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멘 유대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멘 유대인은 아라비아 반도 예멘 지역에 거주해 온 유대인 공동체이다. 솔로몬 시대부터 예멘에 유대인이 거주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2세기부터 대규모 이주가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 예멘 유대인들은 다양한 박해와 차별을 겪었으며, 1949년과 1950년에는 이스라엘로의 대규모 이주 작전인 '마법 양탄자 작전'이 진행되었다. 20세기 후반에도 이스라엘, 미국, 영국 등으로의 이주가 이어졌으며, 예멘 내전으로 인해 2020년대 초에는 소수만이 남아 공동체의 존속이 위협받고 있다. 예멘 유대인들은 고유한 종교적 전통, 예멘 히브리어, 문학, 의복, 음식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이스라엘 음악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멘 유대인 - 토머 시슬리
    토머 시슬리는 프랑스의 배우이자 코미디언으로, 영화 《라르고 윈치》 시리즈의 주연과 드라마 《발타자르》의 발타자르 박사 역으로 유명하며, 스탠드업 코미디언으로도 활동했고, 다양한 액션 연기를 소화하며 여러 언어에 능통하지만, 2019년 코미디 표절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 이스라엘의 민족 - 드루즈
    드루즈는 11세기 이집트에서 기원하여 레반트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소수 민족이자 종교 공동체로, 파티마 칼리프 하킴을 신격화하며 이슬람 신비주의 등의 영향을 받은 독자적인 신앙 체계를 가지고 있고, 비밀주의적 성향을 띄며 레반트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이스라엘의 민족 - 사마리아인
    사마리아인은 에브라임 지파와 므낫세 지파의 후손으로, 스스로를 이스라엘, 브네 이스라엘, 또는 샤메림이라 부르며 그리심산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신앙과 고대부터 이어진 복잡한 역사를 지닌 민족이자 종교 공동체이다.
예멘 유대인
기본 정보
민족 명칭예멘 유대인
고유 명칭 (히브리어)(예후데이 테만)
고유 명칭 (아랍어)اليهود اليمنيون (알-야후드 알-야마니윤)
안식일 점심 식사 후 시편을 읽는 예멘 가족
안식일 점심 식사 후 시편을 읽는 예멘 가족
인구 통계
주요 거주 지역이스라엘: 435,000명
미국: 80,000명
영국: 396명
아랍에미리트: 42명
바레인: 5명
예멘: 1명
언어
사용 언어히브리어
유대-예멘 아랍어
예멘 히브리어
종교
종교유대교
관련 민족
관련 민족미즈라히 유대인
유대인 민족 구분
예멘인
사마리아인

2. 역사

솔로몬 시대에 아라비아 반도 끝으로 유대인들이 이주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솔로몬은 예루살렘 성전 건립에 필요한 금과 은을 찾기 위해 예멘에 유대인 상선을 파견했다고도 하고, 시바의 여왕의 요청으로 유대인 장인이 예멘으로 갔다고도 한다.[228] 베타 이스라엘도 비슷한 전설을 가지고 있으며, 시바의 여왕과 솔로몬의 결혼 이야기에서 기원을 찾는다. 당시 시바 왕국에티오피아와 예멘에 걸쳐 있었다.

예멘 유대인 전설에 따르면, 그들의 조상은 제1성전이 멸망하기 42년 전에 예멘으로 이주했다. 예레미야의 지휘 아래 75,000명의 유대인이 예멘으로 향했다는 이야기도 있다.[229] 샤브와 주의 예멘 유대인은 제2성전 멸망 이전에 이주한 유대인의 후손이라고 하며, 헤로데 대왕이 파견한 군대의 병사였을 수도 있다고 추정된다.[230] 에즈라가 유대인에게 예루살렘으로 귀환할 것을 명령했을 때 따르지 않은 자들이라는 전승도 있는데, 화가 난 에즈라는 그들을 벌했고, 이 때문에 에즈라는 이스라엘 땅에 묘를 만들지 못했다고 한다. 예멘 유대인들은 에즈라라는 이름을 아이에게 붙이지 않으며, 에즈라가 예멘 유대인을 굶주림에 시달리도록 저주했다고 믿는다.

유대인의 예멘으로의 대규모 이주는 2세기에 시작되었다고 추정된다.

경전의 백성으로서, 유대인은 지즈야 또는 인두세 납부를 대가로 종교의 자유를 보장받았는데, 이는 비무슬림 일신교도에게 부과되었다. 봉건 영주들은 유대인에게 이 연례 세금을 부과했는데, 이슬람 율법에 따라 이는 그들의 국가 보호인 지위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세금(공물)은 13세 이상 모든 남성에게 부과되었으며, 그 납부액은 부자와 빈자 사이에서 달랐다.[42] 유대인들은 무슬림이 잔여 재산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납부해야 하는 ''자카트'' 납부도 면제되었다.

유대인 박해는 10세기 초 관대한 수니파 이슬람으로부터 자이드파가 권력을 잡을 때까지 완전한 힘을 얻지 못했다.[44] 예멘의 유대인 법적 지위는 타히리드 왕조가 자이드파로부터 사나를 탈환할 무렵부터 악화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주로 무슬림 통치자들이 새롭게 차별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법률은 15세기 전반기 알-마흐디 아흐마드 빈 야흐야의 ''키타브 알-아자르''와 같이 비교적 늦게까지 자이드 법률 문서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는 또한 유대인의 경제적, 사회적 상황 악화로 이어졌다.[54]

자이드파는 18세기 후반에 자체적인 법 해석에 기반한 고아 칙령을 시행했다. 이 법은 미성년일 때 부모가 사망한 모든 딤미(비무슬림) 아동을 보호하고 이슬람 방식으로 교육해야 할 의무를 자이디 국가에 부과했다. 고아 칙령은 오스만 통치 기간(1872–1918)에는 무시되었지만, 이맘 야히야 시대(1918–1948)에 갱신되었다.[63]

자이디 통치 하에서 유대인은 부정한 존재로 여겨져 무슬림이나 무슬림의 음식을 만지는 것이 금지되었다. 그들은 무슬림 앞에서 스스로를 낮추고, 왼쪽으로 걷고, 먼저 인사를 해야 했다. 무슬림보다 더 높은 집을 지을 수 없었고, 낙타나 말을 탈 수 없었으며, 노새나 당나귀를 탈 때는 옆으로 앉아야 했다. 무슬림 구역에 들어갈 때는 신발을 벗고 맨발로 걸어야 했다. 젊은이들이 돌이나 주먹으로 공격할 경우, 유대인은 그들과 싸울 수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는 도망가거나 자비로운 무슬림 행인의 개입을 요청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었다.[64]

1922년, 야흐야 무함마드 하미드 앗딘 치하의 예멘 정부는 "고아 칙령"을 재도입했다. 12세 미만의 유대인 고아는 강제로 이슬람교로 개종시키고, 가족 및 공동체와 관계를 단절시키며, 무슬림 양부모에게 넘겨야 했다.[77] 유대인들은 고아들의 개종을 막기 위해 아이들을 결혼시키거나 국외로 밀반출하는 방법을 사용했다.[78]

1949년부터 1951년 사이에 예멘 이민 가족의 자녀 1,033명이 이민 캠프에서 실종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99] 부모들은 자녀가 아파서 입원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으나, 이후 병원을 방문했을 때 자녀가 사망했다는 소식과 함께 시신 대신 텅 빈 무덤을 보게 되었다고 한다. 이 사건을 믿는 사람들은 이스라엘 정부와 다른 단체들이 아이들을 납치하여 예멘인이 아닌 가족에게 입양시켰다고 주장했다.[99] 2001년, 7년간의 공개 조사 위원회는 이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결론 내렸다. 실종된 어린이 1,033명 중 972명은 사망했으며, 5명은 생존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나머지 56건은 해결되지 않았지만, 지역 사회복지사들의 개별적인 결정에 따라 입양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99] 2016년에는 예멘 유대인 어린이 실종 사건과 관련된 40만 건의 문서가 공개되었다.[100]

2021년 3월, 13명의 유대인이 후티에 의해 예멘을 떠나도록 강요받았고, 예멘에는 10명 미만의 유대인이 남아 있었다.[138][143] 더 예루살렘 포스트는 예멘에 남아 있는 유대인 인구는 4명의 노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대부터 이어져 온 공동체의 지속적인 존재가 종료되었다고 보도했다.[144][145] 2022년 3월 유엔은 예멘에 유대인이 단 한 명(레비 살렘 무사 마르하비)이라고 보고했지만,[147] ''Ynet''은 2024년 6월 19일 현재 실제 숫자는 5명이라고 현지 소식통을 인용했다.[148][149]

2. 1. 고대사

토라 제단을 새긴 예시크 바 하니나의 반지, 기원전 330년 – 서기 200년, 도파르에서 발견


예멘에 유대교가 있었다는 기록은 기원전 110년에 건국된 힘야르 왕국 통치 시기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2세기 고대 남 아라비아 문자로 된 다양한 비문은 힘야르 왕이 승인한 회당 건설을 언급하고 있다.[10]

바르 코흐바 반란 이후, 로마 유대에서 유대인들이 대규모로 예멘으로 이주했다. 당시 예멘은 그리스-로마 세계에서 향료 무역으로 유명했다.[11] 4세기 중반에 예멘에 온 기독교 선교사 인도의 테오필루스는 그곳에서 많은 유대인들을 발견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12]

서기 380년경, 힘야르의 종교적 관행은 근본적인 변화를 겪었다. 비문은 더 이상 알마카나 아타르에게 헌정되지 않고, 라흐마난이라고 불리는 단일 신에게 헌정되었다. 학자들 사이에서는 힘야르의 일신교가 유대교 또는 기독교의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13] 당시 유대인들은 특히 아라비아 남부 지역에서 매우 많고 강력했는데, 이 지역은 향과 향신료가 풍부한 비옥한 땅이었으며, 향료 무역로와 아프리카, 인도, 동아시아로 가는 무역로의 중간 기착지였다. 예멘 부족들은 자국 내 유대인의 존재에 반대하지 않았다.[14]

솔로몬 시대에 아라비아 반도 끝으로 이주한 유대인들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솔로몬은 예루살렘 성전 건립을 위해 금과 은을 찾기 위해 예멘에 유대인 상선을 파견했다고도 전해진다.[228] 시바의 여왕의 요청에 따라 유대인 장인이 예멘으로 갔다고도 하며, 베타 이스라엘도 비슷한 전설을 가지고 있다.[229] 예멘 유대인은 제1성전이 멸망하기 42년 전에 그들의 조상이 예멘으로 이주했다는 전설을 가지고 있으며, 예레미야의 지휘 아래 75,000명의 유대인이 예멘으로 향했다는 이야기도 있다.[229] 샤브와 주의 예멘 유대인은 제2성전이 멸망하기 전에 이주한 유대인의 후손이라고 전해지며, 헤로데 대왕이 파견한 군대의 병사였을지도 모른다고 추정된다.[230]

에즈라가 유대인에게 예루살렘으로 귀환할 것을 명령했을 때, 이에 따르지 않은 자들이 있었다는 전승도 있다. 화가 난 에즈라는 그들을 벌했고, 이 때문에 예멘 유대인들은 자녀에게 에즈라라는 이름을 붙이지 않는다고 한다.

2. 1. 1. 유대교로 개종한 힘야르 왕조

390년, 힘야르 왕 아부 카리브는 북쪽으로 군사 원정을 이끌고 야트리브의 유대인들과 싸웠다. 아부 카리브가 병에 걸리자, 카아브와 아사드라는 두 명의 현지 유대교 학자가 그의 진영으로 가서 그를 치료하고 포위를 풀도록 설득했다.[15] 이 학자들은 또한 왕에게 유대교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그는 390년에 개종하여 그의 군대도 그렇게 하도록 설득했다.[16][17][18][19][20] 이로써 "아라비아 반도에서 지배적인 세력"이었던 힘야르 왕국은 유대교로 개종했다.[21] 예멘에서는 4세기와 5세기에 거슬러 올라가는 여러 비문이 히브리어와 사바어로 발견되었으며, 통치 가문을 "이스라엘 백성을 돕고 권한을 부여"한 유대교적 용어로 칭송하고 있다.[22]

2. 1. 2. 두 누와스와 종교 갈등

516년경 부족 간의 불안이 발생하여 여러 부족 엘리트들이 권력을 위해 싸웠다. 그 엘리트 중 한 명은 고대 남부 아라비아 비문에 언급된 두 누와스 또는 "유수프 아사르 야타르"였다.[23] 유수프의 실제 이야기는 불분명하다. 그리스와 에티오피아의 기록은 그를 유대교 열성분자로 묘사한다.[24] 일부 학자들은 그가 개종한 유대인이라고 주장한다.[25] 동방 교회의 기록은 그의 어머니가 니시비스에서 포로로 잡혀 예멘의 왕에게 팔려갔고, 그의 조상들은 이전에 유대교로 개종했다고 주장한다.[26] 시리아와 비잔틴 출처에 따르면 유수프 아사르는 다른 예멘 기독교인들을 개종시키려 했지만, 그들은 기독교를 포기하기를 거부했다. 하지만 실제 상황은 여전히 불분명하다.[24]

2009년 BBC 방송은 유수프 아사르가 마을 사람들에게 유대교로 개종하거나 죽음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안한 다음, 2만 명의 기독교인을 학살했다는 주장을 옹호했다. 프로그램 제작진은 "제작 팀은 18개월 동안 많은 역사학자들과 대화했으며, 그 중에는 우리의 컨설턴트인 나이젤 그룸과 리야드의 사우드 왕립 대학교 고고학 명예 교수인 압둘 라흐만 알-안사리 교수가 있었다."라고 밝혔다.[27] 유수프 아사르 자신이 쓴 비문은 그가 자파르와 Najran에서 2만 2천 명 이상의 기독교인을 살해한 후 표현한 큰 자부심을 보여준다.[28] 잠메에 따르면, 사바어 비문은 자파르에서 아비시니아인을 상대로, '아스차란, 라크반, 파라산, 무환 (모카)에서, 그리고 나즈란의 군인 및 군부대를 상대로 벌인 캠페인에서 얻은 전쟁 전리품(사망자 제외)이 12,500개의 전쟁 트로피, 11,000명의 포로, 290,000마리의 낙타, 소, 양에 달한다고 밝히고 있다.[23]

역사학자 글렌 보어삭은 이를 "아랍의 유대인 왕이 나즈란 시의 기독교인들을 상대로 시작한 야만적인 포그롬"이라고 묘사했다. 왕은 유대교로 개종하기를 거부한 모든 기독교인들에게 가한 학살에 대해 아랍 및 페르시아 동맹국들에게 상세하게 보고했다.[29] 기독교인들의 학살과 예배 장소 파괴에 대한 보고도 있었다.[30] 프란시스 에드워드 피터스는 이것이 종교적 박해였음은 분명하지만, 정치적 투쟁 또한 진행되고 있었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31]

'이르판 샤히드의 ''나즈란의 순교자 - 새로운 문서''에 따르면, 두 누와스는 약 12만 명의 군대를 나즈란 시를 포위하기 위해 파견했는데, 이 포위는 6개월 동안 지속되었고, 결국 도시가 함락되어 일곱 번째 달(즉, 음력 Tishri)의 15일에 불탔다. 도시는 왕에게 반란을 일으켰고 왕에게 항복하기를 거부했다. 약 300명의 도시 주민들이 해를 입지 않겠다는 맹세에 대한 보장 하에 왕의 군대에게 항복했고, 그들은 나중에 묶였으며, 도시에 남아 있던 사람들은 교회 안에서 산 채로 불태워졌다. 이 기록에서의 사망자 수는 약 2,000명에 달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건을 설명하는 사바어 비문에는 두-마드라안 달(7월에서 9월 사이)까지 "1,000명이 사망하고, 1,500명이 포로로 잡히고, 10,000마리의 가축"이 있었다고 보고되어 있다.[32]

히브리어로 된 사바어 비문: "유다의 글, 기억에 영원히, 아멘 샬롬 아멘"


"베이트 아르샴의 시므온의 편지"에는 두 개의 날짜가 언급되어 있다. 한 날짜는 알렉산더력 830년(518/519 CE)의 타무즈에, 'SNYA(가산족 또는 Ġassān 가문)의 왕 GBALA(제발라)의 진영에서 쓰여졌음을 나타낸다. 이 편지에서 그는 Najran에서 일어난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다른 날짜는 편지가 알렉산더력 835년(523/524 CE)에 쓰여졌다고 한다. 그러나 두 번째 편지는 실제로 원래의 시리아어 사본으로, 셀레우코스 시대 1490년(= 1178/79 CE)에 복사되었다. 오늘날에는 후자의 날짜가 정확하다는 데 널리 동의하고 있으며, 이는 아레타의 순교록뿐만 아니라 사우디 아라비아의 아시르(비르 히마)에서 발견된 사바어 비문(J. 릭만스에 의해 Ry 507, 8 ~ 9, A. 잠메에 의해 Ja 1028로 촬영)과 에피그래픽 기록에 의해 확인되는데, 이 비문은 이러한 작전에 대해 오래된 사바어 연도 633년(523 CE에 해당한다고 함)을 제공한다.

프로코피우스, 에페소의 요한, 그리고 다른 동시대 역사가들은 칼레브가 힘야르 왕국의 왕 유수프 아사르 야타르, 즉 두 누와스, 유대교 개종자로 나즈란의 기독교 공동체를 박해했던 인물을 상대로 520년경 예멘을 침공한 사건을 전한다. 많은 전투 끝에 칼레브의 군대는 마침내 유수프의 군대를 격파했다. 그들은 왕을 죽였고, 칼레브는 원주민 기독교인 Sumyafa Ashwa (프로코피우스는 에시미파이오스라고 명명)를 힘야르의 viceroy로 임명했다.

2. 1. 3. 전통

솔로몬 왕이 자신의 성전을 예루살렘에 장식할 금과 은을 찾기 위해 유대인 상선들을 예멘에 보냈다는 전승이 있다.[34] 1881년, 예멘 주재 프랑스 부영사는 프랑스의 동맹(Alliance Israelite Universelle) 지도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아랍 역사가 아부-알파다의 책에서 예멘 유대인이 기원전 1451년에 이 지역에 정착했다고 읽었다고 썼다.[35]

시바의 여왕이 솔로몬 왕을 방문한 후 예멘 부족들이 유대교로 개종했다는 전설도 있다.[36] 사나 유대인들은 자신들의 조상이 제1 성전 파괴 42년 전에 예멘에 정착했다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37] 예언자 예레미야 치하에서 약 75,000명의 유대인(제사장과 레위인 포함)이 예멘으로 건너갔다고도 한다.[38]

에즈라가 유대인들에게 예루살렘으로 돌아가라고 명령했을 때 그들이 복종하지 않자, 헤렘을 선포했다는 전설이 있다. 이 전설에 따르면, 에즈라는 경솔한 행동에 대한 처벌로 이스라엘에 묻히는 것이 거부당했다. 역사적으로 입증될 수 없는 이 지역 전통 때문에, 예멘의 유대인은 다른 모든 성경적 이름이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자녀에게 에즈라라는 이름을 주지 않는다. 예멘 유대인들은 에즈라가 자신의 부름에 귀 기울이지 않은 것에 대해 그들을 가난한 백성이 되도록 저주했다고 주장한다. 예멘이 극도로 가난하기 때문에, 일부 예멘인들은 이것이 현실이 되었다고 본다. 그러나 오늘날 이스라엘의 일부 예멘 현자들은 이 이야기를 신화이며, 심지어 노골적인 신성 모독이라고 단호하게 거부한다.[39]

예멘 유대인들의 문화적 연관성이 바빌론과 밀접하기 때문에, 역사가 예후다 라자비는 예멘의 유대인들이 바빌로니아에서 예멘으로 이주했다고 추측한다.[40] 지역 전설에 따르면, 왕국의 귀족들은 서기 6세기에 유대교로 개종했다.[41]

2. 2. 중세 시대

솔로몬 시대에 아라비아 반도 끝으로 유대인들이 이주했다는 전설이 있다. 예루살렘 성전 건립에 필요한 금과 은을 찾기 위해 솔로몬이 예멘에 상선을 보냈다고도 하고, 시바의 여왕의 요청으로 유대인 장인이 예멘으로 갔다고도 한다.[228] 베타 이스라엘도 비슷한 전설을 가지고 있으며, 시바의 여왕과 솔로몬의 결혼 이야기에서 기원을 찾는다. 당시 시바 왕국에티오피아와 예멘에 걸쳐 있었다.

예멘 유대인 전설에 따르면, 그들의 조상은 제1성전이 멸망하기 42년 전에 예멘으로 이주했다. 예레미야의 지휘 아래 75,000명의 유대인이 예멘으로 향했다는 이야기도 있다.[229] 샤브와 주의 예멘 유대인은 제2성전 멸망 이전에 이주한 유대인의 후손이라고 하며, 헤로데 대왕이 파견한 군대의 병사였을 수도 있다고 추정된다.[230] 에즈라가 유대인에게 예루살렘으로 귀환할 것을 명령했을 때 따르지 않은 자들이라는 전승도 있는데, 화가 난 에즈라는 그들을 벌했고, 이 때문에 에즈라는 이스라엘 땅에 묘를 만들지 못했다고 한다. 예멘 유대인들은 에즈라라는 이름을 아이에게 붙이지 않으며, 에즈라가 예멘 유대인을 굶주림에 시달리도록 저주했다고 믿는다.

유대인의 예멘으로의 대규모 이주는 2세기에 시작되었다고 추정된다.

2. 2. 1. 예멘에서의 유대-무슬림 관계

경전의 백성으로서, 유대인은 지즈야 또는 인두세 납부를 대가로 종교의 자유를 보장받았는데, 이는 비무슬림 일신교도에게 부과되었다. 봉건 영주들은 유대인에게 이 연례 세금을 부과했는데, 이슬람 율법에 따라 이는 그들의 국가 보호인 지위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세금(공물)은 13세 이상 모든 남성에게 부과되었으며, 그 납부액은 부자와 빈자 사이에서 달랐다.[42] 20세기 초, 가난한 사람은 마리아 테레지아 탈러(''리얄'') 한 개, 중산층은 화폐로 두 탈러, 부자는 네 개 이상의 탈러를 냈다.[43] 유대인들은 무슬림이 잔여 재산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납부해야 하는 ''자카트'' 납부도 면제되었다.

유대인 박해는 10세기 초 관대한 수니파 이슬람으로부터 자이드파가 권력을 잡을 때까지 완전한 힘을 얻지 못했다.[44] 예멘의 유대인 법적 지위는 타히리드 왕조가 자이드파로부터 사나를 탈환할 무렵부터 악화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주로 무슬림 통치자들이 새롭게 차별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법률은 15세기 전반기 알-마흐디 아흐마드 빈 야흐야의 ''키타브 알-아자르''와 같이 비교적 늦게까지 자이드 법률 문서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는 또한 유대인의 경제적, 사회적 상황 악화로 이어졌다.[54]

유대 지식인들은 히브리어와 아랍어로 글을 썼으며 무슬림 대다수와 동일한 문학적 노력을 기울였다. 9세기 후반의 문서에 따르면, 최초의 자이드파 이맘인 알-하디 일라 알-하크 야흐야는 나지란의 유대인과 기독교인이 소유한 토지에 제한과 특별 세금을 부과했다. 11세기 중반, 사나를 포함한 예멘 고원의 여러 지역 사회의 유대인들은 술라이히드 왕조의 수도인 지블라로 이끌린 것으로 보인다.[45]

12세기 동안, 아덴은 파티마 왕조가 통치했고 그 다음에는 아이유브 왕조가 통치했다. 이 도시는 인도로 가는 해상 항로의 훌륭한 상업 중심지를 형성했다. 카이로 게니자의 아덴에 관한 문서들은 번창하는 유대인 공동체를 반영하며, 저명한 분다르 가문이 이끌었다. 분다르 가문은 예멘의 유대인뿐만 아니라 인도와 실론의 유대인 상인에 대해 권위를 행사하는 유명한 ''네기딤''을 배출했다. 그들은 이라크, 팔레스타인, 이집트의 유대인 중심지와 관계를 맺고 자금을 지원했다. 무역으로 인해 유대인들은 상업적 및 개인적인 이유로 아덴으로 이주하기도 했다.[47][48]

예멘 유대인들은 때때로 폭력적인 박해를 경험했다. 1160년대 후반, 예멘 통치자 압드 알-나비 이븐 마흐디는 유대인에게 이슬람으로 개종하거나 순교할 선택을 주었다.[49][50] 마흐디는 유대인 외에도 무슬림에게 자신의 신념을 강요했다. 이는 유대 메시아 운동의 부활로 이어졌지만, 대규모 개종으로도 이어졌다.[50] 마이모니데스는 ''예멘에 보내는 서한''을 보내 유대인들이 신앙을 지키되, 가능하다면 적대자 앞에서 모욕을 주지 않도록 요청했다.[51] 박해는 1173년 이븐 마흐디의 패배와 살라딘의 형제인 투란-샤에 의한 예멘 정복으로 끝났고, 그들은 신앙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50][52]

1229년부터 1474년까지 지속된 샤피이 라술 왕조의 통치는 이 지역에 안정을 가져왔다. 이 기간 동안 유대인들은 사회적,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이는 1517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예멘이 정복될 때까지 통치했던 타히리드 왕조의 부상으로 바뀌었다. 타히리드 왕조의 유대인 대우에 대한 중요한 기록은 1505년 예멘의 유대인 필사본 후기에 있으며, 마지막 타히리드 술탄이 자이드파로부터 사나를 탈취했을 때 작성되었다. 이 문서는 한 왕국을 착취적이라고 묘사하고 다른 왕국을 억압적이라고 묘사한다.[54]

유대인 공동체는 1893년에 쓰여진 하임 빈 야흐야 하브슈의 ''예멘 유대인의 역사''와 16세기에 쓰여진 바파키아 알-시흐리의 ''연대기''에 언급된 메시아 후보 목록 중 다른 메시아 후보의 부상과 함께 메시아적 사건을 경험했다. 타히리드 술탄 아미르 이븐 '압드 알-와합은 메시아를 공격하여 많은 유대인을 죽이고 운동을 분쇄했다. 그는 이를 보호 협정 위반으로 보고 하드라마우트의 유대인 정착촌을 집단 처벌로 청산했다. 아마도 그들 중 일부는 죽었고, 많은 이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하거나 아덴과 인접한 예멘 본토로 이주했다. 15세기 이후, 유대인 공동체는 하드라마우트의 서쪽 주변부에만 존재했다. 경건한 무슬림 통치자들의 억압과 소수의 유대 메시아주의자들의 음모로 인한 공동체의 위험은 예멘 유대인의 역사에서 흔한 주제이다.[55][54][56]

2. 2. 2. 마이모니데스

마이모니데스(1138–1204)는 12세기의 철학자이자 학자이며 할라카 편찬자로서, 종교적 박해,[57] 이단,[58] 과중한 세금 부과 시기에 예멘 유대인들을 위해 개입하여 그들의 칭송을 받았다.[59]

마이모니데스의 저술이 공동체 지도자들에게 도달하자, 그들은 그에게 계속 질문을 던지고 그의 책을 여러 권 구매하기 위해 사절을 보냈다.[60] 예멘 유대인들은 토라의 모든 주제에서 마이모니데스의 가르침에 따라 관행(할라카)을 정립하는 것을 관례로 삼았으며, 다른 할라카 권위자들이 반대하는 경우에도 그의 견해를 따랐다.[61] 다만, 대중에게 위임된 문제 등 일부 고대 관습은 예외였다.[61] 예멘 유대인들은 마이모니데스의 판결에 50군데 이상 이의를 제기했으며, 그 중 10곳은 요세프 카피가 명시적으로 언급했다.[62]

2. 3. 근대 초기

자이디는 18세기 후반에 자체적인 법 해석에 기반한 고아 칙령을 시행했다. 이 법은 미성년일 때 부모가 사망한 모든 딤미(비무슬림) 아동을 보호하고 이슬람 방식으로 교육해야 할 의무를 자이디 국가에 부과했다. 고아 칙령은 오스만 통치 기간(1872–1918)에는 무시되었지만, 이맘 야히야 시대(1918–1948)에 갱신되었다.[63]

자이디 통치 하에서 유대인은 부정한 존재로 여겨져 무슬림이나 무슬림의 음식을 만지는 것이 금지되었다. 그들은 무슬림 앞에서 스스로를 낮추고, 왼쪽으로 걷고, 먼저 인사를 해야 했다. 무슬림보다 더 높은 집을 지을 수 없었고, 낙타나 말을 탈 수 없었으며, 노새나 당나귀를 탈 때는 옆으로 앉아야 했다. 무슬림 구역에 들어갈 때는 신발을 벗고 맨발로 걸어야 했다. 젊은이들이 돌이나 주먹으로 공격할 경우, 유대인은 그들과 싸울 수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는 도망가거나 자비로운 무슬림 행인의 개입을 요청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었다.[64]

예멘 유대인 은세공인과 아들, 사나 (1937)


1630년에 자이디가 예멘을 점령하면서 오스만 통치는 끝났다. 유대인은 다시 박해를 받았다. 1679년, 알 마흐디 아흐마드의 통치 하에, 유대인들은 예멘 전역에서 멀리 떨어진 마우자 지방으로 집단 추방되었는데, 이는 마우자 추방으로 알려졌으며, 이로 인해 많은 유대인이 기아와 질병으로 사망했다. 추방된 유대인의 3분의 2는 살아남지 못했다.[65] 그들의 집과 재산은 몰수되었고, 많은 시나고그가 파괴되거나 모스크로 개조되었다.[66]

유대 공동체는 이맘 무하마드 알 마흐디 덕분에 부분적으로 회복되었는데, 그는 그들을 보호하고 이전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허용했다. 그는 성직자들의 유대인 추방 요청을 거부했고, 주조소를 담당했던 유대인 '이라키 가문'과의 관계를 유지했다. 17세기 말부터 유대인들은 이맘의 주조소를 운영했다. 1725년, 이맘 알 무타와킬은 유대인이 무슬림에게 술을 판매한다는 이유로 시나고그 폐쇄를 명령했다. 그러나 이러한 폐쇄는 그의 전임자들이 이러한 시나고그를 허용했다는 종교적 법적 판결에 의해 거부되었다.[67]

예멘의 유대인들은 자이디 무슬림이 일반적으로 피하는 광범위한 직업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은세공, 대장장이, 무기 및 도구 수리, 직조, 도자기, 석조, 목공, 제화, 재봉과 같은 직업은 유대인만 독점적으로 수행했다. 이러한 분업은 자이디 무슬림 인구와 예멘 유대인 사이에 상호 경제적 및 사회적 의존성을 기반으로 하는 일종의 협약을 만들었다. 무슬림은 음식을 생산하고 공급했고, 유대인은 예멘 농부들이 필요로 하는 모든 제조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했다.[68]

샬롬 '이라키가 이끄는 유대인 공동체는 이 사건에서 회복되었고, '이라키의 입지는 이맘 알 만수르 치하에서 강화되었다. 공동체는 그가 모카를 통해 인도와의 무역에서 역할을 했기 때문에 번성했다. 1763년에 예멘을 방문한 독일 연구원 카르스텐 니부르는 그가 도착하기 2년 전에 샬롬 '이라키가 투옥되어 벌금을 물었고 사나 근처 마을의 14개의 시나고그 중 12개가 폐쇄되었다고 보고한다. '이라키는 그가 도착하기 2주 전에 석방되었다. 유대교 자료는 이것을 정권 교체에 기인한다. 이맘 알 마흐디 아바스는 극도로 종교적이었고, 성직자들과의 이념적 친밀함은 극도의 억압적인 분위기를 조성했다. 그러나 그는 유대인을 추방하라는 그들의 압력에 저항했다. 시나고그는 막대한 비용을 지불한 후 알리 알 만수르에 의해 다시 문을 열었다.[69]

18세기 초, 예멘의 많은 유대인들은 아랍 인구를 위해 하수구와 변소를 청소하는 등 가장 비참하고 힘든 일에 고용되었다.[70][71]

2. 4. 근대 후기

19세기 초, 예멘 유대인들은 주로 사나(7,000명 이상, 28개 시나고그), 라다(9개 시나고그), 사다(1,000명), 다마르(1,000명), 아덴(200명), 베다 사막(2,000명), 마나카(3,000명) 등지에 거주했다.[73] 거의 대부분 고원 내부에 살았다. 1927년과 1931년에 예멘을 방문한 칼 라트옌스는 예멘 유대인 공동체를 371개 정착지로 추산했다.[74] 타이즈, 바단, 샤라브 지역 등에도 중요한 유대인 공동체가 있었다. 예멘 유대인들은 주로 장인이었는데, 사나 지역에서는 금, 은, 대장장이, 남중부 고원 지역에서는 커피 상인이었다.

1912년, 시온주의 사절 셰무엘 야브네엘리는 하바니 유대인들을 "용감하고 항상 무기를 소지하며 머리가 길고 거칠다"고 묘사하며, 예멘과 아덴에서 존경받는다고 언급했다.[75]

예멘 토라 두루마리


당시 예멘 유대인들과 많은 아랍인들 사이에서 메시아에 대한 기대가 컸다. 이 시기 세 명의 가짜 메시아는 슈크르 쿠하일 1세(1861–65), 슈크르 쿠하일 2세(1868–75), 요셉 압달라(1888–93)였다.

1862년, 유대인 여행가 야곱 사피르는 대다수의 예멘 유대인들이 슈크르 쿠하일 1세를 메시아로 믿었다고 기록했다. 이전의 예멘 메시아 주장자로는 마이모니데스의 이게레트 테만에 언급된 12세기 익명의 메시아,[51] 바얀의 메시아(1495년경), 수레이만 자말(1667년경) 등이 있었다.[76]

2. 4. 1. 고아 칙령 (1922)

1922년, 야흐야 무함마드 하미드 앗딘 치하의 예멘 정부는 고대 이슬람 율법인 "고아 칙령"을 재도입했다. 이 법은 12세 미만의 유대인 소년 소녀가 고아가 될 경우, 강제로 이슬람교로 개종시키고, 가족 및 공동체와의 관계를 단절시키며, 무슬림 양부모에게 넘겨야 한다고 규정했다.[77] 이 규칙은 예언자 무함마드가 "고아의 아버지"라는 법과 예멘의 유대인들이 "보호 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통치자가 그들을 돌봐야 한다는 사실에 근거했다.[77] 유대인들은 고아들의 개종을 막기 위해 주로 두 가지 방법을 사용했다. 하나는 아이들을 결혼시켜 당국이 그들을 성인으로 간주하게 하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아이들을 국외로 밀반출하는 것이었다.[78]

2. 4. 2. 이스라엘로의 이주

예멘 유대인 공동체의 지도 (영국 위임통치령) 및 이스라엘 이주 전


실완 남쪽의 예멘 유대인 마을, 1880년대에 자선 단체가 건설한 주택 프로젝트 (1891)


솔로몬 시대에 아라비아 반도의 끝으로 이주한 유대인들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솔로몬은 예루살렘 성전 건립을 위해 내장에 사용할 금과 은을 찾기 위해 예멘에 유대인 상선을 파견했다고도 전해진다.[228] 혹은, 시바의 여왕의 요청에 따라 유대인 장인이 예멘으로 갔다고도 한다. 베타 이스라엘도 비슷한 전설을 가지고 있으며, 시바의 여왕과 솔로몬의 결혼이라는 스토리에 자신들의 기원을 찾고 있다. 당시 시바 왕국에티오피아와 예멘에 걸쳐 있던 왕국이었다. 예멘 유대인은 제1성전이 멸망하기 42년 전에 그들의 조상이 예멘으로 이주했다는 전설을 가지고 있다. 예레미야의 지휘 아래 75,000명의 유대인이 예멘으로 향했다는 이야기도 있다.[229] 예멘 남부 샤브와 주의 예멘 유대인은 그들이 제2성전이 멸망하기 전에 이주한 유대인의 후손이라고 전해진다. 그들은 헤로데 대왕이 파견한 군대의 병사였을지도 모른다고 추정된다.[230] 에즈라가 유대인에게 예루살렘으로 귀환할 것을 명령했을 때, 이에 따르지 않은 자들이었다는 전승도 있다. 화가 난 에즈라는 그들을 벌했다. 너무나 성급한 보복 때문에, 에즈라는 미움을 받아 이스라엘 땅에 그의 묘를 만드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다고도 한다. 예멘 유대인들 사이에서는 에즈라라는 이름만은 아이에게 붙이는 부모는 전혀 없다고 한다. 에즈라는 예멘의 유대인이 항상 굶주림에 시달리도록 저주했다고 그들의 전승에 있다.

유대인의 예멘으로의 대규모 이주는 2세기에 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2. 5. 현대사

게데라는 예멘 유대인 인구가 많으며, 아마도 50%에 달한다.


1949년부터 1951년 사이에 예멘 이민 가족의 자녀 1,033명이 이민 캠프에서 실종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99] 부모들은 자녀가 아파서 입원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으나, 이후 병원을 방문했을 때 자녀가 사망했다는 소식과 함께 시신 대신 텅 빈 무덤을 보게 되었다고 한다. 이 사건을 믿는 사람들은 이스라엘 정부와 다른 단체들이 아이들을 납치하여 예멘인이 아닌 가족에게 입양시켰다고 주장했다.[99]

2001년, 7년간의 공개 조사 위원회는 예멘 어린이들이 정부에 의해 납치되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고 결론 내렸다. 위원회는 예멘 이민자들로부터 어린이들을 빼앗으려는 음모가 있었다는 주장을 명백히 거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실종된 어린이 1,033명 중 972명은 사망했으며, 5명은 생존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나머지 56건에 대해서는 위원회가 사건의 진상을 밝혀내지 못했다. 위원회는 해결되지 않은 56건의 경우, 지역 사회복지사들의 개별적인 결정에 따라 공식적인 정책이 아닌 입양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99] 2016년에는 예멘 유대인 어린이 실종 사건과 관련된 40만 건의 문서가 공개되었다.[100]

1990년 9월, 23년 만에 처음으로 예멘 유대인들이 이스라엘에 도착하면서 예멘으로부터의 세 번째 이민이 시작되었다.[101] 1992년부터 1994년 사이에 가장 많은 유대인 가족들이 이스라엘에 도착했으며, 이들은 주로 레호보트(오쉬요트), 아슈켈론, 베르셰바에 정착했다. 1995년과 1996년에도 다른 가족들이 이스라엘로 이주했다. 1992년 8월부터 1993년 7월 17일까지 약 246명의 유대인이 독일과 미국을 거쳐 예멘에서 이스라엘로 이주했다.[102][103]

바이트 하라시 마을(Raydah에서 2km 떨어져 있음)과 사나에서 49km 북쪽에 위치한 라이다 마을에는 작은 유대인 공동체가 있었다. 이들은 랍비, 회당, 미크베를 가지고 있었고, 사트마르와 관련된 하시디즘 조직의 자금 지원을 받는 예시바도 있었다.

2000년대에 많은 예멘 유대인들이 반유대주의 박해와 더 나은 결혼 전망을 찾아 이스라엘, 미국, 영국으로 이민을 갔다. 2004년 예멘 북부에서 예멘 시아파 반란이 발발하면서 사나에는 사실상 유대인 인구가 없어졌다. 2007년 후티는 유대인 공동체를 직접 위협했고, 살레 대통령 정부는 그들에게 사나에서의 피난처를 제공했다. 2010년 기준으로, 약 700명의 유대인이 정부의 보호 아래 수도에 살고 있었다.[106]

2008년 12월, 라이다 출신의 히브리어 교사이자 코셔 도축업자인 모셰 야이쉬 알-나하리가 예멘 공군의 전 MiG-29 조종사에게 살해당했다.[107] 이 사건 이후, 유대인 공동체는 불안감을 표현하며 이슬람 극단주의자들로부터 위협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약 20명의 라이다 유대인 주민이 이스라엘로 이민을 갔다.[109] 2009년에는 알-나하리의 자녀 다섯 명이 이스라엘로 이주했고, 2012년에는 아내와 다른 네 명의 자녀가 뒤따랐다.[110]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예멘 유대인들의 이민은 계속되었다. 2009년에는 10명 이상,[111][112] 2013년에는 60명의 예멘 유대인이 이스라엘로 이주했다.[119] 2009년 10월, ''월스트리트 저널''은 2009년 6월에 예멘에 약 350명의 유대인이 남아 있었고, 60명이 미국으로 이민을 갔으며, 100명이 이민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113] 2010년에는 200명의 예멘 유대인이 영국으로 이민을 갈 수 있도록 허용될 것이라고 보도되었다.[115] 2012년 8월, 사나 출신의 유대인 공동체 지도자인 아하론 진다니가 반유대주의 공격으로 사망했다.[116] 그 후 그의 아내와 다섯 자녀는 이스라엘로 이민을 갔고, 그의 시신은 유대인 기구와 이스라엘 외무부의 도움을 받아 이스라엘에 안치되었다.[117][118]

2015년 예멘 내전이 발발하면서 예멘 내 유대인들의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2015년 10월, 후티 반군이 예멘 정부를 장악하면서 유대인들에게 개종 또는 예멘을 떠나라는 최후 통첩을 보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이는 부인되었다.[120][121]

2016년 3월, 19명의 예멘 유대인 그룹이 비밀 작전을 통해 이스라엘로 이송되었고, 약 50명의 유대인이 예멘에 남게 되었다.[122][123] 같은 해 6월, 토라 두루마리를 밀반출하는 것을 도운 혐의로 예멘에서 체포된 유대인들이 석방되었다.[124]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모나 릴리프는 사나에 거주하는 유대인들에게 구호 물품을 제공했다.[125][127] 2018년 7월, 한 예멘 랍비는 예멘 전쟁 전까지는 모든 공동체가 좋은 대우를 받았다고 주장하며, 예멘 유대인들이 예멘을 떠나서는 안 되었으며 전쟁이 끝나면 수천 명의 예멘 유대인들이 예멘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126]

2020년, 아덴의 유대인 묘지가 파괴되었고,[128] 예멘에 남은 유대인들의 운명은 불투명해졌다.[129] 후티 민병대가 유대인들을 체포하고 추방하려 한다는 보도가 이어졌다.[131][132][133] 2020년 8월, 약 100명으로 추정되는 예멘 유대인 중 42명이 아랍에미리트로 이주했으며 나머지도 떠날 것으로 보인다.[134][135] 11월, 미국 국무부는 레비 살렘 무사 마르하비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했다.[136]

2021년 3월, 13명의 유대인이 후티에 의해 예멘을 떠나도록 강요받았고, 예멘에는 10명 미만의 유대인이 남아 있었다.[138][143] 더 예루살렘 포스트는 예멘에 남아 있는 유대인 인구는 4명의 노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대부터 이어져 온 공동체의 지속적인 존재가 종료되었다고 보도했다.[144][145] 2022년 3월 유엔은 예멘에 유대인이 단 한 명(레비 살렘 무사 마르하비)이라고 보고했지만,[147] ''Ynet''은 2024년 6월 19일 현재 실제 숫자는 5명이라고 현지 소식통을 인용했다.[148][149]

2. 5. 1. 실종 아동 사건 (1949-51)

1949년부터 1951년 사이에 예멘 이민 가족의 자녀 1,033명이 이민 캠프에서 실종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99] 부모들은 자녀가 아파서 입원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 이후 병원을 방문했을 때, 부모들은 자녀가 사망했다는 말을 들었지만 시신은 받지 못했고, 많은 경우 텅 빈 무덤만 보게 되었다. 이 사건을 믿는 사람들은 이스라엘 정부와 다른 단체들이 아이들을 납치하여 예멘인이 아닌 가족에게 입양시켰다고 주장했다.[99]

2001년, 7년간의 공개 조사 위원회는 예멘 어린이들이 정부에 의해 납치되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고 결론 내렸다. 위원회는 예멘 이민자들로부터 어린이들을 빼앗으려는 음모가 있었다는 주장을 명백히 거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실종된 어린이 1,033명 중 972명은 사망했으며, 5명은 생존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나머지 56건에 대해서는 위원회가 사건의 진상을 밝혀내지 못했다. 위원회는 해결되지 않은 56건의 경우, 지역 사회복지사들의 개별적인 결정에 따라 공식적인 정책이 아닌 입양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99] 2016년에는 예멘 유대인 어린이 실종 사건과 관련된 40만 건의 문서가 공개되었다.[100]

2. 5. 2. 1990년부터 2016년까지의 이주

1990년 9월, 인권 운동가이자 국제 예멘 유대인 부흥 연합(ICROJOY) 설립자인 하임 타윌 교수의 중재로 23년 만에 처음으로 예멘 유대인들이 이스라엘에 도착하면서 예멘으로부터의 세 번째 이민이 시작되었다.[101] 1992년부터 1994년 사이에 가장 많은 유대인 가족들이 이스라엘에 도착했으며, 이들은 주로 레호보트(''오쉬요트''), 아슈켈론, 베르셰바에 정착했다. 1995년과 1996년에도 다른 가족들이 이스라엘로 이주했다.

1992년 8월부터 1993년 7월 17일까지 약 246명의 유대인이 독일과 미국을 거쳐 예멘에서 이스라엘로 이주했다.[102][103]

바이트 하라시 마을(Raydah에서 2km 떨어져 있음)과 사나에서 49km 북쪽에 위치한 라이다 마을에는 작은 유대인 공동체가 존재했다. 이들은 랍비, 회당, 미크베를 가지고 있었고, 사트마르와 관련된 하시디즘 조직의 자금 지원을 받는 예시바도 있었다.

2000년대에 많은 예멘 유대인들이 반유대주의 박해와 더 나은 결혼 전망을 찾아 이스라엘, 미국, 영국으로 이민을 갔다. 2004년 예멘 북부에서 예멘 시아파 반란이 발발하면서 사나에는 사실상 유대인 인구가 없어졌다. 2007년 후티는 유대인 공동체를 직접 위협했고, 살레 대통령 정부는 그들에게 사나에서의 피난처를 제공했다. 2010년 기준으로, 약 700명의 유대인이 정부의 보호 아래 수도에 살고 있었다.[106]

2008년 12월, 라이다 출신의 히브리어 교사이자 코셔 도축업자인 모셰 야이쉬 알-나하리가 예멘 공군의 전 MiG-29 조종사에게 살해당했다.[107] 이 사건 이후, 유대인 공동체는 불안감을 표현하며 이슬람 극단주의자들로부터 위협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약 20명의 라이다 유대인 주민이 이스라엘로 이민을 갔다.[109] 2009년에는 알-나하리의 자녀 다섯 명이 이스라엘로 이주했고, 2012년에는 아내와 다른 네 명의 자녀가 뒤따랐다.[110]

2009년 2월부터 7월까지 10명 이상의 예멘 유대인이 이스라엘로 이주했다.[111][112] 2009년 10월, ''월스트리트 저널''은 2009년 6월에 예멘에 약 350명의 유대인이 남아 있었고, 60명이 미국으로 이민을 갔으며, 100명이 이민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113] 2010년에는 200명의 예멘 유대인이 영국으로 이민을 갈 수 있도록 허용될 것이라고 보도되었다.[115]

2012년 8월, 사나 출신의 유대인 공동체 지도자인 아하론 진다니가 반유대주의 공격으로 사망했다.[116] 그 후 그의 아내와 다섯 자녀는 이스라엘로 이민을 갔고, 그의 시신은 유대인 기구와 이스라엘 외무부의 도움을 받아 이스라엘에 안치되었다.[117][118]

2013년 1월, 60명의 예멘 유대인 그룹이 비밀 작전을 통해 카타르를 거쳐 이스라엘로 이민을 갔다.[119]

2. 5. 3. 예멘 내전 (2015-현재)

2015년 10월 11일, 리쿠드 소속 크네세트 의원 아유브 카라는 예멘 유대인 공동체 구성원들이 자신에게 연락하여 후티가 주도하는 예멘 정부가 개종하거나 예멘을 떠나라는 최후 통첩을 보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전 대통령 알리 압둘라 살레의 정당 대변인은 해당 보도가 사실과 다르다고 부인했다.[120][121]

2016년 3월 21일, 19명의 예멘 유대인 그룹이 비밀 작전을 통해 이스라엘로 이송되었고, 약 50명의 유대인이 예멘에 남게 되었다.[122][123] 같은 해 6월 7일, 토라 두루마리를 밀반출하는 것을 도운 혐의로 예멘에서 체포된 유대인들이 석방되었다.[124]

2017년 5월, 예멘에 본부를 둔 자선 단체인 모나 릴리프(예멘 인도적 구호 및 개발 기구)는 사나에 거주하는 유대인 공동체 구성원 86명에게 구호 물품을 제공했다.[125]

2018년 7월 한 예멘 랍비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최근 예멘 전쟁 전까지는 모든 공동체가 영향을 받았지만, 그 전에는 매우 좋은 대우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예멘 유대인들이 예멘을 떠나서는 안 되었으며, 전쟁이 끝나면 수천 명의 예멘 유대인들이 예멘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126]

2019년 2월 25일, 모나 릴리프 웹사이트는 모나 릴리프의 사나 수도 팀이 예멘의 유대교 소수민족 가족들에게 매달 식량 지원 꾸러미를 전달했다고 보고했다. 모나 릴리프는 2016년부터 사나 수도의 유대인 공동체에 식량 지원 바구니를 전달해 왔다.[127]

2020년 3월 기준으로 아덴의 유대인 묘지가 파괴되었다.[128] 같은 해 4월 28일, 예멘의 무아마르 알-이리야니 장관은 예멘에 있는 "마지막 50명의 유대인의 운명"을 "알 수 없다"고 언급했다.[129] 7월 13일, 후티 민병대가 카리프 지역의 마지막 유대인들을 체포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131] 같은 달 19일, 모나 릴리프는 예멘 유대인 인구가 사나에 "소수의" 유대인만 남아 있다고 웹사이트에 보고했다.[132]

2020년 7월에 발표된 예멘 간행물에 따르면, 마지막 두 유대인 가족은 후티가 통제하는 지역에서 추방을 기다리고 있었다. 한 소식통은 "현재 후티가 나머지 유대인들을 추방하고, 그들이 실제 가격으로 재산을 매각하는 것을 막으려 한다는 것이 분명해졌다"고 말했다.[133]

2020년 8월, 약 100명으로 추정되는 예멘 유대인 중 42명이 아랍에미리트로 이주했으며 나머지도 떠날 것으로 보인다.[134][135] 같은 해 11월 10일, 미국 국무부는 예멘에 남아 있는 마지막 예멘 유대인 중 한 명인 레비 살렘 무사 마르하비의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인 석방을 요구했다. 보도 자료에 따르면 마르하비는 2019년 9월 법원이 그의 석방을 명령했음에도 불구하고 후티 민병대에 의해 4년 동안 부당하게 구금되어 있다고 밝혔다.[136]

2021년 3월 28일, 13명의 유대인이 후티에 의해 예멘을 떠나도록 강요받았고, 예멘에는 10명 미만의 유대인이 남아 있었다.[138][143] 한 보고서에 따르면 예멘에는 6명의 유대인이 남아 있으며, 더 예루살렘 포스트는 예멘에 남아 있는 유대인 인구는 4명의 노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대부터 이어져 온 공동체의 지속적인 존재가 종료되었다고 보도했다.[144][145] 2022년 3월 유엔은 예멘에 유대인이 단 한 명(레비 살렘 무사 마르하비)이라고 보고했지만,[147] ''Ynet''은 2024년 6월 19일 현재 실제 숫자는 5명이라고 현지 소식통을 인용했다.[148][149]

3. 종교적 전통

예멘 유대인들은 제1성전이 파괴되기 42년 전인 기원전 628년 또는 기원전 463년에 예멘에 처음 정착했다는 오랜 종교적 전통을 가지고 있다.[150][151][152][153][154] 요세푸스는 제2성전 파괴 당시 유대인들이 파르티아(페르시아), 바빌로니아(이라크), 아라비아 등지에 흩어져 살았으며, 이들이 예멘 유대인의 조상으로 여겨진다고 언급했다.[155]

예멘의 종교적 전통은 오랜 역사를 거치며 다양한 사건들을 겪었다.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시기사건
서기 250년경예멘 출신 유대인 원로가 베이트 셰아림에 묻힘.[156][157]
서기 390년힘야르족의 왕 아부 카리브가 유대교로 개종.[15][16]
서기 470–77년예멘 출신 유대인들이 조아라에 묻힘.[158]
서기 524년유대인 왕 유수프 아사르 야타르(두 누와스)가 나지란을 포위하고 점령.[159][160]
1165년투델라의 벤자민이 예멘 사다에 사는 다윗 왕 혈통의 유대인 형제를 언급.[161]
1174년마이모니데스가 예멘 유대인들에게 이게렛 테만을 씀.[51][162]
1216년예멘 유대인들이 랍비 아브라함 벤 마이모니데스에게 할라차 관련 질문을 함.[163]
1346년랍비 예호슈아 하나기드가 예멘 유대인 공동체 지도자와 서신 교환.[164]
1457년사나의 옛 회당 파괴.[165]
1489년랍비 오바디아 디 베르티노라가 예루살렘에서 예멘 출신 유대인들을 만남.[166]
1567년제카리야 (야흐야) 알-다히리가 사페드의 랍비 요세프 카로 예시바 방문.[167]
1666년머리쓰개 칙령으로 유대인들의 터번 착용 금지.[168]
1679–80년마우자 추방.[169]
1724년예멘 대기근으로 많은 유대인들이 이슬람으로 개종.[170]
1761년사나의 열두 개 회당 파괴.[171]
1763년카르스텐 니부어가 예멘 유대인들과의 만남을 묘사.[172]
1805년랍비 이흐야 살레 (마하리츠) 사망.
1859년야코브 사피르가 예멘 유대인들과의 만남을 묘사.
1882년예멘 유대인들의 첫 번째 현대적 대규모 이민.[173][174]
1902년랍비 이히야 이츠하크 할레비가 사나의 재판관으로 임명.[175]
1907년팔레스타인 오스만 정부가 예멘인을 독립적인 공동체로 인정.[176]
1909년독일계 유대인 사진작가 헤르만 부르카드가 예멘에서 살해.
1910년알리앙스 이스라엘리트 유니버설 특사가 예멘에 학교 설립 가능성 탐색.[177]
1911년시온주의 특사가 예멘 유대인들에게 알리야 설득.[178]
1911년랍비 아브라함 아이작 쿡이 예멘 유대인 지도자들에게 질문.[179]
1912년예멘으로부터의 세 번째 이민 물결.
1927년나단 벤 아브라함의 11세기 미쉬나 해설 필사본 발견.
1949년이맘 아흐마드가 유대인들의 예멘 이탈 허용.[180]
1949–50년마법 양탄자 작전으로 약 48,000명의 예멘 유대인들이 이스라엘로 이주.



오늘날 예멘 유대인들은 회당에서 히브리어 성서를 읽을 때, 각 단락이나 문장을 아람어 탈굼으로 해석하는 전통을 쿠르드 유대인과 함께 유지하고 있다.

3. 1. 종교 분파

1914년 전통 의상을 입고 탈리트 가돌을 입고 두루마리를 읽고 있는 예멘 유대인


예멘 유대인은 쿠르드 유대인[181]과 함께 회당에서 히브리어아람어 타르굼("번역")으로 토라를 읽는 전통을 가진 유일한 공동체이다. 대부분의 비(非)예멘 유대인 회당에서는 바알 코레라는 특정인이 알리야를 위해 토라 두루마리로 불려갈 때 토라 두루마리에서 읽는다. 그러나 예멘의 전통에서는 알리야를 위해 토라 두루마리로 불려가는 각 개인이 직접 읽는다. 바르 미츠바 이전의 어린이는 종종 여섯 번째 알리야를 받는다. 히브리어로 읽는 토라의 각 절은 아람어 번역으로 이어지며, 보통 아이가 낭송한다.

다른 대부분의 유대인 공동체와 마찬가지로 예멘 유대인들은 토라, 예언서(하프타라), 애가서(메길라트 아이다), 전도서(코헬렛, 숙콧 동안 읽음), 에스더서(메길라트 에스더, 푸림에 읽는 에스더서)에 대해 다른 멜로디를 낭송한다. 아슈케나지 유대인 공동체와 달리 잠언(미슐레)과 시편에 대한 멜로디가 존재한다.[182]

쇼파르를 울리는 예멘 유대인, 1930년대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 (추정 예루살렘)


사나사다와 같은 큰 유대인 공동체에서 소년들은 세 살에 종교 교육을 시작하기 위해 ''멜라메드''로 보내졌다. 유대인 여성은 카슈루트니다와 관련된 법률에 대한 철저한 지식을 갖추어야 했다. 어떤 여성들은 셰히타의 법률을 마스터하여 의례적 도축업자로 활동하기도 했다.

예멘 유대인들은 회당 바닥에 의자 대신 앉아서 예배를 드렸다. 이는 람밤(마이모니데스)이 그의 미슈네 토라에 쓴 내용과 일치한다.

오스만 제국 팔레스타인에서 회당에서 공부하는 장로들 (1906–1918)


의자가 없다는 것은 엎드려 절하기에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을 수 있다. 이는 예멘 유대인들이 최근까지 실천해 온 고대 유대교 관습이다.[184] 유럽 출신의 유대인들은 일반적으로 로쉬 하샤나 (유대교 새해)와 욤 키푸르 (속죄의 날) 동안 특별한 기도 부분에서만 엎드려 절한다.

예멘 유대인의 집과 마찬가지로 예멘의 회당은 해당 지역에서 가장 낮은 모스크보다 높이가 낮아야 했다. 이를 수용하기 위해 회당은 외부에서 크게 보이지 않도록 땅에 지어졌다. 예멘의 일부 지역에서는 미니안이 종종 회당을 위한 별도의 건물을 갖는 대신 유대인의 집에서 모였다.

예멘 유대인들은 오늘날에도 발견되는 독특한 탈리트를 착용했다. 예멘 탈리트는 넓은 ''아타라''와 은색 또는 금색 실로 장식된 큰 코너 패치를 특징으로 하며, 탈리트의 측면을 따라 가장자리가 그물로 되어 있다. 발라디 관습에 따르면, 치치트마이모니데스의 가르침에 따라 일곱 개의 ''출요트''(걸쇠)로 묶여 있다.[185]

안식일에는 전통적인 예멘 빵은 서부 유대인 공동체에서 발견되는 ''할라''가 아니라 ''쿠바네''였으며, 이는 먼저 두 개의 납작빵을 흙 가마에서 구운 후 축복을 드린 후 안식일 아침에 먹었다.[186][187]

3. 1. 1. 도르 다임과 이크쉼의 논쟁

19세기 말, 해외로부터 새로운 사상이 예멘 유대인 사회에 유입되기 시작했다. 히브리어 신문이 들어오고, 오스만 제국의 여러 지역에서 온 세파르드 유대인들과 교류하며 관계가 발전했다.

특히, 프랑스에서 교육받은 유대인 동양학 연구가 조셉 할레비와 오스트리아 출신 유대인 천문학자이자 아랍학자인 에두아르 글라저는 젊은 예멘 유대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그중 가장 뛰어난 인물은 랍비 이흐야 카피흐였다. 카피흐는 할레비와 글라저와의 만남을 통해 교육 체계에 현대적인 내용을 도입하고자 했다. 그는 새로운 학교를 열어 산수, 히브리어 및 아랍어 문법, 자연 과학, 역사, 지리, 천문학, 체육, 터키어 등을 가르쳤다.[199]

조하르 문학에 관한 도르 다임과 이크쉼 간의 논쟁은 1912년에 시작되어 사나의 유대인 공동체를 분열시켰다. 이들은 1940년대 후반까지 별도의 공동체 기관을 유지하며 두 개의 경쟁 그룹으로 나뉘었다.[200] 랍비 카피흐와 그의 동료들은 도르 다임("지식의 세대")이라 불리는 마이모니데스파의 지도자들이었다. 이들은 예멘 유대인들을 17세기 이전 예멘에 존재했던 유대교를 이해하는 원래의 마이모니데스적 방식으로 되돌리고자 했다.

일부 스페인 및 포르투갈 유대인(서부 세파르드 유대인)과 유사하게, 도르 다임은 신비주의 서적인 조하르를 거부했다. 그들은 조하르에 기반한 카발라가 비합리적이며 유대교의 진정한 합리적 본질과 맞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1913년, 당시 새로운 유대인 학교의 교장이자 오스만 당국과 긴밀히 협력하던 랍비 카피흐는 충분한 정치적 지지를 얻었다고 판단하여 도르 다임의 견해를 공개하고 공동체가 이를 받아들이도록 설득하려 했다. 그러나 공동체의 많은 비도르 다임 구성원들은 도르 다임의 개념을 거부했다. 하캄 바시인 랍비 이흐야 이츠하크 하레비가 이끄는 반대 세력인 이크쉼은 기존 관습과 조하르 연구에서 벗어나기를 거부했다. 이크쉼은 랍비 카피흐의 현대적인 터키계 유대인 학교에 반대했다.[199] 도르 다임과 이크쉼의 분쟁으로 인해 학교는 문을 연 지 5년 만에 문을 닫았고, 교육 체계는 젊은이들에게 그들의 사상을 전파하지 못한 채 중단되었다.[201]

4. 예멘 유대인의 문화

1958년 이스라엘에서 전통적인 예멘 유대인 신부 복장을 한 신부


예멘 유대인의 결혼 풍습은 신랑 신부가 '후파' 아래가 아닌, 신부의 방에서 격리되는 독특한 형태를 띤다.[189] 이 방은 화려한 천과 벽 쿠션, 매트리스 등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이 방에서 둘만의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결혼이 성사된다.[189] 이러한 고대 관습은 이삭 벤 아바 마리의 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189]

예멘 유대인 신부는 보석과 루트 잎으로 장식된 머리 장식을 포함한 전통적인 결혼 복장을 착용하며, 옷에는 금실이 짜여 있다.[188] 7일간의 결혼 축하 행사에서는 히브리어와 아랍어로 된 우정과 사랑을 노래하는 가사가 번갈아 불린다.[188] 이스라엘 이주 후, 지역별 다양성은 사라지고 사나의 화려한 신부 의상이 대표적인 예멘 신부 의상으로 자리 잡았다.[191]

1794년 예멘 출신의 케투바, 현재는 베잘렐 예술 디자인 아카데미에 소장되어 있음


결혼 전에는 청동기 시대부터 이어져 온 헤나 의식이 행해진다.[192] 신부 가족은 헤나 잎으로 만든 반죽을 신랑, 신부, 하객들의 손바닥에 발라주는데, 씻어낸 후에도 짙은 오렌지색 얼룩이 남아 몇 주 동안 지속된다.[193] 예멘인들은 솔로몬의 노래와 탈무드에 언급된 헤나를 특별하게 여긴다.[193] 이 전통은 파슈툰족과 아프가니스탄 유대인도 공유한다.[193]

1898년에서 1914년 사이의 예멘 유대인 노인


예멘 유대인 공동체는 크게 발라디, 샤미, 람밤파(마이모니데스파)로 나뉜다.[195]

  • 발라디 유대인은 미쉬네 토라에 명시된 할라카를 따르며, 마하리츠가 개발한 전례를 따른다.[195]
  • 샤미 유대인은 세파르디 유대교 의식과 랍비 권위를 받아들였으며, 아리의 관례를 최대한 수용했다.[196][197]
  • 람밤파는 도르 다임 운동의 영향을 받아 마이모니데스의 탈무드 율법을 엄격히 따르는 사람들이다.[195]


예멘의 '''미드라쉬 하-가돌''' 창세기 필사본 페이지.


바빌로니아 상선 구두점이 있는 예멘 시두르의 섹션 (Pirke Avot)


예멘 유대인들은 히브리 성경(타지), 미드라쉬, 유대-아랍어 사본 등 다양한 문학 작품을 남겼다.[205] 제카리아 (야흐야) 알-다히리와 샤바지 가문은 예멘 시에 큰 영향을 미쳤다.[208]

예멘 사나의 유대인 어린이들 (1909년경)


아브라함 b. 아브라함 이츠하크 할레비와 가족, 예히예 하이비(Yihye Haybi) 사진, 1940년경


예멘 유대인 남성은 튜닉(חלוק|할루크he)과 습관(סודרא|수드라he)을 착용했다.[209][210] 과거에는 유대인이 파란색 외의 옷을 입는 것이 금지되었으나,[213] 야곱 사피르 시대에는 검은색 겉옷을 입었다.[214] 카르스텐 니부어는 파란색 튜닉을 입은 유대인 궁정 재상 살림 b. 아하론 이라키 하-코헨(Sālim b. Aharon Irāqi Ha-Kohen)에 대해 기록했다.[214]

전통적인 예멘 여성 의상


예멘 유대인 여성들은 전통적으로 긴 검은색 튜닉 아래에 갈라진 바지를 입고, 가르구쉬라는 머리 장식을 착용했다.

예멘 유대인들은 말라와흐, 야흐눈, 쿠바네 등 독특한 음식을 이스라엘에 전파했다.

예멘 유대인의 성씨는 지명 성씨, 부칭 성씨, 직업, 신체적 특징 등 다양한 요소를 반영한다.[217]

이스라엘에서 예멘 유대인들은 아슈케나지 유대인의 영향으로 헤나 사용과 같은 전통문화가 쇠퇴하기도 했으나,[220] 1970년대 후반부터 민족 유산 보존 논의가 시작되어 일부 관습이 부활했다.[220]

예멘 유대인은 미즈라히 음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쇼샤나 다마리, 오프라 하자, 다나 인터내셔널 등 유명 가수를 배출했다.[41]

4. 1. 예멘 히브리어

예멘 히브리어는 학자들의 연구 대상이 되어 왔으며, 많은 학자들이 이 언어가 가장 고대적인 음성적, 문법적 특징을 담고 있다고 믿고 있다.[203] 많은 학자들은 예멘 히브리어의 두 가지 주요 발음을 성경 히브리어의 가장 정확한 현대적 형태로 간주하지만, 기술적으로는 예멘 지역과 관련된 총 5가지 발음이 존재한다. 예멘 방언에서는 모든 히브리 문자가 고유한 소리를 가지고 있지만, ''사메흐''(ס|사메흐he)와 ''신''(שׂ|신he)은 둘 다 로 발음된다.[204] 사나 히브리어 발음(대다수가 사용)은 사디아 가온에 의해 간접적으로 비판을 받았는데, 그 이유는 그가 틀렸다고 규정한 히브리 문자 ''지멜''과 ''구프''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랍비 라츠온 아루시와 같은 예멘 학자들은 그러한 관점이 사디아 가온의 말을 오해한 것이라고 말한다.

랍비 마주즈는 제르바(튀니지) 유대 방언이 ''기멜''과 ''쿠프''를 사용하고, 제르바의 아랍 방언으로 이방인과 대화할 때는 ''지멜''과 ''구프''로 전환하는 것을 통해 이 가설을 제시한다. 유대인 소년들은 3세부터 히브리어를 배웠지만, 이는 주로 예배 및 학문적 언어로 사용되었다. 일상 생활에서 예멘 유대인들은 지역 유대-아랍어를 사용했다. 현재 유대교 예배에서 성서를 회당에서 히브리어로 읽을 때, 단락 또는 문장마다 아람어의 탈굼으로 해석하는 것은 예멘 유대인과 쿠르디스탄 유대인뿐이다.

4. 2. 예멘 유대인의 문학



가장 오래된 예멘 필사본은 예멘 유대인들이 "타지"("왕관")라고 부르는 히브리 성경이다. 9세기에 제작된 가장 오래된 텍스트는 각기 짧은 마소라 서문을 포함하고 있으며, 많은 텍스트가 아랍어 주석을 담고 있다.[205]

예멘 유대인들은 사아디아 가온, 라시, 킴히, 나흐마니데스, 예후다 하 레비, 이삭 아라마의 저서를 알고 있었으며, 자체적으로 많은 주석가들을 배출했다. 14세기에 나타나엘 벤 이사야는 성경에 대한 아랍어 주석을 썼고, 15세기 후반에는 사아디아 벤 다비드 알-아데니가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에 대한 주석을 저술했다. 아브라함 벤 솔로몬은 예언서에 대해 저술했다.

예멘의 미드라쉬 컬렉션 중에는 다비드 바르 암람 알-아데니의 ''미드라쉬 하-가돌''을 언급해야 한다. 1413년과 1430년 사이에 의사 야흐야 제카리아 벤 솔로몬은 "미드라쉬 하-헤페츠"라는 편집물을 썼으며, 여기에는 오경, 애가, 에스더기 및 히브리 성경의 다른 부분이 포함되었다. 1484년과 1493년 사이에 다비드 알-라와니는 그의 "미드라쉬 알-와지즈 알-무그니"를 저술했다.[206] 마이모니데스의 ''우유부단자를 위한 안내''의 가장 오래된 완벽한 유대-아랍어 사본은 1380년 예멘에서 복사되었으며, 인도 사무국 도서관에서 발견되어 1992년 대영 도서관 컬렉션에 추가되었다.[207]

예멘 시인 중에는 스페인 학파를 본떠 히브리어와 아랍어 찬가를 쓴 제카리아 (야흐야) 알-다히리와 샤바지 가문을 언급할 수 있다. 알-다히리의 작품은 Ḥariri에서 영감을 받은 ''마카마''라는 시적 장르를 사용하며, 1573년 ''세페르 하-무사르''라는 제목으로 쓰여졌다. 여기에서 저자는 45개의 장에서 인도, 이라크, 터키, 시리아, 이스라엘 땅, 이집트 전역의 여행을 묘사하고, 랍비 요세프 카로의 체파트 학습 센터에 대한 묘사를 포함한다. 철학자로는 14세기 초에 사아디아 벤 자베츠와 사아디아 벤 마스우드, 운문으로 쓰인 대화 형식의 논문 저자 이븐 알-하와스, 저자가 "예멘의 꽃"이라고 칭했고, 하산 알-다마리, 철학 논문 "네르 이스라엘"(1420)과 "키타브 알-마사하"를 쓴 요세프 하-레비 벤 제페스 등이 있다.[208]

4. 3. 예멘 유대인의 의복



튜닉(חלוק|할루크he)과 습관(סודרא|수드라he)은 예멘의 결혼한 유대인 남성이 착용하는 전통적인 의복이었다. 습관은 중앙 모자(כומתא|쿠메타he)로 만들어졌다.[209][210] 랍비 요세프 카피(Yosef Qafih)는 습관을 감싸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서, 습관은 남자의 머리에 감싸거나 머리에 부분적으로 드리워지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독일 민족지학자 에리히 브라우어(Erich Brauer, 1895–1942)는 유대인과 이방인의 의복 차이는 속옷이 아닌 겉옷에만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과거 예멘에서는 국가의 법률에 의해 유대인이 파란색 외에는 다른 색상의 옷을 입을 수 없도록 강제했다.[213] 야곱 사피르(Jacob Saphir) 시대(1859)에는 "전적으로 검은색" 겉옷을 입었다. 1763년 예멘을 방문한 독일-덴마크 탐험가 카르스텐 니부어(Carsten Niebuhr)는 파란색 튜닉을 입은 유일한 사람은 두 왕 밑에서 28년 이상 봉사한 유대인 궁정인 살림 b. 아하론 이라키 하-코헨(Sālim b. Aharon Irāqi Ha-Kohen) 재상이였다고 기록했다.[214]

전통적인 예멘 ''탈릿''은 단색의 검은색 또는 갈색의 고급 양모나 염소털로 만들어진 풀 길이의 ''탈릿''으로, ''샴라흐''(šämläh)라고 불렸다. 그러나 유대인 의류에는 그러한 의류에 처방된 의식적인 (Tzitzit)이 있었다. 이러한 의류는 기도 시간뿐만 아니라 하루 종일 착용했다.[216] 나중에 검정색과 흰색 줄무늬의 장식용 숄이 유럽에서 수입되었고, 예멘 유대인들은 특별한 행사와 안식일에 그것들을 착용하며 매우 가치 있게 여겼다. 작은 ''탈릿''(ṭallīt kaṭan)은 아덴(Aden)을 통해 유럽에서 예멘으로 도입되었으며, 주로 랍비와 교육받은 사람들이 착용했다.[215]

예멘의 유대인 여성들은 전통적으로 긴 검은색 튜닉 아래에 갈라진 바지를 입었다. 바지는 보통 검은색으로 만들어졌으며 발목까지 좁아지고, 아래쪽 솔기는 은색으로 정교하게 수놓아져 있었다. 튜닉은 드레스이자 긴 소매 블라우스 역할을 했으며, 모두 한 조각으로 되어 있었다. 모든 어린 소녀들은 머리에 검은색 원뿔 모양의 모자를 썼는데, 이는 스카프를 대신했다. 이 모자는 현지 방언으로 ''가르구쉬''라고 불렸으며, 귓불과 목덜미까지 내려오는 좁아지는 덮개 외에도 테두리에 자수된 띠로 장식되었다. 사나의 나이 많은 여성들은 특히 공공장소에 외출할 때 머리 위에 넓은 베일 모양의 스카프인 ''마스완''을 착용했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머리카락을 덮는 더 촘촘한 스카프 위에 착용했다. 모든 여성들은 공공장소에서 검은색 슬리퍼를 착용했으며, 아주 어린 소녀들만이 맨발로 걸었다.

하이단 아샴(예멘 북부 지역)의 유대인 여성과 소녀들은 가르구쉬를 사용하지 않고 머리에 검은색 스카프를 단단히 묶어 검은색 밴드와 유사하게 만들고, 머리카락을 덮는 추가 스카프로 덮었다.

4. 4. 예멘 유대인의 음식

예멘 유대인들은 이스라엘에 특정 요리를 들여온 것으로 유명하며, 현재 이스라엘에 거주하는 모든 민족들이 즐겨 먹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말라와흐(물라와흐를 변형한 것)와 야흐눈이다. 덜 알려진 빵 종류로는 쿠바네(전통적인 안식일 빵), 루후흐, 사바야, 잘라비예 등이 있다.

4. 5. 예멘 유대인의 성씨

예멘 유대인의 성씨는 복잡한 주제이다. 대부분의 성씨는 지명 성씨로, 조상의 거주지 이름(예: 알-가데스(al-Gades)에서 유래한 가다시(Gadasi), 카타바(Qa'tabah)에서 유래한 카타비(Qa'taby), 만카다(Manqadah)에서 유래한 만카디(Manqadi), 다마르(Dhamar)에서 유래한 다마리(Damari), 담트(Damt)에서 유래한 담티(Damti) 등과 같이 마을 또는 읍의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그보다 적은 수가 조상의 이름에서 유래한 이름이나 부칭 성씨이다.[217] 일부 성씨는 조상의 직업을 반영한다.[217] 어떤 경우에는 성씨가 먼 조상의 특정 신체적 특징에서 유래하기도 한다.[218] 일부 가족은 메디나(Medina)와 기야트(Giyyat)와 같은 원래 스페인어 성씨를 사용한다. 일부 이름은 이스라엘로 이주하면서 추가적인 변경을 거쳤다. 예를 들어, 이전에 라다(Radha) (רצ'א|라차jrb)라는 성씨를 사용하던 일부는 라촌(רצון|라촌he)으로 성씨를 변경했는데, 이는 아랍어 단어의 의미를 직접 번역한 히브리어이며, 다른 사람들은 알-나다프(Al-Nadaf, 직역하면 쿠션 충전기, 면화 가공업자)와 같이 더 히브리어화된 소리로 이름을 바꾸기도 했다. 알-나다프는 나중에 나다브("관대한")로 변경되었고, '우르카비('Urqabi, 예멘의 한 지역에서 유래)는 나중에 아르고브(Argov)로 변경되었으며, 셰히브(Sheḥib) (שחב|셰히브jrb)는 "목소리가 쉰 사람"을 의미하며, 마지막 두 글자의 순서를 바꿔 셰바흐(שבח|셰바흐he), 즉 "칭찬"으로 변경되었다.

4. 6. 이스라엘 문화와의 상호작용

이스라엘의 예멘 유대인들은 초기에는 주류인 아슈케나지 유대인에 의해 그들의 문화를 실천하는 것을 자제해야 했다. 결혼 전에 헤나를 사용하는 관습이 쇠퇴하기도 했다.[220] 1970년대 후반부터 예멘 유대인의 민족 유산을 기리는 논의가 시작되었고, 2018년에는 일부 예멘 관습이 부활했다.[220] 이러한 흐름의 분수령이 된 것은 1965년 이스라엘 박물관에서 전시된 예멘 신부의 모습이었다.[220]

4. 7. 음악

예멘 유대인은 미즈라히 음악의 이스라엘 공연자들 사이에서 두드러진다.[41] 예멘 출신 가수 쇼샤나 다마리는 "이스라엘 음악의 여왕"으로 여겨지며, 해외에서 가장 성공한 이스라엘 가수인 오프라 하자와 아키노암 니니(노아)도 예멘 출신이다.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1998년, 1979년, 1978년 우승자 다나 인터내셔널, 갈리 아타리, 이차르 코헨, 1983년 준우승자 오프라 하자, 2008년 10위권 진입자 보아즈 마우다는 예멘 유대인이다. 2010년 오슬로에서 경쟁했던 하렐 스카트는 예멘 유대인 아버지의 아들이다.

다른 예멘 유대계 이스라엘 가수 및 음악가로는 조하르 아르고브, 음악 그룹 A-WA의 세 자매(예멘 유대인 아버지), 인바르 바칼, 모쉬 벤-아리, 요세파 다하리, 닥론, 에이알 골란, 지온 골란, 이샤이 레비, 사라 레비-타나이(안무가 및 작사가), 보아즈 마우다, 아비후 메디나, 보아즈 샤라비, 페에르 타시, Rucka Rucka Ali, 시미 타보리, 마르갈리트 찬자니, Balkan Beat Box의 토머 요세프 등이 있다.

참조

[1] 뉴스 Yemenite Jews in Stamford Hill: A failed experiment https://www.thejc.co[...]
[2] 웹사이트 Watch: After 15 Years: Yemeni Jewish Family Reunites In The United Arab Emirates https://www.theyeshi[...] 2020-08-10
[3] 웹사이트 Report: Yemen's Remaining Jews to Move to UAE Following Israel Treaty https://hamodia.com/[...] 2020-08-16
[4] 웹사이트 Point of No Return https://www.jewishre[...]
[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Jews of Yemen https://aish.com/his[...] 2022-05-10
[6] 웹사이트 The last Jew of Yemen - report https://www.spectato[...] 2024-12-17
[7] 뉴스 Persecution Defines Life for Yemen's Remaining Jews https://www.nytimes.[...] 2015-02-18
[8] 서적 History as Prelude: Muslims and Jews in the Medieval Mediterranea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1
[9] 문서 Rabbi Shalom ben Aharon Ha-Kohen Iraqi would go to a different Yemenite synagogue each Shabbat with printed Sephardic siddurim, requesting that the congregation pray in the Sefardic nusach and forcing it upon them if necessary (Yosef Kapach, Passover Aggadta, p. 11). See also Baladi-rite Prayer.
[10] 문서 Christian Robin: Himyar et Israël. In: Académie des inscriptions et belles lettres (eds): Comptes-Rendus of séances de l'année 2004th 148/2, pages 831–901. Paris 2004
[11] 문서 Gilbert, Martin: ''In Ishmael's House'', p. 4
[12] 서적 The Other Zions: The Lost Histories of Jewish Nations https://archive.org/[...] Rowman & Littlefield 2010
[13] 서적 The Qurʾān in Context: Historical and Literary Investigations into the Qurʾānic Milieu BRILL 2009
[14] 웹사이트 The Jewish Kingdom of Himyar its rise and fall last retrieved dec 11 2012 http://www.thefreeli[...] Thefreelibrary.com 2014-10-28
[15] 서적 The Celebrities of the Jews: A glance at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of the Jewish people from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to the present day. Part I. 70-1290 https://books.google[...] Pawson & Brailsford 2010-07-09
[16] 서적 History of the Jews, Volume 3 https://archive.org/[...] Jewish Publication Society of America
[17] 서적 Understanding the Exodus and Other Mysteries of Jewish History https://archive.org/[...] Etz Haim Press
[18] 서적 The Oriental Herald and Journal of General Literature https://books.google[...] London
[19] 서적 History of the Jews: From the Roman Empire to the Early Medieval Period https://books.google[...] Cornwall Books
[20] 웹사이트 The Origins of Muslim Prayer: Sixth and Seventh Century Religious Influences on the Salat Ritual http://edt.missouri.[...] 2008-08
[21] 문서 "The Story of the Jews (book)|The Story of the Jews: Finding the Words by Simon Schama, Part Two, Chapter 6 \"Among the Believers\", page 233:

By the late fourth century CE, just as life for Jews in Christendom was beginning to turn starkly harsher, Judaism made its spectacular conquest in Arabia, when the kingdom of Himyar (corresponding, territorially, to present-day Yemen, and the dominant power on the Arabian peninsula for 250 years) converted to Judaism. For a long time, it was assumed that the Himyar conversion was confined to a small circle close to the king – Tiban As'ad Abu Karib, the last of the Tubban line –, and perhaps included the warrior aristocracy. There is still a lively debate regarding the extent of Himyar Judaism; but the evidence of both inscriptions and, more significantly, excavations at the mountain of the capital of Zafar, which have uncovered what seems likely to be an ancient mikveh, suggests to many recent scholars (though not all) that the dramatic conversion was more profound, widespread and enduring. It may have been that the Himyarites were devotees of the 'sun and moon' as well as practicing eighth day circumcision, but at the time, the cult of the sun, as we have seen from synagogue mosaics of the period, was not controversial in Jewish practice.
"
[22] 서적 The Inscription CIH 543: A New Reading Based on the Newly-Found Original in C. Robin & M. Bafaqih (Eds.) Sayhadica: Recherches Sur Les Inscriptions De l'Arabie Préislamiques Offertes Par Ses Collègues Au Professeur A.F.L. Beeston Librairie Orientaliste Paul Geuthner S.A.
[23] 문서 A. Jamme, W.F., Sabaean and Ḥasaean Inscriptions from Saudi Arabia, Instituto di Studi del Vicino Oriente: Università di Roma, Rome 1966, p. 40
[24] 서적 The Other Zions: The Lost Histories of Jewish Nations https://archive.org/[...] Rowman & Littlefield 2010
[25] 서적 Tradition & Diversity: Christianity in a World Context to 1500 https://books.google[...] M.E. Sharpe
[26] 문서 The Nestorian Chronicle from Saard (Séert), edited by Addai Scher (in Patrologia Orientalis vol. IV, V and VII). The original Nestorian account was compiled shortly after 1036 CE from extracts of old Syriac historical works no longer extant. The original account read as follows: "…In later times there reigned over this country a Jewish king, whose name was Masrūq. His mother was a Jewess, of the inhabitants of Nisibis, who had been made a captive. Then one of the kings of Yaman had bought her and she had given birth to Masrūq and instructed him in Judaism. He reigned after his father and killed a number of the Christians. Bar Sāhde has told his history in his Chronicle." See also Moshe Gill, In the Kingdom of Ishmael during the Geonic Period (במלכות ישמעאל בתקופת הגאונים), vols. 1–4, Tel-Aviv 1997, p. 19 (Hebrew)
[27] 웹사이트 Historians back BBC over Jewish massacre claim | The Jewish Chronicle http://www.thejc.com[...] thejc.com 2014-07-12
[28] 문서 Jacques Ryckmans, La persécution des chrétiens himyarites au sixième siècle, Nederlands Historisch-Archaeologisch Inst. in het Nabije Oosten, 1956 pp 1–24
[29] 서적 The Throne of Adulis: Red Sea Wars on the Eve of Isla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30] 서적 The Lopsided Spread of Christianity: Toward an Understanding of the Diffusion of Religion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31] 서적 Muhammad and the Origins of Islam https://archive.or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4
[32] 문서 Jacques Ryckmans, La persécution des chrétiens himyarites au sixième siècle, Nederlands Historisch-Archaeologisch Instituut in het Nabije Oosten: Istanbul 1956, p. 14 (French)
[33] 서적 Aksum
[34] 문서 Jewish Communities in Exotic Places," by Ken Blady, Jason Aronson Inc., 2000, pages 7
[35] 문서 Economic and Modern Education in Yemen (Education in Yemen in the Background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Processes and Events, by Dr. Yosef Zuriely, Imud and Hadafasah, Jerusalem, 2005, page 2
[36] 서적 Jewish Communities in Exotic Places Jason Aronson Inc. 2000
[37] 간행물 Iben Safir 1866
[38] 서적 A Journey to Yemen and Its Jews Eeleh BeTamar publishing 1991
[39] 간행물 The Jews of Yemen 1987
[40] 논문 Documents on the Jews of Yemen https://web.archive.[...] Ben-Zvi Institute
[41] 서적 Like Joseph in beauty : Yemeni vernacular poetry and Arab-Jewish symbiosis https://archive.org/[...] Brill
[42] 학술지 Portrait of a Yemenite Weavers' Village Indiana University Press 1955
[43] 간행물 Judaeo-Yemenite Studies –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gress Princeton University (Institute of Semitic Studies)
[44] 서적 Jewish Communities in Exotic Places Jason Aronson Inc. 2000
[45] 서적 Aden and the Indian Ocean Trade: 150 Years in the Life of a Medieval Arabian Port https://books.google[...] UNC Press Books 2012-09-01
[46] 서적 India Traders of the Middle Ages: Documents from the Cairo Geniza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47] 서적 India Traders of the Middle Ages: Documents from the Cairo Geniza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48] 서적 The Jews of the British Crown Colony of Aden: History, Culture, and Ethnic Relations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49] 서적 The Epistles of Maimonides: Crisis and Leadership Jewish Publication Society 1985
[50] 서적 Jews, Christians and Muslims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Times: A Festschrift in Honor of Mark R. Cohen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51] 문서 Epistle to Yemen https://wikisource.o[...]
[52] 서적 Moses Maimonides: The Man and His Work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12-09
[53] 서적 The Jews of the British Crown Colony of Aden: History, Culture, and Ethnic Relations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54] 서적 A History of Jewish-Muslim Relations: From the Origins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11-27
[55] 서적 The Jews of Yemen in the Nineteenth Century: A Portrait of a Messianic Community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56] 서적 The Jewish Messiahs: From the Galilee to Crown Heigh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09-27
[57] 간행물 Ascending the Palm Tree: An Anthology of the Yemenite Jewish Heritage E'ele BeTamar
[58] 간행물 Ascending the Palm Tree: An Anthology of the Yemenite Jewish Heritage E'ele BeTamar
[59] 간행물 Ascending the Palm Tree: An Anthology of the Yemenite Jewish Heritage E'ele BeTamar
[60] 서적 Ozar Nechmad J. Knöpflmacher's Buchhandlung
[61] 서적 Ketavim (Collected Papers) Eʻeleh betamar, et al.
[62] 간행물 Ascending the Palm Tree: An Anthology of the Yemenite Jewish Heritage E'ele BeTamar
[63] 서적 The Jew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in Modern Time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3
[64] 서적 Jewish Communities in Exotic Places Jason Aronson Inc. 2000
[65] 문서 Mawzaʿ, Expulsion of. Brill Online 2014
[66] 서적 The Jews of Yemen in the Nineteenth Century: A Portrait of a Messianic Community BRILL 1993
[67] 서적 A History of Jewish-Muslim Relations: From the Origins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11-27
[68] 기타 Qorot Yisra’el be-Teman 1989
[69] 서적 A History of Jewish-Muslim Relations: From the Origins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11-27
[70] 서적 The voyages and manifesto of William Fergusson, a surgeon of the East India Company 1731–1739 Routledge for the Hakluyt Society
[71] 서적 Halichot Teman (Jewish Life in Sanà) Ben-Zvi Institute 1982
[72] 간행물 "The Jewish Community of Radāʻ Yemen, Eighteenth Century" 1992
[73] 간행물 Jewish Encyclopedia 1906
[74] 간행물 Landeskundliche Ergebnisse 1934
[75] 논문 A Narrative Textbook of Psychoanalysis. By Peter L. Giovacchini, Northvale, New Jersey: Jason Aronson Inc. 1987. 382 pp. 1988
[76] 서적 The Jewish Messiahs: From the Galilee to Crown Heights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77] 뉴스 Our man in Sanaa: Ex-Yemen president was once trainee rabbi http://www.haaretz.c[...] Haaretz.com 2015-03-09
[78] 서적 Jewish-Muslim Relations and Migration from Yemen to Palestine in the Lat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2013-12-05
[79] 간행물 Ish Yemini 2011
[80] 간행물 A Yemenite Portrait – Jewish Orientalism in Local Photography, 1881–1948 Eretz Israel Museum 2012
[81] 간행물 A Yemenite Portrait 2012
[82] 간행물 A Yemenite Portrait 2012
[83] 간행물 A Yemenite Portrait 2012
[84] 간행물 A Yemenite Portrait 2012
[85] 간행물 Yehudei Teiman Be-Tel Aviv https://www.hebrewbo[...] 1935
[86] 간행물 Zekhor Le'Avraham 1992
[87] 서적 The Jew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in Modern Time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3
[88] 논문 What 'The Father' had in mind? Arthur Ruppin (1876–1943), cultural identity, weltanschauung and action
[89] 간행물 Supplement to Survey of Palestine – Notes compiled for the information of the United Nations Special Committee on Palestine – June 1947 Gov. Printer
[90] 간행물
[91] 서적 A History of Israel Alfred A. Knopf 1979
[92] 서적 The Road to Redemption: The Jews of the Yemen, 1900–1950 E.J. Brill 1996
[93] 서적 The Road to Redemption: The Jews of the Yemen, 1900–1950 E.J. Brill 1996
[94] 웹사이트 Immigration since the 1930s – Israel Record http://www.adl.org/i[...] adl.org 2014-07-12
[95] 웹사이트 Operation Magic Carpet – Alaska Airlines http://www.alaskaair[...] Alaskaair.com 2015-03-09
[96] 간행물 Levi Eshkol, the Third Prime-Minister: A Selection of Documents Covering his Life Israel State Archives 2002
[97] 서적 Review Essays in Israel Studies: Books on Israel, Volume V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2-02-01
[98] 서적 With Fury Poured Out: The Power of the Powerless During the Holocaust https://books.google[...] SP Books 1989-01-01
[99] 웹사이트 http://www.jewishage[...]
[100] 웹사이트 Israel opens database with 400,000 declassified documents on Yemenite Children Affair http://www.timesofis[...]
[101] 웹사이트 Hayim Tawil. Professor of Ancient Semitic Languages and Human Rights Activist http://www.hayim-taw[...]
[102] 간행물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2003 Europa Publications
[103] 웹사이트 The National Library of Israel http://primo.nli.org[...]
[104] 뉴스 Yemenite Jews under threat – Israel News, Ynetnews http://www.ynetnews.[...] 2015-03-09
[105] 웹사이트 Jewish Exodus From Yemen Israel National News August 14, 2009 https://www.israelna[...]
[106] 웹사이트 Persecuted Yemeni Jews to be given sanctuary in Britain https://www.independ[...] 2011-10-23
[107] 뉴스 Jew shot to death in Yemen by 'disturbed extremist' – Israel News, Ynetnews http://www.ynet.co.i[...] 2015-03-09
[108] 웹사이트 Muslim who killed Jew is sentenced to death http://www.thenation[...] 2014-10-28
[109] 웹사이트 More Yemeni Jews leaving for Israel http://jta.org/news/[...] 2014-10-28
[110] 뉴스 Wife, children of gunned down Yemenite teacher make aliyah http://www.ynetnews.[...] 2014-07-12
[111] 뉴스 16 Yemenite immigrants arrive in Israel – Israel News, Ynetnews http://www.ynetnews.[...] 2014-07-12
[112] 뉴스 Yemeni Jews airlifted to Israel http://news.bbc.co.u[...] 2009-02-20
[113] 웹사이트 Secret Mission Rescues Yemen's Jews https://www.wsj.com/[...] 2009-10-31
[114] 뉴스 Yemen's last remaining Jews: A community in decline http://news.bbc.co.u[...] 2009-12-18
[115] 뉴스 200 Yemeni Jews to immigrate to UK – Israel Jewish Scene, Ynetnews http://www.ynetnews.[...] 2014-07-12
[116] 웹사이트 Body of Jew Murdered in Yemen brought to Israel – Middle East – News – Arutz Sheva http://www.israelnat[...] 2014-07-12
[117] 뉴스 Body of Jewish leader murdered in Yemen brought to Israel – Israel News, Ynetnews http://www.ynetnews.[...] 2014-07-12
[118] 뉴스 Murdered Yemeni Jew to be laid to rest in Israel | JPost | Israel News http://www.jpost.com[...] 2014-07-12
[119] 웹사이트 Qatar Helping Yemenite Jews Reach Israel? http://www.israelnat[...] 2014-07-12
[120] 뉴스 Israeli politician says Yemen's last Jews need help to get out https://web.archive.[...] The Washington Post 2015-10-12
[121] 뉴스 Yemenite government to Jews:Convert or leave Yemen http://www.jpost.com[...] 2015-10-11
[122] 웹사이트 Some of the last Jews of Yemen brought to Israel in secret mission https://www.jpost.co[...] 2022-01-30
[123] 웹사이트 Mission to airlift Jews out of Yemen heralds the end of one of oldest Jewish communities https://web.archive.[...] 2016-03-23
[124] 웹사이트 Jews arrested in Yemen released https://www.israelna[...] 2016-06-07
[125] 웹사이트 Monareliefye.org delivering for the 3rd time food aid baskets to Jewish community's members in Sana'a https://www.monareli[...] 2018-10-14
[126] 뉴스 Exclusive interview with Rabbi of Yemen's Sana'a Jews https://www.jpost.co[...] 2018-07-31
[127] 웹사이트 Jewish community in Sana'a receives food aid from Mona Relief https://www.monareli[...] 2019-02-25
[128] 웹사이트 Killing Jewish Dead...By Dr Cohan https://besacenter.o[...] 2020-07-06
[129] 웹사이트 Yemen minister says fate of country's last 50 Jews unknown https://www.timesofi[...] 2020-06-23
[130] 웹사이트 Jewish Population by country https://worldpopulat[...] 2020-06-23
[131] 웹사이트 Report: Houthis Arrest Yemen's Last Remaining Jews In A Bid To Ethnically Cleanse The Country https://baltimorejew[...] 2020-07-13
[132] 웹사이트 Monareliefye.org delivering food aid baskets to Jewish community's members in Sana'a https://www.monareli[...] 2020-07-25
[133] 뉴스 Will Yemen become,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free of Jews ... Al-Houthi pushes the last of the Jewish families to leave Yemen News 2020-07-27
[134] 웹사이트 Report: Yemen's Remaining Jews to Move to UAE Following Israel Treaty https://hamodia.com/[...] 2020-08-17
[135] 뉴스 The Last Jews of Yemen https://www.aish.com[...] Aishcom 2021-07-02
[136] 웹사이트 Wrongful Detention by the Houthis of Levi Salem Musa Marhabi https://2017-2021.st[...] 2024-01-30
[137] 웹사이트 Vosizneias Chief Rav Yitzchak Josef meets Yemenite Jews who escaped to UAE https://vosizneias.c[...] 2020-12-23
[138] 웹사이트 Almost all remaining Jews in Yemen deported – Saudi media https://m.jpost.com/[...] 2021-07-02
[139] 웹사이트 As 13 Yemeni Jews leave pro-Iran region for Cairo, community of 50,000 down to 6 https://www.timesofi[...] 2021-07-01
[140] 웹사이트 Senior Rabbi in United Arab Emirates Denounces Continuing Imprisonment of Yemeni Jew as 'Crime Against Humanity' https://www.algemein[...] 2022-01-30
[141] 웹사이트 UN acknowledges that Yemen Jews have been driven out • Point of No Return https://www.jewishre[...] 2022-02-09
[142] 웹사이트 Houthis Expel the Last of Yemeni Jews https://english.aaws[...] 2021-03-28
[143] 웹사이트 Some of Yemen's last remaining Jews said expelled by Iran-backed Houthis https://www.timesofi[...] 2021-03-30
[144] 웹사이트 Houthis Expel the Last of Yemeni Jews https://english.aaws[...]
[145] 웹사이트 Houthis deport some of Yemen's last remaining Jews https://www.al-monit[...] 2021-03-29
[146] 웹사이트 Hundreds of Hanukkah kits sent to Jews living in Arab countries https://www.jns.org/[...] 2021-12-02
[147] 웹사이트 Only one Jew remains in Yemen, U.N. says https://jewishinside[...] 2022-03-14
[148] 뉴스 'A great loss': Yemen bids farewell to one of its last remaining Jews https://www.ynetnews[...] 2024-06-19
[149] 웹사이트 Watch: One of Yemen's last Jews has passed away https://www.israelna[...] 2024-06-16
[150] 서적 Ascending the Palm Tree – An Anthology of the Yemenite Jewish Heritage E'ele BeTamar 2018
[151] 서적 Iben Safir Lyck 1866
[152] 서적 From the Land of Sheba: Tales of the Jews of Yemen New York 1973
[153] 문서 Rabbi Solomon Adeni (1567–1630), author of the Mishnah Commentary Melekhet Shelomo, has alluded to this tradition, who wrote in his commentary's Introduction: "Says he who is but a servant of low station among all who be in the city, Shelomo (Solomon), the son of my lord my father, Rabbi Yeshu’ah, the son of Rabbi David, the son of Rabbi Ḥalfon of Aden. May the spirit of God lead them, and may He guide me in the paths of righteousness; and may I be satisfied with length of days by His Divine Law, and may He console me with complete solace. From the house of my father's father, who has here been mentioned, being from the Yemeni cities, I have received a tradition that we were exiled from the time of the first exile (galut'), for the Scripture which is written at the end of the [Second] Book of Kings (18:11), ' and he placed them in Ḥelaḥ and in Ḥavor and the river Gozan and the cities of Madai',' was spoken also about us. We have also received by way of tradition that we are from the group whom Ezra had sent word to come up [out of the exile] during the building of the Second Temple, but they stubbornly turned their backs [on him] and he then cursed them that they would remain all their lives in poverty. Now, because of [our] iniquities, there was fulfilled in us in that exile (galut'), both, poverty in the [words of the] Law, as well as poverty in money, in an extraordinary manner – especially my small family! Wherefore, all of them, as far as I have been able to ascertain and verify by those who veritably speak the truth, were God–fearing people and men of Torah (the Divine Law), even the disciples of my lord my father, of blessed memory, insofar that he was the Rabbi of the city ’Uzal which is called Sana‘a. Also my grandfather, the father of my father, before him, used to be a teacher of babes there. However, poverty clung to them, and famine, in such a way that the two curses of Ezra were fulfilled in us: the one, the curse just mentioned, along with the general curse hastily sent out against all teachers, that they might never become rich, lest they should leave-off their labour!, etc." See: Mishnayot Zekher Chanokh (ed. Menahem Vagshal, Zalman Shternlicht & Yosef Glick), vol. 1 – Zera’im'), Jerusalem 2000, s.v. Introduction to "Melekhet Shelomo."
[154] 문서 In the [[Baladi-rite Prayer]] book, in the section which brings down the order on the Ninth of Av fast day, we read: "…[we count the years from the destruction of the house of our G-d], etc., and the destruction of the First Temple and the dispersion of '''the people of our exile''', etc." Here, Rabbi [[Yihya Saleh]], in his ''Etz Ḥayim'' commentary (see: Siddur – ''Tiklāl'', with ''Etz Ḥayim'' commentary, ed. Shimon Saleh, vol. 3, Jerusalem 1971, p. 67b), wrote: "By this he has alluded to the exile of the land of Yemen, whose exile has been since the days of the destruction, as it is traditionally held by us, and who did not return again during the building of the Second Temple, for in their intuition they saw that the Second Temple would, in the future, be destroyed, and they expounded concerning it: 'I have already taken off my tunic, how then can I wear it again?' (cf. Targum on ''Song of Songs'' 5:3). Now such things are old and are presently well-known."
[155] 문서 "{{PACEJ|text=JW|bookno=1|chap=0|sec=5|show-translator=yes}} (Preface) Greek: Ἀράβων τε τοὺς πορρωτάτω = = lit. the Arabian [Jews] that are further on; See: Preface to Josephus' De Bello Judaico, paragraph 2, the remotest Arabians (lit. the Arabian [Jews] that are further on). According to Rabbi [[Yihya Qafih]], quoting from a 14th-century Yemenite Rabbi, some of the Jews in Arabia were driven out by [[Caliph Ali]] and made their way into Yemen. See: Tehuda, volume 30 (ed. Yosef Tobi), Netanya 2014, pp. 41–42 (Hebrew)."
[156] 간행물 The Jews of Yemen in light of the excavation of the Jewish synagogue in Qanī’ British Museum, London 2013
[157] 서적 Encyclopedia of Yemenite Sages Benei Barak 2001-2003
[158] 간행물 Aramaic Tombstones from Zoar 1995
[159] 서적 La Persécution des Chrétiens Himyarites Nederlands Historisch-Archaeologisch Inst. in het Nabije Oosten 1956
[160] 서적 The Martyrs of Najrân: New Documents Société des Bollandistes
[161] 서적 The Itinerary of Benjamin of Tudela Oxford University Press 1907
[162] 문서 Maimonides was later prompted to write his famous Ma'amar Teḥayyath Hamethim (Treatise on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published in Book of Letters and Responsa (ספר אגרות ותשובות), Jerusalem 1978, p. 9 (Hebrew). According to Maimonides, certain Jews in Yemen had sent to him a letter in the year 1189, evidently irritated as to why he had not mentioned the physical resurrection of the dead in his Hil. Teshuvah, chapter 8, and how that some persons in Yemen had begun to instruct, based on Maimonides' teaching, that when the body dies it will disintegrate and the soul will never return to such bodies after death. Maimonides denied that he ever insinuated such things, and reiterated that the body would indeed resurrect, but that the "world to come" was something different in nature.
[163] 문서 Abraham Maimuni Responsa (ed. Avraham H. Freimann and [[Shelomo Dov Goitein]]), Mekize Nirdamim: Jerusalem 1937, responsa # 82–94 (pp.{{nbsp}}107–136) (Hebrew). The people of the city of [[Aden]] (Yemen) posed an additional seven questions unto Rabbi Abraham ben Maimonides, preserved in a 15th–16th century document still in manuscript form (pp. 188b–193a), containing mostly the commentary of Zechariah HaRofe on Maimonides' legal code of Jewish law. The rare document can be seen at the Hebrew University National Library in Jerusalem, Department of Manuscripts, in microfilm # F-{{nbsp}}44265. https://www.hebrewbo[...]
[164] 간행물 She'elot Hanagid — A Work by R. Yehoshua Hanagid 1985
[165] 서적 Studies in ‘Megillat Teman’ ('ʻIyunim bi-megilat Teman') The Magnes Press – Hebrew University 1986
[166] 문서 Avraham Yari, Igros Eretz Yisroel (Letters of the Land of Israel), in the "Letter of Rabbi Obadiah di Bertinora from Jerusalem to his Brother," written in 1489, Tel-Aviv 1943, p. 140 (in PDF); See also Gedaliah ibn Jechia the Spaniard, Shalshelet Ha-Kabbalah, Venice 1585 (Hebrew), who testified in the name of Rabbi Obadiah di Bertinoro who had said that there came Jews in his days to Jerusalem, who had come from the southeastern hemisphere, along the sea of the [Indian] ocean, and who declared that they had no other book beside [[Mishne Torah|the Yad]], belonging to Maimonides. Rabbi Yihya Saleh, speaking more distinctly about this episode, writes in his Questions & Responsa (''Pe’ulath Sadiq'', vol. ii, ''responsum'' 180) that he was referring there to the Jews of Yemen who had made a pilgrimage to the Land of Israel at that time. https://www.hebrewbo[...]
[167] 서적 Sefer Ha-Mūsar Benei Baraq 2008
[168] 문서 Amram Qorah, Sa’arat Teman, p. 8 (Hebrew); Yosef Qafih, Halikhot Teman, p. 186 (Hebrew); also described in book, Yemenite Authorities and Jewish Messianism, by P.S. van Koningsveld, J. Sadan and Q. Al-Samarrai, Leiden University, Faculty of Theology 1990
[169] 간행물 Qorot Yisra’el be-Teman by Rabbi Ḥayim Ḥibshush Jerusalem 1989
[170] 간행물 Rabbi Yosef ben Salih's Moral Rebuke Concerning the Events of 1724 in Yemen 2016
[171] 서적 Reisebeschreibung nach Arabien und andern umliegenden Ländern Zürich 1992
[172] 서적 Reisebeschreibung nach Arabien und andern umliegenden Ländern Zürich 1992
[173] 서적 The Jews of Yemen in Tel-Aviv Jerusalem 1935
[174] 간행물 Journal Har'el Tel-Aviv 1962
[175] 서적 Sa’arat Teman Jerusalem 1988
[176] 서적 The Jews of Yemen in Tel-Aviv (יהדי תימן בתל-אביב) Zuckerman Press
[177] 간행물 Ceremonial Objects in Yemenite Synagogues Princeton University
[178] 서적 A History of Palestine: From the Ottoman Conquest to the Founding of the State of Israel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9] 서적 Masa le-Teiman Tel-Aviv
[180] 강연 Political vs. religious motivations behind Imam Ahmad's decision to permit Jewish emigration in 1949
[181] 웹사이트 The passion of Aramaic-Kurdish Jews brought Aramaic to Israel http://www.ekurd.net[...] Ekurd.net 2014-10-28
[182] 서적 Yemenite Jewry: Origins, Culture, and Literature Indiana University Press
[183] 웹사이트 Doing Zionism – Resources https://www.doingzio[...]
[184] 웹사이트 Naphillath Panim http://www.chayas.co[...] chayas.com 2014-07-12
[185] 문서
[186] 서적 Ascending the Palm Tree: An Anthology of the Yemenite Jewish Heritage E'ele BeTamar
[187] 서적 Halichot Teman (Jewish Life in Sanà) Ben-Zvi Institute 1982
[188] 웹사이트 http://encarta.msn.c[...] 2007-08-13
[189] 문서 Halikhot Teiman (Jewish Life in Sana), Miṣefunot Yehudei Teman Ben-Zvi Institute, Tel-Aviv
[190] 서적 Sefer ha'Ittur
[191] 뉴스 Not all Yemenite brides need to look the same http://www.haaretz.c[...] 2008-03-25
[192] 서적 The Seasonal Pattern in the Ugaritic Myth of Ba’lu According to the Version of Ilimilku Verlag Butzon & Berker Kevelaer
[193] 뉴스 Henna party adds colorful touch to the happy couple http://www.jewishjou[...] 2014-10-28
[194] 웹사이트 כשהגאב"ד האשכנזי התפלל בנוסח תימני • גלריה – בחצרות קודש – בחצרות חסידים – בחדרי חרדים http://www.bhol.co.i[...] Bhol.co.il 2015-03-09
[195] 사전 Rechabites http://www.ccel.org/[...] Easton's Bible Dictionary
[196] 서적 The Jewish Law Annual Routledge
[197] 서적 The Jew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in modern time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 서적 Ohr Hahalakha Nusakh Teiman Publishing, Bnei Braq
[199] 서적 The Jew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in Modern Time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 서적 Galei-Or Tel-Aviv
[201] 서적 Sephardi Religious Responses to Modernity Harwood Academic Publishers
[202] 학술지 Portrait of a Yemenite Weavers' Village Indiana University Press 1955
[203] 서적 Judaeo-Yemenite Studies –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gress Princeton University
[204] 문서 Pronunciations of Hebrew Encyclopaedia Judaica XIII
[205] 서적 Torah Qedumah Beit Dagan
[206] 서적 Yemenite Midrash-Philosophical Commentaries on the Torah HarperCollins Publishing
[207] 학술지 The Hebrew Collection of the British Library: Past and Present 2008
[208] 서적 Chakhamei Teiman
[209] 서적 Halikhot Teman Ben-Zvi Institute
[210] 서적 The Clothing of the Jews of Yemen E'ele BeTamar
[211] 문서 This is true also with the Arabs of Yemen.
[212] 서적 Ethnologie der Jemenitischen Juden http://jewishclothin[...] Carl Winters Kulturgeschichte Bibliothek, I. Reihe: Ethnologische bibliothek
[213] 서적 Ethnologie der Jemenitischen Juden Carl Winters Kulturgeschichte Bibliothek, I. Reihe: Ethnologische bibliothek
[214] 서적 Description of Travel to Arabia and Other Neighboring Countries Akademische Druch- und Verlagsanstalt
[215] 서적 Ethnologie der Jemenitischen Juden
[216] 서적 Ancient Customs of the Yemenite Jewish Community
[217] 서적 Surnames of Jews in Yemen
[218] 간행물 Family Names and Appellations Among Yemenite Jews Bar-Ilan University
[219] 문서
[220] 뉴스 For Jewish Israelis of Yemenite Heritage, Reviving a Past https://www.nytimes.[...] 2018-11-17
[221] 논문 Reconstruction of patrilineages and matrilineages of Samaritans and other Israeli populations from Y-Chromosome and mitochondrial DNA sequence Variation https://onlinelibrar[...] 2004
[222] 논문 Counting the Founders: The Matrilineal Genetic Ancestry of the Jewish Diaspora 2008-04-30
[223] 논문 Extensive Female-Mediated Gene Flow from Sub-Saharan Africa into Near Eastern Arab Populations https://doi.org/10.1[...] 2003
[224] 논문 Mitochondrial DNA reveals distinct evolutionary histories for Jewish populations in Yemen and Ethiopia https://onlinelibrar[...] 2011-01
[225] 논문 High-resolution inference of genetic relationships among Jewish populations 2020
[226] 서적 The Story of the Jews:Finding the Words 1000 BCE-1492 CE Vintage Books
[227] 논문 Familial Tumoral Calcinosis: From Characterization of a Rare Phenotype to the Pathogenesis of Ectopic Calcification http://dx.doi.org/10[...] 2010-03
[228] 서적 Jewish Communities in Exotic Places Jason Aronson Inc.
[229] 서적 A Journey to Yemen and Its Jews Eeleh BeTamar publishing
[230] 서적 Jewish Communities in Exotic Places Jason Aronson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