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학은 말장난, 상황의 부조화 등을 통해 우스운 상황을 과장하는 것으로, 웃음을 유발하는 심리적 현상을 의미한다. 해학은 언어적, 비언어적 요소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예상치 못한 상황이나 모순, 모호성 등을 통해 웃음을 유발한다. 해학은 정서 순화, 풍자, 언어유희 등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며, 사회적 요인과 개인의 심리적 웰빙, 생리적 반응, 그리고 직장 및 학교에서의 역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권에서 유머에 대한 이론과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신체적 매력, 심리적 웰빙, 인지 발달 등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담 - 사메지마 사건
    사메지마 사건은 일본 인터넷 커뮤니티 2channel에서 시작된 도시전설 또는 인터넷 괴담으로, 실체가 불분명한 가공의 사건을 지칭하며 다양한 추측과 소문이 확산되어 여러 미디어에서 재조명되기도 한다.
  • 농담 - 쿨리지 효과
    쿨리지 효과는 새로운 이성과의 만남이 성적 자극을 유발하여 이전 짝에게서 둔화된 성적 반응을 극복하고 다시 활발한 성적 행동을 보이는 현상으로, 주로 수컷에게서 관찰되며 도파민 분비 증가와 같은 신경학적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해학 - 파블리오
    파블리오는 12~13세기 프랑스에서 유행하고 14세기 영국에서 인기를 얻은 8음절 위주의 짧은 운문 이야기로, 코믹하고 풍자적인 내용으로 불륜, 탐욕스러운 성직자, 어리석은 농민 등을 소재로 하며 후대 문학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 해학 - 문학적 비상식
    문학적 비상식은 언어와 논리의 형식적 요소와 의미를 부정하는 요소의 균형을 통해 구전 전통과 지적 유희에서 기원하여 영국에서 발전했으며, 20세기 이후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감정 - 공포
    공포는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강렬한 감정으로, 신체적 반응과 행동 변화를 동반하며, 뇌의 편도체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학습과 경험을 통해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치료가 가능하다.
  • 감정 - 지루함
    지루함은 단조로운 환경 인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무관심과 집중력 저하를 동반하는 불쾌한 감정으로, 심리학, 철학, 직장, 대중문화,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는 복합적인 현상이다.
해학
정의
설명경험이 웃음을 유발하고 즐거움을 주는 경향
관련 개념
관련 주제웃음
재미
유머
코미디
시각적 표현
아프가니스탄에서 웃는 자원 봉사자
아프가니스탄에서 웃는 자원 봉사자
티베트 사람들
티베트 사람들
브라질 아이
브라질 아이
말레이시아 여성
말레이시아 여성

2. 정의

해학은 말장난이나, 구조발음상 비슷한 다의의 말을 이용하여, 우스운 상황을 과장하는 것이다.[81] 우리가 웃을 때면 우리에게 주어진 메시지에 반응하는 것이며,[82] 사회 문화적 현실 속에서 내적 수정을 요하는 인지적이며 무의식적으로 경험하는 유쾌한 마음의 상태로 문화적 인지에 대한 부조화, 왜곡, 과장, 또는 사건에 대한 문화적 요소의 비정상적인 결합을 초래한다.[83]

해학은 언어적으로 의사를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황의 부조화를 순간적으로 지각하며 즐거움 또는 웃음을 자극하는 것이다. 사건, 사물, 생각, 사회적 기대감이 정상적이거나 기대된 양식과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하게 된다.[84] 즉 상황의 부조화를 순간적으로 지각하며 즐거움 또는 웃음을 자극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웃음은 유머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현상으로 웃는 행위 자체를 나타낸다. 본 단어는 한국어 동사 '웃다'의 어간 '웃-'에 명사접미사 '-음'을 합성해 만든 단어다. 타인에 의해 웃음이 유발된 상태일 때 화자는 피동 접미사 '-기'의 표현으로 타인에게 웃긴다, 웃기다 라고 표현을 한다.

작가 E. B. 화이트는 "유머는 개구리를 해부하는 것처럼 해부할 수 있지만, 그 과정에서 생명력이 죽고 내장은 순수한 과학적 정신을 가진 사람 외에는 누구에게나 실망스럽다"라고 말한 적이 있다.[6]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모든 유형의 코미디를 의미하기 위해 ''유머''(영어에서 유래된 독일어 차용어)가 오용되는 것을 한탄했다. 그러나 유머와 코믹은 모두 이 주제에 대해 이론화할 때 자주 사용된다. ''유머''가 ''코믹''과 대조될 때 갖는 함축적 의미는 자극에 대한 반응이다. 또한 ''유머''는 개인의 우스꽝스러움과 재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비풍자적인 유머는 특히 ''익살스러운 유머'' 또는 ''오락적인 익살''이라고 불릴 수 있다.[8][9]

유머의 정의에스프리에 비해 막연하며, 확고한 정의를 내릴 수 없다.[71] 예로부터 문호와 작가들은 유머에 대해 다양한 정의를 내렸다. 또한 위트와의 경계선도 명확하지 않아, 양자가 혼동되는 경우도 있다.[72]

18세기 후반, 낭만주의가 성행하면서 철학자들과 문학가들은 유머의 정의와 고찰에 힘썼다. 그 중심 인물이었던 장 파울은 유머에 대해 세계와의 관련성, 패러디와 농담과의 차이점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 고찰하여 큰 업적을 남겼다. 또한 졸거, 괴테, 헤겔 등도 유머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과 연구를 발표했다.

3. 웃음이 유발되는 이유와 해학을 일으키는 요소

미소는 15개의 안면 근육이 수축하면서 나타나는 움직임이며, 진지한 일을 우스꽝스럽게 표현하거나 우스꽝스러운 일을 진지하게 나타낼 때 해학이 발생한다.[85] 역설, 동문서답, 속어 등은 해학을 일으키는 요소이다. 무지, 허영, 우연의 일치, 부주의 등도 웃음을 유발한다.[85]

사람들이 예상하는 대화의 전제를 부정하거나 기본적인 대화 원리를 위배할 때 불일치가 발생하고, 이러한 불일치를 갑자기 파악했을 때 웃음이 생긴다. 해학의 웃음 유발 원리는 비예측성 상황에서의 불일치라고 할 수 있다.[86]

손세모돌은 해학의 형성 원리를 "의외성"으로 보았고, 이는 듣는 이의 예측이 빗나가거나 예측 불허인 상태라고 설명했다. 해학은 의도적으로 계산된 웃음 유발 장치이며, 대화자 간 의외성을 이해하는 능력이 없으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87]

해학은 의도적으로 웃음을 유발하는 장치를 가진 이야기로 정의된다. 손세모돌, 한성일, 이재원 등 학자들은 해학의 조건으로 '의도성'과 '웃음'을 제시한다.[88]

웃음은 다양한 감정에서 비롯된다. 칸트는 "긴장된 예상이 갑작스레 무(無)로 돌아갈 때 웃음이 터진다"라고 했다. 스펜서는 "의식이 굉장한 일에서 사소한 일로 불시에 전이할 때 감정과 감각은 신체 운동을 발생한다"라고 했다.

신경생리학적 관점에서는 웃음이 기쁨보다 먼저 발생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89]


  • '''각성 이론''': 해학이 축적된 긴장이나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 '''부조화 이론''': 해학은 본질적으로 서로 다른 두 사상, 개념, 상황이 예기치 않은 형식으로 함께 진행될 때 발생한다.
  • '''우월성 이론''': 타인의 약점이나 흉함에 대한 반응으로 해학이 유발된다.[90]


알프레드 아들러는 타인의 불행이나 어리석음을 비웃는 것을 우월감으로 보지 않고, 그렇게 되지 않겠다는 다짐으로 보았다.[91]

4. 해학에 대한 이론

분석심리학에서 정리된 부조화 이론은 해학 자극에 대한 인지적 이해 과정에 초점을 맞춘 이론이다. 해학의 본질이 예기치 않은 형식으로 본질적으로 서로 다른 두 사상, 개념 또는 상황이 함께 진행됨으로써 발생한다고 본다.[90] 현실이나 문화 콘텐츠에서 서로 대립하는 사람이 화해하는 장면, 언어학적인 모순으로 유머가 발생하는 것도 이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우월성 이론은 주로 타인의 약함과 흉함에 대한 반응으로 해학이 유발된다고 본다.[90]

한편, 인간의 열등감과 우월감을 연구한 심리학자 알프레드 아들러는 타인의 불행이나 어리석음을 비웃는 것을 타인과의 비교로 인한 우월감으로 보지 않았다. 그는 그러한 비웃음을 그 사람처럼 되지 말아야겠다는 다짐으로 보았다.[91]

정신분석적 이론에 따르면 해학은 가장된 성적 공격이다.

언어 이론은 해학이 앞뒤가 맞지 않는 일과 다른 논리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관련된다고 본다.[92]

사상가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에서 유머 이론의 부조화 이론과 우월성 이론이 자신의 입장과 같다고 했다.

5. 해학의 종류

해학은 그 기능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정서 순화형 해학'''은 긴장을 완화하고 정서를 순화하는 기능을 한다.[93]
  • '''풍자형 해학'''은 사회 비판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93]
  • '''언어유희형 해학'''은 말장난과 같이 언어적 기교를 사용한다.[93]
  • '''이야기형 해학'''은 흥미로운 이야기를 통해 웃음을 유발한다.[93]
  • '''비교분석형 해학'''은 대상들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웃음을 유발한다.[93]


해학은 언어적 요소와 비언어적 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 '''언어적 요소'''에는 발음, 동음이의어, 단어의 중의성, 사투리, 받침, 음성 영상, 대구 활용하기 등이 있다.[94]
  • '''비언어적 요소'''에는 [동문서답]하기, 되받아치기, 고정관념 이용하기, 특징 찾아 핵심찌르기, 정곡 찌르기, 우스운 상황 연출하기, 함정 만들기, 배경 지식 충돌시키기, 패러디하기 등이 있다.[94]

6. 해학 기술의 요소

역설, 동문서답, 속된 속어 등은 해학을 일으키는 요소이다. 무지, 허영, 우연의 일치, 변덕, 부주의, 우직함, 극단 등 만화적인 표현과 가치를 바꾸는 것이나 부조화의 표현 또한 웃음을 자아낸다.[85]

해학 기술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95]

요소설명
불합리 (absurdity)넌센스, 논리적 규칙에 반하는 상황
의인화 (anthropomorphism)사물이나 동물이 인간의 모습을 함
호언장담 (bombast)호언장담하거나 과장된 말
추격 (chase)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쫓아다니거나 추격함
익살스러운 행동 (clownish behavior)활발한 팔다리 움직임이나 과장된 불규칙 신체 행동
서투름 (clumsiness)숙달되거나 우아하지 않음
우연의 일치 (coincidence)우연히 예기치 않은 일이 일어남
개념적 놀라움 (conceptual surprise)갑작스럽게 기대하지 않았던 개념의 변화로 청중을 오해시킴
실망 (disappointment)(사소한) 실망을 가져오는 상황
기이함 (eccentricity)규범에서 벗어나는 사람, 이상한 등장 인물
당혹스러움 (embarrassment)누군가 불편함이나 창피함을 느끼게 되는 어색한 상황
과장 (exaggeration)과장된 말, 과장된 반응, 어떤 사람이나 사물의 질을 과장함
기괴한 외양 (grotesque appearance)놀라운 특성을 지닌, 이상하거나 괴물 같은 외양을 가진 사람
무지 (ignorance)어리석고 순진하여 속기 쉬운, 유치하게 행동하는 사람
모방 (imitation)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어떤 사람의 모습이나 움직임을 따라 함
분장 (impersonation)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 다른 사람의 정체성을 지님
어린애 같은 언동말소리를 어린애 같이 하며 노는 것
비꼬기 (irony)말하는 것과 다르거나 반대되는 것을 의미함
무관한 행동 (irrelevant behavior)귄위나 현존 기준을 적절히 존중하지 않음
심술궂은 쾌락 (malicious pleasure)다른 사람의 불행을 즐거워함, 희생자 유머
오해 (misunderstanding)상황을 잘못 해석함
재치 (outwitting)반박, 응답 또는 되받아칠 때 기지를 발휘하여 압도함
패러디 (parody)문체, 다른 문학 장르, 또는 다른 미디어를 모방함
독특한 얼굴 (peculiar face)우스꽝스러운 얼굴이나 찡그린 표정을 함
독특한 소리 (peculiar sound)만화에서 같이, 우스꽝스럽거나 예기치 않았던 소리
독특한 목소리 (peculiar voice)우스꽝스러운 이상한 소리
동음이의의 익살 (pun)이중의 뜻을 지닐 수 있는 단어의 의미를 활용하는 것
재치 있는 즉답 (repartee)대개 위트 있는 대화 안에 나타나는 언어 유희
반복 (repetition)같은 상황을 반복하거나 다시 보여 줌
조롱 (ridicule)누군가를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으로 놀림
완고함 (rigidity)보수적이고 융통성이 없어 경직된 사고를 하는 사람
빈정거림 (sarcasm)적대적 톤으로 날카롭게 쏘는 말을 함. 항상 언어적 표현
풍자 (satire)잘 알려진 사물, 상황, 또는 공적 인물을 놀리거나 찌름
규모 (scale)사람의 논리적 기대치를 뛰어넘는, 아주 크거나 작은 크기
성적 암시 (sexual allusion)성적이거나 장난스러운 문제를 가리키거나 암시함
법석 떨기 (slapstick)신체적으로 얼굴에 파이 묻히기 등, 누군가의 지위를 격하시킴
속도 (speed)아주 빠르거나 느린 동작으로 걷거나 움직임
고정관념 (stereotype)국가, 성, 집단의 구성원을 고정 관념화, 일반화시켜 표현함
변형 (transformation)어떤 사람이나 사물이 변형되어 다른 형태를 띰
시각적 놀라움 (visual surprise)갑작스럽고 예기치 않은 시각적, 신체적 변화


7. 사회적 요인

특정 스타일이나 해학의 수용은 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역사를 통틀어, 코미디는 서양 왕들의 궁정에서든 극동의 마을에서든 전 세계적으로 오락의 한 형태로 사용되었다.[10] 재치와 풍자는 사회적 에티켓과 특정 지능을 보여주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18세기 독일 작가 게오르크 리히텐베르크는 "해학을 더 많이 알수록 섬세함에 대한 요구가 더 커진다"라고 말했다.[10]

7. 1. 고대 그리스

서양 유머 이론은 플라톤에서 시작하며, 플라톤은 소크라테스를 (반역사적 대화 등장인물로) ''필레보스''(49b)에서 웃음의 본질은 조롱당했을 때 보복할 수 없는 약자의 무지라고 보았다.[1]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1449a, 34–35쪽)에서 혐오감을 주지 않는 추함이 유머의 근본이라고 주장했다.[1]

7. 2. 인도

바라타 무니의 《나트야 샤스트라》는 유머(하사m)를 9가지 ''나바 라사'', 즉 주요 ''라사''(감정 반응) 중 하나로 정의했는데, 이는 배우가 연기하는 감정의 모방인 ''바바''에 의해 관객에게 영감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각 ''라사''는 무대에서 묘사되는 특정 ''바바''와 연관되었다.[1]

7. 3. 아랍 및 페르시아 문화

무함마드 알바키르의 하디스 유머에 관하여: "진실로 알라는 외설적인 행위 없이 사람들 사이에서 유쾌한 사람들을 사랑한다."


희극과 풍자라는 용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이 이슬람 황금 시대에 아랍어로 번역된 후 동의어가 되었으며, 아랍 문학 작가들과 초기 이슬람 철학의 철학자들, 예를 들어 아부 비쉬르, 그의 제자 알 파라비, 페르시아의 아비센나, 아베로에스 등에 의해 상세히 설명되었다. 문화적 차이로 인해 그들은 희극을 그리스 드라마의 표현에서 분리하고, 대신 히자 (풍자 시)와 같은 아랍 시적 주제 및 형식과 동일시했다. 그들은 희극을 단순히 "비난의 예술"로 간주했으며 고전 그리스 희극과 관련된 가볍고 유쾌한 사건이나 골치 아픈 시작과 행복한 결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12세기 라틴어 번역 이후, "희극"이라는 용어는 중세 문학에서 새로운 의미를 얻었다.[11]

7. 4. 카리브해

멘토 스타 로드 플리는 1957년 인터뷰에서 "서인도 제도 사람들은 세계 최고의 유머 감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러 명의 노동자를 죽게 한 설탕 농장의 보일러 폭발을 이야기하는 ''Las Kean Fine'' ['잃어버리고 찾을 수 없음']과 같이 가장 엄숙한 노래에서도 그들의 타고난 재치와 유머가 빛을 발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12]

7. 5. 중국

유교와 신유학은 의례와 예절을 강조하며, 전통적으로 유머를 전복적이거나 부적절한 것으로 여겼다. 유머는 아이러니와 풍자로 인식되었다.[13] 그러나 유교의 ''논어'' 자체는 스승이 유머러스하게 자신을 낮추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으며, 방랑하는 자신을 집 없는 개에 비유하기도 했다.[14] ''장자''와 같은 초기 도교 철학 텍스트는 노골적으로 유교의 진지함을 비웃고 공자를 어리석은 우스꽝스러운 인물로 묘사한다.[15] 말장난, 언어유희, 상황 유머, 그리고 섹스와 배설과 같은 금기된 주제를 다루는 농담 책들은 수세기 동안 인기를 끌었다. 지역 공연 예술, 이야기, 방언 소설, 그리고 시는 다양한 유머 스타일과 감성을 제공한다.

현대 중국 유머는 토착 전통뿐만 아니라 인쇄 매체, 영화, 텔레비전, 그리고 인터넷을 통해 유통되는 외국의 유머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17] 1930년대 동안, 린위탕의 음성-의미 전사 'yōumò'(幽默|유머중국어)는 유머의 새로운 용어로 자리를 잡았고, 가난하고, 약하며, 부분적인 외세 점령 하에 있는 중국에 어떤 종류의 유머 감성이 가장 적합한지에 대한 열띤 논쟁뿐만 아니라 유머 문학에 대한 유행을 불러일으켰다.[18][19][20] 마오쩌둥 통치 기간 동안 일부 코미디 유형이 공식적으로 승인되었지만, 당-국가의 유머에 대한 접근 방식은 일반적으로 억압적이었다.[21] 1980년대의 사회적 자유화, 1990년대의 문화 시장 상업화, 그리고 인터넷의 등장은 침략적인 국가 주도 검열 장치에도 불구하고, 지난 수십 년 동안 중국에서 새로운 형태의 유머가 번성할 수 있게 했다.[22]

8. 사회 변혁 모델

사회 변혁 모델은 유머가 신체적 매력과 같은 특정 특성과 상호작용한다고 예측한다.[23] 이 모델은 유머가(humorist), 청중 및 유머의 주제 간의 연관성을 포함한다.[23] 이와 관련된 두 가지 변형은 유머의 주제와 유머를 구사하는 사람에 대한 청중의 인식 변화를 포함하므로, 유머를 구사하는 사람과 청중 간의 관계를 설정한다.[23]

사회 변혁 모델은 유머가 적응적이라고 보는데, 이는 유머를 구사하려는 현재의 욕구와 미래의 의도를 모두 전달하기 때문이다.[23] 이 모델은 다른 사람의 특정 사회 집단에 받아들여지려는 욕구를 전달하는 의도적인 자기 비하 유머에 사용된다.[23] 자기 비하 유머는 약점과 결점을 전달하여 다른 사람의 호감을 얻으려는 시도이지만, 다른 변수도 유리할 때 이러한 유형의 유머가 유머가의 로맨틱한 매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23]

9. 신체적 매력

유머는 서구 문화권에서 이성에게 매력적인 요소로 여겨진다. 20세기 중반, 미국 대학생들은 유머 감각을 낭만적인 파트너에게서 찾는 중요한 특징이라고 답했으며,[24] 20세기 후반, 영국 대학생들은 유머와 정직함을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속성으로 꼽았다.[25] 낭만적인 관계에서 헌신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머는 더욱 중요해진다.[26] 최근 연구에 따르면 신체적 매력과 관련된 유머의 표현은 미래의 상호 작용에 대한 욕구에 있어서 두 가지 주요 요인이다.[23] 자학 개그는 헌신적인 관계에서 타인에 대한 매력과 신체적 매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23] 여성은 데이트, 진지한 관계 및 성관계에 있어서 남성에 비해 신체적 매력에 대한 중요도를 낮게 평가했다.[23] 그러나 진지한 관계나 결혼에 있어서 유머 감각이 있는 남성이 없는 남성보다 더 매력적이라고 평가했지만, 이는 남성이 신체적으로 매력적일 때만 해당되었다.[23]

유머 감각이 있는 사람이 매력적이라고 여겨질 수 있지만, 다른 사람들은 유머 감각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지적 수준이 낮다고 인식하기도 한다. 여성에게 강제 선택 설계가 적용된 연구에서, 여성들은 유머 감각이 있는 남성을 덜 정직하고 지적이라고 평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잠재적인 관계 파트너로 선택했다.[27] 사후 분석에서는 유머의 질과 호의적인 판단 사이에 아무런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27]

맥마스터 대학교에서 실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성의 경우, 유머는 특정 관계 파트너에 대한 매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러한 효과는 남성이 유머를 사용하고 여성이 평가할 때 가장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27] 남성이 유머 감각이 있는 여성을 파트너로 선호하는지, 아니면 여성이 유머 감각이 있는 다른 여성을 잠재적 파트너로 선호하는지에 대한 증거는 일관되지 않다.[28][27]

그러나 서구 문화권 밖에서는 유머가 배우자 선택에서 항상 그만큼 높이 평가되지는 않는다. 동아시아에서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유머는 다른 특성들보다 순위가 낮았으며, 특히 남성이 여성을 평가할 때 그러했다.[29][28] 배우자 선택 기준에 대한 일부 연구에서는 유머가 목록에조차 포함되지 않았다.[30][31]

10. 심리적 웰빙

일반적으로 해학은 더 높은 주관적 웰빙(신체적, 심리적)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2] 해학과 심리적 웰빙에 대한 이전 연구에 따르면 해학은 실제로 더 높은 심리적 웰빙을 달성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32][33] 이러한 가설을 해학에 대한 일반적인 촉진 가설이라고 한다.[32] 즉, 긍정적인 해학은 긍정적인 건강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모든 현대 연구가 해학이 실제로 더 건강한 심리적 웰빙의 원인이라는 이전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은 아니다.[34] 이전 연구의 몇 가지 제한 사항은 해학이 항상 긍정적인 것으로 추론되었기 때문에 해학에 대한 단일 차원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그들은 다른 유형의 해학이나 해학 스타일을 고려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자기 비하적 또는 공격적인 해학이 있다.[35]

연구는 각각 2가지 스타일로 구성된 2가지 유형의 해학을 제안하여 총 4가지 스타일을 만들었다. 두 가지 유형은 적응적 대 부적응적 해학이다.[35] 적응적 해학은 촉진적이고 자기 고양적인 해학으로 구성되며, 부적응적 해학은 자기 비하적이고 공격적인 해학이다. 이러한 각 스타일은 심리적 웰빙과 개인의 전반적인 주관적 웰빙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35]


  • 친화적 스타일 해학: 이 해학 차원을 가진 개인은 농담으로 관계를 맺고, 다른 사람을 즐겁게 하고, 긴장을 완화하는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35]
  • 자기 고양적 스타일 해학: 이 해학 차원에 속하는 사람들은 인생을 유머러스한 관점에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자기 고양적 해학을 가진 개인은 이를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메커니즘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35]
  • 공격적 해학: 인종차별적인 농담, 풍자, 재미를 위해 개인을 비하하는 행위. 이러한 유형의 해학은 농담의 결과를 고려하지 않고 주로 청취자의 즐거움에 집중하는 사람들이 사용한다.[35]
  • 자기 비하적 해학: 이 스타일의 해학을 가진 사람들은 자기 비하적인 농담을 사용하여 다른 사람을 즐겁게 하는 경향이 있으며, 조롱을 당할 때 다른 사람들과 함께 웃는 경향도 있다. 사람들은 종종 성공하지 못하는 사회적 수용의 수단으로 이 스타일의 해학을 사용하려고 시도한다는 가설이 세워져 있다.[36] 또한 이러한 사람들은 내면에 부정적인 감정을 암묵적으로 느끼고 있을 수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 그래서 그들은 이 해학을 내면의 부정적인 감정을 숨기는 수단으로 사용한다.[35]


해학과 심리적 웰빙에 대한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높은 수준의 적응적 유형의 해학(친화적 및 자기 고양적)이 더 나은 자존감, 긍정적 정서, 더 큰 자기 효능감, 불안 조절 및 사회적 상호 작용과 관련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37] 이 모든 것은 심리적 웰빙의 구성 요소이다. 또한 적응적 해학 스타일은 심리적 문제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웰빙 감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33] 반대로, 부적응적 해학 유형(공격적 및 자기 비하적)은 더 나쁜 전반적인 심리적 웰빙,[37] 더 높은 수준의 불안과 우울증에 초점을 맞추는 것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해학은 해당 해학이 부정적인 특성을 가질 경우에만 심리적 웰빙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37]

11. 생리적 효과

유머는 어렵거나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을 가볍게 하고, 사회적 분위기를 밝게 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많은 사람들이 유머를 긍정적인 경험으로 여기기 때문에, 신체에 긍정적인 생리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추측한다.

1994년 카렌 츠위어(Karen Zwyer), 바바라 벨커(Barbara Velker), 빌리발트 루흐(Willibald Ruch)는 유머와 통증 내성의 관계를 연구했다. 56명의 여성 참가자들을 쾌활함, 흥분, 유머 생성의 세 그룹으로 나누고, 상태-특성-쾌활함-인벤토리에 따라 높은 특성-쾌활함과 높은 특성-심각성의 두 그룹으로 분류했다. 참가자들은 짧은 유머 비디오 클립을 시청한 후 냉압 테스트를 받았다. 그 결과, 세 그룹 모두 영화 시청 전보다 통증 역치와 내성이 높아졌지만,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38]

유머와 면역 체계의 관계도 연구되었다. 참가자들이 짧은 유머 비디오 클립을 시청한 후, 신체 감염을 막는 항체인 SIgA 수치가 유의미하게 증가했다.[39]

웃음이 심혈관 운동을 보충하고 근육 긴장도를 높일 수 있다는 주장도 있었지만,[40] 파스킨드 J.(Paskind J.)의 연구에 따르면 웃음은 골격근 긴장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웃음으로 인한 짧고 강렬한 근육 수축 후에는 더 긴 근육 이완 기간이 따르기 때문이다. 웃음이 산소 포화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테스트한 연구에서도 웃음이 불규칙한 심호흡을 유발하지만 산소 포화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41]

유머가 불안 완화에 미치는 영향도 연구되었다. 요베티치 N.(Yovetich N.), 데일 A.(Dale A.), 후닥 M.(Hudak M.)의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들에게 일정 시간 후 전기 충격을 받을 것이라고 말하고, 한 그룹은 유머 콘텐츠에, 다른 그룹은 비유머 콘텐츠에 노출시켰다. 불안 수준은 자기 보고 척도와 심박수로 측정했다. 유머 감각이 높은 대상자들은 두 그룹 모두에서 불안을 덜 보고했지만, 유머 감각이 낮은 대상자들은 유머 자료에 노출된 그룹에서만 불안을 덜 보고했다. 심박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42]

12. 직장에서의 유머

턱까지 오는 헐렁한 바지를 입은 정장 차림의 남자
주변 사람들을 웃기기 위해 헐렁한 바지를 입고 있는 소매점 직원


유머는 인간 경험의 보편적이고 매우 깊이 자리 잡은, 그리고 상당히 의미있는 측면이며, 따라서 직장과 같은 조직적 맥락에서 분명히 관련이 있다.[43]

웃음재미가 조직 생활에서 하는 중요한 역할은 사회학적 현상으로 여겨져 왔으며, 또한 직원들 사이에 참여 의식과 동료애를 형성하는 것으로 점점 더 인식되고 있다.[44] 직장에서 유머를 공유하는 것은 지루함을 덜어줄 뿐만 아니라, 관계를 구축하고, 동료 간의 친목을 증진하며, 긍정적인 정동을 형성할 수 있다.[43] 직장 내 유머는 또한 긴장을 완화하고 대처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다.[43] 실제로, 직장 유머가 사람들의 웰빙에 미치는 가장 합의된 주요 영향 중 하나는, 매일의 스트레스, 역경 또는 기타 어려운 상황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는 대처 전략으로 유머를 사용하는 것이다.[43] 몇몇 동료와 함께 웃음을 나누는 것은 기분을 좋게 할 수 있으며, 사람들은 이것이 대처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한다.[43]

재미와 즐거움은 사람들의 삶에서 매우 중요하며, 동료들이 농담이나 기타 방식으로 직장 생활에서 웃을 수 있는 능력은 조화와 응집력 있는 감각을 증진시킨다.[43]

유머는 또한 직장 업무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상쇄하거나, 욕설 또는 기타 대처 전략의 사용을 완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용납되지 않을 수 있다.[43] 직장 내 유머는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 고통스러운 사건을 더 가벼운 맥락에서 논의하는 출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불안을 줄이고 더 행복하고 긍정적인 감정이 표면화되도록 할 수 있다.[43]

또한 유머는 관리자가 부하에게 지시를 내릴 때 권위적인 어조를 완화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관리자는 자기 비하 유머를 사용하여 직원들에게 더 인간적이고 "진짜"로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43] 현대 기업들이 재미라는 개념에 애착을 갖게 되면서, 직장 경영진은 "워크플레이"의 잠재적인 긍정적인 효과를 인식하게 되었고, 그것이 반드시 직원의 성과를 저해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44]

웃음과 놀이는 창의성을 발휘하여 사기를 높일 수 있으므로, 노동 과정의 엄격함에 대한 직원의 동의를 장려하기 위해, 경영진은 종종 유쾌한 관행을 무시하고, 용인하며, 심지어 적극적으로 장려하여 조직 목표를 달성하려 한다.[44] 본질적으로, 직장 내 재미는 더 이상 가벼운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44] 직장에서 관리되는 재미와 웃음에 대한 가장 최근의 접근 방식은 북미에서 시작되었으며, 그 정도가 심하여 유머 컨설턴트가 번성하고 있으며, 일부 주에서는 공식적인 "직장 내 재미"의 날을 도입했다.[44] 그 결과, 노동자들의 웰빙에 대한 혜택, 향상된 고객 경험, 그리고 조직이 누릴 수 있는 생산성 증가에 대한 주장이 제기되었다.[44] 다른 사람들은 행복 과학—정신 건강, 동기 부여, 지역 사회 구축 및 국가 웰빙과 관련됨—을 중심으로 이 운동의 결과를 조사하고, 놀이를 통해 "몰입"을 달성하고 "틀에서 벗어난" 사고를 자극하는 능력을 강조했다.[44] 이 운동과 병행하여, 인간 잠재력의 최적화를 경험적으로 이론화하려는 심리학에서 등장한 "긍정 심리학" 학문이 있다.[44]

이 행복 운동은 직장에서 재미에 투자하고, 웃음과 놀이를 허용함으로써, 즐거움과 더 큰 웰빙 감각을 창출할 뿐만 아니라, 직원들의 에너지, 성과 및 헌신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제안한다.[44]

13. 학교에서

유머의 사용은 청소년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45] 연구에 따르면 유머는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 작용에 특히 중요하다.[36] 학교 입학은 부모의 중요성이 쇠퇴하고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 작용이 점점 더 중요해지는 시기이다. 갈등은 이러한 상호 작용에 내재되어 있다. 유머의 사용은 갈등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궁극적으로 학교에서의 성공과 심리적 적응에도 기여한다.[46][47]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유머를 사용하면 괴롭힘의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낮아지는 반면, 자학적인 유머를 사용하면 괴롭힘을 당할 가능성이 높아진다.[36] 학생들이 괴롭힘을 당할 때, 자학적인 유머의 사용은 학생의 학교 적응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악화시킬 수 있다.[36]

14. 연구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기뻐서 웃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신경생리학적 관점에서는 웃어서 기쁘다고도 주장한다.[89] 현대 심리학에서는 유머와 웃음의 상관관계, 웃음의 감정적 차별화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머 이론에는 다음이 있다.


  • '''각성이론''': 해학이 축적된 긴장 또는 에너지를 감소시킨다고 본다.
  • '''부조화 이론''': 해학 자극에 대한 인지적 이해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해학은 예기치 않은 형식으로 본질적으로 서로 다른 두 사상, 개념 또는 상황이 함께 진행됨으로써 발생한다고 본다. (분석심리학에서 정리)
  • '''우월성 이론''': 주로 타인의 약함과 흉함에 대한 반응으로 해학이 유발된다고 본다.[90]
  • '''정신분석적 이론''': 해학은 가장된 성적 공격이다.
  • '''언어 이론''': 해학은 앞뒤가 맞지 않는 일과 다른 논리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관련된다고 본다.[92]


알프레드 아들러는 타인의 불행이나 어리석음을 비웃는 것을 우월감으로 보지 않고, 자신은 그렇게 되지 않겠다는 다짐으로 보았다.[91] 쇼펜하우어는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에서 부조화 이론과 우월성 이론과 같은 입장을 보였다.

유머는 고통 대처 능력을 높이고,[36] 부정적 감정을 완화하며,[49] 인지 발달의 확장-구축 이론과 관련된 긍정적 감정과 연관된다. 해소 가설 연구[50] 등은 유머가 긍정적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보여준다. 긍정적 감정은 부정적 정서 이후 자율 신경계를 회복시킬 수 있다.[50] 유머는 암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51] 정신 분열증 환자에 대한 효과는 불확실하다.[52] 또한, 역경에 대처하는 거리두기 메커니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뒤센 웃음은 고통 인식을 감소시킨다.[53]

14. 1. 웃음

웃음은 대단히 기이한 감정 표현으로, 그 발생이 한 가지 감정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복합적인 감정에서 비롯된다. 예를 들어, 길을 가던 사람이 넘어지는 것을 보고 웃거나, 대회에서 탈락했을 때 허탈감 속에서 웃을 수 있다. 칸트는 "긴장스러운 예상이 갑작스레 무(無)로 돌아갈 때 웃음은 터진다"라고 설명했다.[89] 즉,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타날 때 웃음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허버트 스펜서는 이를 "의식이 굉장한 일에서 사소한 일로 불시에 전이할 때 감정과 감각은 신체운동을 발생한다"라고 표현했다. 일반적으로 기뻐서 웃는다고 생각하지만, 신경생리학적 관점에서는 웃어서 기쁘다고도 주장한다.[89]

웃고 있는 남자


현대 심리학적 유머 이론에서는 유머와 웃음 사이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주요 발견은 웃음과 유머가 항상 일대일로 연관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2009년 다이아나 사메이타트(Diana Szameitat)의 연구에 따르면, 웃음은 긍정적 감정(기쁨, 간지럼)뿐만 아니라 부정적 감정(사덴프로이데, 조롱)과도 상관관계가 있으며, 대상의 각성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48]

14. 2. 건강

해학은 더 높은 주관적 웰빙(신체적, 심리적)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2] 심리적 웰빙을 달성하고 유지하는 데 해학이 중요한 요소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32][33] 긍정적인 해학은 긍정적인 건강으로 이어진다는 가설도 있으나, 모든 현대 연구가 이를 뒷받침하는 것은 아니며,[34] 해학의 유형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자기 비하적 또는 공격적인 해학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35]

연구에 따르면 해학은 크게 적응적 해학과 부적응적 해학으로 나눌 수 있다.[35]

구분내용
적응적 해학
부적응적 해학



높은 수준의 적응적 해학은 더 나은 자존감, 긍정적 정서, 자기 효능감, 불안 조절, 사회적 상호 작용과 관련이 있다.[37] 심리적 문제가 있어도 웰빙 감각을 유지하도록 돕는다.[33] 반면, 부적응적 해학은 낮은 심리적 웰빙,[37] 높은 수준의 불안과 우울증과 관련된다.[37]

적응적 유머는 고통 대처 능력을 높이고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며,[36] 부적응적 유머는 부정적 영향을 증폭시킬 수 있다.[36]

유머는 사별한 사람들의 부정적 감정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며,[49] 감정의 강도가 강할수록 효과가 더 크다.[49] 유머는 일시적인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데 유용하지만, 강한 부정적 자극에는 다른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유머는 암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51] 정신 분열증 환자에 대한 효과는 불확실하다.[52]

해학은 역경에 대처하는 거리두기 메커니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뒤센 웃음은 고통 인식을 감소시킨다.[53] 긍정적 감정은 부정적 감정의 영향을 약화시키고, 다양한 인지 경로와 사회적 자원 구축을 돕는다.

14. 3. 노화

유머는 신체 건강 개선, 사회적 소통 개선, 삶의 만족감 달성 지원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노화 과정을 개선하고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따르면 노화 과정에서 지속적인 유머는 개인에게 더 높은 자존감, 더 낮은 수준의 우울증, 불안, 인지된 스트레스 감소, 더 긍정적인 자아 개념 등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한다.[54][55] 특정 질병을 가진 환자도 유머를 통해 노화가 개선되는 것을 보여주었다.[56] 전반적으로 노화 과정에서 지속적인 유머와 개인의 더 나은 건강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다.

유머가 노화 과정을 돕는 또 다른 방법은 개인이 삶의 과도기 동안 강력한 사회적 관계를 만들고 유지하도록 돕는 것이다.[56] 예를 들어 사람들이 요양원이나 기타 요양 시설로 옮겨갈 때, 친구 및 가족과의 사회적 상호 작용이 제한되어 다른 곳에서 이러한 상호 작용을 찾아야 할 수 있다. 유머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사교를 촉진하며 사회적 유대 기능을 수행하여 전환을 더 쉽게 만든다.[57] 또한 유머는 개인의 삶의 변화를 강요하는 사람들에 대해 긍정적인 감정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새로운 사회적 상호 작용은 삶의 전환에 매우 중요할 수 있으며, 유머는 이러한 상호 작용을 도와 전환을 더 쉽게 만든다.

유머는 또한 노화하는 개인이 삶의 만족감을 유지하도록 도울 수 있다. 노화 과정을 통해 자동차 운전 권한 상실과 같은 많은 변화가 발생하는데, 이는 개인의 삶의 만족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유머는 개별 생활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와 불안을 해소함으로써 이러한 만족도 감소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56] 웃음과 유머는 스트레스를 완화하여 개인의 상황에 대해 더 나은 감정을 느끼도록 하여 만족도 감소를 대체할 수 있다.[54] 이는 새롭고 변화하는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만족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4. 4. 생리학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기뻐서 웃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신경생리학적 관점에서는 웃어서 기쁘다고도 주장한다.[89]

네이처 리뷰 신경과학에 게재된 한 논문에 따르면, 유머가 전두엽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 해당 연구에서는 유머가 부조화를 감지하고 해결하는 데 관여하는 피질 및 피질하 구조의 핵심 네트워크를 활용하며, 도파민 경로와 편도체 같은 보상 시스템 및 현저성 처리에 중요한 핵심 구조인 중변연계 도파민 시스템도 관여한다고 밝혔다.[58]

원래 유머(Humor)는 체액을 의미하는 "후모르"라는 단어였다. 히포크라테스사체액설을 주장하면서 유머의 의미가 체액에서 사람의 컨디션으로, 나아가 컨디션이 변한 사람을 지칭하는 의미로 변화했다. 의학·생리학 용어였던 "후모르"는 르네상스 시대의 문예 비평가들에 의해 미학적인 용어인 "유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73]

15. 공식

미소는 15개의 안면 근육이 수축하면서 나타나는 움직임이다. 해학은 진지한 일을 우스꽝스럽게 표현하거나 우스꽝스러운 일을 진지하게 나타내 발생한다.

해학은 언어적, 시각적, 신체적일 수 있으며, 음악이나 시각 예술과 같은 비언어적 형태도 해학적일 수 있다.

놀람은 해학의 구성 요소이다.

15. 1. 핵심 요소

역설, 동문서답, 그리고 속된 속어 등은 해학을 일으키는 요소이다. 무지, 허영, 우연의 일치, 변덕, 부주의, 우직함, 극단 등 만화적인 표현과 가치를 바꾸는 것이나 부조화의 표현도 웃음을 자아낸다.[85]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예상하는 대화 전제를 부정하거나, 대화의 기본 원리를 위배하여 생각과 실제 말 사이의 불일치를 갑자기 파악할 때 해학이 발생한다. 즉, 해학의 웃음 유발 원리는 비예측성 상황에서의 불일치라고 할 수 있다.[86] 해학에서는 이야기 결과를 예측하지 못한 수용자가 허를 찔리는 과정에서 웃음이 발생한다.

손세모돌은 해학의 형성 원리를 "의외성"으로 보았고, 이는 듣는 이의 예측이 어긋나거나 예측 불허인 상태라고 설명했다. 해학은 의도적으로 계산된 웃음 유발 장치이므로, 대화자 간 의외성 이해 능력이 없으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다.[87]

해학의 핵심 요소는 다음과 같다.

15. 2. 방법

해학은 진지한 일을 우스꽝스럽게 표현하거나 우스꽝스러운 일을 진지하게 나타내는 것을 통해 발생한다. 역설, 동문서답, 속어 등은 해학을 일으키는 요소들이다.[85] 또한, 무지, 허영, 우연의 일치, 변덕, 부주의, 우직함, 극단 등의 만화적인 표현이나 가치를 바꾸는 것, 부조화의 표현 모두 웃음을 유발한다.[85]

해학의 웃음은 비예측성 상황에서의 불일치에서 비롯된다.[86] 즉, 예상과 다른 말이 나올 때, 일반적인 대화의 전제를 부정하거나 대화의 원리를 위배할 때 웃음이 발생한다.[86] 손세모돌은 해학의 형성 원리를 "의외성"으로 보았으며, 이는 듣는 이의 예측이 어긋나거나 예측 불허인 상태를 의미한다.[87]

해학은 의도적으로 계산된 웃음 유발 장치이며, 대화자 간 의외성을 이해하는 능력이 있어야 제대로 작동한다.[87] 단순한 웃음 유발이 아닌, 의도성과 웃음이 해학의 조건이다.[88]

웃음은 복합적인 감정에서 발생하며, 칸트는 "긴장스러운 예상이 갑작스레 무(無)로 돌아갈 때 웃음이 터진다"고 말했다. 허버트 스펜서는 이를 "의식이 굉장한 일에서 사소한 일로 불시에 전이할 때 감정과 감각은 신체운동을 발생한다"라고 표현했다.

해학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표현 방법이 있다.

유머는 인간 관찰을 포함하지만, 이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으며, 불완전한 인간을 긍정하는 태도를 보인다.[68] 인간에 대한 사랑을 바탕으로 인간의 우스운 점을 그리는 것이 유머의 특징이다.[68] 유머는 풍자와 달리 비판이나 진보의 마음보다는 인간에 대한 애정을 기반으로 한다.

유머는 일상 대화에서 상대를 즐겁게 하고 분위기를 부드럽게 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유머를 이해하고 창조하려면 언어 교양이 필요하며,[69] 다른 사회의 유머는 이해하기 어려워 번역이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70]

15. 3. 행동, 장소 및 크기

로언 앳킨슨은 다큐멘터리 ''Funny Business''[59]에서 사물이나 사람이 재미있어지는 세 가지 방식을 강연을 통해 설명한다.

  • 독특한 방식으로 행동할 때
  • 특이한 장소에 있을 때
  • 잘못된 크기일 때


대부분의 슬랩스틱은 이 범주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된다.

15. 4. 과장

몇몇 희극 이론가들은 과장법을 보편적인 희극적 장치로 여긴다.[60] 과장법은 다양한 장르에서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사물의 두드러진 특징을 터무니없는 수준으로 과장하는 것이 가장 쉽게 웃음을 유발하는 방법이라는 사실에 의존한다.[61] 제임스 맥닐 휘슬러가 그린 오스카 와일드의 과장된 캐리커처가 하나의 예시가 될 수 있다.

제임스 맥닐 휘슬러가 그린 오스카 와일드의 과장된 캐리커처

16. 분류법

해학에는 다양한 분류 체계가 있으며, (Rayz 2012)에서 유머 트윗을 분류하는 데 사용된 분류법은 다음과 같다.[62]

분류
일화
환상
모욕
아이러니
농담
관찰
인용
역할극
자기 비하
저속함
언어 유희
기타


17. 문화

문화에 따라 유머에 대한 기대가 다르기 때문에 코미디 쇼가 다른 문화로 전달될 때 항상 성공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004년 BBC 뉴스 기사에서는 영국 코미디언들 사이에서 미국인과 독일인이 아이러니를 이해하지 못한다는 고정관념에 대해 논의하며, 따라서 영국의 시트콤은 그들에게 호평을 받지 못한다고 언급한다.[63]

참조

[1] 서적 The Planet Without Laughter
[2] 논문 Too Close for Comfort, or Too Far to Care? Finding Humor in Distant Tragedies and Close Mishaps 2012-10-01
[3] 서적 The Humor Code: A Global Search for What Makes Things Funny Simon & Schuster 2014-01-01
[4] 논문 Perception of other people's mental states affects humor in social anxiety https://archive-ouve[...] 2012-01-01
[5] 문서 Prudence and Racial Humor: Troubling Epithets 2019-09-01
[6] 웹사이트 The Quotations Page: Quote from E.B. White http://www.quotation[...] 2018-08-26
[7] 서적 Caricaturing Culture in India: Cartoons and History of the Modern World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1-01
[8] 논문 A cultural analysis of the Russo-Soviet Anekdot http://etd.library.p[...] 2003-01-01
[9] 서적 Rabelais and His World Indiana University Press 1965-01-01
[10] 웹사이트 The Way of the Comedian https://psychcentral[...] 2019-10-25
[11] 논문 Comedy as Satire in Hispano-Arabic Spain 1958-01-01
[12] 웹사이트 Mento Music Lord Flea http://www.mentomusi[...] 2013-04-14
[13] 논문 Exploration of Chinese humor: Historical review, empirical findings, and critical reflections
[14] 논문 Confucius-Ridens, Humor in the Analects
[15] 서적 Humour in Chinese Life and Letters: Classical and Traditional Approaches HKUP 2011-01-01
[16] 웹사이트 The Invention of Li Yu – Patrick Hanan – Harvard University Press http://www.hup.harva[...] 2018-08-26
[17] 웹사이트 Comic Visions of Modern China http://u.osu.edu/mcl[...]
[18] 서적 The Age of Irreverence: A New History of Laughter in China http://www.ucpress.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5-01-01
[19] 서적 Humour in Chinese Life and Letters: Classical and Traditional Approaches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1-01-01
[20] 웹사이트 Research - School of Modern Languages – Newcastle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16-09-30
[21] 웹사이트 Stifled Laughter http://www.danwei.or[...]
[22] 뉴스 Humour in Chinese Life and Culture: Resistance and Control in Modern Times http://www.hkupress.[...]
[23] 논문 Heterosexual romantic preferences: The importance of humor and physical attractiveness for different types of relationships 1998-01-01
[24] 논문 Student perceptions of traits desired in themselves as dating and marriage partners 1958-01-01
[25] 논문 Sex differences among partner preferences: Are the sexes really very similar? 1990-01-01
[26] 논문 Evolution, traits, and the stages of the parental investment model 1990-01-01
[27] 논문 The influence of humour on desirability 2006-01-01
[28] 논문 Men's and Women's Preferences in Marital Partners in the United States, Russia, and Japan https://journals.sag[...] 1995-11-01
[29] 논문 The criteria of Chinese and South Koreans' mate selection: A comparative study of long-term and short-term mate selection preferences in the cross-cultural perspective 2023-02-01
[30] 논문 Physical Attractiveness, Attitudes toward Career, and Mate Preferences among Young Chinese Women 2014-01-01
[31] 웹사이트 政大機構典藏-National Chengchi University Institutional Repository(NCCUR):Item 140.119/49980 https://nccur.lib.nc[...] 2024-11-28
[32] 논문 Humor and self-concept 1993-01-01
[33] 논문 Preserving Subjective Wellbeing in the Face of Psychopathology: Buffering Effects of Personal Strengths and Resources 2016-01-01
[34] 논문 Laughter and stress in daily life: Relation to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1998-01-01
[35] 논문 Individual differences in uses of humor and their relation to psychological well-being: Development of the humor styles questionnaire 2003-01-01
[36] 논문 Humor styles, bullying victimization and psychological school adjustment: Mediation, moderation and person-oriented analyses 2022-01-01
[37] 논문 Humor is not always the best medicine: Specific components of sense of hum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2004-01-01
[38] 웹사이트 Do cheerfulness, exhilaration, and humor production moderate pain tolerance? A FACS study 2015-08-11
[39] 논문 Humor and Laughter May Influence Health IV. Humor and Immune Function
[40] 논문 Humor and Laughter May Influence Health: III. Laughter and Health Outcomes
[41] 논문 Mirth and oxygen saturation levels of peripheral blood
[42] 논문 Benefits of humor in reduction of threat-induced anxiety
[43] 논문 Healthy humour: Using humour to cope at work 2009-01-01
[44] 논문 Are we having fun yet? A consideration of workplace fun and engagement 2009-10-02
[45] 논문 Social competence in the 1st grade predicts school adjustment two years later http://dx.doi.org/10[...] 2021-01-01
[46] 논문 Associations between adolesc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chool well-being, and academic achievement during educational transitions http://dx.doi.org/10[...] 2020-01-01
[47] 논문 The thrill of bullying. Bullying, humour and the making of community http://dx.doi.org/10[...] 2018-01-01
[48] 논문 Differentiation of Emotions in Laughter at the Behavioural Level
[49] 논문 Finding Comfort in a Joke: Consolatory Effects of Humor Through Cognitive Distraction
[50] 논문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51] 웹사이트 Humor in Cancer Treatment https://allusdoctors[...]
[52] 논문 Humour-based interventions for people with schizophrenia
[53] 논문 A study of laughter and dissociation: Distinct correlates of laughter and smiling during bereavement
[54] 논문 Humor,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55] 논문 Humor and self-concept
[56] 논문 Humor and Aging Well: A Laughing Matter or a Matter of Laughing? 1996-01-01
[57] 논문 Promoting emotional well-being through the use of humour
[58] 논문 The neural basis of humour processing 2013-10-30
[59] TV Funny Business Tiger Television Productions 1992-11-22
[60] 서적 Techniques of Satire
[61] 서적 Enjoyment of Laughter
[62] 웹사이트 Automatic Humor Classification on Twitter https://aclanthology[...] 2012-01-01
[63] 뉴스 Do the Americans get irony? http://news.bbc.co.u[...] 2004-01-27
[64] 백과사전 ユーモア 大辞泉
[65] 백과사전 ユーモア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66] 서적 ユーモアのレッスン 中公新書
[67] 서적 エスプリとユーモア
[68] 백과사전 ユーモア 日本大百科全書
[69] 서적 ユーモアのレッスン
[70] 서적 ユーモアのレッスン
[71] 서적 エスプリとユーモア
[72] 서적 エスプリとユーモア
[73] 서적 エスプリとユーモア
[74] 서적 エスプリとユーモア
[75] 서적 ユーモアのレッスン
[76] 서적 문학비평용어사전 민음사 2001
[77] 논문 Humor 1987
[78] 서적 Humor, its origin and development 1979
[79] 논문 한국 아동의 유머 발달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1983
[80] 서적 1991
[81] 논문 Age and sex affects for emotional intensity 1985
[82] 논문 Humor 1987
[83] 서적 Humor and Laughter: An anthropological approach Cornell University Press 1985
[84] 서적 Humor, its origin and development 1979
[85] 논문 Humor 1987
[86] 논문 유머 담화의 구조와 생성 기제 1999
[87] 논문 유머로 보는 한국사회 1999
[88] 논문 유머텍스트의 원리와 언어학적 분석 2003
[89] 문서 뒤센 웃음과 팬암 웃음
[90] 서적 Humor and life stress: Antidote to adversity Springer-Verlag 1986
[91] 서적 인간이해
[92] 논문 Humor 1987
[93] 기타 한얼 유머 동호회 2000
[94] 논문 유머 텍스트의 웃음 유발 장치 1999
[95] 논문 Developing a typology of humor in audiovisual m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