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드 모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로드 모네는 1840년 파리에서 태어난 프랑스의 인상주의 화가이다. 외젠 부댕에게 미술 교육을 받았으며, 1859년 파리로 가 르누아르, 시슬레 등과 교류하며 야외 사생을 통해 빛을 그림에 담아내려 했다. 1870년 런던으로 건너가 터너 등의 작품에서 영향을 받았고, 1874년 동료 화가들과 함께 제1회 인상파 전람회를 개최했으나, 출품작들은 비난을 받았다. 모네는 볏짚더미, 포플러, 루앙 대성당 등 단일 주제를 다양한 시점에서 그린 연작을 통해 자신의 좌절감을 해소하려 했으며, 말년에는 수련 연작에 몰두했다. 모네는 인상주의를 대표하는 화가로, 그의 작품은 빛과 색채의 변화를 포착하는 인상주의 미학을 구현하고 있으며, 1926년 지베르니에서 폐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클로드 모네 - 미셸 모네
미셸 모네는 클로드 모네의 아들이자, 아버지의 그림에 등장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아버지 사후 유일한 상속자로서 재산을 물려받아 작품 컬렉션을 미술관에 기증했다. - 프랑스의 미술에 관한 - 폴 세잔
폴 세잔은 인상주의 영향을 넘어 사물의 본질과 공간 구조를 탐구하여 독자적인 화풍을 확립하고 후대 입체파에 큰 영향을 미친 프랑스 화가로, 기하학적 형태를 이용한 자연 재해석, 에밀 졸라와의 관계, 정물화, 풍경화, '목욕하는 사람들' 연작, 생트빅투아르 산 등이 주요 특징이다. - 화가에 관한 - 폴 세잔
폴 세잔은 인상주의 영향을 넘어 사물의 본질과 공간 구조를 탐구하여 독자적인 화풍을 확립하고 후대 입체파에 큰 영향을 미친 프랑스 화가로, 기하학적 형태를 이용한 자연 재해석, 에밀 졸라와의 관계, 정물화, 풍경화, '목욕하는 사람들' 연작, 생트빅투아르 산 등이 주요 특징이다. - 화가에 관한 - 빈센트 반 고흐
빈센트 반 고흐는 네덜란드 후기 인상파 화가로, 가난한 광부들과의 삶, 인상파 화가들과의 교류, 정신적 고뇌 등 다채로운 경험이 독창적인 화풍에 반영되었으며, 《감자 먹는 사람들》, 《별이 빛나는 밤》, 《해바라기》 등의 대표작을 남겼고 그의 죽음은 자살로 추정된다.
클로드 모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오스카-클로드 모네 |
출생일 | 1840년 11월 14일 |
출생지 | 파리, 프랑스 왕국 |
사망일 | 1926년 12월 5일 |
사망지 | 지베르니, 프랑스 |
국적 | 프랑스 |
활동 분야 | 회화 |
활동 시기 | 1865년–1926년 |
예술 활동 | |
사조 | 인상주의 |
교육 | 아카데미 스위스 보자르 드 파리 |
주요 작품 | 인상, 해돋이 루앙 대성당 연작 런던 국회의사당 연작 수련 건초더미 포플러 작품 목록 |
후원자 | 귀스타브 카유보트 에르네스트 오슈데 조르주 클레망소 세르게이 슈킨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카미유 동시외 (1870년 결혼, 1879년 사망) 알리스 오슈데 (1892년 결혼, 1911년 사망) |
자녀 | 장 미셸 |
서명 | |
![]() | |
기타 정보 | |
영향을 준 화가 | 외젠 부댕 요한 욘킨트 장바티스트카미유 코로 샤를프랑수아 도비니 귀스타브 쿠르베 에두아르 마네 |
영향을 받은 화가 | 인상주의 후기인상주의 |
묘지 | 지베르니 교회 묘지 |
2. 생애
1840년 프랑스 파리에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어린 시절은 르아브르에서 보냈다. 그곳에서 풍경화가 외젠 부댕을 만나 야외에서 그림을 그리는 법을 배웠다(→''르 아브르(소년시절)''). 1859년 파리로 가서 샤를 글레르의 화실에서 공부하며 카미유 피사로, 알프레드 시슬레, 피에르오귀스트 르누아르, 프레데리크 바지유 등 훗날 인상주의 운동을 함께할 동료 화가들과 교류했다. 이들은 에두아르 마네의 밝은 화풍에 영향을 받아 야외의 빛을 포착하는 데 주력했다(→''화실시절'').
1865년 처음 살롱에 입선했지만 이후 낙선을 거듭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카미유 동시외와의 관계로 집안의 경제적 지원이 끊기기도 했다(→''살롱에의 도전''). 1870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을 피해 런던으로 건너가 화상 폴 뒤랑-뤼엘을 만났고, 윌리엄 터너 등의 작품에서 영향을 받아 밝은 색채 연구에 몰두했다(→''프랑스-프로이센전쟁, 런던'').
귀국 후 아르장퇴유에 정착하여 센강 풍경 등을 그렸다. 1874년, 기존 살롱에 반발하여 동료들과 함께 제1회 인상파 전람회를 열었다. 이때 출품한 《인상, 해돋이》는 비난의 대상이 되었으나, '인상파'라는 명칭의 유래가 되었다(→''아르장퇴유(1870년대)''). 1878년 베퇴유로 이주하여 후원자였던 어니스트 오셰데 가족과 함께 살았다. 1879년 아내 카미유가 세상을 떠났고, 알리스 오셰데와의 관계가 깊어졌다. 이 시기 인상파 그룹은 내부 갈등으로 점차 해체되었다(→''베퇴이유(1878년-1881년)'').
1881년 푸아시를 거쳐 1883년 지베르니에 정착하여 생을 마감할 때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1880년대에는 지중해 연안, 네덜란드 등 유럽 각지를 여행하며 그림을 그렸고, 뒤랑-뤼엘의 도움과 미국 시장에서의 성공으로 경제적 안정을 찾았다(→''푸아시(1881년-1883년)'', →''각지의 제작여행(1880년대)''). 1890년대에는 지베르니 자택 주변의 《건초더미》, 《포플러》, 《루앙 대성당》 등 동일한 주제를 다양한 빛과 시간 속에서 그린 연작에 몰두하며 거장으로서의 명성을 확립했다. 1892년 알리스 오셰데와 재혼했다(→''「건초더미」부터의 연작(1890년대)'').
1890년대부터 지베르니 자택에 "꽃의 정원"과 "물의 정원"을 조성했으며, 특히 1898년경부터는 수련 연못을 집중적으로 그리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일본식 다리가 포함된 구도였으나, 점차 수련과 수면의 빛 반사 자체에 집중하는 형태로 변화했다. 1900년대에는 런던의 템스강 풍경 연작과 베네치아 풍경 등을 제작하기도 했다(→''「수련」제1·제2연작(1900년대)'').
말년에는 백내장으로 인한 시력 저하와 가족, 친구들의 죽음이라는 어려움 속에서도 친구 조르주 클레망소의 격려에 힘입어 오랑주리 미술관에 기증될 《수련》 대형 장식화 제작에 몰두했다(→''「수련」의 방(말년)'').
모네는 1926년 12월 5일 86세의 나이로 폐암으로 사망하여 지베르니 교회 묘지에 묻혔다.[75] 그는 간소한 장례식을 원했으며 약 50명만이 참석했다.[76] 장례식에서 친구 클레망소는 관을 덮은 검은 천을 치우고 꽃무늬 천으로 바꾸며 "모네에게 검은색은 없다!"고 외쳤다고 전해진다.[76]
모네 사후 그의 아들 미셸은 지베르니의 집과 정원을 프랑스 학술원에 유증했다.[77] 클로드 모네 재단에 의해 복원된 집과 정원은 1980년부터 일반에 공개되어[77] 전 세계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가 되었다. 집 내부에는 모네의 우키요에 수집품 등 유품들이 전시되어 있다.[78]
2. 1. 탄생과 초기
1840년 11월 14일, 프랑스 파리 9구의 라피트 거리 45번지 5층에서 태어났다.[2] 아버지는 파리 출신 2세대인 클로드 아돌프 모네(1800~1871)였고, 어머니는 루이즈 저스틴 오브레 모네(1805~1857)였다. 모네는 이들 사이에서 태어난 둘째 아들이었다. 1841년 5월 20일, 파리의 현지 교회인 노트르담 드 로레트에서 오스카르-클로드(Oscar-Claude프랑스어)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지만, 부모는 그를 오스카르라고 불렀다.[2][3] 그는 가톨릭 신자로 세례를 받았지만, 나중에는 무신론자가 되었다.1845년경, 그의 가족은 노르망디의 항구 도시 르아브르로 이주했다. 아버지는 도매상이었으며, 모네가 가업인 선박용품 및 식료품 사업을 이어가기를 원했다.[4] 하지만 모네는 화가가 되기를 원했고, 가수였던 어머니는 아들의 예술적 열망을 지지했다.[5]
1851년 4월 1일, 모네는 르아브르 예술 중등학교에 입학했다.[6] 그는 학업에 큰 흥미를 보이지 않는 학생이었지만, 어린 시절부터 예술적 재능을 보여 15세 무렵에는 지인들의 캐리커처와 초상화를 그려 돈을 벌기 시작했다.[7] 자크 루이 다비드의 제자였던 자크-프랑수아 오샤르에게서 처음으로 드로잉 수업을 받았다.[7]
1857년 1월 28일, 어머니가 세상을 떠났다.[10] 이후 모네는 학업을 그만두었지만,[115] 아버지와 함께 살던 이모 마리-장느 르카드르가 그를 아틀리에에 보내 데생 공부를 계속하도록 도왔다.[9][10][116]
1858년경, 모네는 르아브르에서 활동하던 동료 예술가이자 풍경화가인 외젠 부댕을 만났다.[117] 부댕은 모네가 캐리커처만 그리는 것을 그만두고 유화를 공부하도록 격려했으며, 당시에는 흔치 않았던 야외에서 직접 그림을 그리는(야외 사생, en plein air프랑스어) 기법을 가르쳐 주었다.[8][9][118] 부댕은 모네와 함께 센-마리팀 주의 Rouelles|루엘프랑스어 등으로 함께 그림 여행을 떠나기도 했다.[116] 모네는 부댕을 자신의 진정한 스승으로 여겼고, 훗날 자신의 성공은 "모두 부댕 덕분"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모네는 부댕과 함께 그린 유화 《루엘의 전망》을 르아브르 시 전람회에 출품하며 화가로서 첫 발을 내디뎠다.[116][119]
1859년, 모네는 본격적인 미술 공부를 위해 파리로 갔다. 그곳에서 샤를 글레르의 작업실에 들어가 피사로, 시슬레, 르누아르, 바지유 등 훗날 인상주의 운동을 함께하게 될 동료 화가들과 교류를 시작했다. 이들은 풍경을 비추는 빛의 효과를 그림에 담아내기 위해 야외에서 그림 그리는 것을 즐겼다. 특히 모네는 마네의 밝은 화풍에 큰 영향을 받아, 야외의 밝은 광선을 묘사하는 데 집중하게 되었다.
2. 2. 파리 유학과 인상주의
1859년, 르아브르에서 부댕에게 그림을 배우던 모네는 파리로 가서 본격적인 미술 공부를 시작했다.[11] 그는 스위스 아카데미에 등록하여 공부했으며(1858-1860년), 1859년에는 피사로를 만났다. 1861년부터 1862년까지는 징병되어 알제리에서 Chasseurs d'Afrique|샤쇠르 다프리크프랑스어(아프리카 사냥꾼 연대) 소속으로 복무했다.[11] 알제리에서의 경험은 모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는데, 그는 훗날 북아프리카의 빛과 선명한 색채가 자신의 "미래 연구의 씨앗을 품고 있었다"고 회고했다.[12] 건강 문제로 복무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르아브르로 돌아온 그는, 남은 복무 기간을 돈으로 해결하고 부댕과 함께 자신에게 중요한 스승이 된 요한 바르톨트 용킨트를 만났다.[8]파리로 돌아온 모네는 아버지의 허락을 받아 샤를 글레르의 화실에 들어갔고, 그곳에서 르누아르, 바지유, 시슬레 등과 교류했다.[10] 특히 바지유는 그의 가장 친한 친구가 되었다. 이들은 인상주의의 특징이 되는 야외 사생을 즐기며 풍경을 비추는 빛을 그림에 담아내고자 했다. 모네는 특히 마네의 밝은 화풍에 매료되어 야외의 빛 묘사에 집중했다. 마네를 중심으로 르누아르, 피사로, 드가, 세잔 등과 함께 새로운 예술을 만들어가기 위해 노력했다. 소재를 찾아 옹플뢰르로 여행을 떠나 항구와 센 강 어귀를 여러 점 그리기도 했다. 그는 종종 르누아르, 시슬리와 함께 그림을 그렸는데, 이들은 전통적인 소재에 새로운 미학을 적용하려는 생각을 공유했다.

이 시기 모네는 《정원의 여인들》과 모네 초기 중요작으로 꼽히는 Le Déjeuner sur l'herbe (풀밭 위의 점심 식사)와 같은 대형 작품을 제작했다.[14] 1865년 살롱에 《썰물의 라 푸앵트 드 라 에브》와 《옹플뢰르의 센 강 어귀》를 출품하여 호평을 받자, 그는 《풀밭 위의 점심 식사》가 1866년 살롱 진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했다. 하지만 제때 완성하지 못했고, 대신 《녹색 드레스를 입은 여인》과 《샤이이의 포장도로》를 제출하여 입선했다.[10][15] 이후 1870년까지 매년 살롱에 작품을 출품했지만, 심사위원들에게 받아들여진 것은 1866년과 1868년 두 번뿐이었다.[8] 그의 작품은 급진적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공식적인 인정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1880년에 마지막으로 단 한 번 더 살롱에 작품을 보냈다.[8]

1867년, 당시 연인이자 2년 전 모델로 만났던 카미유 동시외가 첫 아들 장을 낳았다.[9] 모네는 아들에게 깊은 애착을 가졌고, 카미유를 법적 아내로 인정받게 하여 장이 적자(嫡子)로 인정받도록 했다.[18] 이 일로 모네의 아버지는 재정 지원을 끊었고, 모네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를 맞게 되었다. 그해 초 모네는 생트아드레스에 있는 이모 집으로 이사해야 했다.[10][15] 작업에 몰두했지만, 스트레스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일시적인 시력 문제로 햇빛 아래서 작업하기 어려워하기도 했다.[10][15][8] 모네는 가족을 매우 사랑했으며, 《컵을 든 아이, 장 모네의 초상》처럼 가족의 초상화를 많이 그렸는데, 이 그림은 그의 후기 인상주의 양식의 초기 단계를 보여준다.[16]
미술 수집가 루이-조아킴 고디베르의 도움으로 카미유와 다시 함께 살게 된 모네는 이듬해 에트르타로 이사했다.[10] 이 무렵 그는 "현대적인 부르주아 계층을 묘사하는 인물 화가"로 인정받으려 노력했으며, 이러한 시도는 1870년대까지 이어졌다.[10][17] 그는 야외에서 그리는 자신만의 화풍을 발전시키고 실험적인 기법을 통합했는데, 이는 《생트아드레스의 테라스》나 《센 강변》 같은 작품에서 잘 드러난다. 전자는 그의 "관광과 연관된 첫 본격적인 회화 활동"으로 평가받는다.[10][15] 고디베르는 모네의 그림 여러 점을 구입하고 아내의 초상화를 비롯한 다른 작품들을 위촉하기도 했다. 고디베르 부부는 2년 동안 모네의 고향에서 가장 중요한 후원자였다.[8][18] 모네는 나중에 화가이자 미술 수집가인 귀스타브 카유보트, 친구 바지유, 그리고 아마도 귀스타브 쿠르베로부터도 재정적 지원을 받았지만, 여전히 빚 독촉에 시달렸다.[8]

1870년 6월 28일,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발발 직전에 모네는 카미유와 결혼했다.[19] 전쟁이 터지자 그는 징병을 피해 가족과 함께 런던과 네덜란드에서 지냈다.[10] 런던 망명 생활 동안 모네는 오랜 친구 피사로와 미국 화가 휘슬러를 만났고, 그의 첫 번째이자 주요 화상인 폴 뒤랑뤼엘과 인연을 맺었다. 이는 그의 경력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런던에서 그는 존 컨스터블과 터너의 작품을 접하고 감탄했으며, 특히 템스강의 안개를 묘사한 터너의 빛 처리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8][10][20][21] 그는 템스강, 하이드 파크, 그린 파크를 반복해서 그렸다.[10] 1871년 봄, 그의 작품은 왕립예술원 전시 허가를 받지 못했고, 경찰로부터 혁명 활동가로 의심받기도 했다.[22][19] 같은 해, 그는 아버지의 부고를 들었다.[8]
1871년, 프랑스로 돌아온 모네 가족은 파리 근교의 아르장퇴유로 이사했다. 네덜란드 화가들과 보낸 시간의 영향을 받아 그는 주로 센강 주변 풍경을 그렸다.[17] 강에서 그림을 그리기 위해 요트를 구입하기도 했다.[8] 1874년, 그는 아르장퇴유에 새로 지은 "녹색 덧창이 달린 장미색 집"을 6년 반 계약으로 임대했고, 그곳에서 정원을 파노라마처럼 넓게 그린 그림 15점을 제작했다.[17] 《글라디올러스》와 같은 그림은 모네가 예술 작품의 소재로 삼기 위해 처음으로 정원을 가꾼 시기를 보여준다.[17] 그 집과 정원은 아르장퇴유에서의 마지막 몇 년 동안 "가장 중요한" 소재가 되었다. 이후 4년 동안 그는 주로 아르장퇴유에서 그림을 그렸고, 화학자 미셸 외젠 슈브뢸의 색채 이론에도 관심을 가졌다.[8]
이 시기 모네와 카미유는 종종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870년 여름에는 호텔비를 내지 못했고, 자금 부족 때문에 런던 외곽에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버지로부터 상속받은 재산과 그림 판매 수입 덕분에 1872년에는 하인 두 명과 정원사를 둘 수 있었다.[9][23][24] 몇몇 바다 풍경화가 성공적으로 전시되고 르아브르에서 은메달을 수상한 후, 모네의 그림이 채권자들에게 넘어가기도 했지만, 부댕의 후원자이기도 했던 선박 상인 고디베르가 다시 사들였다.[25]
1874년, 모네는 살롱의 권위에 도전하며 동료 화가들과 함께 독자적인 전람회를 개최했다. 이는 나중에 제1회 인상파 전람회로 불리게 되는 역사적인 사건이었다. 이 전람회에 출품된 모네의 《인상, 해돋이》는 특히 많은 비판을 받았다. 비평가 루이 르루아(Louis Leroy)는 이 작품의 제목을 빌려 전시회 전체를 조롱하며 "인상주의자들의 전시회"라고 비꼬았는데, 여기서 '인상주의' 라는 명칭이 유래했다. 출품된 작품들은 대상의 고유색보다는 빛에 의해 시시각각 변하는 색채, 즉 '인상'을 포착하려 했고, 물감을 팔레트에서 섞지 않고 캔버스에 바로 칠하는 기법(필촉 분할)을 사용하여 밝고 생생한 화면을 만들어냈지만, 당시에는 이러한 혁신적인 시도가 대중과 비평가들에게 제대로 이해받지 못하고 거센 비난에 직면했다.
2. 3. 살롱 도전과 좌절
1859년 파리로 간 모네는 그림 공부를 시작했고 스위스 아카데미에 등록하여 카미유 피사로를 만났다.[123] 1861년에는 징병되어 알제리에서 샤쇠르 다프리크(Chasseurs d'Afrique) 소속으로 복무했으나, 1862년 장티푸스에 걸려[124] 요양차 르아브르로 돌아왔다. 그는 나중에 알제리에서 경험한 강렬한 빛과 색채가 "나의 미래 연구의 씨앗을 담고 있었다"고 회상했다.[12] 숙모의 도움으로 남은 복무 기간을 면제받고[127], 르아브르에서 요한 바르톨트 용킨트를 만났다. 용킨트는 외젠 부댕과 함께 모네에게 중요한 스승이 되었으며, 모네는 "나의 눈의 교육을 완성시켜 준 것은 그였다"고 말할 정도로 큰 영향을 받았다.[126][8]아버지의 뜻에 따라 파리로 돌아온 모네는[128] 1862년 11월, 샤를 글레르의 아틀리에에 들어갔다.[128] 이곳에서 피에르오귀스트 르누아르, 프레데리크 바지유, 알프레드 시슬레 등 훗날 인상파의 핵심 멤버가 될 친구들을 만났다.[131] 바지유는 모네의 가장 친한 친구가 되었다. 모네는 글레르의 아카데믹한 가르침에 불만을 느꼈고[133], 친구들과 함께 퐁텐블로 숲 등 야외에서 그림을 그리며 새로운 기법을 모색했다.[135] 그들은 옹플뢰르로 가서 항구와 센 강 하구를 그리기도 했다.[137] 모네는 특히 르누아르, 시슬레와 함께 작업하며 전통적인 소재에 새로운 미학을 적용하려는 열정을 공유했다.[14]
이 시기 모네는 첫 대형 작품인 Le Déjeuner sur l'herbe|르 데죄네 쉬르 레르브프랑스어와 《정원의 여인들》을 그렸다.[14] 1865년, 《썰물의 라 푸앵트 드 라 에브》와 《옹플뢰르의 센 강 어귀》 두 점이 처음으로 살롱에 입선하며 호평을 받았다.[10][15] 그는 이 성공에 힘입어 1866년 살롱에 대작 Le Déjeuner sur l'herbe|르 데죄네 쉬르 레르브프랑스어를 출품하려 했으나 제때 완성하지 못하고, 대신 《녹색 드레스의 여인》(카미유 동시외를 그린 그림)과 《샤이의 포장도로》를 제출하여 입선했다.[10][15] 이후 1870년까지 매년 살롱에 도전했지만, 그의 작품은 급진적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1868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낙선하는 등 공식적인 미술계로부터 외면받았다.[8] 그는 1880년에 마지막으로 한 번 더 살롱에 작품을 보냈을 뿐이다.[8]
1867년, 당시 연인이었던 카미유 동시외 (2년 전 모델로 만남)가 첫 아들 장을 낳았다.[9] 모네는 카미유를 법적 아내라고 주장하여 아들이 적자로 인정받게 했지만[18], 이 일로 아버지의 재정 지원이 끊겼다.[10]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모네는 생타드레스의 이모 집으로 거처를 옮겨야 했고[10][15], 스트레스로 인한 일시적인 시력 문제로 야외 작업을 잠시 중단하기도 했다.[10][15][8] 그는 가족에 대한 애정으로 《컵을 든 아이》 등 가족 초상화를 여러 점 그렸는데, 이는 후기 인상주의 화풍의 초기 단계를 보여준다.[16]
미술 수집가 루이-조아킴 고디베르의 도움으로 카미유와 재회하여 에트르타로 이사했고[10], 고디베르 부부는 2년간 모네의 중요한 후원자가 되었다.[8][18] 모네는 "명백하게 현대적이고 부르주아적인" 인물 화가로 자리매김하려 노력했으며[10][17], 《생타드레스 해변》, 《센 강변, 베네쿠르》 등에서 야외 사생 기법과 스타일 실험을 통합하며 자신만의 화풍을 발전시켰다.[10][15] 귀스타브 카유보트, 바지유, 귀스타브 쿠르베 등 다른 이들의 재정적 지원도 있었지만, 여전히 채권자들에게 시달리는 어려운 시기였다.[8]
1870년 6월 28일,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발발 직전 카미유와 정식으로 결혼했다.[19] 전쟁이 터지자 징병을 피해 가족과 함께 런던과 네덜란드에서 망명 생활을 했다.[10] 런던에서는 오랜 친구 피사로와 미국 화가 제임스 애벗 맥닐 휘슬러를 만났고, 그의 경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화상 폴 뒤랑뤼엘과 인연을 맺었다.[8][10] 또한 존 컨스터블과 J. M. W. 터너의 작품, 특히 터너가 묘사한 템스강의 안개와 빛 처리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8][10][20][21] 그는 템스강, 하이드 파크, 그린 파크 등을 그렸으나[10], 1871년 봄 왕립예술원 전시회 출품을 거부당하고 경찰로부터 혁명 활동가로 의심받기도 했다.[22][19] 같은 해 아버지의 부고를 접했다.[8]
전쟁 후 1871년, 가족과 함께 파리 근교 아르장퇴유로 이사했다. 네덜란드 화가들의 영향 속에서 주로 센강 주변 풍경을 그렸고[17], 강에서 그림을 그리기 위해 요트를 구입하기도 했다.[8] 1872년에는 아버지의 유산과 그림 판매 수입으로 형편이 나아져 하인 두 명과 정원사를 고용할 수 있었다.[9][23][24] 하지만 여전히 경제적 어려움은 계속되어, 한때 그린 그림들이 채권자에게 압류당하기도 했으나 후원자 고디베르가 이를 다시 사들였다.[25] 1874년에는 아르장퇴유에 새로 지은 집을 연간 1,000 프랑에 임대하여 정원을 가꾸고 그 풍경을 여러 점 그렸는데, 《글라디올러스》와 같은 작품은 모네가 예술적 목적으로 정원을 가꾼 첫 시기로 여겨진다.[17] 이 집과 정원은 아르장퇴유 시절 후반기 작업의 중요한 소재가 되었다. 그는 화학자 미셸 외젠 슈브뢸의 색채 이론에도 관심을 가졌다.[8]

뒤랑뤼엘의 지원이 줄어들자, 모네는 르누아르, 피사로, 시슬레, 폴 세잔, 에드가 드가, 베르트 모리조 등 동료들과 함께 살롱의 권위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전시회를 열기로 했다. 모네는 '화가, 조각가, 판화가 무명 협회(Société anonyme des artistes peintres, sculpteurs et graveurs)' 결성을 주도했는데[8][10], 이는 지배적인 아카데미즘 미술에 대한 거부와 독립적인 활동을 목표로 한 것이었다.[8][27] 모네는 이 그룹에서 가장 뛰어난 풍경화가로 인정받았다.
1874년 4월, 나다르의 사진 스튜디오에서 열린 첫 번째 전시회에 모네는 《인상, 해돋이》(1872), 《점심 식사》, 《카푸신 대로》 등을 출품했다.[28] 이 전시회를 보고 미술 평론가 루이 르루아는 르 샤리바리지에 기고한 악의적인 비평에서 《인상, 해돋이》의 희미한 묘사를 비꼬아 이들 화가들을 "인상주의자들"이라고 불렀다. 이 용어는 처음에는 그림이 미완성이라는 조롱의 의미로 사용되었지만[10][27], 이후 이 새로운 미술 운동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굳어졌다. 보수적인 비평가들과 대중은 이들을 조롱했지만, 루이 에드몽 뒤랑티와 같은 진보적인 비평가들은 현대 생활을 묘사한 점을 높이 평가하며 "회화의 혁명"이라고 칭했다.[27] 전시회는 약 3,500명의 관람객을 모았으나 상업적으로는 실패했고, 모네는 《인상, 해돋이》에 1,000 프랑의 가격을 매겼지만 팔지 못했다.[29][30][31]
모네는 이후에도 인상주의 전시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876년 제2회 전시회에는 《생타드레스 해변》 등 18점을 전시했고[15], 1877년 제3회 전시회에는 생라자르역 연작 12점 중 7점을 출품했다. 이 연작은 동일한 주제를 다른 시간과 날씨 속에서 그린 첫 시도로, 기차역의 분위기를 포착한 묘사가 비평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32] 그는 1882년 제7회 인상주의 전시회까지 참여했다.[33]
모네와 인상주의 동료들은 사실주의와 낭만주의의 어두운 색채를 거부하고, 장바티스트카미유 코로나 부댕처럼 밝은 색조를 사용하여 빛과 대기의 순간적인 효과를 포착하려 했다. 특히 1870년대 초 아르장퇴유에서 제작된 모네의 작품들은 인상주의 운동과 동료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많은 화가들이 그의 화풍에 매료되어 아르장퇴유로 이주하기도 했다.[10]
'''1858–1872년 주요 작품'''
2. 4. 인상파 전시회와 새로운 시작
1870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이 발발하자 모네는 징병을 피해 런던으로 건너갔다.[10] 런던에서 그는 피사로, 휘슬러와 교류했으며, 그의 경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화상 폴 뒤랑-뤼엘을 만났다.[8][10][20][21] 또한 존 컨스터블과 터너의 작품에 감탄했는데, 특히 터너가 템스 강의 안개를 묘사하며 빛을 다루는 방식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8][10][20][21] 이 시기 그는 템스 강, 하이드 파크, 그린 파크 등을 그렸다.[10] 1871년 봄, 그의 작품은 왕립 아카데미 전시회 출품이 거부되었고, 경찰로부터 혁명 활동가로 의심받기도 했다.[22][19] 같은 해 아버지의 부고를 접했다.[8]전쟁이 끝난 후 1871년, 모네 가족은 프랑스로 돌아와 파리 근교의 아르장퇴유에 정착했다.[17] 이곳에서 그는 센 강 주변 풍경을 주로 그렸으며, 강에서 그림을 그리기 위해 요트를 구입하기도 했다.[8] 1874년에는 아르장퇴유에 새로 지은 "녹색 셔터가 달린 장미색 집"을 6년 반 계약으로 임대했다.[17] 그는 이 집의 정원을 파노라마 시점으로 그린 그림 15점을 남겼는데, ''글라디올러스'' 같은 작품은 모네가 예술 활동을 위해 처음으로 정원을 가꾼 시기를 보여준다.[17] 이 집과 정원은 아르장퇴유 시절 후반기 그의 중요한 작품 소재가 되었다. 이 시기 모네는 화학자 미셸 외젠 슈브뢰의 색채 이론에도 관심을 보였다.[8]
그러나 이 기간 동안에도 모네와 카미유는 종종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1870년 여름에는 호텔비를 내지 못했고, 자금 부족으로 런던 외곽에 살았을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아버지의 유산과 그림 판매 수입 덕분에 1872년에는 하인 두 명과 정원사를 고용할 수 있었다.[9][23][24] 몇몇 해양화 전시가 성공하고 르아브르에서 은메달을 수상하기도 했지만, 여전히 채권자들에게 시달렸고 그의 그림이 압류되기도 했다. 다행히 부댕의 후원자이기도 했던 선박 상인 고디베르가 압류된 그림들을 사들였다.[25]
기존의 살롱 중심의 미술계에 불만을 품고 있던 모네는 르누아르, 피사로, 시슬레, 세잔, 드가, 모리조 등 동료 화가들과 함께 뒤랑-뤼엘의 지원 감소에 대응하여 독자적인 전시회를 열기로 했다. 모네는 이 전시회를 위한 '익명의 화가, 조각가, 판화가 협회(Société anonyme des artistes peintres, sculpteurs et graveurs)' 결성하여 전시했으며, 설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8][10] 협회의 이름은 특정 양식이나 운동과의 연관성을 피하고, 살롱으로부터의 독립과 지배적인 아카데미즘에 대한 거부라는 공통된 목표를 나타내기 위해 선택되었다.[8][27] 모네는 이 그룹 내에서 가장 뛰어난 풍경화가로 인정받았다.
1874년 4월, 파리에서 열린 첫 번째 전시회에 모네는 ''인상, 해돋이''(1872), ''점심 식사'', ''카푸신 거리'' 등을 출품했다.[28] 이 전시회는 비평가들로부터 혹평을 받았다. 특히 미술 평론가 루이 르로이는 모네의 ''인상, 해돋이''에 그려진 르아브르 항구의 희미한 묘사를 비꼬며 "인상주의"라는 용어를 만들어냈다. 이 용어는 처음에는 그림이 미완성이라는 조롱의 의미로 사용되었지만, 이후 이들 화가 그룹을 지칭하는 이름으로 굳어졌다.[10][27] 반면, 루이 에드몽 뒤랑티와 같은 진보적인 비평가들은 이들의 현대적인 삶의 묘사를 "회화의 혁명"이라 칭찬하기도 했다.[27] 첫 전시회에는 약 3,500명의 관람객이 방문했지만, 모네는 1,000 프랑으로 가격을 매긴 ''인상, 해돋이''를 팔지 못하는 등 상업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했다.[29][30][31] 이 전시회는 참가비 60프랑을 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었으며, 예술가들에게 심사 없이 자유롭게 작품을 선보일 기회를 제공했다.[29][30][31]
모네는 이후에도 인상파 전시회에 참여했다. 1876년 제2회 전시회에는 ''생트 아드레스 해변'' 등 18점의 작품을 출품했다.[15] 1877년 제3회 전시회에는 생 라자르 역 연작 12점 중 7점을 선보였는데, 이는 그가 동일한 장소를 다른 시간대에 반복해서 그리며 빛과 시간의 변화를 포착하려는 시도를 본격화한 첫 사례로 평가받는다.[32] 이 연작은 기차의 도착과 출발 순간을 잘 포착했다는 점에서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다.[32] 모네가 인상파 화가들과 함께 전시한 것은 1882년 제7회 전시회가 마지막이었으며, 이는 마지막 인상파 전시회가 열리기 4년 전이었다.[33]
모네는 르누아르, 피사로, 모리조, 세잔, 시슬리 등과 함께 현실을 묘사하는 새로운 방법을 실험했다. 이들은 낭만주의와 사실주의 그림의 어둡고 극적인 명암 대비를 거부하고, 코로나 부댕처럼 밝은 색조를 사용하여 빛의 효과를 표현하는 데 집중했다. 빛의 순간적인 효과를 포착하는 기법을 발전시키면서 모네는 점차 더 복잡한 주제에 도전하고 새로운 후원자와 수집가를 만나게 되었다. 1870년대 초 아르장퇴유에서 제작된 그의 작품들은 인상주의 운동과 동료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의 화풍에 매료된 많은 화가들이 아르장퇴유로 이주하기도 했다.[10]
2. 5. 베퇴유와 지베르니 시대

1876년, 카미유 모네는 심각한 병에 걸렸고,[41] 1878년 둘째 아들 미셸 모네가 태어났지만 카미유의 건강은 더욱 악화되었다.[41] 그 해 가을, 모네 가족은 부유한 백화점 주인이자 예술 후원자인 어니스트 오셰데의 가족과 함께 집을 공유하며 센 강변의 작은 마을 베퇴유(Vétheuil)로 이사했다.[264][265] 당시 오셰데는 파산하여 갈 곳이 없었고, 아내 Alice Hoschedé|알리스 오셰데프랑스어와 여섯 명의 아이들(마르트, 블랑슈, Suzanne Hoschedé|수잔 오셰데프랑스어, 제르맹 자매 4명, 자크, 장-피에르 형제 2명)과 함께 모네의 집에서 살게 되었다.[266] 오셰데는 모네에게 네 점의 그림을 의뢰하기도 했다.[8][10]
베퇴유 시대에 모네는 인상파 동료들과의 관계가 소원해졌다.[251] 그룹 내에서는 인상파전의 판매 부진 속에서 살롱에 출품할 것인지 여부가 심각한 갈등 요인이 되었다. 드가는 살롱 출품자의 그룹전 참가를 반대했지만, 르누아르는 1878년 살롱에 출품했고, 모네 역시 그룹전이 작품 판매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267] 1879년 4월 열린 '''제4회 인상파전'''은 드가를 중심으로 개최되었고, 모네는 처음에는 출품을 거절했으나 귀스타브 카유보트가 소장자들로부터 모네 작품 29점을 빌려 출품했다.[268] 모네는 출품 동의 이유를 "내키지는 않았지만, 배신자로 여겨지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269] 이 전시회는 처음으로 수익을 내어 참가자들에게 1인당 439프랑의 배당금이 지급되었다.[270]
경제적으로는 여전히 어려웠고, 아내 카미유와 아이들의 병까지 겹쳐 베퇴유의 대가족은 식량과 난방 부족에 시달렸다.[271] 1879년 9월 5일, 카미유는 자궁암 진단을 받은 끝에[42] 3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272][10] 모네는 이때 ''죽음의 침대에 누운 카미유''를 그렸다. 수년 후 친구 조르주 클레망소에게 당시 색채 분석의 필요성이 기쁨이자 고통이었다고 고백하며 "어느 날 제 사랑하는 아내의 죽은 얼굴을 보고 자동 반사처럼 체계적으로 색깔을 적고 있었습니다"라고 설명했다.[43] 존 버거는 이 작품을 "눈보라처럼 몰아치는 흰색, 회색, 자줏빛 그림... 그녀의 얼굴을 영원히 지워버릴 끔찍한 상실의 눈보라"라고 묘사했다.[44] 아내를 잃은 모네는 피사로에게 "당신은 다른 누구보다도 제 슬픔을 이해해 줄 것입니다. 완전히 낙담했고, 다시 살아갈 의욕도 없고, 두 아이와 어떻게 살아갈지 전혀 모르겠습니다."라고 쓰며 깊은 슬픔과 절망감을 토로했다.[251]
이후 에르네스트 오셰데는 파리로 일하러 갔지만, 알리스 오셰데는 베퇴유에 남아 모네의 두 아들 장과 미셸을 돌보았고, 모네와 알리스의 관계는 더욱 깊어졌다.[273]
1879년부터 1880년에 걸친 겨울은 유난히 추워 센강이 완전히 얼었다가 격렬하게 해빙되었다. 모네는 이 현상에 매료되어 시간과 각도에 따른 빛의 변화를 포착하는 데 몰두했다.[274] 그는 센 강 연구를 계속하며 어두운 색조를 사용하고 혹독한 날씨 속 환경을 묘사하는 등 인상파 기법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 이후 10년간 그는 자연의 근본적인 측면에 집중했다.[14]
'''1880년 살롱'''에는 10년 만에 출품했다. 경제적 궁핍 속에서 입선 시 화상 조르주 프티의 작품 구매를 기대한 점도 이유였다.[275] 제출한 두 점 중 비교적 전통적인 스타일의 ''라바쿠르''(Lavacourt)만 입선했지만, 불리한 위치에 전시되었다. 졸라는 "10년도 지나지 않아 그는 인정받고 보상받을 것이다"라고 평가하면서도 작품이 너무 빨리 그려졌다고 비판했다. 한편 모네는 제5회 인상파전 출품을 거부했고, 이로 인해 인상파 그룹의 해체는 결정적이 되었다.[276] 드가는 모네를 배신자로 비난했다.[277] 이 무렵 르누아르, 시슬레, 세잔 등도 살롱에 출품하며 인상주의에서 벗어나는 경향을 보였고, 인상파 그룹 자체의 스타일도 변화하고 있었다.[278]
1880년 6월, 『라 비 모델른』(La Vie Moderne)지 갤러리에서 모네의 첫 개인전이 열려 ''해빙'' 등 베퇴유 풍경화 17점이 전시되었고, 일부 작품이 판매되었다. 신문 평가는 호의적이었고, 폴 시냐크 등 젊은 화가들에게 모네는 영웅적인 존재가 되어갔다.[280]
프랑스 경기 회복으로 화상 폴 뒤랑-뤼엘의 재정 상황이 나아지면서,[281] 1881년 초 모네와 정기적인 작품 구매 계약을 맺었다. 이로써 모네의 경제적 기반이 안정되었고, 그는 같은 해 4월의 제6회 인상파전[282]이나 살롱에 출품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게 되었다.[283] 알리스의 셋째 딸 수잔 오셰데는 카미유 이후 모네의 "가장 좋아하는 모델"이 되었다.
1881년 12월, 뒤랑-뤼엘의 지원을 받아 푸아시(Poissy)로 이사했다.[288] 임대 계약 만료와 더불어, 알리스와의 관계가 베퇴유 주민들의 눈총을 산 것도 이주 이유 중 하나였다. 알리스와 아이들은 에르네스트 오셰데의 파리 복귀 요구에도 불구하고 푸아시로 함께 이사했다.[289]
모네는 푸아시를 싫어하여 자주 "이 땅은 나와 전혀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대신 1882년 2월부터 노르망디 지방으로 제작 여행을 떠나 디에프의 절벽과 바랑주빌쉬르메르 근처 오토쉬르메르의 절벽을 그렸다.[290]
1882년 3월의 제7회 인상파전은 내부 갈등 끝에 뒤랑-뤼엘의 중재로 모네를 포함한 9명의 참가로 개최되었다.[291][292] 모네는 처음에는 출품을 거부했으나, 은행 파산으로 타격을 입은 뒤랑-뤼엘을 지원하기 위해 해양화, 풍경화, 정물화 등 35점을 출품했다.[293] 그러나 전시 기간 중 전시장을 찾지 않았다.[294] 신문의 비판은 여전했지만, 해양 풍경화는 호평을 받았다.[295]
1883년 1월부터 다시 푸아시를 떠나 노르망디로 여행하며 에트르타의 절벽을 그렸다.[296] 이 해부터 1886년까지 정기적으로 에트르타 해안을 방문하여 절벽과 기암괴석을 그렸는데,[297] 야외 스케치를 바탕으로 아틀리에에서 완성하는 기법을 사용했다.[298]
1883년 3월, 뒤랑-뤼엘이 마들렌 대로에 새로 연 화랑에서 모네 작품 56점의 개인전이 열렸으나 반응은 미미했고, 모네는 뒤랑-뤼엘의 준비 부족을 비난했다.[299][300]
1883년 4월, 베르농과 가스니 사이를 지나는 기차 창밖을 보다가 노르망디의 지베르니(Giverny)를 발견했다.[45] 모네와 그의 대가족(알리스 오셰데와 여덟 명의 아이들)은 지베르니의 집과 정원을 임대하여 이전에는 누리지 못했던 가정의 안정을 찾았다.[10] 집은 주요 도로 근처에 있었고, 헛간(화실로 사용), 과수원, 작은 정원이 딸려 있었다. 학교와 가까워 아이들이 통학하기 좋았고, 주변 풍경은 모네에게 풍부한 그림 소재를 제공했다.[47][48][49] 같은 해 그의 첫 주요 회고전이 열렸다.
가족들은 함께 정원을 가꾸었고, 뒤랑-뤼엘의 성공적인 그림 판매 덕분에 모네의 재정 상황도 점차 나아졌다.[50] 모네는 1884년 보르디게라 여행에서 50점의 풍경화를 가지고 돌아오는 등[8] 번영하는 여행 후 채권자와의 싸움도 끝났다. 그는 1886년 튤립을 그리기 위해 네덜란드를 여행했고, 곧 자신에 대한 기사를 발표할 귀스타브 제프루아를 만나 친구가 되었다.[8] 그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의 그림 판매는 그의 재정적 안정에 크게 기여했다.[10] 그는 혼자 작업하는 것을 선호했으며, "붐비는 관광지와 세련된 도시 환경에서 멀리 떨어진 고독을 갈망했다".[54]
1890년, 모네는 지베르니의 집을 완전히 매입했다. 40년 동안 이 정원은 모네에게 가장 큰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51] 그는 정원사에게 매일 지시를 내리고, 식물 배치를 직접 설계했으며, 꽃 구매와 식물학 서적 수집에 몰두했다. 재산이 늘면서 정원도 확장되었고, 7명의 정원사를 고용한 후에도 그는 계속 정원의 설계자 역할을 했다.[52] 그는 습지가 있는 추가 토지를 매입하여[8] 수련 연못을 만들고 확장했다(1901년, 1910년). 프랑스 토종 흰 수련과 남아메리카, 이집트에서 수입한 다양한 색상의 수련(노랑, 파랑, 흰색 등)을 심었다.[53] 연못 주변에는 다양한 시점에서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이젤이 설치되었다.[10] 1890년대에는 온실과 채광창이 잘 설치된 넓은 두 번째 화실을 지었다.

인상주의의 한계에 불만을 느낀 모네는 1880년대 후반부터 단일 주제를 다양한 빛과 날씨, 계절 아래에서 그리는 "연작" 작업에 몰두했다.[14] 이는 가쓰시카 호쿠사이의 『후가쿠 36경』이나 우타가와 히로시게의 『메이쇼 에도 100경』 같은 우키요에 판화의 영향도 받은 것으로 보인다.[347]
1890년 후반부터 1891년에 걸쳐 자택 주변의 '''『건초더미』''' 연작 25점을 제작했다.[349][350] 그는 친구 제프루아에게 "그릴수록 제가 원하는 것——'순간성', 특히 사물을 둘러싼 대기와, 곳곳에 빛나는 균일한 빛——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더욱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라고 썼다.[351] 이 연작은 1891년 뒤랑-뤼엘 화랑에서 15점이 전시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고, 비평적, 재정적으로도 성공했다.[354] 피사로는 모네의 연작이 상업적이라 비판하면서도 "모두 모네의 작품만 원한다... 그가 그린 것은 모두 4,000프랑에서 6,000프랑에 미국으로 팔려간다"고 언급했다.[352]
1891년 봄부터 가을까지는 에프트강변의 '''『포플러』''' 연작 23점을 제작했다.[360] 이 역시 1892년 전시되어 성공을 거두었다.[362]
1891년 알리스의 남편 에르네스트 오셰데가 사망하자, 1892년 7월 16일 모네는 알리스와 정식으로 결혼했다.[363]
1892년과 1893년에는 루앙 대성당을 방문하여 서쪽 정면을 다양한 빛 아래에서 그린 '''『루앙 대성당』''' 연작 30점을 제작했다.[367] 그는 알리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작업의 어려움을 토로하며 "매일, 아직 볼 수 없었던 무언가를 발견하고, 더하고 있다... 어느 날 밤, 악몽을 꾸었다. 대성당이 내 위로 무너져 내렸다. 푸른색이나 장미색이나 노란색의 돌이 떨어지는 것이 보였다."라고 썼다.[368] 1895년 뒤랑-뤼엘 화랑에서 『대성당』 20점이 전시되어 큰 주목을 받았다.[368]
1895년 초에는 노르웨이를 방문하여 오슬로 근교 산드비카 마을에서 콜사스 산 등의 눈 덮인 풍경화를 제작했고,[369] 1896년과 1897년 겨울에는 푸르빌과 바랑주빌을 다시 찾아 절벽 위 작은 집 연작을 그렸다.[371] 지베르니에서는 새벽녘 센 강 지류의 아침 안개를 포착한 '''"센 강의 아침"''' 연작을 제작하여 1898년 조르주 프티 화랑 개인전에서 성공적으로 선보였다.[373] 1897년에는 장남 장과 알리스의 딸 블랑슈가 결혼했다.[372]
이 시기 모네의 명성은 확립되었지만, 아카데미즘 미술계의 적대감은 여전했다. 1894년 사망한 귀스타브 카유보트가 인상파 작품 컬렉션을 국가에 유증했을 때 논란이 있었으나, 1896년 모네 작품 8점을 포함한 일부가 국립 뤽상부르 미술관에 소장되면서 공적인 인정을 받기 시작했다.[376]

1899년, 그는 수련을 그리기 시작했는데, 이는 그의 남은 생애 20년 동안 그를 사로잡았고, 그의 마지막이자 "가장 야심찬" 그림 연작이 되었다.[17][55] 주로 일본식 다리를 묘사한 첫 번째 수련 연작은 1900년에 전시되었다.[10]
1899년부터 1901년 사이에는 런던을 다시 방문하여 사보이 호텔에 머물면서 템스강 연작(워털루 다리 41점, 채링크로스 다리 34점, 국회의사당 19점)을 제작했다.[56] 모네의 마지막 해외 여행은 1908년 알리스와 함께한 베네치아 여행이었다.[10]
수련 연작은 계속 발전하여, 빛과 수면의 반사를 탐구하는 중요한 주제가 되었다.[57] 1910년대 중반까지 모네는 "수련 연못이 거의 추상적인 예술의 출발점이 된 완전히 새롭고, 유동적이며, 다소 대담한 화풍"을 달성했다.[58] 1909년 열린 그의 첫 번째 ''수련'' 연작 전시회("수련, 수채화 연작")는 42점의 캔버스로 구성된 "
2. 6. 연작과 말년
1883년 4월, 베르농과 가스니 사이의 기차 창밖을 내다보던 중 노르망디의 지베르니를 발견했다.[45] 같은 해 그의 첫 번째 주요 회고전이 열렸다. 1883년, 모네와 그의 가족은 지베르니에 있는 집과 정원을 임대했는데, 이는 그가 이전까지 누리지 못했던 가정의 안정을 제공해 주었다.[10] 집은 지베르니의 베르농과 가스니 마을을 잇는 주요 도로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 화실로 쓰이던 헛간, 과수원, 그리고 작은 정원이 있었다. 집은 아이들이 다닐 수 있을 만큼 지역 학교와 가까웠고, 주변 풍경은 모네가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수많은 자연 지역을 제공했다.[47][48][49]가족들은 함께 정원을 가꾸고 만들었고, 폴 뒤랑뤼엘이 그의 그림을 성공적으로 판매하면서 모네의 재정 상황도 나아지기 시작했다.[50] 정원은 40년 동안 모네에게 가장 큰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51] 1890년, 모네는 그 집을 매입했다. 1890년대에 모네는 온실과 두 번째 화실을 지었는데, 이는 채광창이 잘 설치된 넓은 건물이었다.
모네는 정원사에게 매일 지시를 내렸고, 식물 심기의 정확한 설계와 배치도, 꽃 구입과 식물학 서적 수집에 대한 청구서를 작성했다. 모네의 재산이 불어남에 따라 그의 정원도 발전했다. 그는 정원사 일곱 명을 고용한 후에도 계속해서 정원의 설계자 역할을 했다.[52] 모네는 습지가 있는 추가 토지를 매입했다.[8] 1893년에 옆 부지를 매입하여 엡트강의 물을 끌어들여 수련이 피는 연못을 만들고, "물의 정원"이라 불리는 일본식 다리가 있는 정원을 만들기 시작했다.[380] 프랑스 토종의 흰 수련과 남아메리카와 이집트에서 수입한 재배 품종이 심어졌고, 노란색, 파란색, 흰색 수련을 포함한 다양한 색상의 수련이 나이가 들면서 분홍색으로 변했다.[53] 1901년과 1910년에는 연못을 확장했으며, 1902년에는 수련 정원의 크기를 약 4000m2 늘렸다. 다양한 시각을 포착할 수 있도록 연못 주변에 이젤이 설치되었다.[10]
인상주의의 한계에 불만을 느낀 모네는 건초더미, 포플러, 루앙 대성당 등 단일 주제를 다른 시간과 날씨에 따라 그리는 일련의 그림 작업을 시작했다.[14] 이러한 연작들은 널리 비평적, 재정적 성공을 거두었고, 1898년에는 쁘띠 갤러리(Petit Gallery)에서 61점의 그림이 전시되었다. 그는 또한 센 강의 새벽 시간을 묘사한 "센 강의 아침" 연작을 시작했다.[10] 1887년과 1889년에 그는 벨 Île의 그림 연작을 전시하여 비평가들로부터 극찬을 받았다.[54] 모네는 "학문적인 공식을 뛰어넘는 새로운 미적 언어, 자연에 충실하면서도 다른 누구와도 다르게 그 자신만의 독특한 언어"를 찾기를 희망하며 그 장소를 선택했다.[54]
1898년경부터 모네는 지베르니 정원의 수련 연못을 집중적으로 그리기 시작했다.[381] 이는 그의 남은 생애 20년 동안 몰두하게 된 마지막이자 가장 야심찬 그림 연작이 되었다.[17][55] 1900년까지의 '''『수련』 제1연작'''에서는 일본식 다리를 중심으로 수련 연못과 주변 풍경이 빛의 변화에 따라 그려졌다.[382] 그는 이 첫 번째 연작을 1900년 뒤랑뤼엘 화랑에서 열린 전시회에서 선보였고, 이듬해 뉴욕 전시에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10][21]
1899년부터 1901년 사이 여러 차례 '''런던'''을 방문하여 템스강의 안개 효과를 담은 연작에 몰두했다. 사보이 호텔과 세인트 토마스 병원에서 바라본 풍경을 바탕으로 워털루 다리 41점, 차링크로스 다리 34점, 국회의사당(웨스트민스터 궁전) 19점 등을 제작했다.[56][386] 이 런던 연작은 1904년 뒤랑뤼엘 화랑에서 전시되었으나, 인상주의의 정점으로 평가받는 동시에 새로운 미술 사조에 익숙한 젊은 세대로부터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387]
1901년 연못 확장 후, 모네는 '''『수련』 제2연작'''(1900년대 후반까지)에 착수했다. 이 연작에서는 제1연작의 다리가 사라지고 연못 수면 자체가 중심 주제가 되었다. 초기에는 수련 꽃과 잎이 주를 이루었으나, 점차 수면에 비친 하늘과 버드나무 그림자 등 빛과 반사의 효과가 강조되었다.[392][57] 1905년경부터는 수면의 경계를 없애고 시점을 바꾸거나 캔버스 형태(정사각형, 원형)를 다양화하는 등 미학적 변화를 시도했다.[21] 1910년대 중반에는 수련 연못을 거의 추상에 가까운 표현의 출발점으로 삼는 새롭고 대담한 화풍을 선보였다.[58]
이 시기 모네는 완벽한 인상을 포착하기 위해 오랜 시간 그림을 수정했으며, 만족스럽지 않으면 작품을 파괴하기도 했다. 여러 차례 연기 끝에 1909년 5월, "수련, 수면의 풍경 연작"이라는 제목으로 48점의 그림을 전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21] 이는 당시까지 그의 가장 크고 통일된 연작으로 평가받았다.[10] 클로드 로제-마르크스는 이 전시를 두고 모네가 "현실과 결합된 궁극적인 추상과 상상의 경지에 도달했다"고 평했다. 모네는 평생 250점이 넘는 ''수련'' 그림을 남겼다.[33]
1908년 10월부터 12월까지 아내 알리스와 함께 생애 마지막 대규모 여행인 베네치아를 방문했다.[10][400] 여기서 그린 대운하, 산 조르조 마조레 성당, 궁전 등을 담은 『베네치아의 전망』 29점은 1912년 전시되어 폴 시냐크로부터 모네 예술의 정점이라는 찬사를 받았다.[401]
1909년 개인전 이후 모네는 '수련' 연작으로 한 방 전체를 장식하는 대형 프로젝트를 구상했으나, 노화로 인한 시력 저하와 개인적인 비극에 직면했다.[406] 1911년 아내 알리스가, 1914년 장남 장이 세상을 떠났다.[59][407] 인상파 동료들도 하나둘씩 곁을 떠났다.[408] 깊은 슬픔과 절망 속에서 모네는 물감 색깔조차 구분하기 어려워졌고, 이 시기(1909-1914)의 그림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409] 알리스의 딸이자 며느리였던 블랑슈가 모네를 돌보며 정신적으로 지지했다.[10][60][411] 이 무렵 모네는 백내장 초기 진단을 받았다.[60] 1913년 런던에서 안과 의사 리하르트 리브라이히를 만났지만, 동료 화가들의 실패 사례를 보고 수술을 거부했다.[61]
1914년, 친구 조르주 클레망소의 격려로 대형 작품 제작을 위한 새로운 아틀리에를 짓고 다시 붓을 들었다.[10][413] 제1차 세계 대전 중(1916-1921년경)에는 아틀리에에서 높이 2m, 너비 4.3m의 거대한 캔버스를 이어 붙여 '''『수련』 대형 장식화''' 제작에 몰두했다.[417][10] 또한 전쟁 중 프랑스 전사자들을 기리기 위해 수양버들 연작을 그렸다.[63]
전쟁이 끝난 1918년, 당시 총리였던 클레망소에게 승전 기념으로 대형 장식화를 국가에 기증하겠다고 약속했다.[376] 초기 계획은 수정되었으나, 클레망소의 설득으로 1921년 오랑주리 미술관의 두 개 홀에 작품을 설치하기로 최종 합의했다.[418] 1922년 4월, 19개의 패널(8점의 작품)을 2년 내에 납품하는 조건으로 기증 계약이 체결되었다.[419]
하지만 백내장이 악화되면서 색채 인식이 저하되고 붓놀림은 거칠어졌으며 그림은 점점 어두워졌다. 그는 물감 튜브에 라벨을 붙이고 팔레트를 엄격하게 관리하며 작업했다.[61] 기억과 상상에 의존하여 "큰 덩어리의 모티프"를 그리는 방식으로 작업 방식을 바꾸었다. 클레망소의 거듭된 권유와 약물 치료의 일시적 효과 끝에, 1923년 마침내 오른쪽 눈 백내장 수술을 받았다.[61][420] 수술 후 청색시와 무수정체 안경 착용으로 고통을 겪었지만, "실제 색깔을 볼 수 있게 되자" 수술 전 그림들을 일부 파괴하기도 했다.[61] 특수 제작된 칼 자이스 렌즈 안경을 착용한 후 시력이 호전되자, 1925년부터는 이전보다 푸른색이 두드러진 수련을 그리며 일부 작품을 수정했다.[62][61]
모네는 약속된 기증 기한을 넘기면서까지 남은 생애를 『수련』 대형 장식화 제작에 헌신했다.[413] 1924년에는 생전 최대 규모의 회고전이 열렸다.[421] 1926년 여름 말 폐섬유증으로 병석에 누운 모네는[422] 12월 5일, 아들 미셸, 블랑슈, 클레망소가 지켜보는 가운데 8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421][423] 『수련』 대형 장식화는 튀일리 정원 내 오랑주리 미술관에 설치되어 1927년 5월 17일 제막식을 가졌다.[424] 모네의 구상대로 타원형의 두 방에 각각 4점의 대형 작품이 전시되었다.[413]
모네 말년에는 포비즘, 큐비즘 등 새로운 예술 사조가 등장하여 『수련』은 당대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1950년대 추상표현주의 화가와 비평가들이 모네의 작품을 재조명하면서 그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했다.[425] 앙드레 마송은 『수련』 대형 장식화를 "인상주의의 시스티나 성당"이라 칭하며 높이 평가했다.[426]
3. 주요 작품
4. 화풍
클로드 모네는 인상주의의 핵심적인 창시자이자 가장 중요한 화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64] 그의 화풍은 19세기 중반 프랑스 화단을 지배하던 아카데미즘 회화의 엄격한 규칙과 전통적인 주제에서 벗어나, 자연을 직접 관찰하고 빛과 색채의 순간적인 인상을 포착하려는 새로운 시도에서 출발했다.
당시 아카데미즘은 고대 그리스 미술을 이상으로 삼아 명확한 윤곽선과 정교한 명암 표현, 역사나 신화와 같은 고귀한 주제를 중시했다.[434][435] 그러나 외젠 들라크루아의 풍부한 색채 표현, 바르비종파(장-바티스트 카미유 코로, 샤를-프랑수아 도비니 등)의 자연 관찰, 귀스타브 쿠르베의 사실주의와 반항 정신, 에두아르 마네의 현대적인 주제 의식 등은 아카데미즘에 대한 반발을 형성하며 새로운 예술의 등장을 예고했다.[436][439][441][442] 모네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자신만의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해 나갔다.
모네의 화풍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빛과 색채에 대한 탐구이다. 그는 사물이 가진 고유한 색보다는 빛의 조건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색채, 즉 눈에 보이는 그대로의 '인상'을 캔버스에 담고자 했다.[14][70] 이를 위해 그는 외젠 부댕과 요한 바르톨트 용킨트의 영향을 받아 야외에서 직접 그림을 그리는 옥외 제작(프랑스어:en plein air) 방식을 적극적으로 채택했다.[118][126] 1840년대 발명된 튜브 물감은 이러한 야외 제작을 가능하게 한 중요한 기술적 배경이 되었다.[446][447] 모네는 스스로 "자연 앞에서 직접 그림을 그려 가장 덧없는 효과에 대한 나의 인상을 표현하려고 노력한 데 공로가 있다"고 말했으며,[70] "공기를 그리고 싶다"고 할 정도로 빛과 대기의 효과에 매료되었다.[66] 그는 빛이 사물을 감싸고 있는 대기의 층, 즉 '봉투'(enveloppe프랑스어)에 관심을 가졌고, 이를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다.[56]
순간적인 빛의 효과를 포착하기 위해 모네는 빠르고 짧은 붓터치를 사용했으며, 팔레트에서 물감을 섞기보다 캔버스 위에서 색점을 병치하여 보는 이의 눈에서 색이 혼합되도록 하는 색채 분할 기법을 발전시켰다. 이는 그림에 생생한 활기와 밝은 색채를 부여했지만, 당시 아카데미즘 기준으로는 미완성처럼 보여 비판받기도 했다. (자세한 내용은 #붓터치와 색채 분할 참고)
모네는 주로 풍경화를 그렸으며, 특히 파리 근교의 센 강변 풍경이나 노르망디 해안, 자신의 정원 등 자연 풍경을 즐겨 다루었다.[17] 초기에는 철도나 공장 등 산업화된 근대적 요소들을 풍경 속에 포함시키기도 했으나,[15][27] 점차 순수한 자연 풍경, 특히 빛과 대기의 변화를 탐구하는 데 집중했다.[33] 인물과 풍경을 함께 그릴 때는 인물이 풍경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도록 하여 풍경 자체가 주된 요소가 되도록 구성했다.
1880년대 이후 모네는 동일한 주제를 다양한 시간대와 날씨, 계절에 따라 반복해서 그리는 연작 제작에 몰두했다. 《건초더미》, 《포플러》, 《루앙 대성당》, 《수련》 등의 연작을 통해 빛과 대기의 미묘한 변화를 집요하게 탐구했으며, 점차 대상의 구체적인 형태보다는 색채와 빛 자체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세한 내용은 #연작 참고)
모네의 화풍에는 자포니즘의 영향도 나타난다. 그는 우키요에 판화를 다수 수집했으며,[481] 《라 자포네즈》와 같이 직접적으로 일본적인 요소를 그린 작품도 있지만, 보다 중요한 영향은 구성과 공간 표현 방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우키요에 특유의 대담한 구도, 비대칭적 배치, 평면적인 색채 표현, 높은 시점 등은 모네가 전통적인 서양 원근법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적 표현을 모색하는 데 영감을 주었다.[484][486][487] 특히 후기 《수련》 연작의 장식적인 화면 구성과 자연과의 일체감을 추구하는 방식은 일본 미술과의 유사성을 보여준다.[489]
말년에 백내장으로 시력이 악화되면서 그의 화풍은 더욱 대담하고 추상적인 경향을 띠게 되었다.[61] 형태는 더욱 해체되고 색채는 강렬해졌으며, 붓터치는 더욱 자유로워졌다. 이는 병으로 인한 불가피한 변화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모네 예술의 자연스러운 발전 과정으로 해석되기도 한다.[70] 결과적으로 모네의 후기 작품, 특히 《수련》 대장식화는 20세기 추상 미술의 등장을 예고하는 선구적인 작업으로 평가받는다.[14]
4. 1. 붓터치와 색채 분할
모네는 자연 속에서 구름이 태양을 가리거나 바람이 수면을 흔들 때마다 사물(모티프)의 보이는 모습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에 주목했다. 이러한 순간적인 인상을 포착하기 위해, 그는 이전 화가들처럼 물감을 팔레트에서 섞어 조합하거나 갈색 바탕 위에 여러 겹으로 덧칠할 여유 없이, 빠른 붓놀림으로 물감을 직접 캔버스에 찍어 나가는 방식을 택했다. 세부 묘사보다는 전체적인 효과에 집중했으며[454], 젖은 물감 위에 마르지 않은 물감을 덧칠하는 기법(웻 온 웻)을 사용했다. 이 과정에서 붓 끝의 물감이 섞이면서 생생한 붓놀림(터치)이 그대로 남아 제작 과정의 생동감과 신선함을 전달했다[455]. 즉, 그림 표면(마티에르) 자체가 화가의 손동작을 보여주는 것이었다[456]. 그러나 정교한 구도, 사실적인 데생, 매끄러운 마무리를 중시하던 아카데미즘 회화의 관점에서는 이러한 방식이 서투르고 미완성된 것으로 여겨져 조롱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457].물감을 팔레트에서 섞지 않는 것은 색의 명도를 떨어뜨리지 않기 위해서도 중요했다. 여러 물감을 섞으면 색이 탁해지고 명도가 낮아져 야외의 밝은 빛을 제대로 표현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대신 모네는 가능한 한 원색 물감을 섞지 않고 제한된 색상들을 섬세한 붓놀림으로 캔버스 위에 나란히 배치했다. 이렇게 하면 보는 사람의 눈(시각) 속에서 색이 혼합되어(시각 혼합) 명도 저하 없이 밝고 생생한 색채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색채 분할 기법은 모네가 르누아르와 함께 『라 그르누이에르』를 그린 무렵부터 확립된 것으로 보인다[458]. 이후 신인상주의 화가들이 이 기법을 과학 이론에 기반하여 체계화했지만, 모네를 비롯한 인상파 화가들은 자신의 감각에 의존하여 이를 사용했다[459]. 그 결과 인상파의 화면은 바르비종파, 쿠르베, 마네 등 선배 화가들의 작품보다 훨씬 밝고 찬란해졌다[460]. 동시에 사물의 윤곽선은 과감하게 흐릿해졌다. 그림을 가까이서 보면 무질서해 보이는 붓 자국만 보이지만, 몇 걸음 떨어져서 보면 갑자기 전체 화면이 생생하게 살아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주었는데, 이는 인상파 화가들이 발견한 새로운 시각적 경험이었다[461].
당시 비평가 루이 르루아는 이러한 기법을 이해하지 못하고 모네의 『카퓌신 거리』에 그려진 검은 점 같은 군중을 보고 "화면 아래쪽의 마치 검은 핥기 자국 같은 저 수많은 것은 대체 무엇인가"라고 조롱했다. 반면, 에르네스트 셰노(fr)는 "먼지와 빛 속에서 꿈틀거리는 수많은 군중의 움직임, 도로 위의 마차와 사람들의 혼잡함, 거리 나무들의 흔들림, 즉 포착하기 어렵고 순간적인 것, 바로 운동의 순간 그 자체가 덧없는 모습 그대로 그려졌다"라고 평하며 모네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했다[456]. 이러한 새로운 시각적 표현 앞에서 장엄한 주제, 균형 잡힌 구도, 정확한 데생과 같은 전통적인 회화 개념은 더 이상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462].
4. 2. 연작
모네는 자연 속 사물과 인물이 빛의 작용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같은 주제를 다른 빛과 시간, 날씨, 계절 아래에서 반복적으로 그리는 '연작' 기법을 발전시켰다. 이러한 시도는 1877년 생 라자르 역 근처에 방을 빌려 역을 주제로 서로 다른 시점과 시간대에 그린 12점의 그림에서 시작되었다.[243] 이는 증기와 연기가 빛과 색채, 시야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 것으로, 이후 안개나 비가 풍경에 주는 효과를 그리는 연구로 이어졌다.[68]1880년대부터 본격화된 연작 제작은 1926년 모네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계속되었다. 모네는 빛과 대기의 끊임없는 변화를 포착하기 위해 여러 개의 캔버스를 동시에 펼쳐놓고 작업했다. 빛이나 날씨가 바뀔 때마다 해당하는 캔버스로 옮겨가며 그렸는데, 때로는 한 번에 최대 8개의 캔버스에서 작업하며 각 캔버스에는 약 1시간 정도를 할애했다고 전해진다.[10] 예를 들어, 지베르니 시절 《건초더미》(Les Meules)를 그릴 당시, 30분 만에 빛이 미묘하게 변하여 건초더미의 색이 달라지는 것을 보고 이를 다른 캔버스에 그리면서 다수의 연작이 탄생하게 되었다.[464]
모네의 첫 연작 전시는 1891년 폴 뒤랑 뤼엘의 화랑에서 열렸으며, 다양한 시점과 시간대에 그린 《건초더미》 15점을 선보였다. 이후 1892년에는 《포플러》 연작을, 1895년에는 《루앙 대성당》 연작 중 20점을 전시했다.[10][65] 특히 《루앙 대성당》 연작은 총 26개의 작품으로 구성되었으며,[65] 중세 건물의 육중함보다는 시시각각 변하는 빛과 그림자가 성당 정면의 석조 표면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71] 이 연작을 위해 모네는 직접 액자를 디자인하기도 했다.
1883년부터 1908년 사이 모네는 지중해 지역을 여행하며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풍경을 포함한 여러 연작을 제작했다. 런던에서는 《런던 의회 의사당》, 《체링 크로스 다리》, 《워털루 다리》, 《웨스트민스터 다리 전망》 등 네 가지 연작을 그렸다. 미술사가 헬렌 가드너는 "모네는 과학적인 정밀성으로 동일한 형태 위를 지나가는 빛의 움직임에서 볼 수 있는 시간의 흐름에 대한 독보적이고 탁월한 기록을 우리에게 남겼다"고 평가했다.[72]
연작 시대를 거치면서 모네의 그림에서는 빛을 받은 대상 자체보다 빛 그 자체가 주인공이 되는 경향을 보였다.[470] 《루앙 대성당》이나 《런던》 연작에서는 건물의 단단한 형태나 질감이 빛과 색채 속에 녹아드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465] 이러한 경향은 명확한 형태 묘사가 중요한 인물화를 점차 그리지 않게 된 것과도 관련이 있다.[466] 일부에서는 이를 사실주의적 묘사에서 벗어나 주관적인 감각과 기억을 중시하는 상징주의나 아르누보와 같은 동시대 예술 사조와의 연관성을 찾기도 한다.[467]
모네의 마지막이자 가장 유명한 연작은 지베르니 자택의 정원을 그린 《수련》(Nymphéas)이다. 1893년 집 옆 부지를 사들여 일본식 다리가 있는 "물의 정원"을 조성하기 시작했고,[380] 1898년경부터 본격적으로 수련 연못을 그리기 시작했다.[381] 1900년까지 제작된 제1연작은 주로 일본식 다리를 중심으로 연못과 주변 풍경을 담았으며, 1900년 11월 뒤랑-뤼엘 화랑에서 10여 점이 전시되었다.[382][21] 1901년에는 연못을 확장했고,[74] 이후 자연과 스튜디오를 오가며 작업했다.
1900년대 후반에 제작된 제2연작에서는 점차 다리와 같은 구체적인 대상보다는 수련 자체와 수면에 비친 하늘, 나무 그림자 등 물과 빛의 상호작용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인다.[392] 모네는 캔버스의 형태도 직사각형 외에 정사각형, 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시도하며 미학적 변화를 추구했다.[21] 그는 완벽한 인상을 표현하기 위해 오랜 시간 그림을 수정했으며, 만족스럽지 않으면 작품을 파괴하기도 했다. 여러 차례 연기 끝에 1909년 5월, 뒤랑-뤼엘 화랑에서 "수련, 수면의 풍경 연작"이라는 제목으로 1903년부터 1908년까지 제작된 48점의 그림을 전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21][397] 당시 비평가들은 이 연작을 하나의 장식으로 보존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으나, 결국 여러 수집가에게 판매되어 상당수가 미국으로 건너갔다.[399] 말년에 시력 저하와 싸우면서도 모네는 친구 조르주 클레망소의 격려 속에 파리 오랑주리 미술관에 설치될 《수련》 대장식화 제작에 몰두했다.
5. 평가와 영향
모네는 인상파를 대표하는 화가로 여겨진다. 모네 자신은 “나는 항상 이론을 혐오해왔다. 내가 해온 일이라면, 바로 자연 앞에서, 매우 사라지기 쉬운 효과에 대한 나의 인상을 정확하게 표현하려고 노력하며 계속 그린 것뿐이다”라고 말했듯이, 인상파 그룹의 이론이나 체계를 세운 것은 아니지만, 예민한 관찰력과 감수성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풍경에 대한 인상을 포착하고 표현하려고 한 그의 작품은 인상파의 미학을 구현하는 것이 되었다.[491] 동시대 화가 베르트 모리조는 모네의 작품에 대해 “그의 그림을 보면, 양산을 어느 쪽으로 향해야 할지 바로 알 수 있다”고 말했으며,[475] 폴 세잔은 말년에 “모네는 하나의 눈이다.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이래로 비범한 눈이다. 나는 그에게 탈모를 한다”고 말하며 모네에 대한 존경을 표했다.[492]
인상파 그림은 당초 아카데미즘 회화의 이상과는 거리가 멀다는 이유로 조롱과 혹평을 받았지만, 점차 인정받기 시작했다. 모네는 르누아르와 함께 장수하여 그 성공을 충분히 누릴 수 있었다. 인상파 그림은 가격이 폭등하여 각국의 미술관과 수집가들이 앞다투어 원하는 대상이 되었다. 이는 기존 미술 비평의 권위를 약화시키고, 인상파 이후의 화가들에게 세상의 평가에 연연하지 않고 혁신적인 방법을 추구할 용기를 주었다.[462]
르네상스 미술 이래 서양 회화의 전통은 3차원 공간의 주제와 이야기를 화면에 구축하는 것이었으나, 마네와 인상파의 작품에서는 2차원 화면의 색채와 붓터치 같은 조형적 요소 자체가 묘사된 대상을 넘어 자율적이고 표현적인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경향은 형식주의 또는 모더니즘이라고 불린다.[495] 모네의 인상주의 작품에서는 무심하게 놓인 듯한 붓터치가 빛의 반사와 물결의 흔들림을 생생하게 전달하는 표현성을 획득했다.[496] 특히 연작 시기에는 형태를 해체하고 빛의 관찰을 추구하며 색채의 자율성과 표현성을 심화시켰는데, 이는 사실주의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469] 이러한 형식주의의 발전은 바실리 칸딘스키 등이 개척한 추상회화로 이어졌다.[497] 1895년 모스크바에서 모네의 《건초더미》를 본 칸딘스키는 "그리는 행위는 눈부신 힘과 훌륭함을 가진 것으로 여겨지는 한편, 무의식적으로 회화에 있어 대상이 필수적인 요소라고는 믿을 수 없게 되었다"고 회고하며 큰 충격을 받았음을 밝혔다.[498]
모네의 말년 작품, 특히 지베르니에서 백내장의 영향 아래 제작된 그림들은 인상주의와 20세기 미술, 그리고 현대 추상 미술 사이의 연결고리로 평가받는다.[61] 그의 후기 작품들은 객관적 추상에 "주요한" 영감을 주었다.[79] 1950년대에 이르러 잭슨 폴록 등 추상표현주의 화가들과 비평가들이 모네의 후기 작품을 재발견하면서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425][14] 이들은 모네의 작품에서 형식주의적 공통점을 발견했으며,[499] 앙드레 마송은 모네의 오랑주리 대장식화를 "인상주의의 시스티나 성당"이라 칭하며 높이 평가했다.[426] 엘스워스 켈리는 지베르니에서의 경험 이후 'Tableau Vert'(1952)를 통해 모네의 작품에 경의를 표했다. 샘 프랜시스(Sam Francis) 역시 모네의 《수련》에 영향을 받았음을 인정했다. 팝 아트 작가인 앤디 워홀(Andy Warhol)은 오랑주리 미술관에 감명을 받아 파리 개인전을 꽃 그림으로 장식했으며, 로이 리히텐슈타인(Roy Lichtenstein)은 《루앙 대성당》 연작 등을 인용한 시리즈를 제작하기도 했다.[494]
모네는 전통과 모더니즘 사이의 "중개자"로 불리며, 그의 작품은 포스트모더니즘과 관련하여 연구되기도 한다. 그는 바지유, 시슬레, 르누아르, 피사로 등 동시대 인상파 화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현재 가장 유명한 인상주의 화가 중 한 명으로, 그의 예술적 성과는 "19세기 후반 미술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는다.[80] 미술사가 와일덴슈타인은 모네의 작품 세계에 대해 "그 야심과 다양성이 그 중요성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도전할 정도로 방대하다"고 말했다. 1980년대 이후 모네의 작품에 대한 학술적 관심은 더욱 증가했다.[84] 미술 시장에서도 그의 작품은 높은 평가를 받아, 2008년에는 'Le bassin aux nymphéas'(수련 연작 중 하나)가 8040.000000000001만달러에 팔리며 당시 최고가 기록 중 하나를 세우기도 했다.[89][90]
5. 1. 한국 미술에의 영향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해당 섹션 제목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6. 정원
1883년, 모네와 그의 가족은 지베르니에 있는 집과 정원을 빌려 이전에는 누리지 못했던 안정적인 생활을 시작했다.[10] 이 집은 베르농과 가스니 마을을 잇는 주요 도로 근처에 있었고, 화실로 사용하는 헛간, 과수원, 작은 정원이 딸려 있었다. 집은 아이들이 다닐 지역 학교와 가까웠으며, 주변 풍경은 모네에게 그림 그릴 수 있는 많은 자연 환경을 제공했다.[47][48][49]
가족들은 함께 정원을 가꾸었으며, 화상 폴 뒤랑-뤼엘이 모네의 그림을 성공적으로 판매하면서 그의 재정 상황도 나아지기 시작했다.[50] 이 정원은 이후 40년 동안 모네에게 가장 큰 예술적 영감을 주는 원천이 되었다.[51] 1890년, 모네는 에 그 집과 부지를 사들였다.[512] 1890년대에는 온실과 함께 채광창이 잘 설치된 넓은 두 번째 화실을 지었다.
모네는 정원사에게 매일 지시를 내렸고, 식물의 정확한 설계와 배치, 꽃 구입과 식물학 서적 수집에 관한 청구서까지 직접 작성하며 정원 조성에 깊이 관여했다. 재산이 늘어나면서 그의 정원도 함께 발전했으며, 정원사 일곱 명을 고용한 후에도 여전히 정원의 총괄 설계자 역할을 했다.[52]
1890년 부지를 매입한 후, 모네는 과수원을 베어내고 정원사의 도움을 받아 "꽃의 정원"을 조성했다. 루앙 식물원 원장과 친구 귀스타브 카유보트의 조언을 받아 희귀 식물을 심고 온실을 만들었으며, 26권짜리 식물도감을 참고하는 등 정원에 대한 열정이 깊었다.[512] 1893년에는 철도를 사이에 둔 옆 부지를 추가로 매입했는데, 이곳에는 엡트 강으로 흘러드는 뤼 강이라는 작은 개울과 작은 연못이 있었다.[380] 모네는 이 땅에 뤼 강의 물을 끌어들여 수련이 피는 연못을 만들고, "물의 정원"이라 불리는 일본식 다리가 있는 정원을 조성하기 시작했다.[380][513] 물의 정원은 1895년부터 모네의 작품에 등장하기 시작하여, 1898년부터는 집중적으로 그려졌다.[381] 모네는 프랑스 토종 흰 수련뿐 아니라 남아메리카와 이집트에서 수입한 다양한 품종(노란색, 파란색, 흰색 등)을 심었다.[53] 일본에서 수입한 수련을 뿌리내리게 하려고 연못 물을 데우려 수문을 설치했으나 주민들의 항의를 받기도 했다.[513] 또한 연못에는 일본식 다리(太鼓橋)를 만들었는데, 이 때문에 "일본식 정원"이라고도 불렸지만, 전통적인 일본 정원과는 다른 모습이었다.[513] 여행 중에도 아내 알리스에게 편지를 보내 정원의 상태를 걱정할 정도였다.[514]
1901년에는 2차 조경 공사를 통해 정원을 확장하고 뤼 강의 물을 더 끌어들였다.[74][515] 1902년에는 정원 크기를 약 4000m2 늘렸고, 연못은 1901년과 1910년에 걸쳐 확장되어 둘레가 200m에 달하게 되었다.[10][516] 다양한 각도에서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연못 주변에는 이젤이 설치되었다.[10] 다리 위에는 등나무 덩굴 시렁이 설치되었고, 정원에는 수련, 다리, 능수버들, 붓꽃, 아가판서스, 장미 아치 등이 모네의 구상에 따라 정교하게 배치되었다. 이 정원은 그 자체로 모네의 예술 작품으로 평가받는다.[517]
모네 사후, 유일한 상속자인 차남 미셸 모네는 지베르니에 살지 않았기 때문에, 알리스의 딸이자 장남 장 모네의 미망인이었던 블랑슈 오슈데 모네가 저택과 정원 관리를 맡았다. 그러나 1947년 블랑슈가 사망한 후 정원은 황폐해졌다. 1966년 미셸 모네가 자동차 사고로 사망하면서 그의 유언에 따라 지베르니의 부지와 소장품은 프랑스 미술 아카데미에 기증되었다. 미술 아카데미는 제랄드 반 데르 켐프에게 복원을 맡겼고, 그는 민간 기부를 통해 자금을 모아 3년간의 복원 공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1980년 지베르니 모네 재단이 설립되어 모네의 집과 정원은 일반에 공개되었다.[518]
'''정원 관련 작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조
[1]
서적
Monet in the 20th century
Yale University Press
[2]
서적
Claude Monet: Life and Art
[3]
서적
Monet: un œil... mais, bon Dieu, quel œil!
Découvertes Gallimard
[4]
백과사전
The New Encyclopaedia Britannica
Encyclopaedia Britannica
1974-01-01
[5]
웹사이트
Claude Monet Biography
http://www.biography[...]
2017-02-07
[6]
서적
Claude Monet
H Books
[7]
서적
Monet
Konecky and Konecky
[8]
웹사이트
Monet, Claude
https://doi.org/10.1[...]
2021-05-24
[9]
학술지
The Face of Impressionism in 1870: Claude Monet's "Camille on the Beach at Trouville"
https://www.jstor.or[...]
2001
[10]
웹사이트
Monet, (Oscar-)Claude
https://doi.org/10.1[...]
2003
[11]
서적
Monet: Nature Into Art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2]
잡지
Monet in Algeria
History Today
2015-04
[13]
웹사이트
Musée d'Orsay: non_traduit
https://www.musee-or[...]
2021-02-02
[14]
서적
50 Modern Artists You Should Know
Prestel Publishing
[15]
간행물
The Beach at Sainte-Adresse
https://www.jstor.or[...]
Art Institute of Chicago
2014
[16]
웹사이트
What Did This $1.4M Painting Have To Do With Monet's Suicide Attempt?
https://www.huffpost[...]
2012-08-02
[17]
학술지
Monet's "Gladioli"
https://www.jstor.or[...]
2003
[18]
학술지
Why Monet Gave up Figure Painting
https://www.jstor.or[...]
1994
[19]
서적
Monet, a Retrospective
Hugh Lauter Levin Associates
[20]
뉴스
Les Impressionnistes, ces peintres français tapis dans Londres
https://www.lemonde.[...]
2018-07-13
[21]
서적
Monet
Éditions Jean-Paul Gisserot
[22]
간행물
Monet in Holland
Van Gogh Museum
[23]
서적
Corot to Braque: French Paintings from the Museum of Fine Arts, Boston
The Museum
[24]
서적
Monet
Konecky and Konecky
[25]
서적
[26]
서적
The History of France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27]
웹사이트
Impressionism: Art and Modernity
https://www.metmuseu[...]
2004-10
[28]
서적
Claude Monet
https://books.google[...]
Parkstone International
2011-07-01
[29]
서적
The Chronicle of Impressionism: A Timeline History of Impressionist Art
Bulfinch Press Book
[30]
서적
The chronicle of impressionism: an intimate diary of the lives and world of the great artists
https://books.google[...]
Thames & Hudson, Limited
[31]
웹사이트
The First Impressionist Exhibition, 1874 – Notes
http://www.artchive.[...]
[32]
학술지
Impressionism and the Standardization of Time: Claude Monet at Gare Saint-Lazare
https://www.tandfonl[...]
2020-04-02
[3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estern Art
Oxford University Press
[34]
웹사이트
Search the Collection » Norton Simon Museum
http://www.nortonsim[...]
[35]
웹사이트
Musée d'Orsay: Claude Monet Women in the Garden
https://web.archive.[...]
[36]
웹사이트
Claude Monet – Garden at Sainte-Adresse
https://www.metmuseu[...]
2018-04-11
[37]
웹사이트
Das Städel Museum – Kunstmuseum in Frankfurt
http://www.staedelmu[...]
2013-12-21
[38]
웹사이트
Claude Monet – La Grenouillère
https://www.metmuseu[...]
2018-04-11
[39]
웹사이트
Artwork
https://web.archive.[...]
2013-12-22
[40]
웹사이트
Claude Monet - The Beach at Trouville - NG3951 - National Gallery, London
http://www.nationalg[...]
2013-12-22
[41]
서적
Monet
Mallard Press
[42]
서적
Dictionary of Artists' Models
Routledge
[43]
서적
The Eyes of Claude Monet from Sense of Sight
[44]
서적
The Eyes of Claude Monet from Sense of Sight
Pantheon Books
[45]
서적
Monet, a biography
Simon & Schuster
[46]
편지
Letter to Claude Monet
1884-11-29
[47]
서적
Monet at Giverny
https://www.worldcat[...]
[48]
서적
The Gardens and House of Claude Monet
Blurb, Incorporated
2016-10-06
[49]
서적
Monet's garden
https://www.worldcat[...]
Hatje Cantz
2004
[50]
서적
Monet and His Muse: Camille Monet in the Artist's Lif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1]
서적
Monet's Years at Giverny: Beyond Impressionism
Abrams Books
[52]
뉴스
Monet's gardens a draw to Giverny and to his art
http://www.boston.co[...]
Globe Correspondents
2007-05-20
[53]
웹사이트
Monet's Garden
http://www.ngv.vic.g[...]
2013-12-16
[54]
학술지
Le Grand Tout: Monet on Belle-Île and the Impulse toward Unity
https://www.tandfonl[...]
2015-07-03
[55]
웹사이트
Water Lilies 1919
https://www.metmuseu[...]
2021-06-06
[56]
학술지
Monet at the Savoy
https://www.jstor.or[...]
2010
[57]
웹사이트
Color, Chemistry, and Creativity in Monet's Water Lilies
https://www.artic.ed[...]
2021-06-06
[58]
웹사이트
Water Lilies
http://www.metmuseum[...]
2021-06-06
[59]
웹사이트
Biography for Claude Monet
http://www.guggenhei[...]
2007-01-06
[60]
서적
Monet
Harry N. Abrams
[61]
학술지
The effect of cataracts and cataract surgery on Claude Monet
2015-05-01
[62]
웹사이트
Let the light shine in
http://education.gua[...]
2007-01-06
[63]
웹사이트
Kimbell Art Museum, Weeping Willows
https://kimbellart.o[...]
2021-05-29
[64]
서적
Impressionist Painters
https://archive.org/[...]
Octopus Books
[65]
서적
Art through the Ages
Harcourt College Pub
[66]
학술지
What Monet Meant: Intention and Attention in Understanding Art
2004
[67]
서적
Impressionist Painters
[68]
서적
Impressionist Painters
[69]
웹사이트
Claude Monet
https://www.guggenhe[...]
2021-06-06
[70]
학술지
Claude Monet's vision
1997-03-08
[71]
서적
[72]
서적
Art through the Ages
[73]
웹사이트
Arrival of the Normandy Train, Gare Saint-Lazare –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http://www.artic.edu[...]
2013-12-15
[74]
서적
Monet ou le Triomphe de l'Impressionnisme
Taschen
[75]
서적
Claude Monet: Life and Art
[76]
서적
Dawn of the Belle Epoque: The Paris of Monet, Zola, Bernhardt, Eiffel, Debussy, Clemenceau, and Their Friends
https://archive.org/[...]
Rowman & Littlefield
2011
[77]
웹사이트
Historical record
https://web.archive.[...]
Fondation-monet.fr
2010-01-19
[78]
뉴스
Reviving a Japanese art form
https://www.nytimes.[...]
2024-02-28
[79]
웹사이트
Objective Abstraction
https://doi.org/10.1[...]
2003
[80]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Oxford University Press
[81]
웹사이트
Monet's masterpiece reaches record high bid
http://newsfromrussi[...]
2004-11-05
[82]
웹사이트
Virtual Monet Thumbnails Pg 1 | Special reports
https://www.theguard[...]
2012-06-05
[83]
웹사이트
'A mesmerising mirage': How Monet's paintings changed the way we see London
https://www.bbc.com/[...]
2024-10-22
[84]
간행물
Paris. Monet Symposium
https://www.jstor.or[...]
1981
[85]
웹사이트
Monet and Others Stolen in Museum Heist in Nice
http://www.artforum.[...]
artforum.com
2007-08-08
[86]
웹사이트
French police recover stolen Monet painting
https://www.today.co[...]
artforum.com
2009-10-01
[87]
웹사이트
Claude Monet's 161st Birthday
https://doodles.goog[...]
2023-01-02
[88]
뉴스
Record Price for Monet at Auction
https://www.nytimes.[...]
2008-05-06
[89]
웹사이트
Le Bassin Aux Nymphéas
http://www.christies[...]
Christies of London
2008-06-24
[90]
뉴스
Monet work auctioned for £40.9m
http://news.bbc.co.u[...]
2008-06-24
[91]
뉴스
Ex-Imelda Marcos aide on trial in NYC for selling Monet work
http://globalnation.[...]
Associated Press
2013-10-17
[92]
서적
The Dream Collector, Book I Sabrine & Sigmund Freud
Historium Press
[93]
서적
The Dream Collector, Book II Sabrine & Vincent van Gogh
Historium Press
[94]
뉴스
Cornelius Gurlitt: Monet found in art hoarder's suitcase
https://www.bbc.com/[...]
2014-09-05
[95]
웹사이트
Monet Landscape Found in Gurlitt's Suitcase
https://news.artnet.[...]
2014-09-05
[96]
웹사이트
Rare Monet returned to family more than 80 years after it was stolen by Nazis
https://www.cnn.com/[...]
CNN
2024-10-09
[97]
뉴스
Heirs of Holocaust victim to get compensation from sale of looted Monet
https://www.haaretz.[...]
[98]
웹사이트
Heirs to get share of looted Monet sale
http://www.timesofis[...]
[99]
웹사이트
Art - Le tableau de Monet attendait depuis 50 ans Le Nymphéas était là ...(photo)
https://www.lorientl[...]
1999-05-04
[100]
뉴스
Plainte d'une famille juive contre UBS pour des oeuvres d'art pillées par les nazis
https://www.letemps.[...]
2014-10-18
[101]
웹사이트
Met To Sell Monet
https://www.forbes.c[...]
2020-02-07
[102]
웹사이트
Cultural Plunder by the Einsatzstab Reichsleiter Rosenberg: Database of Art Objects at the Jeu de Paume: Owner: Fernand Halphen — Paris, France
https://www.errproje[...]
[103]
웹사이트
Heirs battle estate over $30m Monet painting from Emden collection sold during Nazi era
https://www.theartne[...]
2020-07-08
[104]
뉴스
A Nazi Legacy Haunts a Museum's New Galleries
https://www.nytimes.[...]
2021-10-11
[105]
웹사이트
Monet painting sold by Jewish owner after fleeing Nazis to be auctioned after settlement with heirs
https://www.lootedar[...]
[106]
웹사이트
Claude Monet
https://www.findagra[...]
Find a Grave
2016-11-19
[107]
신문
かながわ美の手帖番外編 ポーラ美術館「モネとマティス もうひとつの楽園」展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0-07-31
[108]
웹사이트
Société des amis de l'art japonais
http://data.bnf.fr/1[...]
[109]
서적
パタン (1997: 18)
[110]
서적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9), 高階 (2008: 10), リウォルド (2004: 55)
[111]
서적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9), 高階 (2008: 10)
[112]
서적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9)
[113]
서적
高階 (2008: 10-11)
[114]
서적
高階 (2008: 11-12)
[115]
서적
安井 (2010: 7)
[116]
서적
パタン (1997: 19)
[117]
서적
高階 (2008: 6-10)
[118]
서적
高階 (1975: 上101)
[119]
서적
高階 (2008: 10)
[120]
웹사이트
クロード・モネ《ルエルの眺め》
http://marunuma-artp[...]
丸沼芸術の森
2016-11-05
[121]
서적
高階 (2008: 13-14)
[122]
서적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12-13)
[123]
서적
高階 (2008: 13-14), 島田 (2009: 9-11)
[124]
서적
六人部 (2001: 113),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15)
[125]
서적
パタン (1997: 20-21)
[126]
서적
リウォルド (2004: 77)
[127]
서적
六人部 (2001: 113),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16)
[128]
서적
リウォルド (2004: 78)
[129]
서적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20)
[130]
서적
西岡 (2016: 62-64)
[131]
서적
高階 (2008: 14)
[132]
서적
高階 (1975: 上99)
[133]
서적
リウォルド (2004: 79-80)
[134]
서적
パタン (1997: 22)
[135]
서적
リウォルド (2004: 99)
[136]
서적
リウォルド (2004: 100-01)
[137]
서적
パタン (1997: 23)
[138]
서적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20-21), 吉川 (2010: 23-26)
[139]
서적
高階 (2008: 14-15)
[140]
서적
島田 (2009: 19)
[141]
서적
리워드
2004
[142]
웹사이트
L'ambulance improvisée [The Improvised Field Hospital]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7-01-05
[143]
서적
리워드
2004
[144]
서적
파탄
1997
[145]
서적
null
2001, 2004
[146]
서적
파탄
1997
[147]
서적
리워드
2004
[148]
서적
고계
2008
[149]
서적
파탄
1997
[150]
서적
고계
2008
[151]
서적
리워드
2004
[152]
서적
null
2001, 2004
[153]
서적
파탄
1997
[154]
서적
리워드
2004
[155]
서적
고계
2008
[156]
서적
파탄
1997
[157]
서적
null
1997, 2001, 2004
[158]
서적
리워드
2004
[159]
서적
리워드
2004
[160]
서적
파탄
1997
[161]
서적
육인부
2001
[162]
서적
자크너=듀히티크
2001
[163]
서적
파탄
1997
[164]
서적
자크너=듀히티크
2001
[165]
서적
null
1997, 2001
[166]
서적
서오카
2016
[167]
서적
자크너=듀히티크
2001
[168]
서적
자크너=듀히티크
2001
[169]
서적
서오카
2016
[170]
서적
리워드
2004
[171]
서적
null
1997, 2001
[172]
서적
리워드
2004
[173]
서적
파탄
1997
[174]
서적
기카와
2010
[175]
서적
null
2001
[176]
웹사이트
Mouth of the Seine at Honfleur, 1865
http://www.nortonsim[...]
Norton Simon Museum
2016-11-19
[177]
웹사이트
La Pointe de la Hève at Low Tide
https://www.kimbella[...]
Kimbell Art Museum
2016-11-19
[178]
웹사이트
Claude Monet: Camille, 1866
http://www.kunsthall[...]
Kunsthalle Bremen
2016-11-06
[179]
웹사이트
Le déjeuner sur l'herbe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6-11-12
[180]
웹사이트
Claude Monet: Luncheon on the Grass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6-11-05
[181]
웹사이트
Claude Monet: Women in the Garden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6-11-19
[182]
웹사이트
Garden at Sainte-Adresse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11-05
[183]
웹사이트
On the Bank of the Seine, Bennecourt, 1868
http://www.artic.edu[...]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2016-12-10
[184]
간행물
안井 (2010: 16)
[185]
웹사이트
The luncheon (Le déjeuner), 1868/69
http://www.staedelmu[...]
Städel Museum
2016-11-05
[186]
웹사이트
Claude Monet: The Magpie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6-11-12
[187]
간행물
안井 (2010: 19)
[188]
웹사이트
La Grenouillère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11-20
[189]
간행물
안井 (2010: 18)
[190]
웹사이트
The Beach at Trouville
http://www.nationalg[...]
The National Gallery
2016-11-12
[191]
웹사이트
Claude Monet: Train in the Countryside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6-11-20
[192]
웹사이트
Yacht Approaching the Coast
http://www.tate.org.[...]
Tate
2016-12-10
[193]
웹사이트
Vincent van Gogh The Letters: Letter 746, Note 5
http://vangoghletter[...]
Van Gogh Museum, Huygens ING
2016-11-27
[194]
간행물
리월드 (2004: 207)
[195]
간행물
고계 (1975: 상106)
[196]
간행물
자크너=듀히티크 (2001: 50-51)
[197]
간행물
길가와 (2010: 177-79)
[198]
간행물
자크너=듀히티크 (2001: 49)
[199]
간행물
자크너=듀히티크 (2001: 51)
[200]
간행물
자크너=듀히티크 (2001: 51-52), 길가와 (2010: 167), 파탄 (1997: 37)
[201]
간행물
자크너=듀히티크 (2001: 52)
[202]
간행물
파탄 (1997: 37)
[203]
웹사이트
The Thames below Westminster
http://www.nationalg[...]
The National Gallery
2016-12-10
[204]
간행물
고계 (1975: 상107)
[205]
간행물
길가와 (2010: 167)
[206]
간행물
길가와 (2010: 155, 167)
[207]
간행물
파탄 (1997: 61)
[208]
간행물
길가와 (2010: 167-68), 파탄 (1997: 41)
[209]
간행물
리월드 (2004: 210)
[210]
간행물
파탄 (1997: 42)
[211]
서적
[212]
서적
[213]
서적
[214]
서적
[215]
서적
[216]
서적
[217]
서적
[218]
위키소스
印象派の展覧会
[219]
서적
[220]
서적
[221]
서적
[222]
서적
[223]
서적
[224]
웹사이트
Claude Monet: Regattas at Argenteuil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6-11-22
[225]
서적
Claude Monet
https://books.google[...]
Parkstone International
[226]
간행물
芸術新潮
新潮社
[227]
웹사이트
Claude Monet: Poppy Field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6-11-12
[228]
웹사이트
Claude Monet: The Lunch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6-11-22
[229]
웹사이트
Le bateau-atelier, 1874
http://krollermuller[...]
Kröller-Müller Museum
2016-11-22
[230]
웹사이트
The Monet Family in Their Garden at Argenteuil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12-10
[231]
서적
[232]
서적
[233]
서적
[234]
서적
[235]
서적
[236]
서적
[237]
서적
[238]
서적
[239]
서적
[240]
서적
[241]
서적
[242]
서적
[243]
서적
[244]
서적
[245]
서적
[246]
서적
パタン
1997
[247]
서적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248]
서적
パタン
1997
[249]
서적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250]
서적
パタン
1997
[251]
서적
パタン
1997
[252]
서적
リウォルド
2004
[253]
웹사이트
The Bridge at Argenteuil
http://www.nga.gov/c[...]
National Gallery of Art
2016-11-06
[254]
웹사이트
Woman with a Parasol - Madame Monet and Her Son
http://www.nga.gov/c[...]
National Gallery or Art
2016-11-06
[255]
서적
安井
2010
[256]
웹사이트
La Japonaise (Camille Monet in Japanese Costume)
http://www.mfa.org/c[...]
Museum of Fine Arts, Boston
2016-11-22
[257]
서적
安井
2010
[258]
웹사이트
Les dindons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6-11-22
[259]
웹사이트
The Gare Saint-Lazare: Arrival of a Train
http://www.harvardar[...]
Harvard Art Museums
2016-11-22
[260]
웹사이트
Claude Monet: The Saint-Lazare Station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6-11-12
[261]
웹사이트
Rue Saint-Denis, fête du 30 juin 1878
http://mbarouen.fr/f[...]
Réunion des Musées Métropolitains Rouen Normandie
2016-11-23
[262]
서적
リウォルド
2004
[263]
서적
安井
2010
[264]
서적
パタン,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1997, 2001
[265]
서적
リウォルド
2004
[266]
서적
Dawn of the Belle Epoque: The Paris of Monet, Zola, Bernhardt, Eiffel, Debussy, Clemenceau, and Their Friend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1-05-16
[267]
서적
島田
2009
[268]
서적
新関, リウォルド
, 2004
[269]
서적
パタン
1997
[270]
서적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リウォルド
2001, 2004
[271]
서적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272]
간행물
芸術新潮
新潮社
2018-06
[273]
서적
パタン
1997
[274]
서적
パタン
1997
[275]
서적
リウォルド, 島田
2004, 2009
[276]
서적
パタン,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1997, 2001
[277]
서적
リウォルド
2004
[278]
서적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279]
서적
リウォルド
2004
[280]
서적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リウォルド
2001, 2004
[281]
서적
(추정)
2004
[282]
서적
(추정)
2004
[283]
서적
(추정)
2001
[283]
서적
(추정)
1997
[284]
웹사이트
Effet de neige à Vétheuil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6-12-10
[285]
웹사이트
Camille sur son lit de mort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6-11-23
[286]
서적
(추정)
2001
[287]
웹사이트
The Artist's Garden at Vétheuil
http://www.nga.gov/c[...]
National Gallery of Art
2016-11-23
[288]
서적
(추정)
1997
[289]
서적
(추정)
2001
[290]
서적
(추정)
1997
[290]
서적
(추정)
2001
[291]
서적
(추정)
2001
[292]
서적
(추정)
2004
[293]
서적
(추정)
1997
[293]
서적
(추정)
2001
[294]
서적
(추정)
2009
[295]
서적
(추정)
1997
[296]
서적
(추정)
2001
[297]
서적
(추정)
1997
[298]
서적
(추정)
2001
[299]
서적
(추정)
1997
[300]
서적
(추정)
2004
[301]
웹사이트
Cliff Walk at Pourville, 1882
http://www.artic.edu[...]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2016-11-24
[302]
웹사이트
The Manneporte (Étretat)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12-11
[303]
서적
(추정)
2010
[304]
서적
(추정)
1997
[305]
서적
(추정)
2004
[306]
서적
(추정)
2001
[307]
서적
(추정)
2004
[308]
서적
(추정)
1997
[309]
서적
(추정)
2001
[310]
서적
(추정)
2001
[311]
서적
(추정)
2004
[312]
서적
(추정)
2001
[313]
서적
(추정)
1997
[314]
서적
(추정)
2009
[315]
서적
(추정)
1997
[316]
서적
[317]
서적
[318]
서적
[319]
서적
[320]
서적
[321]
서적
[322]
서적
[323]
서적
[324]
서적
[325]
서적
[326]
서적
[327]
웹사이트
Valley of the Creuse (Sunlight Effect)
http://www.mfa.org/c[...]
Museum of Fine Arts, Boston
2016-11-26
[328]
서적
[329]
서적
[330]
서적
[331]
서적
[332]
서적
[333]
서적
[334]
서적
[335]
서적
[336]
웹사이트
A Hundred Years Ago : Olympia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6-11-26
[337]
웹사이트
Villas at Bordighera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6-11-26
[338]
웹사이트
Tulip Fields at Sassenheim
http://www.clarkart.[...]
The Clark Art Institute
2016-11-26
[339]
서적
[340]
웹사이트
Скалы в Бель Иль (Пирамиды Порт-Котон. Бурное море)
http://www.arts-muse[...]
The Pushkin State Museum of Fine Arts
2016-11-26
[341]
서적
[342]
웹사이트
Essai de figure en plein-air : Femme à l'ombrelle tournée vers la gauche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6-11-26
[343]
웹사이트
舟遊び
https://collection.n[...]
国立西洋美術館
2016-11-26
[344]
웹사이트
Morning at Antibes
http://www.philamuse[...]
Philadelphia Museum of Art
2016-11-26
[345]
웹사이트
Valley of the Creuse (Gray Day)
http://www.mfa.org/c[...]
Museum of Fine Arts, Boston
2016-11-26
[346]
웹사이트
Valley of the Creuse (Sunset)
http://www.musee-unt[...]
Musée Unterlinden
2016-11-26
[347]
서적
[348]
서적
[349]
서적
[350]
서적
[351]
서적
六人部 (2001: 69)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158)
[352]
서적
パタン (1997: 106-07)
[353]
서적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160)
[354]
서적
パタン (1997: 107) 、六人部 (2001: 61)
[355]
웹사이트
Meules, fin de l'été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6-11-26
[356]
웹사이트
Stacks of Wheat (End of Summer), 1890/91
http://www.artic.edu[...]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2016-11-26
[357]
웹사이트
Haystacks (Effect of Snow and Sun)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11-26
[358]
웹사이트
Grainstack (Sunset)
http://www.mfa.org/c[...]
Museum of Fine Arts, Boston
2016-11-26
[359]
웹사이트
Stacks of Wheat (Sunset, Snow Effect), 1890/91
http://www.artic.edu[...]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2016-11-26
[360]
서적
パタン (1997: 114) 、六人部 (2001: 64)
[361]
서적
六人部 (2001: 64-65)
[362]
서적
パタン (1997: 114-15)
[363]
서적
パタン (1997: 117)
[364]
웹사이트
Poplars on the Bank of the Epte River
http://www.philamuse[...]
Philadelphia Museum of Art
2016-11-26
[365]
서적
六人部 (2001: 21)
[366]
웹사이트
陽を浴びるポプラ並木
https://collection.n[...]
国立西洋美術館
2016-11-26
[367]
서적
パタン (1997: 117-18)
[368]
서적
パタン (1997: 118)
[369]
서적
パタン (1997: 118-19)
[370]
서적
パタン (1997: 119-20)
[371]
서적
パタン (1997: 120)
[372]
서적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177)
[373]
서적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177-78)
[374]
서적
高階 (1975: 上90)
[375]
서적
リウォルド (2004: 403)
[376]
서적
パタン (1997: 129)
[377]
웹사이트
Rouen Cathedral: Setting Sun
http://museum.wales/[...]
National Museum Cardiff
2016-11-26
[378]
웹사이트
Rouen Cathedral, West Façade, Sunlight
http://www.nga.gov/c[...]
National Gallery of Art
2016-11-26
[379]
웹사이트
Bras de Seine près de Giverny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6-12-13
[380]
서적
六人部 (2001: 22, 84-85, 110-12)
[381]
서적
パタン (1997: 126)
[382]
서적
六人部 (2001: 85-86)
[383]
웹사이트
The Japanese Footbridge and the Water Lily Pool, Giverny
http://www.philamuse[...]
Philadelphia Museum of Art
2016-11-27
[384]
웹사이트
Le bassin aux nymphéas, harmonie rose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6-11-27
[385]
웹사이트
Le jardin de l'artiste à Giverny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7-01-07
[386]
간행물
パタン (1997: 121-22)
[387]
간행물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180)
[388]
웹사이트
Houses of Parliament, London, 1900/01
http://www.artic.edu[...]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2016-11-27
[389]
웹사이트
Londres, le Parlement. Trouée de soleil dans le brouillard
http://www.musee-ors[...]
Musée d'Orsay
2016-11-27
[390]
웹사이트
Houses of Parliament, London
http://www.pba-lille[...]
Palis Beaux-Arts Lille
2016-11-27
[391]
웹사이트
Waterloo Bridge. Effect of Fog
http://www.hermitage[...]
The State Hermitage Museum
2016-12-13
[392]
간행물
六人部 (2001: 86-87)
[393]
간행물
パタン (1997: 120-21)
[394]
간행물
六人部 (2001: 94)
[395]
간행물
キング (2018: 47-51)
[396]
간행물
パタン (1997: 127)
[397]
간행물
六人部 (2001: 94),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191)
[398]
간행물
パタン (1997: 127-28)
[399]
간행물
キング (2018: 55-57)
[400]
간행물
パタン (1997: 122)
[401]
간행물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184)
[402]
웹사이트
Water Lilies
http://www.mfa.org/c[...]
The Museum of Fine Arts, Boston
2016-11-27
[403]
간행물
六人部 (2001: 90)
[404]
간행물
六人部 (2001: 92)
[405]
웹사이트
印象派とその周辺
http://www.bridgesto[...]
ブリヂストン美術館
2016-11-27
[406]
서적
白内障, 安井 (2010: 55)
[407]
간행물
六人部 (2001: 99),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184)
[408]
간행물
パタン (1997: 130)
[409]
간행물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204)
[410]
간행물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184-85)
[411]
간행물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199)
[412]
간행물
安井 (2010: 61)
[413]
간행물
六人部 (2001: 99)
[414]
간행물
キング (2018: 69-74)
[415]
간행물
キング (2018: 105-06)
[416]
간행물
キング (2018: 157-61, 174)
[417]
간행물
キング (2018: 175-76)
[418]
간행물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206-07), キング (2018: 243-48, 253-54)
[419]
간행물
パタン (1997: 129), キング (2018: 275)
[420]
간행물
パタン (1997: 129-30), キング (2018: 296-308)
[421]
서적
[422]
서적
[423]
서적
[424]
서적
[425]
서적
[426]
서적
[427]
웹사이트
睡蓮
https://collection.n[...]
国立西洋美術館
2017-01-07
[428]
서적
[429]
웹사이트
Monet's Art during the Cataract Years
https://impressionis[...]
Impressionist Arts
2022-07-01
[430]
웹사이트
The effect of cataracts and cataract surgery on Claude Monet
https://www.ncbi.nlm[...]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2015-04-27
[431]
웹사이트
Claude Monet: Biographie et catalogue raisonné
https://wpi.art/2019[...]
Wildenstein Plattner Institute
2019-05-26
[432]
서적
[433]
서적
[434]
서적
[435]
서적
[436]
서적
[437]
웹사이트
Haystacks: Autumn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12-04
[438]
서적
[439]
서적
[440]
서적
[441]
서적
[442]
서적
[443]
서적
[444]
서적
[445]
서적
[446]
서적
[447]
서적
[448]
서적
[449]
서적
[450]
서적
[451]
서적
[452]
서적
[453]
웹사이트
La Grenouillère
http://collection.na[...]
Nationalmuseum
2016-12-04
[454]
서적
[455]
서적
[456]
서적
(추정)
[457]
서적
(추정)
[458]
서적
(추정)
[459]
서적
(추정)
[460]
서적
(추정)
[461]
서적
(추정)
[462]
서적
(추정)
[463]
서적
(추정)
[464]
서적
(추정)
[465]
서적
(추정)
[466]
서적
(추정)
[467]
서적
(추정)
[468]
서적
(추정)
[469]
서적
(추정)
[470]
서적
(추정)
[471]
서적
(추정)
[472]
서적
(추정)
[473]
서적
(추정)
[474]
서적
(추정)
[475]
서적
(추정)
[476]
서적
(추정)
[477]
웹사이트
Rue de la Bavole, Honfleur
http://www.mfa.org/c[...]
Museum of Fine Arts, Boston
2017-01-08
[478]
서적
(추정)
[479]
서적
(추정)
[480]
서적
(추정)
[481]
서적
(추정)
[482]
서적
(추정)
[483]
웹사이트
Bordighera
http://www.artic.edu[...]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2017-01-08
[484]
서적
(추정)
[485]
서적
(추정)
[486]
서적
(추정)
[487]
서적
(추정)
[488]
서적
(추정)
[489]
서적
(추정)
[490]
서적
(추정)
[491]
서적
高階 (1975: 上104-05)
[492]
서적
ガスケ (2009: 244)
[493]
웹사이트
The Japanese Footbridge
http://www.moma.org/[...]
The Museum of Modern Art
2017-01-07
[494]
서적
安井 (2010: 76-77)
[495]
서적
三浦 (2016: 120-21)
[496]
서적
三浦 (2016: 142)
[497]
서적
三浦 (2016: 160)
[498]
서적
リウォルド (2004: 400)
[499]
서적
島田 (2011: 25)
[500]
서적
宮崎 (2007: 151-56)
[501]
서적
宮崎 (2007: 157-63)
[502]
서적
宮崎 (2007: 164-69)
[503]
서적
宮崎 (2007: 170-73)
[504]
서적
宮崎 (2007: 181-87)
[505]
서적
宮崎 (2007: 187-96)
[506]
서적
瀬木 (1999: 111-12)
[507]
서적
瀬木 (1999: 112-15)
[508]
서적
瀬木 (1999: 115-18)
[509]
서적
安井 (2010: 77)
[510]
뉴스
Record sale for Monet masterpiece
http://news.bbc.co.u[...]
2008-06-25
[511]
뉴스
Monet’s ‘Grainstack’ Sets Record With $81.4 Million at Auction
https://www.nytimes.[...]
2016-11-16
[512]
서적
安井 (2010: 58, 60)
[513]
서적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189)
[514]
서적
六人部 (2001: 110)
[515]
서적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189-90)
[516]
서적
六人部 (2001: 86)
[517]
서적
ザークナー=デュヒティンク (2001: 190)
[518]
웹사이트
The Foundation: History
http://fondation-mon[...]
The Claude Monet Foundation
2016-12-1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인상파 대가 오지호 명작 ‘사과밭’과 ‘남향집’의 엇갈린 뒤안길
오픈 AI ‘DALL·E’ 새버전, 이미지 생성 넘어 편집까지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