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위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탕위안(湯圓)은 찹쌀가루로 둥글게 빚어 끓여 먹는 중국의 전통 음식이다. 탕위안은 중국 북부에서는 '원소'(元宵)로 불리며, 찹쌀 경단 안에 다양한 소를 넣어 먹는 것이 특징이다. 탕위안은 가족의 결속과 행복을 상징하며, 정월 대보름(원소절)에 먹는 풍습이 있다. 탕위안은 지역에 따라 제조법, 속 재료, 조리법 등이 다르며, 한국의 경단, 일본의 다이후쿠모치 등과 유사한 음식으로도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절 음식 - 팥죽
팥죽은 팥을 주재료로 하여 붉은색이 악귀를 물리친다는 믿음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동지에 먹는 한국의 전통 음식이다. - 명절 음식 - 팬케이크
팬케이크는 밀가루, 달걀 등을 반죽하여 굽는 음식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와 조리법이 존재하며, 아침 식사, 간식, 디저트 등으로 즐겨 먹는다. - 쌀 요리 - 바인 짱
바인 짱은 쌀가루와 타피오카 전분 등을 주재료로 하여 만든 베트남의 얇은 전병으로, 반짱을 기본으로 튀김, 구이, 샐러드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며, 반짱 메, 반짱 몽, 반짱 푀스엉 등 여러 종류가 있다. - 쌀 요리 - 당고
당고는 쌀가루 반죽을 둥글게 빚어 꼬치에 꿰어 먹는 일본의 전통 경단으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일본 문화에서 실용성을 중시하는 것을 비유하는 표현에도 사용된다. - 중국의 후식 - 훙더우탕
훙더우탕은 팥을 주재료로 하여 달콤하게 만든 중국의 전통 디저트로, 다양한 재료를 추가하여 만들 수 있으며 한국의 팥죽과 유사하지만 쌀 외의 재료를 넣어 변형하는 것이 특징이다. - 중국의 후식 - 커스터드 타르트
커스터드 타르트는 커스터드를 주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타르트의 일종으로, 중세 시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으며, 세계 각국에서 각기 다른 스타일로 발전해 왔다.
| 탕위안 - [음식]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다른 이름 | 위안샤오 |
| 국가 | 중국 |
| 지역 | 동아시아 |
| 주요 재료 | 찹쌀가루 |
| 변형 | 재료와 방법이 다른 지역별 변형 |
| 전통 | 위안샤오 (정월 대보름) 기간에 전통적으로 섭취 |
| 중국어 정보 | |
| 간체 | 汤圆 |
| 뜻 | 탕 볼 |
| 로마자 표기법 (한어 병음) | tāngyuán |
| 로마자 표기법 (예일) | tōngyún |
| 로마자 표기법 (광둥어) | tong1 jyun2 |
| 오어 로마자 표기법 | thaon yeu |
| 다른 이름 | 위안샤오 |
| 다른 이름 간체 | 元宵 |
| 다른 이름 로마자 표기법 (한어 병음) | yuánxiāo |
| 다른 이름 로마자 표기법 (POJ) | gôan-siau |
| 다른 이름 로마자 표기법 (광둥어) | jyun4 siu1 |
| 다른 이름 로마자 표기법 (예일) | yùhnsīu |
| 다른 이름 (호키엔어) | / |
| 다른 이름 (호키엔어 간체) | 圆仔/米圆 |
| 다른 이름 로마자 표기법 (POJ) | îⁿ-á/bí-îⁿ |
| 다른 이름 (우어) | / |
| 다른 이름 (우어 간체) | 汤团 |
| 다른 이름 로마자 표기법 (한어 병음) | tāngtuán |
| 다른 이름 오어 로마자 표기법 | thaon deu |
| 추가 정보 | |
| 관련 행사 | 동지 |
2. 유래 및 역사
탕위안(湯圓)은 찹쌀가루로 만든 중국의 전통 음식으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1] 주로 음력 1월 15일인 원소절에 가족의 화합과 행복을 기원하며 먹는 풍습이 있다.[1]
탕위안을 먹는 풍습은 2,000년 이상 이어져 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 그 기원에 대해서는 한나라 한무제 시대 궁녀 '원소'(元宵)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진다.[5] 역사적으로는 당나라와 송나라 시대를 거치며 오늘날과 유사한 형태의 음식이 기록에 나타나기 시작했다.[6]
명나라 시대 이후 북부 지역에서는 원소절에서 이름을 딴 '원소(元宵)'라는 명칭이, 남부 지역에서는 '탕위안(湯圓)'이라는 명칭이 주로 사용되었다. '탕위안'은 글자 그대로 '국물(湯) 속의 둥근(圓) 것'을 의미하며, 음식의 형태와 조리 방식을 나타낸다. 신해혁명 이후 원세개와 관련된 일화로 인해 남부에서 '탕위안' 명칭이 더 널리 퍼졌다는 이야기도 있다.[7][8] 오늘날에도 '원소'는 북부식, '탕위안'은 남부식 찹쌀 경단을 가리키는 경향이 있으며, 만드는 방식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9]
2. 1. 명칭의 유래
탕위안(湯圓)을 먹는 풍습은 중국에서 2,000년 이상 이어져 왔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1] 탕위안이라는 이름 자체는 글자 그대로 '탕(湯)'은 국물을, '위안(圓)'은 둥글다는 뜻을 가지고 있어, 음식의 형태와 물에 끓여 먹는 조리 방식을 나타낸다.
역사적으로 당나라와 오대 십국 시대에는 정월 대보름에 '국수 누에'나 '모서리가 없는 둥근 만두'와 같은 음식을 먹었으며, 남송 시대에는 '유제품 만두'가 등장했다. 명나라 시대의 시에는 "어둠 속 구름에 별이 빛나고, 탁한 물에 진주가 뜬다"는 구절이 있는데, 이는 찹쌀 경단의 모습을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음식들이 오늘날 탕위안의 원형으로 여겨진다.[6]
명나라 영락제 시대부터 중국 북부 지역에서는 이 음식을 '''원소'''(元宵)라고 불렀다. '원소'는 '정월 대보름'을 뜻하는 말로, '원(元중국어)'은 첫 번째, '소(宵중국어)'는 밤을 의미한다. 지금도 중국 북부에서는 '원소'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반면, 타이완을 포함한 중국 남부 지역에서는 주로 '''탕위안'''(湯圓) 또는 '''탕투안'''(湯團)이라고 부른다. 특히 하카어나 광둥어 사용자들은 '탕위안'이라는 명칭을 주로 사용한다.[2] 남부에서 '탕위안'이라는 이름이 널리 쓰이게 된 배경에는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의 총통이 된 원세개와 관련된 일화가 전해진다. 원세개는 '원소(元宵)'라는 이름이 자신의 성씨인 '원(袁)'과 음이 같고, '소(宵)'가 '소멸하다(消)'와 발음이 비슷하여 '위안스카이를 소멸시킨다(袁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고 여겨 이를 매우 불쾌하게 생각했다고 한다. 그래서 1913년 원소절부터 '원소' 대신 '탕위안(湯圓)'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도록 강제했다는 설이 있다.[7][8]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탕위안'은 남부식, '원소'는 북부식 찹쌀 경단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며, 두 음식은 주로 만드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9]
2. 2. 역사적 발전
탕위안(湯圓)을 먹는 풍습은 2,000년 이상 이어져 왔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려왔다.[1] 탕위안의 '탕'(湯)은 국물을, '위안'(圓)은 둥글다는 뜻을 지니고 있어, 음식이 둥근 형태이며 국물과 함께 먹거나 물에 삶아 먹는 조리법을 나타낸다.탕위안의 유래에 관한 전설 중 하나는 한(漢) 무제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궁궐에는 '원소'(元宵)라는 이름의 궁녀가 있었는데, 오랫동안 궁궐에 갇혀 지내며 부모님을 몹시 그리워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동방삭은 꾀를 내어 한무제에게 정월 대보름날, 옥황상제의 명을 받은 화신(火神)이 장안을 불태우려 한다는 거짓 보고를 올렸다. 재앙을 피할 방법은 오직 원소 궁녀가 화신이 좋아하는 찹쌀 경단을 많이 만들고, 온 백성이 등불을 밝혀 제사를 지내는 것뿐이라고 하였다. 한무제가 이를 허락하면서 원소 궁녀는 마침내 가족과 다시 만날 수 있었고, 이때부터 정월 대보름을 원소절(元宵節, 등불 축제)이라 부르며 탕위안을 먹는 풍습이 시작되었다고 전해진다.[5]
당나라와 오대 십국 시대에는 정월 대보름에 '면견'(麵繭, 국수 누에) 또는 '원처각자'(圓處角子, 모서리 없는 둥근 만두)와 같은 음식을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남송 시대에는 '유원자'(乳圓子, 유제품 만두)가 등장했으며, 당시의 한 시에는 “어둠 속 구름에 별이 빛나고, 탁한 물에 진주가 뜬다(有朶深浮雲,有珠潛濁水)”와 같이 탕위안의 모습을 묘사하는 듯한 구절이 남아있다. 이러한 음식들은 오늘날 탕위안의 원형으로 여겨진다.[6]
명나라 영락제 시대에 이르러 중국 북부에서는 이 음식을 '원소'(元宵)라고 부르기 시작했는데, 이는 '첫 번째'(元) '밤'(宵)이라는 뜻으로 정월 대보름인 원소절을 의미한다. 오늘날에도 중국 북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원소'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타이완을 비롯한 중국 남부 지역에서는 '탕위안'(湯圓) 또는 '탕투안'(湯團)이라는 명칭을 주로 사용한다. 하카어와 광둥어에서는 '탕위안'으로 발음한다.[2] 특히 '탕위안'이라는 이름이 널리 쓰이게 된 배경에는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의 총통이 된 원세개와 관련된 일화가 있다. 1913년부터 위안스카이는 '원소'(元宵)라는 이름이 '위안(袁)씨를 소멸시킨다'는 의미의 '원소'(袁消, yuán xiāo)와 발음이 같다는 이유로 불쾌하게 여겨, 이를 '탕위안'(湯圓)으로 바꿔 부르도록 명령했다고 전해진다.[7][8] '탕위안'은 '국물에 든 둥근 경단'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탕위안'은 남부식, '원소'는 북부식 찹쌀 경단을 가리키며, 두 음식은 주로 만드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9] 탕위안은 전통적으로 음력 1월 15일, 즉 원소절에 먹는다. 이 날은 보통 양력 2월에 해당한다.[1] 사람들은 탕위안의 둥근 모양처럼 가족이 화목하고 한 해의 운수가 좋기를 바라며 탕위안을 나누어 먹는다.[1]
3. 지역별 특징
탕위안은 중국 내에서도 지역마다 만드는 방법, 속 재료, 먹는 방식 등에 차이가 있다. 소를 넣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둥근 모양은 공통적으로 가정의 화목과 단란함을 상징한다.[1]
가장 대표적인 구분은 중국 북부와 남부의 차이이다. 북부에서는 원소(元宵|위안샤오zho)라고 부르며, 주로 원소절에 먹는다.[9][11] 남부에서는 탕위안(湯圓|탕위안zho)이라고 부르며, 단맛과 짠맛 등 다양한 소를 사용한다.[9] 남부식 탕위안은 전통적으로 동지나 설날 등 명절 음식으로 즐겨 먹었으나, 오늘날에는 연중 소비된다.[13]
지역별로 특색있는 탕위안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저장성 닝보의 탕위안은 특히 유명하며,[13][21] 이 외에도 쓰촨성, 푸젠성, 타이완, 광둥성, 산둥성(참깨 대추 페이스트 탕위안), 구이저우성 등 각 지역마다 고유한 조리법과 풍미를 가진 탕위안이 있다.[12] 현대에는 대량 생산된 냉동 탕위안이 중국 국내외의 아시아 슈퍼마켓에서 흔히 판매되어 쉽게 접할 수 있다.
3. 1. 중국
중국에서 탕위안(湯圓)은 전통 간식(小吃) 중 하나로, 주로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만들며 동지(冬至)나 춘절(春節)에 즐겨 먹는 음식이다.[20] 탕위안이라는 이름에서 탕(湯)은 국물을, 위안(圓)은 둥글다는 뜻을 지니고 있어, 음식의 형태와 조리 방식을 나타낸다. 둥근 모양은 가족의 화목과 단란함, 결속과 행복을 상징하며, 명절에 온 가족이 모여 함께 먹는 중요한 전통으로 여겨진다.[1] 특히 원소절에는 밝은 달을 보며 소원을 비는 풍습과 연결되어, 탕위안을 먹으며 가족의 안녕과 행복을 기원하기도 한다. 속을 넣지 않는 경우도 있는 등 지역마다 만드는 법에 차이가 있지만, 둥근 모양은 공통적이다.탕위안을 먹는 풍습은 2,000년 이상 이어져 왔으며, 역사적으로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1] 당나라와 오대 십국 시대에는 정월 대보름에 ‘국수 누에’나 ‘모서리가 없는 둥근 만두’를 먹었으며, 남송 시대에는 ‘유제품 만두’가 등장했다. 명나라 영락제 시기에는 중국 북부에서 원소(元宵)라는 이름으로 불렸는데, 이는 ‘정월 대보름’을 뜻하는 말로, 元|원중국어은 첫 번째, 宵|샤오중국어는 밤을 의미한다.[6] 지금도 중국 북부 지역에서는 이 원소(元宵|위안샤오중국어)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한다.

반면, 타이완을 포함한 중국 남부 지역에서는 주로 ‘탕위안’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하카어(客家語)와 광둥어(廣東語)에서는 탕위안을 tong1 yan2중국어 또는 tong1 jyun4-2중국어로 발음한다.[2] 남부에서 탕위안이라는 이름이 널리 쓰이게 된 데에는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의 총통이 된 원세개와 관련된 일화가 전해진다. 원세개는 원소(元宵)의 발음이 자신의 성씨 '원'(袁)과 '소멸하다'(消)를 합친 袁消|위안샤오중국어, 즉 ‘위안스카이를 소멸시키자’는 의미와 같다고 여겨 불쾌하게 생각했고, 1913년 원소절부터 원소 대신 탕위안(湯圓)으로 부르도록 명령했다고 한다.[7][8] 오늘날 중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남부식을 탕위안, 북부식을 원소(元宵)라고 부르며, 주로 만드는 방식으로 구분한다.[9]
북부식 원소(元宵)와 남부식 탕위안(湯圓)의 차이탕위안과 원소는 모두 속을 채운 찹쌀 경단으로 비슷해 보이지만, 제조 방법, 속 재료, 조리법, 보관 방법 등에서 차이가 있는 별개의 음식이다.[9]
- 원소 (북부식): 주로 단단하고 단맛의 소를 사용하며, 걸쭉한 국물과 함께 나온다. 만드는 과정은 단단한 소를 작은 조각으로 잘라 물을 묻힌 뒤, 마른 찹쌀가루가 담긴 체에 넣고 흔들어 가루를 입혀가며 굴려서 만든다. 이를 "원소 흔들기"(搖元宵|야오위안샤오중국어)라고 부르기도 한다.[9][11] 북부의 건조한 기후 때문에 찹쌀가루로 감싼 표면은 마르기 쉬워 조리 시 국물이 탁해지거나 껍질과 속이 분리될 수 있다. 표면은 다소 거칠고 건조하며, 보관 기간이 짧다.[9][11]
- 탕위안 (남부식): 부드러운 찹쌀 반죽으로 다양한 종류의 소(단맛, 짠맛 모두 가능)를 감싸 빚어 만든다.[9] 질감이 매끄럽고 쫄깃하며, 묽은 국물과 함께 제공된다. 짭짤한 소에는 무나 어묵 국물을, 단 소에는 통수이(tong sui)와 같은 단 국물을 사용하기도 한다.[10] 냉동 상태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9]
지역별 탕위안중국 내 각 지역마다 독특한 탕위안이 존재한다. 오어(吳語)에서는 湯糰|탕퇀중국어, 부선어(莆仙語)에서는 丸囝중국어, 타이완어(台灣語)에서는 圓仔|îⁿ-á중국어, 하카어(客家語)에서는 圓粄중국어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빨강과 흰색 두 가지 색으로 만들며, 속은 깨나 팥으로 만든 단맛(甜湯圓|톈탕위안중국어)과 고기로 만든 짠맛(鹹湯圓|셴탕위안중국어, 간체자 咸汤圆중국어)이 있다.
- 오어(吳語) 사용 지역 (예: 닝보): '탕투안'(湯糰중국어)이라고 부르며, 특히 닝보의 것이 유명하다. 찹쌀가루, 참깨, 라드, 설탕, 흑임자 가루를 섞어 만든 소를 사용하며, 희고 끈적이지 않는 식감이 특징이다.[21] 缸鴨狗|강야거우중국어와 같은 가게가 알려져 있다.[21]
- 쓰촨성: '탕위안'(湯圓중국어)이라 부르며, 매년 설날 무렵, 특히 음력 1월 1일과 15일에 먹는 상징적인 음식이다. 단맛 소는 흑설탕, 땅콩, 호두, 참깨, 장미 등을 사용하고, 짠맛 소는 다진 고기, 파, 생강 등을 넣어 부채꼴 모양으로 만들기도 한다.
- 푸젠성 및 타이완: 圓仔|îⁿ-á중국어 또는 𥻵중국어이라고도 부른다. 크기가 작고 소가 없는 경우가 많으며, 찹쌀가루를 반죽해 만든다. 주로 흑설탕 물에 끓여 먹거나, 채소, 고기 등과 함께 끓여 짠맛으로 먹는다. 동지 아침에는 조상에게 차례를 지낸 뒤 온 가족이 아침 식사로 먹는다.
- 광둥성: 광둥 차오산 지역의 탕위안도 유명하다.[12]
- 구이저우성: 절인 채소와 함께 볶아 먹는 찹쌀경단 요리가 있으며, 이는 간식이나 주식이 아닌 하나의 요리로 취급된다.[12]
찹쌀경단(煎堆|젠두이중국어)은 탕위안의 변형으로 볼 수 있는 음식이다. 찹쌀가루 반죽을 튀겨 참깨를 묻힌 것으로, 바삭하고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속에는 연꽃씨 앙금, 검은깨, 팥앙금 등을 넣는다.[14]
3. 2. 한국
한국에는 경단이 있다. 경단은 찹쌀가루로 만든 한국식 떡으로, 찰기는 비슷하지만 보통 팥소를 넣거나 콩가루, 참깨, 쑥 등의 고물을 묻혀 먹는다. 특히 명절이나 한국의 전통적인 날에 인기가 많다.3. 3. 기타 국가
중국식 디저트가 아시아의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가면서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나타났다.찹쌀경단(煎堆|젠두이중국어)은 탕위안의 변형으로, 찹쌀가루를 튀겨 참깨를 묻혀 바삭하고 쫄깃한 식감을 내는 간식이다. 속에는 연꽃씨 앙금, 검은깨, 팥앙금 등을 넣는다.[14]
일본의 다이후쿠모치는 탕위안과 비슷하며, 초기에는 헤이안 시대에 동남아시아에서 전래되었다고 여겨진다.[15] 이 전통적인 일본식 디저트는 팥소 등의 단맛이 나는 속을 넣은 모치(찹쌀떡)이다. 팥소는 팥으로 만든 달콤한 팥앙금이다.[16] 다이후쿠모치는 탕위안과 비슷하지만, 습식 제분이라는 과정을 거쳐 만들어져 쫄깃한 식감을 내며, 중국의 탕위안보다 덜 부드러운 것이 특징이다.[15] 일본에서는 비슷한 제법으로 만든 시라타마(白玉)도 널리 먹힌다. 일설에는 가마쿠라 시대에 중국의 유학 승려가 '탕원(湯圓)'을 전래했다고도 한다.[23]
한국에는 경단이 있다. 경단은 찹쌀가루로 만든 한국식 떡으로, 탕위안과 비슷한 찰기를 가지지만 보통 팥소를 넣거나 콩가루, 참깨, 쑥 등의 고물을 묻혀 먹는다. 특히 명절이나 한국의 전통 기념일에 즐겨 먹는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웨당 론데''(ꦮꦺꦢangled ꦫꦺꦴꦤ꧀ꦝꦺ|wédang rondhéjv, 둥근 공 음료)라는 변형된 버전이 추운 날씨에 인기 있는 음식이다. 찹쌀로 만든 둥글고 색깔 있는 경단은 땅콩과 설탕을 넣어 만들거나 속 없이 만들 수 있으며, 향긋한 판단 잎으로 끓인 달콤하고 순한 생강 국물에 담가서 제공된다. 볶은 땅콩 가루, 타피오카 진주, 코코넛 조각을 추가하기도 한다.
말레이시아에서는 buah Melaka|부아 믈라카ms(말라카 과일) 또는 "온데온데(onde-ondems)"라고 불리는 찹쌀가루 디저트가 인기가 많다. 녹색의 판단 색을 띤 공 모양 과자는 말린 코코넛 가루를 뿌리고, 야자수액으로 만든 당밀의 일종인 반액체 상태의 달콤한 gula Melaka|굴라 믈라카ms(말라카 설탕)으로 채워져 있다.[17] 열대 기후에서 즐겨 먹으며, 일반적으로 말레이 노점상과 말라카 해협 출신 중국인 공동체(바바-뇨냐)에서 판매한다. 보통 티타임이나 아침 식사 때 즐기며, 따뜻한 다즐링 차와 함께 먹는 경우가 많다. Buah Melaka|부아 믈라카ms는 말라카의 해협 출신 중국계 바바-뇨냐 문화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며,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다.[18]
미얀마에서는 ''몽 론 예 바우''(မုန့်လုံးရေပေါ်|몽론예바우my)가 전통적인 축제 음식으로, 띤잔 기간에 재거리(jaggery) 조각을 넣어 만들고 코코넛 가루를 뿌려 먹는다.
필리핀에서는 전통 중국 탕위안을 필리핀 화교들이 필리핀 호키엔어로 ‘치옹-우안-잉’(狀元圓|치옹우안잉중국어, 장원 공) 또는 ‘시옹-구안-잉’(上元圓|시옹구안잉중국어, 원소절 공)이라고 부른다.
태국에서는 ''부아 로이''(บัวลอย|부아러이th)가 코코넛 밀크나 생강 시럽에 들어 있는 찹쌀가루 경단의 일종이다.
베트남 남부에서는 비슷한 음식인 chè trôi nước|째쪼이느억vi이 생강 뿌리를 갈아 넣은 부드럽고 달콤한 국물에 담겨 제공된다. 베트남 북부에서는 bánh trôi|바인쪼이vi(bánh trôi nước|바인쪼이느억vi이라고도 함)과 bánh chay|바인짜이vi가 유사하며, 후자는 코코넛 밀크와 함께 제공된다. 베트남 북부의 몽족도 찹쌀로 만든 경단과 녹두, 코코넛 고기 또는 참깨를 소로 사용하고, 뜨거운 간 생강 뿌리 수프에 담아, 때로는 볶은 땅콩과 함께 제공되는 thắng dền|탕젠vi이라는 비슷한 디저트를 가지고 있다.[19]
4. 재료 및 조리법
찹쌀가루를 물과 함께 반죽하여 둥글게 빚어 만드는 중국의 전통 간식이다. 반죽 안에는 깨, 땅콩, 팥앙금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든 속을 채워 넣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속을 넣지 않고 만들기도 한다. 속의 맛은 달콤하거나 짭짤하게 만들 수 있다.[4] 완성된 탕위안은 주로 끓는 물에 삶아 국물과 함께 먹는다.[20] 탕위안은 섬세한 맛과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을 가지며, 전통적인 명절 음식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연중 즐겨 먹는 디저트로 자리 잡았다.
4. 1. 재료
찹쌀가루를 물과 섞어 반죽하여 만들며, 반죽을 둥글게 빚어 그 안에 다양한 속을 채워 넣는다. 전통적으로는 깨, 땅콩, 콩, 팥앙금 등을 주로 사용했으며, 돼지기름을 섞어 풍미를 더하기도 한다.[4] 속은 달콤하거나 짭짤하게 만들 수 있고, 때로는 속을 전혀 넣지 않고 만들기도 한다. 중국 남방 지역에서는 비교적 크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완성된 탕위안은 끓는 물에 삶아 국물과 함께 먹는다.

전통적인 단맛 탕위안의 속은 주로 참깨, 땅콩, 설탕, 그리고 동물성 지방(주로 돼지기름)으로 만들어진다. 탕위안은 섬세한 맛과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며, 찹쌀로 만든 흰 공 모양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 외에도 다양한 속을 채우거나 반죽에 색을 입히기도 한다.[4]
탕위안에 사용되는 속 재료는 매우 다양하며, 크게 전통적인 것과 현대적인 것으로 나눌 수 있다.
| 구분 | 재료 |
|---|---|
| 전통/단맛 | 검은깨(설탕 섞음), 땅콩가루(설탕 섞음), 팥앙금(팥), 대추 앙금, 연잎 앙금 |
| 전통/짠맛 | 다진 고기, 버섯, 양배추 (주로 쓰촨성 지역) |
| 현대/단맛 | 호박 앙금, 검은콩 앙금, 초콜릿 페이스트, 말차 페이스트, 커스터드, 타로 페이스트, 코코넛 페이스트 |
단맛 탕위안은 보통 생강을 넣은 달콤한 시럽에 담가 먹고, 짠맛 탕위안은 맑은 국물에 넣어 먹는다. 속이 없는 탕위안은 광둥 요리에서 "탕수이(糖水)"라고 불리는 단 디저트 수프의 일부로 제공되기도 한다. 이 외에도 팥죽, 검은깨죽, 생강과 빙당, 주니앙(醪糟 또는 酒釀)과 금목서, 빙당 등과 함께 먹기도 한다.
원래 명절 음식이던 탕위안은 점차 대중적인 디저트로 자리 잡으면서 현대적인 입맛에 맞게 변화해왔다. 특히 젊은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속 외에 초콜릿, 말차, 타로, 코코넛 등 새로운 맛의 속을 넣은 탕위안이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제조업체들은 다양한 맛과 형태의 탕위안을 개발하고 있으며,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냉동 탕위안도 생산하고 있다.
4. 2. 조리법
찹쌀가루를 물과 섞어 둥글게 반죽한 뒤, 안에는 깨, 땅콩, 콩 등의 다양한 속을 넣어 만든다. 속은 달콤하게 만들거나 짭짤하게 만들기도 하며, 때로는 속을 넣지 않기도 한다. 중국 남부 지방에서는 비교적 크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완성된 반죽은 끓는 물에 넣어 삶은 후 국물과 함께 먹는다.[20]=== 재료 및 기본 조리법 ===
간단한 팥 탕위안을 만드는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재료 준비: 찹쌀가루 200g, 물 100ml, 팥앙금 100g.
# 반죽: 찹쌀가루에 물을 조금씩 넣어가며 부드러운 덩어리가 될 때까지 반죽한다.
# 속 채우기: 반죽을 적당량 떼어내어 가운데에 팥앙금을 넣고 동그랗게 빚는다.
# 삶기: 끓는 물에 탕위안을 넣고, 물 위로 떠오를 때까지 삶는다.
탕위안은 섬세한 맛과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이 특징인 다재다능한 디저트이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찹쌀로 만든 흰색 공 모양이지만, 검은깨나 땅콩 가루 등 다양한 속을 채워 넣을 수 있다. 반죽에 색을 입히거나, 튀기거나 삶는 등 조리법도 다양하다.[4] 전통적으로는 돼지기름을 넣은 속을 찹쌀 반죽으로 감싸 손으로 공 모양으로 빚어 만든다.[4]
속의 맛에 따라 어울리는 국물과 함께 내는데, 검은깨 속과 같이 단맛이 나는 탕위안은 생강을 넣은 달콤한 시럽에 담아내고, 짭짤한 탕위안은 맑은 국물과 함께 제공한다. 속이 없는 탕위안은 광둥 요리에서 '탕수이'(糖水, 직역: 설탕물)라고 불리는 단 디저트 수프의 일부로 먹기도 한다.
=== 남부식(탕위안)과 북부식(원소) ===
중국 남부에서는 이 음식을 주로 '탕위안'(湯圓중국어) 또는 '탕퇀'(湯團중국어)이라고 부르는 반면[2](하카어와 광둥어에서는 tong|1|yan|2중국어 또는 tong|1|jyun|4-2중국어로 발음)[2], 북부에서는 '원소'(元宵중국어)라고 부른다.[22] 두 음식 모두 속을 채운 찹쌀 경단으로, 원소절 등에 먹는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제조 방식, 속 재료, 식감, 국물 등에서 차이가 나는 별개의 음식이다.[9]
전설에 따르면, 원세개(袁世凱)가 집권하던 시기(1912년~1916년)에 '원소(元宵)'라는 이름이 '원(袁)씨를 없앤다'(t=袁消|p=yuán xiāo중국어)는 말과 발음이 같다는 이유로 불길하게 여겨 '탕위안(湯圓)'으로 이름을 바꾸도록 명령했다고도 전해진다.[7][8]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남부식을 탕위안, 북부식을 원소라고 부른다.[9]
| 구분 | 탕위안 (남부식) | 원소 (북부식) |
|---|---|---|
| 제조 방식 | 부드러운 찹쌀 반죽으로 속을 감싸 손으로 빚음.[9] | 단단하게 굳힌 속을 물에 적셔 마른 찹쌀가루가 담긴 체에 넣고 흔들어 가루를 묻혀 만듦 ("원소 흔들기").[9][11] |
| 속 | 다양하고 부드러움 (달콤하거나 짭짤함).[9] | 주로 달콤하고 단단함.[9] |
| 식감 및 표면 | 매끄럽고 쫄깃함.[9] | 겉이 건조하고 부드러운 편.[9] 북부의 건조한 기후 때문에 익히면 껍질과 속이 분리되기 쉬움.[11] |
| 국물 | 묽은 편. 속 맛에 따라 달라짐 (예: 짭짤한 속에는 무, 어묵 국물, 단 속에는 탕수이).[9][10] | 걸쭉한 편.[9] |
| 보관 | 냉동하여 장기간 보관 가능.[9] | 보관 기간이 짧음.[9] |
=== 지역별 특징 ===
중국 각 지역마다 독특한 탕위안 조리법이 존재한다.[12]
- 닝보: 오어(吳語)로 '탕퇀'(湯糰중국어)이라고 부르며 특히 유명하다. 참깨, 라드, 설탕, 흑임자 가루를 섞은 소를 넣고, 희고 끈적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21] 缸鴨狗중국어(강야거우)와 같은 가게가 알려져 있다.[21]
- 쓰촨: 단맛과 짠맛 탕위안이 모두 있다. 단맛은 흑설탕, 땅콩, 호두, 참깨, 장미 등을 넣고, 짠맛은 주로 부채꼴 모양으로 만들며 고기, 파, 생강 등으로 속을 채운다.
- 푸젠: '탕위안'(湯圓중국어) 또는 '𥻵중국어'이라고 부른다. 부선어에서는 '丸囝중국어'(완쯔)라고 한다. 속이 없는 작은 탕위안에 생선 삶은 것을 넣기도 하며, 먹을 때 밀가루, 검은깨, 설탕, 땅콩가루 등을 묻혀 먹는다. 동지 아침에 조상에게 차례를 지낸 후 온 가족이 아침 식사로 먹는 풍습이 있다.
- 타이완: 타이완어로는 '위안아'(圓仔중국어, îⁿ-ánan)라고 부른다. 크기가 작고 속(앙금)이 없는 경우가 많다. 보통 흑설탕과 물을 넣고 끓이거나, 채소와 고기 등 다른 재료와 함께 끓여 '셴탕위안'(鹹湯圓중국어, 짠 탕위안)을 만든다. 일반적으로 빨강과 흰색 두 가지 색으로 만든다. 단맛은 '톈탕위안'(甜湯圓중국어)이라고 한다.
- 광둥 차오산(潮汕), 산둥(참깨 대추 페이스트) 등 다른 지역에서도 특색 있는 탕위안을 찾아볼 수 있다.[12] 귀주에서는 절인 채소와 함께 볶은 탕위안 요리도 있다.[12]
- 하카 지역: 하카어로는 '위안반'(圓粄중국어)이라고 부른다.
=== 유사 음식 ===
5. 의미와 상징
탕위안의 둥근 모양과 그릇에 담긴 모습은 함께함, 단결, 재회를 상징하며,[2] 가족의 결속과 완전함, 행복을 의미한다. 따라서 명절에 가족이 모여 탕위안을 함께 먹는 것은 중요한 전통으로 여겨진다. 지역마다 소를 넣지 않는 등 만드는 방법에는 차이가 있지만, 탕위안의 동그란 모양은 공통적으로 가정의 화목과 단란함을 상징한다.
탕위안은 전통적으로 음력 1월 15일인 원소절에 주로 먹는다. 이 날은 양력으로 매년 2월경에 해당한다.[1] 원소절에는 밝은 달을 보며 소원을 비는 풍습과 연결되어, 탕위안을 먹으며 가족의 안전과 행복을 기원하기도 한다. 또한 사람들은 행운을 빌고 삶에 행복과 기쁨이 가득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탕위안을 먹는다.[1] 중국 본토와 해외에 거주하는 많은 중국 가정에서는 원소절뿐만 아니라 춘절, 동지 등 가족이 함께 모이는 날에도 탕위안을 먹는다.[2][20]
참조
[1]
웹사이트
Belittle not the humble glutinous rice ball - Opinion - Chinadaily.com.cn
https://www.chinadai[...]
2022-04-22
[2]
서적
Lifestyle in China
五洲传播出版社
2007
[3]
웹사이트
Today is Dongzhi, time to eat tangyuan!
https://www.taiwanne[...]
2022-04-22
[4]
웹사이트
Why this Chinese dessert is so important during Lunar New Year
https://www.kcrw.com[...]
2022-04-25
[5]
웹사이트
https://zhuanlan.zhi[...]
2024-11-01
[6]
웹사이트
汤圆发展简史:曾叫"圆不落角" 馅料花样翻新-新华网
http://m.news.cn/edu[...]
2024-11-01
[7]
웹사이트
因"元宵"与"袁消"谐音袁世凯下令改叫"汤圆"
http://csxb.bandao.c[...]
半岛网-城市信报
2010-02-22
[8]
웹사이트
A Chinese sweet that's a homophone for reunion
https://www.bbc.com/[...]
BBC
2024-11-10
[9]
웹사이트
Do you know the Differences between Yuanxiao and Tangyuan
https://www.chinaedu[...]
2022-04-22
[10]
웹사이트
Tang Yuan: The Chinese Soup Balls of Family Unity
https://dinnerbydenn[...]
2022-03-24
[11]
웹사이트
董克平|"北元宵 南汤圆"到底有什么区别?_馅料
https://www.sohu.com[...]
2024-11-01
[12]
웹사이트
"甜咸之争"背后汤圆的历史演变_中国经济网――国家经济门户
http://www.ce.cn/cys[...]
2024-10-18
[13]
웹사이트
Why Lunar New Year wouldn't be complete without glutinous rice balls
https://www.scmp.com[...]
2024-02-08
[14]
웹사이트
Chinese ingredients: glutinous rice - All about China {{!}} Radio86.com
http://en.radio86.co[...]
2022-04-24
[15]
웹사이트
Mochi (餅)
https://foodinjapan.[...]
2022-04-24
[16]
웹사이트
Why do we eat tang yuan during Chinese New Year? – SidmartinBio
https://www.sidmarti[...]
2022-04-24
[17]
웹사이트
Buah Melaka, Kuih Paling Mudah Buat & Sedap.
https://www.rasa.my/[...]
2022-11-15
[18]
웹사이트
MalaysiaTravelpedia A Virtually Virtual Travel Guide : Onde-Onde Malaysia
https://www.malaysia[...]
2022-11-15
[19]
웹사이트
Recipe Banh Troi nuoc (Vietnamese glutinous rice ball) - Cold Food Festival sweet desserts
https://vietnamtimes[...]
2023-07-05
[20]
웹사이트
圓仔(湯圓) - 台灣大百科全書
http://nrch.culture.[...]
[21]
웹사이트
浙东明珠,宁波汤圆
http://zj.china.com/[...]
中华网浙江
2014-06-11
[22]
웹사이트
元宵節に食べるもち米団子 「湯圓」と「元宵」の違いとは?(元宵節に食べるもち米団子 「湯圓」と「元宵」の違いとは?(人民網日本語版、2015年03月05日09:48)
http://j.people.com.[...]
[23]
웹사이트
白玉粉の歴史
http://shiratama-i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