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성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白)은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사용되는 성씨이다. 한국의 백씨는 백제를 기원으로 하며, 수원 백씨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중국 백씨는 황제의 후예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기원을 가진다. 일본의 백씨는 백제에서 유래된 것으로 전해진다. 주요 인물로는 역사 속 인물과 현대 인물(정치인, 예술가, 스포츠 선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씨 - 백정기
백정기는 아나키즘 사상을 바탕으로 3·1 운동 참여, 일본 시설 공격, 독립운동 자금 모금, 일본 고위 인사 암살 시도 등 다양한 독립운동을 전개했으며, 육삼정 의거로 체포되어 옥사한 독립운동가이다. - 백씨 - 백낙승 (1886년)
백낙승은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후까지 직물 사업을 통해 부를 축적하고 일제에 협력했으며, 광복 후에는 정경유착을 통해 기업을 확장했으나 자유당 정권과의 유착으로 몰락한 기업인으로,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 백 (성씨) | |
|---|---|
| 성씨 정보 | |
| 한글 | 백 |
| 한자 | 白 |
| 로마자 표기 | Baek |
| 매큔-라이샤워 표기 | Paek |
| 기타 표기 | |
| 영어 표기 | Baek, Baik, Back, Paik, Paek, Beak |
2. 역사
2. 1. 한국의 백씨
백씨는 그 선조가 외래하였다는 기록이 단 하나 쓰여 있으나, 소수 기록이라 신빙성이 적고 그 이전부터 백씨 성을 가진 한반도 토착민들이 이미 백제에 많이 살고 있었다는 기록이 많다. 한반도의 모든 백씨들은 같은 선조의 후손들이라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한반도 토착민의 모화 사상에 의해 중국 성씨를 썼을 가능성이 높다.[1]"백(白)"은 원나라와 고려 왕조에서 유래한 광둥어 기원을 가지고 있다.
수원 백씨의 백우경(白宇經)은 당나라의 백거이의 사촌으로, 이 성씨의 시조이다.
신라 말기 백제에서 온 난민들이 이 성씨를 사용했다.
| 연도 | 인구 | 세대수 | 순위 | 비율 |
|---|---|---|---|---|
| 1960년 | 191,076명 | 33,759세대 | 258성씨 중 27위 | |
| 1985년 | 73,853세대 | 258성씨 중 27위 | 0.7% | |
| 2000년 | 351,275명 | |||
| 2015년 | 381,986명 |
2. 1. 1. 기원
백씨(苩氏)는 백제의 대성팔족(大姓八族)의 하나라고 《수서》 ‘백제조’에 기록되어 있고, 당시 '苩' 또는 '白'으로 혼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苩씨는 백제 멸망 후 백제 유민으로서 발음이 같은 한자인 '백(白)'으로 변성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대체로 마한, 백제의 유민들이 백제의 명칭에서 '백'을 성으로 취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백씨는 백제 이전부터 한반도에 있었던 토착 성씨라는 주장이다.- 백안 ( 苩安 , ? ~ 502년)는 대성팔족의 하나인 백씨 출신의 위사좌평으로 가림성(加林城, 부여군 임천면 성흥산성) 성주로 있다가 백제 동성왕을 시해하였다.
- 백매순(白昧淳)은 백제의 노반박사(鑪盤博士)로 588년(백제 위덕왕 35년) 사원 건축기술자로 왜에 파견되었다.
- 백가(白加)는 백제의 화가로 588년(위덕왕 35년) 백매순과 함께 왜에 파견되었다.
- 백기(苩奇)는 달솔(達率)을 지낸, 백제 무왕(武王, 재위 : 600년 ~ 641년) 때의 장군이다.
수원 백씨 족보에 따르면 시조 '''백우경'''(白宇經)은 백안병 의 후손이라 한다. 백우경은 소주(蘇州)에서 출생하여 당(唐)나라 때 이부상서(吏部尙書)에 이르렀으나 간신(奸臣)들의 모함을 받자 780년(선덕왕 원년) 신라에 건너왔다가 현재의 부안 밑에 정착하였다고 한다.[2] 그러나 이후 계대(系代)가 불명하여 신라 경명왕 때 중랑장(中郞將)을 지내고 상장군(上將軍)에 증직되었다는 '''백안직'''(白 安 稷, ? ~ 927년?)을 중시조로 기일세(起一世)한다.[3]
삼국시대 고구려에도 백(苩)씨로 추정되는 백석(白石)이란 인물이 있었다.[4]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등장하는 인물로 그는 고구려의 대막리지(大莫離支) 연개소문(淵蓋蘇文)의 부하로서 신라의 화랑 김유신(金庾信)을 해칠 목적으로 낭도(郎徒)로 잠입하여 기회를 노렸다.[5]
"백(白)"은 원나라와 고려 왕조에서 유래한 광둥어 기원을 가지고 있다.
신라 말기 백제에서 온 난민들이 이 성씨를 사용했다.
- 백가(苩加), 마한의 군주
- 백룡(苩龍), 신라의 장군
- 백기(苩奇), 백제의 장군
- 백가(苩加), 백제의 화가
2. 1. 2. 본관
징효대사(澄曉大師, 826년 ~ 900년) 절중(折中)은 황해도 봉산 사람이고 어머니가 백씨(白氏, 800년 경 출생)인데,[6] 관향은 확인되지 않는다.법인국사(法印國師, 900년 ~ 975년) 탄문(坦文)의 어머니도 백씨(白氏, 875년 경 출생)로 경기도 고양 사람 고씨(高氏)에게 출가하였는데,[7] 관향은 확인되지 않는다.[8]
백사유(白思柔)는 973년 문과에 장원급제하고 991년 한림학사로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는데,[9] 관향은 전하지 않는다.[10]
- '''상당''': 금석문 등 현존하는 모든 역사 기록 상 가장 오래된, 백씨의 본관 기록은 상당 백씨다. 고려 때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를 지내고 내사령(內史令)에 추증된 정간공(貞簡公) 유방헌(柳邦憲, 944년 ~ 1009년)의 부인이 상당군대군(上黨郡大君) 백씨(白氏)라 하여 상당(上黨 白氏, 상당은 지금의 청주)이 언급되었으니 백씨의 본관으로는 가장 이른 역사 기록이다.[11]
- '''신풍 백씨''': 수태부 문하시랑평장사 판상서이예부사 (守太傅 門下侍郞平章事 判吏禮部事)를 지낸 충주(忠州)인 최홍사(崔弘嗣(洪嗣), 1043년 ~ 1122년)의 부인이 신풍군대부인백씨(新豊郡大夫人白氏, 신풍은 공주)로 백가미(白可美)의 딸이라 했다.[12]
- '''직산 백씨''': 검교태자태보 비서감을 지낸 인동(仁同)인 장수(張脩, ? ~ 1156년)는 그 어머니가 직▨군대부인백씨(稷▨郡大夫人白氏)로 상사직장동정(尙事直長同正) 백가적(白可績, 1045년경 출생)의 딸이라 하였다.[13]
- '''적성 백씨''': 신호위 대장군(神虎衛 大將軍) 청주(淸州)인 정의(鄭顗, (鄭俊儒), ~ 1233년)의 장인 금오위(金吾衛) 산원(散員) 백이신(白利臣)은 적성 백씨(赤城白氏, 순창)였다.[15]
- '''대구 백씨''': 동복(同福)인 오길(吳佶)의 장인인 밀직부사 치사 (密直副使 致仕) 백서경(白瑞卿)은 대구 사람(大邱人)이라 했다.[17]
지금까지 확인된, 가장 오래된 백씨 본관들은 상당(上黨, 청주), 신풍(新豊, 공주), 직산(稷山 천안), 대흥(大興, 예산), 적성(赤城, 순창), 남포(藍浦, 보령), 대구인데, 대체로 충청도 지역에 분포한다. 배우자의 출신지 또한 광주(廣州), 전주, 목포, 충주, 청주, 동복(同福, 화순) 등 대체로 충청도, 전라도 지역이 많다.
1454년(단종 2)의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나타난 백씨 토성(土姓) 기록을 중심으로 하는 본관들은 다음과 같다.
- '''직산 백씨'''(稷山白氏) '''직산 토성''' (崔·兪·'''白'''·趙)의 하나다.[19] 백가적(白可績)의 후손으로 전리사판서(典理司判書)를 지내고 영해 인량리 (寧海 仁良里)로 이거한 백견(白堅)의 아들 백문보(白文寶, 1303년 ~ 1374년)가 직산군(稷山君)에 봉해졌다.
- * '''선산 백씨'''(善山白氏) '''선산 토성''' (金·郭·文·林·沈·秦·'''白''')의 하나다.[20]
- * '''대구 백씨'''(大邱白氏) '''대구 토성''' ('''白'''·夏·裵·徐·李)의 하나다.[21] 이전에는 해안 백씨라고도 했다.
- * '''청도 백씨'''(淸道白氏) '''청도 토성''' (申·金·'''白'''·李·曺)의 하나다.[22] 고려 말에 첨의평리(僉議評理)를 지낸 백원항(白元恒)이 있었고, 조선 조에 백구(白球)가 경주로 이거하였다. 증손 백이소(白以昭)가 임란 때 경주에서 창의하였다.
- * '''신풍 백씨'''(新豐白氏) '''신풍 성''' ('''白'''·朴)의 하나다.[23] 공주 백씨라고도 한다.
- '''대흥 백씨'''(大興白氏) '''대흥 토성''' (李·韓·'''白''') 중 하나다.[24] 백임지는 고려 의종 때인1170년(의종 24) 정중부(鄭仲夫)의 난으로 무신들이 정권을 잡자 형부상서(刑部尙書),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에 올랐다.[27]
- * '''임천 백씨'''(林川白氏) '''임천 토성''' (趙·林·方·'''白'''·翟)의 하나다.[28]
- ** '''해미 백씨'''(海美白氏) '''해미 토성''' (정해현(貞海縣))('''白'''·韓·仇·尹)의 하나다.[29] 조선 중기 문신이자 시인 백광홍, 백광훈 형제가 있다.
'''태인 백씨'''(泰仁 白氏)는 해미 백씨에서 분적했다. 의주와 태천으로 이거하였다. 임진왜란 때 무신 백광언, 병자호란 때 무장 백광종, 백광조가 있다.
- ** '''수원 백씨'''(水原白氏)는 개성에서 왔다고 했다.[30] 사적에 드러난 수원관(水原貫) 백씨의 첫 사례는1427년(세종 9년 친시) 과지(科紙)에 본관을 '수원'이라고 쓴 백효삼(白效參)이다. 이후 자손들이 잇달아 등과하고 현달하여 가문이 번창하게 되었고, 이로써 조선 조에 들어와 창관한 수원관 백씨가 전체 백씨의 대종(大宗)을 이루게 되는데, 문신 백인걸(白仁傑)은 그의 증손이다.
- * '''부여 백씨'''(夫餘白氏) 임란 때 백수회(白受繪)가 계보를 잃고 양산에 정착하여 후손들이 세거함으로써 양산 백씨가 생겼다.
- '''남포 백씨'''(藍浦白氏) '''남포 토성''' (任·'''白'''·李)중 하나다.[32] 백문절(白文節)이 사의대부(司議大夫), 국학대사성(國學大司成) 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가 되었다. 그의 아들 백이정(白頤正, 1247년 ~ 1323년)이 충선왕 때 첨의평리(僉議評理)로 상의회의도감사(商議會議都監事)를 겸했고, 상당군(上黨君)[33]에 봉해졌다.
- * '''서천 백씨'''(舒川白氏) '''서천 촌성''' (裵·'''白''')의 하나다.[34] 이정(白頤正)의 아들인 백세렴(白世廉)이 지청풍군사(知淸風郡事)를 지내고 서천(舒川)으로 이거(移居)하여 생겨난 본관이다.
- ** '''남해 백씨'''(南海白氏) 남양 백씨라고도 한다. '''곤명현'''(昆明縣) 성 (兪·全·文, 玄·'''白''')의 하나다.[35]시조는 조선 성종 때 우봉현감을 지낸 백훈(勛)이다. 백훈은 세렴의 아들 함명(咸明)의 7세손이다. 남포 백씨의 분적종이다.
- * '''평산 백씨'''(平山白氏) 시조는 백군영(白君瑛)[36]이다. 백군영은 1360년(공민왕 9)에 정몽주, 임박(林樸)에 이어 을과 3등으로 급제하였다.
증보문헌비고에 따르면 본관의 수는 157개이다. 현재는 30여 본이 전해진다.
| 씨족 (지역) | 시조 | 인구 (2015년) | 비고 |
|---|---|---|---|
| 감포 백씨 | 186 | ||
| 강릉 백씨 | 10 | ||
| 개성 백씨 | 20 | ||
| 개포 백씨 | 8 | ||
| 경산 백씨 | 11 | ||
| 경성 백씨 | 44 | ||
| 경주 백씨 | 72 | ||
| 관산 백씨 | 21 | ||
| 광산 백씨 | 12 | ||
| 광주 백씨 | 6 | ||
| 구로 백씨 | 6 | ||
| 군포 백씨 | 6 | ||
| 금천 백씨 | 6 | ||
| 김천 백씨 | 6 | ||
| 김해 백씨 | 63 | ||
| 나주 백씨 | 12 | ||
| 남포 백씨 | 45 | ||
| 남양 백씨 | 5 | ||
| 남원 백씨 | 28 | ||
| 남평 백씨 | 25 | ||
| 남포 백씨 | 백임지 | 10,907 | |
| 달성 백씨 | 62 | ||
| 대구 백씨 | 258 | ||
| 대전 백씨 | 8 | ||
| 대환 백씨 | 5 | ||
| 대흥 백씨 | 백임지 | 4,041 | |
| 덕산 백씨 | 12 | ||
| 덕천 백씨 | 11 | ||
| 남포 백씨 | 8 | ||
| 람포 백씨 | 백임지 | 351 | |
| 마산 백씨 | 7 | ||
| 목원 백씨 | 10 | ||
| 문천 백씨 | 9 | ||
| 문화 백씨 | 5 | ||
| 밀양 백씨 | 105 | ||
| 배춘 백씨 | 9 | ||
| 백천 백씨 | 244 | ||
| 부양 백씨 | 6 | ||
| 부여 백씨 | 2,120 | ||
| 상주 백씨 | 7 | ||
| 서산 백씨 | 6 | ||
| 석성 백씨 | 15 | ||
| 선산 백씨 | 133 | ||
| 성남 백씨 | 5 | ||
| 성산 백씨 | 7 | ||
| 성주 백씨 | 5 | ||
| 송원 백씨 | 8 | ||
| 수산 백씨 | 9 | ||
| 수성 백씨 | 359 | ||
| 수안 백씨 | 51 | ||
| 수연 백씨 | 8 | ||
| 수원 백씨|신라 무열왕 때 당나라에서 건너온 백우경 | 354,428 | ||
| 수인 백씨 | 5 | ||
| 수종 백씨 | 20 | ||
| 수천 백씨 | 7 | ||
| 순원 백씨 | 30 | ||
| 순천 백씨 | 67 | ||
| 순흥 백씨 | 34 | ||
| 시흥 백씨 | 5 | ||
| 신흥 백씨 | 6 | ||
| 아산 백씨 | 16 | ||
| 안동 백씨 | 266 | ||
| 안산 백씨 | 15 | ||
| 안의 백씨 | 16 | ||
| 양산 백씨 | 10 | ||
| 연안 백씨 | 50 | ||
| 염포 백씨 | 24 | ||
| 영덕 백씨 | 8 | ||
| 영양 백씨 | 11 | ||
| 영원 백씨 | 37 | ||
| 영월 백씨 | 8 | ||
| 영주 백씨 | 13 | ||
| 영천 백씨 | 7 | ||
| 영해 백씨 | 58 | ||
| 예산 백씨 | 22 | ||
| 오산 백씨 | 109 | ||
| 운산 백씨 | 7 | ||
| 울산 백씨 | 6 | ||
| 원주 백씨 | 39 | ||
| 월성 백씨 | 32 | ||
| 의령 백씨 | 6 | ||
| 의성 백씨 | 14 | ||
| 이천 백씨 | 13 | ||
| 익포 백씨 | 57 | ||
| 인동 백씨 | 43 | ||
| 인천 백씨 | 38 | ||
| 임주 백씨 | 8 | ||
| 임천 백씨|백우경 | 397 | ||
| 장수 백씨 | 27 | ||
| 장연 백씨 | 5 | ||
| 장흥 백씨 | 253 | ||
| 전주 백씨 | 99 | ||
| 제남 백씨 | 7 | ||
| 제주 백씨 | 15 | ||
| 제천 백씨 | 86 | ||
| 조산 백씨 | 11 | ||
| 주안 백씨 | 11 | ||
| 직산 백씨 | 백량신 | 17 | |
| 진주 백씨 | 57 | ||
| 창녕 백씨 | 13 | ||
| 창원 백씨 | 24 | ||
| 청도 백씨 | 백사질 | 1,479 | |
| 청원 백씨 | 6 | ||
| 청주 백씨 | 51 | ||
| 충주 백씨 | 110 | ||
| 칠산 백씨 | 6 | ||
| 태고 백씨 | 6 | ||
| 태안 백씨 | 14 | ||
| 태인 백씨 | 백석순 | 1,228 | |
| 태천 백씨 | 9 | ||
| 토산 백씨 | 23 | ||
| 파주 백씨 | 6 | ||
| 평산 백씨 | 266 | ||
| 평택 백씨 | 5 | ||
| 풍양 백씨 | 21 | ||
| 한양 백씨 | 118 | ||
| 함양 백씨 | 51 | ||
| 해주 백씨 | 38 | ||
| 현풍 백씨 | 16 | ||
| 협흥 백씨 | 7 | ||
| 홍정 백씨 | 19 | ||
| 홍주 백씨 | 172 | ||
| 홍천 백씨 | 89 | ||
| 화성 백씨 | 47 | ||
| 화원 백씨 | 5 | ||
| 회덕 백씨 | 6 |
2. 1. 3. 본관 통합
백씨는 수원 단본으로 알려져 있다. 수원 백씨 측에서는 여타의 관향이 모두 수원에서 분적하였다고 주장하지만 역사적 전거가 없어 다른 본관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역사 기록상 수원이라는 본관을 처음으로 사용한 백씨는 백천장(白天藏)의 후손으로 조선초 보성현감(甫城縣監)을 지낸 백회(白薈,(繪))의 아들인 '''백효삼''' (白效參)이다.[37] 조선조에 수원 백씨가 번성하여 1850년대에 수원으로 본관을 통일하려는 논의가 있기 전까지는 회(薈)의 아들인 효삼 4형제(효옹(效雍), 효연(效淵), 효약(效若)) 자손들을 수원 백씨라 하였다.
- 동조(同祖) 근계(近系)의 통합 동의
- * 백천장(白天藏)의 증손으로 수원을 관향으로 처음 쓴 백회(白薈)의 형인 백장(白莊)의 후손들이 장흥(長興), 장수(長水), 해미(海美), 태인(泰仁) 등을 본관으로 하다가 수원으로 통합하였다.
- * 천장의 다른 아들(전(琠), 환(環),[38] 산(珊), 황(璜), 거(琚) 등) 자손들도 덕천(德川), 평양(平壤), 김천(金泉), 정평(定平), 송화(松禾), 부녕(富寧) 등지에 산거하다가 백련(白璉) 계통의 수원으로 통합하였다.
- * 천장의 동생으로 임천(林川) 본관인 백지장(白地藏)의 자손들도 수원 백씨 동림공파로 들어갔다.
이렇게 수원 관조(貫祖) 천장의 선계인 백원정(白元貞)의 후손들은 모두 수원으로 본관을 통합하였다.
- 백씨보 상으로 장파(長派)인 대구(大邱)와 선산(善山) 본관 및 차파(次派)인 정주(定州) 본관의 백씨들도 수원관 통합에 동의하였다.
; 수원 본관 통합에 대한 이의와 반론
수원 백씨의 동조(同祖)인 백원정(白元貞, 永貞),[39]은 1260년에 장군을 지냈는데, 백씨대동보에 따르면, 그의 선계가 고려 전기의 백경신(白景臣, 1060년경 출생) 대에 직산(稷山)에서 임천(林川)으로 이거하였다[40]고 하니 수원 백씨는 조선 초에 임천에서 분적한 것으로 보인다.[41] 백씨 문중에서 원정-천장 계와 가까운 여러 일족들이 수원 본관으로 통합하였지만, 고려시대 본관인 직산, 남포, 대흥, 부여, 청도 등의 본관에서는 역사적 전거가 없는 '백휘수원봉군설'(白揮水原封君說)과 '백천장수성백설'(白天藏水城伯說)을 인정하지 않아 수원 관(貫)에 동의하지 않고 있다.[42][43]
이런 이유로 1982년에 간행된 임술대동보는 '수원'을 빼고 『백씨대동보』라 하였는데, 1997년에 간행된 정축대동보는 '수원'을 넣어 『수원백씨대동보』라 하였다. 백씨 전체 인구의 90% 이상이 수원을 본관으로 하고 있다. 이는 그들의 본관이 꼭 수원이라서가 아니라 선계를 잃어 본관을 '수원'으로 잘못 알고 있거나 한참이나 후대 본관인 수원 백씨가 대종(大宗)이 되어버린 대세를 따르게 된 경우가 많은 탓이기도 하다.
2. 2. 중국의 백씨
백씨(白氏)는 고대 황제 헌원(軒轅)의 후예로 중국 풍익(馮翊)에서 계출(系出)되었다고 한다.백(白)씨는 우(虞)나라, 초나라 백씨와 백족(白族) 백씨가 있다.
- 백씨는 하나라 이전에 염제 부락에 백부(白阜)라는 사람이 있었다.
- 주나라 개국 이후에는 춘추시대 우(虞)나라에 집성촌이 있었다. 구성하는 민족 가운데도 백족(白族)이 있었다. 《진본기》(秦本記)에 따르면, 기원전 6세기에 우(虞)나라 출신 백리해(百里奚)의 자손들이 등용되었다.
- 《초한세가》(楚漢世家)에 따르면, 초나라 백씨는 기원전 4세기에 초나라 30대 다현왕의 손자 '''승'''(勝)이 백공(白公)에 봉(封)해짐으로 백씨가 되었다고 한다.
- 중국 서부 운남성 일대에는 티베트, 베트남 계통의 소수민족 백족이 있었다. 당나라는 베트남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중국 남부 운남성, 광서성(廣西省)에 백주(白州)를 설치하였다. 백족(白族)들은 한족과 교류하게 되면서 백(白)이라는 성을 사용한 것으로 전한다. 백족도 종류가 많고, 현재는 200만 명이지만, 고대로부터 한쪽 성씨를 다양하게 사용하여 실제로는 더 많다고 한다.
- 백규(白圭)라는 인물이 백적 안다형이 세운 중산국에 있었다. 출신은 정확하지 않다.
- 《제왕전승성원도》를 보면, 백씨(白氏)의 시조는 황제의 후손인 백안병(白 安 丙)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2. 3. 일본의 백씨
신라 말기 백제에서 온 난민들이 이 성씨를 사용했다. 마한의 군주 백가(苩加), 신라의 장군 백룡(苩龍), 백제의 장군 백기(苩奇), 백제의 화가 백가(苩加) 등이 역사에 기록되어 있다.3. 주요 인물
- '''역사 속 인물'''
- * 고려의 문신에는 백사유, 백문절, 백이정, 백원항, 백문보가 있고, 고려의 무신으로는 백임지가 있다.
- * 조선의 문신으로는 백인걸, 백광홍이 있고, 조선의 무신으로는 백광언, 백광조가 있다.
- * 백남운은 일제강점기와 미군정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이었다.
- * 백낙준과 백두진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전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 * 백선엽은 대한민국 육군 최초의 대장이며, 백인엽은 대한민국의 군인이다.
- * 백학림, 백남일, 백남순, 백상호, 백세봉, 백용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 백진훈은 일본의 정치인으로, 귀화 일본인 참의원 의원이었다.
- * 백남준은 현대 미술가이고, 백건우는 피아니스트이다.
- '''현대 인물'''
- * 백혜련 (1967년 출생)은 대한민국 검사 출신 국회의원이다.
- * 백민철 (1977년 출생)은 대한민국 은퇴한 축구 골키퍼이다.
- * 백상원 (1988년 출생)은 대한민국 야구 선수이다.
- * 백아연 (1993년 출생)은 대한민국 가수 겸 작곡가이다.
- * 백봉기 (1980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우이다.
- * 백차승 (Cha-seung Baek영어, 1980년 출생)은 한국계 미국인 前 프로 야구 투수이다.
- * 백동훈 (1990년 출생)은 대한민국 야구 선수이다.
- * 백동규 (1991년 출생)은 대한민국 축구 선수이다.
- * 백동수 (1743–1816)는 한국 무술가 겸 검객이다.
- * 백은비 (1979년 출생)은 대한민국 前 쇼트트랙 선수이다.
- * 백은혜 (1986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우이다.
- * 백하나 (2000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드민턴 선수이다.
- * 백희나 (1971년 출생)은 대한민국 작가 겸 일러스트레이터이다.
- * 백현주 (1970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우이다.
- * 백일주 (1985년 출생)은 대한민국 수영 선수이다.
- * 백일섭 (1944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우이다.
- * 백인철 (1961년 출생)은 대한민국 前 프로 복싱 선수이다.
- * 백인천 (1943년 출생)은 대한민국 前 야구 선수이다.
- * 백지은 (1988년 출생)은 대한민국 농구 선수이다.
- * 백지훈 (1985년 출생)은 대한민국 축구 선수이다.
- * 백지원 (1973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우이다.
- * 백지영 (1976년 출생)은 대한민국 가수이다.
- * 백진희 (1990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우이다.
- * 백종범 (2001년 출생)은 대한민국 축구 선수이다.
- * 백주희 (1976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우이다.
- * 백규정 (1995년 출생)은 대한민국 프로 골프 선수이다.
- * 백미경 (1971년 출생)은 대한민국 작가이다.
- * 백민현 (1985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우이다.
- * 백민석 (1971년 출생)은 대한민국 작가이다.
- * 백목화 (1989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구 선수이다.
- * 백무산 (1955년 출생)은 대한민국 시인 겸 노동 운동가이다.
- * 백낙준 (1895–1985)은 대한민국 정치인이다.
- * 백남치 (1944–2022)은 대한민국 학자 겸 정치인이다.
- * 백옥담 (1986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우이다.
- * 백상서 (1960년 출생)은 대한민국 핸드볼 선수이다.
- * 백상승 (1935–2018)은 대한민국 정치인이다.
- * 백서이 (1992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우이다.
- * 백승희 (1986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우이다.
- * 백승현 (1975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우이다.
- * 백승진 (1982년 출생)은 대한민국 정치 경제학자 겸 전략가이다.
- * 백수희 (1992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우이다.
- * 백수호 (1998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우이다.
- * 백성동 (1991년 출생)은 대한민국 축구 선수이다.
- * 백성희 (1970년 출생)은 대한민국 과학자이다.
- * 백성현 (1989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우이다.
- * 백예린 (Yerin Baek영어, 1997년 출생)은 대한민국 싱어송라이터이다.
- * 예빈 (본명: 백예빈, 1997년 출생)은 대한민국 싱어송라이터이다.
- * MLMA (본명: 백예진)은 대한민국 예술가, 래퍼 겸 패션 디자이너이다.
- * 백윤식 (1947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우이다.
- * 백영옥 (1974년 출생)은 대한민국 작가이다.
- * 백소린 (1982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작가이다.
- * 백태웅 (1963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변호사이다.
- * 백현진 (1972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우, 음악가, 설치 미술가이다.
- * 백학림 (1918–2006)은 북한 정치인이다.
- * 백남일 (정치인)은 북한 정치인이다.
- * 백남룡 (1949년 출생)은 북한 작가이다.
- * 백남순 (1929–2007)은 북한 정치인이다.
- * 백상호 (정치인)은 북한 육군 대장이다.
- * 백세봉 (정치인) (1938년 출생)은 북한 정치인이다.
- * 백설미는 북한 배우이다.
- * 백용호 (국제적십자사) (1945년 출생)은 북한 정치인이다.
- * 짐 팩 (Jim Paek영어, 1967년 출생)은 한국계 캐나다 아이스하키 코치이다.
- * 제이미 백은 캐나다 로봇 공학자이다.
- * 백종원 (1966년 출생)은 대한민국 요리사 및 기업가이다.
- * 백건우 (1946년 출생)은 대한민국 피아니스트이다.
- * 백남준 (1932–2006)은 한국계 미국인 예술가이다.
- * 백가희 (1974년 출생)은 대한민국 작가이다.
- * 백승호 (1997년 출생)은 대한민국 프로 축구 선수이다.
- * 백선엽 (1920–2020)은 대한민국 군인이다.
- * 백두진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전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 * 백인엽은 대한민국의 군인이다.
- * 백진훈은 일본의 정치인으로, 전 재일 한국·조선인(귀화 일본인)의 참의원 의원이다.
- * 벡은 일본에서 활동하는 연예인으로, 본명은 백효원이다.
3. 1. 역사 속 인물
백사유는 고려의 문신이었다. 백임지는 고려의 무신이었다. 백문절, 백이정, 백원항, 백문보는 고려의 문신이었다. 백인걸, 백광홍은 조선의 문신이었다. 백광언, 백광조는 조선의 무신이었다. 백아연과 백지영은 가수이다. 백동훈, 백인천, 백차승은 야구 선수이고, 백지훈은 축구 선수이다. 벡은 일본에서 활동하는 연예인으로, 본명은 백효원이다. 백남운은 일제강점기와 미군정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이었다. 백낙준과 백두진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전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백선엽은 대한민국 육군 최초의 대장이며, 백인엽은 대한민국의 군인이다. 백학림, 백남일, 백남순, 백상호, 백세봉, 백용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백진훈은 일본의 정치인으로, 귀화 일본인 참의원 의원이었다. 백남준은 현대 미술가이고, 백건우는 피아니스트이다.3. 2. 현대 인물
백혜련 (1967년 출생), 대한민국 검사 출신 국회의원이다.백민철 (1977년 출생), 대한민국 은퇴한 축구 골키퍼이다.
백상원 (1988년 출생), 대한민국 야구 선수이다.
백아연 (1993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겸 작곡가이다.
백봉기 (1980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이다.
백차승(Cha-seung Baek, 1980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前 프로 야구 투수이다.
백동훈 (1990년 출생), 대한민국 야구 선수이다.
백동규 (1991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이다.
백동수 (1743–1816), 한국 무술가 겸 검객이다.
백은비 (1979년 출생), 대한민국 前 쇼트트랙 선수이다.
백은혜 (1986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이다.
백하나 (2000년 출생), 대한민국 배드민턴 선수이다.
백희나 (1971년 출생), 대한민국 작가 겸 일러스트레이터이다.
백현주 (1970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이다.
백일주 (1985년 출생), 대한민국 수영 선수이다.
백일섭 (1944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이다.
백인철 (1961년 출생), 대한민국 前 프로 복싱 선수이다.
백인천 (1943년 출생), 대한민국 前 야구 선수이다.
백지은 (1988년 출생), 대한민국 농구 선수이다.
백지훈 (1985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이다.
백지원 (1973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이다.
백지영 (1976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이다.
백진희 (1990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이다.
백종범 (2001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이다.
백주희 (1976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이다.
백규정 (1995년 출생), 대한민국 프로 골프 선수이다.
백미경 (1971년 출생), 대한민국 작가이다.
백민현 (1985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이다.
백민석 (1971년 출생), 대한민국 작가이다.
백목화 (1989년 출생), 대한민국 배구 선수이다.
백무산 (1955년 출생), 대한민국 시인 겸 노동 운동가이다.
백낙준 (1895–1985), 대한민국 정치인이다.
백남치 (1944–2022), 대한민국 학자 겸 정치인이다.
백옥담 (1986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이다.
백상서 (1960년 출생), 대한민국 핸드볼 선수이다.
백상승 (1935–2018), 대한민국 정치인이다.
백서이 (1992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이다.
백승희 (1986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이다.
백승현 (1975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이다.
백승진 (1982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 경제학자 겸 전략가이다.
백수희 (1992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이다.
백수호 (1998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이다.
백성동 (1991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이다.
백성희 (1970년 출생), 대한민국 과학자이다.
백성현 (1989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이다.
백예린(Yerin Baek, 1997년 출생), 대한민국 싱어송라이터이다.
예빈 (본명: 백예빈, 1997년 출생), 대한민국 싱어송라이터이다.
MLMA (본명: 백예진), 대한민국 예술가, 래퍼 겸 패션 디자이너이다.
백윤식 (1947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이다.
백영옥 (1974년 출생), 대한민국 작가이다.
백소린 (1982년 출생), 대한민국의 작가이다.
백태웅 (1963년 출생), 대한민국의 변호사이다.
백현진(1972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음악가, 설치 미술가이다.
백학림 (1918–2006), 북한 정치인이다.
백남일 (정치인), 북한 정치인이다.
백남룡 (1949년 출생), 북한 작가이다.
백남순 (1929–2007), 북한 정치인이다.
백상호 (정치인), 북한 육군 대장이다.
백세봉 (정치인) (1938년 출생), 북한 정치인이다.
백설미, 북한 배우이다.
백용호 (국제적십자사) (1945년 출생), 북한 정치인이다.
짐 팩(Jim Paek, 1967년 출생), 한국계 캐나다 아이스하키 코치이다.
제이미 백, 캐나다 로봇 공학자이다.
백종원 (1966년 출생), 대한민국 요리사 및 기업가이다.
백건우 (1946년 출생), 대한민국 피아니스트이다.
백남준 (1932–2006), 한국계 미국인 예술가이다.
백가희 (1974년 출생), 대한민국 작가이다.
백승호 (1997년 출생), 대한민국 프로 축구 선수이다.
백선엽 (1920–2020), 대한민국 군인이다.
백두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전 국회의장이다.
백인엽 - 대한민국의 군인이다.
백진훈 - 일본의 정치인. 전 재일 한국·조선인(귀화 일본인)의 참의원 의원이다.
벡 - 일본에서 활동하는 연예인. 성을 예명으로 사용. 본명은 백효원.이다.
4.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0
[2]
문서
[3]
문서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백석(白石)
http://encykorea.aks[...]
[5]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
[6]
문서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寧越興寧寺址澄曉大師塔碑)
944
[7]
문서
보현사법인국사보승탑비문(普願寺法印國師寶乘塔碑文)
978
[8]
문서
[9]
문서
고려사
973
[10]
문서
[11]
문서
유방헌묘지명(柳邦憲墓誌銘)
1045
[12]
문서
최시윤묘지명(崔時允墓誌銘)
1146
[13]
문서
장수묘지명(張脩墓誌銘)
1156
[14]
문서
백임지묘지명(白任至墓誌銘)
1191
[15]
문서
목은문고 정씨가전(鄭氏家傳)
[16]
문서
백분화묘지명(白賁華墓誌銘)
1224
[17]
문서
오잠묘지명(吳潛墓誌銘)
1336
[18]
문서
[19]
문서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청주목 직산현 조
[20]
문서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상주목 선산 도호부 조
[21]
문서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경주부 대구군 조
[22]
문서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경주부 청도군 조
[23]
문서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조
[24]
문서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홍주목 대흥현 조
[25]
문서
백임지묘지명(白任至墓誌銘)
1191
[26]
문서
[27]
고려사
고려사 권100, 열전13
https://terms.naver.[...]
[28]
문서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임천군 조
[29]
문서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홍주목 해미현 조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남포현 조
[33]
문서
[34]
문서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서천현 조
[35]
문서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경상도 진주목 곤남현 조
[36]
문서
평산 백씨 관련 정보
[37]
블로그
http://blog.naver.co[...]
[38]
문서
백수희 직산 백씨 기록
[39]
문서
백원정과 백영정의 동일인물 여부
[40]
서적
백씨대동보
1982
[41]
문서
백원정 임평부원군 봉해 기록
[42]
문서
영락보 조작설
[43]
문서
백씨 상계 수원 거주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