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정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정지는 심장의 기능이 갑자기 멈추는 치명적인 응급 상태이다. 심장성 원인과 비심장성 원인으로 나뉘며, 관상 동맥 질환, 구조적 심장 질환, 유전성 부정맥 증후군, 호흡 정지, 당뇨병, 약물, 외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증상으로는 가슴 통증, 피로, 실신, 어지럼증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맥박 부재와 같은 징후로 진단한다. 치료는 심폐 소생술, 제세동, 약물 치료 등을 포함하며,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가 중요하다. 한국에서는 매년 약 3만 명의 심정지 환자가 발생하며,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정맥 - 심방세동
    심방세동은 심장의 불규칙한 박동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맥의 일종으로, 뇌졸중 등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항응고제, 심박수 조절 약물 등으로 치료한다.
  • 부정맥 - 저체온증
    저체온증은 심부 체온이 35.0℃ 미만으로 떨어지는 상태로, 저온 노출, 알코올 섭취, 질병, 약물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떨림, 의식 저하,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보이고,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체온 측정과 재가온 치료가 중요하다.
  • 응급의학 - 응급구조사
    응급구조사는 응급의료 현장에서 환자에게 응급처치를 제공하는 전문 인력이며, 1급과 2급으로 나뉘어 의료법에 따라 응급처치 업무를 수행한다.
  • 응급의학 - 응급실
    응급실은 생명이 위급하거나 급성 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신속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으로, 심폐소생술, 외과적 처치, 각종 검사 및 치료를 제공하며, 국가별로 운영 방식과 응급의료기관의 종류 및 기능에 차이가 있고, 과밀화, 의료진 폭력 등의 문제와 원격 의료 도입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 심장혈관 질환 - 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은 동맥 벽이 굳고 두꺼워지는 질환으로, 세동맥경화증, 묀케베르크 경화증, 죽상동맥경화증으로 나뉘며, 특히 죽상동맥경화증은 혈관 내 죽상판 형성으로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질환이다.
  • 심장혈관 질환 - 승모판 협착
    승모판 협착은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승모판이 좁아져 혈액 흐름을 방해하는 질환으로, 류마티스열이 주요 원인이며, 심해지면 폐 울혈,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 심장 초음파 검사로 진단하고 증상에 따라 치료법을 고려한다.
심정지
임상 정보
질병 분야순환기내과
응급의학과
증상의식 저하 또는 완전한 의식 상실
비정상적인 호흡 또는 무호흡
맥박 없음
합병증소생 시: 혼수, 식물인간 상태,
소생 실패 시: 사망
발병 시기발병 위험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함
원인관상동맥 질환
선천성 심장 질환
대량 출혈
저산소증
감전
저칼륨혈증
심부전
심근 경색
진단맥박 없음
심전도
예방금연
신체 활동
건강한 체중 유지
건강한 식습관
치료심폐소생술 (CPR)
제세동
예후전체 생존율 ≈10% (병원 밖), 25% (병원 내); 예후는 심정지의 유형과 원인에 따라 크게 다름
빈도연간 10,000명당 13명 (미국, 병원 밖)
사망자 수연간 425,000명 이상 (미국)
일반 정보
영어 명칭cardiac arrest
sudden cardiac arrest
한국어 명칭심정지
관련 용어(돌연 심장사)
(심폐 정지)
추가 설명심장이 갑자기 멈추는 현상

2. 원인

심정지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나이와 기저 심혈관 질환이 있다. 과거에 급성 심정지를 경험한 사람은 향후 다시 심정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22] 2021년 발표된 한 메타 분석에 따르면, 병원 밖 심정지 생존자 중 약 15%가 두 번째 심정지를 경험했으며, 이는 대부분 첫 1년 이내에 발생했다.[23] 또한, 재발을 경험한 사람 중 35%는 세 번째 심정지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23]

이 외에도 흡연,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부정맥 병력, 운동 부족, 비만, 당뇨병, 심장 질환 가족력, 심근병증, 알코올 섭취 등이 주요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24][25][26][27] 특히 관상 동맥 질환이 있는 현재 흡연자는 젊은 나이(30~59세)에 급사의 위험이 2~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거 흡연자라도 금연한 경우 위험도는 비흡연자와 비슷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20][28] 여러 위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 심정지 발생 위험은 더욱 커지는데, 통계 분석 결과 심정지 발생의 약 절반은 이러한 복합 위험 요인을 가진 인구 집단의 상위 10%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9]

돌연 심정지의 근본 원인은 크게 심장 자체의 문제로 인한 심장성 원인과 그 외의 문제로 인한 비심장성 원인으로 나눌 수 있다. 어떤 원인이 더 흔한지는 환자의 연령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심정지가 발생하는 가장 흔한 직접적인 기전은 부정맥, 즉 비정상적이거나 불규칙한 심장 리듬이다.[80] 심장의 정상적인 전기 활동에 문제가 생겨 심실이 매우 빠르거나 불규칙하게 수축하면, 심장은 혈액을 온몸으로 효과적으로 보내는 펌프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30] 이로 인해 뇌를 포함한 주요 장기로의 혈류 공급이 중단되어 심각한 손상을 초래한다. 돌연 심정지에서 가장 자주 관찰되는 부정맥은 심실 빈맥과 심실 세동이다.[31][32]

소아의 경우, 심정지의 가장 흔한 원인은 치료받지 않은 쇼크나 호흡 부전이며, 성인과 달리 부정맥이 주된 원인이 아닌 경우가 많다.[273] 소아에게 부정맥이 발생하더라도 무수축이나 서맥 형태가 대부분이다.[273]

심장성 원인과 비심장성 원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심장성 원인

심장 전도 시스템. 이 패턴의 변화는 심장 근육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전도되지 않은 박동과 궁극적으로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다.


심실 세동의 EKG 묘사 (조직화된 리듬 없음)


돌연 심정지는 심장 자체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며, 이를 심장성 원인이라고 한다. 심장성 원인은 환자의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심정지가 발생하는 가장 직접적인 기전은 대부분 부정맥, 즉 비정상적인 심장 리듬이다.[80] 심장의 정상적인 전기 신호 전달 체계에 문제가 생기면 심장 근육이 조화롭게 수축하지 못하고, 심실이 매우 빠르거나 불규칙하게 뛰어 혈액을 효과적으로 펌프질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심박출량이 급격히 감소하면[30] 뇌를 포함한 주요 장기에 혈액 공급이 중단되어 심각한 손상을 초래한다.

돌연 심정지를 유발하는 가장 흔한 부정맥은 심실 빈맥과 심실 세동이다.[31][32] 이 외에도 무맥성 전기 활동, 서맥, 무수축 등이 심정지 상태에서 관찰될 수 있다.[80]

이러한 치명적인 부정맥을 유발하는 근본적인 심장성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질환들이 있다.

  • 관상 동맥 질환: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문제.[34][35]
  • 구조적 심장 질환: 심근병증, 심장판막증, 선천성 심장 기형 등 심장 구조 자체의 이상.[37]
  • 유전성 부정맥 증후군: 심장 구조는 정상이지만 전기 생리 기능에 유전적 문제가 있는 경우.[273]


각각의 원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1. 관상동맥 질환

정상 관상 동맥과 막힌 관상 동맥 비교


관상 동맥 질환(CAD)은 죽상경화성 심혈관 질환이라고도 불리며, 동맥 내벽에 콜레스테롤 등이 쌓여 염증 반응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죽상경화성 플라크가 형성되는 질환이다.[33] 이러한 변화는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 혈관뿐만 아니라 몸의 다른 혈관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33] 죽상경화성 플라크 조각이 떨어져 나가 관상 동맥과 같은 비교적 좁은 혈관을 막게 되면, 해당 부위로의 혈액 및 산소 공급이 차단되어 허혈성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심장에서 이러한 손상이 발생하면 심근 조직이 손상되어 정상적인 전기 신호 전달 체계에 문제가 생기고, 이는 심장 박동수나 수축 방식의 변화를 초래하여 심장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29]

미국에서는 급성 심장사의 약 68%가 관상 동맥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며, 이는 가장 흔한 근본 원인이다.[34] 실제로 급성 심장사 사례를 부검했을 때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소견 중 하나는, 심장의 주요 관상 동맥 중 적어도 한 군데 이상에서 만성적이고 심각한 수준의 협착(좁아짐)이 관찰된다는 점이다.[35]

하지만 관상 동맥 질환이 심정지에 미치는 영향은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특히 40세 미만의 비교적 젊은 연령층에서는 관상 동맥 질환이 급성 심장사의 주요 원인이 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드물다.[36]

심정지의 위험 요인은 허혈성 심장 질환의 위험 요인과 상당 부분 일치한다.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고령, 흡연,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운동 부족, 비만, 당뇨병, 심장 질환 가족력, 심근병증 등이 꼽힌다.[211][212] 여러 위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경우 심정지 발생 위험은 더욱 커지는데, 통계 분석에 따르면 전체 심정지 발생의 약 절반가량은 이러한 복합적 위험 요인을 가진 인구 집단의 상위 10%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9] 특히 관상 동맥 질환을 가진 흡연자의 경우, 30세에서 59세 사이에 심장 돌연사를 겪을 위험이 비흡연자에 비해 2~3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반면, 과거 흡연 경력이 있더라도 금연한 경우에는 그 위험도가 담배를 전혀 피우지 않은 사람과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06][213]

2. 1. 2. 구조적 심장 질환

좌심실 비대증을 보여주는 심장의 단축 단면도


좌심실 비대증의 EKG 묘사


구조적 심장 질환은 심장의 구조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를 말하며, 이로 인해 심정지가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심근병증(비후성 심근병증, 확장성 심근병증, 부정맥성 심근병증), 심장 부정맥, 심근염, 울혈성 심부전 등이 있다.[37]

특히 좌심실 비대증은 성인 인구에서 급성 심장사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38][80] 이는 주로 장기간 지속된 고혈압의 결과로 발생하는데, 심장의 주 펌프 역할을 하는 좌심실의 근육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는 현상이다.[39] 높은 혈압 상태가 오래 유지되면 심장은 전신에 혈액을 보내기 위해 더 강하게 펌프질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좌심실 근육이 과도하게 성장하여 오히려 심장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40] 좌심실 비대증은 심장 초음파 검사나 심전도(EKG)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39]

또한, 심장의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도 시스템(특히 방실 결절 및 푸르키네 섬유)에 이상이 생기면 부정맥 발생 위험이 커지고, 이는 급성 심정지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로 인한 심정지 발생 위험 자체는 낮은 편이다. 전도 차단이 심각하거나 전기생리학적 장애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으로 판단될 경우, 체내 제세동기 삽입술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29]

관상 동맥 질환과 관련이 없는 구조적 심장 질환은 전체 급성 심장사의 약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0][34] 1999년 미국의 급성 심장사 검토 결과에 따르면, 특히 30세 미만의 젊은 연령층에서는 급성 심정지의 30% 이상이 이러한 구조적 심장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6][34]

2. 1. 3. 유전성 부정맥 증후군

심장의 구조적인 문제 없이 발생하는 부정맥은 급성 심정지 원인의 5~10%를 차지한다.[229][230][231] 이러한 부정맥은 대부분 유전자 변이로 인한 유전 질환 때문에 발생하며[273], 세포막을 통해 전하를 띤 입자를 운반하는 특수한 단백질인 이온 채널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많아 '채널병증'이라고도 불린다.

대표적인 유전성 부정맥 증후군으로는 QT 연장 증후군(LQTS), 브루가다 증후군, 카테콜아민성 다형성 심실 빈맥(CPVT), QT 단축 증후군 등이 있다. 또한, 큰 소리에 대한 반응과 같이 환경적 또는 신경학적 요인이 치명적인 부정맥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유전자 변이가 원인이 아니면서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으로는 WPW 증후군이 있다.[215]

특히 QT 연장 증후군은 젊은 나이에 발생하는 심정지의 원인 중 하나로 언급되는데, 신생아 5,000~7,000명당 1명꼴로 발생하며, 미국에서 발생하는 연간 약 30만 건의 구급대 대응 심정지 중 약 3,000건이 이 증후군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232] 이는 전체 심정지 사망자 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낮지만, 심정지가 발생하기 전에 발견하여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QT 연장 증후군은 심정지보다는 실신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더 흔하지만, 심정지 위험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급성 심정지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QT 연장 증후군이나 다른 치료 가능한 치명적 부정맥에 대한 선별 검사를 받는 것이 권장된다. 심정지 위험이 높은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여성
  • QT 간격 연장이 현저한 경우
  • 원인 불명의 실신(실신 발작) 경험이 있는 경우
  • 젊은 나이에 심장 돌연사 가족력이 있는 경우


또한, QT 연장 증후군 환자는 특정 항부정맥제, 항우울제, 퀴놀론계 또는 마크로라이드계 항생 물질 등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약물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233]

2. 2. 비심장성 원인

비심장성 원인, 즉 심장 외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정지는 전체 사례의 15~25%를 차지한다.[43][46] 일반적인 비심장성 원인으로는 호흡 정지, 당뇨병, 특정 약물의 영향, 둔상 (특히 흉부 손상) 등이 있다.[2][47][48]

당뇨병 환자는 증상이 없는 심근 허혈, 자율신경계 기능 장애,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한 심장 재분극 이상 등이 심정지 위험을 높일 수 있다.[50] 또한 특정 약물, 예를 들어 마크로라이드 계열 항생제, 이뇨제, 일부 항부정맥제 등은 기존의 부정맥을 악화시켜 심정지를 유발할 위험이 있다.[2]

심정지의 가역적인 비심장성 원인을 기억하기 위한 연상 기호로 Hs and Ts가 사용된다. 이는 저혈량증, 저산소증, 산증 (수소 이온 과다), 고칼륨혈증/저칼륨혈증, 저체온증, 저혈당증 (Hs)과 독소, 심장 압전, 기흉, 혈전증 (심근 경색), 혈전색전증, 외상 (Ts)을 포함한다. 이러한 원인들은 신속하게 교정하면 심정지 상태를 되돌릴 가능성이 있다.

심정지 발생에는 일주기 패턴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4] 하루 중 오전과 오후에 발생 빈도가 높으며,[55] 자정부터 오전 6시 사이에 발생 시 생존율이 가장 낮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56]

소아 심정지의 가장 흔한 원인은 치료받지 않은 쇼크 또는 호흡 부전이며, 성인과 달리 무수축이나 서맥 형태가 많다.[273] 코카인, 메스암페타민과 같은 약물 중독이나 항우울제 과다 복용도 소아 심정지의 비심장성 원인이 될 수 있다.[273]

2. 2. 1. 호흡 정지

심정지의 비심장 관련 원인 중 하나로 호흡 정지가 있다. 폐색전증, 질식, 익사, 외상, 약물 과다 복용 및 중독 등 다양한 이유로 호흡 기능이 멈추게 되면, 신체에 산소 공급이 중단되고 이산화탄소가 축적된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심장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쳐 결국 심정지로 이어질 수 있다.

2. 2. 2. 기타 비심장성 원인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는 추가적인 비심장성 원인으로는 출혈, 대동맥 파열, 저혈량 쇼크, 폐색전증, 해파리의 독침으로 인한 중독, 전기 손상 등이 있다.[80][51][52][53]

3. 증상

심정지는 약 50%의 경우 특별한 경고 증상 없이 갑자기 발생한다.[20][206] 증상을 경험하는 사람도 있지만, 이러한 증상들은 심정지에만 나타나는 특유한 것은 아니다.[21][207] 예를 들어, 갑자기 가슴 통증이 생기거나 심해지고, 피로감을 느끼거나, 실신, 어지럼증, 호흡 곤란, 무력감,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21][9][207][208]

심정지가 발생하면 로 가는 혈류가 멈추기 때문에 환자는 빠르게 의식을 잃고 호흡이 멈추게 된다. 또한 맥박 (손목이나 목 등에서 느껴지는 동맥의 박동)이 만져지지 않는 것이 중요한 징후이다.[172]

일반인이 주변 사람에게서 의식 불명, 비정상적인 호흡, 맥박 없음 등의 징후를 발견하여 심정지가 의심될 경우, 즉시 심정지 상태로 간주하고 행동해야 한다. 주변 사람들은 즉시 응급 의료 서비스 (한국의 경우 119)에 전화하고 심폐 소생술을 시작해야 한다.

4. 진단

의료진이 모의 환자의 경동맥 맥박을 확인하고 있다.


심정지는 임상적 사망과 동의어이다.[14] 심정지 진단은 기본적으로 신체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특히 맥박의 부재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80] 많은 경우, 경동맥이나 쇄골하 동맥과 같은 중심 동맥에서 맥박이 만져지지 않는 것을 표준 진단 기준으로 삼는다. 손목의 요골동맥이나 발등 동맥과 같은 말초 맥박은 쇼크 상태 등 다른 이유로도 느껴지지 않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80]

환자의 병력을 자세히 파악하는 것은 심정지의 잠재적 원인을 찾고 예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80] 의료진은 심정지 발생 당시 상황(목격자 유무, 발생 시각, 환자의 활동 상태, 외상 여부, 약물 관련성 등)을 확인해야 한다.[80]

소생술을 시도하는 동안에는 심전도(EKG)를 포함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장비를 환자에게 부착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분석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EKG 판독은 현재 나타나는 심장 부정맥의 종류를 식별하고, CPR이나 제세동 후 심장 리듬의 변화를 추적하는 데 필수적이다. 임상의는 EKG 리듬에 따라 심정지를 "제세동 가능 리듬"과 "제세동 불가능 리듬"으로 분류한다.[67] 제세동 가능 리듬은 심실 세동과 무맥성 심실 빈맥이며, 제세동 불가능 리듬은 무수축과 무맥성 전기 활동이다.[63] 소생술 후에는 12유도 EKG 검사를 통해 ST분절 상승 심근경색(STEMI)과 같이 특정 치료가 필요한 심정지의 원인을 밝히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응급 진료 초음파(POCUS)는 환자 곁에서 직접 심장의 움직임과 수축력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다.[64] POCUS는 병원 환경에서 심정지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심장 벽의 움직임을 시각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64] 이를 통해 심장의 전기적 활동이 실제 맥박으로 이어지는지, 아니면 가짜 맥박인지 판단하고, 잠재적으로 교정 가능한 원인을 찾는 데 활용될 수 있다.[65] 미국 심장 초음파 학회, 미국 응급 의학 학회, 유럽 소생 협의회, 미국 심장 협회 등 여러 전문 기관의 가이드라인과 2018년 전문 심장 생명 유지술 가이드라인에서는 POCUS가 심정지 진단 및 관리에 잠재적인 이점이 있음을 인정했다.[65] 또한 POCUS, 특히 경흉부 초음파는 소생술의 결과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2020년의 한 연구에서는 초음파상 심장 운동이 확인되는 경우 CPR을 통한 단기 생존율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66]

과거에는 중심 맥박 확인이 중요하게 여겨졌으나, 맥박 확인의 부정확성 때문에 유럽 소생 협의회와 같은 일부 기관에서는 그 중요성을 낮추고 있다. 현재 가이드라인은 의식이 없고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적인(고통스러운 호흡 등) 모든 사람에게 즉시 CPR을 시작하도록 권장한다.[67] 영국 소생 협의회와 미국 심장 협회 역시 이와 유사한 권고를 하고 있으며, 경동맥 맥박 확인은 숙련된 의료 전문가만 시행하고 다른 임상 징후와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제안한다.[14][67]

과거 ILCOR는 맥박 대신 기침, 헐떡거림, 피부색, 경련, 움직임과 같은 "순환의 징후"를 찾도록 권고했으나[14][68], 이러한 징후 확인의 비효율성이 밝혀지면서 현재는 무의식 상태이고 정상적으로 호흡하지 않는 경우 심정지로 진단하도록 권고하고 있다.[14] 급성 상황이 아닌 경우, 사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분자 부검 또는 사후 분자 검사를 통해 심장 이온 채널의 유전적 결함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69]

심정지의 원인을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른 신체적 징후나 증상들도 있다.[80] 다음 표는 잠재적 원인과 관련된 신체 검사 소견을 요약한 것이다.

잠재적 원인과 관련된 신체적 소견[80]
위치소견가능한 원인
일반창백한 피부출혈
체온 감소저체온증
기도분비물, 구토물, 혈액의 존재흡인
양압 환기 제공 불가능기흉
목 정맥 확장긴장성 기흉
한쪽으로 편위된 기관긴장성 기흉
가슴흉골 중앙의 흉터심장 질환
한쪽에서만 호흡음긴장성 기흉
호흡음 없음 또는 희미한 호흡음식도 내 삽관
천명흡인
수포음흡인
심장심음 감소저혈량증
복부팽만 및 둔탁함파열된 복부 대동맥류
팽만 및 고창식도 내 삽관
직장혈액 존재위장관 출혈
사지비대칭 맥박대동맥 박리
피부바늘 자국약물 남용



심정지는 맥박(손목이나 목 등의 동맥 박동)을 확인할 수 없는 상태로 진단된다.[172] 심박(가슴 청진이나 심전도로 확인 가능한 심장의 박동)과 맥박은 의학적으로 다른 개념이다.[182][183] 심전도상 심실 세동이나 심실 빈맥 외의 리듬이 보이거나, 심지어 정상 리듬처럼 보여도 맥박이 촉지되지 않으면 심정지 상태이며, 이를 무맥성 전기 활동이라고 한다.[184][185][186] 심전도상 전기적 활동이 전혀 없는 평탄선(flat line)은 무수축이라고 하며, 이는 심정지 중에서도 더 심각한 상태이다.[186][187][188]

5. 치료

심정지는 소생술 시도로 치료할 수 있으며, 이는 주로 기본 인명 구조(BLS), 전문 심장 구조술(ACLS), 소아 전문 소생술(PALS), 또는 신생아 소생술 프로그램(NRP) 지침에 따라 이루어진다.[14][78][238][271] 심정지 환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즉각적인 심폐소생술(CPR)과 필요한 경우 제세동을 시행하는 것이다.[189][190] 치료 시작이 늦어질수록 생존 확률은 급격히 감소한다.[191][192]

심정지는 맥박이 만져지지 않는 것으로 진단하며,[172] 심실세동이나 무맥성 심실 빈맥 같은 치명적 부정맥이 흔한 원인이지만,[180] 맥박이 없는 상태에서 심전도상 전기 활동만 보이는 무맥성 전기 활동이나 전기 활동 자체가 없는 무수축 상태일 수도 있다.[184][185][186]

효과적인 심정지 치료는 "생존 사슬"이라는 개념으로 설명된다. 이는 심정지 예방, 조기 인식 및 신고, 신속한 CPR, 빠른 제세동, 효과적인 전문 소생술, 통합적인 소생 후 치료가 끊김 없이 이어지는 것을 의미한다.[314][203][315] 이 중 어느 한 단계라도 지연되면 생존 가능성은 크게 낮아진다.[314]

치료의 핵심은 즉각적인 CPR 시작과, 제세동이 필요한 부정맥(심실세동, 무맥성 심실 빈맥) 확인 시 신속한 제세동 시행이다.[167] 병원 밖에서는 자동 제세동기(AED)의 역할이 중요하며, 일반인도 기본 인명 구조(BLS)를 시행할 수 있다. 의료 전문가는 전문 심장 구조술(ALS)을 통해 에피네프린 투여, 기도 확보, 산소 투여 등 고급 처치를 시행한다.[196] CPR 중에는 중단 없는 고품질의 가슴 압박이 뇌와 심장 혈류 유지에 필수적이다.[198][199]

병원 내 심정지 시에는 '코드 블루'를 통해 전문 소생팀이 소집되며, 병원 밖에서는 즉시 119에 신고하고 주변에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314]

출혈, 저산소증 등 특정 원인이 있는 경우 해당 원인에 대한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환자나 가족의 사전 의사에 따라 소생 거부(DNR) 결정이 내려진 경우에는 소생술을 시행하지 않는다.[194]

심장 박동이 회복된 후에는 신경 손상을 줄이기 위한 체온 관리 요법이나[200][201] 재발 방지를 위한 이식형 제세동기(ICD) 삽입 등이 고려될 수 있다.[202] 경우에 따라 체외 막형 인공 폐(ECMO)나[320] 심장 카테터 시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321] 전흉부 타격은 매우 제한적인 상황(목격된 불안정 심실 빈맥, 제세동기 즉시 사용 불가)에서만 고려될 수 있으며, CPR이나 제세동을 지연시켜서는 안 된다.[322]

심정지 치료는 매우 어렵고 시간과의 싸움이며, 병원 밖 심정지의 생존율은 전체적으로 10% 미만으로 낮다.[323][324] 생존하더라도 뇌 손상 등으로 인한 다양한 후유증, 즉 심정지 후 증후군을 겪을 수 있으며, 이는 경미한 기억 장애부터 식물 상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204][274]

5. 1. 심폐소생술 (CPR)

마네킹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훈련


심폐 소생술(CPR)은 심장 박동과 호흡이 멈춘 환자에게 인공적으로 혈액 순환과 호흡 기능을 유지시켜주는 응급처치이다.[14][78][238][271] 심정지 발생 시 조기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것은 기능 손상 없이 생존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79][80][272][273] 일단 시작하면 중단을 최소화하면서 가능한 한 빨리 시행하는 것이 권장된다.[80][272][273]

심폐소생술의 핵심 요소는 효과적인 가슴 압박과 필요한 경우 제세동을 시행하는 것이며, 인공 호흡도 포함된다.[81][274] 이러한 조치를 통해 뇌와 심장 등 주요 장기에 산소가 포함된 혈액을 공급하여 생존 가능성을 높인다.

일반인이 올바르게 수행하는 심폐소생술은 생존율 향상에 기여하지만,[90][281] 구급대원의 전화 지시를 받으며 시행하면 더욱 효과적이다.[84] 특히 운동 중 발생한 심정지나 심장 문제로 인한 심정지로 추정될 경우, 일반인의 신속한 대처(가슴 압박 위주 CPR 또는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 등)가 중요하다.[85][94][284]

고품질의 심폐소생술에도 불구하고 에 이르지 못하고 심장 리듬이 무수축인 경우, 일정 시간(일반적으로 20분) 후 소생술 중단을 고려할 수 있다.[86][275] 다만, 저체온증이나 익사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는 더 장시간의 소생술이 필요할 수 있다.[81][86][274][275] 임신 20주 이후 임산부의 심정지 시에는 특별한 조치(자궁 변위)가 필요하며, 빠른 시간 내 맥박 회복이 안 되면 응급 제왕 절개도 고려된다.[153][341]

5. 1. 1. 가슴 압박

심폐 소생술(CPR)에서 가슴 압박은 생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81][274] 심정지 발생 시 가능한 한 빨리 가슴 압박을 시작하고, 일단 시작하면 중단을 최소화해야 한다.[80][272][273] 이는 기능 손상 없이 생존하는 데 필수적이다.[79][80]

가슴 압박은 분당 100~120회의 속도로 시행하며,[80][273] 가슴 중앙 부위를 약 5cm에서 6cm 깊이로 강하게 압박해야 한다.[80][273] 압박 사이에는 가슴이 완전히 원래 위치로 돌아오도록 충분한 이완 시간(가슴 재확장)을 주어야 한다.[80][273] 제세동이 필요한 경우, 제세동 실시 후에는 다음 심장 리듬 확인 전까지 2분 동안 가슴 압박을 계속하는 것이 권장된다.[80][273]

기계를 이용한 가슴 압박 장치도 있지만, 사람이 직접 손으로 하는 가슴 압박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근거는 없다.[82][280] 또한, 제세동을 즉시 시행하는 것과 비교하여 제세동 전에 몇 분간 가슴 압박을 먼저 하는 것이 결과에 차이를 주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83][286]

일반인이 시행하는 심폐 소생술은 생존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실제 병원 밖 심정지 상황에서 시행되는 비율은 낮은 편이다 (2007년 기준 30% 미만).[90][281] 구급대 지시를 받으며 CPR을 시행하는 경우, 지시 없이 시행하는 것보다 생존율 등 결과가 더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84] 특히 운동 중 발생한 심정지의 경우, 일반인의 빠른 CPR과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이 생존율 향상에 기여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85] 심장 문제로 인한 심정지로 추정될 경우, 일반 구조자는 인공 호흡 없이 가슴 압박만 지속하는 심폐 소생술을 시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284] 구급대원이 도착하기 전에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것은 환자의 예후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266]

고품질의 심폐 소생술을 지속했음에도 불구하고 에 이르지 못하고 심장 리듬이 무수축 상태로 확인될 경우, 일반적으로 20분 정도 후에 심폐 소생술 중단을 고려하고 사망 선고를 내릴 수 있다.[86][275] 그러나 저체온증이나 익사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는 예외가 적용될 수 있으며,[81][86][274][275] 이러한 경우에는 환자의 체온이 거의 정상 체온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더 오랫동안 지속적인 심폐 소생술이 필요할 수 있다.[81][274]

임신 20주 이후의 임산부에게 심정지가 발생한 경우, 심폐 소생술 중 자궁을 왼쪽으로 밀거나 당겨서 앙와위 저혈압 증후군을 완화해야 한다.[153][341] 만약 4분 이내에 맥박이 회복되지 않으면 응급 제왕 절개를 고려해야 한다.[153][341]

5. 1. 2. 인공호흡

심폐 소생술(CPR) 중에는 가슴 압박 30회당 인공호흡 2회를 실시하는 비율(30:2)이 권장된다.[80][273][94][284] 이는 분당 10회의 호흡 환기 속도에 해당한다.[80][273]

심정지 환자는 구토나 역류가 흔히 발생하므로, 호흡을 돕기 위해 백 밸브 마스크를 사용하거나 기도 확보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82][87][88][280][277][278] 이러한 경우, 흡인을 동반한 후두경 기도 확보술(Suction Assisted Laryngoscopy Airway Decontamination)과 같이 기존의 구강 인두 흡인법을 변형하여 적용해야 할 수도 있다.[89][279] 심폐소생술 중에는 일반적으로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한다.[82][280]

기관 삽관은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이나 신경학적 결과를 향상시킨다는 명확한 근거는 없으며,[90][91][281][282] 병원 도착 전 응급 의료 환경에서는 오히려 상태를 악화시킬 수도 있다는 보고도 있다.[92][283] 기관 내 튜브와 상후두 기도(supraglottic airway)는 효과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91][282]

과거에는 입과 입을 맞대어 숨을 불어넣는 방식의 인공호흡이 시행되었으나, 환자로부터 감염성 질환에 걸릴 위험 때문에 점차 시행되지 않는 추세이다.[93][285]

응급 의료 전문가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때는 가슴 압박 30회 후 인공호흡 2회를 하는 것이, 가슴 압박을 지속하면서 동시에 인공호흡을 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여겨진다.[94][284]

반면, 일반인이 심장 문제로 인한 심정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할 경우에는 인공호흡을 생략하고 가슴 압박만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가슴 압박과 인공호흡을 함께하는 표준 심폐소생술보다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94][284] 이는 일반인이 효과적인 인공호흡을 수행하기 어렵고, 가슴 압박이 중단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5. 2. 제세동

시인성이 높은 주황색 벽 칸에 보관된 자동 제세동기


제세동은 심실 세동이나 무맥성 심실 빈맥과 같이 전기 충격에 반응하는 특정 심장 리듬이 나타날 경우 시행하는 치료법이다.[95] 이러한 충격 가능 리듬은 생존 가능성이 25~40%에 달하지만, 무수축이나 무맥성 전기 활동과 같은 충격 불가능 리듬의 경우 생존율은 5% 미만으로 현저히 낮다.[95] 따라서 제세동은 무수축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이 경우에는 먼저 심폐 소생술(CPR)을 시작해야 한다.

  • 심실 세동 (Ventricular Fibrillation, VF): 심장의 심실(아래쪽 방)이 무질서하고 매우 빠르게 수축하여 사실상 혈액을 펌프질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이는 조절되지 않는 전기적 활동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96] 심전도(ECG)에서는 일반적으로 P파(심방의 활동을 나타내는 파형) 없이 불규칙한 QRS 복합체(심실의 활동을 나타내는 파형)가 나타난다.[97]
  • 무맥성 심실 빈맥 (Pulseless Ventricular Tachycardia, pVT): 심실이 매우 빠르게 뛰는 상태(심실 빈맥)이지만, 너무 빨라서 심장이 효과적으로 혈액을 내보내지 못해 맥박이 만져지지 않는 경우이다. ECG에서는 일반적으로 분당 100회 이상 발생하는 넓은 QRS 복합체가 나타난다.[98] 지속되면 혈액 순환이 심각하게 저하되어 주요 장기에 손상을 입히고 심정지로 이어진다.


제세동을 위한 전극 패드 부착 시연


제세동기는 환자의 가슴에 부착된 전극 패드를 통해 전기 전류를 전달한다. 이 전류는 심장 근육 세포를 일시적으로 탈분극시켜 비정상적인 전기 활동을 멈추고 정상적인 리듬으로 돌아올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99] 제세동기는 단상 파형 또는 이상(二相, biphasic) 파형으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으며, 현재는 이상 파형 제세동기가 더 일반적이다.[100][101] 이전 연구에 따르면 이상 파형 충격이 단일 충격 후 제세동 성공 가능성이 더 높지만, 생존율 자체는 두 방법 간에 유사하다는 결과가 있다.[101] 소아에게는 체중 1kg당 2~4줄(Joule)의 에너지로 제세동을 시행하는 것이 권장된다.[288]

병원 밖에서 심정지가 발생했을 경우, 자동 제세동기(AED)를 사용하여 제세동을 시행한다. AED는 의료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휴대용 기기이다. 기기는 음성 안내를 통해 사용 절차를 안내하고, 환자의 심장 리듬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제세동이 필요한지 판단하며, 필요시 적절한 전기 충격을 전달한다. 일부 최신 AED는 심폐 소생술(CPR) 시 가슴 압박의 깊이와 속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구조자가 효과적인 CPR을 하도록 돕기도 한다.[102][289]

공공장소에 AED를 설치하고 일반인에게 사용법을 교육하는 공공 접근 제세동(Public Access Defibrillation, PAD) 프로그램이 확대되고 있다. 이를 통해 구급대가 도착하기 전에 신속하게 제세동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이는 심정지 환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인적이 드문 곳이나 AED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서 심정지가 발생한 경우 예후가 더 좋지 않다.[103][290]

제세동은 맥박이 촉지되지 않는 심실 세동 및 무맥성 심실 빈맥에만 적용된다. 맥박이 있는 상태에서 불안정한 부정맥(예: 상심실 빈맥)을 치료하기 위해 전기 충격을 사용하는 전기적 심율동 전환과는 다르다. 전기적 심율동 전환은 환자의 심장 리듬(QRS파)에 맞춰 동기화된 시점에 전기 충격을 전달한다.

심정지에서 회복된 후에도 재발 방지 등을 위해 제세동기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는 착용형 제세동기, 피하 삽입형 심장 제세동기, 삽입형 제세동기(ICD) 등이 포함된다.[104]
삽입형 제세동기 (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 ICD)는 몸 안에 삽입하는 작은 배터리 구동 장치로, 지속적으로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감시하다가 치명적인 부정맥(심실 세동 또는 심실 빈맥)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전기 충격을 전달하여 정상 리듬으로 되돌린다. ICD는 과거에 심실 세동이나 심실 빈맥으로 인한 심정지를 경험했던 환자들의 심장 돌연사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된다(이차 예방).[268] ICD는 또한 특정 고위험 환자 집단(예: 심각한 심장 기능 저하를 보이는 환자 등)에서 심장 돌연사를 예방하기 위해 예방적으로 사용된다(일차 예방).[269] 여러 연구에서 ICD는 항부정맥 약물 치료에 비해 생존율을 유의하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68] ICD 치료는 부정맥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약 50%,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을 약 25% 감소시킨다.[270]
흉부 타격은 목격되고 감시되는 상황에서 발생한 불안정한 심실 빈맥(무맥성 심실 빈맥 포함) 환자에게 제세동기를 즉시 사용할 수 없을 때 고려해 볼 수 있는 방법이지만, 심폐 소생술 및 제세동 지연을 초래해서는 안 되며, 목격되지 않은 병원 밖 심정지 환자에게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134]

5. 3. 약물 치료

전문 심장 구조술(ACLS) 프로토콜에서 권장되는 약물에는 에피네프린, 아미오다론, 리도카인이 있다.[19] 이러한 약물의 투여 시기와 방법은 심정지의 기저 부정맥에 따라 달라진다.

  • 에피네프린: 알파-1 수용체에 작용하여 심장으로 가는 혈액 공급을 증가시킨다.[105] 성인의 경우 에피네프린은 생존율을 향상시키지만,[106] 신경학적으로 정상적인 상태로 생존할 확률을 높이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107][296][297][298] 심실 세동 및 무맥성 심실 빈맥의 경우, 심폐 소생술(CPR) 및 제세동 후 에피네프린 1 mg을 3~5분마다 투여한다.[82] 무수축과 같은 비-제세동 리듬에서는 CPR 후 가능한 한 빨리 1 mg의 에피네프린을 3~5분마다 투여하여 제세동 가능한 리듬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108][300] 심정지 시 에피네프린 1 mg 이상의 용량이나[82] 고용량 에피네프린의 일상적인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300] 장기적인 유익성이 부족한 것은 에피네프린 사용 지연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02] 소아에서의 에피네프린 사용을 뒷받침하는 명확한 증거는 부족하지만, 가이드라인에서는 그 사용이 타당하다고 보고 있다.[274][288]

  • 아미오다론리도카인: 항부정맥제이다. 아미오다론은 III급 항부정맥제로 심실 세동, 무맥성 심실 빈맥, 넓은 QRS 빈맥에 사용할 수 있다.[109] 리도카인은 IB급 항부정맥제로, 급성 부정맥 관리에 사용될 수 있다.[110] 이러한 약물들은 제세동 시도가 실패한 후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제세동에도 불구하고 심실 빈맥이나 심실 세동이 지속되는 환자에게 리도카인이나 아미오다론은 입원 시 생존율은 유사하게 향상시키지만, 퇴원 시 생존율을 향상시키지는 못한다.[111][305] 아미오다론은 추가적인 CPR 및 제세동 후 투여할 수 있으며, 첫 용량은 300 mg 볼러스, 두 번째 용량은 150 mg 볼러스로 투여한다.[82] 쇼크 가능한 리듬을 가진 소아 심정지에서는 리도카인과 아미오다론 사용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280][288]

  • 바소프레신: 에피네프린과 비교했을 때 전반적인 결과를 개선하거나 악화시키지 않는다.[82][280] 에피네프린, 바소프레신, 메틸프레드니솔론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결과를 개선하는 것으로 보인다.[114][301]

  • 탄산수소나트륨: 대사성 산증이나 고칼륨혈증과 같이 심정지의 원인이 되거나 악화시킬 수 있는 상태를 안정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산-염기 또는 전해질 불균형이 명백하지 않은 경우, 일상적인 사용은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권장되지 않는다.[112][280][303]

  • 칼슘: 강심제 및 혈관수축제로 작용하며, 고칼륨혈증이나 칼슘 통로 차단제 중독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하지 않고 오히려 신경학적 결과를 악화시키는 등 해를 끼칠 수 있어 심정지 시 일상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113][280][303] 소아에서의 칼슘 사용은 생존율 및 신경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다.[273]

  • 아트로핀: 과거에는 증상이 있는 서맥에 사용되었으나, 미국 심장 협회(AHA)의 2010년 지침에서는 무맥성 전기 활동 및 무수축 시 아트로핀 사용을 뒷받침하는 증거 부족으로 권고 목록에서 삭제했다.[117][81][274][304] 아트로핀, 리도카인, 아미오다론의 사용은 심정지로부터의 생존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115][116][81][274][291][292][293][294][295]


특정 원인에 따른 약물 치료는 다음과 같다.

  • 삼환계 항우울제(TCA) 과다 복용: 활성탄과 탄산수소나트륨이 치료에 포함된다.[120]
  • 토르사드 드 푸앵트(Torsades de pointes): 마그네슘 2g(정맥 또는 골내 투여)을 투여할 수 있다. 특별한 징후가 없으면 일반적으로 심정지 시 마그네슘을 투여하지 않는다.[121]
  • 폐색전증: 심정지 원인으로 확인된 경우 혈전 용해제가 도움이 될 수 있으나,[122][153][341][306] 그렇지 않은 경우 해를 끼칠 수 있다.[341]
  • 오피오이드 과다 복용: 날록손 사용에 대한 증거는 불분명하지만, 사용할 수 있다.[153][341]
  • 국소 마취제 중독: 지방 유제를 사용할 수 있다.[153][341]

국소 마취제 중독으로 인한 심정지에는 지방 유제가 사용된다.


2016년 기준으로, 에피네프린 외의 약물 요법(아트로핀, 리도카인, 아미오다론 포함)은 병원 밖 심정지 후 퇴원까지의 생존율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274]

소아의 경우, 약물의 올바른 투여량은 체중에 따라 결정된다.[273] 투약량 계산 시간을 줄이기 위해 소아 응급용 테이프(Broselow tape) 사용이 권장된다.[273]

5. 4. 체온 관리 요법

현재 국제 지침은 신경학적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목표 체온 관리(TTM) 또는 체온 조절 치료법을 사용하여 심정지 후 성인 환자를 냉각하도록 권장한다.[123][308] 이 과정에는 일반적으로 32°C에서 36°C 사이를 목표 체온으로 설정하여 24시간 동안 냉각한 후, 다음 12~24시간에 걸쳐 서서히 체온을 정상으로 되돌리는 재가온 과정이 포함된다.[124][125][309][310] 체온을 낮추기 위해 얼음 팩이나 찬물 순환 패드를 몸에 직접 대거나, 차가운 생리 식염수를 정맥 주사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병원 밖 심정지(OHCA) 후 TTM의 효과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TTM 치료를 받은 환자에게서 더 나은 신경학적 결과가 나타났다고 보고하지만,[17][16] 다른 연구에서는 사망률이나 신경학적 결과 개선 효과가 명확히 입증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신경학적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보고도 존재한다.[126][311]

특히,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시행하는 TTM(병원 전 TTM)은 재심정지 발생률을 높이는 등[123][308] 환자에게 불리한 결과를 초래할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23][308]

Osborn 파(J 파)는 TTM 시행 중, 특히 33°C 정도의 낮은 체온으로 관리되는 환자에게서 자주 관찰될 수 있는 심전도 변화이다.[127] 이 파형은 심실성 부정맥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과는 관련이 없으며, 오히려 사망률 감소와 연관된 긍정적인 생리적 반응일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127]

6. 예방

심정지는 발생 후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 마련에 많은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18] 심정지 예방은 크게 두 가지 접근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1차 예방으로, 건강한 식단, 규칙적인 운동, 절제된 음주, 금연 등 건강한 생활 습관을 통해 심정지 발생 위험 자체를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18]

둘째는 2차 예방으로, 이미 심정지를 경험했거나 급사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 환자를 대상으로 이식형 제세동기(ICD) 등을 사용하여 심정지 재발이나 발생을 막는 방법이다.[74][76] ICD는 심장의 전기 활동을 감시하여 치명적인 부정맥 발생 시 전기 충격을 가해 정상 리듬을 회복시키는 장치이다.[74]

6. 1. 1차 예방

심정지 발생 후 긍정적인 결과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심정지 자체를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 마련이 중요하다.[18] 1차 예방은 건강한 식단, 규칙적인 운동, 절제된 음주, 그리고 금연을 통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여 심정지를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8]

심정지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흡연,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부정맥 병력, 운동 부족, 비만, 당뇨병, 가족력, 심근병증, 과도한 알코올 섭취 등이 있다.[24][25][26][27] 특히 관상 동맥 질환을 앓고 있는 현재 흡연자는 30세에서 59세 사이에 급사 위험이 2~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0][28] 다행히 금연을 하면 위험도가 감소하여, 담배를 피운 적 없는 사람과 비슷한 수준으로 낮아진다.[20][28] 이러한 위험 요인들이 여러 개 복합적으로 작용할 경우, 심정지 발생 위험은 단순히 각 위험 요인의 합보다 더 커지는 경향이 있다.[29]

운동은 일반적으로 심정지 예방에 효과적이지만, 기존에 심장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는 주의가 필요하다.[70] 심장 질환자는 운동 중이나 운동 직후 일시적으로 치명적인 심장 사건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70] 하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심장 질환자가 규칙적인 운동을 꾸준히 하면 심정지의 평생 위험과 급성 위험이 모두 감소하므로, 운동으로 얻는 이점이 위험보다 클 수 있다.[70]

식단 역시 심정지 발생률을 낮출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2021년 연구에 따르면, 지방 함량이 높고 튀긴 음식, 계란, 내장 및 가공육, 설탕 첨가 음료 등을 많이 섭취하는 소위 "미국 남부 식단" 유형은 심정지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71] 반면, 채소, 과일, 통곡물, 생선, 건강한 지방 위주의 지중해식 식단을 따르는 사람들은 심정지 위험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71] 한편, 2012년 발표된 연구 검토 결과, 오메가-3 다불포화지방산(PUFA) 보충제 섭취는 돌연사 위험 감소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72]

또한, 2016년 발표된 코크란 리뷰에서는 혈압 강하 약물이 돌연사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증거는 중간 정도 품질이며 확실하지 않다고 결론지었다.[73]

6. 2. 2차 예방

급성 심정지를 경험하고 생존한 사람은 다시 심정지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22] 한 연구에 따르면, 병원 밖 심정지 생존자의 약 15%가 두 번째 심정지를 경험하며, 이는 대부분 첫 해 안에 발생한다.[23] 이렇게 재발 위험이 높은 경우, 심정지 재발을 막기 위한 2차 예방이 중요하다.

이식형 제세동기 (ICD) 그림


2차 예방의 주요 방법 중 하나는 이식형 제세동기(ICD, 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를 사용하는 것이다. ICD는 몸 안에 삽입하는 작은 배터리 구동 장치로,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지속적으로 감시한다. 만약 심실세동이나 심실 빈맥과 같은 위험한 부정맥이 감지되면, ICD는 즉시 전기 충격을 보내 비정상적인 심장 리듬을 멈추고 정상 리듬으로 되돌리도록 돕는다.[74][268]

ICD는 특히 심실세동이나 심실 빈맥으로 인한 급성 심정지(SCA)를 겪고 생존한 사람들의 급사(SCD, Sudden Cardiac Death)를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이차 예방).[74][268] 여러 연구 결과, 항부정맥제와 같은 약물 치료와 비교했을 때 ICD를 사용한 환자들의 생존율이 더 높았다.[74][268] ICD 치료는 부정맥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50% 상대적으로 감소시키고,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을 25%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75][270]

또한, ICD는 심정지를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급사 위험이 매우 높은 특정 환자 그룹(예: 심각한 허혈성 심근병증 환자)에게 1차 예방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76][269] 이러한 고위험 환자들은 좌심실 박출 계수(LVEF)가 현저히 낮은 경우(예: MADIT-II 연구 기준 30% 이하, MUSTT 연구 기준 40% 이하) 등으로 판단될 수 있다.[74][76][268][269]

7. 대한민국 현황 및 정책

자동 제세동기(AED)는 병원 밖 심정지 발생 시 생존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89] AED는 사용법에 대한 음성 안내를 제공하여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공공장소 설치가 확대되면 구급대 도착 전 제세동 시행 가능성을 높여 생존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290]

전 세계적으로 심폐소생술을 받고 병원 밖 심정지에서 회복된 사람의 비율은 약 30%이며, 이 중 퇴원까지 생존하는 비율은 약 9%로 추정된다.[336] 병원 밖 심정지 환자의 전체 생존율은 약 10% 수준이다.[323][324] 특히 자택에서 발생한 경우(전체 병원 밖 심정지의 약 70%) 생존율은 6%로 더 낮아진다.[325][326] 병원 내 심정지의 경우 퇴원까지 생존율은 약 22%이다.[274][329] 지역별 편차가 존재하여, 아시아 국가에서는 유럽이나 북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생존율이 관찰되고 있다.[336]

심정지 생존자의 예후는 다양하며, 저산소성 뇌손상은 가장 심각한 후유증 중 하나이다.[330] 생존하더라도 기억 상실(경도 기억 장애부터 혼수 상태까지 다양)이나 피로(생존자의 50~70%가 보고하는 가장 흔한 증상)와 같은 후유증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274][330] 심정지 발생 시 목격자의 CPR 시행 여부, 신속한 제세동(특히 심실세동이나 무맥성 심실 빈맥의 경우)이 생존율과 예후 개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332] 목격자가 있었거나, 목격자 CPR을 받았거나, 평가 시 쇼크 가능 리듬(심실세동 또는 심실빈맥)이 있었던 경우 생존율이 더 높으며, 쇼크 가능 리듬 환자의 생존율은 15~23%에 달한다.[332] 여성은 남성보다 심정지에서 생존하여 퇴원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보고도 있다.[333]

8. 사회와 문화

많은 문헌에서 "심장 돌연사"는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심장 문제로 인한 갑작스러운 사망을 의미한다.[154][343] 하지만 일부 의사들은 심정지 후 생존한 경우에도 이를 "심장 돌연사"라고 부르기도 하여, 생존자에게서 "과거 심장 돌연사 경험"이라는 말을 들을 수도 있다.[155][344]

미국 심장 협회(AHA)는 2021년, "심장 마비(heart attack)"라는 용어가 심정지를 설명하는 데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고 명확히 했다.[156][345] 심장 마비는 혈액 공급 부족으로 심장 근육 조직이 죽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심정지는 심장의 전기 시스템(자극전도계) 기능 이상으로 발생한다.[156][345] AHA는 또한 "신속한 조치가 없다면 심정지는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이어진다. 심정지는 CPR이나 제세동, 전기적 심율동 전환, 심장 박동 조절(심장 페이싱) 등으로 회복된 경우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어야 하며, '심장 돌연사'는 치명적이지 않은 사건을 설명하는 데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설명했다.[156][346]

일본에서는 심정지가 심폐 정지(CPA)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347][348] 국제적으로는 '심정지'라는 용어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349]

8. 1. 코드 블루

병원에서 심정지 또는 이에 준하는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의료진을 긴급하게 호출하는 병원 응급 코드 중 하나로 코드 블루가 사용된다. 이는 임박했거나 급성으로 시작된 심정지 또는 호흡 부전 상황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131] 병원 내에서 소생 거부(DNR) 의사를 밝히지 않은 환자에게 예상치 못한 심정지나 그에 준하는 상태가 발생하면, 소생 대응을 위한 의료 종사자들의 긴급 소집을 위해 코드 블루가 발령되고 방송된다.

병원에서는 심정지를 "크래시(crash)" 또는 "코드(code)"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보통 코드 블루 상황을 의미한다. 심정지 발생 시 치료하는 행위를 "코드를 호출한다(calling a code)"고 표현하기도 한다.

코드 블루가 발령되면 다음과 같은 전문 인력 및 팀이 대응에 참여한다.

  • 크래시 팀 (Crash Team) 또는 코드 팀 (Code Team): 병원 내 모든 심정지 환자 발생 현장에 호출되는 팀으로, 소생술에 특별한 전문성을 가진 의료진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크래시 카트" 또는 "크래시 트롤리"라고 불리는 특수 카트를 사용하며, 여기에는 제세동기를 포함한 응급 장비와 약품이 실려 있다.
  • 응급 의료 팀 (Medical Emergency Team, MET): 심정지를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상태가 급격히 악화되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모든 응급 상황에 대응하는 팀이다. 이 팀의 활동은 병원 내 심정지(IHCA) 발생률을 줄이고 생존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8. 2. 슬로우 코드

"슬로우 코드"(slow code)는 심정지 환자에게 CPR이 의학적으로 유익하지 않다고 판단될 때, 형식적이거나 최적화되지 않은 CPR을 제공하는 행위를 가리키는 속어이다.[157][350] 비슷한 용어로 "쇼 코드"(show code)는 환자의 가족을 안심시키기 위해 실제 효과는 기대하지 않으면서 소생술을 시행하는 척하는 행위를 의미한다.[158][351]

이러한 행위는 윤리적으로 큰 논란이 있으며,[159][352] 일부 지역에서는 금지되기도 한다. 유럽 소생 협회는 2021년 가이드라인을 통해 의료진이 "슬로우 코드"에 참여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명확히 밝혔다.[157][350] 미국 내과의사 협회 역시 이러한 행위가 환자와 가족을 기만하는 것이므로 의사나 간호사가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160][353]

9. 소아 심정지

소아의 경우, 심정지의 가장 흔한 원인은 치료받지 않은 쇼크 또는 호흡 부전이다.[80][273] 심장 부정맥도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성인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심실 세동이나 심실 빈맥과는 달리 소아에서는 무수축 또는 서맥과 같은 부정맥이 더 흔하게 발생한다.[80][273]

이전에 건강했던 소아에게 갑작스러운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원인으로는 비대 심근증이나 관상동맥 기형 등이 있다.[161][239] 특히 소아 비대 심근증의 경우, 과거에 심장 관련 문제가 있었거나, 지속적이지 않은 심실 빈맥, 실신 경험, 좌심실 비대 등이 급사의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162] 또한, 코카인이나 메스암페타민과 같은 약물 사용, 또는 항우울제와 같은 특정 약물의 과다 복용도 소아 심정지의 원인이 될 수 있다.[80][273]

소아 심정지가 의심될 경우 즉시 심폐소생술(CPR)을 시작해야 한다. 소아 심정지 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은 관련 가이드라인에 제시되어 있다. 소아 소생술 시 권장되는 약물로는 에피네프린, 리도카인, 아미오다론 등이 있다.[163][81][82] 반면, 중탄산나트륨이나 칼슘의 투여는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으며, 특히 칼슘 사용은 신경학적 기능 저하 및 생존율 감소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82][164][80] 소아에게 사용되는 약물의 용량은 체중에 따라 결정되므로, 정확하고 신속한 용량 계산을 위해 브로슬로우 테이프와 같은 도구 사용이 권장된다.[80]

북미 지역의 통계에 따르면, 심정지가 발생한 소아의 생존율은 약 3~16% 수준이다.[163][328]

참조

[1] 웹사이트 'Cardiac Arrest - Symptoms ! NHLBI, NIH' https://www.nhlbi.ni[...] 2022-05-27
[2] 웹사이트 'Cardiac Arrest - Causes and Risk Factors ! NHLBI, NIH' https://www.nhlbi.ni[...] 2022-05-19
[3] 웹사이트 'Cardiac Arrest - Diagnosis ! NHLBI, NIH' https://www.nhlbi.ni[...]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2-05-19
[4] 웹사이트 Cardiac Arrest - Treatment https://www.nhlbi.ni[...]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2-05-19
[5] 서적 Emergency Medicine: Clinical Essentials (Expert Consult – Online)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2
[6] 논문 In-Hospital Cardiac Arrest: A Review 2019-03
[7] 논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quality: [corrected] improving cardiac resuscitation outcome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hospital: a consensus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3-07
[8] 논문 Cardiac Arrest: Resuscitation and Reperfusion 2015-06-05
[9] 웹사이트 'Cardiac Arrest - What Is Cardiac Arrest? ! NHLBI, NIH' https://www.nhlbi.ni[...] 2022-05-19
[10] 웹사이트 'Cardiac Arrest - What Is Cardiac Arrest? ! NHLBI, NIH' https://www.nhlbi.ni[...] 2022-05-19
[11] 서적 The Textbook of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and CPR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9
[12] 논문 Ambulatory sudden cardiac death: mechanisms of production of fatal arrhythmia on the basis of data from 157 cases 1989-01
[13] 논문 Sudden cardiac death in the United States, 1989 to 1998 2001-10
[14] 논문 2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05-12
[15] 논문 Post-cardiac arrest syndrome: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treatment, and prognostication. A consensus statement from the International Liaison Committee on Resuscitation (American Heart Association, Australian and New Zealand Council on Resuscitation,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Heart and Stroke Foundation of Canada, InterAmerican Heart Foundation, Resuscitation Council of Asia, and the Resuscitation Council of Southern Africa);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Committee; the Council on Cardiovascular Surgery and Anesthesia; the Council on Cardiopulmonary, Perioperative, and Critical Care; the Council on Clinical Cardiology; and the Stroke Council 2008-12
[16] 논문 Therapeutic hypothermia after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meta-analysis exploring the impact of expanded criteria and targeted temperature 2016-11
[17] 논문 Hypothermia for neuroprotection in adults after cardiac arrest 2023-05
[18] 웹사이트 How Can Death Due to Sudden Cardiac Arrest Be Prevented? http://www.nhlbi.nih[...] 2016-06-22
[19] 논문 'Part 4: Systems of Care and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5-11
[20] 서적 Braunwald's heart disease: a textbook of cardiovascular medicine Saunders
[21] 웹사이트 What Are the Signs and Symptoms of Sudden Cardiac Arrest? https://www.nhlbi.ni[...]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11-04-01
[22]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23] 논문 Long term risk of recurrence among survivors of sudden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2-07
[24] 논문 Family history as a risk factor for primary cardiac arrest 1998-01
[25] 논문 Prediction of Sudden Cardiac Arrest in the General Population: Review of Traditional and Emerging Risk Factors 2022-04
[26] 논문 Caffeine intake in relation to the risk of primary cardiac arrest 1997-09
[27] 논문 Alcohol consumption and risk of ventricular arrhythmias and sudden cardiac death: An observational study of 408,712 individuals 2022-02
[28] 논문 Current smoking, smoking cessation, and the risk of sudden cardiac death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2003-10
[29] 서적 Braunwald's Heart Disease: A Textbook of Cardiovascular Medicine Saunders 2015
[30] 웹사이트 Pathophysiology and etiology of sudden cardiac arrest https://www.uptodate[...] 2016-08-22
[31] 논문 'ACC/AHA/ESC 2006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Patients With Ventricular Arrhythmias and the Prevention of Sudden Cardiac Death: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and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Committee for Practice Guidelines (writing committee to develop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Patients With Ventricular Arrhythmias and the Prevention of Sudden Cardiac Death):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the European Heart Rhythm Association and the Heart Rhythm Society' 2006-09
[32] 논문 The transient outward potassium current plays a key role in spiral wave breakup in ventricular tissue 2021-02
[33]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1
[34] 논문 Sudden cardiac death in the United States, 1989 to 1998 2001-10
[35] 서적 Atherothrombosis and Coronary Artery Diseas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
[36] 논문 State-specific mortality from sudden cardiac death--United States, 1999 2002-02
[37] 논문 Sudden coronary death in women 1998-08
[38] 논문 Increased left ventricular mass as a predictor of sudden cardiac death: is it time to put it to the test? 2013-02
[39] 논문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major risk factor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update and practical clinical applications
[40]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1-11-05
[41] 논문 Sudden cardiac death with apparently normal heart 2000-08
[42] 논문 Survivor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with apparently normal heart. Need for definition and standardized clinical evaluation. Consensus Statement of the Joint Steering Committees of the Unexplained Cardiac Arrest Registry of Europe and of the Idiopathic Ventricular Fibrillation Registry of the United States 1997-01
[43] 논문 Sudden unexpected death in persons less than 40 years of age 1991-11
[44] 웹사이트 Sudden Cardiac Death http://www.americanh[...] American Heart Association
[45] 논문 Drugs to be avoided in patients with long QT syndrome: Focus on the anaesthesiological management 2013-04
[46] 논문 Out-of-hospital cardiac arrests of non-cardiac origin. Epidemiology and outcome 1997-07
[47] 논문 Traumatic cardiac arrest 2015-01
[48] 논문 Arrest etiology among patients resuscitated from cardiac arrest 2018-09
[49] 논문 Pulmonary embolism as a cause of cardiac arrest: presentation and outcome 2000-05
[50] 논문 Diabetes mellitus and sudden cardiac death: what are the data? https://journals.via[...] 2010
[51] 논문 Preventing cardiac arrest during hemorrhagic shock with vasopressin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2008-11
[52] 논문 Vasopressin improves survival after cardiac arrest in hypovolemic shock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2000-09
[53] 논문 Electrical cardiac injuries: current concepts and management 2018-04
[54] 논문 Circadian variation in the incidence of sudden cardiac death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population 1987-10
[55] 논문 Circadian Rhythms in Sudden Cardiac Arrest: A Review 2021-07
[56] 논문 Circadian Rhythms in Sudden Cardiac Arrest: A Review 2021-07
[57] 웹사이트 Ventricular tachycardia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2021-11-29
[58] 논문 Handling of Ventricular Fibrillation in the Emergency Setting 2020-01-29
[59] 논문 Mechanisms of sudden cardiac death 2005-09
[60] 웹사이트 Ventricular fibrillation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2021-11-29
[61] 논문 Ventricular Arrhythmias 2019-09
[62] 논문 Ventricular Tachycardias: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2016-09
[63] 서적 ABC of resuscitation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64] 논문 Echocardiography in cardiac arrest: An emergency medicine review 2018-03
[65] 논문 Point-of-care Ultrasound in Cardiac Arrest 2021-09
[66] 논문 Prognostic value of point-of-care ultrasound during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2020-01
[67] 웹사이트 Resuscitation Council (UK) Guidelines 2005 http://www.resus.org[...]
[68] 서적 First Aid Manual: The Authorised Manual of St. John Ambulance, St. Andrew's Ambulance Association, and the British Red Cross https://archive.org/[...] Dorling Kindersley
[69] 간행물 Postmortem Analysis for Inherited Ion Channelopathies Springer 2006
[70] 논문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sudden cardiac arrest in athletes 2019-07
[71] 논문 Mediterranean Diet Score, Dietary Patterns, and Risk of Sudden Cardiac Death in the REGARDS Study 2021-07
[72] 논문 Association between omega-3 fatty acid supplementation and risk of major cardiovascular disease ev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2-09
[73] 논문 Antihypertensive pharmacotherapy for prevention of sudden cardiac death in hypertensive individuals 2016-03
[74] 논문 ACC/AHA/HRS 2008 Guidelines for Device-Based Therapy of Cardiac Rhythm Abnormalities: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Writing Committee to Revise the ACC/AHA/NASPE 2002 Guideline Update for Implantation of Cardiac Pacemakers and Antiarrhythmia Devices):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Thoracic Surgery and Society of Thoracic Surgeons 2008-05
[75] 논문 Meta-analysis of the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secondary prevention trials. AVID, CASH and CIDS studies. Antiarrhythmics vs Implantable Defibrillator study. Cardiac Arrest Study Hamburg . Canadian Implantable Defibrillator Study 2000-12
[76] 논문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s for primary prevention of death in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with and without ischaemic heart disease: a meta-analysis of 8567 patients in the 11 trials 2017-06
[77] 논문 A comparison of antecedents to cardiac arrests, deaths and emergency intensive care admissions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and the United Kingdom--the ACADEMIA study 2004-09
[78] 논문 2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ECC) of pediatric and neonatal patients: 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2006-05
[79] 웹사이트 AHA Releases 2015 Heart and Stroke Statistics https://www.sca-awar[...] 2019-09-21
[80] 서적 Rosen's emergency medicine : concepts and clinical practic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7-03-09
[81] 서적 Tintinalli's emergency medicine manual McGraw-Hill Education 2017-08-28
[82] 논문 Part 1: Executive Summary: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5-11
[83] 논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plus delayed defibrillation versus immediate defibrillation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2014-09
[84] 논문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dispatcher-assisted CPR on outcomes from sudden cardiac arrest in adults and children http://wrap.warwick.[...] 2019-05
[85] 논문 Bystander interventions and survival after exercise-related sudden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2022-04
[86] 웹사이트 Pre-hospital cardiac arrest https://www.resus.or[...] 2014-09-03
[87] 논문 The incidence and significance of emesis associated with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2007-09
[88] 논문 How do paramedics manage the airway during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2014-12
[89] 논문 Suction Assisted Laryngoscopy and Airway Decontamination (SALAD): A technique for improved emergency airway management 2020-03-01
[90] 논문 The ABCs of CPR--again 2007-01
[91] 논문 Advanced airway management in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espace.libra[...] 2018-12
[92] 논문 The association between prehospital endotracheal intubation attempts and survival to hospital discharge among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2010-09
[93] 논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y chest compression alone or with mouth-to-mouth ventilation 2000-05
[94] 논문 Continuous chest compression versus interrupted chest compression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f non-asphyxial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2017-03
[95] 논문 Sudden cardiac arrest with shockable rhythm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2020-10
[96] 웹사이트 Arrhythmias - What Is an Arrhythmia? https://www.nhlbi.ni[...] 2022-03-24
[97]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4
[98]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4
[99] 웹사이트 Basic principles and technique of external electrical cardioversion and defibrillation https://www.uptodate[...] 2023-01-23
[100] 논문 Resuscitation after prolonged ventricular fibrillation with use of monophasic and biphasic waveform pulses for external defibrillation 2000-06
[101] 논문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150-J biphasic shocks compared with 200- to 360-J monophasic shocks in the resuscitation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victims. Optimized Response to Cardiac Arrest (ORCA) Investigators 2000-10
[102] 웹사이트 Zoll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Plus http://www.lifeassis[...]
[103] 논문 Surviving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at home: a postcode lottery? 2004-09
[104] 논문 Current Device Therapies for Sudden Cardiac Death Prevention - the ICD, Subcutaneous ICD and Wearable ICD 2019-01
[105] 웹사이트 Deep Dive into the Evidence: Epinephrine in Cardiac Arrest http://www.emra.org/[...] 2021-11-12
[106] 논문 Epinephrine for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9-03
[107] 논문 Epinephrine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11-27
[108] 논문 2019 American Heart Association Focused Update on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Use of Advanced Airways, Vasopressors, and Extracorpore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uring Cardiac Arrest: An Update to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9-12
[109]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4-01-31
[110]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4-01-31
[111] 논문 Amiodarone or lidocaine for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10
[112] 논문 The effect of sodium bicarbonate on OHCA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CT and propensity score studies 2023-11
[113] 논문 Calcium use during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2022-12
[114] 논문 Vasopressors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 Network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https://www.zora.uzh[...] 2018-05
[115] 논문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antiarrhythmics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2017-12
[116] 논문 Effectiveness of antiarrhythmic drugs for shockable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http://wrap.warwick.[...] 2018-11
[117] 논문 Part 8: adult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0-11
[118] 논문 Sudden Cardiac Death Among Hemodialysis Patients 2017-05
[119] 논문 Calcium and Sudden Cardiac Death in End-Stage Renal Disease 2015-11
[120] 논문 Tricyclic antidepressant poisoning: an evidence-based consensus guideline for out-of-hospital management 2007-01
[121] 논문 Place of magnesium sulfate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journals.via[...] 2020-10-28
[122] 논문 Thrombolytics for cardiac arrest: case report and systematic review of controlled trials 2010-12
[123] 논문 The efficacy and safety of pre-hospital cooling afte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3
[124] 논문 Part 1: Executive Summary: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5-11
[125] 서적 Therapeutic hypothermia after cardiac arrest : clinical application and management Springer 2012
[126] 논문 Targeted Temperature Management After Cardiac Arrest: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2018-03
[127] 논문 Osborn waves following out-of-hospital cardiac arrest-Effect of level of temperature management and risk of arrhythmia and death https://vbn.aau.dk/d[...] 2018-07
[128] 논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o-not-resuscitate orders: a guide for clinicians 2010-01
[129] 논문 Allow natural death: a more humane approach to discussing end-of-life directives 2005-12
[130] 논문 Patients without ST elevation after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may benefit from emergent percutaneous interven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11
[131] 논문 Blue code: Is it a real emergency? 2014
[132] 논문 "[Extracorporeal life support for treating cardiac arrest]" 2011-12
[133] 논문 Cardiac catheterization is associated with superior outcomes for survivors of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review and meta-analysis 2014-11
[134] 논문 Part 7: CPR techniques and devices: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0-11
[135] 논문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7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7-03
[136] 논문 Systematic Review for the 2017 AHA/ACC/HRS Guideline for Management of Patients With Ventricular Arrhythmias and the Prevention of Sudden Cardiac Death: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nd the Heart Rhythm Society 2018-09
[137] 서적 Strategies to Improve Cardiac Arrest Survival: A Time to Act 2015-06-30
[138] 논문 Improving Care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Next Steps 2016-12
[139] 논문 One-year survival after in-hospital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11
[140] 논문 Part 4: Systems of Care and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5-11
[141] 간행물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1997-05
[142] 간행물 The chance of survival and the functional outcome after in-hospit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2014-07
[143] 간행물 The global survival rate among adult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who receiv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0-02
[144] 간행물 Part 1: Executive Summary: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5-11
[145] 간행물 Predictors of survival from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0-01
[146] 간행물 Gender and survival after sudden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9
[147] 간행물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Guidelines 2021: Epidemiology of cardiac arrest in Europe 2021-04
[148] 간행물 Lifetime risk for sudden cardiac death at selected index ages and by risk factor strata and race: cardiovascular lifetime risk pooling project https://www.ahajourn[...] 2009
[149] 간행물 Sudden cardiac death in the United States, 1989 to 1998 2001-10
[150] 서적 Tintinalli's emergency medicine manual McGraw-Hill Education 2017-08-28
[151] 간행물 Epidemiology of Sudden Cardiac Death: Global and Regional Perspectives 2019-01
[152] 간행물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of sudden cardiac arrest 2021-12
[153] 간행물 Part 10: Special Circumstances of Resuscitation: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5-11
[154] 서적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http://worldcat.org/[...] Elsevier 2019-12-09
[155] 간행물 Single ventricle with persistent truncus arteriosus as two rare entities in an adult patient: a case report 2008-05
[156] 간행물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21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21-02
[157] 서적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Guidelines 2021 : executive summary http://worldcat.org/[...]
[158] 뉴스 Slow Codes, Show Codes and Death https://www.nytimes.[...] 2013-04-06
[159] 간행물 "Slow" code: perspectives of a physician and critical care nurse http://www.nursingce[...]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013-04-07
[160] 간행물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Ethics Manual: Seventh Edition 2019-01
[161] 간행물 Part 4: Pediatric Basic and Advanced Life Support 202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https://cdr.lib.unc.[...] 2021-01
[162] 간행물 Risk factors for sudden cardiac death in childhood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discovery.uc[...] 2017-07
[163] 간행물 Part 12: 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5-11
[164] 간행물 Use of Sodium Bicarbonate in Cardiac Arrest: Current Guidelines and Literature Review 2016-04
[165] 웹사이트 Cardiac Arrest - Symptoms {{!}} NHLBI, NIH https://www.nhlbi.ni[...] 2023-09-20
[166] 웹사이트 Cardiac Arrest - Diagnosis {{!}} NHLBI, NIH https://www.nhlbi.ni[...]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2-10-03
[167] 웹사이트 Cardiac Arrest - Treatment https://www.nhlbi.ni[...]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2-07-24
[168] 서적 Emergency Medicine: Clinical Essentials (Expert Consult – Online)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2
[169] 간행물 In-Hospital Cardiac Arrest: A Review 2019-03
[170] 간행물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quality: [corrected] improving cardiac resuscitation outcome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hospital: a consensus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3-07
[171] 웹사이트 Cardiac Arrest - What Is Cardiac Arrest? {{!}} NHLBI, NIH https://www.nhlbi.ni[...] 2023-09-20
[172] 서적 The Textbook of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and CPR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9
[173] 웹사이트 Cardiac Arrest https://www.hopkinsm[...] 2022-05-10
[174] 웹사이트 心停止でもAEDが有効ではないことはありますか? https://aed-zaidan.j[...] 公益社団法人 日本AED財団 2023-12-29
[175] 간행물 The Problematic Role of ‘Irreversibility’ in the Definition of Death https://onlinelibrar[...] 2003-02
[176] 웹사이트 Dictionary.com {{!}} Meanings & Definitions of English Words https://www.dictiona[...] 2024-01-07
[177] 웹사이트 Sudden Cardiac Arrest and the Hs and Ts https://acls.com/art[...] 2024-01-07
[178] 웹사이트 心肺蘇生・心臓救急|循環器内科|独立行政法人国立病院機構 京都医療センター https://kyoto.hosp.g[...] 2024-01-07
[179] 웹사이트 心肺停止とは…心肺停止状態と死亡の違い・それぞれの定義 [医療情報・ニュース] All About https://allabout.co.[...] 2024-01-11
[180] 웹사이트 心停止と心肺蘇生 - 06. 心臓と血管の病気 https://www.msdmanua[...] 2024-01-03
[181] 웹사이트 Cardiac Arrest - Causes and Risk Factors {{!}} NHLBI, NIH https://www.nhlbi.ni[...] 2023-09-30
[182] 웹사이트 心尖拍動も併せて測定するのはなぜ?|脈拍測定 {{!}} 看護roo![カンゴルー] https://www.kango-ro[...] 2024-01-11
[183] 웹사이트 心拍数と心臓病 https://www.jhf.or.j[...] 公益財団法人 日本心臓財団 2023-01-11
[184] 웹사이트 心肺停止(CPA)の心電図波形 {{!}} 看護roo![カンゴルー] https://www.kango-ro[...] 2024-01-03
[185] 웹사이트 無脈性電気活動(PEA) 日本救急医学会・医学用語解説集 https://www.jaam.jp/[...] 2024-01-03
[186] 웹사이트 PEAの持続時間とその後の心拍回復|Web医事新報{{!}}日本医事新報社 https://www.jmedj.co[...] 2024-01-03
[187] 논문 Outcome in cardiac arrest patients found to have cardiac standstill on the bedside emergency department echocardiogram https://pubmed.ncbi.[...] 2001-06
[188] 웹사이트 心停止 - 21. 救命医療 https://www.msdmanua[...] 2024-01-03
[189] 논문 Sudden cardiac death-update null 2021-03
[190]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Medical Publishing Division
[191] 논문 Delays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fibrillation, and Epinephrine Administration All Decrease Survival in In-hospital Cardiac Arrest https://pubs.asahq.o[...] 2019-03-01
[192] 웹사이트 What is CPR https://cpr.heart.or[...] 2024-01-03
[193] 웹사이트 Mount Sinai – Cardiac arrest http://www.mountsina[...] マウントサイナイ病院 2023-10-24
[194] 웹사이트 DNAR 日本救急医学会・医学用語解説集 https://www.jaam.jp/[...] 2024-01-08
[195] 웹사이트 ウツタイン大阪プロジェクト::救命率 https://osakalifesup[...] 2024-01-08
[196] 웹사이트 一次救命処置と二次救命処置の違い https://acls.or.jp/d[...] 2024-01-10
[197] 웹사이트 BLSとは? https://acls.or.jp/d[...] 2024-02-12
[198] 웹사이트 日本循環器学会::コール&プッシュ誰でもできる胸骨圧迫+AEDの蘇生法 https://www.j-circ.o[...] 2024-01-10
[199] 웹사이트 成人における心肺蘇生(CPR) - 21. 救命医療 https://www.msdmanua[...] 2024-01-10
[200] 논문 Therapeutic hypothermia after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meta-analysis exploring the impact of expanded criteria and targeted temperature 2016-11
[201] 논문 Hypothermia for neuroprotection in adults after cardiac arrest 2023-05
[202] 웹사이트 How Can Death Due to Sudden Cardiac Arrest Be Prevented? http://www.nhlbi.nih[...] 2016-08-16
[203] 웹사이트 What is the Chain of Survival {{!}} St John Vic https://www.stjohnvi[...] 2024-01-06
[204] 논문 Post-cardiac arrest syndrome: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treatment, and prognostication. A consensus statement from the International Liaison Committee on Resuscitation (American Heart Association, Australian and New Zealand Council on Resuscitation,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Heart and Stroke Foundation of Canada, InterAmerican Heart Foundation, Resuscitation Council of Asia, and the Resuscitation Council of Southern Africa);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Committee; the Council on Cardiovascular Surgery and Anesthesia; the Council on Cardiopulmonary, Perioperative, and Critical Care; the Council on Clinical Cardiology; and the Stroke Council 2008-12
[205] 서적 Comprehensive Physiology https://onlinelibrar[...] Wiley 2011-01-17
[206] 서적 Braunwald's heart disease: a textbook of cardiovascular medicine Saunders
[207] 웹사이트 What Are the Signs and Symptoms of Sudden Cardiac Arrest? https://www.nhlbi.ni[...]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15-06-21
[208]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19-11-05
[209] 논문 Part 3: Adult Basic and Advanced Life Support: 202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20-10
[210] 논문 Near death experiences, cognitive function and psychological outcomes of surviving cardiac arrest 2007-08
[211]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212] 논문 Family history as a risk factor for primary cardiac arrest 1998-01
[213] 논문 Current smoking, smoking cessation, and the risk of sudden cardiac death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2003-10
[214] 논문 Risk factors for sudden cardiac death in childhood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discovery.uc[...] 2017-07
[215] 웹사이트 Pathophysiology and etiology of sudden cardiac arrest https://www.uptodate[...] 2016-08-22
[216] 논문 ACC/AHA/ESC 2006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Patients With Ventricular Arrhythmias and the Prevention of Sudden Cardiac Death: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and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Committee for Practice Guidelines (writing committee to develop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Patients With Ventricular Arrhythmias and the Prevention of Sudden Cardiac Death):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the European Heart Rhythm Association and the Heart Rhythm Society 2006-09
[217] 논문 Sudden cardiac death 1998-11
[218] 논문 The transient outward potassium current plays a key role in spiral wave breakup in ventricular tissue 2021-02
[219] 논문 State-specific mortality from sudden cardiac death--United States, 1999 2002-02
[220] 논문 Sudden cardiac death in the United States, 1989 to 1998 2001-10
[221] 서적 Atherothrombosis and Coronary Artery Diseas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
[222]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1
[223] 논문 Sudden cardiac death in the United States, 1989 to 1998 2001-10
[224] 논문 Sudden coronary death in women 1998-08
[225] 논문 構造的心疾患治療の進歩 https://www.jhf.or.j[...]
[226] 논문 Increased left ventricular mass as a predictor of sudden cardiac death: is it time to put it to the test? 2013-02
[227] 논문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major risk factor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update and practical clinical applications
[228]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1
[229] 논문 Sudden cardiac death with apparently normal heart 2000-08
[230] 논문 Survivor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with apparently normal heart. Need for definition and standardized clinical evaluation. Consensus Statement of the Joint Steering Committees of the Unexplained Cardiac Arrest Registry of Europe and of the Idiopathic Ventricular Fibrillation Registry of the United States 1997-01
[231] 논문 Sudden unexpected death in persons less than 40 years of age 1991-11
[232] 웹사이트 Sudden Cardiac Death http://www.americanh[...] American Heart Association
[233] 논문 Drugs to be avoided in patients with long QT syndrome: Focus on the anaesthesiological management 2013-04
[234] 논문 Out-of-hospital cardiac arrests of non-cardiac origin. Epidemiology and outcome 1997-07
[235] 논문 Preventing cardiac arrest during hemorrhagic shock with vasopressin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2008-11
[236] 논문 Vasopressin improves survival after cardiac arrest in hypovolemic shock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2000-09
[237] 웹사이트 Resuscitation Council (UK) Guidelines 2005 http://www.resus.org[...]
[238] 논문 2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05-12
[239] 논문 Part 4: Pediatric Basic and Advanced Life Support 202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21-01
[240] 웹사이트 Ventricular tachycardia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2021-11-29
[241] 웹사이트 Ventricular fibrillation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2021-11-29
[242] 웹사이트 Web版 不整脈学・心電学関連用語集 https://new.jhrs.or.[...] 2023-10-26
[243] 논문 Handling of Ventricular Fibrillation in the Emergency Setting 2020-01-29
[244] 논문 Mechanisms of sudden cardiac death 2005-09
[245] 논문 Ventricular Arrhythmias 2019-09
[246] 논문 Ventricular Tachycardias: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2016-09
[247] 논문 Skills of lay people in checking the carotid pulse 1997-08
[248] 논문 Competence of health professionals to check the carotid pulse 1998-06
[249] 논문 Echocardiography in cardiac arrest: An emergency medicine review 2018-03
[250] 논문 Point-of-care Ultrasound in Cardiac Arrest 2021-09
[251] 웹사이트 Resuscitation Council (UK) Guidelines 2005 http://www.resus.org[...] 2009-12-15
[252] 서적 First Aid Manual: The Authorised Manual of St. John Ambulance, St. Andrew's Ambulance Association, and the British Red Cross https://archive.org/[...] Dorling Kindersley
[253] 서적 Postmortem Analysis for Inherited Ion Channelopathies Springer 2006
[254] 서적 ABC of resuscitation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55] 논문 Antihypertensive pharmacotherapy for prevention of sudden cardiac death in hypertensive individuals 2016-03
[256] 논문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sudden cardiac arrest in athletes 2019-07
[257] 논문 Mediterranean Diet Score, Dietary Patterns, and Risk of Sudden Cardiac Death in the REGARDS Study 2021-07
[258] 웹사이트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Diet and Lifestyle Recommendations https://www.heart.or[...] 2021-11-12
[259] 간행물 Omega-3 fatty acids https://www.nlm.nih.[...] 2011-08-02
[260] 논문 Association between omega-3 fatty acid supplementation and risk of major cardiovascular disease ev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2-09
[261] 웹사이트 Medical Definition of CODE BLUE https://www.merriam-[...] 2023-12-07
[262] 논문 コードブルー発生時の看護師の役割 : 外来でのコードブルー対応に関する現状調査から https://cir.nii.ac.j[...] 2021
[263] 웹사이트 What Does https://www.webmd.co[...] 2024-01-11
[264] 웹사이트 What Is a Code Blue? https://www.webmd.co[...] 2024-01-11
[265] 논문 A comparison of antecedents to cardiac arrests, deaths and emergency intensive care admissions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and the United Kingdom--the ACADEMIA study 2004-09
[266] 논문 'Part 4: Systems of Care and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5-11
[267] 논문 Icu再入室に関連する諸問題 https://www.jstage.j[...] 2016
[268] 논문 ACC/AHA/HRS 2008 Guidelines for Device-Based Therapy of Cardiac Rhythm Abnormalities: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Writing Committee to Revise the ACC/AHA/NASPE 2002 Guideline Update for Implantation of Cardiac Pacemakers and Antiarrhythmia Devices):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Thoracic Surgery and Society of Thoracic Surgeons 2008-05
[269] 논문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s for primary prevention of death in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with and without ischaemic heart disease: a meta-analysis of 8567 patients in the 11 trials 2017-06
[270] 논문 Meta-analysis of the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secondary prevention trials. AVID, CASH and CIDS studies. Antiarrhythmics vs Implantable Defibrillator study. Cardiac Arrest Study Hamburg . Canadian Implantable Defibrillator Study 2000-12
[271] 논문 2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ECC) of pediatric and neonatal patients: 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2006-05
[272] 웹사이트 AHA Releases 2015 Heart and Stroke Statistics {{!}} Sudden Cardiac Arrest Foundation https://www.sca-awar[...] 2019-09-21
[273] 서적 Rosen's emergency medicine : concepts and clinical practic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7-03-09
[274] 서적 Tintinalli's emergency medicine manual McGraw-Hill Education 2017-08-28
[275] 웹사이트 Pre-hospital cardiac arrest https://www.resus.or[...] 2014-09-03
[276] 웹사이트 "Comments on the duration of CPR following the publication of 'Duration of resuscitation efforts and survival after in-hospital cardiac arrest: an observational study' Goldberger ZD et al. Lancet." https://www.resus.or[...] 2014-09-03
[277] 논문 The incidence and significance of emesis associated with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2007-09
[278] 논문 How do paramedics manage the airway during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2014-12
[279] 논문 Suction Assisted Laryngoscopy and Airway Decontamination (SALAD): A technique for improved emergency airway management 2020-03-01
[280] 논문 'Part 1: Executive Summary: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5-11
[281] 논문 The ABCs of CPR--again 2007-01
[282] 논문 Advanced airway management in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espace.libra[...] 2018-12
[283] 논문 The association between prehospital endotracheal intubation attempts and survival to hospital discharge among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2010-09
[284] 논문 Continuous chest compression versus interrupted chest compression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f non-asphyxial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2017-03
[285] 논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y chest compression alone or with mouth-to-mouth ventilation 2000-05
[286] 논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plus delayed defibrillation versus immediate defibrillation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2014-09
[287] 웹사이트 死戦期帝王切開【母体心肺停止時の最終的な救命法】|Web医事新報{{!}}日本医事新報社 https://www.jmedj.co[...] 2023-10-27
[288] 논문 Part 12: 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5-11
[289] 웹사이트 Zoll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Plus http://www.lifeassis[...] 2011-06-21
[290] 논문 Surviving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at home: a postcode lottery? 2004-09
[291] 논문 Intravenous drug administration during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 randomized trial 2009-11
[292] 논문 Adrenaline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resuscit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4-06
[293] 논문 Amiodarone and cardiac arrest: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10
[294] 논문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antiarrhythmics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2017-12
[295] 논문 Effectiveness of antiarrhythmic drugs for shockable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http://wrap.warwick.[...] 2018-11
[296] 논문 Vasopressors during adult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06
[297] 논문 Epinephrine for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9-03
[298] 논문 Epinephrine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11-27
[299] 웹사이트 Deep Dive into the Evidence: Epinephrine in Cardiac Arrest http://www.emra.org/[...] 2021-11-12
[300] 논문 2019 American Heart Association Focused Update on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Use of Advanced Airways, Vasopressors, and Extracorpore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uring Cardiac Arrest: An Update to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9-12
[301] 논문 Vasopressors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 Network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https://www.zora.uzh[...] 2018-05
[302] 논문 Epinephrine in resuscitation: curse or cure? 2010-07
[303] 논문 Use of Sodium Bicarbonate in Cardiac Arrest: Current Guidelines and Literature Review 2016-04
[304] 논문 Part 8: adult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0-11
[305] 논문 Amiodarone or lidocaine for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10
[306] 논문 Thrombolytics for cardiac arrest: case report and systematic review of controlled trials 2010-12
[307] 웹사이트 Chapter3 静脈栄養 https://www.peg.or.j[...] 2023-01-11
[308] 논문 The efficacy and safety of pre-hospital cooling afte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3
[309] 논문 Part 1: Executive Summary: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5-11
[310] 서적 Therapeutic hypothermia after cardiac arrest : clinical application and management Springer 2012
[311] 논문 Targeted Temperature Management After Cardiac Arrest: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2018-03
[312] 논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do-not-resuscitate orders: a guide for clinicians 2010-01
[313] 논문 Allow natural death: a more humane approach to discussing end-of-life directives 2005-12
[314] 웹사이트 防災危機管理eカレッジ https://www.fdma.go.[...] 2024-01-05
[315] 웹사이트 Adult and Child Chain of Survival Infographic https://newsroom.hea[...] 2024-01-06
[316] 웹사이트 What is the Chain of Survival {{!}} St John Vic https://www.stjohnvi[...] 2024-01-06
[317] 웹사이트 Out-of-hospital Chain of Survival https://cpr.heart.or[...] 2024-01-06
[318] 논문 Patients without ST elevation after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may benefit from emergent percutaneous interven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11
[319] 논문 Blue code: Is it a real emergency? 2014
[320] 논문 "[Extracorporeal life support for treating cardiac arrest]" 2011-12
[321] 논문 Cardiac catheterization is associated with superior outcomes for survivors of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review and meta-analysis 2014-11
[322] 논문 'Part 7: CPR techniques and devices: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0-11
[323] 논문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7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7-03
[324] 논문 Systematic Review for the 2017 AHA/ACC/HRS Guideline for Management of Patients With Ventricular Arrhythmias and the Prevention of Sudden Cardiac Death: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nd the Heart Rhythm Society 2018-09
[325] 서적 Strategies to Improve Cardiac Arrest Survival: A Time to Act 2015-06-30
[326] 논문 Improving Care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Next Steps 2016-12
[327] 논문 One-year survival after in-hospital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11
[328] 논문 'Part 12: 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5-11
[329] 논문 'Part 4: Systems of Care and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5-11
[330] 논문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Guidelines 2021: Epidemiology of cardiac arrest in Europe 2021-04
[331] 논문 'Part 1: Executive Summary: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5-11
[332] 논문 Predictors of survival from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0-01
[333] 논문 Gender and survival after sudden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9
[334] 논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1997-05
[335] 논문 The chance of survival and the functional outcome after in-hospit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2014-07
[336] 논문 The global survival rate among adult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who receiv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0-02
[337] 논문 Lifetime risk for sudden cardiac death at selected index ages and by risk factor strata and race: cardiovascular lifetime risk pooling project https://www.ahajourn[...] 2009
[338] 논문 Sudden cardiac death in the United States, 1989 to 1998 2001-10
[339] 서적 Tintinalli's emergency medicine manual McGraw-Hill Education 2017-08-28
[340] 논문 Epidemiology of Sudden Cardiac Death: Global and Regional Perspectives 2019-01
[341] 논문 'Part 10: Special Circumstances of Resuscitation: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5-11
[342] 웹사이트 '令和4年版 救急・救助の現況 総務省消防庁 {{!}} 実地診療のためのデータベース {{!}} 循環器最新情報 {{!}} 日本心臓財団の活動 {{!}} 日本心臓財団とは {{!}} 公益財団法人 日本心臓財団' https://www.jhf.or.j[...] 2023-12-29
[343] 서적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http://worldcat.org/[...] Elsevier 2019-12-09
[344] 논문 Single ventricle with persistent truncus arteriosus as two rare entities in an adult patient: a case report 2008-05
[345] 논문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21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21-02
[346] 논문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21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21-02
[347] 뉴스 海外では「CPA」って言わないらしいよ https://medical.nikk[...] 2017-08-24
[348] 웹사이트 KOMPAS - 慶應義塾大学病院 医療・健康情報サイト https://kompas.hosp.[...] 2023-10-28
[349] 뉴스 海外では「CPA」って言わないらしいよ https://medical.nikk[...] 2017-08-24
[350] 서적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Guidelines 2021 : executive summary http://worldcat.org/[...]
[351] 뉴스 Slow Codes, Show Codes and Death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3-04-06
[352] 간행물 "Slow" code: perspectives of a physician and critical care nurse http://www.nursingce[...] リッピンコット・ウィリアムズ・アンド・ウィルキンス 1999-11
[353] 간행물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Ethics Manual: Seventh Edition 2019-01
[354]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Medical Publishing Division 2005
[35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focusonfi[...] 2010-06-08
[356] 서적 심폐소생술과 전문 심장소생술 군자출판사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