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오저우 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오저우 요리는 중국 광둥성의 차오저우 지역에서 유래한 요리로, 푸젠성 남부와 문화적, 음식적으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송나라 시대에 중원 지역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의 영향으로 요리 체계가 형성되었으며,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를 거치며 상업 발달과 함께 고급 요리도 등장했다. 1980년대 중화인민공화국의 개혁개방 이후에는 해산물 요리를 중심으로 다른 지역에도 차오저우 요리가 알려지면서 국외로도 그 맛과 특징이 전파되었다. 차오저우 요리는 건어물, 생선 소스, 염분을 활용한 독특한 맛과 조리법, 해산물과 채소를 활용한 다양한 요리로 유명하며, 딤섬과 쌀을 이용한 면 요리도 발달했다. 홍콩, 싱가포르, 태국 등 해외에서도 차오저우 요리를 쉽게 접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차오저우 요리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차오산 요리 띠에수안차이 |
종류 | 중국 요리 |
지역 | 광둥성 차오산 지역 |
주요 특징 | 해산물, 담백함, 신선함 강조 |
역사 및 문화 | |
기원 | 광둥성 차오산 지역 |
영향 | 광둥 요리의 일부로 발전, 독자적인 특징 형성 |
특징 | 섬세한 칼질, 재료 본연의 맛 살리기, 다양한 소스 활용 |
주요 재료 | |
해산물 | 생선 새우 게 조개 |
육류 | 닭고기 오리고기 돼지고기 |
채소 | 채심 청경채 갓 |
기타 | 쌀 두부 버섯 |
조리법 | |
찜 | 재료의 신선함을 살리는 조리법 |
끓이기 | 육수 맛을 내는 데 중요 |
튀기기 | 바삭한 식감 강조 |
볶기 | 다양한 재료를 함께 볶아 맛을 냄 |
브레이징 | 소스를 사용하여 깊은 맛을 냄 |
대표 요리 | |
해산물 요리 | 찜 생선 게살 스프 굴전 |
육류 요리 | 차오저우식 돼지 족발 젤리 거위 브레이징 |
채소 요리 | 채심 볶음 |
쌀 요리 | 차오저우 죽 |
디저트 | 마제수 |
특징적인 소스 | |
소스 종류 | 피시 소스 두반장 굴 소스 참기름 식초 |
문화적 중요성 | |
연회 | 차오저우 요리는 연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 |
지역 경제 | 차오저우 요리 산업은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침 |
해외 영향 | 화교를 통해 전 세계에 알려짐 |
기타 정보 | |
차 문화 | 차오저우 사람들은 공푸차를 즐겨 마시며, 차 문화가 발달함 |
2. 역사
당나라 시대까지의 조주 주변은 사람도 드문 시골 어촌에 불과했지만, 현재의 조주 요리의 기초가 된 특징적인 요리 체계가 형성된 것은 조주 지역에 중원 지방에서 많은 이민이 와서 발전을 시작한 송나라 시대라고 여겨진다[7]。당시에는 농업 생산도 증가하고 제염업도 흥성하는 등 경제 기반이 마련되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 전체에서도 식품 가공 및 조리 기술이 발전한 시기였다. 또한 식후에 차를 마시는 습관도 생겼다고 한다.
명나라 시대에는 뚜렷한 경제 발전은 없었지만, 일상의 요리를 중심으로 손이 많이 가는 요리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청나라 시대의 아편 전쟁 이후, 무역을 통해 조주가 발전하면서, 고가의 식재료를 사용한 요리를 먹는 수요가 생겨 고급 요리도 만들어지게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탄생 후, 개혁 개방이 시작된 1980년대부터는 해산물 요리, 샥스핀, 전복 등 고급 요리를 중심으로 다른 지역에서도 조주 요리를 내는 가게가 많이 생겨, 조주 요리의 맛과 특징이 국외에까지 알려지게 되었다.
2. 1. 초기 역사 (진나라 ~ 당나라)
당나라 시대까지의 차오저우 주변은 사람도 드문 시골 어촌에 불과했지만, 현재의 차오저우 요리의 기초가 된 특징적인 요리 체계가 형성된 것은 중원 지방에서 많은 이민이 와서 발전을 시작한 송나라 시대라고 여겨진다[7]. 당시에는 농업 생산도 증가하고 제염업도 흥성하는 등 경제 기반이 마련되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 전체에서도 식품 가공 및 조리 기술이 발전한 시기였다. 또한 식후에 차를 마시는 습관도 생겼다고 한다.2. 2. 발전기 (송나라 ~ 명나라)
당나라 시대까지의 조주 주변은 사람도 드문 시골 어촌에 불과했지만, 현재의 조주 요리의 기초가 된 특징적인 요리 체계가 형성된 것은 조주 지역에 중원 지방에서 많은 이민이 와서 발전을 시작한 송나라 시대라고 여겨진다[7]。당시에는 농업 생산도 증가하고 제염업도 흥성하는 등 경제 기반이 마련되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 전체에서도 식품 가공 및 조리 기술이 발전한 시기였다. 또한 식후에 차를 마시는 습관도 생겼다고 한다.명나라 시대에는 뚜렷한 경제 발전은 없었지만, 일상의 요리를 중심으로 손이 많이 가는 요리가 만들어지게 되었다.[7]
2. 3. 전성기 (청나라 이후)
송나라 시대에는 중원 지방에서 많은 이민이 차오저우 지역으로 유입되면서 현재 차오저우 요리의 기초가 되는 특징적인 요리 체계가 형성되기 시작했다.[7] 농업 생산 증대와 제염업 흥성 등 경제 기반이 마련되었고, 중국 전체적으로 식품 가공 및 조리 기술이 발전했으며, 식후 차를 마시는 습관도 생겨났다.[7]명나라 시대에는 일상 요리를 중심으로 손이 많이 가는 요리가 만들어졌다. 청나라 시대 아편 전쟁 이후에는 무역을 통해 차오저우가 발전하면서 고가 식재료를 사용한 요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고급 요리도 발달하게 되었다. 1980년대 중화인민공화국의 개혁 개방 이후에는 해산물 요리, 샥스핀, 전복 등 고급 요리를 중심으로 다른 지역에서도 차오저우 요리를 취급하는 식당이 많이 생겨나면서 차오저우 요리의 맛과 특징이 국외까지 알려지게 되었다.
3. 특징
차오저우는 진나라 때부터 계속 광동성에 속해 있지만, 언어는 동쪽 옆의 푸젠성 남부에서 말하는 민남어의 일종인 조주어라는 방언이 쓰이고 있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 민족 문화는 푸젠성 남부와 일체가 되어 있는 지역이고, 음식 문화도 예외는 아니다. 차오저우 요리의 특징으로는 건어물, 생선 소스, 염분 등을 이용한 맛과 소금에 절여 익혀 만드는 요리가 많다는 것을 들 수 있다.[2] 원래 문화, 무역의 중심지인 차오저우는 한강에서 바다로 이어지지만, 해안선으로부터 20km 떨어진 내륙에 위치해 있고, 오징어, 마른 굴, 생선 건어물, 포, 상어 지느러미 등 해산물 계통의 건어물을 잘 이용하여 왔다. 이 식재료는 익혀 주면 맛을 끌어낼 수 있으므로, 수프를 비롯해 비교적 담백한 맛을 내는 등 식재의 맛을 살린 요리가 특색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경제 중심지인 산터우와 바다에 접해 있으며, 신선한 해산물을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쪄서 만드는 생선이나 게 등의 해산물 요리도 주된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이 밖에도, 이 지역에서는 생선, 오징어, 새우의 젓갈류도 잘 먹는 편이다. 한편, 볶음 등, 마늘을 사용하여 볶는 요리가 많고, 푸젠성 뿐만 아니라 중화민국과도 가깝다는 특징이 있다. 쌀농사 지역에 속해 있기 때문에 쌀을 소재로 한 요리가 발달하였고, 딤섬도 쌀가루로 만드는 경우가 많으며, 국수도 쌀 국수가 기본이다.
차오저우 요리는 해산물과 채식 요리로 잘 알려져 있다. 다른 대부분의 중국 요리보다 맛을 내는 데 조미료를 덜 사용하며, 맛과 풍미는 재료의 신선함과 품질에 크게 의존한다. 섬세한 요리인 만큼, 기름은 대량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조림과 볶음과 같은 중국 요리법뿐만 아니라 데치기, 찜 요리에도 중점을 둔다. 차오저우 요리는 또한 식사 시 죽(''mue'')과 함께 제공되는 것으로 유명하다.[2]
간장 외에도 차오저우 사람들은 요리에 어장도 사용한다. 푸젠과 대만 요리에서 인기가 있고 특정 차오저우 그룹의 요리와 일반적으로 관련된 조미료는 사차장이다. 콩기름, 마늘, 파, 고추, 멸치, 말린 새우로 만듭니다. 이 페이스트는 풍미가 있고 약간 매운 맛이 난다.[2]
진정한 차오저우 레스토랑에서는 식사 전후에 매우 작은 잔에 철관음이라고 하는 매우 강한 우롱차를 제공합니다. 공부차로 제공되는 이 차는 두껍고 달콤 쌉쌀한 맛이 나며, 구어체로 ''감감''(gān gān/甘甘중국어)이라고 알려져 있다.
차오저우 요리사들은 종종 상탕 ()이라고 하는 특별한 육수를 사용한다. 이 육수는 스토브에 보관되며 지속적으로 보충된다. 대중 매체에 묘사된 바와 같이, 일부 홍콩 요리사들은 수십 년 동안 보존된 동일한 상탕을 사용한다고 한다.
차오저우 요리에는 '''' ()이라는 주목할 만한 잔치가 있다. 상어 지느러미 수프, 제비집 수프, 랍스터, 찐 생선, 구운 새끼 돼지, 조림 거위 등 다양한 요리가 제공된다.
차오저우 요리사들은 야채 조각 기술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며, 조각된 야채는 찬 요리와 연회 테이블의 장식으로 사용된다.
차오저우 요리는 또한 광둥인 사이에서 ''meh siao'' () 또는 ''daa laang'' ()으로 알려진 늦은 밤 식사로도 유명하다. 차오저우 사람들은 자정 가까이에 레스토랑이나 길가의 음식 노점에서 외식을 즐긴다. 일부 다이 파이 동과 같은 식당은 새벽까지 영업한다.
다른 많은 중국 요리의 전형적인 메뉴 선택과 달리 차오저우 레스토랑 메뉴에는 종종 디저트 섹션이 있다.
3. 1. 재료
차오저우는 진나라 때부터 계속 광동성에 속해 있지만, 언어는 동쪽 옆의 푸젠성 남부에서 말하는 민남어의 일종인 조주어라는 방언이 쓰이고 있다. 원래 민족 문화는 푸젠성 남부와 일체가 되어 있는 지역이고, 음식 문화도 예외는 아니다. 차오저우 요리의 특징으로는 건어물, 생선 소스, 염분 등을 이용한 맛과 소금에 절여 익혀 만드는 요리가 많다는 것을 들 수 있다.[2] 원래 문화, 무역의 중심지인 차오저우는 한강에서 바다로 이어지지만, 해안선으로부터 20km 떨어진 내륙에 위치해 있고, 오징어, 마른 굴, 생선 건어물, 포, 상어 지느러미 등 해산물 계통의 건어물을 잘 이용하여 왔다. 이 식재료는 익혀 주면 맛을 끌어낼 수 있으므로, 수프를 비롯해 비교적 담백한 맛을 내는 등 식재의 맛을 살린 요리가 특색이라 할 수 있다.또한 현재의 경제 중심지인 산터우와 바다에 접해 있으며, 신선한 해산물을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쪄서 만드는 생선이나 게 등의 해산물 요리도 주된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이 밖에도, 이 지역에서는 생선, 오징어, 새우의 젓갈류도 잘 먹는 편이다. 한편, 볶음 등, 마늘을 사용하여 볶는 요리가 많고, 푸젠성 뿐만 아니라 중화민국과도 가깝다는 특징이 있다. 쌀농사 지역에 속해 있기 때문에 쌀을 소재로 한 요리가 발달하였고, 딤섬도 쌀가루로 만드는 경우가 많으며, 국수도 쌀 국수가 기본이다.
차오저우 요리는 해산물과 채식 요리로 잘 알려져 있다. 다른 대부분의 중국 요리보다 맛을 내는 데 조미료를 덜 사용하며, 맛과 풍미는 재료의 신선함과 품질에 크게 의존한다. 섬세한 요리인 만큼, 기름은 대량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조림과 볶음과 같은 중국 요리법뿐만 아니라 데치기, 찜 요리에도 중점을 둔다. 차오저우 요리는 또한 식사 시 죽(''mue'')과 함께 제공되는 것으로 유명하다.[2]
간장 외에도 차오저우 사람들은 요리에 어장도 사용한다. 푸젠과 대만 요리에서 인기가 있고 특정 차오저우 그룹의 요리와 일반적으로 관련된 조미료는 사차장이다. 콩기름, 마늘, 파, 고추, 멸치, 말린 새우로 만듭니다. 이 페이스트는 풍미가 있고 약간 매운 맛이 난다.[2]
3. 2. 조리법
차오저우 요리는 진나라 때부터 광동성에 속해 있었지만, 언어는 푸젠성 남부에서 사용하는 민남어의 일종인 조주어를 사용한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음식 문화도 푸젠성 남부와 유사하며, 건어물, 생선 소스, 염분 등을 활용한 요리가 많다. 원래 문화, 무역 중심지였던 차오저우는 한강을 통해 바다로 이어지지만, 해안에서 20km 떨어진 내륙에 위치하여 오징어, 마른 굴, 생선 건어물, 상어 지느러미 등 해산물 계통의 건어물을 활용해 왔다. 이러한 식재료는 익혀서 맛을 끌어낼 수 있어, 수프를 비롯해 담백한 맛을 내는 요리가 특징이다.현재 경제 중심지인 산터우는 바다와 접해 있어 신선한 해산물을 구할 수 있으며, 쪄서 만드는 생선이나 게 요리도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 또한, 생선, 오징어, 새우 젓갈류도 즐겨 먹는다. 볶음 요리에는 마늘을 많이 사용하며, 푸젠성 및 중화민국과도 가깝다. 쌀농사 지역이기에 쌀을 재료로 한 요리가 발달했고, 딤섬도 쌀가루로 만드는 경우가 많으며, 국수도 쌀 국수가 기본이다.
차오저우 요리는 해산물과 채식 요리로 잘 알려져 있으며, 조미료를 적게 사용하고 재료의 신선함과 품질에 의존한다.[2] 섬세한 요리인 만큼 기름을 많이 사용하지 않고, 조림, 볶음, 데치기, 찜 요리에 중점을 둔다.[2] 차오저우 요리는 죽과 함께 제공되는 것으로도 유명하며, 광둥식 죽보다 더 묽은 형태이다.[2]
식사 전후에는 철관음이라는 우롱차를 작은 잔에 제공하는데, ''감감''(gān gān/甘甘중국어)이라 불리는 달콤 쌉쌀한 맛이 특징이다.[2] 사차장은 콩기름, 마늘, 파, 고추, 멸치, 말린 새우로 만든 조미료로, 수프, 구운 고기, 볶음 요리 등에 다양하게 사용된다.[2] 간장 외에 어장도 사용하며, 차오저우 요리사들은 상탕이라는 특별한 육수를 사용한다.[2]
차오저우 요리에는 ''jiat dotzh-Latn'' ()이라는 잔치가 있는데, 상어 지느러미 수프, 제비집 수프, 랍스터, 찐 생선, 구운 새끼 돼지, 조림 거위 등 다양한 요리가 제공된다.[2] 차오저우 요리사들은 야채 조각 기술에 자부심을 가지며, 조각된 야채는 찬 요리와 연회 테이블 장식으로 사용된다.[2]
차오저우 요리는 ''meh siao'' () 또는 ''daa laang'' ()으로 알려진 늦은 밤 식사로도 유명하다.[2] 차오저우 사람들은 자정 가까이에 식당이나 길거리 음식 노점에서 외식을 즐기며, 일부 식당은 새벽까지 영업한다.[2] 차오저우 레스토랑 메뉴에는 디저트 섹션이 있는 경우가 많다.[2]
차오저우 출신 사람들은 홍콩,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캄보디아, 태국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 많이 정착했으며, 이들의 영향은 싱가포르 요리 등에서 나타난다.[2] 많은 차오저우 사람들이 대만 요리에 영향을 주었으며,[2] 베트남, 캄보디아, 프랑스에도 차오저우 공동체가 있다.[3] 후 띠에우는 차오저우에서 유래된 국수 수프이다.[3] 미국, 특히 캘리포니아주에도 많은 차오저우인 디아스포라가 있으며, 파리에는 차오저우 중국 협회가 있다.[3]
3. 3. 조미료 및 소스
차오저우 요리는 진나라 때부터 광동성에 속해 있었지만, 언어는 푸젠성 남부에서 사용하는 민남어의 일종인 조주어를 사용한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음식 문화도 푸젠성 남부와 유사하며, 건어물, 생선 소스, 염분 등을 활용한 맛과 소금에 절여 익혀 만드는 요리가 많다. 원래 문화, 무역 중심지였던 차오저우는 한강을 통해 바다로 이어지지만, 해안선에서 20km 떨어진 내륙에 위치하여 오징어, 마른 굴, 생선 건어물, 포, 상어 지느러미 등 해산물 계통의 건어물을 잘 이용해 왔다. 이러한 식재료는 익혀서 맛을 끌어낼 수 있어 수프를 비롯해 담백한 맛을 내는 요리에 활용된다.현재 경제 중심지인 산터우는 바다와 접해 있어 신선한 해산물을 구할 수 있으며, 쪄서 만드는 생선이나 게 등 해산물 요리가 주된 특징이다. 또한 생선, 오징어, 새우 젓갈류도 즐겨 먹는다. 볶음 요리에는 마늘을 많이 사용하며, 푸젠성 및 중화민국과도 가깝다. 쌀농사 지역이라 쌀을 재료로 한 요리가 발달했고, 딤섬도 쌀가루로 만드는 경우가 많으며, 국수도 쌀 국수가 기본이다.
차오저우 요리는 해산물과 채식 요리로 잘 알려져 있으며, 다른 중국 요리보다 조미료를 덜 사용하고 재료의 신선함과 품질에 크게 의존한다. 섬세한 요리인 만큼 기름을 많이 사용하지 않으며, 조림, 볶음 외에 데치기, 찜 요리에도 중점을 둔다. 차오저우 요리는 식사 시 죽이나 찐 쌀, 면과 함께 제공되는 것으로 유명하다. 차오저우식 죽은 광둥식 죽보다 더 묽다.
진정한 차오저우 레스토랑에서는 식사 전후에 철관음 (공부차)을 작은 잔에 제공하는데, 이 차는 ''감감''이라고 불리는 짙고 달콤 쌉쌀한 맛이 난다.
간장 외에도 어장을 사용하며, 사차장은 푸젠과 대만 요리에서 인기 있는 조미료로 콩기름, 마늘, 파, 고추, 멸치, 말린 새우로 만들어 풍미가 있고 약간 매운 맛이 난다. 수프, 구운 고기 양념, 볶음 요리, 소스 등에 다양하게 활용된다. 차오저우 요리사들은 상탕이라는 특별한 육수를 사용하며, 일부 홍콩 요리사들은 수십 년 동안 보존된 상탕을 사용한다고 한다.
3. 4. 차 문화
차오저우는 진나라 때부터 광둥성에 속해 있지만, 언어는 푸젠성 남부에서 말하는 민남어의 일종인 조주어라는 방언이 쓰인다. 이러한 언어적 특징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 민족 문화는 푸젠성 남부와 일체를 이루는 지역이며, 음식 문화도 예외는 아니다.고급 차오저우 요리 식당에서는 궁푸차(중국어: 工夫茶, 潮州語: 깸후테)라는, 진하게 우려내 작은 잔에 마시는 우롱차를 식전, 식후에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철관음이라고 하는 매우 강한 우롱차를 공부차로 제공하며, 구어체로 ''감감''()이라고 알려져 있는 두껍고 달콤 쌉쌀한 맛이 난다. 차오저우는 펑황단총 등을 생산하는 차 산지이며, 차를 즐기는 습관이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어, 이에 맞춰 다양한 딤섬도 만들어졌다.
4. 주요 요리
요리명(영어) | 한자 | 발음(병음/차오산) | 설명 |
---|---|---|---|
바크 초 미 | ròusuì miàn / bak chor mee | 삶은 국수에 간장, 칠리소스, 라드 등 다양한 소스와 채소, 얇게 썬 양파, 다진 돼지고기, 버섯, 어묵 등을 곁들인 요리. | |
바쿠 테 | ròugǔchá / bak kut | 허브와 향신료(스타 아니스, 시나몬, 정향, 당귀, 회향 씨앗, 마늘)의 복합적인 육수에 돼지갈비를 넣고 끓인 수프. 요우탸오와 함께 제공. 닭고기를 사용한 치쿠 테도 존재. | |
조림 요리 | lǔwèi / lo bah | 기러기, 오리, 돼지고기, 두부, 내장 등을 조림. | |
차이 타우 퀘 | càitóu guǒ / chai tau kueh | 무와 쌀가루로 만든 튀김 케이크. 간장, 달걀, 마늘, 파, 말린 새우를 넣어 볶음. | |
사천 고추 치킨 | chuān jiāo jī / cuêng ziê goi | 튀긴 닭고기 요리. 꼬리풀속 잎과 함께 제공. (중국 외 지역은 바질, 시금치 등 대체) | |
추이 퀘 | shuǐguǒ / chwee kueh | 찐 쌀떡. 잘게 썬 절인 무를 얹음. | |
크리스탈 볼 | shuǐjīng bāo / zhui jia bao | 모찌와 유사. 노란 우유, 고구마 페이스트, 녹두, 팥 등으로 속을 채운 찐 디저트. | |
어묵 / 생선 케이크 / 생선 만두 | yúwán / yúguǒ / yújiǎo / her ee / her kueh / her kiaw | 생선살을 볼, 케이크, 만두 형태로 만들어 국수와 수프에 제공. | |
향이 나는 기러기 조림 | lǔ shuǐ é / lou zui gho | 기러기 조림 요리. 두부와 함께 제공. | |
튀긴 두부 | zhà dòufu / za dao hu | 튀긴 두부 요리. 소금물에 찍어 먹음. | |
튀긴 소고기 볼 | zhà niúròu wán / za ghu bak ee | 튀긴 소고기 볼 요리. 샤차 소스 또는 소금물과 함께 제공. | |
어묵 국수 수프 | yúwán miàn / her ee mee | 계란과 쌀 국수를 생선 맛 수프 또는 건조하게 제공. 어묵, 숙주, 상추와 함께 제공. | |
펀 궈 | fěnguǒ / hung gue | 찐 만두. 말린 무, 부추, 돼지고기, 말린 새우, 표고버섯, 땅콩으로 속을 채움. | |
버섯을 곁들인 머스타드 | hòugū dà jiècài / gao gou dua gai cai | 겨자와 표고버섯을 넣은 수프. (돼지 삼겹살 추가 가능) | |
콰이 챂 | guǒzhī / kueh chap | 간장 수프에 쌀 시트를 넣고 돼지 내장, 조린 오리고기, 두부, 절인 채소, 삶은 달걀을 곁들임. | |
미 폿 | miànbáo / mee pok | 다진 돼지고기, 조림 버섯, 어묵, 만두, 소스 등을 곁들인 국수 요리. | |
우롱 차 | wūlóng chá / Ou-leeng | 철관음이 인기. 차오저우 브랜드 우롱 차 선호(hong wang dan cong teh). | |
굴 오믈렛 | háolào / or lua | 굴, 타피오카 전분, 달걀로 요리한 오믈렛. 매우 바삭하게 튀김. 어간장과 후추 또는 칠리 소스. | |
팬에 구운 양념 생선 | pǔyānyú / pu iem he | 팬에 구운 양념 생선 요리. 황어, 백조기, 농어 등 사용. | |
애국 수프 (국가 보호 요리) | hùguó cài / hu gog chai | 볶은 잎채소 (고구마 잎, 비름, 시금치 등)와 식용 버섯, 육수로 끓인 수프. 자오빙이 명명. | |
돼지 내장 수프 | zhūzátāng / ter zap terng | 돼지 내장 수프 | |
포피아 | báobǐngzǎi / po piah | 청명절에 먹는 스프링롤. 얇은 밀가루 피에 순무, 얌 빈, 숙주, 강낭콩, 상추 등과 함께 다양한 재료를 넣어 만듬. | |
돼지고기 젤리 | zhūjiǎo dòng / ter ka dang | 돼지 족발을 젤리 형태로 만들어 차갑게 제공. | |
올리브 채소를 곁들인 새우 | lǎncàijúxiā / lam cai ju he | 튀긴 새우 요리 | |
붉은 복숭아 떡 | ng tao guoo / ung toh kway | 찹쌀로 감싼 분홍빛 쌀가루 껍질. 복숭아 모양 틀에 넣어 찜. | |
소금에 절인 채소 오리 수프 | xiáncài yātāng / kiam cai ak terng | 오리, 절인 채소, 토마토, 절인 자두를 넣고 끓인 수프. | |
새우 또는 다진 고기 속을 넣은 스프링롤 | xiājuǎn / shāojuǎn / wǔxiāng / heh gerng / sio gerng / 응어 히앙 | 돼지고기와 새우 페이스트를 오향분으로 양념. 두부 피로 싸서 튀김. | |
찐 부추 만두 | jiǔ cài guǒ / gu chai gue | 바삭하게 볶음 요리. | |
찐 기러기 | chuī é / chue gho | 찐 기러기 요리 | |
토란 페이스트 | yùní / orh ni / orh nee | 토란으로 만든 디저트. 호박, 라드, 튀긴 양파 기름 첨가. 물밤 시럽, 은행 열매, 코코넛 크림, 스위트 콘. | |
차오저우 닭고기 | Cháozhōu jī / Teochew koi | 얇게 썬 닭고기 요리 | |
차오저우 냉동 게 | Cháozhōu dòngxiè / Teochew ngang hoi | 게를 찐 후 차갑게 제공. Charybdis cruciata 사용. | |
차오저우 핫팟 / 차오저우 스팀보트 | Cháozhōu huǒguō / Teochew zuang lou | 잎채소, 고구마, 두부, 해산물, 소고기 볼, 어묵, 돼지고기 볼, 버섯, 중국 국수 등을 육수에 익혀 소스에 찍어 먹음. | |
차오저우 쌀 국수 수프 | Cháozhōu guǒtiáo / Teochew kuay teow | 차오저우식 국수 수프. 베트남, 캄보디아에서도 인기. 쌀 국수, 계란 국수, 미트볼, 고기, 해산물, 어묵, 메추리알, 양배추, 내장. 튀긴 마늘, 샬롯, 파, 고수. | |
차오저우 스타일의 죽 | Cháozhōu zhōu / Teochew mue | 광둥 죽보다 물기가 많은 쌀 수프. 소금에 절인 채소, 절인 무, 검은 올리브, 삶은 오리알, 튀긴 생선, 땅콩. | |
차오저우 스타일의 찐 돔 | Cháozhōu zhēng chāngyú / Teochew chue chioh her | 돔을 절인 채소, 라드, 자두와 함께 찜. | |
위생 | yúshēng / her sae | 날생선 샐러드. 연어, 무, 당근, 고추, 생강, 카피르 라임 잎, 파슬리, 땅콩, 참깨, 새우 크래커, 오향분, 자두 소스. |
고구마 잎과 뽕나무버섯 수프 (호국채/護國菜중국어)는 으깬 고구마나 시금치 잎 등을 넣은 수프다.
상어 지느러미 조림 (홍둔어시/紅燉魚翅중국어)
찐 가로줄무늬게 냉채 (동홍해/凍紅蟹중국어)
해변에서 소금물에 데쳐 차갑게 식힌 생선 (어반/魚飯중국어)
회 (어생/魚生중국어)는 잉어 생선회에 고수, 샐러리, 무, 별사과 등의 고명과 매실 소스나 된장을 곁들인다.
거위 간장 조림 (노수아편/滷水鵝片중국어) 외에 유부, 계란 등 같은 소스로 조린 요리도 있다.
표고버섯과 결구 갓의 조림 (후고개채/厚菇芥菜중국어)
굴 전 ()은 산터우에서 굴을 평철판에 펼쳐 놓고, 물에 푼 녹말, 계란과 밀가루를 풀어 튀김에 가까운 식감으로 굽고, 어장을 찍어 먹는다.
차오저우 죽 (무에/糜중국어)은 광저우, 순더 스타일처럼 알갱이가 반쯤 없어질 정도로 끓인 것이 아니라, 죽에 가까운 묽은 것이 특징이다. 굴죽, 오징어죽, 생선죽, 게죽 등이 유명하다.
어묵을 넣은 쌀국수 (|후잉쿠에티아오}})
쌀가루로 만든 찐 만두 (분과/粉粿중국어)
쌀가루로 만든 죽순 삶은 만두 (순과/筍粿중국어)
소를 넣은 튀긴 떡 (유추/油追중국어)
만두풍의 과자 (수정포/水晶包중국어)는 투명한 피로, 작은 반구형으로 팥소를 감싼다.
돼지고기가 들어간 빈랑이 토란 페이스트 (우니/芋泥중국어)
튀긴 토란에 설탕 옷을 입힌 것 (판사우/反沙芋중국어)
게조
4. 1. 국/탕
차오저우 요리에서 국/탕 요리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바쿠 테(肉骨茶)는 허브와 향신료(스타 아니스, 시나몬, 정향, 당귀, 회향 씨앗, 마늘)를 넣고 끓인 육수에 돼지갈비를 넣어 만든다. 밥이나 국수와 함께 먹거나, 요우탸오와 곁들여 먹기도 한다. 돼지고기 대신 닭고기를 사용한 치쿠 테도 있다.
애국 수프(護國菜)는 원나라의 송나라 정복 시기에 개발된 요리로, 송나라의 마지막 황제]]가 명명했다. 볶은 잎채소 (고구마 잎, 비름, 시금치 등)와 식용 버섯, 육수로 끓여 만든다.
돼지 내장 수프(豬雜湯)도 즐겨 먹는 국물 요리 중 하나이다. 소금에 절인 채소와 오리를 넣고 끓인 수프(鹹菜鴨湯)는 절인 자두와 토마토를 넣어 맛을 낸다.
콰이 챂(粿汁)은 어두운 간장으로 만든 수프에 얇고 넓은 쌀 시트를 넣고, 돼지 내장, 조린 오리고기, 두부, 절인 채소, 조린 삶은 달걀 등을 곁들인다.
버섯을 곁들인 머스타드(厚菇大芥菜)는 겨자와 표고버섯을 넣은 요리이다. 원래 채식 수프였지만, 돼지 삼겹살 등을 넣어 만들기도 한다.
차오저우 쌀 국수 수프(潮州粿條)는 얇은 쌀 국수와 노란 계란 국수를 향긋한 수프에 넣어 만든다. 미트볼, 고기, 해산물, 튀긴 어묵 조각, 메추리알, 데친 중국 양배추, 내장 등을 곁들인다. 튀긴 다진 마늘, 튀긴 샬롯, 파, 고수 잎으로 장식한다.
차오저우 스타일의 죽(潮州糜)은 광둥 죽보다 물기가 많은 쌀 수프다. 소금에 절인 채소, 절인 무, 검은 올리브, 삶은 소금에 절인 오리알, 튀긴 소금에 절인 생선, 튀긴 땅콩 등과 함께 제공된다.
4. 2. 해산물 요리
차오저우 요리에서 해산물은 중요한 재료로 사용된다. 찐 생선(炊鱼) 요리는 신선한 생선을 통째로 쪄서 재료 본연의 맛을 살리는 대표적인 조리법이다. 굴 오믈렛(蚝烙)은 신선한 굴, 타피오카 전분, 달걀을 섞어 바삭하게 튀겨낸 요리로, 어간장과 후추 또는 칠리 소스를 곁들여 먹는다.차오저우 냉동 게(潮州凍蟹)는 게를 통째로 찐 후 차갑게 식혀 제공하는 요리이다. 주로 꽃게(Charybdis cruciata)를 사용한다.
생선회(魚生)는 신선한 생선 살을 얇게 썰어 채소와 함께 소스에 곁들여 먹는 요리이다. 전통적으로 잉어를 사용하며, 고수, 샐러리, 무, 별사과 등의 고명과 매실 소스나 된장 소스를 곁들인다.
이 외에도 어묵(魚丸), 어묵 국수(魚丸麵), 팬에 구운 양념 생선(烳醃魚), 차오저우 스타일의 찐 돔(潮州蒸鯧魚), 위생(魚生) 등 다양한 해산물 요리가 있다.
4. 3. 육류 요리
차오저우 요리에서 육류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조림 요리(滷味, lǔwèi, 로바)는 차오저우 요리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로, 기러기, 오리, 돼지고기, 두부, 내장 등을 다양하게 활용한다.바쿠 테(肉骨茶, ròugǔchá, 바쿠)는 허브와 향신료(팔각, 계피, 정향, 당귀, 회향 씨앗, 마늘)를 넣고 끓인 육수에 돼지갈비를 넣어 만든다. 간장으로 간을 맞추기도 하며, 가정에 따라 용수(솔로몬의 인장 뿌리줄기)나 가막살나무 열매를 넣어 단맛과 풍미를 더하기도 한다. 밥이나 국수와 함께 먹거나, 요우탸오를 곁들이기도 한다. 닭고기를 사용한 변형은 치쿠 테라고 부르며,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에서 인기가 높다.
미 폿(麵薄, miànbáo, 미폭)은 다진 돼지고기, 조림 버섯, 어묵, 만두, 소스 등을 곁들인 국수 요리이다. 바크 초 미(肉碎麵, ròusuì miàn, 바크 초 미)는 삶은 국수에 간장, 칠리소스, 라드, 채소, 얇게 썬 양파, 다진 돼지고기, 버섯, 어묵 등을 곁들인다.
사천 고추 치킨(川椒雞, chuān jiāo jī, 촹지 고이)은 튀긴 닭고기 요리로, 꼬리풀속 잎과 함께 제공되는 것이 전통적이다. 하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바질이나 시금치 등으로 대체하기도 한다.[4]
펀 궈(粉粿, fěnguǒ, 훙 구에)는 찐 만두의 일종으로, 말린 무, 부추, 돼지고기, 말린 새우, 표고버섯, 땅콩 등으로 속을 채운다.
콰이 챂(粿汁, guǒzhī, 꾸에 찹)은 간장으로 만든 수프에 넓은 쌀 시트를 넣고, 돼지 내장, 조린 오리고기, 두부, 절인 채소, 삶은 달걀 등을 곁들인다.
돼지 내장 수프(豬雜湯, zhūzátāng, 떠 잡 텅)와 소금에 절인 채소 오리 수프(鹹菜鴨湯, xiáncài yātāng, 캄 차이 악 텅)도 차오저우 요리의 수프이다. 소금에 절인 채소 오리 수프는 오리, 절인 채소, 토마토, 절인 자두를 넣어 끓인다.
포피아(薄餅仔, báobǐngzǎi, 포피아)는 청명절에 주로 먹는 스프링롤이다. 얇은 밀가루 피에 순무, 얌 빈, 숙주, 강낭콩, 상추 등과 함께 다양한 재료를 넣어 만든다. 돼지고기, 새우, 게살 등을 넣기도 하며, 단 소스와 함께 먹는다.
돼지고기 젤리(豬腳凍, zhūjiǎo dòng, 떠 카 당)는 돼지 족발을 젤리 형태로 만들어 차갑게 제공하는 요리이다.
새우 또는 다진 고기 속을 넣은 스프링롤(蝦卷 / 燒卷 / 五香, xiājuǎn / shāojuǎn / wǔxiāng, 헤겅 / 시오겅 / 응어 히앙)은 돼지고기와 새우 페이스트를 오향분으로 양념하여 두부 피로 싸서 튀기거나 굽는다.
붉은 복숭아 떡(紅桃粿, ng tao guoo, 웅 토 콰이)은 찹쌀로 만든 분홍색 쌀가루 껍질에 맛있는 소를 넣어 만든다. 복숭아 모양 틀에 넣어 찐 후 먹거나 팬에 구워 먹는다.[6]
거위 간장 조림(滷水鵝, lǔ shuǐ é, 로우 주이 고)은 잘 알려진 요리로, 종종 두부와 함께 제공된다. 찐 거위(炊鵝, chuī é, 추에 고) 요리도 있다.
- 돼지고기가 들어간 빈랑이 토란 페이스트 (우니 오우니)
- 튀긴 토란에 설탕 옷을 입힌 것 (판사우 판스아오우)
- 게조
4. 4. 채소 요리
차오저우 요리에서 채소 요리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버섯을 곁들인 머스타드(厚菇大芥菜): 겨자(중국 겨자)와 표고버섯(중국 흑 버섯)을 넣어 만든 수프이다.[4] 원래 채식 수프였지만, 돼지 삼겹살과 다른 재료를 넣어 만들기도 한다.
- 애국 수프(護國菜): 볶은 잎채소(주로 고구마 잎[6], 비름, 시금치 등)와 식용 버섯(주로 짚버섯), 육수(채소, 닭고기, 쇠고기)로 끓인 수프이다.[4] 원나라의 송나라 정복 시기에 자오빙이 명명했다.[4]
- 표고버섯과 결구 갓의 조림(厚菇芥菜): 표고버섯과 결구 갓을 함께 조리한 요리이다.
- 펀 궈(粉粿): 말린 무, 부추, 돼지고기, 말린 새우, 표고버섯, 땅콩 등으로 속을 채운 찐 만두이다.[4]
- 찐 부추 만두(韭菜粿): 바삭한 질감을 위해 볶음 요리로 만들기도 한다.
- 추이 퀘(水粿): 컵 모양의 찐 쌀떡으로, 잘게 썬 절인/소금에 절인 무를 얹는다.[4]
- 붉은 복숭아 떡(紅桃粿): 맛있는 찹쌀로 감싼 분홍빛 쌀가루 껍질로 만든 떡이다. 복숭아 모양의 나무 틀에 눌러 찐다.[6]
- 포피아(薄餅仔): 청명절에 주로 먹는 스프링롤이다.[4] 속은 주로 순무, 얌 빈(지카마)이며, 숙주, 강낭콩, 상추 잎 등이 들어간다.[4]
4. 5. 면/쌀 요리
차오저우 요리에서 면과 쌀을 이용한 요리는 다양하며, 국수와 쌀가루를 주재료로 한 요리가 많다.- 바크 초 미 (): 삶은 국수에 간장, 칠리소스, 라드 등 다양한 소스와 채소, 얇게 썬 양파, 다진 돼지고기, 버섯, 어묵 등을 곁들인다.
- 차이 타우 콰이 (): 무와 쌀가루로 만든 짭짤한 튀김 케이크로, 간장, 달걀, 마늘, 파, 말린 새우 등을 넣어 볶는다.
- 추이 퀘 (): 컵 모양의 찐 쌀떡으로, 잘게 썬 절인 무를 얹는다.
- 어묵 국수 수프 (): 다양한 종류의 계란과 쌀 국수를 가벼운 생선 맛 수프 또는 건조한 상태로 제공하며, 어묵, 어묵, 숙주, 상추와 함께 제공된다.
- 미 폿 (): 다진 돼지고기, 조림 버섯, 어묵, 만두, 소스 및 기타 고명과 함께 제공되는 인기 있는 국수 요리이다.
- 콰이 챂 (): 어두운 간장으로 만든 수프에 얇고 넓은 쌀 시트를 넣고 돼지 내장, 조린 오리고기, 다양한 종류의 두부, 절인 채소 및 조린 삶은 달걀을 곁들인다.
- 펀 궈 (): 일종의 찐 만두로, 말린 무, 부추, 돼지고기, 말린 새우, 표고버섯, 땅콩 등으로 속을 채운다. 광둥어로는 Chiu Chow fun guo라고 부른다.
- 차오저우 쌀 국수 수프(): 차오저우 스타일의 국수 수프로, 베트남과 캄보디아에서도 인기가 있다. 얇은 쌀 국수와 노란 계란 국수를 향긋한 수프에 넣어 미트볼, 고기, 해산물, 튀긴 어묵, 메추리알, 데친 중국 양배추, 내장 등과 함께 제공된다. 튀긴 다진 마늘, 튀긴 샬롯, 얇게 썬 파, 고수 잎으로 장식하며, 샤차 소스나 차오저우 칠리 오일에 찍어 먹기도 한다.
- 차오저우 죽 (): 광둥 죽보다 물기가 많은 쌀 수프로, 소금에 절인 채소, 절인 무, 검은 올리브, 올리브 가루, 삶은 소금에 절인 오리알, 튀긴 소금에 절인 생선, 튀긴 땅콩 등과 함께 제공된다. 굴죽, 오징어죽, 생선죽, 게죽 등이 있다.
- 어완 (후잉쿠에티아오): 어묵을 넣은 쌀국수 요리이다.
- 분과 (훈쿠에): 쌀가루로 만든 찐 만두이다.
- 순과 (슨쿠에): 쌀가루로 만든 죽순 삶은 만두이다.
- 홍도과(紅桃粿): 맛있는 찹쌀로 감싼 분홍빛 쌀가루 껍질로 만든 떡이다. 복숭아 모양의 나무 틀에 눌러 찐다.
4. 6. 딤섬/간식
차오저우 요리에서 딤섬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다양한 종류의 딤섬과 간식이 발달했다.- 분과(粉粿): 찐 만두의 일종으로, 말린 무, 부추, 돼지고기, 말린 새우, 표고버섯, 땅콩 등으로 속을 채운다. 만두피는 밀가루나 식물 전분과 물을 섞어 만든다. 광둥어로는 ''치우 차우 펀 궈''(潮州粉果)라고 부른다.
- 수과(水粿): 컵 모양의 찐 쌀떡으로, 잘게 썬 절인 무를 얹어 먹는다.
- 수정구(水晶包): 모찌와 유사한 찐 디저트로, 노란 우유, 고구마 페이스트, 녹두 또는 팥으로 만든 앙금 등 다양한 속을 넣어 만든다.
- 홍도과(紅桃粿): 찹쌀로 만든 분홍색 쌀가루 껍질에 맛있는 소를 넣어 만든 떡이다. 복숭아 모양의 나무 틀에 눌러 찐 다음 만두 형태로 만든다. 갓 쪄서 먹거나 팬에 구워 먹는다.
- 유추: 소를 넣은 튀긴 떡이다.
- 호락(蚝烙): 신선한 굴, 타피오카 전분, 달걀로 만든 오믈렛 요리이다. 차오저우 스타일의 굴 오믈렛은 보통 튀겨서 매우 바삭하며, 어장과 후추 또는 칠리 소스를 찍어 먹는다. 산터우 지역에서는 굴을 평철판에 펼쳐 놓고 녹말, 계란, 밀가루를 푼 물을 넣어 튀김에 가까운 식감으로 바삭하게 굽는다.
- 박병자(薄餅仔): 청명절에 주로 먹는 튀기지 않은 스프링롤이다. 밀가루로 만든 얇은 크레이프에 잘게 썰어 찐 순무, 얌 빈(지카마), 숙주, 강낭콩, 상추 잎 등 다양한 재료를 넣어 만든다.
- 오향(五香): 돼지고기와 새우 페이스트(때로는 생선)를 오향분으로 양념하고 두부 피로 싸서 콩팥피에 말아 튀기거나 팬에 굽는다. 레스토랑 메뉴에서는 차오저우 스타일의 스프링롤이라고도 한다.
- 찐 부추 만두: 바삭한 질감을 위해 볶음 요리로 만들기도 한다.
- 우니(芋泥): 주로 토란으로 만든 전통 차오저우 디저트이다. 토란을 찌고 으깨어 페이스트 형태로 만들고, 호박, 라드 또는 튀긴 양파 기름을 넣어 맛을 더한다. 전통적으로 물밤 시럽으로 단맛을 내고 은행 열매와 함께 제공하며, 현대에는 코코넛 크림과 스위트 콘을 추가하기도 한다.
- 판사우: 튀긴 토란에 설탕 옷을 입힌 것이다.
- 육쇄면(肉碎面): 삶은 국수에 간장, 칠리소스, 라드 등 다양한 소스와 채소, 얇게 썬 양파, 다진 돼지고기, 버섯, 어묵 등을 곁들인 요리이다.
- 육골차(肉骨茶): 허브와 향신료를 넣은 육수에 돼지갈비를 넣고 끓인 수프이다. 밥이나 국수와 함께 먹거나 요우탸오와 함께 제공하기도 한다.
- 채두과(菜頭粿): 무와 쌀가루로 만든 튀김 케이크로, 간장, 달걀, 마늘, 파, 말린 새우 등을 넣어 볶아 먹는다.
- 과즙(粿汁): 얇고 넓은 쌀 시트를 어두운 간장으로 만든 수프에 넣고 돼지 내장, 조린 오리고기, 두부, 절인 채소, 조린 삶은 달걀 등을 곁들인 요리이다.
- 면박(麵薄): 다진 돼지고기, 조림 버섯, 어묵, 만두, 소스 및 기타 고명을 곁들인 국수 요리이다.
- 돼지고기 젤리: 젤리 형태로 만든 돼지 족발을 썰어 차갑게 제공한다.
4. 7. 디저트
차오저우 요리의 디저트로는 토란 페이스트인 위니/芋泥중국어가 대표적이다. 토란을 찌고 으깨어 페이스트 형태로 만들며, 호박을 넣어 단맛과 부드러움을 더한다. 라드나 튀긴 양파 기름을 첨가하여 풍미를 살리고, 전통적으로는 물밤 시럽과 은행 열매를 곁들인다. 현대에는 코코넛 크림과 스위트 콘을 추가하기도 한다.크리스탈 볼( (수이징 바오/水晶包중국어)은 노란 우유, 고구마 페이스트, 녹두, 팥 등으로 속을 채운 찐 디저트이다. 모찌와 유사하다.
그 외에, 쌀가루로 만든 찐 만두 (펀 궈/粉粿중국어), 만두풍의 과자 (수정포/水晶包중국어), 돼지고기가 들어간 토란 페이스트 (우니/芋泥중국어), 튀긴 토란에 설탕 옷을 입힌 것 (판사우/反沙芋중국어) 등이 있다.
5. 다른 지역에서의 차오저우 요리
5. 1. 홍콩
홍콩은 화남의 대도시로서, 현지 광둥성 외에도 상하이, 닝보 등 연안 지역에서 이주해 온 사람이 많으며, 차오저우, 산터우 출신도 적지 않다. 홍콩의 번화가에는 차오저우 요리를 내는 대중 식당도 많으며, 속칭 광둥어로 "다라잉 딤(打冷店, ダーラーンディム)"이라고 불린다. 이 유형의 가게는 이미 조리된 요리를 쟁반 등에 담아 점두에 진열해 놓고, 손님이 곧바로 먹고 싶은 것을 고를 수 있는 간편함과 편안함이 특징이다.한편, 샥스핀이나 말린 전복과 같은, 손이 많이 가는 건어물을 활용한 요리나, 새우, 게 등의 해산물 요리를 제공하는 차오저우 요리 레스토랑도 많다. 이러한 고급 요리는 이윤도 낼 수 있으며, 또한, 부유층도 많은 홍콩에서는 수요도 왕성하기 때문에 발달했다.
5. 2. 싱가포르
싱가포르에서 중국계 주민은 80%에 육박하며, 차오저우(潮州)와 산터우(汕頭) 출신이 푸젠(福建) 출신 다음으로 많아, 차오저우 요리를 내는 가게도 많다.5. 3. 태국
태국으로 이주한 차오저우, 산터우 출신자가 많으며, 태국 화교의 대부분이 그렇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당연히 중화 요리도 차오저우 요리가 기본이며, 화교, 화인이 먹을 뿐만 아니라 태국인도 받아들여 먹게 되었다. 이미 태국 요리처럼 된 것도 있으며, 예를 들어 꾸이띠여우는 차오저우어로 쌀국수를 의미하는 꿔띠아오/粿條중국어를 도입한 것이다.참조
[1]
서적
Food in Chinese culture: anthropologic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Yale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globalization of Chinese food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02
[3]
웹사이트
Teochew noodles
https://www.asialife[...]
[4]
서적
Mastering the Art of Chinese Cooking
Chronicle Books LLC
2009
[5]
서적
Mastering the Art of Chinese Cooking
Chronicle Books LLC
2009
[6]
웹사이트
Annielicious Food: TeowChew Png Kueh / TeowChew Glutinous Rice Dumpling (潮州饭粿 / 潮州红桃粄 )
http://annieliciousf[...]
2015-04-05
[7]
서적
潮州菜大全
汕頭大学出版社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