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양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양소는 생물이 생존과 성장에 필요한 물질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과 같은 주요 영양소와 비타민, 무기질과 같은 미량 영양소로 분류된다. 주요 영양소는 에너지 생산과 세포 구성에, 미량 영양소는 생체 조절에 관여한다. 필수 영양소는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외부 섭취가 필요하며, 조건부 필수 영양소는 특정 조건에서만 필요하다. 영양소 결핍과 과잉은 건강 문제를 야기하며, 식물은 토양과 공기로부터 다양한 영양소를 흡수한다. 생물은 먹이사슬 외에도 공생 관계를 통해 영양소를 얻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수 영양소 - 비타민
    비타민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유기 미량 영양소로, 체내에서 충분히 합성되지 않아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며, 에너지 생성에는 관여하지 않지만, 효소의 구성 성분으로 작용하여 신체 기능을 조절하고, 지용성과 수용성으로 나뉘며, 결핍 시 특정 질병을 유발할 수 있고, 과다 섭취 시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
  • 필수 영양소 - 리놀레산
    리놀레산은 18개의 탄소 사슬과 두 개의 시스 이중 결합을 가진 필수 불포화 지방산으로, 아라키돈산 생합성에 사용되며 식물성 기름 등에 풍부하고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에 기여하지만 과도한 섭취는 주의해야 한다.
  • 화학해양학 - 기후변화 완화
    기후변화 완화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과 흡수원 증진을 통해 지구 온난화를 억제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 효율 향상, 농업 및 산업 정책, 탄소 흡수원 강화, 이산화탄소 제거 기술 개발 등 다양한 조치로 지구 온도 상승을 제한하는 노력이다.
  • 화학해양학 - 바다눈
    바다눈은 해양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유기물과 무기물 입자들의 응집체로서, 탄소 순환 펌프 역할을 하고 심해 생물의 식량 자원이 되며 해양 생태계의 건강과 안정성에 기여한다.
영양소
기본 정보
설명생물이 생명을 유지하는 데 사용하는 물질
정의생명체가 생존, 성장, 번식을 위해 환경으로부터 얻는 물질
중요성생명체의 생존과 성장에 필수적
분류
주요 분류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기타 분류섬유소
피토케미컬
항산화제
섭취
방법섭취
소화
흡수
대사
필요량생물 종
생리 상태
활동 수준에 따라 다름
부족 시영양 결핍 및 질병 초래 가능
과다 섭취 시건강 문제 및 질병 유발 가능
식물 영양소
주요질소

칼륨
미량
망간
붕소
아연
구리
몰리브덴
니켈
인간 영양소
필요 영양소필수 아미노산
필수 지방산
비타민
무기질
기타 정보
참고 문헌Foods & nutrition encyclopedia
岩波生物学事典

2. 주요 영양소

주요 영양소는 다량으로 필요한 영양소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은 신체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신체 조직을 구성하며, 생리 기능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간이 가장 많이 섭취하고 대량의 에너지를 제공하는 화합물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으로 분류된다.[2] 에탄올은 필수 영양소는 아니지만 열량을 제공한다.[4]

주요 영양소의 1g당 열량[5]
생체 분자1g당 킬로칼로리
단백질4
탄수화물4
에탄올7[4]
지방9



에탄올(C2H5OH)은 필수 영양소는 아니지만, 그램당 약 7kcal의 식품 에너지를 제공한다.[34]

2. 1. 탄수화물

탄수화물은 여러 종류의 으로 구성된 화합물이다. 당 단위의 수에 따라 단당류(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자당, 유당 등), 올리고당, 다당류(녹말, 글리코겐, 셀룰로스 등)로 분류된다.[3]

탄수화물 1g당 킬로칼로리는 아래 표와 같다.[5]

생체 분자1g당 킬로칼로리
탄수화물4


2. 2. 단백질

단백질은 아미노산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유기 화합물이다. 신체 조직의 구성 요소이며, 소화 효소 등의 형태로 생리 기능을 조절한다.[54] 사람은 체내에서 일부 아미노산을 만들 수 없으므로(필수 아미노산) 식사를 통해 섭취해야 한다. 단백질은 소화 과정에서 프로테아제에 의해 분해되어 자유 아미노산으로 돌아간다.[2]

단백질 1g당 열량은 다음과 같다.

1g당 킬로칼로리
4



한국 사회에서는 과거 단백질 섭취가 부족했으나, 최근 육류 소비 증가 등으로 인해 단백질 과잉 섭취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2. 3. 지방

지방글리세롤 한 분자와 세 개의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을 하고 있는 유기 화합물이다.[2] 지방산은 가지가 없는 탄화수소 사슬에 -COOH기가 붙어 있으며, 단일 결합만으로 연결된 경우(포화 지방산)와 이중 결합과 단일 결합 모두로 연결된 경우(불포화 지방산)가 있다.[2] 지방은 세포막의 구성 및 유지, 안정적인 체온 유지, 피부와 모발 건강 유지에 필요하다.[2] 신체는 특정 지방산(필수 지방산)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식단을 통해 섭취해야 한다.[2]

1g당 킬로칼로리[5]
생체 분자킬로칼로리
지방9



지방은 1g당 9kcal (약 37.7kJ)의 에너지를 낸다.[55]

3. 미량 영양소

미량 영양소는 신진대사를 지원하며, 생애 전반에 걸쳐 다양한 양으로 필요하고, 생리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영양소이다.[6][7] 식이 무기질은 구리과 같은 미량 원소, 염, 이온 등을 포함하며, 이 중 일부는 인간의 신진 대사에 필수적이다. 비타민은 마이크로그램(µg) 또는 밀리그램(mg) 단위로 필요한 유기 화합물이다.[9] 미네랄은 철이나 구리 등이 해당하며, 보효소나 보조인자로 작용하는 유기물질은 생합성에서 부족할 경우 비타민으로 섭취된다. 은 생명이 일으키는 모든 화학 반응의 용매이며, 배설된 양은 섭취를 통해 보충된다.

3. 1. 비타민

비타민은 신체 내에서 다양한 생화학 반응에 관여하는 유기 화합물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신체의 다양한 단백질과 탄수화물, 지방 대사에 대한 조효소 또는 보조 인자로 작용하기 때문에 중요하다.[9] 각 비타민은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며, 결핍 시 특정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9] 비타민은 비타머(vitamer)라고 알려진 다양한 관련 형태로 존재한다. 특정 비타민의 비타머는 그 비타민의 기능을 수행하고 그 비타민 결핍 증상을 예방한다. 비타민은 아미노산이나 지방산으로 분류되지 않는 필수 유기 분자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효소 보조인자로, 신진대사 조절 물질로, 또는 항산화제로 기능한다. 사람은 식단에서 13가지 비타민이 필요하며, 대부분은 실제로 관련 분자들의 그룹이다(예: 비타민 E에는 토코페롤토코트리에놀이 포함됨):[20]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 티아민(B1), 리보플라빈(B2), 나이아신(B3), 판토텐산(B5), 피리독신(B6), 비오틴(B7), 엽산(B9), 그리고 코발라민(B12). 비타민 D의 요구량은 조건부이며, 태양이나 인공 광원으로부터 충분한 자외선에 노출되는 사람들은 피부에서 비타민 D를 합성한다.[21]

영양소U.S. EAR[69]최고 U.S.
RDA 또는 AI[69]
최고 EU
PRI 또는 AI[70]
U.S.[69]EU[71]일본[72]단위
비타민 A62590013003000ND2700µg
비타민 C75901552000NDNDmg
비타민 D101515100100100µg
비타민 KNE12070NDNDNDµg
알파토코페롤 (Vit E)1215131000300650-900mg
티아민 (Vit B1)1.01.20.1 mg/MJNDNDNDmg
리보플라빈 (Vit B2)1.11.32.0NDNDNDmg
나이아신* (Vit B3)12161.6 mg/MJ351060-85mg
판토텐산 (Vit B5)NE57NDNDNDmg
Vitamin B61.11.31.81002540-60mg
바이오틴 (Vit B7)NE3045NDNDNDµg
엽산 (Vit B9)32040060010001000900-1000µg
비타민 B12 (Vit B12)2.02.45.0NDNDNDµg


  • ND = Not Determined. 상한선(UL)이 결정되지 않음

3. 2. 무기질 (미네랄)

무기질(미네랄)은 식이 무기질이라고도 하며, 신체를 구성하고, 체액의 균형을 유지하며, 신경 기능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영양소이다. 무기질은 지구에 존재하는 원소로, 생명체가 자체적으로 합성할 수 없다. 따라서 식물을 직접 섭취하거나, 식물을 섭취한 동물을 통해 간접적으로 섭취해야 한다.[8]

인간에게 필수적인 영양소인 미량 원소는 섭취 권장량(질량 기준) 순서대로 칼륨, 염소, 나트륨, 칼슘, , 마그네슘, , 아연, 망가니즈, 구리, 요오드, 크로뮴, 몰리브데넘, 셀레늄이다. 코발트는 필수 비타민 B12의 구성 성분이다.

다음은 주요 무기질의 종류와 섭취량에 대한 표이다.

영양소U.S. EAR[69]최고 U.S.
RDA 또는 AI[69]
최고 EU
PRI 또는 AI[70]
U.S.[69]EU[71]일본[72]단위
칼슘80010001000250025002500mg
염화 이온NE2300NE3600NDNDmg
크로뮴NE35NENDNDNDµg
구리700900160010000500010000µg
플루오린화물NE43.4107mg
아이오딘9515020011006003000µg
618 (여성)
8 (남성)
16 (남성)
11 (여성)
45ND40-45mg
마그네슘350420350350250350mg
망가니즈NE2.33.011ND11mg
몰리브데넘3445652000600450-550µg
5807006404000ND3000mg
칼륨NE47004000NDND2700-3000mg
셀레늄455570400300330-460µg
나트륨NE1500NE2300ND3000-3600mg
아연9.41116.3402535-45mg


  • '''EAR''' : 미국 추정 평균 필요량 (U.S.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 '''RDA''' : 미국 권장 섭취량 (U.S.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 '''AI''' : 미국 충분 섭취량 (U.S. Adequate Intake).
  • '''PRI''' : 인구 참조 섭취량 (Population Reference Intake).
  • '''ND''' : 결정되지 않음 (Not Determined). 상한선(UL)이 결정되지 않음.
  • '''NE''' : 설정되지 않음 (Not yet been Established). EAR, PRI, AI가 확정되지 않았거나 확정되지 않을 예정.

4. 필수 영양소와 조건부 필수 영양소

필수 영양소는 정상적인 생리 기능에 반드시 필요하지만, 우리 몸에서 전혀 만들어지지 않거나 충분한 양이 만들어지지 않아 음식을 통해 꼭 섭취해야 하는 영양소이다.[10][11] 사람에게 필수적인 영양소로는 9가지 아미노산, 2가지 지방산, 13가지 비타민, 15가지 무기질콜린이 있다.[13]

특정 발달 단계나 질병 상태에서는 조건부 필수 영양소가 필요하다.[13][14][15] 미숙아로 태어났거나, 영양 섭취가 부족하거나, 급격하게 성장하는 시기, 또는 특정 질병을 앓고 있을 때는 이노시톨, 타우린, 아르기닌, 글루타민, 뉴클레오티드와 같은 조건부 필수 영양소가 특히 중요해진다.[14]

콜린은 필수 영양소이며,[22][23][24] 수용성 4차 암모늄 화합물 계열에 속한다.[25][26] 콜린은 아미노 작용기에 3개의 메틸기가 붙은 에탄올아민으로 구성된다.[27] 콜린이 부족한 식단을 섭취한 건강한 사람들은 지방간, 간 손상, 근육 손상 등을 겪는다. 이전에는 인체가 포스파티딜콜린 대사를 통해 소량의 콜린을 만들 수 있어 필수 영양소로 분류되지 않았었다.[28]

4. 1. 필수 아미노산

필수 아미노산은 생물체에 필요하지만 생체 내에서 합성될 수 없어 식단을 통해 섭취해야 하는 아미노산이다. 단백질을 생성하는 20가지 표준 아미노산 중 페닐알라닌, 발린, 트레오닌, 트립토판, 메티오닌, 류신, 이소류신, 라이신, 히스티딘의 9가지 아미노산은 인간이 자체적으로 합성할 수 없다.[16][17]

4. 2. 필수 지방산

필수 지방산(EFA)은 인체 건강에 필요하지만 체내에서 지방산생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섭취해야 하는 지방산이다.[18] 인간에게 필수적인 지방산은 알파-리놀렌산(ω-3 지방산)과 리놀레산(ω-6 지방산) 두 가지뿐이다.[19]

5. 영양소 결핍과 과잉

영양소 결핍은 특정 영양소의 섭취가 부족하거나 몸에서 제대로 흡수하지 못할 때 발생하며, 여러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1] 이러한 결핍은 단순히 영양소 섭취가 부족해서 발생할 수도 있지만, 몸 안에서 영양소 흡수에 문제가 생기거나, 필요 이상으로 영양소를 많이 사용하게 되거나, 영양소가 파괴되거나, 몸 밖으로 너무 많이 배출되는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1]

반대로, 영양소 과잉은 특정 영양소를 너무 많이 섭취해서 몸에 해로운 영향을 주는 상태를 말한다.[41]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필수 영양소의 권장 섭취량을 정할 때, '개인의 영양 상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 수준'을 기준으로 한다.[42] 이는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서 사용하는 '식이 부족으로 인한 병리학적 증상을 예방하는 데 필요한 섭취량'과는 약간 다르다.[42]

각 나라의 정부 기관들은 인체 영양 지침을 만들 때, 결핍을 피하기 위해 필요한 영양소의 양과 독성 위험을 피하기 위한 최대 섭취량에 대해 항상 같은 의견을 내는 것은 아니다.[43][44][45] 예를 들어, 비타민 C의 하루 권장 섭취량은 인도에서는 40mg[46]이지만, 유럽 연합에서는 155mg[47]으로 차이가 있다.

다음 표는 미국, 유럽 연합, 일본에서 권장하는 영양소 섭취량과 안전한 최대 섭취량을 비교한 것이다.

영양소미국 EAR[43]미국 최고
RDA 또는 AI[43]
EU 최고
PRI 또는 AI[47]
상한 섭취량단위
미국[43]EU [44]일본[45]
비타민 A6259001300300030002700μg
비타민 C75901552000NDNDmg
비타민 D101515100100100μg
비타민 KNE12070NDNDNDμg
α-토코페롤 (비타민 E)1215131000300650–900mg
티아민 (비타민 B1)1.01.20.1 mg/MJNDNDNDmg
리보플라빈 (비타민 B2)1.11.32.0NDNDNDmg
니아신*12161.6 mg/MJ351060-85mg
판토텐산 (비타민 B5)NE57NDNDNDmg
비타민 B61.11.31.81002540-60mg
비오틴 (비타민 B7)NE3045NDNDNDμg
엽산 (비타민 B9)32040060010001000900-1000μg
코발라민 (비타민 B12)2.02.45.0NDNDNDμg
콜린NE5505203500NDNDmg
칼슘80010001000250025002500mg
염화물NE2300NE3600NDNDmg
크롬NE35NENDNDNDμg
구리700900160010000500010000μg
불소NE43.4107mg
요오드9515020011006003000μg
618 (여성)
8 (남성)
16 (여성)
11 (남성)
45ND40-45mg
마그네슘*350420350350250350mg
망간NE2.33.011ND11mg
몰리브데넘3445652000600450-550μg
5807006404000ND3000mg
칼륨NE47004000NDND2700-3000mg
셀레늄455570400300330-460μg
나트륨NE1500NE2300ND3000-3600mg
아연9.41116.3402535-45mg


  • 니아신과 마그네슘의 경우, 권장량보다 상한 섭취량이 더 높은 경우가 있는데, 이는 영양 보충제를 한 번에 섭취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고려한 것이다. 상한 섭취량을 초과하는 마그네슘 보충제는 설사를 유발할 수 있고, 니아신 보충제는 얼굴이 붉어지고 몸이 따뜻해지는 느낌을 유발할 수 있다.[43][44]

  • EAR: 미국 추정 평균 요구량
  • RDA: 미국 권장 섭취량 (성인은 어린이보다 높고, 임신 또는 수유 중인 여성은 더 높을 수 있음)
  • AI: 미국 적정 섭취량 (EAR과 RDA를 설정할 충분한 정보가 없을 때 설정)
  • PRI: 유럽 연합 인구 기준 섭취량 (RDA와 유사, 성인은 어린이보다 높고, 임신 또는 수유 중인 여성은 더 높을 수 있음. 티아민과 니아신은 섭취하는 식품 에너지 1메가줄(239킬로칼로리)당 양으로 표시)
  • 상한 섭취량: 내성 상한 섭취량
  • ND: 상한 섭취량이 결정되지 않음
  • NE: EAR, PRI 또는 AI가 아직 설정되지 않았거나 설정되지 않을 예정 (EU는 크롬을 필수 영양소로 간주하지 않음)

6. 영양소와 공생

먹이사슬


다른 생물을 포식하거나 사체를 섭취함으로써 종속영양생물은 유기 영양소의 공급원을 얻는다.

이러한 “먹고 먹히는” 관계 외에도 생물이 영양소를 얻는 관계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공생 생물의 산물을 영양소로 하는 영양 공생이 알려져 있으며, 콩과식물과 뿌리혹박테리아의 관계가 있다. 이 뿌리혹에 의한 질소고정은 세계 경제에 연간 100억달러 상당의 합성 질소 비료를 절약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62]

또한 종속영양생물에서 소화 공생이라고 불리는 관계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흰개미류는 자신의 소화 작용이 아니라 후장에 서식하는 원생동물의 편모충류(Trichonympha, Trichomonas 등)나 세균이 목질을 분해한 생성물이나 부후균이 분해한 식물성 물질을 영양소로 이용한다. 또는 초식 동물에서는 반추위에 서식하는 세균이나 원생동물의 섬모충 등 다종의 미생물이 먹이에 포함된 셀룰로스녹말을 영양소로 증식하고 있다. 이들 미생물 자체를 소화하거나 대사산물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셀룰로스의 분해산물인 탄화수소뿐만 아니라 대사에 의해 생산되는 저급 지방산, 요소 등의 비단백질태 질소가 동화된 단백질, 또는 미생물이 탄수화물로부터 생성하는 저급 지방산 등을 영양소로 이용함으로써 에너지원·탄소원의 대부분을 충당하고 있다. 또한 비타민류도 미생물로부터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63][64][65][66]

7. 식물 영양소

식물은 공기와 토양에서 이산화탄소와 물의 형태로 탄소, 수소, 산소를 흡수한다.[50] 다른 영양소는 토양에서 흡수되는데(일부 기생 식물이나 육식 식물은 예외), 식물에는 17가지의 중요한 영양소가 있다.[51] 질소(N), (P), 칼륨(K), 칼슘(Ca), (S), 마그네슘(Mg), 탄소(C), 산소(O), 수소(H)는 다량 영양소이고, (Fe), 붕소(B), 염소(Cl), 망간(Mn), 아연(Zn), 구리(Cu), 몰리브덴(Mo), 니켈(Ni)은 미량 영양소이다. 탄소, 수소, 산소 외에도 질소, , 은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필요하다. "빅 식스"는 모든 생물체의 필수 '''다량 영양소'''이다.[52]

이들은 이산화탄소, , 질산염, 인산염, 황산염, 질소의 이원자 분자 및 특히 산소와 같은 무기물과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과 같은 유기물에서 얻는다.

농작물과 같은 식물종에서는 탄소, 수소, 산소, 인, 칼륨, 질소, 황, 칼슘, 철, 마그네슘이 주요 영양소에 포함된다.[67] 특정 작물에 따라서는 염소, 구리, 아연, 몰리브덴 등이 주요 영양소에 포함되는 경우가 있지만, 다른 많은 식물의 경우에는 미량 영양소에 포함된다.

식물 영양소가 환경 중에 과잉 공급되면 녹조류의 대량 발생 등을 초래한다. 부영양화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생물 개체 수와 미량으로 충분한 영양소의 불균형이 발생한다. 그렇게 되면 더 이상 환경 중의 생물 군집에게는 과잉 공급된 영양소가 유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야간에는 적조가 어류가 호흡하는 산소를 소모해 버린다. 이러한 영양소는 하수나 (비료를 과다 살포한) 농장에서 나오는 배수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질소와 인이 식물의 성장을 제한하는 요인이며, 인위적으로 환경 중에 방출되면 부영양화를 일으킨다.

참조

[1] 서적 Foods & nutritio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0-10-12
[2] 서적 CRC desk reference on sports nutrition https://archive.org/[...] CRC Press 2010-10-12
[3] 웹사이트 31.1C: Essential Nutrients for Plants https://bio.libretex[...] 2020-08-16
[4] 웹사이트 Composition of Foods Raw, Processed, Prepared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Release 26 Documentation and User Guide http://www.ars.usda.[...] USDA 2013-08-01
[5] 웹사이트 Chapter 3: Calculation Of The Energy Content Of Foods – Energy Conversion Factors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7-03-30
[6] 논문 Micronutrient deficiencies in pregnancy worldwide: Health effects and prevention
[7] 논문 Nutrient intake,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with aging
[8] 웹사이트 Minerals http://lpi.oregonsta[...] Micronutrient Information Center, Linus Pauling Institute, Oregon State University 2023-05-18
[9] 웹사이트 Vitamins http://lpi.oregonsta[...] Micronutrient Information Center, Linus Pauling Institute, Oregon State University 2023-05-18
[10] 웹사이트 What is an essential nutrient? http://library.med.u[...] NetBiochem Nutrition, University of Utah
[11] 서적 The new Oxford book of food plan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10-10-13
[12] 논문 Water as an essential nutrient: the physiological basis of hydration http://www.nature.co[...] 2010-02-01
[13] 논문 Deficiencies of essential and conditionally essential nutrients 1982-05-01
[14] 서적 Neonatal Nutrition and Metabo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1-01
[15] 논문 Supplemental conditionally essential nutrients in cardiovascular disease therapy 2006-01-01
[16] 논문 Adult amino acid requirements: the case for a major revision in current recommendations http://jn.nutrition.[...] 1994-08-01
[17] 웹사이트 Dietary Reference Intakes: The Essential Guide to Nutrient Requirements http://fnic.nal.usda[...] Institute of Medicine's Food and Nutrition Board 2014-07-14
[18] 서적 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https://archive.org/[...] Lea and Febinger
[19] 서적 Understanding Nutrition Thomson Wadsworth
[20] 논문 Vitamin E: function and metabolism 1999-07-01
[21] 웹사이트 Vitamin D https://lpi.oregonst[...] Micronutrient Information Center, Linus Pauling Institute, Oregon State University, Corvallis 2022-03-14
[22] 웹사이트 Dietary Intakes of Choline https://www.ars.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1-05-08
[23] 웹사이트 Choline https://ods.od.nih.g[...]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1-05-08
[24] 논문 Choline: an essential nutrient for public health 2009-11-01
[25] 백과사전 Choline http://www.hmdb.ca/m[...] The Metabolomics Innovation Centre,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Canada 2016-09-13
[26] 백과사전 choline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2-02-17
[27] 웹사이트 PubChem Compound Summary for CID 305, Choline https://pubchem.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22-02-17
[28] 웹사이트 Choline https://lpi.oregonst[...] Oregon State University 2021-05-08
[29] 웹사이트 High-Fiber Diet - Colon & Rectal Surgery Associates http://www.colonrect[...] 2020-08-16
[30] 논문 Revealing the bacterial butyrate synthesis pathways by analyzing (meta)genomic data 2014-04-01
[31] 논문 Microbial degradation products influence colon cancer risk: the butyrate controversy 2004-02-01
[32] 논문 Prebiotic digestion and fermentation 2001-02-01
[33] 논문 Prebiotics and the health benefits of fiber: current regulatory status, future research, and goals 2012-05-01
[34] 논문 Relationships between nutrition, alcohol use, and liver disease https://pubs.niaaa.n[...] 2004-09-29
[35] 웹사이트 What We Eat in America, NHANES 2013-2014 https://www.ars.usda[...]
[36] 웹사이트 Phytochemicals http://lpi.oregonsta[...] Micronutrient Information Center, Linus Pauling Institute, Oregon State University, Corvallis, OR 2017-12-31
[37] 웹사이트 Carotenoids http://lpi.oregonsta[...] Micronutrient Information Center, Linus Pauling Institute, Oregon State University, Corvallis, OR 2017-12-31
[38] 웹사이트 Flavonoids http://lpi.oregonsta[...] Micronutrient Information Center, Linus Pauling Institute, Oregon State University, Corvallis, OR 2017-12-31
[39] 웹사이트 Nutrient content claims--general principles; 21CFR101.13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7-12-31
[40] 웹사이트 New Roles for Polyphenols. A 3-Part Report on Current Regulations and the State of Science http://www.nutraceut[...] Nutraceuticals World 2009-03-01
[41] 논문 Nutrient toxicity 1981-06-01
[42] 서적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Vitamin C, Vitamin E, Selenium, and Carotenoids Institute of Medicine, US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 2017-12-31
[43] 웹사이트 Dietary Reference Intakes (DRIs) http://www.nationala[...] Food and Nutrition Board, Institute of Medicine, National Academies
[44] 간행물 Tolerable Upper Intake Levels For Vitamins And Minerals http://www.efsa.euro[...]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45] 간행물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Japanese (2010) http://www.nibiohn.g[...]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and Nutrition, Japan
[46] 웹사이트 Nutrient Requirements and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Indians: A Report of the Expert Group of the Indian Council of Medical Research. pp.283-295 (2009) https://web.archive.[...] 2017-12-31
[47] 웹사이트 Overview on Dietary Reference Values for the EU population as derived by the EFSA Panel on Dietetic Products, Nutrition and Allergies https://www.efsa.eur[...]
[48] 서적 Understanding Nutrition, 10th edition Thomson-Wadsworth
[49] 서적 Nutrition: Concepts and Controversie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0-10-12
[50] 서적 Plant nutrition manual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0-10-14
[51] 서적 Handbook of plant nutri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0-08-17
[52] 뉴스 New Link in Chain of Life https://www.wsj.com/[...] Wall Street Journal 2010-12-05
[53] 서적 広辞苑第五版
[54] 서적 岩波生物学事典 岩波書店
[55]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56] 서적 岩波理化学辞典 岩波書店
[57] 웹사이트 日本人の食事摂取基準について https://www.mhlw.go.[...] 日本国 厚生労働省
[58] 일반
[59] 서적 岩波理化学辞典 岩波書店
[60]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61]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62] 논문 Pesticides reduce symbiotic efficiency of nitrogen-fixing rhizobia and host plants
[63] 서적 岩波生物学事典 第4版CD-ROM版 岩波書店
[64] 서적 岩波生物学事典CD-ROM版
[65]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66]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67] 일반
[68]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69] 웹인용 Dietary Reference Intakes (DRIs) http://www.nationala[...] Food and Nutrition Board, Institute of Medicine, National Academies
[70] 웹인용 Overview on Dietary Reference Values for the EU population as derived by the EFSA Panel on Dietetic Products, Nutrition and Allergies https://www.efsa.eur[...]
[71] 간행물 Tolerable Upper Intake Levels For Vitamins And Minerals http://www.efsa.euro[...]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72] 간행물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Japanese (2010) http://www.nibiohn.g[...]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and Nutrition, Jap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