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폐는 1912년 오이겐 블로일러에 의해 처음 명명된 발달 장애의 일종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 반복적인 행동과 제한된 관심사를 특징으로 한다. 1943년 레오 카너에 의해 처음으로 정신의학적으로 분류되었으며, 한스 아스퍼거는 유사한 시기에 다른 방식으로 자폐를 분류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다양한 증상과 정도를 포괄하며, 카너 증후군, 아스퍼거 증후군, 고기능 자폐증 등으로 분류된다. 자폐증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산전 및 주산기 요인, 환경적 요인 등도 관련될 수 있다. 현재 자폐증에 대한 완치 치료법은 없으며, 행동 치료, 특수 교육,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증상 완화와 삶의 질 개선을 목표로 한다. 자폐는 사회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며, 자폐 권리 운동과 신경다양성 운동을 통해 자폐인에 대한 사회적 수용과 이해를 증진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반적 발달장애 - 레트 증후군
레트 증후군은 주로 여아에게 발병하는 신경발달 질환으로, MECP2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초기 정상 발달 후 퇴행, 언어 및 운동 능력 손상, 특징적인 손 움직임, 간질 등의 증상을 보이며 증상 완화와 기능 개선을 목표로 치료한다. - 전반적 발달장애 - 취약 X 증후군
취약 X 증후군은 X 염색체 FMR1 유전자 돌연변이로 발생하며, CGG 삼핵산 반복 횟수 증가로 FMR1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어 지적 장애, 학습 장애, 특징적인 신체적 특징,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을 동반하는 유전 질환이다. - 의사소통 장애 - 뇌성마비
뇌성마비는 태아 또는 영유아기의 비진행성 뇌 손상으로 운동 및 자세 발달에 영구적인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감각, 인지 등의 문제가 동반될 수 있고, 치료는 불가능하지만 다양한 중재를 통해 증상 완화 및 기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 의사소통 장애 - 실어증
실어증은 뇌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언어 장애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능력 저하를 주요 증상으로 하며, 언어치료와 사회적 지원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 자폐성 장애 - 반향어
반향어는 타인의 말이나 소리를 반복하는 현상으로, 직접 반향어와 지연 반향어로 나뉘며, 발달 장애 아동에게서 흔히 관찰되지만 다양한 신경학적 장애에서도 나타날 수 있고, 의사소통 기능 및 언어 학습 촉진의 긍정적 기능도 가진다. - 자폐성 장애 - 자폐 스펙트럼
자폐 스펙트럼은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양상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발달 장애로,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증상 완화와 삶의 질 개선에 중점을 둔 치료가 이루어진다.
자폐 | |
---|---|
질병 개요 | |
이름 | 자폐증 |
동의어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자폐 스펙트럼 조건 이전 명칭: 카너 증후군/자폐성 장애/소아 자폐증, 아스퍼거 증후군, 소아기 붕괴성 장애, 달리 명시되지 않은 전반적 발달 장애 |
진료 분야 | 정신의학 임상 심리학 소아과 산업 의학 |
증상 |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 경직된 일상 좁고 제한적인 관심사 반복적인 신체 움직임 특이한 감각 반응 |
합병증 | 사회적 고립 교육 및 고용 문제 불안 스트레스 집단 괴롭힘 우울증 자해 자살 충동 |
발병 시기 | 유아기 |
지속 기간 | 평생 |
원인 | 다요인성, 불확실한 요인이 많음 |
위험 요인 | 가족력 특정 유전적 조건 고령 부모 특정 처방 약물 주산기 및 신생아 건강 문제 |
진단 | 행동 및 발달에 대한 임상 관찰, 자격을 갖춘 전문가 팀(정신과 의사, 임상 심리학자, 신경심리학자, 소아과 의사 및 언어 병리학자 포함)의 종합적인 진단 검사 조합을 기반으로 함. 성인의 경우 자폐 특성에 대한 환자의 서면 및 구두 기록 사용이 더욱 중요해짐. |
감별 진단 | 지적 장애 불안 양극성 장애 우울증 레트 증후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분열성 성격장애 선택적 함구증 정신 분열증 취약 X 증후군 강박 장애 사회 불안 장애 아인슈타인 증후군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학습 장애 (주로 언어 장애) |
관리 | 긍정적 행동 지원 응용 행동 분석 인지 행동 치료 작업 치료 향정신성 약물 언어 병리학 |
빈도 | 전 세계적으로 100명 중 1명 (1%) |
2. 역사
자폐의 영어 단어인 "autism"은 그리스어로 "자신"을 뜻하는 "αυτοςgrc (autos)"에서 유래된 말로, 오이겐 블로일러(Eugen Bleulerde)라는 정신과 의사가 1912년에 《미국 정신 이상 잡지》에 게재한 글에 처음 쓰였다.[408]
세계 보건 기구(WHO)의 국제 질병 분류(ICD-11)는 2018년 6월에 발표되어 2022년 1월부터 시행되었다.[56][57] ICD-11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의 리오 카너(Leo Kanner)는 1943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두드러진 공통적 행동을 가진 11명의 유아 환자들을 기술했고, 이들의 증상을 '조기 영아 자폐'라고 이름 붙였다. 그는 자폐를 처음으로 명확히 분류한 사람으로 여겨지며, 종종 자폐장애를 그의 이름을 딴 '''카너 증후군'''(Kanner's Syndrome영어)으로 부르기도 한다.[489]
비슷한 시기에, 한스 아스퍼거라는 오스트리아 과학자가 다른 방식으로 분류된 자폐를 발견하였고, 이 증상은 현재 아스퍼거 증후군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당시 아스퍼거의 업적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하여 널리 알려지지 못했고 그의 논문은 50년 가까이 지나서야 영어로 번역되었다.[490]
카너는 자폐증을 조현병의 유아 버전으로 생각하여 "소아 분열병"이라고도 불렀다. 그러나 마이클 러터에 의한 뇌 장애 설 이후, 자폐증과 조현병은 전혀 다른 장애라는 것이 밝혀졌다.
1960년대 후반, 영국의 모즐리 병원의 마이클 러터에 의해 자폐증은 선천적인 뇌 장애라는 설이 발표되어, 자폐증 학계는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맞이하게 되었다. 현재에도 자폐증의 원인은 여러 설이 있지만, 현재 주류를 이루는 설은 러터의 설을 토대로 하고 있다.
카너와 브루노 베텔하임에 의해 제창된 후천적 원인설("냉장고 엄마" 이론)에 따라, 각지의 치료 시설에서는 학대에 의해 발병했다면 그 반대로 하면 된다는 생각으로 "절대 수용"이라는 치료 방침이 취해졌으나, 그다지 치료 효과는 없었고, 오히려 성년 이후의 사회 적응이 어려워졌다고 한다.
3. 분류
ICD-11은 90개국 중 55개국 전문가들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참고 자료이다.
미국 정신 의학 협회의 ''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 텍스트 개정판''(DSM-5-TR)은 DSM의 최신 버전이다. 이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정신 건강 진단 시스템이며, 영어권 국가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2013년 5월에 발표된 DSM-5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를 단일 진단으로 정의한 첫 번째 판이며,[58] DSM-5-TR에서도 이와 같다. ASD는 전형적 자폐증, 아스퍼거 증후군, 소아기 붕괴성 장애, 그리고 상세불명의 광범위성 발달 장애(PDD-NOS)를 포함한 이전의 진단과 "자폐증"이라는 단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진단을 포괄한다. DSM-5와 DSM-5-TR은 이러한 진단을 구분하기보다는 자폐 스펙트럼 범주에 속하는 장애에 대해 하나의 진단 범주를 사용하는 차원적 접근 방식을 채택했다. 이 범주 내에서 DSM-5와 DSM-5-TR은 증상 심각도의 차원과 관련 특징(즉, 증상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 다른 장애 또는 요인, 다른 신경 발달 또는 정신 질환, 지적 장애 또는 언어 장애의 존재)에 따라 각 개인을 구분하는 프레임워크를 포함한다. 증상 영역은 (a) 사회적 의사 소통 및 (b)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이며, 전반적인 심각도뿐만 아니라 각 영역에 대한 별도의 심각도(증상이 개인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를 지정할 수 있는 옵션이 있다. DSM-5 이전에는 DSM이 사회적 결손과 의사 소통 결손을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했다.[59] 또한 DSM-5는 이전의 더 제한적인 3세에서 초기 발달 기간의 발병 연령으로 변경되었으며, 사회적 요구가 능력을 초과할 때 증상이 나중에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명시했다.[60] 이러한 변경 사항은 DSM-5-TR에도 유지된다.
자폐증의 기본적인 특징은 3세 무렵까지 나타나는 행동적 증후군이며, 다음 3가지를 주요 특징으로 한다.
# 대인 상호 반응의 질적인 장애
# 의사 전달의 현저한 이상 또는 그 발달의 장애
# 활동과 관심 범위의 현저한 제한성
세계 보건 기구의 ICD-10에서는 전반적 발달 장애(PDD)에 위치해 있었다. 미국 정신 의학회의 DSM-IV에서는 마찬가지로 PDD에 위치해 있었지만, 그 후의 DSM-5에서는 신경 발달 장애군의 하나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하위 유형으로 분류된다.[410]
2008년 4월 이후에는 "자폐증·정서 장애 특별 지원 학급"으로 변경되었다.
1980년의 DSM-IV에 전반적 발달 장애에 아스퍼거 장애가 추가되면서 자폐증의 개념 속에 더욱 정상적인 경우와 구별하기 어려운 상태가 포함되면서 변화가 일어났다. 이들은 DSM-5에 의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진단명 아래 포괄되었기 때문에, 광의의 자폐증이라고 말할 때의 범위는 넓어졌다.
3. 1. 스펙트럼 모델
자폐 스펙트럼은 공식적으로 DSM 등의 진단 기준에 부합하는 자폐증 외에, 증상이 약하거나 일부만 나타나 진단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 자폐 권리 운동을 중심으로, 이를 장애보다는 신경다양성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각도 있다.
자폐 스펙트럼은 레오 카너가 정의한 카너 증후군, 한스 아스퍼거가 논의한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기 붕괴성 장애 등으로 분류된다.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은 흔히 아스퍼거 증후군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DSM-5(2013)와 ICD-11(2022) 이전에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가 전반적 발달 장애 범주에 속했다. 이전 시스템은 아스퍼거 증후군, 칸너 증후군 등 밀접하게 관련된 중복되는 진단에 의존했다. DSM-5와 ICD-11에서는 스펙트럼 접근법이 채택되면서, 용어 간 경계가 불분명해지고 진단을 받는 사람이 줄었다.[43]
DSM-5는 "수준" 시스템(수준 1: 가장 가벼움, 수준 3: 가장 심각)을 사용한다.[44] ICD-11은 지적 장애와 언어 장애라는 두 가지 축을 사용한다.[45]
자폐증은 다양한 신경발달 장애로 정의되며,[46] 광범위한 스펙트럼 장애를 포괄하고,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어떤 사람은 높은 수준의 지원이 필요하고, 비언어적 자폐증이거나 발달 지연을 겪을 수 있다. 다른 사람들은 낮은 수준의 지원으로도 충분하며, 전형적인 언어 및 지적 능력을 갖지만, 비정형적인 사회/대화 기술, 특정 관심사, 장황하고 부자연스러운 말투를 보일 수 있다.[47] 이들도 삶의 일부 영역에서는 상당한 지원이 필요할 수 있다. 스펙트럼 모델은 경증-중증의 연속체가 아니라, 자폐증이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48] 자폐증은 상황에 따라,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49]
레트 증후군은 DSM-5에서는 ASD에 포함되었지만, ICD-11에서는 제외되었다. DSM-3가 출판되고 ICD-9가 사용되던 1980년부터 두 진단 기준의 수렴을 위한 공동 작업이 진행되어 왔다.[57][50][51][52]
2023년 현재, 확립된 ASD 기준이 전체 자폐증을 효과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합의가 연구자들 사이에서 증가하고 있다. 대안적 연구 접근 방식(자폐증 원형으로 돌아가기, 새로운 인과 모델 탐구, 범 진단적 내부 표현형 개발 등)이 장려된다.[53] 현재의 장애 중심 스펙트럼 모델에 대한 대안으로, 자폐증을 적어도 두 가지 별개의 현상으로 분해하는 모델이 제안되었다. (1) 인구 집단의 비 병리학적 행동 특성 스펙트럼,[54][55] (2) 신경발달 및 심리적 장애로 이어질 수 있는 드문 유전자 돌연변이 및 환경적 위험 요소의 신경 병리학적 부담,[54][55] (3) 개인의 보상 능력.[54]
자폐증은 증례가 다양하며, 건강한 사람부터 중증 자폐증 환자까지 명확한 경계가 없고, 무지개처럼 모호하다. 이러한 다양성・연속성을 나타낸 개념을 자폐 스펙트럼이라고 한다.
지적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지만, 지적 능력(IQ)이 낮지 않은 자폐증을 고기능 자폐증이라 부르기도 한다. "고기능 자폐증"과 "아스퍼거 증후군", "저기능 자폐증"과 "카너 증후군"은 유사하며, 임상적으로 구별하기 어렵다. (DSM-IV, ICD-10에서는 언어 장애 유무로 구분).
자폐 스펙트럼 장애 중, 인지 기능이 높은 경우 (IQ 70 이상[454])를 고기능 자폐증(지적 지연 없는 카너 타입, 약칭 '''HA''' 또는 '''HFA''')라고 부른다.[455][456] "고기능"은 지능 지수가 높다는 의미지만, 평균보다 높다고는 할 수 없으며, 지적 장애와의 경계, 평균을 훨씬 뛰어넘는 경우도 있다. 1980년대 이후 급속히 인지되었다.
정의상 고기능 자폐증에 해당하지만 자각이 없는 사람도 많고, 개인의 성격으로 인식되는 경우도 많다.
언어성 발달 부분에서 성장 과정, 언어성・동작성 지능 검사 등으로 판단 불가능한 경우, 아스퍼거 증후군과의 경계를 긋기 어렵다. 양자를 묶어 "고기능 광범위성 발달 장애", "지적 장애 없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상태, 스펙트럼 상의 위치(아스퍼거 쪽, 고기능 자폐증 쪽, 그 사이)로 판단한다.
자폐증 진단자 중 고기능 자폐증은 100만 명 전후, 100명 중 1명 정도(전체의 절반 이상)이며, 대다수는 남성이다. 지적 장애를 동반하는 카너 타입은 30만 명이 넘으며, 언어 장애, 신체 부자유 등을 동반하는 비율이 높고, 30세 미만에 생활 습관병을 앓는 경우가 많다.
카너 증후군은 난폭성(타인을 물거나 때리는 타해 행위), 시끄러움이 특징이다. 문자 해독 능력 저하, 언어 발달 지연(언어를 발하지 않는 경우), 소아기 신체 장애(누워있는 경우), 건강 검진 이상, 건강 수명에 큰 영향, 기호 편향(싫어하는 것은 입에 대지 않음), 면역력 저하(전염병), 강도 행동 장애, 장애인 의료 할인, 중증(최중증 포함), 공황(자해 행위), 큰 소리 싫어함(이어 머프, 귀마개), 경련/간질, 반복 입원, 교통사고 사망률 높음(위험 인지 부족), 안기는 것 싫어함, 강한 고집, 상태 악화/심한 자폐증, 정신과 진료 필요 등의 특징을 보인다.
고기능 자폐증은 문자/기호에 대한 반응, 특정 분야의 뛰어난 능력, 사람과의 접촉 어려움(메일은 가능), 비판적 말투, 경도 자폐증, 매뉴얼, 장애인 고용 채용, 3세 이전 언어 지연(표정 이상), 젠체하는 언동, 피구/역할 놀이 어려움, 흥미 없는 것에 대한 싫증, 방언 사용 어려움, 요육 수첩(B2), 장애 기초 연금(2급) 등의 특징을 보인다.
꺾은선형 자폐증은 성장 과정에서 언어 퇴행이 일어나 성장 곡선이 꺾은선 모양으로 나타난다. 자폐증의 1/3이 해당한다.[457] 0-1세에 징후, 2세에 증상이 나타나지만, 젖먹이 버릇, 다른 아이보다 늦는 것으로 오해되어 발견이 늦어지기도 한다. 소아기 붕괴성 장애는 퇴행 면에서 유사하지만, 애정 표현이 풍부하다는 점에서 일반 자폐증과 다르다.
4. 증상
자폐의 증상은 대부분 아동기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환자 개개인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많은 자폐인에게서 유아기나 아동기에 특성이 처음 나타나며, 관해 없이 꾸준히 진행된다.[61] 자폐인은 특정 영역에서 심각한 손상을 보일 수 있지만, 다른 영역에서는 평균적이거나 우수할 수도 있다.[62][63][64]
임상의는 다음과 같은 경우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평가를 고려한다.
- 사회적 상호 작용 또는 의사 소통에 지속적인 어려움
- 제한적이거나 반복적인 행동 (종종 "자극 행동"이라고 함)
- 변화에 대한 저항 또는 제한적인 관심
이러한 특징은 취업, 교육 유지, 사회적 관계, 정신 건강 서비스 이용, 신경 발달 상태, 정신 건강 상태 병력 등을 통해 평가된다.[65][66]
자폐증 관련 징후는 매우 다양하며, 일반적인 징후 및 증상은 다음과 같다.[67][68]
- 눈 맞춤의 이상
- 유아기에 옹알이를 거의 또는 전혀 하지 않음
- 지시된 물건에 대한 관심 부족
- 언어 능력 지연 (예: 또래보다 어휘력이 작거나 말로 자신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
- 다른 아이들이나 보호자에 대한 관심 감소, 아마도 물건에 대한 관심 증가
- 상호 게임 (예: 까꿍)을 하는 데 어려움
- 사물의 냄새, 질감, 소리, 맛 또는 외관에 대한 과민 또는 과소민감 또는 특이한 반응
- 일상 변화에 대한 저항
- 장난감의 반복적이고 제한적이거나 특이한 사용 (예: 장난감 줄 세우기)
- 반향어를 포함한 단어나 구절의 반복
- 자극 행동을 포함한 반복적인 동작 또는 움직임
세계 보건 기구의 ICD-10에서는 자폐를 전반적 발달 장애로 분류하고, 미국 정신 의학회의 DSM-5에서는 신경 발달 장애군의 하나인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하위 유형으로 분류한다.[410]
자폐증은 장기간에 걸쳐 사회적 상호 작용에 장애를 겪고 사회적 소통이 불가능한 상태가 지속되는 특징을 보인다. DSM의 진단 기준에 제시된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의사소통의 질적인 장애: 시선, 얼굴 표정, 신체 자세, 몸짓 등 비언어적 행동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거나, 발달 수준에 맞는 또래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타인과 즐거움, 흥미, 성과를 공유하려는 시도가 없으며, 대인적 또는 정서적 상호 작용이 결여된다.
- 의사 전달의 질적인 장애: 말하기 발달이 지연되거나 전혀 말하지 못하고, 언어 능력이 있어도 타인과 대화를 지속하기 어려우며, 같은 말을 반복하거나 특이한 단어를 사용하고, 발달 수준에 맞는 역할 놀이나 모방 놀이를 하지 못한다.
- 제한적이고 반복되는 행동, 관심사, 활동 ("집착"): 매우 강하고 반복되는 정해진 형태의 관심사에만 몰두하거나, 특정 습관이나 의식에 굳게 집착하며, 상동적이고 반복적인 운동을 하거나 물체의 일부에 지속적으로 열중한다.
자폐증 환자는 '마음 이론'(자기와 타인을 구별하고, 자신과 타인의 마음의 움직임을 추측하는 능력)에 장애가 있어, 대인 관계, 대화, 분위기 파악, 농담 이해, 말의 숨은 뜻 파악 등에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자폐 당사자는 평소 생활에서 동일성 유지, 예측 불가능한 상황, 갑작스러운 변경, 자신의 고집 실현 불가 등에 대해 불안과 스트레스를 느끼며, 스트레스 내성이 약한 경우가 많다. 과도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기성을 지르는 등의 패닉 행위나 자해 행위, 타해 행위를 할 수 있다.
4. 1.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흔히 자폐 증상 중 하나로 '''공감 능력의 결여'''를 꼽는다. 그러나 정확히는 다른 사람의 감정을 똑같이 느끼는 정서적 공감 기능은 정상이지만, 상황에 따른 감정의 의미를 파악하고, 상대의 의사를 듣고 그에 따른 적절한 행동을 보이는 인지적 공감 기능이 결여되어 있다.[541] 공감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고, 특히 인지적 공감은 삶의 핵심적인 기능이므로 인지적 공감이 결여된 자폐 장애인들은 사회성에 장애가 일어난다. 자기 감정에는 솔직할 수 있으나 남의 감정은 이해하지 못한다.성장하는 아기들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을 응시하거나 목소리에 주목하거나 손가락을 움켜쥐거나 웃음을 보이는 등의 사회적 활동을 보인다. 하지만 자폐 증상이 있는 아기는 얼굴을 마주 보는 것을 싫어하고, 인간 사회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 것에 굉장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 태어난 지 몇 달이 지나지 않아도 자폐를 가진 아기는 보통의 아기에 비하여 눈을 마주보는 것이나 상호작용하는 것을 거부하며 이것은 다른 사람에게의 무관심으로 비칠 수 있다. 자폐 증상이 있는 아이는 다른 친구들과 떨어져 혼자 있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또한, 그들은 다른 사람들에게서 평온을 얻지 못하고, 부모의 감정 표현에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들은 부모에 애정이 없는 것이 아니지만 그들 자신의 감정을 나타내는 것을 어려워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들은 남들과 소통하기 어려워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아기들이 첫 생일 즈음에 단어들을 말하고, 자신의 이름을 부르면 반응하고 장난감을 원하면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등의 행동을 하는 반면, 자폐 증상이 있는 아기는 의사 소통 발달에서 다른 길을 선택한다. 몇몇은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이 늦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것은 자폐를 가진 사람이 지능이 낮다는 뜻은 아니다. 적절한 수단을 제공해 준다면 이들은 매우 활발하게 이야기할 것이다. 많은 인터넷 대화방이나 게시판 등이 이러한 역할을 제공하기도 한다.
자폐를 가진 사람은 사람과 정상적으로 접촉을 하지 않는다. 그들은 최초의 공생적 애착을 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자폐 아동은 심각한 기질적 자아 결함 혹은 왜곡으로 인해 대상과의 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환경을 지각하고 조직화하고 상호작용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하나의 임상적인 실재로서 자폐 당사자는 환자가 대상이 없는 세계에서 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에서 인간발달의 자폐적 단계와 병렬적인 유사성이 있다. 여기에는 정서적인 의미가 있는 자기-대상관계가 없다. 몇몇 자폐 당사자는 사람과 관계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하지만 많은 경우 이들은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그들의 인지적 기술과 비인격적 사물을 사용해서만 관계를 한다.[542]
많은 자폐인에게서 특성은 유아기나 아동기에 처음 나타나며 관해 없이 꾸준히 진행된다.[61] 자폐인은 어떤 면에서는 심하게 손상될 수 있지만, 다른 면에서는 평균적이거나 심지어 우수할 수도 있다.[62][63][64]
임상의는 다음과 같은 경우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평가를 고려한다.
- 사회적 상호 작용 또는 의사 소통에 지속적인 어려움
- 제한적이거나 반복적인 행동(종종 "자극 행동"이라고 함)
- 변화에 대한 저항 또는 제한적인 관심
이러한 특징은 적절한 경우 다음을 통해 일반적으로 평가된다.
- 취업 또는 교육을 얻거나 유지하는 데 문제
- 사회적 관계를 시작하거나 유지하는 데 어려움
- 정신 건강 또는 학습 장애 서비스와의 연관성
- 신경 발달 상태(학습 장애 및 ADHD 포함) 또는 정신 건강 상태의 병력[65][66]
자폐증과 관련된 많은 징후가 있으며, 증상은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인 징후 및 증상은 다음과 같다.[67][68]
- 눈 맞춤의 이상
- 유아기에 옹알이를 거의 또는 전혀 하지 않음
- 지시된 물건에 대한 관심 부족
- 언어 능력 지연 (예: 또래보다 어휘력이 작거나 말로 자신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
- 다른 아이들이나 보호자에 대한 관심 감소, 아마도 물건에 대한 관심 증가
- 상호 게임(예: 까꿍)을 하는 데 어려움
- 사물의 냄새, 질감, 소리, 맛 또는 외관에 대한 과민 또는 과소민감 또는 특이한 반응
- 일상 변화에 대한 저항
- 장난감의 반복적이고 제한적이거나 특이한 사용(예: 장난감 줄 세우기)
- 반향어를 포함한 단어나 구절의 반복
- 자극 행동을 포함한 반복적인 동작 또는 움직임
광범위 자폐증 표현형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시선 접촉의 이상 및 자극 행동과 같은 자폐적 특성을 가진 사람들을 설명한다.[69]

의학적 모델에 따르면, 자폐인은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를 경험한다. 2013년까지 사회적 기능과 의사소통의 결함은 두 개의 별개 증상 영역으로 간주되었다.[70] 현재 자폐증 진단을 위한 사회적 의사소통 영역 기준은 사람들이 사회적 기술(사회적-정서적 상호 작용, 비언어적 의사소통, 관계 형성 및 유지) 세 가지에서 결함을 가져야 한다고 요구한다.
결함 기반 관점은 자폐인 간의 상호 작용이 자폐인과 비자폐인의 상호 작용보다 덜 효과적이거나 심지어 기능적이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한다.[71]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자폐인 간의 상호 작용은 비자폐인 간의 상호 작용만큼 정보 전달에 효과적이며, 의사소통은 자폐인과 비자폐인 사이에서만 단절된다.[71][72] 또한 사회 인지적 결손 해석과는 반대로, 최근 (2019) 연구는 자폐인과 비자폐인 성인 모두 유사한 사회 인지적 수행 능력을 기록했으며, 둘 다 자폐인 개인을 비자폐인 개인보다 덜 호의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자폐인 개인은 비자폐인 개인이 하는 것보다 자폐인과 교류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보였고, 개인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알게 되는 것은 그들의 관심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73]
따라서 자폐인이 단순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없는 사람들과는 다르게 반응하고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최근 변화가 있었다.[74] 지금까지 연구에 따르면 자폐인이 공유된 이해 (상호 주관성)를 만드는 두 가지 색다른 특징이 확인되었다. "이해되면 빠른 라포(rapport)로 이어지고, 이해되지 않으면 잠재적으로 방해적인 발언으로 이어지는 일반적인 기반에 대한 관대한 가정과, 방해적인 차례와 관련된 많은 문제를 완화하는 낮은 조율 요구 사항"이다.[72] 자폐인의 관심사, 따라서 대화 주제는 특정 주제에 대한 강렬한 관심(단일 조형성)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보인다.[75][76]
역사적으로 자폐 아동은 마음 이론 발달이 지연된다고 여겨졌으며, 공감-체계화 이론은 자폐인이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사람들에 대한 공감 (정서적 공감)을 가지고 있지만, 반드시 없는 것은 아니지만 제한적인 사회 인지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77] 이것은 사회적 순진함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78] 신체 언어, 사회적 상호 작용,[79] 또는 습관, 사회적 단서, 그리고 어느 정도의 반어법을 포함한 사회적 기대의 유용성 또는 의미에 대한 평균 이하의 직관적 인식일 수 있으며,[80] 이는 어느 정도 알렉시티미아의 동반 질환 때문일 수도 있다.[81]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이중 공감 문제" 이론(2012)이 비자폐인과 자폐인 모두 상호 이해와 공감이 부족하다고 주장하면서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해 점점 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82][83][84][85][86]
의사소통은 양방향적이므로,[88] 의사소통 어려움에 대한 연구는 이후 비자폐인의 행동도 연구하기 시작했으며, 연구원 캐서린 크롬톤은 2020년에 비자폐인이 "자폐인의 정신 상태를 식별하고, 자폐인의 표정을 식별하고, 자폐인의 자기 중심성을 과대 평가하고, 자폐인과 사회적으로 교류하려는 의지가 덜하다"라고 썼다. 따라서 비자폐인은 일반적으로 사회적 기술이 뛰어나다고 특징지어지지만, 이러한 기술은 자폐인과 상호 작용할 때 기능적이거나 효과적으로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71] 따라서 자폐인의 이전에 관찰된 의사소통 결함은 자폐증 연구에서 신경전형적인 편견을 통해 구성되었을 수 있으며, 이는 "비인간화, 객관화 및 낙인"에 대해 비판받게 되었다.[87] 최근 연구에서는 자폐인의 읽기 어려움과 신경전형인의 비정형 신호를 해석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여 부정적인 상호 작용 고리를 유발하여, 두 그룹이 서로 다른 사회적 상호 작용 스타일을 가진 두 개의 별개 그룹으로 점점 더 분리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88]
언어적 의사소통의 차이는 많은 자폐 아동이 언어 능력을 고르지 않은 속도로 발달하면서 아동기에 눈에 띄기 시작한다. 언어적 의사소통이 지연되거나 발달되지 않을 수 있으며 (비언어적 자폐증), 읽기 능력은 학령기 이전에 나타날 수 있다 (과잉 읽기증).[92][95] 감소된 공동 주의 집중은 자폐 영아와 비자폐 영아를 구별하는 것으로 보인다.[89] 영아는 옹알이 시작이 지연되고, 특이한 몸짓을 보이며, 반응성이 감소하고, 양육자와 동기화되지 않는 발성 패턴을 보일 수 있다. 두 번째 및 세 번째 해에 자폐 아동은 옹알이, 자음, 단어 및 단어 조합이 덜 빈번하고 다양할 수 있으며, 그들의 몸짓은 단어와 덜 통합된다. 자폐 아동은 요청하거나 경험을 공유할 가능성이 적고, 다른 사람의 말을 단순히 반복할 가능성이 더 높다 (반향어).[90] 질병 통제 예방 센터(CDC)는 2015년에 자폐 아동의 약 40%가 전혀 말하지 않는다고 추정했다.[91] 자폐 성인의 언어적 의사소통 기술은 아동기에 언어가 언제, 얼마나 잘 습득되었는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92]
자폐인은 비정형적인 비언어적 행동을 보이거나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들은 이름으로 불릴 때조차 드물게 눈 맞춤을 하거나, 아예 피할 수 있다. 이것은 눈 맞춤을 할 때 받는 많은 양의 감각 입력 때문일 수 있다.[93] 자폐인은 다른 사람의 표정에서 더 적은 감정과 그 의미를 인식하고, 비자폐인 또래가 기대하는 표정으로 반응하지 않을 수 있다.[94][95] 자폐증 옹호에 참여한 자폐 여성인 템플 그랜딘은 신경전형인의 사회적 의사소통을 이해할 수 없는 것을 "화성에서 온 인류학자 같은" 느낌이라고 묘사했다.[96] 자폐인은 신경전형인의 대화 또는 인쇄된 상황의 사회적 맥락과 숨겨진 의미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내용에 대해 다른 결론을 내린다.[97] 자폐인은 다양한 사회적 환경에서 목소리의 크기를 조절하지 못할 수 있다.[98] 자폐 아동의 최소 절반이 비정형적인 운율을 보인다.[98]
자폐인이 자기 몰입적이거나 비자폐인에게 무관심해 보이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개성, 관점, 관심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데 자폐인과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97][99] 발표된 대부분의 연구는 자폐인과 비자폐인 간의 대인 관계의 어려움과 신경전형적인 사회적 기술을 가르침으로써 이를 해결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지만, 새로운 연구에서는 자폐인이 우정에서 원하는 것, 예를 들어 소속감과 좋은 정신 건강도 평가했다.[100][101]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아동은 비자폐인 또래보다 괴롭힘 상황에 더 자주 연루되며, 특히 동반 질환 정신 병리를 통제한 후, 가해자 또는 피해자-가해자보다는 피해자로 괴롭힘을 경험한다.[102] 청소년기에 우정에서 신뢰성과 친밀도를 우선시하는 것과 우정의 양과 질 감소가 결합되어 자폐인에게 외로움이 증가하는 경우가 많다.[103] 자폐인은 삶을 살아가면서 사회적 패턴의 모델을 관찰하고 형성하며, "마스킹"이라고 하는 대처 기제를 개발하며,[104][105] 이는 최근 심리적 비용과 자살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88]
언어 발달의 지연, 대인 관계에서의 감정적 교류의 어려움, 또는 완전한 무관심, 반복적인 행동을 반복함, 행동 양식이나 관심 대상이 극도로 좁음, 상동적으로 기성을 발함, 손을 펄럭임, 극도의 자기중심적 사고, 물건을 열이나 기하학적으로 정연하게 배치함, 피해 망상을 가짐, 스트레스에 의한 타해 행위 등 다양한 특징이 있다.
또한, 자폐증의 증상은 사람에 따라 상당히 다르며, 이상의 특징이 해당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장기간에 걸쳐 사회적 상호 작용에 장애를 겪고 있다. 사회적 소통이 불가능한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DSM의 진단 기준에 제시된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의사소통의 질적인 장애
- 시선, 얼굴 표정, 신체 자세, 몸짓 등 비언어적 행동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함.
- 예: 대화 중에도 시선이 마주치지 않음. 꾸중을 듣고 있는데 웃고 있음.
- 발달 수준에 맞는 또래 관계를 형성하지 못함.
- 관심 있는 것을 보여주거나 가리키는 등 즐거움, 흥미, 성과를 타인과 자발적으로 공유하려는 시도가 없음.
- 대인적 또는 정서적 상호 작용의 결여.
- 예: 처음 만나는 사람에 대한 무관심.
- 의사 전달의 질적인 장애
- 말하기 발달의 지연. 또는 전혀 말하지 못함.
- 예: 반향어[411]
- 언어 능력이 있어도 타인과 대화를 지속하기 어려움.
- 예: 일문일답 대화가 됨. 긴 문장으로 대화가 불가능함.
- 같은 말을 항상 반복하거나 특이한 단어를 사용함.
- 예: 사람과 대화할 때 같은 대답이나 대화를 여러 번 반복함.
- 발달 수준에 맞는, 변화가 있는 '역할 놀이'나 사회성을 띤 '모방 놀이'를 하지 못함.
- 제한적이고, 항상 같은 형태로 반복되는 행동, 관심사, 활동 (소위 "집착")
- 매우 강하고, 항상 반복되는 정해진 형태의 한 가지 (또는 몇 가지) 관심사에만 몰두함.
- 예: 특정 물건, 행동 등에 대한 강한 집착.
- 특정 기능적이지 않은 습관, 의식에 굳게 집착함.
- 예: 물건을 규칙적으로 정렬하는 행동[412]
- 예: 수도꼭지를 여러 번 여닫는 행동.
- 상동적이고 반복적인 기이한 운동 또는 물체의 일부에 지속적으로 열중함.
- 예: 장난감이나 실제 자동차 바퀴, 이발소의 회전탑, 환풍기 등 회전하는 것에 대한 강한 관심.
- 예: 손을 펄럭임. 몸을 앞뒤로 흔들기.
마음 이론이란 "자기와 타인을 구별하고, 자신과 타인의 마음의 움직임을 추측하는 능력"을 말하며, 자폐증 환자는 이 "마음 이론"에 장애가 있기 때문에, 상호 간의 인간관계에 서툴고, 대화나 그 자리의 분위기를 이해하지 못하며, 농담을 농담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곧이곧대로 믿어버리고, 말의 숨은 뜻을 파악하지 못하는 등, 대인 관계에 문제를 일으키기 쉽다.
이것은 지적 장애가 없는 고기능 자폐증에서도 해당되며, 역시 대인 관계에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타인이 하는 것을 자신의 입장에 대입하지 못하고 그대로 따라 하기 때문에, 손바닥을 자신 쪽으로 향하여 바이바이를 한다. 언어에서도 마찬가지로 상대방의 말을 자신에게 대입하여 대답하는 것을 어려워하여 자신의 일을 "당신" 등의 2인칭으로, 상대방의 일을 "나" 등의 1인칭으로 부르거나, 자신에게 "〜해 줄까?"라고 질문받으면 "〜해주고 싶어" 등과 같이 대답하는 등, 반향어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마음 이론의 능력을 조사하는 검사로, "샐리-앤 과제" 등이 있다.
4. 2.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및 관심사
자폐인의 반복적 행동은 상동증처럼 손이나 머리를 흔드는 행동, 불안 해소를 위한 강박증, 물건 위치를 바꾸기 싫어하는 항상성 집착, 정해진 옷만 입는 의례 집착, 심한 머리 흔들기나 자기 신체 깨물기 등의 자해 행동 등으로 나타난다.[543] 이러한 특성은 유아기나 아동기에 나타나 관해 없이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61]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평가가 고려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사회적 상호 작용이나 의사 소통의 어려움
- 제한적이거나 반복적인 행동 ("자극 행동")
- 변화에 대한 저항 또는 제한적인 관심
이러한 특징은 취업, 교육 유지, 사회적 관계, 정신 건강 서비스 이용, 신경 발달 상태, 정신 건강 상태 병력 등을 통해 평가된다.[65][66]
자폐증 관련 징후는 다양하며,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67][68]
- 눈 맞춤의 이상
- 옹알이 부족 (유아기)
- 지시된 물건에 대한 관심 부족
- 언어 능력 지연
- 다른 아이나 보호자에 대한 관심 감소, 물건에 대한 관심 증가
- 상호 게임 (예: 까꿍)의 어려움
- 냄새, 질감, 소리, 맛, 외관에 대한 과민/과소민감 또는 특이 반응
- 일상 변화에 대한 저항
- 장난감의 반복적/제한적/특이한 사용 (예: 장난감 줄 세우기)
- 반향어 포함 단어/구절 반복
- 자극 행동 포함 반복 동작/움직임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는 행동적 특징을 포함하는데, 사회적/학습 능력 지연, 관계 형성 어려움 등이 있다. 자폐인은 불안/우울증으로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고립될 수 있다.[106][107] 감각에 대한 비정상 반응, 말의 리듬 유지가 어려워 대화 상대방 이해에 문제를 겪기도 한다. 발달, 언어,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며 지각 장애, 발달 속도 장애, 관계, 언어, 운동성에서 나타난다.[108]

DSM-5-TR에 따르면 ASD 진단을 위해서는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활동, 관심 패턴 중 다음 행동의 최소 두 가지 이상을 보여야 한다.[109]
- 반복적인 행동: 몸 흔들기, 손 흔들기, 손가락 튕기기, 머리 박기, 구절/소리 반복.[110] 스트레스, 불안, 불쾌감에 따라 나타날 수 있다.
- 변화에 대한 저항: 특정 음식 순서, 등굣길 등 엄격한 일상 준수.[110] 변화/지장 발생 시 괴로워한다.
- 제한된 관심사: 특정 활동, 주제, 취미에 과도한 관심. 예: 빙빙 도는 것에 집중, 날씨/스포츠 등 단일 주제 학습, 보존.[110]
- 감각 반응성: 특정 소리/질감에 대한 부정적 반응, 빛/움직임 매료, 고통/열 무관심 등.[109]
반복 행동 척도-개정판(RBS-R)은 반복/제한적 행동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111]
- 상동 행동: 손 흔들기, 머리 굴리기, 몸 흔들기 등 반복적 움직임.
- 강박 행동: 물건 배치, 확인, 손 씻기 등 불안 감소를 위한 반복/규칙적 행동.
- 동일성: 가구 이동, 중단 거부 등 변화 저항.
- 의례적 행동: 변함없는 메뉴, 옷 입기 등 일상 활동 패턴. 동일성과 관련됨.[111]
- 자해 행동: 눈 찌르기, 피부 뜯기, 손 물기, 머리 박기.[89]
4. 3. 기타 특징
많은 자폐인에게서 특성은 유아기나 아동기에 처음 나타나며 관해 없이 꾸준히 진행된다.[61] 자폐인은 어떤 면에서는 심하게 손상될 수 있지만, 다른 면에서는 평균적이거나 심지어 우수할 수도 있다.[62][63][64]임상의는 다음과 같은 경우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평가를 고려한다.
- 사회적 상호 작용 또는 의사 소통에 지속적인 어려움
- 제한적이거나 반복적인 행동(종종 "자극 행동"이라고 함)
- 변화에 대한 저항 또는 제한적인 관심
이러한 특징은 적절한 경우 다음을 통해 일반적으로 평가된다.
- 취업 또는 교육을 얻거나 유지하는 데 문제
- 사회적 관계를 시작하거나 유지하는 데 어려움
- 정신 건강 또는 학습 장애 서비스와의 연관성
- 신경 발달 상태(학습 장애 및 ADHD 포함) 또는 정신 건강 상태의 병력[65][66]
자폐증과 관련된 많은 징후가 있으며, 증상은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인 징후 및 증상은 다음과 같다.[67][68]
- 눈 맞춤의 이상
- 유아기에 옹알이를 거의 또는 전혀 하지 않음
- 지시된 물건에 대한 관심 부족
- 언어 능력 지연 (예: 또래보다 어휘력이 작거나 말로 자신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
- 다른 아이들이나 보호자에 대한 관심 감소, 아마도 물건에 대한 관심 증가
- 상호 게임(예: 까꿍)을 하는 데 어려움
- 사물의 냄새, 질감, 소리, 맛 또는 외관에 대한 과민 또는 과소민감 또는 특이한 반응
- 일상 변화에 대한 저항
- 장난감의 반복적이고 제한적이거나 특이한 사용(예: 장난감 줄 세우기)
- 반향어를 포함한 단어나 구절의 반복
- 자극 행동을 포함한 반복적인 동작 또는 움직임
자해는 자폐인에게 비교적 흔하며, 머리 박기, 자해, 자해, 머리카락 뽑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112] 이러한 행위 중 일부는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112] 자폐인은 자해를 할 가능성이 자폐인이 아닌 사람보다 약 3배 더 높다.[113]
자폐 아동을 포함한 발달 지연 아동의 자해 행동 원인에 대한 이론은 다음과 같다.[114]
- 자해 행동의 빈도나 지속성은 환경적 요인(예: 자해 행동 중단에 대한 보상)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이론은 어린 자폐 아동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자해 행동의 빈도는 행동을 강화하는 환경적 요인을 제거하거나 수정하여 줄일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
- 사회적으로 고립된 자폐인에게서 자해율이 더 높게 나타난다. 연구에 따르면 사회화 기술은 자폐인의 자해 행동과 관련된 요인이다.
- 자해는 만성적인 통증이나 통증을 유발하는 다른 건강 문제가 있을 때 통각 수용을 조절하기 위한 반응일 수 있다.
- 비정상적인 기저핵 연결은 자해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자해 및 자살 성향의 위험 요인에는 정신 건강 문제(예: 불안 장애) 및 사회적 문제(예: 실업 및 사회적 고립)와 같이 누구에게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과 자폐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요인, 즉 ''가면''이라고 하는 신경전형적인 사람처럼 행동하려는 적극적인 시도가 있다.[116]
자살 성향의 비율은 측정되는 것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116] 이는 부분적으로 신경전형적인 피험자를 위해 개발된 설문지가 자폐인에게 항상 유효하지 않기 때문이다.[116] 2023년 현재 자살 행동 설문지-자폐 스펙트럼 조건(SBQ-ASC)은 자폐인을 위해 검사 타당도가 검증된 유일한 검사이다.[116] 일부 추정에 따르면 자폐 청소년의 약 4분의 1[117]과 모든 자폐인의 3분의 1이[116][118] 어느 시점에서 자살 생각을 경험했다. 자살 생각의 비율은 공식적으로 자폐증 진단을 받은 사람과 일반적인 지능을 가지고 자폐증이 있다고 여겨지지만 진단을 받지 않은 사람에게서 동일하다.[116]
자살을 시도하는 대부분의 사람은 자폐인이 아니지만,[116] 자폐인은 자폐인이 아닌 사람보다 자살 시도를 할 가능성이 약 3배 더 높다.[113][119] 자폐 청소년의 10% 미만이 자살을 시도했지만,[117] 자폐 성인의 15%에서 25%가 자살을 시도했다.[116][118] 자살 시도율은 공식적으로 자폐증 진단을 받은 사람과 일반적인 지능을 가지고 자폐증이 있다고 여겨지지만 진단을 받지 않은 사람 사이에서 동일하다.[116] 자살 위험은 시스젠더 자폐 남성과 지적 장애가 있는 자폐인에게서 더 낮다.[116][119] 자살률은 자폐인 사이에서 매년 모든 자살 사망의 약 2%에 해당하는 전 세계적인 초과 사망을 초래한다.[119]
언어 발달의 지연, 대인 관계에서의 감정적 교류의 어려움, 또는 완전한 무관심, 반복적인 행동, 행동 양식이나 관심 대상이 극도로 좁음, 상동적으로 기성을 발함, 손을 펄럭임, 극도의 자기중심적 사고, 물건을 열이나 기하학적으로 정연하게 배치함, 피해 망상을 가짐, 스트레스에 의한 타해 행위 등 다양한 특징이 있다. 또한, 자폐증의 증상은 사람에 따라 상당히 다르며, 이상의 특징이 해당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장기간에 걸쳐 사회적 상호 작용에 장애를 겪고 있으며 사회적 소통이 불가능한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자폐아는 귀로 듣는 것보다 눈으로 보는 것을 더 쉽게 인식하는 시각 우위의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자폐아에게 주의를 줄 때는 종이 등에 적어 보여주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415]
자폐 당사자가 평소 생활에서 신경 쓰거나 곤란해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동일성이 유지되지 않음.
- 예: 책장의 책이 권수대로 정렬되어 있지 않음 (겉보기에는 어지럽더라도, 본인의 고집으로 조금도 틀림없이 배치하는 경우도 있음).
- 예: 같은 시간에 오는 전철, 버스라도 형식, 도색, 내장 등이 다름 (세세한 부분이라도 허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음).
- 미경험, 예상 밖의 상황, 갑작스러운 예정 변경 (특히 본인에게 불편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 예: 학교 등에서 행사 때문에 평소와 일과가 바뀌어 버림.
- 예: 기대했던 행사가 갑자기 중단됨.
- 예: 마음에 들어 했던 장난감 등이 분실, 파손됨.
- 본인의 고집이 내적 요인, 외적 요인을 불문하고 불가능해짐.
- 예: 주변 사람이 본인의 고집에 따른 행위로 이해하지 못하고 그 행위를 중단시킴.
동일성의 결여, 앞을 내다볼 수 없음, 자신이 하고 싶은 것(특히 고집)을 실현할 수 없는 것에 대해 매우 불안과 스트레스를 느끼는 경우가 많으며, 그런 것에 대한 스트레스 내성은 강하지 않은 사람이 많다.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높아진 상태에서, 더욱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사태(평소에는 본인도 신경 쓰지 않는 일상적인 사소한 일이라도)에 직면하면, 그것을 계기로 갑자기 기성을 지르는 등의 패닉 행위나 자해 행위 또는 타해 행위를 하는 경우도 있다. 스트레스의 원인이 제거되거나 또는 패닉 행위가 끝난 후에는 평소 상태로 돌아가지만, 정서적 불안정성은 잠시 동안 지속되기도 한다. 하지만 사전에 연락을 받거나 자세한 내용을 파악하고 있다면, 대부분의 일은 납득하고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
5. 원인
자폐증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제기되어 왔지만, 현재는 유전적 요인이 크다고 여겨진다. 과거에는 자폐증의 세 가지 주요 증상(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 의사소통의 문제, 반복적인 행동)이 단일한 원인으로 발생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이들 증상이 서로 다른 기작으로 발생하는 복합적인 장애라는 가설이 더 큰 신뢰를 얻고 있다.[547][548]
자폐증이 유전체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것은 명백하지만, 구체적인 유전적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550][551] 단일 돌연변이가 원인인지, 아니면 여러 유전 변이가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인지도 아직 명확하지 않다.[550][551] 후성유전학적 요소나 환경적 요인도 자폐증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원인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552]
쌍둥이 연구에 따르면 자폐증의 유전율은 70%, 자폐 스펙트럼의 유전율은 90%로, 일반인에 비해 25배 더 높다.[554] 이는 자폐증에 강한 유전적 기반이 있음을 시사한다. 자폐증 사례의 상당 부분은 유전 가능성이 높지만, 부모에게서 유전되지 않는 유전적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즉, 자폐증을 유발하는 돌연변이가 부모의 유전체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158] 2018년 기준, ASD 위험의 74%에서 93% 사이가 유전 가능한 것으로 보였다.[109] 자녀가 ASD로 진단받은 후, 7%에서 20%의 다음 자녀도 ASD를 가질 가능성이 있다.[109] 만약 부모가 자폐증을 가진 자녀가 있다면, 두 번째 자녀가 자폐증을 가질 확률은 2%에서 8%이다. 자폐증을 가진 자녀가 일란성 쌍둥이인 경우, 다른 한쪽도 자폐증을 가질 확률은 36%에서 95%이다. 이란성 쌍둥이는 최대 31%의 확률로 영향을 받는다.[155]
최근 연구에서는 자폐증과 관련된 여러 유전자가 발견되었으며,[153] 이들 유전자는 대부분 뇌 구조를 유사하게 변화시킨다.[149] 특히 ''CHD8'' 유전자는 자폐증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유전자는 태아 발달에 필수적인 염색질 조절 효소인 크로모도메인 헬리케이스 DNA 결합 단백질 8을 암호화한다.[159] CHD8은 Wnt 신호 전달을 조절하며, 이는 척추동물의 초기 발달과 형태 형성에 중요하다.[159]
일부 연구에서는 자폐증 관련 유전자가 신경 세포에서 단백질 생합성을 제어하고, 흥분성-억제성 신경 전달 물질의 균형을 맞추는 데 관여한다고 보고한다. 또한, 가바 신경 전달 물질의 생산을 조절하는 유전자가 자폐증 뇌에서 과소 발현되는 경향이 있으며, 별세포 및 미세 아교 세포의 발현을 제어하는 유전자는 과다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68]
취약 X 증후군과 같은 특정 유전 질환과 자폐증의 관련성도 연구되고 있지만, 자폐증 환자의 약 2%만이 취약 X 증후군을 가지고 있다.[109]
유전적 요인 외에도, 임신 중 산모의 건강 상태, 영양 상태, 환경적 요인 등이 자폐증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산모의 임신성 당뇨병, 30세 이상의 산모 및 부모의 나이,[174][175][176] 임신 중 특정 약물(예: 발프로산) 사용,[177] 대기 오염,[185][186] 중금속 노출 등이 자폐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187]
MMR 백신이 자폐증을 유발한다는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없으며, 오히려 예방 접종 감소로 인해 홍역과 같은 질병 발생이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했다.[206][207] 1998년 앤드루 웨이크필드가 MMR 백신이 자폐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기 연구를 주도 하였으나,[193][194][195][196][197] 과학적 증거는 부족하다.[31]
과거에는 자폐증이 학대나 과보호와 같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모원병" 인식이 있었으나, 이는 명확히 부정되고 있다.[410] 브루노 베텔하임의 "냉장고 엄마" 이론은 이러한 오해를 확산시킨 대표적인 사례이다.
1960년대 후반, 마이클 러터는 자폐증이 선천적인 뇌 장애라는 설을 발표했으며, 현재 이 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6. 진단
DSM-5(2013)와 ICD-11(2022) 진단 매뉴얼 채택 전,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는 전반적 발달 장애라는 진단 범주에 속했다. 이전 시스템은 아스퍼거 증후군과 칸너 증후군으로 알려졌던 증후군 등 밀접하게 관련된 중복 진단 세트에 의존했다. 이로 인해 용어 간 경계가 불분명해졌고, DSM-5와 ICD-11에서는 스펙트럼 접근법이 채택되었다.[43]
DSM-5와 ICD-11은 이 스펙트럼을 정의하기 위해 서로 다른 분류 도구를 사용한다. DSM-5는 환자가 얼마나 지원이 필요한지를 나타내는 "수준" 시스템을 사용하며, 수준 1이 가장 가볍고 수준 3이 가장 심각하다.[44] 반면 ICD-11 시스템은 지적 장애와 언어 장애의 두 가지 축을 가지는데,[45] 이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자폐증은 현재 매우 다양한 신경발달 장애로 정의되며,[46] 일반적으로 광범위하고 깊은 스펙트럼 장애를 포괄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사람마다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DSM과 ICD는 서로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만, 차이점도 있다. 예를 들어, 레트 증후군은 DSM-5에 ASD에 포함되었지만, ICD-11에서는 제외되어 발달 이상에 대한 장에 배치되었다. ICD와 DSM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며, DSM-3가 출판되고 ICD-9가 현재 사용되던 1980년부터 두 가지의 수렴을 위한 공동 작업이 진행되어 왔으며, 이는 역사적 경험 대신 보다 엄격한 생물학적 평가와 분류 시스템의 단순화를 포함한다.[57][50][51][52]
2023년 현재, 경험적 및 이론적 연구는 확립된 ASD 기준이 전체 자폐증에 대한 효과적인 기술자가 아니며, 대안적 연구 접근 방식이 장려되어야 한다는 연구자들 사이에서 증가하는 합의로 이어지고 있다.[53]
임상의는 다음과 같은 경우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평가를 고려한다.
- 사회적 상호 작용 또는 의사 소통에 지속적인 어려움
- 제한적이거나 반복적인 행동(종종 "자극 행동"이라고 함)
- 변화에 대한 저항 또는 제한적인 관심
이러한 특징은 적절한 경우 다음을 통해 일반적으로 평가된다.
- 취업 또는 교육을 얻거나 유지하는 데 문제
- 사회적 관계를 시작하거나 유지하는 데 어려움
- 정신 건강 또는 학습 장애 서비스와의 연관성
- 신경 발달 상태(학습 장애 및 ADHD 포함) 또는 정신 건강 상태의 병력[65][66]
자폐증과 관련된 많은 징후가 있으며, 증상은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인 징후 및 증상은 다음과 같다.[67][68]
- 눈 맞춤의 이상
- 유아기에 옹알이를 거의 또는 전혀 하지 않음
- 지시된 물건에 대한 관심 부족
- 언어 능력 지연
- 다른 아이들이나 보호자에 대한 관심 감소
- 상호 게임(예: 까꿍)을 하는 데 어려움
- 사물의 냄새, 질감, 소리, 맛 또는 외관에 대한 과민 또는 과소민감 또는 특이한 반응
- 일상 변화에 대한 저항
- 장난감의 반복적이고 제한적이거나 특이한 사용(예: 장난감 줄 세우기)
- 반향어를 포함한 단어나 구절의 반복
- 자극 행동을 포함한 반복적인 동작 또는 움직임
자폐증의 기본적인 특징은 3세 무렵까지 나타나며, 다음 3가지를 주요 특징으로 하는 행동적 증후군이다.
# 대인 상호 반응의 질적인 장애
# 의사 전달의 현저한 이상 또는 그 발달의 장애
# 활동과 관심 범위의 현저한 제한성
세계 보건 기구의 ICD-10에서는 전반적 발달 장애(PDD)로 분류된다. 미국 정신 의학회의 DSM-IV에서는 마찬가지로 PDD에 위치해 있었지만, DSM-5에서는 신경 발달 장애군의 하나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하위 유형으로 분류된다.[410]
1980년 DSM-IV에 전반적 발달 장애에 아스퍼거 장애가 추가되면서 자폐증 개념에 정상적인 경우와 구별하기 어려운 상태가 포함되면서 변화가 일어났다. 이들은 DSM-5에 의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명 아래 포괄되었기 때문에, 광의의 자폐증 범위는 넓어졌다.
DSM의 진단 기준에 제시된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의사소통의 질적인 장애
- 시선, 얼굴 표정, 신체 자세, 몸짓 등 비언어적 행동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함. (예: 대화 중 시선이 마주치지 않음, 꾸중을 듣는데 웃음)
- 발달 수준에 맞는 또래 관계를 형성하지 못함.
- 관심 있는 것을 보여주거나 가리키는 등 즐거움, 흥미, 성과를 타인과 자발적으로 공유하려는 시도가 없음.
- 대인적 또는 정서적 상호 작용 결여. (예: 처음 만나는 사람에 대한 무관심)
- 의사 전달의 질적인 장애
- 말하기 발달 지연 또는 전혀 말하지 못함. (예: 반향어[411])
- 언어 능력이 있어도 타인과 대화를 지속하기 어려움. (예: 일문일답 대화, 긴 문장 대화 불가능)
- 같은 말을 항상 반복하거나 특이한 단어 사용. (예: 사람과 대화할 때 같은 대답이나 대화를 여러 번 반복)
- 발달 수준에 맞는, 변화가 있는 '역할 놀이'나 사회성을 띤 '모방 놀이'를 하지 못함.
- 제한적이고, 항상 같은 형태로 반복되는 행동, 관심사, 활동 (소위 "집착")
- 매우 강하고, 항상 반복되는 정해진 형태의 한 가지 (또는 몇 가지) 관심사에만 몰두. (예: 특정 물건, 행동 등에 대한 강한 집착)
- 특정 기능적이지 않은 습관, 의식에 굳게 집착. (예: 물건을 규칙적으로 정렬[412], 수도꼭지를 여러 번 여닫는 행동)
- 상동적이고 반복적인 기이한 운동 또는 물체의 일부에 지속적으로 열중. (예: 장난감이나 실제 자동차 바퀴, 이발소 회전탑, 환풍기 등 회전하는 것에 대한 강한 관심, 손 펄럭임, 몸을 앞뒤로 흔들기)
최근 미국의 연구에 따르면, 아버지가 중·고령일 때 얻은 자녀는 신생아가 자폐증에 걸리기 쉽다.[417]
의학적으로는 DSM-IV(미국 정신 의학회) 또는 ICD-10(세계 보건 기구)의 진단 기준에 따라 진단된다. 지적 장애 유무는 진단과 관계없지만, ICD 기준에서는 4분의 3에 중도의 지적 장애가 있다고 여겨진다.
영국 국립 보건 임상 연구소(NICE)는 자폐증이 의심되고 심한 학습 장애가 없는 성인의 평가에는 자폐 스펙트럼 지수 테스트 10개 문항(AQ-10)을 검토하고, 6점 이상이면 포괄적인 자폐증 평가를 실시한다고 밝히고 있다. 포괄적인 자폐증 평가는 훈련된 기술을 가진 전문과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며, 툴만 사용하여 진단해서는 안 된다.
다음 감별 질환을 배제한다.
- 신경 발달 장애: 특정 언어 지연 또는 장애 / 지적 장애 또는 전반적 발달 지연 / 협응 운동 장애(DCD)
- 정신 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 기분 장애 / 불안 장애 / 애착 장애 / 반항 도전 장애(ODD) / 행동 장애(CD) / 강박 장애(OCD) / 정신병(조현병 등)
- 발달 퇴행: 레트 증후군 / 간질성 뇌증
- 기타: 중도 청각 장애 / 중도 시각 장애 / 가책 / 선택적 함구증
자폐증은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나 학습 장애(LD) 등과 합병되는 경우가 있다. 지적 장애는 "고기능"을 붙이지 않는 모든 자폐증에서 진단의 필수 요소로 갖춰지는 장애이다. 드물게 다운 증후군과 합병되기도 한다.
조현병으로 진단받은 사람들 중, 원래 고기능 광범위성 발달 장애였으나 부적응으로 인해 상태가 악화되어 단순히 조현병으로 오진된 사례가 많다. 자폐증 합병증으로 인정되는 사례 중 80%는 지적 장애를 동반하는 칸너 증후군이라고 알려져 있다. 자폐 성향 또한 더욱 악화된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나 학습 장애 등을 동반하는 경우, 자폐 스펙트럼 장애로 인정된다. 드물게 다운 증후군이 나타나기도 한다.
- 언어 검사
- * 일리노이 언어 능력 진단 검사(ITPA)
- * 그림 어휘 발달 검사(PVT)
- * 국립 재활 센터 방식 〈S-S법〉언어 발달 지연 검사
- 행동 검사
- * 브라젤톤 신생아 행동 평가법(BNBAS)
- 발달 검사
- * 영유아 발달 척도
- * 엔조지식 영유아 분석적 발달 검사
- * 츠모리식 영유아 정신 발달 진단법
- * TK식 유아 발달 검사
- * 개정 신판 유아 종합 발달 진단 검사
- * 개정 일본판 덴버식 발달 스크리닝 검사
- * 조기 발달 진단 검사
- * 신정판 자폐아·발달 장애 아동 교육 진단 검사
- * 신판 K식 발달 검사
- * 일본판 밀러 유아 스크리닝 검사
- 그림 검사
- * DAP(인물화)
- 성인을 대상으로 한 평가 도구
- * 자폐증 진단 관찰 일정(ADOS-G)
- *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 평가(AAA)
- * 자폐증 진단 인터뷰 - 개정판(ADI-R)
- * 아스퍼거 증후군(및 고기능 자폐증) 진단 인터뷰(ASDI)
- * 리트보 자폐 아스퍼거 진단 척도 - 개정판(RAADS-R)
자폐 스펙트럼 지수(AQ)는 자폐 정도(자폐 경향)를 측정하는 지표이다.[458] '''정상 지능 성인 대상'''이며, 자기 응답 방식으로 자신의 "자폐 경향"을 측정할 수 있다.[459][460]
AQ는 자폐 경향 선별 검사 도구, 즉 자폐 여부 진단 전 대략적인 분류용 도구이므로, '''AQ만으로는 자폐증 여부를 진단할 수 없다'''.
- AQ 측정에 의한 조사
- * 사회인이나 대학생 중 소수지만, AQ상 AS/HFA군과 같은 정도의 고득점을 나타내는 사람이 있다.
- * 자폐증 진단을 받지 않은 사람에게도 자폐적인 경향을 가진 사람이 있다.
- * AQ로 측정되는 자폐 스펙트럼 경향에는 상당한 개인차가 있다.
- * 앞으로 자폐 증상 메커니즘 해명에 있어, 아날로그 연구적 접근이 가능하다.
- * 대조군 평균 점수는 16.4 (♂ - 17, ♀ - 15)[461]
- 자폐 스펙트럼 지수 컷오프 점
- * 자폐 스펙트럼 지수에서 고득점(33점 이상)을 얻은 학생 12명 진단 결과, 12명 중 7명이 자폐성 장애 또는 아스퍼거 장애 진단 기준에 해당했다.
- * 자폐 스펙트럼 지수 33점 이상에는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고기능 자폐증 환자군 90% 가까이(87.8%)가 포함되는 반면, 건강한 집단에서 33점 이상을 얻는 것은 3% 미만이기에, 자폐 스펙트럼 지수 컷오프 점(건강한 사람과 자폐증 식별점)은 33점으로 결정되었다.[462]
- *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 선별 검사로 사용하는 경우, 점수 26점 이하로 효과적으로 제외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463]
- 자폐증의 극단적 남성 뇌 이론
- * 사이먼 바론-코헨은 자폐 스펙트럼 지수 조사 결과로부터 "자폐증의 극단적 남성 뇌 이론"을 제창했다.[464][465]
7. 치료
자폐증에 대한 치료법은 없으며,[262] 많은 자료에서 이것이 적절한 목표가 아니라고 조언한다.[263][264] 공존하는 질환의 치료는 중요한 목표로 남아있다.[265] 알려진 치료법으로 자폐증으로 인한 뇌 돌연변이를 현저히 줄일 수도 없다. 그러나 지원이 거의 또는 전혀 필요하지 않은 사람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완화될 가능성이 더 높다.[266][267][268] 여러 가지 중재가 자폐증을 앓는 아동을 도울 수 있으며,[269] 단일 치료법이 가장 좋은 것은 아니며, 치료법은 일반적으로 아동의 필요에 맞게 조정된다.[270]
치료의 주요 목표는 관련 결핍과 가족의 고통을 줄이고 삶의 질과 기능적 독립성을 높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 높은 지능 지수(IQ)는 치료에 대한 더 큰 반응성과 개선된 치료 결과와 상관관계가 있다.[272][280] 행동, 심리, 교육, 기술 구축 중재는 자폐인을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데 필요한 생활 기술, 기타 사회적, 의사 소통 및 언어 기술을 배우도록 돕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치료는 도전적인 행동을 줄이고 강점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74]
어린 시절의 집중적이고 지속적인 특수 교육 프로그램과 행동 치료는 아동이 자기 관리, 언어 및 직업 기술을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270] 이용 가능한 접근 방식에는 응용 행동 분석, 발달 모델, 구조화된 교육, 언어 치료, 인지 행동 치료가 포함된다.[276] 사회 기술 치료, 작업 치료도 있다.[277]
자폐증을 앓는 어린 아이들을 위한 증거 기반 중재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영유아 중재를 위해 개략적으로 설명된 세 가지 이론적 틀에는 응용 행동 분석(ABA), 발달 사회 실용 모델(DSP) 및 인지 행동 치료(CBT)가 포함된다.[276][280] ABA 치료는, 특히 초기 집중 가정 기반 치료와 관련하여, 강력한 증거 기반을 가지고 있지만, ABA의 효과는 ASD의 진단적 심각성과 IQ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279]
많은 사람들이 ABA를 비판하며, 그것이 도움이 되지 않고 비윤리적이라고 말한다.[281][282][283]
효능이 입증된 또 다른 증거 기반 중재는 부모 훈련 모델로, 부모에게 다양한 ABA 및 DSP 기술을 스스로 구현하는 방법을 가르친다.[280] 다양한 DSP 프로그램이 가정 내 부모 실행을 통해 중재 시스템을 명시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미국 소아과 학회(AAP)는 3세 미만 아동의 ASD에 대한 새로운 증거 기반 조기 중재 권고안을 제안했다.[285] 이러한 권고안은 발달적 및 행동적 방법 모두에 대한 조기 참여, 부모 및 간병인의 지원, ASD의 핵심 증상과 관련 증상 모두에 대한 초점을 강조한다.[285] 그러나 코크란 리뷰에 따르면, 조기 집중 행동 중재(EIBI)가 대부분의 자폐 아동의 자폐증과 관련된 행동 문제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증거는 없었지만, IQ와 언어 기술은 향상시켰다. 코크란 리뷰는 EIBI에 대한 연구의 질이 낮기 때문에, 제공자는 임상적 판단과 가족의 선호도를 바탕으로 EIBI를 권장해야 한다고 인정했다. EIBI 치료의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286]
ASD 치료는 일반적으로 사회적 의사 소통 결함과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이 두 가지 핵심 증상을 목표로 하는 행동 및 교육적 중재에 초점을 맞춘다. 행동 전략을 구현한 후에도 증상이 지속되면,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RRB), 불안, 우울증, 과잉 행동/주의력 결핍 및 수면 장애와 같은 특정 증상이나 공존하는 문제를 목표로 하기 위해 일부 약물을 권장할 수 있다.[287] 예를 들어, 멜라토닌은 수면 문제에 사용될 수 있다.[288]
몇 가지 부모 매개 행동 치료는 자폐증 아동의 사회적 의사 소통 결함을 목표로 하지만, RRB 치료에서의 효과는 불확실하다.[289]
교육적 중재는 흔히 응용 행동 분석(ABA), 발달 모델, 구조화된 교육, 언어 치료, 사회성 기술 치료 등이 사용된다.[270] 매우 어린 아이들을 대상으로 주당 30시간 이상의 구조화된 유형의 ABA를 포함하는 치료 절차인 조기 집중 행동 중재(EIBI)에 대한 연구의 질은 낮으며, 더 큰 표본 크기를 가진 더 강력한 연구 설계가 필요하다.[286] 유아기 중재를 위해 개략적으로 설명된 두 가지 이론적 틀에는 구조화된 ABA 중재와 자연스러운 ABA 중재, 그리고 발달 사회 실용 모델(DSP)이 포함된다.[280] 한 중재 전략은 부모에게 다양한 ABA 및 DSP 기술을 구현하는 방법을 가르쳐 부모가 직접 중재를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부모 훈련 모델을 활용한다.[280]
조기, 집중적인 ABA 치료는 미취학 아동의 의사 소통 및 적응 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270][291] 또한 해당 연령대의 지적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도 잘 확립되어 있다.[270]
코크란 메타 분석 데이터베이스는 ASD의 이질성으로 인해 구어를 습득하기 위한 두 가지 다른 ABA 교육 접근 방식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최근 연구가 시작되었다고 결론지었다. 수용 언어 기술이 더 높은 어린이는 주당 2.5~20시간의 자연스러운 접근법에 반응하는 반면, 수용 언어 기술이 낮은 어린이는 25시간/주 동안 개별 시도 훈련—ABA의 구조화되고 집중적인 형태—이 필요하다.[292]
마찬가지로, 발달 사회 실용적 접근법과 결합된 더 자연스러운 형태의 ABA를 활용하는 교사 주도 중재는 어린 아이들의 사회-의사 소통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유익한 것으로 밝혀졌지만, 전반적인 증상 치료에 대한 증거는 부족하다.[280]
약물은 행동 치료가 실패했을 때 자녀가 가정이나 학교에 통합되는 것을 방해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증상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96] 또한, ADHD, 불안과 같은 관련 건강 문제나, 본인이 자해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공격적인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지만,[296][297] ASD의 핵심 증상에 대한 일상적인 처방은 권장되지 않는다.[298] 비정형 항정신병제 약물인 리спери돈과 아리피프라졸은 공격적이고 자해적인 행동을 치료하는 데 FDA의 승인을 받았다.[275][301] 그러나 부작용은 잠재적인 이점과 비교하여 신중하게 고려해야 하며, 자폐인은 비정형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부작용으로는 체중 증가, 피로, 침 흘림, 그리고 역설적 공격성이 있을 수 있다.[275] SSRI 항우울제인 플루옥세틴과 플루복사민은 반복적이고 의례적인 행동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극제인 메틸페니데이트는 과잉 행동이나 부주의가 동반되는 일부 어린이에게 유익하다.[270]
자폐증의 핵심 증상인 사회적 및 의사소통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승인된 약물은 없지만,[275] 동물 모델은 MDMA의 출생 후 투여가 효과적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304] MDMA는 또한 자폐 성인의 사회적 불안을 치료하기 위해 심리 치료와 함께 연구되었다.[305]
다수의 대체 요법이 연구 및 시행되었으며, 많은 경우 자폐인에게 해를 끼쳤다.[277] 마음챙김 기반 중재가 스트레스, 불안, 반추 사고, 분노, 공격성을 감소시키고 정신 건강을 개선할 수 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306]
자폐인의 대체 치료로 널리 사용되지만, 표준 치료법으로 글루텐-카제인 프리 식단을 권장할 만한 충분한 근거는 없다.[307][308][309] 글루텐 과민증이 있는 사람들의 하위 집단에서 글루텐 프리 식단이 일부 자폐 행동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제한적인 증거가 있다.[312][313][314]
킬레이션 치료는 잠재적 이점보다 관련된 위험이 더 크기 때문에 자폐인에게 권장되지 않는다.[318]
업데이트된 코크란 리뷰(2022)에서는 음악 치료가 사회적 상호 작용, 언어적 의사 소통 및 비언어적 의사 소통 기술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321] 자폐증 아동의 고압 산소 치료에 대한 초기 연구가 있었다.[322] 애완동물 치료에 대한 연구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323]
발프로산 나트륨(VPA)을 임신 중에 사용하는 것은, 모체의 간질을 고려하더라도 자녀가 자폐증이나 자폐 스펙트럼이 될 위험을 증가시킨다.[418][419][420][421][422][423] 항우울제, 특히 SSRI를 임신 중에 사용하는 것은, 모체의 우울증을 고려하더라도, 아이가 자폐 스펙트럼이 될 위험을 증대시킨다.[424]
비흡수성 항생물질의 투여가 유아 자폐증의 발증과 악화에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냐는 가설이 세워졌고, 가설이 실증되고 있다. 장내 세균 또는 장내 세균 유래 물질이 장관 장벽이나 혈액 뇌 관문을 통과하여 자폐증의 병태에 영향을 주고 있을 가능성이 생각되고 있다.[425]
현재 치료법은 존재하지 않지만[466], 회복된 아동의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467] 조기 대화・행동 개입은 자폐 아동의 자기 관리 및 사회적・의사소통 기술에 도움이 될 것이다.[466] 자폐 아동은 성인이 된 후 독립적인 생활에 성공하는 경우가 많지 않지만, IQ가 70 이상인 경우 일부에서는 성공적인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468] 칸너 유형, 전형적 자폐증은 그 대부분이 요양 보호를 필요로 하며 자립할 수 있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자폐증에 대한 사회적 문화가 존재하며, 일부 사람들은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자폐증을 개성으로 받아들여야 하며 장애로 치료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469]
NICE는 자폐 아동 청소년에게 어떠한 상황에서도 세크레틴 요법, 킬레이션 요법, 고압 산소 치료 등 치료를 시도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자폐증의 핵심 증상인 사회성 문제는 집중적인 행동 개입에 잘 반응하고 훈련이 가능하다는 것이 실증되었지만, 약물로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사회적 동기 및 사회적 인지를 높이는 사회 친화적 화합물(Prosocial Compounds)로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이 주목받고 있다.[470] 치료법으로, 대표적인 것을 들면, 응용 행동 분석(Applied Behavior Analysis, 약칭 ABA), TEACCH, 언어 청각 치료, 사회성 기술 훈련, 작업 치료, 플로어 타임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응용 행동 분석(ABA)이 과학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증명되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해외(주로 미국, 영국)에서는 응용 행동 분석(ABA)의 자격, 공인 행동 분석사(BCBA)가 되기 위한 전문적인 수업, 시험을 마련하고 있으며, 자격 보유자의 지도하에 운영되는 자폐 아동 치료 기관이 많다.
"TEACCH ('''T'''reatment and '''E'''ducation of '''A'''utistic and related '''C'''ommunication handicapped '''CH'''ildren)" 「사회성 기술 훈련」 등의 각종 프로그램에 의해, 정상인에 가까운 사회생활을 할 수 있게 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러한 프로그램은 본인의 사회생활에서의 어려움을 경감시키는 것이며, 근본적인 원인이 치유된 것은 아니라고 여겨진다. 또한, "덴버 치료 모델"과 "그린스펀 모델 (DIR)" 등도 유효하다고 여겨진다.[471]
미러링(자폐 아동과의 놀이 방법으로 알려진, 이른바 모방)을 하여 자폐 아동에게 접근함으로써, 기이한 운동이 일시적으로 사라지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472] 이것 역시(만약 많은 자폐 아동에게 효과가 있다고 하더라도) 근본적인 치유는 아니지만, 의사소통 능력 향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자조 그룹, 지원 그룹에의 참가도 권장된다.
또한, 부차적인 증상으로 사회 불안 장애 등의 불안 장애나 우울증을 병발하는 경우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주 증상에 대처하여 사회성 향상을 목표로 하는 위의 치료법 및 프로그램과, 부차적인 증상(불안이나 억울함)의 경감을 목적으로 하는 인지 행동 치료를 병용한다.[473][474]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관련된 소아의 과민성에 대한 적응증을 가진 의약품은 있지만, 치료 또는 증상 완화로 공식적으로 승인된 의약품은 존재하지 않는다. 영국 국립 보건 임상 연구소(NICE)는 자폐증의 핵심 증상 관리에 대해 항정신병 약물, 항우울제, 항경련제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피모짓(오라프, 국내 유통 종료), 아리피프라졸(에빌리파이), 리спери돈(리스페달)은 소아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관련된 과민성에 적응증이 있으며, 일본 의약품 첨부 문서에는 만연하게 장기 투여하지 않도록 주의 문구가 적혀 있다.
연구 수준에서는 옥시토신이 효과가 있었다는 연구도 있지만, 임상 사용은 아직 승인되지 않았다.[475]
옥시토신을 방출하는 MDMA가 주목받고 있으며, 지속적인 투여가 필요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LSD나 실로시빈을 사용한 과거의 임상시험에서는 대화 능력을 회복시킬 가능성은 낮았지만, 타인과의 접촉성을 높일 수 있었다고 결론 내렸으며, 1970년에는 약물 규제로 인해 연구가 어려워졌다. 이후 등장한 MDMA는 공감 능력을 높이는 등의 작용이 있어, 인터넷이 도입되는 시대가 되자 영어권 온라인 포럼에서 MDMA로 기능 개선이 보고되기 시작했고, 임상시험 실시로 이어졌다.[476]
리스페리돈과 항생제 미노사이클린 병용 요법의 유효성과 안전성이 제시되었다.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 시험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477] 약제 내성을 가진 균이 생기는 문제가 있어 감염증에서도 적정 사용이 강조되며, 감염증이 아닌 상황에서의 항생제 부적절 사용은 경계해야 한다.[478] 출생 전 발프로산 노출로 자폐증의 모델 생물을 만든 연구에서, 해당 자폐증 유사 행동이 미노사이클린 투여로 감소했다고 한다.[479]
아프리카 수면병 치료제로 개발된 수라민 등도 자폐증 치료를 위해 연구되고 있다.[480] 일부 의사들은 한약 치료를 시도하고 있으며, 증상에 맞춰 한약을 처방하여 일정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대시호탕 처방 사례가 제시되어 있다.[481]
침 치료도 있으며, 특히 중국과 미국에서 진료에 시도되고 있다.[483] 언어 능력 개선에 대한 치료 효과[484]나, 사회 적응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발표도 있다.[485] 한편, 중국 사천대학의 조사에서는 자폐증에 대한 효과는 불분명하다고 밝혀졌다.[486][487]
8. 예후
현재까지 자폐증에 대한 치료법은 없다.[270][147] 증상은 완화될 수 있으며, 때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진단이 사라질 정도로 호전되기도 한다.[326][327] 이러한 호전은 집중 치료 후에[328] 나타나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호전 사례의 빈도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329] 보고된 바에 따르면 3%에서 25% 정도이다.[326][327] 근본적인 어려움은 지속되는 경향이 있으나, 나이가 들면서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가 많다.[152] 6세 이전에 언어를 습득하고, IQ가 50 이상이며,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술을 갖는 것은 긍정적인 예후를 예측하는 요인이다. 그러나 높은 수준의 지원이 필요한 자폐인의 경우 자립 생활이 어려울 수 있다.[330]
템플 그랜딘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은 자폐증 치료에 반대하며, 치료법이 발견되어도 현재 상태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랜딘은 "자폐증을 가진 사람들이 가진 기술은 그들 자신과 사회 모두에게 이익이 되도록 육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자폐증이 완전히 사라진다면 미래에 당신의 컴퓨터를 고쳐줄 사람이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331][332]
9. 역학
2000년대 기준으로 자폐 빈도는 약 0.1~0.2%로 나타났다. 이는 다른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비해 5배 정도 드문 수치이다.[544] 자폐증은 남성이 여성보다 약 4.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이 있지만 아직 정설은 없다.[544]
자폐 발생 빈도는 부모의 높은 연령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544][545] 또한, 가족력이나 유전자 변이, 임신기 약물 복용도 자폐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544] 반면 사회경제적 배경은 자폐 발생 빈도와 큰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자폐증이 선천적인 발달장애라는 주장에 힘을 싣고 있다.
1980년대 이후 미국에서는 자폐 진단 비율이 크게 증가했는데, 이는 사회적 인식 변화와 진단 기준 변경으로 진단 대상이 확대되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546]
세계보건기구(WHO)는 2012년부터 2021년까지의 연구를 바탕으로 어린이 100명 중 약 1명이 자폐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이 수치는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의 유병률을 과소평가한 것일 수 있다.[9][333]
DSM-5 기준에 따르면, DSM-IV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로 간주되던 장애로 진단받은 어린이의 92%가 여전히 ASD 진단 기준을 충족한다. ASD 유병률에 대한 가장 좋은 추정치는 0.7%(어린이 143명 중 1명)이다.[337]
2020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2016년 데이터를 기준으로 미국 어린이 54명 중 약 1명이 ASD로 진단받았다고 보고했다.[346][347] 이는 2014년의 59명 중 1명에서 10% 증가한 수치이다.[346]
영국에서는 1998년부터 2018년까지 자폐증 진단이 787% 증가했다.[334] 이러한 증가는 진단 관행, 서비스 가용성, 대중의 인식 변화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348][349][350]
일본 자폐증 협회에 따르면 현재 일본 내에는 추정 36만 명(중증 자폐, 의무 교육에 지장이 있는 정도의 장애)의 자폐증 환자가 있으며, 고기능 자폐증 등을 포함하면 120만 명이 있다고 한다.
DSM-IV 발표 전 미국의 자폐증 발생률은 2,000명에서 5,000명당 1명이었지만, DSM-IV에서 자폐증에 아스퍼거 증후군이 추가된 이후 20배에서 40배로 증가했다.
10. 사회와 문화
의학적 모델에 따르면, 자폐인은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를 경험한다. 2013년까지 사회적 기능과 의사소통의 결함은 두 개의 별개 증상 영역으로 간주되었다.[70] 현재 자폐증 진단을 위한 사회적 의사소통 영역 기준은 사람들이 사회적 기술(사회적-정서적 상호 작용, 비언어적 의사소통, 관계 형성 및 유지) 세 가지에서 결함을 가져야 한다고 요구한다.
결함 기반 관점은 자폐인 간의 상호 작용이 자폐인이 아닌 사람(비자폐인)과의 상호 작용보다 덜 효과적이거나 심지어 기능적이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한다.[71]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자폐인 간의 상호 작용은 비자폐인 간의 상호 작용만큼 정보 전달에 효과적이며, 의사소통은 자폐인과 비자폐인 사이에서만 단절된다.[71][72] 또한 사회 인지적 결손 해석과는 반대로, 최근 (2019) 연구는 자폐인과 비자폐인 성인 모두 유사한 사회 인지적 수행 능력을 기록했으며, 둘 다 자폐인 개인을 비자폐인 개인보다 덜 호의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자폐인 개인은 비자폐인 개인이 하는 것보다 자폐인과 교류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보였고, 개인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알게 되는 것은 그들의 관심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73]
따라서 자폐인이 단순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없는 사람들과는 다르게 반응하고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최근 변화가 있었다.[74] 지금까지 연구에 따르면 자폐인이 공유된 이해 (상호 주관성)를 만드는 두 가지 색다른 특징이 확인되었다. "이해되면 빠른 라포(rapport)로 이어지고, 이해되지 않으면 잠재적으로 방해적인 발언으로 이어지는 일반적인 기반에 대한 관대한 가정과, 방해적인 차례와 관련된 많은 문제를 완화하는 낮은 조율 요구 사항"이다.[72] 자폐인의 관심사, 따라서 대화 주제는 특정 주제에 대한 강렬한 관심(단일 조형성)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보인다.[75][76]
역사적으로 자폐 아동은 마음 이론 발달이 지연된다고 여겨졌으며, 공감-체계화 이론은 자폐인이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사람들에 대한 공감 (정서적 공감)을 가지고 있지만, 반드시 없는 것은 아니지만 제한적인 사회 인지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77] 이것은 사회적 순진함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78] 신체 언어, 사회적 상호 작용,[79] 또는 습관, 사회적 단서, 그리고 어느 정도의 반어법을 포함한 사회적 기대의 유용성 또는 의미에 대한 평균 이하의 직관적 인식일 수 있으며,[80] 이는 어느 정도 알렉시티미아의 동반 질환 때문일 수도 있다.[81]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이중 공감 문제" 이론(2012)이 비자폐인과 자폐인 모두 상호 이해와 공감이 부족하다고 주장하면서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해 점점 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82][83][84][85][86]
의사소통은 양방향적이므로,[88] 의사소통 어려움에 대한 연구는 이후 비자폐인의 행동도 연구하기 시작했으며, 연구원 캐서린 크롬톤은 2020년에 비자폐인이 "자폐인의 정신 상태를 식별하고, 자폐인의 표정을 식별하고, 자폐인의 자기 중심성을 과대 평가하고, 자폐인과 사회적으로 교류하려는 의지가 덜하다"라고 썼다. 따라서 비자폐인은 일반적으로 사회적 기술이 뛰어나다고 특징지어지지만, 이러한 기술은 자폐인과 상호 작용할 때 기능적이거나 효과적으로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71] 따라서 자폐인의 이전에 관찰된 의사소통 결함은 자폐증 연구에서 신경전형적인 편견을 통해 구성되었을 수 있으며, 이는 "비인간화, 객관화 및 낙인"에 대해 비판받게 되었다.[87] 최근 연구에서는 자폐인의 읽기 어려움과 신경전형인의 비정형 신호를 해석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여 부정적인 상호 작용 고리를 유발하여, 두 그룹이 서로 다른 사회적 상호 작용 스타일을 가진 두 개의 별개 그룹으로 점점 더 분리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88]
언어적 의사소통의 차이는 많은 자폐 아동이 언어 능력을 고르지 않은 속도로 발달하면서 아동기에 눈에 띄기 시작한다. 언어적 의사소통이 지연되거나 발달되지 않을 수 있으며 (비언어적 자폐증), 읽기 능력은 학령기 이전에 나타날 수 있다 (과잉 읽기증).[92][95] 감소된 공동 주의 집중은 자폐 영아와 비자폐 영아를 구별하는 것으로 보인다.[89] 영아는 옹알이 시작이 지연되고, 특이한 몸짓을 보이며, 반응성이 감소하고, 양육자와 동기화되지 않는 발성 패턴을 보일 수 있다. 두 번째 및 세 번째 해에 자폐 아동은 옹알이, 자음, 단어 및 단어 조합이 덜 빈번하고 다양할 수 있으며, 그들의 몸짓은 단어와 덜 통합된다. 자폐 아동은 요청하거나 경험을 공유할 가능성이 적고, 다른 사람의 말을 단순히 반복할 가능성이 더 높다 (반향어).[90] 질병 통제 예방 센터(CDC)는 2015년에 자폐 아동의 약 40%가 전혀 말하지 않는다고 추정했다.[91] 자폐 성인의 언어적 의사소통 기술은 아동기에 언어가 언제, 얼마나 잘 습득되었는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92]
자폐인은 비정형적인 비언어적 행동을 보이거나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들은 이름으로 불릴 때조차 드물게 눈 맞춤을 하거나, 아예 피할 수 있다. 이것은 눈 맞춤을 할 때 받는 많은 양의 감각 입력 때문일 수 있다.[93] 자폐인은 다른 사람의 표정에서 더 적은 감정과 그 의미를 인식하고, 비자폐인 또래가 기대하는 표정으로 반응하지 않을 수 있다.[94][95] 자폐증 옹호에 참여한 자폐 여성인 템플 그랜딘은 신경전형인의 사회적 의사소통을 이해할 수 없는 것을 "화성에서 온 인류학자 같은" 느낌이라고 묘사했다.[96] 자폐인은 신경전형인의 대화 또는 인쇄된 상황의 사회적 맥락과 숨겨진 의미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내용에 대해 다른 결론을 내린다.[97] 자폐인은 다양한 사회적 환경에서 목소리의 크기를 조절하지 못할 수 있다.[98] 자폐 아동의 최소 절반이 비정형적인 운율을 보인다.[98]
자폐인이 자기 몰입적이거나 비자폐인에게 무관심해 보이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개성, 관점, 관심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데 자폐인과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97][99] 발표된 대부분의 연구는 자폐인과 비자폐인 간의 대인 관계의 어려움과 신경전형적인 사회적 기술을 가르침으로써 이를 해결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지만, 새로운 연구에서는 자폐인이 우정에서 원하는 것, 예를 들어 소속감과 좋은 정신 건강도 평가했다.[100][101]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아동은 비자폐인 또래보다 괴롭힘 상황에 더 자주 연루되며, 특히 동반 질환 정신 병리를 통제한 후, 가해자 또는 피해자-가해자보다는 피해자로 괴롭힘을 경험한다.[102] 청소년기에 우정에서 신뢰성과 친밀도를 우선시하는 것과 우정의 양과 질 감소가 결합되어 자폐인에게 외로움이 증가하는 경우가 많다.[103] 자폐인은 삶을 살아가면서 사회적 패턴의 모델을 관찰하고 형성하며, "마스킹"이라고 하는 대처 기제를 개발하며,[104][105] 이는 최근 심리적 비용과 자살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88]
자폐 문화를 통해 자폐 권리 및 신경다양성 운동이 등장했으며, 이는 자폐증을 치료해야 할 대상이 아닌 수용해야 할 차이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한다.[357][358][377][359][360] 소수의 자폐인들은 여전히 치료를 수용할 수 있다.[361] 전 세계적으로 자폐와 관련된 행사로는 세계 자폐 인식의 날, 자폐 일요일, 자폐 자긍심의 날, 오트리트 등이 있다.[362][363][364][365]
사회 과학 학자들은 "문화로서의 자폐, 초문화적 비교... 및 사회 운동에 대한 연구"에 대해 더 배우기 위해 자폐인을 연구한다.[366] 많은 자폐인들이 자신의 분야에서 성공을 거두었다.[367]
특정 관심사는 자폐인에게서 흔히 발견되며, 때로는 취미, 방대한 수집, 활동으로 이어진다. 환경 운동가 그레타 툰베리는 자폐 진단에 대해 긍정적으로 이야기하며, 자폐증이 삶의 목적의 원천이 될 수 있으며, 경력, 취미, 우정의 기반을 형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368][369][356] 자폐인 중 일부와 점점 더 많은 수의 연구자[370]들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치료하거나 고쳐야 할 질병이 아닌 차이로 보는 관점으로의 태도 변화를 옹호해 왔다.[371][372] 비평가들은 이들 단체의 일부 의견이 고착화된 것에 대해 비판을 제기했다.[373][374][375][376]
신경다양성 운동과 자폐 권리 운동은 장애인 권리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사회 운동으로, 자폐 스펙트럼을 치료해야 할 장애가 아닌 인간의 뇌의 자연스러운 변이의 결과로 묘사하는 신경다양성 개념을 강조한다.[377][378] 자폐 권리 운동은 자폐 행동에 대한 더 큰 수용, 자폐가 없는 사람들의 행동을 모방하는 대신 대처 기술에 초점을 맞춘 치료법,[379] 그리고 자폐 커뮤니티를 소수 집단으로 인정하는 것을 옹호한다.[379][380]
자폐 권리 또는 신경다양성 옹호자들은 자폐 스펙트럼이 유전적이며 인간 게놈의 자연스러운 변이로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믿는다.[377] 이러한 운동에는 비판론자도 있다. 신경다양성 운동가에 대한 흔한 반론은 그들 대부분이 비교적 낮은 지원 요구를 가지고 있거나, 자가 진단을 했으며, 높은 지원 요구를 가진 자폐인의 견해를 대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380][381][382] Jacquiline den Houting은 이러한 비판을 탐구하며, 낮은 지원 요구를 가진 자폐인의 목소리가 "신경다양성 운동 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목소리 중 일부이지만, 옹호 커뮤니티 내에서는 소수임은 인정한다"라고 결론 내렸다. 그녀는 이것이 부분적으로 일반적인 비자폐인 커뮤니티의 단점이라고 제안하며, 비언어적 자가 옹호자인 에이미 세퀀지아의 글을 언급했다.[383][384] Pier Jaarsma와 Stellan Welin은 낮은 기능 자폐인의 상태는 정당하게 장애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높은 기능 자폐인만 신경다양성 기치 아래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385] 신경다양성 개념은 자폐 옹호 및 연구 그룹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었으며 내부 갈등을 초래했다.[386][387]
2011년부터 자폐인 자조 네트워크는 4월을 자폐 수용의 달로 기념하고 있다. 2021년, 미국 자폐 협회는 단체들에게 자폐 인식의 날을 자폐 수용의 날로 변경하여 "자폐를 겪고 있는 54명 중 1명의 미국인을 우리 사회에 더욱 완전히 통합하는 것"에 집중할 것을 촉구했다.[390]
1963년, 영국의 전국 자폐 협회(National Autistic Society)는 자폐인을 "수수께끼 같은" 상태로 여기는 관점에 따라 퍼즐 조각을 로고로 선택했다.[388][389] 이 로고는 이사 제럴드 가슨이 디자인했으며, 녹색과 검은색 퍼즐 조각에 4개의 돌기가 있고, 중앙에는 우는 아이가 있었다.[389] 다른 단체와 옹호자들도 자폐증의 상징으로 퍼즐 조각을 채택했는데, 여기에는 하나의 돌기, 두 개의 구멍, 한쪽 가장자리가 있는 퍼즐 조각을 사용하는 미국의 오티즘 스피크스(Autism Speaks)가 포함된다.
1999년, 미국 자폐 협회(Autism Society of America)는 빨간색, 노란색, 시안색, 파란색 퍼즐 조각으로 패턴화된 인식 리본인 퍼즐 리본을 자폐증 인식의 상징으로 디자인했다.[389]
퍼즐 상징은 자폐증 옹호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거부하고 있다. 자폐증이 더 잘 이해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대에 뒤떨어졌다는 비판과 함께, 자폐인을 신비하거나 불완전한 존재로 암시한다는 점, 그리고 오티즘 스피크스(Autism Speaks)와의 연관성 때문에 비판을 받고 있다.[390] 자폐 권리 운동과 신경 다양성 옹호자들은 자폐증을 치료해야 할 질병으로 여기는 오티즘 스피크스의 관점을 비판했다.[391][392][360][393]
2004년, 신경다양성 옹호자인 에이미 넬슨(Amy Nelson)과 웬 넬슨(Gwen Nelson)은 원래 그들의 옹호 단체인 자유를 위한 아스피(Aspies For Freedom)의 로고로 "무지개 무한대 기호"를 디자인했다. 많은 사람들이 무한대 기호를 자폐 스펙트럼의 상징으로 채택했다.[394] 무지개 색상은 일반적으로 신경다양성 운동과 관련이 있다.[395]
2018년, 줄리안 모건(Julian Morgan)은 2007년 오티즘 스피크스(Autism Speaks)가 시작한 "파란색 켜기(Light It Up Blue)" 인식 캠페인에 대한 응답으로 "골드 켜기(Light It Up Gold)"라는 기사를 썼다.[396][397] 모건은 자폐증을 상징하기 위해 금(gold)을 사용할 것을 주장했는데, 이는 라틴어 Aurumla에서 유래된 화학 기호 ''Au'' 때문이다.[395]
2005년, 최초의 자폐인의 날을 위해 Aspies For Freedom에서 자폐인 자긍심 깃발을 제작했는데, 흰색 배경에 무지개 무한대 기호를 담고 있다.[398]
흰색 배경의 무지개 무한대 기호가 점점 더 일반적인 신경다양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지면서,[395] 자폐인 전용 깃발을 위한 여러 디자인이 제안되었다.[399] 2023년, 피플스 히스토리 박물관은 조셉 레드포드가 2015년에 디자인한 자폐인 자긍심 디자인을 선보였는데, 무지개 무한대 기호와, 자신의 본성에 충실함을 나타내는 녹색 배경, 그리고 신경다양성을 나타내는 보라색 배경을 사용했다.[400]
자폐 아동을 돌보는 가족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추가적인 스트레스에 직면한다.[401][402] 부모는 진단을 이해하고 적절한 돌봄 옵션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그들은 종종 진단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며 감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403] 자폐인의 약 85%가 독립적인 생활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50세 이상 부모의 절반 이상이 여전히 자녀와 함께 살고 있다.[404] 일부 연구에서는 자폐 아동을 돌보는 부모의 소득 감소도 발견된다.[405][406]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를 가진 아동의 형제자매는 자폐가 없는 아동의 형제자매, 예를 들어 다운 증후군 아동의 형제자매보다 해당 형제자매에 대해 더 큰 존경심과 적은 갈등을 보고한다. 그러나 그들은 다운 증후군 아동의 형제자매보다 친밀감과 친밀도가 낮다고 보고했으며, 자폐인의 형제자매는 성인이 되었을 때 부정적인 웰빙과 더 열악한 형제 관계를 가질 위험이 더 크다.[407]
자폐 문화가 생겨났고, 이에 따라 자폐인의 권리와 신경다양성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491][492][493] 또한, 행사에는 세계 자폐증 인식의 날, 자폐증 일요일, 자폐 프라이드 데이, 오토라트 등이 있다.[494][495][496][497][498] 자폐증 인식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로는 Autism Speaks, Autism National Committee, Autism Society of America 등이 있다.[499] 사회과학 연구자들은 "문화로서의 자폐, 이문화 비교... 그리고 사회 운동 연구"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고자 자폐인을 연구하고 있다.[500] 대부분의 자폐인에게는 충분한 기술이 없지만,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분야에서 성공하고 있다.[501][502][503]
자폐인의 권리 운동은 장애인의 권리라는 맥락 속에서 진행되는 사회 운동이며, 신경다양성 개념을 강조하고, 자폐 스펙트럼을 치료해야 할 장애가 아닌, 인간의 뇌의 자연스러운 변화의 결과로 보는 것이다[493]。자폐인의 권리 운동은 자폐인의 행동을 더 수용할 것을 주장한다. 자폐인이 아닌 사람의 행동을 모방하는 것보다, 대처 기술에 중점을 둔 치료법[504]이나 자폐 커뮤니티의 마이너리티 집단으로서의 인식을 가질 것을 권장한다[504][505]。자폐 및 신경다양성 옹호자들은 자폐 스펙트럼은 유전적인 것이며, 인간 게놈에 의한 자연스러운 표현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관점은 자폐가 유전적 결함에 의해 발생하며 자폐 유전자를 표적으로 함으로써 해결해야 한다는 의학적 관점과 자폐가 백신과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는 일부 이론과는 다르다[493]。자폐 활동가에 대한 일반적인 비판은 그들의 대다수가 "고기능" 또는 아스퍼거 증후군이며, "저기능" 자폐인들의 견해를 대표하지 못한다는 것이다[505]。
자폐증 환자는 청각 과민을 가진 경우가 많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자폐증 환자 지원 단체 등에서는 모스키토 음 발생 장치 사용 금지 등, 음성 자극을 완화하는 사회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호응하는 형태로 콰이어트 아워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506][507][508][509]。
자폐인의 약 절반은 무직이며, 대학원 졸업자의 경우 1/3이 무직일 것으로 추정된다[510]。직업을 찾은 자폐인의 대부분은, 국가 최저 임금 이하의 임금으로 일하는 보호 시설에서 고용된다[511]。고용주는 생산성과 감독에 대한 고용의 우려를 언급하지만, 자폐인을 많이 고용해 온 경험이 풍부한 고용주는 평균 이상의 기억력과 매우 세세한 부분까지 집중하는 점에 대해 긍정적인 보고를 하고 있으며, 자폐인 직원의 규칙과 절차 준수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510]。자폐로 인한 경제적 부담의 대부분은 노동 시장에서의 수입 감소에 기인한다[512]。또한 자폐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의 소득이 감소하고 있다는 연구도 있다.[513][514]。
참조
[1]
논문
Still too much delay in recognition of autism spectrum disord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1
[2]
논문
Depression in Youth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3]
논문
Risk markers for suicidality in autistic adults
2018
[4]
웹사이트
6 Reasons Autistic People Are at Greater Risk of Suicide | Psychology Today
https://www.psycholo[...]
[5]
웹사이트
At the intersection of autism and trauma
https://www.spectrum[...]
2018-09-26
[6]
웹사이트
What is Positive Behaviour Support?
https://www.aspect.o[...]
[7]
웹사이트
Positive Behaviour Support (PBS)
https://www.autism.o[...]
[8]
웹사이트
Autism's drug problem
https://www.spectrum[...]
2017-04-19
[9]
논문
Global prevalence of autism: A systematic review update
2022-05-15
[10]
간행물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version 11 (ICD-11)
https://icd.who.int/[...]
[11]
웹사이트
IACC Subcommittee Diagnostic Criteria - DSM-5 Planning Group
https://iacc.hhs.gov[...]
2024-08-01
[12]
논문
Autism severity and its relationship to disability
https://onlinelibrar[...]
2023
[13]
문서
https://pubmed.ncbi.[...]
[14]
문서
https://pmc.ncbi.nlm[...]
[15]
웹사이트
Overview {{!}} Autism spectrum disorder in under 19s: support and management {{!}} Guidance
https://www.nice.org[...]
2024-11-02
[16]
논문
Consensus Statement of the Indian Academy of Pediatrics on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s://pubmed.ncbi.[...]
2017-05-15
[17]
논문
Autism spectrum disorder: Consensus guidelines on assessment, treatment and research from the British Association for Psychopharmacology
https://journals.sag[...]
2018-01-01
[18]
논문
A Critique of the Neurodiversity View
https://onlinelibrar[...]
2021
[19]
논문
A Dilemma For Neurodiversity
https://link.springe[...]
2021-07-01
[20]
서적
Autistic Communit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Stories from the Frontline
Springer
2020
[21]
논문
In search of truce in the autism wars
https://www.spectrum[...]
Simons Foundation
2022-07-09
[22]
논문
Autism spectrum disorder: definition, epidemiology, causes, and clinical evaluation
2020-02
[23]
논문
Theoretical aspects of autism: Causes—A review
https://www.tandfonl[...]
2011-03-01
[24]
논문
Annual Research Review: The role of the environment in the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of autism spectrum condition
2016-03
[25]
서적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2-06-08
[26]
논문
The Lancet Commission on the future of care and clinical research in autism
https://fhi.brage.un[...]
2022
[27]
논문
The Diagnosis of Autism: From Kanner to DSM-III to DSM-5 and Beyond
2021-12
[28]
서적
Autism Spectrum Disorders
Oxford University Press
[29]
논문
Correction to: The essence of autism: fact or artefact?
2021-11
[30]
논문
The autism epidemic: fact or artifact?
2007-06
[31]
논문
The MMR Vaccine and Autism
2019-09
[32]
논문
Cure of Autistic Disorders: Mission Impossible is Possible in an Illustrated Pioneering Experience.
2020-08-21
[33]
논문
Should we welcome a cure for autism? A survey of the arguments
http://link.springer[...]
2012
[34]
웹사이트
Treatment and Intervention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s://www.cdc.gov/[...]
2024-11-28
[35]
간행물
ESCAP practice guidance for autism: a summary of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https://www.autismeu[...]
[36]
웹사이트
How we made the decision {{!}} Evidence {{!}} Autism spectrum disorder in under 19s: recognition, referral and diagnosis {{!}} Guidance
https://www.nice.org[...]
2011-09-28
[37]
웹사이트
EUCAP Position Statement on ABA
https://eucap.eu/202[...]
2024-04-02
[38]
웹사이트
The controversy over autism's most common therapy
https://www.spectrum[...]
2016-08-10
[39]
학술지
'The line between intervention and abuse’ – autism and applied behaviour analysis'
2017-04-01
[40]
웹사이트
Medication Treatment for Autism
https://www.nichd.ni[...]
2021-04-19
[41]
학술지
Efficacy and Safety of Melatonin Treatment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 Review of the Literature
2020
[42]
학술지
Processing speed as a marker to stimulant effect in clinical sample of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s://www.tandfonl[...]
2020-04-02
[43]
웹사이트
Why Asperger's Syndrome is no longer listed in the DSM
https://www.parents.[...]
[44]
웹사이트
'Diagnostic Criteria |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 NCBDDD | CDC'
https://www.cdc.gov/[...]
2022-11-02
[45]
웹사이트
ICD-11 for Mortality and Morbidity Statistics
https://icd.who.int/[...]
[46]
학술지
Autism: many genes, common pathways?
2008-10
[47]
학술지
Understanding assets and deficits in autism: why success is more interesting than failure
http://www.thepsycho[...]
[48]
학술지
The autistic spectrum
1997-12
[49]
웹사이트
Diagnostic criteria – a guide for all audiences
https://www.autism.o[...]
[50]
뉴스
ICD vs. DSM
https://www.apa.or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9
[51]
학술지
International surveys on the use of ICD-10 and related diagnostic systems
2002
[52]
학술지
The classification of mental disorder: a simpler system for DSM–V and ICD–11
2010-01
[53]
학술지
Editorial: Is autism a biological entity?
2023-05-02
[54]
학술지
A Unifying Theory for Autism: The Pathogenetic Triad as a Theoretical Framework
2021-11-16
[55]
학술지
Autism: A model of neurodevelopmental diversity informed by genomics
2022-09-02
[56]
Press Release
WHO releases new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 11)
https://www.who.int/[...]
[57]
간행물
Status on ICD-11: The WHO Launch
https://ncvhs.hhs.go[...]
CDC/NCHS
2018-07-18
[58]
문서
Q3064664
[59]
학술지
How will DSM-5 affect autism diagnosi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2014-08
[60]
웹사이트
DSM-5 Diagnostic Criteria
https://iacc.hhs.gov[...]
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Interagency Autism Coordinating Committee
[61]
웹사이트
F84.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http://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62]
서적
Handbook of Pragmatic Language Disorders
Springer
2021
[63]
서적
Biopsychology
Pearson
[64]
서적
Autism Spectrum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8
[65]
문서
Autism spectrum disorder in adults: diagnosis and management
https://www.nice.org[...]
NICE
2021-06-14
[66]
웹사이트
About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https://www.canada.c[...]
2016-01-18
[67]
웹사이트
What are the signs and symptoms of ASD?
https://www.canada.c[...]
2016-01-18
[68]
웹사이트
What is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s://www.cdc.gov/[...]
2020-03-25
[69]
학술지
Broader autism phenotype: evidence from a family history study of multiple-incidence autism families
1997-02
[70]
학술지
Social Skills Deficits in Autism Spectrum Disorder: Potential Biological Origins and Progress in Developing Therapeutic Agents
2018-08
[71]
논문
Autistic peer-to-peer information transfer is highly effective
2020-05-20
[72]
논문
Neurodivergent intersubjectivity: Distinctive features of how autistic people create shared understanding
https://eprints.lse.[...]
2023-11-22
[73]
논문
Do First Impressions of Autistic Adults Differ Between Autistic and Nonautistic Observers?
2019-12-13
[74]
웹사이트
Basics About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https://www.cdc.gov/[...]
2022-09-15
[75]
논문
Special interests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utistic adults
https://pubmed.ncbi.[...]
2023-11-23
[76]
논문
Attention, monotropism and the diagnostic criteria for autism
2005-05
[77]
논문
Sex differences in the brain: implications for explaining autism
http://docs.autismre[...]
2023-09-10
[78]
서적
Asperger syndrome
Guilford Press
2000
[79]
논문
Editorial Perspective: The use of person-first language in scholarly writing may accentuate stigma
2017-08-06
[80]
웹사이트
DSM-5 Full Text Online
http://repository.po[...]
2022-01-10
[81]
서적
Disorders of Emotion in Neurologic Disease
Elsevier
2021
[82]
논문
On the ontological status of autism: the 'double empathy problem'
http://www.tandfonli[...]
2023-11-22
[83]
논문
The 'double empathy problem': Ten years on
http://journals.sage[...]
2023-02-25
[84]
논문
Double Empathy: Why Autistic People Are Often Misunderstood
[85]
논문
Neurotypical Peers are Less Willing to Interact with Those with Autism based on Thin Slice Judgments
2017-02-01
[86]
논문
Goals, intentions and mental states: challenges for theories of autism
[87]
논문
"Autism research is in crisis": A mixed method study of researcher's constructions of autistic people and autism research
2022-11-24
[88]
논문
Autism and the double empathy problem: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and mental health
2021-01-04
[89]
논문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ttp://pediatrics.aa[...]
2007-11
[90]
논문
Language disorders: autism and other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2007-06
[91]
웹사이트
Signs & Symptoms: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s://www.cdc.gov/[...]
2015-02-26
[92]
논문
Autism Spectrum Disorder symptoms from 2 to 19: Implications for diagnosi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2018-08-12
[93]
논문
How do adults and teens with self-declared Autism Spectrum Disorder experience eye contact? A qualitative analysis of first-hand accounts
2017-11-28
[94]
웹사이트
Autism: Overview
https://www.asha.org[...]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2017-12-17
[95]
웹사이트
Autism Spectrum Disorder: Communication Problems in Children
https://www.nidcd.ni[...]
2017-12-17
[96]
뉴스
Temple Grandin: 'I'm an anthropologist from Mars'
https://www.theguard[...]
Scott Trust
2005-10-25
[97]
웹사이트
Social communication and languag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high-functioning, verbal children and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s://www.iidc.ind[...]
Indiana Resource Center for Autism
2017-12-17
[98]
논문
Is voice a marker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pure.au.dk/w[...]
2020-03-27
[99]
서적
Understanding and Working With the Spectrum of Autism: An Insider's View
https://archive.org/[...]
Jessica Kingsley Publishers
[100]
논문
The Kind of Friend I Think I Am: Perceptions of Autistic and Non‑autistic Young Adults
https://www.research[...]
2023-11-23
[101]
논문
Friendship quality among autistic and non-autistic (pre-) adolescents: Protective or risk factor for mental health?
2022-01-22
[102]
논문
Bullying Among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revalence and Perception
2010
[103]
논문
Sex differences in friendships and loneliness in autistic and non-autistic children across development
2022-11
[104]
논문
A Conceptual Analysis of Autistic Masking: Understanding the Narrative of Stigma and the Illusion of Choice
2021-03-01
[105]
논문
Autistic camouflaging across the spectrum
2023
[106]
웹사이트
Engaging people on the autism spectrum
https://www.autismsp[...]
Autism Spectrum Australia
2013-10-07
[107]
논문
Reductions in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Autistic Adults Participating in an Intervention to Promote Healthy Relationships
2023
[108]
서적
Teaching Autistic Children to Communicate
Aspens System Corporation
1983
[109]
논문
Autism spectrum disorder
2018-08
[110]
웹사이트
Autism spectrum disorder: Clinical features
https://www.uptodate[...]
2020-03-22
[111]
논문
The Repetitive Behavior Scale-Revised: independent validation in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2007-05
[112]
논문
The association between self-injurious behavior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2014-04
[113]
논문
Risk of Self-harm in Children and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1-10-01
[114]
논문
Practitioner Review: Self-injurious behaviour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http://pure-oai.bham[...]
2020-08-25
[115]
논문
Associated Factors of Self-injury Among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a Community and Residential Treatment Setting
2020-08
[116]
논문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suicidality in autistic and possibly autistic people without co-occurring intellectual disability
2023-03-15
[117]
논문
Suicidality in autistic you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pubmed.ncbi.[...]
2022-04
[118]
논문
The Prevalence of Suicidal Behavior in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s://pubmed.ncbi.[...]
2024-03
[119]
논문
The global burden of suicide mortality among people on the autism spectrum: A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and extension of estimate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21
https://pubmed.ncbi.[...]
2024-11
[120]
논문
Confirming the nature of autistic burnout
http://journals.sage[...]
2023-10-10
[121]
논문
What Is Autistic Burnout? A Thematic Analysis of Posts on Two Online Platforms
2022-03-01
[122]
논문
'"Having All of Your Internal Resources Exhausted Beyond Measure and Being Left with No Clean-Up Crew": Defining Autistic Burnout'
2020-06-01
[123]
웹사이트
Autistic Burnout: Causes and Prevention Tips
https://www.autismpa[...]
2022-09-13
[124]
웹사이트
'Prison Break' star Wentworth Miller reveals autism diagnosis
https://www.cnn.com/[...]
2024-06-16
[125]
논문
The screening and diagnosis of autistic spectrum disorders
1999-12
[126]
논문
The savant syndrome: an extraordinary condition. A synopsis: past, present, future
2009-05
[127]
논문
"[Neurobiological mechanisms of autistic savant and acquired savant]"
2018-04
[128]
논문
Savant syndrome has a distinct psychological profile in autism
2018-10
[129]
논문
Perception and apperception in autism: rejecting the inverse assumption
2009-05
[130]
논문
Advances in autism
[131]
논문
The neuropsychology of autism
Oxford University Press
1996-08
[132]
논문
A meta-analysis of sensory modulation symptoms in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2009-01
[133]
논문
Automatic Assessment of Motor Impairment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https://hal.archives[...]
2022-01-10
[134]
논문
Motor coordination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a synthesis and meta-analysis
2010-10
[135]
논문
Gross motor impairment and its relation to social skills in autism spectrum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two meta-analyses.
2022
[136]
논문
Atypical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m and children with a history of language impairment
Elsevier
[137]
서적
Handbook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assessment, diagnosis, and treatment
Springer Nature
[138]
서적
Autism spectrum disorders
Exon Publications
[139]
논문
Focus on the Social Aspect of Autism
Springer Nature
[140]
논문
Where is the Evidence? A Narrative Literature Review of the Treatment Modalitie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Springer Nature
[141]
논문
The 'fractionable autism triad': a review of evidence from behavioural, genetic, cognitive and neural research
2008-12
[142]
논문
Time to give up on a single explanation for autism
2006-10
[143]
논문
The origins of social impairments in autism spectrum disorder: studies of infants at risk
[144]
논문
Autism and the environmen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research
http://pediatrics.aa[...]
2008-06
[145]
논문
Childhood developmental disorders: an academic and clinical convergence point for psychiatry, neurology, psychology and pediatrics
2009-01
[146]
논문
Neural systems approaches to the neurogenetic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2009-11
[147]
논문
Autism
2009-11
[148]
논문
Unraveling autism
2008-01
[149]
논문
Clustering the autisms using glutamate synapse protein interaction networks from cortical and hippocampal tissue of seven mouse models
2018
[150]
논문
Advances in autism genetics: on the threshold of a new neurobiology
2008-05
[151]
논문
Multiple rare variants in the etiology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152]
논문
Autism: definition, neurobiology, screening, diagnosis
2008-10
[153]
논문
Insights into Autism Spectrum Disorder Genomic Architecture and Biology from 71 Risk Loci
2015-09
[154]
논문
Autism genetics
2013-08
[155]
논문
Characteristics and concorda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mong 277 twin pairs
2009-10
[156]
논문
Copy-number variations associated with neuropsychiatric conditions
2008-10
[157]
논문
Frequency and Complexity of De Novo Structural Mutation in Autism
2016-04
[158]
논문
Autism: highly heritable but not inherited
2007-05
[159]
논문
CHD8 suppresses p53-mediated apoptosis through histone H1 recruitment during early embryogenesis
2009-02
[160]
논문
From neural development to cognition: unexpected roles for chromatin
2013-05
[161]
논문
CHD8 is an ATP-dependent chromatin remodeling factor that regulates beta-catenin target genes
2008-06
[162]
논문
CHD8 regulates neurodevelopmental pathways associat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neural progenitors
2014-10
[163]
논문
The autism-associated chromatin modifier CHD8 regulates other autism risk genes during human neurodevelopment
2015-03
[164]
논문
The autism-associated gene chromodomain helicase DNA-binding protein 8 (CHD8) regulates noncoding RNAs and autism-related genes
2015-05
[165]
논문
Chd8 regulates X chromosome inactivation in mouse through fine-tuning control of Xist expression
2021-04
[166]
논문
Autism As a Disorder of High Intelligence
2016-06-30
[167]
서적
The pattern seekers: how autism drives human invention
Basic Books
2020-11-10
[168]
Review
The emerging picture of autism spectrum disorder: genetics and pathology
2015
[169]
논문
An analytical framework for whole-genome sequence association studies and its implication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2018-04
[170]
웹사이트
Thousands of autistic girls and women 'going undiagnosed' due to gender bias
https://www.theguard[...]
2018-09-14
[171]
논문
Psychosis and autism as diametrical disorders of the social brain
http://eprints.lse.a[...]
2008-06
[172]
논문
Evolution in health and medicine Sackler colloquium: Comparative genomics of autism and schizophrenia
2010-01
[173]
논문
Sex differences in the brain: implications for explaining autism
http://irep.ntu.ac.u[...]
2005-11
[174]
논문
Advancing Maternal Age Is Associated With Increasing Risk for Autism: A Review and Meta-Analysis
Elsevier
[175]
논문
Paternal age and psychiatric disorders: A review
Wiley-Blackwell
[176]
논문
Prenatal, perinatal, and postnatal factors associated with autism: A meta-analysi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77]
논문
Perinatal and neonatal risk factors for autism: a comprehensive meta-analysis
2011-08
[178]
논문
Prenatal risk factors for autism: comprehensive meta-analysis
2009-07
[179]
논문
Regression in autistic spectrum disorders
2008-12
[180]
Review
Neurodevelopment: The Impact of Nutrition and Inflammation During Preconception and Pregnancy in Low-Resource Settings
2017-04
[181]
Review
Pathophysiology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revisiting gastrointestinal involvement and immune imbalance
2014-08
[182]
논문
Maternal infection during pregnancy and risk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lsevier
[183]
논문
The Association between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Pre- and Postnatal Antibiotic Exposure in Childhood—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MDPI
[184]
논문
The association between post-term birth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ioMed Central
[185]
논문
Maternal lifestyle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2014-04
[186]
논문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Multiple Airborne Pollutant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187]
논문
The epidemiology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188]
논문
Prenatal stress and risk for autism
2008-10
[189]
논문
The Anti-vaccination Movement: A Regression in Modern Medicine
2018-07
[190]
논문
Vaccine Adverse Events: Separating Myth from Reality
2017-06
[191]
논문
Vaccines for measles, mumps, rubella, and varicella in children
2021-11
[192]
논문
Vaccines and autism: a tale of shifting hypotheses
2009-02
[193]
뉴스
MMR doctor Andrew Wakefield fixed data on autism
https://www.thetimes[...]
2019-01-19
[194]
뉴스
Lancet retracts 'utterly false' MMR paper
https://www.theguard[...]
2019-01-19
[195]
서적
Adverse Effects of Vaccines: Evidence and Causality
https://www.nap.edu/[...]
Institute of Medicine/National Academies Press
2019-01-19
[196]
논문
The vaccine-autism connection: a public health crisis caused by unethical medical practices and fraudulent science
2011-10
[197]
논문
Wakefield's article linking MMR vaccine and autism was fraudulent
2011-01
[198]
논문
Route of decomposition of thiomersal (thimerosal)
2000-11
[199]
웹사이트
Understanding Vaccines, Mercury and Thimerosal
https://www.fda.gov/[...]
2023-07-06
[200]
논문
Immunizations and Autism: A Review of the Literature
https://www.cambridg[...]
2023-07-06
[201]
웹사이트
Thimerosal questions and answers
https://www.fda.gov/[...]
2023-07-06
[202]
논문
Autism overflows: increasing prevalence and proliferating theories
2008-12
[203]
웹사이트
87% of Flu Vaccine Doses have Reduced or "no" (only trace amounts of) Thimerosal
https://www.cdc.gov/[...]
2023-07-06
[204]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Thimerosal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02-21
[205]
논문
Vaccines are not associated with autism: an evidence-based meta-analysis of case-control and cohort studies
2014-06
[206]
논문
Immunizations and autism: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06-11
[206]
논문
Vaccines and autism: a tale of shifting hypotheses
2009-02
[206]
논문
A broken trust: lessons from the vaccine--autism wars
2009-05
[206]
논문
Parents ask: Am I risking autism if I vaccinate my children?
2009-06
[206]
논문
The age-old struggle against the antivaccinationists
2011-01
[207]
논문
Measles outbreak in Dublin, 2000
2003-07
[208]
Review
A Unifying Theory for Autism: The Pathogenetic Triad as a Theoretical Framework
2021-11
[209]
Review
The intense world theory - a unifying theory of the neurobiology of autism
2010-12-21
[210]
웹사이트
How our autistic ancesto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uman evolution
https://theconversat[...]
2022-06-28
[211]
서적
Recent Advance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2013-03-06
[212]
논문
An Examination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Relation to Human Evolution and Life History Theory
https://digitalcommo[...]
2022-06-28
[213]
논문
Conceptualizing the autism spectrum in terms of natural selection and behavioral ecology: the solitary forager hypothesis
2011-05
[214]
뉴스
Autism may have had advantages in humans' hunter-gatherer past, researcher believes
https://www.scienced[...]
2022-06-28
[215]
웹사이트
Lonely hunters
https://www.spectrum[...]
2022-06-28
[216]
논문
Are there alternative adaptive strategies to human pro-sociality? The role of collaborative morality in the emergence of personality variation and autistic traits
2016-10-01
[217]
뉴스
Ongoing human evolution could explain recent rise in certain disorders
https://www.scienced[...]
Harvard University
2020-05-24
[218]
서적
Good Reasons for Bad Feelings: Insights from the Frontier of Evolutionary Psychiatry
Dutton
[219]
서적
The Handbook of Evolutionary Psychology, Volume 2: Integrations
Wiley
[220]
간행물
The Puzzle of the Unbalanced Mind
https://www.psycholo[...]
2024-10-13
[221]
서적
International handbook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Springer
[222]
논문
Mental health of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intellectual disability
2010-09
[223]
논문
Improving the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nd Health Care of Autistic Peopl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22-04-01
[224]
논문
Gender dysphoria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A narrative review
[225]
논문
Gender Dysphoria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https://figshare.com[...]
2023-06-19
[226]
논문
The sexual health, orientation, and activity of autistic adolescents and adults
2021-11
[227]
논문
Mentalizing deficits constrain belief in a personal God
2012
[228]
논문
Epilepsy and epileptiform EEG: association with autism and language disorders
[229]
논문
The role of epilepsy and epileptiform EEG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2009-06
[230]
논문
Autism and tuberous sclerosis
2004-09
[231]
논문
Autism and Intellectual Disability: A Systematic Review of Sexuality and Relationship Education
2019
[232]
논문
Gene discoveries in autism are biased towards comorbidity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2020
[233]
논문
Childhood autism and associated comorbidities
2007-06
[234]
웹사이트
Dietary changes ease traits in rare autism-linked condition
https://www.spectrum[...]
2023-02-23
[235]
논문
BCKDK deficiency: a treatable neurodevelopmental disease amenable to newborn screening
2023-02-02
[236]
논문
Large-Scale Exome Sequencing Study Implicates Both Developmental and Functional Changes in the Neurobiology of Autism
2020-02
[237]
Review
SYNGAP1-Related Intellectual Disability
https://www.ncbi.nlm[...]
2020-07-25
[238]
논문
Autism and learning disability
2004-06
[239]
논문
Prevalence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autism in 12-year-old children: A population-based cohort
2024
[240]
서적
Child Psychopathology
https://archive.org/[...]
The Guilford Press
[241]
논문
Anxie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2009-04
[242]
논문
Psychiatric problems in individuals with autism, their parents and siblings
[243]
논문
The association between autism and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A review of eight alternate models of co-occurrence
http://pure-oai.bham[...]
2019-08-20
[244]
논문
Modifiable risk factors for schizophrenia and autism—shared risk factors impacting on brain development
2013-05
[245]
논문
Comparative immunogenetics of autism and schizophrenia
2011-10
[246]
논문
DNA Damage and Repair in Schizophrenia and Autism: Implications for Cancer Comorbidity and Beyond
2016-06
[247]
논문
Behaviour management problems as predictors of psychotropic medication and use of psychiatric services in adults with autism
http://cogprints.org[...]
2012-03-23
[248]
논문
Shared heritability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2010-03
[249]
논문
Efficacy of sensory and motor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2002-10
[250]
논문
Personality disorder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what are the connections?
2012-05
[251]
논문
Lifelong eccentricity and social isolation. II: Asperger's syndrome or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1988-12
[252]
서적
Integrated Treatment for Co-Occurring Disorders: Personality Disorders and Addiction
Routledge
[253]
논문
Genetics of autism: complex aetiology for a heterogeneous disorder
2001-12
[254]
논문
Autism and metabolic diseases
2008-03
[255]
Review
Serotonin as a link between the gut-brain-microbiome axi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2018-06
[256]
Review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links and risks - a possible new overlap syndrome
[257]
Review
The bowel and beyond: the enteric nervous system in neurological disorders
2016-09
[258]
논문
Sleep problem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prevalence, nature, & possible biopsychosocial aetiologies
2009-12
[259]
논문
Autism medical comorbidities
2021-05
[260]
논문
Dysautonomia: Perioperative Implications
2012-01
[261]
논문
Mast cell activation and autism
2022-01
[262]
웹사이트
Fake and harmful autism 'treatments'
https://www.nhs.uk/c[...]
2022-04-29
[263]
웹사이트
Making information and the words we use accessible
https://www.england.[...]
2022-04-29
[264]
웹사이트
How to talk about autism
https://www.autism.o[...]
2022-04-29
[265]
웹사이트
The psychiatric management of autism in adults (CR228)
https://www.rcpsych.[...]
2022-04-29
[266]
논문
Asperger's syndrome
2006-10
[267]
논문
Asperger syndrome
http://www.ssoar.inf[...]
2018-09-21
[268]
논문
Modeling clinical outcome of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2005-07
[269]
웹사이트
10 Facts about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https://www.acf.hhs.[...]
2019-11-06
[270]
논문
Management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2007-11
[271]
논문
Behavioural and developmental intervention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a clinical systematic review
[272]
논문
Meta-analysis of Early Intensive Behavioral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Taylor & Francis
2009-05
[273]
논문
The effect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on adaptive independent living skills in adul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Elsevier
2009-11
[274]
웹사이트
NIMH »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s://www.nimh.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
2021-04-08
[275]
논문
An update on pharmacotherapy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15-03
[276]
논문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AP)
2021-05
[277]
논문
Management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ttp://pediatrics.aa[...]
2007-11
[278]
서적
Children with Autis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2
[279]
논문
Evidence-based comprehensive treatments for early autism
Taylor & Francis
2008-01
[280]
논문
Evidence Base Update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Taylor & Francis
2015
[281]
논문
How much compliance is too much compliance: Is long-term ABA therapy abuse?
2019-01-01
[282]
논문
Long-term ABA Therapy Is Abusive: A Response to Gorycki, Ruppel, and Zane
2021-06
[283]
논문
Autistic experiences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http://journals.sage[...]
2024-03-06
[284]
논문
Is long-term ABA therapy abusive: A response to Sandoval-Norton and Shkedy
https://www.tandfonl[...]
2024-03-06
[285]
논문
Early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Under 3 Years of Age: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d Research
2015-10
[286]
논문
Early intensive behavioral intervention (EIBI)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2018-05
[287]
웹사이트
Autism spectrum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harmacologic interventions
https://www.uptodate[...]
2020-03
[288]
논문
Practice guideline: Treatment for insomnia and disrupted sleep behavio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Report of the Guideline Development, Dissemination, and Implementation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2020-03
[289]
논문
Evidence-based, parent-mediated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case of restricted and repetitive behaviors
2015-08
[290]
논문
Opening a window to the autistic brain
2004-08
[291]
논문
Applied behavior analytic intervention for autism in early childhood: Meta-analysis, meta-regression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of multiple outcomes
https://www.scienced[...]
2023-06-17
[292]
논문
Communication intervention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in minimally verbal children
2018-11
[293]
논문
Spoken language outcomes in limited language preschoolers with autism and global developmental delay: RCT of early intervention approaches
2023-06
[294]
논문
Diagnostic and assessment findings: a bridge to academic planning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2008-12
[295]
논문
Inclusion of Learn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General Education Settings
http://www.nursingce[...]
[296]
논문
Autism Spectrum Disorder: Primary Care Principles
2016-12
[297]
논문
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irritability, aggression, and self-injury in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2023-10-09
[298]
논문
Pharmacological and dietary-supplement treatment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2022
[299]
논문
Medication use amo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2007-06
[300]
논문
Pharmacologic treatments for the behavioral symptoms associat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cross the lifespan
2012-09
[301]
논문
Pharmacological treatment option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302]
논문
Systematic review and guide to management of core and psychiatric symptoms in youth with autism
2018-11
[303]
논문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adolescents and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304]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MDMA Model to Address Social Impairment in Autism
2021-06-23
[305]
논문
MDMA-assisted therapy: A new treatment model for social anxiety in autistic adults
2016-01-04
[306]
논문
Interventions to address health outcomes among autistic adults: A systematic review
2020-08
[307]
Review
Are therapeutic diets an emerging additional choice in autism spectrum disorder management?
2018-06
[308]
논문
Evidence of the gluten-free and casein-free diet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2014-12
[309]
논문
Gluten- and casein-free diets for autistic spectrum disorder
2008-04
[310]
논문
The Gluten-Free/Casein-Free Diet: A Double-Blind Challenge Trial in Children with Autism
2016-01
[311]
논문
Placebo response in pharmacological and dietary supplement trial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systematic review and meta-regression analysis
2020
[312]
Review
The relationship of autism and gluten
2013-05
[313]
논문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a work-in-progress entity in the spectrum of wheat-related disorders
2015-06
[314]
논문
"[Is gluten the great etiopathogenic agent of disease in the XXI century?]"
2014-12
[315]
Review
Characterizing the Interplay Between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Comorbid Medical Conditions: An Integrative Review
[316]
논문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treatment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2008-10
[317]
논문
Deaths resulting from hypocalcemia after administration of edetate disodium: 2003-2005
http://pediatrics.aa[...]
2006-08
[318]
논문
Chelation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2015-05
[319]
웹사이트
CEASE Therapy for Autism: the Controversy of a "Cure"
https://www.autismpa[...]
2022-09-22
[320]
논문
Interventions to address health outcomes among autistic adults: A systematic review
2020-08
[321]
논문
Music therapy for autistic people
2022-05
[322]
간행물
Therapi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ttps://www.ncbi.nlm[...]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US)
2011-04
[323]
논문
Reflections on Recent Research Into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in the Military and Beyond
2017-11
[324]
논문
Epidemiology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2012-02
[325]
논문
Rubella
2015-06
[326]
논문
Can children with autism recover? If so, how?
2008-12
[327]
논문
Optimal outcome in individuals with a history of autism
2013-02
[328]
논문
Intervention for optimal outcom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 history of autism
2014-05
[329]
논문
Evidence-based comprehensive treatments for early autism
Taylor & Francis
2008-01
[330]
논문
Diagnosis and epidemiology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2003-09
[331]
웹사이트
Temple Grandin to Speak on the Value of Alternative Thinking
https://news.calluth[...]
2024-06-16
[332]
웹사이트
Two presentations by Temple Grandin offered at MJC
https://www.mjc.edu/[...]
Modesto Junior College
[333]
웹사이트
Autism
https://www.who.int/[...]
2022-05-08
[334]
논문
Time trends in autism diagnosis over 20 years: a UK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2021-08
[335]
논문
Prevale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mong Children Aged 8 Years - Autism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Monitoring Network, 11 Sites, United States, 2016
2020-03
[336]
논문
Gender differences in co-morbid psychopathology and clinical management in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337]
서적
Autism spectrum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ublishing
2018-04-30
[338]
논문
Prevale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mong Children Aged 8 Years – Autism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Monitoring Network, 11 Sites, United States, 2014
2018-04
[339]
논문
Temporal Changes in Effect Sizes of Studies Comparing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Autism: A Meta-analysis
2019-08
[340]
웹사이트
CDC estimates 1 in 68 school-aged children have autism; no change from previous estimate
https://www.cdc.gov/[...]
CDC
2019-12-31
[341]
서적
Handbook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Diagnosis, Development, and Brain Mechanisms
Wiley
2014
[342]
웹사이트
Estimating the prevalence of autism spectrum conditions in adults: extending the 2007 Adult Psychiatric Morbidity Survey
http://www.hscic.gov[...]
National Health Service, UK
2014-12-29
[343]
웹사이트
Report: Autism Rate Rises to 1 in 40 Children
https://www.webmd.co[...]
2019-09-26
[344]
웹사이트
Autism
https://www.who.int/[...]
2022-09-15
[345]
논문
Autism: A Global Perspective
2015-03-01
[346]
웹사이트
Data and Statistics on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s://www.cdc.gov/[...]
2021-06-19
[347]
논문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mong children aged 8 years—Autism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Monitoring Network, 11 sites, United States, 2020
2023
[348]
논문
Epidemiology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2009-06
[349]
논문
The epidemiology of autistic spectrum disorders: is the prevalence rising?
[350]
논문
Three Reasons Not to Believe in an Autism Epidemic
2005-04
[351]
논문
Incide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changes over time and their meaning
2005-01
[352]
논문
Tracing the origins of autism: a spectrum of new studies
2006-07
[353]
논문
Autism risk factors: genes, environment, and gene-environment interactions
2012-09
[354]
논문
Etiologies underlying sex difference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2014-08
[355]
논문
New developments in autism
2009-03
[356]
뉴스
"Greta Thunberg: 'I really see the value of friendship. Apart from the climate, almost nothing else matters'"
https://www.theguard[...]
2024-06-16
[357]
웹사이트
Autism Movement Seeks Acceptance, Not Cures
https://www.npr.org/[...]
NPR
2015-11-10
[358]
간행물
Autistic and proud of it
https://www.newscien[...]
Reed Elsevier
2015-11-10
[359]
서적
The Economic World
Chronicle Publishing Company
[360]
논문
Fieldwork on another planet: social science perspectives on the autism spectrum
[361]
웹사이트
Results and Analysis of the Autistic Not Weird 2022 Autism Survey - Autistic Not Weird
https://autisticnotw[...]
2022-04-29
[362]
웹사이트
World Autism Awareness Day, 2 April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15-11-17
[363]
웹사이트
Autistic Pride Day 2015: A Message to the Autistic Community
http://autisticadvoc[...]
2015-11-18
[364]
웹사이트
Autism Sunday – Home
http://www.autismsun[...]
2015-11-17
[365]
웹사이트
About Autreat
http://www.autreat.c[...]
Autreat.com
2015-11-17
[366]
논문
Fieldwork on Another Planet: Social Science Perspectives on the Autism Spectrum
[367]
논문
Mapping the Autistic Advantage from the Accounts of Adults Diagnosed with Autism: A Qualitative Study
2019-04-13
[368]
웹사이트
Greta Thunberg became a climate activist not in spite of her autism, but because of it
https://www.vox.com/[...]
2024-06-16
[369]
웹사이트
These 12 Celebrities With Autism Are Opening Up About Life on the Spectrum
https://www.sheknows[...]
2024-06-16
[370]
논문
Annual Research Review: Shifting from 'normal science' to neurodiversity in autism science
2022-04
[371]
논문
'Surplus suffering': differences between organizational understandings of Asperger's syndrome and those people who claim the 'disorder'
[372]
논문
Is Asperger syndrome necessarily viewed as a disability?
[373]
웹사이트
The Autism Rights Movement
https://nymag.com/ne[...]
2021-10-26
[374]
논문
Autism spectrum disorder: difference or disability?
https://www.thelance[...]
2016-10-01
[375]
논문
Fieldwork on Another Planet: Social Science Perspectives on the Autism Spectrum
2008-09-01
[376]
뉴스
A medical condition or just a difference? The question roils autism community.
https://www.washingt[...]
2021-10-15
[377]
뉴스
The autism rights movement
https://nymag.com/ne[...]
2008-05-27
[378]
뉴스
Autism could be seen as part of personality for some diagnosed, experts say
https://www.theguard[...]
2023-08-01
[379]
웹사이트
Should Autism Be Cured or Is "Curing" Offensive?
https://bigthink.com[...]
2019-06-16
[380]
논문
Autism as a natural human variation: reflections on the claims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http://urn.kb.se/res[...]
2012-03
[381]
논문
Neurodiversity
2012-08
[382]
웹사이트
Biocertification and Neurodiversity the Role and Implications of Self-Diagnosis in Autistic Communities
https://www.research[...]
2022-03-06
[383]
논문
Neurodiversity: An insider's perspective.
2019
[384]
서적
Loud Hands: Autistic People, Speaking
The Autistic Press
2012-12-07
[385]
논문
Autism as a Natural Human Variation: Reflections on the Claims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http://urn.kb.se/res[...]
2012-03-01
[386]
논문
Autism spectrum disorder: difference or disability?
https://www.thelance[...]
2016-10-01
[387]
논문
Fieldwork on Another Planet: Social Science Perspectives on the Autism Spectrum
2008-09-01
[388]
웹사이트
The Autism Puzzle Piece: A symbol that's going to stay or go?
https://the-art-of-a[...]
2019-04-20
[38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Autism Puzzle Piece Ribbon {{!}} Autism Career Coach Queens
https://spectrumroad[...]
2018-05-02
[390]
웹사이트
Why The Puzzle Piece Isn't Used in Autism Acceptance
https://www.123shoot[...]
2022-03-28
[391]
웹사이트
We've called autism a disease for decades. We were wrong.
https://www.vox.com/[...]
2015-08-31
[392]
뉴스
They Don't Want an Autism Cure
http://www.thedailyb[...]
2015-02-25
[393]
뉴스
A Reporter's Guide to the Autism Speaks Debacle
https://www.psycholo[...]
2013-11-14
[394]
웹사이트
The Autism Puzzle Piece: A symbol that's going to stay or go?
https://the-art-of-a[...]
2019-04-20
[395]
웹사이트
Going Gold For Autism Acceptance
https://www.autistic[...]
2018-03-11
[396]
간행물
No Foolin': Forget About Autism Awareness And Lighting Up Blue
https://www.forbes.c[...]
[397]
웹사이트
Puzzle Piece Project and Autism Awareness Month
https://campussuite-[...]
Autism Speaks
2014
[398]
웹사이트
News release: Neurodiversity flag raising for World Autism Acceptance Day
https://nsadvocate.o[...]
2019-03-16
[399]
뉴스
Autistic Pride Flag: Is it time to choose an official symbol?
https://au-ti.com/20[...]
2023-06-30
[400]
웹사이트
Nothing About Us Without Us
https://phm.org.uk/w[...]
2023-10-16
[401]
서적
Handbook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Volume Two: Assessment, Interventions, and Policy
"{{Google books|4yzq[...]
John Wiley & Sons
2019-03-01
[402]
논문
Parenting a child with autism
2019-03
[403]
뉴스
An Alternative-Medicine Believer's Journey Back to Science
https://www.wired.co[...]
2015-04-29
[404]
논문
Parent and family impact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 review and proposed model for intervention evaluation
2012-09
[405]
논문
Association of childhood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loss of family income
http://pediatrics.aa[...]
2008-04
[406]
논문
Child care problems and employment among families with preschool-aged children with autism in the United States
http://pediatrics.aa[...]
2008-07
[407]
논문
Siblings of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cross the life course
http://www.waisman.w[...]
[408]
문서
小学館編『世界原色百科事典 4 さう-しんし』小学館、昭和41年、p.284「自閉症」
[409]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01 acute and chronic diseases and injuries in 188 countries,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410]
서적
カプラン臨床精神医学テキスト DSM-5診断基準の臨床への展開
メディカルサイエン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
2016-05-31
[411]
문서
何かして欲しいことがあった場合に、そのことを直接言葉では伝えず(伝えられず)、近くの人の手を引っ張って対象物の所まで連れていく行動。
[412]
문서
「規則」といってもあくまで本人の基準による「規則」の場合があり、健常者から見た場合、乱雑であったり、規則性がないように見えることもある。
[413]
논문
The Repetitive Behavior Scale-Revised: independent validation in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414]
논문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ttp://pediatrics.aa[...]
[415]
문서
門 眞一郎{{PDFlink|「[http://www.interq.or.jp/japan/aschiba/autism_is_autism.pdf 自閉症の人の理解(認知)の特徴(視覚的構造化の理論的根拠)]」}}『自閉症は自閉症』2002年、4-5ページ
[416]
논문
Advances in autism
[417]
논문
Advancing paternal age and autism.
[418]
논문
Prenatal valproate exposure and risk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childhood autism.
https://jama.jamanet[...]
2013-04-24
[419]
논문
Risks of in utero exposure to valproate.
https://jama.jamanet[...]
2013-04-24
[420]
논문
Prenatal valproate exposure is associat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childhood autism.
https://linkinghub.e[...]
2013-09
[421]
논문
Prenatal exposure to sodium valproate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childhood autism and autistic spectrum disorder.
http://ebn.bmj.com/c[...]
2014-07-01
[422]
논문
Valproate use during pregnancy was linked to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childhood autism in offspring.
https://annals.org/a[...]
2013-08-20
[423]
논문
Prenatal valproate exposure and risk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childhood autism.
http://ep.bmj.com/co[...]
2014-10-01
[424]
논문
Antidepressant Use During Pregnancy and the Risk of Autism Spectrum Disorder in Children.
http://archpedi.jama[...]
2016-02-01
[425]
간행물
特集 腸内細菌 up to gate 2016 p12-23 ASAHI Medical 3 2016
[426]
논문
The transgenerational inheritance of autism-like phenotypes in mice exposed to valproic acid during pregnancy.
http://www.nature.co[...]
2016-11-07
[427]
웹사이트
自閉症の病態解明につながる成果 -世界初 自閉症に特徴的な脳体積変化と同時期に起こる化学的変化を同定-
http://www.sss.jst.g[...]
科学技術振興機構. (JST).
2016-08-03
[428]
논문
Targeting anandamide metabolism rescues core and associated autistic-like symptoms in rats prenatally exposed to valproic acid.
http://www.nature.co[...]
2016-09-27
[429]
논문
Alterations in the endocannabinoid system in the rat valproic acid model of autism.
http://www.sciencedi[...]
2013-07-05
[430]
서적
あなたの体は9割が細菌
河出書房新社
2016-08-30
[431]
논문
Increased urinary excretion of a 3-(3-hydroxyphenyl)-3-hydroxypropionic acid (HPHPA), an abnormal phenylalanine metabolite of Clostridia spp.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urine samples from patients with autism and schizophrenia
Maney Publishing
2010-06-01
[432]
웹사이트
プロバイオティクスが子どものADHDを予防するかもしれない、13年間の追跡調査
https://www.mededge.[...]
[433]
논문
A possible link between early probiotic intervention and the risk of neuropsychiatric disorders later in childhood: a randomized trial
[434]
논문
"*"
http://www.sciencema[...]
2012-05-10
[435]
웹사이트
自閉症に関連する遺伝子異常を発見 -自閉症の病因解明や早期診断に向けた新知見-
http://www.riken.jp/[...]
理化学研究所
2007-03-23
[436]
서적
ミラーニューロンの発見
早川書房
[437]
서적
危険!テレビが幼児をダメにする!!―現場カウンセラーが明かす驚くべき事実 言葉の遅れ、思考力の低下、自閉症児の原因が判明
コスモトゥーワン
1998-03-01
[438]
문서
「未熟な状態である赤ちゃんの頃から朝から晩までテレビを垂れ流して育てると、正常に育たず自閉症的な子供として育つ」
「最近自閉症の人数が増えているが、先天的なものは非常に少ない。テレビやビデオを見ている子供は自閉症の状態になることがある」
[439]
문서
Michael Lesserなど
[440]
웹사이트
自閉症における水銀・チメロサールの関与に関する声明
http://child-neuro-j[...]
日本小児神経学会
2004-06-01
[441]
서적
発達障害を治す
[442]
논문
RETRACTED: Ileal-lymphoid-nodular hyperplasia, non-specific colitis,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in children
[443]
뉴스
“TIMESONLINE MMR doctor Andrew Wakefield fixed data on autism”
http://www.timesonli[...]
[444]
웹사이트
Lancet Retracts Wakefield Paper
http://www.autism-wa[...]
[445]
웹사이트
チメロサールとワクチンについて
http://www.city.yoko[...]
横浜市衛生研究所
[446]
뉴스
イタリア、予防接種を就学の条件に
https://www.afpbb.co[...]
AFP
2017-05-20
[447]
문서
「自閉症児309例の臨床特徴の分析:高機能自閉症とアスペルガー症候群の臨床特徴に関する調査研究」
http://www13.ocn.ne.[...]
[448]
서적
DSM-IV 精神疾患の診断・統計のマニュアル
[449]
서적
女性のアスペルガー症候群 : イラスト版
講談社
2015-03-01
[450]
뉴스
DSMの功罪 小児の障害が20倍!
https://web.archive.[...]
2012-10-24
[451]
간행물
DSM-5をめぐって─Dr. Allen Francesに聞く
http://ej.islib.jp/e[...]
医学書院
2012-08-01
[452]
뉴스
Psychiatry's New Diagnostic Manual: "Don't Buy It. Don't Use It. Don't Teach It."
http://www.motherjon[...]
2013-05-14
[453]
웹사이트
F84.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http://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10-10
[454]
문서
ボーダーとされるIQ70 - 85を除いた、IQ85以上とする場合もある。
[455]
논문
Qualitative or Quantitative Differences Between Asperger’s Disorder and Autism? Historical Considerations
[456]
논문
Asperger's Syndrome and High-Functioning Autism
[457]
웹사이트
第2回掲載分 自閉症ってどんな子なの?
http://www.aoitori-c[...]
[458]
문서
Baron-Cohen他、Autism-Spectrum Quotient、2001
[459]
웹사이트
自閉症スペクトラム指数
http://www.wired.com[...]
[460]
PDF
自閉症スペクトラム指数(日本語版)
http://www.nise.go.j[...]
[461]
논문
The Autism-Spectrum Quotient (AQ): evidence from Asperger syndrome/high functioning autism, males and females, scientists and mathematicians
http://autismresearc[...]
[462]
웹사이트
"「自閉症スペクトラム指数AQ 日本語版について」"
https://web.archive.[...]
国立特殊教育総合研究所科学研究費報告書
2020-09-13
[463]
논문
Screening adults for Asperger Syndrome using the AQ: a preliminary study of its diagnostic validity in clinical practice
http://autismresearc[...]
2009-01-02
[464]
문서
The extreme male brain theory of autism
http://www.synapse.n[...]
[465]
뉴스
解説新聞記事
http://www.boston.co[...]
同上
[466]
논문
Management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467]
논문
Can children with autism recover? if so, how?
[468]
논문
Adult outcome for children with autism
[469]
논문
Fieldwork on another planet: social science perspectives on the autism spectrum
[470]
논문
Next-Generation Treatments for Mental Disorders
[471]
서적
みんなで学ぶアスペルガー症候群と高機能自閉症
星和書店
[472]
서적
ミラーニューロンの発見
早川書房
[473]
논문
不安症状を中心とした二次障害を抱える自閉症スペクトラム障害の子どもに対する認知行動療法の課題と展望
https://doi.org/10.1[...]
[474]
논문
学齢期の高機能自閉症スペクトラム障害児に対する社会性の支援に関する研究動向
https://doi.org/10.6[...]
[475]
뉴스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14-10-10
[476]
논문
MDMA-assisted therapy: A new treatment model for social anxiety in autistic adults
http://www.sciencedi[...]
[477]
논문
Minocycline as Adjunctive Treatment to Risperidone in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https://online.liebe[...]
2016-04-29
[478]
간행물
抗微生物薬適正使用の手引き 第一版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7-12-10
[479]
논문
Minocycline ameliorates prenatal valproic acid induced autistic behaviour, biochemistry and blood brain barrier impairments in rats
http://linkinghub.el[...]
2016-01-01
[480]
뉴스
Single dose of century-old drug approved for sleeping sickness reverses autism-like symptoms in mice
http://www.scienceda[...]
[481]
서적
自閉症は漢方でよくなる!(健康ライブラリ)
[482]
문서
中医对自闭症的认识及治疗现状
http://wenku.baidu.c[...]
[483]
문서
「米国における自閉症、注意欠陥・多動症等の発達障害児のはり治療」 日本小児はり学会 特別講習会2015
[484]
문서
Scalp acupuncture effect on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autism: a pilot study. Clinical Trial Allam H, et al. J Altern Complement Med. 2008.
[485]
문서
"[Treatment of autism with scalp acupunctur]."
[486]
웹사이트
子どもの鍼治療「おねしょ」に効果、チック障害を含めた5つの問題に有望 Medエッジ
https://www.mededge.[...]
[487]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acupuncture in children: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488]
서적
Personal psychopathology ; early formulations.
https://www.worldcat[...]
Norton
'1984, ©1972'
[489]
논문
Autistic disturbances of affective contact
[490]
문서
Die“Autistischen Psychopathen”im Kindesalter
[491]
웹사이트
Autism Movement Seeks Acceptance, Not Cures
https://www.npr.org/[...]
NPR
2006-06-26
[492]
웹사이트
Autistic and proud of it
https://www.newscien[...]
2015-11-10
[493]
뉴스
The autism rights movement
http://nymag.com/new[...]
2008-05-25
[494]
웹사이트
World Autism Awareness Day, 2 April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15-11-17
[495]
웹사이트
Autistic Pride Day 2015: A Message to the Autistic Community
http://autisticadvoc[...]
2015-06-18
[496]
웹사이트
Autism Sunday - Home
http://www.autismsun[...]
2010
[497]
웹사이트
About Autreat
http://www.autreat.c[...]
Autreat.com
2013
[498]
뉴스
「ひとりじゃないよ」 世界自閉症啓発デー関連イベントが中国各地で
https://www.afpbb.co[...]
2019-01-25
[499]
웹사이트
Other Autism Organizations
https://www.autismsp[...]
2012-07-25
[500]
논문
Fieldwork on Another Planet: Social Science Perspectives on the Autism Spectrum
[501]
웹사이트
American RadioWorks: Fast Food and Animal Rights - Kill Them With Kindness
http://americanradio[...]
2015-11-17
[502]
웹사이트
Parallel Play
http://www.newyorker[...]
2007-08-20
[503]
웹사이트
Famous Peopl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utistic Celebrities (List)
http://mentalhealthd[...]
2015-09-19
[504]
웹사이트
Should Autism Be Cured or Is "Curing" Offensive?
https://bigthink.com[...]
2016-07-10
[505]
논문
Autism as a natural human variation: reflections on the claims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http://urn.kb.se/res[...]
2012-03
[506]
웹사이트
自閉症スペクトラムの子どもの聴覚過敏性がウエアラブル身体加速度計により日常生活の身体活動動態と関連することが明らかに | 国立研究開発法人 国立精神・神経医療研究センター National Center of Neurology and Psychiatry
https://www.ncnp.go.[...]
[507]
웹사이트
自閉症スペクトラムなどにおける聴覚過敏について 国立研究開発法人 科学技術振興機構
https://www.jstage.j[...]
[508]
웹사이트
聴覚が過敏「音」で極端に疲れる:困りごとのトリセツ(取扱説明書)|発達障害プロジェクト
https://www1.nhk.or.[...]
[509]
웹사이트
Store drops anti-yob device in autism row | Supermarkets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
[510]
논문
Predictors of employment status among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2017
[511]
뉴스
Disabled people are allowed to work for pennies per hour - but maybe not for much longer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16-02-12
[512]
논문
The lifetime distribution of the incremental societal costs of autism
[513]
논문
Association of childhood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loss of family income
http://pediatrics.aa[...]
[514]
논문
Child care problems and employment among families with preschool-aged children with autism in the United States
http://pediatrics.aa[...]
[515]
간행물
自閉性スペクトル指数 (AQ) を用いた高機能広汎性発達障害と非行との関連の検討 少年間題研究会 (編) 日立みらい財団研究報告書 発達障害と非行に関する実証的研究
2005
[516]
논문
High functioning autistic spectrum disorders, offending and other law-breaking: findings from a community sample
https://doi.org/10.1[...]
2006-03-01
[517]
논문
Maltreatment and Depression in Adolescent Sexual Offenders with an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www.tandfonli[...]
2013-1
[518]
웹사이트
山脇望美 2016「自閉症スペクトラム傾向における粗暴行為の発生機序:失感情症と攻撃性に着目して」 日工組社会安全財団: 日工組社会安全財団若手研究助成
https://web.archive.[...]
2019-11-18
[519]
서적
上野千鶴子著「マザコン少年の末路」の記述をめぐって : 河合おんぱろす増刊号
河合文化教育研究所
1994
[520]
간행물
「『マザコン少年の末路』増補版をめぐって:『月刊社会教育』」
谷口郁子
1994-12
[521]
서적
ニュー・フェミニズム・レビュー
학양서방
1990-1995
[522]
문서
이 곡이 수록되어 있던 『LIVE OR DIE-Corkscrew A Go Go』(VHS:1999、DVD:2000) 와 『pictures vol.1』(DVD:2000) 은 폐반, 회수되었다.
[523]
웹사이트
https://x.com/t_ishi[...]
[524]
뉴스
毎日新聞
2012-05-07
[525]
뉴스
テレ朝「Qさま!!」がおわび 自閉症を「病気」と放送
https://www.sponichi[...]
스포니치
2012-05-16
[526]
저널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the first 3 years of life
[527]
웹인용
Autism spectrum disorder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2019-07-13
[528]
웹인용
NIMH "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s://www.nimh.nih[...]
2017-04-20
[529]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530]
저널
Autism risk factors: genes, environment, and gene-environment interactions
[531]
서적
Clinical Assessment and Diagnosis in Social Work Practi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06-02-09
[532]
저널
Management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ttps://pediatrics.a[...]
2007-11
[533]
저널
Autism Spectrum Disorder: Primary Care Principles
2016-12
[534]
저널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anxiety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 meta-analysis
2013-11
[535]
저널
An update on pharmacotherapy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15-03
[536]
저널
Medication use amo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2007-06
[537]
저널
Pharmacologic treatments for the behavioral symptoms associat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cross the lifespan
2012-09
[538]
저널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8
[539]
웹인용
ASD data and statistics
https://www.cdc.gov/[...]
CDC.gov
2016-07-11
[540]
저널
Autism risk factors: genes, environment, and gene-environment interactions
[541]
저널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Implications for Psychopathology and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https://www.kci.go.k[...]
[542]
서적
대상관계 이론과 실제 자기와 타자
[543]
저널
The Repetitive Behavior Scale-Revised: independent validation in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ttps://www.academia[...]
[544]
저널
Autism risk factors: genes, environment, and gene-environment interactions
2012-09
[545]
저널
Prenatal risk factors for autism: comprehensive meta-analysis
[546]
저널
The epidemiology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http://idea.library.[...]
[547]
저널
The 'fractionable autism triad': a review of evidence from behavioural, genetic, cognitive and neural research
2008-12
[548]
저널
Time to give up on a single explanation for autism
2006-10
[549]
저널
Autism: highly heritable but not inherited
2007-05
[550]
저널
Advances in autism genetics: on the threshold of a new neurobiology
2008-05
[551]
저널
Multiple rare variants in the etiology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552]
저널
Autism: definition, neurobiology, screening, diagnosis
2008-10
[553]
저널
Insights into Autism Spectrum Disorder Genomic Architecture and Biology from 71 Risk Loci
2015-09
[554]
저널
Advances in autis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