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변증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변증학은 고대 그리스어 'apologia'에서 유래한 용어로, 혐의에 대한 변호 또는 설명을 의미한다. 기독교 신학의 한 분야로 발전하여, 기독교 신앙을 논리적으로 해명하고 옹호하는 데 사용된다. 기독교 변증학은 기독교 교리의 합리성을 제시하고, 반대와 오해를 극복하며, 기독교가 유일한 세계관임을 증명하려 한다. 다양한 철학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며, 기독교 외에도 이슬람, 유대교, 힌두교, 불교, 바하이 신앙 등 다양한 종교에서 변증학이 존재한다. 문학에서도 변증학적 요소가 나타나며, 작품을 옹호하고 청중에게 자신을 낮추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설득 - 부메랑 효과
    부메랑 효과는 어떤 행위나 정책이 의도와 반대로 역효과를 내는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사회, 정치, 경제,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며, 공감대 형성 등의 노력을 통해 줄일 수 있다.
  • 종교학 - 신학
    신학은 신에 대한 연구를 의미하는 학문으로, 다양한 종교의 신앙 체계와 교리, 신의 본성을 연구하며 철학과 유사하지만 신앙을 전제로 하고, 역사적으로 종교 지도자 양성과 관련이 깊으며, 한국 신학은 서구 신학의 영향과 함께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독자적으로 발전해왔다.
  • 종교학 - 비교종교학
    비교종교학은 세계 여러 종교의 역사, 교리, 의례, 실천 등을 비교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발전해 왔으며 이슬람 황금시대 학자들의 종교 다원주의 연구 기여와 19세기 사회 과학자들의 관심, 그리고 종교 현상을 특정 틀에 맞추려는 경향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포함한다.
  • 수사학 - 연설
    연설은 대중 앞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행위로, 정보 전달, 설득 등의 다양한 목적을 가지며, 고대부터 중요한 훈련 과목이었고 기술 발전에 따라 더 많은 청중에게 도달하며 연설 기법 훈련과 발표 불안 극복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진다.
  • 수사학 - 구성
    구성은 글의 주제와 목적에 맞게 재료를 엮어 글의 성격을 결정하며, 시간적, 공간적 순서에 따른 자연적 구성과 논리적 관계에 따른 논리적 구성으로 나뉜다.
변증학
개요
분야기독교 신학
하위 분야신론
삼위일체
그리스도론
성령론
교회론
인간론
구원론
계시론
종말론
변증론
보편교회
성례전
기독교 윤리
관련 학문성서신학
역사신학
철학
역사학
윤리학
경제학
해석학
사회학
과학철학
상세 내용
정의특정 입장의 체계적인 옹호에 대한 종교적 훈련
관련 개념수사학

2. 어원

'변증학'이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어 apologia|아폴로기아grc에서 유래했다.[1] 고전 그리스 법체계에서, 검찰은 kategoria|카테고리아grc(κατηγορίαgrc)라고 하는 고소 또는 혐의를 제기했고, 피고는 apologia|아폴로기아grc, 즉 변호로 응답했다.[5] apologia|아폴로기아grc는 혐의에 응답하고 반박하기 위한 공식적인 연설 또는 설명이었다. 유명한 예로는 소크라테스의 변명이 있으며, 이는 플라톤의 변명에 기록되어 있다.

신약성경코이네 그리스어에서 사도 바울은 페스투스와 아그리파에게 하는 재판 연설에서 "나는 변호합니다"라고 말하면서 'apologia'라는 용어를 사용한다(사도행전 26:2).[6] 유사한 형태가 바울의 빌립보서 1:7에 나타나는데, 그는 "복음을 변호"한다고 말하고, 베드로전서 3:15에서는 "대답"하고 있다.[7][8]

'변증학'이라는 용어는 서구, 주로 기독교에서 기원했으며 기독교 변호와 가장 자주 연관되지만, 때때로 종교와 관련된 공식적인 논쟁에서 어떤 종교를 변호하는 것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이 단어는 그리스어 아폴로게티코스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고대 아테네 법정에서 피고인이 자기 변명을 하는 방법과 그 기술을 의미했다. 같은 단어는 신약성경에도 사용되고 있다.

3. 역사

변증학이 기독교 신학의 한 분야가 된 것은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이다.

4. 종교별 변증학

이슬람교의 변증학은 '일름 알 칼람'으로 불리며, 이는 문자 그대로 "담론의 과학"을 의미한다.[26] '칼람'으로 줄여 부르기도 하며, 때로는 '이슬람 스콜라 신학'이라고도 불린다. 칼람은 회의론자들과 비방자들로부터 이슬람 신앙의 교리를 확립하고 방어할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다.[27] 칼람 학자는 무타칼리문(mutakallimūn)이라고 불리며, 철학자, 법학자, 과학자와는 구별된다.[28]

유대교 변증 문학은 파네아스의 아리스토불루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일부 학자들은 역사가 데메트리우스 (기원전 3세기)의 작품에서 그 전형적인 "질문과 해결" 스타일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고 한다. 아리스토불루스는 알렉산드리아 출신의 유대교 철학자로, 프톨레마이오스 6세 필로메토르에게 변증서를 저술했다. 요세푸스의 아피온 반박과 알렉산드리아의 필로의 작품 중 일부는 당시 유대교에 제기된 많은 혐의에 대한 광범위한 변론을 담고 있다.[29][30]

현대 기독교 선교사들과, 유대교 전통 상징을 사용해 취약한 유대인을 유인하는 근본주의 기독교 교회에 대응하여,[31] 유대교를 위한 유대인들(Jews for Judaism)은 가장 큰 반선교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랍비 요세프 미즈라히의 키루브 조직(미즈라히)(Kiruv Organization (Mizrachi))과 랍비 토비아 싱어의 아웃리치 유대교(Outreach Judaism)는 "선교사와 이단이 제기한 문제에 직접 대응하여 근본주의 기독교와 대조적으로 유대교를 탐구하는" 국제 단체들이다.[32][33]

힌두교 변증학은 영국 식민지 시대에 발달하기 시작했다. 많은 인도 지식인들은 영국이 힌두교 종교 전통의 가치를 폄하하는 것에 비판적이었다. 이들은 종교의 근원을 탐구하고 방대한 문헌을 분석적으로 연구했으며, 산스크리트어 해독과 보존, 힌두교 텍스트 번역을 이끌었다.

18세기 초, 기독교 선교사 바르톨로메우스 지겐발크는 타밀어를 사용하는 말라바르인 힌두교 사제들과 대화하고 그들의 주장을 기록했다. 여기에는 할레 루터교 본부에 제출된 독일어 보고서와 99통의 편지(1718년 ''말라바르 코레스폰덴츠''로 번역됨)가 포함된다.[1]

1830-1831년, 선교사 존 윌슨은 봄베이에서 힌두교 변증가들과 논쟁했다.[2] 1830년, 그의 제자 람 찬드라(기독교 개종 힌두교도)는 여러 힌두교 브라만 변증가들과 공개 논쟁했다. 판디트 모로바트 단데카르는 1831년 윌슨과의 논쟁에서 자신의 주장을 마라티어 저서 ''스리-힌두-다르마-스타파나''로 요약했다.[3] 나라야나 라오는 윌슨에게 반박하는 ''스바데샤-다르마-아비마니''를 저술했다.[4]

19세기 중반, 존 무어의 ''마타파릭샤''에 대한 반박으로 여러 힌두교 변증 저술이 나왔다. 중앙 인도 소마나타의 ''마타-파리크샤-식샤''(1839), 캘커타 하라찬드라 타르카판차난의 ''마타파릭쇼타라''(1840), 바라나시 닐칸타 고레의 ''샤스트라-타트바-비르니야야''(1844-1845),[5] 익명 바이슈나바 작가의 비평(1861년 ''다르마드하르마-파리크샤-파트라'' 일부로 출판)이 있다.[6]

스와미 비베카난다, 아우로빈도 고쉬 등 인도 철학자들은 힌두교 종교 전통의 가치에 대한 합리적인 설명을 저술했다. 마하리쉬 마헤쉬 요기 등 현대 지지자들은 힌두교 개념과 양자 물리학, 의식 연구의 발전을 연관시키려 했다. 판두랑 샤스트리 아타발레는 베다 전통 원리의 상징과 합리적 근거에 대한 강연을 했다. 미국인 데이비드 프롤리는 ''문명의 요람''에서 힌두교 유산의 고대 텍스트를 "영혼의 피라미드"와 같다고 묘사했다.

밀린다왕의 질문은 초기 불교 변증론 텍스트 중 하나로, 개인의 "무아" 본질과 지혜, 지각, 의지, 느낌, 의식, 영혼 등 불교 형이상학을 다룬다. 메이지 시대 (1868-1912) 일본에서 불교도와 기독교도의 만남은 일본과 다른 국가들 간 접촉 증가의 결과였으며, 변증론적 잡지 신 불교(新仏教|신불교일본어)를 포함한 일본 신불교 형성을 촉진했을 수 있다.[12] 호주 출신 불교 개종자 A. L. 데 실바는 기독교 근본주의 교리에 대한 비판과 불교 변증론적 응답을 담은 《믿음 너머》를 저술했다.[13] 구나팔라 다르마시리는 테라바다 불교 관점에서 기독교의 하느님 개념에 대한 변증론적 비판을 썼다.[14]

바하이 신앙의 역사나 가르침을 옹호하기 위해 바하이 변증학을 주제로 한 많은 변증 서적들이 쓰여졌다. 바브의 ''일곱 개의 증거''와 바하올라의 ''키타브-이-이칸''은 종교 창시자들이 그들의 종교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는 책이다.[9] 이후 미르자 아불-파들의 ''빛나는 증거''와 우도 쉐퍼 등의 ''굽은 것을 바로잡기''와 같은 변증론 텍스트를 바하이 저자들이 저술했다.[10]

이신론유신론의 한 형태로, 신이 우주를 창조하고 합리적으로 이해 가능한 도덕적, 자연적 법칙을 세웠지만 더 이상 인간사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믿음이다. 이신론은 신에 대한 믿음이 자연에서 발견되는 설계와 법칙에서 관찰된 이성과 증거의 적용에 기반하는 자연 종교이다. 세계 이신론 질서는 신성한 계시 없이 증거와 이성에 기반하여 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이신론 변증학을 제시하는 웹 사이트를 운영한다.

일부 범신론자들은 범신론에 대한 믿음을 옹호하고 방어하기 위해 세계 범신론 운동(World Pantheist Movement) 및 범우주적 범신론 협회(Universal Pantheist Society)와 같은 단체를 결성했다.[34]

1805년 세네카족 추장 레드 재킷은 "백인과 붉은 사람을 위한 종교에 대한 레드 재킷"이라는 연설에서 미국 원주민 종교에 대한 변론을 했다.[35]

4. 1. 기독교

기독교 변증학은 기독교 신학, 자연 신학,[15]철학을 결합하여 기독교 신앙의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반대와 오해로부터 신앙을 옹호하며, 기독교 교리가 결점 없고 모든 근본적인 지식과 질문에 일치하는 유일한 세계관임을 보여주려는 시도이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사도 바울을 비롯한 초기 기독교인들이 로마 대화재를 일으켰다는 혐의,[17] 인육 섭취, 근친상간 등 여러 혐의와 박해에 맞서 기독교를 변호했다. 변증학이 기독교 신학의 한 분야가 된 것은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이다.

4. 1. 1. 초기 기독교

1세기 기독교선교사이자 신학자인 바울은 변증법, 가정법 등의 수사학과 고대 그리스 문학을 활용하여 자신의 기독교 사상을 해명하였다.[37][38] 사도 바울, 순교자 유스티누스, 이레네우스 등은 로마 제국 시대에 기독교인들이 받았던 심한 박해를 정당화하기 위해 제기된 혐의로부터 기독교를 옹호했다.[18] 당시 기독교인들에게는 로마 대화재를 일으켰다는 혐의,[17] 인육 섭취(성찬식의 문자적 해석 때문), 근친상간(초기 기독교인들이 서로를 "형제"와 "자매"라고 부르는 관행 때문) 등의 혐의가 제기되었다.

터툴리아누스는 초기 기독교 변증가였다. 그는 카르타고에서 태어나 살고 죽었으며, "라틴 교회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다. 그는 기독교 어휘에 "삼위일체"(trinitasla)라는 용어를 도입했고,[25] "세 위격, 한 본질"이라는 공식과 "Vetus Testamentum"(구약)과 "Novum Testamentum"(신약)이라는 용어를 도입했다.

4. 1. 2. 주요 기독교 변증가

1세기 기독교선교사이자 신학자였던 바울은 변증법, 가정법 등의 수사학과 고대 그리스 문학을 활용하여 자신의 기독교 사상을 해명한 대표적인 기독교 변증론자이다.[37][38] 사도 바울, 순교자 유스티누스, 이레네우스 등은 박해를 정당화하기 위해 제기된 혐의로부터 기독교를 옹호했다.[18]

후기 변증가들은 기독교 신앙의 다양한 측면을 받아들일 이유를 제시하는 데 집중했다. 여러 전통의 기독교 변증가들은 유대인, 무슬림 및 일부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유일하고 인격적인 신의 존재를 주장한다. 신정론은 그러한 주장의 중요한 측면이며, 앨빈 플랜팅가의 주장은 이 분야에서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현대의 저명한 기독교 변증가들은 다음과 같다.[19]

가톨릭교회의 변증가로는 로버트 배런(주교),[20] G. K. 체스터턴,[21] 스콧 한 박사, 트렌트 혼, 지미 아킨, 패트릭 마드리드, 케네스 헨슬리,[22] 칼 키팅, 로널드 녹스, 피터 크리프트가 있다.

존 헨리 뉴먼(1801–1890)은 영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개종자였으며, 나중에 추기경(가톨릭)이 되었고 2010년에 시복되었다. 초기에는 영국 성공회를 가톨릭 근본으로 되돌리려는 옥스퍼드 운동의 주요 인물이었다. 결국 그의 역사 연구는 그가 로마 가톨릭교도가 되도록 설득했다.

터툴리아누스는 초기 기독교 변증가였다. 그는 카르타고에서 태어나 살고 죽었다. 그는 때때로 "라틴 교회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다. 그는 기독교 어휘에 "삼위일체"(trinitasla)라는 용어를 도입했고[25] "세 위격, 한 본질"이라는 공식을 도입했다.

4. 1. 3. 현대 기독교 변증가

기독교 변증학은 여러 세기에 걸쳐 다양한 형태를 취해왔으며, 현대에도 여러 기독교 변증가들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기독교 신학, 자연 신학,[15] 철학 등을 결합하여 기독교 신앙의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반대와 오해로부터 신앙을 옹호하며, 기독교 교리가 결점 없고 모든 근본적인 지식과 질문에 일치하는 유일한 세계관임을 보여주려는 시도를 한다.

현대 기독교 변증가들은 다음과 같다:

가톨릭교회 변증가로는 로버트 배런(주교),[20] G. K. 체스터턴,[21] 스콧 한 박사, 트렌트 혼, 지미 아킨, 패트릭 마드리드, 케네스 헨슬리,[22] 칼 키팅, 로널드 녹스, 피터 크리프트가 있다.

존 헨리 뉴먼(1801–1890)은 영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개종자였으며, 나중에 추기경(가톨릭)이 되었고 2010년에 시복되었다. 초기에는 영국 성공회를 가톨릭 근본으로 되돌리려는 옥스퍼드 운동의 주요 인물이었다. 결국 그의 역사 연구는 그가 로마 가톨릭교도가 되도록 설득했다. 존 헨리 뉴먼이 1864년에 자신의 영적 자서전을 ''Apologia Pro Vita Sua''라고 제목을 붙였을 때, 그는 이 의미와 더 흔히 이해되는 참회 또는 후회의 표현이라는 의미를 모두 활용했다.

기독교 변증가들은 존재론적 논증, 우주론적 논증, 목적론적 논증을 포함한 다양한 철학적이고 형식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23] 기독교 전제주의적 변증학적 접근 방식은 신의 존재에 대한 초월적 논증을 사용한다.[24]

4. 1. 4.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의 변증가로는 로버트 배런(주교),[20] G. K. 체스터턴,[21] 스콧 한, 트렌트 혼, 지미 아킨, 패트릭 마드리드, 케네스 헨슬리,[22] 칼 키팅, 로널드 녹스, 피터 크리프트가 있다.

존 헨리 뉴먼(1801–1890)은 영국로마 가톨릭교회 개종자였으며, 나중에 추기경(가톨릭)이 되었고 2010년에 시복되었다. 초기에는 영국 성공회를 가톨릭 근본으로 되돌리려는 옥스퍼드 운동의 주요 인물이었다. 결국 그의 역사 연구는 그가 로마 가톨릭교도가 되도록 설득했다. 존 헨리 뉴먼이 1864년에 자신의 영적 자서전을 ''Apologia Pro Vita Sua''라고 제목을 붙였을 때, 그는 이 의미와 더 흔히 이해되는 참회 또는 후회의 표현이라는 의미를 모두 활용했다.

4. 1. 5. 몰몬교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몰몬교 변증론자들은 팔리 P. 프랫, 존 테일러, B. H. 로버츠, 제임스 E. 탈마지와 휴 니블리, 다니엘 C. 피터슨, 존 L. 소렌슨, 존 지, 오슨 스콧 카드, 제프 린제이 등 현대 인물들을 포함하여 몰몬교 옹호에 집중한다.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변증 단체로는 고대 연구 및 몰몬 연구 재단(브리검 영 대학교 학자 그룹)과 FairMormon(후기 성도들이 운영하는 독립적인 비영리 단체) 등이 있으며, 후기 성도 운동과 특히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교리 및 역사를 옹호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4. 2. 이슬람

칼람 참고

'''일름 알 칼람'''은 문자 그대로 "담론의 과학"을 의미하며[26], 보통 "칼람"으로 줄여 부르고 때로는 "이슬람 스콜라 신학"이라고도 불린다. 회의론자들과 비방자들로부터 이슬람 신앙의 교리를 확립하고 방어할 필요성에서 비롯된 이슬람의 노력이다.[27] 칼람 학자는 철학자, 법학자, 과학자와 구별되는 무타칼리문(mutakallimūn)이라고 불린다.[28]

4. 3. 유대교

파네아스의 아리스토불루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유대교 변증 문학은, 일부 학자들에 따르면 역사가 데메트리우스 (기원전 3세기)의 작품에서 그 전형적인 "질문과 해결" 스타일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고 한다. 아리스토불루스는 알렉산드리아 출신의 유대교 철학자로, 프톨레마이오스 6세 필로메토르에게 변증서를 저술했다. 요세푸스의 아피온 반박은 당시 유대교에 제기된 많은 혐의에 대한 광범위한 변론이며, 알렉산드리아의 필로의 작품 중 일부도 마찬가지이다.[29][30]

현대 기독교 선교사들과 "유대인으로 보이도록 설계되었지만 실제로는 근본주의 기독교 교회이며, 유대인 중 가장 취약한 사람들을 유인하기 위해 전통적인 유대교 상징을 사용하는" 회중들에 대응하여,[31] 유대교를 위한 유대인들(Jews for Judaism)은 오늘날 존재하는 가장 큰 반선교 단체이다. 랍비 요세프 미즈라히가 설립한 키루브 조직(미즈라히)(Kiruv Organization (Mizrachi))과 랍비 토비아 싱어가 설립한 아웃리치 유대교(Outreach Judaism)는 "선교사와 이단이 제기한 문제에 직접적으로 대응하여 근본주의 기독교와 대조적으로 유대교를 탐구하는" 다른 저명한 국제 단체들이다.[32][33]

4. 4. 힌두교

힌두교 변증학은 영국 식민지 시대에 발달하기 시작했다. 많은 인도 지식인들은 영국이 힌두교 종교 전통의 가치를 폄하하는 경향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그 결과, 이들 인도 지식인들과 소수의 영국 인도학자들은 종교의 근원을 탐구하고 방대한 비전과 문헌을 분석적인 방식으로 연구하도록 자극받았다. 이러한 노력은 산스크리트어의 해독과 보존을 이끌었으며, 많은 힌두교 텍스트 번역이 이루어져 더 많은 독자들이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18세기 초, 기독교 선교사 바르톨로메우스 지겐발크는 여러 타밀어를 사용하는 말라바르인 힌두교 사제들과 대화를 나누고, 이 힌두교 변증가들의 주장을 기록했다. 이 기록에는 할레의 루터교 본부에 제출된 독일어 보고서와 힌두교 사제들이 그에게 보낸 99통의 편지(후에 1718년부터 ''말라바르 코레스폰덴츠''(Malabarische Korrespondenz)라는 제목으로 독일어로 번역됨)가 포함되어 있다.[1]

1830-1831년 동안, 선교사 존 윌슨은 봄베이에서 힌두교 변증가들과 논쟁을 벌였다.[2] 1830년, 그의 제자인 람 찬드라(기독교로 개종한 힌두교도)는 여러 힌두교 브라만 변증가들과 공개적으로 논쟁을 벌였다. 힌두교 판디트 모로바트 단데카르는 1831년 윌슨과의 논쟁에서 자신의 주장을 마라티어로 된 저서 ''스리-힌두-다르마-스타파나''(Shri-Hindu-dharma-sthapana)로 요약했다.[3] 또 다른 힌두교 변증가인 나라야나 라오는 윌슨에게 반박하는 내용으로 ''스바데샤-다르마-아비마니''(Svadesha-dharma-abhimani)를 저술했다.[4]

19세기 중반, 여러 힌두교 변증가 저술이 존 무어의 ''마타파릭샤''(Mataparīkṣā)에 대한 반박으로 쓰여졌다. 여기에는 중앙 인도의 소마나타의 ''마타-파리크샤-식샤''(Mata-parīkṣā-śikṣā, 1839), 캘커타의 하라찬드라 타르카판차난의 ''마타파릭쇼타라''(Mataparīkṣottara, 1840), 바라나시의 닐칸타 고레의 ''샤스트라-타트바-비르니야야''(Śāstra-tattva-vinirṇaya, 1844-1845)[5] 및 익명의 바이슈나바 작가가 쓴 비평(후에 1861년에 ''다르마드하르마-파리크샤-파트라''(Dharmādharma-parīkṣā-patra)의 일부로 출판됨)이 있다.[6]

스와미 비베카난다와 아우로빈도 고쉬를 포함한 다양한 인도 철학자들이 힌두교 종교 전통의 가치에 대한 합리적인 설명을 저술했다. 마하리쉬 마헤쉬 요기와 같은 더 현대적인 지지자들은 힌두교 개념과 양자 물리학 및 의식 연구의 최근 발전을 연관시키려고 시도했다. 고 판두랑 샤스트리 아타발레 목사는 베다 전통의 많은 원리에 대한 상징과 합리적 근거에 대한 수많은 강연을 했다. 베다 전통을 받아들인 미국인 데이비드 프롤리는 그의 저서 ''문명의 요람''(The Cradle of Civilization)에서 힌두교 유산의 고대 텍스트를 "영혼의 피라미드"와 같다고 묘사했다.

4. 5. 불교

밀린다왕의 질문은 초기 불교 변증론 텍스트 중 하나로, 개인의 "무아" 본질과 지혜, 지각, 의지, 느낌, 의식 및 영혼과 같은 특성 등 불교 형이상학을 다루고 있다. 메이지 시대 (1868-1912) 일본에서 불교도와 기독교도 간의 만남은 일본과 다른 국가들 간의 접촉 증가의 결과였으며, 변증론적 잡지인 신 불교(新仏教|신불교일본어)를 포함한 일본 신불교의 형성을 촉진했을 수 있다.[12] 최근 호주 출신으로 불교로 개종한 A. L. 데 실바는 기독교 근본주의 교리에 대한 비판과 불교 변증론적 응답을 담은 책인 《믿음 너머》(Beyond Belief)를 저술했다.[13] 구나팔라 다르마시리는 테라바다 불교 관점에서 기독교의 하느님 개념에 대한 변증론적 비판을 썼다.[14]

4. 6. 바하이 신앙

바하이 신앙의 역사나 가르침을 옹호하기 위해 바하이 변증학을 주제로 한 많은 변증 서적들이 쓰여졌다. 바브의 ''일곱 개의 증거''와 바하올라의 ''키타브-이-이칸''은 종교의 창시자들이 그들의 종교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는 여러 권의 책 중 하나이다.[9] 이후 미르자 아불-파들의 ''빛나는 증거''와 우도 쉐퍼 등의 ''굽은 것을 바로잡기''와 같은 저명한 변증론 텍스트를 바하이 저자들이 저술했다.[10]

4. 7. 이신론

이신론유신론의 한 형태로, 신이 우주를 창조하고 합리적으로 이해 가능한 도덕적, 자연적 법칙을 세웠지만 더 이상 인간사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믿음이다. 이신론은 신에 대한 믿음이 자연에서 발견되는 설계와 법칙에서 관찰된 이성과 증거의 적용에 기반하는 자연 종교이다. 세계 이신론 질서는 신성한 계시가 없이 증거와 이성에 기반하여 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이신론 변증학을 제시하는 웹 사이트를 운영한다.

4. 8. 범신론

일부 범신론자들은 범신론에 대한 믿음을 옹호하고 방어하기 위해 세계 범신론 운동(World Pantheist Movement) 및 범우주적 범신론 협회(Universal Pantheist Society)와 같은 단체를 결성했다.[34]

4. 9. 미국 원주민 종교

1805년 세네카족의 추장 레드 재킷은 "백인과 붉은 사람을 위한 종교에 대한 레드 재킷"이라는 유명한 연설에서 미국 원주민 종교에 대한 변론을 했다.[35]

5. 문학에서의 변증학

플라톤의 『변론』은 종교적 변증서이자 문학적 변증서로 읽힐 수 있다. 그러나 보다 구체적인 문학적 사례는 많은 초기 근대 시대의 희곡, 소설 및 시에 앞서 제시되는 머리말과 헌사에서 찾아볼 수 있다. 콜리 시버, 프랜시스 버니, 윌리엄 콩그리브와 같은 18세기 작가들은 자신의 시적 작품 대부분에 그러한 변증적 머리말을 썼다. 작품을 옹호하려는 의도 외에도, 변증적 머리말은 종종 작가가 청중 앞에서 자신을 낮추려는 시도를 암시한다.[36]

참조

[1] 웹사이트 ἀπολογία http://www.bluelette[...] 2016-09-19
[2] 웹사이트 Apologetics http://www.newadvent[...] 2024-10-10
[3] 웹사이트 apologetics http://www.merriam-w[...] 2016-10-05
[4]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5] 문서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6] 웹사이트 Acts 26:2 https://www.bluelett[...] 2016-09-19
[7] 웹사이트 Phl 1:7 https://www.bluelett[...] 2016-09-19
[8] 웹사이트 1Pe 3:15 https://www.bluelett[...] 2016-09-19
[9] 간행물 apologetics https://archive.org/[...] Oneworld Publications
[10] 웹사이트 Making the Crooked Straight, by Udo Schaefer, Nicola Towfigh, and Ulrich Gollmer http://bahai-library[...]
[11] Master of Arts NONE BUT "WE HEATHEN": SHAKU SŌEN AT THE WORLD'S PARLIAMENT OF RELIGIONS http://d-scholarship[...] University of Pittsburgh 2022-05-30
[12] 학술지 Immanent Frames: Meiji New Buddhism, Pantheism, and the "Religious Secular" https://core.ac.uk/d[...] 2022-05-30
[13] 서적 Beyond Belief, a Buddhist Critique of Fundamentalist Christianity http://www.buddhanet[...] Three Gems Publications, ebook link at Buddha Dharma Education Association Incorporated, also
[14] 서적 A Buddhist critique of the Christian concept of God: a critique of the concept of God in contemporary Christian theology and philosophy of relig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early Buddhism Colombo: Lake House Investments
[15] 웹사이트 Natural Theology http://www.iep.utm.e[...]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15-03-10
[16] 웹사이트 Defending the Cannibals http://www.ctlibrary[...] 2012-09-08
[17] 문서 Tacitus, Annals XV.44
[18] 웹사이트 Why Early Christians Were Despised http://www.christian[...] 2016-09-21
[19] 웹사이트 Catholic Education Resource Center: ''The Scott Hahn Conversion Story'' http://www.catholice[...]
[20] 웹사이트 Fr. Robert Barron http://www.wordonfir[...] 2015-02-09
[21] 서적 The Everlasting Man Wilder Publications
[22] 웹사이트 Kenneth Hensley https://catholicapol[...]
[23]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Apologetics http://www.bethinkin[...] 2016-09-21
[24] 문서 Apologetics: A Justification of Christian Belief. John Frame-Joseph Torres - P&R Publishing - 2015 p. 67f
[25]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Touchstone Books
[26] 문서 Winter, Tim J. "Introduction." Introduction. The Cambridge Companion to Classical Islamic Theology. Cambridge: Cambridge UP, 2008. 4–5. Print.
[27] 서적 Handbook to Life in the Medieval World
[28] 서적 The Bloomsbury Companion to Islamic Studies
[29] 문서 John Granger Cook (2000) ''The Interpretation of the New Testament in Greco-Roman paganism'' p.4., Mohr Siebeck Verlag, Tuebingen, Germany
[30] 간행물 APOLOGISTS http://www.jewishenc[...]
[31] 서적 Simon Schoon, "Noachides and Converts to Judaism", in [[Jan N. Bremmer]], [[Wout van Bekkum|Wout Jac. van Bekkum]], Arie L. Molendijk. ''Cultures of Conversions''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32]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outreachj[...]
[33] 서적 [[J. Gordon Melton]], "The Modern Anti-Cult Movement in Historical Perspective", in Jeffrey Kaplan, Heléne Lööw. ''The Cultic Milieu: Oppositional Subcultures in an Age of Globalization'' Rowman Altamira
[34] 웹사이트 The Pantheist Credo http://www.pantheism[...] World Pantheist Movement
[35] 웹사이트 Red Jacket on the Religion of the White Man and the Red by Red Jacket. America: I. (1761-1837). Vol. VIII. Bryan, William Jennings, ed. 1906. The World's Famous Orations http://www.bartleby.[...] 2022-10-10
[36] 백과사전 Apology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1-07-14
[37] 서적 인류의 영원한 고전-신약성서 아이세움
[38] 서적 하나님 나라 신학으로 읽는 사도행전 2권 복있는 사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