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즐은 롯데그룹이 발행하는 선불 교통 카드 브랜드이다. 2009년 롯데그룹이 이비카드를 인수하고, 2010년 마이비카드와 하나로카드를 통합하여 캐시비로 브랜드를 변경했다. 전국호환 캐시비를 출시하여 사용 지역을 확대했으며, 다양한 종류의 카드와 기능을 제공한다. 이즐은 대중교통, 택시, 편의점 등에서 사용 가능하며, 충전은 지하철역, 은행, 편의점 등에서 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 티머니
티머니는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선불형 교통카드이자 전자결제 시스템으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대중교통, 고속도로 통행료 지불, 철도 승차권 구매 등에 사용 가능하며, 기술 발전과 서비스 확장을 통해 전국적인 교통 결제 시스템으로 자리매김했다. -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 마스터카드
마스터카드는 1958년에 설립된 미국의 다국적 금융 서비스 기업으로,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결제 처리 네트워크를 운영하며, 2006년 기업공개를 통해 뉴욕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었다. - 교통 카드 - 티머니
티머니는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선불형 교통카드이자 전자결제 시스템으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대중교통, 고속도로 통행료 지불, 철도 승차권 구매 등에 사용 가능하며, 기술 발전과 서비스 확장을 통해 전국적인 교통 결제 시스템으로 자리매김했다. - 교통 카드 - 교통카드
교통카드는 대중교통 요금 지불을 위해 사용자 카드, 단말기, 중앙처리시스템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사용하는 스마트카드로 편리성을 제공하지만 보안 취약성 및 개인정보 노출 위험, 시스템 및 규격의 다양성 등의 단점도 가진다. - 롯데그룹 - 롯데쇼핑
롯데쇼핑은 1970년 협우실업으로 설립되어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등을 운영하며 롯데하이마트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으며, 한국 증시에 상장되어 있다. - 롯데그룹 - 롯데웰푸드
롯데웰푸드는 1967년 롯데제과로 설립되어 과자와 빙과류 생산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식품 기업으로, 롯데푸드와의 합병 후 2023년 사명을 변경했으며 월드콘, 꼬깔콘, 빼빼로, 가나 초콜릿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무설탕 디저트 ZERO 출시 등 사업 확장을 지속하고 있다.
이즐 | |
---|---|
교통카드 정보 | |
이름 | 이즐 |
![]()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이동의즐거움 지역: 인천 · 경기 · 강원(강릉 · 동해 · 삼척 · 태백 · 정선 · 평창 · 홍천 · 영월 · 양양 · 속초 · 고성 · 철원 · 양구 · 화천 · 인제) · 곡성 · 영광 · 장흥 · 의령 마이비 지역: 부산 · 울산 · 전북 · 충남 · 충북 · 경주 · 구미 · 김천 · 밀양 · 양산 · 진주 · 창원 · 함안 옛 케이캐쉬 지역: 춘천 · 원주 · 횡성 · 김해 |
보조 지역 | 서울 · 대구 · 광주 · 제주 · 세종 · 포항 · 경산 · 구례 · 대전 |
라이선스 | null |
발급자 | 이동의즐거움 |
시작 | 이베스트카드 : 1997년~2003년 이비카드 : 2004년~2006년 티모아 : 2007년~2010년 2010년 12월~ |
종료 | null |
웹사이트 | http://www.cashbee.co.kr/ |
2. 역사
마이비카드·하나로카드와 기존 이비카드 브랜드의 통합을 위해 2010년 12월에 출시되었다. 마이비카드·하나로카드와 전혀 다른 티모아 기반이기 때문에 2012년 3월부터 세븐일레븐에서 마이비카드와 하나로카드 및 구형 이비카드를 캐시비로 무상 교체하는 이벤트를 진행하였다.[2]
금융여신법에 의해 외상 결제를 할 수 없고, 충전 금액의 환불시 수수료를 징수하는 선불카드 시스템의 '빚 안 지는' 시스템적인 장점과 이명박 전 서울특별시장이 야심차게 추진한 티머니의 성공 사례[3]를 눈여겨보던 롯데그룹이 야심적으로 추진한 전략 사업 중 하나였다.
2012년 3월 19일에는 롯데 자이언츠 캐시비 카드가 출시되었고, 2012년 11월 1일에는 아시아나항공 제휴 롯데멤버스 캐시비 카드가 출시되었다. 2013년 1월 28일에는 대중교통 안심카드 'bee TOKEN'이 출시되었고, 2015년 2월 17일에는 119 생명번호 캐시비 카드가 출시되었다.[9]
'''이즐(ezl)의 연혁'''
날짜 | 내용 |
---|---|
2010년 12월 20일 | 티모아에 롯데멤버스 기능을 추가한 캐시비 출시, 기존 이비카드(티모아)는 단종 |
2011년 5월 25일 | KT용 NFC 모바일 캐시비 서비스 실시 |
2011년 12월 | 세븐일레븐, 롯데리아, 엔제리너스, 롯데시네마, 크리스피 크림, 나뚜루, 롯데슈퍼, 롯데월드, 롯데마트에서 사용 가능 |
2012년 7월 16일 | SK텔레콤용 NFC 모바일 캐시비 후발급 서비스 실시 |
2013년 8월 1일 | KT용 NFC 모바일 캐시비 후발급 서비스 실시. 이로써 SK텔레콤과 같이 기존의 티머니 애플릿이 선 탑재된 USIM카드로도 캐시비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2014년 3월 1일 | LG유플러스용 NFC 모바일 캐시비 후발급 서비스 실시 |
2023년 11월 9일 | 캐시비가 이즐로 브랜드명 변경 |
2. 1. 출시 배경 및 초기 역사
2009년 9월, 롯데그룹은 마이비카드를 인수하기 전 이비카드 인수를 시도했으나, 마이비 인수를 먼저 진행하였다.[4] 2010년 7월 25일, 롯데그룹은 이비카드를 인수하여 마이비, 이비, 하나로카드(부산권)의 통합 브랜드인 캐시비를 만들었다.이비카드의 고급형인 티모아(T-MOA)에 롯데멤버스 마일리지를 장착하여 리뉴얼한 교통카드로, 2010년 12월에 출시되었다. 2012년 4월, 동남권 카드인 기존 마이비카드와 하나로카드를 단종하고 캐시비 기반 시스템이 적용된 신형 마이비카드 및 하나로카드를 발행하였다.
2. 2. 서비스 지역 확대
- 2011년 1월 1일: 구미시와 김천시 시내버스에서 캐시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6]
- 2011년 3월 10일: 춘천시 시내버스에서 캐시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6]
- 2011년 4월 1일: 충청북도 관내 시내버스에서 캐시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6]
- 2011년 5월 21일: 부산·김해·양산 간 동남권 광역 환승제 실시로 양산시 시내버스에서 캐시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6]
- 2011년 8월 16일: 대구광역시와 경산시 시내버스 및 대구 도시철도에서 캐시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6]
- 2011년 9월 16일: 부산-김해 경전철 개통과 동시에 캐시비를 이용 및 충전할 수 있게 되었다.[6]
- 2011년 10월 1일: 정선군, 평창군, 홍천군 농어촌버스에서 교통카드제를 실시하며 캐시비를 도입하였다.[6]
- 2011년 11월 1일: 원주시(횡성군 포함) 시내버스에서 캐시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6]
- 2012년 2월 10일: 김해시 시내버스에서 캐시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6]
- 2012년 3월 1일: 진주시 시내버스에서 캐시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6]
- 2012년 6월 25일: 진도군 농어촌버스에서 교통카드제를 실시하며 캐시비를 도입하였다.[6]
- 2012년 7월 1일: 영월군 농어촌버스에서 교통카드제를 실시하며 캐시비를 도입하였다.[6]
- 2012년 8월 1일: 고흥군 농어촌버스에서 교통카드제를 실시하며 캐시비를 도입하였다.[6]
- 2012년 10월 1일: 속초시 시내버스, 고성군과 양양군 농어촌버스에서 교통카드제를 실시하며 캐시비를 도입하였다.[6]
- 2013년 7월 19일: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간 상호 광역 환승제 도입과 함께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 및 광주 도시철도에서 캐시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6]
- 2013년 11월 1일: 경상북도 상주시·문경시·영주시 시내버스, 예천군 농어촌버스에서 캐시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6]
- 2013년 12월 1일: 경상남도 의령군 농어촌버스에서 교통카드제를 실시하며 캐시비를 도입하였다.[6]
- 2014년 1월 1일: 강원도 화천군 농어촌버스에서 교통카드제를 실시하며 캐시비를 도입하였다.[6]
- 2014년 1월 6일: 전라남도 구례군 농어촌버스에서 캐시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6]
- 2014년 3월 1일: 강원도 인제군 농어촌버스에서 교통카드제를 실시하며 캐시비를 도입하였다.[6]
- 2015년 3월 1일: 경상북도 영천시 농어촌버스에서 캐시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6]
- 2018년 5월 31일: 대전 시내버스 및 대전 도시철도에서 국토교통부 인증 전국호환 캐시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6]
- 2019년 5월 31일: 대전 시내버스 및 대전 도시철도에서 모바일 캐시비 및 기존 캐시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단, 이비카드, 마이비카드 사용 불가)[6]
2. 3. 전국호환 및 기능 확대
국토교통부의 One card, All pass영어 정책에 따라 2013년 12월 24일 전국호환 캐시비와 캐시비 하이패스를 부산역에서 개통식을 통해 출시했다.[7] 2014년 8월 25일 CU 제휴 단일권종 캐시비를 출시했고, 2014년 12월 24일 전국호환 인증형 신형 캐시비와 캐시비 하이패스 카드 발매를 시작했다. 2015년 1월 2일부터 전국호환 캐시비가 아닌 기존 캐시비로도 한국도로공사의 고속도로 통행료를 지불할 수 있게 되었다.[8] 2015년 8월 20일 전국호환 캐시비의 단일권종형을 출시했고,[10] 2016년 4월 CU 캐시비의 전국호환 인증형을 출시했다. 2016년 10월 19일 전국 공중전화기에서 캐시비 사용을 확대했으며,[11] 2017년 1월 11일 여성가족부에서 발행하는 청소년증에 캐시비 탑재를 시작했다. 2017년 9월 팝 캐시비를 출시했다. 2023년 7월 20일, 로카M 알뜰교통카드 플러스(현 이즐 K-패스 카드)를 출시했다. (알뜰교통카드, K-패스 앱 연동 가능)2. 4. 브랜드 변경
ezl영어은 2023년 11월 9일에 캐시비에서 변경된 브랜드명이다.[2]3. 종류
이즐은 다양한 종류의 카드로 출시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카드 종류 | 설명 |
---|---|
일반 카드 | 기본 카드, 디자인 카드, 모바일 카드, bee TOKEN, 캐시비 세븐, CU 캐시비, 119 생명번호 캐시비, 전국호환 캐시비, 캐시비 하이패스, 코리아 트래블 카드, 롯데 자이언츠 캐시비, 채움오토패스카드, 청소년증, 팝 캐시비, 인천 e음카드, 전주시·청주시 시내버스 정기권, 이즐카드(구 로카M카드), 이즐 K-패스 카드(구 로카M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등이 있다. 각 카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
무임용 교통카드 | 경기도의 G-Pass 우대용 교통카드와 부산광역시의 하나로 복지 교통카드가 있다. |
캐시비 교통시계 | 시계 속에 교통카드 칩을 넣어 시계를 차고 결제할 수 있도록 만든 카드이다. |
3. 1. 일반 카드
- 기본 카드: 출시 초기부터 2011년까지는 세븐일레븐에서 판매하였고, 2012년에는 롯데마트와 롯데슈퍼에서 판매하였으나 현재는 발급하지 않는다. 최초 발급은 무료이나, 재발급 시에는 디자인 카드와 동일하게 2,500원에 판매된다. 발급 시 롯데멤버스 기능 활성화를 위해 매장 POS 단말기에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며, (개인정보보호법 제22조 5항에 따라) 어린이 우대카드는 없다. 이 카드를 발급받으면 입력한 주민등록번호를 통해 롯데멤버스 회원으로 가입하게 된다.[2]
- 디자인 카드: 서울, 인천, 경기, 천안, 아산, 삼척, 동해, 태백, 강릉 등 캐시비 사용 가능 지역의 버스정류장 가두 판매대에서 구입할 수 있다. 부산 등 동남권 지역인 ㈜마이비에서 발급하는 신 마이비카드에는 마이비 로고가, 신 하나로카드에는 하나로 로고가 있다.
- 모바일 카드: 캐시비 애플릿이 선 탑재된, 혹은 교통카드 후 탑재형 SIM 카드를 휴대전화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NFC용 SIM 카드로 출시되었다.
- bee TOKEN: 분실 시 분실신고가 가능하며, 잔액을 환불받을 수 있는 카드다. 티머니·한페이가 출시한 분실 정지가 가능한 카드와 마찬가지로 캐시비 웹사이트에서 미리 환불 정보를 등록해야 한다. 이 카드는 수도권 가두판매대, 부산 서면역 구내에 있는 캐시비 서비스센터에서 판매하고 있다. 2022년에 출시한 로카M카드에 앱 연동 환불등록 기능이 추가되면서, 현재는 로카M카드로 사실상 통합됐다.
- 캐시비 세븐: 세븐일레븐 편의점에서만 판매하는 카드이며, 세븐일레븐에서 건당 3000KRW 이상을 10회 결제할 때마다 쿠폰을 제공한다. 팝카드와 마찬가지로 특정 물품을 10% 할인하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17]
- CU 캐시비: CU 편의점에서만 판매하는 카드이며, 롯데멤버스 기능 대신 CU 멤버십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캐시비 최초로 내놓은 단일권종 카드다. 카드 구입 시 어린이·청소년 권종을 설정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캐시비 웹사이트에서 어린이·청소년 권종을 설정해야 한다.
- 119 생명번호 캐시비: CU 캐시비 출시 이후 2015년부터 판매를 시작한 L-포인트 장착 단일권종 캐시비 카드다. 카드 앞면에 기재되어 있는 긴급번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One Card, All Pass 인증 카드도 나왔으나 L-포인트가 없고, 단일권종형이 아닌 일반용으로 판매하고 있다.
- 전국호환 캐시비: 국토교통부의 "One card, All pass" 정책을 따른 카드이다. 이 카드로 코레일 철도 매표창구에서 승차권을 구입할 수 있으며, 고속도로 요금소에서 고속도로 통행료를 지불할 수 있다. 단, 명절 특별수송 기간에는 철도역에서 선불교통카드를 이용한 승차권 구입을 할 수 없다.
- 캐시비 하이패스: 하이패스용 단말기(OBU)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국호환 캐시비다. 청소년·어린이 우대카드는 없으며, 하이패스 플러스 카드와 같은 5000KRW에 판매한다. 하이패스 단말기 겸용 카드이지만, 하이패스 충전소에서 충전할 수 없다(캐시비 충전금액을 하이패스 통행료로 사용). 한페이 하이패스 카드와 레일플러스 하이패스 카드도 캐시비 하이패스 카드처럼 본 카드에 충전된 잔액을 공용해서 이용하는 형태이며, 하이패스 기능은 아니지만 2022년에 출시한 로카M카드도 RF 충전 금액을 공용하는 형태로 IC결제를 지원한다.
- 코리아 트래블 카드(구 코리아패스 선불카드): 한국관광공사와 제휴하여 출시한 외국인 대상 선불카드다. 인천국제공항 입국장 한국철도공사 서비스데스크, 인천국제공항철도 티켓판매소[18], 인천국제공항 및 김포국제공항 내 하나은행 지점 및 환전소, 서울 시내 하나은행 지점, 한국관광공사 지하 1층 한국관광명품협회에서 구입할 수 있다. 로카M 베이스로 바뀐 후에는 네이버페이 캐시비샵에서도 판매하며, "코리아 트래블 카드"로 개칭했다. 코리아 트래블 카드는 내국인도 구입할 수 있다.
- 롯데 자이언츠 캐시비: 롯데 자이언츠 프로야구단과 마이비가 제휴하여 만든 "롯데 자이언츠 마이비카드"가 전신이며, 마이비카드가 기존 MIFARE 카드에서 티모아 기반으로 통일된 후 "롯데 자이언츠 캐시비"로 변경됐다. 2012년 3월 19일에 출시되었으며, 롯데 자이언츠 인터넷 일반 회원으로 가입하면 회원별로 최초 발급 시 무료로 발급되고 재발급 시 4000KRW에 판매했다. 2015년에 단종됐으며, 롯데 자이언츠 엘포인트 카드로만 발행 중이다.
- 채움오토패스카드: 청소년에게만 발급하며, 경기도·인천 시내버스 탑승 시 만 원 단위로 자동 충전 기능을 제공한다. 농협 영업점(NH농협은행 및 조합)에서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으나 재발급 시 4000KRW에 판매한다.
- 청소년증: 2017년 1월 11일부터 여성가족부에서 발행하는 청소년증에 캐시비 기능을 추가하였다. 채움오토패스카드와 마찬가지로 청소년에게만 발급하며, 전국의 모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본인이나 대리인이 신청할 수 있다. 주민등록번호가 있는 관계로 신분증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다.
- 팝 캐시비: GS리테일과 제휴하여 출시했으며, 캐시비 지역 GS25에서 판매한다. 최근 출시된 버전은 팝카드 번호와 캐시비 번호가 분리되어 있다.
- 인천 e음카드: 인천광역시 내 IC 결제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사용 가능한 선불카드 형태의 스마트 IC 지역화폐이므로, 인천광역시청 주관에 의해 '인천사랑 전자상품권(인처너카드, INCHEONer CARD)이라는 이름으로 도입되어 2018년 8월부터 발급되기 시작하였고, 2019년 4월 1일부터, '인천 e음카드'로 변경되어, 캐시비 교통카드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미추홀e음, 서로e음, 연수e음, 부평e음, 계양e음 계열 포함).
- 전주시·청주시 시내버스 정기권: 전주시와 청주시에서 시내버스 전용으로 이용되는 교통카드형 정기권으로, 해당 지역 외 타 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19] 1일권, 2일권, 30일권의 3가지 종류가 있으며, 권종별 충전 금액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충전하기 전에 해당 지역 홈페이지를 참고해야 한다. 전주시와 청주시 관내 GS25에서 판매하며, 가격은 1장당 3000KRW이다. 정기권 충전은 전국의 모든 GS25에서 현금으로만 가능하다. 교통카드 단말기에서는 "정기권입니다." 라는 메시지가 나간다.
- 이즐카드(구 로카M카드): 로카모빌리티로 사명을 변경한 후 2022년 5월 9일에 출시한 통합권종 교통카드다.[20] 판매처에서 어린이/청소년용으로 할인 권종을 등록하며, 카드 앞면에 IC칩이 있다. 롯데 계열에서 분리된 후 출시한 카드라서, 엘포인트는 탑재되지 않는다. 충전은 기존 교통카드처럼 RF판에 올려서 하거나 이즐충전소 앱의 NFC 연동을 이용하지만, 교통 이용과 달리 교통 외 사용처에서는 RF식 유통결제가 아닌 일반적인 체크카드/신용카드/선불형 체크카드처럼 꽂아서 결제한다. 따라서 캐시비 하이패스 카드처럼 충전된 잔액을 공용하는 형태로 교통과 교통 외 결제를 이용하며, 교통카드 번호와 국내전용 선불카드 유효기간/BIN이 따로 있다. 대중교통안심카드 기능이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어서, 이즐충전소 앱에 카드를 등록한 후 분실/환불 안심서비스에 등록하면 사용 중 분실했을 때 카드를 일시정지할 수 있다.
- 이즐 K-패스 카드(구 로카M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2023년 7월 20일에 첫 출시했다.[21] 로카모빌리티가 맥쿼리 계열 사모펀드에 넘어간 후 이동의즐거움으로 사명을 변경하여 2024년 3월에 로카M카드가 이즐카드로 개칭하고, 동년 5월부터 알뜰교통카드가 K-패스로 개편된 후에는 이즐 K-패스 카드로 개칭했다. 알뜰교통카드 시절에는 알뜰교통카드 연동이 가능했던 유일한 실물 선불교통카드였고, K-패스 개편 후에는 iM유페이의 원패스와 더불어 실물 선불교통카드 중에서는 보기 드물게 K-패스 앱에 연동 등록이 가능한 카드다.
3. 2. 무임용 교통카드
카드명 | 발급사 | 비고 |
---|---|---|
지패스(G-PASS) 신용카드[22] | NH농협은행, 농협 | 생년월일 기준 만 65세 이상 |
지패스(G-PASS) (체크카드) | 장애인 복지법에 의거한 경증 및 중증 장애인 | |
지패스(G-PASS) (현금카드) | ||
지패스(G-PASS) 단순 교통카드 | ||
- 하나로 복지 교통카드: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이 발급받을 수 있다.
카드명 | 발급사 | 비고 |
---|---|---|
어르신 교통카드 | 부산은행 | 생년월일 기준 만 65세 이상 |
장애인용 복지 교통카드 | 장애인 복지법에 의거한 경증 및 중증 장애인 | |
국가유공자용 교통카드 | 국가유공자 | |
3. 3. 캐시비 교통시계
시계 속에 교통카드 칩을 넣어 시계를 차고 결제할 수 있도록 만든 카드이다. 마이비에서 예전에 출시했던 써머비치 카드와 비슷한 형태이다. 전국호환 인증형은 2016년부터 판매되고 있다.4. 사용 가능 지역
캐시비는 티머니와 함께 수도권(경기도, 인천광역시)과 동남권(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을 주 사용 지역으로 하지만, 경인 지역을 비롯한 부산, 울산, 경남 지역에서는 티머니보다 이용률이 다소 떨어진다. 비 수도권 지역에서는 강원특별자치도에 주로 보급되어 있다.
국토교통부의 "One card, All pass" 정책에 따라 2013년 12월 24일 전국호환 캐시비와 하이패스 겸용 캐시비를 부산역에서 개통식을 열고 출시하였다.[7] 부산광역시에서 먼저 서비스가 시작되었고, 티머니가 2014년 6월 전국호환 교통카드를 출시할 무렵 전국호환 캐시비의 사용 지역을 서울특별시 등지로 확대하였다.
2014년 8월 CU와 제휴한 교통카드를 통하여 처음으로 단일권종을 선보였으며, 이후 L-포인트가 장착된 단일권종 카드를 선보였다. 2015년 8월 20일에는 전국호환 인증형 캐시비 세븐의 단일권종 카드를 내놓았고, 2016년에는 전국호환 인증형 단일권종 CU 캐시비도 내놓았다. CU 캐시비 카드를 포함하여 일부 L-포인트 기능이 없는 캐시비 카드도 존재한다. CU 캐시비는 해당 카드의 번호가 CU 멤버십 카드 번호를 겸하며, 이는 2017년 9월에 출시한 팝 캐시비도 마찬가지다.
구분 | 사용 가능 지역 |
---|---|
대중교통 |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강원특별자치도 등 캐시비 사용 지역의 택시 (세부 지역은 하위 섹션 참조) |
유통 | 세븐일레븐, 롯데리아, 엔제리너스, 롯데시네마, 크리스피 크림, 나뚜루, 롯데슈퍼, 롯데월드, 롯데마트, 롯데백화점, 미니스톱, CU, GS25, 이마트24, 스토리웨이, 기타 개인 편의점, 일부 자판기, 남산1·3호 터널, 서울 경마공원(스피드게이트) 등 |
4. 1. 대중 교통
캐시비는 수도권(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동남권(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강원특별자치도 등 캐시비 사용 지역의 택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세부 지역으로는 서울, 경기, 인천, 강릉(강릉콜 및 강릉개인택시, 강릉친절콜), 충북, 충남, 전북, 부산(부산개인택시 및 등대콜, 나비콜, 마린콜)이 해당된다.[15] 캐시비의 전신인 티모아와 제주시에서 발급한 이비 티머니도 동일한 지역에서 사용 가능하다.4. 2. 유통
세븐일레븐, 롯데리아, 엔제리너스, 롯데시네마, 크리스피 크림, 나뚜루, 롯데슈퍼, 롯데월드, 롯데마트, 롯데백화점, 미니스톱, CU, GS25, 이마트24, 스토리웨이, 기타 개인 편의점, 일부 자판기, 남산1·3호 터널, 서울 경마공원(스피드게이트)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5. 충전
장소 | 비고 |
---|---|
수도권 전철, 부산 도시철도, 부산-김해 경전철, 광주 도시철도 역사 내 1회용 발매·교통카드 충전기 | [23] |
NH농협은행·농협 자동화기기 | [23] |
신한은행·제주은행 자동화기기 | 만 원 단위[24] |
우리은행 자동화기기 | 1만 원부터 천 원 단위[23] |
세븐일레븐[25], CU, GS25, 스토리웨이, 이마트24, 기타 개인편의점 | |
롯데슈퍼 기업형 슈퍼마켓 | |
롯데그룹 롯데ATM | 만 원 단위[23] |
이즐충전소 앱 | NFC 이용, 충전 수단에 따른 충전 수수료 차등 부과 |
6. 문제점 및 사건/사고
7. 기타
어린이·청소년용 카드는 사용 후 10일 안에 등록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일반 요금이 적용된다. 10일이 지난 후 등록하면 등록일부터 3일 후에 청소년·어린이 요금이 적용된다.[2]
엘포인트(L.POINT)가 장착된 캐시비 교통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엘포인트가 적립된다. 한 달 사용분을 합산하여 다음 달 초에 캐시비 사용 금액의 0.2%를 엘포인트로 적립해 준다. 엘포인트 적립 내역을 보면 발행 회사와 관계없이 "이비"로 기록된다. 교통 사용은 "이비(교통)", 유통 결제는 "이비(유통)"으로 조회된다. 2015년 6월 1일부터 엘포인트 적립률이 0.1%에서 0.2%로 증가했으나, 최소 적립 엘포인트가 100점으로 지정되어 5만 원 이상 이용해야 적립이 가능하다. 2024년 12월 31일부로 엘포인트 적립 서비스는 종료될 예정이다.[2]
참조
[1]
문서
마이비카드와 하나로카드 발급자 정보
[2]
문서
광주광역시 한페이 교체 이벤트
[3]
뉴스
MB 임기시 추진한 서울특별시 교통카드 사업 특혜 의혹
http://news.kukmin.t[...]
국민TV
2013-10-28
[4]
뉴스인용
롯데정보·카드, 전자결제회사 마이비 인수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09-08-26
[5]
뉴스
우리은행 전국호환교통카드 기능 현금카드
https://n.news.naver[...]
서울경제
[6]
문서
경산버스 마이비카드 중지
[7]
뉴스
전국호환 교통카드 ‘캐시비’, 부산에서 개통…내년부터는 전국에서, “가격은?”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3-12-23
[8]
뉴스
캐시비카드, 고속도로 영업소에서 통행료 결제 가능
http://www.fntoday.c[...]
파이낸스투데이
2015-01-02
[9]
뉴스
캐시비, 다문화가족에 ‘119 생명번호 교통카드’ 1,250매 전달
https://news.naver.c[...]
머니위크
[10]
뉴스
이비카드, '가스파드 앤 리사' 디자인 캐시비 카드 출시
https://news.naver.c[...]
이데일리
[11]
뉴스
캐시비 교통카드, 전국 공중전화에서 사용 가능
https://news.naver.c[...]
머니S
[12]
뉴스인용
롯데, 성급했던 교통카드사 인수
http://news.mt.co.kr[...]
머니투데이
2012-07-18
[13]
뉴스인용
나도 모르는 새…요금 더 찍히는 교통카드
http://news.sbs.co.k[...]
서울방송
2014-10-06
[14]
뉴스인용
이비카드, 말썽 많은 단말기로 ‘전전긍긍’한 속사정
http://www.speconomy[...]
스페셜경제
2014-10-17
[15]
문서
인천광역시, 경기도 이비 티머니/유패스 카드 정보
[16]
문서
EA 또는 ES 표기 교통카드
[17]
문서
교통카드 할인 행사 변경 정보
[18]
문서
교통카드 판매 장소
[19]
문서
전주시, 청주시 시내버스 정기권 사용 제한
[20]
뉴스
로카모빌리티, IC결제 되는 '교통카드' 국내 첫 출시
https://n.news.naver[...]
전자신문
[21]
뉴스
교통요금 줄인상 예고…알뜰교통카드 어떤 게 있나
https://n.news.naver[...]
ZDNET
[22]
문서
비씨후불티머니카드 정보
[23]
문서
농협 계좌 필요 교통카드
[24]
문서
교통카드 환불 정보
[25]
문서
롯데카드 충전 교통카드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