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티오피아 요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티오피아 요리는 에티오피아의 농업 유산과 다양한 문화적, 종교적 영향을 받아 발전해 왔다. 주식인 시큼한 맛의 플랫브레드인 인제라와 매콤한 닭고기 스튜인 도로 웻이 대표적이며, 렌즈콩, 콩, 커피 등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다. 에티오피아 정교회, 유대교, 이슬람교의 종교적 관습은 식단에 영향을 미쳤으며, 아프리카의 뿔 지역의 지리적 위치는 다양한 요리 문화와의 교류를 촉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티오피아 요리 - 풀 메담메스
    풀 메담메스는 고대 이집트에서 유래된 누에콩 요리로, 아랍 세계 및 아프리카, 아시아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즐겨 먹으며 특히 중동 지역에서는 아침 식사로 애용된다.
  • 에티오피아 요리 - 워뜨
    워뜨는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의 스튜 요리로, 기름 없이 볶은 양파에 향신료와 느뜨르 끄베를 넣어 끓여내며, 닭고기를 넣어 만든 도로 워뜨가 대표적이고 에티오피아의 국민 음식으로도 불린다.
에티오피아 요리
지도 정보
요리 개요
종류국제 요리
주요 식재료테프
베르베레
기름
향신료
특징
공유 문화여러 사람이 하나의 접시에서 함께 식사
식사 도구오른손 (주로 손으로 먹음)
채식주의기독교의 단식 기간 동안 채식 요리 섭취
주요리
인제라테프로 만든 빵
와트스튜 또는 카레
티브스볶은 고기 요리
키트포다진 생고기 요리
고로야채, 콩, 베르베레를 넣어 만든 인제라 요리
피스콩을 갈아 만든 요리
텔바에티오피아식 크레페
식재료
테프작은 곡물
베르베레고추, 마늘, 생강 등을 넣어 만든 향신료 혼합물
니테르 키베향신료를 넣어 만든 정제 버터
미트미타고추 가루와 다른 향신료를 혼합한 가루
아와제고추, 마늘, 생강 등을 넣어 만든 소스
음료
테즈꿀술
텔라맥주
아레케증류주
에티오피아 커피전통적인 방식으로 만든 커피

2. 역사

에티오피아 요리의 역사는 이 나라의 농업 유산과 깊은 관련이 있다. 에티오피아 전통 요리의 핵심은 테프로 만든 인제라이다.[5][6] 인제라는 시큼한 맛과 부드러운 질감을 가진 플랫브레드로, 다양한 요리와 함께 제공된다. 웻 요리에는 채소, 콩류, 고기 등이 사용되며, 그 중 도로 웻은 버르버르라는 향신료 혼합물로 맛을 낸 매콤한 닭고기 스튜로 에티오피아의 대표 음식이다.[7]

에티오피아 음식은 렌즈콩, 콩, 커피, 그리고 다양한 향신료와 같이 이 나라의 지리적 환경과 풍부한 농업 자원의 영향을 받았다. 에티오피아 커피 의식은 커피를 볶고, 내리고, 제공하는 과정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데, 이는 커피가 에티오피아에서 유래되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에티오피아 요리는 단순한 영양 공급을 넘어, 공동 식사 및 문화적 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1. 종교적 영향

에티오피아의 기독교 신앙은 육식을 금하는 단식 기간으로 인해 채식 위주 식단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9] 이슬람교 또한 이드와 같은 축제 기간 동안 육류 요리에 영향을 미쳤다.[10][11]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자들은 문화적, 종교적 이유로 돼지고기를 먹지 않으며, 에티오피아 유대인과 에티오피아 무슬림들은 종교적인 이유로 돼지고기나 조개류를 섭취하지 않는다. 유대교이슬람교에서는 돼지고기를 금지한다.[10] 에티오피아 개신교 신자들 또는 펜테이 역시 정교회에서 금하는 음식을 먹지 않는 경우가 많다. 많은 에티오피아인들은 육류, 계란, 유제품의 높은 가격 때문에 특정 육류 섭취를 자제하고 주로 채식 위주의 음식을 섭취한다.

2. 2. 외부 교류

역사를 통틀어 에티오피아 요리는 다른 국가와의 연결 및 교역과 종교적 관습을 통해 발전해 왔다.[9][8] 예를 들어, 에티오피아의 지속적인 기독교 신앙은 육식을 금하는 단식 기간 때문에 채식 위주의 식단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9] 마찬가지로, 이슬람 관습은 이드(Eid)와 같은 일부 축제 기간 동안 육류 요리에 영향을 미쳤다.[10][11]

3. 특징

에티오피아 요리는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 위치하여 이집트, 서남아시아, 아랍, 지중해 문명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식문화를 가지고 있다.[41] 북부에서는 인제라라는 팬케이크가, 남부에서는 엔세테라는 식물이 음식의 중심이다.[42][43]

에티오피아 허브 빵 ''키타''


인제라는 테프로 만든 시큼한 팬케이크로, 기원전 100년경부터 만들어졌다.[44] 원래 북부 고원 지대에서 먹었으나, 19세기 후반 암하라족의 영향으로 남부까지 퍼졌다.[45] 인제라는 손으로 찢어 와트라는 스튜에 찍어 먹거나, 암염, 청고추를 곁들여 먹는다.[46] 와트 외에도 볶은 고기, 콩류, 채소 조림, 생고기, 치즈 등이 인제라와 함께 제공된다.[47]

엔세테는 에티오피아 남부에서 재배되며, 위경에 저장된 전분을 발효시켜 조리한다.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고 많은 사람을 먹여 살릴 수 있어 "기아를 구하는 나무"라고 불린다.[49] 껍질은 지붕 재료나 연료로, 잎은 의류나 식기 재료로 사용된다.[50]

바르바리


에티오피아 요리의 기본적인 조미료는 바르바리(발레발레)이다.[51] 고춧가루, 마늘, 생강, 소금 등을 섞어 만든다. 버터(케베)는 조미료 외에 머리 손질에도 사용되며, 향신료를 넣은 버터인 니터 케베는 각 가정에 비치된 조미료이다.[52] 꿀은 전통적인 감미료로 사용된다.[53]

에티오피아의 기독교인과 이슬람교인은 육식에 대한 금기가 있지만, 도시에서는 점차 형식화되고 있다.[54] 기독교인은 소, 염소, 양, 닭고기를, 이슬람교인은 낙타도 먹는다.[55] 돼지고기는 모두 기피한다.[55]

에티오피아에서는 생고기를 즐겨 먹으며,[56] 쇠고기 생고기를 최고로 여긴다.[46] 타르타르 스테이크처럼 잘게 다진 고기에 기름과 향신료를 넣어 먹기도 한다.[56] 키트포(쿠트포)는 다진 고기를 사용한 요리로, 조리법을 선택할 수 있다.[57] 코티지 치즈인 아이브나 삶은 양배추를 곁들여 먹는다. 생고기를 먹는 습관은 16세기 이슬람교 군대의 침공 당시, 불을 지필 수 없었던 에티오피아 고원 주민들이 생고기를 먹었던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58]

와트는 인제라와 함께 먹는 스튜로, 바르바리를 사용한 카이 와트와 사용하지 않은 알레차 와트로 나뉜다. 닭고기와 삶은 달걀을 사용한 도로 와트는 최고급 와트로 여겨진다.[60]

에티오피아는 채소 재배가 이어져 온 지역으로,[41] 기독교도는 단식일에 채소 조림, 감자튀김, 토마토, 양파 등을 먹는다.[61] 병아리콩 페이스트로 만든 예신브라 아싸는 단식일 요리이다.[62]

짧은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점령의 영향으로, 파스타는 에티오피아 전역에서 인기가 있다.[1] 모든 식사 후에는 커피 의식이 행해진다.

3. 1. 주요 재료

칠리 고추와 다른 가루 및 재료를 혼합해서 만드는 버르버레는 많은 요리에 사용되며, 대개 모든 요리에 버터나 생강, 마늘 등을 넣는다.[2]

카라웨이(Trachyspermum ammi) 또는 라두니, 코라리마(Aframomum corrorima), 흑미씨(Nigella sativa) 및 호로파 (시계 방향, 위에서부터)는 칠리, 소금과 함께 사용하여 에티오피아 요리의 기본 재료인 베르베레를 만든다.


베르베레는 가루로 낸 고추, 카다멈, 호로파, 고수, 정향, 생강, 육두구, 커민 및 올스파이스를 혼합한 것이다.[12] 치킨 스튜 및 생선 구이 요리와 같은 다양한 요리에 풍미를 더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재료이다. 또한 필수적인 것은 생강, 마늘, 여러 향신료를 넣은 정제 버터인 니터 키베이다.[13][14]

''미트미타''는 에티오피아 요리에 사용되는 가루 조미료이다. 주황색-빨간색이며 잘게 간 매운 고추 (피리 피리), 카다멈 씨, 정향 및 소금을 포함한다.[15] 때때로 계피, 커민 및 생강과 같은 다른 향신료도 포함한다.

엄격한 단식을 준수하기 위해 에티오피아 요리사들은 단식 기간 동안 금지된 동물성 지방을 대체하기 위해 참깨와 홍화 외에도 다양한 요리용 오일 소스를 개발했다. 에티오피아 요리에서는 ''누그''(Guizotia abyssinica) (''노그''라고도 표기하며 "니제르 씨앗"이라고도 함)를 사용한다.[2]

에티오피아 요리의 기본적인 조미료로는 바르바리(발레발레)가 있다.[51] 고춧가루를 마늘, 생강, 소금 등과 섞어 찧어 가루로 만든 바르바리는 인제라에도 곁들여 먹는다. 요리는 사용되는 버터 (케베)의 양에 따라 등급이 올라가며, 버터는 조미료 외에도 머리 손질에도 사용된다.[52] 향신료를 넣은 버터인 니터 키베는 에티오피아 각 가정에 비치된 조미료이다. 이 외에도 술의 원료가 되는 꿀이 전통적인 감미료로 사용된다.[53]

3. 2. 대표 음식

닭고기와 삶은 달걀로 구성된 ''도로 와트''(Doro wat)는 에티오피아에서 종교적 금식을 깨는 가장 인기 있는 요리 중 하나이다.


전형적인 ''와트''의 제공


에티오피아 음식과 미국 바비큐의 융합

  • 인제라: 테프로 만든 시큼한 팬케이크로, 기원전 100년경부터 만들어졌다.[44] 손으로 찢어 와트라는 스튜에 찍어 먹거나, 암염 조각이나 청고추를 곁들여 먹는다.[46]
  • 와트: 붉은 양파를 끓여 만들며, 니터 케베(또는 채식 요리의 경우 식물성 기름)와 버르버레를 넣어 매운 ''케이 와트''를 만들거나, 강황을 넣어 순한 ''알리차 와트''를 만든다. 쇠고기,[16] 닭고기,[17] 생선,[18] 염소, 양고기[19], 콩과 식물(분리된 완두콩,[20] 렌즈콩[21]), 채소(감자,[22] 당근, 근대)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다.
  • 도로 와트: 닭고기와 삶은 달걀을 넣은 와트로, 최고급 와트로 여겨진다.[60]
  • 바그 와트: 양고기를 넣은 와트
  • 스가 와트: 소고기를 넣은 와트
  • 아사 와트: 살을 발라낸 생선을 넣은 와트
  • 슈로 와트: 콩가루를 사용한 와트
  • 무슬 와트: 렌즈콩을 넣은 와트
  • 아티크르트 와트: 채소를 넣은 와트
  • 메틴 슈로: 완두콩, 렌즈콩, 병아리콩 등의 가루를 사용한 채소 와트
  • 뜨브스: 채소와 함께 고기를 볶아 만든 요리.[23] 18세기 유럽인은 특별한 존경을 표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운 고기라고 묘사했다.[23]
  • 쿡클: 양고기 등을 사용한 고기 수프
  • 키트포: 다진 생(또는 레어) 소고기를 미트미타와 니터 키베|니티르 키베am에 절여 만든다.
  • 야타크레테 키르킬: 마늘과 생강을 넣은 채소 볶음
  • 예미사 세라타: 샬롯과 고추로 맛을 낸 렌즈콩 샐러드
  • 울고: 요구르트. 와트에 섞어 먹는다.
  • 나미야파: 단단한 요구르트
  • 본볼리노: 도넛
  • 킨체: 으깬 밀, 에티오피아 귀리, 보리 등으로 만든 의 일종으로, 니터 키베|니티르 키베am를 곁들여 먹는다.[24]
  • 아지파: 겨자씨, 할라페뇨, 양파를 넣어 만든 에티오피아 렌틸콩 샐러드.[26][27][28]
  • 부티차: 병아리콩 샐러드.[29][26]
  • 고멘 바 시가: 쇠고기와 에티오피아 겨자를 amulcho|아물초am 빵 아래에 층으로 얹어 끓인 혼합물.

3. 3. 식사 방식

에티오피아에는 메소브(mesob)라고 불리는 짚으로 엮은 자국식 식탁이 있다. 식사 시간이 되면 깔개를 깔고 손을 씻을 물과 비누를 가져온다. 음식을 다 먹은 후에도 다시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다.[3]

전형적인 에티오피아 요리는 매콤한 스튜와 인제라로 구성되며, 소고기, 양고기, 채소, 콩류 등이 메소브 바구니에 담겨 나온다.[3] 남부 민족, 국적 및 인민 지역과 시다마 지역에서는 바나나 식물(엔세트|ensetam)을 분쇄, 발효시켜 코초라는 빵과 유사한 음식을 만들어 키트포와 함께 먹는다.[4] 이 식물의 뿌리는 가루로 만들어 ''불라''(게에즈어: ቡላ ''būlā'')라는 뜨거운 음료를 만드는데, 피곤하거나 아픈 사람들에게 제공된다. 구라게족은 버터(''케베'')를 넣은 커피를 마시기도 한다. ''키타'' 허브 빵도 굽는다. ''콴타''(또는 ''쿠완타'')는 전통 향신료를 사용한 공기 건조 소고기 육포로, 간식이나 스튜 및 기타 요리의 재료로 사용된다.

짧은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점령의 영향으로, 파스타는 에티오피아 전역, 특히 시골 지역에서 인기가 있다.[1] 모든 식사 후에는 커피 의식이 행해지며 커피가 제공된다.

식사 시, 인제라는 야채, 콩류, 고기를 주재료로 한 다양한 웻 요리와 함께 제공된다. 도로 웻은 칠리 페퍼, 마늘, 생강, 그리고 다양한 향신료로 구성된 향신료 혼합물인 베르베레로 맛을 낸 매콤한 닭고기 스튜로, 에티오피아의 대표 음식이다.[7]

에티오피아 요리는 다른 국가와의 연결 및 교역과 종교적 관습을 통해 발전해 왔다.[9][8] 에티오피아의 지속적인 기독교 신앙은 육식을 금하는 단식 기간 때문에 채식 위주의 식단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9] 이슬람 관습은 이드(Eid)와 같은 일부 축제 기간 동안 육류 요리에 영향을 미쳤다.[10][11]

에티오피아 음식은 렌즈콩, 콩, 커피, 그리고 다양한 향신료와 같은 이 나라의 지리적 환경과 풍부한 농업 자원의 영향을 받았다. 관습적인 에티오피아 커피 의식은 커피를 볶고, 내리고, 제공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데, 이는 커피가 에티오피아에서 유래되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에티오피아 요리는 단순한 영양 공급을 넘어, 공동 식사 및 문화적 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제라를 먹을 때는 보통 손으로 찢은 인제라를 와트라는 스튜에 찍어 먹는다.[46] 와트 외에 인제라의 반찬으로는 볶은 고기, 콩류와 여러해살이 양배추 조림, 생고기, 치즈 등이 있다.[47]

4. 종류

버르버레는 칠리 고추와 다른 가루 및 재료를 혼합한 것으로, 많은 에티오피아 요리에서 볼 수 있다. 대개 모든 요리에 버터나 생강, 마늘 등을 넣는다.[73]

은저라 위에 얹은 워뜨


워뜨는 빨간 양파를 끓여서 만드는 에티오피아식 수프이다. 양파가 뭉그러지면 야채 기름을 넣고 버르버레를 넣어 향을 더한다. 빨갛지 않게 하려면 버르버레를 조금 덜 넣는다. 마지막으로 쇠고기, 염소, 닭고기 등 다양한 고기를 넣고 요리하며, 어떤 고기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명칭이 달라진다.

뜨브스는 야채 샐러드를 뜨겁게 해서 내오는 수프이다. 18세기 중엽 에티오피아를 방문했던 르메디우스 프러트키는 뜨브스를 "누군가에게 특별한 환영을 표시하기 위해서 내오는" 구운 고기와 함께 요리한 음식이라고 묘사했다.[73]

4. 1. 지역별 요리

암하라족의 요리는 인제라를 중심으로 하며, 다양한 향신료와 와트라 불리는 스튜를 곁들여 먹는 것이 특징이다. 인제라는 테프 가루로 만든 사워도우 플랫브레드이다. 주요 요리는 다음과 같다.

  • 도로 왓: 삶은 달걀을 넣은 매운 닭고기 스튜로, 베르베르 향신료 혼합물과 니터 키베(향신료를 넣은 정제 버터)로 맛을 낸다.
  • 팁스: 양파, 토마토, 향신료로 볶은 고기(쇠고기 또는 양고기) 요리이다.
  • 시가 왓: 베르베르로 맛을 낸 쇠고기 스튜이다.
  • 아네바베로: 두꺼운 인제라를 버터와 향신료를 넣은 베르베르 혼합물에 적셔 층층이 쌓은 요리이다.
  • 피르-피르: 잘게 찢은 인제라를 매운 스튜와 섞은 요리이다.
  • 아사 굴라쉬: 생선 스튜이다.
  • 시로: 병아리콩을 베이스로 한 스튜로, 순한 맛의 네치 미틴 시로와 매운 맛의 키 미틴 시로 두 가지 종류가 있다.
  • 이르고: 전통적인 요구르트이다.


암하라족의 간식과 음료는 다음과 같다.

  • 간식
  • 다보 (전통 빵): 암바샤, 디포 다보, 히비스트 등
  • 다보 콜로: 튀기거나 구운 반죽 간식
  • 콜로: 땅콩과 섞은 구운 보리나 밀
  • 음료
  • 텔라: 보리, 홉, 게쇼 잎으로 만든 전통 맥주
  • 테지: 꿀 와인
  • 비르즈: 꿀 음료


오로모인의 요리는 채소나 고기 반찬과 주요리로 구성된다. 오로미아에서는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 전통이 있다.[30] 주요 요리는 다음과 같다.

  • 안코테: 오로미아 서부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요리
  • 바두: 우유를 응고시켜 만든 음식
  • 마르카: 밀, 우유, 고추 및 향신료로 만든 죽과 같은 음식
  • 체체브사: 고추 가루와 치즈로 볶은 잘게 찢은 비데나
  • 욱캄사 (아파니이): 향신료, 다진 양파, 마늘, 청양고추, 정제 버터로 조리한 다진 쇠고기[31]
  • 코코 (코초): 오로미아 서부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요리
  • 이토: 채소와 고기(양고기)로 만든 요리
  • 추코 (미치라): 버터와 향신료로 양념한 통곡물[32]
  • 초로르사: 오로미아 서부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요리
  • 훌바타: 호로파 씨앗 가루, 감자, 양갈비 또는 안심을 고추, 마늘 및 토마토 향신료로 양념하여 조리한 스튜
  • 도케: 오로미아주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요리
  • 퀸체: 마르카와 유사하지만 밀가루가 아닌 잘게 찢은 곡물로 만든 음식


오로모인의 간식과 음료는 다음과 같다.

  • 간식: 코르소 (아카이) (보리 씨앗을 구워 만듦)[33]
  • 음료
  • 다디: 꿀로 만든 음료
  • 파르쇼: 보리로 만든 맥주와 같은 음료
  • 하니드/하네드: 천천히 구운 양고기 요리. 쉬트니/샤타 소스는 하니다의 반찬으로 사용되는 허브와 고추 혼합물.


에티오피아 북부에서는 인제라라고 불리는 팬케이크가, 남부에서는 엔세테라고 불리는 식물이 음식의 중심이 된다.[42][43] 인제라는 기원전 100년경부터 만들어졌으며,[44] 19세기 후반 암하라족의 남부 진출과 함께 에티오피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45] 인제라는 손으로 찢어 와트라는 스튜에 찍어 먹거나, 암염 조각이나 청고추를 곁들여 먹는다.[46] 와트 외에도 볶은 고기, 콩류와 여러해살이 양배추 조림, 생고기, 치즈 등이 인제라와 함께 제공된다.[47]

엔세테는 에티오피아 남부에서만 재배 및 조리되며, "기아를 구하는 나무"라고 불릴 정도로 중요한 식량 자원이다.[49] 엔세테는 위경에 저장된 전분을 발효시켜 조리하며, 껍질, 잎 등 거의 모든 부위가 활용된다.[50]

에티오피아 요리의 기본적인 조미료는 고춧가루, 마늘, 생강, 소금 등을 섞어 만든 바르바리(발레발레)이다.[51] 향신료를 넣은 버터인 니터 케베도 각 가정에 비치된 조미료이다. 꿀은 술의 원료이자 전통적인 감미료로 사용된다.[53]

4. 2. 민족별 요리

암하라족의 요리는 다양한 요리와 음료를 특징으로 하며, 종종 인제라, 테프 가루로 만든 사워도우 플랫브레드를 중심으로 한다. 이 요리는 향신료, 풍성한 스튜, 전통적인 조리법의 사용으로 유명하다.

'''요리'''

  • 인제라 - 테프 가루로 만든 사워도우 플랫브레드로, 대부분의 식사의 기본이 되며 스튜와 요리를 떠먹는 데 사용된다.
  • 도로 왓 - 삶은 달걀을 넣은 매운 닭고기 스튜로, 버르버레 향신료 혼합물과 니터 키베(향신료를 넣은 정제 버터)로 맛을 낸다.
  • 뜨브스 - 양파, 토마토, 향신료로 볶은 고기(쇠고기 또는 양고기)로, 종종 뜨겁게 지글지글 끓는 상태로 제공된다.
  • 시가 왓 - 버르버레로 만든 풍성하고 매운 쇠고기 스튜로, 부드러워질 때까지 천천히 조리한다.
  • 아네바베로 - 두꺼운 인제라를 버터와 향신료를 넣은 버르버레 혼합물에 적셔 층층이 쌓아 올린 요리로, 풍부하고 풍미가 뛰어난 맛을 즐길 수 있다.
  • 피르-피르 - 잘게 찢은 인제라 또는 빵을 매운 스튜 또는 '왓'과 섞어 만드는데, 종종 푸짐한 아침 식사로 제공된다.
  • 아사 굴라쉬 - 양파, 토마토, 버르버레로 조리한 맛있는 생선 스튜로, 종종 인제라 또는 빵과 함께 제공된다.
  • 시로 - 병아리콩을 베이스로 한 스튜로, 두 가지 주요 종류가 있다.
  • 네치 미틴 시로 - 순한 향신료로 만들어 맛이 더 가볍다.
  • 키 미틴 시로 - 버르버레로 만들어 풍부하고 매운 맛을 낸다.
  • 이르고 - 전통적인 요구르트로, 종종 발효된 우유로 만들어 반찬으로 제공되거나 단독으로 먹는다.


'''간식'''

  • 다보
  • 암바샤 다보 - 약간 달콤한 축하용 빵으로, 굽기 전에 반죽에 장식을 한다.
  • 디포 다보 - 바나나 잎으로 싸서 구운 빵으로 독특한 풍미를 낸다.
  • 히비스트 다보 - 부드러운 질감의 찐 빵.
  • 다보 콜로 - 바삭하고 튀기거나 구운 반죽 간식으로, 약간의 향신료를 넣어 맛을 내 가벼운 간식으로 인기 있다.
  • 콜로 - 땅콩과 섞은 구운 보리 또는 밀로, 영양가 있고 휴대하기 좋은 간식으로 즐겨 먹는다.


'''음료'''

  • 텔라 - 보리, 홉, 게쇼 잎으로 양조한 전통적인 암하라 맥주로, 종종 축제 기간에 마신다.
  • 테지 - 달콤한 암하라 꿀 와인으로, 특별한 날에 제공되며 독특한 풍미로 유명하다.
  • 비르즈 - 알코올이 없는 꿀 음료로, 가볍게 발효시켜 상쾌한 음료로 즐겨 마신다.


오로모인의 요리는 다양한 채소 또는 고기 반찬과 주요리로 구성된다. 오랜 관습, 관행 또는 신념의 일부로 오로미아에서는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다.[30]

  • 안코테 - 오로미아 서부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요리
  • 바두 - 우유를 응고시켜 걸러낸 후 남은 액체 (치즈)
  • 마르카 - 밀, 우유, 고추 및 향신료로 만든 죽과 같은 음식
  • 체체브사 - 고추 가루와 치즈로 볶은 잘게 찢은 비데나
  • 욱캄사 (아파니이) - 향신료, 다진 양파, 마늘, 청양고추, 정제 버터로 조리한 다진 쇠고기.[31]
  • 코코 - ''코초''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구라게 유형의 코초가 아닌 다른 종류이다. 오로미아 서부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요리
  • 이토 - 모든 종류의 채소 (토마토, 감자, 생강, 마늘), 고기 (양고기)로 구성됨
  • 추코 - ''미치라''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버터와 향신료로 양념한 통곡물의 달콤한 맛[32]
  • 초로르사 - 오로미아 서부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요리
  • 훌바타 - 유기농 호로파 씨앗 가루, 감자, 양갈비 또는 안심을 고추, 마늘 및 토마토 향신료로 양념하여 천천히 조리한 걸쭉한 스튜로, 비데나 위에 올려 제공된다. 오로미아의 동 하라르게 존 및 서 하라르게 존에서 주로 요리됨
  • 도케 - 오로미아주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요리
  • 퀸체 - 마르카와 유사하지만 밀가루가 아닌 잘게 찢은 곡물로 만듦
  • 코르소 (아카이) - 보리 씨앗을 구워 만든 간식[33]
  • 다디 - 꿀로 만든 음료
  • 하니다/하네드 - 보통 밥과 함께 제공되는 천천히 구운 양고기 요리
  • 쉬트니/샤타 소스 - 하니다의 반찬으로 사용되는 허브와 고추 혼합물
  • 파르쇼 - 보리로 만든 맥주와 같은 음료


엔세트 식물(시다모어로 ''wesse''라고 불림)은 시다마 요리의 핵심이며, 뿌리를 갈아 발효시켜 ''wassa''를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여러 음식을 준비한다.

''보라사메''는 ''와사''와 버터를 섞어 익힌 음식으로, 때로는 에티오피아 겨자 잎이나 콩과 함께 먹는다. 전통적으로 가짜 바나나 잎을 사용하여 손으로 먹으며, 샤페타am , 꽃병 모양의 도자기 그릇에 담겨 제공된다. ''보라사메''의 일반적인 변형으로 ''와사'' 대신 옥수수 가루를 사용하며, 이를 ''바델라 보라사메''라고 부른다. ''보라사메''는 일반적으로 '와탓'이라는 양념 요구르트 음료와 함께 먹는다. 둘 다 장례식과 시다마족의 새해인 ''피체 챔발라알라'' 축제에서 흔히 먹는 음식이다.

4. 3. 종교별 요리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자들은 문화적, 종교적 이유로 돼지고기를 피하며, 에티오피아 유대인과 에티오피아 무슬림들은 종교적인 이유로 돼지고기나 조개류를 먹지 않는다. 돼지고기는 유대교이슬람교에서 금지되어 있다.[10] 대부분의 에티오피아 개신교 신자들 또는 펜테이 역시 정교회에서 금하는 음식을 먹지 않는다. 많은 에티오피아인들은 특정한 육류 섭취를 자제하며, 주로 채식 위주의 음식을 섭취하는데, 이는 육류, 계란, 유제품의 높은 가격 때문이기도 하다.

에티오피아의 기독교인과 이슬람교인 모두 육식에 대한 일정한 금기가 있지만, 도시 지역에서는 점차 형식화되고 있다.[54] 기독교인은 소, 염소, 양, 닭고기를 먹고, 이슬람교인은 이러한 동물 외에 낙타고기를 먹는다.[55] 돼지고기는 기독교인과 이슬람교인 모두 기피한다.[55]

역사를 통틀어 에티오피아 요리는 다른 국가와의 연결 및 교역과 종교적 관습을 통해 발전해 왔다.[9][8] 예를 들어, 에티오피아의 지속적인 기독교 신앙은 육식을 금하는 단식 기간 때문에 채식 위주의 식단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9] 이슬람 관습은 이드(Eid)와 같은 일부 축제 기간 동안 육류 요리에 영향을 미쳤다.[10][11]

5. 음료

에티오피아에서는 다양한 음료를 즐겨 마신다. 떠지꿀술의 일종으로, 에티오피아의 일반 술집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tej bet'이라는 곳에서 주로 판매하며, 카티칼(katikal)이나 아라키와 같이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도 있다.[36]

커피에티오피아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커피를 즐겨 마신다. 사람들은 전용 주전자에 커피를 끓여 마시며, 가정에서는 약초 등을 넣어 독특한 맛을 내기도 한다. 질 좋은 커피는 특별히 통제되는 곳에서 생산된다.

식사 시에는 테라(타라)라는 술을 곁들이기도 한다. 테라는 "에티오피아 맥주"라고도 불리며, 고대 메소포타미아 맥주와 유사한 특징을 지닌다.[63] 테라를 증류하여 만든 아라키도 있지만,[47] 알코올 도수가 높아 주로 술을 즐기는 사람들이 선호한다.[64] 아디스아바바의 베데레 등에서는 다양한 수제 맥주도 생산되고 있다.[64]

타지는 꿀로 만든 술로, 서민들이 즐겨 마시는 테라보다 고급 술로 여겨진다. 에티오피아 황제가 즐겨 마셨던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며,[65] 꿀에 효모를 첨가하여 발효시켜 만들어진다. 드라이, 미디엄 스위트, 스위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64] 1920년대부터는 일반인들도 타지를 마실 수 있게 되었다.[66]

에티오피아의 카파커피나무의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67] 19세기 말 이후 에티오피아 전역에서 커피를 마시게 되었지만, 남서부 지역에서는 그 이전부터 커피를 이용해왔다.[68] 에티오피아에서는 커피 원두를 볶아 가루로 만들어 끓여 마시며, 커피나무가 자라지 않는 저지대에서는 커피나무 잎이나 원두 껍질을 달여 마시기도 한다.[69] 에티오피아 고지대에는 손님에게 커피를 대접하는 커피 세리머니라는 풍습이 있는데, 이는 에티오피아의 관광 명물 중 하나가 되었다.[70]

5. 1. 전통 음료

떠지꿀술의 일종으로 에티오피아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일반 술집에서 맛볼 수 있다. 보통 ''tej bet''이라는 곳에서 판매하며, 카티칼(katikal)이나 아라키 같은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도 있다.[36]

커피에티오피아에서 기원하여 다른 나라로 퍼져나갔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많은 사람들이 커피를 즐겨 마시며, 전용 주전자에 커피를 만들어 진흙으로 만든 물병에 담아 끓여서 내놓는다. 가정에서는 약초 등을 넣어 물맛을 좋게 하기도 한다. 좋은 커피는 아무나 맛볼 수 없기 때문에 질 좋은 커피가 생산되는 곳은 통제되기도 한다.

에티오피아에는 다양한 종류의 전통적인 알코올 음료가 있으며, 집에서 천연 재료로 만든다.

''텔라''는 '텔라 벳'(tella bet, "텔라 하우스")에서 제공되는 자가 양조 맥주이다. ''텔라''는 명절에 가정에서 만들어 제공되는 가장 흔한 음료이다. 보리를 주원료로 하고, 발효를 위해 ''게쇼''(''Rhamnus prinoides'')를 사용한다. 오로모어로는 ''파르소''(farso), 티그리냐어로는 ''시와''(siwa)라고 불린다.

''테지''는 알코올 도수가 높은 꿀술이다.[1] 미드와 유사하며, "테지 하우스" 또는 ''테지 베트''라고 불리는 술집에서 자주 제공된다. 꿀과 게쇼로 만들며, 단맛이 나고 알코올 함량은 ''텔라''보다 높다. 오래 보관할수록 알코올 함량과 맛이 더 강해진다.

식사 시에는 테라 (타라)라는 술이 제공된다. 테라는 "에티오피아 맥주"라고도 불리며, 고대 메소포타미아 맥주와 유사하다.[63] 테라를 증류하여 만든 아라키도 마시지만,[47] 알코올 도수가 높은 아라키는 주로 일부 애주가들이 선호한다.[64] 아디스아바바의 베데레 등, 에티오피아에서는 많은 수제 맥주도 만들어지고 있다.[64]

타지 (타지)는 서민 술인 테라에 비해 고급 술로, 에티오피아 황제가 즐겨 마셨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65] 꿀에 효모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술로, 드라이, 미디엄 스위트, 스위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64] 궁정에서 만들어지던 타지는 병사 격려, 특별 연회 등에만 제공되었지만, 1920년대부터 일반인도 마실 수 있게 되었다.[66]

에티오피아의 카파커피나무의 원산지로 여겨진다.[67] 에티오피아 전역에서 커피를 마시게 된 것은 19세기 말 이후이지만, 남서부에서는 그보다 이른 시기에 커피가 이용되었다.[68] 에티오피아에서는 커피 원두를 볶아 가루로 만든 것을 끓여 마시며, 커피나무가 자라지 않는 저지대에서는 커피나무 잎이나 원두를 덮는 껍질을 달여 마신다.[69] 에티오피아 고지대에는 손님에게 커피를 내고, 많은 사람을 모아 시간을 들여 대접하는 풍습이 있으며, 커피 세리머니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이 대접은 에티오피아 관광 명물 중 하나가 되었다.[70]

5. 2. 기타 음료

떠지(꿀술)는 에티오피아의 일반 술집에서 마실 수 있는 술이다. 보통 ''tej bet''이라고 불린다. 이외에도 카티칼(katikal)이나 아라키(araki)라고 불리는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도 있다.[47][64]

커피는 에티오피아에서 기원하여 다른 나라로 퍼져나갔다는 것이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많은 사람들이 커피를 즐겨 마시며, 사람들은 커피를 전용 주전자에 끓여 마신다. 가정에서는 약초 등을 넣어 물맛을 좋게 하기도 한다. 질 좋은 커피는 통제된 곳에서 생산된다.

전통적인 커피 의식에서 커피를 볶는 에티오피아 여성


커피 의식은 전통적인 커피 제공 방식이다. 보통 푸짐한 식사 후에 진행되며, 점토로 만든 커피 포트인 ''제베나''를 사용한다. 준비자는 손님 앞에서 커피 원두를 볶고 방 안을 돌아다니며 연기를 퍼뜨려 향을 맡게 한다. 그 후 mokechaam라는 전통 도구로 커피 원두를 갈아 ''제베나''에 넣고 물과 함께 끓인 후, ''시니''라는 작은 컵에 따라 제공한다. 커피는 보통 설탕과 함께 제공되지만, 많은 지역에서는 소금이나 ''니터 키베''를 넣어 마시기도 한다. 팝콘이나 콜로 같은 간식이 함께 제공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가정에는 신선한 풀로 둘러싸인 전용 커피 공간이 있으며, 커피 메이커를 위한 특별한 가구가 마련되어 있다. 완전한 의식은 세 번의 커피 라운드(''아볼'', ''토나'', ''베레카'')로 진행되며, 유향을 태우는 의식이 함께 진행된다.

는 커피를 거절할 경우 제공될 가능성이 높다. 차는 에티오피아의 구마로와 우슈워시에서 재배된다. 에티오피아 남부에서는 삶은 커피 잎을 마시는데, 동부의 하라리족은 ''쿠티'', 서부의 마장족은 ''카아리''라고 부른다. 설탕, 소금, , 고추, 생강 등 다양한 향신료와 양념으로 만들어진다. 에티오피아 식품 안전청은 커피 잎 추출물의 안전성을 유럽 연합에 등록했다.[40]

식사 시에는 테라(타라)라는 술이 제공된다. 테라는 "에티오피아 맥주"라고도 불리며, 고대 메소포타미아 맥주와 유사하다.[63] 테라를 증류하여 만든 아라키라는 술도 있지만,[47] 알코올 도수가 높아 주로 일부 애주가들이 선호한다.[64] 아디스아바바의 베데레 등, 에티오피아에서는 많은 수제 맥주도 만들어지고 있다.[64]

타지는 꿀로 만든 술로, 서민 술인 테라보다 고급 술이며, 에티오피아 황제가 즐겨 마셨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65] 꿀에 효모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술로, 드라이, 미디엄 스위트, 스위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64] 1920년대에 들어 일반인도 타지를 마실 수 있게 되었다.[66]

에티오피아의 는 커피나무의 원산지로 여겨진다.[67] 에티오피아 전역에서 커피를 마시게 된 것은 19세기 말 이후이지만, 남서부에서는 그보다 이른 시기에 커피가 이용되었다고 여겨진다.[68] 에티오피아에서는 커피 원두를 볶아 가루로 만든 것을 끓여 마시며, 커피나무가 자라지 않는 저지대에서는 커피나무 잎이나 원두를 덮는 껍질을 달여 마신다.[69] 에티오피아 고지대에는 손님에게 커피를 내고, 많은 사람을 모아 시간을 들여 대접하는 풍습이 있으며, 커피 세리머니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이 대접은 에티오피아 관광 명물 중 하나가 되었다.[70] 커피는 음용 외에도 과육은 버터로 조리되며, 어린 잎은 채소로 사용된다.[67]

''케네토''(또는 ''케리보'')는 무알코올 전통 음료이다.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 주로 ''텔라''의 대체 음료로 사용된다.[37] ''보르데''는 에티오피아 남부에서 유명한 곡물 기반의 전통적인 발효 음료이다.[36]

에티오피아인들도 세계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여러 종류의 현지에서 생산된 맥주, 와인, 그리고 코카콜라와 유사한 무알코올 음료를 즐겨 마신다.

에티오피아의 코카콜라 병, 에티오피아 문자로 쓰여진 독특한 로고가 있다.
암보 미네랄 워터 또는 "암보 우하"는 병에 담긴 탄산 미네랄 워터로, 암보 마을 근처 암보 센켈레의 샘에서 공급된다.

''앗멧''은 보리와 귀리 가루를 물, 설탕, 그리고 ''키베''(에티오피아 정제 버터)와 함께 끓여서 에그노그보다 약간 더 걸쭉한 농도로 만든 음료이다. 이 음료는 종종 수유 중인 여성에게 제공되지만, 단맛과 부드러운 질감 때문에 맛을 즐기는 모든 사람에게 위안을 주는 음료이다.

암하라족의 전통 음료는 다음과 같다.

음료설명
텔라보리, 홉, 게쇼 잎으로 양조한 전통 맥주. 축제 기간에 주로 마신다.
테지달콤한 꿀 와인. 특별한 날에 제공되며 독특한 풍미로 유명하다.
비르즈알코올이 없는 꿀 음료. 가볍게 발효시켜 상쾌하게 마신다.


참조

[1] 웹사이트 Eating and Drinking in Ethiopia. http://www.gonomad.c[...] 2011-07
[2] 서적 Layers of Time: A history of Ethiopia Palgrave 2000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thiop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4-03-29
[4] 웹사이트 Uses of Enset http://www.aaas.org/[...] 1997
[5] 웹사이트 Ethiopian Injera Recipe https://annex.explor[...] 2024-10-08
[6] 웹사이트 Making Injera - Tips & Tricks https://teffco.com/t[...] 2024-10-08
[7] 웹사이트 Doro Wat (Spicy Ethiopian Chicken Stew) https://www.daringgo[...] 2024-10-08
[8] 웹사이트 The History and Diversity of Ethiopian Cuisine: A Culinary Journey Through Time and Culture https://tauhuichiban[...] 2024-03-14
[9] 웹사이트 Food and Culture of Ethiopia https://dune.une.edu[...] 2024-10-08
[10] 웹사이트 Customs & Cuisine of Ethiopia https://togetherwome[...] 2023-04-13
[11] 웹사이트 25 of the Most Delicious Eid al-Fitr Foods from Around the World https://www.womansda[...] 2024-03-15
[12] 서적 Handbook of herbs and spices Volume 2 2012
[13] 서적 የባህላዌ መግቦች አዘገጃጀት Mega Asatame Derjet (Mega Publisher Enterprise) 2003
[14] 웹사이트 Ethiopian Traditional and Herbal Medication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Conventional Drugs http://ethnomed.org/[...] University of Washington 2009-11-03
[15] 서적 Exotic Ethiopian Cooking Ethiopian Cookbooks Enterprises 2006
[16] Amharic-English Dictionary ሥጋ http://www.amharicdi[...] Selam Soft 2013-04-30
[17] Amharic-English Dictionary ዶሮ http://www.amharicdi[...] Selam Soft 2013-04-30
[18] Amharic-English Dictionary ዓሣ http://www.amharicdi[...] Selam Soft 2013-04-30
[19] Amharic-English Dictionary 'በግ' http://www.amharicdi[...] Selam Soft 2013-04-30
[20] Amharic-English Dictionary ክክ http://www.amharicdi[...] Selam Soft 2013-04-30
[21] Amharic-English Dictionary ምስር http://www.amharicdi[...] Selam Soft 2013-04-30
[22] Amharic-English Dictionary ድንች http://www.amharicdi[...] Selam Soft 2013-04-30
[23] 서적 Prutky's Travels in Ethiopia and other Countries Hakluyt Society 1991
[24] 문서 slow food foundation for biodiversity
[25] 웹사이트 Kinche https://www.tasteatl[...] 2024-10-14
[26] 서적 Enebla: Recipes from an Ethiopian Kitchen https://books.google[...] TouchWood Editions 2022-10-25
[27] 서적 Keto Ethiopian Style: Guide To Ethiopian Keto https://books.google[...] Susan Zeppieri 2021-07-13
[28] 웹사이트 Azifa (Ethiopian Lentil Salad) https://www.brundo.c[...] 2021-02-17
[29] 웹사이트 Buticha (Ethiopian chickpea flour salad) https://www.brundo.c[...] 2021-02-17
[30] 간행물 Let Us Talk About Food: Oromo vs. Ethiopian https://www.opride.c[...] 2009-06-07
[31] 간행물 TYPES OF OROMO FOODS / RECIPES https://oromiaculina[...] 2024
[32] 간행물 Ethiopia: Special Cuisines As a Symbol of Oromo Lifestyle https://allafrica.co[...] 2020-09-15
[33] 웹사이트 UNPO: Oromo: Farmer from Ethiopia Mmay be the Oldest Living Person in the World https://unpo.org/art[...]
[34] 웹사이트 Ayeb (Ethiopian Cheese) https://www.brundo.c[...] 2020-12-14
[35] 웹사이트 Ayib (Homemade Fresh Cheese) and Ethiopia Cookbook Review https://tarasmulticu[...] 2019-09-06
[36] 논문 A review on Traditional Fermented Beverages of Ethiopian 2015
[37] 논문 Acrylamide occurrence in Keribo: Ethiopian traditional fermented beverage http://www.sciencedi[...] 2018-04-01
[38]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ambowater[...] Ambo Mineral Water 2013-01-04
[39] 웹사이트 Ethiopi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1-01-12
[40] 논문 Technical Report on the notification of infusion from coffee leaves (Coffea arabica L. And/Or Coffea canephora Pierre ex A. Froehner) as a traditional food from a third country pursuant to Article 14 of Regulation (EU) 2015/2283
[41] 서적 『世界の食べもの』合本5巻、136頁
[42] 서적 鈴木『高地民族の国エチオピア』、121頁
[43] 서적 岡倉『エチオピアを知るための50章』、36頁
[44] 서적 鈴木『高地民族の国エチオピア』、121-122頁
[45] 서적 岡倉『エチオピアを知るための50章』、39頁
[46] 서적 鈴木『高地民族の国エチオピア』、123頁
[47] 서적 『世界の食べもの』合本5巻、139頁
[48] 서적 小川『アフリカ』、215-216頁
[49] 서적 岡倉『エチオピアを知るための50章』、40頁
[50] 서적 鈴木『高地民族の国エチオピア』、127-128頁
[51] 서적 ヴァンダーポスト『アフリカ料理』、35頁
[52] 서적 「地球の歩き方」編集室・編『東アフリカ(2014‐2015年版)』、341頁
[53] 서적 ヴァンダーポスト『アフリカ料理』、46-47頁
[54] 서적 鈴木『高地民族の国エチオピア』、124-125頁
[55] 서적 鈴木『高地民族の国エチオピア』、124頁
[56] 서적 『世界の食べもの』合本5巻、138頁
[57] 서적 「地球の歩き方」編集室・編『東アフリカ(2014‐2015年版)』、340頁
[58] 서적 鈴木『高地民族の国エチオピア』、124頁
[59] 서적 ヴァンダーポスト『アフリカ料理』、40頁
[60] 서적 『世界の食べもの』合本5巻、137頁
[61] 서적 小川『アフリカ』、209頁
[62] 서적 ヴァンダーポスト『アフリカ料理』、46頁
[63] 서적 鈴木『高地民族の国エチオピア』、125-126頁
[64] 서적 岡倉『エチオピアを知るための50章』、47頁
[65] 서적 鈴木『高地民族の国エチオピア』、126頁
[66] 서적 岡倉『エチオピアを知るための50章』、48頁
[67] 서적 鈴木『高地民族の国エチオピア』、129頁
[68] 서적 『世界の食べもの』合本5巻、140頁
[69] 서적 岡倉『エチオピアを知るための50章』、45-46頁
[70] 서적 岡倉『エチオピアを知るための50章』、43-44頁
[71] 서적 Layers of Time: A history of Ethiopia Palgrove 2000
[72] 서적 The Spice Trade of the Roman Empire Clarendon Press 1969
[73] 서적 Prutky's Travels in Ethiopia and other Countries Hakluyt Society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