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고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왕고래는 긴수염고래과에 속하는 고래로, 현존하는 동물 중 가장 큰 종이다. 몸길이는 평균 24~33m, 몸무게는 최대 199톤에 달하며, 푸른빛을 띠는 회색 피부와 얼룩무늬를 가지고 있다.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며, 4개의 아종과 2개의 의문 아종이 존재한다. 대왕고래는 크릴 등 작은 해양 생물을 여과 섭식하며, 수명은 80~90년 이상이다. 인간과 범고래가 천적이며, 과거 포경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했으나, 현재는 보호받고 있다. 선박과의 충돌, 수중 소음, 해양 오염, 기후 변화 등도 위협 요인으로 작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왕고래속 - 밍크고래
밍크고래는 긴수염고래과에 속하는 고래로, 과거에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일반 밍크고래와 남극 밍크고래 두 종으로 분류되며, 몸집이 작고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여 사람에게 접근하기도 하지만, 상업적 포경으로 인해 보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대왕고래속 - 브라이드고래
브라이드고래는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중간 크기의 수염고래로,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브라이드고래와 에덴고래 두 종이 존재하며, 낫돌고래, 뿔돌고래, 라이스고래를 포함하는 복합체로 분류학적 논쟁이 있으며, 밍크고래와 외형적 유사성을 보이고,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 국제포경위원회 지정 포획금지종 - 혹등고래
혹등고래는 긴수염고래과의 수염고래로, 큰 가슴지느러미와 등에 있는 혹으로 구별되며,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고 회유하는 동물로, 과거 포경으로 개체 수가 급감했으나 현재는 회복 중이지만, 일부 개체군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인위적 위협에 직면해 있다. - 국제포경위원회 지정 포획금지종 - 브라이드고래
브라이드고래는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중간 크기의 수염고래로,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브라이드고래와 에덴고래 두 종이 존재하며, 낫돌고래, 뿔돌고래, 라이스고래를 포함하는 복합체로 분류학적 논쟁이 있으며, 밍크고래와 외형적 유사성을 보이고,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 거대동물 - 고래
고래는 유선형 몸과 지느러미를 가진 물에 사는 포유류로, 수염고래와 이빨고래로 나뉘며 뛰어난 청력과 음파탐지 능력으로 소통하지만, 과거 포경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인간과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다. - 거대동물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대왕고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학명 | Balaenoptera musculus |
명명자 | Linnaeus, 1758 |
한국어 명칭 | 흰긴수염고래, 흰수염고래, 대왕고래 |
영어 명칭 | blue whale |
일본어 명칭 | 白長須鯨(시로나가스크지라) |
스페인어 명칭 | ballena azul, rorcual azul |
중국어 명칭 | 蓝鲸 |
러시아어 명칭 | Синий кит |
로마자 표기 | 발라에노프테라 무스쿨루스 |
멸종 위기 등급 | EN |
사이테스 | CITES 부속서 I |
생물 분류 |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우제목/경우제목 경하마형아목 고래하목 수염고래소목 수염고래과 대왕고래속 대왕고래 |
형태 | |
크기 | 최대 29.9m |
무게 | 최대 199톤 |
특징 | 지구상에서 가장 큰 동물 |
아종 | |
아종 목록 | B. m. brevicauda Ichihara, 1966 B. m. indica Blyth, 1859 (미확인) B. m. intermedia Burmeister, 1871 B. m. musculus Linnaeus, 1758 |
과거 학명 | |
과거 학명 목록 | Balaena musculus Linnaeus, 1758 Balaenoptera gibbar Scoresby 1820 Pterobalaena gigas Van Beneden 1861 Physalus latirostris Flower 1864 Sibbaldius borealis Gray 1866 Flowerius gigas Lilljeborg 1867 Sibbaldius sulfureus Cope 1869 Balaenoptera sibbaldii Sars 1875 |
기타 | |
![]() | |
![]() |
2. 분류
대왕고래의 학명은 ''Balaenoptera musculus''이다. 속명 ''Balaenoptera''는 "날개 달린 고래"를 의미하며,[29] 종명 ''musculus''는 라틴어로 "근육"이라는 뜻이지만 "작은 쥐"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는 카를 린네가 1758년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Systema Naturae)에서 이 종을 명명할 때 의도한 말장난일 수 있다.[29][31] 대왕고래에 대한 최초의 기록 중 하나는 스코틀랜드의 의사 로버트 시벌드(Robert Sibbald)가 1694년에 쓴 ''Phalainologia Nova''에 나오는데, 이는 시벌드가 1692년 스코틀랜드 포스 만(Firth of Forth)에 좌초된 개체를 조사한 후 작성되었다.[5] 이 때문에 대왕고래는 한때 "시벌드의 수염고래"라고 불리기도 했다.[5] "대왕고래"라는 일반명은 노르웨이어 ''blåhval''(푸른 고래)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노르웨이의 포경업자 스벤드 포인(Svend Foyn)이 작살포를 발명한 직후 만들어진 이름이다. 노르웨이 과학자 G. O. 사르스(G. O. Sars)가 1874년에 이 이름을 일반명으로 채택했다.[6]
포경선원들은 일부 개체의 배 부분이 규조류 때문에 누렇게 보이는 것을 보고 "황색 배 고래"(Sulphur bottom영어)라고 부르기도 했다.[7] 미국의 작가 허먼 멜빌(Herman Melville)도 그의 소설 《모비딕》(Moby-Dick)에서 이 이름을 잠시 언급했다.[37]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에 키가 크다는 의미로 긴수염고래와 함께 나가스쿠지라(長須鯨)라고 불렀다. 현재의 일본 표준명인 시로나가스쿠지라(シロナガスクジラ, 흰긴수염고래)는 물 위로 떠오를 때 하얗게 보이는 모습에서 유래했으며, 긴수염고래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명명되었다. 과거에는 나가스쿠지라, 나가스, 시로 나가스쿠지라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163] 영어권에서는 "Blue Whale"이 표준명이며, 이 외에도 "Sibbald's rorqual", "Sulphur bottom", "great northern rorqual" 등의 이름이 있다. 중국어권에서는 영어 이름을 따라 蓝鲸중국어(남경)이라는 표기를 가장 흔하게 사용한다.
대왕고래는 수염고래소목 긴수염고래과(Balaenopteridae) 긴수염고래아과(Balaenopterinae)에 속한다. 2018년 유전체 분석 연구에 따르면, 긴수염고래과는 다른 고래 과들과 약 1,048만 년 전에서 498만 년 전 사이의 후기 마이오세에 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8] 해부학적으로 현생 대왕고래와 가장 유사한 가장 오래된 화석은 이탈리아 남부에서 발견된 부분 두개골로, 약 150만 년에서 125만 년 전인 초기 플라이스토세의 것으로 확인되었다.[9] 전장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결과, 대왕고래는 낫돌고래(Sei whale, ''B. borealis'')와 가장 가까운 친척이며, 회색고래(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는 이들의 자매군이다. 또한 이 연구는 밍크고래와 대왕고래/낫돌고래의 공통 조상 사이에 상당한 유전자 흐름이 있었음을 밝혀냈다.[8]
대왕고래는 여러 아종으로 나뉜다. 현재 해양포유류학회(Society for Marine Mammalogy) 분류위원회는 4개의 아종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으며,[181] 칠레 연안의 개체군은 다섯 번째 아종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183] 아종 간의 분화는 비교적 최근에 일어났으며, 특히 최후 빙기 최대기 이후에 분화된 아종도 있어 유전적 다양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10][11]
2. 1. 아종
해양포유류학회(Society for Marine Mammalogy, SMM)의 분류위원회는 2023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4개의 아종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다.[181]학명 | 일반명 | 주요 서식지 |
---|---|---|
Balaenoptera musculus musculus | 북방흰긴수염고래 (Northern blue whale) | 북반구 (북대서양, 북태평양)[162] |
Balaenoptera musculus intermedia | 남극흰긴수염고래 (Antarctic blue whale) | 남극해 주변 고위도 해역[162] |
Balaenoptera musculus brevicauda | 난쟁이흰긴수염고래 (Pygmy blue whale) | 인도양, 남태평양 등 남반구 저위도 해역[162] |
Balaenoptera musculus indica | 북인도양흰긴수염고래 (Northern Indian Ocean blue whale) | 인도양 북부, 아라비아해 등[159] |
이 4개의 아종 외에도, 칠레 연안에 서식하는 흰긴수염고래 개체군은 지리적 분리, 유전적 특성, 그리고 독특한 소리 패턴 등을 근거로 별개의 다섯 번째 아종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23][24][25][183] 칠레 흰긴수염고래는 유전적으로 남극 아종과는 뚜렷하게 구분되며,[26] 형태학적 연구에서도 난쟁이흰긴수염고래와 다른 특징들이 관찰되어 독립적인 개체군으로 간주될 근거를 더하고 있다.[27]
2024년에 발표된 전 세계 흰긴수염고래 개체군에 대한 게놈 연구는 남극 아종과 인도-서태평양 아종(난쟁이흰긴수염고래 포함)의 아종 지위를 유전적으로 뒷받침하는 결과를 제시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동태평양 개체군(북방 아종의 일부)에 대해서는 뚜렷한 아종 지위를 확인하지 못했으며, 남극 아종 내에서는 유전적 분화가 거의 없음을 발견했다.[28]
2. 1. 1. 북방 아종 (''B. m. musculus'')
''Balaenoptera musculus musculus'' (Linnaeus, 1758)는 북시로나가스(Northern blue whale)라고도 불리며, 북반구의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에 서식한다.[162] 남쪽 한계는 북위 20도 부근이며, 북쪽으로는 북위 80도 부근의 스발바르 제도 주변까지 회유한다.[162] 몸 전체 길이는 24m에서 25m에 이른다.2. 1. 2. 남극 아종 (''B. m. intermedia'')
남극 아종(''Balaenoptera musculus intermedia'')은 남시로나가스(Antarctic blue whale)라고도 불리며, 1871년 부르마이스터(Burmeister)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160]이 아종은 주로 남극해 주변의 고위도 해역에 분포하며, 남위 70도 이남까지 회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2] 남극 주변에서 발견되는 모든 대왕고래 개체군을 포함한다.[21] 먹이를 찾거나 번식을 위해 북쪽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있는데, 동부 열대 태평양, 중앙 인도양, 서남부 오스트레일리아 및 북부 뉴질랜드 해역까지 이동한 기록이 있다.[21]
남극 아종은 현존하는 대왕고래 아종 중에서 가장 크기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162] 2024년에 발표된 전 세계 대왕고래 개체군에 대한 게놈 연구 결과는 남극 아종의 아종 지위를 뒷받침하며, 남극 아종 내에서는 뚜렷한 유전적 분화가 관찰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28] 칠레 연안의 개체군과는 유전적으로 구별된다.[26] 해양포유류학회(SMM)의 분류위원회는 2023년 현재 남극 아종을 공식적인 아종 중 하나로 인정하고 있다.[181]
2. 1. 3. 난쟁이흰긴수염고래 (''B. m. brevicauda'')
''Balaenoptera musculus brevicauda'' Ichihara, 1966는 피그미시로나가스(Pygmy blue whale)라고도 불린다. 인도양과 남태평양 등 남반구 저위도 지방에 주로 분포하며[162], 적도 부근에서 남위 55도 부근까지 회유한다.[162] 몸길이는 20m에서 24m 정도이며, 다른 아종에 비해 꼬리가 약간 짧은 특징이 있다.2. 1. 4. 북인도양 아종 (''B. m. indica'')
북인도양 아종(''Balaenoptera musculus indica'')은 1859년 블라이스(Blyth)가 처음 기술하였다.[181][160] 영명은 Northern Indian Ocean blue whale이다.[181] 주로 인도양 북부나 아라비아해 등지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9] 형태적으로는 피그미시로나가스 아종(''B. m. brevicauda'')과의 뚜렷한 차이점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159]3. 형태
대왕고래는 지구상에 존재했던 모든 동물 중 가장 큰 종으로 여겨진다.[162] 평균 길이는 24m에서 33m 정도이며,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큰 개체는 길이 33.58m, 무게 190ton에 달했다. 성숙한 암컷의 평균 길이는 22.1m로 수컷보다 약간 더 크다.[162] 몸무게는 보통 80ton에서 최대 199ton까지 나간다.[162]
몸은 길고 가늘며 유선형[161]이다. 피부는 전체적으로 얼룩덜룩한 회색빛 푸른색을 띠지만, 물속에서는 이름처럼 푸른색으로 보인다.[31][32][33] 배 부분은 색이 더 밝으며, 물속의 규조류가 붙어 누르스름하게 보일 수 있어[31][32][33] 과거에는 "Sulphur bottom|설퍼 보텀영어"(Sulphur bottom|황색 배영어)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37][38] 등지느러미 근처의 얼룩무늬는 개체마다 독특하여 개체 식별에 사용된다.[34][35][36] 피부 아래에는 30ton이 넘는 두꺼운 지방층이 있다.
머리는 위에서 보면 넓고 납작한 U자 모양이다.[161] 위턱 양쪽에는 270개에서 395개에 달하는 검은색 수염판이 나 있으며,[161][162] 길이는 70cm 이상이다. 이 수염판은 이빨 대신 크릴과 같은 작은 먹이를 걸러 먹는 데 사용되는 여과섭식 기관이다. 아래턱부터 배꼽까지는 55개에서 88개의[161][162] 깊은 주름(고랑)이 있어, 먹이를 삼킬 때 목 부분이 크게 늘어난다. 입은 매우 커서 직경 10m 가까이 벌릴 수 있다. 하지만 목구멍은 의외로 작아서 자몽 크기 정도의 물체만 삼킬 수 있다.
지느러미는 길고 가늘며,[31][32][33] 가슴지느러미의 배 쪽은 흰색이다.[161][162] 등지느러미는 몸 크기에 비해 매우 작고(최대 33cm)[33] 삼각형 또는 낫 모양이며,[161] 몸 뒤쪽(꼬리 쪽)에 위치한다.[29][31][32][33][30] 꼬리지느러미는 넓고 얇으며, 그 뿌리 부분인 꼬리자루는 두껍고 크다.[29][31][32][33][30] 머리 위에는 두 개의 분수공이 있어 숨을 쉴 때마다 9m에서 12m 높이까지 물기둥을 뿜어 올린다.[29][32][33]
내부 기관 역시 거대하다. 혀의 무게만 약 3ton에 달하며, 눈은 농구공보다 크다. 심장은 골프 카트 크기만 하고, 심장에서 나오는 대동맥은 사람이 그 안에서 수영할 수 있을 정도이며, 소동맥에서는 작은 개가 돌아다닐 수 있을 정도라고 한다. 위는 약 1ton의 먹이를 저장할 수 있다.
수컷 대왕고래는 동물계에서 가장 큰 음경을 가지고 있는데, 길이는 약 3m, 지름은 30cm 정도이다.[39]
포경 산업의 영향으로 많은 대형 고래류의 크기가 줄어들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대왕고래 역시 평균 몸길이가 4m에서 7m 정도 감소했을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187]
4. 크기
대왕고래는 지금까지 지구상에 존재했던 모든 동물 중 가장 큰 종으로 여겨진다.[40][41][42] 일부 연구에서는 특정 샤스타사우루스과 이크티오사우루스나 고대 고래인 ''페루세투스''가 크기 면에서 대왕고래와 비슷했을 수 있다고 추정한다. 특히 ''페루세투스''는 평균 무게가 180ton로 대왕고래보다 더 무거웠을 가능성도 제기되었으나,[3][43] 이러한 추정은 단편적인 화석 증거에 기반하며, 특히 ''페루세투스''의 크기 추정은 2024년에 논란이 되었다.[44] 다른 연구에서는 육상 공룡 중 ''브루하트카요사우루스''(평균 추정 무게: 110ton~170ton)나 ''마라아푸니사우루스''(평균 추정 무게: 80ton~120ton) 같은 대형 용각류가 대왕고래와 견줄 만하며, 가장 큰 추정치(240ton)를 기준으로 하면 ''브루하트카요사우루스''가 대왕고래를 능가했을 수도 있다고 보지만, 이 역시 매우 단편적인 표본에 근거한 추정이다.[45]
평균적인 몸길이는 24m에서 33m 정도이며, 지금까지 발견된 개체 중 가장 큰 것은 길이 33.58m, 무게 190ton에 달했다. 다만, 국제포경위원회(IWC)의 포경 데이터베이스에는 30m보다 긴 개체 88마리가 기록되어 있고 그중 하나는 33m에 달하지만, 측정 방법의 문제로 30.5m를 초과하는 길이는 정확성에 의문이 제기된다.[46] 디스커버리 위원회는 최대 약 31.09m 길이를 보고했으며,[47] 과학적으로 측정된 가장 긴 개체는 주둥이 끝에서 꼬리 패임까지 약 29.87m였다.[48] 일반적으로 암컷 대왕고래가 수컷보다 크다.[32][49] 유체역학 모델 연구에 따르면, 대사 및 에너지 제약으로 인해 대왕고래는 33m를 초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50]
대왕고래는 길고 가느다란 얼룩덜룩한 회색빛 푸른 몸을 가지고 있지만, 물속에서는 푸른색으로 보인다. 피부는 30ton이 넘는 지방층으로 덮여 있고, 혀의 무게만도 3ton이 넘는다. 눈은 농구공보다 크며, 심장에서 나오는 대동맥은 사람이 그 안에서 수영을 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다. 작은 동맥인 소동맥조차 소형 애완견이 돌아다닐 수 있을 정도라고 한다. 위는 약 1ton의 먹이를 저장할 수 있고, 심장은 골프 카트 크기 정도이다. 기록된 가장 큰 심장은 좌초된 북대서양 대왕고래의 것으로, 무게가 180kg에 달했다.[54] 하지만 거대한 몸집에 비해 목구멍은 자몽 정도 크기의 물체만 삼킬 수 있을 정도로 작은 편이다.
기록상 가장 무거운 대왕고래는 173ton으로 기록되었으며,[55] 최대 199ton까지 나갔을 것으로 추정된다.[56] 2024년 모타니와 파이엔슨의 연구에서는 회귀 분석과 체적 분석을 통해 다양한 길이의 대왕고래 체중을 추산했는데, 25m 길이 개체는 약 101ton~119ton, 30m 길이 개체는 약 184ton~205ton로 추정했다. 가장 큰 기록인 33m 길이의 개체는 약 252ton~273ton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했다.[44]
지역별로 크기 차이가 나타난다. 성적으로 성숙한 암컷의 평균 길이는 다음과 같다.[46][51][52]
지역 | 성별 | 평균 무게 (t) |
---|---|---|
북반구 | 수컷 | 100ton |
북반구 | 암컷 | 112ton |
동부 북태평양 | 수컷 | 88.5ton |
동부 북태평양 | 암컷 | 100ton |
남극 | 수컷 | 112ton |
남극 | 암컷 | 130ton |
난쟁이대왕고래 | 수컷 | 83.5ton ~ 99ton |
1922년에 포획된 암컷 대왕고래에서 채취된 태아는 현재 70%가 보존되어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이 태아는 길이 약 133mm로, 배아기와 태아기가 만나는 발생 단계에 있으며, 기록된 표본 중 가장 어린 배아 발달 단계의 외부 해부학적 구조를 보여준다.[57]
5. 생태
대왕고래는 전 세계적으로 약 1만 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크게 다섯 무리로 나뉜다. 북반구의 개체수가 남반구보다 많으며, 최근에는 그 수가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32] 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같은 대왕고래속의 다른 고래들보다 혹등고래나 귀신고래와 유전적으로 더 가깝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먹이 ==
대왕고래는 대표적인 여과섭식 동물로, 주식은 크릴이다.[162] 먹이를 먹을 때는 빠른 속도로 돌진하며 입을 80~90°까지 크게 벌려 물과 함께 크릴 무리를 통째로 삼키는 '런지 먹이(lunge feeding)' 방식을 사용한다.[32][73] 한 번에 최대 220ton의 물을 삼킬 수 있으며,[72] 이후 입 안에 촘촘히 나 있는 고래수염을 이용해 물만 걸러내고 크릴을 삼킨다.[32][73]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크릴이 가장 밀집된 곳을 노리며,[75] 때로는 몸을 180° 뒤집어 먹이를 몰거나 최적의 지점을 찾기도 한다.[74] 성체 한 마리는 하루 평균 약 16톤의 크릴을 섭취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189] 이는 생존과 활동에 필요한 막대한 에너지를 얻기 위함이다.[73][76]
서식지에 따라 먹이 종류가 조금씩 다르다. 남극해에서는 남극 크릴(''Euphausia superba''), 남호주에서는 ''Nyctiphanes australis'', 캘리포니아 연안에서는 주로 ''Thysanoessa spinifera''와 ''Euphausia pacifica''를 먹는다.[79][80] 북인도양 아종(''B. m. indica'')은 특이하게 새우류인 세르게스티드 새우를 주식으로 하며, 이를 잡기 위해 다른 지역 개체들보다 더 깊고 오랫동안 잠수한다.[79] 드물게 작은 물고기, 요각류, 두족류, 해파리류 등을 먹기도 한다.[161][79] 대왕고래는 다른 수염고래류와 먹이 종류나 섭식 장소, 시간 등을 달리하여 직접적인 경쟁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81][82][83][72][84][85][86]
== 수명 ==
대왕고래의 평균 수명은 80~90년 이상으로 매우 길다.[32][61] 나이는 귀지 마개를 분석하여 추정하는데, 매년 이동 중 단식기와 섭식기에 따라 밝고 어두운 왁스 층이 번갈아 쌓여 나무의 나이테와 같은 역할을 한다.[58][59][60] 이 방법으로 확인된 가장 나이 많은 대왕고래는 110세였다.[61][62] 2010년 덴마크 해안에서 발견된 개체는 140세로 추정되기도 했다.[188] 암컷의 경우, 배란 시 난소에 남는 흉터인 백체(corpora albicantia)의 수를 세어 나이를 추정하기도 한다.[64]
== 사회 구조 및 이동 ==
번식기나 새끼를 돌보는 기간을 제외하면 보통 혼자 생활하거나 작은 무리를 이룬다.[32] 어미와 새끼 사이의 강한 유대감을 제외하면 뚜렷한 사회 구조는 관찰되지 않는다.[32] 다만 먹이가 풍부한 곳에서는 50마리 이상이 모여들기도 한다.[32] 계절에 따라 대규모 이동을 하는데, 여름에는 먹이가 풍부한 극지방의 찬 바다에서 지내고, 겨울에는 번식을 위해 적도 부근의 따뜻한 바다로 이동한다.[65] 과거의 먹이 장소를 기억하여 다시 찾아가는 것으로 보인다.[66] 모든 개체가 이동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한 지역에 머물거나 부분적으로만 이동하기도 한다.[67] 이동 속도는 시속 5~30km 정도이다.[32]
== 번식 ==
보통 생후 8~10년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88][162] 성숙 시 몸길이는 서식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북반구에서는 암컷 21m 에서 23m, 수컷 20m 에서 21m 정도이며, 남반구에서는 암컷 23m 에서 24m, 수컷 22m 정도이다.[88] 짝짓기는 주로 가을과 겨울에 이루어지며(남반구는 7~8월),[42][88][162] 수컷들이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는 다부처제로 추정된다.[88][92] 수컷은 암컷을 따라다니며 다른 경쟁자들을 쫓아낸다.[93]
임신 기간은 10~12개월(평균 약 11개월)이다.[88][162] 임신한 암컷은 매일 자기 체중의 약 4%에 달하는 막대한 양의 먹이를 섭취하며 영양분을 비축한다.[94] 겨울철, 따뜻한 저위도 해역에서 보통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드물게 쌍둥이).[161][162] 갓 태어난 새끼는 길이가 6m 에서 7m, 무게는 2ton 에서 3ton에 달한다.[88] 출산 간격은 2~3년이다.[88][162]
새끼는 6~8개월 동안 어미젖을 먹고 자라며,[88][162] 이 기간에 몸무게가 약 약 17009.70kg 증가한다.[41] 어미는 하루에 약 220kg의 젖을 생산하는 것으로 추정되며,[96] 대왕고래 젖은 지방 함량이 39~41%로 매우 높다. 새끼는 약 10년 동안 어미 곁에서 성장하며 강한 유대 관계를 맺는다.
== 행동 ==
대왕고래가 잠수할 수 있는 최대 깊이는 315m로 기록되었으며,[73] 한 번 잠수하면 최대 15.2분까지 머무를 수 있다 (이론적인 무산소 잠수 한계는 31.2분).[69][73] 깊이 잠수했을 때는 심박수가 분당 2회까지 느려졌다가, 수면으로 올라오면 분당 37회까지 빨라진다.[71]
거대한 몸집 때문에 물 위로 완전히 뛰어오르는 브리칭(영문판) 행동은 다른 고래들에 비해 매우 드물다.[68][191][192] 먹이를 먹거나 잠수할 때의 자세 등으로 미루어 보아, 많은 개체가 왼손잡이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된다.[193]
대왕고래는 지구상에서 가장 큰 소리를 내는 동물이기도 하다. 기본 주파수 8~25Hz의 매우 낮은 저주파음으로 의사소통하며, 소리의 음량은 180폰을 넘기도 한다. 이 강력한 소리는 수중에서 160km 이상 떨어진 곳까지 전달될 수 있다.[194]
== 천적 ==
성체 대왕고래의 천적은 인간 외에는 거의 없다. 범고래가 유일한 자연 천적이지만, 성체를 사냥하는 데 성공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주로 새끼나 아직 다 자라지 않은 어린 개체를 노린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서호주 해역에서 50~75마리의 범고래 무리가 어린 대왕고래를 사냥하는 모습이 세 차례 관찰되었는데, 이것이 명확하게 기록된 최초의 포식 사례이다.[195]
6. 분포
대왕고래는 열대에서 한대에 걸친 연안 및 외양역에 분포하며, 대부분 계절에 따라 이동한다.[161] 여름에는 크릴 등이 풍부한 한대 또는 극해의 해빙 주변까지 이동하고, 겨울에는 온대에서 열대에 걸친 지역에서 번식한다.[161]
주로 외양에 서식하지만, 캘리포니아 만이나 칠레 연안처럼 연안에 서식하는 개체군도 있다.[161] 때로는 얕은 연안역이나 피오르드를 이용하기도 하며,[164][165][166] 육지에서 쉽게 관찰될 정도로 해안 가까이 접근하는 경우도 있다.[167][168] 고래잡이가 성행하기 전에는 현재보다 연안에 서식하는 개체가 더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예를 들어 아이슬란드 연안에서는 중세 시대 바이킹이 대왕고래를 포획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고,[169] 현재는 거의 볼 수 없는 일본 열도 연안에서도 상업적 포경 시대에는 단기간에 많은 수가 포획되었다.[216] 과거 도쿄만 (현재의 시나가와구 앞바다)에 나타났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기록도 존재한다.[170]
북태평양에서는 7월부터 10월까지 캘리포니아 몬테레이 만에서 많은 수를 볼 수 있으며, 7월과 8월에는 샌디에이고 앞바다와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수르주 앞바다, 1월부터 3월까지는 코르테즈 해에서 관찰된다. 북대서양에서는 6월부터 9월까지 세인트로렌스만 (특히 사게네-세인트로렌스 해양공원)에서 볼 수 있으며, 아이슬란드의 레이캬비크와 후사비크에서는 5월부터 8월까지가 관찰 적기이다. 아소르스 제도 근처에서는 2월에서 3월 사이에 볼 기회가 많다. 인도양에서는 3월과 4월에 스리랑카의 미리사 앞바다에서 볼 수 있다. 남반구에서는 12월부터 3월까지 칠레의 과이테카스 군도, 칠로에 섬, 본토 사이의 코르코바도만과 칠로에 섬 서해안에서 관찰된다.
과거 한반도에서는 동해와 황해에 나타나기도 했지만, 1944년 이후로는 공식적인 관찰 보고가 없다.[216][163] 일반적으로 오호츠크해, 지중해, 동해, 동중국해, 베링해와 같은 부속해나 연해에는 잘 들어가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으나,[159][161][162] 과거에는 이들 해역(오호츠크해[171][220], 베링해[172], 동해[222], 황해[216][163], 동중국해[173][221])에서도 포획된 기록이 있다. 2018년에는 홍해 북부의 아카바만에서 발견되기도 했다.[174]
최근 연구에 따르면, 대왕고래와 소형긴수염고래의 핫스팟 또는 중요 서식지가 기존에 예상했던 것보다 더 많은 지역에 흩어져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176] 여기에는 중동, 동아프리카, 중앙아프리카, 남아프리카, 서아프리카[177], 차고스 제도, 뉴질랜드의 남타라나키만 등 오랫동안 서식 정보가 없었거나[178]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해역도 포함된다.[179][180]
모식표본의 산출지는 스코틀랜드의 포스만이다.[160]
7. 소리
대왕고래의 청각 민감도에 대한 직접적인 측정 자료는 없으나, 고래의 청각 범위는 약 7Hz에서 22kHz까지 확장될 것으로 추정된다.
대왕고래는 동물계에서 가장 크고 낮은 주파수의 소리를 낸다.[21] 이들의 내이(內耳)는 저주파 소리를 감지하는 데 적합하게 발달한 것으로 보인다.[98] 대왕고래가 내는 소리의 기본 주파수는 8~25 Hz 범위에 있다.[99] 대왕고래의 노래는 서식하는 개체군마다 다른 특징을 보인다.[100]
동부 북태평양 개체군의 소리는 비교적 잘 연구되어 있다. 이 개체군은 펄스 형태의 소리("A")와 음색 형태의 소리("B"), B형 소리 앞에 나오는 상향 톤("C"), 그리고 별도의 하향 톤("D")을 낸다.[101][102] A와 B 소리는 종종 일정한 순서로 반복해서 나타나며, 수컷만이 내는 것으로 관찰되어 생식 활동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102][103] D 소리는 여러 기능을 가질 수 있는데, 수컷과 암컷 모두 먹이를 먹는 동안 사회적 상호작용 중에 내기도 하고,[103][104] 수컷이 짝짓기를 위해 경쟁할 때도 발생한다.[93]
스리랑카 해역에서 녹음된 대왕고래 소리는 세 개의 단위로 구성된 구절 형태를 띤다. 첫 번째 단위는 19.8~43.5 Hz의 펄스형 소리로, 보통 17.9 ± 5.2초 동안 지속된다. 두 번째 단위는 55.9~72.4 Hz의 FM 상향 톤이며, 13.8 ± 1.1초 동안 지속된다. 마지막 단위는 108~104.7 Hz의 톤을 가진 소리로, 길이는 28.5 ± 1.6초이다.[105] 마다가스카르 해역에서 녹음된 소리는 두 개의 단위로 이루어진 구절[106]이며, 중심 주파수가 35.1 ± 0.7 Hz이고 4.4 ± 0.5초 동안 지속되는 5~7개의 펄스로 시작하여, 그 뒤에 35 ± 0 Hz의 톤이 10.9 ± 1.1초 동안 이어진다.[105] 남극해에서는 대왕고래가 9초 동안 지속되는 27 Hz 톤으로 시작하여 1초 동안 19 Hz로 하향하는 톤 변화를 보이고, 이후 18 Hz로 더 낮아지는 톤이 18초 동안 지속되는 소리를 낸다.[107][108] 이 외에도 80 Hz와 38 Hz의 주파수를 가지며 1~4초 길이의 주파수 변조 소리도 관찰된다.[108][109]
일부 대왕고래 노래의 음색 주파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낮아졌다는 증거가 있다.[110][111][112] 예를 들어, 동부 북태평양 대왕고래 소리의 음색 주파수는 1960년대 초부터 21세기 초까지 약 31% 감소했다.[110][111] 또한, 2002년부터 남극의 난쟁이 대왕고래 소리 주파수는 매년 몇 십분의 1 Hz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112] 이러한 현상의 원인 중 하나로, 과거 포경으로 인해 감소했던 대왕고래 개체군이 회복되면서 성적 선택 압력이 증가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즉, 더 낮은 주파수의 소리가 더 큰 몸집을 나타내는 신호로 작용하여 선호되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111]
8. 천적
대왕고래에게 알려진 유일한 자연적 위협은 범고래이다.[113] 하지만 성체 대왕고래는 거대한 몸집과 뛰어난 지구력, 빠른 속도 덕분에 범고래의 추격을 효과적으로 따돌린다. 범고래가 성체를 성공적으로 공격하기는 매우 어려운데, 잠시 따라잡더라도 거대한 크기 때문에 제압하기 힘들고, 끈질기게 추격해도 대왕고래가 쉽게 지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성체 대왕고래는 사실상 바다에서 천적이 없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새끼나 아직 완전히 성장하지 않은 아성체는 범고래의 표적이 될 수 있다. 그럼에도 이들을 사냥하는 것 역시 매우 어려워, 수많은 범고래가 동원되어 몇 시간 동안 사투를 벌여야 하며 성공률은 매우 낮다. 기록된 사례를 보면, 대형 수컷 범고래 30마리가 18m 크기의 아성체를 3시간 이상 집요하게 공격하여 과다출혈로 죽게 한 경우가 있으며,[121] 2021년에는 무려 75마리의 범고래가 동원되어 15m 크기의 대왕고래를 사냥하는 모습이 목격되기도 했다.[121]
범고래의 공격 시도는 여러 지역에서 관찰되었다. 최초로 기록된 공격은 1977년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주 남서부 해역에서 발생했지만, 이때 공격받은 고래는 5시간 만에 탈출했다.[116] 1982년부터 2003년 사이에는 범고래 무리에게 추격당한 대왕고래 4마리가 추가로 기록되었다.[117] 범고래에 의한 실제 포식 사례가 처음 확인된 것은 2003년 9월, 동부 열대 태평양에서 최근 죽은 대왕고래 새끼를 범고래 무리가 먹고 있는 것이 발견되면서부터이다.[118] 이후 2014년과 2017년에는 몬터레이만에서 범고래 무리가 대왕고래를 공격하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이때 대왕고래는 꼬리를 강하게 내리치며 방어했다.[119][120] 범고래의 포식 장면이 직접 관찰된 것은 2019년과 2021년 서호주 남부 해안에서였으며, 첫 번째 희생 개체는 약 18m에서 22m 크기로 추정되었다.[121]
이러한 공격 시도의 흔적은 대왕고래의 몸에서도 발견된다. 캘리포니아만이나 호주 해역의 대왕고래 중 상당수가 몸에 범고래의 공격으로 생긴 갈고리 모양의 상처를 가지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 해역에서는 사진으로 식별된 대왕고래의 3.7%가, 서호주 해역의 꼬마대왕고래(Pygmy blue whale)는 42.1%가 이러한 상처를 가지고 있었다.[113][114]
쿠키커터상어가 대왕고래를 잡아먹지는 않지만, 몸에 달라붙어 살점을 뜯어먹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대왕고래에게 가장 심각한 위협은 인간이다. 과거 포경 산업 시대에 고래기름 등의 자원을 얻기 위해 무분별하게 남획되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식용으로 소비되기도 한다.
9. 인간과의 관계
대왕고래의 골격은 전 세계 여러 박물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
국가 | 기관명 | 도시 |
---|---|---|
프랑스 국립자연사박물관 | 파리 | |
자연과학박물관 | 브뤼셀 | |
자연사박물관 | 런던 | |
피사 대학교 자연사박물관 | 피사 | |
뉴 베드포드 포경 박물관 | 뉴 베드포드, 매사추세츠주 | |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크루즈 롱 마린 연구소의 시모어 해양 발견 센터 | 산타크루즈, 캘리포니아주 | |
캘리포니아 과학 아카데미 | 샌프란시스코 | |
노스캐롤라이나 자연과학박물관 | 롤리, 노스캐롤라이나주 | |
캐나다 자연박물관 | 오타와 | |
뉴질랜드 테 파파 통가레와 박물관 | 웰링턴 | |
캔터베리 박물관 | 크라이스트처치 | |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동물연구소 | 상트페테르부르크 | |
이지코 남아프리카 박물관 | 케이프타운 | |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베티 생물다양성 박물관 | 밴쿠버 | |
호사비크 고래박물관 | 후사비크 | |
도카이 대학 해양과학관 | 시즈오카 | |
멜버른 박물관 | 멜버른 | |
남동 술라웨시 박물관 | 큰다리 | |
로열 온타리오 박물관 | 토론토 | |
산타바바라 자연사 박물관 |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주 | |
퍼스 문화원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박물관 | 퍼스 |
두개골은 파리 고생물학 박물관에서도 볼 수 있다.
대왕고래는 크기와 옆면 무늬가 긴수염고래와 유사하여, 아이슬란드에서는 포획된 고래가 포경 금지 대상인 대왕고래인지 아닌지 논란이 된 적이 있다. 이때 드물게 발견되는 대왕고래와 긴수염고래의 잡종 존재도 지적되었다.[196] 이러한 잡종 또한 번식이 가능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97] 포경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번식 상대를 찾기 어려워진 대왕고래와 긴수염고래 사이의 이종 교배가 증가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실제로 기존 예상보다 훨씬 교배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이 밝혀졌다.[198] 잡종 증가는 두 종 모두에게 부담을 주며, 특히 개체 수가 적은 대왕고래의 "종"으로서의 미래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199] 유사한 잡종 문제는 밍크고래와 북극고래 사이에서도 나타난다.[200]
그 외에도 혹등고래와의 교배 개체도 최소 한 차례 확인되었다.[201][202]
9. 1. 포경 역사

대왕고래는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전 세계 바다에 비교적 많은 수가 서식했으나, 상업적 고래잡이(포경)가 본격화되면서 그 수가 급격히 줄어 멸종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21] 처음에는 거대한 크기와 빠른 속도 때문에 포획이 어려웠지만,[21] 19세기 중반 스벤드 포인 등이 개발한 폭발형 작살과 증기 동력 포경선이 도입되면서 대왕고래는 포경 산업의 주요 표적이 되었다.[131]
20세기 동안 포획된 대왕고래의 수는 약 35만 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포경은 1930년에서 1931년 사이에 정점을 이루어 한 해에만 약 3만 마리가 포획되기도 했다. 지역별로는 남극해에서 가장 많은 포획이 이루어져 20세기 전반에 걸쳐 약 35만에서 36만 마리가 잡혔다. 같은 기간 북대서양에서는 약 1만 1천 마리(주로 아이슬란드 근해), 북태평양에서는 약 9천 5백 마리가 포획되었다.[88] 북태평양의 경우, 1905년부터 1971년까지 동북태평양에서만 3,441마리가 잡혔으며, 일부 보고에 따르면 1905년에서 1977년 사이에 북태평양 전역의 대왕고래가 상업적 포경으로 인해 거의 사라졌다고 한다. 일부 연구자들은 일본 근해, 특히 구마노나다 해역의 대왕고래 개체군이 상업적 포경으로 인해 지역적으로 멸종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한반도 주변 해역인 동해와 서해에서도 과거 대왕고래가 관찰된 기록이 있으나, 1944년 이후로는 공식적인 보고가 없다. 이는 과거 무분별한 포경으로 인해 한반도 주변의 대왕고래 개체 수가 심각하게 감소했거나 자취를 감추었음을 시사한다.
개체 수가 급감하자 국제 사회는 대왕고래 보호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1966년 국제포경위원회(IWC)는 국제조약을 통해 대왕고래의 상업적 포획을 전면 금지하고 전 세계적인 보호종으로 지정했다.[132] 그러나 이러한 국제적 합의에도 불구하고, 소비에트 연방 등 일부 국가에서는 1970년대까지 불법 포경을 계속하여 대왕고래를 비롯한 여러 고래 종을 몰래 잡기도 했다.[133]
9. 2. 보존 노력

대왕고래는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상당한 개체 수를 유지했으나, 무분별한 상업적 고래잡이로 인해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했다. 20세기 동안 포획된 대왕고래는 약 35만 마리에 달하며, 특히 남극해에서 35만~36만 마리, 북대서양에서 1만 1천 마리, 북태평양에서 9천 5백 마리가 사냥되었다.[88] 북태평양에서는 1905년부터 1971년까지 총 3,441마리의 동북태평양 대왕고래가 포획되었으며,[1] 일부 연구자들은 일본 근해, 특히 구마노나다 해에서의 상업적 고래잡이로 인해 해당 지역의 대왕고래 개체군이 멸종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1] 한국 연안의 동해와 서해에서도 과거 대왕고래가 관찰되었으나, 1944년 이후로는 공식적인 보고 기록이 없다.
개체 수가 급감하자 국제 사회는 대왕고래 보호를 위한 조치를 마련하기 시작했다. 1939년 남반구 일부 지역에서 보호가 시작되었고, 국제포경위원회(IWC)는 국제포경규제협약에 따라 1955년 북대서양에서의 포획을 금지했다. 이 보호 조치는 1965년 남극, 1966년 북태평양으로 확대되어 전 세계적으로 대왕고래 포획이 금지되었다.[123][124][132] 하지만 아이슬란드는 1960년까지 북대서양 대왕고래 보호 조치를 인정하지 않았으며,[125] 소비에트 연방은 1970년대까지 불법적으로 대왕고래를 포획하기도 했다.[133]
현재 대왕고래는 IUCN 적색 목록[1]과 미국의 멸종위기종법[126]에 따라 공식적인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또한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127] 및 야생동물의 이동종 보존에 관한 협약[128] 부속서 I에도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 대상이다. 일부 개체군(예: 남극 대왕고래)은 여전히 위급종 상태에 놓여 있으며,[129][130] 난쟁이 대왕고래와 같이 개체 수 추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경우도 있다. 2018년 기준으로 전 세계 대왕고래 개체 수는 성체 5,000~15,000마리, 전체 10,000~25,000마리로 추산된다. 이는 1926년 최소 14만 마리 이상이었던 성체 수와 비교하면 매우 적은 수치이다.[1] 지역별 추정치는 북대서양 약 1,000~3,000마리, 북태평양 3,000~5,000마리, 남극 5,000~8,000마리, 동태평양 1,000~3,000마리, 난쟁이 대왕고래 2,000~5,000마리 등이다.[1]
포경 금지 이후에도 대왕고래는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특히 서식지와 항로가 겹치는 지역에서 선박과의 충돌이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134] 미국 서해안에서는 1998년부터 2019년까지 최소 17마리가 선박 충돌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21] 2007년 캘리포니아 연안에서는 5마리가 충돌로 사망하는 이례적인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134][135]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항로 중 하나와 서식지가 겹치는 스리랑카 해역에서도 선박 충돌이 심각한 문제이며,[136] 2010년과 2012년 사이 11마리,[137] 2014년 최소 2마리가 충돌로 사망했다.[138] 칠레 남부 해역에서도 2010년대에 2건의 선박 충돌 사망 사례가 보고되었다.[139][140]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고래 분포 예측 모델 개선, 항로 변경, 선박 속도 제한, 계절적 및 동적 항로 관리 등의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141][142] 상업 어업 장비에 얽히는 경우는 드물지만, 2015년 미국 캘리포니아 연안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몇 차례 사례가 발생했다.[143][144][145]
증가하는 인간 활동으로 인한 수중 소음 공해도 대왕고래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146][147] 상업 선박 운항[148][149] 및 석유·가스 탐사를 위한 지진 탐사[150][151]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대왕고래의 의사소통과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남부 캘리포니아 해역의 대왕고래는 중주파 능동(MFA) 소나 소음에 노출되었을 때 울음소리를 줄이는 행동 변화를 보였으며,[152] 심해 잠수 먹이 활동이 중단되기도 했다. 다만 이러한 반응은 고래의 행동 상태, 소음원과의 거리, 먹이 가용성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153]
오염 물질이 대왕고래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먹이 사슬 하위 단계의 먹이를 섭취하기 때문에 유기 화학 오염 물질의 생물 축적 가능성은 다른 고래류에 비해 낮을 것으로 추정된다.[154] 그러나 캘리포니아 연안에서 선박 충돌로 죽은 수컷 대왕고래의 귀지 분석 결과, 살충제, 난연제, 수은 등의 오염 물질이 검출되었으며, 이는 어미로부터 새끼에게 오염 물질이 전달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155] 캐나다 세인트로렌스 만의 수컷 대왕고래는 암컷보다 PCB, DDT, 유기염소 화합물 등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 역시 암컷에서 새끼로 오염 물질이 전달되는 모체 전달 현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156]
9. 3. 문화적 상징성
다른 고래류와 마찬가지로 대왕고래 역시 지능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거대한 크기와 신비로운 이미지 덕분에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 모티브를 제공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포켓몬스터에 등장하는 고래왕과 고래왕자는 대왕고래를 모델로 하였으며, 원피스에서는 흰 수염 해적단의 선박이,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에서는 이리온 등이 대왕고래를 모티브로 하였다.
10. 박물관 표본
전 세계 여러 자연사 박물관에서 대왕고래의 골격 표본을 전시하고 있다.
11. 갤러리
참조
[1]
IUCN
Balaenoptera musculus
2024-06-13
[2]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논문
A heavyweight early whale pushes the boundaries of vertebrate morphology
[4]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Laurentius Salvius
1758
[5]
논문
Phalainologia Nova
1692
[6]
서적
Wild Blue: A Natural History of the World's Largest Animal
St. Martin's Press
2008
[7]
논문
On the occurrence of diatoms on the skin of whales
https://royalsociety[...]
1920
[8]
논문
Whole-genome sequencing of the blue whale and other rorquals finds signatures for introgressive gene flow
2018
[9]
논문
Rise of the titans: baleen whales became giants earlier than thought
2019
[10]
논문
Low genetic diversity in pygmy blue whales is due to climate-induced diversification rather than anthropogenic impacts
2015
[11]
논문
Documentation of a New Zealand blue whale population based on multiple lines of evidence
2018
[12]
논문
A whale with features of the fin and the blue whale
1970
[13]
논문
A new hybrid between a blue whale, ''Balaenoptera Musculus'', and a fin whale, "B. Physalus:" frequency and implications of hybridization
1998
[14]
학회발표
Are the "Bastards" coming back? Molecular identification of live blue and fin whale hybrids in the North Atlantic ocean
2017
[15]
웹사이트
DNA test shows slaughtered blue whale is a hybrid, Iceland marine institute says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8-07-20
[16]
웹사이트
Hybrid blue-fin whale is still protected
https://awionline.or[...]
Animal Welfare Institute
2018-07-19
[17]
논문
Species identification using genetic tools: the value of nuclear and mitochondrial gene sequences in whale conservation
1998
[18]
논문
Species hybridization between a female blue whale (''Balaenoptera rnusctllus'') and a male fin whale ("B.pbysalus"): Molecular and morphological documentation
1991
[19]
논문
Population structure and history of North Atlantic Blue whales (''Balaenoptera musculus musculus'') inferred from whole genome sequence analysis
2024-01-06
[20]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 baleen whales based on maternally and paternally inherited characters
2006
[21]
보고서
Recovery Plan for the Blue Whale (''Balaenoptera musculus'')
https://www.fisheri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0-11
[22]
웹사이트
List of Marine Mammal Species and Subspecies
https://www.marinema[...]
The Society for Marine Mammalogy
2016-11-13
[23]
논문
Patterns of genetic variation in Southern Hemisphere blue whales, and the use of assignment test to detect mixing on the feeding grounds
2023
[24]
논문
First documented migratory destination for eastern South Pacific blue whales
2015
[25]
논문
Preliminary recordings of blue whale (''Balaenoptera musculus'') vocalizations in the Gulf of Corcovado, northern Patagonia Chile
2010
[26]
논문
Genetic variation in blue whales in the eastern Pacific: implication for taxonomy and use of common wintering grounds
2016
[27]
논문
Morphometric analysis of Chilean blue whales and implications for their taxonomy
https://onlinelibrar[...]
2019
[28]
논문
Global conservation genomics of blue whales calls into question subspecies taxonomy and refines knowledge of population structure
[29]
서적
Whales, dolphins, and porpoises of the eastern North Pacific and adjacent Arctic waters: A guide to their identification
Knopf
2002
[30]
논문
Whales, dolphins, and porpoises of the eastern North Pacific and adjacent Arctic waters: A guide to their identification
https://repository.l[...]
1982
[31]
서적
Blue Whales
Voyager Press
1997
[32]
서적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Academic Press
2009
[33]
논문
Whales, dolphins, and porpoises of the western North Atlantic
http://aquaticcommon[...]
1976
[34]
논문
Photographic identification of the blue whale (''Balaenoptera musculus'') in the Gulf of St. Lawrence, Canada
1990
[35]
논문
Insights into the population structure of blue whales in the Eastern North Pacific from recent sightings and photographic identification
https://digitalcommo[...]
2009
[36]
논문
A new classification method to simplify blue whale photo-identification technique
2012
[37]
서적
Moby-Dick
Harper & Brothers
1851
[38]
서적
The Marine Mammals of the Northwestern Coast of North America
Dover
1874
[39]
웹사이트
Reproduction
http://bioweb.uwlax.[...]
University of Wisconsin
2012-10-03
[40]
논문
The blue whale
1956
[41]
논문
Growth and energy budgets of large baleen whales from the southern hemisphere
1981
[42]
논문
The blue whale, ''Balaenoptera musculus''
1984
[43]
논문
A giant Late Triassic ichthyosaur from the UK and a reinterpretation of the Aust Cliff 'dinosaurian' bones
https://journals.plo[...]
[44]
논문
Downsizing a heavyweight: factors and methods that revise weight estimates of the giant fossil whale ''Perucetus colossus''
[45]
논문
Body mass estimate of ''Bruhathkayosaurus'' and other fragmentary sauropod remains suggest the largest land animals were about as big as the greatest whales
2023-04-11
[46]
논문
Sizing ocean giants: patterns of intraspecific size variation in marine megafauna
2015
[47]
논문
The southern stocks of whalebone whales
https://archive.org/[...]
1942
[48]
서적
Update COSEWIC status report on the blue whale (''Balaenoptera musculus'') in Canada
Committee on the Status of Endangered Wildlife in Canada
2002
[49]
논문
Mammals in which females are larger than males
1976
[50]
논문
Metabolic Expenditures of Lunge Feeding Rorquals Across Scale: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Filter Feeding and the Limits to Maximum Body Size
2012
[51]
논문
Separating southern blue whale subspecies based on length frequencies of sexually mature females
2007
[52]
논문
Geographic variation in external morphology of North Pacific and Southern Hemisphere blue whales (''Balaenoptera musculus'')
2008
[53]
논문
Body weights of some species of large whales
1976
[54]
웹사이트
See the world's biggest heart
http://www.bbc.com/e[...]
2015-08-21
[55]
웹사이트
Assessment and Update Status Report on the Blue Whale ''Balaenoptera musculus''
http://www.sararegis[...]
Committee on the Status of Endangered Wildlife in Canada
2007-04-19
[56]
논문
Sizing ocean giants: patterns of intraspecific size variation in marine megafauna
2015-01-13
[57]
논문
Anatomy and Age Estimation of an Early Blue Whale (Balaenoptera musculus) Fetus
https://anatomypubs.[...]
2024-11-23
[58]
논문
The wax plug in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of the
1955
[59]
논문
Sighting history of a naturally marked humpback whale (''Megaptera novaeangliae'') suggests ear plug growth layer groups are deposited annually
2010
[60]
논문
Age Determination by means of the ear plug in baleen whales
1984
[61]
잡지
Blue whale
https://www.national[...]
2023-03-03
[62]
웹사이트
Blue whale
https://us.whales.or[...]
2023-03-03
[63]
논문
Biological parameters for pygmy blue whales
2008
[64]
서적
Reproduction in whales, dolphin and porpoises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1984
[65]
웹사이트
Blue Whale
https://www.fisherie[...]
NOAA Fisheries
2019-11-11
[66]
논문
Memory and resource tracking drive blue whale migrations
[67]
논문
Mysticete migration revisited: Are Mediterranean fin whales an anomaly?
2016
[68]
논문
Energetic and physical limitations on the breaching performance of large whales
[69]
논문
The diving behavior of blue and fin whales: Is dive duration shorter than expected based on oxygen stores?
2010
[70]
논문
A week in the life of a pygmy blue whale: migratory dive depth overlaps with large vessel drafts
2016
[71]
논문
Extreme bradycardia and tachycardia in the world's largest animal
[72]
논문
Resource partitioning facilitates coexistence in sympatric cetaceans in the California Current
2017
[73]
논문
Mechanics, hydrodynamics and energetics of blue whale lunge feeding: Efficiency dependence on krill density
2011
[74]
논문
Underwater acrobatics by the world's largest predator: 360° rolling manoeuvres by lunge-feeding blue whales
2012
[75]
웹사이트
Shaped by their Environment: Variation in Blue Whale Morphology Across Three Productive Coastal Ecosystems
https://academic.oup[...]
2024-11-23
[76]
논문
Blue whales ("Balaenoptera musculus") optimize foraging efficiency by balancing oxygen use and energy gain as a function of prey density
2015
[77]
논문
Cetacean energetics, an overview of intraspecific size variation
1975
[78]
서적
Whales, Whaling and Ocean Ecosystem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
[79]
논문
New Determination of Prey and Parasite Species for Northern Indian Ocean Blue Whales
2018-04-06
[80]
논문
Blue whale habitat and prey in the California Channel Islands
https://www.scienced[...]
1998-08-01
[81]
논문
The competitive exclusion principle
1960
[82]
논문
The Paradox of the Plankton
1961
[83]
논문
Niche overlap and diffuse competition
1974
[84]
PhD
Habitat selection and niche characteristics of rorqual whales in the northern Gulf of St. Lawrence (Canada)
McGill University
2008
[85]
논문
Feeding performance by sympatric blue and fin whales exploiting a common prey resource
2015
[86]
논문
Spatial association between hotspots of baleen whales and demographic patterns of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suggests size-dependent predation
2010
[87]
웹사이트
Reproduction and Stress Response Endocrinology in Blue (Balaenoptera musculus) and Gray (Eschrichtius robust) Whales
https://scholarworks[...]
2024-11-23
[88]
서적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Academic Press
2018
[89]
논문
The pygmy blue whale, ''Balaenoptera musculus brevicauda'', a new subspecies from Antarctic
1964
[90]
논문
The onset of sexual and physical maturity for pygmy blue whales (''Balaenoptera musculus brevicauda''. Ichinara. 1966)
1970
[91]
논문
Regional differences in length at sexual maturity for female blue whales based on recovered Soviet whaling data
2008
[92]
논문
Reproductive parameters of eastern North Pacific blue whales ''Balaenoptera musculus''
2013
[93]
논문
Visual and passive acoustic observations of blue whale trios from two distinct populations
2019
[94]
논문
Feeding rates of Cetacea
1969
[95]
논문
Review of baleen whale (Mysticeti) reproduction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1984
[96]
논문
Lactation in whales and dolphins: Evidence of divergence between baleen- and toothed-species
1997
[97]
웹사이트
Exclusive Video May Show Blue Whale Calf Nursing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19-12-20
[98]
논문
Biomechanical and structural modeling of hearing in baleen whales
2008
[99]
논문
Long-range acoustic detection and localization of blue whale calls in the northeast Pacific Ocean
1998
[100]
논문
Biogeographic characterization of blue whale song worldwide: Using song to identify populations
2023
[101]
서적
Hearing by whales and dolphins
Springer-Verlag
2000
[102]
논문
The acoustic calls of blue whales off California with gender data
http://www.escholars[...]
2001
[103]
논문
Behavioral context of call production by eastern North Pacific blue whales
2007
[104]
논문
Context-dependent variability in blue whale acoustic behaviour
2018
[105]
논문
Seasonal detection of three types of "pygmy" blue whale calls in the Indian Ocean
2010
[106]
보고서
A comparison of sounds attributed to pygmy blue whales (''Balaenoptera musculus brevicauda'') recorded south of the Madagascar Plateau and those attributed to 'true' blue whales (''Balaenoptera musculus'') recorded off Antarctica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1998
[107]
저널
Seasonality of blue and fin whale calls and the influence of sea ice in the Western Antarctic Peninsula
2004
[108]
저널
Vocalisations of Antarctic blue whales, ''Balaenoptera musculus intermedia'', recorded during the 2001/2002 and 2002/2003 IWC/SOWER circumpolar cruises, Area V, Antarctica
2023
[109]
저널
Baleen whales in the Scotia Sea in January and February 2003
2006
[110]
학회
Downward shift in the frequency of blue whale vocalizations
2005
[111]
저널
Worldwide decline in tonal frequencies of blue whale songs
2009
[112]
저널
Long-term and seasonal changes of large whale call frequency in the southern Indian Ocean
https://archimer.ifr[...]
2018
[113]
저널
The Cortez blues
1990
[114]
저널
Baleen whales are not important as prey for orcas (''Orcinus orca'') in high latitudes
2007
[115]
저널
Killer whales in South Australia
1944
[116]
저널
Killer whale attack!
1979
[117]
저널
Fight or flight: antipredator strategies of baleen whales
2008
[118]
저널
Killer whales preying on a blue whale calf on the Costa Rica Dome: Genetics, morphometrics, vocalizations and composition of the group
2023
[119]
웹사이트
Killer Whales Bully Lone Blue Whale in Rare Video
https://www.livescie[...]
Live Science
2019-12-23
[120]
웹사이트
Killer Whales Attacked a Blue Whale—Here's the Surprising Reason Why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19-12-23
[121]
저널
The first three records of killer whales (''Orcinus orca'') killing and eating blue whales (''Balaenoptera musculus'')
[122]
저널
Endo- and ectoparasites of large whales (Cetartiodactyla: Balaenopteridae, Physeteridae): Overcoming difficulties in obtaining appropriate samples by non- and minimally-invasive methods
[123]
저널
The blue whale
1979
[124]
저널
Increase rates in severely depleted stocks of baleen whales
1993
[125]
저널
Operational factors of the Icelandic large whale fishery
1988
[126]
웹사이트
Part 17 – Conservation of Endangered Species and Other Fish or Wildlife (First List of Endangered Foreign Fish and Wildlife as Appendix A)
https://ecos.fws.gov[...]
U.S. Fish & Wildlife Service
2019-12-24
[127]
웹사이트
Appendices
https://www.cites.or[...]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2019-12-24
[128]
웹사이트
Convention on the Conservation of Migratory Species of Wild Animals
https://www.cms.int/[...]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19-12-24
[129]
저널
Seasonal and geographic variation of southern blue whale subspecies in the Indian Ocean
2013
[130]
웹사이트
Blue Whale
https://iucn-csg.org[...]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2019-12-24
[131]
서적
Harpoon Into the Heart of Whaling
https://archive.org/[...]
Hachette Books
[132]
웹사이트
Blue whale – ''Balaenoptera musculus''
https://iwc.int/blue[...]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2022-02-25
[133]
저널
Soviet Illegal Whaling: The Devil and the Details
https://aquadocs.org[...]
2023-01-26
[134]
저널
Association between blue whale mortality and ship strikes along the California coast
2010
[135]
보고서
Reducing the Threat of Ship Strikes on Large Cetaceans in the Santa Barbara Channel Region and Channel Islands National Marine Sanctuary: Recommendations and Case Studies
Channel Islands National Marine Sanctuary Advisory Council
2009
[136]
저널
Anthropogenic threats and conservation needs of blue whales, "Balaenoptera musculus indica", around Sri Lanka
2016
[137]
보고서
An update on work related to ship strike risk to Blue whales off southern Sri Lanka
The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2015
[138]
저널
Review of the Sri Lanka blue whale (''Balaenoptera musculus'') with observations on its distribution in the shipping lane
[139]
보고서
Dead blue whale in Puerto Montt, Chile: Another case of ship collision mortality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2014
[140]
보고서
Report of the Scientific Committee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2017
[141]
논문
Assessing the risk of ships striking large whales in marine spatial planning
2013
[142]
논문
Where the whales are: using habitat modeling to support changes in shipping regulations within National Marine Sanctuaries in Central California
2014
[143]
보고서
Sources of human-related injury and mortality for U.S. Pacific west coast marine mammal stock assessments, 2011– 2015
NOAA
2017
[144]
보고서
National Report on Large Whale Entanglements
https://www.fisherie[...]
NOAA
2017
[145]
서적
Deepwater Horizon oil spill: Final Programmatic Damage Assessment and Restoration Plan and Final Programmatic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National Geographic
2015
[146]
논문
Reducing noise from large commercial ships: progress and partnerships
2018
[147]
논문
Blue whale call intensity varies with ambient noise level
2001
[148]
논문
Underwater radiated noise from modern commercial ships
2012
[149]
논문
A case study of a near vessel strike of a blue whale: perceptual cues and fine-scale aspects of behavioral avoidance
2019
[150]
논문
Exposure to seismic survey alters blue whale acoustic communication
2009
[151]
논문
Blue and fin whales observed on a seafloor array in the Northeast Pacific
https://escholarship[...]
1995
[152]
논문
Blue Whales Respond to Anthropogenic Noise
2012
[153]
논문
Behavioral responses of individual blue whales (''Balaenoptera musculus'') to mid-frequency military sonar
2019
[154]
논문
Organochlorine and metal contaminants in baleen whales:a review and evaluation of conservation implications
1994
[155]
논문
Blue whale earplug reveals lifetime contaminant exposure and hormone profiles
2013
[156]
논문
Intra- and inter-species differences in persistent organic contaminants in the blubber of blue whales and humpback whales from the Gulf of St. Lawrence, Canada
2004
[157]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valid from 28 August 2020)
https://www.cites.or[...]
2020-09-18
[158]
웹사이트
Balaenoptera musculus
https://www.speciesp[...]
2020-09-18
[159]
웹사이트
Balaenoptera musculus (errata version published in 2019) & Balaenoptera musculus intermedia
https://doi.org/10.2[...]
2020-09-19
[160]
서적
Order Cetace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161]
서적
シロナガスクジラ
水産庁
1994
[162]
서적
シロナガスクジラ
講談社
2001
[163]
웹사이트
シロナガスクジラ
https://www.biodic.g[...]
2023-12-07
[164]
웹사이트
New records of blue whales (Balaenoptera musculus Linnaeus, 1758) in winter season in the inlet waters of Chiloe–continental Chile
https://www.research[...]
2023-08-06
[165]
웹사이트
Report on blue whales sightings (Balaenoptera musculus Linnaeus, 1758) in a narrow fjord during autumn- winter in southern Chile
https://www.pfeil-ve[...]
2023-08-06
[166]
웹사이트
New MPA Tic-Toc Golfo Corcovado a safe haven for blue whales in Chile
https://news.mongaba[...]
2023-08-06
[167]
웹사이트
めっちゃ陸の近くを泳ぐシロナガスクジラ!
https://taichi-maruy[...]
2024-06-09
[168]
웹사이트
I've been asked a few times how close the Blue Whales get to shore. These photos are from a few years back at Three Stripes ( there are three white stripes on the rock ) just up from Tourist Rocks at Cheynes.
https://www.facebook[...]
[169]
웹사이트
How Viking-Age Hunters Took Down the Biggest Animal on Earth
https://hakaimagazin[...]
2024-05-29
[170]
웹사이트
科博登録ID 7
https://www.kahaku.g[...]
2023-11-17
[171]
서적
知床周辺海域の鯨類
斜里町立知床博物館
2006
[172]
웹사이트
The distribution and migrations of whale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Pacific, Chukchi and Bering Seas
https://naturalhisto[...]
2023-08-07
[173]
논문
奄美大島近海における鯨類の記録
https://cir.nii.ac.j[...]
国立科学博物館
2023-08-06
[174]
웹사이트
A Giant Blue Whale Just Turned Up In the Red Sea
https://www.livescie[...]
2023-10-26
[175]
웹사이트
台灣第一筆藍鯨擱淺紀錄 初步鑑定來自北印度洋區類群
https://e-info.org.t[...]
2023-08-07
[176]
웹사이트
Important Marine Mammal Areas
https://www.marinema[...]
2023-08-12
[177]
웹사이트
Blue whales in Angola: new publication
https://www.ketoseco[...]
2014-08-05
[178]
웹사이트
Good News, Everyone: Blue Whales Officially Return To Seychelles
https://www.iflscien[...]
2023-11-24
[179]
웹사이트
Multiple pygmy blue whale acoustic populations in the Indian Ocean: whale song identifies a possible new population
https://www.nature.c[...]
2021
[180]
웹사이트
Antarctic blue whales discovered off the South African west coast
https://www.up.ac.za[...]
2016-04-12
[181]
웹사이트
List of marine mammal species and subspecies
https://marinemammal[...]
2023-08-07
[182]
간행물
The Arabian Sea blue whale (''Balaenoptera musculus arabica'' Khalaf, 2021): A new subspecies from the Arabian Sea and western Indian Ocean
2021
[183]
간행물
The Chilean Blue Whale (''Balaenoptera musculus chilensis'' Khalaf, 2020): A New Subspecies from Chile
2020
[184]
논문
Genetic variation in blue whales in the eastern Pacific: implication for taxonomy and use of common wintering grounds
2016
[185]
논문
Sizing ocean giants: patterns of intraspecific size variation in marine megafauna
2015
[186]
웹사이트
The anatomy of a whale
https://www.bbcearth[...]
[187]
웹사이트
Body size shifts and early warning signals precede the historic collapse of whale stocks
https://www.nature.c[...]
2017-06-22
[188]
웹사이트
Iceland's fin whales are endangered. Stop this bloody cull
https://www.theguard[...]
2013-06-17
[189]
뉴스
2021년 11월 3일자 과학잡지 "네이처"
[190]
웹사이트
Blue Whale (Balaenoptera musculus) breaching, Nine Mile Bank, San Diego, California
https://www.alamy.co[...]
2012-07-30
[191]
웹사이트
幻のシロナガスクジラのブリーチング!
https://taichi-maruy[...]
2021-10-21
[192]
웹사이트
Blue whale, balaenoptera musculus, breaching, Pico Island, Azores, Portugal
https://www.gettyima[...]
[193]
웹사이트
Surprise: Blue Whales Are Mostly 'Left-Handed'
https://www.national[...]
2017-11-21
[194]
웹사이트
Blue Whale
https://www.fisherie[...]
[195]
웹사이트
Scientists Witness Orcas Kill Blue Whale for the First Time
https://www.smithson[...]
2022-02-04
[196]
웹사이트
捕獲・解体したクジラはシロナガス? それともナガス? アイスランドで大論争
https://www.afpbb.co[...]
AFP
2018-07-15
[197]
웹사이트
Evidence of unidirectional hybridization and second-generation adult hybrid between the two largest animals on Earth, the fin and blue whales
https://onlinelibrar[...]
2020-08-10
[198]
웹사이트
Hidden DNA found in blue whales reveals they've been mating with other species — and their hybrid offspring
https://www.livescie[...]
2024-02-06
[199]
웹사이트
Fin-Blue Hybrids: A New Challenge for Blue Whale Conservation
https://baleinesendi[...]
2020-09-28
[200]
웹사이트
Mating Mystery: Hybrid Animals Hint at Desperation in Arctic
https://www.livescie[...]
2010-12-15
[201]
웹사이트
Genomic analyses reveal an absence of contemporary introgressive admixture between fin whales and blue whales, despite known hybrids
https://journals.plo[...]
2019-09-25
[202]
웹사이트
166640128 / Humpback Whale / Offspring / Polynesia
https://app.nimia.co[...]
2019-09-25
[203]
웹사이트
Maldives
https://wwhandbook.i[...]
[204]
웹사이트
Sultanate of Oman
https://wwhandbook.i[...]
[205]
웹사이트
The Lamu Offshore Important Marine Mammal Areas
https://kmmrec.or.ke[...]
1990-10
[206]
웹사이트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Blue Whales in Iceland
https://adventures.i[...]
2023-04-27
[207]
웹사이트
The great blue whale, a regular visitor to La Gomera
https://www.jardin-t[...]
2017-03-15
[208]
웹사이트
Mauritania
http://www.wildscope[...]
[209]
웹사이트
Blue Whales in the Galapagos Islands
https://happygringo.[...]
[210]
웹사이트
Blue whale (Balaenoptera musculus) distribution in the Eastern Tropical Pacific
https://swfsc-public[...]
1990-10
[211]
웹사이트
South West Madagascar and Mozambique Channel IMMA
https://www.marinema[...]
2023-08-12
[212]
웹사이트
Marlborough Sounds and Cook Strait IMMA
https://www.marinema[...]
2023-08-12
[213]
웹사이트
Whales
https://whalewatch.c[...]
2023-08-12
[214]
웹사이트
IWC Whale Population Estimates
http://www.iwcoffice[...]
2018-07
[215]
웹사이트
Post-whaling recovery of Southern Hemisphere
https://phys.org/new[...]
Phys.org
2017-08
[216]
서적
戦前期日本の沿岸捕鯨の実態解明と文化的影響―1890-1940年代の近代沿岸捕鯨
東京農業大学
2019
[217]
논문
中華圏における鯨文化についてーなぜ中国では大規模な捕鯨が行われていなかったのかー
https://oacis.repo.n[...]
東京海洋大学
2021
[218]
논문
明清時代の中国における鯨資源の利用
http://repository.se[...]
西南学院大学博物館
2015-03
[219]
논문
護る神から守られる神へ : 韓国とベトナムの鯨神信仰を中心に
https://minpaku.repo[...]
国立民族学博物館
2019-06
[220]
웹사이트
The Study on the Whaling Reality to the Large Baleen Whales and their Seasonal Occurrence in the Yellow Sea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https://www.jksocean[...]
2019-08-31
[221]
서적
臺灣省通志.卷四:經濟志水產篇(1)
國史館臺灣文獻館
1969-06-30
[222]
웹사이트
山口県鯨類目録
https://web.archive.[...]
2014
[223]
논문
Possible migration route of The Gray Whale on The coast of Japan
Whales Research institute
1976
[224]
논문
Records of Cetaceans in the Waters of the Amami Islands
1989
[225]
웹사이트
2018年8月5日 鎌倉市由比ガ浜海岸にストランディングしたシロナガスクジラ 調査概要
https://www.kahaku.g[...]
2021-11-17
[226]
뉴스
Scientists find strong evidence of black market for whale meat
https://www.deseret.[...]
1998-05-16
[227]
웹사이트
セミクジラ
https://www.biodic.g[...]
1998-03
[228]
서적
八戸浦"クジラ事件"と漁民 : 「事件百周年」駒井庄三郎家所蔵「裁判記録」より
「八戸浦"くじら事件"と漁民」刊行委員会
2011-01
[229]
서적
The Gods of the Sea
https://www.cambridg[...]
ケンブリッジ大学出版局
2023-08
[230]
뉴스
「クジラが魚食べて漁獲減」説を政府が撤回 - 国際捕鯨委員会で森下・政府代表代理が「修正」発言
https://web.archive.[...]
JanJan
2009-06-30
[231]
웹사이트
The Most Senseless Environmental Crime of the 20th Century
https://psmag.com/so[...]
Pacific Standard
2013-11-12
[232]
Podcast
Ryan Tucker Jones, "Red Leviathan: The Secret History of Soviet Whaling" (U Chicago Press, 2022)
https://deepcast.fm/[...]
DeepCast
2023-09-09
[233]
웹사이트
Japan and the IWC: Investigating Japan’s Whaling Policy Objectives
https://www.scriptie[...]
2008
[234]
논문
The whale war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problems and prospects
https://digitalcommo[...]
1989
[235]
웹사이트
Second Issue of Eco: Japan's Shameful Whaling History
https://savedolphins[...]
International Marine Mammal Project
2016-10-25
[236]
웹사이트
【別紙】
https://web.archive.[...]
内閣府
[237]
논문
The Truth About Soviet Whaling: A Memoir
http://digitalcommon[...]
2008
[238]
웹사이트
Blue Whale
https://www.iucnredl[...]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2018-03-16
[239]
웹사이트
地球温暖化による野生生物への影響
https://www.wwf.or.j[...]
世界自然保護基金
2024-06-12
[240]
논문
Seasonal and geographic variation of southern blue whale subspecies in the Indian Ocean
2013
[241]
웹사이트
Blue Whale
https://iucn-csg.org[...]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2018-12-06
[242]
논문
The blue whale
1979
[243]
논문
Increase rates in severely depleted stocks of baleen whales
1993
[244]
논문
Operational factors of the Icelandic large whale fishery
1988
[245]
웹사이트
Appendices
https://www.cites.or[...]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2019-11-26
[246]
웹사이트
Convention on the Conservation of Migratory Species of Wild Animals
https://www.cms.int/[...]
국제연합환경계획
1979-06-23
[247]
웹사이트
Japan, allies block proposal for South Atlantic whale sanctuary
https://www.reuters.[...]
2016-10-25
[248]
웹사이트
Pro-Whaling Countries’ Absence At IWC Halts Decision On Creation Of South Atlantic Whale Sanctuary
https://www.indiatim[...]
2022-11-20
[249]
논문
疑惑 ODA援助と捕鯨賛成票買い取りの実態
https://cir.nii.ac.j[...]
朝日新聞出版
2010
[250]
웹사이트
税金564億円で、捕鯨問題「正常化」?~グリーンピース、日本のODAと国際捕鯨委員会での票買いの関係を暴露~
https://www.greenpea[...]
2007-02-12
[251]
웹사이트
「日本の援助はドミニカの漁業と伝統を破壊している」―― ドミニカ元環境大臣が東京で日本の捕鯨外交を批判
https://www.greenpea[...]
2007-05-19
[252]
웹사이트
国際シンポジウム 日本のODAに振り回される私の国
http://ika-net.jp/ja[...]
2007-05-03
[253]
저널
Cetacean Update of the 2008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cmsdata.iucn.[...]
2008-08-21
[254]
웹인용
Mammals
http://ecos.fws.gov/[...]
United State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08-01-01
[255]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256]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