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탁 (종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탁은 신이 인간에게 직접 의사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예언, 조언, 지시 등을 포함한다. 어원은 '말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ōrāre'에서 유래되었으며, 신탁이 행해지는 장소나 신탁의 발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델포이의 피티아가 유명했으며, 도도나, 디디마 등에도 신탁소가 존재했다. 고대 이집트, 중국, 켈트, 인도, 티베트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도 신탁이 존재했으며,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신의 뜻을 전했다. 신탁은 직접 계시, 간접 계시, 신내림 등으로 분류되며, 거북점, 룬 문자, 샤먼의 강신 등이 그 예시이다. 그러나 신탁의 과학적 근거 부족과 사회적 폐해에 대한 비판적 관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언 - 종말론
    종말론은 죽음, 심판, 인류와 우주의 궁극적 운명을 다루는 신학 및 철학 분야로, 다양한 종교와 사상에서 독특한 종말관을 제시하며, 종교적 경전 해석, 과학기술 발전, 역사의 법칙성 논의 등과 연관되어 복잡한 해석을 갖는다.
  • 예언 - 징조
    징조는 고대 근동에서 시작하여 점복술, 점성술 등 다양한 방법으로 미래를 예측하거나 신의 뜻을 해석하는 데 사용된 현상으로, 고대 그리스와 로마 등에서 새의 행동이나 동물의 내장 상태 등을 통해 해석되었으며 중요한 사건의 예고나 예언으로 받아들여졌다.
  • 고대 그리스의 종교 - 그리스 신화
    그리스 신화는 기원전 15세기부터 구전되어 온 고대 그리스의 신, 영웅, 괴물에 대한 이야기로, 호메로스의 서사시와 다양한 문학 작품,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전승되었으며 서구 예술과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고대 그리스의 종교 - 단일신교
    단일신교는 여러 신 중 한 신을 최고신으로 숭배하는 형태로, 헬레니즘 종교, 조로아스터교, 힌두교, 고대 이스라엘 종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나타난다.
  • 점복 - 타로
    타로는 15세기 이탈리아에서 유래한 78장으로 이루어진 카드 덱으로, 게임용으로 사용되다가 18세기 후반부터 점술과 오컬트 목적으로 활용되었으며, 대 아르카나 22장과 완드, 소드, 컵, 코인 네 종류의 수트로 구성된 소 아르카나 56장으로 나뉜다.
  • 점복 - 사주팔자
    사주팔자는 사람이 태어난 년, 월, 일, 시를 간지로 나타내 개인의 운명을 예측하는 명리학의 한 분야이며, 십간과 십이지를 조합한 육십갑자를 기반으로 오행, 십이운성, 십성 등을 활용하여 개인의 성격, 직업, 길흉성패 등을 판단한다.
신탁 (종교)

2. 어원

'오라클(oracle)'은 '말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동사 ''ōrāre''에서 유래했으며, 예언을 하는 사제나 여사제를 가리킨다. 넓은 의미에서 '오라클'은 신탁이 행해지는 장소나 신탁의 발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1]

3. 역사

고대 그리스에서 가장 중요한 신탁은 델포이아폴론 신전 여사제 피티아의 신탁이었다.[1] 피티아는 헬레니즘 문화 전반에 걸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특히 남성 중심 사회였던 고대 그리스에서 민간 및 종교적으로 가장 높은 권위를 지녔다는 점이 독특했다.[8] 그녀는 시민, 외국인, 왕, 철학자들의 정치, 전쟁, 의무, 범죄, 가족, 법률, 개인적인 문제 등 다양한 질문에 답했다.[8] 리디아, 카리아, 심지어 이집트와 같은 그리스 주변의 반헬레니즘 국가들도 그녀를 존경하며 델포이를 찾았다.

도도나의 제우스 신탁은 델포이 다음으로 중요했으며,[13] 참나무 잎의 바스락거리는 소리로 신의 뜻을 해석했다.[13] 도도나는 레아 또는 가이아로 확인된 어머니 여신에게 헌정되었으며, 제우스헤로도토스 시대에 이르러 어머니 여신을 대체했다.

이 외에도 아나톨리아 해안의 디디마와 말루스,[1]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코린토스와 바세,[1] 에게 해의 델로스와 아이기나 섬,[1] 이오니아 근처 에리트라이,[15] 보이오티아의 레바데아,[15] 스페인의 현대 엘 푸에르토 데 산타 마리아인 메네스테우스 항구,[16][17] 페르시아 만의 이카로스 섬 (현대 쿠웨이트의 파일라카 섬),[18] 클라로스,[19] 프토이온,[20] 그뤼네이움,[21][22][23] 시와 오아시스,[25] 칼키디키의 아피티스,[25] 올림피아,[26] 카스피 해의 아나리아케,[27][28][29] 유트레시스와 테기라,[30] 파포스,[32] 아르고스, 쿠마, 폰토스의 헤라클레이아, 타이내론 등지에 여러 신탁소가 존재했다.

고대 이집트에서 여신 와제트는 뱀 머리를 한 여자나 두 개의 뱀 머리를 가진 여자로 묘사되었다. 와제트의 신탁은 페르와제트(그리스어 부토)의 유명한 사원에 있었으며, 그리스 신탁 전통의 근원이었을 수 있다.[3]

고대 중국 상 왕조의 갑골


켈트 다신교에서 점은 드루이드나 바테스와 같은 사제 계급이 담당했다. 이는 암흑 시대 웨일스 (''dryw'')와 아일랜드 (''fáith'')의 "예언자" 역할에 반영되어 있다.[33]

하와이의 특정 '''헤이아우'''에는 식물 섬유로 만든 흰색 '''카파''' 천으로 덮인 탑인 '''아누'우'''가 있었고 이곳에서 사제들은 신들의 뜻을 받았다. 코나의 Ahu'ena 헤이아우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35]

나이지리아 남동부 아프리카에 거주하는 이그보족은 오라클을 사용하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이그보 마을에서 오라클은 대개 특정 신에게 봉사하는 여성 사제였으며, 고대 그리스의 오라클처럼 조언을 구하는 방문객들에게 예언을 전달했다.

북유럽 신화에서 오딘은 신 미미르의 잘린 머리를 아스가르드로 가져가 조언을 구했다. 《하바말》과 다른 자료들은 오딘이 예언 을 얻기 위해 눈 하나를 잃고 지혜를 얻은 희생에 대해 이야기한다.

멕시카 (초기 아즈텍인)의 이주 신화에서, 4명의 사제가 운반하는 미라 묶음이 신탁을 내려 멕시코-테노치티틀란 건국으로 이어졌다. 유카탄 마야는 신의 '대변자'를 뜻하는 오라클 사제 '칠란'을 알고 있었다.

티베트에서 신탁은 종교와 정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현재도 수행하고 있다. 건륭제가 1793년에 발표한 티베트 통치를 위한 29개 조례(欽定藏內善後章程二十九條|흠정장내선후장정이십구조중국어[48]) 제1조에 따르면, 황금병 제작은 겔룩의 번영을 보장하고 신탁이 수행하는 선택 과정에서 부정과 부패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49] 인도 북부에 망명 중인 달라이 라마는 여전히 네충 신탁에게 자문을 구하는데, 이 신탁은 티베트 정부의 공식 국가 신탁으로 여겨진다.

신내림을 받은 샤먼의 입에서 나오는 말. 이때 샤먼의 의식은 일시적으로 사라지고 신이 대신 내려와 인격을 지배한다고 여겨진다. 고대일본히미코나 구약성서의 "이사야서"가 유명하다.

3. 1. 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에서 가장 중요한 신탁은 델포이아폴론 신전의 여사제 피티아의 신탁이었다.[1] 피티아는 헬레니즘 문화 전반에 걸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특히 남성 중심 사회였던 고대 그리스에서 민간 및 종교적으로 가장 높은 권위를 지녔다는 점이 독특했다.[8] 그녀는 시민, 외국인, 왕, 철학자들의 질문에 정치, 전쟁, 의무, 범죄, 가족, 법률, 개인적인 문제 등 다양한 질문에 답했다.[8] 리디아, 카리아, 심지어 이집트와 같은 그리스 주변의 반헬레니즘 국가들도 그녀를 존경하며 탄원자로서 델포이를 찾았다.

도도나의 제우스 신탁은 델포이 다음으로 중요했으며,[13] 참나무 잎의 바스락거리는 소리로 신의 뜻을 해석했다.[13] 도도나는 레아 또는 가이아로 확인된 어머니 여신에게 헌정되었으며, 제우스헤로도토스 시대에 이르러 어머니 여신을 대체했다.

이 외에도 여러 신탁소가 존재했다. 아나톨리아 해안의 디디마와 말루스,[1]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코린토스와 바세,[1] 에게 해의 델로스와 아이기나 섬,[1] 이오니아 근처 에리트라이,[15] 보이오티아의 레바데아,[15] 스페인의 현대 엘 푸에르토 데 산타 마리아인 메네스테우스 항구,[16][17] 페르시아 만의 이카로스 섬 (현대 쿠웨이트의 파일라카 섬),[18] 클라로스,[19] 프토이온,[20] 그뤼네이움,[21][22][23] 시와 오아시스,[25] 칼키디키의 아피티스,[25] 올림피아,[26] 카스피 해의 아나리아케,[27][28][29] 유트레시스와 테기라,[30] 파포스,[32] 아르고스, 쿠마, 폰토스의 헤라클레이아, 타이내론 등지에 신탁소가 있었다.

3. 2. 고대 이집트

고대 이집트에서 여신 와제트는 뱀 머리를 한 여자나 두 개의 뱀 머리를 가진 여자로 묘사되었다. 와제트의 신탁은 페르와제트(그리스어 부토)의 유명한 사원에 있었으며, 그리스 신탁 전통의 근원이었을 수 있다.[3] 고대 이집트 종교에 따르면, 일부 고대 이집트 신들(그리고 드물게는 신격화된 인간)은 인간과 신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했다. 이는 종교적 맥락에서 지역 신들에게 요청과 청원을 보고하는 "고대 이집트 통보관/전령"(''wḥmw'')이라는 칭호로 예시된다.[34]

3. 3. 고대 중국



중국에서는 상 왕조 말기(기원전 1600~1046년경)에 갑골을 사용하여 점을 쳤다. 점술가들은 소의 어깨뼈나 거북의 복갑과 같은 뼈에 열을 가하고, 그 결과로 생기는 균열을 해석했다.

이후 주 왕조(기원전 1046~256년)에서는 서양톱풀 줄기를 사용하는 다른 점술 방법이 시행되었다. 기원전 9세기 후반경, 점술 시스템은 신탁으로 사용되는 선형 기호 모음집인 ''주역'' 또는 "변화의 책"에 기록되었다. ''주역''은 그 예언적 힘 외에도 주나라 시대 이후 중국의 철학, 문학 및 통치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대 중국에서 행해진 거북점이 대표적이다. 거북의 등딱지나 사슴(후토마니) 등을 구워 균열의 생김새로 점을 쳤다. "초자연적 현상의 발현" = "신의 뜻"이 빠져나가 현대의 점으로 이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 신화의 서약도 이 형태이다.[52]

3. 4. 기타 문화권

켈트 다신교에서, 점은 드루이드나 바테스와 같은 사제 계급이 담당했다. 이는 암흑 시대 웨일스 (''dryw'') 와 아일랜드 (''fáith'') 의 "예언자" 역할에 반영되어 있다.[33]

중국에서는 상 왕조 말기(기원전 1600~1046년경)에 갑골을 사용하여 점을 쳤다. 점술가들은 소의 어깨뼈나 거북의 복갑과 같은 뼈에 열을 가하고, 그 결과로 생기는 균열을 해석했다. 주 왕조(기원전 1046~256년)에서는 서양톱풀 줄기를 사용하는 다른 점술 방법이 시행되었다. 기원전 9세기 후반경, 점술 시스템은 ''주역'' ("변화의 책")에 기록되었으며, ''주역''은 그 예언적 힘 외에도 주 시대 이후 중국의 철학, 문학 및 통치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33]

하와이에서는 하와이 사원인 특정 '''헤이아우'''에서 신탁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신탁은 식물 섬유로 만든 흰색 '''카파''' 천으로 덮인 탑에서 발견되었다. 이곳에서 사제들은 신들의 뜻을 받았다. 이 탑을 '''아누'우'''라고 불렀다. 이에 대한 예시는 코나의 Ahu'ena 헤이아우에서 찾아볼 수 있다.[35]

고대 인도에서 신탁은 '아카샤바니' ( "하늘/에테르로부터의 목소리/말") 또는 '아사리라바니' ("육체 없는 목소리" 또는 "보이지 않는 존재의 목소리", '아사리리'는 타밀어)로 알려졌으며, 신의 메시지와 관련이 있었다. 신탁은 마하바라타라마야나 서사시의 주요 사건들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크리슈나의 악한 삼촌인 캄사는 그의 여동생 데바키의 여덟 번째 아들이 그를 죽일 것이라는 신탁을 받았다. 현대 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서기 7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속한다고 추정하는 중세 타밀어 선집인 '티루발루바 말라이'의 첫 구절은 '아사리리' 또는 신탁의 탓으로 여겨진다.[36][37][38] 그러나 신탁이 특정 인물이었다는 내용은 인도 문헌 어디에도 언급되어 있지 않다.

오늘날에도, 말라얄람어(남인도 언어)로 '테이얌' 또는 "데이얌"이라고 불리는, 사제가 힌두교 신 또는 여신을 초청하여 자신의 몸을 매개체 또는 통로로 사용하여 다른 신봉자들의 질문에 답하는 과정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다.[39] 같은 과정은 또 다른 남인도 언어인 타밀어에서는 "아룰바쿠" 또는 "아룰바크"라고 불리며, 타밀나두의 아디파라사크티 시다르 피탐은 아룰바쿠로 유명하다.[40] 카르나타카의 망갈로르 인근 지역 사람들은 같은 것을 부타 콜라라고 부르며, "파트리" 또는 "다르신"이라고 부른다. 카르나타카의 다른 지역에서는 "프라슈나발리", "바그다나", "아세이", "아시르바차나" 등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41][42][43][44][45] 네팔에서는 "데브타 카 다미" 또는 "자크리"로 알려져 있다.[46]

나이지리아 남동부 아프리카에 거주하는 이그보족은 오라클을 사용하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이그보 마을에서 오라클은 대개 특정 신에게 봉사하는 여성 사제였으며, 대개 동굴이나 도시 지역에서 떨어진 은둔된 장소에 거주하며, 고대 그리스의 오라클처럼 조언을 구하는 방문객들에게 황홀경에 빠진 상태에서 예언을 전달했다. 그들의 고대 오라클 중 두 곳은 식민지 시대 이전에 특히 유명해졌는데, 아우카의 아그바라 오라클과 아로추쿠의 추쿠 오라클이 그것이다.[47] 오늘날 대다수의 이그보족은 기독교 신자이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오라클을 이용하고 있다.

같은 나라의 관련 부족인 요루바족 사이에서 바바라워(그리고 그들의 여성 상대인 이야니파)는 부족의 세계적으로 유명한 이파 점술 시스템의 주요 측면을 집단적으로 담당한다. 이 때문에 그들은 관례적으로 많은 전통 및 종교 의식을 주관한다.

북유럽 신화에서 오딘은 신 미미르의 잘린 머리를 예언가로서 조언을 구하기 위해 아스가르드로 가져갔다. 《하바말》과 다른 자료들은 오딘이 예언 을 얻기 위해 눈 하나를 잃고(외부 시력) 지혜(내부 시력; 통찰력)를 얻은 희생에 대해 이야기한다.

멕시카 (초기 아즈텍인)의 이주 신화에서, 4명의 사제가 운반하는 미라 묶음(아마도 일 것임)이 신탁을 내리며 기원의 동굴에서 떠나도록 지시했다. 신탁은 멕시코-테노치티틀란 건국으로 이어졌다. 유카탄 마야는 신의 '대변자'를 뜻하는 오라클 사제, 즉 '칠란'을 알고 있었다. 그들의 전통 지식의 기록인 칠람 발람 책은 모두 스페인인의 도래와 그에 따른 재앙을 정확히 예언한 한 유명한 오라클 사제에게 귀속되었다.

티베트에서 신탁(중국어: 护法)은 종교와 정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현재도 수행하고 있다. 티베트인들은 "신탁"이라는 단어를 자연계와 영적 영역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남녀에게 들어오는 영을 지칭하는 데 사용한다. 따라서 매개체는 문자 그대로 "물리적 기반"을 의미하는 ''쿠텐''으로 알려져 있다. 건륭제가 1793년에 발표한 칙령인 티베트 통치를 위한 29개 조례(欽定藏內善後章程二十九條|흠정장내선후장정이십구조중국어[48])의 제1조에 따르면, 황금병의 제작은 겔룩의 번영을 보장하고 신탁이 수행하는 선택 과정에서 부정과 부패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49]

인도 북부에 망명 중인 달라이 라마는 여전히 네충 신탁으로 알려진 신탁에게 자문을 구하는데, 이 신탁은 티베트 정부의 공식 국가 신탁으로 여겨진다. 달라이 라마는 수세기 동안의 관습에 따라 로사르의 새해 축제 기간 동안 네충 신탁에게 자문을 구했다.[50] 네충과 가동은 현재 자문이 이루어지는 주요 신탁이며, 카르마샤르와 다르폴링과 같은 이전 신탁은 망명 중에는 더 이상 활동하지 않는다. 가동 신탁은 사망하여 네충이 유일한 주요 신탁이 되었다. 달라이 라마가 자문을 구하는 또 다른 신탁은 텐마 신탁인데, 이 신탁의 매개자는 젊은 티베트 여성인 칸드로 라로, 산의 여신 체링마와 다른 11명의 여신을 섬긴다. 달라이 라마는 그의 저서 ''망명에서의 자유''에서 트랜스빙의 과정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제공한다.[51]

신내림을 받은 샤먼의 입에서 나오는 말. 이때 샤먼의 의식은 일시적으로 사라지고 신이 대신 내려와 인격을 지배한다고 여겨진다. 때로는 신이 아닌 악령이나 동물령이 내려오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고대일본히미코나 구약성서의 "이사야서"가 유명하다.

4. 한국의 신탁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무속신앙에서 신의 계시를 받는 현상을 신탁이라고 칭한다. 신내림을 받은 샤먼이 신의 말을 전달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4. 1. 역사 속 신탁

신내림을 받은 샤먼의 입에서 나오는 말을 신탁이라고 한다. 이때 샤먼의 의식은 일시적으로 사라지고 신이 대신 내려와 인격을 지배한다고 여겨진다. 때로는 신이 아닌 악령이나 동물령이 내려오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한국의 고대 국가에서는 무속 신앙을 바탕으로 한 신탁이 존재했다. 삼국시대에는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는 데 신탁이 활용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불교와 결합한 형태의 신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조선 시대에는 유교의 영향으로 무속 신앙이 억압받았지만, 민간에서는 신탁이 꾸준히 이어졌다. 특히, 일제강점기에는 민족의 독립과 관련된 신탁이 나타나기도 했다.[1]

5. 유형

신탁의 영단어 오라클(oracle)은 "말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동사 ''ōrāre''에서 유래되었으며, 예언을 하는 사제나 여사제를 가리킨다.

고대 그리스의 가장 중요한 신탁은 델포이아폴론 신전의 여사제 피티아, 에피루스의 도도나에 있는 디오네와 제우스의 신탁이었다. 아폴론의 다른 신탁소들은 아나톨리아 해안의 디디마와 말루스, 코린토스와 펠로폰네소스의 바세, 그리고 에게 해의 델로스와 아이기나 섬에 있었다.

시빌린 신탁은 광적인 상태에서 신성한 계시를 말했던 여예언자 시빌들에게서 유래된 그리스어 헥사미터로 쓰인 신탁 발언 모음이다.

5. 1. 직접 계시

신탁은 신이 직접 인간에게 말을 전하는 형태로, 새의 징조, 동물 내장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신이 보낸 징표를 해석하는 예언자(''manteis'', μάντεις)와는 다른 것이었다.[1]

5. 2. 간접 계시

신탁은 특정한 매개체(동물, 식물, 자연 현상 등)를 통해 신의 뜻을 해석하는 형태로, 신이 직접 사람에게 말을 하는 통로로 여겨졌다. 이는 새의 징조, 동물의 내장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신이 보낸 징표를 해석하는 예언자(''manteis'', μάντεις)와는 다른 개념이다.[1]

고대 중국에서는 상 왕조 말기(기원전 1600~1046년경)에 갑골을 사용하여 점을 쳤다. 점술가들은 소의 어깨뼈나 거북의 복갑과 같은 뼈에 열을 가하고, 그 결과로 생기는 균열을 해석했다. 주 왕조(기원전 1046~256년)에서는 서양톱풀 줄기를 사용하는 다른 점술 방법이 시행되었으며, 기원전 9세기 후반경에는 점술 시스템이 ''주역'' 또는 "변화의 책"에 기록되어 신탁으로 사용되었다. ''주역''은 그 예언적 힘 외에도 주 시대 이후 중국의 철학, 문학 및 통치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대 중국에서 행해진 거북점은 대표적인 간접 계시의 예시이다. 거북의 등딱지나 사슴(후토마니) 등을 구워 균열의 생김새로 점을 쳤다. "초자연적 현상의 발현" = "신의 뜻"이라는 관념은 현대의 점으로 이어졌다. 일본 신화의 서약도 이와 같은 형태이다.

마스카와 히로시에 따르면,[52] 트럼프 카드나 주사위 등, 도박 도구 거의 모두가 원래는 점을 치는 도구였다고 한다. 또한, 구약성서의 사무엘기에는 예언자사울이 "우림"과 "둠밈"이라고 불리는 것을 사용하여 점을 치는 묘사가 있다.

5. 3. 신내림 (강신)

신내림을 받은 샤먼의 입에서 나오는 말이다. 이때 샤먼의 의식은 일시적으로 사라지고 신이 대신 내려와 인격을 지배한다고 여겨진다. 때로는 신이 아닌 악령이나 동물령이 내려오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고대 일본히미코나 구약성서의 "이사야서"가 유명하다.

6. 비판적 관점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비판적 관점' 섹션 자체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The Seer in Ancient Greec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
[2] 서적 Greek Relig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85
[3] 문서 The Histories
[4] 웹사이트 Women in the Aegean: Minoan Snake Goddess: 8. Snakes, Egypt, Magic & Women http://arthistoryres[...] 2024-05-17
[5] 문서 Hymn to Pythian Apollo
[6] 서적 The History of Herodotus: A New English Version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2015-08-03
[7] 서적 The Trial and Death of Socrates (Third Edition): "Euthyphro, Apology, Crito, Death Scene from Phaedo"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2015-04-25
[8] 문서 2007
[9] 문서 2007
[10] 문서 2007
[11] 서적 Paths from Ancient Greece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12] 문서 2007
[13] 웹사이트 Greek and Roman Mythology: Dodona https://www2.classic[...] 2024-06-23
[14] 웹사이트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898), Abae https://www.perseus.[...]
[15] 문서 Guide to Greece
[16] 웹사이트 LacusCurtius • Strabo's Geography — Book III Chapter 1 https://penelope.uch[...]
[17]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MENESTHEI PORTUS https://www.perseus.[...]
[18]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16.3.2 http://www.perseus.t[...]
[19] 문서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20] 간행물 Apollo Ptoion sanctuary, Anne Jacquemin - Wiley Online Library https://onlinelibrar[...] Wiley 2013-01-21
[21] 웹사이트 Stephanus of Byzantium, Ethnica, G213.10 https://topostext.or[...]
[22] 웹사이트 Philostratus the Athenian, Vita Apollonii, 4.14 http://www.perseus.t[...]
[23]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13.3.5 http://www.perseus.t[...]
[24] 웹사이트 TRAVELS IN NORTHERN GREECE, 2.121 https://topostext.or[...]
[25] 웹사이트 Stephanus of Byzantium, Ethnica, A151.1 https://topostext.or[...]
[26]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1890), Oraculum https://www.perseus.[...]
[27]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Anariacea https://www.perseus.[...]
[28]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11.7.1 https://www.perseus.[...]
[29] 웹사이트 Stephanus of Byzantium, Ethnica, A93.5 https://topostext.or[...]
[30] 웹사이트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898), Eutresis https://www.perseus.[...]
[31]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Tegyra https://www.perseus.[...]
[32] 웹사이트 Divus Titus, 5 https://www.perseus.[...]
[33] 문서 oracle ''n.'' OED
[34] 서적 Religious Practice and Cultural Construction of Animal Worship in Egypt from the Early Dynastic to the New Kingdom: Ritual Forms, Material Display, Historical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Archaeopress Publishing Ltd 2021-10-21
[35] 웹사이트 "'Anu'u (oracle tower) and Ki'i Akua (temple images) at 'Ahu'ena Heiau in Kailua-Kona on Hawaii's Big Island" https://web.archive.[...] 2010-06-09
[36] 서적 Tamil Literature https://books.google[...] BRILL
[37] 서적 திருக்குறள்: ஆய்வுத் தெளிவுரை (பெருட்பால், பகுதி 1) [Tirukkural: Research commentary: Book of Porul, Part 1] Manivasagar Padhippagam
[38] 서적 Manimekalai Prasuram 2017
[39] 웹사이트 "'Devakoothu'; the lone woman Theyyam in North Malabar" https://english.math[...] 2021-11-05
[40] 간행물 Women's Authority and Leadership in a Hindu Goddess Tradi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02-28
[41] 논문 Bhuta Worship in Coastal Karnataka: An Oral Tulu Myth and Festival Ritual of Jumadi
[42] 논문 Dhumavati-Bhuta" An Oral Tulu-Text Collected in the 19th Century. Edition, Translation, and Analysis.
[43] 서적 Fürstliche Fest: Text und Rituale der Tuḷu-Volksreligion an der Westküste Südindiens. Harrassowitz
[44] 서적 On an Auspicious Day, at Dawn … Studies in Tulu Culture and Oral Literature Harrassowitz
[45] 서적 "Der Gesang von der Büffelgottheit" in Wenn Masken Tanzen – Rituelles Theater und Bronzekunst aus Südindien edited by Johannes Beltz Rietberg Museum
[46] 서적 Human Ecology of Sikkim – A Case Study of Upper Rangit Basin https://books.google[...] Kalpaz Publications
[47] 문서 The Revolutionary Years, West Africa since 1800 Longman
[48] 웹사이트 欽定藏內善後章程/欽定藏內善後章程二十九條 https://zh.wikisourc[...]
[49] 문서 皇帝為了黃教的興隆,和不使護法弄假作弊
[50] 문서 Freedom in Exile: the Autobiography of the Dalai Lama of Tibet. Abacus Books (A Division of Little, Brown and Company UK)
[51] 웹사이트 Nechung - the State Oracle of Tibet http://www.tibet.com[...] 2007-01-23
[52] 문서 『賭博』『さいころ』『盤上遊戯』 法政大学出版局
[53] 웹사이트 《네이버 국어사전》 신탁 (神託) https://ko.dict.nave[...]
[54] 웹사이트 점 https://ko.wiktion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