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리주의는 한 사회나 국가가 다른 사회나 국가로부터 독립하여 주권을 얻으려는 시도를 의미하며, 식민지 독립 운동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분리주의는 평화적인 방법을 취하거나, 무력 충돌을 동반하기도 한다. 분리주의의 동기는 경쟁 집단에 대한 증오, 집단 학살로부터의 보호, 억압에 대한 저항, 경제적 불평등, 문화적 전통 보존 등 다양하다. 분리주의 운동에 대한 정부의 대응은 독립 인정, 자치권 부여, 무력 진압 등 상황에 따라 다르다. 역사적으로 벨기에, 체코슬로바키아, 에리트레아 등이 분리주의 운동을 통해 독립했으며, 다양한 유형의 분리주의 운동이 존재한다. 또한, 분리주의 운동을 지원하거나 선동하는 분리 공작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리주의 - 분리독립
분리 독립은 국가나 정치 조직에서 벗어나 주권 국가를 형성하는 것으로, 민족주의, 경제적 불만, 역사적 배경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정당성과 실행 가능성에 대한 논의와 국제법적 입장 차이가 존재한다. - 정치와 인종 - 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는 다양한 문화, 종교, 민족이 공존하는 사회를 지향하는 정치철학적 입장이자 사회운동으로, 자유주의적 이상에서 출발하여 문화적 차이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사회적 갈등과 통합의 어려움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국가별로 성공과 실패 사례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 정치와 인종 - 민족주의
민족주의는 민족 공동체의 자결권을 핵심으로 하는 이념으로, 세계대전 이후 국제 정치의 주요 동력이 되었으나, 최근에는 배타적 토착주의 확산과 사회 갈등 심화, 극단적 형태의 집단 학살 및 민족 청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 독립운동 - 자결권
자결권은 국민이 정치적 운명을 결정할 권리로서 혁명과 민족주의 운동에서 기원하여 탈식민화의 중심 개념으로 국제법적으로 확립되었으나, 적용의 불일관성, 민족 정의의 모호성, 영토 보전 원칙과의 갈등으로 인해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독립운동 - 라트비아 인민전선
라트비아 인민전선은 1988년 라트비아의 독립과 자치권 증대를 요구하며 결성되어, 1990년 선거에서 승리하고 1991년 독립을 달성했으나, 1993년 선거 참패 후 해산되었다.
분리주의 | |
---|---|
분리주의 의미 | 큰 그룹에서 분리되는 것을 지지하는 것 |
관련 운동 | 분리주의 운동 |
개요 | |
분리주의란 | 한 국가나 정치적 실체의 영토 일부가 국가 또는 실체에서 분리되어 독립하거나 다른 실체와 통합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정치적 운동 또는 이념 더 큰 정치적 또는 사회적 단체로부터 분리를 옹호하는 것 |
목표 | 독립 국가 설립 기존 국가에서 분리 다른 국가에 통합 더 큰 자치권 획득 |
원인 | |
정치적 원인 | 민족주의 인종적 불평등 종교적 차이 문화적 차이 정부의 부패 소수자의 권리 박탈 중앙집권에 대한 반감 민주주의의 결핍 독재 또는 권위주의 정부에 대한 저항 정부의 탄압 |
경제적 원인 | 지역 간의 경제적 불균형 자원 분배 문제 경제적 차별 경제적 불평등 |
사회적 원인 | 사회적 소외 사회적 차별 사회적 불평등 정체성 위기 역사적 갈등 특정 지역에 대한 차별 사회적 긴장 문화적 정체성 문제 |
기타 원인 | 외부 세력의 개입 지리적 요인 역사적 선례 |
분리주의 운동의 예 | |
역사적 사례 | 미국 남부 연합 아일랜드 분리주의 |
현대 사례 | 스코틀랜드 독립 운동 카탈루냐 독립 운동 퀘벡 독립 운동 바스크 분리주의 신장 위구르 분리주의 티베트 독립 운동 쿠르드족 독립 운동 |
분리주의의 합법성 | |
국제법 | 국제법은 분리주의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제시하지 않음 |
자기결정권 | 분리주의는 자기결정권이라는 원칙과 연관될 수 있지만, 모든 분리주의 운동에 적용되는 것은 아님 |
국내법 | 대부분의 국가에서 분리주의는 불법으로 간주됨 |
분리주의의 결과 | |
긍정적 결과 | 새로운 국가의 탄생 문화적 정체성 강화 소수 집단의 권리 보호 |
부정적 결과 | 전쟁과 폭력 경제적 혼란 사회적 불안정 영토 분쟁 난민 문제 |
분리주의와 관련된 개념 | |
관련 개념 | 국가주의 지역주의 민족주의 연방주의 자결권 |
유사 개념 | 탈퇴 분할 독립 자치 분권화 분리주의 운동 |
분리주의에 대한 관점 | |
분리주의 옹호론 | 문화적, 민족적, 종교적 정체성 보존 소수 집단의 권리 보호 자결권 실현 정부의 억압으로부터의 해방 |
분리주의 반대론 | 국가 통합 유지의 중요성 사회적 불안정 초래 위험 경제적 혼란 야기 가능성 폭력과 갈등의 위험 증가 |
2. 정치적 분리주의
정치적 분리주의는 한 사회나 국가가 다른 사회나 국가로부터 독립하여 주권을 얻으려는 시도를 의미한다. 대개 뚜렷한 국가관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주도되며, 식민지의 독립운동이 대표적인 예이다. 분리주의 단체들은 '분리주의'라는 용어가 경멸적으로 사용된다고 여겨 이를 거부하고, '민족자결'과 같은 중립적인 용어를 선호한다.
분리주의 운동은 합법적이고 평화적인 방법을 취하기도 한다. 캐나다 퀘벡주는 1960년대부터 평화적인 분리주의 운동을 추진해왔다. 체코슬로바키아의 분리와 소련의 해체,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 연방에서 평화적으로 탈퇴한 것도 평화적 분리주의 운동의 예시이다. 미국 남북전쟁 이전, 남부 11개 주는 합법적으로 미국 연방에서 탈퇴를 시도했으나, 이는 결국 무력 충돌로 이어졌다.
과거 군사적 점령에 대한 저항으로 분리주의가 폭력적인 형태를 띠기도 한다. 프랑스와 스페인의 바스크 독립 운동 단체(ETA), 1980년대 인도의 시크교 분리주의자들, 1910년대부터의 아일랜드공화군과 IRA, 1960년대 퀘벡해방전선 등이 그 예시이다. 이러한 게릴라 운동은 체첸에서처럼 본격적인 시민전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기존 법질서 안에서 자치권을 얻을 수 있는 정치적 수단이 주어지면 폭력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자유 선거와 국민투표가 긴장 완화에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거의 모든 국가는 분할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고슬라비아는 국민투표를 통해 국가 분리를 허락한다는 헌법 조항에도 불구하고 분리와 함께 전쟁이 일어났다.
분리주의에 대한 대응은 국가마다 다르다. 독립을 인정하거나, 자치권 부여로 타협하기도 하고, 무력으로 진압할 수도 있다. 재원 부족 등의 이유로 큰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분리주의의 다양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국가/지역 | 상황 |
---|---|
에리트레아, 동티모르민주공화국, 남수단 | 오랜 독립 투쟁 끝에 국내외 승인을 얻고 국가 운영 궤도에 진입. |
코소보공화국, 소말릴란드공화국, 압하지야, 트란스니스트리아, 남오세티야 | 독립 투쟁으로 사실상 지배는 하고 있지만, 국제 사회 다수로부터 승인받지 못함(사실상 독립한 지역). |
스페인 바스크 지방, 카탈루냐, 영국 북아일랜드 | 중앙 정부가 자치권을 부여. 비둘기파는 납득하지만, 매파는 무장 투쟁 불사. |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티베트 독립 운동), 위구르(동투르키스탄 독립 운동), 내몽골 자치구, 홍콩(홍콩 독립 운동),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이라크 북부 및 터키 쿠르드 지역, 앙골라 카빈다 | 무력 장치로 독립파 검거, 다수파 주민 이주로 원주민 소수화 시도. |
영국 스코틀랜드(스코틀랜드 독립 운동), 캐나다 퀘벡주(퀘벡 독립 운동) | 평상시 독립론 약세, 차별 문제 발생 시 강세. |
일본 류큐 민족(류큐 독립 운동) | 류큐 독립 운동 참조. |
나이지리아 비아프라, 러시아 체첸, 아제르바이잔 나고르노-카라바흐처럼, 독립 선언 세력을 내전 끝에 멸망시키는 경우도 있다.
소말릴란드, 이탈리아 북부동맹처럼 경제적 이유(이익 배분 불균형 등)로 분리 독립을 실행하거나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유고슬라비아 분쟁은 민족적, 종교적 대립 외에도 광업, 공업 지대가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에 집중되어 이익의 재분배가 균등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점도 원인 중 하나였다.
2. 1. 분리주의의 발생 동기
분리주의 운동은 흔히 표면상 애국심이나 신앙심을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정치적, 경제적 손익 계산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5]- 경제적 요인: 체코슬로바키아의 분리는 경제적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 슬로바키아는 기간산업 포기에 대한 부담감을 느꼈고, 보헤미아와 모라비아는 자유시장경제 실험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북부 이탈리아반도의 분리주의도 경제적 이유뿐만 아니라 문화적, 언어적 이유(갈로로망스어와 관계 있음)를 갖는다.
- 과거 폭압에 대한 반발: 스페인 바스크 지방은 프란시스코 프랑코 군사독재정부의 폭압에 대한 반발로 분리주의 단체(ETA)를 발전시켰다. 에티오피아로부터 에리트레아의 독립 운동도 비슷한 예이다.
그 외 분리의 동기는 다음과 같이 하나 이상일 수 있다.[5]
- 경쟁 집단에 대한 감정적인 분노와 증오.
- 집단 학살과 민족 청소로부터의 보호.
- 언어, 문화 또는 종교의 폄하를 포함한 억압의 피해자들의 저항.
- 집단 간 갈등과 증오로부터 정치적으로 이득을 얻기를 바라는 지역 내외의 인물들에 의한 영향력 행사와 선전.
- 평등한 방식으로 권력과 특권을 공유하지 않는 한 집단의 경제적 및 정치적 지배.
- 위협받는 종교, 언어 또는 기타 문화적 전통의 보존.
- 하나의 분리주의 운동으로부터 다른 운동으로의 불안정화.
- 더 큰 국가 또는 제국의 붕괴로 인한 지정학적 권력 공백.
- 점점 더 많은 국가가 분열됨에 따라 계속되는 분열.
- 인식된 국가가 부정한 수단으로 더 큰 국가에 편입되었다고 느끼는 것.
- 국가가 더 이상 자신의 집단을 지지할 수 없거나 자신의 이익을 배신했다고 인식하는 것.
- 정치적 결정에 대한 반대.
2. 2. 분리주의의 다양한 강도
- 몇몇 분리주의자들은 재래식 군대를 이용한 투쟁을 벌였다. 1780년대에서 1830년대 사이에 아메리카 대륙의 많은 국가들이 이 방식으로 독립을 유지했다.
- 많은 분리주의자들은 일시적인 자원 부족으로 전면전을 하지 않고, 게릴라 전술을 사용한다. 하지만 테러리스트로 규정되어 추방될 위험이 있다. 바스크 분리주의가 이 경우에 해당한다. 알제리는 이 방법으로 독립을 이루었다. 체첸 분리주의는 캅카스산맥에서 교전이 축소되어 이 방향으로 옮겨 왔다.
- 압도적인 군사력과 강력한 통치력을 가진 국가에 점령된 경우에, 분리주의 운동은 지하조직화하는 길 외에 다른 선택을 거의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19세기 폴란드를 점령했던 제정 러시아는 폴란드 영토 회복 주의자들에게 무기를 지닐 수 없도록 하였고, 공공장소에서 폴란드어 사용을 금지하고 폴란드 문화와 연관된 행사를 열 수 없도록 하였다. 그러나 제정 러시아에 대한 폴란드 분리주의의 토양은 죽지 않았다.
- 분리주의를 허용할 때, 분리주의자들은 법적 수단, 특히 의회에 대표를 보냄으로써 그들의 목표를 추진할 수 있다. 아일랜드 분리주의는 19세기에 주로 이 방법을 취했다.
- 인도 분리주의는 정치적 독립을 위한 비폭력 저항 방법의 고전적인 사례이다. 간디의 방법론과 철학은 비폭력의 중요성을 밝혔다.
- 문화적 차이를 통한 분리주의는 제국주의적 패권주의를 끊임없이 약화시킨다. 콘월에서의 분리주의가 이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 방법은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전에 발트해 연안 지방에서 효과를 입증했다.
- 지능적 분리주의는 캐스케이디아(Cascadia)에서 나타난다. 캐스케이디아(Cascadia)의 분리주의는 다른 형태의 분리주의 운동을 일으킬 수도 있다.
- 국가나 지역 상황에 대한 일시적인 불만이 서서히 꺼지는 분리주의의 불을 다시 지핀다. 뉴사우스웨일스주의 뉴잉글랜드 지방의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 마이크로네이션의 분리주의는 온건한 방향으로 바뀔 수 있다.
2. 3. 변덕스러운 분리주의
벨기에는 1830년에 독립국의 지위를 얻기 위해 피비린내 나는 전쟁을 치렀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유럽 연합 결성을 주도한 국가들 중 하나이다. 벨기에의 수도 브뤼셀은 유럽 연합의 수도이기도 하다. 하지만 동시에 벨기에는 스스로 연방 국가로 나뉘었다. 북부의 플랑드르(네덜란드어 사용)와 남부의 왈롱(프랑스어 사용)으로 나뉜 것이다. 텍사스 분리주의는 1836년에 나타났고 1845년에 미국으로 합병되면서 사라졌지만 텍사스 공화국 단체는 오늘날까지도 텍사스 독립의 전통을 유지해 오고 있다. 하지만 2010년대에 부활했다. 인도는 1947년 파키스탄의 독립으로 인한 이슬람 분리주의로 고생했고, 파키스탄에서는 이어서 방글라데시 분리주의가 일어났고 방글라데시는 파키스탄으로부터 독립했다.3. 분리주의 운동의 유형
분리주의 운동은 다양한 요인을 기반으로 발생하며,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 민족 분리주의: 문화, 언어, 종교, 인종적 차이를 바탕으로 한다.
- 아프리카
- 앙골라(Angola), 알제리(Algeria), 부룬디(Burundi), 나미비아(Namibia) 카프리비 지방(Caprivi Strip), 에티오피아(Ethiopia), 콩고 공화국(Republic of the Congo), 콩고 민주 공화국(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수단(Sudan) 다르푸르(Darfur), 세네갈(Senegal), 남아프리카 공화국(South Africa), 우간다(Uganda), 서사하라(Western Sahara), 짐바브웨(Zimbabwe) 등[32][33]
- 나이지리아(Nigeria) 비아프라 전쟁(Biafran War) (1960년대, 비아프라(Biafra) 독립 선포), 니제르 델타(Niger Delta) 민족 및 석유 자원 갈등
- 라이베리아(Liberia) 아프리카계 라이베리아인과 아메리코-라이베리아인 간 갈등
- 남아프리카 공화국(South Africa) 보어(Boer)인, 아프리카너(Afrikaner)계 분리주의
- 투아레그(Tuareg)족 분리주의 (니제르(Niger), 북부 말리(Mali) 아자와드(Azawad) 등)
- 코모로(Comoros) 안주안(Anjouan) 섬과 모헬리(Mohéli) 섬 분리주의
- 앙골라(Angola) 카빈다(Cabinda)
- 소말릴란드(Somaliland): 독립 투쟁 후 사실상 지배 (사실상 독립 국가)
- 중앙아시아: 소비에트 연방 붕괴 후 민족 자치 기반 국가 수립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조지아(그루지야),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 키프로스 터키계 분리주의 (북키프로스)
- 조지아(그루지야) 남오세티야와 아브하지야 분리주의
- 아제르바이잔 나고르노-카라바흐 아르메니아인 분리주의 (아르차흐 공화국)
- 이란, 이라크, 시리아, 터키 쿠르디스탄 쿠르드인 분리주의
- 파키스탄 발루치족, 신드족 분리주의[34]
- 인도 아쌈인 독립 운동, 잠무 카슈미르 분리 독립 운동, 북동 인도 지역 분리 독립 운동[34][35]
- 스리랑카 소수 민족 타밀족 분리주의 (타밀 엘람)
- 미얀마 친주, 카친족, 카렌족, 라카인(아라칸)족, 로힝야족, 샨족, 와족 등 소수 민족 분리 독립 운동
- 태국 말레이인 분리주의
- 티베트 14대 달라이 라마 갬덴 포탕 망명 정부[36]
- 위구르 동투르키스탄 공화국 망명 정부 (독립파는 자신을 분리주의자로 인정하지 않음)[37]
- 이란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인 분리주의
- 말레이시아 동부 사바주(북보르네오) 및 사라와크주 분리주의
- 유럽
- 독일(Germany) 소르브인(Sorbs) 분리주의 (라우지츠(Lausitz))
- 덴마크 왕국(Kingdom of Denmark) 페로 제도(Faroe Islands) 분리 독립 운동 (페로 제도 공화국(Republic of Faroe Islands))
- 체코(Czechia), 폴란드(Poland) 실레시아(Silesia) 분리주의
- 스페인(Spain) 바스크 분리 독립 운동(Basque separatist movement), 카탈루냐 분리 독립 운동(Catalan independence movement), 안달루시아(Andalusia) 분리 독립 운동, 아스투리아스(Asturias) 독립 운동, 발렌시아(Valencia) 분리 독립 운동, 카나리아 제도(Canary Islands) 독립 운동, 갈리시아(Galicia) 분리 독립 운동, 나바라(Navarra) 등
- 영국(UK) 브리튼 제도(British Isles) 켈트어권[38]: 콘월(Cornwall), 아일랜드(Ireland) 민족주의, 스코틀랜드 독립 운동(Scottish independence movement), 웨일스(Wales) 등
- 프랑스(France) 바스크 분리 독립 운동 (프랑스령 바스크(French Basque Country)), 카탈루냐 분리 독립 운동(Catalan independence movement), 코르시카(Corsica), 브르타뉴(Brittany), 옥시타니(Occitania), 사보이(Savoy)
- 이탈리아(Italy) 프리울리(Friuli), 파다냐(Padania)(포 강(Po River) 유역), 사르데냐(Sardinia), 시칠리아(Sicily), 볼차노 자치주(Bolzano Autonomous Province)(남티롤(South Tyrol)), 베네토주(Veneto)(구 베네치아(Venetia))
- 독일(Germany) 바이에른주(Bavaria) "바이에른 자유국(Free State of Bavaria)" 운동[39]
- 벨기에(Belgium) 네덜란드어권 플랑드르(Flanders), 프랑스어권 왈롱 지역(Wallonia) 자치권 확대 운동
- 네덜란드(Netherlands) 프리지아인(Frisians) (프리슬란트(Friesland))
- 스위스(Switzerland) 주라주(Jura) 등 각 칸톤(Canton) 지리적, 종교적, 언어적 경계에 따른 분리 독립 주장[40]
- 핀란드(Finland)령 올란드 제도(Åland Islands)(현재 자치령) "올란드의 미래(Ålands framtid)"
- 러시아 연방(Russian Federation) 북 코카서스(North Caucasus) 체첸 공화국(Chechen Republic)(체첸인(Chechens))
- 우크라이나(Ukraine) 크림 반도(Crimean Peninsula) 귀속 문제 (러시아에 의한 크림 반도 합병(Annexation of Crimea by the Russian Federation))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Bosnia and Herzegovina) 스르프스카 공화국(Republika Srpska), 코소보 공화국(Republic of Kosovo)(세르비아-코소보 관계(Serbia–Kosovo relations))
- 코소보 공화국(Republic of Kosovo), 북마케도니아 공화국(Republic of North Macedonia), 세르비아 공화국(Republic of Serbia) 대알바니아주의(Greater Albania)(알바니아인(Albanians) 중심)
- 알바니아(Albania) 그리스인(Greeks) 지역 북에피루스(Northern Epirus)[41]
- 소비에트 연방(Soviet Union) 해체에 따른 각 민족별 자치국 독립 (벨라루스(Belarus), 에스토니아(Estonia), 라트비아(Latvia), 리투아니아(Lithuania), 몰도바(Moldova), 우크라이나(Ukraine) 등)
- 동유럽(Eastern Europe) 민족·언어 경계 전제 우크라이나(Ukraine), 러시아(Russia) 분쟁 (2014년-우크라이나 분쟁(War in Donbas),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2022 Russian invasion of Ukraine))
- 덴마크 왕국(Kingdom of Denmark) 그린란드(Greenland) 분리 독립 운동
-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서파푸아 지역 자유 파푸아 운동
- 뉴질랜드 마오리 분리 독립 운동
- 파푸아뉴기니 부겐빌 자치주[49], 동뉴브리튼주 (2019년 부겐빌 독립 주민 투표)
- 미국 하와이주 하와이 독립 운동
- 뉴칼레도니아 프랑스로부터 독립 (누메아 협정[50])
- 이스터섬 칠레로부터 분리[51]
- 인종적 분리주의: 특정 인종의 분리된 사회, 정부, 영토 추구
- 백인 분리주의: 백인은 유색인과 분리된 사회, 정부, 영토를 가져야 함
- 흑인 분리주의: 흑인은 타인종과 분리되어 살아야 함
- 라틴 분리주의: 미국 1960년대 치카노 운동 흐름, 남서부 미국 포함 치카노 국가 Aztlán(아스테카인 신화상 고향) 부활 주장[42], 라틴 아메리카인 "우주적 인종(La Raza Cósmica)"[43] 또는 청동 인종(제5의 인종) 개념 이용
- 종교적 분리주의: 종교적 차이를 기반으로 분리 추구
- '''젠더 분리주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역할 분담을 강조하고, 남성과 여성의 역할을 분리하여 유지해야 한다는 이념이다.
4. 분리주의 운동에 대한 대응
분리주의 운동에 대한 정부의 대응은 다양하며, 상호 배타적일 수도 있다. 정부의 대응 방법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28]
대응 방식 | 설명 |
---|---|
분리주의자들의 요구 수용 | |
소수자 처지 개선 | 종교, 언어, 영토, 경제, 정치적 이유로 차별받는 소수자들의 처지를 개선한다. |
"비대칭적 연방제" 채택 | 분리주의적 요구나 고려 사항에 따라 주마다 중앙 정부와 다른 관계를 갖도록 한다. |
정치적 분쟁 해결 지원 | 의회 투표, 국민투표 등으로 소수자들이 강하게 느끼는 정치적 분쟁에서 이기도록 돕는다. |
제한적 연방/연합 관계 | 주들 간의 유대가 제한적인 연방 또는 연합 관계에 만족한다. |
정부의 대응은 국가 상황에 따라 다르다. 독립을 인정하거나, 자치권으로 타협할 수도 있고, 무력으로 진압할 수도 있으며, 재원 부족 등의 이유로 큰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분리주의 운동의 사례는 다음과 같다.
국가/지역 | 설명 |
---|---|
에리트레아, 동티모르민주공화국, 남수단 | 오랜 독립 투쟁 끝에 국내외 승인을 얻고 국가 운영을 궤도에 올리는 일만 남았다. |
코소보공화국, 소말릴란드공화국, 압하지야, 트란스니스트리아, 남오세티야 | 독립 투쟁 끝에 사실상 지배는 하고 있지만, 국제 사회 다수에게 승인받지 못했다(사실상 독립한 지역). |
스페인 바스크 지방, 카탈루냐, 영국 북아일랜드 | 중앙 정부는 자치권을 부여하고 있다. 비둘기파는 만족하지만, 매파는 무장 투쟁도 불사한다. |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티베트 독립 운동), 위구르(동투르키스탄 독립 운동), 내몽골 자치구, 홍콩(홍콩 독립 운동),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이라크 북부 및 터키 쿠르드 지역, 앙골라 카빈다 | 무력 장치를 사용하여 독립파를 검거하거나, 다수파 주민 이주를 통해 원주민을 소수파로 만들려고 한다. |
영국 스코틀랜드(스코틀랜드 독립 운동), 캐나다 퀘벡주(퀘벡 독립 운동) | 평소에는 독립론이 강하지 않지만, 차별 문제가 발생하면 강해진다. |
일본 류큐 민족 (류큐 독립 운동 참조) | |
나이지리아 비아프라, 러시아 체첸, 아제르바이잔 나고르노-카라바흐 | 독립을 선언한 세력을 내전 끝에 멸망시켰다. |
국제적으로 승인받지 못한 소말릴란드, 이탈리아 북부 독립을 내건 이탈리아 정당 북부동맹처럼, 경제적 이유(이익 배분 불균형 등)로 분리 독립을 실행하거나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유고슬라비아 분쟁은 민족, 종교적 대립 외에도 광공업 지대가 슬로베니아나 크로아티아에 집중되어, 이익의 재분배가 균등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이익이 농업 지대인 세르비아 등 다른 지역으로 빼앗긴다) 양국의 불만도 원인 중 하나였다.
5. 분리주의 운동에 의해 분리된 국가
분리 이전 국가 | 분리된 국가 |
---|---|
네덜란드 | 벨기에 |
체코슬로바키아 | 체코, 슬로바키아 |
에티오피아 | 에리트레아 |
인도네시아 | 동티모르 |
소련 |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조지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몰도바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마케도니아 공화국, 슬로베니아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 (이후 코소보 추가 독립), 몬테네그로 |
수단 | 수단, 남수단 |
6. 역사적 분리주의 운동
분리주의 운동은 때때로 합법적이고 평화적인 방법을 취한다. 캐나다 퀘벡주는 1970년의 시월위기를 제외하면, 대략 1960년대부터 평화적 분리주의 운동을 추진했다. 대체로 평화적 운동은 체코슬로바키아의 분리와 소련의 해체로 끝났다고 여겨진다. 싱가포르도 말레이시아 연방에서 평화적으로 탈퇴하였다. 미국 남북전쟁 때 남부동맹의 형성으로 인한 무력 충돌 전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남부 11개 주는 합법적으로 미국 연방에서 탈퇴했었다.
분리주의는 과거의 군사적 점령에 대한 저항으로서 폭력의 형태를 띨 수 있다. 세계의 많은 단체들은 자국을 해방시키기 위한 유일한 수단으로 분리주의를 받아들인다. 여기에는 프랑스와 스페인의 바스크 독립 운동 단체(ETA), 1980년대의 인도의 시크교 분리주의자들, 1910년대부터 아일랜드공화군부터 IRA에 이르는 일련의 흐름, 1970년 시월위기를 일으켰던 1960년대의 퀘벡해방전선(Front de Libération du Québec)이 포함된다. 이러한 게릴라 운동은 체첸에서처럼 본격적인 시민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기존 법질서 안에서 자치권을 좀 더 얻을 수 있는 정치적 수단이 잠재적 분리주의자에게 주어질 때 폭력은 줄어들기 마련이다. 자유 선거와 국민투표가 긴장 완화에 때때로 도움이 된다. 그러나 거의 모든 국가는 그들의 분할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국민투표를 통해 국민의 동의가 확인되면 국가의 분리를 허락한다는 당시 헌법 조항에도 불구하고, 유고슬라비아의 분리와 함께 전쟁이 일어났다.
다음은 역사적 분리주의 운동의 예시이다.
6. 1. 아직 국제적 승인을 널리 받지는 못한 독립국
다음은 국제적으로 널리 승인받지 못한 독립국들이다.7. 분리 공작
어떤 국가 내의 분리·독립 운동을 그 국가와 대립 관계에 있는 국가나 세력이 지원하거나 선동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등이 있다.
참조
[1]
서적
Secession as an International Phenomenon
https://ugapress.org[...]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10-01-01
[2]
웹사이트
Secessionism and Separatism Monthly Series: "Secession and Secessionism" by Alexandar Pavković - H-Nationalism - H-Net
https://networks.h-n[...]
[3]
서적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plato.stanfor[...]
Stanford University
2007-11-02
[4]
간행물
Patterns of Ethnic Separatism
John A. Hall
1981-01-01
[5]
서적
Separatism: Democracy and Disintegratio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998-01-01
[6]
웹사이트
Secessionism and Separatism Monthly Series: "Gendering Secession" by Jill Vickers - H-Nationalism - H-Net
https://networks.h-n[...]
[7]
서적
Feminist Social Thought: A Reader
Routledge
1997-01-01
[8]
서적
Lesbian Land
Word Weavers Press
1976-01-01
[9]
서적
In-Between Bodies: Sexual Difference, Race, and Sexuality
SUNY Press
2007-01-01
[10]
서적
Gays/Justice: A Study of Ethics, Society, and Law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8-01-01
[11]
웹사이트
This Group of Straight Men Is Swearing Off Women
https://www.vice.com[...]
2015-09-24
[12]
웹사이트
Men going their own way: the rise of a toxic male separatist movement
http://www.theguardi[...]
2020-08-26
[13]
웹사이트
Male supremacists have a new utopian dream
https://melmagazine.[...]
2022-02-07
[14]
웹사이트
Racial Integration
http://www.slate.com[...]
1997-11-23
[15]
웹사이트
Theological Topic turns to Wright case
http://www.boston.co[...]
2008-04-26
[16]
뉴스
Professor Predicts 'Hispanic Homeland'
Associated Press
2000-01-01
[17]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on religious separatists
http://www.britannic[...]
[18]
서적
The Pilgrim republic: an historical review of the colony of New Plymouth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Company
[19]
웹사이트
Christian separatist on trial in Indonesia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02-08-19
[20]
웹사이트
Christian separatist leader threatens to raise independence flags in Maluku
http://www.highbeam.[...]
Associated Press
2002-04-05
[21]
웹사이트
Christian separatist group in Tripura target tribal Hindus
http://www.mail-arch[...]
2002-12-31
[22]
뉴스
Christian separatist ready for new home
http://www.venturaco[...]
2007-06-09
[23]
웹사이트
Colorado Rep. disavows ties to SC Christian separatist group
http://www.wistv.com[...]
2005-10-09
[24]
서적
Simon Dubnow
1958-01-01
[25]
학술지
Origins of Falasha Jews studied by haplotypes of the Y chromosome
1999-12-01
[26]
웹사이트
The Ghost of Khalistan
http://www.sikhtimes[...]
2006-06-16
[27]
논문
Effects of Political Leadership on Ethnic Separatist Movements in India
2007-04-12
[28]
서적
1998-01-01
[29]
웹사이트
US: Separatists in eastern Ukraine have weapons, military equipment from Russia
https://www.foxnews.[...]
2015-03-24
[30]
웹사이트
【正論12月号】仏研究所が警鐘 中国の沖縄浸透工作 産経新聞パリ支局長 三井美奈
https://www.sankei.c[...]
2021-11-07
[31]
웹사이트
中国が「琉球独立」求める団体関係者と交流-公安調査庁・回顧と展望
https://www.bloomber[...]
2016-12-26
[32]
웹사이트
African Ethnicities
http://web.uflib.ufl[...]
[33]
웹사이트
Excerpt from book Ethnic Conflicts in Africa, Okwudiba Nnoli
http://web.africa.uf[...]
African Books Collective
1998-01-01
[34]
웹사이트
Reviews of Katharine Adeney ''Federalism and Ethnic Conflict Regulation in India and Pakistan''
http://www.palgrave.[...]
Palgrave MacMillan
2007-01-01
[35]
서적
Ethnicity and Power in the Contemporary World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36]
뉴스
China issues call to crush Tibetan 'separatists'
https://www.google.c[...]
2009-02-19
[37]
뉴스
'For Their Own Good': The Detention Of Muslim Ethnic Groups In China
https://the1a.org/se[...]
2019-12-23
[38]
웹사이트
Who were the Celts? ... Rhagor
http://www.museumwal[...]
National Museum Cardiff|Amgueddfa Cymru – National Museum Wales
2007-05-04
[39]
웹사이트
Das Recht auf Eigenstaatlichkeit
http://landesverband[...]
landesverband.bayernpartei.de
2006-10-28
[40]
논문
Ethnic Diversity, Elite Accommodation and Federalism in Switzerland
https://www.jstor.or[...]
Oxford University Press
[41]
웹사이트
Εκδήλωση και ψήφισμα στο Δελβινάκι για την Επέτειο Αυτονομίας της Βορείου Ηπείρου
https://himara.gr/po[...]
[42]
웹아카이브
Professor Predicts 'Hispanic Homeland'
https://web.archive.[...]
Associated Press
2012-11-07
[43]
웹사이트
メスティサと多文化主義のはざまで
http://human.kanagaw[...]
[44]
웹사이트
Let the Segregation Commence, Separatist graduations proliferate at UCLA
http://www.city-jour[...]
2007-06-13
[45]
서적
Embracing Segregation: The Jurisprudence of Choice and Diversity in Race and Sex Separatism in Schools
http://home.law.uiuc[...]
University of Illinois
2005-08-29
[46]
웹사이트
CUNY Program to Help Black Men Is Called Discriminatory
https://www.nytimes.[...]
2006-04-19
[47]
웹사이트
Strategy of White Separatism
http://findarticles.[...]
2006-07-01
[48]
웹사이트
Radical Relatedness and Feminist Separatism
http://www.religion-[...]
[49]
웹사이트
パプア・ニューギニア・ブーゲンビル住民投票の実施について(外務報道官談話)
https://www.mofa.go.[...]
[50]
뉴스
New Caledonia pro-independence parties reject referendum result
https://www.aljazeer[...]
2021-12-13
[51]
웹사이트
Easter Island's indigenous leaders want to sever link with Chile
http://www.theguardi[...]
2010-08-13
[52]
웹사이트
Santa Cruz Journal; White Flight in Brazil? Secessionist Caldron Boils
https://www.nytimes.[...]
1993-05-12
[53]
웹사이트
Insólito aval oficial a grupos que, con respaldo inglés, quieren un Estado separado en el sur de Argentina y Chile: the Mapuche Nation
https://www.infobae.[...]
2021-10-19
[54]
웹사이트
On Separatism in Latin America
https://www.e-ir.inf[...]
2013-05-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쿠르드노동자당, 47년 만에 해체 선언…튀르키예와 공존 가능할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