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녹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녹두(Vigna radiata)는 콩과에 속하는 식물 종으로, 녹색 콩이라고도 불리며, 씨앗과 싹을 식용으로 사용한다. 영어로는 'mung' 또는 'mungo bean' 등으로 불리며, 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재배되어 과자, 싹, 국수, 수프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녹두는 콩과 식물로 질소 고정 능력이 있어 토양 비옥도 향상에도 기여하며, 씨앗과 싹 모두 단백질이 풍부하고 탄수화물 소화가 잘 되어 건강 식품으로도 인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53년 기재된 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녹두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목장미군
콩목
콩과
동부속
녹두
영양 정보
에너지1481 kJ
수분10.8 g
단백질25.1 g
지방1.5 g
포화 지방0.34 g
단일 불포화 지방0.04 g
다중 불포화 지방0.61 g
탄수화물59.1 g
수용성 식이 섬유0.6 g
불용성 식이 섬유14.0 g
전체 식이 섬유14.6 g
칼륨1300 mg
칼슘100 mg
마그네슘150 mg
320 mg
5.9 mg
아연4.0 mg
구리0.91 mg
셀레늄2 µg
베타카로틴150 µg
비타민 A13 µg
비타민 E0.3 mg
비타민 K36 µg
티아민 (비타민 B1)0.70 mg
리보플라빈 (비타민 B2)0.22 mg
니아신2.1 mg
비타민 B60.52 mg
엽산460 µg
판토텐산1.66 mg
비오틴 (비타민 B7)11.2 µg
참고비타민 E는 α-토코페롤만을 표시함
이미지
녹두
녹두
말린 녹두 꼬투리
말린 녹두 꼬투리
녹두
녹두
녹두
녹두

2. 명칭

영어 이름 'mung' 또는 'mungo'는 힌디어 단어 मूंग|뭉hi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मुद्ग|무드가sa에서 파생되었다.[5] 필리핀 영어에서는 'mongo bean'으로도 알려져 있다.[6] 다른 덜 흔한 영어 이름으로는 'golden gram'과 'Jerusalem pea'가 있다.[7]

다른 언어에서 녹두는 다음과 같이 불린다.

언어명칭로마자 표기 / 의미
페르시아어, 쿠르드어ماشmaash
우르두어مونگmūng
힌디어मूंगmūng
펀자브어ਮੁੰਗmūng
구자라트어મગmag
마라티어हिरवे मूगhirve mug
콘카니어मुगाmugā
벵골어মুঁগmū̃g
오디아어ମୁଗmûgå
아삼어মগুmagu
칸나다어ಹೆಸರು ಬೇಳೆhesaru bele
타밀어பயத்தம் பருப்புpayatham paruppu
말라얄람어ചെറുപയർ പരിപ്പ്cherupayar parippu
싱할라어මුං ඇටmung-ata (녹두 씨앗을 의미함)
스와힐리어choroko
툴루어ಪದಂಗಿ ಸಲೈpadangi salayi
텔루구어పెసలుpesalu
베트남어đậu xanhđậu xanh ("녹색 콩")
인도네시아어/말레이어kacang hijaukacang hijau ("녹색 콩")
필리핀 제어munggo 또는 monggo[8]
중국어 (표준어)绿豆lǜ dòu ("녹색 콩")[9]


3. 식물학적 특징

녹두(''Vigna radiata'')는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식물이다.[10] 노란 꽃과 솜털 같은 갈색 꼬투리가 달리는 특징이 있다. 비슷한 형태 때문에 (''Vigna mungo'')과 혼동되기도 하지만, 서로 다른 종이다.[11] 녹두는 1970년대에 팥속(Phaseolus)에서 현재의 비그나속(Vigna)으로 재분류된 여러 종 중 하나이며,[16] 이전 학명은 ''Phaseolus aureus'' 또는 ''P. radiatus''였다.

원산지는 인도이며, 현재는 주로 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아프리카[70],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재배된다. 일본에서는 17세기 무렵 재배 기록이 있다.[70] 한때 일본에서는 조몬 시대에 이미 전래되었다고 여겨졌으나, 현재는 이 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종자는 팥의 재배 초기의 것으로 간주되어 녹두의 조몬 시대 재배는 부정되고 있다.[71]

3. 1. 형태

콩과에 속하는 식물로, 녹색 콩으로도 알려져 있다.[10] 비슷한 형태 때문에 (''Vigna mungo'')과 혼동되는 경우가 있지만, 두 종은 서로 다르다.[11] 녹두는 노란 꽃과 솜털이 있는 갈색 꼬투리를 가진 일년생 덩굴식물이다. ''Vigna radiata''에는 재배종(''Vigna radiata subsp. radiata'') 하나와 야생종(''Vigna radiata subsp. sublobata''와 ''Vigna radiata subsp. glabra'') 두 개를 포함하여 세 개의 아종이 있다. 높이는 약 15cm~125cm 정도이다.[12]

녹두는 발달된 뿌리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곁뿌리는 가늘고 많고 뿌리혹이 생긴다.[13]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끝이 덩굴손처럼 감기기도 한다. 어린 줄기는 자주색이나 녹색이고, 성숙한 줄기는 회황색 또는 갈색이다. 줄기의 성장 형태에 따라 직립 총생형, 반덩굴성, 덩굴성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13] 야생종은 옆으로 퍼지는 경향이 있고 재배종은 보다 직립하는 경향이 있다.[12]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떡잎은 발아 후 죽고, 두 개의 홑잎에 이어 세 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3출엽이 생긴다. 잎의 크기는 길이 6cm~12cm, 너비 5cm~10cm이다. 노란 꽃이 달린 총상꽃차례는 잎겨드랑이와 끝부분에 달리며, 한 꽃자루에 10~25개의 꽃이 피고 자가 수분을 한다. 열매인 꼬투리는 길쭉한 원통형 또는 편평한 원통형으로, 보통 한 포기에 30~50개가 달린다. 꼬투리의 길이는 5cm~10cm, 너비는 0.4cm~0.6cm이며, 안에는 격막으로 구분된 12~14개의 씨앗이 들어있다.[13] 씨앗은 원통형 또는 구형이며, 색깔은 녹색, 노란색, 갈색 또는 파란색 등으로 다양하다. 씨앗의 색깔과 표면의 거친 정도는 녹두 품종을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12]

특히 야생종 녹두는 일년생 초본으로, 잎은 세 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겹잎 형태이다. 꽃은 연한 황색이며 자가수분으로 결실한다. 꼬투리는 길이 5cm~10cm 정도로 황갈색에서 흑색을 띠며, 안에 10~15개의 종자를 갖는다. 종자는 길이 4mm~5mm, 너비 3mm~4mm의 장구형이며, 일반적으로 녹색이지만 노란색, 갈색, 검은 얼룩무늬 등 다양한 색을 나타내기도 한다.

3. 2. 생장 단계

발아는 보통 4~5일 안에 이루어지지만, 실제 발아율은 발아 단계에서 공급되는 수분량에 따라 달라진다.[14] 발아는 상배축 발아 방식으로, 줄기와 떡잎이 파종상 위로 나온다.[15]

발아 후 씨앗이 갈라지고 부드러운 흰색 뿌리가 자라는데, 콩나물은 이 단계에서 수확한다. 수확하지 않으면 뿌리 체계가 발달한 후 잎 두 개가 달린 녹색 줄기가 자라 땅에서 솟아오른다. 그 후 가지에 꼬투리가 형성되기 시작하며, 각 꼬투리에는 10~15개의 씨앗이 들어 있다.[14]

성숙에는 최대 60일이 걸릴 수 있다. 성숙하면 키가 최대 76cm까지 자라며, 꼬투리가 달린 여러 개의 가지가 생긴다. 꼬투리의 대부분은 어두워지지만 일부는 녹색을 유지한다.[14]

야생종은 일년생 초본으로, 잎은 겹잎이며 세 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다. 꽃은 연한 황색이다. 자가수분으로 열매를 맺으며, 꼬투리는 길이 5cm~10cm이고 황갈색에서 검은색을 띤다. 꼬투리 안에는 10~1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길이 4mm~5mm, 너비 3mm~4mm의 길쭉한 공 모양이며, 일반적으로 녹색이지만 노란색, 갈색, 검은 얼룩무늬 등 다양한 색깔의 품종도 있다.

3. 3. 질소 고정 및 피복 작물

콩과 식물인 녹두는 뿌리혹박테리아와 공생 관계를 맺어 대기 중 질소를 고정할 수 있다(녹두 1ha당 58kg~109kg). 녹두는 토양에 다량의 생물량(1ha당 7.16ton)과 질소(30~251kg/ha)를 제공할 수 있다.[11] 이러한 질소 고정 능력은 녹두 스스로 질소 요구량을 충족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후속 작물에도 이롭다. 녹두는 윤작에서 곡물 작물 전이나 후에 피복 작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좋은 녹비가 된다.[11]

4. 재배

녹두는 주로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인도 아대륙 등 따뜻한 기후에서 재배되는 중요한 맥류 작물이다. 모든 맥류 작물 중 가장 강인한 편에 속하며, 발아와 성장을 위해서는 더운 기후가 필요하고 서리에는 약하다.[21][22]

현재 녹두 품종 개발은 주로 콩바구미와 녹두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MYMV) 같은 해충 및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17][18][19][20] 세계채소센터 등의 노력으로 녹두의 특성이 개선되고 있다.[17][18][19][20]

녹두의 잠재적 수확량은 헥타르당 2.5ton~3ton에 달하지만,[23][24] 실제 평균 생산량은 다양한 병해충과 비생물적 스트레스(염분, 고온, 수분 문제 등), 그리고 관리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헥타르당 0.5ton~0.7ton 수준에 머무는 경우가 많다.[25] 이러한 요인들은 수확량 감소뿐 아니라 종자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25]

따라서 안정적인 녹두 생산을 위해서는 병해충 및 환경 스트레스에 강한 품종 개발과 더불어 효과적인 재배 관리 기술이 중요하다.[25][40]

4. 1. 품종

현재 녹두 품종 개발은 주로 콩바구미나 녹두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MYMV) 같은 해충 및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주요 품종은 다음과 같다.[17][18][19][20]

국가주요 품종
인도Samrat, IPM2-3, SML 668, Meha
호주Crystal, Jade-AU, Celera-AU, Satin II, Regur
중국Zhonglv No. 1, Zhonglv No. 2, Jilv No. 2, Jilv No. 7, Weilv No. 4, Jihong 9218, Jihong 8937, Bao 876-16, Bao 8824-17



세계채소센터의 지원을 통해 녹두의 특성이 크게 개선되었다.[17][18][19][20]

'Summer Moong'은 인도 북부에서 재배되는 단기간 녹두 품종으로, 짧은 기간에 재배할 수 있어 여러 경작 시스템 사이에 끼워 넣기 좋다. 주로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인도 아대륙에서 재배된다. 모든 맥류 작물 중 가장 강인한 편에 속하며, 발아와 성장을 위해서는 더운 기후가 필요하다.

4. 2. 기후 및 토양 조건

녹두는 따뜻한 계절에 자라는 작물이며 서리에 약하다. 온대, 아열대, 열대 기후 지역에서 재배하기에 적합하다. 녹두가 싹을 틔우고 자라기에 가장 좋은 온도는 15°C에서 18°C 사이이다. 녹두는 다양한 종류의 토양에 잘 적응하지만, 토양 산성도(pH)는 6.2에서 7.2 사이가 가장 좋다. 녹두는 단일 식물이며, 낮의 길이가 길어지는 장일 조건에서는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 시기가 늦어진다.[21][22]

4. 3. 수확

녹두의 잠재적 수확량은 헥타르당 2.5ton~3ton 정도이지만, 실제 평균 생산량은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부족과 부적절한 관리로 인해 헥타르당 0.5ton에 불과하다. 녹두는 개화 습성이 일정하지 않아 환경 조건이 맞으면 한 포기에서 꽃과 꼬투리가 동시에 열리는 특성 때문에 수확이 까다롭다. 수확하기 가장 좋은 시기는 한 포기의 꼬투리 중 90%가 검은색을 띨 때이다. 녹두는 수확기를 이용하여 수확할 수 있으며, 이때 과도한 탈곡이 일어나지 않도록 기계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23][24]

수확된 녹두를 운반하기에 적합한 수분 함량은 13%이다. 저장하기 전에는 반드시 불순물을 제거하는 청소 과정과 품질에 따라 등급을 나누는 분류 과정을 거쳐야 한다. 녹두를 가장 이상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조건은 수분 함량을 정확히 12%로 유지하는 것이다.[23][24]

4. 4. 병해충 및 관리

녹두는 품종에 따라 헥타르당 1.8ton에서 2.5ton의 수확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 평균 생산량은 헥타르당 0.5ton에서 0.7ton 수준에 머무른다. 이는 병해충과 같은 생물적 스트레스와 환경 요인에 의한 비생물적 스트레스 때문이다.[25] 이러한 스트레스는 생산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종자의 물리적 품질에도 영향을 미쳐 사람이 사용하거나 섭취하기 어렵게 만든다. 복합적인 스트레스 요인은 최대 10%에서 100%까지 수확량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25]

콩과 작물의 해충은 파종부터 저장 단계까지 모든 재배 과정에서 피해를 주며, 수확량 감소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일부 해충은 직접 작물에 해를 끼치고, 다른 해충은 바이러스를 옮기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녹두의 주요 해충 및 피해 양상
해충피해 양상비고
줄기파리 (Ophiomyia phaseoli)발아 후 일주일 이내 어린 식물 침해, 심할 경우 작물 전체 손실[26][27]주요 해충 중 하나
흰가루이 (B. tabaci)체관액 흡즙, 감로 배설로 인한 검은 그을음병 유발, 녹두황화모자이크병(MYMD) 전파수확량 17%~71% 감소 유발
총채벌레묘목 단계: 생장점 침해로 생육 저해
개화 단계: 꽃자루, 암술머리 흡즙으로 낙화 및 꼬투리 형성 부진[25]
묘목 및 개화기 모두 피해
점박이 꼬투리좀벌레 (마루카 비트라타)유충이 꽃, 줄기, 꽃자루, 꼬투리 등 모든 단계에 피해. 특히 개화기에 꽃과 잎을 엮어 거미줄을 치며 큰 피해[28]수확량 2%~84% 감소, 3000만달러 경제적 손실 유발 (열대/아열대 지역)
콩진딧물 (Aphis craccivora)수액 흡즙으로 생장 저해, 황변, 왜화, 기형 유발. 감로 배설로 그을음병 발생. 녹두 보통 모자이크 바이러스 매개
콩바구미 (Bruchidius spp.)저장 중인 종자 가해. 3~6개월 내 최대 100% 피해 가능.[29] 종자 중량 감소, 발아율 저하, 영양가 및 시장 가치 하락 유발[26]전 세계 콩과 식물의 주요 저장 해충



팥 노란 모자이크병(MYMD)은 녹두의 중요한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매년 심각한 수확량 감소를 일으킨다.[30][26] 이 병은 흰가루이에 의해 전파되는 세 가지 다른 베고모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25] 인도에서는 최대 85%의 수확량 감소를 초래하기도 한다.[31]

주요 곰팡이병으로는 세르코스포라 잎마름병(CLS), 마른뿌리썩음병, 흰가루병, 풋마름병 등이 있다. 특히 마른뿌리썩음병(''Macrophomina phaseolina'')은 인도와 파키스탄에서 녹두 생산량의 10~44% 감소를 유발하는 새로운 위협이다.[32][26] 이 병원균은 뿌리와 줄기 기부의 관다발 조직에 영향을 미쳐 식물 상부로의 물과 영양분 이동을 방해한다.[33]

무늬마름병, 세균성 잎마름병, 갈색무늬병 등은 중요한 세균성 질병이다.

비생물적 스트레스는 식물의 생장과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전 세계적으로 농업 손실의 주요 원인이다. 환경 변화로 인한 작물 수확량 감소는 수십 년간 꾸준히 증가해 왔다.[25]


  • 염분 스트레스: 토양의 염분은 삼투 스트레스와 이온 독성을 유발하고, 뿌리혹 형성을 감소시켜 질소 고정 능력을 떨어뜨린다.[34] 과도한 염분은 잎 손상과 광합성 감소를 초래한다.[35]
  • 고온 스트레스: 고온은 녹두의 생식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꽃눈 형성, 화분의 생존력, 수정, 꼬투리 형성, 종자 품질 등 모든 단계에 영향을 준다.[36] 특히 여름철 42°C 이상의 고온은 종자 내 저장 물질 축적을 방해하여 종자를 단단하게 만들 수 있다.[37]
  • 수분 스트레스: 녹두는 생육 기간 동안 적절한 토양 수분이 필요하지만, 수확기에는 건조한 조건이 요구된다. 주로 빗물에 의존해 재배되므로 다른 콩과 작물보다 물 부족에 취약하다.[38] 가뭄은 영양 생장, 꽃눈 형성, 화분 기능, 꼬투리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대로, 생육 초기 짧은 기간이라도 과도한 수분이나 침수는 작물에 해로울 수 있다.[39] 우기 동안 토양 및 대기 중 수분이 과도하면 성숙한 꼬투리에서 수확 전 발아가 일어나 종자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26]


이러한 병해충 및 비생물적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웹 기반 기후 분석 도구를 활용하면 농부들이 강우량, 온도 등 기후 정보를 파악하여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유전적으로 저항성을 가진 품종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관리 방법이며, 이는 수확량, 작물 키, 곡물 품질, 시장성, 종자 가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진다.[25] 수확 전 발아(PHS)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짧은 기간(10~15일)의 신선 종자 휴면성(FSD)을 가진 품종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40]

5. 활용

녹두는 오랜 기간 인류가 재배하고 섭취해 온 중요한 작물이다.[41] 주로 씨앗과 발아시킨 싹(숙주나물)이 식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특히 아시아(인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며,[11] 남유럽미국 남부 등지에서도 소비된다.[11] 씨앗은 그대로 조리하거나 가루를 내어 사용하고, 싹은 나물이나 볶음 요리 등에 쓰인다. 녹두에서 추출한 전분은 당면이나 녹두묵과 같은 가공식품의 원료가 된다. 최근에는 녹두 단백질이 대체육이나 대체 계란 등 식물성 식품의 원료로도 주목받고 있다.[55] 또한, 한의학에서는 약용으로도 활용된다.[79]

5. 1. 식품

녹두는 오랫동안 인류가 섭취해 온 작물로, 주로 씨앗과 싹이 식용으로 이용된다. 익은 씨앗은 고기가 부족하거나 채식주의자가 많은 지역에서 인간에게 소화 가능한 단백질의 귀중한 공급원이 된다.[41] 녹두는 아시아(인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에서 큰 시장을 가지고 있으며 남유럽미국 남부에서도 소비된다.[11] 녹두 단백질은 유럽 연합 규정 (EU) 2015/2283에 따라 신규 식품(NF)으로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다.[42] 녹두 소비량은 지역에 따라 다른데, 예를 들어 인도에서는 과자, 간식, 짭짤한 음식에 사용하고,[43] 아시아의 다른 지역에서는 케이크, 싹, 국수, 수프 등에 사용한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주로 신선한 콩나물 형태로 소비된다. 미국의 녹두 소비량은 연간 1인당 22~29g 정도인 반면,[44]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는 연간 1인당 2kg에 달할 수 있다.[45]

녹두는 많은 지역에서 대체 작물로 간주되며, 내건성이 있어 시장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사료 작물이 아닌 식량 작물이기 때문에 농가의 상품 작물 가격 변동성으로 인한 경제적 위험을 완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46] 녹두는 총 건중량의 약 20~50%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글로불린(60%)과 알부민(25%)이 주요 저장 단백질이다. 상당한 양의 식이 단백질 공급원으로 간주되며, 발아 과정에서 단백질 분해가 더욱 활발해진다. 녹두의 탄수화물은 소화가 잘되어 다른 콩류에 비해 사람에게 가스를 덜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 씨앗과 싹 모두 다른 곡물에 비해 칼로리가 낮아 비만 및 당뇨병 환자에게 유리할 수 있다.[10]

완전히 익힌 녹두는 일반적으로 말린 녹두를 삶아 부드러워질 때까지 익혀서 만든다. 껍질을 벗긴 녹두는 연한 노란색을 띤다.[2] 녹두 가루는 녹두의 껍질을 벗기고 익힌 후 가루로 만들어 건조시켜 만든다.[2]
지역별 요리

  • 인도: 인도 요리에서는 껍질이 있는 녹두를 가끔 사용하지만, 껍질을 벗긴 녹두(녹두 )를 더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카르나타카주, 마하라슈트라주, 오디샤주, 구자라트주, 케랄라주, 타밀나두주에서는 껍질이 있는 녹두를 삶아 과 함께 먹는 건조한 요리로 만들기도 한다. 껍질을 벗긴 녹두는 단맛이 나는 수프를 만드는 데도 사용된다. 마디아프라데시주와 라자스탄주에서는 녹두를 부분적으로 으깨 발효시켜 '망고드'라는 튀김으로 만들어 와 함께 즐기는 간식으로 먹는다. 고아주에서는 싹을 틔운 녹두를 코코넛 밀크를 베이스로 한 순한 카레인 '무응가 가티'로 요리한다. 오디샤주, 서벵갈주, 방글라데시에서는 껍질을 벗기고 쪼갠 녹두로 mug ḍal|무그 달bn이라는 수프 같은 달을 만든다. 남인도 카르나타카주, 타밀나두주, 텔랑가나주, 안드라프라데시주 그리고 마하라슈트라주에서는 찐 녹두를 향신료와 신선하게 간 코코넛으로 간을 한다. 특히 안드라프라데시주에서는 껍질이 있는 녹두 전체를 갈아 만든 반죽으로 pesarattu|페사라투te 또는 페사라 도사라고 불리는 인기 있는 도사를 만든다. 인도와 네팔,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에서는 껍질을 벗기고 두 개로 쪼갠 녹두를 (콩을 삶은 페이스트)로 만든다. 녹두와 을 함께 지은 쌀 요리(키치리 등)는 남아시아에서 중앙아시아에 걸쳐 널리 먹고 있다.
  • 파키스탄: 삶은 녹두 달을 삶은 흰 바스마티쌀과 함께 "달 차왈"이라는 요리로 즐겨 먹는다. 이 달에 버터를 넣으면 "달 마카니"라고 하며 차파티와 함께 먹는다.
  • 스리랑카: 삶은 녹두를 간 코코넛과 '루누-미리스'(매운 고추와 양파 삼발)와 함께 주로 아침 식사로 먹는다. 녹두는 또한 키리바스에 첨가되어 '무응-키리바스'라고 불린다. 전통적인 설날(4월)에는 녹두를 사용하여 '무응-카붐'이라는 전통적인 튀긴 과자를 만든다.
  • 중국: 중국 남부 요리에서는 껍질째 쓴 녹두를 이용해 탕수이라 불리는 디저트를 만들며, 따뜻하게 또는 차갑게 제공한다. 또한 밥과 함께 죽을 끓여 먹기도 한다. 껍질을 벗긴 녹두와 녹두 앙금은 홍콩에서 아이스크림이나 냉동 아이스 팝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2] 녹두 앙금은 중국 월병의 일반적인 소로 사용되며,[2] 단오절에는 삶아서 껍질을 벗긴 녹두를 종자의 소로 사용하여 먹는다.[2] 녹두를 부드러워질 때까지 삶아 액체 형태로 갈아서 단맛을 내어 음료로 만들어 마시기도 한다. 중국 남부와 베트남에서는 녹두 앙금에 설탕, 지방, 과일 또는 향신료를 섞어 반 더우잔과 같은 페이스트리를 만든다. 톈진 전병과 같은 요리의 재료로도 쓰이며, 베이징의 독특한 음료로는 녹두에서 전분을 추출할 때 생기는 윗물을 발효시킨 두즙이 있다.[74] 량펀의 원료로도 사용된다.[75] 녹두고라고 불리는 틀에 넣어 성형한 과자는 베이징, 계림 등의 명물이다.
  • 한국: 껍질을 벗긴 녹두를 물에 불려 갈아서 걸쭉한 반죽을 만들어 빈대떡이라는 한국식 부침개의 기본 재료로 사용한다. 호박전에도 흔히 사용된다. 16세기 전반의 『수운잡방』에는 녹두 전분을 이용한 면 요리법이 기록되어 있으며,[76] 1670년경의 『음식디미방』에서는 비슷한 제조법으로 만든 음식을 '수면'으로 기록하고 있다.[76] 전통적으로 녹두 전분은 냉면의 풀로 사용되었으며,[77] 함경도에서는 녹두 전분만을 사용한 압출면도 있다.[78] 녹두 전분을 걸러내어 을 만드는데, 이를 녹두묵이라고 부른다. 특히 치자 열매로 노랗게 색을 낸 것을 황포묵, 색을 내지 않은 것을 청포묵이라고 한다. 참고로, 한국어에서 전분을 일반적으로 "녹말"(녹말=綠末, "녹두 분말"의 약칭)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 녹두에서 유래했다.
  • 필리핀: '몽고 기사도' 또는 '발라통'이라고도 알려진 ''기니상 몽고''는 새우나 생선과 함께 녹두 전체를 사용한 짭짤한 스튜이다. 전통적으로 사순절 금요일에 먹으며, 닭고기나 돼지고기를 사용한 변형도 있다.[47][48][49] 녹두는 필리핀식 디저트 ''기나타앙 몽고''에도 사용되는데, 이는 코코넛 밀크설탕을 넣고 판단 잎이나 바닐라로 향을 낸 이다.[50][51] 녹두 페이스트는 ''호피아''라는 페이스트리와 필리핀 빵인 ''판 데 몽고''의 속으로도 사용된다.[52]
  • 인도네시아: 녹두 페이스트는 ''온데온데''와 ''박피아''의 속으로 사용된다. 또한 녹두를 사용하여 과 같은 질감의 인기 있는 디저트 간식인 ''에스 카창 히자우''를 만든다. 녹두는 설탕, 코코넛 밀크, 약간의 생강과 함께 요리한다.
  • 베트남: 달게 졸여 과 같은 디저트()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차갑게 굳힌 아이스캔디도 있다. 녹두의 체를 Chè đậu xanh|체 다우 산vi이라고 부른다. 녹두고라고 불리는 틀에 넣어 성형한 과자는 하이즈엉 등의 명물이다.
  • 중동: 일부 지역에서는 녹두와 쌀을 함께 조리한 māš wa-ruzz|마쉬 와-루즈ar라는 볶음밥과 비슷한 요리가 주식이다.
  • 일본: 주로 숙주나물의 원료(종자)로 사용되며,[70] 거의 전량을 중국(내몽골)에서 수입하고 있다.[72][73]


텔루구 , 녹두 크레페와 차트니 (안드라프라데시주)


필리핀식 ''기니상 몽고'' (쓴멜론과 새우)


필리핀식 ''호피아'' (녹두 페이스트 속)


청포묵(녹두묵)


말레이시아두리안 들어간 부부르 카창 히자우(녹두 디저트)

숙주나물
적절한 크기의 채반에서 수분을 유지하며 재배된 숙주나물. 조리가 가능한 상태이다.


녹두는 발아시켜 숙주나물로 먹기도 한다. 녹두를 낮에 4시간 동안 물에 담가 발아시키고, 나머지 시간은 어두운 곳에 보관한다. 숙주나물은 일주일 동안 인공 조명 아래 4시간 동안 재배할 수 있다.

숙주나물은 볶음 요리로, 특히 중국 요리에서 채소 반찬으로 자주 사용되며, 보통 마늘, 생강, 또는 맛을 더하기 위해 염장 건어물을 넣는다. 익히지 않은 숙주나물은 베트남 요리의 월남쌈 속 재료나 ''''의 고명으로 사용된다. 말레이시아 요리와 페라나칸 요리의 다양한 요리, 예를 들어 ''차 퀘이 티오'', ''호키엔 미'', ''미 레부스'', 그리고 ''파셈보''의 주요 재료이기도 하다.

한국에서는 살짝 익힌 숙주나물(숙주나물)을 흔히 반찬으로 먹는다. 데쳐서(1분 미만으로 끓는 물에 담근다) 찬물에 바로 식힌 후, 참기름, 마늘, 소금, 그리고 다른 재료들을 넣고 무친다.

필리핀에서는 숙주나물을 'togue'라고 부르며, ''룬피아''라는 롤의 일종인 ''룬피앙 토게''에 가장 흔히 사용된다.[53][54]

인도에서는 숙주나물을 풋고추, 마늘, 기타 향신료와 함께 요리한다. 인도네시아에서는 ''타후 이시''(속을 채운 두부)와 같은 속재료나 ''라원''과 ''소토''와 같은 많은 요리의 보조 재료로 자주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숙주나물을 모야시라고 부른다.
녹두 전분
사천식 매운 량펀


녹두에서 추출한 녹두 전분은 투명한 셀로판 국수(bean thread noodles, bean threads, glass noodles, 펀쓰(粉絲), 동펀(冬粉), 미엔(miến), 분 타우(bún tàu), 분 따오(bún tào)라고도 함)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셀로판 국수는 뜨거운 물에 불리면 부드럽고 미끄러워진다. 녹두 시트 또는 녹두 면이라고 불리는 셀로판 국수의 변형도 있다.

한국에서는 녹두 전분으로 만든 ''녹두묵''(청포묵이라고도 함)이라는 묵이 있다. 치자 색소를 첨가하여 노란색으로 착색한 비슷한 묵은 ''황포묵''이라고 한다.

중국 북부에서는 녹두 묵을 ''량펀''이라고 하며 여름철에 매우 인기 있는 음식이다. 학가인들은 녹두 묵에 설탕을 넣어 ''綠豆粉粿|리옥따우훈궤중국어''라는 디저트를 만든다.
기타 활용
콩 단백질을 사용한 식물성 계란 대안


녹두는 대체육 및 대체 계란(예: 비욘드 미트와 저스트 에그)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55]

또한, 한의학에서는 해열, 해독, 소염 작용이 있다고 여겨진다. 녹두에는 혈당치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 작용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79]

5. 2. 기타



녹두를 발아시킨 숙주나물은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녹두는 낮 동안 4시간 물에 담가 발아시키며, 나머지 시간은 어두운 곳에 보관하여 키운다. 숙주나물은 일주일 동안 인공조명 아래에서 하루 4시간씩 빛을 쬐어 재배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숙주나물은 단순히 "숙주"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요리법에서 숙주를 지칭할 때는 녹두나물이나 콩나물을 의미하는 경우가 있다.

숙주나물은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다.

  • 중국 요리: 볶음 요리의 채소 반찬으로 자주 사용되며, 보통 마늘, 생강, 또는 맛을 더하기 위해 염장 건어물을 넣는다.
  • 베트ナム 요리: 익히지 않은 숙주나물은 월남쌈의 속 재료나 의 고명으로 사용된다.
  • 말레이시아 요리페라나칸 요리: 차 퀘이 티오, 호키엔 미, 미 레부스, 파셈보 등 다양한 요리의 주요 재료이다.
  • 한국 요리: 살짝 데친 숙주나물(숙주나물한국어)은 흔한 반찬이다. 끓는 물에 1분 미만으로 데친 후 찬물에 바로 식히고, 참기름, 마늘, 소금 등을 넣고 무쳐 먹는다.
  • 필리핀 요리: 숙주나물을 togue|토게tl라고 부르며, 룸피아의 일종인 lumpia togue|룸피앙 토게tl라는 롤에 가장 흔히 사용된다.[53][54]
  • 인도 요리: 풋고추, 마늘, 기타 향신료와 함께 요리한다.
  • 인도네시아 요리: tahu isi|타후 이시id(속을 채운 두부)와 같은 음식의 속재료나 라원, 소토 같은 요리의 보조 재료로 자주 사용된다.
  • 일본 요리: 숙주나물을 모야시(일본어: もやし)라고 부른다.


녹두에서 추출한 전분은 다양한 음식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 당면: 녹두 전분으로 투명한 당면(영어: cellophane noodles, bean thread noodles, glass noodles 등으로 불림. 粉絲|펀쓰중국어, 冬粉|동펀중국어. miến|미엔vi, bún tàu|분 타우vi, bún tào|분 따오vi)을 만든다. 이 국수는 뜨거운 물에 불리면 부드럽고 미끄러워진다. 녹두 시트 또는 녹두 면이라고 불리는 변형도 있다.
  • :
  • 한국에서는 녹두 전분으로 ''녹두묵''(청포묵이라고도 함)이라는 묵을 만든다. 치자로 노랗게 물들인 것은 ''황포묵''이라고 한다.
  • 중국 북부에서는 녹두묵을 ''량펀''이라고 하며 여름철에 인기 있는 음식이다.
  • 디저트: 학가인들은 녹두묵에 설탕을 넣어 라는 디저트를 만든다.


최근 녹두는 대체육 및 대체 계란(예: 비욘드 미트와 이지 저스트의 저스트 에그)의 원료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55]
나라별 활용

  • 일본: 주로 숙주나물의 원료(종자)로 사용되며,[70] 거의 전량을 중국(내몽골)에서 수입한다.[72][73]
  • 중국: 당면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70] 외에도 월병과 같은 단 음식의 재료나 , 톈진 전병과 같은 요리의 재료로도 먹는다. 베이징의 독특한 음료로는 녹두에서 전분을 추출할 때 생기는 윗물을 발효시킨 두즙이 있다.[74] 량펀의 원료로도 사용된다.[75]
  • 한반도:
  • 16세기 전반의 요리책 『수운잡방』에는 녹두 전분을 물에 개어 가열하고, 구멍 뚫은 조롱박 껍질에 넣어 열탕에 떨어뜨려 면 모양으로 만들어 물에 헹구는 음식이 기록되어 있다.[76] 이는 『제민요술』의 당면 제조 원리와 유사하다.
  • 1670년경의 『음식디미방』에서는 비슷한 제조법으로 삼베실처럼 만든 음식을 '수면(水麵)'으로 기록하고 있다.[76]
  • 전통적으로 녹두 전분은 냉면의 풀로 사용되었다.[77] 함경도에서는 녹두 전분만 사용한 압출면이 있다.[78]
  • 중국과 마찬가지로 를 만들거나, 물에 불린 후 갈아서 반죽으로 의 일종인 빈대떡을 만든다.
  • 전분을 걸러내어 을 만드는데, 이를 녹두묵이라고 부른다. 특히 치자 열매로 색을 낸 것을 황포묵, 색을 내지 않은 것을 청포묵이라고 부른다. 참고로, 한국어에서는 녹두에서 유래하여 전분을 일반적으로 "녹말"(綠末, "녹두 분말"의 약칭)이라고 부른다.
  • 홍콩, 싱가포르, 베트남: 달게 졸여 과 같은 디저트(광둥 요리탕수이, 베트남의 체 등)로 만들거나, 그것을 차갑게 굳힌 아이스캔디로도 먹는다. 녹두 탕수이를 녹두탕 또는 녹두사, 녹두 체를 Chè đậu xanh|체 더우 싸인vi이라고 부른다. 녹두고라고 불리는 틀에 넣어 성형한 과자베트남하이즈엉이나 중국의 베이징, 계림 등의 명물이다.

효능

  • 한방: 해열, 해독, 소염 작용이 있다고 여겨진다.
  • 건강 효과: 녹두에는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 작용이 있다.[79]

6. 역사

녹두는 인도에서 처음 경작되었으며, 그 조상인 야생종(Vigna radiata subspecies sublobataund) 역시 인도에서 자생했다.[80][81][56][57]

기원전 2천년경의 인도 경전인 야주르베다 제4장에서는 녹두를 중요한 곡물 중 하나로 언급하며 'मुद्ग|무드가sa(mudga)'라고 불렀다. 이 경전에는 풍년을 기원하며 루드라 신에게 녹두를 바치는 내용(मु॒द्गाश्च॑ मे॒ खल्वा॑श्च मे)이 쉬리 루드람의 한 부분으로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오늘날 시바 숭배에서도 널리 행해지는 찬가이다.[58][59] 또한 녹두는 베다 점성술에서 아홉 가지 상서로운 곡물인 나브다냐 중 하나로 여겨지며, 수성(부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60][61][62]

인도의 여러 고고학 유적지에서는 탄화된 녹두가 발견되었다.[63] 가장 오래된 것 중 일부는 약 4,500년 전의 것으로, 오늘날 파키스탄에 속하는 하라파 문명의 동부 지역과 인도 서부 및 북서부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오늘날 카르나타카 주가 위치한 남인도에서도 4,000년 이상 된 녹두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발견을 근거로 일부 학자들은 녹두가 인도의 북서부와 남부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57] 남인도에서는 약 3,500년에서 3,000년 전에 더 큰 씨앗을 가진 녹두 품종이 나타난 증거도 있다.[57] 약 3,500년 전 무렵에는 인도 전역에서 녹두가 널리 재배되었다.

10일 동안 녹두의 발아 과정을 담은 타임랩스 영상


재배된 녹두는 이후 인도에서 중국동남아시아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태국 남부의 카오 삼 카오(Khao Sam Kaeo) 유적지에서 이루어진 고고식물학 연구 결과는 녹두가 최소 2,200년 전에는 태국에 도달했음을 보여준다.[64]

7. 민속


  • 동학 농민 운동 때 전봉준 장군을 소재로 한 민요 《새야새야 파랑새야》에 녹두장군 전봉준을 빗댄 "녹두밭에 앉지 마라"라는 구절이 등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Plant List: A Working List of All Plant Species http://www.theplantl[...] 2015-01-13
[2] 웹사이트 Brief Introduction of Mung Bean. Vigna Radiata Extract Green Mung Bean Extract Powder Phaseolus aureus Roxb Vigna radiata L R Wilczek. MDidea-Extracts Professional. P054. http://www.mdidea.co[...] 2018-06-12
[3] 웹사이트 The World's Fastest Dictionary http://www.vocabular[...] Vocabulary.com 2011-06-29
[4] 웹사이트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Uzbekistani Mung Beans https://www.tridge.c[...] 2020-02-21
[5] 웹사이트 Mung bean | Define Mung bean at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 Dictionary.reference.com 2012-08-22
[6] 서적 Philippine Food, Cooking, & Dining Dictionary Anvil Publishing, Incorporated 2017
[7] 서적 Growing Food A Guide to Food Production Springer 2007
[8] 웹사이트 Munggo https://www.tagalogl[...] 2024-04-18
[9] 웹사이트 Chinese English Pinyin Dictionary https://chinese.yabl[...] 2024-04-18
[10] 논문 A critical review on phytochemical profile and health promoting effects of mung bean (Vigna radiata) 2018-03-01
[11] 웹사이트 Mung bean (Vigna radiata) https://www.feediped[...] 2021-12-05
[12] 서적 Mungbean https://doi.org/10.1[...] Springer 2021-12-05
[13] 논문 Plant Resources of Tropical Africa 1. Cereals and Pulses https://bioone.org/j[...] 2007-04-01
[14] 웹사이트 The Growth Stages of Mung Beans https://www.hunker.c[...] 2021-12-05
[15] 논문 Mungbean in Southeast Asia and East Africa: varieties, practices and constraints 2021-01-21
[16] 서적 Grain legumes: evolution and genetic resour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17] 서적 Azuki Bean [Vigna angularis (Willd.) Ohwi & Ohashi http://dx.doi.org/10[...] CRC Press 2021-12-05
[18] 웹사이트 Counting_on_beans: mungbean_improvement_in_Asia https://assets.publi[...]
[19] 웹사이트 Varieties https://web.archive.[...] 2021-12-05
[20] 웹사이트 Mungbean_Summer_Cultivation_in_India https://www.research[...]
[21] 웹사이트 Mungbean https://hort.purdue.[...] 2021-12-05
[22] 서적 The beans and the peas from orphan to mainstream crops https://www.worldcat[...] 2020
[23] 웹사이트 Harvest https://web.archive.[...] 2021-12-05
[24] 웹사이트 Alternative Agriculture - Iowa State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21-12-05
[25] 논문 Biotic and Abiotic Constraints in Mungbean Production—Progress in Genetic Improvement 2019
[26] 웹사이트 https://www.cabdirec[...]
[27] 논문 Identification of Sources of Resistance to the Beanfly and Two Other Agromyzid Flies in Soybean and Mungbean12 1980-04-01
[28] 논문 Determination of economic injury levels of Maruca vitrata in mungbean https://worldveg.tin[...]
[29] 논문 Inheritance of seed resistance to bruchids in cultivated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ek) 2007-05-01
[30] 논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alo blight in Australian mungbeans: a review https://www.publish.[...] 2019-03-18
[31] 논문 Mungbean yellow mosaic virus (MYMV): a threat to green gram (Vigna radiata) production in Asia 2014-10-02
[32] 논문 Diseases of major pulse crops in Pakistan—a review 1988-01-01
[33] 논문 Charcoal rot (Macrophomina phaseolina) on mung bean. https://web.archive.[...] 1979
[34] 서적 Towards Development of Climate Smart Mungbean: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9
[35] 논문 Evidence for a role of exogenous glycinebetaine and proline in antioxidant defense and methylglyoxal detoxification systems in mung bean seedlings under salt stress 2010-01-01
[36] 논문 Salinity and High Temperature Tolerance in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ek] from a Physiological Perspective 2016-01-01
[37] 서적 Breeding Progress and Future Challenges: Abiotic Stresses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1-11-28
[38] 논문 Drought Response of Grain Legumes Under Irrigation Gradient: I. Yield and Yield Components1 https://onlinelibrar[...] 1984-01-01
[39] 논문 Spectrum of Epithelial Neoplasms in End-Stage Renal Disease: An Experience From 66 Tumor-Bearing Kidneys With Emphasis on Histologic Patterns Distinct From Those in Sporadic Adult Renal Neoplasia https://journals.lww[...] 2006-02-01
[40] 논문 Variation in pre-harvest sprouting tolerance and fresh seed germination in mungbean (Vigna radiata L.) genotypes https://www.cambridg[...] 2018-10-01
[41] 웹사이트 Home https://avrdc.org/ 2021-12-05
[42] 논문 Safety of mung bean protein as a novel food pursuant to Regulation (EU) 2015/2283 2021-01-01
[43] 논문 Chemistry and technology of green gram (Vigna radiata [L.] Wilczek) https://doi.org/10.1[...] 1986-01-01
[44] 웹사이트 Publications Treesearch https://www.fs.usda.[...] 2021-12-05
[45] 서적 Enhanced bioavailability of iron from mungbeans and its effects on health of schoolchildren https://www.worldcat[...] AVRDC-the World Vegetable Center 2003-01-01
[46] 논문 Chapter 7 - Gluten-free noodles https://www.scienced[...] Woodhead Publishing 2021-12-05
[47] 웹사이트 Ginisang Munggo http://www.filipinoc[...] 2018-04-07
[48] 웹사이트 Ginisang Munggo (Sauteed Mung Beans) and a Bunch of Awards http://www.pinaycook[...]
[49] 웹사이트 Ginisang Munggo at Tinapa https://www.kawaling[...] 2017-06-26
[50] 웹사이트 Ginataang Munggo https://www.kawaling[...] 2019-04-09
[51] 웹사이트 Lelot Balatong https://www.angsarap[...] 2013-05-22
[52] 웹사이트 Monggo Bread https://filcanbites.[...] 2020-01-20
[53] 웹사이트 Bean Sprouts Spring Rolls https://casaveneraci[...] 2012-07-26
[54] 웹사이트 Lumpiang Togue Recipe (Spring Roll) https://web.archive.[...] 2016-04-18
[55] 뉴스 There's a Multibillion-Dollar Race On to Replace the Chicken Egg https://www.bloomber[...] 2019-05-16
[56] 서적 The Asian Vigna: genus Vigna subgenus Ceratotropis genetic resources Kluwer
[57] 논문 Contrasting patterns in crop domestication and domestication rates: recent archaeobotanical insights from the Old World 2007-01-01
[58] 웹사이트 Sri Rudram - Complete Lyrics - Namakam and Chamakam with Meanings https://www.templepu[...] 2020-12-10
[59] 웹사이트 Yajurveda/18/12 Ved Portal - Search & Read https://xn--j2b3a4c.[...] 2024-07-01
[60] 웹사이트 13 Ways to Increase the Power of Mercury in Astrology https://www.wikihow.[...] 2024-07-01
[61] 웹사이트 Sacred Navadhanyas - Names in multiple languages https://www.vedadhar[...] 2024-07-01
[62] 서적 Hinduism and Nature Penguin Random House India 2017-01-01
[63] 논문 The archaeobotany of Indian Pulses: identification, processing and evidence for cultivation 2006-01-01
[64] 서적 50 Years of Archaeology in Southeast Asia: Essays in Honour of Ian Glover River Books 2010-01-01
[65] YList 2023-09-19
[66] YList 2023-09-19
[67] YList 2023-09-19
[68] 웹사이트 日本食品標準成分表2015年版(七訂) https://www.mext.go.[...]
[69] 웹사이트 日本人の食事摂取基準(2015年版) https://www.mhlw.go.[...]
[70] 서적 mame_no_jiten 2000-01-01
[71] 서적
[72] 서적 エライ!もやしのおかず&つまみ81
[73] 웹사이트 農林水産省 - 消費者の部屋(平成16年3月回答) https://web.archive.[...] 2004-03-00 # 정확한 날짜 정보 부족으로 월까지만 표기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저널 豆類ポリフェノールの抗酸化活性ならびにα-アミラーゼおよびα-グルコシダーゼ阻害活性
[80] 서적 The Asian Vigna: genus Vigna subgenus Ceratotropis genetic resources Kluwer
[81] 저널 Contrasting patterns in crop domestication and domestication rates: recent archaeobotanical insights from the Old Worl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