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급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급차는 응급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거나 응급 처치를 제공하는 차량이다. 1797년 프랑스에서 마차 형태의 구급차가 처음 도입된 이후, 자동차가 대중화된 1920년대부터 자동차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응급 환자 수송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구급차는 응급 구급차, 환자 수송 구급차, 구급 버스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국의 법률에 따라 사이렌, 경광등, 전용 도색 등의 외관 규정을 따른다. 구급차에는 응급구조사, 구급대원 등 다양한 자격의 인력이 탑승하며, 환자 상태에 따라 적절한 응급 처치를 제공한다. 군용 구급차는 전쟁터에서 부상병을 후송하는 데 사용되며, 퇴역한 구급차는 다른 용도로 재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급차 - 산소 마스크
    산소 마스크는 의료, 항공, 산업, 잠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산소 치료 기구로, 사용 목적에 따라 일회용 플라스틱, 실리콘, 고무 재질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항공기 비상용부터 특수 직업군용까지 존재한다.
  • 구급차 - 들것
    들것은 환자나 부상자를 운반하는 기구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과거에는 임시로 활용되기도 했으나 현대에는 앰뷸런스와 함께 재난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긴급자동차 - 소방차
    소방차는 화재 진압과 인명 구조에 사용되는 특수 차량으로, 수동 펌프에서 자동화 차량으로 발전했으며 펌프차, 물탱크차, 사다리차, 구조공작차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각국은 지역 특성에 맞춰 다양한 사양의 소방차를 운용한다.
  • 긴급자동차 - 싸이카
    싸이카는 대한민국 경찰 및 헌병이 사용하는 모터사이클을 이르는 명칭이며, 의전, 순찰, 교통 법규 집행, 호송 등에 사용된다.
  • 탈것 - 자동차
    자동차는 18세기 증기 자동차에서 시작하여 내연기관 발명으로 발전했으며, 크기, 용도, 연료 등에 따라 분류되고, 자율 주행 및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안전과 환경 문제 해결을 모색한다.
  • 탈것 - 자전거
    자전거는 사람의 힘으로 페달을 밟아 뒷바퀴를 회전시켜 움직이는 두 바퀴 차량으로, 드라이지네에서 시작하여 기술 발전을 거쳐 다양한 종류로 발전했으며, 통근, 레저, 스포츠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환경 친화적인 교통수단이다.
구급차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응급 차량
용도응급 의료
환자 이송
역사
어원라틴어 'ambulare' (걷다, 움직이다)
초기 형태야전 병원 (이동형)
구급 마차
주요 발전 시기남북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종류
일반 구급차기본적인 응급 처치 및 이송 장비 탑재
중환자실 구급차고급 응급 처치 장비 및 전문 인력 탑재
특수 구급차항공 구급차
수륙 양용 구급차
오토바이 구급차
자전거 구급차
장비
필수 장비들것
산소 공급 장치
심장 제세동기
인공호흡기
부목
붕대
약품
통신 장비무전기
인력
주요 인력응급 구조사
간호사
의사
운영
주요 운영 주체소방서
병원
민간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기관
긴급 전화 번호119 (대한민국)
기타
관련 법규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대한민국)
참고응급의료

2. 역사

대한민국 최초의 동력 구급차(추정)


미국 남북전쟁 당시의 구급차


구급차의 역사는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가 불치병 환자를 강제로 수송하는 데 사용된 수레로부터 시작된다. 1487년 스페인에서 최초로 응급 수송에 사용되었으며, 민간용 구급차는 1830년대에 운영되기 시작했다.[9] 19세기와 20세기를 거치면서 기술 발전에 따라 현대식 자체 동력 구급차가 등장하게 되었다.

본격적인 응급 환자 수송 전용 차량을 처음 만든 사람은 1800년대 초 나폴레옹 전쟁에서 나폴레옹 군의 군의총장으로 임명된 외과의사 도미니크장 라레로 알려져 있다. 도미니크장 라레는 전장에서 환자가 신속하게 야전 병원으로 후송될 수 있도록 전용 마차를 이용한 수송 체계를 만들었다. 이 마차가 최초의 구급차로 여겨진다. 그는 환자에게 경상, 중상, 중증 등 치료 우선순위를 매기는 트리아주 체계를 처음 고안한 인물로도 유명하다.

구급차(ambulance)라는 명칭은 "ambulare"(라틴어로 "걷다", "돌아다니다")에서 유래한 "hôpital ambulant"(프랑스어로 "이동하는 병원")이라는 프랑스어 표현에서 온 것으로 여겨진다.

구급차의 역사는 전쟁, 군사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으며, 전시 국제법에 따라 적십자 마크를 단 구급차는 전투 중에도 공격받지 않고 환자를 수송할 수 있다. 구급차는 무장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의무병은 무장 해제 후 동승해야 한다. 단, 발연탄 발사기 등 방어용 장치는 장착할 수 있다.

자동차가 대중화된 1920년대 이후, 구급차는 자동차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각국에서 응급 환자 수송의 주요 수단이 되었다. 육로를 달리는 구급차를 보완하기 위해 구급 헬기, 구급 항공기, 구급정, 구급선 등도 개발되어 운용되고 있다. 유럽이나 미국처럼 도시 간 거리가 멀고 산악 지대가 많은 곳에서는 구급 헬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구급차는 계속 개량되어, 고도의 응급 처치를 하면서 수송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 공간을 확장하거나 어린이 전용 구급차를 만드는 등 의료 장비를 탑재하여 생존율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한편 21세기에도 개발도상국이나 분쟁 지역에서는 구급차 수가 부족하거나 환자 수송 체계가 정비되지 않은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2. 1. 세계의 역사

프랑스 나폴레옹 군대의 군의관 도미니크장 라레는 1797년 전쟁터에서 부상자를 후송하기 위해 마차 형태의 "날으는 앰뷸런스(ambulance volante)"를 도입해 체계적으로 운영하였으며, 이러한 방식은 다른 군대에도 점차 확산되었다[139]. 본격적인 구급차 개념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후 미국 남북전쟁 등에서 구급차가 운영되었다.

최초의 병원 기반 구급차 운영은 1865년 미국 신시내티의 Commercial Hospital에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1867년에는 영국 런던에서 천연두 환자들을 마차 형태의 이송 수단에 실어 병원으로 이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또한 최초의 동력 기관으로 움직이는 구급차 운영은 1899년 미국 시카고의 Michael Reese Hospital에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140].

1945년 영국 육군(British Army) 구급차 옆에 있는 엘리자베스 2세(Elizabeth II) (당시 공주)


구급차의 역사는 고대(Ancient history)까지 거슬러 올라가 불치병 환자를 강제로 수송하는 데 사용된 수레(cart)로부터 시작된다. 구급차는 1487년 스페인에서 최초로 응급 수송에 사용되었으며, 민간용 구급차는 1830년대에 운영되기 시작했다.[9] 19세기와 20세기를 거치면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현대식 자체 동력 구급차가 등장하게 되었다.

본격적인 응급 환자 수송 전용 차량을 처음 만든 사람은 1800년대 초 나폴레옹 전쟁에서 나폴레옹 군의 군의총장으로 임명된 외과의사 도미니크 장 라레(Dominique Jean Larrey)라고 알려져 있다. 도미니크 장 라레는 환자의 신속한 치료를 위해 군 응급 부대를 편성하여 전장에서도 환자가 신속하게 야전 병원으로 후송될 수 있도록 전용 마차에 환자를 태워 야전 병원까지 수송하는 체계를 만들었다. 이 야전 병원까지 부상자를 태우는 전용 마차가 최초의 구급차로 여겨진다.

도미니크 장 라레는 환자에게 경상, 중상, 중증 등 치료의 우선순위를 매기고 먼저 치료해야 할 사람을 선별(및 결정)하는 트리아주 체계를 처음 고안한 인물로도 유명하다.

구급차라는 명칭(영어의 ''ambulance'')은 "ambulare"("라틴어로 걷다・돌아다니다"라는 뜻)에서 "hôpital ambulant" (프랑스어로 "이동하는 병원"이라는 뜻)이라는 라틴어 기원의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처럼 구급차의 역사는 전쟁, 군사와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전시 국제법에 따라 적십자 마크를 단 구급차는 전투 중에도 공격받지 않고 환자를 수송하는 것이 허용된다. 구급차의 무장은 허용되지 않으므로, 의무병은 무장 해제 후 동승해야 한다. 단, 발연탄 발사기 등 방어용 장치는 장착할 수 있다.

자동차가 대중화되기 시작한 1920년대 이후, 구급차는 자동차를 기반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여 각국에서 응급 환자 수송의 주요 수단으로 채택되고 있다. 또한 육로를 달리는 구급차를 보완하기 위해 구급 헬기, 구급 항공기, 구급정, 구급선 등이 새롭게 개발되어 운용되고 있다. 유럽이나 미국 등은 도시 간 거리가 길고 산악 지대가 많은 곳이 많기 때문에 수송 시간 단축을 위해 구급 헬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처럼 지형 등의 사정으로 구급 헬기를 이용한 수송이 많은 나라도 있다.

구급차도 개량이 거듭되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고도의 응급 처치를 하면서 수송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 공간을 확장하거나, 어린이 전용(신생아, 유아) 구급차를 만드는 등 고도의 의료 장비를 탑재하여 모든 연령층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생존율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한편 21세기에 들어서도 개발도상국이나 분쟁이 계속되는 지역에서는 충분한 수의 구급차가 정비되어 있지 않거나, 환자를 구급차로 수송하는 제도가 아직 정비되지 않은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다인 수송이 가능한
대형 구급차
(독일)

2. 2. 대한민국의 역사

2012년 서울소방학교에 근무하는 조선호가 1938년 경성 소방서에 구급차가 도입되어 운행을 개시했다는 동아일보의 기사를 발견하여 대한민국 최초의 동력 구급차는 당시까지 알려진 1972년보다 34년이나 앞선 1938년부터 운행되었다고 공표하였다.[141] 1950년대대한민국의 전주예수병원에서 구급차를 운영한 기록이 있으며[142], 1962년 개정 의료법에서 종합병원은 "구급실"과 "구급거"를 운영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143] 이외에도 경찰 등에서 필요에 따라 구급차를 운영했던 것으로 추측된다.[144] 한편, 1972년에 전주 소방서에서 구급차를 운영한 기록이 있어 1938년 기사가 발견되기 전까지 이것이 최초의 소방서 운영 구급차로 알려져 있었다.[141]

1980년대 119구급대


1972년 전주소방서 구급차 관리기록부


1982년 원주소방서 119구급대 모습


1982년 3월, 서울에 9대의 구급차를 갖춘 소방 구급대가 창설되면서 비로소 119 구급차의 시대가 열려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145] 한편, 1994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응급환자이송업"을 허가하였고 이에 따른 사설 구급차도 활동하고 있는데, 주로 병원간 이송을 담당한다.

3. 구급차의 종류

구급차는 환자 수송 여부 및 조건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응급 구급 치료와 환자 수송을 결합하는 등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1949년 뉴욕시 소방국(New York City Fire Department)의 구급차

3. 1. 기능별 분류

구급차는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119 구급차: 세금으로 운영되며, '''119구조ㆍ구급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응급 상황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반하면 2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146]
  • 일반 구급차(초록색): 산소흡입기, 기도확보장치, 기본 외상처치 장비, 구급의약품 등을 갖추고 있다.[147]
  • 특수 구급차(빨간색): 기도 삽관, 제세동 장비, 산소포화도 측정기 등 더 전문적인 장비와 구급의약품을 갖추고 있다.[147]
  • 응급 구급차: 급성 질환이나 부상을 입은 환자에게 치료를 제공한다. 항공 구급차와 같이 개조된 차량일 수 있다.
  • 환자 수송 구급차: 병원이나 투석 센터와 같은 의료 시설 간 환자 수송을 담당하며, 응급하지 않은 치료를 위해 환자를 수송한다.
  • 구급 버스: 버스를 기반으로 한 대형 구급차로, 다수의 환자를 대피시키고 수송할 수 있다. 다수 사상 사고와 같은 응급 상황에 사용된다.
  • 자선 구급차: 장기 치료 환자들이 병원, 호스피스 등에서 벗어나 여행이나 휴가를 갈 수 있도록 돕는 특수 구급차이다. 영국의 "Jumbulance"가 대표적인 예시이다.[10]
  • 비만 환자용 구급차: 극도로 비만한 환자를 위해 설계된 구급차로, 환자 이동 및 관리를 위한 장비를 갖추고 있다.
  • 신속 장기 회수 구급차: 사망한 사람의 시신을 수거하여 장기를 보존하는 데 사용되는 특수 구급차이다.[11][12]
  • 정신과 구급차: 정신과 응급 상황을 치료하기 위해 전문화된 특수 구급차이다. 노르웨이 베르겐에서 처음 테스트되었으며, 정신과 위기 환자 치료에 효과적이고 강제력 사용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13][14]

3. 2. 대한민국 소방 구급차의 종류

대한민국에서 소방 구급차는 119 구급차, 일반 구급차, 특수 구급차로 나뉜다. 119 구급차는 세금으로 운영되며, 119구조ㆍ구급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응급 상황이 아닌 경우 이용할 수 없고, 이를 위반하면 2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진다.[146] 일반 구급차(초록색)는 산소흡입기, 기도확보장치, 기본 외상처치 장비, 구급의약품 등을 갖추어야 한다. 특수 구급차(빨간색)는 기도 삽관 및 제세동 장비, 산소포화도 측정기 등 더 전문적인 장비와 구급의약품을 갖추고 있다.[147]

4. 차량의 형태

구급차는 응급 상황이나 재난 상황에서 다양한 종류의 차량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인 구급차는 밴("밴불란스")이나 경량 트럭의 차대를 기반으로 개조되며, 구매자의 설계 및 사양에 따라 내부를 개조하거나 모듈형 박스형 차체를 장착할 수 있다. 픽업트럭 기반 차량은 거의 항상 모듈형 차체를 가진다. 중환자 치료 목적이나 많은 장비를 운반해야 하는 차량은 중형 트럭을 기반으로 할 수도 있다.[109][110]

승용차는 신속 대응을 위한 응급 출동 차량이나 앉을 수 있는 환자 수송에 사용된다. 일부 승용차는 앙와위 환자를 위한 들것을 운반할 수 있지만, 조수석을 제거하거나 특히 긴 차량을 사용해야 한다. 미니밴이나 스테이션 왜건 기반의 모듈형 차체 수송 구급차도 사용된다.

도시 지역에서는 오토바이 및 스쿠터가 응급 상황에서 신속 대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자동차나 밴보다 혼잡한 교통을 빠르게 통과할 수 있으며, 트레일러사이드카를 사용하여 환자 수송도 가능하다. 자전거는 보행자 전용 구역에서 응급 대응에 사용되며, 개발도상국에서는 트레일러를 연결하여 환자 수송에 사용하기도 한다.

사륜구동차는 오프로드 응급 대응에 사용되며, 산악 구조와 같이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서 들것을 운반하도록 개조될 수 있다. 골프카트나 근거리 전기차는 행사 또는 캠퍼스에서 신속 대응을 위해 사용되며, 사륜구동차와 유사하게 작동하지만 험한 지형 주행 능력이 떨어진다.

버스는 환자를 장거리로 이동시키거나, 대형 사고 또는 시내 중심부에서 음주 환자와 같은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환자를 수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구급 버스라고도 불린다.

헬리콥터는 도로 접근이 어려운 장소나 속도가 중요한 지역에서 응급 치료에 사용된다. 고정익 항공기는 원격 지역에서 급성 응급 치료, 장거리 환자 수송, 원거리 병원 간 수송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헬리콥터 및 고정익 항공기에 대해서는 항공 구급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보트는 섬 지역이나 운하가 많은 지역에서 수상 구급차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명정이나 해상 구조대 선박도 환자 수송에 사용될 수 있다. 열차철도로 접근 가능한 외딴 지역에서 이동형 치료 시설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환자를 수송하는 데 사용되며, 병원 열차라고 불린다.

어떤 경우에는 자체 추진 차량 뒤에 견인할 수 있는 트레일러가 구급차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작은 섬과 같이 차량 접근이 제한적인 지역에서 유연성을 제공한다. 마차는 대부분 개발도상국에서 볼 수 있는 전통적인 운송 수단이다.

소방차는 소방관이 의료 응급 상황에 대응하도록 훈련받으며, 최소한의 기본 의료 용품을 갖추고 있다. 대부분 환자를 수송할 수 없지만, 일부 소방차는 운전자와 장교 좌석이 있는 캡 앞쪽에 큰 구급차 칸막이가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세계적으로 구급차는 트럭, 상용 승합차, 상용 밴 기반 차량이 대부분이다. 각국이 정하는 구급차 규격을 충족해야 하며, 구급차용으로 개조[109][110]되어 성능을 향상시킨 특장차에 장착되는 경우가 많고, 규격 등에 따라 가격 차이가 있다.[111]

차체에는 "AMBULANCE", "Emergency Medical Service(EMS)", "소속명", "긴급신고전화번호", "생명의 별" 등이 표시되어 있다.

스위스의 구급차


캐나다의 구급차


미국의 구급차
(노란색 계열)


구급차는 긴급 차량으로서 사이렌 앰프와 청색 또는 적색, 주황색, 녹색 등의 회전식 경광등 또는 LED 점멸 경광등을 장착한다. 구급차에는 전용 도장이 시공되며, 세계적으로 흰색에 적십자 배색인 적색 또는 형광 주황색 라인의 차량이 많다.

유럽에서는 노란색을 중심으로 형광 노란색과 녹색 또는 주황색 체크 무늬가 라인 형태로 시공된 차량이 많다. 미국에서는 각 도시의 소방, 병원, 민간 구급 서비스마다 도장 색상이 다르다. 일본에서는 흰색 바탕에 빨간색 라인[112]이 그어진 차량이 대부분이다.

구급차 전면에 "AMBULANCE" 또는 "구급" 등의 글자가 거울글씨로 쓰여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룸미러나 도어미러를 통해 본 순간 구급차가 후방에서 접근하고 있음을 인식시키기 위함이다. 차내는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며, 스트레처·백보드·넥 칼라 등의 의료 기기, 담요, AED, 외상용 응급 처치 세트, 산소통 등을 탑재하고 있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응급 처치용 의료 기기와 의약품을 탑재하는 구급차가 증가하고 있다.

구급 의료의
심벌 마크
생명의 별

5. 설계 및 구조

응급차 설계는 지역 여건과 기반 시설을 고려해야 한다. 도로를 이용하는 응급차가 현장에 도착하고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려면 잘 정비된 도로가 필요하지만, 험난한 지역에서는 4륜구동 또는 전지형 차량을 사용할 수 있다. 연료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하며, 차량 정비를 위해 정비 시설이 필요하다.[30][31]

응급차 호출(예: 전화) 및 긴급 배차 방법은 일반적으로 전자 장비에 의존하며, 이는 종종 완벽한 전력망에 의존한다. 현대 응급차는 무전기 또는 휴대전화를 갖추어 병원과 연락하여 응급차의 도착을 알리거나, 의사가 응급차 승무원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의료 감독을 위해 의사와 상담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구급차는 트럭 기반 차량, 상용 승합차 기반 차량, 상용 밴 기반 차량이 대부분이다. 또한, 각국이 정하는 구급차 규격을 충족해야 하며, 구급차용으로 개조[109][110]하여 성능을 향상시킨 특장차에 장착되는 경우가 많고, 규격 등에 따라 가격 차이가 있다.[111]

차체에는 지역 주민과 외국인도 구급차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AMBULANCE", "Emergency Medical Service(EMS)", "소속명", "긴급신고전화번호", "생명의 별" 등이 표시되어 있다. 구급차는 각국 법률에 따라 긴급 차량으로서 사이렌 앰프와 청색, 적색, 주황색, 녹색 등의 회전식 경광등 또는 LED 점멸 경광등을 장착한다. 구급차에는 전용 도장이 시공되며, 세계적으로는 흰색에 적십자 배색인 적색 또는 형광 주황색 라인의 차량이 많다.

유럽에서는 노란색을 중심으로 형광 노란색과 녹색 또는 주황색 체크 무늬가 라인 형태로 시공된 차량이 많다. 미국에서는 각 도시의 소방, 병원, 민간 구급 서비스마다 도장 색상이 다르며, 흰색 바탕에 빨간색 라인, 흰색 바탕에 파란색 라인 등 다양한 차량이 있다. 일본에서는 흰색 바탕에 빨간색 라인[112]이 그어진 차량이 대부분이다.

구급차 전면에 "AMBULANCE" 또는 "구급" 등의 글자가 거울글씨(거꾸로)로 쓰여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구급차가 후방에서 접근하고 있음을 룸미러나 도어미러를 통해 본 순간 인식시키기 위함이다. 차내는 안정된 자세로 처치를 할 수 있도록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며, 스트레처, 백보드, 넥 칼라 등의 의료 기기, 담요, AED, 외상용 응급 처치 세트, 산소통 등을 탑재하고 있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응급 처치용 의료 기기와 의약품을 탑재하는 구급차가 증가하고 있다.

세계 일부 지역에서는 기반 시설 수준이 높지 않아 현지 상황에 맞춰 중간기술(intermediate technology)을 사용하여 구급차를 제작한다. 구급차는 자전거, 오토바이, 트랙터 또는 동물이 끄는 트레일러 형태일 수 있다. 동물이 끄는 구급차는 특히 홍수가 잦은 지역에서 유용하다. 사이드카가 장착된 오토바이(또는 오토바이 구급차)도 사용되지만, 일반 도로 구급차와 마찬가지로 몇 가지 제한이 있다. 이러한 구급차에서 제공되는 의료 서비스 수준은 단순히 의료 시설로 이동 수단을 제공하는 것부터 현장 치료 및 이송 중 지속적인 치료 제공까지 다양하다.[16]

중간기술을 이용한 구급차 설계는 구급차 운영 및 유지보수뿐만 아니라 제작에도 고려해야 한다. 설계 견고성이 더욱 중요해지며, 차량을 적절하게 운영하는 데 필요한 기술 특성도 중요해진다. 비용 효율성이 최우선 순위가 될 수 있다.[17][57]

일본 도쿄의 응급차


벨기에 안트베르펜의 트럭 기반 응급차


5. 1. 제조 과정

응급차는 종종 두 단계의 제조 과정을 거친다. 첫 번째 단계는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닛산(Nissan), 토요타(Toyota) 또는 포드와 같은 경량 또는 중형 트럭 섀시-캡 또는 대형 밴(또는 일부 지역에서는 승용차)의 제조이다.[32] 두 번째 제조업체(2차 제조업체)는 차량(때로는 미완성으로 운전석 뒤에 차체나 내부가 없는 상태)를 개조하여 차체, 구급 장비 및 내부 설비를 추가하여 응급차로 만든다. 이는 차량에 처음부터 개조 작업을 시작하는 코치 빌딩이거나, 미리 제작된 '상자'를 응급차의 빈 섀시에 장착한 다음 마무리하는 모듈식 시스템을 사용하는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로 이루어진다.

현대 응급차는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으로 구동되며, 운영자의 선호도와 다양한 옵션의 가용성에 따라 경유, 가솔린 또는 액화석유가스[33][34]를 포함한 기존 연료로 구동될 수 있다. 추운 지역에서는 디젤 엔진이 차가운 상태에서 시동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뜻한 지역에서는 디젤 엔진이 더 효율적이고 내구성이 뛰어나므로 선호될 수 있다. 1980년대 가솔린을 사용하는 응급차 화재 사건 이후 안전 문제로 디젤 엔진이 선택되기도 했는데, 이러한 화재는 궁극적으로 가솔린의 더 높은 휘발성이 디젤 연료와 비교했을 때 원인 중 하나로 밝혀졌다.[35][36] 엔진 유형은 제조업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지난 20년 동안 포드[37][38][39]는 디젤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응급차 개조용 차량을 판매했다. 2010년부터 포드는 배출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가솔린 엔진을 장착한 응급차 섀시를 판매하고 있다.[40]

영국에서는 국립보건원(National Health Service)이 2045년까지 넷 제로 캠페인의 일환으로 모든 응급차를 완전 전기차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41]

5. 2. 동력원

현대 응급차는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으로 구동되며, 운영자의 선호도와 다양한 옵션의 가용성에 따라 경유, 가솔린 또는 액화석유가스[33][34]를 포함한 기존 연료로 구동될 수 있다. 추운 지역에서는 디젤 엔진이 차가운 상태에서 시동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뜻한 지역에서는 디젤 엔진이 더 효율적이고 내구성이 뛰어나므로 선호될 수 있다. 1980년대 가솔린을 사용하는 응급차 화재 사건 이후 안전 문제로 디젤 엔진이 선택되기도 했는데, 이러한 화재는 가솔린의 높은 휘발성이 디젤 연료와 비교했을 때 원인 중 하나로 밝혀졌다.[35][36] 엔진 유형은 제조업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지난 20년 동안 포드[37][38][39]는 디젤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응급차 개조용 차량을 판매했다. 2010년부터 포드는 배출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가솔린 엔진을 장착한 응급차 섀시를 판매하고 있다.[40]

영국에서는 국립보건원(National Health Service)이 2045년까지 넷 제로 캠페인의 일환으로 모든 응급차를 완전 전기차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41]

5. 3. 표준

많은 지역에서 구급차는 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규정된 표준을 충족해야 한다. 이러한 표준은 구급차가 이송할 환자의 유형(예: 일반 환자 수송과 고위험 환자 수송)이나 차량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유럽에서는 유럽표준화위원회(CEN)가 구급차의 구조, 충돌 저항성, 장비 수준 및 외부 표시 등을 포함하는 표준 CEN 1789를 발표한다. 미국에서는 1976년부터 미국 총무청(GSA)에서 발표하는 KKK-A-1822 구급차 설계 표준이 있으며, 여러 번 개정되어 현재 KKK-A-1822F 버전이다.[42] 미국화재보험협회(NFPA)는 KKK-A-1822F의 대안인 NFPA 1917 설계 표준을 발표했다.[43] 구급차 서비스 인증위원회(CAAS)는 2019년 7월부터 시행되는 구급차 지상 차량 표준 v2.0을 발표했는데, 이는 KKK-A-1822F 및 NFPA 1917–2019 사양과 유사하다. 어떤 표준을 따를지는 각 주 의회나 EMS 책임자가 결정하며, 일부 주는 특정 요구 사항이 없거나 허용되는 표준을 명시하고, 다른 주에서는 최종 사용자가 결정하도록 허용한다.

미국과 캐나다에는 4가지 유형의 구급차가 있다.

유형설명
유형 I대형 트럭 섀시 캡 기반, 맞춤형 후면 칸("박스" 또는 "모듈"). 주로 응급의료(ALS), 이동 집중 치료실(MICU), 구조 작업에 사용.
유형 II상업용 대형 밴 기반, 상향식 지붕과 보조 에어컨 장치 외에는 거의 수정되지 않음. 주로 기본 응급 처치(BLS) 및 환자 이송에 사용되지만, 때때로 ALS 및 구조에도 사용.
유형 III밴 섀시 캡 기반, 맞춤형 후면 칸. ALS 및 구조에 사용.
유형 IV소형 유틸리티 차량 기반, 붐비는 특수 환경에서 기동성을 위해 사용. 임시 환자 이송용이며 드물게 사용되고 미국에서는 연방 규정의 적용을 받지 않음.[44][45][46]



표준화는 규정 코드의 역사가 없는 국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인도는 2013년에 구급차 건설에 대한 첫 번째 국가 표준을 승인했다.[47]

대만에서는 구급차를 부를 때 긴급 신고 전화번호 "119"로 대만어 또는 중국어로 알린다. 지방자치단체 소방서에서 운영하는 구급차가 오며, 과거에는 무료였으나 경증 환자 이용 증가로 2012년 12월 타이베이시(臺北市)에서 비응급 환자 유료화 조례를 시행했다.[123] 비용은 600TWD~1800TWD이며, 응급 상황에서는 여전히 무료이다. 이후 여러 지역 자치단체들이 유사한 조례를 제정했다.[124]

프랑스에서는 긴급전화번호 "15"번으로 프랑스어로 SAMU(Service d'Aide Médicale Urgente)에 신고한다. SAMU에 신고하면 의사가 트리아주하여 경상은 전화로 응급 처치 방법을 지도하고 가까운 진료소로 안내하며, 중상은 SAMU 헬리콥터를 출동시키기도 한다. SAMU 구급차와 헬리콥터에는 의사가 동승한다. 구급차 이용 요금은 지역에 따라 기본 요금(약 60EUR)에 주행 거리 요금(약 2EUR/km)이 추가되는 거리 요금제[132]와 30분당 약 250EUR의 이용 시간 요금제가 있다.

소방 기관 긴급전화번호 "18" 또는 EU 공통 긴급전화번호 "112"로 신고하여 소방 구급차를 부를 수도 있지만, 프랑스에서는 의사에게 조기에 치료를 받을 수 있는 SAMU에 신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소방 기관의 응급 처치 및 이송은 무료이다.

독일에서 구급차를 부르려면 EU 공통 긴급 신고 번호인 “112”(소방 당국)로 독일어로 알려야 한다. 구급차 이용료는 유료이며, 신고 내용에 따라 의사가 동승하는 전용 구급차(노트알츠트바겐(Notarztwagen))가 배정될 수 있다. 의사가 동승하는 경우 이용 요금에 약 100EUR 정도 추가된다. 구급차 이용 요금은 구급대원의 응급 처치 내용과 주행 거리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만 최소 약 300EUR에서 500EUR 정도 든다. 독일에서는 환자를 제외한 일반인은 구급차 동승이 허용되지 않아 동행자는 택시를 이용하여 환자가 이송되는 병원으로 가야 한다.[134]

독일의 구급차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구급차 종류설명
크랑켄바겐(Krankenwagen)[135]경증 환자 이송
레트웅스바겐(Rettungswagen)[136]주로 소방 당국에 배치, 중증 환자 대응
노트알츠트바겐(Notarztwagen)[137]생명에 위험이 있는 중증 환자 대응



6. 안전

구급차는 다른 응급차량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기상 조건에서 운행해야 한다. 구급대원들은 환자에 대한 책임 때문에 안전벨트와 같은 안전 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연구에 따르면 구급차는 교통사고에 휘말려 부상이나 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소방차나 경찰차보다 더 높다.[48] 특히 환자 수송칸에 탑승한 탑승자들은 안전장치를 하지 않은 경우 더욱 취약하다.[48] 일반 차량과 비교했을 때, 구급차 사고는 사고 건수 당 더 많은 사람이 관련되고 더 많은 부상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49] 2001년에 끝난 11년간의 회고 연구에 따르면, 미국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치명적인 구급차 사고는 응급 출동 중에 발생하지만, 일반적으로 개량된 직선 도로, 건조한 도로, 맑은 날씨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0] 1991년부터 2006년까지 미국에서 27명의 구급대원이 구급차 이동 중 사망했다.[51]

구급차 충돌 테스트 영상

6. 1. 장비

오스트리아 그라츠의 이동식 중환자실(MICU) 구급차 내부


구급차 적재함 리프트의 배치 단계 4단계


환자 치료에 직접 사용되는 장비 외에도, 구급차에는 환자 치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추가 장비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다.

  • '''무전기''' – 현대 응급 의료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장비 중 하나로, 구급차에 업무를 배정하고, 구급대원이 관제센터 또는 병원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예: 중요 환자의 도착을 병원에 알리는 우선순위 ASHICE 메시지).[30][31]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서비스가 외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존의 아날로그 초고주파(UHF)/초단파(VHF) 장치에서 GSM 시스템과 같이 더 안전한 디지털 시스템(예: TETRA)으로 전환하고 있다.[52]
  • '''모바일 데이터 단말기''' – 일부 구급차에는 중앙 컴퓨터(일반적으로 관제센터)에 무선으로 연결된 모바일 데이터 단말기(MDT)가 장착되어 있다. 이 단말기는 무전기를 대신하거나 함께 사용하여 구급대원에게 업무 세부 정보를 전달하고, 구급대원이 환자에게 이동한 시간, 도착한 시간, 현장을 떠난 시간을 기록하거나 기타 컴퓨터 기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53]
  • '''증거 수집용 CCTV''' – 일부 구급차에는 차량 내부 또는 외부의 활동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는 비디오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음성 녹음 기능이 장착될 수도 있다. 이는 구급대원에 대한 폭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54] 경우에 따라(현지 법률에 따라) 구급대원이 의료 과실로 고발된 경우를 입증하거나 반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적재함 리프트 또는 경사로''' – 구급차에는 환자를 들어 올리지 않고도 환자를 싣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재함 리프트 또는 경사로가 장착될 수 있다. 이는 환자가 비만인 경우나 신생아 인큐베이터 또는 병상과 같이 크고 부피가 큰 장비가 필요한 특수 의료 수송의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무거운 환자를 차량으로 끌어들이도록 설계된 윈치와 같은 장비가 연결될 수도 있다.[55]
  • '''외상 조명''' – 일반적인 작업 조명 외에도, 환자가 광과민성을 보일 때 사용되는 특수 조명(종종 파란색 또는 빨간색)이 구급차에 장착될 수 있다.
  • '''에어컨''' – 구급차에는 운전석과는 별도로 작업 구역에 공급되는 별도의 에어컨 시스템이 장착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치료받는 환자에게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공기 매개 병원균을 걸러내는 필터와 같은 추가 기능이 포함될 수도 있다.
  • '''데이터 기록 장치''' – 이 장치는 종종 구급차에 설치되어 속도, 제동력, 시간, 경광등과 사이렌과 같은 활성 비상 경고 장치의 작동 및 안전벨트 사용과 같은 정보를 기록한다. 이러한 장치는 종종 GPS 장치와 함께 사용된다.[56]

7. 외관 및 표시

응급 구급차는 교통사고와 같은 위험한 상황에 자주 연루된다. 구급차는 가능한 한 빨리 환자에게 접근해야 하며, 많은 국가에서는 특정 교통법규를 준수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적색 신호등이나 정지 표지판을 양보 표지판처럼 취급하거나, 속도 제한을 위반할 수 있다.[58] [59] 일반적으로 응답 우선순위는 구급대원이 지정하지만, 복귀 우선순위는 환자의 질병이나 부상 심각성에 따라 결정된다. 생명과 신체에 심각한 위험이 있는 환자는 고급 의료 인력에 의한 긴급 치료가 필요하다.[60]

소방서에 배치된 구급차는 "청주서부/남부109호"와 같이 표기하여 식별한다.(충청북도 기준이며, 각 지역마다 기준이 다르다.)

세계적으로 구급차는 트럭, 상용 승합차, 상용 밴을 기반으로 한 차량이 대부분이다. 각국이 정하는 구급차 규격을 충족해야 하므로, 구급차용으로 개조되어[109][110] 성능이 향상된 특장차에 장착되는 경우가 많으며, 규격에 따라 가격 차이가 있다.[111]

차체에는 "AMBULANCE", "Emergency Medical Service(EMS)", "소속명", "긴급신고전화번호", "생명의 별" 등이 표시되어 있어, 지역 주민과 외국인도 구급차임을 식별할 수 있다. 구급차 전면에는 "AMBULANCE" 또는 "구급" 등의 글자가 거울글씨로 쓰여 있는데, 이는 룸미러나 도어미러를 통해 구급차가 후방에서 접근하고 있음을 바로 인식시키기 위함이다. 차내는 안정된 자세로 처치할 수 있도록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며, 스트레처, 백보드, 넥 칼라, AED, 외상용 응급 처치 세트, 산소통 등을 탑재한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응급 처치용 의료 기기와 의약품을 탑재하는 구급차가 늘고 있다.

7. 1. 수동적 시각 경고

수동적 시각 경고는 일반적으로 차량 설계의 일부이며, 고대비 패턴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오래된 구급차나 개발도상국의 구급차는 패턴이 도색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지만, 현대식 구급차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전조등이나 손전등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형 디자인을 사용한다. 인기 있는 패턴으로는 '체커보드'(때때로 '배턴버그'라고도 불리는 번갈아 가는 색상의 정사각형), 셰브런(화살촉 모양), 측면 줄무늬 등이 있다.[58] [59] 반사 표시 외에도 일부 서비스는 최대 시각적 효과를 위해 차량을 밝은 노란색 또는 주황색으로 도색하지만, 고전적인 흰색이나 빨간색도 일반적이다. 소방서에서 운영하는 구급차는 종종 소방 차량과 일치하도록 빨간색으로 도색된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의 구급차. 휘어진 배턴버그 표식, 말타 십자와 가시성 향상을 위한 추가 형광 반사 줄무늬가 있다. 긴급등도 보인다.


또 다른 수동적 표시 형태는 차량 전면에 거꾸로 쓰여진 '구급차'(또는 현지 언어 변형)라는 단어이다. 이를 통해 다른 차량의 운전자가 백미러에서 접근하는 구급차를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다. 구급차는 소유자 또는 운영자의 이름과 구급차 서비스의 긴급 전화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구급차는 또한 보호 상징으로 알려진 적십자, 적신월 또는 적정(Red Crystal)과 같은 상징을 표시할 수 있다.[61] 생명의 별은 널리 사용되며, 원래 미국 국립고속도로교통안전국에 의해 설계되고 관리되었다.[62] 성 요한 수도회, 말타 기사단 구급대[66] 등은 말타 십자를 사용하여 구급차를 식별하기도 한다.

구급차 식별 기호
--
적십자
적신월
말타 십자
배턴버그 표식


7. 2. 능동적 시각 경고

능동적 시각 경고는 일반적으로 점멸등 형태를 띤다. 구급차가 접근할 때 다른 도로 이용자의 주의를 끌거나, 도로 위 위험한 위치에 정차한 구급차에 접근하는 운전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점멸한다. 구급차 경광등의 일반적인 색상은 파란색, 빨간색, 호박색, 흰색(투명)이다. 그러나 색상은 국가별로, 때로는 운영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점멸 효과를 내기 위해 여러 가지 기술이 사용된다. 여기에는 백열전구 또는 LED 점멸, 할로겐 점멸 또는 회전, 그리고 일반적으로 백열등보다 밝은 스트로브 조명이 포함된다. 이러한 각각은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으로 점멸하도록 프로그래밍할 수 있으며, 패턴으로 점멸하도록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예: 구급차가 도로 왼쪽에 주차되어 있을 때 왼쪽 → 오른쪽 패턴을 사용하여 다른 도로 이용자에게 오른쪽(구급차에서 멀리)으로 이동해야 함을 알림). 백열등과 LED등은 일부 지역에서 필요에 따라 점멸하지 않고 꾸준히 켜지도록 프로그래밍할 수도 있다.

경광등은 차체에 직접 장착되거나, 경광등 바 또는 특수 매립형 디자인과 같이 특수한 장치에 수납되거나, 기존등(예: 헤드램프)에 구멍을 뚫고 경광등을 삽입하여 기존등에 숨길 수 있다. 이러한 숨겨진 등은 작동될 때까지 눈에 띄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구급차에 장착된 표준등(예: 헤드램프, 테일램프) 중 일부는 점멸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향등을 번갈아 점멸하는) 점멸하는 헤드라이트는 위그와그라고 한다. 추가적인 흰색 조명은 어두울 때 주변을 비추기 위해 전략적으로 차량 주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거의 항상 후면에 들것을 싣고 내릴 때 사용되고, 종종 측면에도 배치된다. 장기간의 어둠이 있는 극 북부 또는 극 남부 지역에서는 운전자의 시야를 높이기 위해 전면에 추가적인 주행등이 장착되는 경우가 많다.

안전을 높이기 위해 능동적 경고 장치로 360° 커버리지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모든 방향에서 차량이 보일 가능성을 높인다. 미국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이것이 의무일 수 있다. 지붕, 전면 그릴, 측면 및 후면, 그리고 전면 펜더는 경광등을 장착하는 일반적인 장소이다. 등의 수와 위치를 결정할 때는 균형을 맞춰야 한다. 등이 너무 적으면 구급차가 쉽게 눈에 띄지 않을 수 있고, 너무 많으면 이미 있는 것 이상으로 다른 도로 이용자에게 큰 방해가 되어 지역 사고 위험을 증가시킨다.

7. 3. 청각 경고 장치

응급 구급차에는 시각적 경고 외에도 '''청각 경고 장치'''(사이렌(siren)이라고도 함)가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사람과 차량이 구급차를 보기 전에 구급차의 존재를 알리는 데 도움을 준다. 최초의 청각 경고 장치는 구급차의 앞이나 지붕에 장착된 기계식 종이었다. 대부분의 현대식 구급차에는 이제 전자식 사이렌이 장착되어 있으며, 구급대원이 특히 교차로를 통과하거나 혼잡한 교통 상황에서 더 많은 주의를 끌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소음을 발생시킨다.[72]

여러 국가의 구급차 등 응급 차량에서 흔히 사용되는, ''울음소리'', ''꽥꽥거림'', ''페이저''음을 내는 휠렌 엔지니어링 컴퍼니(Whelen Engineering Company) 사이렌


현대식 사이렌의 스피커는 경광등에 통합될 수도 있고, 구급차 내부의 소음이 환자 치료 및 무선 통신을 방해하지 않도록 그릴에 숨겨지거나 매립될 수도 있다. 구급차에는 사이렌 시스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에어호른 청각 경고 장치를 추가로 장착할 수도 있고, 주 사이렌으로 매우 큰 이중 음색 에어호른을 장착할 수도 있다.

최근 개발된 기술은 자동차 라디오의 RDS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 구급차에는 RDS 코드 31로 설정된 단거리 FM 송신기가 장착되어 있어, 교통 방송과 같은 방식으로 범위 내 모든 자동차의 라디오를 중단시키지만, 수신 라디오 사용자가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없다(교통 방송과 달리).[73] 이 기능은 국가 응급 방송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해 모든 RDS 라디오에 내장되어 있지만, 응급 차량의 단거리 장치는 교통량에 그 존재를 효과적으로 알리는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보행자, 호환되는 라디오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 또는 라디오를 끈 사람에게는 알릴 수 없기 때문에 이 시스템이 청각 경고 장치를 대체할 가능성은 적다.[74]

8. 비용

미국에서 구급차 이용 비용은 여러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는데, 이는 지역, 서비스 종류, 제공자와 환자에 따라 달라진다.


  • '''정부 지원 서비스'''(Government funded services): 지방, 지역, 국가 정부가 세금을 통해 구급차 이용 비용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부담한다.[75]
  • '''민간 자금 지원 서비스'''(Privately funded services): 환자 본인이나 보험 회사가 구급차 이용 비용을 부담한다. 치료나 이송 전에 지불 또는 보증이 필요할 수 있지만, 중상을 입은 환자의 경우 나중에 청구 시스템을 통해 지불할 수도 있다.[76]
  • '''자선 단체 지원 서비스'''(Charity funded services): 자선 단체가 환자에게 무료로 구급차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서비스에 대한 기부를 요청할 수 있다.[77]
  • '''병원 지원 서비스'''(Hospital funded services): 병원이 환자의 병원 서비스 이용을 조건으로 무료 구급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환자가 비용을 지불해야 할 수도 있음).[78]


대부분의 국가에서 구급차는 유료[113]이기 때문에 해외여행 시에는 각국의 외교부(미국의 경우 미국 국무부)가 보험 가입을 권장[114][115]하고 있다.

미국에서 구급차를 부를 때는 긴급 구조 신고 전화번호 "911"(경찰 및 소방과 공통 번호)로 영어로 알려야 한다. 구급차 요금은 주마다 다르며, 목적 병원을 지정할 수 없다. 뉴욕주에서는 약 600USD가 청구된다.[130] 캘리포니아주에서는 기본 요금에 택시처럼 운송 거리에 따른 추가 요금이 발생한다. 구급차 안에서 받는 응급 처치에도 의료비가 발생한다.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는 1차 응급 처치 기본 요금 2342USD, 2차 응급 처치 기본 요금 2734USD, 산소(사용량에 관계없이) 28USD, 1마일당 19USD가 부과된다.[131]

이송된 병원에서 응급 의료를 받고 수술이나 입원을 하면 의료비가 수백만 원 단위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민간 유료 구급차 파견 회사가 존재하며, 목적 병원을 선택할 수 있는 서비스가 있다.

9. 탑승 인력

구급차에는 다양한 자격 수준을 가진 사람들이 탑승할 수 있다. 대부분의 구급 서비스는 모든 구급차에 최소 두 명(운전자 1명, 환자 응급처치 담당자 1명)이 탑승하도록 요구한다. 응급처치 담당자만 자격이 있고 운전자는 의료 훈련을 받지 않았을 수도 있다. 응급의료지원 구급차에는 구급대원 1명과 기술자 1명이 탑승할 수 있다.

일반적인 구급대원 자격은 다음과 같다.


  • '''응급구조사''': 사건 현장에 가장 먼저 도착하여 심폐소생술(CPR) 또는 자동제세동기(AED) 사용과 같은 초기 응급 치료를 제공한다.[79]
  • '''구급차 운전사''': 일부 서비스는 의료 자격이 없거나 기본 응급 처치 훈련만 받은 직원을 고용하여 차량 운전만 담당하게 한다.
  • '''비응급 환자 동행자''': 주로 급성 치료보다는 환자 수송 업무를 수행한다.[80] 응급 처치, AED 사용, 산소 요법 등 고급 기술 교육을 받았을 수도 있다.
  • '''응급의료보조원''': 현장에 가는 최전선 구급대원으로, 기술자 또는 구급대원과 함께 일하는 임상의를 돕는다.
  • '''응급구조사''': 제세동, 척추 고정, 출혈 조절, 의심되는 골절 부목 고정, 환자의 특정 약물 지원 및 산소 요법과 같은 광범위한 응급 치료 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이 용어를 수준별로 나누기도 한다(미국의 경우 EMT-Basic 및 EMT-Intermediate).[81]
  • '''간호사''': 에스토니아, 네덜란드,[82] 스웨덴[83], 스페인[84] 등 일부 시스템에서는 간호사가 구급차에서 고급 수준의 치료를 주로 제공한다.
  • '''구급대원''': 높은 수준의 의료 훈련을 받은 사람으로, 정맥 천자, 모르핀 등 다양한 약물 투여, 기관 내 삽관, 기도 절개술 등을 수행할 수 있다.[85] "구급대원"이라는 직함은 보호되는 직함일 수 있으며, 관련 자격 없이 사용하면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다.[86]
  • '''응급의료전문가''': 구급차 치료와 일반의 치료 간의 연결 고리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추가 훈련을 받은 자격을 갖춘 구급대원이다.[87]
  • '''의사조무사''': 의사의 진료를 반영하며 의사가 제공하는 범위의 의료 기술을 제공한다.
  • '''의사''': 프랑스의 SAMU와 같은 일부 시스템에서는 의사가 구급차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10. 군용 구급차

구급차 형태의 RMMV 서바이버 R


적십자 마크가 새겨진 스페인 육군의 URO VAMTAC 구급차


1917년 적십자 구급차


군용 구급차는 민간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차량을 포함하며, 때로는 장갑차(APC)를 기반으로 한 장갑화되었지만 무장되지 않은 차량도 포함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하노마크 Sd.Kfz 251 반궤도차량과 같은 차량이 임시 구급차로 사용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미국의 M1133 의무 후송 차량과 같은 특수 제작 AFV가 장갑 의료 차량의 독점적인 목적으로 사용된다. 민간 기반 디자인은 작전 요구 사항에 따라 현장 사용을 위한 위장, 유엔 평화유지 활동을 위한 흰색 등 적절한 색상으로 도색될 수 있다. 영국 왕립 육군 의무단은 생산 트럭을 기반으로 한 흰색 구급차를 보유하고 있다. 군용 헬리콥터는 MEDEVAC에 매우 유용하기 때문에 임시 및 특수 제작된 항공 구급차로도 사용되었다.[91] 군용 구급차는 수동 들것을 놓을 선반이 있는 바퀴 달린 상자에 불과하지만, 관련된 작전 조건과 치료 수준에는 일반적으로 충분하다.

전쟁 법규는 구급차에 공격용 무기를 장착하지 않고 적십자 마크 중 하나로 표시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군용 구급차는 종종 무장하지 않는다.[92]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구급차로 표시된 군용 차량에 배치된 인원을 비전투원으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지만, 이것이 항상 의료 인원이 공격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우연히 또는 고의적으로 공격을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군용 구급차에 배치된 의무병 및 기타 의료 인원은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군사 훈련을 받는다.[93] 그들이 무기를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는 가정하에 기본적인 군사 훈련을 받는다. 전쟁 법규는 비전투원 군인이 자신과 부상자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 무기를 휴대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그러나 모든 군대가 이 권리를 자국 인원에게 행사하는 것은 아니다.

USNS ''머시'', 미 해군 군병원선


이스라엘 방위군은 격렬한 총격전 속에서 구조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수의 메르카바 전차에 구급차 기능을 개조했다.[94] 이러한 개조는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이 라파에서 팔레스타인 여성을 돕던 두 명의 병사를 살해한 실패한 구조 시도 이후 이루어졌다.[95] M-113 장갑차와 일반적인 추가 장갑 구급차는 대전차 무기와 즉석 폭발물에 대해 충분한 방호력을 제공하지 못하므로,[96] 강력한 장갑을 갖춘 메르카바 전차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후면 문을 통해 중상을 입은 병사들을 후송할 수 있다. 이스라엘은 메르카바의 무기를 제거하지 않았으며, 무기가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이 보호의 상징을 무시하고 어쨌든 구급차에 사격할 것이기 때문에 상징보다 더 효과적인 보호 수단이라고 주장했다. 지상 구급차 및 치료, 후송 차량으로 사용하기 위해 미국 군대는 현재 M113, M577, M1133 스트라이커 의무 후송 차량(MEV), 그리고 RG-33 중장갑 지상 구급차(HAGA)를 사용하고 있으며, 새롭게 설계된 M2A0 장갑 의무 후송 차량(AMEV) (이전에는 ATTV로 알려짐)인 M2 브래들리 장갑차의 변형을 통합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97][98][99]

일부 해군은 전쟁이나 자연 재해와 같은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의료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대양을 항해하는 군병원선을 운영한다.[100] 이러한 군병원선은 (환자나 부상자를 수송하는) 구급차의 기준을 충족하지만, 군병원선의 기능은 기동 야전 수술 병원과 더 비슷하다. 전쟁 법규에 따라 이러한 선박은 적절한 제네바 협약에 따라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눈에 띄는 적십자 또는 적신월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정이 항상 적의 공격으로부터 군병원선을 보호한 것은 아니다.[101]

11. 퇴역 구급차의 재사용

퇴역한 구급차는 포드 E-시리즈(Ford E-Series) 전 구급차처럼 수요가 적은 응급 서비스에 재사용될 수 있다.


구급차가 퇴역하면 다른 EMS 제공업체에 기증되거나 판매될 수 있다.[103][104] 또는 범죄 현장 식별 장비를 위한 보관 및 운송 차량, 지역 사회 행사의 지휘소 또는 물류 부대와 같은 지원 차량으로 개조될 수 있다.[105] 다른 구급차들은 개조되어 재판매되거나,[106] 응급 장비가 제거되어 소규모 레저용 차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인 사업체나 개인에게 판매될 수도 있다. 또한 완벽하게 작동 가능한 차체 또는 차량(또는 둘 다)이 분리되어 재사용될 수도 있다.

토론토 시의회는 퇴역한 토론토 구급차를 엘살바도르 국민에게 기증하여 두 번째 삶을 주는 "희망의 캐러밴(Caravan of Hope)"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온타리오주 법률에 따라 구급차는 운행 4년 반 후 퇴역해야 하므로 토론토 시는 매년 약 28대의 구급차를 폐기하고 경매에 부친다.[107]

참조

[1] 서적 The Origin of Medical Terms Williams & Wilkins
[2] 웹사이트 Essex Ambulance Response Cars http://www.carpages.[...] Car Pages 2004-07-24
[3] 웹사이트 How Products Are Made: Ambulance http://science.enote[...] How products are made
[4]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ambulance definition 1
[5] 웹사이트 Civil War Ambulance Wagons http://www.civilwarh[...]
[6] 웹사이트 With An Ambulance Personal Experiences And Adventures With Both Armies 1870–1871 http://www.ourstory.[...]
[7] 웹사이트 Service in Servia Under the Red Cross http://www.ukchnm.or[...]
[8]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ambulance definition 2a
[9] 서적 The Ambulance Exposition Press
[10]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http://www.jumbulanc[...] Jumbulance Travel Trust
[11] 뉴스 N.Y. Planning Special Ambulance To Recover Organs https://www.washingt[...] 2008-05-24
[12] 웹사이트 Meat Wagons http://www.slate.com[...] 2008-03-27
[13] 웹사이트 Psykiatrisk Ambulansetjeneste i Bergen https://www.napha.no[...]
[14] 웹사이트 Tilpassede biler og ansatte med spesiell kompetanse: Slik har egne ambulanser for psykisk syke blitt en suksess i Bergen og Stavanger https://www.politifo[...] 2018-03-20
[15] 웹사이트 South Central Ambulance Service NHS Trust – About Us http://www.southcent[...] South Central Ambulance Service NHS Trust
[16] 웹사이트 News Reference to Motorcycle Trailer Ambulance http://www.tnn.co.uk[...] TNN
[17] 웹사이트 Motorcycle Trailer-Ambulance Brochure http://www.ittranspo[...] IT Transport LTD
[18] 웹사이트 Two-wheeled medics cover more ground in the capital http://www.londonamb[...]
[19] 웹사이트 Square-Mile cycle paramedics become the new City-Slickers http://www.londonamb[...]
[20] 웹사이트 Bike Ambulance Project http://www.designfor[...] Design for Development 2005-07-20
[21] 웹사이트 Information on Quadtech EMS quad http://www.quadtech.[...] Quadtech
[22] 웹사이트 EMS golf cart brochure http://www.diversifi[...] Diversified Golf Cars
[23] 웹사이트 Ambulance crews prepare for party night pressure http://www.londonamb[...] London Ambulance Service 2008-12-18
[24] 뉴스 Aboard the 'Booze Bus' http://news.bbc.co.u[...] 2007-12-17
[25] 웹사이트 Highways Agency – Air Ambulance http://www.highways.[...]
[26] 웹사이트 Royal Flying Doctor Service of Australia http://www.flyingdoc[...] Royal Flying Doctor Service of Australia
[27] 웹사이트 Heathrow Air Ambulance Service http://www.heathrowa[...] Heathrow air ambulance
[28] 뉴스 Islanders to get Ambulance Boat http://news.bbc.co.u[...] BBC 2003-10-10
[29] 웹사이트 General Information – Medical Services http://www.sark.info[...] Isle of Sark Government
[30] 웹사이트 Handheld radios for Emergency Ambulance Service http://www.emergency[...] Emergency Ambulance.com 2003-01-16
[31] 뉴스 New technology closes gap between accident victims and ER http://www.cnn.com/T[...] CNN News 1999-04-07
[32] 웹사이트 Mystere – Chassis http://www.demers-am[...] Demers Ambulances
[33] 웹사이트 The Royal Air Force Motor Sports Association utilizes an LPG-powered ambulance http://www.rafmsa.ra[...] RAFMSA 2005-11-24
[34] 웹사이트 The United States Air Force lists an LPG-powered ambulance on a 2001 vehicle roster https://www.denix.os[...] 2001-11-13
[35] 웹사이트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see campaign ID #s 87V111000 & 87V113000 http://www.nhtsa.dot[...] NHTSA
[36] 웹사이트 Ford Ambulance/Van Fuel-Fed Fires http://www.autosafet[...] Center for Auto Safety 2010-02-13
[37] 웹사이트 2006 Ford E-Series Cutaway Chassis: Specifications https://web.archive.[...] Ford 2007-06-02
[38] 웹사이트 2006 Ford F-Series Super Duty Chassis Cab Ambulance: Specifications https://web.archive.[...] Ford 2007-06-02
[39] 웹사이트 2006 Ford E-Series Van Ambulance: Specifications https://web.archive.[...] Ford 2007-06-02
[40] 웹사이트 Ford to Offer Gasoline Ambulances in 2010 https://web.archive.[...] 2009-07-10
[41] 뉴스 Net zero ambulances could cost NHS half a billion pounds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24-04-21
[42] 논문 Equipment: Federal Specification, Ambulance KKK-A-1822
[43] 웹사이트 Ambulance Vehicle Design Specifications Revision https://web.archive.[...] Nebraska EMS/Trauma Program 2013-05-24
[44] 웹사이트 Index of Federal Specifications, Standards, and Commercial Item Descriptions https://www.gsa.gov/[...]
[45] 웹사이트 Ambulances – Type I, Type II, Type III and Type IV Ambulances http://metronixinc.c[...]
[46] 웹사이트 Untitled Page https://web.archive.[...] 2013-12-17
[47] 뉴스 Ministry gives its nod to national ambulance code https://archive.toda[...] The Statesman 2013-06-07
[48] 논문 Relative risk of injury and death in ambulances and other emergency vehicles 2003-11-01
[49] 논문 Comparison of crashes involving ambulances with those of similar-sized vehicles 2005-10-01
[50] 논문 Characteristics of fatal ambulance crashes in the United States: an 11-year retrospective analysis 2001-07-01
[51] 웹사이트 New Ambulance Design Protects Paramedics https://web.archive.[...] WESH News 2009-10-17
[52] 웹사이트 Motorola and Tetra Ireland Consortium Deliver National Public Safety Network https://wayback.arch[...] Motorola 2009-10-19
[53] 웹사이트 MDT Market Sectors https://web.archive.[...] Microbus 2007-06-13
[54] 뉴스 CCTV to protect ambulance staff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6-13
[55] 웹사이트 Ambulance Lifts https://web.archive.[...] Ross and Bonnyman 2007-06-27
[56] 웹사이트 Press Releases https://web.archive.[...]
[57] 논문 Motorcycle ambulances for referral of obstetric emergencies in rural Malawi: Do they reduce delay and what do they cost? Wiley 2008-06-16
[58] 웹사이트 Ontario Highway Traffic Act http://www.e-laws.go[...] 2009-11-19
[59] 웹사이트 Ontario Highway Traffic Act http://www.e-laws.go[...] Province of Ontario 2009-11-19
[60] 웹사이트 CTAS Category Definitions https://web.archive.[...] Canadian Association of Emergency Physician 2009-11-19
[61] 서적 Above the fray: The Red Cross and the making of the humanitarian NGO sector https://press.uchica[...] Univ. of Chicago Press 2020-01-01
[62] 웹사이트 Star of Life DOT HS 808 721 http://www.ems.gov/v[...] National Highway Safety Administration 2009-11-19
[63] 웹사이트 The Red Cross Emblem https://web.archive.[...] The Canadian Red Cross 2009-11-19
[64] 웹사이트 The Emblems https://www.icrc.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015-12-28
[65] 웹사이트 The Geneva Convention of 1949 http://www.icrc.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009-11-19
[66] 웹사이트 Order of Malta Charity Ireland https://orderofmalta[...]
[67] 웹사이트 About Queensland Ambulance Service http://www.ambulance[...] 2007-06-27
[68] 웹사이트 ACT Ambulance Service https://web.archive.[...] 2007-06-27
[69] 웹사이트 Ambulance Service of New South Wales http://www.asnsw.hea[...] 2007-06-27
[70] 웹사이트 South Australian Ambulance Service https://web.archive.[...] 2007-06-27
[71] 웹사이트 St. Florian – Patron Saint of Firefighters https://web.archive.[...] stflorian.net 2007-06-03
[72] 서적 Emergency Care Manual The StayWell Health Company
[73] 웹사이트 Emergency warning device – patent application http://www.freepaten[...] 2009-11-19
[74] 서적 The Broadcaster's Guide to RDS https://books.google[...] Butterworth-Heineman
[75] 웹사이트 OHIP:Ambulance Services Billing http://www.health.go[...] Ontario Ministry of Health and Long-Term Care 2009-11-19
[76] 웹사이트 Payment Policy https://web.archive.[...] American Medical Response 2009-11-19
[77] 웹사이트 Yorkshire Air Ambulance Charity http://www.yorkshire[...] 2009-11-19
[78] 웹사이트 Ambulance Services https://web.archive.[...] 2009-11-19
[79] 웹사이트 Role of the First Responder http://www.resus.org[...] Resuscitation Council UK 2007-06-02
[80] 웹사이트 Ambulance Care Assistant Role http://www.nhscareer[...] nhs 2009-11-01
[81] 웹사이트 US Government Careers advice on EMT https://web.archive.[...] 2007-06-02
[82] 논문 EMS in the Netherlands: A Dutch Treat? https://web.archive.[...] 2005-12-06
[83] 논문 A new profession in the pre-hospital care field: the ambulance nurse
[84] 논문 Real Decreto 836/2012, de 25 de mayo, por el que se establecen las características técnicas, el equipamiento sanitario y la dotación de personal de los vehículos de transporte sanitario por carretera https://www.boe.es/b[...] 2012-06-08
[85] 서적 National Occupational Competency Profile https://web.archive.[...] Paramedic Association of Canada 2009-11-19
[86] 웹사이트 UK Health Care Professionals Council advice on use of protected titles https://web.archive.[...] Health care Professionals council 2007-06-02
[87] 웹사이트 Definition of an Emergency Care Practitioner https://web.archive.[...] South West Ambulance Service 2007-06-02
[88] 웹사이트 EMS Physician Scene Response Program https://hsc.unm.edu/[...] UNM 2020-11-01
[89] 웹사이트 London Air Ambulance Crew List https://web.archive.[...] London Air Ambulance 2009-11-01
[90] 웹사이트 Surrey Air Ambulance http://www.surreyair[...] Surrey Air Ambulance 2009-11-01
[91] 웹사이트 M.A.S.H. medevac helicopters http://www.century-o[...] 2007-06-02
[92]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policy on usage http://www.icrc.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007-06-02
[93] 웹사이트 UK Army information on basic training for medical personnel https://web.archive.[...] British Army 2009-11-01
[94] 웹사이트 LIC Modeled Merkava Mk-3 Baz / Mk 4 https://web.archive.[...] Defense Update 2007-06-02
[95] 뉴스 Three dead in fresh Gaza clashes http://news.bbc.co.u[...] 2004-05-14
[96] 웹사이트 Technical data on armament of M113 APC Ambulance http://www.inetres.c[...] Inetres 2007-06-02
[97] 서적 Aeromedical Evacuation: Management of Acute and Stabilized Patient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6-04-18
[98] 웹사이트 1-22 Infantry tests ATTV http://1-22infantry.[...]
[99] 웹사이트 Bradley AMEV https://web.archive.[...] 2012-01-06
[100] 웹사이트 US Navy Military Sealift Command – Hospital Ships http://www.msc.navy.[...] US Navy Military Sealift Command 2007-06-17
[101] 웹사이트 The sinking of HMHS Llandovery Castle http://www.gwpda.org[...] World War One Document Archive 2000-10-30
[102] 뉴스 Medicaid Ride Program For Disabled Is Criticized https://www.nytimes.[...] 1996-11-10
[103] 웹사이트 Report No. 6 of the Community and Health Services, §2: Donation of Decommissioned Ambulances for 2011 https://web.archive.[...] 2012-02-04
[104] 웹사이트 Media Release: York Region donates ambulance to Haitian recovery efforts https://web.archive.[...] Community and Health Services, York Region 2012-02-04
[105] 뉴스 Orangeville Police inherit retired ambulance https://archive.toda[...] 2012-07-07
[106] 웹사이트 Reconditioned ambulances http://www.malleyind[...]
[107] 웹사이트 Supporting hope http://www.sanlorenz[...] 2012-07-07
[108] 문서 小型・中型・大型・ピックアップトラック等を含む
[109] 문서 サスペンションの耐久性・操縦安定性の確保と傷病者や医療機器に大きな振動を与えないようにするため
[110] 문서 市街地で「減速→停止又は徐行→発進加速」という走行パターンが多いため、救急車専用セッティング(加速重視)のギア比に変更されていることが多い
[111] 문서 例として、ベース車種が同じ日本のトヨタ製高規格救急車(3代目現行型)の車両本体価格が約1千数百万円であるのに対し、2B型トヨタ救急車の車両本体価格は約500万円
[112] 문서 ラインが引かれていない自治体もあり、大阪市消防局では白色の車体を使用(バックドアのみ白地に赤いライン)している。また、ラインの色が赤でなく青色(熱海市消防本部)や緑色(亀山市消防本部)の自治体もある。
[113] 문서 無料の場合でも搬入先病院の指定はできないため、中心部のホテルや公共交通機関から遠く離れた地域の病院に搬送されてしまう場合がある
[114] 문서 外国人対象の救急車利用料金や医療費はほとんどが高額なので注意を呼びかけている。また、海外旅行保険やクレジットカードの付帯保険では治療費用等を一度全額自分で立て替えて帰国後に治療費用等を請求する後払い方式の場合があるので注意が必要である
[115] 웹사이트 日本国 外務省 海外旅行保険加入のおすすめ https://www.anzen.mo[...] 2018-08-15
[116] 뉴스 119番も多言語対応に 五輪向け100%導入へ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8-07-04
[117] 웹사이트 救急車の適正利用のお願い https://www.tfd.metr[...] 東京消防庁 2024-01-25
[118] 웹사이트 救急車“有料化” 入院なしなら7700円 「出動限界」三重・松阪市が導入へ https://news.yahoo.c[...] 2024-01-25
[119] 웹사이트 常陸大宮市ホームページ https://www.city.hit[...]
[120] 웹사이트 「蚊に刺され&日焼け」で119番なぜ? 誰でも無料は日本だけ、悪質利用が増加! 求められる対策、海外との違いとは(くるまのニュース) https://news.yahoo.c[...] 2023-07-02
[121] 문서 救急隊員が傷病者を搬送先の病院に引き継ぎ、消防署に帰る途中で新たに救急出場指令が入るため、休息・食事・水分補給やトイレなどに行くことができない過酷な連続労働状態のこと
[122] 웹사이트 #7119(救急安心センター事業)関連情報 http://www.fdma.go.j[...]
[123] 웹사이트 台北市政府消防局 http://epaper.tfd.go[...]
[124] 뉴스 救護車收費 非就近急救醫院 要付1600元 http://www.libertyti[...] 2013-06-13
[125] 뉴스 今天中国~中国のいま(18)救急車呼んだら有料 https://www.nishinip[...] 西日本新聞社 2017-03-26
[126] 뉴스 【海外こぼれ話】北京の救急車、料金メーター付きに 5月導入、「回り道」懸念も https://web.archive.[...] 産業経済新聞社 2016-04-26
[127] 웹사이트 世界の医療事情 中華人民共和国 病気になった場合(医療制度) https://www.mofa.go.[...] 2019-05-04
[128] 웹사이트 世界の医療事情 中華人民共和国 病気になった場合(医療制度) https://www.mofa.go.[...] 2019-05-04
[129] 웹사이트 世界の医療事情 オーストラリア 病気になった場合(医療機関等) https://www.mofa.go.[...] 2018-08-15
[130] 웹사이트 世界の医療事情 アメリカ合衆国(ニューヨーク)病気になった場合(医療機関等) https://www.mofa.go.[...] 2018-08-15
[131] 웹사이트 https://www.cityofch[...]
[132] 웹사이트 世界の医療事情 フランス 病気になった場合(医療機関等) https://www.mofa.go.[...] 2018-08-15
[133] 웹사이트 世界の医療事情 イタリア 病気になった場合(医療機関等) https://www.mofa.go.[...] 2018-08-15
[134] 웹사이트 世界の医療事情 ドイツ 病気になった場合(医療機関等) https://www.mofa.go.[...] 2018-08-15
[135] 문서 日本の2B型標準救急車(病院救急車)相当
[136] 문서 日本の高規格救急車相当
[137] 문서 日本のドクターカー相当
[138] 법률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39조, 보건복지부령 228호
[139] 웹사이트 History of Trauma http://www.trauma.or[...]
[140] 웹사이트 History of Ambulances http://www.emt-resou[...]
[141] 뉴스 119 구급차 운행 역사 다시 쓰다 http://www.fpn119.co[...] 소방방재신문 2012-11-09
[142] 뉴스 전주 예수병원 최초의 구급차 http://app.yonhapnew[...] 연합뉴스 2010-03-05
[143] 법률 의료법 제9조 1962-03-20
[144] 간행물 한국소방 100년사 http://mulchong.ye.r[...] Mulchong 2014-02-26
[145] 웹사이트 119 긴급 구조 http://theme.archive[...] 국가기록원
[146] 법률 119구조ㆍ구급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20조 구조ㆍ구급 요청의 거절
[147] 법률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16 보건복지부 2023-10-26 # 날짜 정보가 없어 임의로 추가했습니다. 실제 날짜 정보를 확인하여 수정해야 합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