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본(お盆)은 불교의 우란분회에서 유래하여, 죽은 조상의 영혼을 기리고 공양하는 일본의 전통적인 행사이다. 인도에서 시작되어 중국을 거쳐 일본으로 전해졌으며, 아귀도에 떨어진 목련존자의 어머니를 구원하기 위한 불교 의식에서 기원한다. 8월 13일부터 15일 또는 16일까지 부처와 승려에게 음식을 올리고 조상의 영혼을 공양하는 행사로, 일본 민간의 조령 숭배 행사와 결합하여 발전했다. 오본 기간에는 정령맞이와 배웅, 본오도리(盆踊り) 춤, 다양한 풍습이 행해지며, 지역에 따라 날짜와 풍습에 차이가 있다. 또한, 한국의 백중, 중국의 중원절, 인도의 핏리 팍샤와 유사한 면이 있다. 오본은 연휴로 이어져 귀성 및 여행 시즌으로 여겨지며, 현대 사회에서도 중요한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원절 - 백중날
백중날은 음력 7월 15일에 조상 숭배 의례와 굶주린 귀신에게 음식을 공양하는 한국의 전통 명절이자 불교 의례로, 동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기념되고 있다. - 불교와 죽음 - 법명
법명은 불교 신자가 받는 불교적 이름으로, 불교적 가르침을 따르는 삶을 상징하며, 출가, 수계 의식, 장례 의식 등 특별한 의식을 통해 받는다. - 불교와 죽음 - 즉신성불
즉신성불은 일본 수험도에서 비롯된 불교 수행법으로, 승려들이 엄격한 식이요법과 고행을 통해 미라 상태로 몸을 만들어 단 한 번의 생애에서 깨달음을 얻고자 했던 수행 방식이다. - 일본의 명절 - 칠석
칠석은 견우와 직녀 설화에서 비롯된 동아시아의 전통 명절로, 음력 7월 7일에 한국에서는 바느질 솜씨를 빌고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었으며, 일본에서는 다나바타 축제로 소원을 적어 대나무에 매달고, 중국에서는 치차오제 또는 연인의 날로 기념한다. - 일본의 명절 - 히나마쓰리
히나마쓰리는 매년 3월 3일에 일본에서 여자아이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며 히나 인형을 장식하고 특별한 음식을 먹는 축제로, 모모노세쿠라고도 불리며 히나카자리가 중심이 되고 나가시비나, 쓰루시비나 등 지역적 풍습도 존재하며 현대 일본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오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오본 축제 |
다른 이름 | 본 |
유형 | 일본 |
성격 | 종교적, 문화적 |
관찰 대상 | 일본인 |
중요도 | 조상의 영혼을 기림 |
기간 | 4일 |
빈도 | 연례 |
관련 행사 | 중원 (중국) Tết Trung Nguyên (베트남) 백중 (한국) 프춤 벤 (캄보디아) Boun Khao Padap Din (라오스) 마타카 다네스 (스리랑카) Sat Thai (태국) |
![]() | |
날짜 정보 | |
시작일 | 8월 15일 7월 15일 (간토 지방) 음력 7월 15일 |
2023년 날짜 | 2023년 8월 15일 |
2024년 날짜 | 2024년 8월 15일 |
2025년 날짜 | 2025년 8월 15일 |
2026년 날짜 | 2026년 8월 15일 |
행사 | |
주요 행사 | 오본 춤(본오도리) 연등 띄우기 |
2. 유래
오본은 불교의 우란분회(盂蘭盆會)에서 유래한 말로, 인도에서 시작되어 중국을 거쳐 일본에 전해졌다. 아스카 시대에 전해진 오본은 목련존자가 아귀도에 떨어진 어머니를 구하기 위해 승려들에게 음식을 공양했다는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72]
원래 일본 민간에 전해오던 7월의 조령을 모시는 행사가 우란분회와 합쳐진 것이 오본 행사이다. 이는 사자의 영을 위로하고 진혼하는 행사에 불교의 구제 사상과 신도적인 정령신앙이 겹쳐 생성된 것이다.[72]
지역이나 불교 종파에 따라 행사 형태는 다르다. 오본 시기의 지장보살 법회는 “지장본”, 천도 즉 대일여래의 오본은 “대일본”이라고 불린다.
오본은 연말연시와 함께 “본구레(ぼんくれ)”처럼 시기를 가리키는 말이나, “본과 정월이 함께 온 것 같다”는 매우 바쁘거나 기쁜 일이 겹치는 것을 비유하는 관용구로 사용된다.
2. 1. 불교적 기원
오본은 인도에서 시작되어 중국을 거쳐 일본에 전해진 우라본(盂蘭盆)에서 유래했다. 오본은 불교의 우란분회에서 나온 말로, 아귀도에 떨어진 목련존자가 어머니를 구하기 위해 승려들에게 음식을 공양했다는 이야기에서 비롯되었으며, 일본 아스카 시대에 전해졌다.[72] 657년 7월 14일 아스카지에서 처음으로 우라본에(盂蘭盆会)가 열렸다.[72]일본의 오봉 축제는 불교의 유령 축제와 중국 도교의 중원절(中元중국어) 축제의 영향을 받았다. 불교가 들어오기 전에도 봄과 가을 보름달이 뜨는 밤에 조상을 맞이하는 풍습이 있었는데,[8] 이는 현대의 조상 숭배와 관련이 깊다.[8]
불교 전통에서 오봉은 석가모니 제자 목련존자가 초능력으로 돌아가신 어머니가 아귀도에 떨어진 것을 보고, 부처에게 어머니를 구할 방법을 묻자 7월 15일에 승려들에게 공양을 올리라고 지시한 것에서 유래한다.[1] 목련존자가 공양을 올리자 어머니는 해방되었고, 그는 어머니의 자애와 희생에 감사하며 기쁨의 춤을 추었는데, 이것이 오봉춤(Bon Odori)의 기원이다.[1]
기록된 역사에서 '오본'은 스이코 천황 통치 기간(592-628)에 처음으로 불교 전통으로 실시되었고, 733년에는 궁중에서 관습적인 불교 휴일로 자리 잡았다.[8]
“盂蘭盆会일본어”의 약칭으로 “盆”(일반적으로 “오본”)이라고 불린다. 盆은 원래 영혼에게 바치는 제물을 두는 그릇을 의미하며, 제물을 바쳐 제사 지내는 영혼의 명칭이 되어 우란분과 혼동되어 합쳐졌다는 설도 있다.
중국 문화에서는 도교를 중심으로 음력 7월을 “귀월”로 하는 풍습이 있다. 타이완, 홍콩, 화남을 중심으로 현재도 중원절은 조상 숭배 행사로 성대하게 지내진다.
오본의 명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1년에 두 번 초봄과 초가을의 보름에 조상의 영혼이 자손을 방문하는 행사가 있었는데, 초봄의 것은 조상신의 연신으로 신격을 강조하여 정월의 제사가 되고, 초가을의 것이 우란분과 합쳐져 불교 행사로 행해지게 되었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8세기 무렵 여름에 조상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확립되었다고 한다.
17세기(게이초 연간)에 예수회가 편찬한 『일포사전』에는 오본이 불교도(선교사의 입장에서 보면 “이교도”)가 음력 7월 14일, 15일경에 죽은 자를 위해 행하는 축제라고 설명되어 있다.
2. 2. 일본 고유 신앙과의 결합
오본은 우라본(盂蘭盆일본어)으로, 인도에서 시작되어 중국을 거쳐 일본에 전해졌다. 오본은 불교 우란분회에서 나온 말로, 목련존자가 어머니를 구하기 위해 승려들에게 음식을 공양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하며, 일본 아스카 시대에 전해졌다.[1] 657년 7월 14일 아스카지 서쪽에 수미산 모양을 만들고 우라본에(盂蘭盆会일본어)를 처음으로 열었다. 원래 일본 민간에 전해오던 7월의 조령을 모시는 행사가 우라본에와 합쳐진 것이 오본 행사로, 사자의 영을 위로하고 진혼하는 행사에 불교의 구제 사상과 신도적인 정령신앙이 겹쳐 생성된 행사이다.[72]
불교가 일본에 들어오기 전에도 봄과 가을, 보름달이 뜨는 밤에 돌아가신 조상을 집으로 맞이하는 풍습이 있었다.[8] 이 풍습은 현대의 조상 숭배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불교 전통에서 목련존자는 어머니가 아귀도에 떨어져 고통받는 것을 보고 부처에게 어머니를 해방시킬 방법을 물었고, 부처는 7월 15일에 하계 수행을 마친 승려들에게 공양을 올리라고 지시했다. 목련이 그렇게 하자 어머니가 해방되었고, 그는 어머니의 자애로운 본성과 희생을 깨닫고 기쁨의 춤을 추었다. 이 춤에서 오봉춤(Bon Odori)이 유래하였으며, 조상과 그들의 희생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시간이 되었다.[1]
기록된 역사에서 '오본'은 推古天皇(Empress Suiko)(592-628)의 통치 기간 동안 처음으로 불교 전통으로 실시되었고, 733년에는 궁중에서 관습적인 불교 휴일로 자리 잡았다.[8] 우란분회(盂蘭盆会일본어)의 약칭으로 “盆”(일반적으로 “오본”)이라고 불리며, 盆은 원래 영혼에게 바치는 제물을 두는 그릇을 의미하여, 제물을 바쳐 제사 지내는 영혼의 명칭이 되어 우란분과 혼동되어 합쳐졌다는 설도 있다.
일본에서는 8세기 무렵에는 여름에 조상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확립되었다고 한다. 17세기 (경장 연간)에 예수회가 편찬한 『일포사전』에는 “bon(盆)”과 “vrabon(盂蘭盆)”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오본은 불교도가 음력 7월 14일, 15일경에 죽은 자를 위해 행하는 축제라고 설명되어 있다.
2. 3. 어원
오본(お盆)은 일본의 명절로, 불교의 우란분회(盂蘭盆會)에서 유래했다. 우란분회는 인도에서 시작되어 중국을 거쳐 일본에 전해졌다. '우란분'은 산스크리트어 '울람바나(ullambana)'에서 왔다는 설이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 팔리어 '울룸파나(ullumpana, "들어올리다, 돕다")'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6]우란분회는 목련존자가 아귀도에 떨어진 어머니를 구하기 위해 승려들에게 음식을 공양한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 일본에서는 657년 아스카지에서 처음으로 우란분회가 열렸다.[72] 원래 일본 민간에 전해오던 조상의 영혼을 모시는 행사가 우란분회와 합쳐져 오본 행사가 되었다.[72]
일본어 '오본(お盆)'은 존칭 접두사 '오-(お-)'와 '본(盆)'이 합쳐진 말이다. '본(盆)'은 '우라본(盂蘭盆)' 또는 '우라본에(盂蘭盆会)'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중국어 '盂蘭盆(Yúlánpén)' 또는 '盂蘭盆會(Yúlánpénhuì)'에서 왔다.
중국에서는 도교를 중심으로 음력 7월을 '귀월(鬼月)'이라 부르는 풍습이 있다. 음력 7월 초하루에 지옥문이 열리고, 7월 15일 중원절(中元節)에 닫힌다는 믿음은 도교의 영향으로 보인다.
일본에서는 8세기 무렵부터 여름에 조상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확립되었다.[44][45] 17세기 예수회가 편찬한 『일포사전』에는 오본이 음력 7월 14일, 15일경에 죽은 자를 위해 행하는 축제라고 설명되어 있다.
오본은 '본구레(ぼんくれ)'처럼 연말연시와 함께 쓰이거나, '본과 정월이 함께 온 것 같다'는 매우 바쁘거나 기쁜 일이 겹치는 것을 비유하는 관용구로도 쓰인다.
3. 날짜
오본은 원래 음력 7월 15일에 지내는 행사였으나, 1873년 1월 1일 양력 도입 이후 양력 8월 15일을 중심으로 치러진다.[31] 전통적으로는 음력 7월 15일 중원절에 행해졌지만, 일본은 메이지 6년(1873년) 1월 1일부터 그레고리력을 채택했다.[31] 태정관의 개력 포고로 신력 7월 15일에 오본을 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으나, 음력 기준의 연중행사 때문에 신력 채택으로 계절이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31] 특히 농번기와 겹치는 지역에서는 문제가 커서, 지역에 따라 오본 시기가 달라졌고, 신력 8월 15일을 오본(월차례봉)으로 하는 지역이 많아졌다.[31]
전국적으로 오본을 행하는 시기는 다음과 같다.
시기 | 지역 |
---|---|
음력 7월 15일 (구봉) | 오키나와, 아마미 지방 등. 음력에 따르면 오본 일정은 매년 바뀌며, 때로는 9월로 밀리기도 한다.[32] |
신력 7월 15일 (혹은 전후의 토일) | 네무로시 일부, 하코다테,[34] 도호쿠 지방 일부,[31] 도쿄 시타마치, 요코하마 중심부, 시즈오카 구시가지, 토치기시 구시가지, 야마가타현 쓰루오카 시가지역, 이시카와현 일부, 사가현 아리타정 등[31][35][36] |
신력 8월 15일 (월차례봉) | 거의 전국적인 많은 지역이며, 본휴가와 겹친다. 이 외의 날짜(신력 8월 1일 등)의 지역도 있다. |
도쿄에서는 7월 15일을 오본으로 하는데, 이는 메이지 정부가 신력을 강제했기 때문이지만, 다른 지방에는 퍼지지 않았다.[33] 농번기와 겹치지 않는 도호쿠·호쿠리쿠 지방 일부 도시 등에서도 신력 7월 15일에 오본을 한다.[31] 그래서 신력 오본을 도쿄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31]
8월 1일에 오본을 실시하는 지역은 도쿄도 다마 지역 일부, 기후현나카쓰가와시의 구 츠케치정 및 구 카시모무라, 가모군의 히가시시라카와촌 등이다.[41] 이는 양잠이 성행했던 지역에서 8월 1일 전후가 양잠 농한기였기 때문이다.
음력으로 하는 오본을 구봉이라고 하지만, 일부 지방[42]을 제외하고는 신력으로 하는 봉을 신봉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신봉은 다른 의미가 된다.
4. 풍습
일본의 오본은 불교의 우란분재와 중국 도교의 중원절() 축제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불교가 일본에 들어오기 전에도 봄과 가을, 보름달이 뜨는 밤에 조상을 맞이하는 풍습이 있었다.[8]
불교 전통은 석가모니의 제자인 목련존자의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목련존자는 어머니가 아귀도에 떨어져 고통받는 것을 알고 부처에게 어머니를 해방시킬 방법을 물었다. 부처는 7월 15일에 하계 수행을 마친 승려들에게 공양을 올리라고 지시했고, 목련존자는 그렇게 하여 어머니가 해방되는 것을 보았다. 그는 어머니의 자애로운 본성과 희생에 감사하여 기쁨의 춤을 추었는데, 이것이 본오도리의 유래가 되었다.[1]
스이코 천황 통치 기간 동안 '오본'이 처음으로 불교 전통으로 실시되었고, 733년에는 궁중에서 관습적인 불교 휴일로 자리 잡았다.[8]
오본은 여름에 열리기 때문에 참가자들은 전통적으로 가볍고 얇은 면 소재의 유카타를 입는다.[14] 많은 오본 축제는 놀이기구, 게임, 여름 축제 음식 등이 있는 대규모 축제를 포함한다.[14]
4. 1. 정령맞이와 배웅
일본에서는 설날 다음가는 큰 명절로 오본절을 보내며, 오쥬겐( お中元일본어)이라는 선물을 주고받는다. 정령맞이(精靈迎之일본어)라고 해서 집이나 절의 대문 앞에 무카에비(迎之火일본어)를 피워 조상의 영혼을 맞이한다. 집안에 본다나( 盆棚일본어)라는 임시 제단을 만들고, 위패를 모시고 과일, 채소, 보타모찌( 牡丹餅일본어) 등의 음식을 올린다. 아침, 점심, 저녁으로 밥과 정화수를 올리고, 짚으로 만든 말과 소 인형을 집 안쪽으로 향하게 하여 조상의 영혼이 집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한다.8월 14일에는 조상의 영혼을 모셔두고 승려가 독경을 한다. 초상을 치른 지 얼마 안 된 집에서는 고등롱으로 장식하고 음식을 나눈다. 15일이나 16일 밤에는 저승으로 돌아가는 조상의 영혼을 위해 오쿠리비(送り火일본어)를 피워 배웅하고, 본다나에 올렸던 음식은 강이나 바다에 떠내려 보낸다.[72]
축제 3일째에는 영혼들을 저승으로 보내는 불을 피우는데, 이를 오쿠리비(送り火일본어, "보내는 불")라고 하며, 더 큰 규모로는 산에서 하는 대형 글자 태우기가 있다. 이때 작은 등불을 강에 띄우는데, 이는 영혼들이 죽은 자들의 세계로 돌아가는 길을 상징한다.[8] 이러한 불들은 축제의 시작(무카에비)과 끝을 모두 알리는 표시이다.[10]

일본 오본 축제 기간 동안 행해지는 또 다른 중요한 의식은 오이 말과 가지 소(精霊馬|쇼료 우마일본어 또는 牛馬|우시 우마일본어)[11][12]를 만드는 것이다. 이들은 각각 조상들이 집으로 돌아오는 그릇과 돌아가는 그릇 역할을 한다.[13]
첫날을 솥뚜껑 초하루(釜蓋朔日, 가마부타쓰이타치)라고 하며, 지옥의 솥뚜껑이 열리는 날로, 일반적으로 1일부터 오본(お盆)이다. 이날을 기점으로 묘소를 참배하는 등 조상을 맞이하기 시작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산이나 강에서 마을로 통하는 길의 풀을 베는 경우도 있다.
7일은 칠석이며, 원래 칠석은 「타나바타」(棚幡)라고도 쓰며, 돌아가신 분을 맞이하는 제사상과 그 제사상에 모시는 깃발(ばん)을 준비하는 날이었다.
음력 7월 13일 저녁에 피우는 불을 맞이불(迎え火)이라고 한다. 이후로는 영가단에 돌아가신 분에게 여러 가지 제물을 올린다. 지역에 따라서는 "결석 참배(留守参り)"를 하는 곳도 있다.
16일의 야불(野火)을 송화(送り火)(오쿠리비)라고 부른다. 교토의 고산(五山) 송화(送り火)가 유명하다. 15일에 송화(送り火)를 하는 곳도 많다(나라 고엔잔 다이몬지 등). 또, 강으로 보내는 풍습도 있으며 등롱흘림(灯籠流し)이 행해진다.
고인을 보내는 기간은 16일부터 24일까지이며, 맞이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묘소 참배 등을 하여 지낸다. 불교에서는 넓게 보았을 때, 오본(お盆)은 1일부터 24일까지를 가리킨다. 이는 지장보살(地蔵菩薩)의 연일(縁日)까지를 오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4. 2. 본오도리(盆踊り)
본오도리(盆踊り)는 오본 기간 중에 행해지는 춤의 한 형태이다. 약 600년의 역사를 가진 민속 오락이다.[7] 원래는 죽은 자의 영혼을 맞이하기 위한 민속춤이었지만, 지역에 따라 축제 방식이 여러 면에서 다르다.[8] 각 지역마다 고유한 춤과 음악이 있으며, 오본의 영적인 메시지와 관련된 노래 또는 지역 민요(民謡|민요일본어)가 사용된다.

- 홋카이도는 민요 ソーラン節|소란부시일본어로 유명하다.
- 東京音頭|도쿄온도일본어라는 노래는 일본의 수도에서 이름을 따왔다.
- 기후현 구조시의 郡上踊り|구조오도리일본어는 밤새도록 춤을 추는 것으로 유명하다.
- 江州音頭|고슈온도일본어는 시가현의 민요이다.
- 간사이 지방 주민들은 河内音頭|카와치온도일본어를 알고 있을 것이다.
- 시코쿠 도쿠시마현은 阿波踊り|아와오도리일본어로 매우 유명하며, 남쪽 끝 가고시마현에서는 おはら節|오하라부시일본어를 들을 수 있다.
춤을 추는 방식도 지역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인 본오도리는 야구라(櫓)라고 하는 축제를 위해 특별히 만든 높은 나무 구조물 주변에 사람들이 원을 그리며 줄을 서서 춤을 추는 것을 포함한다. 야구라는 보통 오본 음악의 연주자와 가수를 위한 연주대이기도 하다. 어떤 춤은 시계 방향으로, 어떤 춤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진행된다. 어떤 춤은 춤을 추는 동안 반대 방향으로 바뀌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다. 때로는 사람들이 야구라를 마주 보고 다가가거나 멀어지기도 한다. 가고시마의 오하라 춤과 도쿠시마의 아와오도리와 같은 일부 춤은 마을 거리를 따라 직선으로 진행된다.
지역의 춤은 그 지역의 역사와 특징을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큐슈 미이케탄광의 탄광 노래인 炭坑節|탄코부시일본어 춤의 동작은 광부들의 동작(굴착, 수레 밀기, 등불 걸기 등)을 보여준다. ソーラン節|소란부시일본어는 그물을 끌어올리는 등 어부들의 작업을 흉내 낸다. 모든 춤추는 사람들은 같은 춤 순서를 일제히 수행한다.
지역 본오도리가 다를 수 있는 다른 방법들이 있다. 어떤 춤은 다양한 종류의 부채를 사용하고, 어떤 춤은 다채로운 디자인을 가질 수 있는 테누구이(手拭い)라고 하는 작은 수건을 사용한다. 어떤 춤은 춤을 추는 동안 작은 나무 딱따구리 또는 カチカチ|카치카치일본어를 사용해야 한다.
본오도리 중에 연주되는 음악은 오본 음악과 民謡|민요일본어에 국한되지 않는다. 演歌|엔카일본어의 현대 히트곡과 音頭|온도일본어의 리듬에 맞춰 작곡된 어린이 노래도 오본 시즌에 춤을 추는 데 사용된다.
본오도리 전통은 무로마치 시대 후기에 대중 오락으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래의 종교적 의미는 퇴색하고, 춤은 여름과 관련되게 되었다.
오키나와 제도에서 행해지는 본오도리는 エイサー|에이사일본어로 알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야에야마 제도에는 アンガマ|앙가마일본어가 있다.
4. 3. 기타 풍습
일본인은 오본절을 설날 다음가는 큰 명절로 여기며, 설날과 마찬가지로 오쥬겐(お中元일본어)이라는 선물을 주고 받는다.[72] 정령맞이(精靈迎之일본어)라고 해서 집이나 절의 대문 앞에 무가에비(迎之火일본어)를 피워놓고 조상의 영혼을 맞이하여 집안에 모시고, 불단 앞이나 바깥에 임시 제단인 본다나(盆棚일본어)를 만들고 불단에서 가져온 위패를 과일, 야채 등 계절음식과 오본 떡인 보타모찌(牡丹餅일본어)를 올린다.[72] 아침, 점심, 저녁 하루 3차례 밥과 정화수를 올린다.[72] 등롱불을 보고 조상의 영혼이 연기를 타고 집으로 찾아와 소에 짐을 싣고 말을 타고 들어올 수 있도록, 짚으로 만든 말과 소 인형을 집 안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매달아 두거나 세워둔다.[72]8월 14일에는 조상의 영혼을 집안에 모셔두고, 승려가 독경을 한다.[72] 초상을 치른 지 얼마 되지 않는 집에서는 고등롱으로 장식하고 친한 사람들과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72] 15일이나 16일에는 밤에 다시 저승으로 돌아가는 조상의 영혼을 위해 오쿠리비(送り火일본어)를 집 앞에 피워놓고 배웅한다.[72] 이때 본다나에 올려졌던 야채나 과일은 강이나 바다에 떠내려 보낸다.[72]
일본 가정의 제단인 '''신단'''에는 가족들이 꽃이나 짚으로 만든 동물 모형, 음식 등의 장식과 제물을 정성껏 차려 놓는다.[9] 이러한 행위는 자신의 조상뿐만 아니라, 인근에 친척이 없는 집안의 영혼을 위해서도 행해진다.[9] 제물은 고인의 이름이 적힌 위패 앞에 놓는다.[9]
올해 가족 구성원을 잃은 가족들은 오봉 준비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그들은 첫날 저녁에 작은 불을 피워 영혼들이 집으로 돌아오는 길을 안내한다.[9] 과거에는 영혼들이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묘지까지 등불을 밝히기도 했다.[9]
축제 3일째에는 영혼들을 저승으로 보내는 불을 피우는데, 이를 오쿠리비(送り火, "보내는 불")라고 하며, 더 큰 규모로는 산에서 하는 대형 글자 태우기가 있다.[8] 이 행사에서는 작은 등불을 강에 띄우는데, 이는 영혼들이 죽은 자들의 세계로 돌아가는 길을 상징한다.[8] 이러한 불들은 축제의 시작(무카에비)과 끝을 모두 알리는 표시이다.[10]
일본 오본 축제 기간 동안 행해지는 또 다른 중요한 의식은 오이 말과 가지 소, 즉 精霊馬|쇼료 우마일본어 또는 牛馬|우시 우마일본어를 만드는 것이다.[11][12] 이들은 각각 조상들이 집으로 돌아오는 그릇과 돌아가는 그릇 역할을 한다.[13]
오본은 여름의 무더위 속에서 열리기 때문에 참가자들은 전통적으로 가볍고 얇은 면 소재의 유카타를 입는다.[14] 많은 오본 축제는 놀이기구, 게임, 여름 축제 음식 등이 있는 대규모 축제를 포함한다.[14]
오본의 개념은 일본 전국에 퍼져 있기 때문에, 그 행사 내용과 풍습은 지역마다 다양한 양식이 있다. 반드시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전국적으로 비교적 널리 퍼져 있는 풍습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해외에서는 신년 등에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불꽃놀이도 원래는 강에서 굶주린 귀신에게 음식을 베푸는 행사의 법회를 기원으로 하여 공양에 연결되는 것(隅田川花火大会(스미다가와 불꽃놀이 대회) 참조)으로부터 지방에서는 이 귀성 시기에 맞춰 자주 개최되고 있다.
첫날을 솥뚜껑 초하루(釜蓋朔日(かまぶたついたち))이라고 하며, 지옥의 솥뚜껑이 열리는 날로, 일반적으로 1일부터 오본(お盆)이다. 이날을 기점으로 묘소를 참배하는 등 조상을 맞이하기 시작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산이나 강에서 마을로 통하는 길의 풀을 베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고인의 영혼이 산이나 강에 있다는 신앙에 따라, 저승(彼岸)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고인이 다니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지역에 따라서는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로 "지옥의 솥뚜껑이 열리는 시기에는 연못이나 강, 바다 등에 함부로 접근하거나 들어가서는 안 된다"는 말이 있다.
또한, 49재 법요(法要)가 끝난 후 처음 맞이하는 오본을 특히 '''초본(初盆)'''(하츠본, 우이본) 또는 '''신본(新盆)'''(신본, 니이본, 아라본)이라고 부르며[52], 특히 두텁게 위령하는 풍습이 있다. 이것도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초본인 집에서는 정문이나 불단, 묘소에 흰색의 오본 등롱(提灯)을 세우거나, 초본인 집에 그러한 등롱을 선물하는 등 특별한 의례를 행하며, 또한 초본 이외의 경우에는 무늬가 있는 등롱이나 묘소에는 흰색과 빨간색이 들어간 등롱을 세우기도 한다.
5. 지역별 오봉
오봉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풍습과 행사가 존재한다.
지역이나 종파에 따라서는 칠석 기간 중에 고인의 영혼이 이승과 저승을 오가는 교통수단으로 오이와 가지로 만든 정령마(しょうりょううま)를 준비하기도 한다. 도쿄를 중심으로 동일본에 널리 퍼져 있으며, 오이는 발이 빠른 말, 가지는 걸음이 느린 소를 의미한다. 이는 각각 고인이 빨리 집으로 돌아오고, 저승으로 돌아가는 것을 늦추며, 제물을 소에 태워 저승으로 가져가도록 하는 소망을 담고 있다.
시가귀(せがき)라고 불리는 풍습은 아귀도에 빠진 죽은 자를 구하거나 길가에서 죽은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행해진다. 또한, 불단 앞에 봉등(盆灯)을 장식하거나, 등롱띄우기나 정령띄우기를 통해 고인의 영혼을 기린다. 특히 나가사키시의 정령선은 유명하며, 이와테현 모리오카시에서는 제물을 실은 배에 불을 붙여 띄우는 「배띄우기」가 행해진다.
주요 제물로는 오이, 가지, 호박, 옥수수 등 여름 채소와 과일이 있으며, 낙과, 경단, 오하기 등도 함께 바친다. 정진요리를 일즙삼채 형식으로 8월 13일부터 15일 아침 저녁으로 2끼를 바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지역에 따라 3끼를 바치거나 아베가와모치, 오야키 등을 바치는 풍습도 있다. 나가노현이나 니가타현의 일부 지역에서는 보내는 불, 맞이하는 불 때 독특한 노래를 흥얼거리는 습관이 있다.
아오모리현 등 일부 지역에서는 법계절(ほかいおり)이라고 불리는 정진요리 도시락을 묘소에 바치거나, 묘소를 깨끗이 하기 위해 「아라레」를 뿌리는 풍습이 있다.[53] 나가사키현에서는 묘소 참배나 정령띄우기 때 불꽃놀이나 폭죽을 터뜨리는 풍습이 있는데,[54] 이는 중국 복건성의 풍습인 「청도」가 원형이라고 한다.
야마가타현 유사정 부근에서는 정령마 대신 장난감 탈것을 현관 앞에 매다는 경우가 많다.[55][56] 조상의 직업과 관련된 탈것을 장식하거나, 차비로 돈을 매달기도 한다.
오키나와현에서는 음력으로 칠석을 지내며, 13일을 웅케(맞이함), 14일을 나카비, 15일을 우쿠이(보냄)라고 부르며 조상의 영혼을 환대한다.[58] 에이사, 앙가마와 같은 독특한 풍습이 있으며, 우쿠이에서는 우치카비(打紙)라고 불리는 명전을 태우는 풍습도 있다.[59]
5. 1. 일본 각지의 오봉
일본의 오봉 축제는 불교의 유령 축제와 중국 도교의 중원절(中元중국어) 축제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불교가 일본에 들어오기 전에도 봄과 가을, 보름달이 뜨는 밤에 조상을 집으로 맞이하는 풍습이 있었다.[8]본오도리는 오본 기간 중에 행해지는 춤으로, 약 600년 역사를 가진 민속 오락이다.[7] 각 지역마다 고유한 춤과 음악이 있는데, 홋카이도(北海道)는 소란부시가 유명하고, 기후현(岐阜県) 구조시(郡上市)의 구조오도리는 밤새도록 춤을 추는 것으로 유명하다. 시코쿠(四国) 도쿠시마현(徳島県)은 아와오도리로 유명하다.[8]
일반적인 본오도리는 야구라(櫓)라고 하는 높은 나무 구조물 주변에 사람들이 원을 그리며 춤을 추는 것을 포함한다. 춤 방식은 지역마다 다르며, 어떤 춤은 부채나 수건을 사용하고, 어떤 춤은 나무 딱따구리나 가치카치를 사용하기도 한다. 본오도리 전통은 무로마치 시대(室町時代) 후기에 시작되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원래의 종교적 의미는 퇴색하고 여름과 관련되게 되었다.
오키나와 제도(沖縄諸島)에서는 에이사가, 야에야마 제도(八重山諸島)에는 앙가마가 행해진다.
오본의 개념은 일본 전국에 퍼져 있으며, 행사 내용과 풍습은 지역마다 다양하다. 전국적으로 비교적 널리 퍼져 있는 풍습은 다음과 같다:
]--]]
- 봉등(盆灯): 불단 앞에 장식하는 특별한 등.
- 등롱띄우기/정령띄우기: 등롱을 띄우거나 작은 배에 태워 강에 띄우는 것. 나가사키시의 정령선이 유명하다.
- 제물: 여름 채소와 과일, 낙과, 경단, 오하기, 만두, 젤리 등. 정진요리를 일즙삼채 형식으로 바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 묘소 참배: 나가사키현에서는 묘소 참배나 정령띄우기 때 불꽃놀이나 폭죽을 터뜨리는 풍습이 있다.[54]
- 우치카비(打紙): 오키나와현에서는 조상의 영혼이 저승에서 돈 문제로 고생하지 않도록 명전을 태우는 풍습이 있다.[59]
일본 각지에서 행해지는 오본 관련 축제는 다음과 같다.
지역 | 축제 이름 및 특징 |
---|---|
홋카이도 | |
아오모리현 | |
이와테현 | |
아키타현 | |
야마가타현 | |
후쿠시마현 | |
니가타현 | |
이바라키현 | |
토치기현 | |
군마현 | |
사이타마현 | |
도쿄도 | |
지바현 | |
가나가와현 | |
도야마현 | |
이시카와현 | |
후쿠이현 | |
나가노현 | |
아이치현 | |
기후현 | |
시즈오카현 | |
교토부 | |
나라현 | |
미에현 | |
히로시마현 | |
돗토리현 | |
야마구치현 | |
도쿠시마현 | |
나가사키현 | |
오키나와현 |
5. 2. 한국의 백중과 추석
한국에서 오본에 해당하는 명절은 백중으로 알려져 있다. 백중에는 불교 사찰에 제물을 올리고 가면극 공연이 펼쳐진다. 백중은 종교적인 명절일 뿐만 아니라 농업과 관련된 명절이기도 하다.[15][16]자세한 내용은 백중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추석과는 별개이다.
5. 3. 중화권의 우란분절
중국과 타이완에서는 음력 7월 15일에 “우란분절”이라는 전통적인 방식의 오봉 행사가 있다.5. 4. 인도의 핏리 팍샤
피트리 팍샤sa(직역: 조상들의 15일)는 힌두력에서 16일간의 기간으로, 힌두교 신자들이 특히 음식을 공양하는 방식으로 조상(피트르스sa)에게 경의를 표하는 기간이다. 피트리 팍샤sa는 의식 중에 행해지는 슈라다sa 또는 타르파나sa로 알려진 사망 의례를 고려할 때 힌두교 신자들에게는 불길한 것으로 여겨진다.[53]6. 오봉 휴가
오봉 휴일(お盆休み)은 에도 시대에 이미 자리 잡은 연휴였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 1872년(메이지 5년)까지는 음력 7월 14일부터 7월 16일까지 3일 연휴였다.[64]
그러나 1873년(메이지 6년) 1월 7일 태정관포고 제2호에 따라 오봉은 법정 휴일에서 제외되었다. 그 후, 음력・신력・월 늦춤과 관계없이 오봉이 법정 휴일이 된 적은 없다.
1947년(쇼와 22년)에 법령은 효력을 상실했지만, 민간에서는 신력 8월 15일 전후는 평일이라도 휴업하는 기업이나 휴가를 얻는 개인이 많다. 많은 민간 기업들이 하계 휴가(특별 휴가)를 설정하고 있다.
오봉은 조상의 영혼을 제사 지내는 종교 행사일 뿐만 아니라, 학교의 여름방학과 겹치기 때문에 국민적 휴가나 귀성・여행 시즌으로 여겨진다.[65] 기독교도들에게는 오봉(구본)은 단순한 여름방학이 되고 있다. 2016년부터 8월 11일이 국민의 휴일인 산의 날이 되면서, 오봉 휴일의 시작도 8월 11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
최근에는 귀성해 온 손자나 조카들에게 세뱃돈과 같은 「오봉돈」을 주는 고령자도 볼 수 있다.[66]
이 시기는 골든위크・연말연시와 함께 고속도로나 철도, 고속버스, 항공기 등 공공 교통기관이 매우 혼잡하여 귀성 러시라고 불린다.
- JR의 특급 왕복권 등의 특별 기획 승차권은 4월 27일 - 5월 6일, '''8월 11일 - 20일''', 12월 28일 - 1월 6일에 이용할 수 없다.
- 오봉 기간 중의 평일은, JR이나 관동 지방의 대형 사철・지하철 등 공공 교통기관에서는 평일 다이어로 운행된다. 단, 일부 사철・지하철・노선 버스 등에서는 휴일 또는 토요 또는 구본(휴교) 기간 전용 다이어로 운행되는 노선도 있다.
2020년과 2021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확산으로 인해 귀성이나 여행 자제를 호소하는 이례적인 오봉이었다.
7. 현대 사회의 오봉
오봉 휴일(お盆休み)은 에도 시대에 이미 자리 잡은 연휴였으나, 1873년(메이지 6년) 태정관포고에 따라 오봉은 법정 휴일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민간에서는 여전히 8월 15일 전후로 휴업하는 기업이나 휴가를 얻는 개인이 많다. 하계 휴가(특별 휴가)를 설정하는 민간 기업도 많으며, 많은 기업들이 이 기간에 오봉 휴일을 갖는다.
조상의 영을 제사 지내는 종교 행사일 뿐만 아니라, 학교의 여름방학과 겹쳐 국민적 휴가나 귀성 및 여행 시즌으로서의 측면도 있다.[65] 기독교도들에게 오봉(구본)은 단순한 여름방학이 되기도 한다. 2016년 이후 8월 11일이 국민의 휴일인 산의 날이 되면서, 오봉 휴일의 시작도 8월 11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
최근에는 귀성해 온 손자나 조카들에게 세뱃돈과 같은 '오봉돈'을 주는 고령자들도 있다.[66]
이 시기는 골든위크, 연말연시와 함께 고속도로나 공공 교통기관(철도, 고속버스, 항공기)이 매우 혼잡하여 귀성 러시라고 불린다. 접객, 서비스업과 공공 교통기관을 제외한 직종은 일제히 휴가에 들어간다.
교통기관이나 쇼핑객, 나들이객이 찾는 판매, 음식점, 호텔, 여관에게는 골든위크, 연말연시와 함께 가장 바쁜 시기이다. 그러나 태풍 시즌과 겹쳐 교통기관이 마비되는 경우도 많다.
JR의 특별 기획 승차권은 4월 27일 - 5월 6일, '''8월 11일 - 20일''', 12월 28일 - 1월 6일에는 이용할 수 없다. 오봉 기간 중의 평일은, 2020년부터의 규슈 여객 철도(JR규슈) 재래선을 제외하고[67][68] JR이나 관동 지방의 대형 사철, 지하철 등 공공 교통기관에서는 평일 다이어로 운행된다.
2020년과 2021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의 만연으로 귀성 및 여행 자숙을 호소하는 이례적인 오봉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Obon
http://www.shingon.o[...]
Shingon Buddhist International Institute
1998
[2]
논문
Filial Piety in Chinese Buddhism
1968
[3]
논문
Notes on Urabon ('Yü Lan P'ên, Ullambana')
[4]
웹사이트
ullamb-related entries at SpokenSanskrit.org website
http://spokensanskri[...]
[5]
웹사이트
ullamb entry at Sanskrit Dictionary website
http://sanskritdicti[...]
[6]
웹사이트
ulllumpana entry at The Pali Text Society's Pali-English Dictionary website
https://dsalsrv04.uc[...]
2023-10-00
[7]
웹사이트
Bon Odori Cultural traditions Japan Travel Guide – Japan Hoppers
https://web.archive.[...]
2020-04-08
[8]
서적
[9]
서적
Death Customs in Contemporary Japan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10]
서적
Death and Social Order in Tokugawa Japan: Buddhism, Anti-Christianity, and the Danka System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11]
웹사이트
Nihon Kokugo Daijiten entry for shōryō uma
https://kotobank.jp/[...]
[12]
웹사이트
Nihon Kokugo Daijiten entry for ushi uma
https://kotobank.jp/[...]
[13]
웹사이트
What is Obon? Guide to Japanese Halloween 2021
https://japantruly.c[...]
2021-11-23
[14]
웹사이트
Obon: Japanese festival of the dead
http://www.asiasourc[...]
Asia Society
2000
[15]
서적
Encyclopedia of Observances, Holidays and Celebrations from MobileReference
https://books.google[...]
MobileReference
2013-04-02
[16]
서적
Korean Mask Dance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13-04-02
[17]
웹사이트
Bon Odori Festival 2016 Fever Hits Cebu!
https://www.everythi[...]
Everything Cebu
2016-08-01
[18]
웹사이트
Philippine-Japan Festival 2017
https://www.sunstar.[...]
SunStar Cebu
2017-10-27
[19]
뉴스
Una tradición que se afirma en la Ciudad
http://www.eldia.com[...]
El Día
2010-01-09
[20]
웹사이트
Londrina Matsuri 2019 será no início de setembro
https://www.londrina[...]
2021-06-26
[21]
뉴스
Japanese Americans keeping Obon tradition alive
http://www.sfgate.co[...]
San Francisco Chronicle
2005-07-08
[22]
간행물
Obon Story: Honoring ancestors, connecting to our community
http://www.taiko.org[...]
NikkeiWest
2002-07-25
[23]
웹사이트
Obon Basics
http://www.taiko.org[...]
San Jose Taiko
[24]
웹사이트
Hawai'i Summer 2016 Bon Dance Schedule
http://www.honolulum[...]
2016-06-06
[25]
웹사이트
2016 Obon season calendar
http://www.staradver[...]
2016-05-29
[26]
Youtube
Fukushima Ondo (福島音頭)
https://www.youtube.[...]
2010-12-23
[27]
웹사이트
Bon Dance Overseas – Hawaii
http://www.bonodori.[...]
[28]
웹사이트
Lantern Festival: In The Spirit Of Obon – Morikami Museum and Japanese Gardens
http://morikami.org/[...]
[29]
웹사이트
Japanese Festival Labor Day Weekend Sept. 3–5 Missouri Botanical Garden
https://events.misso[...]
2023-05-24
[30]
웹사이트
2024年のお盆期間はいつ?東京の7月盆など地域別日程も紹介
https://www.hasegawa[...]
お仏壇のはせがわ
2024-08-14
[31]
웹사이트
~マメ知識~ 「お盆はなぜ7月と8月があるのか~」
http://www.oomorikak[...]
大田市場花き部仲卸協同組合
2019-06-13
[32]
문서
旧暦7月15日は新暦8月8日から9月7日の範囲になる。1991年 - 2030年の40年間では、2006年が8月8日、2025年が9月6日となる。また、閏月に行事を繰り返すことはないため、閏7月15日(閏7月があった2006年では9月7日)は旧盆ではない。
[33]
웹사이트
みんなのライフハックDIME 全国的には8月でも、東京でお盆を7月に行う風習がある理由とは?東京のお盆の迎え方と過ごし方を解説
https://dime.jp/genr[...]
[34]
웹사이트
市史余話 7月お盆・8月お盆
https://web.archive.[...]
函館市中央図書館
2014-07-15
[35]
웹사이트
Qなぜ7月盆と8月盆があるのですか?
http://www.yamasina-[...]
[36]
PDF
お盆 Part2
http://www.oomorikak[...]
大田市場花き部仲卸組合 青年部
[37]
웹사이트
西東京市のお盆について
http://www.city.nish[...]
西東京市役所
2011-07-28
[38]
웹사이트
七月三十一日~八月二日 盂蘭盆会(小金井盆、棚経)
http://konzoin.com/?[...]
真言宗豊山派 小金井金蔵院
[39]
웹사이트
夏季イベント紹介
http://www.city.chof[...]
調布市役所
2018-09-04
[40]
웹사이트
盆棚飾りを展示しておりす
http://kodaira-furus[...]
小平ふるさと村
2020-05-01
[41]
웹사이트
歳時報告 お盆
http://www.otakaki.c[...]
株式会社 大田花き
[42]
웹사이트
「みんな元気でやってますよと報告」新盆を迎え 先祖をしのび家族連れらが墓参り
https://newsdig.tbs.[...]
TBS
2023-07-30
[43]
뉴스
新盆、家族で墓参 金沢・野田山
http://www.hokkoku.c[...]
북국신문
2017-07-14
[44]
웹사이트
盆
https://kotobank.jp/[...]
[45]
웹사이트
goo辞書
http://dictionary.go[...]
[46]
웹사이트
徳島県指定無形民俗文化財 「津田の盆踊り」
https://web.archive.[...]
徳島市
2012-04-26
[47]
뉴스
盆踊り(上)地元の宝 有志が保存
http://www.topics.or[...]
2011-09-09
[48]
뉴스
盆踊り(下) 伝統の調べ 次世代へ
http://www.topics.or[...]
2011-09-10
[49]
웹사이트
阿波弁講座セミの呼び方。カマキリ、トンボ
https://web.archive.[...]
四国放送
2012-04-26
[50]
웹사이트
実は岡山弁。教えてください(駄)
http://komachi.yomiu[...]
[51]
웹사이트
びんごばあ!第354号●「ぼに」
https://web.archive.[...]
[52]
웹사이트
「初盆」と「新盆」についての使い分けや決まりはある?
https://www.nhk.or.j[...]
NHK放送文化研究所「放送現場の疑問・視聴者の疑問」
2001-05-01
[53]
논문
青森県における行事食に関する調査研究〜津軽地域のお盆の行事食について〜
https://web.archive.[...]
東北女子大学・東北女子短期大学紀要
2019-06-13
[54]
웹사이트
「爆竹」が鳴り響く!長崎のお盆って本当?「50万円買う人もいる」
https://withnews.jp/[...]
2017-08-14
[55]
웹사이트
お盆の精霊馬 すごいことに
https://www.nhk.or.j[...]
2018-09-25
[56]
웹사이트
ここがオモロイ!「秘密のケンミンSHOW」 お供えはお弁当?軒下におもちゃの車?独特すぎだぞ!全国のお盆カルチャー
https://www.yomitv.j[...]
[57]
뉴스
きょうから旧盆 ンカイ準備にぎわう/市内スーパー
http://www.miyakomai[...]
2018-08-25
[58]
웹사이트
沖縄Q&A
http://www13.plala.o[...]
沖縄県大阪事務所
[59]
웹사이트
ウチカビ 2.0! 進化を続けるあの世のお金について
https://ryukyushimpo[...]
2018-08-24
[60]
뉴스
きょうソーロン(旧盆)入り
http://www.y-mainich[...]
2018-08-25
[61]
웹사이트
わら綱引き霊を送迎…謎の行事「盆綱」茨城県教委が調査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19-05-03
[62]
웹사이트
東関東の盆綱
https://www.edu.pref[...]
茨城県
[63]
웹사이트
「おわら風の盆」の歴史
https://web.archive.[...]
富山市
2008-02-23
[64]
문서
해의 날이 7월 20일 고정에서 7월 셋째 월요일로 변경됨에 따라 신력 오봉에 해당하는 7월 15일이 공휴일이 되는 해도 있다.
[65]
뉴스
「お盆休み、Uターンラッシュがピークに」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8-15
[66]
뉴스
帰省費用は節約も…じわり広がる「お盆玉」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8-10
[67]
웹사이트
お盆期間中の「JR九州の在来線」列車ダイヤについて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0-08-11
[68]
웹사이트
博多駅時刻表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1-03-14
[69]
웹사이트
お盆期間中の「運行ダイヤ」と回数券のご使用について
http://www.hankyu.co[...]
阪急電鉄
[70]
웹사이트
お盆期間中の営業のご案内
http://www.keihan.co[...]
京阪電気鉄道
[71]
웹사이트
お盆期間中の電車・バス・高速バス・定期券発売窓口のご案内
http://www.nishitets[...]
西日本鉄道
2017-08-14
[72]
논문
韓日 兩國 歲時風俗의 機能에 관한 考察
2012-05-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