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양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양해군은 자국 영토에서 2,000km 이상 떨어진 해역에서도 작전을 수행하며 수중전, 수상전, 항공전 위협으로부터 전력을 보호하고 지속적인 군수 지원 능력을 갖춘 해군을 의미한다. 대양해군의 요건으로는 독자적인 위성항법시스템, 수학적 능력, 보급 능력, 작전 능력, 네트워크전 능력이 있으며, 항공모함, 잠수함, 구축함 등 다양한 플랫폼과 장거리 미사일, 함재기 등을 필요로 한다. 주요 대양해군 국가로는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인도, 이탈리아 등이 있으며, 대한민국 해군도 대양해군 건설을 추진하고 있지만, 막대한 예산 소요와 주변국과의 군비 경쟁 심화 우려 등으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양해군

2. 대양해군의 요건

인도 해군 서부 함대의 호위함인 INS ''비크라마디티야'' (R33)와 INS ''비라트'' (R22)가 아라비아해에서 항해하는 모습. 토드 & 린드버그 분류 시스템에 따르면 인도 해군은 3등급 "다중 지역 전력 투사" 해군으로 분류된다.


대양해군(大洋海軍, Blue-water navy)은 일반적으로 자국 항구에서 멀리 떨어진 공해상에서 지속적인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해군을 의미한다.[103] 이는 단순히 개별 함선의 성능이나 함대의 규모만으로 정의되지 않으며, 다양한 작전 능력과 이를 뒷받침하는 지속 가능한 군수 지원 능력을 종합적으로 요구한다.[121]

흔히 대양해군 능력은 항공모함이나 핵잠수함과 같은 강력한 주력함의 운용과 동일시되기도 한다.[3][97] 예를 들어, 1970년대 호주 해군이 마지막 항공모함 HMAS ''멜버른''을 교체하지 않으면 대양해군 지위를 잃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3][97] 그러나 호주는 항모를 대체하지 않았음에도 여전히 효과적인 대양해군으로 평가받았으며,[3][97] 냉전 말기 소련 해군처럼 항공모함 전력은 최소화하면서 잠수함, 미사일 탑재 수상함, 장거리 폭격기 등에 의존하여 대양해군 능력을 유지한 사례도 있다.[4][98]

궁극적으로 대양해군의 핵심 요건은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자국 함대를 보호하고, 원거리에서 지속적인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다. 특히 장기간 작전을 위한 해상 보급(RAS) 능력은 진정한 대양해군의 중요한 특징으로 간주되며, 보급함의 확보는 해당 해군의 대양 지향성을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5][6][99][100]

하지만 '대양해군'이라는 용어에 대한 명확하고 합의된 정의는 아직 없다.[25][112] 제프리 틸과 패트릭 C. 브래튼 교수는 해군을 활동 범위에 따라 연안 방어 중심의 브라운 워터 해군(brown-water navy), 지역 해역 작전 중심의 그린 워터 해군(green-water navy), 그리고 원양 작전이 가능한 대양해군(blue-water navy)으로 구분했지만, 이 구분 역시 모호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프랑스와 미국 모두 대양해군으로 분류되지만, 실제 작전 능력과 범위에는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11][104] 다른 정의에서는 해안선으로부터의 거리를 기준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예: 브라운 워터 100해리 이내, 그린 워터 100해리 밖 인접 해역, 블루 워터 1500해리 이상 원거리 투사).[12][105] 미국 해군은 전통적인 '브라운 워터' 대신 '그린 워터'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지역 해군을 지칭하기도 했다.[13][14][106][107]

이러한 정의의 모호성 속에서 여러 해군 학자들은 총 배수량, 함정 수, 무기 체계의 현대성, 지속 작전 능력, 군수 지원 범위, 전문성 등을 기준으로 세계 해군을 분류하려는 시도를 해왔다. 대표적으로 다니엘 토드와 마이클 린드버그 교수는 1996년 해군 능력을 10개 등급으로 나누는 분류 시스템을 제시했으며, 이 중 상위 4개 등급을 대양해군으로 분류했다.

토드 & 린드버그 분류 시스템에 따른 세계 해군 계층 구조 (c.2015)
분류등급명칭능력해당 국가 해군
대양해군1글로벌 작전
전력 투사
전 세계에서 여러 차례 지속적인 전력 투사 임무 수행미국
2제한적 글로벌 작전
전력 투사
최소 한 번의 주요 전력 투사 작전 수행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3다중 지역
전력 투사
자국에 인접한 지역에 전력 투사러시아, 인도, 중국
4지역
전력 투사
배타적 경제 수역(EEZ) 너머로 제한된 범위의 전력 투사스페인, 브라질, 일본, 호주, 대한민국, 독일, 이집트, 네덜란드
비대양: 녹색 해군5지역 연안
해안 방어
EEZ 내 및 EEZ 너머로 약간의 해안 방어캐나다,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베트남, 이스라엘, 싱가포르, 파키스탄 등
6연안
해안 방어
EEZ 내 해안 방어북한, 미얀마, 브루나이, 스리랑카, 스웨덴 등
비대양: 갈색 해군7지역 연안
헌병대
EEZ 내 및 EEZ 너머로 약간의 해양 경찰 활동아이슬란드, 아일랜드, 튀니지, 에스토니아, 이라크 등
8연안
헌병대
EEZ 내 해양 경찰 활동캄보디아, 키프로스, 필리핀 등
9내륙 수로
강 유역
내륙 국가의 강 유역 방어볼리비아, 파라과이, 부룬디 등
10토큰 해군
강 유역
기본적 수준의 헌병대 활동 수행(활동이 없는 경우도 있음)전 세계의 많은 사례



이러한 분류에도 불구하고, 어떤 해군이 진정한 대양해군인지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여전히 다양하다.[25] 대양해군은 강력한 전력 투사 능력을 갖추지만, 육상 기반 미사일, 잠수함, 고속 공격정 등을 이용한 비대칭전 위협에는 여전히 취약할 수 있다. 2000년 아덴에서 발생한 USS 콜 폭탄 테러는 이러한 취약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7][8][101][102]

2. 1. 작전 능력

대양해군은 자국 항구에서 멀리 떨어진 공해상에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해군을 의미하며,[103] 일반적으로 본토에서 2000km 이상 떨어진 해역까지 작전 범위로 간주한다. 이는 단순히 개별 함선의 성능을 넘어, 함대가 종합적인 작전 능력을 갖추어야 함을 뜻한다.[121]

대양해군의 핵심 작전 능력에는 넓은 해역에서의 효과적인 탐지 및 신속한 타격 능력, 다양한 플랫폼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능력, 그리고 수중전, 수상전, 항공전 등 복합적인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방어 능력이 포함된다.[99] 이러한 작전 능력은 고성능 레이더, 정밀 유도 무기, 위성항법시스템(GNSS) 등 첨단 기술과 더불어, 함대 운용 및 자원 관리를 위한 복잡한 계산 능력[158]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뒷받침된다.

특히 장기간 원해 작전을 지속하기 위한 군수 지원 능력은 대양해군의 필수 요건이다. 원정 전쟁은 보급 능력에 크게 좌우되므로, 충분한 보급함을 확보하고 해상 보급(RAS)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은 진정한 대양해군의 중요한 특징으로 꼽힌다.[5][6][99][100]

대양 해군은 여전히 비대칭 위협에 취약하며, 2000년 10월의 USS ''콜'' 폭탄 테러가 그 예시이다.


이처럼 강력한 능력을 요구하는 대양해군이라 할지라도 비대칭전 위협에는 취약할 수 있다. 육상 기지 항공 자산, 지대함 미사일, 디젤-전기 잠수함, 고속 공격정 등을 이용한 공격이나 테러의 가능성이 상존하며, 2000년 10월 아덴에서 발생한 USS 콜 폭탄 테러는 이러한 취약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7][8][101][102]

일반적으로 대양해군 능력은 항공모함이나 핵잠수함과 같은 주력함 운용과 동일시되는 경향이 있지만,[3][97] 냉전 말기 소련 해군처럼 잠수함, 미사일 탑재 수상함, 장거리 폭격기 등에 의존한 사례도 존재한다.[4][98] 중요한 것은 특정 함종 보유 여부보다는 실질적인 원해 작전 수행 능력과 이를 지속할 수 있는 종합적인 능력이다.

2. 1. 1. 탐지 능력

대양해군은 일반적으로 본토에서 2000km 이상 떨어진 먼 바다까지 작전 범위로 간주한다. 따라서 드넓은 바다에서 적을 효과적으로 탐지하고, 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빠르게 계산하여 신속하게 타격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수백 km 이상을 탐지할 수 있는 AESA 레이더와, 2000km 이상을 탐지하는 GaN 레이더와 같은 첨단 레이더 기술로 무장한 함선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고성능 레이더를 통해 넓은 대양을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2. 1. 2. 타격 능력

대양해군은 일반적으로 본토에서 2000km 이상 떨어진 먼 바다까지 작전 범위로 간주하며, 이 넓은 해역에서 적을 탐지하고 신속하게 타격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수백 km 이상을 탐지하는 AESA 레이다나 2000km 이상 탐지가 가능한 차세대 레이더(GaN 레이더 등)를 탑재하여 광활한 작전 구역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어야 한다.

탐지된 목표를 정밀하게 타격하는 능력 또한 필수적이다. 군함에서 발사되는 순항미사일과 같은 정밀 유도 무기는 GPS와 같은 위성항법시스템(GNSS)에 좌표를 의존하여 목표물을 정확히 파괴한다. 걸프 전쟁에서 미 해군이 운용한 토마호크 미사일의 높은 명중률은 GPS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이유로 독자적인 GNSS 확보는 해군력 운용에 매우 중요하며, 중국이 베이더우 위성항법시스템 구축을 서두른 주요 배경 중 하나로 꼽힌다.

현대의 대양 작전에서는 개별 무기체계의 성능을 넘어, 다양한 전투 자산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합된 전투력을 발휘하는 것이 중요하다. CEC 합동교전능력과 같은 네트워크 중심전 수행 능력은 함선, 항공기, 잠수함 등 다양한 플랫폼이 탐지 및 타격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협동하여 작전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핵심 요소로, 대양해군의 존립과 전투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기반이 된다.

2. 2. 네트워크전 능력

대양에서 작전을 수행할 때는 다양한 종류의 무기들이 종합적으로 전투에 참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무기 체계를 효과적으로 통합하고 연계하여 전투 효율을 극대화하는 네트워크전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CEC 합동교전능력과 같은 네트워크전 능력은 세계 주요 해군 강국들이 개발에 힘쓰고 있는 분야이며, 이처럼 개별 무기들을 하나로 묶어 시너지 효과를 내는 연계 능력은 대양해군의 존립 자체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

2. 3. 보급 능력

원정 전쟁은 보급 전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보급 능력에 따라 전쟁의 승패가 갈린다. 전쟁 수행에 필요한 자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이를 운반할 보급함을 갖추는 것이 대양해군 유지의 핵심 조건이다.

대양해군은 장거리에서 지속적인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군수 지원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5][99] 진정한 대양해군의 특징은 해상 보급(RAS, Replenishment At Sea)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며,[5][99] 보급함의 취역은 해당 해군이 대양으로 나아가려는 야망을 보여주는 강력한 신호이다.[6][100]

역사적으로 대양해군은 자국 모항의 능력을 넘어 함대의 작전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해외 기지를 구축하여 보급망을 확장하고 수리 시설을 확보하는 경향이 있었다.[21]

그러나 장거리 작전을 위한 유지보수 및 군수 지원(병참)에는 높은 비용이 소요된다.[101][102] 이러한 비용 문제 때문에 많은 국가가 상당한 규모의 해군 자산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양 작전에 필요한 지속 가능한 군수 지원 능력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9][121]

2. 4. 기타 요건

2019년 기준 세계 GPS (GNSS) 위성들

  • '''독자 GNSS''': 해군GPS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군종이다. 군함에서 발사하는 순항미사일은 목표 좌표를 GPS에 의존하며, 걸프 전쟁 당시 미 군함이 발사한 토마호크 미사일의 높은 명중률도 GPS 덕분이었다. 중국이 독자적인 위성항법 시스템인 베이더우 구축을 서두른 이유 중 하나도 이러한 군사적 중요성 때문이다.

  • '''수학''': 함대를 운용하고 전략을 수립하는 군사과학 분야에서 수학적 지식은 필수적이다. 미국 해군은 수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연구개발 투자뿐만 아니라, 석사 수준의 수학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1909년 별도의 교육기관인 미해군대학원을 설립했다. 예를 들어, 항공모함 전단이 원거리 작전을 수행하고 복귀하는 데 필요한 수십만 개의 자원과 변수를 계산하는 복잡한 수학 공식이 요구된다.[158]

  • '''보급함''': 원정 전쟁은 보급 능력에 따라 승패가 갈릴 정도로 보급이 중요하다. 따라서 전쟁 수행 능력을 뒷받침할 충분한 자원과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보급함을 보유하는 것은 대양해군 유지의 핵심 요소이다.

  • '''작전능력''': 대양해군은 일반적으로 자국 본토에서 2000km 이상 떨어진 원해까지 작전 범위로 삼는다. 광활한 해양에서 적을 신속하게 탐지하고, 정확하게 계산하여 타격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수백 km 이상을 탐지하는 AESA 레이다나 2000km 이상 탐지가 가능한 GaN(질화갈륨) 레이더 등으로 무장하여 넓은 작전 해역을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 '''네트워크''': CEC(협동교전능력)와 같은 네트워크 중심전 개념이 현대 해전에서 중요해지고 있다. 대양 작전 시 다양한 종류의 함정, 항공기, 무기체계가 통합적으로 운용되므로, 이들을 효과적으로 연결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능력은 대양해군의 전투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 '''해외 기지''': 역사적으로 대양해군은 보급망을 확장하고, 함선 수리 시설을 확보하며, 모항의 능력을 넘어선 원거리 작전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해외 기지를 구축하는 경향을 보여왔다.[21] 이러한 기지는 주로 잠재적 분쟁 발생 가능성이 높거나 자국의 핵심 이익이 걸린 지역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 해군과 미국 해군페르시아만에서의 작전을 위해 바레인에 지속적으로 군사력을 주둔시켜 왔다.[21] 해외 기지의 군사적 가치는 지리적 위치에 크게 좌우되는데, 특히 좁거나 폐쇄된 해역의 초크 포인트에 위치한 기지는 적의 해상 교통로를 통제하거나 타격 범위 내에 둘 수 있어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하다.[21][108] 또한, 진주만 해군 기지처럼 전방 작전 기지(Forward operating base)는 특정 해역으로 진출하는 관문 역할을 수행하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22][109]

3. 대양해군론



일반적으로 대양해군 능력은 주력함의 운용과 동일시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전함, 순양전함, 항공모함, 핵잠수함과 같은 강력한 함정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1970년대 호주 해군이 HMAS ''멜버른''을 교체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 당시, 한 전직 호주 해군 참모총장은 호주가 마지막 항공모함을 대체하지 않으면 "더 이상 대양 해군을 갖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3][97] 그러나 호주는 결국 새로운 항공모함을 구매하지 않았음에도, 2004년 국회 국방 고문이었던 게리 브라운은 호주 해군이 여전히 "효과적인 대양 해군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3][97] 냉전 말기 소련 해군은 항공모함 전력은 최소한이었지만, 잠수함, 미사일 탑재 수상함, 그리고 육상 기지에서 운용되는 장거리 폭격기에 의존하여 대양해군 능력을 유지한 또 다른 사례이다.[4][98]

대양해군은 수중전, 수상전, 항공전 등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자국 함대를 보호하고, 원거리에서 지속적인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강력한 전투 능력뿐만 아니라, 장기간 작전을 뒷받침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군수 지원 능력이 필수적이다. 특히 진정한 대양해군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해상 보급(RAS, Replenishment At Sea) 능력이다.[5][99] 해상 보급함의 취역은 해당 해군이 대양 작전 능력을 추구한다는 강력한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6][100]

대양해군은 다른 국가의 연안수역에 해상 통제력을 투사하는 국력 투사 능력을 갖추지만, 동시에 약소국의 비대칭전 위협에는 여전히 취약하다. 원거리 작전 유지와 병참 지원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며, 육상 기지 항공 자산, 지대함 미사일, 디젤-전기 잠수함, 또는 고속 공격정(FAC) 등을 이용한 비대칭 전술은 배치된 대양 함대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취약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2000년 10월 예멘 아덴에서 발생한 USS 콜 폭탄 테러이다.[7][8][101][102]

'대양해군'이라는 용어는 개별 함선의 능력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근해 작전 중심 해군의 함선이라도 단기간 동안 대양에서 작전을 수행할 수는 있다. 많은 국가가 상당한 규모의 해군 자산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양 작전을 지속하는 데 필요한 군수 지원 능력을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다.[9][121] 이러한 국가들 중 일부는 소말리아 해역 해적 퇴치 작전과 같이 연합 작전 그룹의 일원으로 대양 배치에 참여하기도 한다.

다양한 국방 전문가나 학자들이 특정 국가의 해군을 대양해군으로 묘사하기도 하지만,[23][24] 어떤 해군이 진정한 대양해군에 해당하는지에 대해서는 권위자들 사이에서도 명확하게 합의된 정의는 없다.[25]

3. 1. 일본

일본의 대양해군 연구는 1981년 스즈키 젠코 당시 총리가 국가의 해상 교통로 보호를 위해 작전 범위를 1,000마일 확장하도록 요구하는 새로운 원칙을 제시하면서 시작되었다.[76][77]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일본은 대양을 아우를 해군력을 상실했으나, 1981년 스즈키 총리의 요구 이후 대양해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90년대에는 광활한 바다를 보호할 수 있는 장거리 레이더와 빠른 연산 처리가 가능한 컴퓨터로 무장한 함대를 완성시켰다.

해상자위대는 일반적으로 근해 해군으로 간주되지만,[9] 원해 해군 역량 개발을 위한 전환 과정을 겪고 있다.[76][77] 증가하는 원해 작전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해상자위대는 대형 헬리콥터 탑재 호위함(예: ''휴가''급 헬리콥터 탑재 호위함) 및 대형 이지스 장착 구축함을 중심으로 하는 구축함 전대를 창설하는 등 전력 증강을 추진해왔다.[78][79]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최초의 해외 해군 항공 시설을 지부티-암부리 국제공항 옆에 설립하여 여러 대의 P-3 오라이온 해상 초계기를 운용하고 있다.[80]

F-35B가 JS ''이즈모''에서 수직 착륙 훈련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휴가''급의 발전형인 ''이즈모''급 다목적 호위함에서 F-35B 전투기를 운용하기로 결정했다. 2021년 7월까지 JS ''이즈모''는 F-35B 운용을 위한 개조를 완료했으며,[81] 같은 해 10월에는 미 해병대의 F-35B를 이용한 작전 시험을 실시했다.[82]

3. 2. 중국

중국 항공모함 ''랴오닝''


중국은 2023년까지 세 번째 항공모함을 취역할 것으로 예상되며, 차세대 6세대 전투기인 J-XX가 해군용 전투기일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대양해군 건설에 대한 야심을 드러내고 있다.[159] 현재 약 350척의 함선을 보유한 중국 해군은 2020년대 중반까지 3척의 항공모함을 전력화하여, 기존의 연안 작전 중심에서 벗어나 남중국해동중국해까지 작전 능력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59] 미국은 중국이 2049년까지 세계적인 규모의 군사력을 갖출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159]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PLAN)의 능력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미국 의회[26][118]미국 국방부[27][119]는 중국 해군의 주요 목표가 도련선 전략 상의 제1도련선과 제2도련선에 군사력을 투사하는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27][28][119][120] 2013년 미국 의회 보고서에서는 국방 전문가들이 향후 수십 년 안에 중국이 1982년 포클랜드 전쟁 당시 영국처럼 전 세계에 군사력을 투사할 능력을 갖출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27][119]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 해군이 여전히 연안 작전(brown water, green water)에 중점을 둔 해군이며, 원양 작전 능력을 확보하는 데 있어 보급 및 병참 문제가 주요 약점이라고 지적한다. 제임스 멀버논 박사는 미국 해군 연구소에 기고하며 이러한 문제를 강조했으며,[113] 피터 하워스[114], 티모 키비매키[115], 데니 로이[116], 바트 데세인[117] 등 다수의 학자들도 이 견해를 지지해왔다. 반면, 영국의 해군사학자인 제프리 틸[121]이나 데이비드 샴보 등은 중국 해군이 지역 해군에서 "제한적인" 원양 해군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122] 토드와 린드버그의 분류 체계에 따르면, 중국 해군은 "지역적 전력 투사 해군"으로 분류된다.[30][31][127][128] 일본 방위백서는 중국 해군이 "연안에서 1,500해리 이상의 원해역을 제압 가능한 능력"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123]

2008년부터 중국 해군은 아덴만에서 지속적으로 해적 퇴치 임무를 수행해 왔으며[29][124], 지부티 지원 기지를 거점으로 활용하고 있다.[124] 2019년 12월에는 최초의 국산 항공모함인 산둥을 취역했다.[125]

4. 주요 대양해군 국가

오만만에서 2013년 운용 중인 카보우르 (전면), USS 해리 S. 트루먼 (중간) 및 샤를 드골 (후면). 여러 국가의 해군이 함께 작전하는 모습은 현대 해군력의 특징 중 하나이다.


어떤 해군을 '대양해군'으로 분류할지에 대한 명확하고 합의된 기준은 아직 없다.[25][112] 해군력의 규모, 함정의 종류와 성능, 지속적인 작전 수행 능력, 군수 지원 능력, 작전 범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여러 학자와 전문가들이 해군을 분류하려는 시도를 해왔다.[11] 대표적으로 다니엘 토드(Daniel Todd)와 마이클 린드버그(Michael Lindberg) 교수는 1996년 해군 능력을 10개 등급으로 나누는 분류 체계를 제시했으며, 이는 이후 여러 전문가들에 의해 인용되고 있다. 이들의 분류에 따르면 '대양해군'은 자국 영해를 넘어 전력을 투사할 수 있는 해군을 의미하며, 다시 능력에 따라 4개의 등급으로 세분화된다.[30][31]

다음 표는 토드와 린드버그 교수의 분류 체계에 따른 세계 해군 계층 구조를 보여준다 (c. 2015).

토드 & 린드버그 분류 시스템에 따른 세계 해군 계층 구조(c.2015)[30][31][127][128]
구분등급명칭능력주요 해군
대양 해군1등급글로벌 작전
전력 투사
전 세계에서 여러 차례 지속적인 전력 투사 임무 수행미국
2등급제한적 글로벌 작전
전력 투사
최소 한 번의 주요 전력 투사 작전 수행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3등급다중 지역
전력 투사
자국에 인접한 지역에 전력 투사러시아, 인도, 중국
4등급지역
전력 투사
배타적 경제 수역 (EEZ) 너머로 제한된 범위의 전력 투사스페인, 브라질, 일본, 호주, 대한민국, 독일, 이집트, 네덜란드
비 대양 해군
(녹색 해군)
5등급지역 연안
해안 방어
EEZ 내 및 EEZ 너머로 약간의 해안 방어캐나다,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베트남, 이스라엘, 싱가포르, 파키스탄 등
6등급연안
해안 방어
EEZ 내 해안 방어북한, 미얀마, 브루나이, 스리랑카, 스웨덴 등
비 대양 해군
(갈색 해군)
7등급지역 연안
헌병대
EEZ 내 및 EEZ 너머로 약간의 해양 경찰 활동아이슬란드, 아일랜드, 튀니지, 에스토니아, 이라크 등
8등급연안
헌병대
EEZ 내 해양 경찰 활동캄보디아, 키프로스, 필리핀 등
9등급내륙 수로
강 유역
내륙 국가의 강 유역 방어볼리비아, 파라과이, 부룬디 등
10등급토큰 해군
강 유역
기본적 수준의 헌병대 활동 수행(활동이 없는 경우도 있음)전 세계의 많은 사례



이 분류에 따르면, 미국 해군은 유일하게 전 세계적 작전 능력을 갖춘 1등급 해군으로 평가받는다.[30][31] 영국 해군, 프랑스 해군, 이탈리아 해군은 제한적이지만 세계적인 전력 투사가 가능한 2등급 해군으로 분류된다.[30][31] 러시아 해군, 인도 해군, 중국 해군은 여러 지역에 걸쳐 전력을 투사할 수 있는 3등급 해군으로 평가받는다.[30][31] 특히 중국 해군은 최근 급격한 성장을 보이며 다양한 평가를 받고 있으나,[113][118][119] 여전히 전력 투사 능력의 범위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존재한다.[127][128] 이들 국가는 각자의 전략적 목표와 역사적 배경 속에서 대양해군 능력을 발전시켜왔다.

대양해군은 일반적으로 자국 모항을 넘어선 작전 수행을 위해 해외 기지를 확보하고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기지들은 보급망을 확장하고 함대의 작전 반경을 넓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1] 예를 들어, 미국 해군태평양 지역 작전을 위해 진주만 해군 기지를 중요한 전방 기지로 활용하고 있으며,[22] 영국과 미국은 페르시아만 지역에서의 작전을 위해 바레인에 해군력을 주둔시켜 왔다.[21]

각 국가별 대양해군의 현황과 특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미국

미 해군 항공모함 니미츠


미 해군 강습상륙함 아메리카


미국 해군은 많은 전문가와 학자들에 의해 대양해군으로 평가받는다.[11][23][24][104][110][111] 특히 전 세계 모든 대양의 심해에서 동시에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유일한 해군으로, 다른 전력 투사 해군과 구별되는 세계적인 대양 해군으로 간주된다.[9][121] 토드와 린드버그의 분류 체계에 따르면, 미국 해군은 1등급 "세계적 전력 투사 해군"으로 분류되며, 이 등급에 해당하는 유일한 해군이다.[30][31]

미 해군은 니미츠급 항공모함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을 중심으로 한 11개의 항공모함 타격단을 운용하고 있다.[64] 이 중 6개는 30일 이내에, 추가 2개는 함대 대응 계획(Fleet Response Plan, FRP)에 따라 90일 이내에 배치될 준비가 되어 있다. 또한, 미 해병 원정 부대와 항공 전투 부대를 상륙함에 탑재한 9개의 원정 타격단을 지속적으로 배치하고 있다.[65][155] 미 군사해상수송사령부는 세계 최대 규모로, 전 세계의 군사 수송 및 함선 보급 임무를 수행한다.[66][156]

미국 해군은 대양에서의 전투 능력을 수많은 전쟁과 분쟁을 통해 입증해왔다. 세계의 연안 지대에 전력 투사를 하고, 평시에도 전방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하며 지역 위기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등이 있다.

한편, 미국 해안경비대는 기술적으로 해군은 아니지만, 전 세계 해역에 배치될 수 있는 대양 작전 능력을 갖춘 조직이다.

4. 2. 영국

대영제국은 전통적인 대양해군 강국이었다. 광대한 영토를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이었던 강력한 해군은 대양 작전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23][24]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조차 영국 해군의 벽을 넘지 못해 영국 본토 점령에 실패했다. 전후 미국에 패권을 넘기고 경제력이 약화되면서 해군 규모는 축소되었으나, 포클랜드 전쟁에서의 활약은 영국 해군의 건재함을 보여주었다. 영국은 현재도 대양해군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훈련 웨스트란트 19 기간 중 항공모함 HMS Queen Elizabeth (R08)와 그녀의 항공모함 타격단.


항공모함 퀸 엘리자베스.


영국 해군은 많은 해군 전문가와 학자들에게 대양 해군으로 평가받으며,[110][111] 이러한 입지는 2척의 신형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과 총 18척의 신형 호위함(8척의 26형 호위함, 5척의 31형 호위함, 5척의 32형 호위함) 및 기타 현대화된 군함 도입으로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23][24] 영국 내에서는 자국 해군이 해상 원정 작전 능력을 유지한다는 표현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55][148] Todd와 Lindberg의 분류 체계에 따르면, 영국 해군은 '제한적이지만 전 세계적 범위의 전력 투사가 가능한 해군'(2등급)에 해당한다.[30][31]

영국 해군은 전 세계적으로 여러 상시 임무를 수행하며, 연합 원정군 (해상)(JEF(M))으로 알려진 원정 타격대를 유지한다.[56][149] 영국 해군 잠수함대는 4척의 뱅가드급 잠수함 핵추진 탄도 미사일 잠수함(SSBN)과 7척의 핵추진 어스튜트급 잠수함트라팔가급 잠수함 공격 잠수함(SSN)을 운용하며, 이들은 전 세계에서 작전을 수행한다.[57][150] 또한 왕립 함대 보급대(RFA)는 영국 해군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병력, 식량, 물, 무기, 연료 등을 보급하는 여러 척의 함선을 운용하며, 베이급 상륙함을 통해 상륙 작전 능력도 강화하고 있다.[58][59][151][152] 영국은 극동싱가포르 셈바왕에 위치한 영국 방위 싱가포르 지원 부대를 포함하여 5개의 해외 해군 지원 시설을 유지하고 있다.[60][61][62]

미국 해군대학은 영국 해군의 주요 임무로 전투 수행 외에 원거리 원정 작전 수행, 해상 질서 유지, 분쟁 예방 및 억제 등을 꼽는다.[63][153] 이에 따라 영국 해군은 대공전 및 대잠수함전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능력을 유지하는 것을 전략적으로 중요하게 여긴다.[63][153] 영국 해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한국 전쟁, 1982년 포클랜드 전쟁, 1990-91년 걸프 전쟁, 시에라리온 내전 개입,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3년 이라크 침공,[63][153] 그리고 2011년 리비아 군사 개입 등 다양한 작전을 통해 원정 작전 능력을 지속적으로 보여주었다.

4. 3. 프랑스

프랑스 해군의 핵추진 항공모함 샤를 드골


프랑스 해군은 여러 전문가와 학자들에게 대양해군으로 평가받는다.[11][23][24][104][110][111] 다니엘 토드(Daniel Todd)와 마이클 린드버그(Michael Lindberg) 교수는 프랑스 해군을 "제한적인 세계적 작전 투사 해군"(2등급)으로 분류했다.[30][31][127] 다만, 이들은 프랑스 해군이 "하락세"에 있어 미래에 그 지위를 잃을 수도 있다고 보기도 한다.[128]

프랑스 해군의 핵심 전력은 원자력 항공모함인 샤를 드골(R91) 1척이다. 이 항공모함은 해군 항공 그룹(Aeronaval Group)으로 알려진 주요 원정 전단의 중심축을 이룬다.[129] 또한,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을 중심으로 하는 제2의 상륙 부대(Le Groupe Amphibie)를 운용하고 있다. 이 두 부대는 모두 해군 작전 사령부(Force d'action navale, FAN) 소속이다.[32]

잠수함 부대는 탄도 미사일을 탑재한 트리옹팡급 핵추진 잠수함 4척과 6척의 핵추진 함대 잠수함을 운용한다.[32][129]

프랑스는 전 세계에 걸쳐 해군 기지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있다. 주요 기지로는 카리브해포르드프랑스, 인도양 레위니옹의 르포르, 태평양파페에테 등이 있으며, 남대서양과 서태평양 등 여러 지역에도 기지를 두고 있다.[32][129]

프랑스 해군의 주요 임무는 해외에서의 프랑스 국익 보호와 다수의 해외 영토 및 행정 구역의 안전 보장이며, 이를 위해 전 세계적으로 지속적인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33][130] 국제정치학자 에이드리언 하이드-프라이스는 냉전 이후 영국과 프랑스가 원정 전쟁과 전력 투사에 다시 주목했으며, 이는 해외 국익 보호를 위한 군사적 사고의 중심 요소가 되었다고 분석한다.[126]

4. 4. 러시아

러시아의 항공모함 아드미랄 쿠즈네초프


과거 소비에트 해군은 미국 해군과 경쟁할 만한 해군력을 보유했지만, 냉전 종식과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 해군은 심각한 자금 부족으로 크게 약화되었다.[53] 1990년대 후반까지 러시아가 대양에서 해군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실질적인 증거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다.[53]

2007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집권 시기에 러시아는 해군력 증강에 대한 목표를 확대하며 대규모 대양 해군 재건을 목표로 삼았다.[54] 오늘날 러시아 해군은 Todd와 Lindberg의 분류 체계에 따라 3등급 '다지역 전력 투사 해군'으로 평가받으며,[30][31] 영국의 해군 역사학자 제프리 틸(Geoffrey Till) 교수 역시 러시아 해군을 대양 해군으로 평가하고 있다.[9]

일부 분석가들은 러시아의 전략적 중심이 냉전 시대의 북대서양 잠수함 작전에서, 부상하는 중국오바마 행정부아시아 태평양 중시 정책(Asia-Pacific Pivot)에 대응하기 위한 태평양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지적한다.[145]

러시아는 시리아타르투스에 유일한 해외 해군 시설인 보급·정비 시설을 유지하고 있다.[146] 이 기지는 지중해에 전개된 러시아 함대에 기술 정비와 군수 지원을 제공한다.[146] 2008년 이후 러시아 해군은 대서양, 지중해, 카리브해, 인도양 등에서의 활동을 눈에 띄게 늘리고 있다.

4. 5. 인도

항공모함 INS 비크라마디티야와 INS 비크란트가 항모 타격단을 구성하여 함께 항해하고 있다.


인도 해군1961년부터 항공모함을 운용해 온 경험이 있어 아시아 해군 중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다.[34][35][131][132] 조지 J. 길보이 박사와 정치학자 에릭 헤긴보텀은 이러한 경험이 인도 해군에게 "이 지역의 선도적인 전력 투사 능력"을 부여한다고 평가했다.[34][131] 또한, 토드와 린드버그의 분류 체계에 따르면 인도 해군은 "다지역 전력 투사 해군"(Multi-regional power projection navy)으로 분류되는 유일한 아시아 해군이다.[30][31][127][128] 컨설턴시 아프리카 인텔리전스(Consultancy Africa Intelligence)의 그렉 라이언은 최근 몇 년간 인도 해군이 "대양 해군"(blue-water navy)으로 부상했다고 주장했다.[36][133]

인도2007년 '해양 능력 관점 계획'(Maritime Capability Perspective Plan)을 통해 대양 해군 능력 개발 의도를 처음 밝혔으며,[37][38][134][135] 해군의 최우선 과제는 인도양 지역, 즉 "인도의 전략적 이익 지역"에 대한 전력 투사로 설정되었다.[39][40][136][137] 2007년 이후 인도 해군은 페르시아 만과 아프리카의 뿔에서 말라카 해협에 이르는 해역까지 주둔을 강화했으며, 해적 퇴치 작전 수행 및 이 지역 다른 국가 해군과의 파트너십 구축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41][42][138][139] 또한 남중국해동중국해, 서부 지중해에서 동시에 2~3개월간 지속되는 원거리 배치 작전을 정기적으로 수행한다.[43][44][140][141] 해군은 마다가스카르에 감청 기지를 운용하고 있다.[45][142]

항공모함 비크라마디티야


인도는 1961년 첫 항공모함 비크란트(초대)를 도입한 이래 항모 운용 경험을 축적해왔다. 비라트와 비크란트(초대)가 퇴역한 후, 현재 인도의 핵심 타격력은 두 개의 항모 기동단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하나는 비크라마디티야이며, 다른 하나는 2022년 9월 취역한 자체 개발 항공모함 INS 비크란트이다. 이로써 인도는 다시 2척의 항공모함을 운용하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인도 해군은 또한 상륙 수송 도크인 INS 잘라쉬와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2척의 아리한트급 자체 개발 핵추진 탄도유도탄 잠수함을 운용하고 있고 추가로 2척을 건조 중이다. 또한 러시아로부터 아쿨라급 잠수함 1척을 임대하여 운용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함정을 계획하거나 건조 중에 있다.

4. 6. 이탈리아

이탈리아 항공모함 카보우르


이탈리아 LHD 트리에스테


이탈리아 해군은 과거 류화청의 1994년 회고록에서 "지역 청해 해군"으로,[46] 1996년 다니엘 토드와 마이클 린드버그 교수에 의해 3등급 "다중 지역 전력 투사 해군"으로 분류되었다.[30] 1989년 조셉 I. 코피는 이탈리아의 청해 능력이 지중해를 넘어서지 못한다고 평가하기도 했다.[47]

그러나 현재 이탈리아 해군은 3척의 항공모함(카보우르, 트리에스테, 주세페 가리발디)을 운용하며 지중해를 넘어 인도양과 페르시아 만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오션 실드 작전 및 아탈란타 작전과 같은 다국적 해적 퇴치 임무에 정기적으로 참여하며,[48] NATO나 EU 작전(항구적 자유 작전, EU Navfor Med(유럽 이주 위기 관련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항공모함 타격단을 파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다. 2015년 학자 사라 키르히버거는 이탈리아를 본국에서 멀리 떨어진 공해에서 작전할 수 있는 청해 해군으로 평가했다.[49]

최근 이탈리아 해군은 대양해군으로서의 역량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2024년 6월부터는 F-35B 전투기를 탑재한 STOVL 항공모함 카보우르를 중심으로 한 항공모함 타격단을 싱가포르,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필리핀을 포함하는 인도-태평양 지역에 5개월간 배치했다. 또한,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 해상 훈련인 환태평양 훈련에도 참여할 예정이다. 이는 이탈리아 해군이 도달한 높은 수준의 작전 능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영국 해군과 동등한 수준으로 평가받기도 한다.[50][51][52]

5. 대한민국 해군의 대양해군 논의

김영삼 정권 시기인 1990년대부터 한국형 항공모함 구상과 함께 대한민국 해군 내부에서 대양해군론이 제기되었으나, IMF 외환위기로 인해 추진이 중단되었다.[160]

김대중 대통령은 2001년, 최대 3척의 독도급 강습상륙함 건조를 포함하는 "전략 기동 함대"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83] 당시 두 번째 함정에는 스키 점프대를 설치하여 V/STOL 제트 전투기를 운용하는 방안도 고려되었다.[86]

대양해군 논의는 이명박 정부 시기에 다시 본격화되었고,[160] 2020년대에 들어서는 대한민국 해군대형수송함-II 사업(경항공모함) 계획과 원자력 추진 잠수함 확보 등을 추진하고 있다.[161] 특히 2021년 12월 3일에는 국회에서 F-35B를 운용할 수 있는 CVX급 항공모함 건조 예산이 통과되었으며, 이 항공모함은 늦어도 2033년까지 작전에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87][88][89] 대한민국 해군은 이처럼 원해 해군 역량을 개발하려는 의지를 꾸준히 보여주고 있다.[83][84][85]

5. 0. 1. 비판적 시각

김영삼 정부 시절인 1990년대부터 한국형 항공모함 구상과 함께 대한민국 해군 내부에서 대양해군론이 제기되었다. 당시 경제력에서 10배 이상 차이가 났던 일본과의 독도 분쟁 발생 시,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해군력이 부족하다는 현실 인식이 대양해군 건설 주장의 배경이 되었다. 그러나 IMF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대양해군 건설은 한동안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이후 이명박 정부 시기인 200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초반에 이르러 대양해군 논의가 다시 부상했다.[160] 2020년대 들어 대한민국 해군대형수송함-II 사업으로 알려진 경항공모함 도입 계획과 원자력 추진 잠수함 확보 논의 등을 통해 대양해군으로 나아가려는 의지를 다시 한번 분명히 하고 있다.[161]

하지만 이러한 대한민국 해군의 대양해군 추진 구상이 구체적인 대책 없이 비현실적이라는 비판적인 목소리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162]

참조

[1] 웹사이트 British Maritime Doctrine, BR 1806, Third Edition http://www.da.mod.uk[...] 2014-02-25
[2] 웹사이트 Special Focus Area: Marine Sensors http://www.dss.mil/c[...] Defense Security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2012-07-15
[3] 간행물 Why buy Abrams Tanks? We need to look at more appropriate options http://www.onlineopi[...] The National Forum 2004-03-31
[4] 서적 The threat: inside the Soviet military machine https://books.google[...] Vintage Books 2012-04-30
[5] 간행물 Cold war at sea: high-seas confront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6] 서적 The Great Wall at Sea: China's Navy Enters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archive.org/[...] Naval Institute Press 2012-04-30
[7] 웹사이트 Smart Range of Burst fuzes http://proceedings.n[...] TNO 2005-04-06
[8] 웹사이트 Protecting Naval Surface Ships from Fast Attack Boat Swarm Threats http://www.defense-u[...] defense-update.com 2007-01-10
[9] 서적 Naval Modernisation in South-East Asia: Nature, Causes and Consequences Routledge 2013-08-15
[10] 문서 Dictionary: Blue-water http://dictionary.re[...] dictionary.com
[11] 서적 Sea Power and the Asia-Pacific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 서적 China-India Relations: Contemporary Dynamics Routledge 2007-10-10
[13] 웹사이트 Q&A with Adm. Michael G. Mullen 2006 CNO's Guidance Release Media Roundtable Pentagon http://www.navy.mil/[...] US Navy 2015-03-17
[14] 뉴스 KQV RADIO (PITTSBURGH) INTERVIEW WITH JOE FENN MAY 19, 2006 http://www.navy.mil/[...] FC
[15] 서적 Small Navies: Strategy and Policy for Small Navies in War and Peace (Dr Deborah Sanders, Dr Ian Speller, Professor Michael Mulqueen) Ashgate Publishing 2014-06-28
[16] 서적 Seapower: A Guid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2-15
[17] 문서 Traité de stratégie Economica
[18] 서적 China's Rising Sea Power: The PLA Navy's Submarine Challenge Routledge 2006-04-18
[19] 뉴스 Bringing the navy up to date https://legionmagazi[...] Legion magazine 2019-10-04
[20] 논문 Swedish Coastal Defence Over Four Centuries: War as a Changing Institution of International Society 2022
[21] 서적 Naval Strategy and Operations in Narrow Sea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9-05
[22] 뉴스 CNO Sees Hawaii as 'Gateway' to Operate Forward http://www.navy.mil/[...] navy.mil 2012-01-20
[23] 웹사이트 The Royal Navy: Britain's Trident for a Global Agenda http://henryjacksons[...] Henry Jackson Society 2006-11-04
[24] 서적 The Anglosphere Challenge: Why the English-speaking Nations Will Lead the Way in the Twenty-first Century Rowman & Littlefield 2007-01-01
[25] 서적 A Handbook of Military Strategy and Tactics Vij Books India Pvt Ltd 2012-07-13
[26] 문서 China Naval Modernization: Implications for U.S. Navy Capabilities—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2012-12-10
[27] 논문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 http://www.defense.g[...] 2014-11-10
[28] 논문 China Naval Modernization: Implications for U.S. Navy Capabilities—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https://fas.org/sgp/[...] 2020-01-22
[29] 서적 NWC China Maritime Studies 13: Beyond the Wall Chinese far sea operations https://www.usnwc.ed[...] Naval War College 2015-12-03
[30] 서적 Navies and Shipbuilding Industries: The Strained Symbiosi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5-11-30
[31] 서적 Assessing China's Naval Power: Technological Innovation, Economic Constraints, and Strategic Implications Springer 2015
[32] 뉴스 The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of the Member States of the European Union http://www.europarl.[...] uroparl.europa.eu 2009
[33] 웹사이트 French Navy official website http://www.defense.g[...] defense.gouv.fr
[34] 서적 Chinese and Indian Strategic Behavior: Growing Power and Alar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3-12
[35] 서적 Handbook on China and Developing Countries Edward Elgar Publishing 2015-04-30
[36] 논문 The expansion of India's blue water capabilities into African maritime territories http://www.consultan[...] 2015-03-15
[37] 논문 India's drive for a 'blue water' navy http://www.jmss.org/[...] Winter 2007–2008
[38] 서적 Indian Foreign Polic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https://books.google[...] Academic Foundation
[39] 서적 Warship https://books.google[...] Conway Maritime Press
[40] 문서 India's Military Modernization: Plans and Strategic Underpinnings http://www.nbr.org/r[...] 2012-09-24
[41] 웹사이트 Indian Ocean: Reviving IOR-ARC forum http://www.strategic[...] Strategic Affairs 2013-12-11
[42] 웹사이트 Indian Navy - Naval Operations http://indiannavy.ni[...] Indian Navy 2014-05-23
[43] 뉴스 The power of the sea https://www.deccanch[...] 2014-05-23
[44] 서적 India as an Asia Pacific pow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
[45] 뉴스 India activates first listening post on foreign soil: radars in Madagascar http://archive.india[...] 2007-07-18
[46] 문서 The Chinese Navy: Expanding Capabilities, Evolving Roles? https://books.google[...] 2012
[47] 서적 The Atlantic Alliance and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15-11-30
[48] 웹사이트 Marina Militaire – Operations http://www.marina.di[...] marina.difesa.it
[49] 서적 Assessing China's Naval Power: Technological Innovation, Economic Constraints, and Strategic Implic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
[50] 웹사이트 Italian Carrier Strike Group starts five-month deployment to the Indo-Pacific https://www.navalnew[...] 2024-07-17
[51] 웹사이트 Italian Carrier Strike Group Arrives In Singapore As Part Of Indo-Pacific Operational Campaign https://theaviationi[...] 2024-07-17
[52] 웹사이트 Italian Navy to Ramp up Indo-Pacific Engagement in 2024 https://www.navalnew[...] 2024-07-17
[53] 서적 The Armed Forces of Russia in Asia I.B.Tauris 2000-07-14
[54] 서적 Twenty-First Century Seapower: Cooperation and Conflict at Sea Routledge 2013
[55] 웹사이트 UK Maritime Expeditionary Capabilities and the Lessons of the Falklands Conflict http://eprints.nuim.[...] 2002
[56] 웹사이트 The Royal Navy Deployed Forward Operating Globally http://www.royalnavy[...] Royal Navy 2014-05-21
[57] 웹사이트 Royal Navy - A Global Force 2012/13 http://www.newsdeskm[...] Royal Navy 2014-06-26
[58] 웹사이트 The Royal Fleet Auxiliary – Delivering Maritime Operational Support https://www.rusi.org[...] rusi.org 2014-06-26
[59] 웹사이트 The Royal Fleet Auxiliary – Adding Value to UK Defence https://www.rusi.org[...] rusi.org 2014-06-26
[60] 논문 The Status and Location of the Military Installations of the Member States of the European Union http://www.europarl.[...] 2014-10-21
[61] 뉴스 UK opens naval support facility in Bahrain http://www.janes.com[...] 2016-11-15
[62] 문서 House of Commons Hansard Written Answers https://publications[...] 2013-06-17
[63] 웹사이트 Great Britain Gambles With The Royal Navy https://www.usnwc.ed[...] U.S. Naval War College 2014-06-26
[64] 웹사이트 About https://www.surfpac.[...] 2024-02-14
[65] 웹사이트 Status of the U.S Navy http://www.navy.mil/[...]
[66] 웹사이트 Military Sealift Command http://www.msc.navy.[...] msc.navy.mil 2014-06-23
[67] 간행물 Naval activity in the foreign EEZ—the role of terminology in law regime http://community.mid[...] St. Petersburg Association of the Law of the Sea, 7 Kazanskaya St., St. Petersburg 191186, Russia, Available online 11 November 2004
[68] 웹사이트 Turkey's 'Drone Carrier' Amphibious Assault Ship Enters Service https://www.thedrive[...] 2023-04-11
[69] 웹사이트 Turkish Navy Officially Welcomes Its New Flagship, TCG Anadolu https://www.trtworld[...] TRT World 2023-04-11
[70] 웹사이트 Baykar's unmanned fighter aircraft completes first flight https://baykartech.c[...] 2022-12-15
[71] 웹사이트 Here Is How UAVs Will Be Recovered Aboard TCG Anadolu https://www.navalnew[...] Naval News 2022-05-01
[72] 웹사이트 Image of Baykar MIUS Kızılelma UCAVs deployed on TCG Anadolu (L-400) https://imgs.stargaz[...] 2022-12-14
[73] 웹사이트 Bayraktar Kızılelma: Maiden Flight https://www.youtube.[...] Baykar Technologies 2022-12-14
[74] 웹사이트 Maiden flight of Baykar MIUS Kızılelma UCAV (14 December 2022) https://www.youtube.[...] SavunmaSanayiST 2022-12-14
[75] 웹사이트 Kızılelma takes to the sky! https://www.scramble[...] 2022-12-14
[76] 간행물 Japan Maritime Self Defense Force in the New Maritime Era https://www.mod.go.j[...] 2012-12-03
[77] 간행물 Japanese sealane defense today Kaijin-sha 2009-02
[78] 간행물 History of Fleet Escort Force since 1961 Kaijin-sha 2011-11
[79] 서적 Japan's Sea Lane Security, 1940-2004: A Matter Of Life And Death?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01
[80] 웹사이트 MOD/JSDF ANSWERS - Anti-Piracy Efforts https://www.mod.go.j[...] 2012-11-16
[81] 뉴스 Japan's Izumo Helicopter Destroyer Modified To Operate F-35B Fighters https://www.navalnew[...] Naval News 2021-07-20
[82] 뉴스 U.S. Marine F-35Bs to Embark on Japan's Largest Warship in October https://news.usni.or[...]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2021-09-30
[83] 웹사이트 김대통령, 해군사관학교 졸업 및 임관식 참석말씀 http://www3.yonsei.a[...] 2012-12-19
[84]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Navy and China's Rise: Balancing Competing Priorities http://belfercenter.[...] Belfer Centre 2013-04-24
[85] 간행물 The Emergence of a Korean Navy — A Japanese Perspective https://digital-comm[...] 2010
[86] 뉴스 S. Korea Envisions Light Aircraft Carrier 2013-10-26
[87] 뉴스 South Korea to begin work on light aircraft carrier in 2022 2021-02-24
[88] 웹사이트 결국 되살아난 '경항모 예산' 72억…해군, 내년 기본설계 추진 https://www.hankyung[...] hankyung.com 2021-12-03
[89] 웹사이트 국방 분야 핵심공약 좌초 우려에 정무라인 물밑작업 끝 원안 통과문대통령, 경항모 중요성 거듭 강조…예산부활 보고받고는 '반색 https://www.yna.co.k[...] yna.co.kr 2021-12-03
[90] 간행물 The Brazilian Navy: Green Water or Blue? http://www.isn.ethz.[...] 2015-03-17
[91] 간행물 Iran's Foreign and Defense Policies https://fas.org/sgp/[...]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17-03-01
[92] 웹사이트 Gulf III: Iran's Power in the Sea Lanes http://iranprimer.us[...] The Iran Primer,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2016-01-05
[93] 서적 European Secur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Challenge of Multipolarity Taylor & Francis Group 2007-01-09
[94] 웹사이트 A Study into the Preparation for and Use of the Queen Elizabeth-Class Carriers (September 2013) https://www.rusi.org[...] Royal United Services Institute 2014-05-25
[95] 뉴스 Royal Navy At Sea (Archive) http://www.royalnavy[...] The Royal Navy 2013
[96] 웹사이트 British Maritime Doctrine, BR 1806, Third Edition http://www.da.mod.uk[...] 2019-12-02
[97] 뉴스 Why buy Abrams Tanks? We need to look at more appropriate options http://www.onlineopi[...] The National Forum 2004-03-31
[98] 서적 The threat: inside the Soviet military machine https://books.google[...] Vintage Books 2012-04-30
[99] 서적 Cold war at sea: high-seas confront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100] 서적 The Great Wall at Sea: China's Navy Enters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2012-04-30
[101] 웹사이트 Smart Range of Burst fuzes http://proceedings.n[...] TNO 2005-04-06
[102] 웹사이트 Protecting Naval Surface Ships from Fast Attack Boat Swarm Threats http://www.defense-u[...] defense-update.com 2007-01-10
[103] 웹사이트 Blue-water http://dictionary.re[...]
[104] 서적 Sea Power and the Asia-Pacific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5] 서적 China-India Relations: Contemporary Dynamics Routledge 2007-10-10
[106] 웹사이트 "Q&A with Adm. Michael G. Mullen 2006 CNO's Guidance Release Media Roundtable Pentagon," http://www.navy.mil/[...] US Navy 2005-10-13
[107] 뉴스 KQV RADIO (PITTSBURGH) INTERVIEW WITH JOE FENN MAY 19, 2006 http://www.navy.mil/[...] U.S. Navy Chief of Naval Operations Admiral Michael Mullen
[108] 서적 Naval Strategy and Operations in Narrow Sea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9-05
[109] 웹사이트 CNO Sees Hawaii as 'Gateway' to Operate Forward http://www.navy.mil/[...] navy.mil 2012-01-20
[110] 웹사이트 The Royal Navy: Britain’s Trident for a Global Agenda http://henryjacksons[...] Henry Jackson Society 2006-11-04
[111] 서적 The Anglosphere Challenge: Why the English-speaking Nations Will Lead the Way in the Twenty-first Century Rowman & Littlefield 2007-01-01
[112] 서적 A Handbook of Military Strategy and Tactics Vij Books India Pvt Ltd 2012-07-13
[113] 서적 China's Energy Strategy: The Impact on Beijing's Maritime Policies Naval Institute Press 2012
[114] 서적 China's Rising Sea Power: The PLA Navy's Submarine Challenge Routledge 2006-04-18
[115] 서적 War Or Peace in the South China Sea? NIAS Press 2002
[116] 서적 China's Foreign Relations Rowman & Littlefield 1998-01-01
[117] 서적 Interpreting China as a Regional and Global Power: Nationalism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in World Politics Palgrave Macmillan 2014-11-26
[118] 문서 China Naval Modernization: Implications for U.S. Navy Capabilities—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Ronald O'Rourke 2012-12-10
[119] 간행물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 http://www.defense.g[...] 2013
[120] 간행물 China Naval Modernization: Implications for U.S. Navy Capabilities—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https://fas.org/sgp/[...] 2014-09
[121] 서적 Naval Modernisation in South-East Asia: Nature, Causes and Consequences Routledge 2013-08-15
[122] 서적 China Goes Global: The Partial Power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1-18
[123] 웹사이트 第1章 わが国を取り巻く安全保障環境 - 平成17年版 防衛白書 http://www.clearing.[...]
[124] 서적 NWC China Maritime Studies 13: Beyond the Wall Chinese far sea operations https://www.usnwc.ed[...] Naval War College 2015-05-13
[125] 뉴스 中国で2隻目の空母「山東」が就役 国産としては初 https://www.afpbb.co[...] AFPBB 2019-12-17
[126] 문서 "European Secur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Challenge of Multipolarity" Taylor & Francis Group 2007-01-09
[127] 서적 Navies and Shipbuilding Industries: The Strained Symbiosi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6
[128] 서적 Assessing China's Naval Power: Technological Innovation, Economic Constraints, and Strategic Implications Springer 2015
[129] 웹사이트 The overseas military installations of the Member States of the European Union http://www.europarl.[...] uroparl.europa.eu 2009
[130] 웹사이트 French Navy official website http://www.defense.g[...] defense.gouv.fr
[131] 서적 Chinese and Indian Strategic Behavior: Growing Power and Alar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3-12
[132] 서적 Handbook on China and Developing Countries Edward Elgar Publishing 2015-04-30
[133] 간행물 The expansion of India’s blue water capabilities into African maritime territories http://www.consultan[...] 2014-09-08
[134] 간행물 India's drive for a 'blue water' navy http://www.jmss.org/[...] 2007–2008
[135] 서적 Indian Foreign Polic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https://books.google[...] Academic Foundation
[136] 서적 Warship https://books.google[...] Conway Maritime Press
[137] 웹사이트 India’s Military Modernization: Plans and Strategic Underpinnings http://www.nbr.org/r[...] Gurmeet Kanwal 2012-09-24
[138] 웹사이트 Indian Ocean: Reviving IOR-ARC forum http://www.strategic[...] Strategic Affairs
[139] 웹사이트 Indian Navy - Naval Operations http://indiannavy.ni[...] Indian Navy
[140] 뉴스 The power of the sea http://www.deccanchr[...] 2014-05-23
[141] 서적 India as an Asia Pacific pow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
[142] 뉴스 India activates first listening post on foreign soil: radars in Madagascar http://archive.india[...] The Indian Express 2007-07-18
[143] 서적 The Armed Forces of Russia in Asia I.B.Tauris 2000-07-14
[144] 서적 Twenty-First Century Seapower: Cooperation and Conflict at Sea Routledge 2013
[145] 웹사이트 Russian navy shifts strategic focus http://russiamil.wor[...] 2011-05-23
[146] 웹사이트 シリア:ロシアに軍事基地建設を呼びかけ http://www.el.tufs.a[...] アルクッズ・アルアラビ 2023-03-01
[147] 웹사이트 A Study into the Preparation for and Use of the Queen Elizabeth-Class Carriers (September 2013) https://www.rusi.org[...] Royal United Services Institute 2014-05-25
[148] 웹사이트 UK Maritime Expeditionary Capabilities and the Lessons of the Falklands Conflict http://eprints.nuim.[...] 2002
[149] 웹사이트 The Royal Navy Deployed Forward Operating Globally http://www.royalnavy[...] Royal Navy 2014-05-21
[150] 웹사이트 Royal Navy - A Global Force 2012/13 http://www.newsdeskm[...] Royal Navy 2014-06-26
[151] 웹사이트 The Royal Fleet Auxiliary – Delivering Maritime Operational Support https://www.rusi.org[...] 2012-04-15
[152] 웹사이트 The Royal Fleet Auxiliary – Adding Value to UK Defence https://www.rusi.org[...] 2012-04-16
[153] 웹사이트 Great Britain Gambles With The Royal Navy https://www.usnwc.ed[...] U.S Naval War College 2014-06-26
[154] 웹사이트 Royal Navy At Sea (Archive) http://www.royalnavy[...] The Royal Navy 2013
[155] 웹사이트 Status of the U.S Navy http://www.navy.mil/[...] 2010-12-21
[156] 웹사이트 Military Sealift Command http://www.msc.navy.[...] 2014-06-23
[157] 웹인용 美, 주력 정찰기 5대 한꺼번에 한반도로… “北 섣부른 짓 말라” 경고 https://news.zum.com[...] 2019-12-26
[158] 웹인용 미국은 왜 해군이 앞장 서 설치나? > 최근글 {{!}} 지만원의 시스템클럽 http://www.systemclu[...] 2020-11-12
[159] 웹인용 China now has world's largest navy as Beijing advances towards goal of a ‘world-class' military by 2049, says US DoD https://www.janes.co[...] 2020-11-12
[160] 웹인용 다시 부활한 '한국해군의 대양해군' https://www.asiae.co[...] 2012-02-25
[161] 웹인용 해양강국과 대양해군 2.0 : 국가해군력 시대를 준비하며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http://www.kims.or.k[...] 2020-11-12
[162] 웹인용 대양해군론의 허구… 현실성 없고, 전략도 대안도 아니다 http://news.khan.co.[...] 2012-03-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