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래는 감정 표현을 목적으로 하는 행위로, 가사를 필수로 하지 않으며 뇌의 여러 영역을 사용한다. 노래는 말하기와는 달리 청중에게 전달하는 것보다 감정 표현에 중점을 둔다. 노래의 종류는 부르는 층, 격식, 전승 기간 등에 따라 다양하며, 한국의 민요, 종교 음악, 클래식 음악의 가곡, 그리고 세계 각국의 다양한 장르의 대중음악 등이 존재한다. 또한, 가요는 음악성과 문학성을 모두 가지며, 문학 작품으로도 간주된다. 그리스 신화의 오르페우스는 서양 가요 악인의 시조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래 - 히든 트랙
    히든 트랙은 음반 트랙 목록에 숨겨진 음악 트랙으로, 다양한 기술적 방법과 의도로 제작되며 너바나와 자넷 잭슨의 사례처럼 주목받거나 성공하기도 한다.
  • 노래 - 보너스 트랙
    보너스 트랙은 음반의 재발매, 싱글 음원 추가 등을 위해 앨범에 추가되는 곡을 의미하며, 앨범 소유자에게 새로운 구매 가치를 제공하거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 활용된다.
  • 악곡의 형식 - 돌림노래
    돌림노래는 동일 멜로디를 여러 성부가 시간차를 두고 부르는 형식으로, 중세부터 존재했으며 "Sumer is icumen in" 같은 초기 영어 노래와 노트르담 악파의 라틴어 노래가 있고, 멜로디 블록 구조와 화음으로 가능하며, 클래식 작곡가도 사용했고, 한국의 "개구리 합창" 등도 있다.
  • 악곡의 형식 - 코랄
    코랄은 독일 종교 개혁에서 유래한 독일어 찬미가를 지칭하며, 마르틴 루터의 예배 운동으로 촉발되어 다성부 형태로 발전, 바흐 등의 작곡가들에 의해 다양한 음악 형식으로 창작되었고 현재까지 프로테스탄트 교회에서 널리 사용된다.
노래

2. 노래의 개념

노래는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사건이나 사상을 전달하는 '말하기'와는 다르다[11]。 가사가 분명하지 않거나, 허밍이나 모음 창법처럼 가사 없이 소리로만 이루어진 노래, 의미 없는 소리를 이용한 노래도 있다[11][12]

노래를 "정자체의 노래"라고 평한 후지야마 이치로

2. 1. 노래와 뇌의 관계

말할 때와 노래할 때는 소리를 낸다는 점에서 같지만, 뇌의 사용법은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사람의 노래는 뇌의 오른쪽 반구와 왼쪽 반구 모두의 기능과 관련이 있다[13].

예를 들어, 심각한 발화 장애로 거의 말을 할 수 없는 실어증 환자도 노래는 부를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뇌의 왼쪽 반구에 큰 손상을 입어 실어증에 걸린 환자도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사례가 보고되었다[14].

물론, 가사를 제대로 발성하지 못하고 콧노래만 부르는 경우도 있지만, 선율은 정확하게 부르는 경우도 있었다[15].

겉보기에는 사람의 노래가 오른쪽 반구의 기능인 것처럼 보이지만, 심각한 발화 장애를 가진 실어증 환자가 노래를 부를 때 가사의 일부를 제대로 발성하는 사례도 있었다[16].

2. 2. 어원

오리쿠치 시노부는 "웃타(訴)후"가 어원이며, 노래한다는 행위에는 상대에게 전달해야 할 내용(가사)의 존재를 전제로 하고 있다고 보았다.[12] 토쿠에 모토마사는 "우타"의 어원이 언령( 그 자체가 가지는 영력)에 의해 상대의 에 대해 격렬하고 강한 흔들림을 주는 의미의 "치다"에서 유래했다는 견해를 주장했다.[17]

3. 노래의 종류 및 장르

노래는 불리는 층, 격식, 전승 기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 주로 불리는 층에 따라: 대중가요 (일반 대중), 군가 (군인), 동요 (어린이), 국가 (국민)
  • 격식 있는 자리에서 불리는 노래: 교가, 국가, 군가.
  • 전승 기간에 따라: 민요, 대중가요


이 외에도 종교 음악으로 찬송가 등이 있으며, 클래식 음악에는 가곡, 오페라, 성악 등이 있다.

3. 1. 한국의 전통 노래

민요저작권이 소멸되었거나 작자 미상인 채로 구전 전통을 통해 전해지는 노래이다. 민요는 국가 또는 문화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많은 민요는 구전뿐 아니라 악보를 통해 전승되기도 하며, 거의 모든 문화권에 존재한다.[19]

동요는 어린이를 위해 만들어진 노래이며, 교육적인 목적이나 놀이를 위해 불린다.

창가는 개화기 이후 서양 음악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노래이다.

3. 2. 특정 집단의 노래

특정 집단을 위한 노래는 다음과 같다.

  • 국가: 나라를 상징하는 노래이다.
  • 교가: 학교를 상징하는 노래이다.
  • 군가: 군대에서 불리는 노래이다. 자위대에서는 대가라고 한다.
  • 응원가: 스포츠 경기 등에서 응원을 위해 불리는 노래이다.
  • 혁명가, 노동가: 정치 집단과 관련된 노래이다.


일본에는 도도부현가, 시정촌가 등 지방 자치체에 관한 노래가 있다. 회사나 기업의 노래로 사가가 있다.

3. 3. 종교 음악

기독교에서 예배를 위해 불리는 찬송가가 있다.[1] 불교 음악은 불교 의식에 사용되는 노래이다.[1]

3. 4. 클래식 음악

가곡은 시에 곡을 붙인 노래이다. 오페라는 극 형식에 음악을 결합한 종합 예술이며, 성악은 사람의 목소리로 연주하는 음악이다.

3. 5. 세계의 노래

이탈리아에는 칸초네가, 프랑스에는 샹송이 있으며, 이 둘은 모두 '노래, 부르다'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1] 포르투갈에는 파두가 있다.[1] 쿠바에는 손이 있는데, 이는 가곡의 일종이지만 스페인어로 소리를 의미한다.[1] 미국에는 컨트리 음악이 있다.[1]

3. 6. 대중음악

가요, 가요곡, 유행가는 대한민국에서 널리 불리는 대중가요이다.[20][18] 엔카는 일본의 대중가요 장르이다. 포크송은 미국의 대중음악 장르로, 사회 비판적인 가사를 담은 경우가 많다. 리듬 앤 블루스는 흑인 음악에서 유래한 대중음악 장르이다. 재즈는 미국에서 발생한 즉흥 연주를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장르이다. 록은 강렬한 비트와 전기 기타 연주를 특징으로 하는 대중음악 장르이다. 은 리듬에 맞춰 가사를 읊는 형태의 대중음악 장르이다.

3. 7. 기타 장르

예술 가곡은 클래식 음악가들이 공연을 위해 만든 노래로, 피아노나 다른 기악 반주가 따르기도 하지만 독창으로 부르기도 한다. 예술 가곡은 성악 기교, 언어, 발음 및 시 해석 능력이 필요하다. 가사는 시인이나 작사가가 쓰고 음악은 작곡가가 별도로 쓰는 경우가 많다. 프란츠 슈베르트와 같은 작곡가의 초기 가곡은 단순한 연가 형식을 띠지만, 유럽 예술 가곡의 반주는 작곡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진다. 어떤 예술 가곡은 국가적 정체성의 특징을 띨 정도로 존경받기도 한다.[5]

민요는 종종 기원이 알려지지 않았거나 저작권이 소멸된 상태로, 구전 전통을 통해 전해지는 노래이다. 민요는 국가적 또는 문화적 정체성의 주요 측면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사람들은 예술 가곡의 작가를 잊어버리면서 민요의 지위를 얻기도 한다. 민요는 거의 모든 문화에 존재하며, 현대에는 악보를 통해 전승되기도 한다.[5]

류트 송은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 르네상스 시대 후기부터 바로크 시대 초기에 걸쳐 주로 잉글랜드와 프랑스에서 유행한 음악 스타일이다. 류트 송은 일반적으로 동일절 형식이며, 화성적인 질감을 가졌다. 이 음악은 주로 류트 반주에 맞춰 독창을 위해 작곡되었지만, 베이스 비올 등의 다른 현악기 반주나 여러 성부를 위해 작곡되기도 했다. 류트 송은 독창 또는 소규모 기악 앙상블과 함께 연주될 수 있었다.[5]

파트 송은 여러 개의 성부를 위해 작곡되거나 편곡된 세속 음악 형태의 합창 음악이다. 파트 송은 일반적으로 SATB 합창단에 의해 불리지만, 때로는 남성 또는 여성 앙상블에 의해 불리기도 한다.[5]

패터송은 빠르거나 매우 빠른 템포와 각 텍스트 음절이 음표 하나에 해당하는 빠른 리듬 패턴의 연속이 특징이다. 길버트와 설리번을 포함한 코믹 오페라의 필수 요소이지만, 뮤지컬 등 다른 곳에서도 사용되었다.[6]

4. 노래의 문학적 측면

노래는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사건이나 사상을 전달하는 "말하기"와는 다르다[11]。가사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거나, 의미 없는 소리를 이용한 노래도 존재한다.

노래는 가 노래하는 것처럼 가사가 필수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허밍이나 모음 창법처럼 가사가 없는 창법도 있다[12]

감정 표현인 노래와 달리 "말하는 것"은 사건이나 사상을 정확하고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1]

"가요"는 넓은 의미로 또는 가락(리듬)을 동반하는 시가[20][21] 또는 성악곡의 총칭이다[8]。성악곡의 가사나 詞章(사상)을 문예로 간주하여 '''가요문학'''으로 파악할 경우, 가요는 말을 매개로 하며 구전성음악성을 지니고, 문학 이전의 영역까지 포함한다[17]

가요는 음악성을 동반하는 운문 형식의 작품으로, 운율문예의 총칭이다[9]。가사를 음악과 분리하지 않고 언급하며, "낭독하는 시가"에 대해 "노래하는 시가"를 가리킨다. 민간 가요는 대부분 구전문학으로 존재했다.

중국에서 가요라는 말은 사기, 한서, 완적의 음악론 등에서 사용되었다[8]메이지 이후 일본 문학과 국문학[9] 연구자들은 읽혀지는 시가에 대해 불려지는 시가를 가요라고 불렀다[8]。오늘날에는 가사와 음악이 분리되지만, 과거에는 미분화된 경우도 있어 문학 연구에서는 의미를 확대하여 사용하기도 한다[8]

4. 1. 한국

한국의 고대 가요는 『삼국유사』, 『삼국사기』 등에 기록되어 있다. 신라 시대에는 향가가 불렸으며, 고려 시대에는 고려가요가 불렸다. 조선 시대에는 시조가사가 대표적인 시가 문학으로 자리 잡았다.

4. 2. 중국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인 시경은 원래 가요였으며, 음악과 춤을 동반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1] 전한 시대에 민간 가요를 수집하는 악부라는 관청이 만들어졌다.[1] 이후 여기서 수집된 작품, 또는 그 이후의 민간 가요를 "악부"라고 부르게 되었다.[1] 한시는 가요에서 독립하여 낭독하는 문학이 되었다.[1] 노래와 시의 분리는 후한 말, 건안 시대 무렵으로 생각된다(건안 문학).[1]

중엽 무렵부터 ""라고 불리는 새로운 가요 문학이 생겨났다.[1] 사는 송대에 성행하여 송사라는 이름이 있다.[1] 사는 나중에는 시와 마찬가지로 음악성에서 독립하여 낭독되게 되었다.[1]

송대부터 "곡"이라고 불리는 가요 문학이 흥기하여, 원대에 이르러 융성했다(원곡).[1] 곡은 희곡이라고 불리는 극 중에서 사용되는 것과 가요만으로 이루어진 산곡이 있으며, 형식적으로는 소령과 도수라는 두 가지가 있다.[1]

5. 노래의 신화

그리스 신화오르페우스는 뛰어난 음악으로 명계의 거주자들을 매료시켰다. 아내 에우리디케를 현세로 데려올 수 있었으나, 마지막 순간 유혹을 이기지 못해 실패했다. 서양에서는 오르페우스를 가요 악인의 시조로 평가하기도 한다.[22][23]

5. 1. 그리스 신화

오르페우스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악사로, 사랑하는 아내 에우리디케를 그리워하며 명계로 내려갔다. 명계에서 그의 음악은 모든 거주자를 매료시켰고, 덕분에 아내를 데리고 현세로 돌아오는 것을 허락받았으나, 마지막 한 걸음을 남겨두고 유혹 때문에 실패했다. 서양에서는 오르페우스를 가요 악인의 시조로 평가하기도 한다.[22][23]

참조

[1]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Macmillan Publishers; New York: Grove's Dictionaries 1980
[2] 웹사이트 RLYR's 'Actual Existence' Is 40 Minutes of Beautiful Chaos https://noisey.vice.[...] Vice 2019-01-26
[3] 웹사이트 El Ten Eleven : Banker's Hill Eleven https://www.treblezi[...] 2018-08-08
[4] 웹사이트 Interview with Jasper TX http://www.tokafi.co[...]
[5] 서적 A Dictionary of Musical Terms Read Books
[6] 웹사이트 Patter song http://dictionary.on[...] Connect For Education, Inc 2014-05-02
[7] 문서 吉川(1990)p.38-40
[8] 문서 世界大百科事典,平凡社「歌謡」
[9] 문서 大辞林「歌唱」「歌謡」
[10] 서적 フースラーメソード入門 日本実業出版社
[11] 문서 吉川(1990)p.38-40
[12] 문서 吉川「歌いもの」(1990)p.75
[13] 서적 重症失語の症状学 ~ ジャルゴンとその周辺 ~ 金芳堂 1991-01-20
[14] 서적 重症失語の症状学 ~ ジャルゴンとその周辺 ~ 金芳堂 1991-01-20
[15] 서적 重症失語の症状学 ~ ジャルゴンとその周辺 ~ 金芳堂 1991-01-20
[16] 서적 重症失語の症状学 ~ ジャルゴンとその周辺 ~ 金芳堂 1991-01-20
[17] 문서 徳江「歌謡」(2004)
[18] 서적 三省堂現代新国語辞典(第3版) 三省堂 2007-10
[19] 문서 和歌#歴史参照
[20] 서적 大辞泉(第1版増補) 小学館 1998-10
[21] 서적 学研現代新国語辞典(改訂第4版) 学習研究社 2008-12
[22] 문서 冥界の神ハーデースとその妻ペルセポネーは、地上に出るまで決してオルペウスの妻(ニンフのエウリュディケー)の顔を見ないという約束でオルペウスに彼女を連れ戻すことを許した。しかし、地上へ急いだオルペウスは、あと一歩のところで誘惑に負けて後ろを振り返り、エウリュディケーを見てしまったため、再び冥界へ降ろされた。
[23] 문서 佐藤(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