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미시경제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미시경제학은 개별 경제 주체, 즉 가계와 기업의 의사 결정과 상호 작용을 연구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이다. 레옹 발라스의 일반균형이론과 알프레드 마셜의 부분균형이론에 기반하여 발전해왔다. 미시경제학은 소비자 이론, 생산자 이론, 수요와 공급, 시장 구조, 게임 이론, 정보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며, 노동 시장, 공공 경제학, 산업 조직론, 국제 경제학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시경제학 - 기회비용
    기회비용은 경제학적 개념으로, 어떤 선택을 함으로써 포기해야 하는 다른 선택들 중 가장 가치 있는 것을 의미하며, 경제 주체의 모든 선택에 내재된 비용을 찾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미시경제학 -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는 3개 이상의 선택지에서 약한 파레토, 무관한 대안으로부터의 독립성, 비독재성을 모두 만족하는 사회 후생 함수는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한 정리이다.
  • 경제학 - 수확 체감
    수확 체감은 생산 요소 투입 증가에 따라 한계 생산량이 감소하는 현상으로, 농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으며 기술 발전에 따라 단기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 경제학 - 가격
    가격은 재화나 용역의 교환 가치를 화폐나 현물로 나타내는 수치로, 미시경제학에서는 재화의 상대 가격, 거시경제학에서는 물가 수준을 의미하며, 시장 상황, 생산 비용, 정부 정책 등에 따라 결정되는 시장경제의 핵심 요소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미시경제학
개요
분야경제학
설명개인과 기업의 행동 연구
대상개인
가계
기업
시장
주요 주제
수요공급시장 균형 결정
소비자 행동효용 극대화
생산 이론이윤 극대화
시장 구조완전 경쟁, 독점, 과점
정보 비대칭도덕적 해이, 역선택
게임 이론전략적 상호작용 분석
분석 도구
수리적 모델경제 현상 분석
그래프경제 관계 시각화
실험 경제학경제 이론 검증
응용 분야
노동 경제학임금, 고용
공공 경제학정부 정책 효과
산업 조직론기업 행동, 시장 경쟁
금융 경제학자산 가격 결정
행동 경제학심리적 요인 고려
같이 보기
관련 분야거시경제학
경제학
핵심 개념수요
공급
탄력성
효용
이윤
비용
균형

2. 미시경제학의 기초

미시경제학은 개별 경제 주체(가계, 기업 등)의 의사 결정과 이들이 시장에서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연구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이다. 연구는 역사적으로 레옹 발라스가 『순수 경제학 원리』(1874)에서 개발한 일반균형이론과 알프레드 마셜이 『경제학 원리』(1890)에서 제시한 부분균형이론에 따라 수행되어 왔다.[6]

미시경제 이론은 일반적으로 개별 소비자가 합리성을 가지고 효용을 극대화한다고 가정하는 데서 출발한다. 여기서 합리성이란 개인이 안정적인 선호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완전하고 추이적임을 의미한다. 선호 관계가 연속적이라는 기술적 가정은 효용 함수의 존재를 보장하며, 효용 함수가 미분 가능하면 가격이나 소득 변화에 따른 선택 변화를 분석하는 비교정태학 연구가 가능해진다.[6]

소비자는 주어진 예산 제약 하에서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하려 한다. 이를 위해 경제학자들은 소비자가 국소적으로 포만되지 않는다고 가정하는데, 이는 소비자가 항상 더 많은 것을 선호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가정 하에 효용극대화 문제(UMP)가 설정된다. 효용 극대화 문제는 소비자 이론의 핵심으로,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 과정을 설명하고 수학적으로 모델링한다. 이 문제의 해를 왈라스 수요 함수라고 부르며, 이는 각 가격과 소득 수준에서 소비자가 특정 재화를 얼마나 수요하는지를 나타낸다.[6] 소비자의 선호 대신 실제 선택 행위를 분석하는 계시 선호 이론이라는 접근법도 존재한다.

수요와 공급 이론은 시장에서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설명하는 중요한 분석 도구이다. 이 이론은 일반적으로 시장이 완전 경쟁 상태라고 가정한다. 즉, 수많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존재하여 개별 참여자가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시장 실패가 발생하여 자원 배분이 비효율적이 되는 경우가 많다. 공공재의 존재, 외부 효과, 정보의 비대칭성 등이 대표적인 시장 실패의 원인이다. 이러한 경우, 경제학자들은 정부 개입이나 규제, 새로운 시장 창출 등을 통해 효율성을 높이고 사회적 손실을 줄이는 정책 방안을 모색한다.

경제학은 크게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으로 나뉜다. 이 구분은 1933년 노르웨이 경제학자 라그나르 프리슈가 처음 제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8][31] 미시경제학은 개별 경제 주체의 행동과 시장 분석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거시경제학은 국가 경제 전체의 총생산, 물가 수준, 실업률 등을 다룬다. 일반적으로 가격 이론, 게임 이론, 계약 이론이 미시경제학의 주요 분야로 여겨진다.[34][35]

2. 1. 소비자 이론

소비자 이론은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를 바탕으로, 주어진 예산 제약 하에서 어떻게 효용을 극대화하는 선택을 하는지 분석하는 미시경제학의 한 분야이다.[6] 이는 소비자의 선호 체계와 예산 제약을 고려하여 개별 소비자의 수요가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둔다.

소비자 이론은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합리성을 가지며, 안정적이고 완전하며 추이적인 선호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선호를 바탕으로 소비자는 자신의 예산 범위 내에서 가장 큰 만족, 즉 효용을 얻을 수 있는 재화의 조합을 선택하려 한다. 이 과정을 효용극대화 문제라고 하며, 이는 소비자 이론의 핵심적인 분석 대상이다. (자세한 내용은 효용 극대화 및 선호 (경제학) 섹션 참조)

효용 극대화 과정을 통해 각 가격 수준과 소득 수준에서 소비자가 특정 재화를 얼마나 구매하고자 하는지를 나타내는 수요 함수가 도출된다. 이 수요 함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수요 곡선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해당 재화가 기펜재가 아닌 이상) 수요량은 감소하는데, 이를 수요 법칙이라고 한다. 수요 곡선은 보통 우하향하는 형태로 그려진다.

수요와 공급 모델은 각 가격에서의 제품 가용성(공급)과 각 가격에서 구매력이 있는 사람들의 욕구(수요) 간의 균형에 따라 가격이 어떻게 변하는지 설명한다. 이 그래프는 수요가 D1에서 D2로 우측 이동(증가)하는 것을 보여주며, 공급곡선(S)을 따라 새로운 시장 균형점에 도달하면서 가격과 수량이 모두 증가함을 나타낸다.


이렇게 도출된 개별 소비자의 수요는 시장 전체의 수요를 형성하는 기초가 되며, 수요와 공급 이론을 통해 시장 가격과 거래량이 결정되는 과정을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수요와 공급 이론은 일반적으로 시장이 완전 경쟁 상태라고 가정하지만, 현실에서는 시장 실패가 발생하여 자원 배분이 비효율적이 되는 경우도 있다. 소비자 이론은 이러한 시장 실패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연구의 출발점이 되기도 한다.

한편, 소비자의 선호(효용)를 직접 분석하는 대신, 관찰 가능한 소비자의 선택 행위로부터 선호를 추론하는 계시 선호 이론이라는 접근 방식도 존재한다.

2. 1. 1. 효용 극대화

소비자 이론은 개인이 주어진 예산 제약 하에서 자신의 효용을 가장 크게 만드는 재화의 조합을 어떻게 선택하는지를 분석한다. 이 과정의 핵심이 바로 효용 극대화 문제(Utility Maximization Problem, UMP)이다.

경제학자들은 소비자가 합리성을 가지고 행동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합리성이란 소비자의 선호가 안정적이며, 모든 가능한 재화 묶음에 대해 비교하고 순서를 매길 수 있고(완전성), 그 선호 순서에 일관성이 있다(추이성)는 의미이다. 또한, 선호 관계가 연속적이라는 기술적 가정을 통해 효용 함수의 존재를 보장한다. 효용 함수가 존재하고 미분 가능하면, 가격이나 소득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선택 변화를 분석하는 비교정태학 연구가 가능해진다.[6]

효용 극대화 문제를 설정하기 위해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재화 묶음의 범위인 소비 집합 중에서, 주어진 예산으로 구매 가능한 묶음들의 집합인 경쟁적 예산 집합을 정의한다. 이때 경제학자들은 소비자가 국소적으로 포만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는 소비자가 현재 가진 것보다 조금이라도 더 많은 재화를 항상 선호한다는 의미로, 소비자가 주어진 예산 내에서 최대한의 효용을 추구하도록 만든다.

이러한 가정들을 바탕으로 효용 극대화 문제는 수학적으로 제약 최적화 문제로 모형화된다. 즉, 소비자는 자신의 예산 제약이라는 조건 하에서 효용 함수 값을 최대로 만드는 재화 묶음을 찾는 것이다. 수학의 극값 정리에 따르면, 예산 제약이 유계이고 폐쇄적인 집합이므로 이 문제의 해는 반드시 존재한다.

효용 극대화 문제의 해를 마셜 수요 함수 또는 왈라스 수요 함수라고 부른다. 이 함수는 주어진 가격과 소득 수준에서 소비자가 각 재화를 얼마나 수요하는지를 나타낸다. 즉, 소비자의 효용 극대화 행동 결과로 각 재화에 대한 수요 함수가 도출되는 것이다. 이 수요 함수를 통해 특정 재화의 가격과 수요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요 곡선을 그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재화 가격이 오르면 수요량이 줄어드는 수요 법칙이 성립한다 (단, 기펜재는 예외).

한편, 소비자의 선호(효용)를 기본적인 분석 단위로 삼는 대신, 소비자의 실제 선택 행위를 관찰하여 선호를 추론하는 계시 선호 이론이라는 다른 접근 방식도 존재한다.

2. 1. 2. 선호 (경제학)

소비자 이론은 개인이 어떤 재화나 서비스를 다른 것보다 더 좋아하거나 덜 좋아하는 선호를 바탕으로 어떻게 의사 결정을 내리는지 분석한다. 소비자는 주어진 예산 제약 안에서 자신의 만족감, 즉 효용을 가장 크게 만드는 재화의 조합을 선택하려 한다.

경제학에서 소비자의 선호는 몇 가지 기본적인 가정을 만족한다고 본다. 첫째, 선호는 완전성(completeness)을 가진다. 이는 소비자가 어떤 두 가지 재화 묶음이 주어졌을 때, 어느 쪽을 더 선호하는지, 혹은 둘 사이에 차이가 없는지 항상 판단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둘째, 선호는 추이성(transitivity)을 가진다. 만약 소비자가 A보다 B를 선호하고, B보다 C를 선호한다면, 반드시 A보다 C를 선호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정들은 소비자의 선택이 일관성 있고 예측 가능함을 의미하며, 경제학자들은 이를 합리성이라고 부른다.

선호 관계가 연속적이라는 기술적 가정이 필요할 때도 있다. 이는 선호가 갑자기 변하지 않고 부드럽게 이어진다는 의미로, 수학적으로 효용 함수의 존재를 보장하는 데 도움을 준다. 효용 함수는 소비자의 선호를 숫자로 나타내어 어떤 재화 묶음이 더 큰 만족을 주는지를 비교할 수 있게 해준다. 효용 함수가 존재하고 미분 가능하면, 소비자의 선택 변화를 분석하는 비교정태학 분석이 가능해진다.

또한, 경제학자들은 종종 선호가 국소적으로 포만되지 않는다(Local Non-Satiation, LNS)고 가정한다. 이는 소비자가 어떤 재화 묶음을 소비하고 있든지, 그 주변에는 항상 더 선호하는 재화 묶음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즉, 소비자는 '많을수록 좋다'는 경향을 가진다는 가정으로, 효용을 끊임없이 증가시키려는 동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가정이 없다면 개인 효용의 합리적인 증가를 100% 보장할 수 없다.

이러한 선호 체계를 바탕으로 효용극대화 문제가 구성된다. 이 문제는 소비자가 자신의 예산 제약 하에서 가장 높은 효용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재화 조합을 선택하는지를 분석하는 소비자 이론의 핵심이다. 효용 극대화 문제는 소비자 선호에 합리성 공리를 부과한 다음 수학적으로 모델링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행위 공리를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효용 극대화 문제는 소비자가 예산 제약 하에서 효용을 극대화하려고 하는 제약 최적화 문제이며, 극값 정리를 통해 해의 존재가 보장된다. 효용 극대화 문제의 해답은 각 재화의 가격과 소득 수준에 따라 소비자가 얼마만큼의 재화를 구매할지를 나타내는 마셜 수요 함수로 나타난다.[6]

소비자의 선호는 효용 함수와 무차별 곡선 등의 개념을 통해 수학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무차별 곡선은 소비자에게 동일한 수준의 효용(만족감)을 주는 재화들의 조합을 연결한 선이다. 소비자 수요 이론은 이러한 선호와 소비자의 예산 제약을 결합하여 소비자의 지출 패턴과 수요 곡선을 도출하는 데 사용된다. 즉, 소비자가 어떻게 자신의 선호와 예산 사이에서 균형을 찾아 효용을 극대화하는지를 설명한다.

한편, 소비자의 선호를 직접 관찰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출발하여, 실제 소비자의 '선택 행위'를 분석함으로써 선호를 추론하려는 접근법도 있다. 이를 계시 선호 이론이라고 한다.

2. 2. 생산자 이론

생산자 이론은 기업의 생산 활동에 관한 주제를 다룬다. 생산이란 생산 요소(노동, 자본, 원자재 등)를 투입하여 재화나 서비스와 같은 산출물로 전환하는 과정을 말한다.[37][11] 기업은 제한된 자원을 활용하여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어떤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할지, 어떤 생산 요소 조합을 선택할지, 그리고 생산에 따른 비용 구조는 어떻게 관리할지를 결정해야 한다.[7]

생산자의 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생산함수비용함수 개념이 사용된다. 생산함수는 투입된 생산 요소와 생산 가능한 최대 산출량 사이의 기술적 관계를 나타내며, 비용함수는 생산량에 따른 총 비용의 변화를 보여준다. 기업은 이러한 생산 기술과 비용 구조 하에서 이윤 극대화를 추구한다. 이 과정에서 결정되는 최적 생산량은 공급량이며, 가격 변화에 따른 공급량의 변화는 공급함수와 공급곡선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격이 오르면 공급량이 증가하는 공급의 법칙이 성립한다.

또한, 생산되는 재화나 서비스의 가치를 결정하는 이론 중 하나로 생산비용설이 있다. 이는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이 생산에 투입된 자원의 비용 합계로 결정된다는 관점이다. 생산 비용은 생산량과 관계없이 발생하는 고정비와 생산량에 따라 변하는 변동비로 구분할 수 있으며,[12] 때로는 이미 지출되어 회수할 수 없는 매몰비용도 고려해야 한다.[13] 생산 결정에는 항상 기회비용이 따르는데, 이는 어떤 재화를 생산하기로 결정함으로써 포기하게 되는 다른 대안의 가치를 의미한다.

2. 2. 1. 이윤 극대화

생산자, 즉 기업은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행동한다고 가정한다. 재화 생산에 필요한 노동이나 자본 등을 요소라고 부른다. 기업은 어떤 기술 수준 하에서 이러한 생산 요소를 투입하여 재화를 생산하는데, 요소 투입량의 조합과 이를 통해 생산 가능한 재화 생산량 조합 사이의 관계를 기술이라고 한다.

이러한 생산자의 기술은 생산함수라는 수학적인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생산함수는 특정 요소 투입량 조합에 대해 최대 생산 가능량을 대응시키는 함수이다. 기업은 생산함수가 나타내는 기술적 제약 하에서, 주어진 시장 가격을 바탕으로 이윤을 가장 크게 만드는 생산량과 요소 투입량의 조합을 선택한다. 이를 이윤 극대화라고 한다.

이윤 극대화 과정을 통해 결정된 최적의 생산량을 공급량이라고 한다. 이 공급량은 생산하는 재화의 가격과 생산 요소의 가격 조합에 따라 달라진다. 가격 조합에 따라 결정되는 공급량을 대응시키는 함수를 공급함수라고 부른다.

특히,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해당 재화의 가격과 공급량 사이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공급곡선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해당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기업은 더 많은 이윤을 얻기 위해 생산량을 늘리므로 공급량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를 공급의 법칙이라고 하며, 이 때문에 공급곡선은 보통 우상향하는 형태로 그려진다.

2. 2. 2. 생산 함수와 비용 함수

생산자 이론은 기업의 생산 활동에 관한 주제를 다룬다. 생산은 생산 요소(노동, 자본, 원자재 등)를 투입하여 산출물인 재화와 서비스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37][11] 기업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어떤 생산 요소 조합을 선택하고, 생산에 따른 비용 구조를 어떻게 결정하는지를 고려한다.

생산자의 기술적 제약은 생산함수로 표현된다. 생산함수는 특정 생산 요소 투입량 조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생산량을 나타내는 수학적 관계이다. 기업은 이 생산함수를 바탕으로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며, 이는 최적의 생산량, 즉 공급량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이어진다.

생산 활동에는 필연적으로 비용이 발생한다. 비용함수는 생산량과 생산 비용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생산비용은 크게 고정비와 변동비로 나눌 수 있다.

  • 고정비 (Fixed Costs, FC): 생산량의 변화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발생하는 비용이다. 예를 들어 공장 임대료, 정규직 직원의 급여 등이 포함된다. 단기적으로는 대부분의 비용이 고정비 성격을 띤다.[12]
  • 변동비 (Variable Costs, VC): 생산량에 따라 변동하는 비용이다. 원자재 구입 비용, 생산직 노동자의 임금, 제품 운송비 등이 해당한다.[12]


단기적으로 기업의 총비용은 고정비와 변동비의 합으로 구성된다 (총비용 = 고정비 + 변동비).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업이 생산 규모를 조절하고 설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대부분의 비용이 변동비 성격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장기적으로 기업은 공장 규모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고, 새로운 기계를 도입하거나 기존 기계를 처분할 수 있다.[12]

비용 중에는 매몰비용 (Sunk Costs)이라는 특수한 형태의 고정비도 존재한다. 이는 일단 지출되면 어떤 결정을 하더라도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을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 연구개발(R&D) 비용을 들 수 있다. 신약 개발에 막대한 비용을 투자했지만 개발에 실패할 경우, 이 비용은 회수할 수 없는 매몰비용이 된다.[13]

경제학의 이중성 이론에 따르면, 생산자의 기술적 제약(생산함수)과 비용 최소화 행동(비용함수)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하나를 통해 다른 하나를 도출할 수 있다.[11] 기업은 주어진 생산 기술 하에서 특정 생산량을 가장 낮은 비용으로 달성하는 방법을 찾거나, 주어진 비용 예산 내에서 생산량을 극대화하려고 노력한다.

2. 3. 수요와 공급

미시경제학 분석의 핵심 중 하나는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그 원리를 밝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시장, 수요, 공급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균형을 이루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여기서 시장이란 특정 상품을 사고팔기 위해 서로 접촉하는 개인과 기업의 모임을 의미하며,[38][39] 구매자와 판매자의 의사가 합치되어 가격을 형성하는 시장 기구 또는 가격 기구라고 불리는 메커니즘을 통해 작동한다.[40]

가격은 시장에서 중요한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는 배급기능이다. 재화가 희소할 때, 가격은 이를 무한정 소비하려는 욕구를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는 배분기능이다. 어떤 상품의 공급이 부족하고 수요가 많으면 가격이 상승하는데, 이는 생산자에게 더 많은 상품을 생산하라는 신호로 작용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도록 유도한다. 아담 스미스가 언급한 보이지 않는 손은 바로 이러한 가격의 자원 배분 기능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41]

수요와 공급 이론은 기본적으로 완전 경쟁 시장을 가정한다. 즉, 시장에 수많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존재하여 개별 참여자가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없는 상황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시장에서는 수요와 공급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균형 가격균형 거래량이 결정된다. 수요는 특정 가격에서 소비자가 구매하려는 상품의 양을, 공급은 특정 가격에서 생산자가 판매하려는 상품의 양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가격이 오르면 수요량은 줄고 공급량은 늘어나며, 가격이 내리면 수요량은 늘고 공급량은 줄어든다.

시장에서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시장 균형이 달성된다. 만약 가격이 균형점보다 낮아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초과 수요), 가격은 상승 압력을 받는다. 반대로 가격이 균형점보다 높아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면(초과 공급), 가격은 하락 압력을 받는다.[46] 이러한 조정 과정을 거쳐 시장은 균형점을 찾아가게 된다.[47] 알프레드 마셜은 수요와 공급의 중요성을 가위의 양날에 비유하며, 어느 한쪽만으로는 가격이 결정될 수 없음을 강조했다.[48]

수요와 공급 분석은 개별 상품 시장뿐만 아니라, 노동 시장이나 자본 시장과 같은 생산요소시장 분석에도 적용되며, 더 나아가 거시경제학에서 총수요총공급을 통해 국가 경제 전체의 물가 수준과 총생산량을 분석하는 데에도 활용된다.[18] 하지만 현실의 시장은 불완전 경쟁, 외부 효과, 정보의 비대칭성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시장 실패를 겪기도 하며, 이 경우 자원 배분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2. 3. 1. 수요의 법칙과 공급의 법칙

가격시장에서 수요공급이 만나 결정되며, 이는 미시경제학 분석의 핵심 주제이다.[38][39] 시장이란 특정 상품을 사고팔기 위해 서로 접촉하는 개인과 기업의 모임을 의미하며,[38][39] 구매자와 판매자의 의사가 합치되어 가격이 형성되는 시장 기구 또는 가격 기구로서 기능한다.[40]

가격은 두 가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 배급 기능이다. 상품이 희소할 때, 가격은 소비자들이 상품을 무한정 소비하려는 욕구를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배분 기능이다. 특정 상품의 공급이 부족하고 수요가 많으면 가격이 상승하는데, 이는 생산자에게 더 많은 상품을 생산하라는 신호로 작용한다. 아담 스미스가 말한 보이지 않는 손은 바로 이 가격의 배분 기능을 의미한다.[41]

=== 수요의 법칙 ===

수요란 소비자들이 특정 가격에서 상품을 얼마나 구매하고자 하는지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어떤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그 상품에 대한 수요량은 감소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량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가격과 수요량 사이의 역(-)의 관계를 수요의 법칙이라고 부른다.[43] 이는 가격 변화에 따른 대체 효과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다른 상품으로 소비 이동)와 소득 효과 (가격 하락으로 인한 실질 구매력 증가)로 설명할 수 있다.

수요량은 해당 상품의 가격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 소비자의 소득: 소득이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정상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다.
  • 관련 상품의 가격: 대체재(콜라와 사이다 등)의 가격이 오르면 해당 상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보완재(커피와 설탕 등)의 가격이 오르면 해당 상품의 수요는 감소한다.
  • 소비자의 기호: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 수요가 증가한다.[42]
  • 소비자의 수: 시장에 참여하는 소비자의 수가 증가하면 수요가 증가한다.
  • 미래 가격에 대한 예상: 앞으로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 현재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


경제학에서는 분석의 편의를 위해 해당 상품의 가격 외 다른 모든 조건은 일정하다고 가정(ceteris paribus)하고 가격과 수요량의 관계를 분석하는 경우가 많다.[43] 이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수요 곡선이며, 일반적으로 우하향하는 형태를 띤다. 만약 가격 외 다른 요인(예: 소득 증가)이 변하면 수요 곡선 자체가 이동하는데, 이를 '수요량의 변화'가 아닌 '수요의 변화'라고 한다.[44] 예를 들어 소득이 증가하면 동일한 가격 수준에서 더 많은 양을 수요하게 되므로 수요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수요의 법칙에는 예외도 존재한다. 기펜재는 가격이 상승할 때 오히려 수요량이 증가하는 특이한 재화이다. 이는 극심한 소득 감소 효과가 대체 효과를 압도할 때 나타날 수 있다.

가격 변화에 따라 수요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를 수요의 가격탄력성이라고 한다. 탄력성은 수요 곡선의 기울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45]

=== 공급의 법칙 ===

공급이란 생산자들이 특정 가격에서 상품을 얼마나 생산하여 판매하고자 하는지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어떤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생산자들은 더 많은 이윤을 얻을 수 있으므로 공급량을 늘리고,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량을 줄이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가격과 공급량 사이의 정(+)의 관계를 공급의 법칙이라고 한다.

공급량 역시 해당 상품의 가격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 생산 요소의 가격: 노동자의 임금이나 원자재 가격 등 생산 비용이 상승하면 공급이 감소한다.
  • 생산 기술: 기술 진보는 동일한 비용으로 더 많은 상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하므로 공급을 증가시킨다.
  • 관련 상품의 가격: 특정 상품 생산에 동일한 생산 요소를 사용하는 다른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 생산자들이 그 상품 생산으로 전환하여 원래 상품의 공급이 감소할 수 있다.
  • 공급자의 수: 시장에 참여하는 공급자의 수가 증가하면 공급이 증가한다.
  • 미래 가격에 대한 예상: 앞으로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 생산자들이 현재 공급을 줄이고 재고를 비축할 수 있다.


공급의 경우에도 가격 외 다른 요인이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가격과 공급량의 관계를 분석한다. 이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공급 곡선이며, 일반적으로 우상향하는 형태를 띤다. 만약 가격 외 다른 요인(예: 생산 기술의 발전)이 변하면 공급 곡선 자체가 이동하는데, 이를 '공급의 변화'라고 한다. 예를 들어 기술 진보로 생산 비용이 절감되면 동일한 가격 수준에서 더 많은 양을 공급하게 되므로 공급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가격 변화에 따라 공급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를 공급의 가격탄력성이라고 한다.[45] 단기에는 생산 설비 등 고정된 요소가 많아 공급 탄력성이 낮지만, 장기에는 모든 생산 요소를 조절할 수 있어 탄력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 시장 균형 ===

시장 균형은 특정 상품에 대한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이루어진다. 이 지점에서의 가격을 균형 가격, 거래량을 균형 거래량이라고 한다. 수요 곡선과 공급 곡선이 교차하는 점이 바로 시장 균형점이다.

만약 시장 가격이 균형 가격보다 낮으면, 낮은 가격에 상품을 사려는 수요량이 생산자들이 공급하려는 양보다 많아져 초과 수요(물량 부족)가 발생한다. 이 경우 소비자들 간의 경쟁으로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시장 가격이 균형 가격보다 높으면, 높은 가격에 상품을 팔려는 공급량이 소비자들이 사려는 양보다 많아져 초과 공급(재고 과잉)이 발생한다. 이 경우 생산자들 간의 경쟁으로 가격이 하락하게 된다. 이러한 조정 과정을 통해 시장 가격은 균형 가격 수준으로 수렴하는 경향이 있다.

수요나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변화하면 수요 곡선이나 공급 곡선이 이동하게 되고, 이는 새로운 균형 가격과 균형 거래량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소득 증가로 수요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수요 증가), 균형 가격과 균형 거래량 모두 증가한다(위 그래프 참고). 반대로 생산 기술의 발전으로 공급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면(공급 증가), 균형 가격은 하락하고 균형 거래량은 증가한다.

수요와 공급 분석은 주로 완전 경쟁 시장을 가정하고 이루어진다. 완전 경쟁 시장이란 수많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존재하여 개별 시장 참여자가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없는 시장을 의미한다. 현실의 많은 시장은 독점, 과점 등 불완전 경쟁의 형태를 띠거나, 외부 효과, 공공재 문제 등 시장 실패가 발생하여 자원 배분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정부의 개입이나 규제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요와 공급 모형은 다양한 시장 상황을 분석하고 가격 변화를 예측하는 기본적인 틀을 제공한다.[18][19]

2. 3. 2. 균형 이론

미시경제학 분석의 핵심은 가격이 결정되는 원리를 밝히는 데 있다. 시장, 수요, 공급은 시장 균형을 이루는 주요 요소이다. 시장이란 특정 상품을 사고팔기 위해 모인 개인과 기업의 집단을 의미하며[38][39], 이곳에서 구매자와 판매자의 의사가 합치되어 가격 기구를 통해 가격이 형성된다.[40]

가격은 희소한 자원을 배분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가격이 없다면 소비자는 재화를 무한정 소비하려 할 것이므로, 가격은 과도한 소비 욕구를 통제하는 배급기능을 한다. 또한, 특정 상품의 공급이 부족하고 수요가 많으면 가격이 오르는데, 이는 생산자에게 더 많은 상품을 생산하라는 신호로 작용하는 배분기능을 의미한다. 아담 스미스가 말한 보이지 않는 손은 바로 이 가격의 배분기능을 가리킨다.[41]

가격이 시장에서 균형을 찾아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만약 어떤 상품의 가격이 너무 높으면, 공급자들은 이윤을 얻기 위해 공급을 늘리게 되고, 이는 결국 가격 하락으로 이어진다. 반대로 가격이 너무 낮으면, 소비자들은 낮은 가격에 상품을 더 많이 사려고 해 초과 수요가 발생하고, 이는 다시 가격 상승을 유발한다.[46]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격은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하는 지점, 즉 균형 가격에 도달하게 된다. 그래프 상에서는 수요 곡선과 공급 곡선이 만나는 점이 균형 가격과 균형 거래량을 나타낸다.[47] 과거 고전파는 공급을, 신고전파는 수요를 가격 결정의 중요 요인으로 보았으나, 알프레드 마셜은 수요와 공급 모두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이를 가위의 양날에 비유했다.[48]

만약 가격 외에 다른 요인들(소득 수준, 기술 변화 등)이 변하면 수요 곡선이나 공급 곡선 자체가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수요가 증가하면 균형 가격과 균형 거래량 모두 증가하며, 공급이 증가하면 균형 가격은 하락하고 균형 거래량은 증가한다.[49] 어떤 이유로 균형 상태가 깨졌을 때, 시장이 얼마나 빨리 원래의 균형으로 돌아가는지를 평가하는 것을 균형의 안정성이라고 한다.[50]

시장 균형을 분석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알프레드 마셜이 『경제학 원리』(1890)에서 제시한 부분균형 분석으로, 특정 시장 하나에만 초점을 맞춰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분석하는 방식이다. 다른 하나는 레옹 발라스가 『순수 경제학 원리』(1874)에서 개발한 일반균형 분석으로, 경제 전체의 모든 시장을 동시에 고려하여 상호 연관 관계 속에서 모든 시장의 균형을 분석하는 방식이다.[6]

이론적으로 시장 균형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상태로 여겨진다. 후생 경제학의 기본 정리에 따르면, 특정 조건들이 충족될 경우 시장에서의 자원 배분은 파레토 효율적이다. 즉, 다른 사람의 효용을 감소시키지 않고서는 어떤 한 사람의 효용을 증가시킬 수 없는 상태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정리가 성립하기 위한 조건들은 매우 엄격하다.

  • 완전 경쟁: 시장에 참여하는 모든 경제 주체는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없을 정도로 수가 많아야 한다.
  • 정보의 대칭성: 모든 경제 주체가 상품에 대해 동일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외부 효과 및 공공재 부재: 어떤 경제 주체의 행위가 시장을 통하지 않고 다른 경제 주체에게 영향을 미치는 외부 효과가 없어야 하며, 비경합성과 비배제성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재가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현실에서는 이러한 조건들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독과점과 같은 불완전 경쟁,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정보의 비대칭성, 환경오염과 같은 외부 효과, 국방이나 치안과 같은 공공재의 존재는 시장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지 못하게 만든다. 이러한 상황을 시장 실패라고 부른다. 주류 경제학은 이러한 시장 실패 사례를 분석하고, 사회적 손실을 줄이기 위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시장 실패가 발생할 경우,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여 규제를 시행하거나, 직접 재화나 서비스를 공급하는 등의 정책을 통해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사회 전체의 복지를 증진시킬 필요성이 제기된다.

3. 시장 구조

시장에서 활동하는 기업의 수, 새로운 기업의 진입 장벽 존재 여부, 그리고 시장에서 거래되는 재화의 동질성 정도에 따라 시장의 구조를 분류할 수 있다.[20][21] 시장 구조는 시장 내 기업 수, 기업 간 시장 점유율 분포, 기업 간 제품의 균일성, 기업의 시장 진입 및 퇴출 용이성, 시장 내 경쟁 형태 등을 포함하는 시장의 특징을 나타낸다.[20][21]

주요 시장 구조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완전경쟁시장: 동질적인 재화를 다수의 기업이 생산하며, 개별 기업은 가격 수용자이고 진입 장벽이 없는 시장.
  • 독점Monopoly|모노폴리eng: 단 하나의 기업이 시장 전체를 지배하는 구조.
  • 과점Oligopoly|올리고폴리eng: 소수의 기업만이 존재하며 서로 경쟁하는 구조.
  • 독점적 경쟁시장: 다수의 기업이 차별화된 재화를 생산하며 경쟁하고, 진입과 퇴출이 자유로운 시장.


완전경쟁시장과 독점 시장의 중간적 성격을 가지는 시장들을 불완전 경쟁Imperfect competition|임퍼펙트 컴피티션eng 시장이라고 통칭하기도 한다.[23] 완전 경쟁 시장에서는 경쟁 수준이 매우 높아 개별 기업이 시장 지배력을 갖기 어렵고 가격은 한계비용 수준까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반면 독점 시장에서는 단일 기업이 시장 지배력을 확보하여 가격을 한계비용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23] 과점이나 독점적 경쟁 시장은 이러한 완전 경쟁과 독점의 사이에 위치하며, 현실의 많은 기업(예: 펩시코카콜라, 소니, 닌텐도,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이러한 불완전 경쟁 상태에 속한다.[24]

시장 구조의 유형에 따라 기업의 비용 곡선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22] 이러한 비용 곡선은 생산 비용을 기반으로 도출되며, 주로 한계 비용, 평균 총 비용, 평균 가변 비용, 평균 고정 비용, 한계 수입 등을 포함한다.

한편, "시장 유형"이라는 개념은 "시장 구조"와는 다른 개념이다. 시장 구조는 주로 경쟁의 정도와 기업의 수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시장 유형은 거래되는 상품의 종류(예: 소비재 시장, 생산요소 시장)나 거래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3. 1. 완전 경쟁 시장

완전경쟁시장은 재화가 동질적이고, 시장에 다수의 공급자와 소비자가 존재하며, 개별 기업은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없는 가격 수용자(price taker)인 시장 형태를 말한다. 또한, 기업의 시장 진입 장벽이 존재하지 않아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이 가능하다. 완전경쟁 시장의 소비자는 시장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해 완전한 정보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완전경쟁은 기업들이 사회적으로 최적의 생산량을 단위당 최소 비용으로 생산하도록 유도한다. 후생경제학의 기본 정리에 따르면, 정보 비대칭이나 외부 효과가 없다는 가정 하에 완전경쟁시장의 균형은 파레토 효율적이다. 즉, 자원 배분이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완전경쟁 시장의 기업들은 상품 가격을 스스로 결정할 시장 지배력이 없기 때문에 주어진 시장 가격을 그대로 받아들인다. 현실에서 완전경쟁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시장을 찾기는 어렵지만, 비슷한 사례로 많은 판매자가 다수의 구매자에게 유사한 제품을 판매하는 이베이(eBay)와 같은 디지털 시장을 들 수 있다.

3. 2. 독점 시장

시장에 기업이 단 하나만 존재하는 시장을 독점Monopolyeng이라고 한다. 독점은 완전경쟁시장과 달리 경쟁자가 없으므로, 불완전 경쟁Imperfect competitioneng 시장 구조의 대표적인 형태 중 하나이다. 독점 기업은 시장 지배력을 가지기 때문에 상품 가격을 한계비용보다 높게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23]

이러한 독점 구조 하에서는 일반적으로 재화나 서비스가 더 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사회 전체적으로 볼 때 가장 효율적인 생산량보다 적은 양이 생산되는 경향이 나타난다.[25][26] 이는 자원 배분의 비효율성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독점이 반드시 비효율적인 것은 아니다. 특정 산업에서는 여러 기업이 경쟁하는 것보다 하나의 기업이 생산하는 것이 오히려 비용 측면에서 더 효율적일 수 있는데, 이를 자연 독점이라고 부른다.[25][26] 자연 독점은 생산 규모가 커질수록 평균 비용이 낮아져, 하나의 생산자가 여러 소규모 생산자보다 낮은 비용으로 전체 시장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산업에서 발생한다.

3. 3. 과점 시장

시장에서 기업의 수, 진입 장벽의 존재 여부, 생산하는 재화의 동질성 정도 등에 따라 시장의 구조를 나눌 수 있다. 시장에 기업이 단 하나만 존재하면 독점, 다수의 기업이 존재하며 진입과 이탈이 자유롭고 동질적인 재화를 생산하면 완전경쟁시장, 다수의 기업이 약간씩 다른 재화를 생산하며 경쟁하면 독점적 경쟁시장이라고 한다.
과점(Oligopoly|올리고폴리eng)은 이러한 시장 형태 중 하나로, 소수의 기업만이 시장에 참여하여 서로 경쟁하는 구조를 말한다.[27] 소수의 기업이 시장 또는 특정 산업을 지배하는 형태이다. 과점 시장의 기업들은 서로 담합하여 카르텔을 형성하려는 유인을 가질 수 있다. 담합을 통해 기업들은 서로 경쟁을 줄이고, 상품 가격을 높게 설정하여 더 많은 이익을 얻으려 할 수 있으며, 이는 종종 소비자에게 더 높은 가격과 더 적은 시장 전체 생산량으로 이어진다.[27] 하지만 반대로, 과점 기업들이 서로 매우 치열하게 경쟁하며 대규모 광고 캠페인을 벌이는 경우도 있다.[28]

특히, 시장에 단 두 개의 기업만 존재하는 과점을 이중 과점(Duopoly|듀오폴리eng)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과점 시장에서 기업들이 어떻게 행동하고 서로 영향을 미치는지는 게임 이론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29]

3. 4. 독점적 경쟁 시장

시장에서 기업의 수, 진입 장벽의 존재 유무, 재화의 동질성 여부에 따라 시장 구조를 분류할 수 있다. 독점적 경쟁시장은 이러한 분류 중 하나로, 시장에 다수의 기업이 존재하고 진입 장벽이 없어 자유롭게 시장에 진입하거나 이탈할 수 있지만, 각 기업이 생산하는 재화는 서로 차별적이어서 개별 기업이 어느 정도의 시장력을 갖는 시장 형태를 의미한다. 이는 재화가 완전히 동질적이고 개별 기업이 가격 수용자인 완전경쟁시장이나, 기업이 단 하나만 존재하는 독점, 소수의 기업이 경쟁하는 과점과는 구별된다.

독점적 경쟁(Monopolistic competitioneng) 시장에서는 기업들이 서로 약간씩 다른, 즉 차별화된 제품을 생산하며 경쟁한다. 이로 인해 생산 비용은 완전 경쟁 시장의 기업들보다 높은 경향이 있지만, 소비자들은 제품 차별화를 통해 다양한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혜택을 누린다. 독점적 경쟁 시장 구조를 가진 산업의 예로는 대도시의 음식점, 시리얼, 의류, 신발 및 각종 서비스업 등을 들 수 있다.

4. 게임 이론

게임 이론가격 이론, 계약 이론과 함께 미시경제학의 주요 분야 중 하나로 꼽힌다.[34][35] 이는 상호 의존적인 상황에 놓인 경제 주체들의 전략적 행동을 수학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이다. 즉, 한 주체의 행동이 다른 주체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전략적 상호작용을 "게임"으로 보고 이를 모형화한다.

기존의 가격 이론이 경제 주체들이 시장 가격을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이고 행동하며 기술적 외부 효과가 없다고 가정한 것과 달리, 게임 이론은 각 경제 주체들이 서로에게 금전적 또는 기술적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경제 주체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기본적인 틀에는 표준형 게임 등이 있으며, 게임의 진행 방식이나 협력 여부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뉜다. 대표적인 게임 유형과 관련 분석 개념은 다음과 같다.


  • 표준형 게임 - 내시 균형
  • 확장형 게임 - 부분 게임 완전균형
  • 협조형 게임 - 핵, 섀플리 값


게임 이론은 경매, 협상, 과점 시장 분석, 사회 네트워크 형성 등 광범위한 경제 현상을 설명하는 데 활용되며, 실험 경제학, 행동경제학, 산업조직론, 정치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와 연계되어 발전하고 있다.

4. 1. 표준형 게임과 내시 균형

게임 이론은 수리 경제학과 경영학에서 상호 작용하는 경제 주체들의 전략적 행동을 모형화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방법론으로, 단순히 게임뿐만 아니라 사람들 사이의 모든 전략적 상호작용을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게임 이론은 경매, 협상, 합병 및 인수 가격 책정, 공정 분배, 과점 형성, 사회 네트워크 분석 등 다양한 경제 현상을 설명하는 데 폭넓게 응용되며, 실험 경제학, 행동 경제학, 산업 조직, 정치 경제학 등 여러 분야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기존의 가격 이론에서는 경제 주체들이 가격을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이는 가격 수용자로 행동하며, 기술적 외부 효과가 없다고 가정했다. 그러나 게임 이론에서는 각 경제 주체들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상황, 즉 금전적 또는 기술적 외부 효과가 존재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이처럼 경제 주체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황을 분석하는 가장 기본적인 틀이 표준형 게임(Normal-form game)이다. 표준형 게임은 다음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 플레이어(Player): 게임에 참여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주체.
  • 전략 집합(Strategy Set): 각 플레이어가 선택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행동(전략)의 모음.
  • 지급 함수(Payoff Function): 각 플레이어가 특정 전략 조합을 선택했을 때 얻게 되는 보상이나 만족도(효용)를 나타내는 함수. 이는 전략 조합에 대한 플레이어의 선호를 보여준다.


표준형 게임 분석에서 중요한 개념은 내시 균형(Nash Equilibrium)이다. 내시 균형은 게임에 참여한 모든 플레이어가 상대방의 전략을 주어진 것으로 보고,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전략을 선택했을 때 도달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다른 플레이어들이 현재 전략을 유지한다는 가정 하에, 어떤 플레이어도 자신의 전략을 바꾸어 더 높은 보상을 얻을 수 없는 상태이다. 내시 균형은 표준형 게임에서 플레이어들의 합리적인 선택 결과로 실현될 가능성이 높은 상태로 여겨진다.

하지만 내시 균형이 반드시 파레토 효율적인 것은 아니다. 즉, 모든 플레이어의 보상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다른 전략 조합이 존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시 균형에 도달할 수 있다. 이는 모든 시장 참여자의 이기적인 행동이 사회 전체의 효율성을 가져온다는 후생경제학 제1 기본정리와는 대조적인 결과이다.

4. 2. 확장형 게임과 부분 게임 완전 균형

(내용 없음)

5. 정보 경제학

정보 경제학은 정보와 정보 시스템이 경제 활동 및 경제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미시경제학의 한 분야이다.[30] 정보가 가진 고유한 특성들이 경제 현상에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31]

5. 1. 정보의 비대칭성과 시장 실패

정보 경제학은 미시경제학의 한 분야로, 정보와 정보 시스템이 경제 활동 및 경제적 의사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 정보는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만들기는 쉽지만 그 내용을 신뢰하기는 어려울 수 있고, 널리 퍼뜨리기는 쉽지만 통제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정보의 특성은 많은 경제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일반적인 재화와는 다른 정보의 속성 때문에 기존의 표준적인 경제 이론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들이 나타난다.[30] 특히 최근 정보 기술에 기반한 기업들이 중요해지면서 정보 경제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31]

정보 경제학에서는 게임 이론 등의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경제 주체들이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전통적인 경제학의 가정을 완화한다. 즉, 현실에서처럼 정보가 불완전하거나 비대칭적인 상황에서 경제 주체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 그리고 그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의사결정 과정이나, 정보를 얻기 위한 노력의 긍정적 및 부정적 효과 등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31] 이러한 연구는 정보의 불균형이 시장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다양한 문제들, 예를 들어 역선택이나 도덕적 해이와 같은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6. 미시경제학의 응용

미시경제학의 원리는 이론적 논의를 넘어 현실 세계의 다양한 경제 현상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폭넓게 응용된다. 개인과 기업의 의사결정 분석을 기반으로, 노동 시장의 작동 방식, 정부의 공공 정책(조세, 사회 보험 등) 설계 및 효과 분석, 기업 행동과 시장 구조 연구 등 여러 구체적인 분야에서 중요한 분석 도구로 활용된다. 이 외에도 교육, 금융, 보건, 환경, , 도시 문제 등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경제학적 관점에서 탐구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기여한다.

6. 1. 노동 시장

미시경제학의 한 응용 분야인 노동경제학은 주로 노동 시장을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노동경제학은 임금과 고용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등 노동 시장의 작동 원리를 탐구할 뿐만 아니라, 이민, 최저 임금 제도, 불평등 문제와 같이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공공 정책 문제들도 중요한 연구 주제로 다룬다.

6. 2. 공공 경제학

미국 국회 의사당(United States Capitol Building): 많은 조세법이 통과되는 미국 의회의 회의 장소이며, 이는 경제적 후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공공경제학에서 연구된다.


공공경제학은 응용 미시경제학의 한 분야로, 정부의 조세 및 지출 정책 설계와 이러한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효과(예: 사회 보험 프로그램)를 연구한다.

6. 3. 산업 조직론

산업 조직론은 기업의 진입과 퇴출, 혁신, 상표의 역할과 같은 주제를 조사한다.

6. 4. 국제 경제학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국제 경제학'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5. 기타 응용 분야



응용 미시경제학은 다양한 전문 연구 분야를 포함하며, 그중 많은 분야가 다른 분야의 방법론을 활용한다.

참조

[1] 웹사이트 Macroeconomics and International Policy Terms http://www.ca.uky.ed[...] University of Kentucky 2007-05-04
[2] 웹사이트 Economics Glossary http://www.mcwdn.org[...] Monroe County Women's Disability Network 2008-02-22
[3] 웹사이트 Social Studies Standards Glossary http://nmlites.org/s[...] New Mexico Public Education Department 2008-02-22
[4] 서적 Microeconomics of Market Failures MIT Press
[5] 웹사이트 Glossary http://www.econ100.c[...] ECON100 2008-02-22
[6] 논문 Partial Equilibrium Analysis https://doi.org/10.1[...] Palgrave Macmillan UK 2016
[7] 서적 Microeconomics 2018
[8] 서적 Propagation problems and impulse problems in dynamic economics Allen & Unwin 1933
[9] 서적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
[10] 학술지 Income Elasticity of Demand, a Micro-Economic and a Macro-Economic Interpretation 1941-04
[11] 서적 Measurement of Productivity and Efficiency: Theory and Practice https://assets.camb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Principles of Microeconomics (Curtis and Irvine) https://socialsci.li[...] 2021-07-05
[13] 서적 Microeconomics 2018
[14] 백과사전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 Palgrave Macmillan UK 1987
[15] 백과사전 Utility and Value https://www.britanni[...] 2016-04-28
[16] 서적 Value and Capital: An Inquiry into Some Fundamental Principles of Economic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7] 백과사전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 Macmillan
[18] 서적 Macroeconomics Prentice-Hall 2006
[19] 학술지 The Competitive Allocation Process Is Informationally Efficient Uniquely http://purl.umn.edu/[...] 1982-10
[20] 서적 Economics: A Contemporary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Thomson South-Western 2006
[21] 백과사전 market structure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22] 웹사이트 Module 8: Cost Curves https://open.oregons[...] Oregon State University 2019-10-28
[23] 서적 Microeconomics Macmillan Learning 2019
[24] 서적 Microeconomics Macmillan Learning 2019
[25] 뉴스 Monopoly - Economics Help https://www.economic[...] 2018-03-14
[26] 웹사이트 Natural monopolies https://www.economic[...] 2020-01-20
[27] 웹사이트 Competition Counts http://www.ftc.gov/b[...] 2013-06-11
[28] 학술지 An Oligopoly Model of Dynamic Advertising Competition https://econpapers.r[...]
[29] 웹사이트 Oligopoly/Duopoly and Game Theory http://www.apeconrev[...] 2017
[30] 서적
[31] 서적 Microeconomics Palgrave Macmillan
[32] 서적 現在の経済学
[33] 서적 経済学の原理と実践
[34] 학술지 ゲーム理論 戦略的状況を分析する強力なツール 日本評論社 2014
[35] 학술지 メカニズムデザインの考え方とマッチングのメカニズム http://www.orsj.or.j[...] 日本オペレーションズ・リサーチ学会 2015
[36] 서적
[37] 서적 Measurement of Productivity and Efficiency: Theory and Practice https://assets.cambr[...]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