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종교 교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교 교육은 다양한 기관에서 여러 형태로 이루어지며, 특정 종교의 교리 교육, 아랍어 학습, 율법과 관습 교육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한국에서는 공립학교에서 특정 종교 교육이 금지되지만, 사립학교에서는 종교 과목을 가르치는 경우가 많다. 세계 각국은 정교분리 원칙, 종교의 자유 등을 고려하여 종교 교육 방식을 다르게 운영하며, 일본, 영국, 이슬람 국가, 미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종교 교육의 형태와 내용이 다르다. 종교 교육은 다문화 사회에서 갈등을 야기할 수 있으며, 종교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에 대한 찬반 논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육 제도 - 퇴학
    퇴학은 학교폭력, 마약, 범죄 등 심각한 교칙 위반 행위에 대한 징계로, 국가 및 학교별 기준과 절차에 따라 학적이 박탈되는 처분이다.
  • 교육 제도 - 독서삼품과
    독서삼품과는 신라 시대 관리 선발 제도로, 유교 경전 이해도를 평가하여 등급을 나누고 학문적 능력을 기준으로 인재를 선발했으며, 고려 시대 과거 제도의 선구적 역할을 했다.
  • 종교 활동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종교 활동 - 탁발
    탁발은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 등 여러 종교에서 수행 또는 생계 방식으로 여겨져 왔으며, 가톨릭의 탁발 수도회, 개신교의 순회 설교자 파송, 이슬람의 구걸 전통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현대 사회의 사회적 약자 지원 활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종교 교육
종교 교육 개요
정의종교 교육은 종교의 가르침을 전달하는 교육적 노력이다.
목표개인의 영적 성장, 종교적 이해 증진, 윤리적 가치 함양 등을 목표로 한다.
접근 방식종교적 교리 교육, 종교사 학습, 종교 간 대화, 윤리 교육 등 다양한 방식을 포함한다.
종교 교육의 형태
가정부모나 가족 구성원이 자녀에게 종교적 가르침을 전달하는 형태이다.
종교 기관교회, 사원, 모스크 등 종교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학교공립 또는 사립 학교에서 종교 과목을 개설하거나 종교적 가치관을 교육 내용에 통합하는 형태이다.
종교 교육의 목적
신앙 심화특정 종교의 교리와 신앙을 강화하고 신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종교 이해 증진다양한 종교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종교 간 이해와 존중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윤리적 가치 함양종교적 가르침을 통해 도덕적 판단 능력과 윤리적 행동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종교 교육의 내용
교리특정 종교의 핵심 교리와 신념 체계를 학습한다.
역사종교의 기원, 발전 과정, 주요 인물 등을 학습한다.
의례와 관습종교적 의식, 절차, 전통 등을 학습한다.
윤리종교적 가르침에 따른 도덕적 행동 규범과 가치관을 학습한다.
종교 교육의 방법
강의교사가 학생들에게 종교적 내용을 설명하고 가르치는 방식이다.
토론학생들이 종교적 주제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키우는 방식이다.
체험 학습종교적 장소 방문, 의례 참여, 봉사 활동 등을 통해 종교를 직접 경험하는 방식이다.
시청각 자료 활용영상, 음악, 그림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종교적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종교 교육의 논쟁점
강제적인 종교 교육학생들에게 특정 종교를 강요하는 것이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는지에 대한 논쟁이다.
종교 교육의 객관성종교 교육이 특정 종교에 편향되지 않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종교 교육과 다문화 사회다문화 사회에서 종교 교육이 종교 간 갈등을 조장하지 않고 상호 이해를 증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한국의 종교 교육
학교 종교 교육한국의 학교에서는 종교 과목 선택이 자유로우며, 종교 교육은 특정 종교에 편향되지 않도록 객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종교 단체 교육교회, 사찰 등 종교 단체에서 자체적으로 종교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사회적 논의한국 사회에서는 종교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2. 종교 교육의 정의와 유형

종교 교육은 종교적 신념, 가치관, 의례 등을 가르치는 교육 활동을 의미한다. 국가마다 정부가 운영하는 학교(공립학교)에서 종교 교육을 허용하는지에 큰 차이가 있으며, 종교 교육을 허용하는 국가들 또한 제공되는 교육 유형에 차이가 있다.[5]

2. 1. 종교 교육의 목적

종교 교육은 종교적 소양 함양, 도덕성 발달, 사회 통합, 문화 이해 증진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진다.[5] 역사적으로 종교적 신념은 사람들의 행동과 도덕성을 사회화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5] 종교 교육 지지자들은 종교 교육이 아이들이 책임감 있고 정신적으로 건강한 성인이 되도록 격려하는 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5]

그러나 특정 국가 내에서 다양한 종교 및 비종교적 신념을 가진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정부가 후원하는 종교 교육은 갈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공립학교에서의 종교 교육이 국가가 특정 종교를 후원하거나 설립하는 것이라고 반대한다. 또한 특정 종교가 학교에서 가르쳐질 경우, 그 종교에 속하지 않는 아이들이 순응하라는 압력을 느끼거나 또래 집단에서 소외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5]

2. 2. 종교 교육의 유형

종교 교육은 공립학교, 사립학교, 종교 단체 등 다양한 기관에서 이루어지며, 그 내용은 교리 교육, 종교사, 비교 종교, 종교 윤리 등 다양하다.[5]

일부 기독교 교파에서는 교리 교육을 통해 어린이와 성인 기독교 개종자에게 종교 교육을 제공한다.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교회 교육 기구는 135개국에서 청소년과 성인을 위한 종교 교육을 제공한다.[6]

이슬람 학교에서는 아이들이 아랍어를 읽고 쓰는 법을 배우고, 꾸란의 주요 수라들을 암송한다.[7] 마드라사이슬람 율법과 법학을 주로 가르치고 때로는 다른 과목도 가르치는 기관이었다. 셀주크 제국재상이었던 니잠 알-물크가 11세기에 이란, 메소포타미아, 대호라산에 최초의 공식 마드라사 네트워크를 건설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8][9][10]

유대교 종교 교육은 신앙의 주요 교리에 관한 교육과 종교의 법과 관습에 관한 교육, 두 가지 형태를 띤다. 하레디 유대교의 극보수 추종자들은 유대교 법과 관습만을 가르치는 반면, 현대 정통 유대교의 추종자들은 세속 학문과 종교 학문을 모두 가르친다.[12]

3. 한국의 종교 교육

대한민국은 헌법 제20조와 교육기본법 제9조에 따라 정교분리 원칙을 따르며, 이는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국가의 종교적 중립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3. 1. 공립학교

대한민국의 공립학교에서는 특정 종교를 위한 종교 교육이나 종교 활동이 금지된다.[1] 종교는 사회, 역사, 철학, 윤리 등의 교과에서 학문적으로 다룬다.[1] 수학여행 등에서 신사, 사찰, 교회 등을 방문하는 것은 종교 행위 강제가 없는 한 허용될 수 있다는 의견과, 특정 종교 우대로 간주될 수 있다는 의견이 대립한다.[1]

3. 2. 사립학교

사립학교에서는, 특히 기독교불교 등 종교 단체가 운영하는 학교에서 도덕 과목과 같은 위치로, 종교에 관한 기초적 지식을 필수 과목으로 가르치는 곳이 많다.[73] 이러한 종교 과목을 가르치려면, 중학교, 고등학교 모두 종교 교육 교원 면허장이 필수이며, 취득에는 종교과교육법을 포함한 특정 필수 단위를 취득해야 한다.[73]

4. 세계 각국의 종교 교육

세계 각국에서 종교 교육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135개국에서 청소년과 성인을 위한 종교 교육을 제공한다.[6] 기독교 교파에서는 어린이와 성인 기독교 개종을 위한 교리 교육을 실시한다.

유대교에서는 신앙의 주요 교리와 종교 법규 및 관습을 가르친다. 하레디 유대교는 유대교 법과 관습만 가르치고 세속 학문은 배제하는 반면, 현대 정통 유대교는 세속 학문과 종교 학문을 모두 가르친다.[12]

이슬람 학교에서는 아랍어 읽기와 쓰기, 꾸란의 주요 수라 암송 등을 가르친다. 마드라사는 이슬람 건축과 역사적 맥락에서 주로 이슬람 율법과 법학(''피끄'')을 가르치는 기관을 의미한다.[8][9][10] 11세기 셀주크 제국 재상 니잠 알-물크가 이란, 메소포타미아, 대호라산에 최초의 공식 마드라사 네트워크를 건설한 후, 마드라사 건설은 무슬림 세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8][9][10] 오스만 제국에서 마드라사는 1330년부터 거의 600년간 운영되며 의사, 기술자, 변호사 등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양성했다.[11]

이 외에도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종교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 뉴질랜드: "종교 교육"은 종교 연구의 학문적 가르침을, "종교 지도"는 종교적 신앙 교육을 의미한다. 2017년에는 국립 초등학교의 약 40%에서 종교 지도 수업이 진행되었다.[13][14][15]
  • 중국: 공식적인 종교 교육이 허용되며, 주로 사적인 집에서 이루어진다.[16]
  • 인도: 힌두교, 이슬람교, 시크교,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 단체가 운영하는 사립 학교가 많다.
  • 태국, 미얀마: 불교 사회에서는 공립 학교에서 불교 교리와 사회적 예절을 가르치며, 젊은 남성들은 승려 생활을 통해 종교 교육을 받는다.
  • 오스트리아: 19세기부터 가톨릭, 개신교, 정교회 수업과 함께 수니 이슬람교가 가르쳐져 왔다. 유대교, 불교 등 소수 종교 교육도 제공된다.
  • 핀란드: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종교 교육이 의무 과목이며, 대부분 복음주의 루터교 종교 교육을 받는다.
  • 프랑스: 국교가 없으며 종교 교육에 자금을 지원하지 않지만, 알자스-모젤 지역에서는 일부 종교에 대한 공립 후원 교리 교육이 제공된다.
  • 독일: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 등 종교 단체가 종교 교육 교사 훈련을 감독하며, 공립 학교에서 종교를 가르친다.
  • 그리스: 공립 학교에서 그리스 정교회 신앙의 기초를 가르치며, 학부모는 자녀를 종교 수업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 이탈리아: 가톨릭 종교 교육이 선택 과목으로 제공되며, 종교 수업을 선택하지 않는 학생은 다른 과정을 수강할 수 있다.[27]
  • 라트비아: 초등학생 학부모는 기독교 수업 또는 윤리 수업을 선택할 수 있다.
  • 네덜란드: 공립학교와 종교, 삶의 철학 등을 바탕으로 가르치는 특수학교로 구분된다.
  • 폴란드: 종교 교육이 공립학교에서 선택 사항이며, 종교 수업이나 윤리 수업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둘 다 듣지 않을 수 있다.
  • 루마니아: 종교 교육은 선택 사항이며, 대부분 루마니아 정교회 신앙에 초점을 맞춘다.
  • 캐나다: 로마 가톨릭교 및 개신교 신자를 위한 공립 자금 지원 별도 학교가 일부 주에서 의무화되어 있다.
  • 미국: 종교 교육은 주로 주일학교 등 보충 수업이나 사립 종교 학교를 통해 이루어진다. 공립학교에서는 중립적이고 학문적인 관점에서 종교 교육이 허용된다.[69]
  • 몰타: 로마 가톨릭교회국교로 정하고, 모든 공립 학교에서 가톨릭 종교 교육을 의무화하고 있다.

4. 1. 일본

일본 제국 시기에는 공립 학교에서 종교 교육이 금지되었지만, 역사뿐만 아니라 국어나 수신 등의 교과에서도 황국 사관에 입각한 신도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세계 정세 악화와 함께 강화되었다. 1940년에 외국인 기독교 선교사가 종교 교육 연구회를 설립하여 "현대의 정교 분리를 공격한다"는 활동이 시작되었는데, 이는 그러한 흐름에 대항하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공립학교의 교과서에 기독교 내용을 넣도록 하는 운동도 있었지만[72], 태평양 전쟁의 개전으로 그 활동은 종지부를 찍었다.[70]

일본에서는 헌법 제20조교육기본법 제9조에 따라 종교는 존중되어야 하지만, 정교분리 원칙에 근거하여 국가국립 기관은 종교 교육을 비롯한 어떠한 종교적 활동도 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일본의 공립 학교에서는 종교를 사회, 공민, 지리, 역사 시간에 학문으로서 철학이나 사상의 일종으로서 가르친다.

공립 학교에서는 특정 종교의 가치관에 의거한 교육이 금지되는데, 어디까지를 부적절한 종교 교육으로 간주할지는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수학 여행에서 신사 불각을 방문하는 것을 특정 종교의 우대로 간주하는 의견도 있으며, 참배 등의 종교 행위 강제가 없는 한은 허용된다는 의견도 있다.

한편, 사립학교에서는, 특히 기독교나 불교 등의 종교 단체가 운영하는 학교에서는 도덕 과목과 같은 위치에서 필수 과목으로 종교에 관한 기초적 지식을 가르치는 곳이 많다. 이러한 종교 과목을 가르치려면, 중학교, 고등학교 모두 종교 교육의 교원 면허장이 필수이며, 취득에는 종교과교육법을 포함한 특정 필수 단위를 취득할 필요가 있다.[73]

일본에는 의무적인 종교 교육을 제공하는 많은 기독교 계열 학교와 대학교가 있다. 사립 중고등학교의 종교 교육은 종교 교육 기준을 가르치는 대학에서 교사 자격을 취득해야 한다.[17] 교육 기본법 제15조에서는 국가 공립학교는 특정 종교를 위한 종교 교육이나 그 밖의 종교적 활동을 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신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종교적 중립성을 유지하면서 비교종교학적으로 종교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가르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4. 2. 영국과 아일랜드

영국에서는 종교 교육이 필이수 과목이며, 교육법에 따라 기독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진다.[74] 학부모는 자녀를 종교 교육 수업에서 제외할 권리가 있다.[55]

영국을 구성하는 4개 국가(잉글랜드, 북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는 종교 교육에 대해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한다.

국가과목명
잉글랜드, 북아일랜드종교 교육(RE)
스코틀랜드종교 및 도덕 교육(RME)
웨일스종교, 가치 및 윤리(RVE)



잉글랜드에서 종교 교육(RE)은 기본 교육 과정의 일부이지만, 국민 교육 과정에는 포함되지 않는다.[54] 각 지방 자치 단체는 종교 교육에 관한 상설 자문 위원회(SACRE)를 조직하여 교육 과정, 목표, 접근 방식 및 내용을 결정한다.[55] 1988년 교육 개혁법에 따라 교육 과정은 "영국의 종교적 전통이 주로 기독교라는 사실을 반영해야 하며, 영국에 대표되는 다른 주요 종교의 가르침과 관행을 고려해야 한다."[58]

2010년 아카데미 법에 따라 설립된 아카데미는 지방 자치 단체의 통제를 받지 않으며, 자체 교육 과정을 만들 수 있다.[57]

북아일랜드에서 RE는 교회 단체와 교육 과정, 시험 및 평가 위원회(CCEA)가 개발한 핵심 교육 과정에 따라 가르쳐지며, 기독교, 도덕 및 세계 주요 종교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60]

스코틀랜드에서 RME는 비종교 학교와 로마 가톨릭 학교에서 다르게 가르쳐진다. 비종교 학교에서는 기독교, 주요 세계 종교 및 비종교적 신념을, 로마 가톨릭 학교에서는 가톨릭 기독교와 주요 세계 종교를 다룬다.[61]

웨일스에서 RVE는 기독교와 세계 다른 주요 종교, 그리고 웨일스의 다양한 철학적 또는 비종교적 신념을 반영하여 가르쳐진다. RVE 교사는 편견 없는 접근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62]

잉글랜드, 북아일랜드, 스코틀랜드에서는 학부모가 자녀를 종교 교육 수업에서 제외할 수 있지만, 웨일스에서는 불가능하다.[62]

아일랜드에서는 중학 졸업 시험으로 기독교 중심의 종교 교육이 필요하다.[75]

4. 3. 이슬람권

건국 이래 정교 분리를 국시로 하는 튀르키예에서는 학교에서 이슬람교의 의무로 여겨지는 여학생의 스카프 착용 여부를 두고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 스카프 논쟁

튀르키예 외에도 이슬람교권인 북아프리카를 한때 식민지로 삼았던 프랑스에서도 같은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배경에는 중동계 이민 문제가 있으며, 2005년에는 파리 교외에서 폭동이 일어났다.

이슬람 건축과 역사적 맥락에서 마드라사는 역사적인 무슬림 세계에서 주로 이슬람 율법과 법학(''피끄'')을 가르치고 때로는 다른 과목도 가르치는 특정 유형의 기관을 의미한다.[8][9][10] 11세기에 셀주크 제국재상이었던 니잠 알-물크가 이란, 메소포타미아, 대호라산에 최초의 공식 마드라사 네트워크를 건설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후 몇 세기 동안 마드라사 건설은 무슬림 세계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종종 유사한 건축 디자인 모델을 채택했다.[8][9][10]

마드라사는 1330년에 시작하여 3개 대륙에서 거의 600년 동안 운영되면서 오스만 제국에서 가장 오래 지속된 기관이었다.[11] 이들은 의사, 기술자, 변호사, 종교 관료, 그리고 정부 및 정치 엘리트의 다른 구성원들을 교육했다. 마드라사는 데브시르메 출신 학생들이 다니는 엔데룬 학교 궁정 학교와는 달리 자체 자금과 교육 과정을 갖춘 특정 교육 기관이었다.[11]

파키스탄에서 무슬림 학생들은 초등 교육부터 고등 교육까지 이슬람 연구를 수강해야 한다. 이 과목은 비무슬림 학생에게는 선택 사항이며, 윤리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18] 파키스탄 교육 시스템에서 종교 연구의 강조는 1947년 국가가 수립되면서 시작되었다.

이란 국민의 약 90%가 시아파 (이슬람교)를 믿으며, 이는 이란의 국교이다. 수니파와 시아파는 이슬람교의 두 주요 분파이며, 압도적으로 많은 이란인들이 시아파 이슬람교를 믿는다.[19] 이란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주요 종교는 이슬람교이며, 그 성서로 코란이 있다. 학생들은 초등학교와 중학교(보통 7~14세)에서 이를 배우기 시작하며, 배우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20] 공립학교에서는 다른 종교는 가르치지 않는다. 조로아스터교, 기독교, 유대교와 같이 인정된 소수 종교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사립학교가 있다.[20] 이 학교들은 특정 교육 과정 요건을 부과하는 교육부에 의해 감독된다. 이러한 사립학교의 교장은 예외를 제외하고는 무슬림이어야 한다.[21]

튀르키예에서는 전반적으로, 특히 종교 교육이 중앙 집중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1924년에 처음 초안이 작성되어 이후 법적 개혁과 헌법 개정에서 유지된 교육 통일법에서 시작되었다.[50] 세속 혁명으로 인해 오스만 교육 시스템의 이전 관행은 폐지되었다. 새로운 교육 통일법은 공립학교에서 종교 교육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새롭게 설립된 튀르키예 공화국은 아타튀르크 통치 아래 세속적이고 더 서구화되기를 목표로 했다. 1923년에는 국가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라틴 문자 채택, 그레고리력 도입과 같은 변화가 일어났다. 사회에 종교적 지식과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마드라사가 폐쇄되면서,[51][52] 학교에서 종교 수업도 폐지되었다. 꾸란 강좌 또는 기타 종교 활동과 같은 종교 교육은 정부에 의해 통제되어야 했으며 정규 교육과 분리되었다.[51]

상황은 일당 시대가 끝난 1946년에 바뀌었다. 1949년 앙카라 대학교에 신학부가 도입되어 이맘을 교육, 양성 및 훈련하고, 주로 이슬람교에 관한 과학 연구를 수행했다.[51] 1956년, 다당제 민주주의의 결과로 전 민주당이 이끄는 새로운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 정부는 중학교에 종교 과목을 도입했다. 민주당과 함께 종교는 '종교 문화와 윤리 지식'이라는 이름으로 학교에서 강의로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학부모의 허락을 받아야 했다. 또한, 일부 튀르키예 도시에는 제한된 수의 학생들을 위한 이맘 하티프 학교가 설립되었다. 1980년 쿠데타까지 이어진 수년간 이맘 하티프 학교와 종교 교육의 수가 튀르키예에서 증가했다.[51] 1980년 군사 쿠데타 이후 학교에서의 종교 교육은 '종교 문화와 윤리 지식' 수업과 함께 의무적인 커리큘럼의 일부로 변모했다. 종교 교육의 내용은 국가에서 준비했으며, 이는 아이들이 다른 종교적 가르침에 노출되기 전에 먼저 이슬람교의 수용된 해석에 노출되도록 보장했다.[53]

1990년대 후반에는 이맘 하티프 학교 졸업생의 권리가 교육 개혁 법안에 의해 제한되었다. 또한, 중학교 이맘 하티프 학교는 학생들이 신학 또는 존엄성 학부 대신 다른 분야에서 고등 교육을 계속할 수 있도록 일반 고등학교로 전환되었다. 2000년대 초에는 학생들이 5년이 아닌 8년의 교육을 마친 후에 꾸란 강좌에 참석하도록 법이 도입되면서 꾸란 강좌의 수가 감소했다.[51]

4. 4. 기타 국가

뉴질랜드에서 "종교 교육"은 종교 연구의 학문적 가르침을 의미한다. "종교 지도"는 종교적 신앙 교육을 의미하며, 이는 사립 종교 학교, 통합(종교) 국립 학교 또는 때로는 개별 학교의 이사회에서 지시하는 경우 세속적인 뉴질랜드 국립 초등학교 내에서 이루어진다. 2017년에는 뉴질랜드 국립 초등학교의 약 40%에서 종교 지도 수업이 진행되었다.[13][14][15]

수업 진행을 위해 학교가 공식적으로 폐쇄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인정된 교육 과정은 없다. 세속 교육 네트워크 및 뉴질랜드 합리주의자 및 인본주의자 협회와 같은 조직화된 단체들이 국립 초등학교에서 해당 수업을 없애기 위해 법률 변경을 정부에 적극적으로 로비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공식적인 종교 교육이 허용된다. 종교 교육은 대개 사적인 집에서 정해진 시간에 이루어진다.[16] 종교 교사들은 대개 주 또는 월 단위로 순회하며, 가르침을 제공하는 대가로 개인 집에 머무른다.

인도에는 종교 단체가 운영하는 사립 학교가 많이 있으며, 특히 힌두교, 이슬람교, 시크교, 기독교, 자이나교, 불교 신자를 위한 학교가 많다.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는 기독교 사립 학교가 두드러졌으며 영국인(British) 학생과 인도 학생 모두에게 널리 다녔다. 특히 기독교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이 시대에 설립된 많은 학교가 오늘날까지 존재한다. 정규 교육 외에도 많은 종교 단체에서 어린이와 성인을 위한 정기적인 비공식 종교/영적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일본에는 의무적인 종교 교육을 제공하는 많은 기독교 계열 학교와 대학교가 있다. 사립 중고등학교의 종교 교육은 종교 교육 기준을 가르치는 대학에서 교사 자격을 취득해야 한다.[17] 불교 종파와 전통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사립 학교는 일반적으로 종교 학습을 의무화하지 않는다. 공립 학교에서는 종교적 또는 정치적 교육이나 특정 종교 또는 정치 단체를 홍보하는 동아리가 금지된다.

파키스탄에서 무슬림 학생들은 초등 교육부터 고등 교육까지 이슬람 연구를 수강해야 한다. 이 과목은 비무슬림 학생에게는 선택 사항이며, 윤리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파키스탄 교육 시스템에서 종교 연구의 강조는 1947년 국가가 수립되면서 시작되었다. 그 결과, 파키스탄의 공립 및 사립 학교 학생들은 예술, 과학, 영어, 수학과 같은 과목을 배울 기회를 갖는다. 하지만 신학교 학생들은 이러한 과목을 전혀 배우지 않는다.[18]

태국, 미얀마 등 다수의 불교 사회에서는 공립 학교에서 불교 교리와 사회적 예절을 가르치기도 한다. 젊은 남성들은 평생 한 번, 몇 달 동안 승려 생활을 하며 종교 교육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란 국민의 약 90%가 시아파 (이슬람교)를 믿으며, 이는 이란의 국교이다. 수니파와 시아파는 이슬람교의 두 주요 분파이며, 압도적으로 많은 이란인들이 시아파 이슬람교를 믿는다.[19]

이란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주요 종교는 이슬람교이며, 그 성서로 코란이 있다. 학생들은 초등학교와 중학교(보통 7~14세)에서 이를 배우기 시작하며, 배우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정부는 학생들에게 종교 내용을 단계별로 가르치기 위해 친절하고 설득력 있는 교사를 채용하려고 노력한다. 공립학교에서는 다른 종교는 가르치지 않는다. 조로아스터교, 기독교, 유대교와 같이 인정된 소수 종교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사립학교가 있다.[20] 이 학교들은 특정 교육 과정 요건을 부과하는 교육부에 의해 감독된다. 이러한 사립학교의 교장은 예외를 제외하고는 무슬림이어야 한다.[21]

오스트리아는 다민족 제국으로, 이슬람교도가 다수인 보스니아를 포함했기 때문에, 19세기부터 가톨릭, 개신교 또는 정교회 수업과 함께 수니 이슬람교가 가르쳐져 왔다. 유대교, 불교, 말일성도 예수 그리스도 교회와 같은 소수 종교에 속하는 아이들도 다양한 종교 교육을 받는다. 많은 학교에서는 윤리 수업을 대안으로 수강할 수 있다.

핀란드에서는 종교 교육이 초등학교(7–16세)와 고등학교(16–18/19세)에서 모두 의무 과목이다. 핀란드 학생의 대부분은 복음주의 루터교 종교 교육을 받는다. 학생은 핀란드에 등록된 종교 단체에 속할 경우 자신의 종교에 따른 종교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종교 교육은 필수 과목이므로, 어떤 종교 단체에도 속하지 않는 학생은 윤리학을 배운다. 일부 비 루터교 학생들도 복음주의 루터교 종교 교육에 참여한다.

프랑스에서는 국교가 없으며 종교 교육에 자금을 지원하지 않는다. 그러나 국가는 종교 과목을 학생들에게 강요하지 않고 종교에 따라 학생을 차별하지 않는다는 엄격한 조건 하에 종교 단체를 포함한 사립 교육 기관에 보조금을 지급한다. 예외는 역사적인 이유로 인해 특정 지역 법률에 따라 알자스-모젤 지역으로, 국가는 주로 독일 모델에 따라 일부 종교(가톨릭, 개신교, 유대교)에 대한 공립 후원 교리 교육 또는 수업을 제공한다.

역사적으로, 독일의 다양한 종교 단체들은 초등 및 중등 교육에 기여해 왔으며, 현재도 그러하다. 독일의 교육은 1763년 프리드리히 대왕이 도입한 프로이센 교육 시스템의 유산을 여전히 담고 있다. 그 이후 다양한 독일의 주의 교육 과정은 기본적인 기술뿐만 아니라 음악(노래) 및 종교(기독교) 교육을 교회와 긴밀히 협력하여 포함해 왔다. 이는 교회에 공법상의 법적 실체인 "Körperschaft des öffentlichen Rechts"라는 특정 지위를 부여하게 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 유효한 1919년 바이마르 타협의 유산이다.[24]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 사이에 거의 균등하게 분열된 오랜 역사를 가진 독일의 대부분의 연방 주에서는 종교 단체가 주류 개신교, 가톨릭, 유대교 종교 교육 교사의 훈련을 감독하는 제도를 갖추고 있다.

어떤 연방 주에서는 정교회 기독교 교사도 포함된다. 베를린, 브레멘(브레멘 조항 참조) 및 브란덴부르크에서는 종교 교육이 의무가 아니다. 예를 들어, 브레멘에서는 특정 종교 단체에 의해 감독되지 않는 주에서 승인한 "성경 연구"가 제공되었다.

이 훈련은 인문학의 현대적 기준에 따라, 그리고 대부분 국립 대학에서 훈련을 받은 교사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사들은 공립 학교에서 종교를 가르치며, 국가로부터 급여를 받으며, 독일 헌법에 구속될 뿐만 아니라 교육 내용에 대해 교회에 답변해야 한다. 주류 종교에 속하지 않는 어린이(예: 새사도 교회 신자)는 특정 종교 단체의 수업에 참여해야 하거나, 참여를 원하지 않을 경우 윤리 또는 철학 수업을 들어야 한다. 무신론자 및 불가지론자 단체인 독일 인본주의 연합은 교회의 법적 구조에 적응했으며, 현재 이러한 수업을 제공할 수 있다. 14세부터 아이들은 종교 수업에 참여할지 여부와 참여할 경우 어떤 수업에 참여할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어린 아이의 경우 부모의 결정에 따른다. 또한 국가는 종교 학교 및 발도르프 교육 학교의 비용을 최대 90%까지 지불하여 보조한다. 그러나 이러한 학교는 해당 연방 주의 공립 학교와 동일한 교육 과정을 따라야 한다.

독일에서 이슬람교 종교 교육의 도입은 다양한 부담과 문턱에 직면했지만, 현재 도입되고 있다. 현재 주로 터키 출신인 약 300만 명의 무슬림이 이 나라에 있지만, 그들 중 많은 수가 주가 그러한 문제를 처리할 수 있는 법적 실체의 회원이 아니다(기독교 교회의 대표 및 인본주의자와 달리). 2013년, 독일 역사상 처음으로 헤센 주는 개혁 지향적인 아흐마디야 무슬림 공동체를 독일 전체의 ''Körperschaft des öffentlichen Rechts''로 인정했으며, 이는 역사적인 이정표로 간주되었다.[25] 아흐마디야는 주립 학교에서 종교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이 지위를 신청했지만, 현재 자체 묘지를 유지하고 주 교회세 시스템을 통해 회원들의 수수료를 징수할 수 있다.[25]

그리스의 공립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일반적으로 6~17세) 학생들은 공식 커리큘럼을 사용하여 그리스 정교회 신앙의 기초를 배운다. EU의 종교 자유 규칙에 따라 학부모는 추가적인 설명 없이 서면으로 요청하여 자녀를 종교 수업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26] 18세 이상의 학생은 스스로 선택을 할 수 있다. 수업을 거부하는 학생들은 대체(비종교) 과정을 수강한다. 대학교(대부분 국립)는 학업과 관련된 내용을 제외하고는 종교적인 내용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탈리아에서는 가톨릭 종교 교육이 초등학교 및 중고등학교(6~19세) 학생들이 배우는 정규 과목이지만, 학생들은 종교 수업을 선택하지 않고 대신 다른 과정을 수강할 수 있다.[27] 종교 수업이 첫 번째 또는 마지막 시간에 열리는 경우,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은 학교에 늦게 등교하거나 일찍 하교할 수 있다.[28] 이 과목은 초등학교 및 중고등학교 교육 과정에서 주 1시간 선택 과목으로 제공된다. 자료에 따르면 종교 수업을 선택하는 학생의 비율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29] 2020년에는 그 비율이 86%였다.[30] 종교 교육은 1929년 라테란 조약 이후 파시스트 정권 시대에 이탈리아에서 의무적인 활동으로 처음 도입되었지만, 1984년에 선택 과목으로 변경되었다.

2003년 법률 제186호는 이탈리아 초등학교 및 중고등학교에 배치될 종교 교사를 위한 전국 공채의 가능성을 규정했다.[32] 교사들은 공무원이 되어 공교육부 장관으로부터 직접 급여를 받으며, 직장에서 해고될 수 없다. 특정 규정은 등록된 종교 교사가 필요한 교구 허가를 받지 못하거나 개인적인 직장 이동 요청의 결과로, 학위와 호환되는 다른 교육 분야에 배치될 권리를 시행했다.[33] 공채 선발에 응시하려면 교사는 자신의 교구 주교가 발급한 특정 교사 자격증이 필요하다. 2004년에 이 유형의 첫 번째 전국 공채 선발이 열렸다.[34][35] 구알티에로 바세티 추기경과 이탈리아 공교육부 장관 루치아 아촐리나가 서명한 협정에 따라 2021년 12월까지 다른 선발이 예상되었다.[36]

2019년 2월 13일, 이탈리아 장관 마르코 부세티와 가톨릭 교육 성직자성 장관인 주세페 베르살디 추기경은 교황청과 이탈리아 대학에서 발급된 학위 자격의 상호 인정을 위한 협정에 서명했다.[37][38][39] 이 협정으로 이탈리아 공립 학교에서 인정되는 학위가 크게 증가했다.[40]

이탈리아 공립 학교에서의 종교 교육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일부에서는 가톨릭 종교를 공부하는 것이 이탈리아의 역사, 문화 및 예술 유산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세속주의와 종교의 자유라는 헌법적 원칙에 위배된다고 생각하며, 점점 다양해지는 사회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여긴다.[27] 어떤 사람들은 종교 교육이 가족과 교회의 전적인 권한이 되어야 한다고 믿으므로 공립 학교에서의 종교 교육에 반대한다.[27] 그러나 종교 공부는 공립 초등학교 및 중고등학교에서 항상 선택 사항이다. 종교의 역사는 역사 교과 과정에서 가르치며, 일부 종교적 측면은 또한 철학 교육의 이탈리아 리세오에 통합되어 있다.

2004년부터 라트비아의 초등학생(1학년~3학년) 학부모는 기독교 수업 또는 윤리 수업을 선택할 수 있다. 기독교 수업은 교파를 초월하며, 루터교, 로마 가톨릭교, 동방 정교회, 침례교, 고(古)의례파의 공통된 기반을 둔다.

네덜란드에서는 공립학교와 특수학교를 구분한다. 특수학교는 종교, 삶의 철학 또는 교육관을 바탕으로 가르친다. 공립학교 수업은 종교나 신념에 기반하지 않는다.[45] 2019년에는 공립 초등학교가 가장 큰 비중(31.6%)을 차지했으며, 그 뒤를 로마 가톨릭 학교(30.5%), 개신교 기독교 초등학교(29.6%) 및 '기타 특수' 범주의 종파가 있는 초등학교(8.3%)가 따랐다. 서로 다른 종파의 학교 간의 관계는 최근 몇 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46] 정부는 두 유형의 교육에 모두 비용을 지불한다. 이를 위해 학교는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예를 들어, 교육은 충분한 품질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최소 학생 수, 교사의 역량 및 교육 시간 수에 대한 요구 사항도 있다.[45]

폴란드에서는 종교 교육이 공립학교에서 선택 사항이다. 학부모는 자녀가 종교 수업이나 윤리 수업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둘 다 듣지 않도록 할지 결정한다.[47][48] 학생이 18세가 되면, 그 때부터는 학생 스스로 종교 과목이나 윤리 과목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둘 다 선택하지 않을지 결정할 수 있다.[49] 2007년부터 종교(또는 윤리) 수업의 성적은 학점 평균에 반영된다.

루마니아 공립 학교에서 종교 교육은 선택 사항이다. 학부모는 자녀가 어떤 종교를 공부할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종교 수업은 국가의 다수 종교인 루마니아 정교 신앙에 초점을 맞춘다.

터키에서는 전반적으로 종교 교육이 중앙 집중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1924년에 처음 초안이 작성되어 이후 법적 개혁과 헌법 개정에서 유지된 교육 통일법에서 시작되었다.[50] 세속 혁명으로 인해 오스만 교육 시스템의 이전 관행은 폐지되었다. 새로운 교육 통일법은 공립학교에서 종교 교육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새롭게 설립된 터키 공화국은 아타튀르크 통치 아래 세속적이고 더 서구화되기를 목표로 했다. 1923년에는 국가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라틴 문자 채택, 그레고리력 도입과 같은 변화가 새로 설립된 국가에서 일어났다. 사회에 종교적 지식과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마드라사가 폐쇄되면서,[51][52] 학교에서 종교 수업도 폐지되었다. 꾸란 강좌 또는 기타 종교 활동과 같은 종교 교육은 정부에 의해 통제되어야 했으며 정규 교육과 분리되었다.[51]

상황은 일당 시대가 끝난 1946년에 바뀌었다. 1949년 앙카라 대학교에 신학부가 도입되어 이맘을 교육, 양성 및 훈련하고, 주로 이슬람교에 관한 과학 연구를 수행했다.[51] 1956년, 다당제 민주주의의 결과로 전 민주당이 이끄는 새로운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 정부는 중학교에 종교 과목을 도입했다. 민주당과 함께 종교는 '종교 문화와 윤리 지식'이라는 이름으로 학교에서 강의로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학부모의 허락을 받아야 했다. 또한, 일부 터키 도시에는 제한된 수의 학생들을 위한 이맘 하티프 학교가 설립되었다. 1980년 쿠데타까지 이어진 수년간 이맘 하티프 학교와 종교 교육의 수가 터키에서 증가했다.[51] 1980년 군사 쿠데타 이후 학교에서의 종교 교육은 '종교 문화와 윤리 지식' 수업과 함께 의무적인 커리큘럼의 일부로 변모했다. 종교 교육의 내용은 국가에서 준비했으며, 이는 아이들이 다른 종교적 가르침에 노출되기 전에 먼저 이슬람교의 수용된 해석에 노출되도록 보장했다.[53]

1990년대 후반에는 이맘 하티프 학교 졸업생의 권리가 교육 개혁 법안에 의해 제한되었다. 또한, 중학교 이맘 하티프 학교는 학생들이 신학 또는 존엄성 학부 대신 다른 분야에서 고등 교육을 계속할 수 있도록 일반 고등학교로 전환되었다. 2000년대 초에는 학생들이 5년이 아닌 8년의 교육을 마친 후에 꾸란 강좌에 참석하도록 법이 도입되면서 꾸란 강좌의 수가 감소했다.[51]

영국(UK)을 구성하는 4개 국가에서 학교는 신앙 교육과 종교 문제에 대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잉글랜드와 북아일랜드의 학교는 각각 종교 교육(RE)이라는 과목을 가르쳐야 하며, 스코틀랜드의 학교는 종교 및 도덕 교육(RME)을 가르쳐야 하고, 웨일스의 학교는 종교, 가치 및 윤리(RVE)를 가르쳐야 한다. 잉글랜드와 북아일랜드에서 과목의 명칭이 일치함에도 불구하고, 과목은 서로 다른 과목 내용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다르게 결정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잉글랜드에서 RE는 교육 과정에서 특이한 위치를 차지한다. RE는 국민 교육 과정이 아닌 기본 교육 과정의 일부이다.[54] 국민 교육 과정이 도입되기 전까지 RE는 국립 학교에서 유일한 필수 과목이었다. 잉글랜드의 RE에 관한 가장 최근의 관련 법률은 ''1988년 교육 개혁법''이다. 이 법은 잉글랜드의 각 지방 자치 단체가 종교적 특성이 없는 해당 지역의 모든 유지 학교에 대해 RE 수업을 위한 지역 합의 교육 과정을 만들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유지 학교의 예로는 커뮤니티 스쿨, 재단 학교, 자원 지원 학교 및 자원 관리 학교가 있다. 잉글랜드의 지방 자치 단체는 지역 종교 신앙 공동체의 대표, 교사 및 지방 자치 단체 자체가 참여하는 종교 교육에 관한 상설 자문 위원회를 조직하여 지방 자치 단체의 학교에서 가르칠 과목 목표, 접근 방식 및 내용을 결정해야 한다.[55] 재단 학교, 자원 지원 학교 및 자원 관리 학교는 종교적 특성 및/또는 정신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해당 학교 환경에서 RE가 가르쳐지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교적 특성을 가진 재단 학교 및 자원 관리 학교에서 RE는 학부모가 학교의 신탁 증서에 따라 RE를 요청하지 않는 한 지역 합의 교육 과정에 따라 가르쳐야 하며, 자원 지원 학교에서는 RE를 신탁 증서에 따라 가르쳐야 한다.[56]

2024년 현재, 잉글랜드의 학교는 대부분 아카데미이다. ''2010년 아카데미 법''은 잉글랜드에 아카데미를 도입했다. 아카데미는 국가의 자금을 지원받지만 지방 자치 단체의 통제를 벗어나 존재한다. 아카데미 리더는 해당 지역의 지역 합의 교육 과정을 따르도록 선택할 수 있지만, 법적으로 그렇게 할 의무는 없으며, ''1996년 교육법'' 제375조(3)항과 ''1998년 학교 표준 및 프레임워크 법'' 부칙 19항 5절에 명시된 지역 합의 교육 과정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경우 자체 교육 과정을 만들 수 있다.[57] 이러한 조항에는 모든 지역 합의 교육 과정이 '영국에서의 종교적 전통이 주로 기독교라는 사실을 반영해야 하며, 영국에 대표되는 다른 주요 종교의 가르침과 관행을 고려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된다.[58] 국립 학교 종교 교육은 비전도적이며 다양한 신앙을 다루지만, 법률은 다른 신앙보다 더 많은 기독교 내용을 포함하도록 요구한다.[59] ''1988년 교육 개혁법''은 또한 유지 학교에 다니는 모든 학생의 학부모는 자녀가 종교 예배에 참석하거나 RE의 모든 형태 또는 일부를 받지 않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이 요청이 받아들여져 요청이 철회될 때까지 학생을 면제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55]

북아일랜드에서 RE는 교회 단체와 교육 과정, 시험 및 평가 위원회(CCEA)가 개발한 핵심 교육 과정에 따라 가르쳐진다. 이 과목에는 기독교, 도덕 및 세계 주요 종교에 대한 연구가 포함된다. 핵심 단계 4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교회 단체의 관점을 검토해야 한다. 잉글랜드와 마찬가지로, 학부모는 RE 수업에서 자녀를 빼낼 권리가 있다.[60]

스코틀랜드에서 RME는 비종교 학교와 로마 가톨릭 학교에서 다르다. 비종교 학교에서 과목 내용은 기독교, 주요 세계 종교 및 비종교적 신념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 로마 가톨릭 학교에서 과목은 가톨릭 기독교와 주요 세계 종교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 잉글랜드와 북아일랜드와 마찬가지로 학부모는 RME 수업에서 자녀를 빼낼 권리가 있다.[61] 스코틀랜드 교회는 학교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스코틀랜드의 비종교 기관에 종종 존재한다.

웨일스에서 RVE는 기독교와 세계 다른 주요 종교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 또한 웨일스에 다양한 철학적 또는 비종교적 신념이 존재한다는 것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과목을 가르쳐야 한다. 이 과목은 항상 객관적이고 비판적으로 가르쳐야 하며, RE 교사는 종교적 또는 비종교적 관점을 장려하지 않는 편견 없는 접근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 잉글랜드, 북아일랜드 및 스코틀랜드와 달리 학부모는 RVE 수업에서 자녀를 빼낼 수 없다.[62]

2010년, 학자들은 RE가 영국에서 기독교 및 기타 주요 종교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습득하고 개발하고, 종교적 및 도덕적 문제에 대한 합리적이고 정보에 입각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고, 학생들의 정신적, 도덕적, 문화적 및 사회적 발달을 향상시키고, 타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개발하는 것을 포함하여 많은 기대를 받고 있다고 언급했다.[63]

캐나다에서 종교 교육은 다양한 지위를 가지고 있다. 한편으로는 로마 가톨릭교 및 개신교 신자를 위한 공립 자금 지원 및 조직된 별도 학교가 일부 주 및 특정 상황에서 1867년 헌법의 여러 조항에 의해 의무화되어 있다.[64] 다른 한편으로는 특히 온타리오에서 다문화주의가 증가함에 따라 특정 집단을 위한 공립 자금 지원 종교 교육이 허용되는지에 대한 논쟁이 일어났다. 예를 들어, 뉴펀들랜드 래브라도는 헌법 개정 이후 1995년에 개신교 및 로마 가톨릭 학교에 대한 자금 지원을 철회했다. 퀘벡은 동일 연도 7월 1일에 발효된 ''1998년 교육법''을 통해 주에서 자금 지원을 받는 종교 교육을 폐지했다.[65] 이는 다시 헌법 개정 이후의 일이다.[66] 퀘벡은 종교적 구분이 아닌 언어적 구분에 따라 학교를 재편성했다. 그러나 온타리오에서는 자금 지원 폐지에 대한 움직임에 강력히 반대해 왔다. 2007년 주 선거에서 가톨릭교가 아닌 종교 기반 학교에 대한 자금 지원 문제가 주요 쟁점이 되었다. 주 보수당은 이 아이디어에 대한 지지 때문에 부분적으로 패배했다.

미국에서 종교 교육은 종종 자발적으로 제공되며, 예배와 함께 또는 평일 수업 후 주중 다른 시간에 가족의 예배 장소에서 아이들에게 가르치는 보충적인 "주일학교", "히브리 학교" 또는 교리 교육 수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일부 가족은 보충 종교 교육이 부적절하다고 믿고 자녀를 가톨릭교의 경우 교구 학교, 유대교의 경우 데이 스쿨 또는 예시바라고 불리는 사립 종교 학교에 보낸다. 많은 종교는 또한 사립 대학 및 대학원 수준의 종교 학교 또는 신학교를 제공하며, 일부는 대학으로 인증을 받았다.

공립학교에서 미국 법은 수업 시간 중 출석 면제 하에 종교 교육을 허용한다. 라이프와이즈 아카데미(LifeWise Academy)와 어린이 전도 협회(Child Evangelism Fellowship)는 이를 활용하는 자발적인 기독교 프로그램의 예이다.[67][68] 또한 미국 법에 따라 공립학교에서 종교 교육은 중립적이고 학문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허용된다.[69]

몰타 공화국은 몰타 공화국 헌법(:en:Constitution of Malta) 제2조 제1항에 따라 로마 가톨릭교회국교로 정하고, 제2조 제3항에 따라 모든 공립 학교의 의무 교육 과정에서 가톨릭에 따른 종교 교육 제공을 의무화하고 있다. 2014년 몰타 헌법 제43조는 동 제3항에 차별 금지 보호 대상에 성적 지향과 성 정체성이 추가되었고, 2017년에는 동성 결혼을 국가가 승인했지만, 헌법 제2조는 그대로 개정되지 않았다.

5. 종교 교육의 쟁점과 과제

종교 교육은 종교의 자유, 정교분리, 교육의 중립성 등 다양한 헌법적 가치와 충돌할 수 있다.

특정 국가 내에서 사람들은 다양한 종교 및 비종교적 신념을 갖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부가 후원하는 종교 교육은 갈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국가마다 정부가 운영하는 학교(공립학교)에서 종교 교육을 허용하는지에 큰 차이가 있으며, 종교 교육을 허용하는 국가들 또한 제공되는 교육 유형에 차이가 있다.

공립학교에서의 종교 교육에 대한 찬반 논쟁은 아래와 같다.[5]


  • 반대:
  • 가르쳐지는 종교적 신념에 대한 국가의 후원 또는 설립을 구성
  • 특정 종교가 학교에서 가르쳐질 경우, 그 종교에 속하지 않는 아이들은 순응하라는 압력을 느끼거나 또래 집단에서 소외
  • 찬성:
  • 종교적 신념이 역사적으로 사람들의 행동과 도덕성을 사회화
  • 학교에서 종교를 가르치는 것이 아이들이 책임감 있고 정신적으로 건강한 성인이 되도록 격려하는 데 중요

5. 1. 종교 교육 찬반 논쟁

종교 교육 찬반 논쟁은 특정 국가 내에서 다양한 종교 및 비종교적 신념을 가진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발생한다. 정부가 지원하는 종교 교육은 국가마다 허용 여부와 교육 유형에 차이가 있다.

공립학교에서의 종교 교육에 대한 반대 의견은 다음과 같다.

  • 국가가 특정 종교를 후원하거나 설립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 특정 종교를 가르칠 경우, 해당 종교에 속하지 않는 아이들이 소외감을 느끼거나 따돌림을 당할 수 있다.[5]


반면, 종교 교육 찬성 측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 종교적 신념은 역사적으로 사람들의 행동과 도덕성을 사회화하는 데 기여했다.[5]
  • 종교 교육은 아이들이 책임감 있고 건강한 성인이 되도록 돕는다.[5]


유대교 종교 교육은 신앙의 주요 교리 교육과 종교 법규 및 관습 교육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하레디 유대교는 유대교 법과 관습만을 가르치고 세속 학문은 가르치지 않는다. 반면 현대 정통 유대교는 세속 학문과 종교 학문을 모두 가르치며, 할라카에서 비롯된 유대교적 가치관과 현대 세계를 융합하는 데 중점을 둔다. 마이클 로제낙은 세속 사회에서의 유대교 종교 교육에 대해, 종교적이지 않은 유대교 교육자들조차 "종교적 요소"가 유대교 문화에 매우 중요하며, "자연사 및 문학에 대한 이해는 역사적 유대교적 감수성을 필요로 한다"는 데 동의한다고 주장한다.[12]

5. 2. 다문화 사회와 종교 교육

다문화 사회가 심화되면서 종교 교육은 더욱 복잡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권리를 존중하고, 종교 간 이해와 관용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종교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정 국가 내에서 사람들은 다양한 종교 및 비종교적 신념을 갖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부가 후원하는 종교 교육은 갈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국가마다 정부가 운영하는 학교(공립학교)에서 종교 교육을 허용하는지에 큰 차이가 있다. 종교 교육을 허용하는 국가들 또한 제공되는 교육 유형에 차이가 있다.

사람들은 다양한 이유로 공립학교에서의 종교 교육을 반대한다. 그 중 하나는 가르쳐지는 종교적 신념에 대한 국가의 후원 또는 설립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은 특정 종교가 학교에서 가르쳐질 경우, 그 종교에 속하지 않는 아이들은 순응하라는 압력을 느끼거나 또래 집단에서 소외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찬성하는 사람들은 종교적 신념이 역사적으로 사람들의 행동과 도덕성을 사회화해왔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학교에서 종교를 가르치는 것이 아이들이 책임감 있고 정신적으로 건강한 성인이 되도록 격려하는 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5]

6. 결론

특정 국가 내에서는 다양한 종교 및 비종교적 신념을 가진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정부가 지원하는 종교 교육은 갈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각 국가는 정부가 운영하는 학교(공립학교)에서 종교 교육을 허용하는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종교 교육을 허용하는 국가들 또한 제공되는 교육 유형에 차이가 있다.

사람들은 다양한 이유로 공립학교에서의 종교 교육을 반대한다. 그 중 하나는 가르쳐지는 종교적 신념에 대한 국가의 지원 또는 설립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은 특정 종교가 학교에서 가르쳐질 경우, 그 종교에 속하지 않는 아이들은 순응하라는 압력을 느끼거나 또래 집단에서 소외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찬성하는 사람들은 종교적 신념이 역사적으로 사람들의 행동과 도덕성을 사회화해왔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학교에서 종교를 가르치는 것이 아이들이 책임감 있고 정신적으로 건강한 성인이 되도록 격려하는 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5]

참조

[1] 문서 Convention against Discrimination in Education
[2] 서적 Signposts: Policy and Practice for Teaching about Religions and Non-Religious Worldviews in Intercultural Education Council of Europe 2014
[3] 서적 Religious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Religious Education Press 1989
[4] 서적 Teaching Religion: Sixty Years of Religious Education in England and Wales University of Exeter Press 2008
[5] 서적 Religion, Education, Dialogue and Conflict: Perspectives on Religious Education Research Routledge
[6] 웹사이트 History of Seminary http://seminary.chur[...]
[7]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Religion, Medicine, and Health Routledge 2021-11-24
[8]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Islamic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Brill
[11] 서적 Curriculum Studies in Turkey:A Historical Perspective Palgrave Macmillan US 2018
[12] 서적 Commandments and Concerns: Jewish Education in Secular Society Jewish Publication Society
[13] 웹사이트 Secular Education Network http://religioninsch[...] 2017-03-15
[14] 웹사이트 Religious Instruction In NZ Primary Schools https://religiousedu[...] 2017-03-15
[15] 웹사이트 NZ Association of Rationalists and Humanists http://rationalists.[...] 2017-03-15
[16] 웹사이트 China and Inner Asia Sessions http://www.aasianst.[...] Aasianst.org 2010-05-02
[17] 웹사이트 中学校・高等学校教員(宗教)の免許資格を取得することのできる大学 http://www.mext.go.j[...]
[18] 웹사이트 Pakistan Schools Ramp Up Religious Education https://www.zenger.n[...] 2023-10-04
[19] 웹사이트 Strait of Hormuz - Religion in Iran https://www.straussc[...] 2020-12-01
[20] 웹사이트 نقدی بر نحوه آموزش مفاهیم دینی در مدارس https://basirat.ir/f[...] 2020-12-01
[21] 웹사이트 Refworld {{!}} 2014 Report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 Iran https://www.refworld[...] 2020-12-24
[22] 웹사이트 Religious Education in Finland http://www.suol.fi/i[...] 2016-03-01
[23] 문서 painting by Ladislaus Weiss
[24] 웹사이트 Bedeutung und Voraussetzungen für den Erwerb des Status der Körperschaft öffentlichen Rechts für Religions- und Weltanschauungsgemeinschaften gem. Art. 140 GG in Verbindung mit Art. 137 Abs. 5 WRV http://www.bmi.bund.[...]
[25] 뉴스 Der Islam gehört nun offiziell zu Deutschland https://www.welt.de/[...] Die Welt 2013
[26] 문서 "Ρύθμιση μαθητικών θεμάτων" http://www.pi-school[...] Υπουργείο Εθν. Παιδείας & Θρησκευμάτων 2008-07-10
[27] 간행물 Religious Diversity in Italy and the Impact on Education: The History of a Failure https://newdiversiti[...] 2015
[28] 웹사이트 Sentenza n.203 https://www.giurcost[...] 2020-11-28
[29] 웹사이트 Uaar, Da quanti studenti è frequentata? https://www.uaar.it/[...] 2020-11-28
[30] 웹사이트 L'ora di religione in Italia: l'86% dei ragazzi sceglie di frequentarla https://www.vaticann[...] 2020-11-28
[31] 웹사이트 Uaar, Perché esiste l'ora di religione cattolica? https://www.uaar.it/[...] 2020-11-28
[32] 웹사이트 Siglata l'Intesa MI-CEI sul concorso per Insegnanti di Religione Cattolica https://snals.it/298[...]
[33] 웹사이트 Insegnanti di religione, via alle assunzioni https://www.repubbli[...] 2003-07-15
[34] 웹사이트 Insegnamento religione cattolica: firmata l'Intesa tra Cei e Ministero dell'Istruzione AgenSIR 2020-12-14
[35] 웹사이트 Assunzione in ruolo. Professori di religione, intesa tra Cei e ministero sul concorso https://www.avvenire[...] 2020-12-14
[36] 웹사이트 Insegnamento religione cattolica, firmata Intesa tra Cei e Ministero https://www.vaticann[...] 2020-12-14
[37] 웹사이트 Commissioner Navracsics travels to Rome and the Vatican to discuss Erasmus+ programme https://ec.europa.eu[...]
[38] 웹사이트 Firma di un Accordo tra la Santa Sede e la Repubblica Italiana https://press.vatica[...] 2019-02-15
[39] 웹사이트 Riconoscimento dei titoli di studio relativi all'insegnamento superiore nella Regione Europea https://it.zenit.org[...] 2019-02-15
[40] 웹사이트 Decreto Ministyeriale n. 20 del 2020 (allegato 1) https://irc.chiesaca[...]
[41] 웹사이트 Perché l'ora di religione in Italia? https://www.tecnicad[...] 2020-11-28
[42] 웹사이트 thevision.com https://thevision.co[...] 2020-11-28
[43] 웹사이트 Religious education in Italian public schools: what room for Islam? https://www.statoech[...] 2020-12-13
[44] 웹사이트 Ora islamica? Meglio una scuola laica e pluralista http://www.chiesaval[...] 2020-11-28
[45] 웹사이트 Openbaar en bijzonder onderwijs - Vrijheid van onderwijs - Rijksoverheid.nl https://www.rijksove[...] 2020-07-31
[46] 웹사이트 Aantal scholen in het primair onderwijs - Kengetallen - Onderwijs in cijfers https://www.onderwij[...] 2020-07-31
[47] 문서 Art.12 http://www.cke.edu.p[...]
[48] 웹사이트 Poradnikdyrektora.pl - poradnikdyrektora Resources and Information http://www.poradnikd[...]
[49] 문서 §3 http://www.nauczanie[...]
[50] 논문 Religious education in two secular multicultural societies: The Turkish and Dutch case compared 2011
[51] 논문 Islam and Religious Education in Turkey https://journal.ibsu[...] 2011-12-06
[52]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Contemporary Islamic Thought. John Wiley & Sons 2007
[53] 웹사이트 Religious education in Turkey - Worldbulletin News http://www.worldbull[...] 2016-03-01
[54] 웹사이트 The national curriculum https://www.gov.uk/n[...] 2024-07-20
[55] 서적 Education Reform Act 1988 HMSO
[56] 웹사이트 Legal Requirements for Religious Education in the UK {{!}} NATRE https://www.natre.or[...] 2024-07-20
[57] 웹사이트 Legal Requirements for Religious Education in the UK {{!}} NATRE https://www.natre.or[...] 2024-07-20
[58] 서적 Education Act 1996 HMSO
[59] 문서 Religious Education http://www.mmiweb.or[...]
[60] 웹사이트 Statutory curriculum {{!}} Department of Education https://www.educatio[...] 2024-07-20
[61] 웹사이트 Curriculum for Excellence: religious and moral education https://www.gov.scot[...] 2024-07-20
[62] 웹사이트 Religion, Values and Ethics replaces ‘Religious Education’ under Curriculum for Wales https://educationwal[...] 2024-07-20
[63] 논문 Does RE work? An analysis of the aims, practices and models of effectiveness of Religious Education in the UK 2010
[64] 문서 Constitution Act, 1867 http://laws.justice.[...]
[65] 문서 Education Act http://www.canlii.or[...]
[66] 문서 Constitution Act, 1867 http://laws.justice.[...]
[67] 서적 Persecution: How Liberals Are Waging War Against Christians Simon and Schuster 2003-09-25
[68] 웹사이트 LifeWise Academy expanding through Richland County https://www.richland[...] 2023-11-01
[69] 문서 RELIGION AND THE COURTS: THE PILLARS OF CHURCH-STATE LAW http://people.uncw.e[...]
[70] 문서 The Japan Christian Yearbook, 1941 https://archive.org/[...]
[71] 웹사이트 中学校・高等学校教員(宗教)の免許資格を取得することのできる大学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72] 서적 The Japan Christian Yearbook, 1941 http://archive.org/s[...]
[73] 웹사이트 중학교·고등학교 교원(종교)의 면허 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대학 http://www.mext.go.j[...] 문부과학성 2014-10-21
[74] 간행물 Religious Education http://www.mmiweb.or[...]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QCA
[75] 웹사이트 Aims of Religious Education http://www.ress.ie/j[...] Professional Development Service for Teac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