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비는 교육 기관에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가로 징수하는 비용으로, 수업료뿐 아니라 입학금, 기숙사비, 교재비 등 교육 관련 모든 비용을 포함하며, 학생 생활비까지 의미하기도 한다. 학비는 교육 단계, 학교 유형, 국가별 정책, 학생 국적 및 거주 자격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며, 공립학교와 사립학교 간, 국가별로 학비 지원 정책에 차이가 있다. 학비는 장학금, 학자금 보조, 대출, 기업 후원, 가족 지원, 저축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납부된다. 학비 인상, 학자금 대출 상환 부담, 불법 체류 학생의 학비 문제, 학비 체납 등이 학비와 관련된 주요 문제로, 역사를 거치면서 국가별로 다양한 학비 정책이 시행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육비 - 학자금 대출
학자금 대출은 학생들이 학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금융 제도로, 한국장학재단 등 여러 기관에서 관리하며, 과도한 대출은 부채 문제 등을 야기하기도 한다. - 교육비 - 교육무상화를 실현하는 모임
교육무상화를 실현하는 모임은 2023년 11월에 결성되어 교육 무상화를 포함한 정책을 추진했으나, 일본유신회와의 협력 강화로 정당 자격을 상실했다. - 지불 - 보조금
보조금은 정부가 특정 개인, 기업,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하는 금전적 지원으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모두 가지며, 대한민국은 관련 법률과 감사를 통해 적정 집행을 관리하고, 국제 협정을 통해 규제 및 분쟁 해결을 도모한다. - 지불 - 벌금
벌금은 법률 위반에 대한 형벌 또는 행정벌로 구분되는 제재이며, 각국의 제도와 집행 과정, 미납 시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이 논의된다.
| 학비 | |
|---|---|
| 학비 정보 | |
| 정의 | 교육 기관에서 교육 서비스 제공에 대해 부과하는 금액 |
| 종류 | 등록금 수업료 기숙사비 기타 부대 비용 |
| 지불 방식 | 현금 신용 카드 학자금 대출 분할 납부 |
| 학비 | |
| 교육 단계별 학비 | 유치원 학비 초등학교 학비 중학교 학비 고등학교 학비 대학교 학비 대학원 학비 |
| 학비 결정 요인 | 학교 유형 (공립/사립) 학교 위치 학과 프로그램 |
| 학비 지원 | 장학금 학자금 대출 정부 지원 근로 장학금 |
| 학비 관련 문제 | |
| 학비 인상 | 학비가 지속적으로 인상되는 문제 |
| 학자금 부채 | 학자금 대출로 인한 개인 및 사회적 문제 |
| 교육 불평등 | 경제적 이유로 인한 교육 기회 불균등 |
| 국가별 학비 정보 | |
| 미국 | 미국 대학 학비 |
| 영국 | 영국 학비 |
2. 정의
학비는 좁은 의미로는 학납금을 말하며, 이는 수업료와 그 외의 학납금으로 나뉜다.[16] 넓은 의미로는 학습에 필요한 비용 전체를 의미하며, 학납금 외에 학습을 위한 서적 구매 비용 등을 포함한다.[16] 가장 넓은 의미로는 학생 생활에 필요한 모든 비용, 즉 "학생 생활비"를 의미하기도 한다.[16]
한편, 교육비는 학비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교육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포괄하는 더 넓은 개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16] 통계 등에서는 교육비를 교육에 필요한 모든 비용으로 정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때 학비는 교육비의 일부로서 구분하여 이해해야 한다.[16]
교육에 필요한 비용으로서의 교육비는 일반적으로 가계뿐만 아니라, 정부가 수업료 인하나 장학금 지급 등 공적인 지원을 통해 분담한다.[16]
| 교육 기관 내 비용 | 교육 기관 외 비용 | |
|---|---|---|
| 핵심 교육 서비스 | 수업료, 사립 학원 비용 등 | 사적인 도서 구매 등 |
| 연구 개발 | 대학 연구비 등 | |
| 기타 발생 비용 | 급식, 학교 통학, 숙소비 등 | 사적인 생활비, 교통비 등 |
학비는 좁은 의미로는 수업료와 기타 학납금을 합친 것을 말한다. 넓은 의미로는 학납금 외에 책값 등 학습에 필요한 비용까지 포함하며, 가장 넓은 의미로는 학생 생활 전반에 드는 비용, 즉 "학생 생활비"를 의미하기도 한다.[16]
OECD 회원국의 평균을 보면, 초등 교육부터 제3기 교육까지 학생 1인당 매년 10220USD의 비용이 든다. 초등 교육부터 중등 이후 고등 이전 교육까지는 비용의 90%가 핵심 교육 서비스에 투입되지만, 제3기 교육부터는 연구 개발비에 사용되는 비율이 높아진다.
3. 학비 결정 요인
교육비는 학비와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 하지만, 교육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포괄하는 더 넓은 개념으로 사용될 때도 있다. 통계 등에서 교육비를 후자의 의미로 사용할 경우, 학비는 교육비의 일부가 되므로 용어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16]
교육에 필요한 비용으로서의 교육비는 일반적으로 학생의 가계뿐만 아니라, 정부가 수업료 인하 또는 장학금 지급과 같은 공적 지원을 통해 분담한다.[16]
OECD는 교육비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교육 기관 내 비용 교육 기관 외 비용 핵심 교육 서비스 수업료, 사립 학원 비용 등 사적인 도서 구매 등 연구 개발 대학 연구비 등 해당 없음 기타 발생 비용 급식, 학교 통학, 숙소비 등 사적인 생활비, 교통비 등
3. 1. 교육 단계
OECD 회원국의 평균적인 교육 비용을 살펴보면, 초등 교육부터 제3기 교육을 마칠 때까지 학생 1인당 매년 10220USD의 비용이 든다.[16] 교육 단계에 따라 비용이 사용되는 방식에도 차이가 있다. 초등 교육부터 중등 이후 고등 이전 교육까지는 비용의 90%가 수업료 등 핵심 교육 서비스에 투입되지만, 제3기 교육부터는 연구 개발비에 사용되는 비율이 높아진다.[16]
3. 2. 학교 유형
학비는 학교의 설립 주체, 즉 기관 유형에 따라 다르게 부과된다. 일반적으로 국공립 학교에 비해 사립 학교의 학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인다. 예를 들어, 미국의 경우 1980년부터 1995년 사이 학생들의 실질적인 학비 부담 증가율을 보면, 국립 대학교 학생은 약 80% 증가한 반면, 사립 대학교 학생은 148%나 증가하여 사립학교의 학비 부담이 훨씬 더 가파르게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10]
또한, 일부 공립 연구 중심 대학에서는 전공이나 학년에 따라 학비를 다르게 책정하는 차등 학비 제도를 도입하여, 일반적인 학비보다 최대 40%까지 높은 금액을 부과하기도 한다.[11]
3. 3. 국가별 정책
남아프리카 공화국, 미국, 영국 등 여러 국가에서는 학부모나 법적 보호자에게 자녀의 고등 교육 비용 일부를 부담하도록 하는 "선불 학비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3] 이러한 정책은 등록금이 높아 저소득층 학생이 보조금이나 학자금 대출 없이는 대학에 다니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3]
미국의 경우, 대학 총비용에는 수업료 외에도 기숙사비, 교재비, 교통비 등 다양한 부대 비용이 포함된다.
다음은 2019년 기준 유럽 국가들의 연간 평균 대학 등록금을 나타낸 표이다 (단위: 유로).[4][5]
| 국가 | 평균 등록금 (€) |
|---|---|
| 크로아티아 | 68 |
| 프랑스 | 260 |
| 알바니아 | 318 |
| 마케도니아 | 424 |
| 아이슬란드 | 611 |
| 룩셈부르크 | 800 |
| 불가리아 | 818 |
| 벨기에 | 922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1023 |
| 포르투갈 | 1063 |
| 스페인 | 1479 |
| 리히텐슈타인 | 1638 |
| 네덜란드 | 2060 |
| 세르비아 | 2186 |
| 이탈리아 | 2428 |
| 아일랜드 | 3000 |
| 스위스 | 3499 |
| 북아일랜드 | 4670 |
| 라트비아 | 5500 |
| 루마니아 | 5917 |
| 웨일스 | 10104 |
| 잉글랜드 | 10385 |
| 영국 | 10385 |
| 리투아니아 | 11750 |
| 헝가리 | 14906 |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는 첫 번째 학위 과정에 대해 학비를 받지 않는다. 오스트리아, 키프로스, 체코,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독일, 그리스, 몰타, 몬테네그로, 노르웨이, 폴란드, 스코틀랜드,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웨덴, 터키 등이 해당한다.[5]
- 헝가리: 공립 대학의 연간 등록금이 1.5만유로를 넘을 수 있으나, 실제로는 학생의 32%만이 등록금을 납부하며 평균 금액은 1차 학위 과정 1428EUR, 2차 학위 과정 1552EUR 수준이다. 생활비(최대 3천유로) 및 성적 우수 장학금(약 4천유로) 지원 기회가 있다.[5]
- 리투아니아: 최고 등록금은 약 1.2만유로이며, 학생의 37%가 등록금을 지불한다.[5]
- 영국: 1998년 등록금 제도를 도입했으며, 초기 상한액은 1000GBP였으나 이후 영국 대부분 지역에서 9000GBP (1만유로 이상)까지 인상되었다. 다만, 일정 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졸업 후 소득에 따라 상환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저소득층의 대학 접근성을 지원하여 대학 진학률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스코틀랜드와 웨일스는 등록금을 폐지했다. 정부 학자금 대출 외 별도의 장학금 제도는 미미하다.[5]
- 프랑스: 학위 과정에 따라 등록금 상한이 정해져 있으며, 학부 과정은 연간 183EUR, 박사 과정은 388EUR 수준이다. 그러나 자율권을 가진 일부 공립 대학이나 모든 사립 대학은 더 높은 등록금을 부과할 수 있다.
- 독일: 독일 교육 시스템에서는 대부분의 대학이 주 정부 지원으로 운영되어 등록금을 받지 않는다. 경영학 석사(MBA) 등 일부 전문 과정이나, 최근 일부 주에서 비EU 국가 출신 학생에게 등록금을 부과하기 시작했지만, ERASMUS 학생이나 개발도상국 학생 등은 면제된다.[6][7] 일부 사립 고등 교육 기관은 등록금 기반으로 운영된다.
- 북유럽 국가: 모든 북유럽 국가는 자국 시민에게 고등 교육을 무료로 제공한다. 교육 시스템은 거의 전적으로 공공 재원으로 운영되며, 교육을 상품이 아닌 시민권이자 공공 서비스로 간주한다. 교육 문제는 평등의 관점에서 다루어지며, 높은 수준의 교육이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고 본다.[8]
- 그리스: 그리스 교육 시스템에서는 학사 과정과 일부 석사 과정이 시민에게 무료로 제공된다 (세금 재원). 대학 입학은 국가 시험(범헬레닉 시험) 성적을 통해 이루어지며, 성인 학생의 입학은 상대적으로 어렵다. 박사 과정도 대부분 무료이지만 일부 대학은 등록금을 부과할 수 있다. 학생들은 등록금을 내는 사립 대학에 가거나 해외 유학을 선택하기도 한다.
- 스페인: 스페인 등록금은 중앙 정부가 정한 기본 기준에 따라 각 자치 공동체 정부가 매년 법률로 정한다.[9]
OECD 회원국의 제3기 교육(고등 교육) 비용 부담 비율(2012년 기준)은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다음 표는 교육 기관 내 비용에 대한 공적 부담, 가계 부담, 기타 민간 부담 비율을 보여준다.
| 국가 | 공적 부담 (%) | 가계 부담 (%) | 기타 민간 부담 (%) |
|---|---|---|---|
| 핀란드 | 96.2 | 3.8 | |
| 노르웨이 | 96.1 | 3.3 | 0.6 |
| 오스트리아 | 95.3 | 1.9 | 2.8 |
| 룩셈부르크 | 94.8 | 2.8 | 2.4 |
| 아이슬란드 | 90.6 | 8.7 | 0.7 |
| 벨기에 | 89.9 | 4.9 | 5.2 |
| 스웨덴 | 89.3 | 0.4 | 10.4 |
| 슬로베니아 | 86.1 | 11.4 | 2.5 |
| 독일 | 85.9 | 14.1 | |
| 아일랜드 | 81.8 | 15.8 | 2.4 |
| 튀르키예 | 80.4 | 19.6 | |
| 프랑스 | 79.8 | 10.6 | 9.6 |
| 체코 | 79.3 | 8.5 | 12.3 |
| 에스토니아 | 78.2 | 15.2 | 6.6 |
| 폴란드 | 77.6 | 20.2 | 2.3 |
| 슬로바키아 | 73.8 | 13.8 | 12.4 |
| 스페인 | 73.1 | 23.0 | 4.0 |
| 인도네시아 | 70.7 | 29.3 | |
| 네덜란드 | 70.5 | 15.6 | 13.9 |
| OECD 평균 | 69.7 | 21.7 | 10.0 |
| 멕시코 | 69.7 | 30.0 | 0.3 |
| 이탈리아 | 66.0 | 26.5 | 7.5 |
| 라트비아 | 63.6 | 36.2 | 0.2 |
| 러시아 | 63.5 | 23.8 | 12.7 |
| 영국 | 56.9 | 19.3 | 23.8 |
| 캐나다 | 54.9 | 23.4 | 21.7 |
| 헝가리 | 54.4 | 45.6 | |
| 포르투갈 | 54.3 | 35.0 | 10.8 |
| 이스라엘 | 52.4 | 29.6 | 18.0 |
| 뉴질랜드 | 52.4 | 33.1 | 14.5 |
| 오스트레일리아 | 44.9 | 40.0 | 15.0 |
| 콜롬비아 | 42.6 | 57.4 | 0.0 |
| 미국 | 37.8 | 45.8 | 16.4 |
| 칠레 | 34.6 | 54.8 | 10.7 |
| 일본 | 34.3 | 51.6 | 14.1 |
| 대한민국 | 29.3 | 42.1 | 28.6 |
OECD 평균적으로 고등 교육 비용의 약 70%는 공적 자금, 22%는 가계, 10%는 기타 민간 부문(기부 등)에서 부담한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경우 공적 부담 비율이 29.3%로 OECD 평균에 크게 못 미치며, 가계 부담 비율은 42.1%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이는 일본(가계 부담 51.6%), 칠레(54.8%), 콜롬비아(57.4%) 등과 함께 가계의 학비 부담이 큰 국가 그룹에 속함을 보여준다. 반면, 핀란드, 노르웨이 등 북유럽 국가는 공적 부담 비율이 96%를 넘는다.
다음은 주요 국가의 대학 첫해 납부액(입학금+수업료) 평균을 엔화로 비교한 자료이다.[21]
| 국가 | 구분 | 평균 납부액 (¥) | 기준 연도 |
|---|---|---|---|
| 미국 | 주립 4년제 | 61만엔 | 2009년 |
| 미국 | 주립 2년제 | 23만엔 | 2009년 |
| 영국 | 국립 | 43만엔 | 2011년 |
| 독일 | 주립 | 24만엔 | 2012년 |
| 프랑스 | 국립 | 2만엔 | 2010년 |
| 대한민국 | 국공립 | 16만엔 ~ 75만엔 | 2011년 |
| 일본 | 국립 | 82만엔 | 2013년 추정[21] |
| 일본 | 공립 | 93만엔 | |
| 포르투갈 | 공립 | 약 12만엔 (901.23 EUR) | 2007년 |
| 스페인 | 공립 | 단위당 14.97 EUR (연간 상이) | 2010년[22] |
| 스페인 | 사립 | 최대 약 240만엔 (1.8만유로/년) | 2010년[21] |
| 오스트레일리아 | 국공립 | 약 42만엔 (5242 AUD) | 2003년 |
- 오스트레일리아: 호주 정부는 시민권자에게 대학 및 대학원 학비를 전액 대출해주는 HECS (Higher Education Contribution Scheme) 제도를 운영한다. 1인당 최대 112134AUD까지 대출 가능하며, 졸업 후 소득에 연동하여 10~20년에 걸쳐 상환한다.[21]
다치바나기 토시아키와 야기 타다시의 연구에 따르면, 일본 국립대학의 학비는 다른 선진국과 비교해도 매우 높은 수준이며, 이는 고등 교육 기회의 경제적 공정성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된다.[21] 이는 위에 제시된 OECD 가계 부담 비율 통계와도 일치하는 경향을 보인다. 대한민국 역시 국공립 대학의 학비 부담이 상당하며, OECD 국가 중 가계 부담 비율이 최상위권에 속한다.
3. 4. 학생 국적 및 거주 자격
일부 국가에서는 학생의 국적이나 거주 자격에 따라 학비에 차등을 둔다.독일의 경우, 대부분의 대학교는 주에서 자금을 지원받아 등록금을 부과하지 않지만, 일부 지방 정부는 최근 비EU 국가 출신 학생에게 등록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ERASMUS 학생, 개발도상국 출신 학생 등 특정 그룹은 면제 대상이다.[6][7]
모든 북유럽 국가는 자국 시민에게 고등 교육을 무료로 제공하며, 교육 시스템은 거의 전적으로 공공 자금으로 운영된다. 이는 교육을 상품이 아닌 시민적, 정치적 권리이자 공공 서비스로 여기며, 평등의 문제로 간주하기 때문이다.[8] 그리스 역시 학사 수준 및 일부 석사 수준의 교육을 모든 그리스 시민에게 세금으로 무료 제공한다.
미국에서는 학생의 거주 자격이 학비에 큰 영향을 미친다. 2013년 3월 기준으로, 대부분의 주에서 불법체류 학생들은 해당 주 거주민에게 적용되는 학비보다 훨씬 높은 타 주 출신 학생 학비(일반적으로 연간 2만달러에서 3.5만달러 사이)를 내야 했다. 또한 유효한 사회 보장 번호가 없어 연방 정부의 재정 지원도 받을 수 없다. 이러한 학생들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 출신인 경우가 많아, 높은 학비는 미국 대학 교육의 큰 장벽으로 작용한다.[15]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상원에는 미성년 불법 체류자 교육 지원법안(DREAM Act)이 발의되었다. 이 법안은 약 5만에서 6만 5천 명으로 추산되는 미국 내 불법 체류 학생들이 주 내 학비를 적용받고 미국 시민권 취득의 길을 열어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법안 적용 대상은 18세 이전에 미국 내 거주 증명이 있는 학생으로 제한된다. 이 법안은 교육계, 시민 사회 등 다양한 집단에서 논쟁을 일으켰다.[15]
4. 국가별 학비 현황
남아프리카 공화국, 미국, 영국 등 여러 국가에서는 학부모나 법적 보호자가 자녀의 고등 교육 비용 일부를 미리 부담하도록 하는 "선불 학비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3] 이러한 정책은 등록금이 상당히 높아 저소득층 학생이 보조금이나 학자금 대출 없이는 대학에 다니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3]
| 국가 | 평균 등록금 (€) |
|---|---|
| 크로아티아 | 68EUR |
| 프랑스 | 260EUR |
| 알바니아 | 318EUR |
| 북마케도니아 | 424EUR |
| 아이슬란드 | 611EUR |
| 룩셈부르크 | 800EUR |
| 불가리아 | 818EUR |
| 벨기에 | 922EUR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1023EUR |
| 포르투갈 | 1063EUR |
| 스페인 | 1479EUR |
| 리히텐슈타인 | 1638EUR |
| 네덜란드 | 2060EUR |
| 세르비아 | 2186EUR |
| 이탈리아 | 2428EUR |
| 아일랜드 | 3000EUR |
| 스위스 | 3499EUR |
| 북아일랜드[4] | 4670EUR |
| 라트비아 | 5500EUR |
| 루마니아 | 5917EUR |
| 웨일스[4] | 10104EUR |
| 잉글랜드[4] | 10385EUR |
| 영국[4] | 10385EUR |
| 리투아니아 | 11750EUR |
| 헝가리 | 14906EUR |
유럽에서는 많은 국가들이 첫 번째 학위 과정에 대해 학비를 받지 않는다. 오스트리아, 키프로스, 체코,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독일, 그리스, 몰타, 몬테네그로, 노르웨이, 폴란드, 스코틀랜드,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웨덴, 터키 등이 대표적이다.[5] 특히 북유럽 국가들은 교육을 시민적, 정치적 권리이자 공공 서비스로 간주하여, 자국민에게 고등 교육을 무료로 제공하고 교육 시스템 대부분을 공공 재정으로 운영한다. 이는 교육 평등을 중시하고, 높은 수준의 교육이 사회 전체 발전에 기여한다는 믿음에 기반한다.[8]
반면, 학비를 부과하는 국가들도 있다. 헝가리의 공립 대학 연간 등록금은 최대 15000EUR에 달할 수 있으나, 실제 등록금을 내는 학생은 약 32%이며 평균 납부액은 1차 학위 과정 기준 연간 1428EUR 수준이다. 장학금 기회도 존재한다.[5] 리투아니아는 최대 등록금이 약 12000EUR이며, 학생의 37%가 등록금을 지불한다.[5] 영국은 1998년 등록금 제도를 도입한 이후 상한액이 꾸준히 인상되어, 현재 영국 대부분 지역에서 연간 9000GBP (10000EUR 이상) 수준이다. 다만, 정부는 저소득층 지원 정책을 통해 대학 접근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스코틀랜드와 웨일스는 등록금을 폐지했다.[5] 프랑스는 공립 대학의 학비를 학위 과정별로 제한하고 있지만(학사 연간 183EUR, 박사 연간 388EUR), 자율권을 가진 일부 공립대나 사립대는 더 높은 학비를 부과한다. 독일은 대부분의 공립 대학에서 학비를 받지 않지만, 일부 전문 과정이나 비EU 출신 학생에게 예외적으로 부과하는 경우가 있다.[6][7] 그리스는 그리스 시민에게 학사 및 일부 석사 과정을 무료로 제공하며, 범헬레닉 시험 성적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스페인의 학비는 중앙 정부 기준에 따라 각 자치 공동체가 결정한다.[9]
아래 표는 OECD 국가들의 2012년 기준 학생 1인당 교육 기관 지출 비용(공공 및 민간 부담 포함, PPP 미 달러 기준)을 보여준다. 국가별, 교육 단계별로 지출 규모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국가 (가나다순) | 교육 단계 | |||||||||
|---|---|---|---|---|---|---|---|---|---|---|
| 초등 교육 | 중등 교육 | 중등 이후 고등 이전 교육 | 제3기 교육 (연구 개발 포함) | 제3기 전체 (연구 개발 제외) | 초등부터 제3기까지 (연구 개발 포함) | |||||
| 전기 중등 | 후기 중등 | 전기와 후기 | 단기 과정 | 학사 과정 | 전체 | |||||
| 아이슬란드 | 10003USD | 10706USD | 7541USD | 8724USD | 11140USD | 9665USD | 9373USD | 9377USD | 자료 없음 | 10287USD |
| 아일랜드 | 8681USD | 11087USD | 11564USD | 11298USD | 12856USD | 14922USD | 11418USD | 10740USD | ||
| 미국 | 11030USD | 11856USD | 13059USD | 12442USD | 26562USD | 23706USD | 15494USD | |||
| 영국 | 10017USD | 10271USD | 9963USD | 10085USD | 자료 없음 | 24338USD | 18593USD | 12084USD | ||
| 이스라엘 | 6931USD | 5689USD | 2326USD | 6366USD | 13777USD | 12338USD | 7710USD | 7903USD | ||
| 이탈리아 | 7924USD | 8905USD | 8684USD | 8774USD | 자료 없음 | 자료 없음 | 10071USD | 10071USD | 6369USD | 8744USD |
| 에스토니아 | 5668USD | 6524USD | 7013USD | 6791USD | 7478USD | 자료 없음 | 8206USD | 8206USD | 4690USD | 6878USD |
| 오스트레일리아 | 7705USD | 10574USD | 9581USD | 10165USD | 6379USD | 8267USD | 18795USD | 16859USD | 10455USD | 10347USD |
| 오스트리아 | 9563USD | 13632USD | 14013USD | 13806USD | 5212USD | 15071USD | 15641USD | 15549USD | 11616USD | 13189USD |
| 네덜란드 | 8185USD | 12227USD | 12368USD | 12296USD | 11554USD | 11580USD | 19305USD | 19276USD | 12505USD | 12211USD |
| 캐나다 | 9680USD | 11695USD | 자료 없음 | 자료 없음 | 15348USD | 25525USD | 22006USD | 15788USD | 자료 없음 | |
| 대한민국 | 7395USD | 7008USD | 9651USD | 8355USD | 자료 없음 | 5540USD | 11173USD | 9866USD | 8026USD | 9569USD |
| 스위스 | 13889USD | 16370USD | 17024USD | 16731USD | 후기 중등에 포함 | 25264USD | 11632USD | 17485USD | ||
| 스웨덴 | 10312USD | 10966USD | 11329USD | 11177USD | 3610USD | 5897USD | 24025USD | 22534USD | 10589USD | 12742USD |
| 스페인 | 7111USD | 9137USD | 9145USD | 9141USD | 후기 중등에 포함 | 9394USD | 13040USD | 12356USD | 8983USD | 9040USD |
| 슬로바키아 | 5415USD | 5283USD | 5027USD | 5152USD | 후기 중등에 포함 | 9022USD | 9022USD | 6191USD | 6072USD | |
| 슬로베니아 | 9015USD | 9802USD | 6898USD | 8022USD | 후기 중등에 포함 | 6874USD | 11615USD | 11002USD | 8888USD | 9031USD |
| 체코 | 4728USD | 7902USD | 7119USD | 7469USD | 2445USD | 16645USD | 10304USD | 10319USD | 6807USD | 7684USD |
| 칠레 | 4476USD | 4312USD | 3706USD | 3909USD | 자료 없음 | 4186USD | 9409USD | 7960USD | 7600USD | 5235USD |
| 덴마크 | 10953USD | 11460USD | 9959USD | 10632USD | 자료 없음 | 자료 없음 | 자료 없음 | 자료 없음 | 자료 없음 | 자료 없음 |
| 독일 | 7749USD | 9521USD | 12599USD | 10650USD | 10041USD | 8265USD | 17159USD | 17157USD | 10025USD | 11363USD |
| 튀르키예 | 2577USD | 2448USD | 3524USD | 2904USD | 자료 없음 | 7779USD | 5557USD | 3514USD | ||
| 일본 | 8595USD | 9976USD | 10360USD | 10170USD | 후기 중등과 제3기에 포함 | 10532USD | 18557USD | 16872USD | 자료 없음 | 11671USD |
| 뉴질랜드 | 7069USD | 8644USD | 10262USD | 9409USD | 9542USD | 10289USD | 14543USD | 13740USD | 10841USD | 9443USD |
| 노르웨이 | 12728USD | 13373USD | 15248USD | 14450USD | 후기 중등에 포함 | 20016USD | 20016USD | 12010USD | 15497USD | |
| 헝가리 | 4370USD | 4459USD | 4386USD | 4419USD | 3698USD | 2897USD | 9658USD | 8876USD | 7405USD | 5564USD |
| 핀란드 | 8316USD | 12909USD | 8599USD | 9985USD | 후기 중등에 포함 | 자료 없음 | 17863USD | 17863USD | 10728USD | 11030USD |
| 프랑스 | 7013USD | 9588USD | 13070USD | 11046USD | 자료 없음 | 12346USD | 16279USD | 15281USD | 10361USD | 10450USD |
| 벨기에 | 9581USD | 11670USD | 12210USD | 12025USD | 후기 중등에 포함 | 8212USD | 15785USD | 15503USD | 10156USD | 12135USD |
| 폴란드 | 6721USD | 6682USD | 6419USD | 6540USD | 자료 없음 | 8229USD | 9811USD | 9799USD | 7692USD | 7398USD |
| 포르투갈 | 6105USD | 8524USD | 8888USD | 8691USD | 후기 중등과 제3기에 포함 | 자료 없음 | 9196USD | 9196USD | 4917USD | 7952USD |
| 멕시코 | 2632USD | 2367USD | 4160USD | 3007USD | 자료 없음 | 8115USD | 6647USD | 3509USD | ||
| 룩셈부르크 | 20020USD | 20247USD | 20962USD | 20617USD | 1257USD | 3749USD | 34739USD | 32876USD | 21358USD | 22545USD |
| OECD 평균 | 8247USD | 9627USD | 9876USD | 9518USD | 6734USD | 8968USD | 15111USD | 15028USD | 10309USD | 10220USD |
| EU21개국 평균 | 8372USD | 10040USD | 10011USD | 9931USD | 6461USD | 9097USD | 14807USD | 14955USD | 9963USD | 10361USD |
4. 1. 대한민국
OECD가 2015년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2년 기준 대한민국의 학생 1인당 교육 기관 지출 비용(공비 및 사비, PPP 미 달러)은 다음과 같다.| 교육 단계 | 지출 비용 |
|---|---|
| 초등 교육 | 7395USD |
| 중등 교육 (전기) | 7008USD |
| 중등 교육 (후기) | 9651USD |
| 중등 교육 (전체 평균) | 8355USD |
| 제3기 교육 (단기 과정) | 5540USD |
| 제3기 교육 (학사 과정) | 11173USD |
| 제3기 교육 (전체 평균) | 9866USD |
| 제3기 전체 (연구 개발 제외) | 8026USD |
| 초등부터 제3기까지 (연구 개발 포함) | 9569USD |
한편, 일본의 관련 자료에서는 서울시립대학교의 학비 인하 사례를 언급하기도 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학비 반액화 운동의 결과로 서울시립대학교의 연간 수업료가 33만엔에서 17만엔으로 인하되었으며, 장학금 제도를 활용할 경우 7만엔까지 낮아질 수 있다고 소개되었다.
4. 2. 미국
미국의 대학 등록금은 고등 교육 이후 발생하는 비용 중 하나이다. 대학에서 드는 총비용은 일반적으로 수업료 외에도 기숙사비, 교재비, 교통비 등 시설 이용료를 포함한다. 주(State) 거주 학생에게는 상대적으로 낮은 학비(in-state tuition|인-스테이트 튜이션영어)를, 타 주 출신 학생이나 유학생에게는 더 높은 학비(out-of-state tuition|아웃-오브-스테이트 튜이션영어)를 부과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주립 대학교가 사립 대학교보다 학비가 저렴한 경향이 있다.미국은 학생 대출을 포함한 지원책을 통해 고등 교육 접근성을 높이고자 정부가 대학에 학비를 선지급하고 학생이 나중에 정부에 대출금을 상환하는 제도를 시행한다. 이는 1993년 빌 클린턴 행정부 시기 미국 의회를 통과한 '학생 대출 개혁' 법안에 따른다.[19][20] 그러나 이 제도가 도입된 이후, 대학들이 재정 확보를 이유로 학비를 크게 인상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일부 사립 대학의 연간 평균 학비는 8000만원에 육박할 정도로 높아졌다.[19]
학비 급등은 심각한 학자금 대출 상환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평균 상환 기간이 19년을 넘어서고, 10만달러 이상의 대출을 안고 있는 사람이 200만 명에 달하며, 심지어 60세가 넘어서도 학자금 대출을 갚고 있는 고령자가 300만 명에 이르는 상황이다.[20]
한편, 미국 내 불법 체류 학생 문제도 학비와 관련하여 중요한 쟁점이다. 미국 상원에는 미성년 불법 체류자 교육 지원법안(DREAM Act)이 발의된 바 있다. 이 법안은 약 5만에서 6만 5천 명으로 추산되는 불법 체류 학생들이 주 내 학비를 적용받고 미국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는 것을 목표로 하며, 18세 이전에 미국에 거주했다는 증거가 있는 학생에게만 적용된다. 이 법안은 교육계와 정치권 등에서 많은 논쟁을 낳았다.
2013년 3월 기준으로, 대부분의 주에서 불법 체류 학생들은 공립 대학에 진학할 경우 더 비싼 타 주 출신 학생 학비(일반적으로 연간 2만달러에서 3.5만달러 사이)를 내야 했다. 또한 유효한 사회 보장 번호가 없어 연방 정부의 학자금 지원도 받을 수 없었다. 이들 중 상당수가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 출신이기 때문에, 높은 학비는 미국 대학 교육의 문턱을 더욱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15]
아래는 OECD 국가들의 2012년 기준 학생 1인당 교육기관(공공 및 민간) 지출 비용을 비교한 표이다. 미국은 제3기 교육(대학 이상) 지출에서 OECD 평균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을 보인다.
| 국가 (가나다순) | 교육 단계 | |||||||||
|---|---|---|---|---|---|---|---|---|---|---|
| 초등 교육 | 중등 교육 | 중등 이후 고등 이전 교육 | 제3기 교육 (연구 개발 포함) | 제3기 전체 (연구 개발 제외) | 초등부터 제3기까지 (연구 개발 포함) | |||||
| 전기 중등 | 후기 중등 | 전기와 후기 | 단기 과정 | 학사 과정 | 전체 | |||||
| 아이슬란드 | 10,003 | 10,706 | 7,541 | 8,724 | 11,140 | 9,665 | 9,373 | 9,377 | 자료 없음 | 10,287 |
| 아일랜드 | 8,681 | 11,087 | 11,564 | 11,298 | 12,856 | 14,922 | 11,418 | 10,740 | ||
| 미국 | 11,030 | 11,856 | 13,059 | 12,442 | colspan=4>26,562 | 23,706 | 15,494 | |||
| 영국 | 10,017 | 10,271 | 9,963 | 10,085 | 자료 없음 | 24,338 | 18,593 | 12,084 | ||
| 이스라엘 | 6,931 | 5,689 | 2,326 | 6,366 | 13,777 | 12,338 | 7,710 | 7,903 | ||
| 이탈리아 | 7,924 | 8,905 | 8,684 | 8,774 | 자료 없음 | 자료 없음 | 10,071 | 10,071 | 6,369 | 8,744 |
| 에스토니아 | 5,668 | 6,524 | 7,013 | 6,791 | 7,478 | 자료 없음 | 8,206 | 8,206 | 4,690 | 6,878 |
| 오스트레일리아 | 7,705 | 10,574 | 9,581 | 10,165 | 6,379 | 8,267 | 18,795 | 16,859 | 10,455 | 10,347 |
| 오스트리아 | 9,563 | 13,632 | 14,013 | 13,806 | 5,212 | 15,071 | 15,641 | 15,549 | 11,616 | 13,189 |
| 네덜란드 | 8,185 | 12,227 | 12,368 | 12,296 | 11,554 | 11,580 | 19,305 | 19,276 | 12,505 | 12,211 |
| 캐나다 | 9,680 | 11,695 | 자료 없음 | 자료 없음 | 15,348 | 25,525 | 22,006 | 15,788 | 자료 없음 | |
| 대한민국 | 7,395 | 7,008 | 9,651 | 8,355 | 자료 없음 | 5,540 | 11,173 | 9,866 | 8,026 | 9,569 |
| 스위스 | 13,889 | 16,370 | 17,024 | 16,731 | 후기 중등에 포함 | 25,264 | 11,632 | 17,485 | ||
| 스웨덴 | 10,312 | 10,966 | 11,329 | 11,177 | 3,610 | 5,897 | 24,025 | 22,534 | 10,589 | 12,742 |
| 스페인 | 7,111 | 9,137 | 9,145 | 9,141 | 후기 중등에 포함 | 9,394 | 13,040 | 12,356 | 8,983 | 9,040 |
| 슬로바키아 | 5,415 | 5,283 | 5,027 | 5,152 | 후기 중등에 포함 | 9,022 | 9,022 | 6,191 | 6,072 | |
| 슬로베니아 | 9,015 | 9,802 | 6,898 | 8,022 | 후기 중등에 포함 | 6,874 | 11,615 | 11,002 | 8,888 | 9,031 |
| 체코 | 4,728 | 7,902 | 7,119 | 7,469 | 2,445 | 16,645 | 10,304 | 10,319 | 6,807 | 7,684 |
| 칠레 | 4,476 | 4,312 | 3,706 | 3,909 | 자료 없음 | 4,186 | 9,409 | 7,960 | 7,600 | 5,235 |
| 덴마크 | 10,953 | 11,460 | 9,959 | 10,632 | 자료 없음 | 자료 없음 | 자료 없음 | 자료 없음 | 자료 없음 | 자료 없음 |
| 독일 | 7,749 | 9,521 | 12,599 | 10,650 | 10,041 | 8,265 | 17,159 | 17,157 | 10,025 | 11,363 |
| 튀르키예 | 2,577 | 2,448 | 3,524 | 2,904 | 자료 없음 | 7,779 | 5,557 | 3,514 | ||
| 일본 | 8,595 | 9,976 | 10,360 | 10,170 | 후기 중등과 제3기에 포함 | 10,532 | 18,557 | 16,872 | 자료 없음 | 11,671 |
| 뉴질랜드 | 7,069 | 8,644 | 10,262 | 9,409 | 9,542 | 10,289 | 14,543 | 13,740 | 10,841 | 9,443 |
| 노르웨이 | 12,728 | 13,373 | 15,248 | 14,450 | 후기 중등에 포함 | 20,016 | 20,016 | 12,010 | 15,497 | |
| 헝가리 | 4,370 | 4,459 | 4,386 | 4,419 | 3,698 | 2,897 | 9,658 | 8,876 | 7,405 | 5,564 |
| 핀란드 | 8,316 | 12,909 | 8,599 | 9,985 | 후기 중등에 포함 | 자료 없음 | 17,863 | 17,863 | 10,728 | 11,030 |
| 프랑스 | 7,013 | 9,588 | 13,070 | 11,046 | 자료 없음 | 12,346 | 16,279 | 15,281 | 10,361 | 10,450 |
| 벨기에 | 9,581 | 11,670 | 12,210 | 12,025 | 후기 중등에 포함 | 8,212 | 15,785 | 15,503 | 10,156 | 12,135 |
| 폴란드 | 6,721 | 6,682 | 6,419 | 6,540 | 자료 없음 | 8,229 | 9,811 | 9,799 | 7,692 | 7,398 |
| 포르투갈 | 6,105 | 8,524 | 8,888 | 8,691 | 후기 중등과 제3기에 포함 | 자료 없음 | 9,196 | 9,196 | 4,917 | 7,952 |
| 멕시코 | 2,632 | 2,367 | 4,160 | 3,007 | 자료 없음 | 8,115 | 6,647 | 3,509 | ||
| 룩셈부르크 | 20,020 | 20,247 | 20,962 | 20,617 | 1,257 | 3,749 | 34,739 | 32,876 | 21,358 | 22,545 |
| OECD 평균 | 8,247 | 9,627 | 9,876 | 9,518 | 6,734 | 8,968 | 15,111 | 15,028 | 10,309 | 10,220 |
| EU21개국 평균 | 8,372 | 10,040 | 10,011 | 9,931 | 6,461 | 9,097 | 14,807 | 14,955 | 9,963 | 10,361 |
4. 3. 유럽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는 고등 교육의 첫 번째 학위 과정에 대해 학비를 부과하지 않는다. 오스트리아, 키프로스, 체코,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독일, 그리스, 몰타, 몬테네그로, 노르웨이, 폴란드, 스코틀랜드,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웨덴, 터키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5]특히 모든 북유럽 국가는 자국 시민에게 고등 교육을 무료로 제공한다. 북유럽의 교육 시스템은 거의 전적으로 공공 재정으로 운영되며, 교육을 단순한 상품이 아닌 시민적, 정치적 권리이자 공공 서비스로 간주한다. 이러한 접근은 교육 기회의 평등을 중시하며, 높은 수준의 교육이 사회 전체의 발전에 기여한다는 믿음에 바탕을 두고 있다.[8]
독일에서는 거의 모든 대학교와 대부분의 응용과학대학교가 주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등록금을 부과하지 않는다. 다만, 경영학 석사(MBA)와 같은 특정 전문가 과정이나 일부 주(州)에서 비EU 국가 출신 학생에게 등록금을 부과하는 예외적인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ERASMUS 교환 학생, 개발도상국 출신 학생 등 특정 그룹은 면제 대상이 될 수 있다.[6][7] 일부 사립 고등 교육 기관은 등록금 기반으로 운영된다.
프랑스의 공립 대학 등록금은 학위 과정에 따라 상한선이 정해져 있으며, 학사 과정은 연간 183EUR, 박사 과정은 연간 388EUR 수준이다. 그러나 자율적인 지위를 가진 일부 공립 대학이나 모든 사립 대학은 이보다 훨씬 높은 등록금을 책정할 수 있다. 입학금이나 수업료는 없지만, 시설 이용료 등의 명목으로 약 2만 5천 엔에 해당하는 학적 등록료를 납부해야 한다.[21]
영국은 1998년에 처음으로 등록금 제도를 도입했으며, 당시 허용된 최대 금액은 1000GBP였다. 이후 등록금 상한액은 꾸준히 인상되어, 영국 대부분 지역에서 연간 9000GBP(10000EUR 이상) 수준까지 높아졌다. 영국 정부는 특정 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사람에 한해 일반 세금으로 이 등록금을 충당하고, 저소득층의 대학 접근성을 지원한다고 밝히고 있다.[5] 한편, 스코틀랜드와 웨일스는 자체적으로 등록금 제도를 폐지하여 영국 내 다른 지역과 차이를 보인다.[5] 영국 학생들은 정부로부터 학자금 대출을 받을 수 있으나, 별도의 장학금 제도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5]
다른 유럽 국가들의 경우, 헝가리의 공립 대학 연간 등록금은 최대 15000EUR에 달할 수 있지만, 실제로 등록금을 내는 학생은 전체의 32% 정도이며, 이들이 내는 평균 등록금은 1차 학위 과정 기준 연간 1428EUR, 2차 학위 과정 기준 연간 1552EUR이다. 성적 우수자 등을 위한 장학금 기회도 있다.[5] 리투아니아의 경우, 최대 등록금은 약 12000EUR이며, 학생의 37%가 등록금을 지불한다.[5]
그리스에서는 학사 수준의 고등 교육과 일부 석사 수준의 대학원 교육이 그리스 시민에게 무료로 제공된다. 입학은 국가가 관리하는 범헬레닉 시험 성적에 따라 결정된다. 박사 학위 과정도 대부분 무료이지만, 일부 대학에서는 등록금을 부과할 수 있다. 등록금을 내야 하는 사립 대학(κολέγια|콜레기아el)에 진학하거나 해외 유학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다.
스페인의 대학 등록금은 중앙 정부가 설정한 기본 기준에 따라 각 자치 공동체 정부가 법률로 매년 정한다.[9] 2010년 기준 공립 대학은 학점당 14.97EUR 수준이었으며, 사립 대학은 연간 18000EUR까지 부과하기도 한다.[21][22]
다음은 2012년 기준 OECD 국가들의 제3기 교육(고등 교육) 비용 부담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유럽 국가들 사이에서도 공적 부담과 가계 부담 비율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 국가 | 공적 부담 | 가계 부담 | 기타 민간 부담 |
|---|---|---|---|
| 핀란드 | 96.2 | 3.8 | |
| 노르웨이 | 96.1 | 3.3 | 0.6 |
| 오스트리아 | 95.3 | 1.9 | 2.8 |
| 룩셈부르크 | 94.8 | 2.8 | 2.4 |
| 아이슬란드 | 90.6 | 8.7 | 0.7 |
| 벨기에 | 89.9 | 4.9 | 5.2 |
| 스웨덴 | 89.3 | 0.4 | 10.4 |
| 슬로베니아 | 86.1 | 11.4 | 2.5 |
| 독일 | 85.9 | 14.1 | |
| 아일랜드 | 81.8 | 15.8 | 2.4 |
| 튀르키예 | 80.4 | 19.6 | 해당 없음 |
| 프랑스 | 79.8 | 10.6 | 9.6 |
| 체코 | 79.3 | 8.5 | 12.3 |
| 에스토니아 | 78.2 | 15.2 | 6.6 |
| 폴란드 | 77.6 | 20.2 | 2.3 |
| 슬로바키아 | 73.8 | 13.8 | 12.4 |
| 스페인 | 73.1 | 23.0 | 4.0 |
| 네덜란드 | 70.5 | 15.6 | 13.9 |
| OECD 평균 | 69.7 | 21.7 | 10.0 |
| 이탈리아 | 66.0 | 26.5 | 7.5 |
| 라트비아 | 63.6 | 36.2 | 0.2 |
| 영국 | 56.9 | 19.3 | 23.8 |
| 헝가리 | 54.4 | 45.6 | |
| 포르투갈 | 54.3 | 35.0 | 10.8 |
| 출처: OECD (2015), Education at a Glance 2015: OECD Indicators, p. 242. | |||
4. 4. 일본
2005년 내각부의 국민생활백서에 따르면, 한 아이가 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드는 교육비는 528만엔으로 추산한다.[17] 한편, AIU 보험의 추산에 따르면, 유치원부터 대학교까지의 교육 과정에 따라 최소 1345만엔(모두 국·공립)에서 최대 4424만엔(모두 사립, 의학·치학부 포함)이 소요될 수 있다고 한다. 이는 수업료, 교복비, PTA 회비, 급식비, 예체능 학원비, 보조 학습비 등을 포함한 금액이다.=== 의무 교육 ===
공립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의무 교육에 해당하며, 일본국 헌법 제26조 제2항과 학교 교육법 제6조에 따라 수업료는 징수되지 않는다. 그러나 급식비, 수학여행 비용, 교재비 등 일부 비용은 학부모가 부담해야 한다. 일부 학부모는 의무 교육이라는 이유로 이러한 비용 납부를 거부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 후기 중등 교육 ===
고등학교의 경우, 2010년부터 고교 무상화법이 시행되어 공립 고등학교의 수업료는 원칙적으로 무상이다. 단, 고등학교 졸업 후 재입학하거나 수업 연한을 초과하는 학생 등 일부 예외가 있다. 또한, PTA 회비, 동창회비, 수학여행 적립금 등 별도 비용이 징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쿄도립 고등학교는 2009년 입학료 5650JPY과 수업료 12.24만엔을 포함하여 첫해 128050JPY을 납부했지만, 2010년부터는 무상화 대상자는 입학료만 납부하게 되었다. 오사카부립 고등학교 역시 2010년부터 수업료와 냉방 사용료(5400JPY)가 무상화되어 입학료 5500JPY만 납부하게 되었다(2009년 첫해 납입금은 입학료 5500JPY, 수업료 14.440000000000001만엔, 냉방 사용료 5400JPY 포함 154900JPY). 이 외에도 연간 10만엔 전후의 사비 부담과 일본 스포츠 진흥 센터 공제 보험료 부담이 발생한다.
사립 고등학교의 수업료 및 입학금 등은 각 학교가 자율적으로 결정한다. 2006년 문부과학성 조사에 따르면, 사립 고등학교(전일제)의 첫해 평균 납입금은 수업료 346296JPY, 입학금 163902JPY, 시설 설비비 등 181829JPY을 합쳐 총 692027JPY이었다. 2010년 고교 무상화법 시행으로 취학 지원금 제도가 도입되어, 조건을 만족하는 학생은 연 소득에 따라 연간 11.879999999999999만엔에서 23.759999999999998만엔의 지원금을 국비로 받아 수업료에 충당할 수 있게 되었다.
=== 고등 교육 ===
대학교 학비는 국공립 대학과 사립 대학 간에 차이가 있다. 아래는 2011년 기준 4년제 학부의 평균 학생 납부금이다.
| 종류 | 입학금 | 수업료 | 기타 |
|---|---|---|---|
| 국립 대학 | 28.2만엔 | 53.58만엔 | 해당 없음 |
| 공립 대학 | 399058JPY | 535959JPY | 해당 없음 |
| 사립 대학 | 269481JPY | 857763JPY | 187007JPY |
5. 학비 납부 방법
학비 납부를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주요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5. 1. 장학금
장학금은 학비 납부를 위한 여러 방법 중 하나이다. 주로 성적이 우수하거나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 등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학생에게 지급된다.대한민국의 국공립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을 위한 학비 감면 또는 면제 제도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사립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는 이러한 제도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학비 마련이 어려운 학생들은 장학금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다. 성적이 매우 우수한 학생에게는 특대생이나 특별 장학생이라는 이름으로 학비 전액 또는 일부를 면제해주기도 하지만, 혜택을 받는 학생은 소수에 불과하다.
일본의 가나가와 대학에서는 "급비생 시험"이라는 제도를 통해, 합격자에게 4년간 학비 상당액의 장학금과 별도로 자택 외 통학생에게 연간 60만엔의 생활 지원금을 지급하는 사례도 있다.
또한, 특별한 상황에서 학비 지원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이나 2004년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과 같은 큰 재해가 발생했을 때, 일부 대학에서는 피해 학생들의 입학 전형료나 입학금을 면제해 준 사례가 있다.
5. 2. 학자금 보조
학자금 보조는 학생이 학비를 납부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정부나 민간 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재정 지원을 의미한다. 이는 학생들이 교육 기회를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학비를 마련하기 위한 재정 지원의 형태는 다양하며, 주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장학금: 성적이나 특정 조건을 기준으로 학생에게 지급되는 재정 지원으로, 일반적으로 상환 의무가 없다.
- 보조금(Grant): 정부나 특정 기관에서 제공하는 재정 지원으로, 장학금과 유사하게 상환 의무가 없는 경우가 많다. 특정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받을 수 있다.
- 정부 학자금 대출: 정부가 학생들에게 비교적 낮은 이자율로 학비를 빌려주는 제도이다. 교육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지만, 졸업 후 상환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
- 기업 후원 또는 자금 지원: 기업이 사회 공헌이나 인재 양성 차원에서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재정 지원이다.
- 사립 교육 기관 자금 지원: 대학 등 교육 기관 자체 재원으로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재정 지원이다.
이 외에도 가족(부모)의 지원이나 개인적인 저축을 통해 학비를 마련하기도 한다.
5. 3. 학자금 대출
학자금 대출은 학비 마련을 위해 정부나 금융 기관에서 자금을 빌리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졸업 후 일정 기간 동안 빌린 금액을 상환해야 한다.미국의 경우,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인 1993년 93년 포괄 재정 조정법에 포함된 "학생 대출 개혁"을 통해 고등교육 접근성을 높이고자 정부가 대학에 학비를 먼저 지급하고 학생이 나중에 정부에 대출금을 갚는 제도를 도입했다.
그러나 이 제도는 대학들이 자금 확보를 위해 학비를 크게 올리는 결과를 낳았다. 현재 미국 사립 대학의 연간 평균 학비는 약 8000만원까지 상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이러한 급격한 학비 상승은 심각한 학생 대출 상환 문제로 이어졌다.
- 대출금 상환에 걸리는 평균 기간이 19년을 넘어서고 있다.
- 10만달러(약 1억 600만 원) 이상의 학자금 대출을 가진 사람이 200만 명에 달한다.
- 60세가 넘어서도 학자금 대출을 갚고 있는 고령자가 300만 명에 이른다.[20]
5. 4. 기업 후원
기업이 직원의 학비나 연구비를 지원하는 방식도 학비 납부의 한 방법이다.5. 5. 가족 지원
학비를 마련하는 방법 중 하나로 가족, 특히 부모의 지원을 받는 경우가 있다.5. 6. 저축
학비를 마련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로, 개인이나 가족이 미래의 교육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미리 돈을 모아두는 저축 방식이 있다.6. 학비 관련 문제 및 논쟁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므로 중복 제거 원칙에 따라 생략)
6. 1. 학비 인상
미국에서는 학생 대출을 포함한 지원책을 통해 고등 교육 접근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있었다. 1993년 빌 클린턴 행정부는 93년 포괄 재정 조정법에 포함된 "학생 대출 개혁"을 통해 정부가 대학에 학비를 먼저 지급하고 학생이 나중에 정부에 대출금을 갚는 제도를 도입했다.그러나 이 제도는 대학들이 재정 확보를 위해 학비를 크게 올리는 결과를 낳았다. 현재 미국의 사립 대학 연간 평균 학비는 약 8000만원까지 치솟았다.[19]
이러한 급격한 학비 인상은 심각한 학생 대출 상환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6. 2. 학자금 대출 상환 부담
미국에서는 학생 대출을 포함한 지원책을 통해 고등 교육 접근성을 높이고자 정부가 대학에 학비를 먼저 지급하고, 학생이 나중에 정부에 대출금을 갚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 제도는 1993년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 마련된 [https://www.congress.gov/bill/103rd-congress/house-bill/2264 93년 포괄 재정 조정법]에 포함된 [http://ritsumeikeizai.koj.jp/koj_pdfs/44204.pdf "학생 대출 개혁"]에 따른 것이다.그러나 이 제도의 영향으로 대학들은 재정 확보를 위해 학비를 크게 올렸다. 그 결과 미국의 사립 대학 연간 평균 학비는 약 8천만 원 수준까지 치솟았다.[19] 이러한 급격한 학비 인상은 심각한 학생 대출 상환 문제로 이어졌다.
| 항목 | 내용 |
|---|---|
| 평균 상환 기간 | 19년 초과 |
| 10만달러 (약 1억 6백만 원) 초과 대출자 수 | 200만 명 |
| 60세 이상 고령 상환자 수 | 300만 명 |
6. 3. 불법 체류 학생 학비 문제
미국에서는 미국 내 불법 체류 학생의 대학 진학에 있어 학비 문제가 중요한 쟁점으로 다뤄지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미국 상원에서는 DREAM Act가 발의되었다. 이 법안은 약 5만 명에서 6만 5천 명으로 추산되는, 18세 이전에 미국에 거주했다는 증거가 있는 불법 체류 학생들이 출신 주의 주민과 동일한 학비(in-state tuition)를 적용받고, 나아가 미국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이 법안은 교육 기관, 가족, 그리고 상원 내에서도 찬반 논란을 일으켰다.2013년 3월 기준으로, 대부분의 주에서 불법 체류 학생들은 공립 대학에 진학할 경우, 해당 주의 거주민보다 훨씬 높은 타 주 출신 학생에게 부과되는 학비(out-of-state tuition)를 내야 했다. 이는 일반적으로 연간 2만달러에서 3.5만달러에 달하는 금액이다. 더욱이 이 학생들은 유효한 사회 보장 번호가 없기 때문에 연방 정부가 제공하는 학자금 지원 대상에서도 제외된다. 이러한 높은 학비 부담과 정부 지원 부재는 상대적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가정이 많은 불법 체류 학생들에게 큰 장벽으로 작용하며, 결과적으로 미국의 고등 교육 기회를 심각하게 제한하고 있다.[15]
6. 4. 학비 체납 문제
일본에서는 2007년 말 기준으로 공립 학교의 학비 체납액이 약 5.8952억엔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 이러한 학비 체납은 과거에 비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체납의 주요 원인으로는 '학부모의 경제적인 어려움'과 '도덕성 저하'가 꼽힌다. 특히, 체납이 늘어나는 배경에는 '도덕성 저하'의 영향이 크다는 의견도 있다.[18]급식비 체납 문제에 대해서는 급식#학교 급식비 문제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7. 역사
중세 유럽에서 대학교는 주로 로마 가톨릭교회의 기관이었으며, 성직자 양성을 주된 목적으로 했기 때문에 대부분 학생들에게 학비를 부과하지 않았다. 하지만 12세기 파리 대학교에서는 피에르 르 망제르의 감독 아래 주당 2수의 등록금을 징수한 예외적인 사례도 있었다.
이후 개신교 국가들에서는 대학교의 주요 임무가 미래의 공무원을 양성하는 것으로 변화했다. 국가는 유능한 인재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했으므로, 등록금을 부과하는 것이 국가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류층 출신 학생들은 학업 기간 동안 필요한 생활비 부담 때문에 대학 교육을 받기 어려웠다. 19세기 중반에는 중산층의 대학 입학을 제한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오늘날 일부 제3세계 국가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나타나는데, 공식적인 학비는 '무료'일지라도 음식, 책, 교복 등 교육에 필요한 부대 비용 때문에 일부 어린이들이 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오늘날의 선진 민주주의 국가들 대부분은 초기에 비슷한 등록금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다. 모든 국가의 교육 기관은 등록금을 부과하지 않거나 매우 낮은 수준으로만 부과했다.[2] 그러나 1950년대에 들어서면서 각국의 교육 시스템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미국과 같은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들과 일본 등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는 이미 전후 초기에 상당한 수준의 등록금 제도가 도입되었다.[2] 반면에 스칸디나비아와 유럽 대륙의 다른 국가들은 등록금을 계속 면제하는 정책을 유지했다. 이러한 변화는 고등 교육이 대규모로 확대되던 시기와 동시에 일어났다.
1970년대 초부터 미국에서는 등록금의 평균 비용 상승률이 가구의 평균 소득 증가율을 꾸준히 앞지르기 시작했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1980년대 레이건 행정부의 고등 교육 정책 아래에서 더욱 뚜렷해졌다. 동시에 연방 정부의 보조금 지원은 꾸준히 감소했고, 대부분의 주요 학생 대출 이자율은 상승했다. 이로 인해 많은 졸업생들이 졸업 후 수년 동안 학자금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가 발생했다.
참조
[1]
웹사이트
Fast Facts
https://nces.ed.gov/[...]
2014-01-03
[2]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Higher Education Finance. The Politics of Tuition Fees and Subsidies in OECD countries, 1945-2015"
Palgrave Macmillan
2016
[3]
논문
"Tuition Fee Policies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Theoretical and Political Rationales"
https://www.tandfonl[...]
Taylor & Francis Online
2007
[4]
문서
[5]
뉴스
If not Oxford, then what? How much is studying abroad and what will happen after Brexit
https://www.european[...]
2019-07-12
[6]
웹사이트
Baden-Württemberg: Stuttgarter Landtag beschließt Studiengebühren für Ausländer
http://www.zeit.de/p[...]
2017-05-03
[7]
웹사이트
Internationale Studiengebühren gerecht gestalten
https://www.baden-wu[...]
2018-03-18
[8]
뉴스
Why Finland and Norway still shun university tuition fees – even for international students
https://theconversat[...]
2019-11-20
[9]
웹사이트
Tasas universitarias: el precio de estudiar un grado en España
https://www.newtral.[...]
2021-03-04
[10]
간행물
"Why Tuition Costs Are Rising So Quickly"
https://www.jstor.or[...]
JSTOR
2002
[11]
웹사이트
The Hidden College Cost of Differential Tuition
https://www.appily.c[...]
appily
[12]
문서
America Pays for College 2014
http://news.salliema[...]
Sallie Mae
[13]
논문
"Assessing the Effects of Changing Institutional Aid Policy"
JSTOR
2001
[14]
웹사이트
Trends in College Spending 1998-2008
http://www.deltacost[...]
Delta Cost Project
2013-08-08
[15]
웹사이트
Student Organizations
http://orgs.law.ucla[...]
2018-03-18
[16]
웹사이트
教育費の家計負担は限界か―無理する家計と大学進学
http://kakeiken.org/[...]
家族・家計経済研究センター
[17]
웹사이트
国民生活白書 第2節 教育にかかる費用
https://warp.da.ndl.[...]
© Cabinet Office, Government of Japan
[18]
뉴스
『公立高校の授業料滞納、5億8952万円…読売調査』
読売新聞
2008-04-30
[19]
웹사이트
アメリカを静かに殺す「学生ローン」という爆弾 {{!}} アメリカ
https://toyokeizai.n[...]
2019-12-18
[20]
웹사이트
アメリカを静かに殺す「学生ローン」という爆弾 {{!}} アメリカ
https://toyokeizai.n[...]
2019-12-18
[21]
간행물
経済セミナー No.636
日本評論社
2008-04-01
[22]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um.es/est[...]
[23]
웹사이트
FAQ – Study in Sweden – SWEDEN.SE
http://www.sweden.se[...]
[24]
웹사이트
CIMO - Discover Finland - Practicalities - Costs
http://finland.cimo.[...]
[25]
웹사이트
The Swedish School System
http://www.skolverke[...]
[26]
웹사이트
The Danish School System
http://www.su.d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