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칭은 수학, 과학, 자연, 사회적 상호 작용,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는 개념으로, 대상의 특정 변환에 대해 불변성을 갖는 성질을 의미한다. 수학에서는 기하학적 대칭, 논리에서의 대칭, 대칭군, 대칭행렬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물리학에서는 자연 법칙의 불변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생물학에서는 신체 형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화학에서는 분자 간 상호 작용의 기반이 된다.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는 상호성, 공감 등과 관련되며, 예술에서는 건축, 도자기, 카펫,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미적 요소로 활용된다. 심리학 및 신경과학에서는 인간의 대칭 인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각적 대칭 처리에 뇌의 여러 영역이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2. 수학에서의 대칭

주어진 수학적 연산에 대해 수학적 대상이 '대칭적'이라는 것은, 그 대상에 연산을 적용했을 때 그 대상의 어떤 성질이 보존되는 경우를 말한다.[15] 대상의 주어진 성질을 보존하는 연산들의 집합은 군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수학의 모든 종류의 구조는 그 자체의 대칭성을 가진다. 미적분학의 짝함수와 홀함수, 추상대수학대칭군, 선형대수학대칭행렬, 갈루아 이론갈루아 군 등이 그 예이다. 통계학에서는 대칭성이 대칭 확률 분포와 왜도(분포의 비대칭성)로 나타난다.[16]

어떤 대상 M이 대칭성 S를 가진다는 것은, S로 지정된 연산을 M에 적용해도 M이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56] 이러한 연산을 "대칭 연산" 또는 "변환"이라고 한다.[56] 예를 들어, 구가 회전 대칭성을 가진다는 것은, 구의 중심을 지나는 임의의 직선을 축으로 하여 어떤 각만큼 회전시켜도 원래의 구와 완전히 겹친다는 것을 의미한다.[56]

2. 1. 기하학적 대칭

기하학적 도형이나 물체는 조직적인 방식으로 배열된 두 개 이상의 동일한 조각으로 나눌 수 있다면 대칭적이다.[5] 즉, 물체의 개별 부분을 이동시키는 변환이 있더라도 전체 모양이 변하지 않는다면 대칭적이다. 대칭의 종류는 조각이 배열된 방식 또는 변환의 유형에 따라 결정된다.

  • 어떤 물체가 반사 대칭(선대칭 또는 거울 대칭)을 갖는 것은 그것을 통과하는 선(또는 3D에서는 평면)이 있어 그것을 서로 거울상인 두 조각으로 나누는 경우이다.[6]
  • 어떤 물체가 회전 대칭을 갖는 것은 고정된 점(또는 3D에서는 선)을 중심으로 회전시켜도 전체 모양이 변하지 않는 경우이다.[7]
  • 어떤 물체가 평행 이동 대칭을 갖는 것은 그것을 평행 이동(물체의 모든 점을 같은 거리만큼 이동)시켜도 전체 모양이 변하지 않는 경우이다.[8]
  • 어떤 물체가 나선 대칭을 갖는 것은 나사축이라고 알려진 선을 따라 3차원 공간에서 동시에 평행 이동하고 회전할 수 있는 경우이다.[9]
  • 어떤 물체가 척도 대칭을 갖는 것은 확대 또는 축소해도 모양이 변하지 않는 경우이다.[10] 프랙탈 또한 프랙탈의 작은 부분이 더 큰 부분과 모양이 닮은 형태의 척도 대칭을 보인다.[11]
  • 다른 대칭에는 미끄럼 반사 대칭(반사 후 평행 이동)과 회전 반사 대칭(회전과 반사의 조합[12])이 있다.


일반적으로 “어떤 대상 M이 대칭성 S(S 대칭성)을 가진다”는 것은 “S”로 지정된 연산을 M에 적용해도 M이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56] 이러한 연산을 “대칭 연산”이라고도 하며, “변환”이라고도 한다.[56] 예를 들어, “구는 회전 대칭성을 가진다”고 하면, 구는 그 중심을 지나는 임의의 직선을 축으로 하여 어떤 각만큼 회전시켜도 원래의 구와 완전히 겹친다는 것을 의미한다.[56]

맨섬의 기에 있는 갑옷을 입은 트리스켈리온은 3회 회전 대칭을 가지고 있다.


y=x²은 y축을 기준으로 대칭이고 y=x³은 원점(0, 0)을 기준으로 대칭이다.

2. 2. 논리에서의 대칭

이항 관계 R = S × S가 대칭적이라는 것은, S의 모든 원소 a, b에 대해, Rab가 참이면 Rba도 참인 경우를 말한다.[13] 예를 들어, "같은 나이이다"라는 관계는 대칭적이다. 왜냐하면 만약 Paul이 Mary와 같은 나이라면, Mary도 Paul과 같은 나이이기 때문이다.

명제 논리에서 대칭적인 이항 논리 연결사에는 "그리고"(∧ 또는 &), "또는"(∨ 또는 |), 그리고 "만약 그리고 오직 만약"(↔)가 포함되지만, "만약(→)"는 대칭적이지 않다.[14] 다른 대칭적인 논리 연결사로는 "낫-앤드"(nand, ⊼), "배타적 또는(xor, ⊻)", 그리고 "낫-오어"(nor, ⊽)가 있다.

2. 3. 기타 수학 분야

앞 절의 기하 대칭성을 일반화하면, 주어진 수학적 연산에 대해 수학적 대상이 '대칭적'이라는 것은, 그 대상에 연산을 적용했을 때 그 대상의 어떤 성질이 보존되는 경우를 말한다.[15] 대상의 주어진 성질을 보존하는 연산들의 집합은 군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수학의 모든 종류의 구조는 그 자체의 대칭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미적분학의 짝함수와 홀함수, 추상대수학대칭군, 선형대수학대칭행렬, 갈루아 이론갈루아 군 등이 있다. 통계학에서는 대칭성이 대칭 확률 분포와 왜도(분포의 비대칭성)으로 나타난다.[16]

문자를 바꾸어도 원래 식과 변하지 않는 식을 대칭식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x2+xy+y2는 x와 y의 자리 바꿈에 대해 변하지 않는 대칭식이다.

3. 과학과 자연에서의 대칭

좌우 또는 상하에 같은 형의 것이 놓여져 중심축을 에워싸고 여러 부분이 양쪽에 대응하여 놓여 있는 상태를 균정, 상칭, 대칭이라 부르는데, 이 상태가 시머트리이다. 시머트리는 균형의 가장 원칙적인 것으로서 자연물이나 조형물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시머트리 사물을 보면 안정감이 있어 엄숙하거나 장중하다는 느낌을 받는다.[58]

일반적으로 “어떤 대상 M이 대칭성 S(S 대칭성)을 가진다”는 것은 “S”로 지정된 연산을 M에 적용해도 M이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56] 이러한 연산을 “대칭 연산” 또는 “변환”이라고 한다.[56] 예를 들어, 구는 그 중심을 지나는 임의의 직선을 축으로 하여 어떤 각만큼 회전시켜도 원래의 구와 완전히 겹치기 때문에 회전 대칭성을 가진다.[56]

물리학, 생물학, 화학 등 과학 분야에서 대칭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3. 1. 물리학에서의 대칭

물리학에서 대칭은 어떤 종류의 변환, 예를 들어 임의의 좌표 변환 하에서의 변화 부재, 즉 불변성을 의미한다.[17] 이 개념은 자연의 거의 모든 법칙이 대칭성에서 비롯된다는 것이 분명해짐에 따라 이론 물리학의 가장 강력한 도구 중 하나가 되었다.[18] P. W. 앤더슨은 "물리학이 대칭성 연구라고 말하는 것은 약간 과장된 표현일 뿐이다"라고 말했다.[18]

네터 정리에 따르면, 모든 연속적인 수학적 대칭에 대해 에너지나 운동량과 같은 보존량이 존재한다.[19] 또한, 위그너의 분류에 따르면 자연에서 발견되는 입자의 특성을 결정하는 것은 물리 법칙의 대칭성이다.[20]

물리학에서 중요한 대칭성은 다음과 같다.

  • 연속 대칭과 이산 대칭의 시공간
  • 입자의 내부 대칭
  • 물리 이론의 초대칭성


결정구조는 병진 대칭성, 회전 대칭성 및 거울상 대칭성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들은 점군, 공간군으로 분류된다.

3. 2. 생물학에서의 대칭

생물학에서 대칭 개념은 주로 신체 형태를 설명하는 데 명시적으로 사용된다. 좌우 대칭 동물은 인간을 포함하여 몸을 좌우 반으로 나누는 시상면에 대해 다소 대칭적이다.[21]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물은 반드시 위아래, 머리와 꼬리 끝, 그리고 좌우가 있다. 머리는 입과 감각 기관이 특화되고, 몸은 근육과 골격 요소의 대칭적인 쌍을 가진 운동을 목적으로 좌우 대칭이 되지만, 내부 기관은 종종 비대칭적인 상태를 유지한다.[22]

많은 동물은 거의 거울 대칭이지만, 내부 기관은 종종 비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말미잘과 같은 부착성(부착된) 동물은 종종 방사형 또는 회전 대칭을 가지는데, 이는 먹이 또는 위협이 어느 방향에서든 올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다. 오각형 대칭은 극피동물에서 발견되는데, 여기에는 불가사리, 성게, 그리고 바다나리가 포함된다.[23]

생물학에서 대칭 개념은 물리학에서처럼 사용되기도 하는데, 즉 연구 대상의 특성, 상호 작용을 포함하여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생물 진화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새로운 부분과 역동성이 나타남에 따라 대칭이 변한다는 것이다.[24][25]

3. 3. 화학에서의 대칭

대칭은 화학에서 매우 중요하다. 자연계에서 분자 간의 거의 모든 특정 상호 작용의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현대 화학 합성에서 생성되는 분자의 대칭을 제어하는 것은 과학자들이 최소한의 부작용으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대칭에 대한 엄격한 이해는 양자 화학과 분광법 및 결정학의 응용 분야에서 기본적인 관찰 결과를 설명한다. 물리 과학의 이러한 분야에 대한 대칭 이론과 응용은 군론이라는 수학 분야에 크게 의존한다.[26]

4.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의 대칭

사람들은 상호성, 공감, 연민, 사과, 대화, 존중, 정의, 복수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회적 상호 작용의 대칭적 성격(비대칭적 균형 포함)을 관찰한다.[34]

대칭적인 상호 작용은 "우리는 모두 같다"는 도덕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반면, 비대칭적인 상호 작용은 "나는 특별하다; 너보다 낫다"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황금률에 의해 지배될 수 있는 또래 관계는 대칭에 기반을 두는 반면, 권력 관계는 비대칭에 기반을 둔다.[35] 대칭적인 관계는 어느 정도 대칭 게임과 같은 게임 이론에서 볼 수 있는 간단한 전략(tit for tat)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36]


  • 상호호혜

5. 예술에서의 대칭

좌우 또는 상하에 같은 형태의 것이 놓여 중심축을 에워싸고 여러 부분이 양쪽에 대응하여 놓인 상태를 균정, 상칭, 대칭 등으로 부르는데, 이러한 상태가 시머트리이다. 시머트리는 균형의 가장 원칙적인 것으로, 자연물이나 조형품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시머트리 사물을 보면 안정감, 엄숙함, 장중함 등의 느낌을 받는다.[58]

예술 분야에서는 '''대칭(symmetry)''' 또는 '''시메트리(symmetry)'''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사람이나 사물의 배치, 방향, 안무, 포즈 등에서 기준선(주로 그 자리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거울면 대칭을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평면적인 대칭성에 대해 사용되며, 입체적인 대칭성에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구어에서는 '시메(symmetry)'라고 줄여 부르기도 한다. 예술에서의 대칭은 정렬성을 연상시켜 “아름답다”고 평가되기도 하지만, 동물적이지 않아 무기질적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미술에서의 대칭은 대상을 중심선으로 나누었을 때 좌우가 대칭적인 양식미를 가리킨다. 실제 인간에게서는 완전히 좌우가 대칭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대칭에서 보이는 양식미는 동경의 이상미라고 할 수 있다.

삼존불처럼 본존을 중심으로 종자를 좌우에 거느린 경우,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좌우 하방에 사도들을 그린 책형도, 교회, 사찰, 신전 등 종교 관련 조형물에는 시머트리가 많이 나타난다. 이는 시머트리가 갖는 장중함의 효과를 살린 것이다.[58] 예를 들어, 형식상 본존의 발이나 손 언저리에 좌우 사소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그 밖에는 모두 시머트리로 되어 있다.

회화나 조각 등 종교와 관련 없는 작품에서도 시머트리가 기초가 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러한 경우 좌우(또는 상하)에 다소 변화를 주어 극단적인 시머트리를 피한다. 이는 시머트리의 침착성과 정숙성 효과를 살리면서도 냉정성과 견고성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58]

사람들은 얼굴의 좌우대칭을 신체적으로 매력적으로 느끼는 경향이 있는데,[51] 이는 건강과 유전적 건강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52][53] 반대로, 과도한 대칭은 지루하거나 재미없게 인식되기도 한다. 루돌프 아른하임은 사람들이 어느 정도의 대칭을 가지면서도, 동시에 흥미를 느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복잡한 모양을 선호한다고 제안했다.[54]

5. 1. 건축에서의 대칭

타지마할은 측면에서 보면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위에서 보면(평면도에서) 사중 대칭을 이룬다.


대칭은 건물의 전체적인 외관에서부터 개별 평면도의 배치, 타일 모자이크와 같은 개별 건축 요소의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규모의 건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딕 대성당, 백악관과 같은 건물에서 이러한 대칭을 찾아볼 수 있다.[38] 이슬람 건축물인 타지마할과 롯폴라 모스크는 구조와 장식 모두에서 정교한 대칭을 사용한다.[39] 알함브라 궁전과 같은 이슬람 건축물은 병진 대칭, 반사 대칭, 회전 대칭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복잡한 패턴으로 장식되어 있다.[40]

한국의 전통 건축에서도 대칭성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궁궐, 사찰, 서원 등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경복궁 근정전은 좌우대칭을 통해 왕권의 위엄과 질서를 강조한다.

"나쁜 건축가는 '블록, 질량 및 구조의 대칭적 배열'에만 의존한다"는 말이 있다.[41] 모더니즘 건축은 인터내셔널 스타일부터 시작하여 "날개와 질량의 균형"에 의존한다.[41]

5. 2. 도자기와 금속 용기

점토 용기를 만드는 데 도자기틀을 사용하기 시작한 이래로, 도자기는 대칭과 밀접한 관련을 맺어왔다. 틀을 이용하여 만든 도자기는 단면에서 완전한 회전 대칭성을 갖지만, 수직 방향으로는 상당한 자유로운 형태를 허용한다. 이러한 본질적으로 대칭적인 출발점을 바탕으로 고대부터 도공들은 시각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회전 대칭성을 수정하는 패턴을 추가해왔다.[42]

도자기틀에서 빚어낸 점토 항아리는 회전 대칭성을 갖는다.


주조 금속 용기는 틀로 만든 도자기의 고유한 회전 대칭성이 부족했지만, 그 외에는 사용자에게 즐거움을 주는 패턴으로 표면을 장식할 수 있는 유사한 기회를 제공했다. 예를 들어 고대 중국 사람들은 기원전 17세기 초부터 청동 주조에 대칭 패턴을 사용했다. 청동 용기는 양측 대칭의 주요 모티브와 반복적으로 번역된 테두리 디자인을 모두 보여주었다.[42]

5. 3. 카펫과 양탄자

다양한 문화권에서 카펫과 양탄자 무늬에 대칭을 사용한 오랜 전통이 있다. 미국의 나바호족(Navajo people)은 대담한 대각선과 직사각형 모티프를 사용했다. 많은 오리엔탈 양탄자는 복잡하게 반영된 중앙 부분과 테두리가 패턴을 나타낸다. 직사각형 양탄자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대칭성을 갖는다. 즉, 수평축과 수직축 모두를 기준으로 반영되는 모티프를 가지고 있다(기하학 참조).[43][44]

직사각형 대칭을 보이는 페르시아 카펫

5. 4. 퀼트

퀼트는 보통 9개, 16개 또는 25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정사각형 블록들로 만들어지며, 각 작은 조각은 대개 천 조각 삼각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 공예는 대칭의 적용에 용이하다.[45]

주방 칼레이도스코프 퀼트 블록

5. 5. 기타 예술과 공예

대칭은 구슬 세공, 가구, 모래 그림, 매듭, 가면, 악기 등 모든 종류의 물체 디자인에 나타난다.[46] M.C. 에셔의 예술과 벽지, 이슬람 기하학 장식과 같은 세라믹 타일 작업, 바틱, 이캇, 카펫 제작 및 여러 종류의 섬유자수 무늬 등 예술과 공예 형태에서 테셀레이션의 많은 응용에도 대칭이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46]

대칭은 로고 디자인에도 사용된다.[47]

5. 6. 음악

스티브 라이히, 벨라 바르토크, 제임스 테니 등 많은 작곡가들이 대칭을 형식적 제약으로 사용해 왔다. 예를 들어 아치(스웰) 형식(ABCBA)이 있다. 고전 음악에서는 요한 세바스찬 바흐가 치환과 불변성이라는 대칭 개념을 사용했다.[48]

대칭은 음계화음 형성에서도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전통적인 조성 음악은 디아토닉 음계나 장삼화음과 같이 음고의 비대칭적인 그룹으로 구성된다. 대칭 음계나 화음(예: 전음계, 증삼화음, 감소 7화음)은 방향감이나 전진하는 느낌이 부족하고, 조 또는 조성 중심이 모호하며, 덜 명확한 디아토닉 기능을 갖는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알반 베르크, 벨라 바르토크, 조지 펄과 같은 작곡가들은 대칭축이나 음정 순환을 조 또는 비조성 조성 중심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했다.[49] 조지 펄은 "C-E, D-F♯, [그리고] Eb-G는 동일한 음정의 다른 예시입니다…다른 종류의 동일성…은 대칭축과 관련이 있습니다. C-E는 다음과 같이 대칭적으로 관련된 2음 가족에 속합니다:"라고 설명한다.[49]

DD♯EFF♯GG♯
DC♯CBA♯AG♯



따라서 C-E는 음정 4가족의 일부일 뿐만 아니라 합 4가족(C를 0으로 함)의 일부이기도 하다.[49]

||2 || ||3 || ||'''4''' || ||5 || ||6 || ||7 || ||8
210111098
4444444



음정 순환은 대칭적이며 따라서 비디아토닉적이다. 그러나 C5의 7음 부분(5도 순환, 4도 순환과 협화음임)은 디아토닉 장음계를 생성한다. 낭만주의 작곡가인 구스타프 말러리하르트 바그너의 작품에 있는 순환적인 조성 진행은 바르토크, 알렉산더 스크리아빈, 에드가르 바레즈, 그리고 비엔나 학파와 같은 근대주의자들의 무조 음악의 순환적인 음고 연속과 연결 고리를 형성한다. 동시에 이러한 진행은 조성의 종말을 알린다.[49][50]

대칭적인 음고 관계를 일관되게 기반으로 한 최초의 장편 작곡은 아마도 알반 베르크의 ''사중주'', 작품 3(1910)일 것이다.[50]

5. 7. 문학

문학에서 대칭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간단한 예로, 짧은 글을 앞뒤로 읽어도 같은 회문이 있다. 이야기는 베오울프의 부침(盛衰) 패턴과 같이 대칭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55]

5. 8. 미학

사람들은 얼굴의 좌우대칭을 신체적으로 매력적으로 느끼는 경향이 있다.[51] 이는 건강과 유전적 건강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52][53] 반대로, 과도한 대칭은 지루하거나 재미없게 인식되기도 한다. 루돌프 아른하임은 사람들이 어느 정도의 대칭을 가지면서도, 동시에 흥미를 느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복잡한 모양을 선호한다고 제안했다.[54]

6. 한국 문화와 대칭

한국 전통 문화는 조화와 균형을 중시하며, 이는 대칭성을 통해 표현된다. 전통 건축, 복식, 음식,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대칭적인 요소를 찾아볼 수 있다.

시머트리는 균형의 가장 원칙적인 것으로서 자연물과 조형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체의 배치이다. 시머트리 사물을 보면 안정감이 있어 엄숙하거나 장중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본존(本尊)을 중심으로 종자를 좌우에 거느린 삼존불, 교회, 사찰, 신전 등 종교 관계의 조형에는 시머트리의 것이 많다. 이것은 시머트리가 갖는 장중함의 효과를 살린 것이라 하겠다.[58]

회화나 조각 등 종교 관계 이외에도 시머트리가 기초가 된 작품도 있으나, 이들은 좌우(또는 상하)에 다소 변화를 주어 극단적인 시머트리를 피하고 있다. 이는 시머트리가 갖는 침착성과 정숙성의 효과를 살리면서 냉정성과 견고성을 피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58]

미술에서의 대칭이란, 대상에 중심선을 그었을 때, 그 좌우가 대칭적인 양식미를 가리킨다. 인간에게서는 완전히 좌우가 대칭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대칭에서 보이는 양식미는 동경의 이상미라고 할 수 있다.

7. 심리학 및 신경과학에서의 대칭

인간은 수직축을 중심으로 한 반사 대칭을 특히 두드러지게 인식하는데, 이는 인간의 얼굴에서 나타나는 대칭과 유사하다. 에른스트 마흐는 그의 저서 "감각의 분석"(1897)에서 이러한 관찰을 했다.[27] 이는 대칭 지각이 모든 유형의 규칙성에 대한 일반적인 반응이 아님을 시사한다. 행동 및 신경생리학적 연구 모두 인간과 다른 동물에서 반사 대칭에 대한 특별한 민감성을 확인했다.[28]

게슈탈트 심리학 전통 내 초기 연구는 양측 대칭이 지각적 군집화의 주요 요소 중 하나임을 시사했다. 이는 대칭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다. 군집화와 도형/배경 구성에서 대칭의 역할은 많은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반사 대칭의 탐지는 이것이 단일 객체의 속성일 때 더 빠르다.[29] 인간 지각과 심리 물리학 연구는 대칭 탐지가 빠르고 효율적이며 섭동에 강인함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대칭은 100~150밀리초 사이의 제시로 감지할 수 있다.[30]

최근 신경 영상 연구는 대칭 지각 중에 활성화되는 뇌 영역을 기록했다. Sasaki 등[31]은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fMRI)을 사용하여 대칭적인 패턴이나 무작위 점이 있는 패턴에 대한 반응을 비교했다. 후두피질의 시각피질 외 영역에서 강한 활동이 나타났지만, 일차 시각 피질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시각피질 외 영역에는 V3A, V4, V7 및 외측 후두 복합체(LOC)가 포함되었다. 전기생리학적 연구에서는 동일한 영역에서 기원하는 후기 후방 음성을 발견했다.[32] 일반적으로 시각 시스템의 상당 부분이 시각적 대칭 처리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영역은 객체를 탐지하고 인식하는 데 책임이 있는 영역과 유사한 네트워크를 포함한다.[33]

참조

[1] 템플릿 OEtymD|symmetry
[2] 서적 Fearful Symmet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서적 Symmetry and the Beautiful Universe Prometheus Books
[4] 서적 Symmetry and Complexity: The Spirit and Beauty of Nonlinear Science World Scientific
[5] 서적 Geometric Symmetry Cambridge Press
[6] 서적 Symmet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7] 서적 Geometry: Plane and Fancy https://archive.or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8] 서적 Timeless Reality Prometheus Books
[9] 서적 Theoretical Kinematics Dover Publications
[10] 서적 Conceptual Foundations of Quantum Field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Physics and fractal structures Masson Springer
[12] 웹사이트 Rotoreflection Axis https://encyclopedia[...] 2019-11-12
[13] 서적 The Basic Writings of Josiah Royce: Logic, loyalty, and community Fordham Univ Press
[14] 웹사이트 Propositional Logic: Introduction and Syntax https://cs.uwaterloo[...] 2019-11-12
[15] 서적 Academic Press Dictionary of Science and Technology Gulf Professional Publishing
[16] 학술지 Chirality and Symmetry Measures: A Transdisciplinary Review
[17] 서적 Symmetries and Group Theory in Particle Physics: An Introduction to Space-Time and Internal Symmetri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8] 학술지 More is Different http://robotics.cs.t[...]
[19] 서적 The Noether theorems: Invariance and conservation laws in the twentieth century Springer-Verlag
[20] 학술지 On unitary representations of the inhomogeneous Lorentz group
[21] 웹사이트 Bilateria http://www.accesssci[...] AccessScience 2013-05-29
[22] 웹사이트 Animal Diversity (Third Edition) - Chapter 8: Acoelomate Bilateral Animals http://biocongroup.e[...] McGraw-Hill 2012-10-25
[23] 서적 What Shape is a Snowflake? Magical Numbers in Nature Weidenfeld & Nicolson
[24] 서적 Perspectives on Organisms: Biological time, Symmetries and Singularities https://www.springer[...] Springer
[25] 학술지 Theoretical principles for biology: Variation https://www.academia[...]
[26] 서적 Quantum Chemistry Academic Press
[27] 서적 Symmetries and Group Theory in Particle Physics: An Introduction to Space-Time and Internal Symmetries Open Court Publishing House
[28] 학술지 Characteristics and models of human symmetry detection https://lirias.kuleu[...]
[29] 학술지 Sensitivity to reflection and translation is modulated by objectness
[30] 학술지 The versatility and absolute efficiency of detecting mirror symmetry in random dot displays
[31] 학술지 Symmetry activates extrastriate visual cortex in human and nonhuman primates
[32] 학술지 Electrophysiological responses to visuospatial regularity
[33] 학술지 The neural basis of visual symmetry and its role in middle and high-level visual processing
[34] 웹사이트 Reflective Equilibrium 2003-04-28
[35] 웹사이트 Emotional Competency: Symmetry http://www.emotional[...]
[36] 웹사이트 The Symmetry Principle http://www.arachnoid[...] 2008-09-28
[37] 논문 Asymmetric Exchanges https://hal.archives[...]
[38] 웹사이트 Williams: Symmetry in Architecture http://members.tripo[...] 2013-04-16
[39] 웹사이트 Aslaksen: Mathematics in Art and Architecture http://www.math.nus.[...] 2013-04-16
[40] 서적 What Science Is and How It Work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1] 뉴스 Behind the Scenes: Edgar Martins Speaks http://lens.blogs.ny[...] 2014-11-11
[42] 웹사이트 The Art of Chinese Bronzes http://www.chinavoc.[...] 2013-04-16
[43] 웹사이트 Marla Mallett Textiles & Tribal Oriental Rugs https://web.archive.[...]
[44] 웹사이트 Dilucchio: Navajo Rugs http://navajocentral[...] 2013-04-16
[45] 웹사이트 Quate: Exploring Geometry Through Quilts http://its.guilford.[...] 2013-04-16
[46] 서적 Manifold Mirrors: The Crossing Paths of the Arts and Mathe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47] 웹사이트 How to Design a Perfect Logo with Grid and Symmetry https://www.designma[...]
[48] 웹사이트 Fugue No. 21 http://jan.ucc.nau.e[...]
[49] 논문 Symmetry, the twelve-tone scale, and tonality
[50] 서적 The Listening Composer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1] 논문 Human (Homo sapiens) facial attractiveness and sexual selection: the role of symmetry and averageness 1994
[52] 서적 Facial Attractiveness: Evolutionary, Cognitive, and Social Perspectives Ablex
[53] 논문 Facial symmetry and judgements of apparent health Support for a “‘ good genes ’” explanation of the attractiveness – symmetry relationship
[54] 서적 Visual Thinking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5] 웹사이트 Symmetrical Aesthetics of Beowulf http://trace.tenness[...]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56] 간행물 대칭성 小学館『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57] 웹사이트 並進対称(へいしんたいしょう)とは https://kotobank.jp/[...] 2020-04-27
[58] 웹사이트 시머트리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