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UNSPSC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NSPSC(United Nations Standard Products and Services Code)는 제품 및 서비스의 분류를 위한 표준화된 코드 체계이다. 1998년 유엔 개발 계획(UNDP)과 던 & 브래드스트리트의 협력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ECCMA를 거쳐 현재는 GS1 US가 관리한다. UNSPSC 코드는 세그먼트, 패밀리, 클래스, 코모디티의 4단계로 구성되며, 영어, 한국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로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엔 개발 계획 - 환경과 개발에 관한 리우 선언
    환경과 개발에 관한 리우 선언은 1992년 리우 회의에서 채택되어 지속 가능한 개발의 원칙을 담고 있으며, 인류 중심 개발, 국가의 자원 개발 권리, 환경 보호, 국제 협력을 강조하며 27개의 원칙을 제시한다.
  • 유엔 개발 계획 - 인간 개발 보고서
    인간 개발 보고서는 유엔 개발 계획이 1990년부터 매년 발표하는 보고서로, 각국의 인간 개발 정도를 측정, 분석하여 제시하며, 마흐부브 울 하크와 아마르티아 센에 의해 처음 발간되어 인간 개발 지수를 포함한 다양한 지표를 통해 국가별 인간 개발 수준을 비교하고 특정 주제에 대한 분석과 정책 제언을 제공한다.
  • 식별자 - 아카이벌 리소스 키
    아카이벌 리소스 키(ARK)는 디지털, 물리적, 추상적 자원의 영구적인 식별을 위한 체계로, 분산된 웹 환경에서 관리 주체의 약속을 통해 객체의 보존과 접근성을 제공하며, ARK Alliance가 국제적인 사용을 장려하고 한국에서도 활용된다.
  • 식별자 - 바코드
    바코드는 다양한 폭의 막대와 공백 조합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기호로, 상품 식별, 재고 관리 등에 사용되며 1차원과 2차원 바코드가 존재하고 바코드 스캐너로 판독되어 산업 효율성을 높인다.
UNSPSC
상품 및 서비스 분류
명칭유엔 표준 제품 및 서비스 분류
원어 명칭United Nations Standard Products and Services Code
약칭UNSPSC
관리 기관GS1
사용 목적지출 분석
공급망 관리
전자 조달
유형상품 및 서비스 분류 체계
언어영어
상세 정보
계층 구조부문(2자리)
과(4자리)
종류(7자리)
품목(8자리)

2. 역사

UNSPSC는 1998년 유엔 개발 계획(UNDP)과 던 & 브래드스트리트[5]가 공동으로 개발하여 시작되었다. 최초 버전 개발은 피터 R. 벤슨(Peter R. Benson)이 감독했으며, 델파이 기법(Delphi method)을 응용하여 코드 관리 절차를 설계했다.

초기에는 1999년 설립된 비영리 회원 협회인 ECCMA가 코드 관리를 담당했으나, 2003년 5월부터는 GS1 US가 코드 관리자로 지정되어 현재까지 이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GS1 US는 코드 변경 요청 감독, 코드 수정, 정기 업데이트 발행 및 특별 프로젝트 관리 등을 책임진다.[6] 한편, ECCMA는 이후 개방형 기술 사전(eOTD) 및 국제 표준인 ISO 22745와 ISO 8000 개발에 집중했다.

2. 1. 버전 역사

UNSPSC는 1998년 9월 29일 존 S. 스벤센(John S. Svendsen) 유엔 개발 계획(UNDP) 유관 기관 조달 서비스 사무소(IAPSO) 국장과 1998년 11월 1일 던 & 브래드스트리트사(Dun & Bradstreet Corporation) 부사장 로렌스 M. 바스(Lawrence M. Barth)가 양해 각서(Memorandum of Understanding)에 서명함으로써 조직되었다. 최초 버전 개발은 피터 R. 벤슨(Peter R. Benson)이 감독했으며, 그는 델파이 기법(Delphi method)의 수정을 통해 코드 관리 절차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역할도 했다. 이 절차는 지배나 영향력 없이 합의를 신속하게 도출할 수 있도록 했다.

ECCMA, 비영리 회원 협회는 UNSPSC를 관리하고 홍보하기 위해 1999년에 설립되어 버전 6.0315가 출시된 2003년 3월까지 운영되었다. 이후 UNDP는 2003년 5월에 GS1 US를 코드 관리자로 임명했으며 ECCMA는 ECCMA 개방형 기술 사전(eOTD) 및 국제 표준 ISO 22745와 ISO 8000을 개발했다.

버전별 총 품목 수
버전총 품목 수
UNv26.0801158,448
UNv25.0901
UNv24.0301157,116
UNv23.0701156,936
UNv22.0601156,478
UNv21.0901
UNv20.060187,477
UNv19.050183,196
UNv18.0801
UNv17.100177,350
UNv14.080149,069
UNv09.050121,718
UNv08.120119,038


3. 구성

UNSPSC 코드는 상품 및 서비스를 분류하기 위한 계층적 구조를 가진다. 코드는 기본적으로 세그먼트(Segment), 패밀리(Family), 클래스(Class), 코모디티(Commodity)의 네 단계로 구성된다.[3] 각 단계는 두 자리 숫자로 표현되어 총 8자리 코드를 형성한다. 각 상위 단계(세그먼트, 패밀리, 클래스) 자체를 나타낼 때는 해당 단계의 마지막 두 자리에 '00'을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비즈니스 기능(예: 도매, 소매, 임대 등)을 나타내기 위해 다섯 번째 단계로 두 자리 숫자를 추가할 수 있다.[4] 코드 구조의 구체적인 예시는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코드 구조 예시 (한국어 문서 기반)

코드는 세그먼트(Segment), 패밀리(Family), 클래스(Class) 그리고 코모디티(Commodity) 총 네 개 단계로 나뉜다.[3] 각 단계는 두 자리 숫자로 표현되며, '00'은 각 단계(세그먼트, 패밀리, 클래스)에 고유한 8자리 숫자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아래는 '고양이'를 예시로 한 코드 구조이다.

UNSPSC 코드 예시 (동물)
단계코드설명
Segment10000000산동식물및동식물성생산품
Family10100000산동물
Class10101500가축류
Commodity10101501고양이



위 표에 따라 '고양이'는 10101501로 표현하고, ''는 10101502, 그리고 ''는 10101516으로 표현한다. '가축'이라는 클래스는 10101500, '산동물'이라는 패밀리는 10100000, 그리고 이것들의 최상위에 있는 세그먼트 '산동식물및동식물성생산품'은 10000000이다.

다른 예시로 '연필심 리필'의 코드는 다음과 같다.

UNSPSC 코드 예시 (사무용품)
단계코드설명
세그먼트44000000사무용 장비, 부속품 및 용품
패밀리44120000사무용품
클래스44121900잉크 및 연필심 리필
상품44121902연필심 리필



선택적으로, 다섯 번째 단계로 비즈니스 목적(예: 도매, 소매, 임대 등)을 위해 추가적인 두 자리를 사용할 수 있다.[4]

3. 2. 코드 구조 예시 (영어 문서 기반)

코드의 주요 4단계는 세그먼트(Segment), 패밀리(Family), 클래스(Class), 상품(Commodity)으로 구성된다.[3]

각 단계는 두 자리 십진수로 표현되며, '00'은 해당 단계 자체를 나타내는 코드로 사용되어 세그먼트, 패밀리, 클래스는 각각 고유한 8자리 코드를 갖게 된다.

단계코드설명
세그먼트10000000생물, 식물 및 동물 재료, 부속품 및 용품
패밀리10100000살아있는 동물
클래스10101500가축
상품10101501고양이



예를 들어, '고양이'의 코드는 10101501, '개'는 10101502, '소'는 10101516이다. 이 상품들은 모두 '가축' 클래스(10101500)에 속하며, '가축' 클래스는 '살아있는 동물' 패밀리(10100000)에 포함된다. 그리고 이 패밀리는 '생물, 식물 및 동물 재료, 부속품 및 용품' 세그먼트(10000000)의 일부이다.

다른 예시는 다음과 같다.

단계코드설명
세그먼트44000000사무용 장비, 부속품 및 용품
패밀리44120000사무용품
클래스44121900잉크 및 연필심 리필
상품44121902연필심 리필



필요에 따라 '소매'나 '도매'와 같은 비즈니스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마지막에 두 자리를 추가할 수도 있다.[4]

4. 최상위 레벨

UNSPSC 분류 체계는 상품과 서비스를 계층적으로 분류하며, 가장 상위 레벨은 다음과 같은 주요 산업 및 서비스 분야로 구성된다. 각 상위 레벨은 더 세분화된 하위 분류를 포함한다.

4. 1. 주요 분류 (영어 문서 기반)

다음은 UNSPSC 분류 체계의 상위 두 단계이다.

5. 사용 언어

이 코드 세트는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한국어, 네덜란드어, 중국어, 포르투갈어,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헝가리어로 제공된다. 최신 PDF 버전의 코드 세트는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지만, 사용자 계정이 필요하며 이는 무료로 생성할 수 있다. 엑셀 형식의 버전은 회원에게 제공되며, 회원은 코드 변경 및 추가 제안을 할 수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UNSPSC https://www.unspsc.o[...]
[2] 웹사이트 FINAL REPORT REVIEW OF THE FUNCTIONING OF THE CPV CODES/SYSTEM http://ec.europa.eu/[...] 2017-03-15
[3]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unspsc.o[...] 2020-02-25
[4] 웹사이트 UNSPSC Classification Guidelines http://www.unece.org[...] Uniform Code Council, Inc. 2017-03-15
[5] 서적 The supply management handbook McGraw-Hill Professional
[6]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unspsc.or[...] UNSPSC 2016-07-13
[7] 웹인용 대한민국 조달청이 정부 보유 물품의 관리와 전자상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각종 물품 및 서비스의 분류 정보를 등록·관리하고 있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근거 규정: 「물품목록정보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상품정보시스템 http://goods.g2b.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