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기 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석기 시대는 인류의 선사 시대를 기술적인 분류에 따라 구분한 세 시대 체계 중 하나로, 구석기 시대, 중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를 포함한다. 덴마크의 고고학자 크리스티안 율겐센 톰센의 삼시대법에 기초하여, 영국의 고고학자 존 러벅에 의해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로 세분화되었다. 석기 시대는 인류가 돌을 주요 도구로 사용하며 수렵, 채집 생활을 하던 시기이며, 구석기 시대는 뗀석기를, 신석기 시대는 간석기를 사용했다. 석기 시대의 의식주는 수렵, 채집, 어로 활동을 통해 식량을 얻고, 동물의 가죽이나 식물 섬유로 옷을 만들어 입었으며, 동굴이나 움집 등에서 생활했다. 또한, 암각화와 동굴 벽화 등 예술 활동이 나타났으며, 종교적 의례도 행해졌다. 석기 시대는 금속 제련 기술의 발달로 청동기 시대로 이어지며 종말을 맞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사 시대 - 철기 시대
철기 시대는 철제 도구와 무기, 특히 강철 합금의 생산과 사용이 보편화된 시기로, 청동기 시대보다 단단하고 가벼운 도구를 만들 수 있게 했으며, 농업 생산량 증가, 군사력 강화, 사회 구조 변화를 가져왔다. - 선사 시대 - 청동기 시대
청동기 시대는 구리와 주석 합금인 청동 사용을 특징으로 하며, 야금 기술 발달로 무기와 도구 제작 혁명, 농업 생산성 향상, 사회 발전, 장거리 무역 네트워크 발전을 가져왔고,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문화가 발전 후 철기 시대 도래와 함께 종말을 맞았다. - 고고학 - 선사 시대
선사 시대는 인류가 문자를 사용하기 이전 시대로, 고고학 등의 연구를 통해 인류 출현부터 문자의 발명까지를 아우르며 석기, 청동기, 철기 시대로 나뉜다. - 고고학 - 철기 시대
철기 시대는 철제 도구와 무기, 특히 강철 합금의 생산과 사용이 보편화된 시기로, 청동기 시대보다 단단하고 가벼운 도구를 만들 수 있게 했으며, 농업 생산량 증가, 군사력 강화, 사회 구조 변화를 가져왔다. - 역사에 관한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역사에 관한 - 2013년
2013년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 교황 사임, 북한 핵실험, 용산 개발 사업 부도, 윤창중 사건, 스노든 폭로, 김연아 우승, 방탄소년단 데뷔, 넬슨 만델라 사망 등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사건들이 발생한 해이다.
| 석기 시대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시대 | 선사 시대 |
| 선행 시대 | 신생대 |
| 후행 시대 | 청동기 시대 |
| 사용 도구 | 돌 |
| 기간 | 기원전 3600년경 이전 |
| 주요 특징 | 돌을 사용하여 도구 제작 |
| 시대 구분 | |
| 고고학적 구분 | 구석기 시대 중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
| 문화 | |
| 특징 | 수렵, 채집 생활 단순한 도구 사용 동굴 벽화 등의 예술 활동 |
| 기술 발전 | 불의 사용 간단한 석기 제작 기술 |
| 연대기 | |
| 구석기 시대 | 플라이스토세 시대 |
| 중석기 시대 | 홀로세 초기 |
| 신석기 시대 | 홀로세 중기 이후 |
2. 역사적 구분
석기 시대의 역사적 구분은 19세기 덴마크의 고고학자 크리스티안 위르겐센 톰센이 제시한 세 시대 체계(석기-청동기-철기)에 기초한다.[27] 톰센은 인류가 금속을 모르는 석기 시대, 철을 아직 사용하지 않는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 순으로 발전했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 구분은 스칸디나비아와 그 주변 지역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세계 모든 지역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청동기 시대를 거치지 않은 지역도 존재한다.
이후 영국의 고고학자 존 러벅은 1865년에 석기 시대를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로 세분화했다.[28] 멸종 동물과 뗀석기를 사용하던 시대를 구석기 시대, 현생 동물의 존재와 간석기를 사용하게 된 시대를 신석기 시대로 구분한 것이다.
잭 드 모르간은 1909년에 뗀석기와 간석기의 과도기로 어느 쪽에도 포함되지 않는 시대를 중석기 시대로 할 것을 제안했다.[82] 그러나, 이후 조사와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중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의 본래 개념은 퇴색해 갔다.
구석기 시대는 다시 그 시기에 활동했던 인류 종의 구분에 따라 전기, 중기, 후기 구석기 시대로 나뉜다.
| 지질 시대 | 석기 시대 | 기간 | ||
|---|---|---|---|---|
| 제4기 | 플라이스토세 (홍적세) | 구석기 시대 | 전기 구석기 시대 | 약 200만 년 전 ~ 약 10만 년 전 |
| 중기 구석기 시대 | 약 9만 ~ 7.5만 년 전 ~ 약 3.5만 년 전 | |||
| 후기 구석기 시대 | 약 3.5만 년 전 ~ 기원전 약 1만 년 | |||
| 홀로세 (충적세) | 중석기 시대 | 기원전 1만 년 ~ 기원전 8,000년 | ||
| 신석기 시대 | 기원전 8000년 ~ |
각 시대의 특징과 전환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하위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2. 1. 구석기 시대 (Paleolithic)
구석기 시대(Paleolithic)는 1865년 고고학자 존 러벅이 만든 용어로, "오래된"을 뜻하는 그리스어 팔라이오스(παλαιός, palaios)와 "돌"을 뜻하는 리토스(λίθος, lithos)의 합성어이다. "고대 석기 시대"라는 의미를 가지며, 석기를 도구로 사용했던 선사 시대를 지칭한다.[28] 이 시기는 인류가 사용한 도구의 99% 이상이 석기였으며, 250만 년에서 260만 년 전 호모 하빌리스와 같은 고대 인류가 석기를 사용하기 시작하여 농경이 시작된 기원전 10000년경 플라이스토세 말기에 끝난다.[28]플라이스토세 시기에는 인류가 씨족과 같은 작은 단위 사회에서 채집과 수렵으로 생활했다.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뗀석기를 주로 사용했지만, 나무나 뼈로 만든 도구도 사용했다. 가죽이나 식물 섬유로 만든 도구는 크게 발전하지 못했다. 인류는 호모 하빌리스와 같은 초기 인류에서 점차 진화하여 호모 사피엔스와 같이 해부학적, 행동적으로 현대 인류와 유사한 고대 인류가 되었다.
DNA와 화석 증거에 따르면, 현대 인류는 20만 년 전 동아프리카에서 기원했다. 플라이스토세 말기, 특히 중기 또는 후기 구석기 시대 인류는 초기 단계의 예술 작품을 만들거나 매장 풍습, 종교 의식과 같은 주술적 행위를 시작했다. 플라이스토세의 날씨는 빙하기와 간빙기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특징을 보였다.
구석기 시대는 전기, 중기, 후기로 세분화된다.
| 지질 시대 | 석기 시대 | 기간 | ||
|---|---|---|---|---|
| 제4기 | 플라이스토세 홍적세 | 구석기 시대 | 전기 구석기 시대 | 약 200만 년 전 ~ 약 10만 년 전 |
| 중기 구석기 시대 | 약 9 또는 7.5만 년 전 ~ 약 3.5만 년 전 | |||
| 후기 구석기 시대 | 약 3.5만 년 전 ~ 기원전 약 1만 년 | |||
| 홀로세 충적세 | 중석기 시대 | 기원전 1만 년 ~ 기원전 8,000년 | ||
| 신석기 시대 | 기원전 8000년 ~ |
전기 구석기 시대에는 찍개와 뗀석기 제작 외에 불의 사용과 언어의 사용이 시작되었고, 중기 구석기 시대에는 네안데르탈인이 노인을 간호하고 의례적인 매장을 하는 등 조직적인 사회를 이루었으며, 핵석기와 편석기가 등장하였다. 후기 구석기 시대에는 호모 사피엔스가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며, 석촉이 보편적으로 생산되고 골각기 제작, 의복 착용, 장신구 사용, 동굴 벽화 등 주술적 행위가 나타났다.
2. 1. 1. 전기 구석기 시대
구석기 시대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약 200만 년 전에서 10만 년 전 사이의 시기로 추정된다.[83] 이 시기에는 찍개와 뗀석기 제작 외에, 불의 사용과 언어의 사용이 시작되었다고 생각된다.유럽, 근동, 중앙아시아에서는 호모 하빌리스나 호모 에렉투스가 살고 있었다. 아시아에서는 호모 에렉투스의 일종인 베이징 원인, 란톈 원인, 자바 원인이 잘 알려져 있다.[83]
약 70만 년 전, 새로운 구석기 시대 도구인 주먹도끼가 등장했다. 가장 초기의 유럽 주먹도끼는 프랑스 북부 Somme River 유역에서 발달한 압베빌 문화에 속하며, 그 이후 더욱 정교해진 주먹도끼 전통은 유럽, 아프리카, 중동, 아시아에서 발견되는 증거를 통해 확인되는 아슐 문화에서 볼 수 있다. 가장 초기의 주먹도끼 중 일부는 올두바이 협곡(탄자니아)에서 ''호모 에렉투스''의 유해와 함께 발견되었다.

2. 1. 2. 중기 구석기 시대
중기 구석기 시대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약 10만 년 전에서 3만 5천 년 전까지의 기간이다. 이 시기는 주로 유럽과 근동 지역에 네안데르탈인이 살았던 시대(약 30만 년 전~2만 8천 년 전)로 잘 알려져 있다. 네안데르탈인은 노인을 간호하고 의례적인 매장을 실천하여 조직적인 사회를 나타냈다.[84] 홍적세는 빙하기라고도 불리며, 약 200만 년 전에 시작되어 인류가 거주하기에는 혹독한 기후였다. 채집과 수렵 생활을 하던 당시 사람들의 식량원이 되는 동물군과 식물군이 충분히 생육하지 않았기 때문에, 인류가 거주하기에 부정적인 면이 많았다. 이 시기에는 찍개석기가 더욱 발달하여 핵석기와 편석기가 등장하였다.2. 1. 3. 후기 구석기 시대

후기 구석기 시대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 3만 5천 년 전부터 1만 2천 년 전 사이의 시기로 추정된다. 서유럽에서는 '발전된 구석기 시대'라고도 부른다.[85] 이 시기에는 호모 사피엔스가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약 3만 년 전부터 2만 4천 년 전 사이에는 네안데르탈인이 멸종하고, 호모 속에 속하는 생물은 현생 인류만 남게 되었다. 이 무렵 타제석기는 더욱 정교해졌고, 석엽 기술을 이용한 석촉이 보편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했다. 또한 골각기의 제작과 의복의 착용, 장신구의 사용, 동굴 벽화의 등장과 이를 대표하는 주술적인 행위의 발생이 확인된다.[85]
유럽에서는 5만 년 전부터 1만 년 전까지 구석기 시대 후기가 지속되었으며, 플라이스토세가 끝나고 홀로세 시대(최후 빙하기 종식)가 시작되면서 끝을 맞이했다.
구석기 시대 후기는 종종 복잡한 석기 기술의 비교적 빠른 연속적인 발전과 예술 작품 및 개인 장신구 제작의 급증으로 특징지어진다. 3만 5천 년 전부터 1만 년 전 사이에 나타난 문화는 다음과 같다.
- 기원전 3만 8천 년~3만 년 전 샤텔페로니안 문화
- 기원전 4만 년~2만 8천 년 전 오리냐크 문화
- 기원전 2만 8천 년~2만 2천 년 전 그라베트 문화
- 기원전 2만 2천 년~1만 7천 년 전 솔뤼트르 문화
- 기원전 1만 8천 년~1만 년 전 마들렌 문화
샤텔페로니안 문화를 제외한 모든 문화는 해부학적으로 현생 인류와 관련이 있다. 샤텔페로니안 문화의 제작자는 여전히 많은 논쟁의 대상이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오스트레일리아에 인류가 도착한 시기를 4만 년 전에서 5만 년 전으로 추정하며, 최대 12만 5천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도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그리고 아프리카를 제외한 지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해부학적으로 현생 인류 유해는 문고 맨의 유해이며, 4만 2천 년 전 것으로 추정된다.[60][61]
아메리카 대륙은 이 시기에 해수면이 낮아져 드러난 베링 육교를 통해 사람이 살기 시작되었다. 이 시대의 사람들을 팔레오인디언이라고 부르며, 가장 오래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약 1만 3,500년 전의 클로비스 문화 유적이다. 전 세계적으로 사회는 수렵 채집인이었지만, 매우 다양한 환경에 맞게 개발된 다양한 석기 유형에서 지역적 정체성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한국에서는 이 시대부터 한반도에 인류가 살았던 유적과 유물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홋카이도에서 규슈까지의 유적 수는 5,000곳에 이른다.
2. 2. 중석기 시대 (Mesolithic)
빙하가 후퇴하기 시작하고 기후가 온난해짐에 따라 식물이 무성해지고 동물이 증가하는 등 인류가 채집, 수렵으로 식량을 얻기 쉬워졌다. 기술적으로는 세석기의 등장으로 대표된다. 활과 화살을 이용한 사냥이 이루어졌다. 일본 열도에서는 세석인의 출현이 지표가 된다.[82]중석기 시대는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 사이의 인류 기술 진화의 시기를 가리킨다. 홀로세 (충적세 또는 현세)에 들어와 현대적인 날씨가 시작된 기원전 1만 년경에 시작하여 농업의 시작(세계 지역에 따라 시기가 다름)까지로 끝난다. 근동 지역(지중해 연안의 시리아, 이집트, 소아시아 등의 지역)에서는 플라이스토세 말기에 이미 농업이 시작되었기 때문에 중석기 시대가 짧거나, 혹은 없다고 분류된다.[81]
2. 3. 신석기 시대 (Neolithic)


신석기 시대(New Stone Age)는 농업의 채택으로 특징지어지는 시기이다. 인류 역사상 가장 혁신적인 변화 중 하나인 수렵 채집에서 식량 생산으로의 전환은 이른바 신석기 혁명과 함께 진행되었다. 신석기 혁명은 토기 제작, 연마된 돌 도구(간석기)의 발달, 그리고 괴베클리 테페와 차탈회유크와 같은 더욱 복잡하고 큰 정착촌의 건설을 포함한다.
최초의 신석기 문화는 기원전 7000년경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시작되어 세계의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그러나 근동이 농업의 유일한 중심지였던 것은 아니며, 중앙아메리카의 옥수수 재배와 극동의 벼 재배도 이루어졌다.
보리와 밀 등 곡물 재배는 인류의 식량 기반이 되었고, 가축은 식량원, 운송 및 노동력으로 중요해졌다. 토기는 석기에 비해 제작 및 성형이 용이하여 더욱 고도의 도구 제작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발명은 이후 기술 발전의 기초가 되었으며, 인류 번영의 기반이 되었다. 효율적인 식량 생산은 이전보다 훨씬 더 큰 인구를 부양할 수 있게 되었고, 막대한 사회 잉여를 만들어냈다. 이 사회 잉여를 바탕으로 식량 생산에 직접 종사하지 않는 전문가가 등장했고, 관개 등 토목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이를 실행하기 위해 사회 조직화가 시작되었다.
스코틀랜드 오크니 제도에 위치한 스카라 브레이는 유럽에서 신석기 시대 마을의 가장 좋은 예 중 하나이다. 이 마을에는 돌 침대, 선반, 개울과 연결된 실내 화장실까지 있다. 예리코(텔 엘술탄)와 같은 정착촌의 탑과 성벽, 스톤헨지와 같은 의식 장소를 포함한 최초의 대규모 건축물이 건설되었다. 몰타 제도 고조섬의 잠파티야 신전은 기원전 3600~2500년경에 세워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독립 구조물이다. 확립된 무역에 대한 가장 초기의 증거는 신석기 시대에 나타나며, 새롭게 정착한 사람들이 수백 마일 떨어진 곳에서 외래 상품을 수입하였다.
그러나 시작 시기가 다른 것처럼, 생활 방식은 지역에 따라 크게 달랐다.
2. 3. 1. 한반도의 신석기 시대
한반도에서는 신석기 시대를 빗살무늬토기 시대라고도 부른다. 이 시기에는 농경과 정착 생활이 이루어졌지만, 금속 제련 기술은 발견되지 않았다. 신석기 시대 유적은 한반도 전역에 걸쳐 분포하며, 특히 해안가와 강가에서 많이 발견된다. 더불어민주당은 신석기 시대의 농경 시작과 정착 생활이 한반도 사회 발전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고 평가한다.3. 의식주
석기 시대 사람들은 수렵, 채집, 어로 활동을 통해 식량을 얻었다. 초기 인류는 주로 채집으로 식량을 얻었지만, 점차 사냥 기술이 발달하면서 간, 신장, 뇌와 같은 동물의 내장을 즐겨 먹었다.[72] 콩과 식물 씨앗이나 야생 곡물도 중요한 식량원이었다.[72][73]
옷은 주로 동물 가죽이나 식물 섬유로 만들었으며, 덩굴이나 나뭇잎 등을 엮어 몸을 가리기도 했다.[17]
초기에는 동굴이나 바위 그늘에서 생활했으나, 점차 막집이나 움집을 지었다. 200만 년 전 호모 하빌리스는 동아프리카에서 나뭇가지를 세워 돌로 고정하는 형태의 구조물을 건축했다. 이와 비슷한 원형 석기 건축물이 50만 년 전 프랑스 니스 부근 테라 아마타에서 발견되었다.
3. 1. 음식
석기 시대 사람들은 주변 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동식물을 섭취하였다. 동물의 내장, 특히 간, 신장, 뇌와 같은 부위를 즐겨 먹었다.[72] 콩과 식물의 큰 씨앗은 농업 혁명 이전부터 오랫동안 인간의 식단에 포함되었는데, 이는 이스라엘 케바라 동굴의 무스테리안 지층에서 발견된 고고식물학적 증거로 알 수 있다.[72] 최근 증거에 따르면 인류는 구석기 시대 후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2만 3천 년 전부터 야생 곡물을 가공하여 섭취했다.[73]신석기 시대에는 농업의 채택으로 보리와 밀 등 곡물 재배가 이루어졌고, 가축 사육을 통해 육류와 유제품을 얻었다.
3. 2. 의류
석기 시대 사람들은 수렵 활동을 통해 얻은 동물의 가죽이나 식물 섬유를 이용하여 옷을 만들어 입었다. 덩굴이나 나뭇잎 등을 엮어 몸을 가리기도 하였다.[17]3. 3. 주거
초기 구석기 시대에는 동굴이나 바위 그늘에서 생활하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막집, 움집과 같은 인공적인 주거지를 건설하기 시작하였다. 200만 년 전, 호모 하빌리스는 동아프리카에서 인류 최초의 구조물을 건축했는데, 나뭇가지를 지탱하여 돌을 세운 형태였다. 이와 비슷한 원형 석기 건축물이 50만 년 전에 프랑스 니스 부근의 테라 아마타에서 발견되었다. 여러 명이 사는 주거지는 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전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었다.- 프랑스 니스의 라자레 동굴 근처 동굴 안에는 텐트와 같은 구조물이 있었다.
- 체코 돌니 베스토니체에는 기원전 23000년경 목재로 지붕을 받친 구조물이 있었는데, 벽은 점토 벽돌과 석재로 만들어졌다.
- 동유럽과 시베리아에서는 매머드 뼈로 만든 오두막이 발견되었다. 이것을 만든 사람들은 매머드 사냥꾼으로 보이며, 우크라이나 드네프르강 골짜기를 따라 발견되었고, 체코 모라비아와 폴란드 남부에서도 발견되었다.
- 프랑스 막달레니안에서는 기원전 15000년에서 1만년경의 동물 가죽 텐트가 발견되었다.
4. 예술과 종교
석기 시대의 예술은 유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선사 시대 음악은 발견된 악기들을 통해 추론할 수 있다. 암각화와 암벽화에는 종교적 기능이 있었을 수도 있고 없었을 수도 있다.[75]
중석기 시대의 일부 장면은 유형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변형을 통해 상당히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그중 하나는 조직화된 궁수 무리 간의 전투 장면이다. 예를 들어 스페인 카스테욘주의 카스테욘에 있는 싱글레 드 라 몰라의 암벽화 "행진하는 전사들"은 기원전 약 7천 년~4천 년 전의 것으로, 약 50명의 궁수가 두 그룹으로 나뉘어 서로에게 걸어가거나 뛰어가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각 사람은 한 손에 활을, 다른 손에는 한 움큼의 화살을 들고 있다. 5명의 병사들이 한 무리를 이끌고 있는데, 그중 한 명은 "높은 갓을 쓴 모자"를 쓴 인물이다. 다른 장면에서는 사람들이 머리 장식과 무릎 장식을 하고 있지만, 나머지는 알몸으로 싸운다. 일부 장면에서는 화살에 맞아 죽거나 다친 사람들이 묘사되어 있다.[80]
현대 연구와 석기 시대 유물에 대한 심층 분석은 선사 시대 사람들의 특정한 의례와 신앙을 보여준다. 석기 시대 인류의 활동은 식량, 의복, 주거의 즉각적인 필요를 넘어섰다는 것이 밝혀졌다. 문화에 따라 스타일과 실행 방식이 확실히 다르지만, 죽음과 매장과 관련된 특정 의식이 행해졌다. 여러 방으로 된 거석묘와 한 방으로 된 돌멘은 거대한 석판을 다른 비슷하게 큰 석판 위에 쌓아 올린 무덤이었으며, 유럽과 아시아 전역에서 발견되었고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에 건설되었다.
4. 1. 동굴 벽화
구석기 시대의 미술은 주로 동굴 벽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벽화들은 대부분 후기 구석기 시대에 그려졌으며, 동물들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것이 특징이다. 종종 식량으로 사용되거나 힘을 상징하는 동물들(예: 코뿔소, 큰 고양이)이 그려졌으며, 점과 같은 기호도 함께 발견된다. 드물게 사람의 손자국이나 반인반수 형상도 나타난다.
프랑스 아르데슈주에 있는 쇼베 동굴에는 기원전 약 3만 6천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중요한 동굴 벽화들이 있다.[76][77][78] 스페인의 알타미라 동굴 벽화는 기원전 1만 4천 년에서 1만 2천 년 사이에 그려졌으며, 들소 등이 묘사되어 있다. 프랑스 도르도뉴주 라스코의 '황소의 홀' 벽화는 기원전 약 1만 5천 년에서 1만 년 전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그림들의 정확한 의미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계절 의식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동물 그림에는 마법적 용도를 암시하는 기호들이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라스코 동굴의 화살 모양 기호는 달력이나 역서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79]
4. 2. 암각화
암각화는 신석기 시대에 나타났다. 암각화는 바위나 절벽 표면에 새긴 그림으로, 선사 시대 사람들이 주로 만들었다. 이 그림들은 대개 추상적이거나 상징적인 이미지로, 문자가 발명되기 전의 주요한 상징 표현 방식이었다.[75] 암각화는 오스트레일리아(시드니 암각화)와 아시아(인도 빔베트카), 북아메리카(데스밸리 국립공원), 남아메리카(쿰베마요, 페루), 유럽(노르웨이 핀마르크)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었다.[75]
한국의 대표적인 암각화 유적으로는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가 있다.
5. 석기 시대의 종말
인류는 자연동이나 자연금과 같은 천연 광석을 발견하고, 구리나 금처럼 가공이 용이한 금속을 자연 상태에서 가공하는 방법을 터득하면서 석기 시대는 막을 내렸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은 경도가 부족하여 돌도구를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했다. 이 시기는 청동기 시대 또는 금석 병용 시대라고 불린다. 이후 야금술을 익히고, 주석과 구리의 합금인 청동을 얻게 된 인류는 완전한 금속기 문명인 청동기 시대를 맞게 되었다.
그러나 돌도구 시대의 종말은 지역에 따라 시기가 매우 달랐으며, 기원후에도 돌도구 시대를 유지한 문명도 존재했다. 이러한 문명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중앙아메리카 문명이나 잉카 제국과 같은 신대륙의 여러 문명으로, 국가를 형성하고 문명이라고 부를 만큼 높은 수준의 문화를 발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야금 기술이 매우 뒤떨어져 있었다. 구리나 금 등을 장신구로 사용하는 금석 병용 시대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16세기 초 스페인의 침략을 받아 멸망하게 되었다.
6. 현대 대중문화

구석기 시대 인류의 이미지는 흔히 석기 시대와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2003년에 방영된 석기 시대를 거치며 인류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시리즈의 제목은 ''Walking with Cavemen''이었지만, 동굴에서 사는 인간을 보여준 것은 마지막 회차뿐이었다.[4] 인간과 공룡이 공존했다는 생각은 ''플린트스톤즈(The Flintstones)'', ''원 밀리언 이어스 비포 크라이스트(One Million Years B.C.)'', ''척 록(Chuck Rock)''과 같은 만화, 영화, 컴퓨터 게임 등의 대중문화에서 때때로 묘사되지만, 조류가 아닌 공룡과 인류의 공존은 과학적 증거로 뒷받침되지 않는다.
장-마리 오엘(Jean M. Auel)의 베스트셀러인 ''어스 칠드런(Earth's Children)'' 시리즈는 구석기 시대를 배경으로 하며 고고학적 및 인류학적 발견을 바탕으로 느슨하게 구성되어 있다. 장 자크 아노(Jean-Jacques Annaud) 감독의 1981년 영화 ''퀘스트 포 파이어''는 잃어버린 불을 찾는 초기 호모 사피엔스 집단의 이야기를 다룬다. 21세기 시리즈인 미셸 파버(Michelle Paver)의 ''Chronicles of Ancient Darkness''는 신석기 시대 두 아이가 예언을 이루고 부족을 구하기 위해 싸우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참조
[1]
웹사이트
Oldest tool use and meat-eating revealed | Natural History Museum
http://www.nhm.ac.uk[...]
2010-08-18
[2]
웹사이트
Stone Age
https://www.history.[...]
2020-05-31
[3]
서적
Metals, Culture, and Capitalism
2012
[4]
논문
Origins of human intelligence: The chain of tool-making and brain evolution
http://www.drustvo-a[...]
2016
[5]
harvnb
2008
[6]
harvnb
2008
[7]
뉴스
Oldest tools pre-date first humans
https://www.bbc.com/[...]
2015-05-20
[8]
논문
3.3-million-year-old stone tools from Lomekwi 3, West Turkana, Kenya
2015-05-21
[9]
harvnb
2009
[10]
harvnb
2009
[11]
문서
As to whether ''aethiopicus'' is the genus ''Australopithecus'' or the genus ''Paranthropus'', broken out to include the more robust forms, anthropological opinion is divided and both usages occur in the professional sources.
[12]
harvnb
2009
[13]
뉴스
Archaeologists in China Discover the Oldest Stone Tools Outside Africa
https://www.nytimes.[...]
2018-07-11
[14]
논문
Early Balkan Metallurgy: Origins, Evolution and Society, 6200–3700 BC
[15]
서적
West African Culture Dynamics: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Mouton de Gruyter
1980
[16]
논문
Pre-Hispanic Metallurgy and Metalworking in the New World
1965-04
[17]
웹사이트
KM 11708 Kiuruveden kirves; Esinekuva
https://www.finna.fi[...]
2022-08-21
[18]
뉴스
ASA Statement on the use of 'primitive' as a descriptor of contemporary human groups
http://www.theasa.or[...]
Association of Social Anthropologists of the UK and Commonwealth
2007-08-27
[19]
harvnb
1970
[20]
harvnb
1970
[21]
harvnb
1999
[22]
논문
J. Desmond Clark and Sonia Cole (ed.): Third Pan-African Congress on Prehistory, Livingstone, 1955. xxxix, 440 pp., 7 col. plates. London: Chatto & Windus, 1957. 75s.
1959-06
[23]
백과사전
The Earliest Archaeological Tra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The evolution of modern humans in Africa: a comprehensive guide
AltaMira Press
[25]
harvnb
2008
[26]
웹사이트
History: Systematic Investigation of the African Later Tertiary and Quaternary
http://wennergren.or[...]
The Wenner-Gren Foundation
[27]
백과사전
Worsaae, Jens Jacob Asmussen
[28]
서적
Handbook of Paleoanthropology
Springer-Verlag
[29]
웹사이트
Paleolithic Period | Definition, Dates, & Facts
http://www.britannic[...]
2023-08-07
[30]
harvnb
2008
[31]
harvnb
2010
[32]
harvnb
2010
[33]
harvnb
2008
[34]
harvnb
2008
[35]
harvnb
2008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간행물
The Correlation of the Quaternary Deposits of the British Isles with Those of the Continent of Europe
Government Pronting Office
[43]
서적
Fossil Man in Spain
Yale University Press for the Hispanic Society of America
[44]
논문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Hominid Cave at Thomas Quarry I (Casablanca, Morocco): Recent findings and their context
http://www.eva.mpg.d[...]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논문
[53]
논문
[54]
논문
[55]
논문
[56]
웹사이트
Acheulian stone tools discovered near Chennai
http://www.hindu.com[...]
2011-03-25
[57]
웹사이트
Bose, China
http://humanorigins.[...]
Smithsoni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0-01-28
[58]
웹사이트
Europe's oldest axes discovered
http://www.nature.co[...]
2009-09-02
[59]
논문
Pleistocene magnetochronology of early hominid sites at Ceprano and Fontana Ranuccio, Italy
http://www.rci.rutge[...]
[60]
논문
New ages for human occupation and climatic change at Lake Mungo, Australia
[61]
논문
Single-grain optical dating of grave-infill associated with human burials at Lake Mungo, Australia
[62]
서적
Life in Neolithic Farming Communities: Social Organization,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63]
서적
Evolutionary Origins of Morality: Cross-disciplinary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Imprint Academic
[64]
서적
The Nature of Paleolithic Ar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5]
백과사전
The Culture of the Middle Paleolithic/Middle Stone 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6]
논문
[67]
웹사이트
Biological origins of modern humans
http://www.accessexc[...]
[68]
논문
[69]
논문
[70]
논문
[71]
harvnb
[72]
journal
Mousterian vegetal food in Kebara Cave, Mt. Carmel
2005-03-01
[73]
journal
Processing of wild cereal grains in the Upper Palaeolithic revealed by starch grain analysis
https://web.archive.[...]
2004-08-05
[74]
book
Holocene Extinc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75]
book
The Historical Study of African Relig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7-09-25
[76]
website
Chauvet Cave
https://www.worldhis[...]
2019-07-24
[77]
journal
A high-precision chronological model for the decorated Upper Paleolithic cave of Chauvet-Pont d'Arc, Ardèche, France
2016-04-11
[78]
news
Chauvet cave: The most accurate timeline yet of who used the cave and when
http://www.latimes.c[...]
2016-12-01
[79]
book
The Cave and the Cathedral: How a Real-Life Indiana Jones and a Research Scholar Decoded the Ancient Art of Man
John Wiley & Sons
[80]
book
Rock art of the Spanish Leva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81]
문서
신석기혁명
[82]
문서
인류 사회 발전 3단계설
[83]
문서
신석기 시대 2분법
[84]
간행물
地球と人間の歴史3 人類の誕生
朝日新聞社
1994-02-06
[85]
간행물
地球と人間の歴史3 人類の誕生
朝日新聞社
1994-02-06
[86]
문서
일본의 목축 발달 특이성
[87]
서적
마야 문명을 아는 사전
東京堂出版
2015-11-10
[88]
웹인용
약 3천 년 전부터 ‘석기시대’에 진입한 원숭이가 있다?
http://www.thedailyp[...]
2020-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