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부리황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부리황새는 대형 조류로, 몸길이 100~115cm, 날개 길이 155~215cm이며, 흰색 깃털에 검은색 날개깃과 덮깃을 가지고 있다. 분류학적으로는 황새과에 속하며, 유럽, 북서아프리카, 서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는 'C. c. ciconia' 아종과 투르키스탄에서 번식하는 'C. c. asiatica' 아종이 있다. 이들은 장거리를 이동하며, 인간과의 관계가 깊어 문화와 민속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19세기 산업화와 농업 변화로 개체수가 감소하였으나, 현재는 최소 관심 대상(LC)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다양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새과 - 검은머리황새
    검은머리황새는 아메리카 대륙에 분포하는 대형 조류로, 물고기 등을 먹고 강과 연못 근처에서 무리 생활을 하며, 둥지를 반복해서 사용하고 2~5개의 알을 낳아 기르며, IUCN에서는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한다.
  • 황새과 - 아프리카대머리황새
    아프리카대머리황새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현존하는 새 중에서 가장 큰 날개폭을 가진 종 중 하나이고, 시체 청소를 통해 먹이를 얻으며, 목을 뒤로 젖힌 채 비행하고, 건기에는 집단으로 번식하며, 동아프리카 도시 지역에서도 번식하는 대형 조류이다.
  • 카메룬의 새 - 대백로
    대백로는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왜가리과에 속하는 흰색 대형 조류로, 번식기에는 장식깃과 검은 부리를 가지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집단 번식을 하는 습성이 있고, 과거 남획으로 개체수가 감소했으나 보호 조치로 회복되었지만 서식지 파괴로 지속적인 보호가 필요하다.
  • 카메룬의 새 - 뻐꾸기
    뻐꾸기는 유라시아와 아프리카에 분포하며 한국에는 여름철새로 찾아오는 뻐꾸기과의 새로, '뻐꾹'하는 울음소리와 탁란 습성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지니지만 최근 개체 수 감소로 관심 대상종으로 분류된다.
  • 아제르바이잔의 새 -
    꿩은 닭목 꿩과의 새로서 농경지, 초원, 숲 주변에 서식하며, 수컷은 화려한 깃털을, 암컷은 칙칙한 갈색 깃털을 가지며, 한국에는 한국꿩 등이 서식하고, 사냥과 식용으로 이용된다.
  • 아제르바이잔의 새 - 뻐꾸기
    뻐꾸기는 유라시아와 아프리카에 분포하며 한국에는 여름철새로 찾아오는 뻐꾸기과의 새로, '뻐꾹'하는 울음소리와 탁란 습성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지니지만 최근 개체 수 감소로 관심 대상종으로 분류된다.
홍부리황새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황새목
황새과
황새속
홍부리황새
일반 정보
학명Ciconia ciconia (Linnaeus, 1758)
이명Ardea ciconia (Linnaeus, 1758)
영어 이름White stork
보전 상태최소 관심 (LC)
IUCNhttps://doi.org/10.2305/IUCN.UK.2016-3.RLTS.T22697691A86248677.en
폴란드 비아워비에자에 있는 흰황새 (Ciconia ciconia)
비아워비에자, 폴란드에서
크기100–115 cm
날개 길이155–215 cm
흰황새 분포도
근사 범위 및 경로

2. 분류 및 진화

17세기에 영국의 박물학자 프랜시스 윌러비는 노르위치의 토마스 브라운 경이 보낸 그림을 보고 흰색 황새에 대해 글을 썼다. 그는 이 새를 ''Ciconia alba''라고 명명했으며, 이 새가 폭풍에 의해 영국으로 날아온 드문 방문객이라고 언급했다.[2] 이 새는 칼 린네가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처음 기술한 많은 조류 종 중 하나로,[4] 이때 ''Ardea ciconia''라는 이명으로 명명되었다. 1760년 마투린 자크 브리송에 의해 새로운 ''Ciconia''의 기준종으로 재분류되고 지정되었다.[5][6] 속명과 종소명인 ''cĭcōnia''는 "황새"를 뜻하는 라틴어 단어이다.[7]

홍부리황새 골격


현재 인정되는 아종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이다.

아종기술자 및 연도분포특징
C. c. ciconia (기준 아종)칼 린네, 1758[4]유럽, 북서아프리카, 서아시아, 남아프리카에서 번식하며, 주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겨울을 나지만 일부는 인도에서도 겨울을 난다.[8]-
C. c. asiatica니콜라이 세베르초프, 1873[9]투르키스탄에서 번식하고 이란에서 인도까지 겨울을 난다.[9]기준 아종보다 약간 더 크다.[9]



황새과에는 세 개의 큰 그룹으로 나뉘는 여섯 개의 속이 있다. 즉, 부리 열린 황새와 나무 황새 (''Mycteria''와 ''Anastomus''), 거대 황새 (''Ephippiorhynchus'', ''Jabiru'', ''Leptoptilos'') 및 "전형적인" 황새 (''Ciconia'')이다. 전형적인 황새 속(''Ciconia'')에는 흰색 황새와 다른 여섯 개의 현존하는 종이 포함되며, 이들은 곧고 뾰족한 부리와 주로 흑백 깃털을 특징으로 한다.[10] 흰색 황새의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는 과거에 아종으로 분류되기도 했던 동아시아의 더 큰 검은 부리 황새(''Ciconia boyciana'')와 남아메리카의 마구아리 황새(''C. maguari'')가 있다. 행동 유사성 및 미토콘드리아 사이토크롬 ''b'' 유전자 서열과 DNA-DNA 혼성화 분석을 통해 ''Ciconia'' 속 내의 가까운 진화적 관계가 제시된다.[11]

케냐, 빅토리아 호의 루징가 섬에서 발견된 미오세 지층에서 오른쪽 상완골의 원위 끝을 나타내는 ''Ciconia'' 화석이 발견되었다.[12] 약 2,400만 년에서 600만 년 전의 이 화석은 크기가 비슷하고 뼈 구조가 매우 유사하여 흰색 황새 또는 흑색 황새(''C. nigra'')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마보코 섬의 중기 미오세 지층에서도 추가 유해가 발견되었다.[12]

3. 형태

흰색 황새는 대형 조류로[13][14], 길고 뾰족한 부리와 긴 다리, 긴 목을 가진 전형적인 황새의 모습을 하고 있다. 암수 외형은 동일하지만, 수컷이 평균적으로 암컷보다 크다. 성체와 어린 새(유조)는 깃털 색, 부리와 다리 색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3. 1. 성체

흰색 황새는 대형 조류이다. 길이는 100cm에서 115cm 사이이며, 서 있을 때의 키는 100cm에서 125cm 사이이다. 날개 길이는 155cm에서 215cm 사이이고 무게는 2.3kg에서 4.5kg 사이이다.[13][14] 모든 황새와 마찬가지로 다리가 길고, 목이 길며, 길고 곧은 뾰족한 부리를 가지고 있다. 암수 외형은 동일하지만, 수컷이 평균적으로 암컷보다 크다. 깃털은 주로 흰색이며 검은색 날개깃과 날개 덮깃을 가지고 있는데, 검은색은 색소 멜라닌에 의해 나타난다.[15] 가슴 깃털은 길고 텁수룩하여 구애 행동에 사용되는 칼라를 형성한다. 홍채는 칙칙한 갈색 또는 회색이며, 눈 주위 안와 피부는 검은색이다. 성체는 밝은 붉은색 부리와 붉은 다리를 가지고 있는데, 이 색상은 식단에 있는 카로티노이드에서 유래한다. 스페인 일부 지역의 연구에 따르면 이 색소는 도입된 가재 종(붉은가재)에서 얻은 아스타크산틴에 기반하며, 밝은 붉은색 부리 색깔은 다른 곳의 어린 흰색 황새의 칙칙한 부리와 대조적으로 둥지에서도 나타난다.[16]

비행 중. 흰색 황새는 목을 쭉 뻗고 비행한다.


다른 황새와 마찬가지로 날개는 길고 넓어 활공할 수 있다. 날갯짓 시 날개짓은 느리고 규칙적이다. 목을 앞으로 뻗고 짧은 꼬리 끝을 훨씬 넘어 길게 다리를 뻗은 채 비행한다. 목을 쭉 뻗은 채 느리고 꾸준한 속도로 걷는다. 반면에 휴식을 취할 때는 머리를 어깨 사이에 구부리는 경우가 많다. 털갈이는 광범위하게 연구되지 않았지만, 번식기 동안 주요 날개깃이 교체되면서 연중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흰색 황새는 서식지 내에서 땅에서 보았을 때 뚜렷하게 구별된다. 비행 중 멀리서 볼 때 흰색 황새는 노랑부리황새, 흰펠리칸, 이집트독수리와 같은 비슷한 날개 아래 무늬를 가진 다른 여러 종과 혼동될 수 있다. 노랑부리황새는 검은 꼬리와 길고 약간 굽은 노란색 부리로 식별된다. 흰색 황새는 또한 노랑부리황새보다 더 큰 경향이 있다.[55] 흰펠리칸은 꼬리 밖으로 뻗지 않는 짧은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목을 움츠린 채 비행하여 머리를 통통한 몸에 가깝게 유지하여 다른 비행 모습을 보인다. 펠리칸은 또한 흰색 황새처럼 개체들의 무질서한 무리가 아닌 정돈되고 동기화된 무리로 활공하며 행동이 다르다. 이집트독수리는 훨씬 작으며 길고 쐐기 모양의 꼬리, 짧은 다리, 짧은 목에 작은 노란색 머리를 가지고 있다. 강한 빛에서 검은색과 흰색으로 보일 수 있는 유럽두루미는 비행 시 더 긴 다리와 더 긴 목을 보여준다.

3. 2. 유조

뿌리에서 붉은색을 띠고 끝으로 갈수록 검은색으로 변하는 긴 부리를 가진 흰색 황새의 머리, 목, 상체
Vogelpark Avifauna, 네덜란드의 좀 더 나이든 어린 개체. 부리는 뿌리부터 붉은색으로 변한다.


부화 시 어린 흰색 황새는 짧고 드문드문한 희끄무레한 솜털로 부분적으로 덮여 있다. 이 초기 솜털은 약 일주일 후에 더 빽빽한 양털 같은 흰색 솜털 털로 바뀐다. 부화 시 새끼의 다리는 분홍색이며, 나이가 들면서 회색-검은색으로 변한다. 부리는 검은색이며 갈색 팁이 있다. 3주가 되면 어린 새는 검은색 어깨 깃털과 날개깃을 갖게 된다. 새끼 치기 시점까지 어린 새의 깃털은 성체와 유사하지만, 검은색 깃털은 종종 갈색을 띠고 부리와 다리는 더 칙칙한 갈색-적색 또는 주황색을 띤다. 부리는 일반적으로 주황색 또는 붉은색이며 더 어두운 팁이 있다. 부리는 다음 여름에 성체의 붉은색을 얻지만, 일부 개체에서는 검은색 팁이 지속된다. 어린 황새는 두 번째 여름까지 성체 깃털을 갖게 된다.

4. 분포 및 서식지

흰색황새는 유럽, 북아프리카, 중동, 중앙아시아 등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크게 두 개의 아종으로 나뉜다.



폴란드는 세계 최대 번식지로 알려져 있다. 2004년 조사에서 전 세계 약 23만 쌍 중 약 4분의 1에 해당하는 52,500쌍이 폴란드 내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58] 여름철 폴란드 호수 지역의 시골에서는 나무, 집의 굴뚝, 전봇대 등 높은 곳에 둥지를 튼 황새를 흔히 볼 수 있다. 흰색황새는 풀이 무성한 초원, 농지, 얕은 습지를 선호하며, 키 큰 풀과 관목이 무성한 지역은 피하는 경향이 있다.

흰색황새는 계절에 따라 대규모 이동을 한다. 8월과 9월에 유럽의 여름 번식지를 떠나 남쪽 아프리카로 이동하며,[28] 케냐우간다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 주까지 사바나 지역에서 겨울을 보낸다. 이 지역에서는 때때로 1,000마리가 넘는 큰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 일부는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서수단과 차드를 거쳐 나이지리아에 도달하기도 한다.[20] 2013–2014년 겨울에는 남부 인도의 무두말라이 국립공원에서도 처음으로 관찰되었다.[46] 봄이 되면 다시 북쪽으로 이동하는데, 2월부터 4월 사이에 수단이집트에서 관찰되며,[42] 평균 49일의 여정을 거쳐 3월 말과 4월경 유럽의 번식지로 돌아온다.[28] 가을 이동은 순풍과 이동 경로상의 먹이 부족 등의 영향으로 약 26일 만에 더 빠르게 완료된다.[21]

동부 경로: 라하트에서 휴식을 취하는 황새(2017년 봄)


황새는 지중해를 건너는 긴 해상 이동을 피하기 위해 주로 두 가지 육로 경로를 이용한다.[43] 이동 시에는 열기류를 이용하여 활공하며 에너지를 절약한다.[44][45]

  • 동부 경로: 터키의 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너 레반트를 통과한 뒤 나일강 계곡을 따라 남하하여 사하라 사막을 우회하는 경로이다. 연간 약 53만 마리의 흰색황새가 이 경로를 이용하며, 이는 유럽벌매 다음으로 많은 수이다. 이동 중인 맹금류, 흰색황새, 흰펠리컨 무리는 때때로 200km까지 길게 이어지기도 한다. 동부 경로는 서부 경로보다 두 배 정도 길지만, 겨울 서식지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비슷하다.
  • 서부 경로: 지브롤터 해협을 건너 아프리카로 이동하는 경로이다.


어린 흰색황새는 유전적으로 각인된 방향을 따라 첫 남하 이동을 시작하지만, 기상 조건 등에 의해 경로를 벗어나면 이를 보정하기 어려워 새로운 월동지에 정착하게 될 수도 있다. 반면, 성체 황새는 강한 바람 등의 변수를 보정하고 익숙한 경로를 기억하여 원래의 월동지에 도착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봄철 이동 시에는 모든 황새가 자신의 전통적인 번식지를 찾아 돌아갈 수 있다.

흰색황새는 분포 지역이 넓고 전체 개체수도 많아 2016년 기준으로는 멸종 위험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전체 개체수는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156] 그러나 습지 개발, 하천 정비, 건설, 물 이용 증가 등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가뭄사막화, 농약 사용으로 인한 먹이 감소 및 중독, 사냥, 송전선과의 충돌 등 다양한 위협 요인에 노출되어 있어 일부 지역에서는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는 우려도 있다.[156]

5. 생태



17세기 영국의 박물학자 프랜시스 윌러비는 토마스 브라운 경이 보낸 그림을 바탕으로 흰색 황새에 대해 기록하며 ''Ciconia alba''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는 이 새가 폭풍에 의해 영국으로 날아온 드문 방문객이라고 언급했다.[2] 이후 칼 린네는 1758년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이 새를 ''Ardea ciconia''라는 이명으로 기술했다.[4] 1760년, 마투린 자크 브리송은 이 새를 새로운 인 ''Ciconia''로 재분류하고 기준종으로 지정했다.[5][6] 속명과 종소명 ''cĭcōnia''는 "황새"를 뜻하는 라틴어이다.[7]

흰색 황새는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아종으로 나뉜다.

아종명명자 및 연도번식지월동지특징
C. c. ciconia린네, 1758 (기준 아종)유럽, 북서아프리카, 서아시아, 남아프리카주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일부 인도)[8]기준 아종
C. c. asiatica니콜라이 세베르초프, 1873투르키스탄이란 ~ 인도[9]기준 아종보다 약간 더 큼



황새과(''Ciconiidae'')는 크게 세 그룹으로 나뉘는데, 흰색 황새는 "전형적인" 황새 그룹(''Ciconia'')에 속한다. 이 그룹에는 흰색 황새 외에 6종의 현존하는 황새가 포함되며, 곧고 뾰족한 부리와 주로 흑백의 깃털이 특징이다.[10] 흰색 황새와 가장 가까운 종은 과거 아종으로 여겨졌던 동아시아의 황새(''Ciconia boyciana'')와 남아메리카의 마구아리 황새(''C. maguari'')이다. 행동 유사성, 미토콘드리아 사이토크롬 b 유전자 서열, DNA-DNA 혼성화 분석 결과는 ''Ciconia'' 속 내의 가까운 진화적 관계를 뒷받침한다.[11]

케냐 빅토리아 호의 루징가 섬에서 발견된 마이오세 지층에서 ''Ciconia'' 속 황새의 상완골 화석이 발견되었다.[12] 약 2,400만 년에서 600만 년 전의 이 화석은 크기와 뼈 구조가 매우 유사하여 흰색 황새 또는 먹황새(''C. nigra'')의 것으로 추정된다. 마보코 섬의 중기 마이오세 지층에서도 추가적인 화석 유해가 발견되었다.[12]

흰색 황새는 사교적인 새로, 특히 이동 경로상이나 아프리카의 월동지에서는 수천 마리가 넘는 큰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 번식하지 않는 새들은 번식기 동안에도 40~50마리씩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가끔 압딤황새와 섞여 있는 모습도 관찰된다.[51] 번식쌍들은 먹이를 찾기 위해 작은 그룹을 형성하기도 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집단으로 둥지를 짓는 모습도 기록되었다. 번식 집단 내에서는 나이가 많은 황새가 중심부의 좋은 둥지를 차지하며 더 높은 번식 성공률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52] 사회 구조는 알로프리닝(서로 깃털을 다듬어 주는 행동)과 같은 이타적인 행동을 통해 유지되는데, 이는 주로 둥지 안에서 관찰된다. 서 있는 새가 앉아 있는 새의 머리를 다듬어 주거나, 부모가 새끼를, 또는 새끼들끼리 서로 다듬어 주는 식이다.[53] 대부분의 황새와 달리 날개를 펼치는 자세는 잘 취하지 않지만, 깃털이 젖었을 때는 날개를 늘어뜨리기도 한다.[54]

흰색 황새는 배설물(배설물과 요산 포함)을 자신의 다리에 묻히는 행동을 보이는데, 이를 통해 수분이 증발하면서 체온을 낮추는 효과를 얻는다. 이를 요수분비(urohidrosis)라고 한다.[55][56] 하지만 조류 고리를 부착한 경우, 고리 주변에 배설물이 쌓여 다리에 상처를 입히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57][58] 또한, 부리로 이끼를 물어다가 새끼의 입에 물을 떨어뜨려 주는 행동이 관찰되어, 일종의 도구 사용으로 여겨지기도 한다.[59]

5. 1. 이동

1822년, 로스토커 페일슈토르흐는 황새의 장거리 이동에 대한 초기 증거를 제공했다.


흰색 황새는 장거리 이동을 하는 새로, 유럽아시아 서부의 번식지와 아프리카의 월동지 사이를 오간다. 이러한 이동에 대한 초기 증거 중 하나는 1822년 독일에서 발견된 '로스토커 페일슈토르흐'로, 몸에 아프리카 기원의 화살이 박힌 채 발견되어 황새가 아프리카까지 이동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흰색 황새의 이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1906년 독일 조류학자 요하네스 티에네만이 당시 동 프로이센의 쿠로니아 사구에 위치한 로시텐 조류 관측소에서 조류 가락지 부착 연구를 시작하면서 본격화되었다.[41] 이 연구를 통해 황새의 이동 경로와 습성에 대한 많은 정보가 밝혀졌다.

흰색 황새는 주로 8월과 9월에 유럽의 여름 번식지를 떠나 남쪽으로 이동하여 아프리카로 향한다.[28] 이들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넓은 지역에서 겨울을 보내는데, 주로 케냐우간다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 주까지 이르는 사바나 지역이다. 이 지역에서는 때때로 1,000마리가 넘는 큰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 일부 개체군은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수단 서부와 차드를 거쳐 나이지리아까지 이동하기도 한다.[20] 아시아 중부(투르키스탄)에서 번식하는 아종(''C. c. asiatica'')은 이란에서 인도 사이에서 겨울을 난다.[9] 2013–2014년 겨울에는 남부 인도의 무두말라이 국립공원에서도 흰색 황새가 처음으로 관찰되었다.[46]

케냐 차보 국립공원(Tsavo East National Park)에 있는 성체


봄이 되면 황새들은 다시 북쪽으로 이동하여 번식지로 돌아온다. 2월부터 4월 사이에 수단이집트 등지에서 북상하는 모습이 관찰되며,[42] 평균 49일의 여정을 거쳐 3월 말에서 4월경 유럽 번식지에 도착한다.[28] 가을 이동은 약 26일로 봄 이동보다 훨씬 짧은데, 이는 순풍의 도움과 이동 경로 상에 먹이나 물이 부족한 지역을 빠르게 통과하려는 경향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21]

멀리 날아가는 새들의 작은 실루엣이 있는 푸른 하늘
이스라엘 상공을 이동하는 무리. 이동하는 흰색 황새는 장거리 비행의 노력을 줄이기 위해 열기류의 상승 기류를 이용한다.


흰색 황새는 지중해를 직접 건너는 긴 해상 비행을 피하기 위해 주로 두 개의 육상 경로를 이용한다.[43] 이는 황새가 이동에 사용하는 열기류(상승 온난 기류)가 바다 위에서는 잘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48] 황새는 열기류를 타고 빙빙 돌며 고도를 높인 다음, 날갯짓 없이 활공하여 먼 거리를 이동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한다.[44][45] 날갯짓 비행은 활공 비행보다 이동 거리당 약 23배 더 많은 체지방을 소모하는 것으로 추정된다.[49] 황새 무리는 열기류를 타고 보통 지상 1200m에서 1500m 고도까지 상승하며, 서부 수단에서는 3300m 고도까지 올라가는 것이 기록되기도 했다.[42]

주요 이동 경로는 다음과 같다.

  • 동부 경로: 중부 유럽과 동유럽의 황새들이 주로 이용하며, 튀르키예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너 레반트 지역(시리아, 레바논, 이스라엘 등)을 통과한 뒤 나일강 계곡을 따라 남하하여 사하라 사막을 동쪽으로 우회한다. 이 경로는 연간 53만 마리 이상의 흰색 황새가 이용하는 매우 중요한 경로로, 이곳을 통과하는 철새 중 유럽벌매 다음으로 수가 많다. 이동 중인 맹금류, 흰색 황새, 흰펠리컨 무리는 때때로 200km까지 길게 늘어서기도 한다.
  • 서부 경로: 서유럽의 황새들이 이용하며, 이베리아 반도를 거쳐 지브롤터 해협을 건너 모로코로 진입한 후 사하라 사막 서쪽 가장자리를 따라 남하한다.[43]


동부 경로는 서부 경로보다 거리가 두 배 정도 길지만, 황새들은 두 경로 모두 비슷한 시간 안에 겨울 서식지에 도착한다.

어린 흰색 황새는 유전적으로 각인된 방향 감각에 의존하여 첫 남쪽 이동을 시작한다. 하지만 악천후 등으로 인해 경로를 벗어나게 되면 이를 스스로 보정하기 어려워 원래의 월동지가 아닌 새로운 곳에서 겨울을 나게 될 수도 있다. 반면, 경험이 많은 성체 황새는 강한 바람과 같은 기상 조건에 맞춰 경로를 수정할 수 있으며, 익숙한 지형을 이용하여 원래의 월동지로 정확하게 찾아갈 수 있다. 같은 원리로, 봄철 이동 시에는 어린 새와 성체 새 모두 자신이 태어난 번식지를 찾아 돌아올 수 있다.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에서 인공적으로 사육하여 야생 무리 없이 방사된 어린 황새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이들이 남쪽으로 날아가려는 본능은 가지고 있었지만 이동 방향의 분산이 매우 커서 정확한 경로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47]

오토 릴리엔탈은 자신의 글라이더를 설계하면서 1889년에 황새의 비행을 연구했다. 그의 형제 구스타프 릴리엔탈의 스케치.


일반적으로 긴 해상 비행을 피하지만, 드물게 바다를 건너는 경우도 관찰된다. 덴마크에서 고리가 부착된 어린 황새 한 마리가 영국 남서부 콘월주에서 발견된 후, 실리 제도를 거쳐 대서양을 건너 포르투갈마데이라 섬까지 날아간 기록이 있다. 마데이라 섬은 아프리카 대륙에서 약 500km, 유럽 본토에서는 그 두 배 거리에 위치해 있다.[50] 중동 지역을 통과하는 황새들은 خماسين|캄신ar과 같이 비행에 부적합한 돌풍과 흐린 날씨를 동반하는 바람을 만날 수 있다. 이러한 악조건 하에서는 황새 무리가 땅에 내려앉아 바람을 마주보며 날씨가 좋아지기를 기다린다.[42]

흰색 황새는 이동 중이나 월동지에서 수천 마리가 모이는 등 사회성이 강한 조류이다. 번식하지 않는 개체들은 번식기 동안에도 40~50마리씩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51]

5. 2. 번식

건물 지붕에 있는 3개의 둥지에서 최소 8마리의 키가 크고 검은색과 흰색 새가 있다.
스페인 종탑에 있는 둥지. 흰색 황새는 종종 작은 번식 군집을 형성한다.


흰색 황새는 습지 접근이 가능한 탁 트인 농지에서 번식하며, 나무, 건물 또는 특별히 제작된 인공 플랫폼 위에 큰 나뭇가지로 둥지를 짓는다.[61] 각 둥지의 깊이는 1m~2m, 지름은 0.8m~1.5m이며, 무게는 60kg~250kg에 달한다.[119] 둥지는 느슨한 군집 형태로 지어지는 경우가 많다.[52] 흰색 황새는 좋은 징조로 여겨져 박해를 받지 않으며, 인간의 거주지 근처에 둥지를 트는 경우가 흔하다. 특히 남부 유럽에서는 교회와 다른 건물에서 둥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둥지는 일반적으로 해마다 재사용되며, 특히 나이가 많은 수컷이 같은 둥지를 계속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수컷이 번식지에 먼저 도착하여 둥지를 선택하는데, 크고 튼튼한 둥지일수록 더 많은 새끼를 성공적으로 키워낼 수 있어 선호되는 것으로 보인다.[62] 둥지를 바꾸는 경우는 주로 짝이 바뀌거나 전년도 번식에 실패했을 때 나타나며, 어린 새일수록 둥지를 옮길 가능성이 높다.[63] 짝이 둥지를 차지한 것처럼 보여도, 초기에는 상대가 여러 번 바뀔 수 있으며 안정적인 짝이 형성된 후에야 본격적인 번식 활동이 시작된다.[64]

짝짓기


흰색 황새의 큰 둥지 안에는 여러 종류의 작은 새들이 함께 둥지를 틀기도 한다. 흔히 집참새, 나무참새, 유럽검은지빠귀 등이 함께 살며, 드물게는 유라시아 매, 작은 올빼미, 유럽롤러, 흰할미새, 검은굴뚝새, 유라시아 어치, 스페인참새 등도 발견된다.[65] 황새 둥지 주변에는 제비, 유럽 집제비, 칼새와 같이 날아다니는 곤충을 잡아먹는 새들이 모여들기도 한다.[66]

짝을 이룬 흰색 황새는 서로 만나면 머리를 뒤로 젖혔다가 앞으로 숙이는 '위아래 디스플레이' 행동과 함께 부리를 부딪쳐 소리를 내며 인사를 나눈다. 짝은 알을 낳기 약 한 달 전부터 자주 짝짓기를 한다. 일반적으로 잦은 짝짓기는 정자 경쟁이나 짝 외 교미와 관련되지만, 흰색 황새의 짝 외 교미율은 낮은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2016년 DNA 샘플 연구에 따르면 짝 외 교미가 가끔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67][68][69] 다른 장수하는 일부일처제 조류에 비해 짝 외 부성 발생률이 비교적 높음에도 불구하고, 흰색 황새는 강한 짝 유대감을 형성하며 여러 해 동안 같은 둥지를 사용하는 높은 충실도를 보인다.[70]



흰색 황새 한 쌍은 일 년에 한 번만 번식한다. 암컷은 보통 4개의 알을 낳지만, 적게는 1개에서 많게는 7개까지 낳은 기록도 있다. 알은 원래 흰색이지만, 점액질 덮개 때문에 더럽거나 노란색으로 보일 때가 많다. 알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73mm x 52mm 정도이며,[71] 무게는 96g~129g이고, 이 중 알껍데기 무게는 약 11g이다.[71] 부화는 첫 번째 알을 낳은 직후부터 시작되어, 약 33~34일 후에 알이 낳은 순서대로 새끼가 태어난다 (비동기적 부화). 이 때문에 먼저 태어난 새끼가 다른 새끼들보다 먹이 경쟁에서 유리하다. 다른 일부 조류와 달리 형제끼리 공격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지만, 먹이가 부족할 경우 부모가 약하거나 작은 새끼를 죽이는 행동(영아 살해)을 보이기도 한다.[72][73] 이는 남은 새끼들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행동으로 해석된다. 흰색 황새 새끼들은 서로 공격하지 않으며, 부모가 한 번에 많은 양의 먹이를 둥지에 토해내는 방식으로 먹이를 주기 때문에 힘센 형제가 약한 형제의 먹이를 직접 빼앗기 어렵다. 따라서 부모의 영아 살해는 새끼 수를 조절하는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지만, 이러한 행동이 흔하게 관찰되는 것은 아니다.[72]

봄철 부화 시기의 온도와 날씨는 새끼 생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기온이 낮고 습한 날씨는 새끼의 사망률을 높이고 번식 성공률을 낮춘다.[33] 흥미롭게도, 한 연구에서는 늦게 부화하여 성체까지 살아남은 새끼가 일찍 부화한 새끼보다 더 많은 새끼를 낳는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74] 새끼의 체중은 처음 몇 주 동안 빠르게 증가하여 45일경에는 약 3.4kg에 도달하며 안정기에 접어든다. 부리 길이는 약 50일 동안 꾸준히 자란다.[75] 어린 새끼는 부모가 둥지 바닥에 토해 놓은 지렁이곤충을 먹고 자라며, 좀 더 크면 부모의 입 안으로 직접 머리를 넣어 먹이를 받아먹는다.[76] 새끼는 부화 후 58~64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날 준비를 마친다.

흰색 황새는 보통 태어난 지 약 4년이 되면 번식을 시작하지만, 빠르면 2년, 늦으면 7년 만에 첫 번식을 하는 경우도 기록되었다. 야생에서 가장 오래 산 것으로 알려진 흰색 황새는 스위스에서 고리를 부착한 후 39년 동안 생존했으며,[77] 사육 상태에서는 35년 이상 산 기록도 있다.

5. 3. 먹이

흰색 황새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동물을 먹이로 삼는다. 일반적인 먹이로는 곤충(주로 딱정벌레, 메뚜기, 귀뚜라미), 지렁이, 파충류, 양서류, 그리고 들쥐, 두더지, 뒤쥐와 같은 작은 포유류가 있다.[28] 식단은 계절, 지역 및 먹이 가용성에 따라 다양하다.

선호하는 먹이 섭취 장소는 풀이 무성한 초원, 농지, 얕은 습지이다. 반면, 키 큰 풀과 관목이 무성한 지역은 피한다.[28]

터키에서 먹이를 찾는 흰색 황새 무리. 키 큰 풀과 관목이 무성한 지역은 피한다.


환경 변화는 흰색 황새의 먹이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우크라이나 북부 체르노빌 지역에서는 농지가 키 큰 풀과 관목으로 변하면서 흰색 황새 개체수가 감소했다.[29] 폴란드 일부 지역에서는 자연 먹이 부족으로 인해 1999년부터 매립지에서 먹이를 찾는 모습이 관찰되었다.[30] 중동, 북아프리카, 남아프리카의 쓰레기 매립지에서도 먹이를 찾는 흰색 황새가 보고되었다.[31] 심지어 주요 쓰레기장 및 매립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둥지를 튼 폴란드 번식 쌍의 3분의 1의 펠릿(토사물)에서 인공 쓰레기가 발견되기도 했다.[32]

새끼에게는 지렁이곤충을 먹이며, 부모가 둥지 바닥에 토해낸 것을 먹는다. 새끼가 더 자라면 부모의 입 안으로 직접 머리를 넣어 먹이를 얻기도 한다.[76]

6. 인간과의 관계

흰색 황새는 큰 몸집과 사람 가까이 둥지를 짓는 습성, 그리고 해충을 잡아먹는 특성 때문에 여러 문화권의 민속과 생활에 깊숙이 관여해 왔다.[50] 히브리어로 흰색 황새를 '자비로운', '친절한'이라는 뜻의 '하시다'(chasidah, חסידה|he)라고 부르는 것[127]처럼 긍정적인 상징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고대 그리스로마 제국에서는 황새를 부모에 대한 헌신과 효도의 상징으로 여겼다. 늙은 부모를 돌보고 먹이를 주며 심지어 업어 나른다고 믿어져, 어린이 책에서는 효심의 모범으로 그려지기도 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황새를 뜻하는 '펠라르고스'(pelargos)에서 유래한 '펠라르고니아'(Pelargonia)라는 법을 통해 시민들에게 연로한 부모를 부양할 의무를 지우기도 했다. 그리스에서는 황새를 죽이면 사형에 처해질 수도 있다고 여겨졌으며,[129] 테살리아 지방에서는 뱀을 잡아먹기 때문에 보호받았다고 전해진다. 로마 작가들은 황새가 봄에 돌아와 농부들에게 포도나무 심을 시기를 알려준다고 기록했다.[131] 황새는 이솝 우화에도 최소 세 편(여우와 황새, 농부와 황새, 왕을 원하는 개구리) 등장한다. 고대 "자연 인식자"로 불리는 『'''피시오로그스'''』(Physiologus)는 황새를 그리스도의 상징으로 보았으며, 황새의 행동을 인간이 따라야 할 모범으로 해석했다.[163] 중세 시대 게르바시우스(Gervasius of Tilbury)는 황새가 둥지 안의 다른 새(까마귀) 새끼를 구분하여 떨어뜨리는 이야기를 통해 정절과 순결을 지켜야 한다는 교훈을 강조하기도 했다.[165]

upright


종교적으로도 황새는 여러 의미를 지닌다. 구약성서의 레위기(11,19)와 신명기(14,18)에는 이스라엘 민족이 먹어서는 안 되는 부정한 새로 언급된다. 반면 예레미야서(8,7)에서는 "하늘의 황새도 자기 계절을 알고 있다"며 철새의 정확한 귀소 본능을 언급하고, 시편(104,17)에서는 황새가 높은 나무(전나무 또는 삼나무)에 둥지를 튼다고 묘사한다. 이슬람교에서는 황새가 매년 메카로 순례를 떠난다고 믿어 숭배하기도 했다.[144]

''Der Klapperstorch'' (''황새'') — 카를 슈피츠베크 (1808–1885)의 그림


유럽 민간 전승에서 황새는 아기를 데려다주는 새로 유명하다. 이 이야기는 매우 오래되었지만, 19세기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동화 "황새"를 통해 더욱 널리 퍼졌다.[144] 독일 민담에서는 황새가 동굴이나 늪에서 아기를 찾아 바구니에 담거나 부리에 물어 집으로 데려온다고 믿었다. 아기를 원하는 집에서는 창턱에 과자를 놓아 황새에게 신호를 보냈다고 한다.[127] 이 전설은 필리핀이나 남아메리카 등 세계 여러 지역으로 퍼져나갔다.[127] 정신분석학자들은 이 전설이 성과 출산에 대해 이야기하기 어려워하는 어른들의 심리적 필요를 충족시켜 주었기 때문에 오랫동안 이어져 왔다고 분석하기도 한다.[127] 하지만 황새 민속에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어서, 독일에서는 장애가 있거나 사산된 아기를 황새가 떨어뜨렸거나 벌로 데려온 것이라고 여기기도 했고,[127] 중세 영국에서는 황새의 구애 행동 때문에 간음과 연관 짓기도 했다.[154]

''Bociany'' (''황새''), 1900년작 유화, ×, 유제프 헬몬스키(1849–1914) 作, 바르샤바 국립 박물관 소장


황새는 사람을 크게 두려워하지 않아 유럽의 마을에서는 집 지붕이나 굴뚝에 둥지를 트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독일, 네덜란드, 폴란드 등지에서는 황새가 집에 둥지를 틀면 화재를 막아주고 행운과 화목을 가져다준다고 믿어, 일부러 높은 받침대를 만들어 황새를 유인하기도 했다.[127][135] 특히 폴란드는 전 세계 흰색 황새의 약 4분의 1이 번식하는 최대 서식지로,[158] 여름철 시골 마을은 황새 둥지로 가득 찬다. 지브코보(Żywkowo)와 같은 마을은 황새 관광 명소가 되기도 했다.[139] 흰색 황새는 리투아니아, 벨라루스, 폴란드국조이기도 하다.[137] 폴란드의 시인 치프리안 카밀 노르비드는 황새를 고향의 상징으로 노래하기도 했다.[141]

황새는 우표 도안으로도 널리 사용되어, 60개국 이상에서 120종이 넘는 황새 우표가 발행되었다.[136] 또한, 새의 이동 경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기도 했다. 아프리카에서 쏜 화살이 몸에 박힌 채 유럽에서 발견된 황새, 이른바 '화살황새'(Pfeilstörche)는 황새가 아프리카에서 겨울을 보내고 유럽으로 돌아온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계기가 되었다.[133] 한편, 1942년 나치 독일하인리히 힘러는 황새를 이용해 남아프리카보어인에게 선전 전단을 뿌리려는 계획을 세웠으나, 성공 확률이 극히 낮다는 조류학자의 지적에 따라 실행되지 못했다.[143]

통계학에서는 황새 둥지 수와 신생아 출생률 사이에 나타나는 허위 상관 관계가 '상관 관계는 인과 관계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을 설명하는 유명한 예시로 사용된다.[150][151]

일본에서는 1964년 오사카 시립 텐노지 동물원에서 처음으로 사육 상태에서의 번식에 성공했다.[161] 아프리카에서는 작가 아이작 디네센이 자신의 책 아웃 오브 아프리카에서 메뚜기 떼가 창궐했을 때 황새들이 날아와 메뚜기를 잡아먹는 모습을 묘사하기도 했다.[162]

6. 1. 한국에서의 흰색황새

흰색 황새의 둥지는 작은 절지동물들의 서식지가 되며, 특히 새들이 번식을 위해 도착한 후 따뜻한 계절에 그 수가 늘어난다. 황새가 여러 해 동안 같은 둥지를 사용하면서 가져오는 건축 재료와 유기물이 쌓여 둥지 안에 두터운 층을 형성한다. 황새의 체온은 둥지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며, 배설물, 먹이 찌꺼기, 깃털, 피부 조각 등은 다양한 종류의 자유 생활 중기류 진드기에게 풍부한 먹이를 제공한다. 12개의 둥지를 조사한 연구에서는 34종에 달하는 13,352마리의 진드기가 발견되었는데, 가장 흔한 종은 ''Macrocheles merdarius'', ''M. robustulus'', ''Uroobovella pyriformis'', ''Trichouropoda orbicularis''로, 이들이 전체 표본의 약 85%를 차지했다. 이 진드기들은 곤충의 알과 유충, 그리고 둥지 쓰레기에 풍부한 선충을 먹고 산다. 이러한 진드기들은 주로 분변식 딱정벌레(종종 소똥구리과)나 황새가 둥지를 지을 때 가져오는 동물의 똥을 통해 퍼져나간다. 포식성 진드기들이 기생성 진드기를 통제하기 때문에 둥지에서 기생 진드기는 잘 발견되지 않는다. 둥지 내 진드기 군집이 황새에게 미치는 전체적인 영향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이들은 해로운 유기체를 억제하는 유익한 역할을 할 수도 있지만, 어린 새끼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도 있다.[86][87]

황새 자체는 최소 4개 속 이상의 깃털진드기 종들의 숙주가 된다.[88] ''Freyanopterolichus pelargicus''[89][90]와 ''Pelargolichus didactylus''를 포함한 이 진드기들은 깃털에서 자라는 곰팡이를 먹고 산다.[91] 깃털의 곰팡이는 바깥 깃털의 케라틴이나 깃털 기름을 분해하여 영양분으로 삼을 수 있다.[92] ''Colpocephalum zebra''와 같은 털이는 주로 날개에서 발견되는 반면, ''Neophilopterus incompletus''는 몸의 다른 부위에서 발견된다.[93]

흰색 황새는 또한 ''톡소포자충''[94] 및 ''지알디아'' 속의 장내 기생충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내부 기생충을 가지고 다닌다.[95] 독일 작센안할트와 브란덴부르크에서 수집된 120마리의 흰색 황새 사체를 조사한 결과, 8종의 흡충류, 4종의 촌충류, 그리고 최소 3종의 선충류가 발견되었다.[96] 스페인 중부의 재활 센터에 입원한 여러 황새에서는 흡충류의 일종인 ''Chaunocephalus ferox''가 소장 벽에 병변을 일으키고 체중 감소와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생충은 아시아 넓적부리황새(''Anastomus oscitans'')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로 알려져 있다.[97] 1962년부터 2013년까지 체코 공화국에서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중앙 유럽의 흰색 황새는 11종의 연충(기생성 벌레)을 숙주로 삼으며, 이 중 ''Chaunocephalus ferox'', ''Tylodelphys excavata'', ''Dictymetra discoidea''가 가장 우세한 종으로 보고되었다. 그 외에도 ''Cathaemasia hians'', ''Echinochasmus spinulosus'', ''Echinostoma revolutum'', ''Echinostoma sudanense'', ''Duboisia syriaca'', ''Apharyngostrigea cornu'', ''Capillaria'' sp., ''Dictymetra discoidea'' 등이 발견되었다. 어린 황새는 성체보다 적은 종류의 기생충을 가지고 있었지만, 감염 강도는 오히려 더 높게 나타났다.[98]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WNV)는 주로 모기를 통해 새들 사이에서 전파되는 바이러스성 질병이다.[99] 철새는 이 바이러스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지만,[100] 그 구체적인 생태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101] 1998년 8월, 남쪽으로 이동하던 중 경로를 벗어난 약 1,200마리의 흰색 황새 무리가 이스라엘 남부 에일라트에 착륙했다. 이들은 다시 남쪽 이동 경로로 돌아가기 위해 애썼으나 많은 수가 폐사했다. 폐사한 어린 황새 11마리의 뇌에서 치명적인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가 분리되었다. 이후 이스라엘에서 검사된 다른 흰색 황새들에서는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발견되기도 했다.[102] 2008년에는 폴란드의 야생 동물 보호 구역에 있던 어린 흰색 황새 세 마리가 바이러스 노출을 시사하는 혈청 상태 결과를 보였지만, 폴란드 내에서 바이러스의 정확한 상황이나 존재 여부는 불분명하다.[103]

7. 보존 상태

2004/05년 유럽 흰색 황새 개체수 조사 결과 (번식 쌍의 수)


흰색 황새는 19세기 산업화와 농업 방식의 변화, 특히 습지 배수와 초원을 옥수수와 같은 다른 작물 재배지로 전환하면서 개체수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벨기에에서는 1895년, 스웨덴에서는 1955년, 스위스에서는 1950년, 네덜란드에서는 1991년에 마지막 야생 개체가 관찰되기도 했으나, 이후 여러 지역에서 성공적으로 재도입되었다.[104] 1988년에는 IUCN 적색 목록에서 위협근접(NT) 종으로 평가받았으나, 개체수 회복 노력에 힘입어 1994년부터는 최소관심대상(LC)으로 분류되고 있다.[1] 흰색 황새는 ''아프리카-유라시아 이동성 물새 보존 협정''(AEWA)의 적용을 받는 종 중 하나로,[105] 협정 당사국들은 종 및 서식지 보존, 인간 활동 관리, 연구, 교육 등 포괄적인 보존 전략을 이행하고 있다.[106]

흰색 황새가 직면한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지속적인 습지 감소, 전력선과의 충돌 사고,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사막 메뚜기 방제를 위한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특히 DDT) 사용, 그리고 이동 경로 및 월동지에서의 불법 사냥 등이 있다.

폴란드에서 보존 조치 및 송전탑 둥지 방지를 위해 건설된 인공 둥지 플랫폼. 세 마리의 어린 흰색 황새와 두 마리의 유라시아 나무참새가 보인다.


흰색 황새의 주요 번식지는 중부 유럽(폴란드, 우크라이나, 독일)과 남부 유럽(스페인, 터키)에 집중되어 있다. 2004/05년 조사 결과 주요 국가별 번식 쌍 수는 아래 표와 같다.

2004/05년 주요 국가별 흰색 황새 번식 쌍 수[107]
국가번식 쌍 수
폴란드52,500
스페인33,217
우크라이나30,000
벨라루스20,000
리투아니아13,000 (세계 최고 밀도)
라트비아10,700
러시아10,200
포르투갈7,684
터키6,195
루마니아5,500
헝가리5,300
불가리아약 4,956
독일4,482 (주로 동부 브란덴부르크와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에 분포[110])
그리스2,139
크로아티아1,700[108][109]
세르비아1,400[108][109]
프랑스973
네덜란드528 (2008년 약 700쌍으로 증가[118])
슬로베니아236
아르메니아601 (2008년)[118] (2015년 652쌍으로 증가[114][115][116])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약 40



서유럽에서는 보존 노력에도 불구하고 개체수가 상대적으로 적다. 덴마크에서는 19세기 수천 쌍에 달했던 개체수가 급감하여 2008년에는 번식 쌍이 없었으나,[111][112] 이후 다시 정착하여 2023년에는 10쌍까지 회복되었다.[113] 프랑스 알자스와 로렌 지역에서는 1980년대 초 9쌍 미만으로 줄었던 개체수가 적극적인 보호 및 재도입 노력으로 2008년 270쌍까지 증가했다.[117]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위스 등에서도 동물원에서 사육된 개체를 재도입하여 추가적인 감소를 막았다. 네덜란드에서는 자원봉사자들이 먹이 주기와 둥지 건설 프로그램을 지원했으며,[118] 스웨덴[120]스위스[121]에서도 유사한 재도입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스위스에서는 2000년에 175쌍의 번식이 기록되었고,[122] 2017년에는 성체 470마리와 어린 개체 757마리가 기록되는 등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다.[123] 폴란드에서는 흰색 황새가 송전탑에 둥지를 틀어 전력 공급을 방해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전신주 위에 인공 둥지 플랫폼을 설치하거나 기존 둥지를 옮기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119]

핀란드 코스키에서 2015년에 처음 발견된 흰색 황새 한 쌍. 이 종의 역사적 번식 범위 북쪽 확장을 보여준다.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번식 범위가 북쪽으로 확장되는 경향을 보인다. 역사적으로 북쪽 번식 한계선은 에스토니아였으나, 점차 북상하여 카렐리아 지역까지 이동했으며, 2015년에는 핀란드에서 처음으로 번식이 확인되었다.[111] 2019년 8월에는 영국 남동부에서 1416년 이후 처음으로 흰색 황새를 번식 종으로 재도입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시작되어 웨스트 서섹스 등지에 24마리의 어린 개체가 방사되었고,[124][125] 2020년에는 다섯 마리의 새끼가 태어나는 성공을 거두었다.[37]

한편, 소수의 흰색 황새는 남아프리카에서도 번식하는데, 이들은 주로 정상적인 월동 개체군 내에서 최근 이주해 온 개체들이다.

참조

[1] 간행물 "''Ciconia ciconia''" 2016
[2] 서적 The Ornithology of Francis Willughby of Middleton in the County of Warwick, esq. ... https://www.biodiver[...] A.C. for John Martyn 1681
[3] 서적 Systema Naturae 250 – The Linnaean Ark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0
[4]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Laurentii Salvii 1758
[5] 서적 Ornithologie, ou, Méthode Contenant la Division des Oiseaux en Ordres, Sections, Genres, Especes & leurs Variétés https://biodiversity[...] Jean-Baptiste Bauche 1760
[6] 논문 A review of the Australian fossil storks of the genus ''Ciconia'' (Aves : Ciconiidae),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http://australianmus[...] 2005
[7] 서적 An Elementary Latin Dictionary https://archive.org/[...] American Book Company 1918
[8] paperback Handbook of the Birds of India and Pakistan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9] 서적 Birds of South Asia: The Ripley Guide Smithsonian Institution and Lynx Edicions 2005
[10] 논문 An overview of the storks of the world 1987
[11] 논문 Phylogeny of the avian family Ciconiidae (storks) based on cytochrome ''b'' Sequences and DNA–DNA hybridization distances 1997
[12] 논문 New records of fossil 'waterbirds' from the Miocene of Kenya 2008
[13] 서적 The Atlas of Bird Migrations: Tracing the Great Journeys of the World's Birds Struik 2007
[14] 서적 Storks, Ibises and Spoonbills of the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15] 논문 The evolution of bird plumage colouration; A role for feather-degrading bacteria? http://www.ardeola.o[...] 2004
[16] 논문 Astaxanthin is the major carotenoid in tissues of White Storks (''Ciconia ciconia'') feeding on introduced Crayfish (''Procambarus clarkii'') 2000
[17] 논문 Sex-related natal dispersal of White Storks (''Ciconia ciconia'') in Poland: How far and where to? http://www.zin.ru/ry[...] 2006
[18] 논문 A contribution to the ornithology of eastern Turkestan https://archive.org/[...] 1876
[19] 서적 Abstract Volume. 23rd International Ornithological Congress, Beijing, August 11–17, 2002 2002
[20] 논문 Detection of a new important staging and wintering area of the White Stork ''Ciconia ciconia'' by satellite tracking http://www.tau.ac.il[...] 2001
[21] 논문 The effect of wind, season and latitude on the migration speed of White Storks ''Ciconia ciconia'', along the eastern migration route http://www.tau.ac.il[...] 2003
[22] 서적 The Atlas of Southern African Birds BirdLife South Africa 1997
[23] 논문 On the birds of Kohat and the Kurram Valley. Northern India. Part 3 https://biodiversity[...] 1911
[24] 논문 The migration of the White Stork ''Ciconia ciconia'' https://biodiversity[...] 1931
[25] 논문 Record of ''Ciconia ciconia asiaticus'' from Indian Territory https://biodiversity[...] 1998
[26] 뉴스 Tammitikka, viitatiainen ja kattohaikara ovat Virossa tuttuja, Suomessa harvinaisuuksia – linturetkeily Suomesta Viroon kasvattaa taas suosiotaan https://yle.fi/uutis[...] Yle 2022-09-04
[27] 서적 Waterbirds Around the World http://jncc.defra.go[...] The Stationery Office 2006
[28] 논문 Foraging in a patchy and dynamic landscape: Human land use and the White Stork 2001
[29] 논문 Some aspects of White Stork ''Ciconia ciconia'' population dynamics in the region of Chernobyl's accident http://www.ebcc.info[...] 2004
[30] 논문 White Storks, ''Ciconia ciconia'', forage on rubbish dumps in Poland — A novel behaviour in population https://hal.archives[...] 2010
[31] 논문 Foraging of White Storks ''Ciconia ciconia'' on rubbish dumps on non-breeding grounds 2010
[32] 논문 Diet analysis and the assessment of plastic and other indigestible anthropogenic litter in the white stork pellets https://link.springe[...] 2023-12-29
[33] 논문 Geographical variation in the density of the White Stork ''Ciconia ciconia'' in Spain: Influence of habitat structure and climate 1993
[34] 논문 Ynglebestanden af Hvid Stork i Danmark 1900-2018 med et historisk tilbageblik 2020
[35] 논문 Storklandskapet 1997
[36] 서적 Early Annals of Ornithology https://archive.org/[...] H F & G Witherby
[37] 뉴스 Wild white storks hatched in the UK for the first time in centuries https://edition.cnn.[...] CNN 2020-05-16
[38] 뉴스 Wild white storks hatch in UK for first time in hundreds of year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0-05-16
[39] 간행물 Uphill shifts in the distribution of the White Stork Ciconia ciconia in southern Poland: The importance of nest quality
[40] 간행물 Changes in the timing and pattern of arrival of the White Stork (Ciconia ciconia) in western Poland https://onlinelibrar[...]
[41] 간행물 Digging in old data: Migration and causes of death in White Storks (Ciconia ciconia) according to ringing recovery data of the Vogelwarte Rossitten (Eastern Prussia) before the second World War http://www.euring.or[...] European Union for Bird Ringing
[42] 간행물 The migration of the White Stork in Egypt and adjacent areas http://sora.unm.edu/[...]
[43] 간행물 Routes of migrating soaring birds http://www.tau.ac.il[...]
[44] 서적 Exploring Biomechanics, Animals in Motion https://archive.org/[...] Scientific American Library
[45] 간행물 Flight behaviour of White Storks Ciconia ciconia on their migration over southern Israel http://www.avibirds.[...]
[46] 간행물 White Stork: Sighting record of Ciconia ciconia (Linnaeus, 1758) in Mudumalai Tiger Reserve, Nilgiris, India https://zoosprint.zo[...]
[47] 간행물 Migratory orientation of first-year White Storks (Ciconia ciconia): Inherited information and social interactions
[48] 간행물 Satellite-tracked Lesser Spotted Eagle avoids crossing water at the Gulf of Suez http://www.dr-meybur[...]
[49] 간행물 Soaring migration of Steppe Eagles Aquila nipalensis in southern Israel: Flight behaviour under various wind and thermal conditions https://sora.unm.edu[...]
[50] 서적 Birds Britannica Chatto & Windus
[51] 서적 The Larger Illustrated Guide to Birds of Southern Africa Struik
[52] 간행물 Age and breeding success related to nest position in a White Stork Ciconia ciconia colony https://www.research[...]
[53] 간행물 Allopreening as agonistic behaviour
[54] 간행물 Spread-wing postures and their possible functions in Ciconiidae http://sora.unm.edu/[...]
[55] 서적 Southern African Birds: A Photographic Guide Struik
[56] 서적 The Sibley Guide to Bird Life and Behaviour Christopher Helm
[57] 간행물 Thermoregulatorisches beinkoten des Weisstorchs (Cionia ciconia). Analyse des verhaltens und seiner bedeutung fur verluste bei beringten storchen im afrikanischen Winterquartier
[58] 간행물 A review of the use and the effects of marks and devices on birds 1992
[59] 간행물 Tools and brains in birds http://biology.mcgil[...]
[60] 서적 Wildlife Photographer of the Year: Portfolio 24 Firefly Books 2014
[61] 서적 The White Stork in Poland Bogucki Wydaw
[62] 간행물 Nest size, nest building behaviour and breeding success in a species with nest reuse: The White Stork Ciconia ciconia http://www.sekj.org/[...]
[63] 간행물 Nest-site fidelity and breeding success in White Stork Ciconia ciconia
[64] 간행물 The turnover of White Storks Ciconia ciconia on nests during spring migration
[65] 서적 The Life of the White Stork https://books.google[...] E. J. Brill
[66] 간행물 White stork Ciconia ciconia nests as an attractant to birds and bats 2024
[67] 간행물 Frequent copulations despite low sperm competition in White Storks (Ciconia ciconia)
[68] 문서 Extra-pair paternity in the socially monogamous white stork (Ciconia ciconia) is fairly common and independent of local density.
[69] 간행물 Extra-pair paternity in the socially monogamous white stork (Ciconia ciconia) is fairly common and independent of local density 2016
[70] 문서 Nest‐site fidelity and breeding success in White Stork Ciconia ciconia.
[71] 서적 Oologia Neerlandica : Eggs of Birds Breeding in the Netherlands https://archive.org/[...] Nijhof
[72] 논문 Brood reduction and parental infanticide– are the White Stork ''Ciconia ciconia'' and the Black Stork ''C. nigra'' exceptional?
[73] 논문 Motives for parental infanticide in White Storks ''Ciconia ciconia''
[74] 논문 Younger, weaker White Stork (''Ciconia ciconia'') nestlings become the best breeders http://www.ucm.es/da[...]
[75] 논문 Growth of White Stork ''Ciconia ciconia'' nestlings http://users.auth.gr[...]
[76] 논문 On food and feeding habits in the White Stork, ''Ciconia c. ciconia'', in the central Balkans
[77] 웹사이트 EURING list of longevity records for European birds http://www.euring.or[...] EURING 2010-12-02
[78] 논문 Rubber band ingestion by a rubbish dump dweller, the White Stork (''Ciconia ciconia'')
[79] 논문 White Storks ''Ciconia ciconia'' eavesdrop on mating calls of Moor Frogs ''Rana arvalis'' http://ecolevol.biol[...] 2010-12-10
[80] 논문 The food composition of immature and non-breeding White Storks in Poland
[81] 논문 Foraging association of White Stork ''Ciconia ciconia'' with Blackbuck ''Antilope cervicapra'' https://biodiversity[...]
[82] 논문 Recent records of wintering white ''Ciconia ciconia'' and black ''C. nigra'' storks and flocking behaviour of White-necked Storks ''C. episcopus'' in Maharashtra and Karnataka states, India https://archive.org/[...]
[83] 논문 Food piracy by a White Stork ''Ciconia ciconia'' (Linn.) https://biodiversity[...]
[84] 논문 Why do Montagu's Harriers disturb foraging sessions of White Storks in South-East Poland http://aetos.narod.r[...]
[85] 논문 Importance of artificial stopover sites through avian migration flyways: a landfill-based assessment with the White Stork ''Ciconia ciconia''
[86] 논문 Nests of the White Stork ''Ciconia ciconia'' (L.) as a habitat for Mesostigmatic Mites (Acari, Mesostigmata) http://www.actaparas[...]
[87] 논문 Community structure and dispersal of mites (Acari, Mesostigmata) in nests of the White Stork (''Ciconia ciconia'')
[88] 서적 Fleas, Flukes and Cuckoos. A Study of Bird Parasites https://archive.org/[...] Collins
[89] 논문 Monographie du genre ''Freyana'' et description des espèces nouvelles du Musée d'Angers https://archive.org/[...]
[90] 웹사이트 Acari Collection & Systematics http://www.africamus[...] Royal Museum for Central Africa 2012-03-10
[91] 웹사이트 Interesting Facts http://www.federmilb[...] Star-Media GmbH 2010-10-22
[92] 논문 The contamination of birds' feathers by Fungi
[93] 논문 Chewing lice (''Insecta'', ''Phthiraptera'') of the White Stork (''Ciconia ciconia'' L.) in Poland http://www.degruyter[...]
[94] 서적 Foodborne Parasites Springer
[95] 논문 Giardiasis in a White Stork in The Netherlands
[96] 논문 "[The helminth fauna of indigenous White Storks (''Ciconia ciconia'')]"
[97] 논문 ''Chaunocephalus ferox'' in free-living White Storks in central Spain
[98] 논문 Composition, structure and pattern of helminth assemblages associated with central European storks (Ciconiidae)
[99] 논문 Epidemiology and transmission dynamics of West Nile Virus Disease
[100] 서적 Japanese Encephalitis and West Nile Viruses
[101] 논문 West Nile Virus: An overview of its spread in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Basin in contrast to its spread in the Americas
[102] 논문 Introduction of West Nile virus in the Middle East by migrating White Storks
[103] 논문 Serologic survey of potential vertebrate hosts for West Nile Virus in Poland
[104] 논문 White Stork (''Ciconia ciconia'') migration studies: Basic research devoted to conservation measures
[105] 웹사이트 Annex 2: Waterbird Species to Which the Agreement Applies http://www.unep-aewa[...] UNEP/ AEWA Secretariat 2010-12-09
[106]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www.unep-aewa[...] UNEP/ AEWA Secretariat 2010-12-09
[107] 웹사이트 Preliminary Results of the VI International White Stork Census 2004/05 http://bergenhusen.n[...] Naturschutzbund Deutschland (NABU)
[108] 웹사이트 Bele rode - Društvo za zaštitu i proučavanje ptica Srbije https://pticesrbije.[...] 2023-12-26
[109] 웹사이트 Rekordan broj belih roda na "Rodiću": U 52 gnezda parovi sa svojim mladuncima https://www.021.rs/s[...] 2023-07-07
[110] 웹사이트 National data http://bergenhusen.n[...] Naturschutzbund Deutschland (NABU) 2012-01-14
[111] 웹사이트 Svag fremgang for storken: Udsigt til otte par storke i Danmark https://www.dof.dk/o[...] Dansk Ornitologisk Forening 2022-05-30
[112] 웹사이트 Hvid stork https://www.naturhis[...] Natural History Museum, Aarhus 2022-06-16
[113] 뉴스 Flere danske storkeunger i 2023 https://naturguide.d[...] Naturguide 2023-07-09
[114] 간행물 White Storks (Ciconia ciconia L.): Population tendencies in Armenia.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Biological Diversity and Conservation Problems of the Fauna of the Caucasus". September 26–29, Yerevan, Asoghik: 9-13. 2011
[115] 간행물 White Storks (Ciconia ciconia L.) in Armenia: population, trend, and relationships to humans. // in Hötker, H. & K.-M. Thomsen (ed): White Stork on the top? - Results of the VIth International White Stork Census 2004/05. NABU (Naturschutzbund Deutschland e.V.), Berlin. 2013
[116] 웹사이트 White Stork in Armenia http://www.abcc-am.o[...] 2016
[117] 뉴스 French region saves iconic White Storks from brink: population hits 270 pairs after dwindling to nine https://www.washingt[...] 2008-06-22
[118] 웹사이트 Restoring the Dutch White Stork Population: A Charismatic Species Brought Back by Targeted Conservation Work http://www.birdlife.[...] Vogelbescherming Netherlands (BirdLife Netherlands) 2011-01-30
[119] 논문 Long-term changes and breeding success in relation to nesting structures used by the White Stork, Ciconia ciconia http://www.sekj.org/[...] 2009
[120] 웹사이트 The Swedish White Stork Reintroduction Program http://www.skof.se/s[...] Scanian Ornithological Society (SkOF) 2010-12-17
[121] 논문 Time budget, habitat use and breeding success of White Storks (Ciconia ciconia) under variable foraging conditions during the breeding season in Switzerland http://www.avibirds.[...] 2001
[122] 논문 Is the reintroduced White Stork (Ciconia ciconia) population in Switzerland self-sustainable? http://www.cefe.cnrs[...] 2011-02-08
[123] 웹사이트 Switzerland sees record stork numbers https://www.swissinf[...] 2018-04-19
[124] 웹사이트 White Storks released in Surrey and Sussex https://www.birdguid[...] 2019-08-19
[125] 뉴스 White storks to breed in Britain for the first time in 600 years https://www.telegrap[...] 2018-07-07
[126] 서적 Descriptive Scenes for Children https://archive.org/[...] N.S. and S.G. Simpkins
[127] 논문 The stork fable−some psychodynamic considerations
[128] 서적 Aelian on the characteristics of animals. Volume I. Books I-V.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29] 서적 The White Stork in Poland: Studies in Biology, Ecology and Conservation Bogucki Wydawnictwo Naukowe
[130] 서적 The Beasts, Birds, and Bees of Virgil; A Naturalist's Handbook to the Georgic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31] 논문 Vergil's "White Bird" and the Alexandrian reference (G. 2. 319-20) http://dash.harvard.[...]
[132] 논문 Animal Mummies and Remains from the Necropolis of Elkab (Upper Egypt) https://revistas.uam[...] 2023-12-25
[133] 논문 Der Pfeilstorch in der Zoologischen Sammlung der Universität Rostock http://www.biofachsc[...]
[134] 서적 Traditions, Superstition and Folk-lore https://archive.org/[...] A. Ireland and Co
[135] 간행물 Stork http://www.encyclope[...] Canadian Institute of Ukrainian Studies 2010-12-05
[136] 웹사이트 White Stork http://www.birdtheme[...] 2010-12-05
[137] 웹사이트 Lithuania http://en.strasbourg[...] Centre d'Information sur les Institutions Européennes (CIIE) 2010-12-05
[138] 웹사이트 Kingdom of Storks http://www.paiz.gov.[...] Polish Information and Foreign Investment Agency (PAIIZ) 2011-03-18
[139] 논문 The economic recreational value of a white stork nesting colony: A case of 'stork village' in Poland 2014
[140] 서적 Natural History Lore and Legend https://archive.org/[...] Bernard Quaritch
[141] 웹사이트 My Song (II) http://www.mission.n[...] LDS Mission Network 2010-12-23
[142] 웹사이트 Fieseler, el aviador que trajo a la 'Cigüeña' https://elpais.com/c[...] 2020-12-02
[143] 뉴스 Flugblätter für Afrika http://magazin.spieg[...] 2018-06-30
[144] 서적 The Mythical Zoo ABC-CLIO
[145] 논문 The incidence of birthmarks in the neonate
[146] 서적 Mitologia Słowian Wydawnictwa Artystyczne i Filmowe
[147] 웹사이트 Dlaczego bocian przynosił dzieci? http://bocianopedia.[...] 2011-03-10
[148] 논문 Ptaki Ziemi Świętej: Bocian, czapla, ibis http://basia.tomp.pl[...] 2011-02-08
[149] 서적 Investigations into Germanic Mythology, Part One
[150] 논문 Storks deliver babies http://www.uni-marbu[...]
[151] 서적 Consilience: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s 2005/2996 Centre for Advanced Study
[152] 논문 The Association Method – Lecture III: Experiences concerning the psychic life of the child
[153] 웹사이트 Jung the Man http://www.thesap.or[...] The Society of Analytical Psychology 2011-03-02
[154] 서적 Dictionary of Symbols and Imagery https://archive.org/[...] North-Holland Publishing Company
[155] 서적 The White Image in the Black Mind: African-American Ideas about White People, 1830–1925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56] 간행물 Ciconia ciconia https://doi.org/10.2[...] BirdLife International 2016
[157] 웹사이트 Storks, frigatebirds, boobies, darters, cormorants https://www.worldbir[...] Gill, F & D Donsker (Eds) 2021
[158] 웹사이트 Preliminary results of the VI.International White StorkCensus 2004/05 https://bergenhusen.[...] Naturschutzbund Deutschland 2020-01-11
[159] 서적 コウノトリ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1985
[160] 서적 コウノトリ 講談社 2000
[161] 서적 シュバシコウの繁殖 東京動物園協会 1985
[162] 서적 アフリカの日々 河出書房新社 2008
[163] 서적 フィシオログス 博品社 1994
[164] 서적 中世動物譚 博品社 1993
[165] 서적 西洋中世奇譚集成 皇帝の閑暇 講談社学術文庫 2009
[166] 서적 文学のふるさと ドイツ民族とその民間信仰 朝日出版社 1971
[167] 서적 ヨーロッパ歳時記 岩波新書 1983
[168] 논문 ヴォルフラムの叙情詩-TageliederとWerbelieder- 名古屋大学総合言語センター 1983
[169] 간행물 ヴィレハルム 名古屋大学教養部・名古屋大学語学センター 1978
[170] 서적 イソップ寓話集 岩波書店 1999
[171] 서적 万治絵入本 伊曾保物語 岩波書店 2000
[172] 서적 チューリヒの幸福の船 蚤退治 同学社 1998
[173] 서적 魔法物語 河出書房新社 1993
[174] 서적 Die Abenteuer der Störche O΄Casey. Lagurs Reise Vitalis 2003
[175] 웹사이트 두산백과사전 - 홍부리황새 http://100.naver.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