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합 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혼합 언어는 언어학에서 '혼성 언어', '접촉 언어', '융합 언어' 등으로 불리며, 여러 언어의 요소가 섞여 나타나는 언어를 의미한다. 혼합 언어는 피진, 크리올 언어, 코드 전환 등과 구별되며, 미치프어, 카파도키아 그리스어, 메디아 렝구아 등이 예시로 제시된다. 혼합 언어의 정의와 범주에 대한 논의는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진행 중이며, 언어의 계통과 분류에 대한 도전을 제기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혼합 언어 - 수르지크어
수르지크어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의 혼합어로, 러시아의 지배로 인한 언어적 동화 과정에서 발생하여 우크라이나의 언어 및 문화적 정체성과 관련된 복잡한 쟁점을 내포한다. - 혼합 언어 - 야니토
야니토는 지브롤터에서 사용되는 구어체 언어로, 안달루시아 스페인어를 기반으로 영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코드 스위칭과 믹싱, 다양한 언어 차용과 칼크, 지역 표현 등이 혼합된 독특한 언어이다. - 언어학 - 에스놀로그
에스놀로그는 세계 언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7,000개 이상의 언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언어의 명칭, 화자 수, 지리적 분포, 언어 계통 등을 포함한다. - 언어학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대규모 언어 모델이 원하는 작업을 정확히 수행하도록 지시사항, 맥락, 입력 데이터 등을 조합하여 최적화된 프롬프트를 설계하는 방법론으로, 컨텍스트 내 학습을 통해 모델의 창발적 능력을 활용하며 텍스트, 이미지, 코드 생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델 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 혼합 언어 | |
|---|---|
| 개요 | |
| 유형 | 언어 접촉 |
| 관련 항목 | 피진 크리올 혼성어 언어 혼합 코데믹스 차용어 언어 사멸 |
| 정의 및 특징 | |
| 정의 | 두 개 이상의 언어로부터 어휘, 문법 등의 요소가 결합되어 형성된 언어 |
| 특징 | 두 개 이상의 언어의 특징을 보임 새로운 문법 구조 형성 가능 특정 사회 집단에서 사용 |
| 이론적 논쟁 | |
| 논쟁점 | 혼합 언어의 존재 여부 및 정의에 대한 논쟁 존재 |
| 주요 관점 | 진정한 혼합 언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언어 접촉의 결과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 |
| 혼합 언어의 예 | |
| 미치프어 | 크리어와 프랑스어의 혼합 |
| 메디아 링구아 | 케추아어와 스페인어의 혼합 |
| 앵글로-로마니어 | 영어와 로마니어의 혼합 |
| 라이어리어 | 바스크어와 스페인어의 혼합 |
| 메스티소-차바카노 | 필리핀 차바카노어의 방언, 스페인어 어휘가 필리핀어 문법과 결합 |
| 추가 정보 | |
| 참고 문헌 | Matras, Yaron; Bakker, Peter (2008). The Mixed Language Debate: Theoretical and Empirical Advances. Walter de Gruyter. Google Books Matras, Yaron (2000). Mixed languages: a functional–communicative approach. Bilingualism: Language and Cognition, 3(2), 79–99. PDF 파일 |
2. 정의 및 개념
언어학에서 혼합 언어는 '혼성 언어', '접촉 언어', '융합 언어'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기도 하며, 과거에는 '자르곤'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했다.[6] 크리올 언어나 피진을 혼합 언어의 한 종류로 보는 학자도 있지만, 단순히 혼합 언어가 될 수 있는 언어 유형으로 보는 학자도 있다.
Thomason (1995)은 혼합 언어를 두 가지 범주로 나누었다. 첫 번째 범주는 어휘뿐 아니라 문법 구조 전반에 걸쳐 지배적인 언어의 강한 영향을 받은 언어이고, 두 번째 범주는 특정 문법 범주에서만 구조적 차용이 일어난 언어이다(Winford 171).
'혼합 언어'와 '뒤섞인 언어'라는 용어는 때때로 혼용된다. 일부 연구자들은 '뒤섞임'이라는 용어를 선호하는데, 이는 '혼합'이 단순히 두 언어 시스템이 섞이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뒤섞임'은 어휘 재구성, 대규모 문법 대체, 재문법화와 같이 어휘나 문법 시스템 자체가 대체되는 과정을 더 잘 나타낸다고 보기 때문이다. 혼합 언어의 문법은 보통 1세대 화자에게 익숙한 언어, 특히 어머니가 사용하는 언어에서 유래하는 경우가 많다고 Arends는 주장한다. 이는 어머니와 자녀 간의 긴밀한 관계 및 해당 언어가 공동체 내에서 널리 사용될 가능성 때문이다.
Arends 등은 뒤섞인 언어를 "한 언어의 어휘 형태소와 다른 언어의 문법 형태소를 가진 언어"로 분류한다. 이 정의에 따르면, 프랑스어 어휘를 사용하지만 크리어의 어휘 및 문법 구조를 유지하는 미치프어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3]
Yaron Matras는 혼합 언어 형성에 관한 세 가지 모델을 제시한다.[7]
# 언어 유지 및 언어 전환 모델: 언어 공동체가 지배적인 언어를 완전히 받아들이는 대신, 기존 언어에 지배 언어의 문법 요소를 광범위하게 차용하여 언어를 유지하려는 경우 발생한다.
# 고유하고 미리 결정된 과정 ("뒤섞임") 모델: Bakker (1997)는 혼합된 인구 집단에서 혼합 언어가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주로 여성 원어민이 제공하는 형태 통사론과 남성(종종 식민지배 세력)이 사용하는 다른 언어의 어휘가 결합되는 식이다. 미치프어는 유럽 남성과 크리족, 나코타족, 오지브웨족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들이 프랑스어와 크리어의 혼합어를 사용하면서 형성된 예시이다.
# 언어 혼합 패턴의 규격화 모델: 언어 혼합이 점차 진행되면서, 언어가 더 이상 두 언어 공동체를 구분하는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하나의 규격화된 패턴으로 자리 잡는 경우이다.
Matras에 따르면, 어휘 재구성은 "어떤 언어적 영역의 의식적인 이동"으로, 화자는 의미 표현(어휘)을 위해서는 한 언어 시스템을, 문법적 관계 구성을 위해서는 다른 언어 시스템을 채택하게 된다. 그 결과 어휘와 문법이 각각의 원천 언어에 따라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난다.[7]
혼합 언어의 정의는 명확하지 않다. 단순히 단어 차용이 많은 것만으로는 혼합 언어로 보기 어렵고, 형태론과 같은 문법 구조에까지 영향을 미쳐야 혼합 언어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지만, 절대적인 기준은 없다. 사실상 모든 언어는 어느 정도 다른 언어와 섞여왔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모든 언어가 혼합 언어의 성격을 지닌다고 볼 수도 있다. 언어의 계통을 특정 어족 이상으로 거슬러 올라가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로, 과거의 조어 자체가 혼합 언어였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인류 역사에서 언어의 혼합과 분화는 끊임없이 반복되어 온 과정으로 추정된다.
2. 1. 다른 언어 혼합과의 차이점
혼합 언어는 피진, 크리올, 코드 전환과 같은 다른 언어 접촉 현상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대부분의 혼합 언어 사용자는 두 개의 원천 언어를 모두 유창하게 구사하며, 심지어 모국어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미치프어(동사-명사 혼합 언어) 사용자는 두 원천 언어 모두에 유창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독특한 사례로 꼽힌다.[8]피진은 주로 무역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이 의사소통을 위해 임시적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언어이다. 크리올은 이러한 피진이 다음 세대에게 모국어로 전승되면서 발달한 언어를 말한다. 크리올은 일반적으로 형태론이 극도로 단순화되는 경향이 있지만, 이와 대조적으로 혼합 언어는 종종 한쪽 또는 양쪽 모 언어의 복잡한 굴절 체계를 그대로 유지한다. 예를 들어, 미치프어는 크리어의 동사구와 프랑스어의 명사구의 복잡성을 각각 보존하고 있다.[9]
또한 혼합 언어는 대규모 어휘 차용 현상과도 구별된다. 예를 들어 중국어에서 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어(시노-제닉)로 유입된 수많은 한자어, 프랑스어에서 영어로 들어온 차용어, 또는 몰타어가 시칠리아어나 이탈리아어에서 많은 어휘를 받아들인 경우 등이 있다. 이러한 대규모 차용의 경우, 차용된 어휘가 많더라도 언어의 기본적인 문법 구조나 핵심 어휘는 비교적 변하지 않는다. 차용어는 주로 추상적이거나 외래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복잡한 형태론적 특징까지 함께 차용되기보다는 원래 언어의 형태론 체계에 통합된다. 만약 몰타어에서 이탈리아어에서 차용한 동사가 아랍어식 활용 규칙이 아닌 이탈리아어식 활용 규칙을 따랐다면, 몰타어는 혼합 언어의 후보가 될 수 있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혼합 언어는 스패니시나 포르투뇰과 같은 코드 전환과도 다르다. 코드 전환은 대화 중에 두 언어를 번갈아 사용하는 현상이지만, 혼합 언어는 일단 형성되면 두 원천 언어의 요소가 특정 문법과 어휘 체계 안에 고정된다. 따라서 혼합 언어 사용자는 해당 언어를 구사하기 위해 반드시 원천 언어들을 알 필요는 없다. 다만 언어학자들은 혼합 언어가 지속적인 코드 전환 환경에서 발생하며, 젊은 세대가 코드 전환 패턴 자체를 하나의 언어 체계로 습득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고 보기도 한다.
프랑글레나 앵글로-로마니와 같은 언어는 혼합 언어가 아니며, 엄밀히 말해 코드 전환의 예시도 아니다. 이들은 특정 상황이나 집단 내에서 사용되는 언어 변이형(register)으로 볼 수 있으며, 영어나 로마니 언어와 같은 제2언어로부터 많은 차용어를 받아들인 특징을 보인다. 중세 영어(현대 영어의 직접적인 조상) 역시 고대 영어에 많은 노르만어 차용어를 받아들이며 발전했지만, 혼합 언어로 분류되지는 않는다.[10]
3. 형성 과정 및 사회적 배경
혼합 언어는 다양한 사회적 배경과 형성 과정을 거쳐 나타난다. 여러 언어의 요소가 결합되는 방식과 그 이유는 각 언어 공동체의 역사적, 사회적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미치프어는 프랑스어의 명사, 숫자, 관사 등과 크리어의 동사, 지시사 등이 결합된 언어이다.[3] 크리어 문법 요소는 대체로 온전하게 유지되는 반면, 프랑스어 요소는 주로 명사구에 한정된다.[11][12] 두 언어의 음운 체계는 미치프어 내에서 독립적으로 유지되지만, 일부 수렴 현상도 관찰된다.[12] 학자들은 미치프어가 메티 공동체가 새로운 사회적 정체성을 표현하려는 필요성에서 등장했다고 본다.[11] 미치프어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1930년대부터 나타난다.[12] 캐나다 생 로랑(St. Laurent)의 메티 부족은 수녀, 사제 등 선교사들로부터 자신들의 언어가 열등하다는 인식을 강요받았으며, 표준 캐나다 프랑스어를 사용하도록 압박받았다. 선교사들은 미치프어를 열등하고 "혼혈"된 언어로 낙인찍었고, 이로 인해 메티 사람들은 미치프어 사용에 열등감과 수치심을 느끼게 되었다. 이러한 억압에도 불구하고 미치프어는 메티 정체성의 상징으로 발전했을 수 있으나, 민족 간 사용은 금기시되기도 했다.[13] 일부 수녀들은 학생들이 미치프어를 잊게 하려고 '토큰 시스템'을 도입하기도 했으나 큰 효과는 없었다.[13]
메드니 알류트어는 알류트어와 러시아어라는 계통적으로 다른 두 언어의 요소가 체계적으로 결합된 혼합 언어이다. 문법과 어휘의 기반은 주로 알류트어에서 왔지만, 유한 동사 형태론은 러시아어에서 유래했다. 알류트어와 러시아어에 모두 능통했던 이중 언어 사용자들이 이 언어를 형성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단순한 피진화 과정과는 다르다. 코드 전환과 의도적인 결정이 언어 발달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으며, 이는 공동체의 새로운 집단 정체성을 반영하려는 동기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2]
마아어(Mbugu)는 쿠시어족 어휘를 기반으로 하지만 문법 구조는 주로 반투어족의 특징을 보인다. 쿠시어족과 반투어족 양쪽에서 유래한 음운, 통사, 형태론적 특징을 공유하지만, 생산적인 문법 구조는 대부분 반투어족에서 파생되었다. 사라 G. 토머슨은 이를 근거로 마아어를 혼합 언어로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마아어는 쿠시어족 공동체가 반투어족 공동체로부터 강한 문화적 압력을 받는 언어 접촉 상황에서, 반투어족 언어의 대규모 간섭을 통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미디어 렝과는 스페인어 어휘와 에콰도르 케추아어 문법(특히 형태론)이 결합된 혼합 언어이다. 거의 모든 어휘소(약 89%)가 스페인어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케추아어 음운론에 맞춰 사용된다.[17][18] 미디어 렝과는 재어휘화 과정을 통해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23] 전통적인 농촌 케추아 문화와 도시 스페인 문화 사이에서 정체성을 찾으려는 '문화 동화된 인디언'들이 자신들의 '민족적 자기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해 발전시킨 내적 언어로 여겨진다.[12]
라이트 왈피리는 왈피리어와 호주 크리올어 또는 영어가 결합된 언어이다. 동사 관련 요소는 주로 크리올어에서, 명사 관련 요소는 왈피리어와 영어에서 가져왔다. 이 언어는 왈피리어와 크리올/영어 사이의 코드 혼합이 정형화되면서 발달했으며, 현재 라이자마누 지역 공동체의 어린이들이 모국어로 습득하고 있다. 라이트 왈피리는 독자적인 문법 체계와 안정성을 갖추고 있어 새로운 언어로 간주된다.[24]
구린지 크리올어는 명사구는 구린지어에서, 동사구는 크리올어에서 가져오는 구조적 분열을 보인다. 이는 대규모의 지속적인 문화적 침투 속에서 원주민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의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카파도키아 그리스어와 키프로스 마론파 아랍어는 각각 튀르키예어와 그리스어로부터 극심한 차용을 겪은 사례이다. 이 언어들은 격렬한 언어 접촉, 광범위한 이중 언어 사용, 그리고 화자들이 지배적인 언어로 전환해야 한다는 강한 압력 속에서 형성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은 미치프어나 메드니 알류트어와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두 언어 모두 유창한 이중 언어 구사 능력을 전제로 형성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40]
카우케 마야어(카치켈-키체 혼합어)는 키체어 문법을 기반으로 카치켈어 어휘를 사용하는 혼합 언어이다.
이처럼 혼합 언어의 형성은 단순히 언어적 요소의 결합을 넘어, 공동체의 정체성 형성, 문화적 압력, 언어 접촉의 강도 등 복합적인 사회적 배경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4. 혼합 언어의 예시
혼합 언어의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미치프어: 명사와 형용사는 프랑스어에서, 동사는 크리어에서 유래했다.
- 카파도키아 그리스어: 대부분의 어휘는 그리스어 어근을 가지지만, 튀르키예어에서 온 어미와 모음조화의 영향을 받았다.
- 메디아 렝구아: 케추아어의 형태와 스페인어 어휘가 혼합되었다.
이 외에도 혼합 언어로 간주될 수 있는 언어들이 있다.
다양한 혼합 언어의 구체적인 특징과 형성 배경, 추가적인 예시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4. 1. 주요 혼합 언어
혼합 언어의 좋은 예는 다음과 같다.- 미치프어: 명사와 형용사는 프랑스어에서 왔으나 동사는 크리어에서 유래했다. 성(性) 체계에서 프랑스어의 여성·남성과 크리어의 유정성·무정성이 동시에 나타나며, 4인칭이 존재한다.[3] 미치프어의 크리어 요소는 문법적으로 온전하게 유지되는 경향이 있지만, 프랑스어 어휘 및 문법은 주로 명사구에 한정되어 나타난다. 명사구에서는 프랑스어의 소유 요소나 관사(정관사/부정관사, 남성/여성, 단수/복수 등)가 명사와 함께 쓰인다.[11][12] 많은 미치프어 화자는 프랑스어와 크리어 요소를 단어의 음운론적, 형태론적 특징을 통해 구별할 수 있다. 두 언어의 음운 체계는 미치프어 내에서 대체로 독립적이지만, 중모음 상승, 치찰음 조화, 모음 길이 변화, 크리어 요소에 프랑스어의 비모음 /æ̃/, /ũ/, /ĩ/가 나타나는 등 일부 수렴 현상도 보인다. 이는 오지브와어의 영향일 수도 있다.[12] 학자들은 메티 다중 언어 공동체에서 새로운 사회적 정체성을 나타내려는 필요성 때문에 미치프어가 등장했다고 본다.[11] 미치프어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1930년대부터 나타난다.[12] 캐나다 원주민 부족인 생 로랑(St. Laurent)의 메티는 수녀, 사제 등 선교사들로부터 표준 캐나다 프랑스어를 강요받으며 자신들의 언어가 열등하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선교사들이 미치프 프랑스어를 열등하고 "섞인" 언어로 낙인찍으면서, 메티는 미치프어 사용에 열등감과 수치심을 느끼기 시작했다. 미치프어는 메티 정체성의 표현으로 등장했을 수 있으나, 민족 간 사용은 금기시되기도 했다.[13] 일부 수녀들은 학생들에게 매주 10개의 토큰을 주고 미치프 프랑스어를 사용할 때마다 반납하게 하는 "토큰 시스템"을 통해 언어 사용을 억제하려 했으나, 큰 효과는 없었다.[13]
- 카파도키아 그리스어: 대부분의 단어는 그리스어 어근을 가지지만, 튀르키예어에서 온 어미와 모음조화 현상을 보인다. 이는 극심한 언어 접촉과 차용의 결과로, 광범위한 이중 언어 사용 및 지배적인 언어(튀르키예어)로 전환하라는 강한 압력 속에서 형성되었다.[23][40] 아나톨리아의 다른 그리스 방언들도 튀르키예어로부터 어휘, 기능어, 파생 형태론, 일부 명사 및 동사 굴절 형태론을 차용한 양상을 보인다.[23]
- 메디아 렝구아: 케추아어의 문법(특히 형태론)과 스페인어 어휘가 결합된 혼합 언어이다. "Chaupi-shimi", "Chaupi-lengua" 등으로도 불린다.[15][16] 어휘의 거의 전부(89%), 심지어 핵심 어휘까지 스페인어에서 유래했으며, 케추아어 음운론을 따른다.[17][18] 어근과 접미사가 명확히 분리되는 특징 때문에 "이중 언어 혼합 언어"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19][20] 이러한 체계적이고 극단적인 차용은 드물며, 미디어 렝과는 일반적으로 케추아어나 스페인어의 변종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살세도 미디어 렝과, 사라고로 미디어 렝과,[3] 임바부라 주의 임바부라 미디어 렝과(피얄 미디어 렝과, 앙글라스 미디어 렝과 포함)[21][22][17] 등의 변종이 있다. 학자들은 미디어 렝과가 주로 재어휘화(relexification)를 통해 발생했다고 본다.[23] 피터르 뮈스컨은 이 언어가 전통적인 농촌 케추아 문화와 도시 스페인 문화 어디에도 완전히 속하지 못하는 "문화적으로 동화된 원주민" 사이에서 민족적 자기 정체성의 필요성으로 발전한 내적 언어(in-group language)일 수 있다고 설명한다.[12]
- 메드니 알류트어: 유형학적으로나 계통적으로 관련 없는 알류트어와 러시아어의 체계적인 요소가 혼합된 언어이다. 문법과 어휘의 기반은 주로 알류트어이지만, 유한 동사 형태론(finite verb morphology)은 거의 전적으로 러시아어에서 유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은 구문 패턴과 유한 동사 복합체에서 주제-수 일치 패턴, 비능격 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알류트어 대명사, 알류트어의 교착어적 시제+수+인칭/수 패턴 등 일부 알류트어 특징도 나타난다. 학자들은 정교한 러시아어 및 알류트어 요소를 고려할 때, 이 언어가 피진 단계 없이 알류트어와 러시아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이중 언어 사용자들의 코드 스위칭과 의도적인 결정을 통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이는 공동체의 새로운 집단 정체성을 반영하려는 동기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12]
- 마아어 (Mbugu): 쿠시어족 어휘를 기반으로 하지만 문법 구조는 주로 반투어족의 영향을 받았다. 쿠시어족 언어와 공유하는 음운 단위(무성 측마찰음 등)와 통사 구조, 파생 과정, 굴절 형태론적 특징도 있지만, 생산적인 비어휘 구조 중 쿠시어족에서 유래한 것은 거의 없다. 사라 G. 토머슨은 마아어가 쿠시어족과 유전적으로 관련이 없으며 혼합 언어로 분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반투어족에서 유래한 생산적인 굴절 구조와 음운 구조(비음화된 유성 파열음, 음소적 성조 등), 명사 분류 체계, 수 범주, 동사 형태 패턴 등을 가지고 있다. 통사 및 파생 패턴은 쿠시어족과 반투어족 기원이 혼재되어 나타난다. 이는 쿠시어족 공동체가 반투어족 언어로부터 강한 문화적 압력을 받아 대규모 간섭이 일어난 결과로 발생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언어 접촉의 사례이다.
- 라이트 왈피리: 화자들은 왈피리어의 한 형태로 간주하며, 동사와 동사 형태론은 주로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에서, 명사와 명사 형태론은 주로 왈피리어와 영어에서 유래했다. 왈피리어와 크리올어 또는 영어 사이의 코드 스위칭을 통해 내부 언어로 발달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현재 라이자마누 지역 어린이들이 왈피리어와 함께 모국어로 배우고 있다. 라이트 왈피리어는 기존 왈피리어 화자의 코드 스위칭과 다른 보조 동사 시스템 사용, 요소 분포의 차이, 모국어로서의 안정성, 각 원천 언어 요소의 일관된 사용 등의 이유로 새로운 언어로 간주된다.[24]
- 구린지 크리올어: 명사구와 동사구 사이에 구조적 분열을 보이는 동사-명사(V-N) 혼합 언어이다. 명사 구조(격 표시 포함)는 구린지어에서, 동사 구조(시제-상-법(TAM) 조동사 포함)는 크리올어에서 유래했다. 미치프어, 라이트 왈피리어와 유사한 유형이다. 이는 대규모 문화적 침투 속에서 원주민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의 결과로 볼 수 있다.
- 키프로스 마론파 아랍어: 아랍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그리스어로부터 극심한 차용(주로 어휘, 형태통사론)을 겪었다.[23] 카파도키아 그리스어와 마찬가지로 격렬한 언어 접촉, 광범위한 이중 언어 사용, 지배 언어로의 전환 압력 속에서 진화했다.[40]
그 외에 혼합 언어로 간주될 수 있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
4. 2. 기타 혼합 언어
혼합 언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일부는 명확한 혼합 언어로 분류되며, 일부는 혼합 언어로 간주될 수 있다.| 언어 이름 | 구성 언어 | 주요 특징 / 사용 지역 |
|---|---|---|
| 미치프어 | 크리어 동사 + 프랑스어 명사/형용사 | 프랑스어의 여성·남성과 크리어의 유형성·무형성이 동시에 존재하며, 4인칭이 있다. |
| 카파도키아 그리스어 | 그리스어 어근 + 튀르키예어 어미/모음조화 | 대부분의 낱말은 그리스어 어근을 가지나 튀르키예어의 영향을 받았다. |
| 메디아 렝구아 | 케추아어 형태 + 스페인어 어휘 | 케추아어의 문법 구조에 스페인어 어휘가 결합되었다. |
| 포르투뇰 | 포르투갈어 + 스페인어 | 포르투갈어와 스페인어가 혼합된 형태이다. |
| 수르지크어 | 우크라이나어 + 러시아어 | 우크라이나의 시골 지역 등에서 사용되며, 두 언어가 자유롭게 혼합된다. |
| 카치켈-키체 혼합어 (카우케 마야어) | 키체어 문법 + 카치켈어 어휘 | 과테말라 사카테페케스 주 산타 마리아 카우케 마을에서 사용된다. 1998년 기준 화자 수는 약 2,000명으로 추정된다.[25] |
| 볼제 | 프랑스어 + 스위스 독일어 | 스위스 프리부르의 바스-빌 지구에서 사용된다. |
| 보닌 영어 | 일본어 + 영어 크리올어 | 일본어와 영어 기반 크리올이 혼합되었다. |
| 가달어 (타그달) | 송가이어 기반 + 투아레그어 어휘 | 송가이어를 기반으로 투아레그어 어휘를 주로 사용하며, 혼합어로 간주되기도 한다. |
| 조파라 | 과라니어 + 스페인어 | 스페인어 문법과 어휘 요소를 과라니어에 통합하여 사용한다. |
| 링구아 제랄 아마조니카 / 링구아 제랄 파울리스타 | 투피어 등 원주민 어휘 + 포르투갈어 구조 | 브라질 식민지 시대에 사용된 중요한 역사적 언어이다. |
| 로마브렌어 | 아르메니아어 + 인도아리아어 | 아르메니아어와 인도아리아어 계통 언어가 혼합되었다. |
| 마카사르 말레이어 | 말레이어 + 마카사르어 | 말레이어와 마카사르어의 요소가 혼합되었다. |
| 미싱쉬 | 저지 독일어 문법/발음 등 + 독일어 어휘 | 저지 독일어의 특징과 독일어 어휘를 사용한다. |
| 에로민체라어 | 칼데라쉬 로마니 어휘 + 바스크어 문법/구문 | 파라-로마니 언어의 일종으로, 어휘는 로마니어, 문법은 바스크어에서 가져왔다. |
| 페투 | 덴마크어 문법/의미론 + 독일어 어휘 | 덴마크어의 구조에 독일어 어휘를 사용한다. |
| 라파어 | 타히티어 + 고대 라파어 | 타히티어와 고대 라파어가 혼합되었다. |
| 시칠로-아르베레시어 | 시칠리아어/아르베레시어 어휘 + 아르베레시어 문법 | 시칠리아에서 사용되며, 시칠리아어와 아르베레시어 어휘를 아르베레시어 문법과 섞어 사용한다. |
| 이디시어 | 중고 독일어, 히브리어, 슬라브어 등 다수 언어 요소 혼합 | 막스 바이레이히의 이론에 따르면 여러 언어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결합되었다. |
| 영어 | 로망스어 + 게르만어 | 로망스어와 게르만어의 영향을 받아 혼합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 |
| 메드니 알레우트어 | 알류트어 + 러시아어 | 알류트어와 러시아어가 혼합된 형태이다. |
| 셸타어 | 영어 + 아일랜드어 | 영어와 아일랜드어가 혼합되었다. |
4. 3. 중국어 관련 혼합 언어 (논란의 여지가 있음)
| 혼합 언어 | 기반 언어 |
|---|---|
| 우툰화 | 중국어와 보난어의 혼합[33] |
| 다오어 | 중국어-티베트어 |
| E어 | 좡어군 중 하나와 핑화어의 혼합 |
| 링링 방언과 마오자 방언 | 만다린-먀오어 |
| 탕왕어 | 만다린-산타어 |
| 왁샹어 | 후난어-먀오어 |
| 허저우어 | 위구르어-만다린어 |
| 칭글리시 | 영어와 중국어의 혼합, 특히 2세대 중국인이 사용하는 경우[34] |
| 클란탄 페라나칸 호키엔어 | 호키엔어, 클란탄-파타니 말레이어 및 남부 태국어의 혼합. |
| 필리핀 혼성 호키엔어 | 필리핀 호키엔어, 타갈로그어 및 영어의 혼합. |
5. 논쟁
1861년, 막스 뮐러는 "혼합 언어의 가능성"을 부정했다.[35] 1881년, 윌리엄 D. 휘트니는 언어가 혼합 언어로 증명될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 한 언어가 다른 언어의 형식적 구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직접적으로 채택하는 경우는, 언어 역사가 기록된 기간 동안 언어학 연구자들에게 알려진 바가 없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두 언어 A와 B의 화자들이 하나의 공동체로 융합될 때, 두 언어는 AB로 합쳐지지 않고, 한동안 서로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일반적인 혼합의 법칙에 따라 서로의 자료를 받아들여 수정될 뿐이다. 이를 Ab와 Ba로 부를 수 있을 뿐, AB라고 할 수는 없다. [...] [W]e shall doubtless meet now and then with the claim that such and such a case presents peculiar conditions which separate it from the general class, and that some remote and difficult problem in language-history is to be solved by admitting promiscuous mixture. Any one advancing such a claim, however, does it at his peril; the burden of proof is upon him to show what the peculiar conditions might have been, and how they should have acted to produce the exceptional result; he will be challenged to bring forward some historically authenticated case of analogous results; and his solution, if not rejected altogether, will be looked upon with doubt and misgiving until he shall have complied with these reasonable requirements.[36]
빌헬름 슈미트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혼합 언어에 대한 아이디어를 옹호하는 중요한 인물이었다.[37] 그러나 토마스 세복의 판단에 따르면, 슈미트는 자신의 이론에 대한 "어떠한 증거도" 제시하지 못했다.[38] 마가렛 슐라우흐는 알프레도 트롬베티, 앙투안 메이에, A. 홀로도비치와 같은 저명한 언어학자들이 슈미트의 'Sprachmischung'(언어 혼합) 이론에 대해 제기한 다양한 반론을 요약하여 제시했다.[39]
"혼합 언어"라는 개념을 거부하는 오래되고 광범위한 합의에도 불구하고, 1988년 토마슨과 카우프만은 일부 언어가 공유 계보를 가졌다는 아이디어를 부활시킬 것을 제안했다.[40] 이들의 주장을 신뢰할 만하다고 본 펠리시티 미킨스는[41] 혼합 언어가 일반적으로 두 개의 원천 언어의 융합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주로 철저한 이중 언어 사용 상황에서 나타나 결과적으로 해당 언어를 원천 언어였던 언어 계통 중 어느 쪽에도 분류하기 어렵게 만든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혼합 언어 개념을 되살리려는 이러한 최근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많은 언어학자들은 여전히 회의적인 입장을 보인다. 예를 들어, 반 드리엠은 토마슨과 카우프만이 제시한 예시와 최근에 제안된 다른 예시들을 모두 반박한다.[42] 가장 최근에는 베르스테이그가 혼합 언어의 개념 자체를 거부하며, "혼합 언어라는 범주를 가정할 필요는 전혀 없다"고 주장했다.[43]
언어학자 마르텐 무스는 혼합 언어라는 개념이 거부되는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혼합 언어는 역사 언어학에 도전을 제기하는데, 이러한 언어들은 분류를 거부하기 때문이다. 혼합 언어에 대한 한 가지 입장은 그러한 언어가 존재하지 않으며, 혼합 언어에 대한 주장은 용어의 순진한 사용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혼합 언어의 존재를 받아들이기를 꺼리는 이유는, 그러한 언어가 어떻게 나타날 수 있는지 상상하기 어려웠고, 더욱이 그 존재 자체가 비교 방법과 유전 언어학의 타당성에 위협을 가했기 때문이다."[44]
일본어는 계통이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혼합어라는 설이 제기되기도 한다. 혼합 언어의 정의는 명확하지 않다. 단순히 단어 차용이 많은 것만으로는 혼합 언어라고 보기 어렵고, 형태에까지 영향을 미쳐야 혼합 언어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지만, 절대적인 기준은 없다. 언어는 본질적으로 쉽게 혼합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모든 언어는 논리적으로 혼합 언어일 가능성이 있다. 언어의 계통을 어족 이상으로 거슬러 올라가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로 조어 자체가 혼합 언어였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인류 역사에서 언어의 혼합과 분화는 빈번하게 반복되어 온 것으로 추정된다.
6. 한국어와 혼합 언어
일본어는 계통이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혼합어 설이 있다.
7. 관련 용어
언어학에서 혼합 언어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혼성 언어', '접촉 언어', '융합 언어' 등의 용어가 사용된다. 과거에는 '자르곤'이라는 용어도 비슷한 의미로 쓰였다.[6] 일부 언어학자들은 크리올 언어와 피진을 혼합 언어의 한 종류로 보기도 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크리올과 피진을 완전한 혼합 언어가 될 수 있는 언어의 유형으로만 간주하기도 한다.
토마슨(Thomason, 1995)은 혼합 언어를 두 가지 범주로 나누었다. 범주 1 언어는 어휘뿐 아니라 구조와 문법의 모든 면에서 지배적인 집단의 언어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은 특징을 보인다(Winford 171). 범주 2 언어는 특정 범주에서 구조적인 차용이 균일하게 나타나는, 즉 "구조적 차용의 범주적 특이성"을 보인다(Winford).
'혼합 언어'와 '뒤섞인 언어'라는 용어는 일부 연구자들에게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일부 학자들은 '혼합'이라는 단어가 단순히 두 시스템이 섞이는 것을 의미하고 "어휘 또는 문법 시스템의 대체"를 시사하지 않기 때문에 '뒤섞임'이라는 용어를 선호한다. 혼합 언어의 문법은 보통 1세대 화자에게 익숙한 언어, 아렌즈(Arends)에 따르면 어머니가 사용하는 언어에서 유래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어머니와 자녀 간의 친밀한 관계 및 해당 언어가 공동체 내에서 널리 사용될 가능성 때문이다.
아렌즈 등은 뒤섞인 언어를 "한 언어의 어휘 형태소와 다른 언어의 문법 형태소를 가진 언어"로 분류한다. 이 정의에 따르면, 특정 맥락에서 프랑스어 어휘를 사용하지만 여전히 크리어 어휘와 문법을 사용하는 미치프는 포함되지 않는다.[3]
야론 마트라스(Yaron Matras)는 혼합 언어 형성에 관한 세 가지 모델을 구분한다.[7]
# '''언어 유지 및 언어 전환''': 한 언어 공동체가 새로운 지배 언어를 받아들이지 않고 기존 언어를 유지하되, 지배 언어의 문법 요소를 차용하여 언어를 적응시키는 경우이다.
# '''고유하고 미리 결정된 과정으로서의 뒤섞임''': 바커(Bakker, 1997)는 혼합 언어가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섞여 사는 집단에서 발생한다고 보았다. 언어는 "뒤섞이며", 형태 통사론(주로 여성 원어민 제공)은 다른 언어의 어휘(주로 남성, 종종 식민주의적 맥락에서 사용)와 혼합된다. 예를 들어, 미치프는 유럽인 남성과 크리족, 나코타족, 오지브웨족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들이 프랑스어 어휘와 크리어 문법을 섞어 사용하면서 형성되었다고 설명될 수 있다.
# '''언어 혼합 패턴의 규격화''': 언어 혼합이 진행되면서 언어가 더 이상 두 언어 공동체를 구분하는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점차 잃게 되는 경우이다. 즉, 언어 혼합의 결과로 언어가 더 이상 두 언어 공동체 간의 차별화 수단이 되지 않는다.
마트라스에 따르면, 어휘 재구성은 "언어적 상호작용이 일반적으로 관리, 구성 및 처리되는 언어에서 의미 또는 개념적 표현을 인코딩하는 역할을 하는 언어적 영역의 의식적인 이동"으로 정의된다. 화자는 어떤 의미에서 어휘적 의미(또는 Buhlerian 의미의 용어에서 기호)를 표현하기 위해 한 언어 체계를 채택하고, 어휘 기호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문장, 발언 및 상호 작용 내에서 관계를 구성하기 위해 다른 언어 체계를 채택한다. 그 결과 어휘와 문법은 원어에 따라 분리된다."[7]
혼합 언어는 크리올 언어와 혼동하기 쉽지만 분명히 다르다. 크리올 언어는 피진이 안정화되어 모어 화자들에 의해 사용되면서 발전한 것으로, 형태가 매우 단순화된 특징을 보인다. 반면, 혼합 언어는 모어가 되는 언어의 복잡한 굴절 체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참조
[1]
서적
The Mixed Language Debate: Theoretical and Empirical Advanc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
문서
Zuckermann (2009) p. 48, citing Hjelmslev (1938) and Schuchardt (1884).
[3]
문서
Arends et al. 1994
[4]
간행물
Mixed languages: a functional–communicative approach
http://languageconta[...]
2017-05-15
[5]
문서
According to Google n-gram, the German term Mischsprache is first attested in 1832, and attested in English since 1909.
[6]
웹사이트
jargon, n.1.
OED Online. Oxford U[...]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5-04
[7]
간행물
Mixed Languages: a functional-communicative approach
http://journals.camb[...]
[8]
서적
Pidgins, Creoles and Mixed Languages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5-03-24
[9]
서적
Pidgins, Creoles and Mixed Languages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5
[10]
웹사이트
Middle English Chapter 5.
https://www.csun.edu[...]
[11]
문서
Silva-Corvalán 1997
[12]
문서
Thomason 1997
[13]
웹사이트
Lavalle, Guy
http://iportal.usask[...]
[14]
웹사이트
GENETIC RELATIONSHIP AND THE CASE OF MA'A (MBUGU), Studies in African Linguistics
http://elanguage.net[...]
University of Pittsburgh
[15]
문서
Llanga-shimi is typically a derogatory term used by speakers of Quichua to describe their language. However, it also appears to describe Media Lengua in the Imbabura Communities. It is believed that the term was introduced by Mestizo school teachers to further discredit the indigenous populations
[16]
서적
From peasant struggles to Indian resistance: the Ecuadorian Andes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7]
문서
A Brief Descriptive Grammar of Pijal Media Lengua and an Acoustic Vowel Space Analysis of Pijal Media Lengua and Imbabura Quichua.
http://mspace.lib.um[...]
[18]
서적
Media Lengua
John Benjamins
[19]
서적
Can a mixed language be conventionalised alternational codeswitching?
Mouton de Gruyter
[20]
문서
Gurindji Kriol: A Mixed Language Emerges from Code-switching.
[21]
서적
Mestizaje lingüístico en los Andes: génesis y estructura de una lengua mixta (1era. ed.)
Abya-Yala
[22]
서적
La Media Lengua de Imbabura
Iberoamericana
[23]
문서
Matras & Bakker 2003
[24]
문서
O'Shannessy 2005
[25]
웹사이트
Kaqchikel-K'iche' Mixed Language.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26]
서적
English on the Bonin (Ogasawara) Islands
Duke University Press
[27]
서적
Selected Proceedings of the 38th Annual Conference on African Linguistics
Cascadilla Proceedings Project
[28]
문서
Wurm, Mühlhäusler, & Tryon, Atlas of languag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Pacific, Asia and the Americas, 1996:682.
[29]
간행물
Reo Rapa: A Polynesian Contact Language
2017a
[30]
웹사이트
Arbëresh: Language mixing, translanguaging and possible solutions to issue of maintenance
https://www.academia[...]
[3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Yiddish Language: The Problems and Their Implications
http://www.jstor.org[...]
2024-10-29
[32]
웹사이트
The Jewish Languages of Romance Stock and Their Relation to Earliest Yiddish
http://www.jstor.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4-10-29
[33]
서적
Atlas of Languag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Pacific, Asia, and the Americas
Walter de Gruyter
[34]
간행물
Chinglish and China English
https://www.cambridg[...]
2021-06-16
[35]
문서
Lectures on the Science of Language, 1st series, 6th edition, p. 86
[36]
간행물
'On mixture in language'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Philological Association
1881
[37]
서적
Languages of the Himalayas
2001
[38]
논문
"An examination of the Austroasiatic language family"
1942
[39]
논문
"The Social Basis of Linguistics"
1936
[40]
서적
1988
[41]
서적
2013
[42]
서적
Languages of the Himalayas
2001
[43]
간행물
The myth of the mixed languages
Berlin, De Gruyter
2017
[44]
서적
The Mixed Language Debate: Theoretical and Empirical Advances
2003
[45]
서적
1997
[46]
서적
1994
[47]
서적
1997
[48]
서적
2003
[49]
서적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