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롱아일랜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롱아일랜드는 미국 뉴욕주에 위치한 섬으로, 뉴욕시의 브루클린과 퀸즈, 그리고 나소 카운티와 서퍽 카운티로 구성된다. 17세기 초 유럽인과 아메리카 원주민의 접촉 이후 네덜란드와 영국의 식민지배를 거쳐 미국 독립 전쟁, 19세기 농업 시대를 지나 20세기 항공 산업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현재는 과학 기술, 문화 예술, 관광 산업이 발달했으며, 다양한 인종과 종교가 공존하는 지역이다. 롱아일랜드는 지리적으로 해안선과 빙퇴석 지형을 특징으로 하며, 부영양화, 화학적 오염, 서식지 파괴, 기후 변화 등 다양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롱아일랜드 - 롱아일랜드 해협
    롱아일랜드 해협은 뉴욕주 롱아일랜드와 코네티컷주 사이에 있는 빙하 활동으로 형성된 해협으로, 다양한 강이 유입되어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고 어업이 활발했으나 오염 문제가 발생하여 수질 개선 노력이 진행 중이며, 페리 운행과 해협 횡단 다리 건설이 제안되기도 했다.
  • 롱아일랜드 - 뉴욕 공과대학교
    뉴욕 공과대학교는 1955년 뉴욕 기술 연구소를 전신으로 설립된 미국의 사립 대학으로, 기술 중심 교육을 강조하며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했고 뉴욕과 롱아일랜드에 주요 캠퍼스를 두고 전 세계에 국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롱아일랜드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및 지도 정보
뉴욕주에서 롱아일랜드의 위치
뉴욕주에서 롱아일랜드의 위치
미국에서 롱아일랜드의 위치
미국에서 롱아일랜드의 위치
기본 정보
원주민 이름파우마녹
위치대서양
국가미국
뉴욕주
별칭롱아일랜더
면적3,564.5km²
최고 고도122m
최고봉제인스 힐
가장 큰 도시브루클린, 뉴욕 (인구 2,736,074명)
인구 (2020년)8,063,232명
인구 밀도15,170.6명/km²
민족 구성54.7% 백인
20.5% 히스패닉 또는 라틴계 (모든 인종)
20.4% 흑인
12.3% 아시아인
8.8% 다른 인종
3.2% 복수 인종
0.49% 아메리카 원주민
0.05% 태평양 제도 사람
길이189.6km
37km
주요 시설 및 관광 명소
몬탁 포인트 등대
몬탁 포인트 등대
유니스피어, 큰 금속 지구 조각
유니스피어
브루클린 다리
브루클린 다리
코니 아일랜드
루나 파크, 코니 아일랜드
중국어 알파벳으로 된 많은 상점 표지판
플러싱의 차이나타운
정원이 있는 석조 성
헴스테드 하우스
공항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포도밭
와인 컨트리 포도밭
대학 박물관 건물
스토니 브룩 대학교
로버트 모세스 급수탑
로버트 모세스 주립공원
경제
GDP$3,020억
주요 산업과학 연구
헬스케어
기술
금융
교통
주요 공항존 F. 케네디 국제공항
라과디아 공항
기타
공식 웹사이트롱아일랜드.com

2. 역사

롱아일랜드는 유럽인 정착 이전에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이 거주했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524년 조반니 다 베라차노가 현재의 뉴욕 만에 진입하면서 레나페족과의 만남을 기록한 것이 최초의 유럽인 접촉이다.[14] 1609년에는 영국의 항해사 헨리 허드슨이 항구를 탐험하고 현재의 코니 아일랜드에 상륙했으며, 1615년에는 네덜란드 탐험가 아드리아엔 블록이 맨해튼과 롱아일랜드가 모두 섬임을 확인했다.[17]

초기 롱아일랜드에는 서부에 알곤킨어족에 속하는 레나페족(델라웨어족)이, 동부에는 모히칸족, 몬토크족, 나라간셋족 언어를 사용하는 원주민들이 거주했다. 이들은 조개껍데기로 만든 와움팜(wampum) 생산의 중심지였다.[22] 17세기 초, 헨리 허드슨과 그의 승무원이 최초로 롱아일랜드의 알곤킨족과 접촉했다. 처음에는 호기심과 조심스러운 교류가 이루어졌지만, 나중에는 갈등이 발생했다. 알곤킨족은 모피를 의류, 금속, 총, 알코올과 교환하는 상호 이익이 되는 무역을 했다.[17]

네덜란드는 뉴잉글랜드의 모피 시장의 가치를 인식하고 1613년 알곤킨족과 장기적인 동맹을 맺어 영구적인 정착지를 만들었다. 1621년까지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는 북동부에 진출하여 롱 아일랜드 원주민이 제작한 완품(wampum)을 대량으로 거래했다. 네덜란드는 롱 아일랜드에서 완품을 구입하고, 내륙 부족과 완품을 모피와 교환하고, 모피를 유럽으로 다시 운송하는 삼각 무역에 참여했다.[22] 이 삼각 무역은 수십 년 동안 유럽인과 원주민 사이에 평화를 가져왔다.[17]

1636년, 찰스 1세는 윌리엄 알렉산더에게 롱아일랜드를 주었다. 알렉산더의 대리인 제임스 페렛은 1637년 뉴암스테르담에 도착했으나 체포되어 투옥되었다가 나중에 탈옥했다. 페쿼트 전쟁은 동부 롱 아일랜드의 정치적 상황에 공백을 남겼고, 1639년 라이온 가디너는 현재 이스트 햄튼에 있는 작은 섬인 동부 롱 아일랜드 토지의 최초 매입을 확보했다.[14]

1636년에서 1648년 사이 네덜란드와 영국 식민지 주민들은 롱 아일랜드 토지를 매입했다. 네덜란드는 서부, 영국은 동부에 정착하여 토지를 팔려는 추장들로부터 토지를 매입했다. 유럽인들은 토지 거래를 독점적 소유권과 영구적 정착의 기회로 보았지만, 알곤킨족은 임시적이고 공동체적인 것으로 보았다.[23] 1640년, 영국 식민지 주민들은 현재 포트 워싱턴인 카우 베이에 정착을 시도했으나, 원주민 지도자 페나위츠의 경고 후 네덜란드인에게 체포되었다가 풀려났다.[24] 쉘터 아일랜드와 로빈스 아일랜드를 받은 페렛을 통해 알렉산더는 동부 섬의 대부분을 뉴헤이븐 식민지와 코네티컷 식민지에 팔았다.[25]

유럽 정착민이 증가하면서 생태계는 변화했고, 원주민과의 관계도 긴장이 고조되었다. 유럽인들은 전통적인 사냥터를 개간하고, 원주민 작물에 피해를 주는 가축을 도입했으며, 원주민의 땅을 침범했다. 이는 80명의 원주민을 살해한 키프트 전쟁으로 절정에 달했다.[26] 1655년, 유럽 정착민들은 획득한 토지를 서로 나누고 섬에서 정착지를 위한 토지를 계속 찾았다. 1664년 6월 10일, 현재의 브룩헤이븐, 벨포트, 사우스 헤이븐을 포함한 원주민 토지의 다른 부분이 840USD (2017년 가치)와 교환하여 매입되었다.[27] 1675년 필립 왕 전쟁 동안 뉴욕 총독 에드먼드 안드로스는 헬 게이트 동쪽의 모든 카누를 몰수하라고 명령했다.[28] 네덜란드가 맨해튼을 식민지화하기 시작한 후, 많은 원주민들이 펜실베이니아와 델라웨어로 이주했다. 남아 있던 사람들 중 많은 수가 천연두로 사망했다.[29]

1636년 네덜란드인이 기록한 원주민 토지 증서에는 인디언들이 롱 아일랜드를 ''Sewanhakaumu''라고 불렀다고 나와 있다. ''Sewanhackyumu''와 ''Sewanhackingumu''은 레나페의 음역 표기에서 다른 철자였다.[30] ''Sewanumu''은 완품 즉 기념용 껍질 구슬 끈의 용어 중 하나였으며, 한동안 레나페와의 무역에서 식민지 주민이 통화로 사용하기도 했고, "느슨한" 또는 "흩어진"으로도 번역되는데, 이는 완품 또는 롱 아일랜드를 가리킬 수 있다.[30] "'t Lange Eylandt alias Matouwacs"라는 이름은 1650년대 네덜란드 지도에 나타나며,[31][32] '''t Lange Eylandt''는 옛 네덜란드어로 "롱 아일랜드"로 번역된다. 영국인들은 나중에 윌리엄 3세가 된 오라녜 공 빌럼 3세의 나사우 가문에 따라 롱 아일랜드를 "나사우 아일랜드(Nassau Island)"라고 불렀다. 식민지 시대의 또 다른 원주민 이름인 파우마녹은 롱 아일랜드의 원주민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조공을 바치는 섬"을 의미한다.[33]

롱 아일랜드 최초의 유럽인 정착지는 영국과 그 식민지 출신 정착민에 의해 이루어졌다. 라이온 가디너는 가디너스 아일랜드 근처에 정착했다. 1640년 10월 21일 존 영스 목사와 코네티컷 뉴헤이븐 출신 정착민들이 사우스홀드를 설립했고, 정착민 중 한 명인 피터 홀록이 롱 아일랜드 최초의 신세계 정착민으로 여겨진다. 사우스햄튼은 같은 해에 정착했고, 헴프스테드는 1644년, 이스트 햄튼은 1648년, 헌팅턴은 1653년, 브룩헤이븐은 1655년, 스미스타운은 1665년에 정착했다.

롱 아일랜드 동부 지역은 영국인이 처음 정착했지만, 서부 지역은 네덜란드인이 정착했다. 1664년까지 롱 아일랜드의 관할권은 네덜란드와 영국 사이에 나뉘어져 있었는데, 대략 현재의 나소 카운티와 서퍽 카운티의 경계였다. 네덜란드는 1645년부터 현재의 브루클린에 브루클린 하이츠, 그레이브센드, 플랫랜즈, 플랫부시, 뉴 유트렉트, 부시윅의 여섯 개 마을을 설립했다. 네덜란드는 1644년 헴프스테드 (현재 나소 카운티)에 영국 정착지를 허용했지만, 경계 분쟁 후 오이스터 베이 지역에서 영국 정착민들을 몰아냈다. 그러나 1664년 영국은 롱 아일랜드를 포함한 네덜란드 식민지 뉴네덜란드를 점령했다.

1664년 영국 제임스 2세 공작에게 주어진 토지 특허에는 롱아일랜드 해협의 모든 섬이 포함되어 있었다. 요크 공작은 뉴헤이븐이 1649년 찰스 1세를 사형 선고한 재판관 세 명(존 딕스웰, 에드워드 왈리, 윌리엄 고프[34])을 숨겼기 때문에 코네티컷에 대한 원한을 품고 있었다. 서퍽 카운티 정착민들은 코네티컷의 일부로 남으려고 했지만, 에드먼드 안드로스 총독은 그들이 따르지 않으면 토지에 대한 정착민의 권리를 박탈하겠다고 위협했고, 그들은 1676년까지 이를 따랐다.[35] 롱아일랜드와 코네티컷 사이의 섬들과 함께 롱 아일랜드 전체는 뉴욕 주의 요크셔의 일부가 되었다. 현재의 서퍽 카운티는 요크셔의 "동부 라이딩(East Riding)"으로, 현재의 브루클린은 "서부 라이딩(West Riding)"의 일부였고, 현재의 퀸즈와 나소는 더 큰 "북부 라이딩(North Riding)"의 일부였다. 1683년 요크셔가 해체되고 롱 아일랜드의 세 개의 원래 카운티인 킹스, 퀸즈, 서퍽이 설립되었다.

유럽인에 의한 아메리카 대륙 식민화 이후, 알곤킨족은 점점 더 소외되어 갔다. 18세기까지 대부분의 원주민 토지는 몰수되었고 작은 구획만 남았으며, 많은 원주민들은 가정부, 노동자, 안내자, 선원으로 전락했다.[17]

윌리엄 플로이드는 1734년 롱 아일랜드에서 태어났다. 미국 독립 전쟁 초기에 서퍽 군 민병대의 일원이었고, 소장으로 승진했다. 1774년 뉴욕 주 대표로 제1차 대륙 회의에 선출되었다. 롱아일랜드 전투 후 그의 재산은 영국군에 의해 몰수되어 기병 기지로 사용되었다. 1789년 미국 하원에 선출되어 1791년까지 재직했다. 롱 아일랜드 브룩헤이븐 출신의 미국 독립 선언 서명자 중 한 명인 프랜시스 루이스는 롱 아일랜드 전투 후 그의 집이 파괴되고 그의 아내 엘리자베스가 영국군에 체포되었다. 조지 워싱턴필라델피아 출신의 두 부유한 왕당파의 아내들을 체포한 후 두 사람을 루이스 부인과 맞바꾸어 그녀의 석방을 성사시켰다.

마리누스 윌릿은 프랑스-인디언 전쟁이 발발한 1754년 후 식민지 민병대에 입대했다. 1758년 티콘데로가 작전과 프롱트낙 요새 함락에 참가했다. 1770년대에 혁명적인 자유의 아들들에 합류한 윌릿은 그 직후인 1775년 대륙군에 입대했다. 제1 뉴욕 연대에서 복무하며 퀘벡 침공에 참가한 후 1776년 제3 뉴욕 연대로 전속되었다. 모노머스 전투에서 활약한 윌릿은 1778년 설리번 원정에도 참가했다. 1780년 제5 뉴욕 연대의 대령이 되었고, 1781년 트라이언 카운티 민병대에서 존스타운 전투에서 싸웠다. 1830년 8월 22일 윌릿은 사망하여 트리니티 교회 묘지에 매장되었다. 윌릿 포인트와 함께하는 메츠-윌릿 포인트 역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미국 독립 전쟁 초기에 섬은 조지 워싱턴 지휘하의 미군으로부터 영국군에 의해 점령되었는데, 이는 워싱턴이 짙은 안개 속에서 브루클린 하이츠에서 간신히 군대를 철수한 후 벌어진 주요 전투인 롱아일랜드 전투였다. 롱 아일랜드에서 영국군이 승리한 후 많은 애국자들이 철수하여 대부분 왕당파만 남게 되었다. 이 섬은 1783년 전쟁이 끝날 때까지 영국의 요새였다.[36] 워싱턴 장군은 롱 아일랜드 서부가 뉴욕시에 있는 영국군 본부와 가까웠기 때문에 롱 아일랜드를 정보 활동의 근거지로 삼았다. 컬퍼 링에는 세타켓과 맨해튼 사이에서 활동하는 요원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조직은 베네딕트 아놀드의 반역과 경제적 파괴를 유도하기 위한 위조 계획을 포함한 귀중한 영국 비밀을 워싱턴에게 알렸다.

롱 아일랜드의 식민지 주민들은 왕당파와 애국자 양측을 모두 지지했으며, 많은 저명한 가문들이 양측으로 나뉘었다. 점령 기간 동안 영국군은 방어를 위해 많은 민간 시설을 이용했고, 때로는 현지 주택에 주둔하기도 했다. 이 시대의 많은 건축물들이 남아 있다. 그 중에는 애국자 스파이 로버트 타운젠드의 오이스터베이 자택인 레인햄 홀 박물관, 세타켓의 캐롤라인 교회와 묘지 (세타켓 전투로 알려진 소규모 전투에서 총알 자국이 남아 있다), 브루클린의 브루클린 옛 돌집 재건축(롱아일랜드 전투 당시 메릴랜드 400의 유명한 최후의 항전이 있었던 장소)이 있다.[37]

19세기 롱아일랜드는 주로 농촌 지역이었으며 농업에 종사하고 있었다. 롱아일랜드 철도(Long Island Rail Road, LIRR)의 전신은 1836년 브루클린의 사우스페리에서 출발하여 브루클린 나머지 지역을 거쳐 퀸즈의 자메이카까지 운행을 시작했다. 이 노선은 보스턴으로 가는 교통 계획의 일환으로 1844년 롱아일랜드 동쪽 끝까지 완공되었다. 곧 LIRR에 인수된 경쟁 철도들이 남쪽 해안을 따라 건설되어 인구가 더 많은 지역의 여행객들을 수용했다. 1830년부터 1930년까지 100년 동안 총 인구는 20년마다 거의 두 배로 증가했으며, 맨해튼 근처 지역에서는 개발이 더욱 밀집되었다. 킹스 카운티의 "브루클린 시"와 퀸즈의 롱아일랜드 시티와 같이 여러 도시들이 설립되었다.[38][39]

1883년 브루클린 다리가 완공될 때까지 롱아일랜드와 미국 본토 간의 유일한 이동 수단은 배였다. 다른 다리와 터널이 건설됨에 따라 섬의 지역들이 주택가 교외 지역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도시로 통근할 수 있는 철도 주변부터였다. 1898년 1월 1일, 킹스 카운티와 퀸즈 카운티의 일부가 그레이터 뉴욕 시에 통합되어 그 안에 있던 모든 도시와 마을이 폐지되었다. 통합 계획에 포함되지 않은 퀸즈 카운티 동쪽 끝 280제곱마일[40][41][42][43][44][45]는 1899년에 퀸즈에서 분리되어 나소 카운티를 형성했다.

19세기 말, 도금 시대에 막대한 부를 축적한 부유한 실업가들이 롱아일랜드 북쪽 해안의 나소 카운티 지역에 대규모의 "영주 스타일" 시골 저택을 짓기 시작했는데, 물이 보이는 많은 부동산을 선호했다. 맨해튼과의 근접성은 J. P. 모건, 윌리엄 K. 밴더빌트, 찰스 프랫과 같은 사람들을 끌어들였고, 그들의 저택들 때문에 이 지역은 골드 코스트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이 시대와 이 지역은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와 같이 소설에서 영원히 기록되었으며,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마스터 빌더" 로버트 모세스


20세기 초, 뉴욕 지하철 개통으로 퀸즈와 브루클린에서 맨해튼으로 통근이 가능해지면서 이 지역들은 주택가로 발전했다. 맨해튼보다 통근 시간은 더 걸렸지만, 더 저렴하고 넓은 집에 살 수 있어 베드타운으로 인기를 얻었다. 아일랜드계 미국인, 이탈리아계 미국인, 유대계 미국인 등 동서유럽 이민자들이 롱아일랜드로 이주하여 다양한 민족 구성을 형성했다.[38][39] 1908년, 밴더빌트 가문의 윌리엄 밴더빌트는 퀸즈의 키시나(플러싱 근교)에서 서퍽의 론콘코마 호까지 세계 최초의 자동차 전용 도로(고속도로)인 롱아일랜드 자동차 전용 공원 도로를 건설했다.

1920년대부터 교외 이주가 본격화되면서, 특히 나소 지역은 대규모 교외 도시로 성장했다. 처음에는 철도 노선을 따라 발전하다가, 서던 스테이트 고속도로, 노던 스테이트 고속도로가 개통되었고, 1960년에는 롱아일랜드 고속도로도 개통되면서 간선 도로변도 발전했다.

트랙트 하우징(Suburban Sprawl)의 예. 콜로라도주


로버트 모세스는 롱아일랜드 주립 공원 위원회와 협력하여 섬의 공원 도로와 주립 공원을 정비하여 쾌적한 교외 도시를 만들었다. 존스 비치 주립 공원은 그가 만든 유명한 공원 중 하나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롱아일랜드, 특히 나소와 서부 서퍽의 인구는 급격히 증가했다. 전후 가장 발전한 도시 중 하나인 나소의 레비타운은 개발업체가 대규모 트랙트 하우징(많은 집이 사각형 도로 등으로 밀집하여 거대한 집단 주거지를 형성하고 있는 주택가)을 건설한 최초의 도시였다. "서버번 스프롤(Suburban Sprawl)"이라고 불리는 레비타운의 개발은 성공적이었고, 다른 지역들도 이를 모델로 도시 개발을 했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디어 파크나 코맥과 같은 서퍽 지역도 유사한 발전을 이루었다.

세계무역센터 폭격의 위성 사진. 연기가 브루클린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왼쪽이 북쪽이다.


그러먼(Grumman)사 제작의 아폴로 달 착륙선


911테러 당시 세계무역센터에서 근무하던 많은 롱아일랜드 주민들이 희생되었다. 인구 대비 사망자 수는 가든 시티가 가장 높았다. 많은 소방관들도 롱아일랜드에서 달려왔다.

롱아일랜드는 2008년 10월에 경기 침체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2008년 11월에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약 7100개의 일자리가 사라졌고, 나소와 서퍽에서는 향후 2만~3만 5천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실업률은 2008년 초 5.2%에서 연말에는 6.8%로 상승했다. 나소의 신축 단독주택 평균 가격은 2007년 8월 502500USD에서 2008년 11월에는 410000USD로 하락했다. 서퍽에서는 2007년 7월 420000USD에서 2008년 11월에는 335000USD로 하락했다.

2. 1. 초기 역사

1600년 롱아일랜드의 아메리카 원주민 정착지


약 1860년에 그려진 세 명의 레나페족 인디언 초상화


1699년 컷추그에 지어진 올드 하우스


위스콘신 빙하 작용이 끝나가던 마지막 빙하기에 초기 팔레오인디언들이 오늘날 롱아일랜드로 진출하여 중요한 환경 변화를 일으키고 이 지역의 풍부한 생태계의 기반을 마련했다.[14] 돌 도구를 사용한 이 유목 수렵 채집인들은 새롭게 나타나는 풍경을 이동하며 큰 사냥감을 사냥하고 풍부한 천연 자원을 채집했다.[15]

팔레오인디언 시대 이후, 고고학 시대는 생계 전략의 확장을 보여준다. 롱아일랜드 주민들은 풍부한 해양 및 육지 환경을 활용하여 식단을 다양화했다.[14] 주요 단백질 공급원은 어류와 조개류였으며, 특히 굴이 중요했다.[16] 사슴과 다른 야생 동물, 그리고 다양한 식물성 식품도 그들의 식단의 일부가 되었다.[17] 고고학 기록은 또한 더 정착된 생활 방식으로의 변화를 보여주며, 작은 무리가 계절별 정착지를 형성했다.[18]

초기 및 중기 숲지대 시대의 원주민들은 원예와 더 효율적인 사냥 및 채집 전략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일년 내내 정착지를 건설했다. 이 시대에 도자기가 널리 퍼진 기술적 혁신으로 등장하여 실용적인 저장 및 요리 목적뿐만 아니라 문화적 표현의 매체로도 기능했다. 롱아일랜드 전역의 다양한 유적지에서 나타나는 도자기의 스타일 변화는 다양한 문화적 정체성과 다양한 집단 간의 아이디어 교환을 보여준다.[19] 또한 이 시대는 다른 북동부 원주민 공동체와의 무역 네트워크 참여를 특징으로 한다.[20]

후기 숲지대 시대에는 옥수수가 콩과 스쿼시와 함께 주요 작물이 되면서 농업이 눈에 띄게 집중되었다. 이러한 농업 발전은 더 많은 인구를 지원했고, 위그와움과 롱하우스를 특징으로 하는 더 영구적인 마을의 설립으로 이어졌다.[16] 농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지만 사냥과 채집은 생계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했다.[19]

롱아일랜드 원주민들은 크기가 다른 마을에 살았고, 증거 부족으로 그들의 통치 방식은 추측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인류학적 모델은 지도자들이 마을 전체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지도자들은 종종 원로들의 조언을 구했다.[17]

롱아일랜드의 초기 정착민들은 친족 관계로 묶여 있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자신들을 별개의 부족으로 식별하지 않았다. 이 부족들은 유럽인들이 국경을 식별하는 방법으로 지정했다. 그러나 두 가지 문화가 있었던 것 같다. 서부 롱아일랜드 원주민들은 델라웨어-문시 방언을 사용했을 것이다. 동부 집단의 언어는 기반이 덜 확실하지만 남부 뉴잉글랜드 알곤킨 방언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친족 시스템은 오늘날 뉴저지주, 매사추세츠주, 코네티컷주로드아일랜드주에 있는 씨족과 함께 롱아일랜드 원주민들을 묶어 두었을 것이다.[21]

조반니 다 베라차노는 1524년 현재의 뉴욕 만에 진입한 후 레나페족과의 만남을 기록한 최초의 유럽인이었지만, 그가 롱아일랜드 출신의 아메리카 원주민을 만났는지는 불분명하다.

1685년 니콜라스 비셔 2세(Nicolaes Visscher II)의 ''Novi Belgii Novæque Angliæ'' 지도 발췌본. 붉은색으로 "Lange Eylandt alias Matouwacs" 표기


1609년, 영국의 항해사 헨리 허드슨(Henry Hudson)이 항구를 탐험하고 현재의 코니 아일랜드(Coney Island)에 상륙했다. 1615년에는 네덜란드 탐험가 아드리아엔 블록(Adriaen Block)이 그 뒤를 이어 맨해튼(Manhattan)과 롱 아일랜드(Long Island)가 모두 섬임을 확인한 최초의 유럽인으로 알려져 있다.

17세기 초 롱 아일랜드의 알곤킨족과 유럽인 사이의 최초 기록된 만남은 탐험가들의 도착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헨리 허드슨과 그의 승무원이 최초로 접촉했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처음에는 호기심과 조심스러운 교류로 특징지어졌지만, 나중에는 갈등이 발생했다. 알곤킨족은 모피를 의류, 금속, 총, 알코올과 교환하는 상호 이익이 되는 무역을 했다.[17]

네덜란드는 뉴잉글랜드의 모피 시장의 가치를 인식하고 1613년 알곤킨족과 장기적인 동맹을 맺어 영구적인 정착지를 만들었다. 1621년까지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Dutch West India Company)는 북동부에 진출하여 북동부 원주민 부족에게 중요한 문화적, 경제적 중요성을 지닌 엄청난 양의 완품(wampum)을 거래하기 시작했다. 이 완품은 주로 롱 아일랜드 원주민이 제작하였다. 네덜란드는 롱 아일랜드에서 대량의 완품을 구입하고, 내륙 부족과 완품을 모피와 교환하고, 모피를 유럽으로 다시 운송하는 삼각 무역에 참여했다.[22] 이 삼각 무역은 수십 년 동안 유럽인과 원주민 사이에 평화를 가져왔다.[17]

1636년, 찰스 1세(Charles I of England)는 스코틀랜드의 궁정인이자 외교관 겸 식민지 총독인 윌리엄 알렉산더(William Alexander, 1st Earl of Stirling)에게 툴리바디(Tullibody)와 스털링 자작(Viscount of Stirling) 작위를 수여했다. 그 해 4월 22일 찰스 1세는 롱 아일랜드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지만 정착하지 않은 플리머스 식민지(Plymouth Colony)에게 알렉산더에게 롱 아일랜드를 양도하라고 지시했다. 그의 대리인 제임스 페렛(James Farret)이 1637년 영국 주권에 대한 그의 주장을 제시하기 위해 뉴암스테르담(New Amsterdam)에 도착했을 때 그는 체포되어 네덜란드(Holland)에 투옥되었지만, 나중에 탈옥했다.

코네티컷의 페쿼트족(Pequot tribe)과 뉴잉글랜드 식민지(New England Colonies) 사이의 갈등인 페쿼트 전쟁(Pequot War)은 지역의 동맹과 권력 역학을 재편했다. 페쿼트족의 패배는 동부 롱 아일랜드의 정치적 상황에 공백을 남겼다. 언캐스(Uncas)와 니니그렛(Ninigret)과 같은 원주민 지도자들은 뉴잉글랜드 식민지와 함께 이 공백을 메우려고 했고, 결국 식민지 주민들이 원주민 라이벌을 제압했다. 1639년 라이온 가디너(Lion Gardiner)는 현재 이스트 햄튼(East Hampton, New York)에 있는 작은 섬인 동부 롱 아일랜드 토지의 최초 매입을 확보했다.[14]

1636년에서 1648년 사이는 네덜란드와 영국 식민지 주민에 의한 롱 아일랜드 토지 매입의 시기였다. 네덜란드는 서부 롱 아일랜드의 일부를 점령한 반면 영국은 동부에 정착하여 토지를 팔려는 추장들로부터 토지를 매입했다. 이러한 토지 매입에 대한 관점은 원주민과 유럽인 사이에 상당히 달랐을 것이다. 유럽인들은 토지 거래를 독점적 소유권과 영구적 정착의 기회로 보았지만, 알곤킨족은 임시적이고 공동체적인 것으로 보았다.[23] 원주민의 약한 지도력과 불분명한 사냥터는 유럽인의 엄격한 경계 필요성과 일치하지 않았다. 이러한 혼란은 그 후 여러 해 동안 갈등과 경계 분쟁을 초래했다.

1640년, 영국 식민지 주민들은 현재 포트 워싱턴(Port Washington, New York)인 카우 베이(Cow Bay)에 정착하려고 했다. 원주민 지도자 페나위츠(Penhawitz)의 경고 후, 식민지 주민들은 네덜란드인에게 체포되었지만, 권리에 대해 잘못 이해했다고 말한 후 석방되었다.[24]

쉘터 아일랜드(Shelter Island (town), New York)와 로빈스 아일랜드(Robins Island)를 받은 페렛을 통해 알렉산더는 동부 섬의 대부분을 뉴헤이븐 식민지(New Haven Colony)와 코네티컷 식민지(Connecticut Colony)에 팔았다.[25]

유럽 정착민이 롱 아일랜드에 증가함에 따라 생태계는 상당한 변화를 겪었고, 원주민과 유럽인 사이의 관계도 변화했다. 유럽인들은 전통적인 사냥터를 광범위하게 개간했고, 원주민 작물에 피해를 주는 가축을 도입했다.[17] 유럽인들은 또한 원주민의 땅을 침범하기 시작했고, 이러한 근접성은 긴장을 고조시켰다. 이것은 80명의 원주민을 살해한 파괴적인 공격으로 시작된 키프트 전쟁(Kieft's War)으로 절정에 달했다.[26]

소유권에 대한 주장과 부재자 토지 판매가 변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유럽 정착민들은 계속해서 원주민으로부터 직접 토지를 매입했다. 1655년 그들은 획득한 토지를 서로 나누고 섬에서 정착지를 위한 토지를 계속 찾았다. 1664년 6월 10일, 현재의 브룩헤이븐(Brookhaven, New York), 벨포트(Bellport, New York), 사우스 헤이븐(South Haven, New York)을 포함한 원주민 토지의 다른 부분이 네 벌의 코트와 6.5GBP와 교환하여 매입되었다.[27]

1675년 필립 왕 전쟁(King Philip's War) 동안 뉴욕 총독(List of colonial governors of New York) 에드먼드 안드로스(Edmund Andros)는 헬 게이트(Hell Gate) 동쪽의 모든 카누를 몰수하라고 명령했다. 이것은 뉴잉글랜드 정착민을 공격하고 있던 본토의 원주민 동맹을 돕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28] 마사피쿼(Massapequa)의 타카포우샤(Tackapousha)와 같은 추장들은 1675년 필립 왕 전쟁 이후 영향력이 약해졌다. 프랑스와 영국 정착민 사이의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이러한 원주민들은 중재하고 자신의 공동체를 보호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토지 권리를 유지하려는 노력은 질병, 속임수, 토지 특허 위반 및 문화적 오해로 인해 약화되었다.[17]

네덜란드가 맨해튼을 식민지화하기 시작한 후, 많은 원주민들이 펜실베이니아(Pennsylvania)와 델라웨어(Delaware)로 이주했다. 남아 있던 사람들 중 많은 수가 유럽 식민지 주민을 통해 북미로 퍼진 천연두(smallpox)로 사망했는데, 이는 유라시아인들이 질병에 노출되어 얻은 항체와 자연 저항력이 부족하여 대규모 사망으로 이어졌다.[29]

1636년 네덜란드인이 기록한 원주민 토지 증서(deed)에는 인디언들이 롱 아일랜드를 ''Sewanhakaumu''라고 불렀다고 나와 있다. ''Sewanhackyumu''와 ''Sewanhackingumu''은 레나페(Lenape)의 음역 표기에서 다른 철자였다.[30] ''Sewanumu''은 완품(wampum) 즉 기념용 껍질 구슬 끈의 용어 중 하나였으며, 한동안 레나페와의 무역에서 식민지 주민이 통화로 사용하기도 했고, "느슨한" 또는 "흩어진"으로도 번역되는데, 이는 완품 또는 롱 아일랜드를 가리킬 수 있다.[30] "'t Lange Eylandt alias Matouwacs"라는 이름은 1650년대 네덜란드 지도에 나타난다.[31][32] '''t Lange Eylandt''는 옛 네덜란드어(Old Dutch)로 "롱 아일랜드"로 번역된다. 영국인들은 나중에 윌리엄 3세(William III of England)가 된 윌리엄 오렌지 공(William III of England)의 나사우 가문(House of Nassau)에 따라 롱 아일랜드를 "나사우 아일랜드(Nassau Island)"라고 불렀다. "나사우 아일랜드"라는 이름이 언제 중단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식민지 시대의 또 다른 원주민 이름인 파우마녹(Paumanok Path)은 롱 아일랜드의 원주민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조공을 바치는 섬"을 의미한다.[33]

롱 아일랜드 최초의 유럽인 정착지는 영국과 그 식민지 출신 정착민에 의해 이루어졌다. 라이온 가디너는 가디너스 아일랜드(Gardiners Island) 근처에 정착했다. 지리적 롱 아일랜드 자체에 대한 최초의 정착지는 1640년 10월 21일 존 영스 목사(John Youngs (minister))와 코네티컷 뉴헤이븐(New Haven) 출신 정착민들이 사우스홀드(Southold, New York)를 설립했을 때였다. 정착민 중 한 명인 피터 홀록(Peter Hallock)은 긴 빨대를 뽑아 가장 먼저 상륙하는 영예를 얻었다. 그는 롱 아일랜드의 최초의 신세계 정착민으로 여겨진다. 사우스햄튼(Southampton, New York)은 같은 해에 정착했고, 헴프스테드(Hempstead, New York)는 1644년, 이스트 햄튼(East Hampton, New York)은 1648년, 헌팅턴(Huntington, New York)은 1653년, 브룩헤이븐(Brookhaven, New York)은 1655년, 스미스타운(Smithtown, New York)은 1665년에 정착했다.

롱 아일랜드 동부 지역은 영국인이 처음 정착했지만, 서부 지역은 네덜란드인이 정착했다. 1664년까지 롱 아일랜드의 관할권은 네덜란드와 영국 사이에 나뉘어져 있었는데, 대략 현재의 나소 카운티(Nassau County, New York)와 서퍽 카운티(Suffolk County, New York)의 경계였다. 네덜란드는 1645년부터 현재의 브루클린(Brooklyn)에 여섯 개의 마을을 설립했는데, 브루클린(Brooklyn Heights, Brooklyn), 그레이브센드(Gravesend, Brooklyn), 플랫랜즈(Flatlands, Brooklyn), 플랫부시(Flatbush, Brooklyn), 뉴 유트렉트(New Utrecht, Brooklyn), 부시윅(Bushwick, Brooklyn)이 포함된다. 네덜란드는 1644년 헴프스테드(Hempstead, New York) (현재 나소 카운티)에 영국 정착지를 허용했지만, 경계 분쟁 후 오이스터 베이(Oyster Bay) 지역에서 영국 정착민들을 몰아냈다. 그러나 1664년 영국은 롱 아일랜드를 포함한 네덜란드 식민지 뉴네덜란드(New Netherland)를 점령하기 위해 돌아왔다.

1664년 제임스 2세(James II of England)에게 주어진 토지 특허에는 롱 아일랜드 사운드(Long Island Sound)의 모든 섬이 포함되어 있었다. 요크 공작은 뉴헤이븐이 1649년 찰스 1세(King Charles I)를 사형 선고한 재판관 세 명(존 딕스웰(John Dixwell), 에드워드 왈리(Edward Whalley), 윌리엄 고프(William Goffe)[34])을 숨겼기 때문에 코네티컷에 대한 원한을 품고 있었다. 서퍽 카운티 전역의 정착민들은 코네티컷의 일부로 남으려고 했지만, 에드먼드 안드로스(Edmund Andros) 총독은 그들이 따르지 않으면 토지에 대한 정착민의 권리를 박탈하겠다고 위협했고, 그들은 1676년까지 이를 따랐다.[35]

롱 아일랜드와 코네티컷 사이의 섬들과 함께 롱 아일랜드 전체는 뉴욕 주(Province of New York)의 요크셔(York Shire (Province of New York))의 일부가 되었다. 현재의 서퍽 카운티는 요크셔의 "동부 라이딩(East Riding)"으로, 현재의 브루클린은 "서부 라이딩(West Riding)"의 일부였고, 현재의 퀸즈(Queens)와 나소(Nassau)는 더 큰 "북부 라이딩(North Riding)"의 일부였다. 1683년 요크셔가 해체되고 롱 아일랜드의 세 개의 원래 카운티인 킹스(Kings), 퀸즈(Queens), 서퍽(Suffolk)이 설립되었다.

유럽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을 무렵, 섬 서부에는 레나페족(델라웨어족)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알곤킨어족에 속하는 델라웨어어를 사용했다. 이탈리아 탐험가인 조반니 다 베라자노가 1524년 현재의 뉴욕항에 들어왔을 때가 기록상 최초의 접촉이다. 섬 동부에는 모히칸족, 몬토크족, 나라간셋족 언어를 사용하는 원주민들이 살았고, 사용 언어로 보아 현재의 코네티컷주와 로드아일랜드주(롱아일랜드 만을 사이에 두고 있다)에 거주하는 원주민들과 연관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은 원료가 풍부하여 조개껍데기로 만든 와움팜(wampum) 생산의 중심지였다.

롱아일랜드 원주민의 인구가 감소했을 때, 아마추어 문화인류학자 실러스 우드는 저서를 통해 롱아일랜드에 과거 "메토악(Metoac)"이라 불리는 13개 부족으로 구성된 여러 민족이 존재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현재 과학적 연구 관점에서 볼 때 사용되었던 언어의 수는 두 가지이며, 이는 몬토크족과 신네콕족 두 부족만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그들은 지금도 그곳에 살고 있다.

인디언들이 사용했던 롱아일랜드의 이름은 "포마노크(Paumanok)"이며, 그 뜻은 "공물을 바치는 섬"이다. 이는 강력한 부족이 없는 부족들에게 적의가 없음을 보이기 위해 공물을 바치도록 강요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1664년의 플리머스 식민지


1664년부터 1777년의 뉴욕 식민지. ''Conn''은 코네티컷을 나타냅니다.


17세기부터 맨해튼과 스태튼 섬에 정착을 시작한 네덜란드는 섬 서부에 정착을 시작하여 'Lange Eylant'라고 명명했다. 1636년 4월 22일, 찰스 1세(Charles I)는 윌리엄 알렉산더(William Alexander)에게 정착을 위탁했다. 알렉산더는 자신의 에이전트 제임스 패렛(James Farrett)을 통해 섬 동부를 뉴헤이븐 식민지와 코네티컷 식민지에 매각했다. 패렛은 개인적으로도 쉘터 아일랜드(Shelter Island, New York)와 로빈스 아일랜드(Robins Island)를 손에 넣었다. 가장 동쪽에 떠 있는 가디너스 아일랜드(Gardiners Island)에 라이언 가디너(Lion Gardiner)가 1637년에 정착하여 이것이 잉글랜드인 최초의 롱 아일랜드 정착이 되었다. 패렛은 같은 해 뉴암스테르담(New Amsterdam)을 방문하여 잉글랜드 국왕의 직속 명령임을 알렸지만 체포되어 네덜란드 감옥에 수감되었다(나중에 탈옥). 또한 잉글랜드인들은 카우 만(Cow Bay)에 정착을 시도했지만 네덜란드인 정착민들에게 체포당했다. 그들은 섬의 소유권에 잘못이 있음을 인정하고 나중에 석방되었다. 동시에 잉글랜드인에 의한 섬 동부의 정착은 착실히 진행되었다.

1640년 10월 21일, 코네티컷 주 뉴헤이븐(New Haven)에서 현재 사우스홀드(Southold, New York) 지역으로 온 퓨리탄들은 지도자 존 영스(John Youngs)를 필두로 롱 아일랜드에 대한 본격적인 정착민이 되었다. 1640년 여름에는 원주민 코샤그족으로부터 토지를 매입했다. 사우스홀드 지역은 같은 부족에 의해 예니옥(Yenniock)이라고 불렸다. 매사추세츠 주 린(Lynn)시에서 이주해 온 잉글랜드인들은 1640년 12월 현재 사우스햄튼(Southampton, New York) 지역을 매입했다. 1641년 4월에는 그곳에서 최초의 정착민 회합이 열렸다. 뉴네덜란드(New Netherland)를 건설한 네덜란드인들은 섬 동부의 개척에 대해 특별히 신경 쓰지 않았고 그들을 즉각 쫓아내는 행동은 하지 않았다.

1662년에 사우스홀드 지역은 뉴헤이븐 식민지에 병합되었고, 1674년에 코네티컷 식민지의 관할이 되었다. 1673년에 영국이 뉴욕 지역을 네덜란드로부터 탈환했지만 섬 동부는 뉴욕으로의 병합을 거부했다. 네덜란드는 뉴욕을 사수하기 위해 대량의 군대를 투입했지만 영국은 코네티컷 식민지의 지원을 받아 그곳을 획득했다.
스코틀랜드인 해적 윌리엄 키드(William Kidd)
1674년에 공식적으로 잉글랜드에 의한 통치가 시작된 후에도 양키 배경을 가진 섬 동부 사람들은 코네티컷의 관할에 남기를 원했다. 코네티컷은 이를 승인했지만 요크 공작이 거부했기 때문에 강제로 뉴욕의 자치권에 편입되었다. 주지사 에드먼드 앤드로스(Edmund Andros)는 섬 동부 사람들이 승낙하지 않으면 그들의 권리를 무시하더라도 임무를 수행하겠다고 협박했고, 1676년에 실행되었다. 코네티컷은 요크 공작의 아버지인 찰스 1세를 재판에서 사형시킨 판사 중 3명을 숨겨주고 있었는데, 이것이 요크 공작의 코네티컷에 대한 혐오감의 원인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롱 아일랜드는 1683년 뉴욕 식민지의 12개 카운티 중 킹스, 퀸스, 서폭의 3개 카운티를 포함하고 있었고, 당시 퀸스는 현재의 나소 전역과 서폭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었다.

롱 아일랜드는 마녀 사냥의 무대가 되기도 했고, 이스트햄튼(East Hampton, New York)에서 사냥당한 마녀들 중에는 라이언 가디너의 딸도 포함되어 있었다.

초기 롱 아일랜드 역사상 유명한 인물로는 와이앤단치(Wyandanch), 지주 윌리엄 스미스(William "Tangier" Smith), 선원 윌리엄 키드(William Kidd), 군인 존 언더힐(John Underhill) 등이 있다.

2. 2. 17세기~19세기

17세기 초, 롱아일랜드의 알곤킨족과 유럽인 사이의 최초의 만남은 탐험가들의 도착과 함께 시작되었다. 1609년 영국의 항해사 헨리 허드슨이 항구를 탐험하고 현재의 코니 아일랜드에 상륙했다. 1615년에는 네덜란드 탐험가 아드리아엔 블록이 그 뒤를 이어 맨해튼과 롱아일랜드가 모두 섬임을 확인한 최초의 유럽인이 되었다. 초기에는 호기심과 조심스러운 교류가 이루어졌지만, 나중에는 갈등이 발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곤킨족은 모피를 의류, 금속, 총, 알코올과 교환하는 상호 이익이 되는 무역을 했다.[17]

네덜란드는 뉴잉글랜드의 모피 시장의 가치를 인식하고 1613년 알곤킨족과 장기적인 동맹을 맺어 영구적인 정착지를 만들었다. 1621년까지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는 북동부에 진출하여 북동부 원주민 부족에게 중요한 문화적, 경제적 중요성을 지닌 엄청난 양의 완품(조개껍데기 구슬)을 거래하기 시작했다. 이 완품은 주로 롱 아일랜드 원주민이 제작하였다. 네덜란드는 롱 아일랜드에서 대량의 완품을 구입하고, 내륙 부족과 완품을 모피와 교환하고, 모피를 유럽으로 다시 운송하는 삼각 무역에 참여했다.[22] 이 삼각 무역은 수십 년 동안 유럽인과 원주민 사이에 평화를 가져왔다.[17]

1636년, 스튜어트 왕조의 찰스 1세는 윌리엄 알렉산더의 왕실 봉사에 대한 보상으로 그에게 롱아일랜드를 주었다. 찰스 1세는 플리머스 식민지에게 롱아일랜드를 알렉산더에게 양도하라고 지시했다. 알렉산더의 대리인 제임스 페렛이 1637년 뉴암스테르담에 도착했을 때 그는 체포되어 네덜란드에 투옥되었지만, 나중에 탈옥했다.

페쿼트 전쟁은 동부 롱 아일랜드의 정치적 상황에 공백을 남겼다. 1639년 라이온 가디너는 현재 이스트 햄튼에 있는 작은 섬인 동부 롱 아일랜드 토지의 최초 매입을 확보했다.[14]

1636년에서 1648년 사이는 네덜란드와 영국 식민지 주민에 의한 롱 아일랜드 토지 매입의 시기였다. 네덜란드는 서부 롱 아일랜드의 일부를 점령한 반면 영국은 동부에 정착하여 토지를 팔려는 추장들로부터 토지를 매입했다. 유럽인들은 토지 거래를 독점적 소유권과 영구적 정착의 기회로 보았지만, 알곤킨족은 임시적이고 공동체적인 것으로 보았다.[23]

1640년, 영국 식민지 주민들은 현재 포트 워싱턴인 카우 베이에 정착하려고 했다. 원주민 지도자 페나위츠의 경고 후, 식민지 주민들은 네덜란드인에게 체포되었지만, 권리에 대해 잘못 이해했다고 말한 후 석방되었다.[24]

쉘터 아일랜드와 로빈스 아일랜드를 받은 페렛을 통해 알렉산더는 동부 섬의 대부분을 뉴헤이븐 식민지와 코네티컷 식민지에 팔았다.[25]

유럽 정착민이 롱 아일랜드에 증가함에 따라 생태계는 상당한 변화를 겪었고, 원주민과 유럽인 사이의 역학 관계도 변화했다. 유럽인들은 전통적인 사냥터를 광범위하게 개간했고, 원주민 작물에 피해를 주는 가축을 도입했다.[17] 유럽인들은 또한 원주민의 땅을 침범하기 시작했고, 이러한 근접성은 긴장을 고조시켰다. 이것은 80명의 원주민을 살해한 파괴적인 공격으로 시작된 키프트 전쟁으로 절정에 달했다.[26]

1655년, 유럽 정착민들은 획득한 토지를 서로 나누고 섬에서 정착지를 위한 토지를 계속 찾았다. 1664년 6월 10일, 현재의 브룩헤이븐, 벨포트, 사우스 헤이븐을 포함한 원주민 토지의 다른 부분이 840USD (2017년 가치)와 교환하여 매입되었다.[27]

1675년 필립 왕 전쟁 동안 뉴욕 총독 에드먼드 안드로스는 헬 게이트 동쪽의 모든 카누를 몰수하라고 명령했다. 이것은 뉴잉글랜드 정착민을 공격하고 있던 본토의 원주민 동맹을 돕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28]

네덜란드가 맨해튼을 식민지화하기 시작한 후, 많은 원주민들이 펜실베이니아와 델라웨어로 이주했다. 남아 있던 사람들 중 많은 수가 천연두로 사망했는데, 이는 유라시아인들이 질병에 노출되어 얻은 항체와 자연 저항력이 부족하여 대규모 사망으로 이어졌다.[29]

1636년 네덜란드인이 기록한 원주민 토지 증서에는 인디언들이 롱 아일랜드를 ''Sewanhakaumu''라고 불렀다고 나와 있다. ''Sewanhackyumu''와 ''Sewanhackingumu''은 레나페의 음역 표기에서 다른 철자였다.[30] ''Sewanumu''은 완품 즉 기념용 껍질 구슬 끈의 용어 중 하나였으며, 한동안 레나페와의 무역에서 식민지 주민이 통화로 사용하기도 했고, "느슨한" 또는 "흩어진"으로도 번역되는데, 이는 완품 또는 롱 아일랜드를 가리킬 수 있다.[30] "'t Lange Eylandt alias Matouwacs"라는 이름은 1650년대 네덜란드 지도에 나타나며,[31][32] '''t Lange Eylandt''는 옛 네덜란드어로 "롱 아일랜드"로 번역된다. 영국인들은 나중에 윌리엄 3세가 된 오라녜 공 빌럼 3세의 나사우 가문에 따라 롱 아일랜드를 "나사우 아일랜드(Nassau Island)"라고 불렀다. "나사우 아일랜드"라는 이름이 언제 중단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식민지 시대의 또 다른 원주민 이름인 파우마녹은 롱 아일랜드의 원주민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조공을 바치는 섬"을 의미한다.[33]

롱 아일랜드 최초의 유럽인 정착지는 현재 뉴잉글랜드에 있는 영국과 그 식민지 출신 정착민에 의해 이루어졌다. 라이온 가디너는 가디너스 아일랜드 근처에 정착했다. 지리적 롱 아일랜드 자체에 대한 최초의 정착지는 1640년 10월 21일 존 영스 목사와 코네티컷 뉴헤이븐 출신 정착민들이 사우스홀드를 설립했을 때였다. 정착민 중 한 명인 피터 홀록은 긴 빨대를 뽑아 가장 먼저 상륙하는 영예를 얻었다. 그는 롱 아일랜드의 최초의 신세계 정착민으로 여겨진다. 사우스햄튼은 같은 해에 정착했고, 헴프스테드는 1644년, 이스트 햄튼은 1648년, 헌팅턴은 1653년, 브룩헤이븐은 1655년, 스미스타운은 1665년에 정착했다.

롱 아일랜드 동부 지역은 영국인이 처음 정착했지만, 서부 지역은 네덜란드인이 정착했다. 1664년까지 롱 아일랜드의 관할권은 네덜란드와 영국 사이에 나뉘어져 있었는데, 대략 현재의 나소 카운티와 서퍽 카운티의 경계였다. 네덜란드는 1645년부터 현재의 브루클린에 여섯 개의 마을을 설립했는데, 브루클린 하이츠, 그레이브센드, 플랫랜즈, 플랫부시, 뉴 유트렉트, 부시윅이 포함된다. 네덜란드는 1644년 헴프스테드 (현재 나소 카운티)에 영국 정착지를 허용했지만, 경계 분쟁 후 오이스터 베이 지역에서 영국 정착민들을 몰아냈다. 그러나 1664년 영국은 롱 아일랜드를 포함한 네덜란드 식민지 뉴네덜란드를 점령하기 위해 돌아왔다.

1664년 영국 제임스 2세 공작에게 주어진 토지 특허에는 롱아일랜드 해협의 모든 섬이 포함되어 있었다. 요크 공작은 뉴헤이븐이 1649년 공작의 아버지인 찰스 1세를 사형 선고한 재판관 세 명(존 딕스웰, 에드워드 왈리, 윌리엄 고프[34])을 숨겼기 때문에 코네티컷에 대한 원한을 품고 있었다. 서퍽 카운티 전역의 정착민들은 코네티컷의 일부로 남으려고 했지만, 에드먼드 안드로스 총독은 그들이 따르지 않으면 토지에 대한 정착민의 권리를 박탈하겠다고 위협했고, 그들은 1676년까지 이를 따랐다.[35]

롱아일랜드와 코네티컷 사이의 섬들과 함께 롱 아일랜드 전체는 뉴욕 주의 요크셔의 일부가 되었다. 현재의 서퍽 카운티는 요크셔의 "동부 라이딩(East Riding)"으로, 현재의 브루클린은 "서부 라이딩(West Riding)"의 일부였고, 현재의 퀸즈와 나소는 더 큰 "북부 라이딩(North Riding)"의 일부였다. 1683년 요크셔가 해체되고 롱 아일랜드의 세 개의 원래 카운티인 킹스, 퀸즈, 서퍽이 설립되었다.

유럽인에 의한 아메리카 대륙 식민화 이후, 롱 아일랜드를 포함하여 알곤킨족은 점점 더 소외되어 갔다. 18세기까지 대부분의 원주민 토지는 몰수되었고 작은 구획만 남았으며, 많은 원주민들은 가정부, 노동자, 안내자, 선원으로 전락했다.[17]

윌리엄 플로이드는 1734년 12월 17일 롱 아일랜드에서 태어났다. 그는 미국 독립 전쟁 초기에 서퍽 군 민병대의 일원이었고, 소장으로 승진했다. 1774년 그는 뉴욕 주 대표로 제1차 대륙 회의에 선출되었다. 롱아일랜드 전투 후 그의 재산은 영국군에 의해 몰수되어 기병 기지로 사용되었다. 1789년 플로이드는 미국 하원에 선출되어 1791년까지 재직했다. 롱 아일랜드 브룩헤이븐 출신의 미국 독립 선언 서명자 중 한 명인 프랜시스 루이스는 롱 아일랜드 전투 후 그의 집이 파괴되고 그의 아내 엘리자베스가 영국군에 체포되었다. 조지 워싱턴필라델피아 출신의 두 부유한 왕당파의 아내들을 체포한 후 두 사람을 루이스 부인과 맞바꾸어 그녀의 석방을 성사시켰다.

마리누스 윌릿은 프랑스-인디언 전쟁이 발발한 1754년 후 식민지 민병대에 입대했다. 그는 1758년 티콘데로가 작전과 프롱트낙 요새 함락에 참가했다. 1770년대에 혁명적인 자유의 아들들에 합류한 윌릿은 그 직후인 1775년 대륙군에 입대했다. 제1 뉴욕 연대에서 복무하며 퀘벡 침공에 참가한 후 1776년 제3 뉴욕 연대로 전속되었다. 모노머스 전투에서 활약한 윌릿은 1778년 설리번 원정에도 참가했다. 그는 1780년 제5 뉴욕 연대의 대령이 되었고, 1781년 트라이언 카운티 민병대에서 존스타운 전투에서 싸웠다. 1830년 8월 22일 윌릿은 사망하여 트리니티 교회 묘지에 매장되었다. 윌릿 포인트와 함께하는 메츠-윌릿 포인트 역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미국 독립 전쟁 초기에 섬은 조지 워싱턴 지휘하의 미군으로부터 영국군에 의해 점령되었는데, 이는 워싱턴이 짙은 안개 속에서 브루클린 하이츠에서 간신히 군대를 철수한 후 벌어진 주요 전투인 롱아일랜드 전투였다. 롱 아일랜드에서 영국군이 승리한 후 많은 애국자들이 철수하여 대부분 왕당파만 남게 되었다. 이 섬은 1783년 전쟁이 끝날 때까지 영국의 요새였다.[36]

워싱턴 장군은 롱 아일랜드 서부가 뉴욕시에 있는 영국군 본부와 가까웠기 때문에 롱 아일랜드를 정보 활동의 근거지로 삼았다. 컬퍼 링에는 세타켓과 맨해튼 사이에서 활동하는 요원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조직은 베네딕트 아놀드의 반역과 경제적 파괴를 유도하기 위한 위조 계획을 포함한 귀중한 영국 비밀을 워싱턴에게 알렸다.

롱 아일랜드의 식민지 주민들은 왕당파와 애국자 양측을 모두 지지했으며, 많은 저명한 가문들이 양측으로 나뉘었다. 점령 기간 동안 영국군은 방어를 위해 많은 민간 시설을 이용했고, 때로는 현지 주택에 주둔하기도 했다. 이 시대의 많은 건축물들이 남아 있다. 그 중에는 애국자 스파이 로버트 타운젠드의 오이스터베이 자택인 레인햄 홀 박물관, 그리고 세타켓의 캐롤라인 교회와 묘지 (세타켓 전투로 알려진 소규모 전투에서 총알 자국이 남아 있다)가 있다. 또한 브루클린의 브루클린 옛 돌집 재건축이 있는데, 이곳은 롱아일랜드 전투 당시 메릴랜드 400의 유명한 최후의 항전이 있었던 장소이다.[37]

19세기 롱아일랜드는 주로 농촌 지역이었으며 농업에 종사하고 있었다. 롱아일랜드 철도(Long Island Rail Road, LIRR)의 전신은 1836년 브루클린의 사우스페리에서 출발하여 브루클린 나머지 지역을 거쳐 퀸즈의 자메이카까지 운행을 시작했다. 이 노선은 보스턴으로 가는 교통 계획의 일환으로 1844년 롱아일랜드 동쪽 끝까지 완공되었다. 곧 LIRR에 인수된 경쟁 철도들이 남쪽 해안을 따라 건설되어 인구가 더 많은 지역의 여행객들을 수용했다. 1830년부터 1930년까지 100년 동안 총 인구는 20년마다 거의 두 배로 증가했으며, 맨해튼 근처 지역에서는 개발이 더욱 밀집되었다. 킹스 카운티의 "브루클린 시"와 퀸즈의 롱아일랜드 시티와 같이 여러 도시들이 설립되었다.[38][39]

1883년 브루클린 다리가 완공될 때까지 롱아일랜드와 미국 본토 간의 유일한 이동 수단은 배였다. 다른 다리와 터널이 건설됨에 따라 섬의 지역들이 주택가 교외 지역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도시로 통근할 수 있는 철도 주변부터였다. 1898년 1월 1일, 킹스 카운티와 퀸즈 카운티의 일부가 그레이터 뉴욕 시에 통합되어 그 안에 있던 모든 도시와 마을이 폐지되었다. 통합 계획에 포함되지 않은 퀸즈 카운티 동쪽 끝 280제곱마일[40][41][42][43][44][45]는 1899년에 퀸즈에서 분리되어 나소 카운티를 형성했다.

19세기 말, 도금 시대에 막대한 부를 축적한 부유한 실업가들이 롱아일랜드 북쪽 해안의 나소 카운티 지역에 대규모의 "영주 스타일" 시골 저택을 짓기 시작했는데, 물이 보이는 많은 부동산을 선호했다. 맨해튼과의 근접성은 J. P. 모건, 윌리엄 K. 밴더빌트, 찰스 프랫과 같은 사람들을 끌어들였고, 그들의 저택들 때문에 이 지역은 골드 코스트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이 시대와 이 지역은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와 같이 소설에서 영원히 기록되었으며,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2. 3. 20세기~현재



20세기 초, 뉴욕 지하철 개통으로 퀸즈와 브루클린에서 맨해튼으로 통근이 가능해지면서 이 지역들은 주택가로 발전했다. 맨해튼보다 통근 시간은 더 걸렸지만, 더 저렴하고 넓은 집에 살 수 있어 베드타운으로 인기를 얻었다. 아일랜드계 미국인, 이탈리아계 미국인, 유대계 미국인 등 동서유럽 이민자들이 롱아일랜드로 이주하여 다양한 민족 구성을 형성했다.[38][39]

1908년, 밴더빌트 가문의 윌리엄 밴더빌트는 퀸즈의 키시나(플러싱 근교)에서 서퍽의 론콘코마 호까지 세계 최초의 자동차 전용 도로(고속도로)인 롱아일랜드 자동차 전용 공원 도로를 건설했다.

1920년대부터 교외 이주가 본격화되면서, 특히 나소 지역은 대규모 교외 도시로 성장했다. 처음에는 철도 노선을 따라 발전하다가, 서던 스테이트 고속도로, 노던 스테이트 고속도로가 개통되었고, 1960년에는 롱아일랜드 고속도로도 개통되면서 간선 도로변도 발전했다.

로버트 모세스는 롱아일랜드 주립 공원 위원회와 협력하여 섬의 공원 도로와 주립 공원을 정비하여 쾌적한 교외 도시를 만들었다. 존스 비치 주립 공원은 그가 만든 유명한 공원 중 하나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롱아일랜드, 특히 나소와 서부 서퍽의 인구는 급격히 증가했다. 전후 가장 발전한 도시 중 하나인 나소의 레비타운은 개발업체가 대규모 트랙트 하우징(많은 집이 사각형 도로 등으로 밀집하여 거대한 집단 주거지를 형성하고 있는 주택가)을 건설한 최초의 도시였다. "서버번 스프롤(Suburban Sprawl)"이라고 불리는 레비타운의 개발은 성공적이었고, 다른 지역들도 이를 모델로 도시 개발을 했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디어 파크나 코맥과 같은 서퍽 지역도 유사한 발전을 이루었다.

911테러 당시 세계무역센터에서 근무하던 많은 롱아일랜드 주민들이 희생되었다. 인구 대비 사망자 수는 가든 시티가 가장 높았다. 많은 소방관들도 롱아일랜드에서 달려왔다.

롱아일랜드는 2008년 10월에 경기 침체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2008년 11월에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약 7100개의 일자리가 사라졌고, 나소와 서퍽에서는 향후 2만~3만 5천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실업률은 2008년 초 5.2%에서 연말에는 6.8%로 상승했다.

나소의 신축 단독주택 평균 가격은 2007년 8월 502500USD에서 2008년 11월에는 410000USD로 하락했다. 서퍽에서는 2007년 7월 420000USD에서 2008년 11월에는 335000USD로 하락했다.

3. 지리

롱아일랜드의 상세 지도


1993년 우주왕복선 컬럼비아가 우주에서 촬영한 롱아일랜드, 맨해튼, 그리고 본토의 교차점


2012년 11월 롱아일랜드 북쪽 해안의 절벽


롱아일랜드는 뉴욕 대도시권의 일부로, 맨해튼 중심부에서 동쪽으로 약 약 193.12km 뻗어 있는 길쭉한 섬이다. 섬의 서쪽 끝에는 뉴욕시의 브루클린(킹스 카운티)과 퀸즈(퀸즈 카운티)가 있으며, 중앙부와 동쪽 부분에는 교외 지역인 나소와 서퍽 카운티가 있다.

롱아일랜드는 약 2만 1천 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빙하의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빙하가 녹으면서 북쪽 해안은 암석 지형이, 남쪽 해안은 고운 모래 해변이 만들어졌다. 섬 중앙에는 빙하가 남긴 빙퇴석 지대가 있으며, 멜빌 근처의 제인즈힐(Jayne's Hill)은 해발 122m로 롱아일랜드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

롱아일랜드의 최고봉 제인즈힐(Jayne's Hill). 해발 122m.


섬에는 많은 대수층이 있어 섬에 필요한 물을 충분히 공급한다. 롱아일랜드에서 사용되는 물은 대부분 지하수이며, 주로 강우에 의해 보충된다. 폐수 처리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지하수 수질 문제는 롱아일랜드의 미래 발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남아있다.

1985년 미국 연방 대법원은 롱아일랜드가 본토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법적으로 섬이 아니라는 판결을 내렸지만, 미국 지명위원회는 여전히 롱아일랜드를 섬으로 간주한다.

롱아일랜드의 기온은 서쪽과 동쪽에서 차이가 나는데, 서쪽은 도시 열섬 현상으로 인해 동쪽보다 다소 따뜻하다. 롱아일랜드와 주변 지역의 월별 최고·최저 기온은 아래 표와 같다.

'''월별 최고·최저 기온 비교'''
지역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롱아일랜드4.5/-3.55/-39/0.514/519.5/9.523.5/1526.5/1826/1722.5/13.517/7.512/37/-1
뉴욕4/-25.5/-110/2.515.5/720.5/1224.5/16.527/19.526/1922.5/1517/1011.5/5.56.5/1
도쿄10/210/213/518/1123/1525/1929/2331/2427/2122/1517/1012/5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2.5/-4.52.8/-4.46.6/-1.713.6/3.518.5/8.420.6/12.624.5/1726.5/19.122.9/14.817.7/811.3/2.25.4/-1.8



'''참고:'''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는 같은 위도에 있는 도시이다. 롱아일랜드의 측정 지점은 롱아일랜드 맥아더 공항이다. 뉴욕시의 측정 지점은 센트럴파크이다. 도쿄와 하치노헤의 기온은 일본 기상청 자료를 참고했다.

3. 1. 행정 구역

롱아일랜드의 행정 구역. 왼쪽부터 킹스군(갈색), 퀸즈군(녹색), 나소군(노란색), 서퍽군(주황색). 왼쪽 끝의 빨간색은 맨해튼섬, 파란색은 브롱크스.


롱아일랜드는 섬의 가장 서쪽 끝에 있는 퀸스 군과 킹스 군(브루클린)과, 중부와 동부에 있는 나소 군과 서퍽 군으로 구성된다. 퀸스 군과 킹스 군은 뉴욕시를 구성하는 자치구이며, 나소 군과 서퍽 군에는 교외형 주택지와 소도시가 산재한다. 지리적으로는 퀸스, 킹스도 섬의 일부이지만 행정 구역의 영향으로 구어적으로는 이 두 군을 일반적으로 롱아일랜드라고 부르지 않는다. "롱아일랜더(Long Islander)"라고 하면 나소 또는 서퍽 중 한 곳 출신자를 가리킨다. 퀸스, 브루클린은 “뉴요커(New Yorker)”라고 불리며 “더 시티(The City)” 출신에 속한다. 다만, “롱아일랜드”라는 표현에는 협의의 용법도 있어, 사람에 따라서는 나소 군만을 가리키는 데 관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으므로 주의를 요한다.[47]

나소와 서퍽은 독립된 자치정부를 가지고 있으며, '카운티 이그제큐티브'(郡知事)라 불리는 수장 아래 운영된다. 두 카운티 모두 의회를 가지고 있으며, 의원들은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 반면, 퀸스와 브루클린은 뉴욕시에 속해 있기 때문에 독립된 행정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각각 구청장은 있지만 실권은 뉴욕 시장이 쥐고 있기 때문에 그다지 영향력 있는 직책은 아니다.

서퍽 카운티 청사

3. 2. 기후

쾨펜 기후 분류에 따르면, 롱아일랜드는 습윤 아열대 기후('''Cfa''')와 덥고 습한 여름의 습윤 대륙성 기후('''Dfa''') 사이의 전이대에 위치해 있다.[59] 이 기후는 뜨겁고 보통 습한 여름(간혹 뇌우 발생), 온화한 봄과 가을 날씨, 그리고 눈과 비가 섞여 내리고 폭풍우가 잦은 서늘한 겨울이 특징이다. 대서양의 비교적 서늘한 수온과 간혹 발생하는 차단 고기압 현상 때문에 봄은 서늘할 수 있다. 뇌우는 롱아일랜드 바로 위에서 드물게 발생하지만, 내륙 지역에서 발생하여 동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대서양의 온화 효과로 인해 일부 폭풍은 롱아일랜드에 접근하면서 약해질 수 있다. 또한 대서양은 더운 달에 즉각적인 남쪽 해안 지역(약 약 1.61km)에 오후 해풍을 불어넣어 더위를 완화시킨다. 선라이즈 고속도로(NY 27번 고속도로) 남쪽의 기온은 대서양의 비교적 서늘한 수온 때문에 봄과 여름철에 롱아일랜드의 다른 지역보다 상당히 서늘하다. 롱아일랜드는 연간 2,400~2,800시간의 햇빛을 평균적으로 받는 온화하고 햇볕이 잘 드는 기후를 가지고 있다.[60]

해안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롱아일랜드의 겨울 기온은 뉴욕 주의 다른 지역보다 온화하다. 가장 추운 달은 1월이며 평균 기온은 이고, 가장 더운 달은 7월이며 평균 기온은 이다.[61] 기온은 이하로 떨어지거나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가 드물다. 롱아일랜드에서 기록된 가장 낮은 기온은 1961년 1월 22일 였다. 롱아일랜드의 기온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변화하며, 서쪽(나소 카운티, 퀸즈, 브루클린)은 동쪽(서퍽 카운티)보다 일반적으로 섭씨 1~2도(화씨 2~3도) 더 따뜻하다. 이는 여러 가지 요인 때문인데, 서쪽은 본토에 더 가깝고 개발이 더욱 밀집되어 있어 "도시 열섬 효과"가 발생하고, 롱아일랜드의 육지는 동쪽으로 갈수록 북쪽으로 휘어져 있기 때문이다. 또한, 롱아일랜드 동부의 낮 최고 기온은 대서양과 롱아일랜드 사운드의 온화 효과로 인해 대부분의 경우 더 서늘하다. 구름이나 바람이 없는 건조한 밤에는 서퍽 카운티 중부와 서퍽 카운티 동부의 파인 배런스 숲은 복사 냉각으로 인해 섬의 다른 지역보다 섭씨 3~5도(화씨 5~10도) 더 서늘할 수 있다. 대기 수분을 측정하는 평균 이슬점은 7월과 8월에 보통 범위에 있다.

강수량은 연중 고르게 분포하며, 매달 평균 약 이다. 연평균 적설량은 약 이며, 북쪽 해안과 서쪽 지역이 선라이즈 고속도로 남쪽(남쪽 해안)과 동쪽 끝보다 더 많다. 그러나 어떤 겨울에는 섬의 일부 지역에서 최대 이상의 눈이 내릴 수도 있다. 섬의 대부분 지역에 미만의 눈이 내리는 온화한 겨울도 있다.

2013년 7월 롱아일랜드 상공의 적란운


2012년 11월 허리케인 샌디 이후 파손된 로카웨이 해변 보드워크


2014년 8월 13일, 서퍽 카운티 서중부 지역에 기록적인 강우량으로 인해 몇 시간 만에 3개월 치 강수량이 넘는 비가 내려 홍수가 발생했다.[62]

롱아일랜드는 열대성 저기압에 다소 취약하다.[63] 대부분의 열대성 저기압이 동쪽으로 바다로 향하는 지점보다 북쪽에 위치해 있지만(미국 동부 해안의 대부분의 상륙은 노스캐롤라이나 이남에서 발생), 몇몇 열대성 저기압이 롱아일랜드를 강타했는데, 그중에는 3등급의 파괴적인 1938년 뉴잉글랜드 허리케인("롱아일랜드 익스프레스"로도 알려짐)과 또 다른 3등급의 허리케인 캐롤(1954년)이 포함된다. 허리케인 강도로 롱아일랜드에 상륙한 20세기의 다른 폭풍으로는 1944년 대서양 허리케인, 1960년의 허리케인 도나, 1976년의 허리케인 벨, 1985년의 허리케인 글로리아가 있다. 또한 1991년 허리케인 밥의 눈벽이 동쪽 끝을 스쳤다. 2011년 8월, 롱아일랜드의 일부 지역은 1등급 허리케인인 허리케인 아이린에 대비해 대피했다. 이 허리케인은 롱아일랜드에 도달하기 전에 열대성 폭풍으로 약화되었다.[64]

2012년 10월 29일, 허리케인 샌디는 나소 카운티와 서퍽 카운티, 브루클린, 퀸즈의 저지대 해안 지역에 광범위한 피해를 입혀 해일과 만의 폭풍 해일로 수천 채의 주택과 다른 구조물이 파괴되거나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수십만 명의 주민이 피해 복구가 진행되는 동안 최대 몇 주까지 전력 공급이 중단되었다. 느리게 이동하는 "슈퍼스톰 샌디"(상륙하기 전에 노르이스터와 합쳐졌기 때문에 슈퍼스톰이라고 불림)로 인해 롱아일랜드 가구의 90%가 정전을 경험했고, 나소 카운티와 서퍽 카운티에서만 약 180억 달러의 피해가 발생했다.[65][66] 이 폭풍은 브루클린과 퀸즈 지역의 해안 지역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쳤는데, 브루클린의 코니 아일랜드와 퀸즈의 로카웨이 반도가 포함되지만, 그곳의 금전적 피해 추정치는 일반적으로 뉴욕시 전체의 피해액에 포함되어 계산된다. 물가 상승을 고려하면, 샌디의 피해 규모는 1938년 롱아일랜드 익스프레스에 의한 피해 규모 다음으로 크다. 샌디에서는 더 낮은 중심 기압이 기록되었지만,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는 1938년 허리케인이 상륙 당시 더 낮은 기압을 기록했다고 추정한다.[67][68] 허리케인 샌디와 그 심대한 영향으로 인해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파괴적인 결과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롱아일랜드와 뉴욕시 해안선에 해벽 및 기타 해안 장벽을 건설하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69][70]

4. 인구

롱아일랜드는 미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섬이자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 2020년 미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롱아일랜드의 4개 카운티 전체 인구는 8,063,232명으로 뉴욕주 전체 인구의 40%를 차지한다.[85] 2020년 기준으로 브루클린퀸스에 거주하는 5,141,538명을 포함하여 뉴욕시 거주자(총 8,804,190명) 중 58.4%가 롱아일랜드에 거주하고 있다.[85]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나소 카운티와 서퍽 카운티의 총 인구는 2,921,694명이며, 그중 서퍽 카운티는 1,525,920명, 나소 카운티는 1,395,774명이다. 나소 카운티는 수십 년 동안 더 많은 인구를 보유했지만, 1990년 인구 조사에서 인구 증가와 개발이 동쪽으로 확장됨에 따라 서퍽 카운티가 나소 카운티를 앞질렀다.

백인은 4개 카운티 모두에서 가장 큰 인종 집단이며, 나소 카운티와 서퍽 카운티에서는 다수를 차지한다.[89] 2002년, 뉴욕 타임스는 비영리 단체 ERASE Racism의 연구를 인용하여 나소 카운티와 서퍽 카운티가 미국에서 가장 인종적으로 분리된 교외 지역이라고 밝혔다.[90]

반대로, 퀸스는 미국에서 가장 다양한 민족 구성을 가진 카운티이며 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도시 지역이다.[91][92]

2000년 종교 조사에 따르면, 가톨릭 신자는 롱아일랜드에서 가장 큰 종교 집단이며, 무종교가 그 뒤를 잇는다. 가톨릭 신자는 나소 카운티와 서퍽 카운티 인구의 52%를 차지한다.[93] 유대교 신자는 각각 16%와 7%를 차지한다.[93]

약 50만 명에 달하는 중국계 미국인 인구가 롱아일랜드에 거주하고 있다.[94] 브루클린과 퀸즈에는 급속히 확장되는 차이나타운이 형성되었으며, 중국 이민자들은 나소 카운티로도 이주하고 있다.[95][96][110] 이는 아일랜드계 미국인이나 이탈리아계 미국인과 같은 초기 유럽 이민자들과 유사한 양상이다.

최근에는 나소 카운티 힉스빌에 리틀 인디아 지역 사회가 등장하여 퀸즈의 기존 리틀 인디아 지역에서 동쪽으로 확장되고 있다.[102] 2019년 기준으로 나소 카운티의 아시아 인구는 2010년 이후 39% 증가하여 약 145,191명에 달했으며, 이 중 약 5만 명은 인도계 미국인, 약 4만 명은 중국계 미국인이다. 나소 카운티는 중국 이민자들을 위한 미국 최고의 교외 지역으로 자리 잡았다.[104] 마찬가지로 롱아일랜드 코리아타운은 퀸즈 플러싱에서 시작되어 노던 불러바드(Northern Boulevard)를 따라 동쪽으로,[105][106][107][108][109] 나소 카운티로 확장되고 있다.[110][1][107]

롱아일랜드에는 서퍽 카운티에 있는 포스패턱 보호구역(Poospatuck Reservation)과 신네콕 보호구역(Shinnecock Reservation) 등 두 개의 아메리카 원주민 보호구역이 있다. 섬의 많은 지명은 아메리카 원주민의 기원을 가지고 있다.

2000년 미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롱아일랜드 4개 카운티의 총 인구는 7,448,618명이며, 그중 2,465,326명이 킹스 카운티(브루클린), 2,229,379명이 퀸스 카운티에 거주하고 있다. 서퍽 카운티의 인구는 1,419,369명, 나소 카운티는 1,334,544명이다.

롱아일랜드의 인종 및 종교 구성
colspan=2|인종종교
카운티인구백인흑인아시아계기타혼혈히스패닉가톨릭무종교유대교개신교데이터 없음
킹스 카운티2,465,326명41.2%36.4%7.5%10.6%4.3%19.8%37%4%15%8%33%
퀸스 카운티2,229,379명44.1%20.0%17.6%12.3%6.1%25.0%29%37%11%5%15%
나소 카운티1,334,544명79.3%10.1%4.7%3.8%2.1%10.0%52%9%16%7%15%
서퍽 카운티1,419,369명84.6%6.9%2.4%4.0%2.1%10.5%52%21%7%8%11%
합계7,448,618명57.2%21.2%9.0%8.6%4.0%17.8%40%18%12%7%20%



19세기 초 롱아일랜드는 퀸즈와 브루클린까지도 여전히 농업이 이루어질 정도의 시골이었지만, 이스트리버에 증기선이 운항을 시작하면서 월가의 재계 인사들이 맨해튼의 전경이 한눈에 보이는 브루클린하이츠에 집을 짓기 시작했다.

1883년 브루클린 교가 개통될 때까지 롱아일랜드와 대륙 쪽의 교통 수단은 배뿐이었다. 브루클린 교의 개통과 그 뒤를 잇는 다른 다리와 터널의 개통으로 롱아일랜드는 뉴욕의 인구 증가와 더불어 교외형 발전을 가속화하게 되었다. 1898년 1월 1일, 킹스군과 퀸즈군은 공식적으로 뉴욕시에 병합되었고, 두 군의 독립 행정은 폐지되었다. 퀸즈의 동쪽 725km²는 뉴욕시에 병합되지 않고 1899년에 나소(Nassau)라는 새로운 군이 탄생했다.

5. 경제

롱아일랜드는 뉴욕시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다양한 산업이 발달해 있다. 19세기 롱아일랜드는 주로 농업에 종사하는 농촌 지역이었다. 롱아일랜드 철도(LIRR)는 1836년 브루클린의 사우스 페리에서 출발하여 퀸즈의 자메이카까지 운행을 시작했고, 1844년 롱아일랜드 동쪽 끝까지 완공되었다.[38][39] 1883년 브루클린 다리가 완공될 때까지 롱아일랜드와 미국 본토 간의 유일한 이동 수단은 배였다.

19세기 말, 도금 시대에 부를 축적한 실업가들이 롱아일랜드 북쪽 해안의 나소 카운티 지역에 대규모 저택을 짓기 시작했다. J. P. 모건, 윌리엄 K. 밴더빌트, 찰스 프랫과 같은 사람들이 롱아일랜드에 저택을 지었고, 이 지역은 골드 코스트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20세기 초, 뉴욕 지하철 개통으로 퀸즈와 브루클린에서 맨해튼으로의 통근이 가능해지면서 이 지역들은 베드타운으로 발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롱아일랜드의 인구는 급격히 증가했고, 레비타운과 같은 대규모 트랙트 하우징이 건설되었다.

911테러 당시 세계무역센터에서 근무하던 많은 롱아일랜드 주민들이 희생되었다. 롱아일랜드는 2008년 10월부터 경기 침체의 영향을 받기 시작하여 많은 일자리가 사라지고 부동산 시장이 하락했다.

롱아일랜드는 부유층 밀집도와 높은 생활 수준으로 유명하며, 북쪽 해안과 남쪽 해안 모두 부유층이 거주하는 마을들이 있다.

5. 1. 주요 산업

롱아일랜드는 과학 연구와 공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핵물리학 및 미국 에너지부 연구를 수행하는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가 이곳에 있다. 또한,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한 제임스 D. 왓슨(프랜시스 크릭과 로잘린드 프랭클린과 함께)이 35년간 소장을 역임한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도 롱아일랜드에 있다.[55] 스페리 사, 컴퓨터 어소시에이츠(뉴욕주 아이슬란디아에 본사 소재), 제브라 테크놀로지스(현재 심볼 테크놀로지스의 옛 본사와 홀츠빌에 있던 그루먼 공장을 사용 중)와 같은 기업들 덕분에 롱아일랜드는 컴퓨터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스토니 브룩 대학교와 뉴욕 기술 연구소는 첨단 의료 및 기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나소 카운티 북쪽 해안에 위치한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 8명의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를 배출한 생물의학 연구 시설


2010년 7월 촬영된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 미국 에너지부의 주요 연구 기관


롱아일랜드에는 미국 동부 해안 최대 규모의 호포지 산업단지가 있으며, 1,300개가 넘는 기업이 입주해 71,000명 이상의 고용을 창출하고 있다. 단지 내외의 기업들은 호포지 산업 협회를 통해 대표된다.[55] 롱아일랜드 주민의 최대 20%가 맨해튼으로 통근한다. 섬의 동쪽 끝은 여전히 부분적으로 농업 지역이다. 노스포크의 포도원 개발은 감자밭을 대체하는 주요 포도 재배 산업을 촉진했다. 전통적인 트럭 농업에 호박 농장이 추가되었다. 농장들은 롱아일랜드 주민들이 일 년 내내 신선한 과일을 직접 따서 먹을 수 있게 해준다. 어업은 특히 헌팅턴, 노스포트, 몬톡 및 이스트 엔드와 사우스 쇼어의 다른 해안 지역에서 중요한 산업으로 남아 있다.[55]

1930년경부터 1990년경까지 롱아일랜드는 그루먼, 리퍼블릭, 페어차일드, 커티스와 같은 기업들이 본사와 공장을 두었던 미국의 항공우주 제조업 중심지 중 하나로 여겨졌다. 하지만 이러한 사업들은 대부분 단계적으로 축소되거나 크게 감소하였다.[55]

6. 문화

롱아일랜드는 뉴욕시와 가까워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았다. 1960년대 사이키델릭 록 유행은 사회 불만 세력을 뉴욕시로 이끌었고, R&B헌팅턴 출신 머라이어 캐리 등 세계적 가수를 배출했다.[121] 1970년대 후반~1980년대 WLIR 방송국 영향으로 뉴 웨이브 음악을 미국에서 먼저 수용, 디페쉬 모드, 펫 숍 보이스 등이 인기였다.[121] 1990년대 힙합 음악 유행, 라킴, EPMD 등 롱아일랜드 출신.[121] 2000년대 이모 씬 중심지로 브랜드 뉴 등 활동.[121]

더 라스컬스, 더 래모니스(퀸즈), 드림 시어터, 블루 오이스터 컬트 등 록 밴드와 도널드(벅 더마) 로저, 존 페트루치 등 기타리스트, 마이크 포트노이 드러머도 롱아일랜드 출신.[121] 힉스빌 출신 빌리 조엘은 음악에 롱아일랜드와 유년 시절을 담았다.

나소 콜리세움, 존스 비치 극장은 콘서트 장소로 활용된다. 존스 비치 극장은 여름 콘서트, 독립기념일 불꽃놀이로 유명하다.

롱아일랜드는 학교 음악 프로그램이 유명하다. 나소, 서퍽 카운티는 우수 프로그램 운영, 주/전국 음악 그룹에 학생 배출. 서퍽/나소 음악 교육 협회는 미국 음악 교육 협회(NAfME) 인정, 행사 주최.[122][123]

2018년 뉴욕 플랜더스의 빅 덕


2014년 스토니 브룩 인근 1690년대 농가 와이너리


롱아일랜드는 어업, 해산물 중심지였다. 그레이트 사우스 베이 블루포인트 굴 유명.[124] 조개잡이 인기, 맨해튼 클램 차우더 기원.[124]

롱아일랜드 오리 전국적 유명, 4개 농장 연 200만 마리 생산(2013).[125] 롱아일랜드 덕스 야구팀, 빅 덕 건물은 오리 농장 유산 상징. 리버헤드에 동부 최대 아메리카 들소 농장.[126]

와인 생산, 노스 포크 중심 38개 와이너리.[127] 수제 맥주 생산 15개 소규모 양조장, 최대 블루포인트 브루잉 컴퍼니.[128] 1970년대 바빌론 타운 오크 비치 인 발명 롱아일랜드 아이스티 유명.[129]

음식점은 다양한 민족 영향. 2000년대 아시아, 이탈리아, 유대인, 라틴 아메리카 음식 인기,[130][131] 이탈리아 음식은 피자 가게, 롱아일랜드 피자 축제 및 베이킹 대회 개최. 유대인 음식은 델리카트슨, 베이글, 롱아일랜드 베이글 세계적 수준.

존스비치 니콘 극장


롱아일랜드 필하모닉 등 클래식 단체 활동. 존스비치 주립공원 여름 콘서트, 독립기념일 불꽃놀이. 2003년 롱 아일랜드 음악 명예의 전당 결성, 2006년 콘서트, 음악 박물관 건립 계획.

학교 음악 교육 중점, 서퍽 카운티 음악 영재, 전국적 음악가 성장. 뉴욕 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 캠퍼스, 롱아일랜드 예술 고등학교 우수 프로그램. 인터넷 롱아일랜드 뮤지션 네트워크, 밴드 결성 도움.

6. 1. 스포츠

롱아일랜드에는 다양한 프로 스포츠 팀들이 활동하고 있다. MLB뉴욕 메츠는 퀸즈의 시티 필드에서 경기를 치르며, NHL의 뉴욕 아일랜더스는 엘몬트의 UBS 아레나를 홈구장으로 사용한다.[84] 1913년부터 1957년까지 브루클린에 있었던 에베츠 필드는 브루클린 다저스 야구팀의 홈구장이었으며, 다저스는 1957년 로스앤젤레스로 이전하여 로스앤젤레스 다저스가 되었다.

브루클린 네츠는 NBA 소속 농구팀으로, 브루클린바클레이스 센터를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롱아일랜드는 또한 독립 리그 야구팀인 롱아일랜드 덕스의 연고지이며, 이 팀은 센트럴 이슬립의 페어필드 프로퍼티즈 볼파크에서 경기를 한다. 뉴욕 메츠와 제휴한 마이너 리그 팀인 브루클린 사이클론스브루클린 코니 아일랜드의 마이모나이즈 파크에서 경기를 치른다.

롱아일랜드는 역사적으로 유소년 및 대학 라크로스의 중심지였으며, MRL 팀인 롱아일랜드 리저즈가 유니온데일의 미첼 애슬레틱 콤플렉스에서 경기를 한다.

퀸즈의 플러싱 메도우즈 코로나 파크에 위치한 USTA 빌리 진 킹 내셔널 테니스 센터에서는 4대 테니스 그랜드 슬램 중 하나인 US 오픈이 개최된다. 이 센터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테니스 경기장인 아서 애시 스타디움이 있다. 롱아일랜드에는 엘몬트의 벨몬트 파크와 퀸즈 오존 파크의 아쿠덕 경마장 등 두 곳의 경마장도 있다.

다음은 롱아일랜드의 주요 프로 스포츠팀을 정리한 표이다.

구단도시종목창단리그경기장우승 횟수
브루클린 네츠브루클린농구1967NBA바클레이스 센터2 (1974, 1976)
뉴욕 아일랜더스엘몬트아이스하키1972NHLUBS 아레나4 (1980, 1981, 1982, 1983)
뉴욕 메츠퀸즈야구1962MLB시티 필드2 (1969, 1986)
브루클린 사이클론스브루클린야구1986사우스 애틀랜틱 리그마이모나이즈 파크2 (1986, 2001)
롱 아일랜드 네츠유니온데일농구2015NBA G 리그나소 베터런스 메모리얼 콜리세움0
롱아일랜드 덕스이스립야구2000애틀랜틱 리그페어필드 프로퍼티즈 볼파크4 (2004, 2012, 2013, 2019)


7. 교통

롱아일랜드는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라과디아 공항, 롱아일랜드 매카처 공항을 비롯한 여러 소규모 공항을 통한 항공 운송, 롱아일랜드 철도뉴욕 지하철을 통한 철도 운송, MTA 지역 버스 운영부, 나소 인터카운티 익스프레스, 서퍽 카운티 교통국을 통한 버스 노선, NYC 페리와 여러 소규모 페리 회사를 통한 페리 서비스, 그리고 여러 주요 고속도로 등 다양한 주요 교통 수단을 갖추고 있다.[143] 롱아일랜드에는 역사적이고 현대적인 다리가 있으며, 레크리에이션 및 통근 산책로가 롱아일랜드의 여러 지역을 연결한다.

롱아일랜드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도로는 11개가 있다. 트라이보로 브리지는 퀸즈에서 맨해튼과 브롱크스 각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연결 지점을 제공하며, 나머지 도로(하나 제외)는 모두 이스트 강을 건너 브루클린-맨해튼, 퀸즈-맨해튼, 퀸즈-브롱크스를 연결한다. 이스트 강을 건너지 않는 유일한 도로는 베라자노-내로즈 브리지로, 내로즈을 가로질러 브루클린을 스태튼아일랜드와 연결한다. 롱아일랜드 사운드 링크(롱아일랜드 사운드를 가로질러 롱아일랜드 남쪽을 뉴욕주 웨스트체스터 카운티 또는 북쪽의 코네티컷과 연결하는 제안된 다리 또는 터널) 건설 계획이 수십 년 동안 논의되어 왔지만, 현재까지는 그러한 연결 지점을 건설할 계획이 없다.

7. 1. 항공

롱아일랜드에는 JFK 국제공항(퀸즈), 라과디아 공항(퀸즈), 롱아일랜드 맥아더 공항(서퍽) 등 세 개의 대규모 상업 공항이 있다. 맥아더 공항은 앞의 두 공항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나소와 서퍽 지역에서는 유일한 상업 공항으로 연간 200만 명이 이용한다. JFK 국제공항을 제외한 나머지 공항은 모두 국내선 전용이다. JFK 국제공항 이용객은 에어트레인 JFK를 이용하여 퀸즈의 자메이카 역에서 롱아일랜드 철도로 환승하거나, 하워드 비치-JFK 공항역에서 뉴욕 지하철로 환승할 수 있다. 라과디아 공항에서는 뉴욕시 버스를 통해 뉴욕 지하철로 연결된다.

이 외에도 여러 개의 소규모 지역 공항이 있는데, 브루클린의 소형기 비행장 플로이드 베넷 필드를 비롯하여 브룩헤이븐 공항, 이스트햄튼 공항, 프랜시스 S. 가브리스키 공항, 몬톡 공항, 리퍼블릭 공항, 베이포트 비행장(모두 서퍽 카운티) 등이 있다.

①은 JFK 국제공항, ②는 라과디아 공항, ③은 뉴어크 리버티 국제공항(뉴저지주), ☆는 플로이드 베넷 필드

7. 2. 철도

롱아일랜드 철도(LIRR) 시스템 개략도


롱아일랜드 철도(LIRR)는 북미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통근 열차 시스템으로, 매일 728편의 열차를 운행하여 평일 평균 282,400명의 승객을 수송한다.[134] 1834년 4월 24일 설립되어 현재까지 끊임없이 운영되고 있으며, 원래의 설립 허가와 이름으로 운영되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철도이기도 하다.[134][135] 메트로폴리탄 교통국(MTA)이 운영하는 LIRR은 연중 24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으로도 드문 철도 중 하나이다.[134][135]

LIRR은 자메이카역(퀸즈의 동쪽 끝에 위치)을 종착역으로 하여 11개의 노선을 가지고 있으며, 섬 전체에 걸쳐 운행하고 있다.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명설명
메인선롱아일랜드 철도의 중심 노선
몬톡선롱아일랜드 남쪽 해안을 따라 몬토크까지 운행
아틀랜틱선브루클린의 애틀랜틱 터미널에서 자메이카까지 운행
포트워싱턴선롱아일랜드 북쪽 해안의 포트워싱턴까지 운행
포트제퍼슨선헌팅턴을 경유하여 포트제퍼슨까지 운행
헴프스테드선헴프스테드를 경유
웨스트 헴프스테드선웨스트 헴프스테드까지 운행
오이스터베이선롱아일랜드 북쪽 해안의 오이스터베이까지 운행
센트럴선롱아일랜드 중부를 가로지르는 노선
파 로커웨이선퀸즈 남부의 파 로커웨이까지 운행
롱비치선롱아일랜드 남쪽 해안의 롱비치까지 운행


7. 3. 도로



롱아일랜드 익스프레스웨이, 노던 스테이트 파크웨이, 서던 스테이트 파크웨이는 모두 로버트 모세스의 자동차 중심 계획으로 만들어졌으며, 섬의 주요 동서 고속 제한적 접근 고속도로이다.

style="text-align:center;"|'''롱아일랜드의 주요 도로'''
방향노선
표지판
도로명
'서쪽-동쪽'
나소 익스프레스웨이 북쪽 구간
몬톡 하이웨이
선라이즈 하이웨이*
벨트 파크웨이 / 서던 스테이트 파크웨이
헴프스테드 턴파이크
베이빌론-파밍데일 턴파이크
그랜드 센트럴 파크웨이 / 노던 스테이트 파크웨이
롱아일랜드 익스프레스웨이
제리코 턴파이크/미들 컨트리 로드
노던 불러바드
'남쪽-북쪽'
브루클린-퀸즈 익스프레스웨이
반 와이크 익스프레스웨이
나소 익스프레스웨이 남쪽 구간
클리어뷰 익스프레스웨이
크로스 아일랜드 파크웨이
메도브룩 스테이트 파크웨이
완타그 스테이트 파크웨이
뉴브리지 로드
시더 스왐프 로드/브로드웨이/힉스빌 로드
시포드-오이스터 베이 익스프레스웨이
브로드 홀로우 로드
디어 파크 애비뉴
로버트 모세스 코즈웨이
사그티코스 스테이트 파크웨이
선큰 메도우 스테이트 파크웨이
이스립 애비뉴
니콜스 로드
윌리엄 플로이드 파크웨이
colspan=3|



롱아일랜드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도로는 11개가 있으며, 그 중 하나를 제외하고는 모두 이스트 강을 건너 브루클린-맨해튼, 퀸즈-맨해튼, 퀸즈-브롱크스를 연결하며, 트라이보로 브리지는 퀸즈에서 맨해튼과 브롱크스 각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연결 지점을 제공한다. 이스트 강을 건너는 것이 아닌 유일한 도로는 베라자노-내로즈 브리지로, 내로즈을 가로질러 브루클린을 스태튼아일랜드와 연결한다.

7. 4. 버스

나소 인터카운티 익스프레스(NICE)는 나소 카운티에 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퍽 카운티 교통은 서퍽 카운티 정부의 기관으로 서퍽 카운티에 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141] 2012년 NICE는 롱아일랜드 주민들을 나소 카운티 전역으로 운송하는 데 있어 이전의 MTA의 롱아일랜드 버스를 대체하였고, 승객들은 MTA 메트로카드를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141]

2019년 6월의 나소 인터카운티 익스프레스(NICE) 버스

8. 교육

롱아일랜드에는 미국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 많은 공립 및 사립 고등학교들이 있다.[119][120] 나소 카운티와 서퍽 카운티에는 125개의 공립학교 학군이 있으며, 총 656개의 공립학교가 있다. 브룩헤이븐 공립학교가 가장 큰 학군이다. 이 지역에는 프렌즈 아카데미, 샤미네이드 고등학교, 켈렌버그 메모리얼 고등학교, 세인트 안토니 고등학교, 노스쇼어 히브루 아카데미와 같은 사립학교들도 있다. 또한, 가톨릭 록빌센터 교구가 운영하는 여러 학교를 포함하여 롱아일랜드에는 많은 사립학교가 있다.

브루클린과 퀸즈는 모두 미국 최대 규모의 학군인 뉴욕시 교육국 관할이다. 9개의 뉴욕시 특수목적고등학교 중 3개가 롱아일랜드에 속한 두 행정구에 위치해 있는데, 바로 브루클린 라틴 학교, 브루클린 기술 고등학교, 퀸즈 과학 고등학교이다. 나소 카운티와 서퍽 카운티와 마찬가지로, 이 지역에는 폴리 프렙 컨트리 데이 스쿨, 패커 콜리지에이트 인스티튜트, 세인트 앤스 스쿨, 버클리 캐롤 스쿨과 같은 사립학교들과, 가톨릭 브루클린 교구가 운영하는 사립학교들이 있다.

롱아일랜드에는 공립 및 사립을 포함하여 다양한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 브루클린과 퀸즈에는 미국에서 가장 큰 대학교 시스템 중 하나인 CUNY 소속 11개의 4년제 대학 중 5개가 있다. 이 중에는 브루클린 대학교(Brooklyn College)와 퀸즈 대학교(Queens College)와 같은 주목할 만한 기관이 있다. 브루클린에는 프랫 인스티튜트(Pratt Institute)와 뉴욕대학교(New York University)의 공과대학인 뉴욕대학교 탠던 공과대학(New York University Tandon School of Engineering)과 같은 사립 대학도 있다.

뉴욕 주립대학교(State University of New York) 시스템 내의 여러 대학이 롱아일랜드에 있으며, 여기에는 스토니 브룩 대학교(Stony Brook University), 나소 커뮤니티 칼리지(Nassau Community College) 및 서퍽 카운티 커뮤니티 칼리지(Suffolk County Community College)가 포함된다. 롱아일랜드의 주목할 만한 사립 대학교로는 록빌 센터(Rockville Centre)에 있는 몰로이 대학교(Molloy University), 올드 웨스트버리에 있는 뉴욕 기술대학교(New York Institute of Technology), 햄프스테드에 있는 호프스트라 대학교(Hofstra University), 가든 시티에 있는 애들피 대학교(Adelphi University), 브룩빌에 있는 C.W. 포스트 캠퍼스와 브루클린 시내에 위성 캠퍼스가 있는 롱아일랜드 대학교(Long Island University), 글렌 코브에 있는 소규모 조선 공학 대학인 웹 인스티튜트(Webb Institute), 킹스 포인트의 노스 쇼어에 있는 미국 해양 상선 사관학교 (미국 군사 사관학교)가 있다.

공립



사립


9. 정치

피터 킹(Peter T. King) 의원(공화당)


서퍽군 보안관 휘장


나소 카운티와 서퍽 카운티는 각각 자체 정부를 가지고 있으며, 카운티 행정관이 이끌고 있다. 각 카운티에는 카운티 의회와 지방 검사, 카운티 서기, 카운티 감사 등 카운티 전역에서 선출된 관리들이 있다. 두 카운티의 타운들 또한 타운 감독관과 타운 의회를 중심으로 자체 정부를 가지고 있다. 나소 카운티는 세 개의 타운과 두 개의 통합 도시(글렌 코브, 롱 비치)로 나뉜다. 서퍽 카운티는 열 개의 타운으로 나뉜다.

브루클린과 퀸즈는 뉴욕시에 속해 있어 공식적인 카운티 정부가 없으며, 킹스 카운티와 퀸즈 카운티 지방 검사가 뉴욕주를 위해 일한다. 뉴욕시의 자치구로서 자치구청장이 있지만, 뉴욕시 예산위원회 폐지 이후 의례적인 직책이 되었다. 각 자치구청장은 브루클린 지역 위원회와 퀸즈 지역 위원회에 사람들을 임명하며, 각 위원회는 지역 문제에 대한 자문 기능을 수행한다. 브루클린과 퀸즈의 위원들은 뉴욕시 의회에서 가장 크고 두 번째로 큰 자치구 대표단을 구성한다.[113]

과거 나소와 서퍽은 공화당 지지자가 많았지만, 현재는 네 군 모두 민주당 지지 경향을 보인다. 2000년대 초반에는 테러의 영향으로 보수 성향으로 돌아선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선거 결과가 두 당 사이에서 흔들리기도 했다.

뉴욕주에는 총 29개의 선거구가 있는데, 이 중 5개 선거구가 롱아일랜드에 있다. 2000년대 초반, 공화당 소속 의원은 피터 킹 단 한 명뿐이었다. 2000년 당시 상원의원이었던 힐러리 클린턴은 롱아일랜드에서 공화당 후보에게 패배했지만, 2004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공화당이 선전했음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의 척 슈머는 70% 이상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이후 롱아일랜드의 민주당 지지 경향은 미국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맞물려 더욱 강력해졌으며, 엘리엇 스피처와 힐러리 클린턴 같은 민주당 출신 주지사와 상원의원을 배출했다. 2000년대 초반에는 민주당 소속 정치인들이 롱아일랜드 지역에서 여러 선거에서 승리하며 영향력을 확대했다.

포브스지에 따르면, 2005년 롱아일랜드의 범죄율은 미국 평균의 절반 수준으로 전국에서 가장 안전한 지역 중 하나였다. 퀸즈와 브루클린은 뉴욕시경찰국(NYPD)의 관할이며, 나소와 서퍽에는 각각 독립된 군 경찰이 있다.

9. 1. 분리 독립 제안

롱아일랜드의 나소 카운티와 서퍽 카운티를 뉴욕주로부터 분리하여 미국의 51번째 주로 만들자는 제안은 1896년에 처음 제안되었지만, 20세기 후반에 다시 논의되었다.[115] 2008년 3월 28일, 서퍽 카운티 감사관 조셉 사위키(Joseph Sawicki)는 나소 카운티와 서퍽 카운티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만드는 계획을 제안했다.[116] 사위키는 올버니에 보내는 것보다 30억달러 이상을 더 받는 이들 카운티 납세자의 모든 돈이 뉴욕 주 전역에 분산되는 대신 지역에 남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117] 롱아일랜드 주에는 거의 300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게 되는데(다른 15개 주보다 인구가 많다), 나소 카운티 행정관 에드 망가노(Ed Mangano)는 2010년 4월 이러한 제안을 지지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의뢰했다.[118]

10. 환경 문제

롱아일랜드는 20세기 초부터 시작된 도시 및 교외 확장으로 인해 환경이 훼손되고 있다. 롱아일랜드는 염습지, 해안 초원, 해변 등 다양한 서식지를 포함하고 있으며[77], 이러한 서식지들은 각기 다른 문제점에 직면하고 있다.

10. 1. 주요 문제점

롱아일랜드는 20세기 초부터 시작된 도시 및 교외 확장으로 인한 환경 훼손의 영향을 받고 있다. 롱아일랜드는 염습지, 해안 초원, 해변 등 다양한 서식지를 포함하고 있으며[77], 이러한 서식지들은 각기 다른 문제점에 직면하고 있지만, 몇 가지 공통적인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 영양 물질 오염: 롱아일랜드의 거의 모든 수역이 질소와 인 형태의 영양 물질 오염의 영향을 받았다.[78] 높은 수준의 질소와 인을 함유한 비료가 인근 지표수로 흘러 들어가 호수와 연못의 부영양화를 가속화한다. 부영양화는 탁한 녹색 물, 악취, 유해 조류 번성(harmful algal bloom)을 유발하며, 이는 수생 생물과 인간에게 유독할 수 있다.[79]
  • 화학적 오염: 롱아일랜드에는 38개의 수퍼펀드(Superfund) 사이트가 있으며, 화학적 오염이 흔하게 발생한다. 4개의 카운티 모두 화학적 오염을 겪었지만, 나소 카운티가 18개로 가장 많다.[80] 1942년부터 1996년까지 노스롭 그루먼(Northrop Grumman)과 미국 해군(United States Navy)의 군용 항공기 제조 과정에서 발생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 플룸은 지하수를 오염시켰다.[81] 롱아일랜드의 식수는 대규모 대수층에서 공급되는데, 화학적 오염은 식수 오염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 해안 토지 개발: 롱아일랜드는 미국에서 가장 개발된 지역 중 하나이며, 해안 토지 개발로 인해 조수 습지가 파괴되고 있다. 뉴욕은 롱아일랜드 사운드를 따라 조수 습지의 거의 절반을 잃었다.[83] 조수 습지는 홍수로부터 자연적인 방벽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습지가 파괴되면서 홍수 가능성이 증가한다.
  • 기후 변화: 기후 변화는 해수면 상승과 폭풍 피해를 증가시킨다. 2100년까지 수위가 약 약 1.22m 상승하여 해안가 지역의 이주와 파괴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84] 또한, 허리케인과 같은 강력한 폭풍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기온 상승은 조류 번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84]

참조

[1] 웹사이트 Richmond Hill Historic Society http://www.richmondh[...] 2013-05-15
[2] 웹사이트 Long Island Facts https://www.longisla[...] 2022-10-23
[3] 백과사전 Long Island https://web.archive.[...]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1-04-30
[4] 뉴스 Long Island at its Best; Who's the Longest of Them All? https://query.nytime[...] 2004-11-21
[5] 웹사이트 Annual Estimates of the Resident Population: April 1, 2010 to July 1, 2015 - 2015 Population Estimates http://arquivo.pt/wa[...]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6-03-24
[6] 웹사이트 Kings County, New York QuickFacts https://web.archive.[...] U.S. Census Bureau 2016-03-24
[7] 웹사이트 Queens County, New York QuickFacts https://web.archive.[...] U.S. Census Bureau 2016-03-24
[8] 웹사이트 Nassau County, New York QuickFacts https://web.archive.[...] U.S. Census Bureau 2016-03-24
[9] 웹사이트 Suffolk County, New York QuickFacts https://web.archive.[...] U.S. Census Bureau 2016-03-24
[10] 웹사이트 Gross Domestic Product by County and Metropolitan Area https://fred.stlouis[...] 2024-01-13
[11] 웹사이트 Long Island https://www.newyorkf[...] 2022-08-13
[12] 웹사이트 http://biopharmguy.c[...] 2016-11-16
[13] 간행물 Transit Ridership Report Fourth Quarter and End-of-Year 2014 https://web.archive.[...] American Public Transportation Association (APTA) 2015-03-03
[14] 서적 The Montaukett Indians of Eastern Long Island http://dx.doi.org/10[...] Syracuse University Press 2022
[15] 웹사이트 First European Contact with Indigenous People - The Cutchogue-New Suffolk Historical Council https://www.cutchogu[...] 2024-05-01
[16] 웹사이트 Indian Archaeology of Long Island https://www.garviesp[...] 2024-05-01
[17] 서적 The Algonquian peoples of Long Island from earliest times to 1700 Empire State Books
[18] 서적 The Second Coastal Archaeology Reader 1900 to the Present Readings in Long Island Archaeology and Ethnohistory Volume V. Lexington, MA: Ginn Custom Pub
[19] 서적 The Algonquian peoples of Long Island from earliest times to 1700 Empire State Books
[20] 웹사이트 The Material History of the Montaukett https://easthamptonl[...] 1998-01-31
[21] 서적 The Thirteen Tribes of Long Island: The History of a Myth The Hudson Valley Regional Review
[22] 논문 The Value of Wampum among the New York Iroquois: A Case Study in Artifact Analysis https://www.jstor.or[...] 1982
[23] 논문 Wyandanch And The Dispossession Of Indian Land On Long Island, New York:Grand Sachem, Puppet, Or Culture Broker?
[24] 웹사이트 Year Book of the Holland Society of New-York https://books.google[...] The Secretary 1922-08-06
[25] 웹사이트 The history of Long Island, from its discovery to the present time : with many important and interesting matters, including notices of numerous individuals and families, also a particular account of the different churches and ministers http://archive.org/d[...] New York : Gould, Banks & Co. 1843-08-06
[26] 웹사이트 Library Guides: William Kieft (1638-1646): William Kieft (1638-1646) https://njcu.libguid[...]
[27] 웹사이트 Long Island Indians and The Early Settlers http://longislandgen[...]
[28] 서적 The Long Island Sound: A History of Its People, Places, and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NYU Press 2004-08
[29] 웹사이트 Lenape http://darkwing.uore[...] 1999
[30] 서적 The Indian Place-Names On Long Island and Islands Adjacent With Their Probable Significations https://archive.org/[...]
[31] 웹사이트 The Dutch Period, with maps and explanatory text http://www.dyasites.[...]
[32] 웹사이트 Close-up of 1650s map http://www.richmondh[...]
[33] 웹사이트 Early Indian Life on Long Island http://www.richmondh[...] Richmond Hill Historical Society
[34] ODNB Regicides (act. 1649)
[35] 서적 Sketches of Suffolk County, Historical and Descriptive, with a Historical Outline of Long Island https://archive.org/[...] The Author
[36] 웹사이트 George Washington: The Commander in Chief https://www.ushistor[...] 2022-02-22
[37] 뉴스 The Battle of Brooklyn: A Loss That Helped Win the Revolution https://www.nytimes.[...] 2016-08-26
[38] 웹사이트 The New Long Island City--Provisions of the Proposed Charter https://www.nytimes.[...] 1870-02-20
[39] 웹사이트 Brooklyn, Before It Was a Global Brand: Walk Its History https://www.nytimes.[...] 2020-05-20
[40] 뉴스 Of Interest to Politicians. https://www.nytimes.[...] 1894-09-13
[41] 뉴스 Vote for Greater New York https://query.nytime[...] 1894-10-16
[42] 뉴스 New-York's Place in Danger; Consolidation Defeated, She Must Yield, to Chicago. https://www.nytimes.[...] 1894-11-04
[43] 뉴스 Greater New-York in Doubt: The City Vote is for it and Brooklyn is uncertain. https://www.nytimes.[...] 1894-11-08
[44] 뉴스 Report Favors Consolidation; An Argument Against the Claims of the Resubmissionists. https://www.nytimes.[...] 1896-02-22
[45] 뉴스 The East City Line Fixed https://www.nytimes.[...] 1899-02-12
[46] 서적 The Archaeology of Race in the Northeast https://www.jstor.or[...] University Press of Florida 2015
[47] 서적 Moja prywatna Ameryka Polska Fundacja Kulturalna 1966
[48] 웹사이트 Long Island (Nassau-Suffolk Metro Division) http://www.newyorkfe[...]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2011-08-01
[49] 뉴스 The Real Estate Field – On Long Island https://timesmachine[...] 1911-12-11
[50]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MAINE et al. (Rhode Island and New York Boundary Case). https://www.law.corn[...]
[51] 뉴스 LONG ISLAND AT ITS BEST; Who's the Longest of Them All? https://query.nytime[...] 2004-11-21
[52] 뉴스 LONG ISLAND OPINION; LONG PENINSULA: THE SHAPE OF THINGS TO COME https://www.nytimes.[...] 1985-03-17
[53] 웹사이트 Long Island Peninsula: Could Have Had Far-Reaching Effects https://web.archive.[...]
[54] 뉴스 True or false? Long Island is an island https://www.newsday.[...] 2016-02-20
[55] 웹사이트 Long Island Wine Country – The Official Website Of The Long Island Wine Council http://www.liwines.c[...] The Long Island Wine Council
[56] 웹사이트 New observations on the glacial geomorphology of long island from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http://people.hofstr[...] 2003
[57] 뉴스 Long Island History: The Prairie That Was https://web.archive.[...]
[58] 뉴스 NYC's Fastest-Growing Neighborhood Gets $180 Million Investment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 2018-10-30
[59] 학술지 Updated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https://hal.archives[...] 2007
[60] 웹사이트 united states annual sunshine map https://web.archive.[...] HowStuffWorks, Inc
[61] 웹사이트 NowData – NOAA Online Weather Data https://w2.weather.g[...]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62] 웹사이트 Storm Events Database http://www.ncdc.noaa[...] NOA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63] 웹사이트 Vulnerable Cities: Long Island http://www.weather.c[...] The Weather Channel
[64] 웹사이트 Irene Makes NYC Landfall as Tropical Storm With Rain, Flooding https://web.archive.[...] 2011-08-28
[65] 웹사이트 Superstorm Sandy Sparks Floods, Blackouts on Long Island https://web.archive.[...] 2012-10-30
[66] 웹사이트 Comptroller: Sandy cost estimate may hit $18 billion http://www.newsday.c[...] 2012-11-02
[67] 뉴스 Superstorm Sandy Breaks Records http://www.cnn.com/2[...] 2012-10-30
[68] 웹사이트 HURDAT Re-analysis http://www.aoml.noaa[...]
[69] 웹사이트 Hurricane Sandy Anniversary 2014: Fortifying New York -- How Well Armored Are We For The Next Superstorm? http://www.ibtimes.c[...] 2014-10-29
[70] 웹사이트 ADAPTATION: Political support for a sea wall in New York Harbor begins to form http://www.eenews.ne[...] E&E Publishing, LLC 2012-11-15
[71] 웹사이트 NowData – NOAA Online Weather Data https://www.weather.[...]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1-08-09
[72] 웹사이트 Station: Islip LI MacArthur AP, NY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1-08-09
[73] 웹사이트 NowData – NOAA Online Weather Data https://www.weather.[...]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1-05-09
[74] 웹사이트 Station: New York JFK INTL AP, NY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1-05-09
[75] 웹사이트 New York/JFK, NY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OAA 2014-03-23
[76] 웹사이트 Station Name: NY MONTAUK AP ftp://ftp.ncdc.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06-27
[77] 웹사이트 A Virtual Tour of Long Island Sound Habitats https://storymaps.ar[...] ArcGIS StoryMaps 2023-05-18
[78] 논문 Indicators of nutrient pollution in Long Island, New York, estuarine environments 2018-03-00
[79] 웹사이트 Nutrients and Eutrophication https://www.usgs.gov[...] 2023-05-18
[80] 웹사이트 Search for Superfund Sites Where You Live https://www.epa.gov/[...] 2023-05-18
[81] 웹사이트 Environmental Investigation and Cleanup Activities at the Former U.S. Navy and Northrop Grumman Bethpage Facility Sites - NYS Dept.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https://www.dec.ny.g[...] 2023-05-18
[82] 웹사이트 Long Island Land Use and Land Cover https://www.usgs.gov[...] 2023-05-18
[83] 웹사이트 Status and Trends of Wetlands in the Long Island Sound Area: 130 Year Assessment https://www.fws.gov/[...] 2023-05-18
[84] 웹사이트 Climate Change Impacts Happening on Long Island - https://www.pinebarr[...] 2023-05-18
[85] 뉴스 New York City adds 629,000 people, defying predictions of its decline https://www.nytimes.[...] 2021-08-12
[86] 웹사이트 QuickFacts New York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6-03-24
[87] 웹사이트 americas-richest-counties: Personal Finance News from Yahoo! Finance https://web.archive.[...] Finance.yahoo.com 2010-03-01
[88] 뉴스 Long Island residents moving out of state: What the numbers show https://www.newsday.[...] 2024-03-11
[89] 웹사이트 U.S. Census Bureau ''Census 2010'' https://web.archive.[...] 2010.census.gov
[90] 뉴스 Study Calls L.I. Most Segregated Suburb https://www.nytimes.[...] 2002-06-05
[91] 뉴스 Queens, New York, Sightseeing http://traveltips.us[...]
[92] 웹사이트 Queens https://web.archive.[...] NewYork.com 2013-04-30
[93] 웹사이트 The Association of Religion Data Archives (ARDA), Year 2000 Report http://www.thearda.c[...]
[94] 웹사이트 https://factfinder.c[...]
[95] 잡지 Join The Great Gatsby: Chinese Real Estate Buyers Fan Out To Long Island's North Shore https://www.forbes.c[...] 2014-04-10
[96] 논문 Beyond Chinatown: Dual Immigration and the Chinese Population of Metropolitan New York City, 2000 https://web.archive.[...] Middle States Geographer
[97] 뉴스 Downtown Flushing: Where Asian Cultures Thrive https://www.nytimes.[...] 2014-10-01
[98] 뉴스 A World of Food, Outside the U.S. Open Gates https://www.nytimes.[...] 2018-08-25
[99] 웹사이트 This is what it's like in one of the biggest and fastest growing Chinatowns in the world http://www.businessi[...] 2015-05-27
[100] 뉴스 Behind Illicit Massage Parlors Lie a Vast Crime Network and Modern Indentured Servitude https://web.archive.[...] 2019-03-02
[101] 뉴스 'Not what it used to be': in New York, Flushing's Asian residents brace against gentrification https://www.theguard[...] 2021-01-29
[102] 뉴스 Hicksville: LI's LITTLE INDIA http://www.newsday.c[...]
[103] 논문 BEYOND CHINATOWN: DUAL IMMIGRATION AND THE CHINESE POPULATION OF METROPOLITAN NEW YORK CITY, 2000 https://web.archive.[...] Middle States Geographer
[104] 뉴스 LI growing more racially and ethnically diverse, census data show https://www.newsday.[...]
[105] 서적 Asian Americans: Contemporary Trends and Issues Second Edition, Edited by Pyong Gap Min https://books.google[...] Pine Forge Press – An Imprint of Sage Publications, Inc
[106] 뉴스 City's Newest Immigrant Enclaves, From Little Guyana to Meokjagolmok https://www.nytimes.[...] 2013-06-08
[107] 웹사이트 Flushing: Queens Neighborhood Profile http://queens.about.[...] About.com
[108] 웹사이트 Koreatown Manhattan, or Koreatown Flushing? http://chowhound.cho[...] CBS Interactive Inc 2009-06-01
[109] 뉴스 If You're Thinking of Living In/Murray Hill, Queens; The Name's the Same, the Pace is Slower https://www.nytimes.[...] 2003-03-23
[110] 뉴스 One Percenters Drop Six Figures at Long Island Mall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 2014-10-27
[111] 뉴스 Long Island Study Rebuts Views on Immigrant Workers https://www.nytimes.[...] 2010-11-17
[112] 웹사이트 The 25 most expensive ZIP codes in America http://www.businessi[...] 2016-03-07
[113] 웹사이트 All New York City Council Members http://council.nyc.g[...] The City of New York
[114] 웹사이트 Suffolk County Sheriff's Office History | Sheriff's Office | Suffolk County Sher https://www.suffolkc[...]
[115] 뉴스 Beyond 50: American States That Might Have Been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10-04-02
[116] 뉴스 Secession Dreaming http://www.silive.co[...] Staten Island Advance Editorial 2009-05-17
[117] 보도자료 Lindsay and Sawicki Renew Push for a State of Long Island http://suffolkcounty[...] 2010-02-01
[118] 뉴스 Nassau Executive Magnano Supports Long Island as 51st State http://www.newsday.c[...] 2010-05-01
[119] 간행물 Education: New York High Schools https://www.usnews.c[...]
[120] 웹사이트 Best Private High Schools in America https://k12.niche.co[...]
[121] 웹사이트 L.I.R.R. (Long Island Rock 'n' Roll) https://nymag.com/ny[...] 2004-12-03
[122] 웹사이트 About the SCMEA http://www.scmea.org[...]
[123] 웹사이트 NYSSMA Zone Map http://www.nyssma.or[...]
[124] 웹사이트 Edible Long Island https://patch.com/ne[...] 2008-10-08
[125] 뉴스 Long Island's Ducks are Still Table Favorites https://www.nytimes.[...] 2003-12-21
[126] 뉴스 In Riverhead, Where the Buffalo Roam https://www.nytimes.[...] 1999-07-18
[127] 웹사이트 Can Long Island Make World-Class Wines? http://www.foodandwi[...] 2007-11-01
[128] 뉴스 Number of LI craft brewers have tripled in recent years http://www.newsday.c[...] 2013-05-02
[129] 웹사이트 Here's the Long Island Iced Tea's High-Proof Origin Story http://www.grubstree[...] 2013-02-22
[130] 뉴스 The best Asian restaurants on Long Island: Eat here now http://www.newsday.c[...] 2017-03-24
[131] 뉴스 Latin American restaurants on Long Island: Our critics' favorites http://www.newsday.c[...] 2015-11-12
[132] 웹사이트 Transportation Network http://web.mta.info/[...]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2018-02-11
[133] 웹사이트 MTA – About Bridges & Tunnels http://web.mta.info/[...]
[134] 웹사이트 The MTA Network http://mta.info/mta/[...]
[135] 웹사이트 LIRR History http://web.mta.info/[...]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MTA)
[136] 웹사이트 'Third' time's the charm: MTA finishes $2.5 billion LIRR Third Track project https://www.amny.com[...] 2022-10-03
[137] 웹사이트 LIRR Double Track project completed ahead of schedule https://abc7ny.com/4[...] 2018-09-21
[138] 웹사이트 Queens Tomorrow: LIRR headed to Grand Central https://www.timesled[...] TimesLedger Newspapers 2013-06-05
[139] 웹사이트 MTA Capital Program Oversight Meeting http://web.mta.info/[...]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2013-01-01
[140] 웹사이트 MTA Long Island Rail Road Committee Meeting http://web.mta.info/[...]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2017-11-01
[141] 웹사이트 NICE Bus Replacing Long Island Bus This Weekend http://archive.longi[...] 2013-07-21
[142] 웹사이트 Entry from June 29, 2011 World's Longest Parking Lot (Long Island Expressway) http://www.barrypopi[...] 2013-10-27
[143] 웹사이트 About GO Winston http://www.winstontr[...] 2014-09-13
[144]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Review.com https://worldpopulat[...] 2023-08-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