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의 교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 그리스의 교육은 초기에는 가정에서 실용적인 목적을 위해 이루어졌으며, 웅변과 무술, 치료 기술 등이 중요하게 여겨졌다. 호메로스 시대에는 공식적인 교육 체계가 없었지만, 켄타우로스 케이론과 같은 개인 교습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헤시오도스 시대에는 성인식이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부족의 전통과 관습을 배우는 과정이 포함되었다. 스파르타는 군사적 효율성을 위해 국가 주도의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여, 엄격한 훈련과 함께 여성 교육에도 힘썼다. 아테네는 솔론의 교육 입법을 시작으로 체계적인 교육을 발전시켰으며, 구 교육 시대에는 체육과 음악을 중시했고, 신 교육 시대에는 소피스트들의 수사학, 논리학 교육이 이루어졌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그리스 문화가 세계로 확산되면서 교육이 범세계적인 형태로 변화했고, 알렉산드리아는 학문 연구의 중심지로 부상했다. 피타고라스는 수학을 통해 교육에 기여했으며, 독특한 교수 방식을 통해 학생들을 가르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그리스 -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부터 로마에 의한 합병까지의 시기로, 그리스인들의 시야 확장과 새로운 헬레니즘 도시로의 이주, 도시 국가들의 연합 노력, 마케도니아와 후계 왕국들의 패권 다툼, 그리고 로마의 개입과 지배로 특징지어진다. - 고대 그리스 - 고대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는 기원전 1200년경 인도유럽어족에서 분기되어 기원전 8세기부터 그리스 문자로 기록된 언어로, 도리아어, 아이올리아어, 이오니아어, 아티카어 등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현대 그리스어의 기원이자 그리스 문학과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교육 및 학술 분야에서 활용된다. - 교육사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교육사 - 중세 대학
중세 대학은 대성당학교와 수도원학교에서 발전하여 전문 성직자 수요 증가에 따라 교수와 학생들의 학문적 길드로 발전, 7자유과 중심의 교과 과정과 학위 제도를 통해 학문적 위계를 확립하고 법학, 신학 등 다양한 학문을 발전시키며 과학 혁명에도 기여한 교육기관이다.
고대 그리스의 교육 | |
---|---|
고대 그리스 교육 | |
![]() | |
특징 | |
유형 | 사립 |
기간 | 기원전 8세기 - 기원후 6세기 |
위치 | 고대 그리스 |
주요 초점 | 시민 양성, 수사학, 철학, 체육 |
주요 인물 |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피타고라스 이소크라테스 알키비아데스 |
개요 | |
목적 | 도덕적, 지적, 신체적 우수성 함양 시민 양성 |
특징 | 사립 교육 성별, 계층에 따른 차등 교육 체육 중시 수사학과 철학 강조 |
교육 단계 | 초기 교육 (7-14세): 읽기, 쓰기, 셈, 시, 음악, 체조 후기 교육 (14-18세): 문법, 수사학, 철학, 과학, 체육 |
주요 교육 기관 | 김나시온 (Gymnasium): 체육 및 지적 훈련 아카데미아 (Academia): 플라톤의 철학 학교 리케이온 (Lyceum): 아리스토텔레스의 학교 |
교육 내용 | 문학: 호메로스의 서사시, 비극, 서정시 철학: 윤리학, 형이상학, 논리학 과학: 수학, 천문학, 의학 체육: 달리기, 레슬링, 원반 던지기, 창 던지기 |
영향 | 서양 교육의 기초 확립 르네상스 시대 인문주의 교육에 영향 현대 자유 교육 (liberal arts education)의 기원 |
교육의 역사적 발전 단계 | |
초기 (기원전 8세기 - 기원전 6세기) | 귀족 자제 중심의 가정 교육 군사 훈련 중시 (스파르타) 시와 음악 교육 (아테네) |
고전 시대 (기원전 5세기 - 기원전 4세기) | 소피스트의 등장: 수사학 교육의 발전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교육 김나시온의 설립과 체육 교육의 강화 |
헬레니즘 시대 (기원전 3세기 - 기원전 1세기) | 교육 기관의 확장 (도서관, 박물관) 과학 및 기술 교육의 발전 코이네 그리스어 사용 |
로마 시대 (기원후 1세기 - 기원후 6세기) | 그리스 교육의 로마 전파 수사학과 법학 교육 중시 기독교 교육의 등장 |
2. 고대 그리스의 초기 교육
고대 그리스의 초기 시기는 폴리스가 형성되기 이전으로,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의 문헌을 통해 교육의 모습을 알 수 있다.
호메로스 이전 시대에는 공식적인 교육 체계가 없었으며,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아에는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거의 없다. 다만, 아킬레스의 훈련과 관련된 내용을 통해 지배 계급은 변론과 무술을 중요하게 여겼음을 알 수 있다. 당시 교육은 실용적인 목적을 추구했으며, 아버지에게 교육의 책임과 권한이 있었다. 또한, 가정에서 감당하기 어려운 교육은 해당 분야의 유명한 사람에게 개인 교습을 받는 형태였다.
헤시오도스의 문헌에는 호메로스 이전 시대의 교육 내용도 담겨 있는데, 주술, 축귀 의식, 야수 숭배 등 원시적인 형태의 교육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 시기에는 성인식이 중요한 교육 과정이었으며, 젊은이들은 격리된 생활과 시련을 통해 성인으로서의 역할과 부족의 전통을 배웠다.
2. 1. 호메로스 시대의 교육
호메로스의 시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아에는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거의 없지만, 일리아드 9권에서 피닉스가 아킬레스에게 아버지의 명으로 변론과 무술을 가르쳤다고 말하는 부분[50]을 통해 당시 지배 계급 자제들의 교육은 웅변술과 무술 훈련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오디세이아 1권의 기록을 보면, 고대 그리스 초기에도 변론이 중요하게 여겨졌음을 알 수 있다.이 시기 교육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교육은 전적으로 실용적인 목적을 추구했다.
- 자녀 교육의 책임과 권한은 전적으로 아버지에게 있었다.
아킬레스가 켄타우로스인 케이론에게서 치료 기술을 배운 사례는 가정 교육 외에 개인 교습도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교육은 학교보다는 교사와 학생 간의 사적인 관계에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2. 2. 헤시오도스 시대의 교육
헤시오도스의 작품에는 주술, 축귀 의식, 야수 숭배 등 원시적 형태의 교육이 나타난다. 이 시기에는 어떤 집단에 새로 가입하는 사람은 그 가입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의식을 거쳐야 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성인식'이었다.[50] 헤시오도스의 작품에 따르면, 성인식에 참가하기 위해 젊은이는 상당 기간 가정을 떠나 격리된 생활을 해야 했다. 이때 젊은이들은 단식, 채찍 맞기 등 여러 종류의 시련을 겪어야 했다. 성인식을 통과하여 성인의 지위에 들면, 성인으로서 행해야 할 여러 역할들을 배웠다. 이 과정에서 부족의 전통과 관습, 금기와 혼례에 대한 사항 등을 배웠다.고대 그리스 사회에서 성인식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당시에는 인간의 행동이나 특정 사람이 부족 전체에 저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인식이 있어, 성인들은 젊은이들에게 부족의 안전을 위한 올바른 행동을 가르치고자 했다. 성인식은 이전에 교육받은 바를 평가할 수 있는 기회였다. 물론 성인식에는 채찍으로 때리거나 단식하는 것과 같이 교육적 의미와는 무관해 보이는 육체적 고통도 있었다. 미신적인 저주에 대한 공포가 점차 사라지고 문화가 발달하면서, 성인식은 관습에 따르는 맹목성을 극복하고 도덕 교육적인 측면으로 변화해 갔다.[50]
3. 스파르타의 교육
고대 그리스의 다른 도시국가와 달리 스파르타에서는 국가가 정하는 훈련을 받지 않으면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가질 수 없었고, 토지 할당도 불가능했다.[51] 스파르타는 신생아 검사를 통해 허약한 아이를 버리거나 농노에게 넘겼고, 합격한 아이는 7세까지 가정에서 양육된 후 국가의 통제를 받았다.
7~8세가 된 남자아이들은 단계별 훈련을 거쳐 18세에 '에페보스(ephebos; 사관후보생)'가 되었다. 에페보스는 비밀리에 농노의 동정을 살피거나 변방 수비 임무를 수행하며 군인으로 복무했고, 이 훈련은 20세까지 이어졌다. 시보 훈련 후 성인 권리를 얻었지만, 완전한 시민권을 얻기 위해서는 10년을 더 기다려야 했다. 시민권 획득 후에도 지속적인 군사 훈련을 받았고, 나이가 들어 능력이 없어질 때까지 전장에 나갈 준비를 해야 했다.
스파르타 교육은 군사적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일상생활은 병영 생활과 다름없이 엄격했고, 남자아이들은 맨발에 홑옷을 입고 거친 음식과 딱딱한 침대에서 생활했다. 매일 수영, 사냥 등 운동과 야외 활동을 했고, 어린 나이부터 '도(徒)', '제대(梯隊)'에 소속되어 엄격한 훈련을 받았다.
제대 내에서 가장 용감하고 재주 있는 청소년은 제대장이 되었고, '에이렌(Eiren)'[52]의 지도 아래 훈련이 이루어졌다. 에이렌 위에는 '파이도노모스(paidonomus)'라는 국가 관료가 있었고, 모든 성인 시민은 아이들을 감독하며 정규 훈련관을 대신할 수 있었다.
스파르타 교육은 개성을 말살했지만, 실제적인 면에서 재치 있고 영리하게 일을 처리하도록 가르치는 세심한 배려도 있었다. 예를 들어, 에이렌은 아이들에게 장작과 채소를 훔쳐오게 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을 가르쳤다. 플루타르코스는 「리쿠르고스 장」에서 이에 대해 언급하며, 군 조직에서 웅변 교육과 문학 교육이 어느 정도 행해졌음을 시사한다.[51]
스파르타 교육은 재치 있고 민첩한 인간을 길렀지만, 삶에 대한 안목이 좁은 시민을 만들었다. 이소크라테스는 보통의 스파르타인들이 글을 읽을 줄 몰랐다고 했지만, 플루타르코스는 실용적인 목적을 위해 글 읽는 것을 배웠다고 언급했다. 글 읽는 것이 중요하지 않았고, 문학과 예술은 교육 체제에서 자리를 차지할 수 없었다는 것은 확실해 보인다. 소피스트인 히파아스는 스파르타인들이 배우는 것은 위인과 영웅의 족보, 도시 건설, 고대 유물뿐이라고 언급했다.
스파르타 교육의 가장 큰 특징은 여성 교육이었다. 다른 도시국가와 달리 여성은 가정 밖에서 자유롭게 생활하며 남자와 거의 다름없는 훈련을 받았다. 이는 용감하고 의지 굳은 남자아이의 어머니로서 부족함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3. 1. 스파르타 교육의 기원과 특징
스파르타의 독특한 교육 체제는 기원전 9세기 리쿠르고스의 입법으로 정립되었다고 알려져 왔으나, 이는 비판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51] 스파르타식 생활 방식은 당시 고대 그리스 세계의 공통적인 현상이었기 때문에, 특정 인물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스파르타는 지리적 특성상 다른 그리스 국가들에 비해 고립되어 오랜 기간 동안 이전의 생활 방식을 유지했다.역사시대에 들어 스파르타를 군사 체제로 만든 급격한 변화는 기원전 9세기가 아닌 기원전 7세기에 일어났다.[51] 기원전 7세기 말경까지 스파르타인들은 다른 도시국가들과 함께 발전하다가, 어떤 이유에서인지 갑자기 사회 발전이 멈췄다. 아르테미스 신전에서 발견된 유물은 당시 예술에 급격한 변화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전 시기 스파르타인들의 활기찬 예술 활동은 사라지고, 올림픽 경기 우승자 명단에서도 스파르타인들의 수가 줄어들었다.
이러한 변화는 스파르타의 인구 구성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스파르타는 지배 계급보다 농노와 원자유민들의 인구가 훨씬 많아 권위적 지배가 필요했다. 스파르타는 국토를 여러 개의 할당지로 분할하고, 각 할당지를 국가 농노의 경작에 의해 중무장 보병(helot)과 그 가족을 부양할 수 있게 하여 사회적, 군사적 문제를 해결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파르타는 군인 국가 건설을 목표로 시민의 생활 방식 전체를 재조직했다. 리쿠르고스였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이러한 개혁을 이끈 인물은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스파르타 전통에 맞는 교육과 훈련을 모든 시민에게 의무적으로 부과했다.

3. 2. 아고게(Agoge)
스파르타에서 군사적 지배는 매우 중요했다. 스파르타는 교육 체제를 극단적인 형태의 군사 훈련소로 구성했는데, 이를 '''아고게'''라고 불렀다.[38] 지적 지식 추구는 사소하게 여겨졌고, 읽기, 쓰기와 같은 학문 학습은 최소한으로 유지되었다. 스파르타 소년의 삶은 거의 전적으로 학교에 헌신했으며, 그 학교는 스파르타 ''팔랑크스''를 만드는 것이 유일한 목적이었다. 스파르타 남성의 정규 교육은 약 7세에 시작되었는데, 이때 국가는 소년을 부모에게서 데려와 또래 소년들과 함께 병영에서 살게 했다.[38] 약 12세까지 소년들은 병영 부대 내에서 생활하며 군사 훈련을 마친 성인 남성 시민에게서 지시를 받았다.[38]교관은 규율과 운동을 강조했고, 학생들에게 음식을 거의 제공하지 않고 최소한의 옷만 입혀 소년들이 식량을 구하고, 훔치고, 극심한 굶주림을 견디는 방법을 배우게 했다. 이는 전쟁에 필요한 기술이었다.[39] 훈련의 첫 단계를 거친 소년들은 체력 훈련과 스포츠 참여가 거의 중단없이 진행되는 두 번째 단계에 들어갔다. 이 단계에서 남성이 약 18세가 될 때까지 부대 내 싸움이 장려되었고, 모의 전투가 수행되었으며, 용감한 행위는 칭찬받고, 비겁함과 불순종은 엄격하게 처벌되었다.[41]
모의 전투 동안 젊은이들은 ''팔랑크스''를 형성했다.[41] 기동 중에 더욱 효율적이기 위해 학생들은 춤과 음악을 훈련받았는데, 이는 그들이 부대로 움직이는 능력을 향상시켰다.[42] ''아고게''의 이 단계가 끝날 무렵, 훈련생들은 헬로트를 사냥하고 죽여야 했다.[37] 발각되면 학생은 징계를 받았다.
학생들은 18세에 ''아고게''를 졸업하고 ''에페보이''라는 칭호를 받았다.[37] 에페보이가 되면 스파르타에 충성을 맹세하고 훈련을 계속하는 사설 단체에 가입했다.[37] 20세가 되면 훈련이 끝나고 스파르타 병사로 간주되었다.[38]
3. 3. 스파르타 여성 교육
스파르타의 여성들은 고대 그리스의 다른 도시국가들과는 다르게 국가의 감독을 받는 정규 교육을 받았다.[43] 스파르타 여성 교육의 상당 부분은 체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약 18세까지 달리기, 레슬링, 원반 던지기, 창 던지기 등을 배웠다.[44] 어린 여성들의 기량은 엘리스의 헤라이아와 같은 연례 경기에서 정기적으로 시험을 받았다.[45] 체육 외에도 어린 소녀들은 알크만과 같은 여행 시인이나 폴리스의 나이 많은 여성들에게 노래, 춤, 악기 연주를 배웠다.[46]스파르타 여성 교육의 목표는 강인한 어머니를 양성하여 스파르타의 방어와 문화에 필수적인 팔랑크스 부대의 힘을 유지하는 것이었다.[47] 이 때문에 여성들은 남성들과 거의 비슷한 훈련을 받았지만, 제대에 소속되지 않고 운동 강도가 덜했다는 차이점이 있다.
4. 아테네의 교육
아테네의 교육은 고대 그리스 세계에서 스파르타와 크레타를 제외한 전 지역의 교육을 대표하며, 진보적인 그리스 교육의 전형이었다. 당시 아테네 교육에 대한 자료는 다른 지역보다 비교적 풍부하게 남아있다.
아테네 교육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솔론이 교육에 대한 최초의 법을 제정했다고 알려져 있다. 솔론은 남자아이들이 수영과 읽기를 배우도록 하고, 학교와 체육학교(팔라에스트라) 운영에 관한 규정을 만들었다. 이는 스파르타 교육 체제와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졌으며, 두 도시 국가 간 교육 방식의 차이가 오래전부터 시작되었음을 보여준다. 솔론은 학생들의 도덕적 환경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지만, 교육 내용에는 간섭하지 않았다.
솔론의 법 제정은 당시 아테네에 이미 학교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 학교들이 바빌로니아의 영향을 받았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자생적으로 생겨났을 가능성도 있다. 기원전 8세기경, 아테네는 페니키아의 표음 문자를 바탕으로 한 그리스 문자를 사용하고 호머의 서사시와 같은 수준 높은 문학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는 '말과 행동이 뛰어난 사람'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문자를 통한 지식 습득이 중요해진 사회였음을 의미한다.
아테네에서는 문자가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이는 학교의 필요성을 증대시켰다. 여러 정황상 기원전 7세기 초에는 아테네에 학교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 학교들은 국가가 아닌 개인이 설립한 사립학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4. 1. 아테네 교육의 기원
아테네 교육의 기원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솔론이 최초로 교육에 관한 법을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솔론은 모든 남자아이에게 수영과 읽기를 가르치도록 법으로 정하고, 학교와 체육학교(palaistra, 레슬링 도장) 운영에 관한 규정을 제정하여 특별 관리자로 하여금 시행하도록 했다.[53] 이 규정은 스파르타의 교육 제도 확립과 거의 같은 시기에 만들어졌는데, 이는 스파르타와 아테네의 교육 방식 차이가 오래전부터 비롯되었음을 보여준다.
스파르타의 교육 입법자와는 달리, 솔론은 당시 학교에서 가르치는 과목이나 교육 방식에는 간섭하지 않았다. 대신 학생의 연령과 등급, 파이다고고스(paidagōgos)의 자격, 등하교 시간, 학교 내 성인 출입 금지 등 주로 학생들의 도덕적 환경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다.
솔론의 법률 제정은 당시 아테네에 이미 '학교'가 존재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학교들이 바빌로니아의 학교를 본뜬 것인지, 아니면 자생적으로 생겨난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자생적으로 생겨났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54] 기원전 8세기경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들이 문명을 이루기 시작할 때, 아테네에서는 이미 페니키아의 표음 문자를 본떠 만든 그리스 문자를 사용했고, 호머의 서사시와 같은 수준 높은 문학 작품도 있었다. 따라서 당시에는 '말과 행동이 뛰어난 사람'이 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단계였을 것으로 보인다.
아테네에서는 일상생활에서 문자가 중요한 역할을 했고, 이러한 환경은 학교의 필요성을 높였다. 여러 정황을 고려할 때, 적어도 기원전 7세기 초에는 아테네에 학교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학교들은 국가가 아닌 개인이 설립한 사립학교였던 것으로 보인다.
4. 2. 구(舊)교육 (기원전 6세기 ~ 기원전 5세기 중엽)
이 시기에 아테네와 스파르타의 교육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발전했지만, 공통적으로 실제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다. 두 국가 모두 교육을 통해 아이들이 국가의 일원으로서 성인 활동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직접적인 목적을 두었다. 그러나 스파르타는 '군인 시민' 양성에 중점을 둔 반면, 아테네는 전쟁뿐 아니라 평화 시를 위한 교육에도 힘썼다. 스파르타 교육이 특정 형태의 체육을 중시했다면, 아테네는 체육과 함께 포괄적인 의미의 음악[55]을 교육했으며, 체육조차도 아테네의 심미적 감각에 맞게 수정되었다.구교육 시기에는 체육이 교육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으며, 국가 당국이 관심을 갖는 유일한 분야였다. 소년들은 '사설 체육학교(palaistra, 레슬링 도장)'에서 훈련을 받았고, 청년들은 '아카데메이아(Akademeia)'나 '퀴노사르게스(Cynosarges)'와 같은 공립 체육학교(귐나시온, gymnasium) 중 한 곳에 다녔다.
체육학교(palaistra)에 다니는 어린 학생들(7~8세)은 올바른 자세와 가벼운 신체 동작을 배우고 공놀이와 같은 놀이를 했다. 본격적인 체육 훈련은 12~13세부터 시작되었으며, 높이뛰기, 달리기, 씨름, 창 던지기, 원반 던지기 등으로 구성된 '오종경기(Penthalon)' 기술을 습득했다. 또한 체육관 밖에서 그리스 전통 무용을 배울 기회도 주어졌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전쟁에 적합하고 우아하며 균형 잡힌 몸매를 갖추게 되었다.

아테네인들은 체육 교육 외에도 '음악학교(didas caleum)'에서 일반 교육을 받았다. 이 학교에서는 '하프(kitharistes) 연주가'(kitharistes)의 교육을 받았는데, 본래는 노래와 하프 연주 등 음악 교육에 국한되었지만, 신교육 중기부터는 읽기, 쓰기, 셈하기 등 문자 생활에 필요한 교과도 가르치게 되었다. 프로타고라스는 음악학교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
프로타고라스의 연설에서 아테네 초등 교육에 대한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아테네 아동은 7세 정도에 음악학교(didas caleum)에 들어가 문자를 배우기 시작했다. 글을 읽게 되면 호머 시의 일부를 받아쓰기한 것을 독본으로 하여 공부하고 암기했다. 이후 교사 앞에서 암송하며 인물의 동작을 표현했다. 좀 더 나이가 들면 노래와 하프 연주를 배웠는데, 악기 연주는 노래 반주를 위한 것이었고, 하프와 함께 서정시도 배웠다. 음악학교 교육 기간은 아동의 능력과 배경에 따라 달랐지만, 대체로 14세까지였다.
구교육의 내용은 이전 시기보다 많이 알려져 있지만, 세부적인 부분은 알 수 없다. 학생들의 체육과 음악 공부 비율, 학교 일과표 등은 알 수 없다. 다만, 솔론의 법에 따르면 아이들은 해 뜰 무렵 파이다고고스를 따라 학교에 가서 해 질 때까지 하루 종일 학교에서 보냈고, 점심시간에만 잠시 집에 와서 식사를 했다.[57] 그러나 체육과 음악을 별도로 가르쳤는지, 그 시간은 언제였는지는 추측할 수밖에 없다.
아테네 구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체육학교(palaistra)와 음악학교(didas caleum)가 분리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두 교과를 각각 다른 교사가 다른 공간에서 가르쳤다는 것은 확실하며, 이는 두 학교가 상당히 다른 종류였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두 학교가 긴밀하게 관련되었을 가능성도 있으며, 완전히 붙어 있지는 않더라도 동일 구역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교육 시대에 체육학교가 지적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구교육 시대에 교육 당국은 중등 수준의 지적, 도덕적 교육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14~15세쯤 부유층 자제들은 사설 체육학교(palaistra)에서 공립 체육학교(귐나시온, gymnasium)로 진학하여 2년간 체육 교사(paidotribe)의 지도 아래 높은 수준의 신체 단련을 했다. 이 2년간의 교육을 마치면 공공 집회, 극장, 법정에 출입할 수 있게 되었고, 성인 활동 참여를 통해 비형식적 교육을 받았다.
당시 청년들은 길거리에서 훌륭한 예술 작품을 보았고, 정치 쟁점에 대한 토론을 듣거나 참여했으며, 봄에는 디오니소스 극장에서 연극을 관람했다. 삶 자체가 곧 교육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과도기 훈련을 2~3년 거친 후 18세가 되면 시(市) 명부에 이름을 올리고 에페보스가 되었다. 파르테논 신전 입단식에서 에페보스들이 행한 선서는 에페보스 훈련 정신을 잘 보여준다.
당시 에페보스들이 입단식에서 행한 에페보스 선서는 아래와 같다.
이 선서를 마치면 보통 교육은 끝나고, 이후 1년간 에페보스는 또래 젊은이들과 함께 무기 사용법과 전투 동작을 배우며, 국가 임명 교사의 감독 하에 운동 경기를 했다. 1년 훈련 후에는 국가로부터 창과 방패를 받고 1년간 순찰대원으로 복무하며 변방을 지키고 밀수업자와 약탈자를 적발했다. 훈련 중에도 에페보스에게는 휴식이 주어졌고, 극장에는 특별 지정석이 마련되었으며, 축제일에는 에페보스 참석이 필수였다. 이러한 활동은 파르테논 신전 벽에 새겨져 있었다. 에페보스 훈련은 아테네가 마케도니아에 정복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고대 고전 아테네의 구 교육은 신체 훈련(''gymnastike'')과 지적 훈련(''mousike'')으로 구성되었다.[4] ''Gymnastike''는 힘, 지구력, 전쟁 준비 등 군사적 이상을 반영한 신체 교육이었다.[5] 아테네인들은 건강한 신체를 중요하게 여겼고, 소년들은 초등 교육 시작과 함께 또는 직후 신체 교육을 받았다. 처음에는 ''paidotribes''라는 개인 교사에게 배웠고, 이후에는 체육관에서 훈련했다.[6] 신체 훈련은 외모 개선, 전쟁 준비, 노년기 건강 유지에 필수적이었다.[7] ''Mousike''는 '뮤즈의 예술'로, 음악, 춤, 가사, 시를 결합한 것이었다.[8] 리라 연주, 합창단 노래와 춤은 고전 그리스 음악 교육의 핵심이었다.[9] ''Mousike''는 학생들에게 아름다움과 고귀함의 모범을 보이고 조화와 리듬에 대한 감상을 길렀다.[10]
학생들은 스타일러스를 사용하여 납 태블릿에 글을 썼다. 아이들이 작품을 읽을 준비가 되면 시를 암송하도록 했다. 그리스 신화 중 헤시오도스와 호메로스의 신화는 아테네인들에게 높이 평가되었고, 수업에 포함되기도 했다. 구 교육은 엄격한 구조가 없었고 초등 수준까지만 학교 교육이 이루어졌다. 청소년기가 되면 정규 교육은 끝났다.[11] 따라서 교육의 상당 부분은 비공식적이었고, 인간 경험에 의존했다.[12]
4. 3. 신(新)교육 (기원전 5세기 ~)
기원전 5세기경 아테네에서는 경제, 정치적 변화와 소피스트의 등장으로 새로운 교육 형태인 '신(新)교육'이 나타났다. 민주주의 확립과 페르시아 전쟁 승리 이후 아테네의 국력이 커지면서, 새로운 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소피스트들은 수사학, 논리학, 윤리학 등 실용적인 학문을 가르치며 이러한 새로운 교육 수요를 충족시켰다. 아리스토파네스는 그의 희극 《구름》에서 이러한 신(新)교육의 변화를 비판적으로 풍자하기도 했다.
신(新)교육 시기에는 음악 교육과 사장(私藏) 교육이 분리되었으며, 문자 교사(Grammatistes)가 등장했다. 중등 교육은 주로 소피스트들에 의해 주도되었는데, 공공 생활 참여를 위한 웅변 훈련과 학문적 탐구를 위한 코스로 나뉘었다.
소크라테스 이후 아테네 출신 교사들이 등장하면서, 소피스트 교육은 점차 아테네화되었다. 이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은 각각 수사학 학교와 철학 학교를 설립하여 소피스트 전통을 계승, 발전시켰다.[13][11]
고등 교육은 기원전 420년경 아테네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소크라테스와 같은 철학자들과 외국인 교사들의 유입을 이끈 소피스트 운동은 구 교육에서 새로운 고등 교육으로의 전환을 가져왔다. 이러한 고등 교육은 정규 교육을 확대했으며, 아테네 사회는 신체적 능력보다 지적 능력을 더 높이 평가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교육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과 현대적인 관점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 논란을 일으켰다. 전통주의자들은 "지식인"을 양성하는 것이 아테네 문화를 파괴하고 전쟁에서 아테네를 불리하게 만들 것이라고 믿었다. 반면에 변화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신체적 강인함이 중요하지만, 아테네의 힘과 관련된 가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할 것이라고 느꼈다. 이들은 교육이 지성을 포함한 전인적인 인간을 발달시키는 도구가 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그러나 고등 교육이 우세해졌다. 중등 및 고등 교육 수준의 도입은 기존의 구 교육 체계에 더 큰 구조와 깊이를 제공했다. 더욱 집중적인 연구 분야에는 철학적 통찰력 개발에 중점을 둔 수학, 천문학, 조화론 및 변증법이 포함되었다. 개인은 논리와 이성의 틀 안에서 지식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졌다.
부는 고대 아테네의 고등 교육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했다. 실제로 개인이 받는 고등 교육의 양은 종종 그러한 교육을 받을 능력과 가족의 의지에 달려 있었다.[17] 고등 교육 내의 정규 프로그램은 종종 교육에 대한 대가를 요구하는 소피스트들에 의해 가르쳐졌다. 실제로 소피스트들은 가능한 많은 고객에게 도달하기 위해 광고를 광범위하게 사용했다.[18] 대부분의 경우,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사람들만이 참여할 수 있었으며, 자본이 부족한 농민 계급은 받을 수 있는 교육에 제한을 받았다.[11] 여성과 노예 또한 교육을 받을 수 없었다. 사회적 기대는 여성을 주로 가정에 머물게 했으며, 여성의 지적 능력이 열등하다는 널리 퍼진 믿음은 그들이 정규 교육을 받을 수 없게 만들었다.[19] 노예는 법적으로 교육을 받을 수 없었다. 여성은 집에 머물면서 주부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여전히 그러한 측면에서 교육을 받았다. 약 7세경, 남자아이와 여자아이가 성별 간의 뚜렷한 차이를 보일 때, 여자아이들은 어머니로부터 주부와 관련된 특정 과제뿐만 아니라 다른 도덕 교육을 받았다.[20]
5. 헬레니즘 시기의 교육
기원전 404년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아테네가 패배하면서 그리스 세계는 큰 변화를 겪었다. 그리스 세계의 힘의 체계가 완전히 바뀌고 사회가 불안해지면서 그리스 전역에서 내란과 정치적 혼란이 발생했다. 이러한 혼란기에 마케도니아가 그리스 세계를 재패하고 동방으로 영토를 확장하면서 그리스 문화가 전 세계로 퍼져나가 헬레니즘 시대가 열렸다.
마케도니아 제국의 팽창으로 교육은 종족이나 국가에 국한되지 않고 범세계적인 형태를 띠게 되었다. 이 시기의 교육은 내용이나 이론 면에서 새로운 것은 없었지만, '그리스의 대학'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제도가 생겨났다. 헬레니즘 시기의 교육은 그리스식 교육을 세계에 보급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전 시기에 아테네가 '그리스의 교육자'였다면, 헬레니즘 시기에는 그리스가 세계의 교육적 지도자가 된 것이다.
여러 나라들이 그리스의 교육을 본받았지만, 맹목적으로 따르지 않고 각국의 실정에 맞게 필요한 부분을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변화를 주었다.
헬레니즘 기의 철학자 견유학파의 텔레스(Τέλης; Teles of Megara)[67]는 교육받는 소년의 고통을 언급하며 당시 교육이 신교육 시대와 거의 동일하다고 주장했다. 텔레스의 글에 따르면, 초등 단계의 교과는 '그림 그리기'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면 백 년 전과 거의 변화가 없었다.[70] 중등 교육 교과는 오히려 범위가 좁아져 수사학이나 철학, 문학 교육에 대한 언급이 보이지 않는다.
에페보스 이전 단계의 교육은 초등교육, 에페보스 교육, 그 이후의 교육으로 구분되었다. 그리스 도시국가의 정치적 독립 상실로 군사 훈련의 중요성이 감소하면서, 많은 젊은이들이 학문에 전념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의무적인 에페보스 훈련은 지원제로 바뀌었고, 이는 이후 대학으로 발전하게 될 새로운 고등교육기관의 기반이 되었다.
아테네에서 에페보스 제도는 순수한 군사 훈련에서 군사 훈련과 일반 교육을 결합한 대학 형태로 변화했다. 금석문에 따르면, 기원전 4세기 말엽 에페보스 제도는 지원제로 바뀌고 복무 기간이 2년에서 1년으로 단축되었으며, 연령 제한도 완화되었다. 기원전 2세기부터는 외국인도 에페보스 훈련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에페보스단은 종교 행사, 횃불 경주, 강의 수강, 국경 순찰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원로원은 에페보스단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금관을 수여하고, 교관들에게는 월계관을 수여했다(기원전 1세기 초 원로원의 감사 결의).[71]
아테네의 '대학'은 에페보스들이 에페보스단에 입적하지 않은 자들과 함께 다녔던 '철학 학교'를 의미한다. 플라톤의 학교인 아카데메이아는 철학 연구 공동체로 발전했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가정교사를 거쳐 뤼케이온을 설립했다. 제논과 에피쿠로스는 각각 '스토아 학교'[74]와 '에피쿠로스 학교'[74]를 설립했다. 이 네 학교는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계승했지만, 스토아 학교와 에피쿠로스 학교는 개인주의 철학을 발전시켜 기존 학교의 학생들을 흡수했다.
아카데메이아, 뤼케이온, 스토아 학교, 에피쿠로스 학교는 아테네의 학문적 중심지였으나, 기원전 1세기경에 몰락했다. 이후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칙령으로 아테네의 '대학(UNIVERSITAS)'[75]으로 재탄생했지만, 수사학 학교의 세력 강화로 몰락했다. 아카데메이아만이 신플라톤주의의 발흥으로 잠시 활기를 되찾았지만, 결국 몰락을 피하지 못했다.
헬레니즘 문명이 확산되는 동안 아테네의 학교는 독보적인 지위를 누렸지만, 알렉산드리아, 페르가몬, 안티오케이아, 로데스(Rhodes) 등 마케도니아 왕국 내의 새로운 학문 기관들이 등장하면서 아테네의 학문적 위상은 약화되었다.
알렉산드리아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후원으로 새로운 학문 중심지로 부상했다. 알렉산드리아의 교육은 아테네와 달리 지식 전달보다는 학문 연구가 중심이었다. 기원전 323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도서관과 박물관을 설립하여 고급 학문 연구를 지원했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은 소테르(프톨레마이오스 1세)가 설립했으며, 기원전 1세기에는 70만 권의 장서를 소장했다. 알렉산드리아 박물관(Musaeum; 뮤제이온)은 필라델포스 왕이 학자들의 주거 및 연구 시설로 건립한 것으로, 그리스 철학 학교와 유사했지만 막대한 기부금과 다양한 학문 분야를 포괄했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알렉산드리아의 연구는 아테네의 학교,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뤼케이온의 전통을 계승했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건립은 아리스토텔레스 학파 학자인 팔레론의 데메트리오스(Demetrius)가 제안한 것이다.
알렉산드리아 학자들은 그리스 학문의 전통을 계승하고 많은 업적을 남겼지만, 창의성과 독창성은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상업 도시 알렉산드리아에서 학문에만 몰두한 학자들은 현실과의 접촉 부족으로 창의성을 발휘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철학과 문학은 발전하지 못했고, 번역, 고전 편집 및 주석 등 독창성이 덜 요구되는 분야에 집중했다.
알렉산드리아 학교의 발달 과정은 세 시기로 구분된다.[76]
시기 | 기간 | 주요 특징 | 주요 학자 |
---|---|---|---|
첫째 시기 | 기원전 3세기 | 과학 분야 발전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학설 영향) | 유클리드(기하학), 아르키메데스(물리학), 헤론(역학), 필론(역학), 아폴로니오스(원뿔 곡선 기하학), 에라토스테네스(지리학), 히파르코스(천문학), 제노도토스(Xenodotus), 에라토스테네스(서지학) |
둘째 시기 | 기원전 3세기 ~ 기원전 146년 (그리스 학자 추방) | 문학 비평 중심 | 아리스토파네스, 아리스타르코스 (고문학 연구) |
셋째 시기 | 기원전 146년 이후 | 학문 쇠퇴, 유대인 학자 중심 |
첫째 시기에는 기하학의 유클리드, 물리학의 아르키메데스 등 과학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가 이루어졌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초대 및 2대 관장인 제노도토스와 에라토스테네스는 그리스 작가들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했다.
둘째 시기에는 문학 비평이 학문의 중심이 되었다. 이 시기에는 저명한 고문학 연구가인 아리스토파네스와 아리스타르코스가 활동했다. 아리스타르코스는 800권의 주석서를 편찬하고 문법을 체계적인 학문으로 발전시켰으며, 8품사[77]를 구분하여 고전 문법학을 완성했다.
셋째 시기는 기원전 146년 그리스 학자들이 추방된 이후로, 알렉산드리아 교육의 몰락기이다. 이 시기에는 유대인들이 학계를 주도하며 알렉산드리아 학문을 이끌었다.[78]
5. 1. 그리스 지역의 교육
기원전 404년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아테네가 패배한 후, 그리스 세계는 혼란에 빠졌고, 마케도니아의 정복 활동으로 그리스 문화가 세계로 퍼져나가 헬레니즘 시대가 열렸다. 이 시기 교육은 범세계적인 형태를 띠게 되었으며, '그리스의 대학'이라는 새로운 제도가 등장했다.
이전 시기에 아테네가 '그리스의 교육자'였다면, 헬레니즘 시기에는 그리스가 당시 세계의 교육적 지도자가 되었다. 여러 나라들이 그리스의 교육을 본받았지만, 각국의 실정에 맞게 변형하여 수용했다.
헬레니즘 기의 철학자 견유학파의 텔레스(Τέλης; Teles of Megara)[67]는 교육을 받는 소년의 고통을 언급하며 당시 교육이 신교육 시대와 거의 동일하다고 주장했다. 그의 저술에 따르면, 아이들은 여러 교사들에게 교육을 받았으며, 에페보스가 되면 군사 훈련을 받았다.[69]
에페보스 이전 단계의 교육은 초등교육과 에페보스 교육, 그리고 그 이후의 교육으로 구분되었다. 도시국가의 정치적 독립 상실로 군사 훈련의 중요성이 감소하면서, 많은 젊은이들이 학문에 정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에페보스 훈련은 지원제로 바뀌고, 고등교육기관의 기반이 되었다.
아테네에서 에페보스 제도는 군사 훈련과 일반 교육을 결합한 대학 형태로 발전했다. 기원전 4세기 말엽에는 지원제로 바뀌고 복무 기간이 단축되었으며, 기원전 2세기부터는 외국인도 에페보스 훈련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원로원의 감사 결의(기원전 1세기 초)[71]에 따르면, 에페보스단은 종교 행사, 횃불 경주, 강의 수강, 국경 순찰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아테네의 '대학'은 에페보스들이 다녔던 '철학 학교'를 의미한다. 플라톤의 학교인 아카데메이아는 철학 연구 공동체로 발전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가정교사를 거쳐 뤼케이온을 설립했다. 제논과 에피쿠로스는 각각 '스토아 학교'[74]와 '에피쿠로스 학교'[74]를 설립했다. 이 네 학교는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계승했지만, 스토아 학교와 에피쿠로스 학교는 개인주의 철학을 발전시켜 학생들을 흡수했다.
아카데메이아, 뤼케이온, 스토아 학교, 에피쿠로스 학교는 아테네의 학문적 중심지였지만, 기원전 1세기 경에 몰락했다. 이후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칙령으로 아테네의 '대학(UNIVERSITAS)'[75]으로 재탄생했지만, 수사학 학교의 세력 강화로 몰락했다.
헬레니즘 문명이 확산되는 동안 아테네의 학교는 독보적인 지위를 누렸지만, 알렉산드리아, 페르가몬, 안티오케이아, 로데스(Rhodes) 등 마케도니아 왕국 내의 새로운 학문 기관들이 등장하면서 아테네의 학문적 위상은 약화되었다.
5. 2. 알렉산드리아의 교육
알렉산드리아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후원으로 새로운 학문 중심지로 떠올랐다. 아테네의 교육과는 다르게, 알렉산드리아에서는 지식 전달보다는 학문 연구가 중심이 되었다.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리아를 중심으로 등장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도서관과 박물관을 설립하여 학문 연구를 장려했다.[76]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는 거대한 도서관과 박물관을 중심으로, 왕실의 후원금을 바탕으로 고급 학문 연구 사업이 진행되었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은 소테르(프톨레마이오스 1세)가 설립하였으며, 설립 당시 20만 권의 장서를 소장하고 있었고, 기원전 1세기에는 70만 권의 장서를 보유하게 되었다. 알렉산드리아 박물관(Musaeum; 뮤제이온)은 원래 ‘뮤즈의 사원’이라는 의미였는데, 필라델포스 왕이 학자와 연구자들이 평생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주거 및 연구 시설로 건립한 것이다. 박물관은 그리스 철학 학교와 유사한 학자들 간의 유대감을 보여주었지만, 막대한 기부금과 다양한 학문 분야를 포괄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알렉산드리아의 연구는 아테네의 여러 학교,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학교인 뤼케이온의 전통을 직접 계승했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건립 역시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학문 연구를 위해 광범위한 서적을 수집하고 다양한 사실들을 종합한 최초의 인물이었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건립은 아리스토텔레스 학파의 학자인 팔레론의 데메트리오스(Demetrius)가 제안했다. 그는 아테네 원로원 평의원으로 재임했으며, 소테르 궁정에서 학문 수석 자문관으로 활동하며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알렉산드리아 학자들은 그리스 학문의 전통을 계승하고 아테네의 여러 학교에서 개척한 분야에서 많은 업적을 남겼지만, 창의성과 독창성은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상업 도시 알렉산드리아에서 학문에만 몰두한 학자들은 현실과의 접촉 부족으로 창의성을 발휘하기 어려웠다. 이 때문에 철학과 문학은 발전하지 못했고, 번역, 고전 편집 및 주석 등 독창성이 덜 요구되는 분야에 집중했다.
알렉산드리아 학교의 발달 과정은 세 시기로 구분된다.[76]
시기 | 기간 | 주요 특징 | 주요 학자 |
---|---|---|---|
첫째 시기 | 기원전 3세기 | 과학 분야 발전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학설 영향) | 유클리드(기하학), 아르키메데스(물리학), 헤론(역학), 필론(역학), 아폴로니오스(원뿔 곡선 기하학), 에라토스테네스(지리학), 히파르코스(천문학), 제노도토스(Xenodotus), 에라토스테네스(서지학) |
둘째 시기 | 기원전 3세기 ~ 기원전 146년 (그리스 학자 추방) | 문학 비평 중심 | 아리스토파네스, 아리스타르코스 (고문학 연구) |
셋째 시기 | 기원전 146년 이후 | 학문 쇠퇴, 유대인 학자 중심 |
첫째 시기에는 기하학의 유클리드, 물리학의 아르키메데스 등 과학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가 이루어졌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초대 및 2대 관장인 제노도토스와 에라토스테네스는 그리스 작가들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했다.
둘째 시기에는 문학 비평이 학문의 중심이 되었다. 이 시기에는 저명한 고문학 연구가인 아리스토파네스와 아리스타르코스가 활동했다. 아리스타르코스는 800권의 주석서를 편찬하고 문법을 체계적인 학문으로 발전시켰으며, 8품사[77]를 구분하여 고전 문법학을 완성했다.
셋째 시기는 기원전 146년 그리스 학자들이 추방된 이후로, 알렉산드리아 교육의 몰락기이다. 이 시기에는 유대인들이 학계를 주도하며 알렉산드리아 학문을 이끌었다.[78]
6. 기타 그리스 교육자
피타고라스는 사모스 섬에서 생활했던 그리스 철학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수학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크로톤에 학교를 설립하여 인생철학, 종교, 수학을 가르쳤다.
6. 1. 피타고라스 (기원전 570-490년)

피타고라스는 사모스 섬에서 생활했던 그리스 철학자로, 수학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그리스 식민지였던 크로톤에 학교를 설립하여 인생철학, 종교, 수학을 가르쳤다. 피타고라스 학파는 피타고라스 정리와 관련이 있으며, 그의 제자들은 피타고라스 학파로 알려졌다.
피타고라스 학파는 우정, 이타심, 정직함을 중시하는 특별한 생활 방식을 따랐다. 그들은 또한 내세에 대한 믿음으로 인해 개인적인 소유에 집착하지 않고 모든 것을 공유했으며, 채식주의를 실천했다. 피타고라스 학파 사람들은 '수학자'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mathematikoi'' (μαθηματικοί)로 알려졌다.
피타고라스의 가르침은 외향적 가르침과 내향적 가르침의 두 가지 형태로 나뉘었다. 외향적 가르침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생각들을 가르치는 것으로, '수학자'들에게 3년 동안 지속되었다. 내향적 가르침은 더 깊은 의미를 가르치는 것으로, 시간 제한 없이 피타고라스가 학생이 준비되었다고 판단할 때까지 진행되었다. 내향적 가르침에서 학생들은 철학의 내면적 의미를 배웠다.[48] 피타고라스는 외향적 가르침에서 윤리적 가르침에 집중했으며, 세상에서 대립되는 것들의 의존성, 즉 대립의 균형 뒤에 숨겨진 역학에 대한 아이디어를 가르쳤다.
피타고라스 학파는 피타고라스 정리, 무리수, 다섯 개의 특정 정다각형, 그리고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있는 구체라는 사실 등 다양한 수학적 아이디어를 배웠다. 많은 사람들은 피타고라스가 제시한 수학적 아이디어가 현실을 이해할 수 있게 했다고 믿었다. 피타고라스는 사물 자체가 숫자라는 이론을 제시했다.[2] 그는 외향적 과정에서 학생들과 직접 대면하지 않고 다른 방향을 보면서 연설하는 독특한 교수 방식을 사용했다. 교육을 마친 학생들은 제자가 되기 위해 입문했으며, 피타고라스는 입문한 학생들과 훨씬 더 친밀하게 대했고, 그들과 직접 대화했다. 크로톤 사회에서 피타고라스는 모든 과학과 형제애의 스승으로 알려졌다.[48]
당시 다른 교육 시스템과 달리, 남성과 여성 모두 피타고라스 학파가 될 수 있었다. 피타고라스 학파 학생들은 콩을 먹지 않기, 떨어진 물건을 줍지 않기, 흰 닭을 만지지 않기, 쇠로 불을 휘젓지 않기, 빛 옆에 있는 거울을 쳐다보지 않기 등의 규칙을 따라야 했다.
피타고라스는 수학을 음악과 연결하여 응용했다. 피타고라스 학파는 수치적 협화음과 화음을 공식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은 현을 뜯어 소리를 만들어 냈고, 수학적으로 표현 가능한 지점에서 현을 뜯어야 한다는 사실을 간파했다. 만약 현의 지점 사이의 수학적 비례가 깨진다면, 소리는 불안정해질 것이다.
피타고라스 학파는 "만물은 수로 이루어져 있다"라는 격언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세상의 모든 것이 그것을 설명하는 숫자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4] 예를 들어, 숫자 6은 창조, 숫자 5는 결혼, 숫자 4는 정의, 숫자 3은 조화, 숫자 2는 의견, 숫자 1은 이성과 관련된 숫자이다.[49]
피타고라스 학회는 매우 비밀스러웠으며, 이 교육 사회는 평화와 조화로운 삶을 사는 것을 기본으로 했지만, 은밀하게 운영되었다. 교육과 사회가 매우 비밀리에 운영되었기 때문에, 피타고라스 학파 사람들에 대해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참조
[1]
논문
Ancient Education
1957-05
[2]
웹사이트
Pythagoras
https://web.archive.[...]
2017-11-07
[3]
서적
Ancient Greece
Salem Press
[4]
서적
Princeton Companion to Mathema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서적
Aristotle's School
[6]
서적
Ancient Greece
Salem Press, Inc.
[7]
서적
Moralia
Loeb Classical Library
[8]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Greek and Roman Music
http://dx.doi.org/10[...]
Wiley
[9]
간행물
"'Tuning the Lyre, Tuning the Soul': Harmonia, Justice and the Kosmos of the Soul in Plato's Republic and Timaeus"
https://brill.com/vi[...]
2020-03-13
[10]
서적
Greek Education, 450–350 B.C.
Methuen & CO LTD
[11]
서적
Aristotle's School
[12]
서적
Plato's Theory of Education
Russell & Russell
[13]
서적
Lysistrata and Other Plays
Penguin Classics
[14]
서적
The Training of Children
[15]
논문
Ancient Education
1980-05
[16]
간행물
Plato's Theory of Education
[17]
서적
Aristotle's School
[18]
서적
Aristotle's School
[19]
간행물
Social and Political Roles of Women in Athens and Sparta
http://digitalcommon[...]
[20]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Education
Willey-Blackwell
[21]
서적
The Rise and Fall of Athens: Nine Greek Lives
Penguin Classics
[22]
서적
Greek Education
[23]
서적
Readings from Classical Rhetoric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4]
서적
Greek Education
[25]
서적
Greek Education
[26]
서적
Greek Education
[27]
서적
Greek Education
[28]
서적
Greek Education
[29]
서적
Greek Education
[30]
간행물
Plato's Theory of Education
[31]
서적
Republic
Harvard University Press
[32]
서적
Republic
[33]
서적
A Companion to Aristotle
Wiley-Blackwell
[34]
서적
Companion to Aristotle
[35]
서적
Companion to Aristotle
[36]
서적
Aristotle's School
[37]
간행물
Education and Training
Salem Press, Inc.
2007
[38]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Greece
Facts On File, Inc.
2005
[39]
서적
Handbook
[40]
서적
Handbook
[41]
서적
Handbook
[42]
서적
Handbook
[43]
서적
Spartan Wome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44]
서적
Spartan Women
[45]
서적
Spartan Women
[46]
서적
Spartan Women
[47]
서적
Spartan Women
[48]
웹사이트
Biography of Pythagoras - math word definition - Math Open Reference
https://www.mathopen[...]
2017-11-07
[49]
웹사이트
Pythagoras and the Pythagoreans
https://web.archive.[...]
2017-11-08
[50]
문서
cheiron, 고대 그리스에서 의술, 음악에 대한 권위자
[51]
서적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2008
[52]
문서
훈련 과정을 이수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사람
[53]
문서
글자 그대로의 의미는 '아동 보호자' 또는 '아이를 이끄는 자'이다. 아이가 성년(18세)가 될 때까지 아이의 등하교 길을 따라다니고, 학교에 있는 동안 지켜보아 주는 등, 아이의 바깥나들이에 따라다니는 노예를 의미한다. 즉 부모나 선생이 없는 상황에서 그들 대신 아이를 돌보아 주거나 감독하는 가노(家奴)를 이른다.
[54]
서적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2008
[55]
문서
그리스에서 음악 교과는 음악, 시, 운율을 포함하는 과목이었다.
[56]
문서
프로타고라스
[57]
문서
솔론의 법에 의하면, 학생이 인적이 드문 길거리에서 도덕적 위해를 당하는 일이 없도록, 해뜨기 전이나 해진 후에는 학교를 열 수 없게 되어 있었다.
[58]
서적
Erziehung im Klassishen Alterthum
1898
[59]
서적
The history of western education
A&C Black Pl.
1921
[60]
문서
문자교육
[61]
문서
피타고라스 학파는 수학을 연구하는 일종의 종교단체이다.
[62]
문서
음악에 대한 수학적 이론
[63]
문서
유클리드 기하학의 7-10권에 기술된 내용
[64]
문서
원래 오래전부터 있었던 운동장이었다.
[65]
문서
아테네의 경우에는 예외로 하였다는 기록도 있다.
[66]
문서
플라톤이 언급한 사물의 ‘참된 실재’
[67]
문서
[[탈레스]](Θαλής)와 발음은 비슷하나 다른 인물임.
[68]
문서
구교육시기에는 문자교사라는 의미로 통용되었지만, 헬레니즘 기에는 문법교사라는 의미로 통용되게 되었다.
[69]
서적
Universities of Ancient Greece
[70]
문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초등교육에서 그림 그리기를 추가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71]
서적
Essai sur I’Ephebie Attique
[72]
문서
플라톤의 조카이다.
[73]
문서
제논의 역설을 주장한 엘레아의 제논과는 다른 사람이다.
[74]
문서
이 학교는 이후 학파로 발전했으며, 여기서 school의 의미가 학파로 넓어졌다.
[75]
문서
중세 대학이나 대학교와는 완전히 다른 학교이다.
[76]
서적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2008
[77]
문서
명사(형용사 포함), 동사, 분사, 대명사, 관사, 부사, 전치사, 접속사
[78]
서적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