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쿠노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쿠노스는 인도유럽어족에서 "치다"를 의미하는 어근에서 유래된, 발트 및 슬라브 신화에 등장하는 천둥과 번개의 신이다. "치는 자" 또는 "참나무의 군주"를 의미하며, 고대 프러시아어의 percunis, 폴란드어의 piorun, 리투아니아어의 perkūnas 등 "천둥"을 뜻하는 단어들과 어원을 공유한다. 페르쿠노스는 곤봉, 철퇴, 망치 등의 무기를 사용하며, 비옥하게 하는 비를 내리는 존재로 묘사된다. 참나무, 숲이 우거진 산, 돌로 된 하늘과 연관되며, 슬라브 신화의 페룬, 게르만 신화의 토르 등과 유사한 기능을 한다. 페르쿠노스 숭배의 흔적은 동유럽 지명에서 발견된다.
페르쿠노스(Perkūnos)라는 이름은 원시 인도유럽어 동사 어근 ''*per-''('치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1][2] 또 다른 어원으로는 원시 인도유럽어 명사 ''*pérkʷus''('참나무')에 신의 명칭 ''*-nos''('~의 주인')가 붙은 형태가 제시된다.[3][4]
2. 어원
다양한 동족어는 다음과 같다.언어 단어 의미 비고 라틴어 Querquetulanae 참나무 님프 quercusla 참나무에서 유래[8][9] 원시 게르만어 참나무 [10] 골어 erc-xtg 참나무 골어 Quaquernixtg 부족 이름 [11][12] 펀자브어 pargāipa 신성한 참나무 [13] 고대 그리스어 Herkynagrc 샘의 님프 (추정)[14][15]
이 단어들은 페르쿠노스와 어원을 공유한다.
''*Perkʷunos''는 "치는 자" 또는 "참나무의 군주"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16][17] 참나무는 번개를 자주 맞는 특성이 있어, 천둥신과 참나무의 신화적 연관성을 통해 두 어원을 결합하는 이론이 제시되었다.[5][6][7]
고대 노르드어의 Fjörgyn–Fjörgynnnon과 리투아니아어의 Perkūnas–Perkūnijalt와 같이 성별 이중 형식에서 암컷 배우자의 존재가 시사된다.[18][19] 남 슬라브어 연결 Perun–Perperunasla는 확실하지 않다.
''*perkʷunos''는 "천둥"이라는 일반적인 단어에 대한 동족어 그룹을 낳았다.[3][20]
2. 1. 어원
페르쿠노스(Perkūnos)라는 이름은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치다"를 뜻하는 어근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1][2] 다른 어원으로는 인도유럽조어 명사인 ''*pérkʷus''('참나무')에 신의 명칭 ''*-nos''('~의 주인')가 붙은 형태가 제시된다.[3][4] 이는 천둥신과 참나무의 신화적 관계를 반영하는데, 참나무는 번개를 맞는 횟수가 많다는 점에서 천둥신과 연관성을 가진다.[5][6][7]
다양한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페르쿠노스와 어원을 공유하는 단어들을 찾아볼 수 있다.
언어 | 단어 | 의미 | 비고 |
---|---|---|---|
라틴어 | Querquetulanae | 참나무 님프 | quercusla 참나무에서 유래[8][9] |
원시 게르만어 | 참나무[10] | ||
골어 | erc-xtg | 참나무 | |
골어 | Quaquernixtg | 부족 이름 | [11][12] |
펀자브어 | pargāipa | 신성한 참나무[13] | |
고대 그리스어 | Herkynagrc | 샘의 님프 | (추정)[14][15] |
고대 프러시아어 | percunisprg | ||
폴란드어 | 번개 | ||
라트비아어 | pērkaunslv | 번개 | |
리투아니아어 | perkūnaslt | 천둥 | |
리투아니아어 | perkūnijalt | 뇌우 |
따라서 신격 ''*Perkʷunos''는 "치는 자" 또는 "참나무의 군주"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16][17]
2. 2. 별칭
'천둥'과 관련된 다른 인도유럽 신격은 다른 어근 \*(s)tenh₂-에서 유래했다. 게르만어 Þunrazgem(토르), 켈트어 Taraniscel(이전의 *Tonaroscel에서 유래), 라틴어 형용사 Tonansla(유피테르에 부착됨)에서 발견된다.[1] 학자 피터 잭슨에 따르면, 베다의 날씨 신 Parjanya 역시 stanayitnú-sa ("천둥치는 자")라고 불리기 때문에 "이들은 원래 형용사 또는 호칭의 화석화의 결과로 생겨났을 수 있다"고 한다.[2]또 다른 가능한 형용사는 "극복하다"에서 유래된 "정복하는 자"였으며, 그 후손으로는 히타이트 신 Tarḫunna, 루위아 신 Tarḫunz, 그리고 산스크리트어 तूर्वत् ''(tūrvat)'', 폭풍의 신 Indra의 형용사가 있다.[3]
3. 묘사
페르쿠노스는 무기를 들고 비옥하게 하는 비를 내리며, 악을 물리치는 존재로 묘사된다.
- 무기: 주로 곤봉, 철퇴, 망치 등 돌이나 금속으로 만든 무기를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발트와 고대 노르드 전통에서 이러한 무기는 ''''이라고 불리며, 이는 번개를 의인화한 것이다.[1][2] 라트비아어 시적 표현에는 "페르콘이 그의 철퇴를 던진다"라는 구절이 있는데, 여기서 철퇴(milna|밀나lv)는 토르가 사용하는 망치인 묠니르와 어원이 같다.[3][2][4]
- 비: 천둥과 번개는 파괴적인 힘과 함께 갱생의 힘을 가진 비를 동반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베다에서 파르자냐는 비의 신으로 묘사되며, 라트비아에서는 가뭄 시기에 페르콘스에게 비를 내려달라는 기도를 올렸다. 발칸 슬라브족은 페룬과 그의 여성형인 페르페루나sla를 숭배하며 비를 기원하는 의례를 행했다.[1]
- 참나무: 페르쿠노스는 참나무와 깊은 관련이 있다. 리투아니아어 Perkūno ąžuolaslt (페르쿠나스의 참나무), 라트비아어 Pērkōna uōzuōlslv (페르콘의 참나무) 등 여러 표현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3] 알바니아 민간 신앙에서 번개는 "하늘의 불"로 여겨지며, "번쩍이다, 울리다, 치다"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파생되었다.[3] 페르쿠노스가 참나무를 쳐서 불을 지핀다는 믿음은 창조 신화에서 번개의 잠재력을 나타낸다.[3]
- 숲과 산: 숲이 우거진 산과 관련되어 묘사되며, 그의 영역으로 여겨졌다. 키예프와 노브고로드를 내려다보는 언덕 위에 페룬의 나무 우상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벨라루스어 피아룬과 리투아니아어 페르쿠나스는 높은 산꼭대기에 산다고 전해진다.[3]
- 돌로 된 하늘: 하늘을 뜻하는 인도유럽조어 ''*h₂ekmōn''은 '돌'과 '하늘'을 모두 의미하며, '돌로 된 하늘 덮개'를 뜻했을 것으로 추정된다.[8][9] 알바니아인들은 번개가 칠 때 형성되어 하늘에서 떨어진다고 믿어지는 천둥돌의 초자연적인 힘을 믿었다.[14]
3. 1. 무기
페르쿠노스는 주로 무기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발트 및 고대 노르드 전통에서는 ''''이라고 불린다. 이는 번개를 의인화한 것으로, 보통 돌이나 금속으로 만든 곤봉, 철퇴, 망치 등으로 여겨진다.[1][2] 라트비아어 시적 표현인 Pērkōns met savu milnu|페르콘이 그의 철퇴를 던진다lv에서 철퇴(milna|밀나lv)는 고대 노르드어 묠니르와 어원이 같다. 묠니르는 천둥의 신 토르가 던지는 망치이다. 철퇴는 고대 프로이센어에서 번개를 뜻하는 단어 mealde|메알데prg, 고대 교회 슬라브어 *mlъni|믈러니cu, 웨일스어 mellt|멜트cy와도 어원이 같다.[3][2][4]3. 2. 비옥하게 하는 비
천둥과 번개는 파괴적인 의미를 지니는 동시에, 비옥하게 하는 비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갱생의 힘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파르자냐는 《베다》에서 비의 신으로 묘사되며, 라트비아의 기도문에는 가뭄 시기에 Pērkōns|페르콘스lt에게 비를 내려달라고 요청하는 내용이 있었다. 발칸 슬라브족은 페룬과 그의 여성적 대응 신인 페르페루나sla를 함께 숭배했는데, 이는 아직 첫 생리를 하지 않은 벌거벗은 처녀의 춤을 중심으로 하는, 비옥하게 하는 비를 기원하는 의례적인 기도문의 이름이었다. 베다 찬가에서 땅은 페르페루나의 동족일 가능성이 있는 파르자냐에게 "월경하는" 존재로 언급된다. 페르페루나sla의 또 다른 이름인 도돌라sla는 페르쿠나스lt의 가명 둔둘리스lt와 제우스의 떡갈나무 신탁이 있는 도도나grc를 연상시킨다.[1]3. 3. 타격자와 참나무의 신
페르쿠노스와 참나무의 연관성은 발트-슬라브어파의 다양한 상투적인 표현에서 증명된다. 리투아니아어 Perkūno ąžuolaslt (페르쿠나스의 참나무), 라트비아어 Pērkōna uōzuōlslv ('페르콘의 참나무'), 고대 동슬라브어 Perunovŭ dubŭorv ('페룬의 참나무') 등이 그것이다. 알바니아어에서 번개는 알바니아 민간 신앙에서 "하늘의 불"로 여겨지는데, ''shkreptimë''라는 단어로 표현되며, 이는 "번쩍이다, 울리다, 치다(불꽃이 튀어 나올 때까지)"를 의미하는 ''shkrep''에서 파생되었다.[3] 타격, 돌, 불 사이의 연관성은 돌을 서로 쳐서 불을 지필 수 있다는 관찰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타격을 통한 불의 생산 행위는 천둥의 신이 참나무를 쳤을 때 불이 참나무 안에 남아 있다는 믿음에도 반영되어 있으며, 이는 창조 신화에서 번개의 잠재력을 나타낸다.[3]슬라브의 천둥의 신 페룬은 종종 참나무를 쳐서 그 안에 불을 지핀다고 하며, 노르드 신화의 천둥의 신 토르는 거인들이 참나무 아래에 숨어 있을 때 그들을 친다고 한다.[3] 토르는 또한 그를 위해 헌정된 적어도 하나의 성스러운 참나무를 가지고 있었다. 벨라루스 민속에 따르면 피아룬은 악마가 숨어 있는 나무를 쳐서 최초의 불을 만들었다고 한다.[3]
페르쿠노스가 악마, 마귀 또는 악당을 치는 것은 발트해의 페르쿠나스와 베다의 파르자냐를 둘러싼 신화의 또 다른 모티프이다.[3] 리투아니아 및 라트비아 민속 자료에서 Perkunaslt/Perkonslv는 뱀과 질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3]
3. 4. 숲이 우거진 산
페르쿠노스는 종종 돌과 숲이 우거진 산과 관련되어 묘사되는데, 숲이 우거진 산은 그의 영역으로 여겨졌다. 원시 게르만어의 ('[산악] 숲')와 골어의 (h)ercuniaxtg('[참나무] 숲') 사이에는 동족 관계가 언급되었다. 루스 연대기는 키예프와 노브고로드를 내려다보는 언덕 위에 있는 페룬의 나무 우상들을 묘사하며, 벨라루스어 피아룬과 리투아니아어 페르쿠나스 모두 높은 산꼭대기에 산다고 전해졌다. 이러한 장소는 리투아니아어로 perkūnkalnislt라고 불리며, "페르쿠나스의 정상"을 의미하며, 슬라브어 단어 perynjasla는 Perunsla의 성소가 있던 노브고로드 위의 언덕을 지칭했다. 블라디미르 대공은 키예프 루스 기독교화 동안 Perūnsla의 우상을 드네프르 강에 던졌다.게르만 신화에서 피요르긴은 '땅, 지구'의 시적 동의어로 사용되었으며, 원래 숲이 우거진 산의 여주인이었을 수 있으며, 이는 고트어에서 fairgunigot('숲이 우거진 산')로 나타나는 것의 의인화였다. 또한, 발트 전통은 숲이나 언덕 꼭대기에서 참나무로 불을 지피는 Perkūnaslt에게 헌정된 영원한 성화를 언급한다. 이교도들은 기독교인들이 그 불을 끄면 페르쿠나스가 얼어붙을 것이라고 믿었다.
3. 5. 돌로 된 하늘
하늘을 뜻하는 인도유럽조어 ''*h₂ekmōn''은 '돌'과 '하늘'을 모두 의미하며, 아마도 성경의 창공과 유사한 '돌로 된 하늘 덮개'를 뜻했을 것이다.[8][9] 돌로 된 하늘이라는 모티프는 그리스 신화의 아크몬(Akmon, '모루') 이야기에서 발견되는데, 그는 우라노스의 아버지이자 하늘을 의인화한 존재이다.[10] 'akmon'이라는 단어는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의 문헌에서 '번개'라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11]다른 동족어로는 베다어 áśmansa('돌'), 이란 신 Asmanfa('돌, 하늘'), 리투아니아 신 Akmolt(Perkūnas|페르쿠나스lt와 함께 언급됨)가 있으며, 게르만어 (Himmel|힘멜de, heaven|헤븐영어) 및 (고대 노르웨이어: hamarrnon과 관련, 이는 '바위, 큰 돌, 절벽' 또는 '망치'를 의미할 수 있음)에도 나타난다.[11][12][8][13] Akmolt는 16세기 논문에서 'a sizeable stone', 즉 '상당한 크기의 돌'로 묘사되었으며, 사모기티아에서 숭배를 받았다.[8][9]
알바니아인들은 천둥돌('kokrra e rrufesë' 또는 'guri i rejës')의 초자연적인 힘을 믿었는데, 이는 번개가 칠 때 형성되어 하늘에서 떨어진다고 여겨졌다. 천둥돌은 중요한 숭배 대상으로서 가족 내에서 보존되었다. 집 안에 가져오면 사람, 가축, 농업에 행운, 번영, 발전을 가져다주거나, 천둥돌 소유자는 총알에 맞지 않는다고 믿었다.[14] 흔한 관행은 가축의 몸이나 임산부에게 행운과 악령을 막기 위해 천둥돌 펜던트를 걸어주는 것이었다.[15]
신화적 연관성은 운석과 같은 관찰이나, 특히 도끼용으로 연마된 천둥돌이 하늘에서 떨어졌다는 믿음으로 설명할 수 있다.[16] 실제로 베다어 áśmansa은 인드라가 던지는 무기의 이름이며, 토르의 무기도 hamarrnon라고 불리며, 천둥돌은 리투아니아 전통에서 Perkūno akmuõlt(페르쿠나의 돌)라고 불릴 수 있다.[17][10][16] 학자들은 또한 Perkūnaslt와 Piarunbe이 리투아니아와 벨라루스 민속의 일부 주제에서 참나무 대신 바위를 친다고 하며,[18] 슬라브어 Perūnsla은 산이나 하늘에서 도끼나 화살을 보낸다고 지적했다.[19] 따라서 ''*h₂ekmōn''의 원래 의미는 '돌로 만든 무기', 그리고 '하늘' 또는 '번개'였을 수 있다.[20]
4. 증거
페르쿠노스는 다양한 인도유럽어족 문화권에서 숭배된 신으로, 그 이름이나 관련된 신앙의 형태에서 그 증거를 찾아볼 수 있다.
원시 인도유럽어 ''*Perkʷunos''는 "치는 자" 또는 "참나무의 군주"를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9] 이는 원시 인도유럽어 동사 어근 ''*per-'' ('치다') 또는 명사 ''*pérkʷus'' ('참나무')와 관련이 있다.[2][3] 참나무는 번개를 맞는 횟수가 많아 천둥신과 신화적으로 연관되기도 한다.[10]
이 신의 이름은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라틴어 ''Querquetulanae'' (quercus|쿠에르쿠스|참나무la에서 유래),[4] 원시 게르만어 ,[5] 골어 erc-|에르크-|참나무xtg와 Quaquerni|콰케르니xtg(부족 이름),[6] 펀자브어 pargāi|파르가이|신성한 참나무pa,[7] 고대 그리스어 샘의 님프 Herkyna|헤르키나grc[8] 등이 그 예이다.
고대 노르드어의 Fjörgyn–Fjörgynn|피요르귄-피요르긴non과 리투아니아어의 Perkūnas–Perkūnija|페르쿠나스-페르쿠니야lt처럼 성별 이중 형식으로 나타나 암컷 배우자의 존재를 시사하기도 한다.[11]
''*perkʷunos''는 고대 프러시아어 percunis|페르쿠니스prg, 폴란드어 , 라트비아어 pērkauns|페르카운스|"번개"lv, 리투아니아어 perkūnas|페르쿠나스|"천둥"lt 및 perkūnija|페르쿠니야|"뇌우"lt 등 "천둥"을 의미하는 단어들의 어원이 되기도 했다.[3]
4. 1. 신명
이름 ''*Perkʷunos''는 원시 인도유럽어 (PIE) 동사 어근 ''*per-''('치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2] 또 다른 어원은 PIE 명사 ''*pérkʷus''('참나무')로, 신의 명칭 ''*-nos''('~의 주인')가 붙었다는 설이 있다.[3]다양한 동족어는 다음과 같다.
- 라틴어의 참나무 님프인 ''Querquetulanae'' (quercus|쿠에르쿠스|참나무la에서 유래)[4]
- 원시 게르만어 [5]
- 골어 erc-|에르크-|참나무xtg와 Quaquerni|콰케르니xtg(부족 이름)[6]
- 펀자브어 pargāi|파르가이|신성한 참나무pa[7]
- 아마도 고대 그리스어의 샘의 님프 Herkyna|헤르키나grc[8]
따라서 신격 ''*Perkʷunos''는 "치는 자" 또는 "참나무의 군주"를 의미했다.[9] 번개를 맞는 횟수가 많은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참나무와 천둥의 신화적 연관성을 통해 이 두 어원을 결합하는 이론이 제안되었다.[10]
암컷 배우자의 존재는 고대 노르드어의 Fjörgyn–Fjörgynn|피요르귄-피요르긴non과 리투아니아어의 Perkūnas–Perkūnija|페르쿠나스-페르쿠니야lt와 같은 성별 이중 형식에서 시사된다.[11] 남슬라브어 연결 Perun–Perperuna|페룬-페르페루나sla는 확실하지 않다.
명사 ''*perkʷunos''는 또한 고대 프러시아어 percunis|페르쿠니스prg, 폴란드어 , 라트비아어 pērkauns|페르카운스|"번개"lv, 또는 리투아니아어 perkūnas|페르쿠나스|"천둥"lt 및 perkūnija|페르쿠니야|"뇌우"lt를 포함하여 "천둥"이라는 일반적인 단어에 대한 동족어 그룹을 낳았다.[3]
미칼로유스 콘스탄티나스 치url리오니스의 "페르쿠나스의 손" (1909)에서 ''*Perkʷunos''는 벼락을 묘사해야 하는데, 손이 번개를 든 모습은 근동 기원에서 유래되었으므로, 벼락을 묘사해야 한다.[12]

'천둥'과 관련된 다른 인도유럽 신격은 다른 어근 ''*(s)tenh₂-''을 통해 게르만어 Þunraz|Þ운라즈gem (토르), 켈트어 Taranis|타라니스cel (이전의 *Tonaros|토나로스cel에서 유래), 라틴어 형용사 Tonans|토난스la (유피테르에 부착됨)에서 발견된다.[13] 학자 피터 잭슨에 따르면, "이들은 원래 형용사 또는 ''*Perkʷunos''의 호칭의 화석화의 결과로 생겨났을 수 있다"고 하는데, 베다의 날씨 신 Parjanya 역시 stanayitnú-|스타나이트누-|"천둥치는 자"sa라고 불리기 때문이다.[14]
또 다른 가능한 형용사는 ''*térh₂uti'' "극복하다"에서 유래된 ''*tr̥h₂wónts'' "정복하는 자"였으며, 그 후손으로는 히타이트 신 Tarḫunna, 루위아 신 Tarḫunz, 그리고 산스크리트어 तूर्वत्|tūrvat|투르바트sa, 폭풍의 신 Indra의 형용사가 있다.[1]
조지 E. 덩켈은 ''*Perkʷunos''를 하늘 신 ''*Dyēus''의 원래 형용사로 여겼다.[15] 또한 ''*Perkʷunos''가 ''*Diwós Putlós'' ('Dyēus의 아들')으로 불렸다는 가설도 있는데, 이는 베다 시 전통에만 근거한다.[9]
다음은 서부 인도유럽 신화에서 ''*Perkʷunos'' 또는 관련 이름에서 파생된 동족어들을 정리한 표이다.
어원 | 신화 | 신격 | 비고 |
---|---|---|---|
PIE: *per-, 치다 (또는 *pérkʷus, 참나무)[2] | 발트 | 요트빙어: 파르쿤스(Parkuns)[10][11][12][13] | |
라트갈어: Pārkiuņs|파르키운스ltg[14] | |||
리투아니아: 페르쿠나스 | 비와 천둥의 신, 험상궂은 얼굴에 누런 수염을 한 남자로 묘사됨[3] | ||
라트비아어: 페르콘스(Pērkōns) | 라트비아의 다이나스(민요)에서 종종 디에브스(하늘의 신)와 그 기능이 합쳐짐[3] | ||
페르쿠나텔레 | 페르쿠나스와 관련된 여성 신, 어머니 또는 아내로 여겨짐[15][16] | ||
PIE: *per-uh₁n-os, 천둥 돌을 가진 자[3][9] | 슬라브: *perunъ[17] | 고대 교회 슬라브어: 페룬(Перýн) | 번개의 제작자[3] |
고대 동슬라브어: 페룬ŭ, 벨라루스어: 피아룬(Piarun)(Пярун),[18][19] 체코어: 페라우(Peraun)[20] | |||
슬로바키아어: 페룬; 파롬;[3] | |||
불가리아어: 페룬 (Перун|페룬bg)[22][23] | |||
폴란드어: 피오룬(Piorun)[24] | ("번개") | ||
러시아어: 페린 | 러시아 노브고로드의 반도, 슬라브 페룬의 역사적 숭배와 관련됨[25] | ||
남슬라브어: 페룬[11] | |||
PIE: *per-kʷun-iyo (여성형 *per-kʷun-iyā, 페르크누노스의 영역, 즉 [나무가 우거진] 산)[26][27] | 켈트: *ferkunyāmis[28] | 골어: 헤르키니아 (Hercynia) 숲 또는 산 | 아르덴과 검은 숲의 고대 이름,[26] 아리스토텔레스 시대에는 아르쿠니아로도 알려짐[27]; 헤르키니아테스(Ερκουνιατες; 접미사 -atis ~에 속함이 붙음), 플리니우스와 프톨레마이오스가 묘사한 판노니아의 켈트 부족의 이름.[7] |
게르만: *fergunja, 산을 의미하며, 아마도 산악 숲 (또는 *ferga, 신의 여성형)[5] | 고대 노르드: 피요르귄 | 천둥의 신 토르의 어머니, 숲이 우거진 풍경의 여신이자 땅 또는 지구의 시적 동의어[3] | |
고트어: fairguni|파이르구니|"(나무가 우거진) 산"got, 그리고 fairhus|파이르후스|"세계"got, 고대 영어: firgen|피르겐|"산", "나무가 우거진 언덕"ang,[5] 고대 고지 독일어: Firgunnea, 광산 산맥, 그리고 Virgundia Waldus, Virgunnia, 참나무 숲[5] | |||
슬라브: *per(g)ynjamis, 나무가 우거진 언덕(아마도 게르만어에서 초기 차용)[9] | 고대 교회 슬라브어: prӗgynja|프레기냐cu, 고대 동슬라브어: peregynja, 나무가 우거진 언덕;[27] 폴란드어: przeginia|프셰기니아pl(지명) |
4. 2. 천둥신의 무기
페르쿠노스의 무기는 '망치' 또는 '번개'를 뜻하는 다양한 동족어로 증명된다. 발트 및 고대 노르드 전통에서는 ''*meld-n-*''이라고 불렸으며, 이는 번개를 의인화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돌이나 금속으로 만들어진 곤봉, 철퇴 또는 망치로 여겨진다.[29][30]라트비아어의 시적 표현 Pērkōns met savu milnulv ("페르콘이 그의 철퇴를 던진다")에서 철퇴(milna|밀나lv)는 고대 노르드어의 mjǫllnir와 어원이 같으며, 이는 천둥의 신 토르가 던지는 망치이다. 또한 고대 프로이센어의 '번개'를 뜻하는 단어 mealde|메알데prg,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mlъni|믈러니cu, 웨일스어의 mellt|멜트cy와도 어원이 같다.[31][32][33]
페르쿠노스의 무기 "*meld-n-*"의 이름은 다음과 같은 전통에서 '망치' 또는 '번개'를 번갈아 가리키는 일련의 동족어로 증명된다.
어원 | 언어 | 단어 | 의미 |
---|---|---|---|
인도유럽조어: *melh₂-|멜흐-mis | 게르만조어: *melðunijaz | 고대 노르드어: mjǫllnir | 토르의 망치; 불을 뜻하는 myln |
발토슬라브조어: *mild-n-* | 원시 슬라브어: *mlъldni | 고대 교회 슬라브어: mlъni 또는 mlъnii | 번개 |
세르보크로아트어: múnja (муња) | |||
슬로베니아어: mółnja | |||
불가리아어: мълния|멀니야bg | 마케도니아어: молња | 번개 | |
러시아어: mólnija (молния) | 번개 | ||
우크라이나어: maladnjá (방언.) | 천둥 없는 번개 | ||
벨라루스어: маланка | 번개 | ||
발토슬라브조어: *mild-n-* | - | 체코어: mlna|믈나cs (고어.) | 번개 |
폴란드어: mełnia|메우니아pl (방언.) | |||
소르브어: milina (고어) 번개 (현대 전기) | |||
발트조어: *mildnā | 고대 프로이센어: mealde|메알데prg | 번개 | |
라트비아어: milna|밀나lv | 천둥신의 망치, Pērkōns | ||
켈트조어: *meldo- | 골어: Meldos | 천둥 신 루케티오스의 별칭; 부족 이름인 Meldi (*Meldoi), 개인 이름인 Meldio | |
웨일스어: mellt|멜트cy | 번개, 천둥 번개 (단수 mellten|멜텐cy, 번개), Mabon am Melld 또는 Mabon fab Mellt (Mabon, Mellt의 아들) | ||
브르타뉴어: mell | 망치 | ||
중세 아일랜드어: mell | 둥근 정상, 작은 언덕, 아마도 *ferkunyā|페르쿠니아mis (수목이 우거진) 산에서 의미론적으로 오염되었을 것이다. |
동사 어근 *melh₂-|멜흐-mis ('갈다')에서 파생된 또 다른 인도유럽조어 용어인 *molh₁-tlo-|몰흐틀로-mis ('연마 장치')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 ''mlatъ'', 라틴어 ''malleus'', 히타이트어 ''malatt'' ('해머, 곤봉')와 같이 '망치'를 뜻하는 일반적인 단어로도 사용되었다.
프랜시스 힌데스 그룸은 "집시"(로마니 어) 단어 ''malúna''가 슬라브어 ''molnija''에서 차용된 단어라고 언급했다.[36] 코미어 단어 ''molńi'' 또는 ''molńij'' ('번개')도 슬라브어에서 차용되었다.[37]
4. 3. 돌로 된 하늘의 궁창
인도유럽조어 *''h₂éḱmōn'' (소유격 *''h₂ḱmnós''; 처격 *''h₂ḱméni'')은 '돌, 돌로 만든 무기'를 뜻하며, 나아가 '돌로 된 하늘의 궁창'을 의미한다.[7] 이 단어는 여러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언어 | 단어 | 뜻 |
---|---|---|
원시 인도-아리아어 | *Haćman | |
베다 산스크리트어 | áśman | 돌, 투석용 돌, 벼락 |
아베스타어 | asman | 돌, 투석용 돌, 하늘 |
고대 그리스어 | ákmōn (ἄκμων) | 모루, 운석, 벼락, 하늘 |
원시 발토-슬라브어 | *akmen- | |
리투아니아어 | akmuõ | 돌 |
라트비아어 | akmens | 돌 |
원시 게르만어 | *hemō (소유격*hemnaz, 여격 *hemeni) | 하늘 |
고트어 | himins | 하늘 |
고대 영어 | heofon | 하늘 |
고대 프리지아어 | himel | 하늘 |
고대 작센어 | heƀan | 하늘 |
고대 네덜란드어 | himil | 하늘 |
고대 고지 독일어 | himil | 하늘 |
고대 노르드어 | himinn | 하늘 |
전위 어간 *''ḱ(e)h₂-m-(r)-''은 원시 슬라브어 ''*kamy'' ('돌'), 게르만어 ''*hamaraz'' ('망치'), 그리스어 ''kamára'' ('궁창')에서도 나타난다.
4. 4. 기타 가능한 동족어
다음은 페르쿠노스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신, 영웅, 지명들이다.어군 | 명칭 | 설명 | |
---|---|---|---|
고대 발칸어 | 알바니아어 | 페레디 | 일부 학자들은 알바니아의 하늘 및 뇌우 신으로 간주한다. |
고대 발칸어 | 그리스 신화 | keraunos|케라우노스grc | 제우스의 벼락 이름으로, 때때로 신격화되기도 했다. 데메테르와 동일시되는 헤르키나 샘의 요정 또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고대 발칸어 | 트라키아 종교 | 페르코스/페르콘 | 트라키아의 기마 영웅. |
인도이란어 | 베다 종교 | 파르자냐 | 비, 천둥, 번개의 신. |
인도이란어 | 누리스탄어 | 파룬 | 누리스탄 주에서 숭배받는 전쟁의 신. |
인도이란어 | 페르시아어 | 피란 (비세) | 대이란의 국가 서사시인 샤나메에 등장하는 영웅. |
인도이란어 | 스키타이 종교 | 피르쿠나스 또는 피르추나스 | 19세기에 "스키타이 디부스"에 부착된 "비가 내리는"을 의미하는 신이 언급되었다. |
켈트어 | 원시 켈트어 | *(h)erku-mis | 참나무. |
켈트어 | 히스파노-켈트어 | 에르구에나 | 개인 이름. |
켈트어 | 켈트이베리아어 | 베르쿠네타캄 | 보토리타 석판 I에서 증명된 단어. |
켈트어 | 피레네 산맥 | 에스페르케니우스 | 카테르비유에서 발견된 비문에 증명된 신격. |
켈트어 | 골어 | 에르코스 | 참나무. |
켈트어 | 갈로-로마 문화 | 데우스 에르쿠스, 님파이 페르세르나 | 데우스 에르쿠스(아키타니아)에 대한 언급, 님파이 페르세르나(나르보넨시스) |
켈트어 | 아일랜드 신화 | 에르크 (막 카이르프리) | |
히타이트어 | perunas|페루나스hit, peruni|페루니hit | 울리쿠미의 노래에서 증명된 단어. | |
이탈리아어 | 포르카 | 트렌티노 방언에서 전나무를 의미하는 단어. | |
슬라브어 | 포메라니아어 | 포레누트 | |
슬라브어 | 페르페루나 | (?) | |
로마-게르만 문화 | 마트로나에 '알라-페르후이에' | 마트로나에 알라-페르후이에에 대한 비문 | |
코카서스 산맥 | Пиръон (피르욘) 및 Пиръа (피르야) |
5. 유산
학자들은 유럽 지명, 특히 동유럽과 슬라브어권 지역에서 페르쿠노스의 흔적이 남아있다고 본다.[62][63][64][65]
루이 레제는 폴라비아인들이 페룬을 목요일(''Perendan'' 또는 ''Peräunedån'')의 이름으로 채택했으며, 이는 독일어 ''Donnerstag''를 갈크한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56]
5. 1. 지명
학자들은 유럽 지명, 특히 동유럽과 슬라브어권 지역에서 페르쿠노스의 흔적이 남아있다고 본다.남슬라브어권 지역에서는 페루나츠, 페루노바츠, 페루니카, 페루니치카 글라바, 페루니 브르흐, 페루냐 베스, 페루나 두브라바, 페루누사, 페루시체, 페루디나, 페루토바츠와 같은 지명이 슬라브 신 페룬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62] 마리야 김부타스는 페루노바 고라(폴란드), 페룬 고라(세르비아), 고라 페룬(루마니아), 포룬 언덕(이스트라)과 같은 지명을 언급했다.[63] 파트리스 라조예는 발칸 반도의 페르니크 시와 피린 산맥(불가리아)을 슬라브 신 페룬과 연관시켰다. 그는 또한 독일 도시 프론스토르프가 1199년에 페로네였던 제게베르크 근처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페룬과 관련이 있다고 제안했다.
오늘날 카슈텔라 시를 포함하는 지역에는 고대 달마티아 도시 살로나가 있었다. 살로나 근처에는 후기 고대 시대에 페룬이라는 언덕이 있었다.[59] 고대 산 이름 보룬(몬테 보룬)은 페룬의 변형으로 해석되어 왔다. 이들의 연관성은 슬라브어권에서 '참나무 숲'을 의미하는 도브라바라는 산이 근처에 있다는 사실로 더욱 강화된다.[60][61]
발트 신 페르쿠나스의 이름은 발트 지역의 지명과 물 이름에서도 나타난다. 제마이티야의 카우나스 북서쪽에 있는 페르쿠니스케스라는 마을과 현대 구세프 근처의 페르쿤라우켄(페르쿤스 들판)이라는 지명이 있다.[64][65]
5. 2. 요일
루이 레제는 폴라비아인들이 페룬을 목요일(''Perendan'' 또는 ''Peräunedån'')의 이름으로 채택했으며, 이는 독일어 ''Donnerstag''를 갈크한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56]참조
[1]
논문
Linguistic evidence for Proto-Indo-European pantheon
https://bazhum.muzhp[...]
1995
[2]
논문
The sanctuary of Zeus in Dodona: Evolution of the religious concept
2019
[3]
서적
Baltic and East Slavic Charms
http://www.jstor.org[...]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3
[4]
서적
The Hittite Dictionary of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https://oi.uchicago.[...]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5]
학위논문
Hittite Vocabulary: An Anatolian Appendix to Buck's Dictionary of Selected Synonyms in the Principal Indo-European Languages
University of California
[6]
서적
Parvati: Goddess of Love
https://books.google[...]
Mapin Publishing
1999
[7]
기타
Indo-Aryan Inherited Lexicon
https://www.scribd.c[...]
Leiden University
[8]
서적
European paganism: the realities of cult from antiquity to the Middle Ages
Routledge
2000
[9]
서적
Greek Mythology and Poetics
Cornell University Press
1992
[10]
기타
Some aspects of pre-Christian Baltic religion
Éditions Lingva
2019
[11]
논문
Perkūno nutrenkto medžio motyvas: sąsajos su vestuviniais papročiais
2018
[12]
논문
Baltø religijos ir mitologijos ðaltiniai 2. XVI amþius
2003
[13]
논문
Teonimų, minimų "Sūduvių knygelėje", etimologinė analizė – dievybių funkcijos, hierarchija: Bardoayts, Gardoayts, Perdoyts
https://www.academia[...]
Klaipėdos universiteto leidykla
2008
[14]
서적
Ethnic Groups of Europe: An Encyclopedia
ABC-CLIO
2011
[15]
서적
A Survey of Russian Literature, with Selections
Chautauqua Press
1902
[16]
서적
The songs of the Russian people, as illustrative of Slavonic mythology and Russian social life
Ellis & Green
1872
[17]
논문
"Kognitywna Definicja Peruna: Etnolingwistyczna próba Rekonstrukcji Fragmentu słowiańskiego Tradycyjnego Mitologicznego Obrazu świata" [Cognitive Definition of Perun: An Attempt at Reconstruction of a Fragment of the Traditional Mythological Appearance of the Slavic World]
2011-10
[18]
논문
ОБРАЗ БОГА-ГРОМОВЕРЖЦЯ ПЕРУНА В ЯЗИЧНИЦЬКОМУ СВІТОГЛЯДІ ДАВНЬОЇ РУСІ" [The image of the thunder god Perun in the pagan outlook of ancient Russia]
1999
[19]
논문
A Guide to Byelorussian Mythology
1966
[20]
서적
The songs of the Russian people, as illustrative of Slavonic mythology and Russian social life
Ellis & Green
1872
[21]
서적
La mythologie slave
https://archive.org/[...]
E. Leroux
1901
[22]
논문
While Reading Vasmer's Dictionary
1955
[23]
서적
Encyclopedia of Russian and Slavic myth and legend
ABC-CLIO
1998
[24]
서적
La mythologie slave
E. Leroux
1901
[25]
논문
While Reading Vasmer's Dictionary
1955
[26]
기타
[27]
서적
Celtic Culture: G-L
ABC/CLIO
2006
[28]
서적
Celtic Culture: G-L
ABC/CLIO
2006
[29]
서적
Lectures on the origin and growth of religion as illustrated by Celtic heathendom
Williams and Norgate
1892
[30]
서적
Routledge Macedonian-English Dictionary
Routledge
1998
[31]
논문
The Linguistic Importance of Lusatian
http://www.jstor.org[...]
1967
[32]
서적
Поэтические воззрения славян на природу: Опыт сравнительного изучения славянских преданий и верований в связи с мифическими сказаниями других родственных народов
https://archive.org/[...]
Izd. K. Soldatenkova
1865
[33]
논문
Upper Lusatian Synonyms, A Language-Building Element
http://www.jstor.org[...]
1969
[34]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06
[35]
논문
Inscriptions antiques de Glanum [Saint- Rémy-de-Provence] (Bouches-du-Rhône)
https://www.persee.f[...]
1944
[36]
서적
In Gipsy tents
https://archive.org/[...]
W. P. Nimmo & co.
1890
[37]
간행물
"As Direções em que Thor Arremessou sua Arma: Apontamentos Sobre a Etimologia e os Paralelos Mitológicos de Mjölnir"
2020
[38]
문서
[39]
서적
Thrakisch und Dakisch
De Gruyter
1983
[40]
논문
The Thracian Horseman in an Indo-European Perspective
https://www.ceeol.co[...]
1990
[41]
논문
Vorthrakisch?
https://ojs.lib.uom.[...]
1990
[42]
논문
Le Dieu Supreme des Thraces. Incarnations et Identifications, Traductions - Notations et Noms - Appellations
https://www.ceeol.co[...]
2009
[43]
논문
There is no "Perun in the Caucasus"... But Maybe an Ancient Iranian Thunder Demon
2012
[44]
서적
Les Scythes
W. H. Schmidt
1858
[45]
서적
Поэтические воззрения славян на природу: Опыт сравнительного изучения славянских преданий и верований в связи с мифическими сказаниями других родственных народов
https://archive.org/[...]
Izd. K. Soldatenkova
1865
[46]
서적
Lenguas y religiones prerromanas del occidente de la Península Ibérica
Ediciones Universidad Salamanca
2002
[47]
간행물
Crónica de onomástica paleo-hispânica (23)
2016
[48]
논문
Propuestas para la interpretación de Botorrita 1
1995
[49]
논문
Sobre Botorrita IV
2002
[50]
서적
L'arbre du monde: La cosmologie celte
CNRS Éditions
2016
[51]
문서
"Celtic and Other Indigenous Divine Names Found in the Italian Peninsula."
http://www.jstor.org[...]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Press
2013
[52]
논문
The Song of Ullikummi Revised Text of the Hittite Version of a Hurrian Myth
1951
[53]
논문
Organized pagan cult in Kievan Rus: The invention of foreign elite or evolution of local tradition? [Organizirani poganski kult v kijevski drzavi: Iznajdba tuje elite ali razvoj krajevnega izrocila?]
1999
[54]
문서
Lombards and consonant shift: A Unified Account of the High Germanic Consonant Shift
2008
[55]
논문
Kognitywna Definicja Peruna: Etnolingwistyczna próba Rekonstrukcji Fragmentu słowiańskiego Tradycyjnego Mitologicznego Obrazu świata
https://doi.org/10.3[...]
2011-10
[56]
서적
La mythologie slave
https://archive.org/[...]
E. Leroux
1901
[57]
서적
The Luwians
Brill
2003
[58]
논문
A Bactrian God
1997
[59]
간행물
Castella qui sunt super civitatem Salonitanam
https://hrcak.srce.h[...]
2018
[60]
간행물
Perunovo brdo (monte Borun) – prilog poznavanju poganske slavenske toponimije u Kaštelima
https://hrcak.srce.h[...]
2011
[61]
간행물
Annali: Sezione slava
https://books.google[...]
Istituto universitario orientale
1966
[62]
논문
Organized Pagan Cult in Kievan Rus'. The Invention of Foreign Elite or Evolution of Local Tradition?
https://doi.org/10.3[...]
1999-05
[63]
문서
Ancient Slavic Religion: A Synopsis
https://doi.org/10.1[...]
De Gruyter Mouton
2018
[64]
문서
Some aspects of pre-Christian Baltic religion
https://www.academia[...]
Lingva
2019
[65]
문서
Baltic names of deities in the hydronyms of Latvia and Lithuania
Wydawnictwo Rys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