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대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대주의는 19세기 영국의 존 넬슨 다비에 의해 시작된 기독교 신학으로, 각 시대마다 하나님의 구원 방식이 다르다고 주장한다. 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하고, 이스라엘과 교회를 구분하며, 전천년설 종말론을 따른다. 세대주의는 다양한 세대 구분과 해석 방법을 가지며, 20세기 초 영향력이 줄었으나, 미국과 한국 등지에서 영향을 미쳤다. 세대주의는 이스라엘과 교회의 구분, 종말론, 구원론 등에서 비판을 받으며,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논란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대주의 - 달라스 신학교
    달라스 신학교는 1924년에 설립된 복음주의 신학 대학으로, 해설적 성경 설교를 가르치며, 현대 세대주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전천년설, 성경 무오설 등을 신학적 입장으로 가진다.
  • 세대주의 - 스코필드 관주성경
    스코필드 관주성경은 C. I. 스코필드가 편집하여 1909년에 출판된 성경으로, 시대주의 신학을 널리 퍼뜨리고 성경 연구와 이해를 돕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기독교 근본주의, 한국 개신교, 기독교 시온주의 운동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신학적 해석학 - 알레고리 성경해석
    알레고리 성경해석은 성경 내용을 문자적 의미를 넘어 상징적, 비유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으로, 오리게네스에 의해 강조되었고 중세 시대 4중적 의미 해석으로 발전했으나, 주관적인 해석과 교리 강화의 도구로 남용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 신학적 해석학 - 안명준
    안명준은 독립운동가 안봉순의 손자이자 평택대학교 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로, 칼빈 신학에 근거한 성경 해석학 연구와 다양한 학회 활동을 통해 한국교회와 해석학 분야에 기여했다.
세대주의
개요
정의성경 해석의 한 방법론으로, 하나님이 인류를 다루시는 방식에 있어서 구별되는 시대 또는 경륜(dispensation)이 존재한다고 보는 견해이다.
특징각 시대마다 하나님은 특정한 약속, 요구, 책임을 통해 인간과 관계를 맺으며, 이러한 시대적 경륜은 이전 시대와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주요 관점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하고, 이스라엘과 교회를 명확히 구분하며, 미래에 대한 특정한 예언적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역사
기원19세기 초 존 넬슨 다비를 중심으로 플리머스 형제회에서 발전했다.
발전사이러스 스코필드의 스코필드 관주 성경을 통해 미국에서 널리 확산되었다.
영향미국 복음주의의 중요한 흐름 중 하나가 되었으며, 할 린지와 같은 저술가를 통해 대중화되었다.
주요 인물
창시자존 넬슨 다비
주요 지지자사이러스 스코필드
루이스 스페리 셰이퍼
할 린지
신학적 특징
성경 해석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강조한다.
시대 구분역사를 여러 시대로 나누어 각 시대마다 하나님의 경륜이 다르다고 본다.
이스라엘과 교회이스라엘과 교회를 명확히 구분하고, 이스라엘의 회복을 중요하게 여긴다.
미래 예언환난 전 휴거설과 천년왕국과 같은 특정한 미래 예언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주요 교단 및 단체
교단플리머스 형제회
교육 기관무디 성경학교
댈러스 신학교
비판
계약 신학계약 신학에서는 성경 전체를 하나의 통일된 계약으로 보기 때문에 시대주의의 시대 구분에 동의하지 않는다.
역사적 전천년설역사적 전천년설에서는 교회와 이스라엘의 구분을 약화시키고, 환난 후 휴거설을 주장한다.
관련 용어
관련 용어세대주의적 전천년설
환난전 휴거설
천년왕국

2. 기원

세대주의 신학은 영국의 형제교회 지도자 존 넬슨 다비(1800-1882)에 의해 시작되었다.[70] 세대주의는 각 시대마다 하나님의 구원 방식이 다르며, 미래 예수 재림까지 시대별로 다양성이 규정된다고 주장한다. 알레고리적 성경해석을 배격하고, 일관된 문자적 성경 해석 방법론과 축자영감설을 수용하여 역사적 성경해석이 중심인 종교개혁 전통의 개혁주의 신학과 다른 입장에 있다.[70]

분리주의는 역사를 하나님이 인류와 특정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뚜렷한 시기로 구분하는 신학적 틀이다. 찰스 라이리는 "세대"라는 용어를 "분리주의"와 분리하여 두 용어가 의미상 동의어가 아니라고 하면서, "분리주의"를 "하나님의 목적을 수행하는 데 있어 구별되는 경제"로 정의했다.[6]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은 일반적으로 인류를 위한 하나님의 계획에 뚜렷한 기간이 있다는 데 동의한다.[10] 분리주의 신학자들은 이스라엘과 [기독교] 교회가 병행하면서도 분리된 역할과 운명을 가진다는 견해를 가진다.[2][1] 언약 신학은 "하나님은 구속의 역사 전체에 걸쳐 한 백성, 한 하나님의 백성을 가지고 있으며, 구약 시대에는 '이스라엘'이라고 불리고, 신약 시대에는 '교회'라고 불린다"고 주장하며 분리주의와 구별된다.[1]

필립 마우로는 1928년 저서 ''왕국의 복음''에서 세대주의를 "현대주의의 미묘한 형태"라고 비판하면서, 근본주의에 침투한 신학적 틀을 묘사하기 위해 "분리주의"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으로 여겨진다.[3][4]

세대주의의 역사 연표, 다양한 사상의 전개를 보여줌

2. 1. 존 넬슨 다비와 형제교회

세대주의 신학은 19세기 영국의 형제교회 지도자 존 넬슨 다비(1800-1882)에 의해 시작되었다.[70] 다비는 각 시대마다 하나님의 구원 방식이 다르며, 이러한 다양성은 미래 예수 재림까지 시대별로 규정된다고 주장하였다.[70] 그는 알레고리적 성경해석을 배격하고, 일관된 문자적 성경 해석 방법론과 축자영감설을 수용하였다.[70]

존 넬슨 다비


다비는 이사야 32장이 이스라엘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면서 예언이 미래의 성취와 이스라엘 왕국의 실현을 요구한다고 결론지었다.[34] 그는 신약 교회를 그 왕국과 관련 없는 별개의 프로그램으로 보았다.[34] 따라서 이스라엘을 위한 예언적 지상 왕국 프로그램과 교회를 위한 별도의 "비밀" 천상 프로그램이 생겨났으며, 두 프로그램을 혼동하지 않기 위해 예언적 프로그램은 교회가 존재하도록 하기 위해 보류되어야 했다.[34] 그런 다음 예언이 이스라엘을 위한 지상 프로그램을 재개하기 전에 교회가 휴거되어야 했다.[34]

다비의 형제단 교회론은 미국에서 인기를 얻지 못했지만, 그의 종말론적 교리는 특히 침례교와 구파 장로교 사이에서 널리 퍼졌다.[36]

다비의 개념에서, 세대는 지구의 신성한 통치와 독점적으로 관련된다. 모세 시대는 그리스도의 재림까지 지구에 대한 신성한 행정으로 계속되며, 천상의 지정을 받은 집회인 교회는 어떤 세대와도 연관되지 않는다.[35]

19세기 영국에서는 세대주의 신학이 정교해져 각지로 퍼져나가기 시작했다. 그 시초를 연 인물은 에드워드 어빙(1792년 - 1834년)이다. 그는 예수회 신부의 예언 해석을 적극적으로 흡수하여 예언에 대한 지론을 다수 저술했다. 또한 어빙은 예언 집회(prophecy conferences)를 조직하는 등 묵시적 강해의 보급에 힘썼다.

어빙의 해석은 플리머스 형제단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졌고, 존 넬슨 다비가 그 유력한 추진자가 되었다. 그는 재림이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했다. 첫 번째는 성도들의 휴거로, 환난기가 지상을 황폐하게 만들기 전에 교회가 휴거된다는 설([환난 전 휴거설]])이다. 두 번째 단계는 환난기 이후에 그리스도가 성도들과 함께 보이는 상태로 지상에 나타나 그들과 함께 통치한다는 생각이다. 하나님의 구원 계획은 하나의 언약기에 분할하여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 2. 세대주의 이전의 유사 사상

프란시스코 리베라, 타보리파, 피오레의 요아킴, 카르투시오의 데니스 등 역사 속 여러 신학자나 단체에서 세대주의와 유사한 견해를 찾을 수 있다.[30][28] 특히 요아킴은 인간 역사를 성부 시대, 성자 시대, 성령 시대로 구분했는데, 이는 훗날 세대주의적 관점의 토대가 되었다고 평가받는다.[6][29]

피에르 푸아레


아이작 와츠


피에르 푸아레(1646–1719)는 역사를 7세대로 나누는 등 세대주의적 시스템을 발전시킨 신학자로 여겨진다.[31][5][30] 푸아레는 초기 유년기(홍수로 끝남), 유년기(모세의 사역으로 끝남), 소년기(말라키로 끝남), 청년기(그리스도로 끝남), 장년기(교회의 대부분의 시대), 노년기('인간의 쇠퇴', 즉 교회의 마지막 시간), 만물의 회복(이스라엘이 회복된 그리스도의 문자적 지상 통치를 포함하는 천년 왕국)으로 구분하였다.[6]

아이작 와츠(1674–1748)는 세대주의적 관점을 제시했으며,[32] 찰스 라이리는 천년왕국을 제외한 스코필드의 세대주의 개요가 와츠의 것과 일치한다고 언급했다.[6]

3. 기독교 성경 이해와 세대주의

기독교의 성경 해석 방법은 크게 역사적 성경 이해와 알레고리적 성경 이해 두 가지로 나뉜다.[71] 역사적 성경 해석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전통적으로 역사적 성경 이해를 바탕으로 알레고리적 성경 이해가 보조적으로 활용되었다. 11세기 교회 대분열 이후 서방교회의 중세 시대에는 교황의 해석이 절대적인 '알레고리적 성경 이해'가 주요 방식으로 간주되었고, 서방 교회의 강력한 성경 이해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16세기에 에라스뮈스가 역사적 성경 이해 방식을 강화하면서,[72] 서방교회의 천주교회에게는 걸림돌이 되었고, 개신교회에게는 큰 힘이 되었다. 개신교회는 '역사적 성경 이해'를 중심으로 종교개혁 정신을 잇는 정통 개신교회 성경 신학을 형성하였다.

3. 1. 역사적 개혁교회의 정통적 성경 이해 방식

기독교 초기부터 역사적 성경 이해와 알레고리적 성경 이해가 있었다.[71] 역사적 성경 해석을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기독교 전통으로 역사적 성경 이해를 바탕으로 삼고 알레고리적 성경 이해가 보조적으로 활용되었다. 11세기 교회 대분열 이후 서방교회의 중세시대는 해석자가 권위를 갖는, 즉 교황의 해석이 절대적인 '알레고리적 성경 이해'가 주요 방식으로 간주되었고, 서방 교회의 강력한 성경 이해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16세기에 와서 에라스뮈스가 기독교회의 전통적인 주요 성경 이해 방식인 역사적 성경 이해 방식을 강화하였고,[72] 이는 서방교회의 '개혁 반대파'인 교황 중심주의자, 천주교회에게 걸림돌이 되었고, '개혁 찬성파'인 복음 중심주의자, 개신교회에게 큰 힘이 되었다. 서방교회 개혁 찬성파인 개신교회는 '역사적 성경 이해'를 중심으로 종교개혁 정신을 잇는 정통 개신교회 성경 신학을 형성하였다.

3. 2. 세대주의 성경 이해 방식

세대주의는 성경 해석에 있어서 일관된 문자적 성경해석만을 강조하는 방식을 택했다.[73] 대표적인 세대주의 신학자인 찰스 라이리는 그의 책 《오늘날의 세대주의》에서 세대주의를 "하나님의 목적을 수행하는 데 있어 구별되는 경륜"으로 정의했다.[6]Dispensationalism Today영어 라이리는 더 나아가 세대주의의 특징을 하나님이 그 기간 동안 인류와 상호 작용하는 뚜렷한 지배 관계와 그 기간 동안 인류에게 부여된 결과적인 책임이라고 제시한다.[6]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은 일반적으로 인류를 위한 하나님의 계획에 뚜렷한 기간이 있다는 데 동의한다.[10] 세대주의 신학자들은 이스라엘과 [기독교] 교회의 병행하면서도 분리된 역할과 운명에 대한 특정한 견해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스라엘에게 언급된 것과 교회에 언급된 것 사이의 신중한 분리...이스라엘에게 언급된 것은 '세속적' 성격을 가지며 '문자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2][1]

이러한 견해는 "하나님은 구속의 역사 전체에 걸쳐 한 백성, 한 하나님의 백성을 가지고 있으며, 구약 시대에는 '이스라엘'이라고 불리고, 신약 시대에는 '교회'라고 불린다"고 주장하는 언약 신학과 구별된다.[1]

4. 세대주의의 구분

세대주의는 성경 역사를 여러 세대로 구분하며, 각 세대마다 하나님이 인간을 다루시는 방식과 인간의 책임이 다르다고 본다. 새로운 세대를 구분하는 데 시험, 실패, 심판 등은 필수 조건이 아니다.[6]

일반적으로 7단계의 세대 구분이 사용되지만, 3단계에서 8단계까지 다양한 구분 체계가 존재한다.[6]

분배 체계성경 장
창세기 1–3창세기 3–8창세기 9–11창세기 12 – 출애굽기 19출애굽기 20 – 교회 탄생교회 시대 – 휴거요한계시록 20:4–6요한계시록 20–22
7 또는 8 단계무죄
또는 에덴
양심
또는 홍수 이전
시민 정부가부장적
또는 약속
모세
또는 율법
은혜
또는 교회
천년 왕국영원한 상태
또는 마지막
4 단계가부장적모세교회시온
3 단계 (최소)율법은혜왕국



7단계 구분 체계는 다음과 같다.


  • 무죄: 아담이 인류의 타락 이전 상태로, 창세기 3장에서 에덴 동산에서 추방되면서 끝난다.
  • 양심: 타락 이후부터 대홍수 이전까지의 시대로, 전 세계적인 대홍수로 끝난다.
  • 인류 또는 시민 정부: 대홍수 이후, 인류는 사형을 제정하고 통치할 권한을 가진다. 바벨탑 사건으로 끝난다.
  • 약속 또는 가부장적 통치: 아브라함부터 모세까지의 시대로, 가나안 입성을 거부하고 광야에서 40년간 불신으로 끝난다.
  • 율법: 모세부터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형까지의 시대로, 서기 70년 이스라엘의 흩어짐으로 끝난다.
  • 은혜: 십자가 이후부터 휴거까지의 시대로, 휴거 후에는 대환난이 이어진다.
  • 천년 왕국: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그리스도가 지구상에서 1000년 동안 통치하는 시대로, 마지막 반역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으로 끝난다.


세대주의는 여러 분파로 나뉜다.

  • 고전적 세대주의
  • 초세대주의 (불린저주의)
  • 과세대주의 (중간 시대 세대주의)
  • 수정 세대주의
  • 점진적 세대주의

4. 1. 전형적인 7세대 구분

세대주의는 성경 역사를 일반적으로 7세대로 구분한다.[6] 각 세대별 구분은 다음과 같다.

  • 무죄: 아담이 인류의 타락 이전 상태로, 창세기 3장에서 에덴 동산에서 추방되며 끝난다.
  • 양심: 타락 이후부터 대홍수까지의 시대로, 전 세계적인 대홍수로 끝난다.
  • 인류 또는 시민 정부: 대홍수 이후, 인류는 사형을 제정하고 통치할 권한을 갖는다. 바벨탑에서의 분산으로 끝난다.
  • 약속 또는 가부장적 통치: 아브라함부터 모세까지의 시대로, 가나안에 들어가는 것을 거부하고 광야에서 40년 동안 불신으로 끝난다.
  • 율법: 모세부터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형까지의 시대로, 서기 70년 이스라엘의 흩어짐으로 끝난다.
  • 은혜: 십자가 이후부터 일부 집단이 데살로니가전서와 요한 계시록에서 묘사된 것으로 보는 휴거까지의 시대이다. 휴거 후에는 하나님의 진노, 즉 대환난이 이어진다.
  • 천년 왕국: 지구상에서의 그리스도의 문자적인 1000년 통치(),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마지막 반역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으로 끝난다.


분배 체계성경 장
창세기 1–3창세기 3–8창세기 9–11창세기 12 – 출애굽기 19출애굽기 20 – 교회 탄생교회 시대 – 휴거요한계시록 20:4–6요한계시록 20–22
7 또는 8 단계무죄
또는 에덴
양심
또는 홍수 이전
시민 정부가부장적
또는 약속
모세
또는 율법
은혜
또는 교회
천년 왕국영원한 상태
또는 마지막
4 단계가부장적모세교회시온
3 단계 (최소)율법은혜왕국


4. 2. 다양한 세대 구분 체계

세대주의는 성경 역사에 따라 세대를 구분하며, 각 세대마다 하나님의 인간 통치 방식과 인간의 책임이 달라진다고 본다. 새로운 세대를 구분하는 데 시험, 실패, 심판 등은 필수 조건이 아니다.[6]

일반적으로 7단계의 세대 구분이 사용되지만, 3단계에서 8단계까지 다양한 구분 체계가 존재한다.[6] 7단계 구분 체계는 다음과 같다.

  • 무죄: 아담이 인류의 타락 이전 상태로, 창세기 3장에서 에덴 동산에서 추방되면서 끝난다.
  • 양심: 대홍수 이전까지의 시대로, 전 세계적인 대홍수로 끝난다.
  • 인류 또는 시민 정부: 대홍수 이후, 인류는 사형을 제정하고 통치할 권한을 가진다. 바벨탑 사건으로 끝난다.
  • 약속 또는 가부장적 통치: 아브라함부터 모세까지의 시대로, 가나안 입성을 거부하고 광야에서 40년간 불신으로 끝난다.
  • 율법: 모세부터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형까지의 시대로, 서기 70년 이스라엘의 흩어짐으로 끝난다.
  • 은혜: 십자가 이후부터 휴거까지의 시대로, 휴거 후에는 대환난이 이어진다.
  • 천년 왕국: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그리스도가 지구상에서 1000년 동안 통치하는 시대로, 마지막 반역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으로 끝난다.


분배 체계성경 장
창세기 1–3창세기 3–8창세기 9–11창세기 12 – 출애굽기 19출애굽기 20 – 교회 탄생교회 시대 – 휴거요한계시록 20:4–6요한계시록 20–22
7 또는 8 단계무죄
또는 에덴
양심
또는 홍수 이전
시민 정부가부장적
또는 약속
모세
또는 율법
은혜
또는 교회
천년 왕국영원한 상태
또는 마지막
4 단계가부장적모세교회시온
3 단계 (최소)율법은혜왕국



세대주의는 여러 분파로 나뉜다.


  • 고전적 세대주의
  • 초세대주의 (불린저주의)
  • 과세대주의 (중간 시대 세대주의)
  • 수정 세대주의
  • 점진적 세대주의

5. 세대주의 신학의 특징

세대주의 신학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이스라엘과 교회의 분리: 세대주의는 이스라엘과 기독교 교회를 분리된 존재로 본다. 이스라엘은 지상에서 하나님이 다스리는 나라이고, 교회는 영적인 존재라고 생각한다.[6]
  • 성경 해석: 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한다. 특히 구약 성경의 예언이 팔레스타인 땅의 상속, 예루살렘 성전의 부흥, 다윗 왕조의 통치 등 이스라엘과 관련하여 문자 그대로 이루어진다고 믿는다.
  • 교회 시대: 교회의 시대는 앞으로 올 유대인의 천년왕국 사이에 끼어있는 일종의 삽입된 시기로, 구약 성경에 예언된 오묘한 진리라고 생각한다. 천년왕국이 오면 지상에서 교회는 사라진다고 생각한다.
  • 종말론: 요한 묵시록과 복음서에 나오는 종말에 관한 내용은 교회에 대한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계획으로 이해한다.


교회 시대의 시작에 대한 다양한 견해는 다음과 같다.

구분내용
고전 세대주의사도행전 2장의 오순절에 교회가 시작 [42]
극단적 세대주의사도행전 9장의 사울의 구원과 사도행전 13장의 성령의 바울 파송 사이에 교회가 시작[20]
점진적 세대주의이스라엘과 교회의 구분이 상호 배타적이지 않음[21]


5. 1. 목적

존 월부드에 따르면, 세상에서 하나님의 목적은 그분의 영광을 드러내는 것이다.[11] 찰스 라이리는 세대주의적 구원론이 인간 구원을 통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고 보았다.[6]

5. 2. 성경 해석 방법

세대주의는 성경을 해석할 때 역사-문법적 해석 방법을 사용하여 텍스트를 일관되고 문자적으로 해석한다.[12] 이 방법은 성경 전체를 언어의 일반적인 규칙에 따라 해석해야 한다는 원칙을 따른다.[6] 이러한 해석 방식은 세대주의자들이 성경의 종말론적 구절을 문자적으로 받아들이도록 이끈다. 찰스 라이리(Charles Ryrie)는 비문자적 해석 방법이 무천년주의자들이 구약의 약속을 교회에 "영적으로" 적용하고, 언약 전천년주의자들이 일부 예언은 성취되었고 다른 예언은 그렇지 않다고 보는 이유라고 설명한다.[6]

세대주의는 점진적 계시 개념을 수용한다. 점진적 계시는 성경의 각 책이 하나님과 그분의 계획에 대한 추가적인 계시를 제공한다는 교리이다.[13] 찰스 라이리는 성경을 신학 교과서가 아니라, 하나님이 인류에게 새로운 책임을 소개하는 구별되는 단계들을 통해 점진적으로 펼쳐지는 하나님의 계시로 보았다.[6]

언약 신학은 신약을 구약 해석의 열쇠로 보는 반면,[6] 세대주의는 구약이 자체적으로 해석되며, 신약은 구약에 기반을 둘 수 있지만 그 의미를 변경할 수 없는 새로운 정보를 담고 있다고 본다.[14] 각 책은 신약의 관점으로 구약을 재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한다.[12]

고기 게이타는 성경을 적용할 때 세대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현재의 신자들에게는 은혜 시대에 사는 사람들에게 쓰여진 부분만을 직접 적용해야 하며, 다른 시대의 사람들에게 쓰여진 부분은 영적인 교훈이나 원칙을 배울 수는 있어도, 그것을 직접 인용할 수는 없다고 말한다. 그는 구약성경의 가르침이나 그리스도가 공생애에서 말씀하신 "율법 시대"의 가르침이 모두 은혜 시대에 적용된다는 것은 잘못된 성경 해석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그리스도가 "회개하고 계약의 백성으로서 하나님 나라에 합당한 삶을 살라"(마태 10:5-7, 15:24)고 말씀하신 것은 "하나님 나라의 복음"이며, "은혜의 복음"과는 구별된다고 말한다.[69]

사도 바울은 자신을 "이방인을 위한 사도"라고 칭했으며, 어떤 세대주의자는 이것이 세대주의의 근거라고 주장한다. 또한, '경륜(dispensation)'이라는 용어도 바울에게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그가 서신에서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기 때문이다.

  • "복음의 경륜"(고린도전서 9장 17절)
  • "때가 찬 경륜"(에베소서 1장 10절)
  • "하나님의 은혜의 경륜"(에베소서 3장 2절)

5. 3. 이스라엘과 교회의 구분

세대주의는 이스라엘과 기독교 교회를 구분한다. 고전 세대주의는 교회 시대를 이스라엘 역사의 일시적 중단, 즉 "괄호"로 간주한다.[16][6][17] 극단적 세대주의는 사도행전에서 바울의 사역과 함께 교회가 시작되었다고 본다.[19][20] 점진적 세대주의는 이스라엘과 교회의 구분이 상호 배타적이지 않으며, 둘 사이에 중복이 있다고 본다.[21]

교회 시대의 시작에 대한 다양한 견해는 다음과 같다.

구분시작 시점주요 인물 및 주장
고전 세대주의사도행전 2장의 오순절찰스 그랜디슨 피니: 오순절이 "새로운 경륜의 시작" [42], C. I. 스코필드: 오순절을 "율법"과 "은혜" 경륜의 구분점으로 강조[42]
극단적 세대주의사도행전 9장의 사울의 구원과 사도행전 13장의 성령의 바울 파송 사이E. W. 불린저: 사도행전 28장에서 교회가 시작[20]
점진적 세대주의이스라엘과 교회의 구분이 상호 배타적이지 않음예수님의 형제 야고보와 같이 예수의 가르침을 유대교 신앙에 통합한 경우와 성 베드로와 바울처럼 모세 율법 준수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가진 유대 민족 출신 기독교인들을 중복의 예시로 듦[21]



점진적 세대주의는 일부 구약의 약속이 신약에서 확장되어 교회를 포함한다고 보며, 이스라엘에 대한 약속을 대체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한다.[22]

5. 4. 율법에 대한 이해

세대주의자들은 그리스도모세 율법을 폐지하여 기독교인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믿는다. 대신 기독교인은 구약과 신약의 도덕적 원칙을 구현하는 그리스도의 율법 아래에 있다.[23][24] 이러한 관점에서, 구약의 많은 계명이 신약에서 재확립되지만, 명시적으로 확인된 계명만 지켜야 한다. 이는 모세 율법의 의식적이고 시민적인 측면을 제외한다.[24]

5. 5. 종말론

세대주의는 전천년설종말론을 가르친다.[6] 대부분의 세대주의자들은 환난 전 휴거를 믿는데,[25][26] 이는 환난 중 휴거나 환난 후 휴거를 믿는 소수 견해와 구별되며, 세대주의를 다른 전천년설 및 천년설적 견해와 구분하는 요소이다.[17] 할 린지의 저서 ''The Late Great Planet Earth''(1970)는 세대주의 종말론을 대중화했다.[27]

세대주의 신학은 예수의 말씀("내가 속히 오리라(요22:20)")을 기억하며 항상 깨어있기를 촉구한다. 그러나 마태복음 24장 36절에는 재림의 날짜와 시간은 아무도 모르며 오직 아버지만 아신다고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휴거나 재림의 구체적 일시를 명시하는 교회는 경계해야 한다.

신사도 운동과 세대주의에서는 예루살렘예루살렘 성전이 재건되면 그리스도의 재림천년왕국이 도래하여 세계에 종말이 온다고 믿는다.[82][83][84] 린지에 따르면, 사건은 1948년 현대 이스라엘 건국, 6일 전쟁에서 유대인들의 예루살렘 성지 회복, 아직 일어나지 않은 성전 재건, 적그리스도의 출현, 휴거, 그리고 그리스도가 악을 이기고 1,000년 왕국을 세우는 아마겟돈 전쟁으로 이어진다.[27] 이스라엘과 교회는 구별되므로, 휴거는 남은 이스라엘 백성이 모이기 전에 교회를 먼저 제거해야 한다.[9]

예수의 죽음과 부활로 시작되어 현재까지 지속되며 휴거로 끝나는 시대를 은혜의 시대라고 한다. 이 시대에 인간의 책임은 그리스도를 믿고 성령의 인도를 받아 살아가는 것이며, 구원은 오직 믿음으로만 가능하다.

그리스도의 재림으로 시작되는 시대는 지상에서의 인간 생활 마지막 천 년의 시대이다. 이 시기에 다윗에게 약속된 하나님의 나라가 세워지고, 이스라엘 국가는 회복되어 여러 나라의 지도자이자 제사장 국가로 부활한다. 인간의 책임은 주로 그리스도에게 복종하는 것이며, 사탄은 묶이고 악령들의 활동은 저지된다.

6. 세대주의의 영향

세대주의는 역사를 하나님이 인류와 특정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뚜렷한 시기로 구분하는 신학적 틀이다. 존 넬슨 다비의 가르침에서 발전했으며, C. I. 스코필드의 ''스코필드 주석 성경''을 통해 미국 내에서 널리 퍼졌다. 찰스 라이리는 세대주의를 "하나님의 목적을 수행하는 데 있어 구별되는 경제"로 정의하면서, 하나님이 그 기간 동안 인류와 상호 작용하는 뚜렷한 지배 관계와 그 기간 동안 인류에게 부여된 결과적인 책임을 세대주의의 특징으로 제시했다.[6]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은 일반적으로 인류를 위한 하나님의 계획에 뚜렷한 기간이 있다는 데 동의한다.[10] 세대주의 신학자들은 이스라엘과 [기독교] 교회의 병행하면서도 분리된 역할과 운명에 대한 특정한 견해를 가지며, 이스라엘에게 언급된 것은 '세속적' 성격을 가지며 '문자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2][1]

사이러스 스코필드


1928년, 필립 마우로는 ''왕국의 복음''에서 세대주의를 "현대주의의 미묘한 형태"라고 비판하며, 근본주의에 침투한 신학적 틀을 묘사하기 위해 "분리주의"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3][4]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세대주의자와 언약신학자 사이의 갈등은 지속되었고, 근본주의 운동의 형태를 형성하는 영구적인 분열을 초래했다.[4]

20세기 중반, 찰스 L. 파인버그, J. 드와이트 펜테코스트, 허먼 A. 호이트, 찰스 칼드웰 라이리, 존 월부르드와 같은 복음주의자들이 세대주의를 옹호했다.[4][46] 특히, 펜테코스트는 《다가올 일들》(1956)을, 라이리는 《오늘날의 세대주의》(1965)를 출판하여 세대주의 신학을 널리 알렸다.[4] 1970년, 할 린지는 《지구, 마지막 날들》을 출판하여 세대주의 종말론을 대중 문화에 소개했다.[4]

6. 1. 영국과 미국의 세대주의

19세기 칼뱅주의와 경쟁하는 세대주의가 분리주의적 영국 국교회 반대파를 중심으로 더블린에서 형성되었다.[79] 존 넬슨 다비의 가르침은 플리머스 형제단을 통해 확산되었으며, 제임스 잉글리스, 제임스 H. 브룩스, 드와이트 L. 무디 등이 미국에 소개하고 확산시켰다. C. I. 스코필드의 ''스코필드 주석 성경''은 세대주의를 미국 내 더 넓은 복음주의자들에게 알리는 데 기여했다. 무디 성경 연구원, 바이올라 대학교, 케언 대학교 등 성경학교들이 세대주의 확산의 중심지가 되었다. 20세기 초반에는 영향력이 감소했으나, 달라스 신학교 등을 중심으로 명맥을 유지했다.

라이먼 스튜어트(Lyman Stewart), 유니언 오일 공동 창립자


1910년대에 미국의 복음주의 내에서 ''The Fundamentals''(근본주의)가 출판되었는데, 1910년에서 1915년 사이에 Testimony Publishing Company에 의해 12권으로 분기별로 출판되었다. 유니언 오일 공동 창립자인 라이먼 스튜어트(1840–1923)[45]가 자금을 지원하고, 클래런스 딕슨과 루벤 토레이를 포함한 시대주의자들의 집행위원회가 관리한 ''The Fundamentals''는 미국 기독교 근본주의와 복음주의 운동 내에서 시대주의적 견해를 확고히 하는 데 기여했다.[4]

할 린지의 저서, 팀 라헤이의 ''Left Behind'' 시리즈 등을 통해 대중화되었다. 기독교 우파의 성장과 함께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으며, 제리 폴웰, 팻 로버트슨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1978년, 시대 종말론적 텔레비전 전도사 제리 폴웰은 이스라엘 정부의 후원으로 이스라엘 방문을 시작했다. 그는 미국이 국가의 운명을 위해 이스라엘을 지지해야 한다고 주장한 최초의 주요 미국 정치인이 되었다.[49] 폴웰은 파인버그, 펜테코스트, 호이트, 왈보드을 자신의 가장 중요한 영향력으로 꼽았다.[46] 제리 폴웰과 팀 라헤이는 1979년 사람들을 구원하고, 세례를 받게 하고, 투표에 등록시키는 것을 목표로 도덕 다수(Moral Majority)를 창립했다.[50] 도덕 다수는 또한 정치적 활동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했다.

지미 카터팔레스타인인의 고토 인정에 반대하며, 도덕 다수는 1980년 대통령 선거에서 로널드 레이건을 지지했다.[53] 그들은 레이건에게 그들의 종말론을 공유하는 후보를 발견했다. 레이건은 할 린지의 "지구의 마지막 날"을 읽었고, 이 종말론적 관점이 그의 중동 정책을 추진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9][54]

6. 2. 유럽 대륙의 세대주의

유럽 대륙 본토의 개신교회에도 영국과 미국의 당시 흐름으로 세대주의 사상이 19세기 이후에 전달되기는 했으나, 유럽 대륙은 국교회가 중심이 된 개신교회였고, 대부분의 국교회는 개신교 공교회주의를 따르는 루터교회였다. 네덜란드 개신교회는 칼뱅주의(개혁주의)가 중심이었으나 동시에 칼뱅주의를 비평적으로 수용하는 아르미누스주의가 형성된 지역으로 절대적 예정론에는 회의적이었다. 유럽 대륙의 개신교회에서는 예정론과 무관하거나 거리를 두는 교단들이 주류였으므로, 극단적 예정론의 세대주의 사상을 수용하기보다는, 도리어 세대주의와 정통 개신교 신학의 부조화 문제를 제기하였다. 종교개혁주의에 충실한 루터교회를 중심으로 하던 독일 성경신학계에서는 세대주의의 일관된 문자적 성경 이해 중심과 축자영감설을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유럽 대륙의 개신교회에서는 세대주의의 영향이 극히 적었다.

6. 3. 한국의 세대주의

대한민국의 19세기 개혁주의 예정론의 장로교회 선교사들은 대부분 세대주의 영향을 받은 신학자들이었다. 이들은 세대주의 성경 이해를 바탕으로 신학을 연구하고 성경 주석을 설교에 사용하였다. 반면 감리교회 선교사들은 개신교 공교회주의의 영향을 받은 신학자들이었으므로 예정론과 무관하였고, 종교개혁 전통의 역사적 성경해석을 바탕으로 신학을 연구하고 성경 주석을 설교에 활용하였다.[81]

기독교 50주년 선교 기념 주석서를 편찬하면서 이 차이가 드러났다. 1930년대 역사적 성경이해 방식에 충실한 아빙돈성경주석 사건으로 '세대주의 신학' 계열과 '전통 종교개혁 신학' 계열로 나뉘어 대한민국 개신교회 내부에 큰 갈등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세대주의 성경 이해를 지지한 장로교회 보수파와 역사적 성경해석을 지지한 감리교회 전체, 그리고 장로교회 내부의 일부 온건파는 개신교 선교 50년 기념 공동 사업에서 신학적 갈등을 겪었다. 1930년대 세대주의를 지지한 한국 개신교회의 최대 교단인 보수적 장로교회를 중심으로, 이미 유럽과 미국에서 거의 사라지던 세대주의적 성경 이해[81]가 20세기 말까지도 대한민국 개신교회, 특히 장로교에 영향을 끼쳤다.

일본에서는 중전중치 등 호울리네스 교회 감독들이 1919년 재림 운동에서 세대주의를 주장했다. 1933년 호울리네스 리바이벌 때, 중전 등은 곧 재림이 올 가능성을 주장했고, 일유 동조론을 결합한 신학을 주장하여 호울리네스 교회의 분열을 일으켰다. 중전의 흐름을 잇는 기독 형제단, 기독 성협단은 오늘날에도 그 신학을 주장하고 있다.

전후에는 생명의 말씀사, 성서 도서 간행회가 세대주의 신학자들의 저서를 다수 소개하여, 일본의 복음주의에는 세대주의가 널리 침투했다. 20세기 말에는 재림이 일어날 가능성을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고목경태는 『다가오는 인류의 파국』, 『앞으로의 세계 정세와 성경의 예언』 등의 저서를 통해 세대주의 예언 해석을 넓혔다.

7. 세대주의에 대한 비판

언약 신학을 따르는 교파와 운동은 세대주의를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장로교 목사 존 윅 보우먼은 스코필드 성경을 "현재 기독교계에서 발견되는 가장 위험한 이단"이라고 비판했다.[6] 세대주의 신학은 정통 장로교회가 세대주의를 가르치는 성경 장로교 시노드에서 분리되는 결과를 낳았다.[65] 그리스도의 교회는 로버트 헨리 볼과 포이 E. 윌리스가 종말론에 대해 격렬하게 논쟁을 벌이면서 1930년대에 분열되었다.

7. 1. 구원론 관련 비판

일부 세대주의 기독교 시온주의자들, 존 헤이지와 같은 이들은, 기독교인들이 유대인을 개종시키려 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4] 은혜와 구원 사이에 차이가 있다고 보는 것은, 여러 형태의 구원이 있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9]

주님 되심 구원 논쟁에서, "거듭남"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는 비판, 즉 "쉬운 믿음주의"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존 맥아더는 "쉬운 믿음주의"란 단지 예수를 따르겠다고 말하는 것만으로 구원의 기초가 충분하다고 여기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맥아더는 달라스 신학대학교 설립자 루이스 스페리 채퍼를 자유 은혜 오류의 근원으로 지목했다. 찰스 라이리와 제인 호지스는 세대주의 입장을 주로 방어했다.[4]

7. 2. 종말론 관련 비판

전천년설의 비관주의는 시대주의자들이 사회 개혁을 헛된 노력으로 여기게 하여, 잃어버린 자들을 회심시키는 데 집중하게 했으며, 후천년설의 사회 개혁과 같은 왕국 건설 노력은 하지 않았다.[66]

8. 관련 인물 및 단체



정치 평론가 케빈 필립스는 저서 《아메리카 신정론》(2006)에서 세대주의 및 기타 근본주의 기독교인들이 석유 로비와 함께 2003년 이라크 침공에 대한 정치적 지지를 제공했다고 썼다.[67] 그는 대부분의 신학자들이 성경에는 종말에 대한 구체적인 사건 순서가 없다는 것을 인정하며, 그러한 믿음은 "증폭된 달비주의"의 결과라고 썼다. 또한, 신학자 바바라 로싱을 인용하여 그러한 과도한 문자주의는 "위험하고 잘못된 견해"라고 언급했다.[67][68]

참조

[1] 웹사이트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covenant theology and dispensationalism? https://rts.edu/reso[...] 2021-11-02
[2] 서적 Understanding Dispensationalists https://frame-poythr[...]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2023-12-09
[3] 서적 The Gospel of the Kingdom: With an Examination of Modern Dispensationalism https://books.google[...] Hamilton Brothers 1928
[4] 서적 The Rise and Fall of Dispensationalism: How the Evangelical Battle over the End Times Shaped a Nation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2023-05-04
[5] 서적 A Case for Historic Premillennialism: An Alternative to "Left Behind" Eschatology https://books.google[...] Baker Academic 2009-02-01
[6] 서적 Dispensationalism https://books.google[...] Moody 2007
[7] 뉴스 A History of the Independent Bible Church https://scholarlycom[...] Ouachita Baptist University 2019-12-12
[8] 서적 Dispensationalism Today, Yesterday, and Tomorrow https://books.google[...] Footstool 1985
[9] 서적 Backgrounds to Dispensationalism: Its Historical Genesis and Ecclesiastical Implications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2005-02-03
[10] 웹사이트 Understanding Dispensationalism https://faculty.wts.[...] 2009-03-13
[11] 서적 The Millennial Kingdom https://books.google[...] Zondervan 1983
[12] 서적 Exploring Protestant Traditions: An Invitation to Theological Hospitality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09-09-20
[13] 서적 Systematic Theology https://archive.org/[...] Hendrickson 2003
[14] 서적 Three Central Issues in Contemporary Dispensationalism: A Comparison of Traditional and Progressive Views https://books.google[...] Kregel Academic
[15] 웹사이트 Not Wrath, but Rapture http://www.gotothebi[...]
[16] 서적 The Great Parenthesis https://books.google[...] Zondervan 1943
[17] 서적 Last Days Madness: Obsession of the Modern Church https://books.google[...] American Vision 1999
[18] 서적 The Moody Handbook of Theology https://books.google[...] Moody 2014-03-27
[19] 웹사이트 The Teachings of Christ http://www.bereanbib[...]
[20] 서적 Dictionary of Premillennial Theology https://books.google[...] Kregel 1996
[21] 서적 Progressive Dispensationalism https://books.google[...] BridgePoint 1993
[22] 웹사이트 Progressive Dispensationalism http://faculty.bbc.e[...]
[23] 서적 Dispensationalism, Israel and the Church: The Search for Definition https://books.google[...] Zondervan Academic 2010-08-10
[24] 서적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ld and New Testaments: Essays in Honor of S. Lewis Johnson, Jr https://books.google[...] Crossway 1988
[25] 서적 The Bible and the Future https://archive.org/[...] Eerdmans 1994
[26] 서적 Blessed hope and the tribulation Contemporary Evangelical 1990
[27] 웹사이트 The Late Great Planet Earth Made the Apocalypse a Popular Concern https://www.neh.gov/[...] 2023-06-25
[28] 서적 Dispensational Modern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7-06
[29] 간행물 Raptured or not raptured? That is the question https://dx.doi.org/1[...] 2008-04-30
[30] 서적 Dispensationalism Before Darby: Seventeenth-century and Eighteenth-century English Apocalypticism https://books.google[...] Lampion Press 2015
[31] 웹사이트 Pierre Poiret's Sober Mysticism https://www.christia[...] 2022-09-05
[32] 서적 The Harmony of all the Religions which God ever Prescribed to Men and all his Dispensations towards them https://books.google[...] 1812
[33] 서적 Edward Irving Reconsidered: The Man, His Controversies, and the Pentecostal Movement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2014-11-04
[34] 서적 Issues In Dispensationalism
[35] 서적 J. N. Darby's Teaching Regarding Dispensations, Ages, Administrations, and The Two Parenthesis http://www.presenttr[...] Present Truth 1993
[36] 서적 Evangelical Dictionary of Theology https://books.google[...] Baker Academic 2001
[37] 서적 The Roots of Fundamentalism: British and American Millenarianism, 1800–193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
[38] 서적 My Father: An Intimate Portrait of Dwight Moody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1938
[39] 서적 Dispensationalism in America: Its Rise and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John Knox Press 1985
[40] 서적 Guaranteed Pure: The Moody Bible Institute, Business, and the Making of Modern Evangelicalism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41] 서적 The Moral Majority and Fundamentalism: Plausibility and Dissonance https://books.google[...] E. Mellen Press 1989
[42] 서적 Fundamentalism and American Culture: The Shaping of Twentieth Century Evangelicalism, 1870–1925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43] 서적 The Life of Dwight L. Moody https://books.google[...] Fleming H. Revell 1900
[44] 웹사이트 A History of Dispensationalism in America http://www.founders.[...] 2023-07-05
[45] 서적 The Blessings of Business: How Corporations Shaped Conservative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4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Eschat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0-04-16
[47] 웹사이트 The original 'Left Behind' https://www.christia[...] 2012-03-07
[48] 뉴스 Jack Van Impe, End Times Preacher on TV, Is Dead at 88 https://www.nytimes.[...] 2023-07-18
[49] 서적 Prophecy and Politics: Militant Evangelists on the Road to Nuclear War https://books.google[...] Lawrence Hill 1986
[50] 서적 American Apocalypse: A History of Modern Evangelicalism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12-15
[51] 뉴스 Evangelical Christians plead for Israel http://news.bbc.co.u[...] 2007-03-20
[52] 뉴스 For Evangelicals, Supporting Israel Is 'God's Foreign Policy' https://www.nytimes.[...] 2018-05-06
[53] 서적 Culture Wars: An Encyclopedia of Issues, Viewpoints and Voic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3-17
[54] 서적 Epic Encounters: Culture, Media, and U.S. Interests in the Middle East Since 194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07-05
[55] 서적 American Apocalypse: A History of Modern Evangelicalism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56] 서적 Thy Kingdom Come: How the Religious Right Distorts the Faith and Threatens America, an Evangelical's Lament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06-07-03
[57] 서적 The End of Days: Fundamentalism and the Struggle for the Temple Mou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58] 서적 Rapture Culture: Left Behind in Evangelical Ame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03-04
[59] 논문 Gog and Magog in the White House: Did Biblical Prophecy Inspire the Invasion of Iraq? 2014-09
[60] 웹사이트 End Times: Scholars differ on what Bible says about subject http://www.bpnews.ne[...] 2023-07-30
[61] 웹사이트 Religion: The Pop Prophets https://www.newsweek[...] 2024-01-06
[62] 웹사이트 Dispensationalism and Free Grace: Intimately Linked https://dispensation[...] 2024-07-10
[63] 웹사이트 The Free Grace Alliance Within the Free Grace Movement: It is What it is! https://www.gracelif[...] GraceLife Ministries 2024-07-10
[64] 웹사이트 Dispensationalism https://faithalone.o[...] Grace Evangelical Society 2024-07-10
[65] 서적 Wrongly Dividing the Word of Truth: A Critique of Dispensationalism https://books.google[...] Soli Deo Gloria 2000
[66] 서적 The Making of Evangelicalism: From Revivalism to Politics and Beyond https://books.google[...] Baylor University Press 2017
[67] 서적 American Theocracy: The Peril and Politics of Radical Religion, Oil, and Borrowed Money in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Penguin 2006-03-21
[68] 서적 The Rapture Exposed: The Message of Hope in the Book of Revelation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07-03-30
[69] 간행물 ディスペンセーション いのちのことば社 1991
[70] 웹인용 세대주의와 이단(Dispensationalism and the Cults) http://www.kportalne[...] 2023-04-21
[71] 서적 성경 주석학 나단출판사 1991
[72] 위키백과 에라스뮈스
[73] 웹인용 세대주의와 이단(Dispensationalism and the Cults) http://www.kportalne[...] 2015-02-13
[74] 기사 교회와 신앙 2019-09-06
[75] 웹인용 세대주의와 이단(Dispensationalism and the Cults) http://www.kportalne[...] 2015-02-13
[76] 서적 프로테스탄트 성경 해석학의 교과서 성경해석학 생명의말씀사 2009-04-25
[77] 웹인용 세대주의와 이단(Dispensationalism and the Cults) http://www.kportalne[...] 2015-02-13
[78] 문서 청교도
[79] 웹인용 세대주의와 이단(Dispensationalism and the Cults) http://www.kportalne[...] 2015-02-13
[80] 서적 천년왕국이란 무엇인가 부흥과개혁사 2014-09-05
[81] 문서 아빙돈성경주석
[82] 뉴스 신사도 운동의 예루살렘 회복 http://www.christian[...] 크리스찬 투데이 2010-10-30
[83] 뉴스 트럼프의 예루살렘 수도 지지 선언과 세대주의 종말론 http://www.good-fait[...] 바른믿음 2018-03-22
[84] 뉴스 이스라엘 회복 운동은 그릇된 사상 http://www.newsm.com[...] NEWS M 2012-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