 주일로 기독교 예배를 위해 경기가 없었다.[5]
-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과 독일 연방 공화국(서독)이 단일팀을 이루어 참가하였다.[5]
- 대한민국은 하계 올림픽 출전 사상 유일하게 단 한 개의 메달도 획득하지 못했다.[5]
- 에티오피아의 아베베 비킬라는 마라톤에서 맨발로 완주하여 금메달을 차지했다.[5]
맨발로 마라톤에서 우승한 에티오피아의 아베베 비킬라 - 복싱 라이트 헤비급 금메달리스트 캐시어스 클레이(무하마드 알리)는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5]
- 미국의 윌마 루돌프는 소아마비를 이겨내고 여자 단거리 육상에서 3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5]
- 그리스의 마지막 왕 콘스탄티노스 2세는 요트 드래곤급 금메달을 획득했다.[5]
- 당시 선수들은 금지약물 개념 없이 경기력 향상을 위해 마약을 복용하기도 하였다. 덴마크의 사이클 선수 크누드 에네마르크 옌센이 약물 복용으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올림픽 팀에 배속된 각 국의 의사들이 모여 이러한 실태를 개선해야 한다는 결의를 하였다. 약물 검사는 1968년 하계 올림픽부터 시행되었다.[5]
-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이번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올림픽 출전이 금지 및 제한되었다. 이후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IOC 지위를 회복하여 다시 참가한다.[5]

- 스웨덴의 카누 선수 게르트 프레드릭손은 여섯 번째 올림픽 타이틀을 획득했다.[5]
- 헝가리의 알라다르 게레비치는 펜싱 단체 사브르 종목에서 6연속 금메달을 획득했다.[5]
- 일본 남자 체조팀은 5회 연속 금메달 중 첫 번째 금메달을 획득했다. (1976년 하계 올림픽 참조)[5]
- 미국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월트 벨라미, 제리 루카스, 오스카 로버트슨, 제리 웨스트를 이끌고 5회 연속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5]
- 덴마크의 요트 선수 폴 엘브스트룀은 핀급에서 4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했다.[5]
- 미국의 제프 파렐은 수영에서 금메달 2개를 획득했다. 그는 올림픽 선발전 6일 전에 응급 충수 절제술을 받았다.[6]
- 미국의 랜스 라슨은 100m 자유형 수영 금메달을 논란 속에 박탈당했다.[5]
- 16세의 크리스 폰 잘차는 여자 수영에서 4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그 중 3개가 금메달이었다.[5]
- 파키스탄 남자 하키 팀은 1928년 이후 인도 팀의 연승 행진을 깨고 결승에서 인도를 꺾고 파키스탄의 첫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5]
- 레슬러 셸비 윌슨과 더그 블루바는 각 체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5]
- 소련이 1952년 헬싱키 올림픽 이후 3번째 참가하여 처음으로 미국을 제치고 금메달 획득 수에서 1위를 차지했다.[5]
- 일본은 1964년 도쿄 올림픽 개최국으로서 강화 중에 있었지만, 1956년 멜버른 올림픽과 같은 금메달 4개로 총 18개(금 4, 은 7, 동 7)로 지난 대회를 1개 밑돌았다. 남자 체조에서는 단체 5연패의 시작이 되었고, 오노 다케시가 2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하며 활약했지만, 지난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수영과 레슬링에서 놓쳐 도약에는 한 발 더 남았다.[5]
- 이탈리아에서는 전 경기가 텔레비전 방송되었다.[5]
6. 1. 개막식
IOC 코드 | 국가 | 선수 |
---|---|---|
AFG | Afghanistan|아프가니스탄영어 | 12 |
ANT | 서인도 제도 | 13 |
ARG | Argentina|아르헨티나es | 92 |
AUS |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 | 189 |
AUT | Österreich|오스트리아de | 103 |
BAH | Bahamas|바하마영어 | 17 |
BEL | Belgique|벨기에프랑스어 | 108 |
BER | Bermuda|버뮤다영어 | 9 |
BRA | Brasil|브라질pt | 71 |
GUY | British Guiana|영국령 기아나영어 | 5 |
BUL | България|불가리아bg | 98 |
BIR | ဗမာ|버마my | 10 |
CAN | Canada|캐나다영어 | 85 |
CEY | Ceylon|실론영어 | 5 |
CIL | Chile|칠레es | 9 |
COL | Colombia|콜롬비아es | 16 |
CUB | Cuba|쿠바es | 12 |
CSV | 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 | 116 |
DAN | Danmark|덴마크da | 100 |
ETI | ኢትዮጵያ|에티오피아am | 10 |
FIG | Fiji|피지영어 | 2 |
FIN | Suomi|핀란드fi | 117 |
RCF | 中華民國|중화민국 (타이완)중국어 | 27 |
FRA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238 |
EUA | Deutschland|독일 연합de | 294 |
GHA | Ghana|가나영어 | 13 |
GRB | Great Britain|영국영어 | 253 |
GRE | Ελλάδα|그리스el | 48 |
HAI | Haïti|아이티프랑스어 | 1 |
HOK | Hong Kong|홍콩영어 | 4 |
UNG | Magyarország|헝가리hu | 180 |
ISL | Ísland|아이슬란드is | 9 |
IND | भारत|인도hi | 45 |
INS | Indonesia|인도네시아id | 22 |
IRN | ایران|이란fa | 23 |
IRK | العراق|이라크ar | 21 |
IRL | Ireland|아일랜드영어 | 49 |
ISR | ישראל|이스라엘he | 23 |
ITA | Italia|이탈리아it | 280 |
GIA | 日本|일본일본어 | 162 |
KEN | Kenya|케냐영어 | 27 |
COR | 대한민국한국어 | 35 |
LIB | لبنان|레바논ar | 19 |
LBR | Liberia|라이베리아영어 | 4 |
LIE | Liechtenstein|리히텐슈타인de | 5 |
LUX | Lëtzebuerg|룩셈부르크lb | 52 |
MAL | Malaya|말라야 연방영어 | 9 |
MAT | Malta|몰타몰타어 | 10 |
MEX | México|멕시코es | 69 |
MON | Monaco|모나코프랑스어 | 11 |
MAR | المغرب|모로코ar | 47 |
PBA | Nederland|네덜란드nl | 110 |
ATO | Nederlandse Antillen|네덜란드령 안틸레스nl | 5 |
NZL | New Zealand|뉴질랜드영어 | 37 |
NGR | Nigeria|나이지리아영어 | 12 |
NOR | Norge|노르웨이no | 40 |
PAK | Pakistan|파키스탄영어 | 44 |
PAN | Panamá|파나마es | 6 |
PER | Perú|페루es | 31 |
PHI | Philippines|필리핀영어 | 40 |
POL | Polska|폴란드pl | 185 |
POR | Portugal|포르투갈pt | 65 |
PUR | Puerto Rico|푸에르토리코es | 27 |
RHO | Rhodesia|로디지아영어 | 14 |
ROM | România|루마니아ro | 98 |
SMA | San Marino|산마리노it | 9 |
SIN | Singapore|싱가포르영어 | 5 |
SAF | South Africa|남아프리카 공화국영어 | 55 |
URS | 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련ru | 283 |
SPA | España|스페인es | 144 |
SUD | السودان|수단ar | 10 |
SVE | Sverige|스웨덴sv | 134 |
SVI | Schweiz|스위스de | 149 |
THA | ประเทศไทย|태국th | 20 |
TUN | تونس|튀니지ar | 42 |
TUR | Türkiye|튀르키예tr | 49 |
UGA | Uganda|우간다영어 | 10 |
RAU | 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아랍 연합 공화국ar | 74 |
SUA |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 292 |
URU | Uruguay|우루과이es | 34 |
VEN | Venezuela|베네수엘라es | 36 |
VIE | Việt Nam|베트남vi | 3 |
JUG | Jugoslavija|유고슬라비아sh | 116 |
총계 | 5,347 |
6. 2. 육상
- 100m에서 독일의 아르민 하리는 10.2초의 올림픽 기록으로 우승했다. 미국의 데이브 심도 결승에서 10.2초를 기록했지만, 논란이 된 비디오 판독 후 은메달을 받았다.
- 과거 소아마비 환자였던 윌마 루돌프는 육상 스프린트 종목에서 금메달 3개를 획득했다. 그녀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여성"으로 칭송받았다.
- 에티오피아의 아베베 비킬라는 마라톤을 맨발로 달려 첫 번째 아프리카 및 에티오피아 올림픽 챔피언이 되었다.
- 호주의 허브 엘리엇은 남자 1500m에서 올림픽 역사상 가장 압도적인 경기를 펼치며 우승했다.
- 레이퍼 존슨은 올림픽 역사상 가장 위대한 십종 경기 중 하나에서 라이벌이자 동료 U.C.L.A. 브루인, 친구인 C.K. 양을 꺾었다.[8]
6. 3. 복싱
캐시어스 클레이(이후 무하마드 알리)는 복싱 라이트헤비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의 코치는 라몬 "버디" 카였다.[7] 그는 미국 귀국 후 흑인 차별을 이유로 레스토랑 입점을 거부당한 것에 항의하여 금메달을 강에 던져버렸다는 일화가 유명하지만, 이는 동생에 따르면 창작이라고 한다. 36년 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IOC는 알리에게 다시 금메달을 수여했다.6. 4. 기타 종목
- 소비에트 연방 여자 체조 선수들이 16개의 메달 중 15개를 휩쓸었다.[5]
- IOC의 결정에 의해, 중화민국은 서양에서 쓰이는 타이완(대만)에 관한 지명 가운데 하나인 '''포르모사'''(Formosa)라는 이름으로 참가해야 했다. 중화민국은 이에 항의하여 개회식 때 '''Under Protest'''(항의한다)라는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입장하였다. 경기마다 중화민국 선수단의 유니폼 검사를 하여 '''포르모사'''라는 이름으로 출전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논란이 되었다.[5]
- 대회 4일째인 8월 28일은 주일로 기독교 예배를 위해 경기가 없었다.[5]
-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과 독일 연방 공화국(서독)이 단일팀을 이루어 참가하였다.[5]
- 대한민국은 하계 올림픽 출전 사상 유일하게 단 한 개의 메달도 획득하지 못하는 부진을 면치 못했다.[5]
- 에티오피아의 아베베 비킬라는 이 대회 마라톤에서 맨발로 완주하여 금메달을 차지한 것으로 유명하다.[5]
- 복싱 라이트 헤비급의 금메달리스트 캐시어스 클레이는 후에 무하마드 알리로 이름을 바꾸어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5]
- 미국의 윌마 루돌프가 소아마비를 이겨내고 여자 단거리 육상에서 3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5]
- 그리스의 마지막 왕으로 당시 왕세자였던 콘스탄티노스 2세가 요트 드래곤급 금메달을 획득했다.[5]
- 당시는 금지약물 개념이 희박하여 선수들은 규제없이 복용하고 있었다. 심지어 경기력 향상을 위해 마약을 복용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 대회에서 덴마크의 사이클 선수 크누드 에네마르크 옌센이 약물 복용으로 인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그 후 올림픽 팀에 배속된 각 국의 의사들이 모여 이러한 실태를 개선해야 한다는 결의를 하였다. 약물 검사는 1968년 하계 올림픽부터 시행되게 된다.[5]
- 세계적으로도 악명높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인해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이번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올림픽 출전이 금지 및 제한되었다. 이후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IOC 지위를 회복하여 다시 참가한다.[5]
- 스웨덴의 카누 선수 게르트 프레드릭손은 여섯 번째 올림픽 타이틀을 획득했다.[5]
- 펜싱 선수인 헝가리의 알라다르 게레비치는 단체 사브르 종목에서 6연속 금메달을 획득했다.[5]
- 일본 남자 체조팀은 5회 연속 금메달 중 첫 번째 금메달을 획득했다. (1976년 하계 올림픽 참조)[5]
- 미국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유망한 대학 선수 월트 벨라미, 제리 루카스, 오스카 로버트슨, 제리 웨스트를 이끌고 5회 연속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5]
- 덴마크의 요트 선수 폴 엘브스트룀은 핀급에서 4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했다. 개인 종목에서 그의 기록을 따라한 다른 선수로는 알 오어터, 칼 루이스, 마이클 펠프스, 이초 가오리, 미하인 로페스가 있으며, 1906년 중간 (간격) 경기를 포함하면 레이 이워리가 있다.[5]
- 독일의 아르민 하리는 100m에서 10.2초의 올림픽 기록으로 우승했다. 미국의 데이브 심도 결승에서 10.2초를 기록했지만, 논란이 된 비디오 판독 후 은메달을 받았다.[5]
- 과거 소아마비 환자였던 윌마 루돌프는 육상 스프린트 종목에서 금메달 3개를 획득했다. 그녀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여성"으로 칭송받았다.[5]
- 제프 파렐은 수영에서 금메달 2개를 획득했다. 그는 올림픽 선발전 6일 전에 응급 충수 절제술을 받았다.[6]
- 에티오피아의 아베베 비킬라는 마라톤을 맨발로 달려 첫 번째 아프리카 및 에티오피아 올림픽 챔피언이 되었다.[5]
- 18세의 캐시어스 클레이는 이후 무하마드 알리로 알려졌으며, 복싱 라이트헤비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라몬 "버디" 카가 그의 코치였다.[7]
- 오스트레일리아의 허브 엘리엇은 올림픽 역사상 가장 압도적인 경기 중 하나로 남자 1500m에서 우승했다.[5]
- 레이퍼 존슨은 올림픽 역사상 가장 위대한 십종 경기 중 하나에서 라이벌이자 동료 U.C.L.A. 브루인, 친구인 C.K. 양을 꺾었다.[8]
- 미국의 랜스 라슨은 최고의 기록을 보여줬음에도 불구하고 100m 자유형 수영 금메달을 논란 속에 박탈당했다.[5]
- 16세의 신동 크리스 폰 잘차는 여자 수영에서 4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그 중 3개가 금메달이었다.[5]
- 그리스의 마지막 국왕 (1973년 퇴위 및 혼합 군주제 종료)은 자국에 요트: 드래곤급 금메달을 안겼다.[5]
- 파키스탄 남자 하키 팀은 1928년 이후 인도 팀의 연승 행진을 깨고 결승에서 인도를 꺾고 파키스탄의 첫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5]
- 함께 성장한 레슬러 셸비 윌슨과 더그 블루바는 각 체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5]
- 소련이 1952년 헬싱키 올림픽 이후 3번째 참가하여 처음으로 미국을 제치고 금메달 획득 수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후 두 초강대국은 스포츠에서도 경쟁을 격화시켰다.[5]
- 헝가리의 알라다르 겡게비치가 6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했다.[5]
- 일본은 다음 1964년 도쿄 올림픽 개최국으로서 강화 중에 있었지만, 지난 1956년 멜버른 올림픽과 같은 금메달 4개로 총 18개(금 4, 은 7, 동 7)로 지난 대회를 1개 밑돌았다. 남자 체조에서는 단체 5연패의 시작이 되었고, 오노 다케시가 2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하며 활약했지만, 지난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수영과 레슬링에서 놓쳐 도약에는 한 발 더 남았다.[5]
- 마라톤에서 우승한 아베베 비킬라는 로마 코스를 맨발로 달려 일약 유명해졌다. 아베베의 조국 에티오피아에게는 과거 자국을 침공한 이탈리아의 수도에서의 승리라는 정치적인 의미도 있었다.[5]
- 자전거 남자 단체 도로 경주에서는 덴마크 선수들이 코치로부터 흥분제인 암페타민을 투여받고 출전한 결과, 경기 후 누트 에네마르크 옌센이 사망하고 다른 두 명이 입원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로 인해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서는 비로소 올림픽에서의 도핑 방지 대책이 본격적으로 검토되기 시작했다.[5]
- 복싱 라이트헤비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캐시어스 클레이(후의 무하마드 알리)는 미국으로 귀국 후, 흑인 차별을 이유로 레스토랑 입점을 거부당한 것에 대한 항의로 금메달을 강에 던져버렸다는 이야기가 유명해졌다(동생에 따르면 창작이라고 한다). 36년 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IOC는 알리에게 다시 금메달을 수여했다.[5]
- 남아프리카 연방의 올림픽 참가는 이 로마 대회를 마지막으로 끊어졌다. 동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에 대한 국제적 비판이 그 원인으로, 동국의 복귀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중지되고 흑인 중심의 신정부가 발족한 후인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까지 32년이 걸렸다.[5]
- 지난 1956년 멜버른 올림픽의 흥미를 돋우지 못했던 폐회식의 반성에서, 육상은 일정의 후반으로 배치되었다.[5]
- 이탈리아에서는 전 경기가 텔레비전 방송되었다.[5]
6. 5. 폐막식
Closing Ceremony영어는 1960년 9월 11일에 이탈리아 로마에서 진행되었다. 폐막식에는 83개국에서 5,347명의 선수들이 참가하였다.IOC 코드 | 국가 | 선수 |
---|---|---|
AFG | 아프가니스탄 | 12 |
ANT | 앤티가 바부다 | 13 |
ARG | 아르헨티나 | 92 |
AUS | 오스트레일리아 | 189 |
AUT | 오스트리아 | 103 |
BAH | 바하마 | 17 |
BEL | 벨기에 | 108 |
BER | 버뮤다 | 9 |
BRA | 브라질 | 71 |
GUY | 가이아나 | 5 |
BUL | 불가리아 | 98 |
BIR | 미얀마 | 10 |
CAN | 캐나다 | 85 |
CEY | 스리랑카 | 5 |
CIL | 칠레 | 9 |
COL | 콜롬비아 | 16 |
CUB | 쿠바 | 12 |
CSV | 체코슬로바키아 | 116 |
DAN | 덴마크 | 100 |
ETI | 에티오피아 | 10 |
FIG | 피지 | 2 |
FIN | 핀란드 | 117 |
RCF | 중화민국 | 27 |
FRA | 프랑스 | 238 |
EUA | 독일 연합 | 294 |
GHA | 가나 | 13 |
GRB | 영국 | 253 |
GRE | 그리스 | 48 |
HAI | 아이티 | 1 |
HOK | 홍콩 | 4 |
UNG | 헝가리 | 180 |
ISL | 아이슬란드 | 9 |
IND | 인도 | 45 |
INS | 인도네시아 | 22 |
IRN | 이란 | 23 |
IRK | 이라크 | 21 |
IRL | 아일랜드 | 49 |
ISR | 이스라엘 | 23 |
ITA | 이탈리아 | 280 |
GIA | 일본 | 162 |
KEN | 케냐 | 27 |
COR | 대한민국 | 35 |
LIB | 레바논 | 19 |
LBR | 라이베리아 | 4 |
LIE | 리히텐슈타인 | 5 |
LUX | 룩셈부르크 | 52 |
MAL | 말레이시아 | 9 |
MAT | 몰타 | 10 |
MEX | 멕시코 | 69 |
MON | 모나코 | 11 |
MAR | 모로코 | 47 |
PBA | 네덜란드 | 110 |
ATO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 5 |
NZL | 뉴질랜드 | 37 |
NGR | 나이지리아 | 12 |
NOR | 노르웨이 | 40 |
PAK | 파키스탄 | 44 |
PAN | 파나마 | 6 |
PER | 페루 | 31 |
PHI | 필리핀 | 40 |
POL | 폴란드 | 185 |
POR | 포르투갈 | 65 |
PUR | 푸에르토리코 | 27 |
RHO | 로디지아 | 14 |
ROM | 루마니아 | 98 |
SMA | 산마리노 | 9 |
SIN | 싱가포르 | 5 |
SAF | 남아프리카 공화국 | 55 |
URS | 소련 | 283 |
SPA | 스페인 | 144 |
SUD | 수단 | 10 |
SVE | 스웨덴 | 134 |
SVI | 스위스 | 149 |
THA | 태국 | 20 |
TUN | 튀니지 | 42 |
TUR | 튀르키예 | 49 |
UGA | 우간다 | 10 |
RAU | 아랍 연합 공화국 | 74 |
SUA | 미국 | 292 |
URU | 우루과이 | 34 |
VEN | 베네수엘라 | 36 |
VIE | 베트남 | 3 |
JUG | 유고슬라비아 | 116 |
총계 | 5,347 |
7.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소련 | 43 | 29 | 31 | 103 |
2 | 미국 | 34 | 21 | 16 | 71 |
3 | 이탈리아 | 13 | 10 | 13 | 36 |
4 | 독일 연합 선수단 | 12 | 19 | 11 | 42 |
5 | 오스트레일리아 | 8 | 8 | 6 | 22 |
6 | 튀르키예 | 7 | 2 | 0 | 9 |
7 | 헝가리 | 6 | 8 | 7 | 21 |
8 | 일본 | 4 | 7 | 7 | 18 |
9 | 폴란드 | 4 | 6 | 11 | 21 |
10 | 체코슬로바키아 | 3 | 2 | 3 | 8 |
1960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은 이 대회에서 단 한 개의 메달도 따내지 못했다.[15]
'''금메달'''
- 오노 다카시 (일본, 체조 남자 도마, 철봉)
- 아이하라 노부유키 (일본, 체조 남자 마루)
- 아이하라 노부유키, 엔도 유키오, 오노 다카시, 다케모토 마사오, 쓰루미 슈지, 미쿠리 타카시 (일본, 체조 남자 단체 종합)
- 피터 스넬 (뉴질랜드, 육상 남자 800m)
- 허브 엘리엇 (오스트레일리아, 육상 남자 1500m)
- 아베베 비킬라 (에티오피아, 육상 남자 마라톤)
- 알 오터 (미국, 육상 남자 원반던지기)
- 레이퍼 존슨 (미국, 육상 남자 10종 경기)
- 윌마 루돌프 (미국, 육상 여자 100m, 200m, 4×100m 릴레이)
- 요란다 발라스 (루마니아, 육상 여자 높이뛰기)
- 돈 프레이저 (오스트레일리아, 수영 여자 100m 자유형)
- 유고슬라비아 (축구)
- 뱌체슬라프 이바노프 (소련, 조정 남자 싱글 스컬)
- 카시우스 클레이 (미국, 복싱 남자 라이트 헤비급)
- 보리스 샤흘린 (체조 남자 개인 종합, 평행봉, 안마, 도마)
- 라리사 라티니나 (체조 여자 개인 종합, 마루)
- 소련 (체조 여자 단체)
- 독일 (근대 5종 장애물 단체)
- 헝가리 (펜싱 남자 사브르 단체, 근대 5종 남자 단체)
- 콘스탄티노스 (그리스, 요트 혼성 드래곤급)
'''은메달'''
- 미야케 요시노부 (일본, 역도 밴텀급)
- 마쓰바라 마사유키 (일본, 레슬링 자유형 플라이급)
- 야마나카 쓰요시 (일본, 수영 남자 400m 자유형)
- 오사키 다케히코 (일본, 수영 남자 200m 평영)
- 이시이 히로시, 후쿠이 마코토, 후지모토 다쓰오, 야마나카 쓰요시 (일본, 수영 남자 800m 자유형 릴레이)
- 다케모토 마사오 (일본, 체조 남자 철봉)
- 오노 다카시 (일본, 체조 남자 개인 종합)
- 오스트리아 (수영 여자 4×100m 릴레이, 혼계영)
- 보리스 샤흘린 (체조 남자 링)
- 소련 (체조 남자 단체)
- 라리사 라티니나 (체조 여자 평균대, 이단 평행봉)
- 체코슬로바키아 (체조 여자 단체)
'''동메달'''
8. 논란
- IOC의 결정에 의해, 중화민국은 '''포르모사'''(Formosa)라는 이름으로 참가해야 했다. 중화민국은 이에 항의하여 개회식 때 '''Under Protest'''(항의한다)라는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입장하였다. 경기마다 중화민국 선수단의 유니폼 검사를 하여 '''포르모사'''라는 이름으로 출전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논란이 되었다.[9]
- 당시에는 금지약물 개념이 희박하여 선수들은 규제없이 복용하고 있었다. 심지어 경기력 향상을 위해 마약을 복용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 대회에서 덴마크의 사이클 선수 크누드 에네마르크 옌센이 약물 복용으로 인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그 후 올림픽 팀에 배속된 각 국의 의사들이 모여 이러한 실태를 개선해야 한다는 결의를 하였다. 약물 검사는 1968년 하계 올림픽부터 시행되게 된다.[10]
- 덴마크의 사이클 선수 크누드 에네마르크 옌센은 100km 단체 경주 중 열사병으로 쓰러져 병원에서 사망했다. 그는 혈액 순환 촉진제인 로니아콜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의심되었다.[11] 이는 1912년 하계 올림픽에서 포르투갈의 마라톤 선수 프란시스쿠 라자로가 사망한 이후, 올림픽 경기 중 두 번째(그리고 2024년 현재까지 가장 최근) 사망 사건이었다.
- 자전거 남자 단체 도로 경주에서는 덴마크 선수들이 코치로부터 흥분제인 암페타민을 투여받고 출전한 결과, 경기 후 누트 에네마르크 옌센이 사망하고 다른 두 명이 입원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로 인해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서는 비로소 올림픽에서의 도핑 방지 대책이 본격적으로 검토되기 시작했다.
- 세계적으로도 악명높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인해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이번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올림픽 출전이 금지 및 제한되었다. 이후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IOC 지위를 회복하여 다시 참가한다.
- 복싱 라이트헤비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클레이(후의 무하마드 알리)는 미국으로 귀국 후, 흑인 차별을 이유로 레스토랑 입점을 거부당한 것에 대한 항의로 금메달을 강에 던져버렸다는 이야기가 유명해졌다(동생에 따르면 창작이라고 한다). 36년 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IOC는 알리에게 다시 금메달을 수여했다.
- 남아프리카 연방의 올림픽 참가는 이 로마 대회를 마지막으로 끊어졌다. 동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에 대한 국제적 비판이 그 원인으로, 동국의 복귀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중지되고 흑인 중심의 신정부가 발족한 후인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까지 32년이 걸렸다.
참조
[1]
보도자료
Factsheet - Opening Ceremony of the Games of the Olympiad
https://stillmed.oly[...]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4-10-09
[2]
웹사이트
IOC VOTE HISTORY
http://www.aldaver.c[...]
[3]
뉴스
Outbid: How Toronto lost the Olympics again and again — and again
https://www.tvo.org/[...]
2024-08-06
[4]
뉴스
Toronto has made 5 attempts to host the Olympics. Could the sixth be the winner?
https://www.thestar.[...]
2015-07-24
[5]
웹사이트
Past Olympic host city election results
http://www.gamesbids[...]
GamesBids
[6]
웹사이트
Profiling Jeff Farrell, 1968 ISHOF Honor Swimmer
https://www.usms.org[...]
USMS
2000-07-19
[7]
뉴스
Ramon 'Buddy' Carr (1926-2016): TPD officer coached gold-medalist boxer
https://www.toledobl[...]
2016-03-11
[8]
뉴스
Great Olympic Moments: UCLA friends Rafer Johnson and Yang Chuan-kwang make decathlon history in 1960
https://web.archive.[...]
2012-06-26
[9]
서적
The complete book of the Winter Olympics : 2014 edition
http://worldcat.org/[...]
[10]
웹사이트
1967: Creation of the IOC Medical Commission
https://olympics.com[...]
[11]
서적
Rome 1960: The Olympics That Changed the World
Simon & Schuster
[12]
웹사이트
OLYMPICS AND TELEVISION - The Museum of Broadcast Communications
https://web.archive.[...]
Museum.tv
[13]
웹사이트
China and the Olympic Movement
http://www.china.org[...]
China Internet Information Center
[14]
서적
Official Olympic Reports
https://web.archive.[...]
[15]
뉴스
A Map of Olympic Medals
https://www.nytimes.[...]
2008-08-04
[16]
방송
よみがえるアーカイブ第1回「日本とイタリア」
2018-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