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말 무성음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말 무성음화는 단어의 끝에서 유성 자음이 무성 자음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이다. 이 현상은 게르만어파, 로망스어파, 슬라브어파를 포함한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언어에 따라 나타나는 자음의 종류와 정도에 차이가 있다. 게르만어파에서는 고대 네덜란드어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네덜란드어, 독일어, 영어 등에서 발견된다. 로망스어군에서는 갈로-로망스어군에서 흔히 나타나며, 슬라브어파 언어 중에서는 대부분의 언어에서 어말 무성음화가 일어난다. 복합어에서의 어말 무성음화는 언어에 따라 어휘화되거나 순전히 음운론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운론 - 성조
성조는 음절의 높낮이 변화로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언어 현상으로, 중국어, 베트남어, 태국어 등에서 나타나며, 단계성조, 곡선성조, 단어성조 등으로 분류되고 성조 변화, 성조 테라싱, 부유 톤 등의 현상을 보이며 다양한 표기법이 사용된다. - 음운론 - 보상적 장음화
보상적 장음화는 자음 탈락으로 인해 앞선 모음이 장음으로 변하는 음운 현상이다. - 음성학 - 음성 인식
음성 인식은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로, 인공지능과 심층 학습의 발전으로 인식 정확도가 향상되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지만 보안 문제가 남아있다. - 음성학 - 음성 합성
음성 합성은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TTS)로, 기계 장치에서 컴퓨터 기반 시스템으로 발전해왔으며 통계적 모델과 심층 학습 기반 기술 발전을 거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윤리적 문제와 기술적 과제도 안고 있다.
어말 무성음화 | |
---|---|
음운 현상 | |
명칭 | 어말 무성음화 (End-of-word Devoicing) |
설명 | 음절 끝에 오는 장애음 (폐쇄음, 마찰음, 파찰음)이 무성음으로 발음되는 현상이다. |
언어별 현황 | |
독일어 | 독일어에서는 어말의 유성 장애음이 무성 장애음으로 변하는 현상. 예를 들어 'Bund'는 [bʊnt]로 발음된다. |
러시아어 | 러시아어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год' (god, 'year')는 [ɡot]로 발음된다. |
한국어 | 한국어의 된소리되기와 유사한 현상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값 [갑]'과 같이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다만 한국어에서는 어말 무성음화가 활발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
네덜란드어 | 네덜란드어에서도 어말 무성음화가 나타난다. |
폴란드어 | 폴란드어에서도 어말 무성음화가 나타난다. |
북부 독일어 | 북부 독일어 방언에서 어말 무성음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
음성학적 설명 | |
음성학 |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은 성대 진동의 유무에 따라 결정된다. 어말 위치에서 성대 진동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부족하여 무성음화가 발생할 수 있다. |
같이 보기 | |
관련 현상 | 음운론적 중화 음운 변화 최소 대립쌍 |
2. 게르만어파
게르만어파에서 어말 무성음화는 서게르만어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일부 동게르만어군(고트어)에서도 발견된다.
북게르만어군은 일반적으로 무성음화를 겪지 않는다. 노르웨이어와 스웨덴어는 어말 무성음화를 겪지 않으며, 덴마크어에는 무성음화될 수 있는 유성 파열음조차 존재하지 않는다. 덴마크어와 마찬가지로 아이슬란드어의 파열음은 무성음이지만, 어말에도 나타날 수 있는 유성 마찰음을 가지고 있다.
다른 대륙 서게르만어군과 달리, (동부)-이디시어는 어말 유성음을 변경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는 아마도 슬라브어파의 영향으로 나타난 후기 변화로 보인다. 가장 초기에 기록된 예시 (이디시어, 문어 자료)에서 어말 파열음 무성음화가 나타난다 (예: '날'을 뜻하는 단어로 'tag' 대신 'tak' 사용).[2]
2. 1. 서게르만어군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현대의 대부분의 언어는 어말 무성음화를 겪었다. 이는 9세기 또는 10세기경 고대 네덜란드어에서 처음 나타났다.[2]- 아프리칸스어
- 중부 프랑코니아어 (룩셈부르크어 및 리푸아리아어)
- 네덜란드어, 고대 네덜란드어, 중세 네덜란드어
- 독일어(고지 독일어), 중세 고지 독일어
- 림뷔르흐어
- 저지 독일어, 중세 저지 독일어
- 서프리지아어[3]
- 동프리지아어
영어의 경우, 표준 영어는 어말 무성음화가 없지만, 고대 영어에서는 마찰음의 어말 무성음화가 있었다.
아멜란드어는 바덴 해의 아멜란트 섬에서 사용되는 유일한 네덜란드 방언으로, 어말 장애음 무성음화가 나타나지 않는다.[8]
표준 영어는 음운론적 어말 자음 무성음화가 없어 'bad'와 'bat'과 같은 단어 쌍이 모든 주요 영어 억양에서 구별된다. 유성 자음은 영어에서, 특히 구문 마지막에 있거나 무성 자음이 뒤따를 때 어느 정도까지 무성음화된다. 또한, 유성 치조 파열음 /d/는 흑인 영어에서 규칙적으로 무성음화된다.[9]
고대 영어는 vang의 어말 무성음화를 가지고 있었지만, 철자는 fang와 vang를 구별하지 않았다. ɣang가 어말에서 xang로의 어말 무성음화도 있었는데, 이는 burhang와 burgang와 같은 철자에서 알 수 있다.
북부 독일 방언에서는 어말 무성음화가 발생한다. 독일어의 동음 이의어 파열음 대조는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보다는 강음과 약음의 대립으로 더 정확하게 묘사된다. 어말 무성음화는 모든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에 적용되며, 외래어와 고유어에도 적용된다.
북부 독일어의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명사/형용사 | 동사 | ||||
---|---|---|---|---|---|
단수 | 번역 | 복수 | 명령법 | 번역 | 부정사 |
Badde | 목욕 | Bäderde | red!de | 말하다! | redende |
Raubde | 강도 | Raubede | reib!de | 문지르다! | reibende |
Zugde | 기차 | Zügede | sag!de | 말하다! | sagende |
Archivde | 보관소 | Archivede | |||
Mausde | 쥐 | Mäusede | lies!de | 읽다! | lesende |
orangede | 오렌지 (형용사/명사) | Orangede | manage!de | 관리하다! | managende |
2. 2. 동게르만어군
고트어(동게르만어군 언어)는 마찰음에 한해 독립적으로 어말 무성음화를 겪었다.[2]3. 로망스어파
로망스어 중에서는 갈로-로망스어군에서 어말 무성음화가 주로 나타나며, 이는 프랑크어의 영향으로 보인다.
이탈리아어와 같은 많은 로망스어는 음운론적 역사에서 다양한 이유로 어말 유성 자음을 가진 단어가 거의 없지만, 유성 자음으로 끝나는 다른 언어(예: ''weekend'')에서 차용된 단어는 무성음화되지 않는다. 포르투갈어는 어말 위치에서 와 를 병합하지만(nós|노스pt와 noz|노스pt는 동음이의어임), sob|소브pt와 같이 유성 파열음으로 끝나는 몇몇 단어가 있다. 그러나 일부 방언은 어말 유성 파열음 뒤에 첨가 모음을 추가한다.[1]
3. 1. 갈로-로망스어군
로망스어 중 어말 무성음화는 갈로-로망스어군에서 흔하게 나타나며, 이 언어군은 강한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다(고대 프랑크어는 고대 네덜란드어의 조상이다).- 카탈루냐어
- 고대 프랑스어와 중세 프랑스어. -if프랑스어 대 -ive프랑스어, 리에종을 적용할 때 grand프랑스어 대 grande프랑스어와 같은 일부 현대 프랑스어 굴절에서 보존되지만, 현재는 종종 정규화된다. 그러나 방언은 어말 무성음화를 유지한다.
- 캐나다 프랑스어
- 남부 프랑스어, 카탈루냐어와 오크어의 영향을 받음
- 프리울리아어
- 롬바르드어
- 오크어
- 로만슈어
- 왈론어
3. 2. 기타 로망스어군
로망스어군 중 갈로-로망스어군에서 어말 무성음화가 흔하게 나타나는데, 이 언어군은 프랑크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경향이 있다. 프리울리아어, 롬바르드어, 로만슈어, 왈론어 등에서도 어말 무성음화가 나타난다.[1]참고:
4. 슬라브어파
대부분의 슬라브어파 언어는 어말 무성음화를 나타내지만, 표준 세르보크로아트어(슈토 방언)와 우크라이나어는 예외이다.
4. 1. 어말 무성음화가 나타나는 슬라브어파 언어
4. 2. 어말 무성음화가 나타나지 않는 슬라브어파 언어
표준 세르보크로아트어(슈토 방언)와 우크라이나어는 예외적으로 어말 무성음화를 겪지 않는다.5. 기타 인도유럽어족
알바니아어의 특정 방언 (특히 베라트와 코르차 지역), 아르베레쉬어, 브르타뉴어, 라트갈레어, 리투아니아어, 야그노비어에서 어말 무성음화가 나타난다.[1]
6. 비인도유럽어족
7. 복합어에서의 무성음화
복합어에서 어말 무성음화 양상은 언어에 따라 다르다.
- 일부 언어에서는 어말 무성음화가 어휘화되어, 단독으로 사용될 때 무성음화되는 단어는 복합어의 일부가 될 때에도 해당 어말 무성음화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쌍에서 유성 마찰음과 무성 마찰음이 교체된다.
단어 | 발음 |
---|---|
thief | [f] |
thieve | [v] |
bath | [θ] |
bathe | [ð] |
그러나 이 과정은 영어에서 생산적이지 않다. 자음 유성음화 및 무성음화 문서를 참조.
- 다른 언어에서는 순전히 음운론적이며, 이는 유성음화가 오직 위치와 인접 자음과의 동화에 따라 결정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독일어가 있다.
참조
[1]
문서
See Crowley and Bowern (2010), p. 24
[2]
문서
In normalised Middle High German as opposed to modern New High German, devoicing is represented in writing, thus {{lang|de|Kriemhilt}} is the shortened form of {{lang|de|Kriemhilde}}.
[3]
서적
Handbook of Frisian studies
Walter de Gruyter
2001
[4]
논문
Azerbaijani
2017
[5]
서적
Panduan Berbahasa Indonesia dengan Baik dan Benar (Guidebook for Speaking Indonesian Well and Correct)
https://books.google[...]
Dunia Pustaka Jaya
[6]
논문
Main features of the Livonian sound system and pronunciation
https://www.research[...]
2022-03-13
[7]
서적
Amsterdamer Beiträge Zur Älteren Germanistik
https://books.google[...]
Rodopi
2002
[8]
간행물
Handbook of Frisian studies
https://books.google[...]
Max Niemeyer Verlag GmbH
[9]
논문
Spelling and dialect: Comparisons between speakers of African American vernacular English and White speakers
2004-04
[10]
서적
The Phonology of German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