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701호 ~ 제800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701호 ~ 제800호)는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민주화 운동, 교육, 종교, 산업, 경제 등 다양한 분야의 유산을 포함한다. 이 문화재들은 건축물, 문서, 기록물, 생활 유물, 역사문화공간 등 다양한 형태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의 근현대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서 보존 및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 유산, 한국전쟁 관련 유산, 민주화 운동 관련 유산 등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일제강점기 시대상을 반영하는 건축물, 문서, 생활 유물 등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한국전쟁의 흔적을 보여주는 군사 시설, 기록물 등이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2. 일제강점기 유산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이후 1945년 광복까지의 시기를 일컫는 일제강점기는 한국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일제의 억압과 수탈 속에서도 민족의 독립을 위한 투쟁이 끊임없이 이어졌다. 이러한 시대상을 반영하는 다양한 유물들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건축물로는 원주 기독교 의료 선교 사택(제701호), 원주 육민관고등학교 창육관(제702호), 태안 동문리 근대한옥(제704호), 문경 가은양조장(제706호), 조선내화주식회사 구 목포공장(제707호), 구 안성군청(제709호) 등이 있다. 이들 건축물은 일제강점기 당시의 생활상과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문경 가은양조장은 1944년에 건립된 양조장으로, 당시 막걸리 제조 시설과 일본식 주거 공간이 결합된 독특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제대 및 세례대(제705호)와 용인 고초골 공소(제708호)는 종교 관련 시설로서, 당시 종교 활동의 모습을 엿볼 수 있게 한다.
문서 자료로는 대한민국임시의정원 문서(제710호), 조일관계사료집(제711호), 윤동주 친필원고(제712호), 이육사 친필원고 '편복(蝙蝠)'(제713호), 장효근 일기(제714호) 등이 있다. 대한민국임시의정원 문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기록물이며, 조일관계사료집은 1919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의 한국 침략과 관련된 자료를 모은 것이다. 윤동주와 이육사의 친필 원고는 일제강점기 저항 시인들의 문학적 가치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생활 유물로는 부산 우암동 소막마을 주택(제715호)이 있다. 이 주택은 일제강점기 강제 이주된 한센인들이 거주했던 소막사의 흔적을 보여주는 곳으로, 당시 한센인들의 고단한 삶을 짐작하게 한다.
이 외에도 일제 주요감시대상 인물카드(제730호), 도산 안창호 일기(제721호), 관동창의록(제722호), 윤봉춘 일기(제732호), 도화임본(제733호), 지청천 일기(제737호), 이육사 친필원고 '바다의 마음'(제738호), 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강령 초안(제740호), 이봉창 의사 선서문(제745-1호), 이봉창 의사 친필 편지, 봉투 및 의거자금 송금증서(제745-2호), 매천 황현 매천야록(제746호), 매천 황현 오하기문(제747호), 매천 황현 절명시첩(제748호), 매천 황현 시·문(7책)(제749-1호), 매천 황현 유묵·자료첩(11책)(제749-2호), 매천 황현 교지·시권(2점)·백패통(제749-3호), 윤희순 의병가사집(제750호),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기념 23인 필묵(제755호), 이자해자전 초고본(제756호), 한국독립운동사략(상편)(제757호), 매천 황현 문방구류(제761-1호), 매천 황현 생활유물(제761-2호), 한인애국단원 편지 및 봉투(제773-1호), 한인애국단원 이력서 및 봉투(제773-2호), 대한민국임시정부 이교재 위임장 및 상해격발(제774-1호), 대한민국임시정부 문영박 추조 및 문원만 특발(제774-2호), 대한민국임시정부 특발, 추조, 편지 및 소봉투(제774-3호), 나석주 의사 편지 및 봉투(제788호) 등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들이 일제강점기의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
2. 1. 건축물
2. 2. 문서 및 기록물
2. 3. 생활 유물
3. 한국전쟁과 분단 관련 유산
원주 제1야전군사령부 구 청사는 한국전쟁 중인 1954년에 창설된 제1야전군사령부의 본부 건물로 사용되었으며, 2017년 12월 5일에 국가등록문화재 제703호로 지정되었다. 이 건물은 한국전쟁과 관련된 중요한 군사 시설로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제주 4‧3 수악주둔소는 1948년부터 1949년까지 제주 4·3 사건 당시 토벌대가 주둔했던 시설물이다. 2018년 6월 11일에 국가등록문화재 제716호로 지정되었으며, 제주 4·3 사건의 아픔을 간직한 역사적 장소이다.
고성 최동북단 감시초소(GP)는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직후 남측 지역에 최초로 설치된 감시초소(GP) 중 하나이다. 2019년 6월 5일에 국가등록문화재 제752호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민국의 분단 현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시설이다.
이 외에도 한국전쟁과 관련된 다양한 기록물들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6·25 전쟁 군사 기록물(육군)은 육군에서 생산한 문서, 사진, 도면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0년 6월 24일에 국가등록문화재 제787호로 지정되었다. 6·25 전쟁 군사 기록물(공군 전투비행단)은 공군 전투비행단에서 생산한 문서와 사진 자료로, 2020년 8월 12일에 국가등록문화재 제790호로 지정되었다. 또한, 보병과 더불어 악보는 한국전쟁 당시 군가로 불렸던 '보병과 더불어'의 악보로, 2020년 8월 12일에 국가등록문화재 제791호로 지정되었다.
이러한 군사 시설 및 기록물들은 한국전쟁과 분단의 역사를 기억하고, 평화의 중요성을 되새기게 하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3. 1. 군사 시설
3. 2. 전쟁 기록물
4. 민주화 운동 관련 유산
4.19 혁명과 민주화 운동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역사적 사건이다. 이러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관련 유산들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대한민국임시의정원 문서(제710호)는 대한민국 임시정원의 활동과 관련된 문서이다.
- 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강령 초안(제740호)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건국 이념과 방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기념 23인 필묵(제755호)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이 환국을 기념하여 남긴 기록이다.
-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인(제772호)은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에서 활동했던 인물들의 인장이다.
- 한인애국단원 편지 및 봉투(제773-1호)와 한인애국단원 이력서 및 봉투(제773-2호)는 한인애국단의 활동과 관련된 자료이다.
- 대한민국임시정부 이교재 위임장 및 상해격발(제774-1호), 대한민국임시정부 문영박 추조 및 문원만 특발(제774-2호), 대한민국임시정부 특발, 추조, 편지 및 소봉투(제774-3호)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문서들이다.
-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4·19 혁명 참여자 조사서(제793-1호)와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4·19 혁명 계엄 포고문(제793-2호)은 4.19 혁명 당시 연세대학교 학생들의 활동과 관련된 자료이다.
- 4·19 혁명 부상자 명단(고려대학교 4·18 학생 의거)(제794호)은 4.19 혁명 당시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피해 상황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이 외에도, 일제 주요감시대상 인물카드(제730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의 감시 기록을 담고 있어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4. 1. 4.19 혁명 관련 유산
4. 2. 민주화 운동 관련 기록물
5. 교육 및 학술 관련 유산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701호 ~ 제800호 가운데 교육 및 학술 관련 유산으로는 근대 교육 기관의 건축물과 학술 자료 등이 있다.
원주 기독교 의료 선교 사택은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있는 건축물로, 1918년경에 건립된 개신교 선교사의 사택이다. 원주 육민관고등학교 창육관은 강원도 원주시에 있는 학교 건물로, 1956년에 준공되었다.
대한민국임시의정원 문서는 대한민국 임시정원에서 생산된 문서이다. 조일관계사료집(朝日關係史料集)은 일제강점기의 한일 관계 사료를 모은 책이다. 윤동주 친필원고는 시인 윤동주가 직접 쓴 원고이다. 이육사 친필원고 '편복(蝙蝠)'은 시인 이육사가 직접 쓴 시 '편복'의 원고이다. 장효근 일기는 독립운동가 장효근의 일기이다.
운강선생유고 및 부록은 조선 말기의 의병장 이강년의 유고와 부록이다. 도산 안창호 일기는 독립운동가 안창호의 일기이다. 관동창의록(關東倡義錄)은 1896년 강원도에서 일어난 의병 항쟁에 대한 기록이다.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구 본관은 광주광역시 동구에 있는 전남대학교의 옛 건물이다. 일제 주요감시대상 인물카드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경찰이 감시 대상으로 지정한 인물들에 대한 카드이다. 도화임본(圖畵臨本)은 그림을 보고 베껴 그린 책이다.
서울 동국대학교 구 본관(석조관)은 서울 동국대학교의 옛 본관 건물이다. 대전 충남대학교 구 문리과대학은 대전 충남대학교의 옛 문리과대학 건물이다. 지청천 일기는 독립운동가 지청천의 일기이다. 이육사 친필원고 '바다의 마음'은 시인 이육사가 직접 쓴 시 '바다의 마음'의 원고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강령 초안은 1941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작성한 건국 강령 초안이다.
서울 경희대학교 본관은 서울 경희대학교의 본관 건물이다. 이봉창 의사 선서문은 이봉창 의사가 1931년 한인애국단에 입단하면서 작성한 선서문이다. 이봉창 의사 친필 편지, 봉투 및 의거자금 송금증서는 이봉창 의사가 김구에게 보낸 편지와 봉투, 의거 자금 송금 증서 등이다. 매천 황현 매천야록(梅泉野錄)은 구한말의 학자 황현이 쓴 역사서이다. 매천 황현 오하기문(梧下記聞)은 황현이 쓴 책이다. 매천 황현 절명시첩(絶命詩帖)은 황현이 자결하면서 남긴 시를 모은 책이다. 매천 황현 시·문(7책)은 황현의 시와 문장을 모은 책이다. 매천 황현 유묵·자료첩(11책)은 황현의 글씨와 자료를 모은 책이다. 매천 황현 교지·시권(2점)·백패통은 황현의 교지, 시권, 백패통이다. 윤희순 의병가사집은 여성 의병장 윤희순이 지은 의병 가사집이다.
서울 한양대학교 구 본관은 서울 한양대학교의 옛 본관 건물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기념 23인 필묵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 23인이 환국을 기념하여 남긴 글과 그림이다. 이자해자전 초고본은 독립운동가 이자해의 자서전 초고본이다. 한국독립운동사략(상편)은 독립운동가 박은식이 저술한 한국 독립운동사 관련 역사서이다.
익산 구 이리농림고등학교 본관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에 있는 전북대학교 익산캠퍼스의 옛 이리농림고등학교 본관 건물이다. 불교는 1924년에 창간된 불교 잡지이다. 김천고등학교 본관과 김천고등학교 구 과학관은 경북 김천시에 있는 김천고등학교의 본관과 구 과학관 건물이다.
전북대학교 구 본관, 전북대학교 구 문리과대학, 전북대학교 구 중앙도서관은 전북 전주시 덕진구에 위치한 전북대학교의 옛 건물들이다. 서울 보화각은 간송미술관의 모태가 된 건물이다. 서울 연세대학교 핀슨관은 서울 연세대학교의 건물 중 하나로, 윤동주 시비가 있는 곳이다. 송기주 네벌식 타자기는 1934년 송기주가 개발한 네벌식 타자기이다.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인은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에서 활동했던 인물들의 인명록이다. 한인애국단원 편지 및 봉투는 한인애국단 단원들이 주고받은 편지와 봉투이다. 한인애국단원 이력서 및 봉투는 한인애국단 단원들의 이력서와 봉투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이교재 위임장 및 상해격발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이교재에게 발급한 위임장과 상해에서 발송한 문서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 문영박 추조 및 문원만 특발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문영박을 추서하고 문원만에게 특별 발령한 문서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 특발, 추조, 편지 및 소봉투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특별 발령, 추서, 편지 및 소봉투이다.
이긍연 을미의병 일기는 이긍연이 1895년 을미사변 이후 의병 활동을 기록한 일기이다. 대한제국애국가는 1902년에 제정된 대한제국의 애국가 악보이다. 대구 동인초등학교 강당은 대구 동인초등학교의 강당 건물이다. 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은 박두성이 창안한 한글 점자 훈맹정음의 제작 및 보급과 관련된 유물이다. 한글점자 「훈맹정음」 점자표 및 해설 원고는 훈맹정음의 점자표와 해설 원고이다.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4·19 혁명 참여자 조사서는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이 4·19 혁명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이다.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4·19 혁명 계엄 포고문은 4·19 혁명 당시 계엄사령부가 발표한 포고문이다. 4·19 혁명 부상자 명단(고려대학교 4·18 학생 의거)는 1960년 4월 18일 고려대학교 학생들이 시위 도중 부상당한 학생들의 명단이다.
5. 1. 학교 건물
5. 2. 학술 자료
6. 종교 관련 유산
근대 종교 시설은 한국 근대사의 중요한 부분으로, 건축 양식과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원주 기독교 의료 선교 사택은 1918년경 건립된 2층 벽돌조 주택으로, 선교사들의 주거 공간이자 의료 활동의 거점이었다.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제대 및 세례대는 1900년 건립된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내부에 위치하며, 한국 전통 건축 양식과 서양의 종교 건축 양식이 조화롭게 결합된 모습을 보여준다. 용인 고초골 공소는 1930년대에 건립된 한옥 공소로, 용인시 지역 천주교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영주 제일교회는 1958년 건립된 석조 건물로, 영주시 지역 개신교 역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칠곡 왜관성당은 1966년 건립된 성당으로,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의 수도원 성당 역할을 담당했다. 인제성당은 1957년에 건립된 성당으로, 한국전쟁 이후 인제군 지역의 재건과 함께 천주교 신앙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구 영원한 도움의 성모수녀회 춘천수련소는 1957년에 건립되었으며, 영원한 도움의 성모 수녀회의 수련 시설로 사용되었다. 서울 구 공군사관학교 교회는 1964년 건립된 교회 건물로, 공군사관학교 생도들의 종교 활동을 위한 공간이었다. 신안 흑산성당은 1958년에 건립된 성당으로, 흑산도 지역의 천주교 선교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목포 경동성당은 1954년에 건립된 성당으로, 고딕 양식과 로마네스크 양식이 혼합된 독특한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통영 황리공소는 1935년에 건립되었으며, 통영시 지역의 천주교 초기 선교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동해 북평성당은 1960년에 건립된 성당으로, 동해시 지역의 천주교 선교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구 천도교 임실교당은 1930년에 건립된 천도교 교당으로, 임실군 지역의 천도교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 | ![]() | |
![]() | ![]() | ![]() |
![]() | ![]() |
6. 1. 개신교 시설
6. 2. 천주교 시설
7. 산업 및 경제 관련 유산
한국 근현대 산업 및 경제 발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다양한 시설들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문경 가은양조장(제706호)은 1944년 무렵 건립된 양조장으로, 2017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조선내화주식회사 구 목포공장(제707호)은 1938년 설립된 내화물 제조 공장으로, 한국 중공업 발전의 초기 모습을 보여준다.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제718호)은 목포 번화로 일본식가옥(제718-1호 ~ 제718-3호, 제718-7호, 제718-12호, 제718-13호), 목포 영산로 일본식가옥(제718-4호), 구 목포부립병원 관사(제718-5호), 구 목포 일본기독교회(제718-6호), 목포 해안로 일본식 상가주택(제718-8호), 목포 해안로 교차로 상가주택(제718-9호), 목포 부두 근대상가주택(제718-10호), 구 동아부인상회 목포지점(제718-11호), 목포 해안로 붉은 벽돌창고(제718-14호), 구 목포 화신연쇄점(제718-15호) 등 일제강점기 상업 시설과 주거 시설이 밀집된 지역이다. 이 공간은 근대기 목포의 경제 활동과 일본의 침략적 경제 정책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산이다. 특히, 구 동아부인상회 목포지점은 일제강점기 동아부인상회가 운영하던 백화점 건물로, 당시 상업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군산 내항 역사문화공간(제719호)은 군산 내항 뜬다리 부두 (부잔교)(제719-1호), 군산 내항 호안시설(제719-2호), 군산 내항 철도(제719-3호), 군산 구 제일사료 주식회사 공장(제719-4호), 군산 경기화학약품상사 저장탱크(제719-5호) 등 일제강점기 군산항을 통해 쌀 수탈 및 물자 반출이 이루어졌던 아픈 역사를 간직한 곳이다. 군산 내항 뜬다리 부두는 조수 간만의 차가 큰 서해안의 특성을 극복하기 위해 설치된 시설로, 근대 항만 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제720호)는 구 영주역 5호·7호 관사(제720-1호, 제720-2호), 영주 영주동 근대한옥(제720-3호), 영주 영광이발관(제720-4호), 영주 풍국정미소(제720-5호) 등 근대 시기 영주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건축물들이 모여 있는 곳이다. 영주 풍국정미소는 1940년대 건립된 정미소 건물로, 지역 경제의 중심지였던 영주의 역사를 보여준다.
군산 빈해원(제723호)은 1950년대 초부터 화교 왕근석(王勤碩)이 창업하여 대를 이어온 중국 음식점이다. 군산 구 남조선전기주식회사(제724호)는 일제강점기 전기 공급 회사 건물로, 근대 산업 시설의 모습을 보여준다. 군산 구 조선운송주식회사 사택(제725호)은 일제강점기 운송 회사 사택으로, 당시 주거 문화를 엿볼 수 있다.
세종 구 산일제사 공장(제754호)은 1930년대에 건립된 제사(製絲) 공장으로,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아내던 산업 시설이다. 구 목포세관 본관 터 및 창고(제786호)는 대한제국 시기 목포해관이 있던 자리로, 근대 개항기의 역사적 흔적을 보여준다.
익산 솜리 근대역사문화공간(제763호)은 익산 구 대교농장 사택(제763-1호), 익산 구 신신백화점(제763-2호),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제763-3호 ~ 제763-7호), 익산 보화당한의원 구 건조창고(제763-8호), 익산 구 이리금융조합(제763-9호), 익산 인북로 근대상가주택(제763-10호) 등 일제강점기 익산 지역의 경제, 생활상을 보여주는 다양한 건축물들이 모여 있는 공간이다. 익산 구 이리금융조합은 일제강점기 금융조합 건물로, 당시 금융 시스템과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영덕 영해장터거리 근대역사문화공간(제762호)은 3.1운동 당시 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났던 장소로, 역사적 의미가 깊은 곳이다. 통영 근대역사문화공간(제777호)은 조선시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 통영의 중심지였던 곳으로, 다양한 근대 건축물들이 남아있다.
7. 1. 산업 시설
7. 2. 상업 시설
8. 역사문화공간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중 역사문화공간은 특정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특징을 보여주는 공간들을 다룬다.
-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일제강점기 목포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공간이다. 목포 번화로 일본식가옥-1, 목포 번화로 일본식가옥-2, 목포 번화로 일본식가옥-3, 목포 영산로 일본식가옥, 구 목포부립병원 관사, 구 목포 일본기독교회,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1, 목포 해안로 일본식 상가주택, 목포 해안로 교차로 상가주택, 목포 부두 근대상가주택, 구 동아부인상회 목포지점,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2,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3, 목포 해안로 붉은 벽돌창고, 구 목포 화신연쇄점 등이 포함된다.
- 군산 내항 역사문화공간: 일제강점기 군산 지역의 항만 시설과 관련된 공간이다. 군산 내항 뜬다리 부두 (부잔교), 군산 내항 호안시설, 군산 내항 철도, 군산 구 제일사료 주식회사 공장, 군산 경기화학약품상사 저장탱크 등이 있다.
-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 경상북도 영주 지역의 근대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공간이다. 구 영주역 5호 관사, 구 영주역 7호 관사, 영주 영주동 근대한옥, 영주 영광이발관, 영주 풍국정미소, 영주 제일교회 등이 있다.
- 영덕 영해장터거리 근대역사문화공간: 3·1 운동 당시 영해 장터에서 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났던 역사적인 장소이다.
- 익산 솜리 근대역사문화공간: 일제강점기 솜리 지역의 근대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공간이다. 익산 구 대교농장 사택, 익산 구 신신백화점,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1,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2,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3,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4,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5, 익산 보화당한의원 구 건조창고, 익산 구 이리금융조합, 익산 인북로 근대상가주택 등이 있다.
8. 1. 근대역사문화공간
8. 2. 항구 및 부두 시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